KR100894950B1 -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950B1
KR100894950B1 KR1020077014501A KR20077014501A KR100894950B1 KR 100894950 B1 KR100894950 B1 KR 100894950B1 KR 1020077014501 A KR1020077014501 A KR 1020077014501A KR 20077014501 A KR20077014501 A KR 20077014501A KR 100894950 B1 KR100894950 B1 KR 100894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intake port
heat exchanger
construction machin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6654A (ko
Inventor
하지메 나까시마
도모야 다니우찌
야스마사 기무라
신이찌 기노시따
Original Assignee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6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0Guiding or ducting cooling-air, to, or from,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2Filtering, cooling, or silencing cooling-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흡기실을 확장하지 않고, 또한 흡기측의 방음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엔진룸(12) 내에 있어서의 열교환기(15)의 흡기측에 흡기실(16)을 형성하고, 이 흡기실(16)의 상면부에 제1 흡기구(17)를 형성한다. 흡기실(16)에는, 차폐 부재로서의 독립된 덕트(18)를, 열교환기(15)의 코어면(15a)을 주위로부터 기밀하게 둘러싸는 동시에, 흡기실(16) 내를 2실(16a, 16b)로 구획하는 상태로 설치한다. 이 덕트(18)에 제2 흡기구(23)를 형성함으로써, 흡기실(16)을 이중 덕트 구조로 하고, 제1 흡기구(17)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대략 L자형으로 굴절된 흡기 통로를 통해 열교환기 코어면(15a)으로 유도하도록 구성했다.
엔진룸, 열교환기, 흡기실, 덕트, 코어면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COOL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도입한 냉각 공기를 열교환기로 유도하는 흡기측의 방음 성능을 개량한 건설 기계의 냉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유압 셔블에 있어서는, 도25, 도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1)의 후방부에 엔진룸(2)이 마련되고, 이 엔진룸(2) 내에 엔진(3)과, 이 엔진(3)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4)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유압 펌프(4)와 반대측에, 엔진 냉각용의 라디에이터를 비롯하여, 오일 쿨러, 인터 쿨러 등의 복수의 열교환기(여기서는 하나의 것으로서 도시함)(5)와, 엔진(3)으로 구동되는 냉각 팬(6)이 설치되고, 이 냉각 팬(6)의 회전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엔진룸(2)에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5)를 통과한 후,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로부터 외부에 배출된다.
엔진룸(2)은, 엔진 가드라 칭해지는 패널재나 카운터웨이트의 일부, 연료 탱크의 상면 등을 이용하는 커버재(7)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이 커버재(7)에,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구(8)가 마련되어 있다.
이 흡기구(8)는, 엔진룸(2)에 있어서의 열교환기(5)가 배치된 측에 있어서 커버재(7)의 측면[열교환기(5)와 대면하는 면] 또는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8 중 부호 9는 캐빈이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팬의 회전음, 풍절음, 열교환기(5)의 흡입음 등의 흡기 소음에 대해 어떠한 규제도 없기 때문에, 소음의 대부분이 흡기구(8)를 통해 직접 외부에 누출되어, 흡기측의 방음 성능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점의 대책으로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룸의 흡기측의 공간을 기계 전방측으로 연장하고, 그 선단부를 흡기구로서 기계 중심측에 개방시킴으로써, 평면에서 보아 역ㄷ자형의 굴절 형상으로 형성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 일본 특허 공개 평08-218869호 공보
상기 공지 기술에 따르면, 도25, 도26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열교환기의 코어면으로부터 흡기구에 이르는 직접음을 실벽에서 차단하여 감음하는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흡기 경로가 길고 또한 굴절하고 있음으로써 소리의 반사ㆍ감쇠 효과가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흡기실의 실벽(커버재)만에 의한 감음 효과밖에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방음 효과가 낮다. 또한, 실벽에는 간극이 있고, 그 기밀성은 반드시 높지 않기 때문에, 흡기실로부터의 소리의 누설이 크다. 이들의 점에서, 흡기측에서의 방음 성능은 또한 불충분했다.
또한, 흡기실을 전방측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이 연장한 만큼, 상부 선회체의 다른 설비[예를 들어 도25의 캐빈(9)]의 설치 공간이 침식되고, 특히 후방 소선회형 등이라 칭해지는 소형 셔블과 같이 본래 공간의 여유가 없는 기계에 있어서 불리하게 된다는 폐해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기실을 확장하지 않고, 또한 흡기측의 방음 성능을 향상시키는 점에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했다.
즉, 커버재로 덮인 엔진룸 내에 엔진과 열교환기와 냉각 팬이 설치되고, 상기 냉각 팬의 회전에 의해 외기를 엔진룸 내에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건설 기계의 냉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 내에 있어서의 상기 열교환기의 흡기측에 흡기실을 엔진룸 내의 다른 공간에 대해 독립하여 형성하고, 상기 커버재로 형성되는 이 흡기실의 실벽에 외부로 개방하는 제1 흡기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흡기실 내에 있어서의 열교환기의 코어면의 전방면측에, 코어면과 대향하는 면을 구비한 차폐 부재를, 코어면과 제1 흡기구와의 사이를 차단하여 흡기실 내를 2실로 구획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이 차폐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면과 대향하는 면에 제2 흡기구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재와는 별도의 덕트재에 의해 독립하여 형성한 차폐 부재로서의 덕트를, 상기 열교환기의 코어면을 주위로부터 기밀하게 둘러싸는 상태로 설치한 것이다.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차폐 부재로서의 차폐판을, 코어면과 제1 흡기구와의 사이를 흡기실 전체 폭에 걸쳐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열교환기의 코어면으로부터 외부로 직접 빠져나가는 소리(직접음)를 차폐 부재에 의해 규제하고, 그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B) 흡기실의 실벽(커버재)과 차폐 부재의 양방에 의해 소리의 반사ㆍ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 차폐 부재에 의해 흡기실 내를 두 개로 구획한 이중 구조이기 때문에, 실벽의 간극으로부터의 소리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D) 차폐 부재에 의해 소리를 차단함으로써 감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들의 점에 의해, 도25, 도26에 나타내는 종래 구조는 물론,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공지 기술과 비교하여, 흡기측에서의 방음 효과를 현격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흡기실 내에 차폐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얻는 구성이기 때문에, 공지 기술과 같이 흡기실을 확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다른 설비의 설치 공간이 침식된다는 폐해가 생기지 않는 동시에, 기존의 기계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차폐 부재로서 덕트를 설치한 발명에 따르면, 흡기실 내에 또한 독립된 덕트를 설치하는 이중 덕트 구조이기 때문에,
(a) 덕트 내에서의 소리의 반사ㆍ감쇠에 의해 감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b) 흡기실로부터의 소리 누설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c) 이중 덕트 구조에 의해 소리를 차단함으로써 감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덕트를, 열교환기의 코어면을 둘러싸는 상태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덕트와 코어면 주위와의 사이만의 기밀을 유지하면, 코어면으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가려고 하는 직접음을 덕트에 의해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즉, 덕트가 없는 경우, 복잡한 형상을 갖는 커버재의 내면(카운터웨이트 내면을 포함)으로 형성되는 흡기실 자체를 기밀하게 구성하지 않으면 직접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없지만, 3차원 곡면도 다용되는 커버재의 내면을 완전하게 밀봉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것에 반해, 덕트를 설치한 발명에 따르면, 종래 구조에 비해 밀봉 범위가 훨씬 좁아도 좋고, 또한 밀봉하기 쉬운 것에 의해, 높은 밀봉성을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2의 (a), 도2의 (b)는 제2 흡기구의 상단부의 위치에 관한 다른 두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6은 도5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7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5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3 상당도이다.
도12는 도11의 ⅩⅡ-ⅩⅡ선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15의 (a), 도15의 (b)는 제2 흡기구의 상단부의 위치에 관한 다른 두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4의 ⅩⅥ-ⅩⅥ선 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20은 도19의 ⅩⅩ-ⅩⅩ선 단면도이다.
도21은 도19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16 상당도이다.
도24는 도23의 ⅩⅩⅣ-ⅩⅩⅣ선 단면도이다.
도25는 종래 구조를 나타내는 유압 셔블의 상부 선회체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26은 상기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24에 의해 설명한다.
도1 내지 도13에 나타내는 제1 내지 제7 각 실시 형태에서는 차폐 부재로서 덕트를 설치하고, 도14 내지 도24에 나타내는 제8 내지 제13 각 실시 형태에서는 차폐 부재로서 차폐판을 설치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도1 내지 도3 참조)
상부 선회체의 후방부에, 엔진 가드나 카운터웨이트의 일부, 연료 탱크의 상면 등의 커버재(11)로 덮인 엔진룸(1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엔진룸(12)에는, 엔진(13), 유압 펌프(도시하지 않음), 냉각 팬(14), 라디에이터 등의 열교환기(하나의 것으로서 도시함)(15)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룸(12) 내에 있어서의 열교환기(15)의 흡기측에 흡기실(16)이 형성되고, 이 흡기실(16)의 상면[커버재(11)의 상면부]에,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도입하는 제1 흡기구(17)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실(16)은, 엔진룸(12)에 있어서의 엔진(13) 등이 수용된 공간에 대해, 열교환기(15), 적절한 구획재 및 밀봉재에 의해 독립하여(공기의 유통을 차단한 상태로) 형성되고, 이 흡기실(16)에 덕트(18)가 설치되어 있다.
덕트(18)는, 커버재(11)와는 별도의 덕트재에 의해, 천장판(19), 바닥판(20), 전후 양 측판(21, 22), 그것에 정면판(23)을 구비한 독립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덕트(18)는, 정면판(23)이 열교환기 코어면(15a)과 평행하게 되고, 또한 코어면(15a)을 주위로부터 기밀하게 둘러싸는 상태[예를 들어 정면판(23)과 반대측인 개구 모서리부가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모서리 프레임 부분에 기밀하게 접하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덕트(18)에 있어서의 열교환기 코어면(15a)에 대향하는 정면판(23)에 수평 방향으로 개방하는 제2 흡기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흡기구(24)에는, 방진용의 필터(25)가 이 제2 흡기구(24)를 덮고, 또한 열교환기 코어면(15a)과 평행하게 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필터(25)[제2 흡기구(24)]를 코어면(15a)과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이 좋은 것으로 된다.
한편, 덕트(18)의 천장판(19)은, 제1 흡기구(17)를 폐색하는 일이 없도록, 끝이 내려가도록[제1 흡기구(17)와의 간격이 열교환기 코어면(15a)으로부터 먼 측에서 커지는 방향]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흡기구(17)의 개구 면적을 최대로 살린 충분한 흡기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덕트(18)에 의해, 열교환기 코어면(15a)과 제2 흡기구(17)와의 사이가 차단되어 흡기실(16) 내가 두 개(덕트 내 공간과 그것 이외의 공간. 이하, 제1 실, 제2 실이라 함)(16a, 16b)로 구획된다. 또한, 덕트(18)에 의해, 도1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흡기구(17)로부터 하향으로 도입된 외기를 제2 흡기구(24)에서 횡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열교환기 코어면(15a)에 이르게 하는 대략 L자형의 굴절된 흡기 통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 코어면(15a)을 독립된 덕트(18)로 둘러싸고, 또한 코어면(15a)과 외부를 연결하는 흡기 통로를 대략 L자형으로 굴절시키고 있기 때문에, 코어면(15a)으로부터 외부로 직접 빠져나가는 직접음을 덕트(18)에서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전체 영역이 제1 및 제2 양 흡기구(17, 24)를 통해 외부로부터 직시되지 않도록 양 흡기구(17, 24)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가,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하단부와 제1 흡기구(17)의 가장 외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직선(A) 위이거나 이것보다도 하측에 오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코어면(15a)으로부터 직접 외부로 빠져나가려고 하는 직선음을 덕트(18)에서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 레이아웃에 따르면, 필연적으로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가 제1 흡기구(17)의 하단부(도면 예의 경우에는 도면 좌측 단부의 측면부에 걸리는 부분)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소리가 기계 측면측으로 직접 빠져나갈 우려가 없다. 즉,『기계측 소음』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도1 중에는, 제2 흡기구 상단부를 직선(A) 위에 일치시킨 제1 패턴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A) 근방에서 약간만 하측에 설정하는 제2 패턴, 또는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A)보다도 명백하게 하측에 설정하는 제3 패턴을 취해도 좋다.
제1 또는 제2 패턴을 취하면, 공기의 흐름을 필요 이상으로 구부리지 않고 소음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제3 패턴을 취하면 차음 효과의 점에서 최적으로 된다.
또한, 제2 흡기구 상단부를 직선(A)보다도 약간 상측에 위치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내지 제3 각 패턴의 경우에 가까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코어면(15a)으로부터 나오는 흡기음은, 흡기실(16) 내에 있어서 제1 실(16a)과 제2 실(16b)에서 반사ㆍ감쇠를 반복하기 때문에 높은 감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흡기실(16)이라는 일종의 덕트 내에 또한 독립된 덕트(18)를 설치한 소위 전체 주위 이중 덕트 구조이기 때문에, 흡기실(16)만의 일중 구조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흡기실(16)을 형성하는 커버재(11)와 덕트(18)의 전체 주위 부분에 있어서 이중으로 소리를 차단함으로써 소리 누설 방지 효과를 현격하게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이중 덕트 구조에 의해 소리를 차단함으로써 감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소리의 출구인 열교환기 코어면(15a)을 덕트(18)로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소리가 모든 방면으로 방산되는 소리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의 점에 의해, 도25, 도26에 나타내는 종래 구조는 물론,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공지 기술과 비교하여, 흡기측에서의 방음 효과를 현격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흡기실(16) 내에 덕트(18)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얻는 구성이기 때문에, 공지 기술과 같이 흡기실을 확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다른 설비의 공간이 침식된다는 폐해가 생기지 않는 동시에, 기존의 기계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덕트(18)와 코어면과의 사이만의 기밀만 유지하면, 코어면(15a)으로부터의 직접음을 덕트(18)에 의해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3차원 곡면을 포함하는 복잡한 형상의 커버재(11)의 내면 전체에 대해 기밀하게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밀봉 범위가 훨씬 좁아도 된다. 또한, 밀봉하기 쉬운 것에 의해, 높은 밀봉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흡기구(24)는, 열교환기 코어면(15a)보다도 작은 면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코어면(15a)으로부터 나오는 흡기 소음이 제2 흡기구(24)로 차단된 후, 제2 실(16b)에서 확산되기 때문에, 더욱 높은 감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흡기실(16) 내에 덕트(18)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얻는 구성이기 때문에, 공지 기술과 같이 흡기실을 확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다른 설비의 공간이 침식된다는 폐해가 생기지 않는 동시에, 기존의 기계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덕트(18)의 제2 흡기구(24)에 필터(25)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 흡기구(17)로부터 흡입된 외기의 전체량이 이 필터(25)를 통해 열교환기 코어면(15a)으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외기에 포함된 분진 등의 제거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필터(25)는, 상기와 같이 여과 작용을 확보하면서, 코어면(15a) 전체에 설치하는 경우보다도 대폭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저감으로 된다.
흡기실(16) 내의 벽면, 즉 흡기실(16)을 형성하는 커버재(11)의 내면, 및 덕트(18)의 내외면에는 각각 흡음재(26)가 마련되고, 이 흡음재(26)에 의한 흡음 효과에 의해 흡기 소음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도4 참조)
제1 흡기구(17)는, 특히 기계의 옆에 있는 사람이 느끼는『기계측 소음』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상향으로 릴리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부터, 흡기실(16)의 상면부, 또는 측면부까지 걸치도록 해도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측면부의 상단부까지의 얕은 범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레이아웃의 형편이나 외기의 유입량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요청 등으로부터,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흡기구(17)를 측면부에 크게 침식되는 상태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혹은 측면부만에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가,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하단부와 제1 흡기구(17)의 가장 외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직선(A) 위이거나, 이것보다도 하측에 설정되는 결과, 제2 흡기구(24)의 상하 치수가 작게 억제되어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제2 흡기구(24)의 공기의 유입 유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제2 흡기구(24)가 하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흡기구(24)를 통해 덕트 내실(16a)로 유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상부까지 고루 퍼지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점의 대책으로서 제2 흡기구(24)의 상하 치수를 크게 취하고자 한다는 요청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요청에 응하는 구성으로서, 제1로,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가 직선(A)보다도 상측에 오도록 상기 흡기구(24)의 위치와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흡기구(24)가 덕트 정면벽(23)의 하단부 근방으로부터 상단부 근방까지 걸친 넓은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흡기구(17)는, 하단부가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흡기실 상면부로부터 측면부에 크게 침식되는 넓은 범위에서 설치되어 있다. 도4 중 α는 제1 흡기구 하단부와 제2 흡기구 상단부의 위치 어긋남 치수를 나타낸다.
본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을 취함으로써, 제1 흡기구(17)를 측면부에 크게 파고드는 상태로 형성하고, 또한 제2 흡기구(24)를 상하로 넓은 범위에서 형성하면서, 열교환기 코어면(15a)으로부터 나온 소음 중 기계 측면부를 향하는 수평분은 커버재(11)의 측면부에서 차단되고, 상향의 성분만이 제1 흡기구(17)로부터 상방으로 방산되기 때문에, 기계의 옆의 작업원(β)이 느끼는『기계측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덕트(18)를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전방면측에 설치한 것의 기본적 효과, 즉,
(ⅰ) 열교환기 코어면(15a)으로부터 외부로 직접 빠져나가는 소리(직접음)를 덕트(18)에서 규제하고 그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점,
(ⅱ) 흡기실(16)의 실벽에 의한 감음 효과에 부가하여, 독립된 덕트(18) 내에서의 소리의 반사ㆍ감쇠에 의한 감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점,
(ⅲ) 이중 덕트 구조에 의해 흡기실로부터 외부로의 소리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점,
(ⅳ) 이중 덕트 구조에 의해 소리를 차단함으로써 감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점의 효과는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은, 제1 흡기구(17)를 흡기실 측면부만에 형성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도5 내지 도8 참조)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흡기구(24)를 넓은 범위에 형성하면, 열교환기 코어면(15a)에, 양 흡기구(17, 24)를 통해 외부로부터 직시되는 부분(이하, 직시 부분이라 함. 도8 참조](C)이 생기기 때문에, 이 직시 부분(C)으로부터의 직접음을 덕트(18)에 의해 차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흡기구(24)를 넓은 범위에 형성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흡기실(16) 내에 있어서의 제1 흡기구(17)와 제2 흡기구(24)[덕트(18)]와의 사이에, 공기 가이드 작용과 직접음 차단 작용을 겸비하는 막판(27)이 설치되어 있다.
막판(27)은, 덕트(18)의 천장판(19)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7a)와, 그 하단부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수직부(27b)로 이루어지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막판(27)은, 도8 중 직선(A)과,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하단부와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직선(B)과의 사이의 영역(D)을 커버하는 상태, 즉, 코어면(15a)의 직시 부분(C)을 외부에 대해 차단하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막판(27)을 이러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a) 제1 흡기구(17)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막판(27)에 의해 제2 흡기구(24) 의 상반부와 하반부를 향해 유도되기 때문에, 제2 흡기구(24)의 전체 영역, 즉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전체 영역에 대해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다.
(b) 코어면(15a)의 직시 부분(C)이 막판(27)에 의해 외부에 대해 차단되기 때문에, 열교환기 코어면(15a)으로부터 제1 흡기구(17)로 빠져나가려고 하는 직접음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의 위치와 마찬가지로, 공기의 흐름을 필요 이상으로 구부리지 않고 소음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막판(27)의 하단부를 상기 직선(A) 위에 일치시키거나, 또는 가능한 한 접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막판(27)을, 도7의 직선(A, B) 사이의 영역(D)을 상하로 벗어나서 마련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영역(D)을 커버하는 데 충분한 최소 범위에만 마련해도 좋다.
또한, 이 막판(27)에도 표리 양면에 흡음재(26)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막판(27)을「〈」형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좁은 제2 실(16b) 내에서 안내판(27)의 표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그만큼 많은 흡음재(26)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흡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덕트(18)의 정면판(23)[제2 흡기구(24) 및 필터(25)]이 열교환기 코어면(15a)과 평행하게 되도록 덕트 형상을 설정한 것에 반해, 본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덕트(18)의 정면판(23)이 열교환기 코어면(15a)에 대해 경사지도록 덕트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엔진(13)에 공급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에어 클리너(28)가 흡기실(16)의 제1 실(16a)의 상부(중간부 또는 하부라도 좋음)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에어 클리너(28)의 흡기음의 누출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필터(25)에서 여과된 청정 공기를 에어 클리너(28)에 보낼 수 있다.
또한, 필터(25)로서 성긴 먼지용의 눈이 성긴 것(철망 등)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에어 클리너(28)로의 성긴 먼지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에어 클리너(28)를 덕트 내에 설치함으로써, 에어 클리너(28)를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빗물 등으로부터 에어 클리너(28)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또한 비용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에어 클리너(28)의 엘리먼트 및 필터(25)의 점검이나 청소, 교환 등의 유지 보수를 외부로부터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도5,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덕트(18) 및 커버재(11)에 있어서의 에어 클리너(28)의 엘리먼트 및 필터(25)가 삽입 분리되는 방향의 면[덕트 후방 측판(22) 및 커버재 배면부]에, 각각 유지 보수구(29, 30)와, 이것을 개폐하는 도어(31, 3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양 도어(31, 32)는,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연결해도 좋다. 혹 은, 덕트(18)의 후방 측판(22) 전체를 도어로 하여 커버재(11)의 도어(32)에 일체화해도 좋다.
또한, 양 유지 보수구(29, 30)는,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유지 보수도 할 수 있도록 도시한 바와 같이 넓은 범위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후방 소선회형이라 칭해지는 셔블에서는, 흡기실(16)을 형성하는 커버재(11)의 배면측이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원호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유지 보수구(29, 30)를 형성함으로써, 에어 클리너(28)의 엘리먼트를 경사 외향, 즉 장해물이 없는 방향으로 출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에어 클리너(28)의 엘리먼트의 청소 등을 위한 출입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열교환기 코어면(15a)에 필터를 설치한 종래의 기계에서는, 필터의 출입을 보닛 상으로부터밖에 행할 수 없었던 것에 반해, 필터(25)를 지상으로부터 출입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25)의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제4, 제5 실시 형태(도9, 도10 참조)
제4 및 제5 양 실시 형태에서는, 덕트 바닥판(20)이 열교환기 코어면(15a)을 향해 끝이 내려가도록 경사져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및 제2 양 실시 형태와 같이 덕트 바닥판(20)을 수평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덕트 내 하부에서의 공기의 체류나 난류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공기의 흐름이 좋아진다.
또한, 덕트 하방에 형성되는 공간을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공간을 배터리 등의 기기류나 공구 상자(기기류 등이라 함)(33)의 설치 공간 등으로서 유효 이 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간이 덕트(18)에 의해 위로부터 덮이고, 빗물이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기기류 등(33)을 설치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양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실(16b)의 하방에 있어서의 제2 흡기구(24)의 입구 부분에 안내판(3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안내판(34)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흡기구(24)의 하측 모서리부를 향해 끝이 내려가도록 경사져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위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제2 흡기구(24)의 입구 부분에서 안내판(34)에 의해 90°방향 전환시켜 제2 흡기구(24)로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안내판(34)을 경사지게 했기 때문에, 제2 흡기구(24)의 입구 부분에서의 공기의 체류나 난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덕트 천장판(19)과 제1 흡기구(17)와의 간격이 충분히 커서, 제1 흡기구(17)의 개구 면적을 최대로 살린 충분한 흡기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덕트 천장판(19)을 수평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전제로 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제3, 제4 양 실시 형태의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전제로 해도 성립한다.
제6 실시 형태(도11, 도12 참조)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카운터웨이트(35)가 엔진룸 후방의 커버재로서 겸용되고, 또한 좌우 양 사이드 부분(좌측 부분만 도시)(35a)이 엔진룸(12)의 측방으로 돌아 들어가는 상태로 설치되는 소위 후방 소선회형(후방 초소선회형을 포함) 의 기계에 있어서, 카운터웨이트(35)의 좌우 양 사이드 부분 중 흡기실(16)에 면하는 좌측 사이드 부분(35a)의 내면 하부에, 흡입 공기를 제2 흡기구(24)로 유도하는 도풍면(導風面)(36)이 끝이 내려가는 계단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풍면(36)에 의해 제2 흡기구(24)의 입구 부분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좋게 할 수 있다. 즉, 다른 안내판을 추가하지 않고도 양호한 흡기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운터웨이트(35)의 성형 상의 제한 등으로부터 도풍면(36)을 계단형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제한 등이 없는 경우에는, 도풍면(36)을 도12 중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끝이 내려가는 직선형의 경사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 실시 형태(도13 참조)
여기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전제로 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이 제6 실시 형태의 구성은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해서도 이하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흡기구(17)에, 상향으로 돌출하는 굴뚝형의 흡기통(37)이 설치되고, 이 흡기통(37)의 내면에 흡음재(26)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흡기구(17) 그 자체가 높은 위치에 있거나 낮은 위치에 있거나에 상관없이, 또한 제2, 제3 양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흡기구(24)를 상하 넓은 범위에 형성한 경우라도, 소음이 흡기통(37)에 의해 상방 또한 높은 위치로 빠져나감으로써『기계측 소음』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흡기통(37)의 내면에도 흡음재(26)를 마련함으로써, 소리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기계측 소음』의 저감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덕트식을 취하는 상기 제1 내지 제6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덕트(18)전체를 플라스틱 성형이나 금속판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해도 좋다.
제8 실시 형태(도14 내지 도16 참조)
이하의 제8 내지 제13 각 실시 형태에서는, 차폐 부재로서 흡기실(16) 내에 차폐판(38)이 설치되어 있다. 다른 기본적 구성은 제1 내지 제7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폐판(38)은 사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차폐판(38)은 주연부가 주위의 커버재(11)의 내면에 접하고, 흡기실(16) 내를 흡기실 전체 폭에 걸쳐 열교환기(15)측의 제1 실(16a)과, 이것과 반대측의 제2 실(16b)로 구획하는 상태에서 열교환기 코어면(15a)과 대향하여 수직으로[즉 코어면(15a)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기실(16)의 폭이라 함은, 도3의 평면도의 상하 방향에서 기계의 전후 방향의 영역을 가리킨다.
또한, 이 차폐판(38)에 수평 방향으로 개방하는 제2 흡기구(24)가 형성되고, 방진용의 필터(25)가, 이 제2 흡기구(24)를 덮고, 또한 열교환기 코어면(15a)과 평행하게 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필터(25)[제2 흡기구(24)]를 코어면(15a)과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공 기의 흐름이 좋은 것으로 된다.
이 차폐판(38)에 의해, 도14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흡기구(17)로부터 하향으로 도입된 외기를 제2 흡기구(24)에서 횡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열교환기 코어면(15a)에 이르게 하는 L자형의 굴절된 흡기 통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차폐판(38)에 의해 열교환기 코어면(15a)과 외부를 연결하는 흡기 통로를 L자형으로 굴절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1 내지 제7 각 실시 형태의 덕트식과 마찬가지로, 코어면(15a)으로부터 외부로 직접 빠져나가려고 하는 직접음을 차폐판(38)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전체 영역이 제1 및 제2 양 흡기구(17, 24)를 통해 외부로부터 직시되지 않도록 양 흡기구(17, 24)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가,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하단부와 제1 흡기구(17)의 가장 외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직선(A) 위이거나 이것보다도 하측에 오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코어면(15a)으로부터 직접 외부로 빠져나가려고 하는 직선음을 차폐판(38)으로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 레이아웃에 따르면, 필연적으로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가 제1 흡기구(17)의 하단부(도면 예의 경우에는 도면 좌측 단부의 측면부에 걸리는 부분)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음이 기계 측면측으로 직접 빠져나갈 우려가 없다. 즉,『기계측 소음』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도14 중에는, 제2 흡기구 상단부를 직선(A) 위에 일치시킨 제1 패턴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2와 마찬가지로, 도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A) 근방에서 약간만 하측에 설정하는 제2 패턴, 또는 도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A)보다도 명백하게 하측에 설정하는 제3 패턴을 취해도 좋다.
또한, 제2 흡기구 상단부를 직선(A)보다도 약간 상측에 위치시켜도 되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코어면(15a)으로부터 나오는 흡기음은, 덕트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흡기실(16) 내에 있어서 제1 실(16a)과 제2 실(16b)에서 반사ㆍ감쇠를 반복하기 때문에, 높은 감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흡기실(16) 내에 차폐판(38)을 설치함으로써 흡기실(16)이 수평 방향으로 이중벽 구조로 되기 때문에, 흡기실(16)만의 일중벽 구조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흡기실(16)을 형성하는 커버재(11)와 차폐판(38)에 의해 이중으로 소리를 차단함으로써 소리 누설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 흡기구(24)로 소리를 차단함으로써 감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들의 점에 의해, 제1 내지 제7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덕트식과 대략 동등한 방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ⅰ) 제2 흡기구(24)는 열교환기 코어면(15a)보다도 작은 면적으로 되어 있는 점의 구성과 효과,
(ⅱ) 흡기실(16) 내에 차폐판(38)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얻는 구성이 기 때문에, 공지 기술과 같이 흡기실을 확장할 필요가 없는 점의 효과,
(ⅲ) 차폐판(38)의 제2 흡기구(24)에 필터(25)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 흡기구(17)로부터 흡입된 외기 중의 분진 등의 제거 효율이 높아지는 점의 효과,
(ⅳ) 필터(2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여과 작용을 확보하면서, 코어면(15a) 전체에 설치하는 경우보다도 대폭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저감으로 되는 점의 효과,
(ⅴ) 흡기실(16) 내의 벽면, 즉 흡기실(16)을 형성하는 커버재(11)의 내면, 및 차폐판(38)의 양면에는 각각 흡음재(26)가 마련되고, 이 흡음재(26)에 의한 흡음 효과에 의해 흡기 소음을 더욱 저감할 수 있는 점의 구성과 효과는 제1 내지 제6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제9 실시 형태(도17 참조)
제8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제1 흡기구(17)는, 특히 기계의 옆에 있는 사람이 느끼는『기계측 소음』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상향으로 릴리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부터, 흡기실(16)의 상면부, 또는 측면부까지 걸치도록 해도 제8 실시 형태와 같이 측면부의 상단부까지의 얕은 범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레이아웃의 형편이나 외기의 유입량을 늘리고자 하는 요청 등으로부터, 도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흡기구(17)를 측면부에 크게 침식되는 상태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가, 열교 환기 코어면(15a)의 하단부와 제1 흡기구(17)의 가장 외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직선(A) 위이거나, 이것보다도 하측에 설정되는 결과, 제2 흡기구(24)의 상하 치수가 작게 억제되어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제2 흡기구(24)의 공기의 유입 유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제2 흡기구(24)가 하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흡기구(19)를 통해 덕트 내실(16a)로 유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상부까지 고루 퍼지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점의 대책으로서 제2 흡기구(24)의 상하 치수를 크게 취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요청에 따르는 구성으로서, 제1로,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가 직선(A)보다도 상측에 오도록 상기 흡기구(19)의 위치와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흡기구(24)가 차폐판(38)의 하단부 근방으로부터 상부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흡기구(17)는, 하단부가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흡기실 상면부로부터 측면부에 크게 침식되는 넓은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도17 중 α는 제1 흡기구 하단부와 제2 흡기구 상단부의 위치 어긋남 치수를 나타낸다.
본 제9 실시 형태의 구성을 취함으로써, 제1 흡기구(17)를 측면부에 크게 침식되는 상태로 형성하고, 또한 제2 흡기구(24)를 상하로 넓은 범위에서 형성하면서, 열교환기 코어면(15a)으로부터 나온 소음 중 기계 측면부를 향하는 수평분은 커버재(11)의 측면부에서 차단되고, 상향의 성분만이 제1 흡기구(17)로부터 상방으 로 방산되기 때문에, 기계의 옆의 작업원(β)이 느끼는『기계측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차폐판(38)을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전방면측에 설치한 것의 기본적 효과, 즉,
(a) 차폐판(38)에 의해, 열교환기 코어면(15a)으로부터 외부로 직접 빠져나가는 직접음을 규제하고, 그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점,
(b) 흡기실(16)의 실벽[커버재(11)]과 차폐판(38)의 양방에 의해 소리의 반사ㆍ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점,
(c) 차폐판(38)에 의해 흡기실 내를 두 개로 구획한 이중 구조이기 때문에, 실벽의 간극으로부터의 소리 누설 효과가 높아지게 되는 점,
(d) 차폐판(38)에 의해 소리를 차단함으로써 감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점의 효과는 확보할 수 있다.
제10 실시 형태(도18 참조)
다음의 제10, 제11 양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8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흡기구(17)의 개구 면적을 넓게 취하기 위해, 제7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상기 흡기구(17)가 열교환기(15)측으로 확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편, 차폐판(38)은, 제1 흡기구(17)와 대향하는 천장부(38a)와, 열교환기 코어면(15a)과 평행하게 되는 수직판부(38b)로 이루어지고, 수직판부(38b)에 제2 흡기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차폐판(38)의 천장부(38a)는, 확장된 제1 흡기구(17)를 폐색하는 일이 없도록, 끝이 내려가도록[제1 흡기구(17)와의 간격이 열교환기 코어면(15a)으로부터 먼 측에서 커지는 방향]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흡기구(17)의 개구 면적을 최대로 살린 충분한 흡기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코어면(15a)이 외부로부터 직시되는 일이 없도록,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를 직선(A) 위에 일치시키거나, 또는 가능한 한 접근시키는 점은 제8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제8 내지 제10 각 실시 형태, 게다가 다음에 설명하는 제11 내지 제13 각 실시 형태의 차폐판(38)은 금속판재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전체를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본 제10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기본적으로 제8 실시 형태와 동등한 방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1 실시 형태(도19 내지 도21 참조)
여기서는 차폐판(38)을 상부판부(38a)와 수직판부(38b)에 의해 형성하는 제10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
또한, 제8 내지 제10 각 실시 형태와 달리, 도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폐판(38)의 수직판부(38b)가 열교환기 코어면(15a)에 대해 경사지도록 차폐판(38)의 형상 등이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제8 내지 제10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이하의 구성은, 수직판부(38b)를 코어 면(15a)과 평행하게 배치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1 실시 형태는 덕트식의 제3 실시 형태(도5 내지 도8)에 대응한다.
즉,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가 직선(A)보다도 상측에 오도록, 제2 흡기구(24)가 차폐판(38)의 수직판부(18b)의 상단부 근방으로부터 하단부 근방까지 걸친 넓은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흡기구(24)의 유입 유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유입 공기를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상부까지 널리 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한 폐해인,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직시 부분(C)으로부터의 직접음을 차단하기 위해, 흡기실(16) 내에 있어서의 제1 흡기구(17)와 제2 흡기구(24)[차폐판(38)]와의 사이에, 공기 가이드 작용과 직접음 차단 작용을 겸비하는 막판(2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막판(27)은, 차폐판(38)의 상부판부(38a)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7a)와, 그 하단부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수직부(27b)로 이루어지는「〈」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 및 적어도 코어면(15a)의 직시 부분(C)을 외부에 대해 차단하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점은 제3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리고, 막판(27)을 이러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제1 흡기구(17)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막판(27)에 의해 제2 흡기구(24)의 전체 영역, 즉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전체 영역에 대해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는 점, 및 코어면(15a)의 직시 부분(C)이 막판(27)에 의해 외부에 대해 차단되기 때문에, 열교환기 코어면(15a)으로부터 제1 흡기구(17)로 빠져나가려고 하는 직접음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점 도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막판(27)은, 도21의 직선(A, B) 사이의 영역(D)을 커버하는 데 충분한 최소 범위에만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이 막판(27)에도 표리 양면에 흡음재(2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에어 클리너(28)가 제1 실(16a)의 상부(중간부 또는 하부라도 좋음)에 설치되는 동시에, 이 에어 클리너(28)의 엘리먼트 및 필터(25)의 점검이나 청소, 교환 등의 유지 보수를 외부로부터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도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재(11)에 있어서의 에어 클리너(28)의 엘리먼트 및 필터(25)가 삽입 분리되는 방향의 면(배면부)에, 유지 보수구(30)와, 이것을 개폐하는 도어(3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0, 제11 양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폐판 상부판부(38a)와 제1 흡기구(17)와의 간격이 충분히 커서, 제1 흡기구(17)의 개구 면적을 최대로 살린 충분한 흡기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차폐판 천장부(38a)를 수평으로 형성해도 좋다.
제12 실시 형태(도22 참조)
제12 실시 형태는 덕트식에 있어서의 제4, 제5 실시 형태(도9, 도10)에 대응한다.
제12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실(16b)의 하부에서의 공기의 체류나 난류를 억제하는 한편, 차폐판 하방에 기기류 등(33)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차폐판(38)의 하부[수직판부(38b)의 하단부](38c)가 열교환기측을 향해 끝이 내려가는 경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제2 흡기구(24)의 입구 부분에서 90°방향 전환시켜 제2 흡기구(24)로 확실하게 유도하는 동시에, 제2 흡기구(24)의 입구 부분에서의 공기의 체류나 난류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제2 흡기구(24)의 입구 부분에 안내판(34)이, 제2 흡기구(24)의 하측 모서리부를 향해 끝이 내려가도록 경사져 설치되어 있다.
제13 실시 형태(도23, 도24 참조)
제13 실시 형태는 덕트식에 있어서의 도11, 도12의 제6 실시 형태에 대응한다.
즉, 카운터웨이트(35)가 엔진룸 후방의 커버재로서 겸용되고, 또한 좌우 양 사이드 부분(좌측 부분만 도시)(35a)이 엔진룸(12)의 측방으로 돌아 들어가는 상태로 설치되는 소위 후방 소선회형(후방 초소선회형을 포함)의 기계에 있어서, 제2 흡기구(24)의 입구 부분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좋게 하기 위해, 카운터웨이트(35)의 좌우 양 사이드 부분 중 흡기실(16)에 면하는 좌측 사이드 부분(35a)의 내면 하부에, 흡입 공기를 제2 흡기구(24)로 유도하는 도풍면(36)이 제2 흡기구(24)측을 향해 끝이 내려가는 계단형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8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본 제13 실시 형태의 구성은 제9 내지 제12 각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로서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지만, 덕트식에 있어서의 제7 실시 형태(도13)의, 제1 흡기구(17)에 상향에 굴뚝형으로 돌출하는 흡기통(37)을 설치하는 구성은, 차폐판식을 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1) 도5 내지 도8에 나타내는 제3 실시 형태, 및 도19 내지 도21에 나타내는 제11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흡기구(24)의 상하 치수를 크게 취하는 한편, 열교환기 코어면(15a)의 직시 부분(C)을 막판(27)으로 차단하는 구성을 취했지만, 이 막판(27)은 필요에 따라서 설치하면 된다. 이 막판(27)이 없는 경우라도, 상기한 덕트(18) 또는 차폐판(38)을 설치한 것에 의한 기본적인 방음 효과는 확보할 수 있다.
(2) 제1 흡기구(17)를, 흡기실(16)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의 측면부(상면부에 걸리지 않거나, 일부만이 걸리는 범위)에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흡기구(17)를, 제2 흡기구(24)와 대향하지 않는 실벽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하는 실벽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흡기구(17)의 하단부가 제2 흡기구(24)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3) 차폐판식을 취하는 제8 내지 제13 각 실시 형태(도14 내지 도24)에서는, 차폐판(38)을 하단부가 커버재(11)의 바닥면부까지 도달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이 차폐판(38) 그 자체에 제2 흡기구(24)를 형성했지만, 차폐판(38)을, 하단부가 커버재(11)의 바닥면부까지 도달하지 않은 상태로 형성하고, 이 차폐판(38)의 하단부와 커버재(11)의 바닥면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제2 흡기구(24)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필터(25)는, 상측 모서리부가 차폐판(38)에 접하고, 전후 모서리부 가 커버재(11)의 전후 양 측면부에, 하측 모서리부가 상기 바닥면부에 각각 접하는 상태로 설치하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있어서, 엔진룸의 흡기측의 방음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Claims (22)

  1. 커버재로 덮인 엔진룸 내에 엔진과 열교환기와 냉각 팬이 설치되고, 상기 냉각 팬의 회전에 의해 외기를 엔진룸 내에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 내에 있어서의 상기 열교환기의 흡기측에, 흡기실을 엔진룸 내의 다른 공간에 대해 독립하여 형성하고, 상기 커버재로 형성되는 이 흡기실의 실벽에 외부로 개방하는 제1 흡기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흡기실 내에 있어서의 열교환기의 코어면의 전방면측에, 코어면과 대향하는 면을 구비한 차폐 부재를, 코어면과 제1 흡기구와의 사이를 차단하여 흡기실 내를 2실로 구획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이 차폐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면과 대향하는 면에 제2 흡기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흡기구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제2 흡기구에서 방향 전환하여 열교환기의 코어면에 이르도록, 제2 흡기구를, 제1 흡기구와 열교환기의 코어면과의 사이에 굴절된 흡기 통로를 형성하는 상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흡기 통로가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는 상태로 제1 및 제2 흡기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폐 부재로서, 상기 커버재와는 별도의 덕트재에 의해 독립하여 형성한 덕트를, 상기 열교환기의 코어면을 주위로부터 기밀하게 둘러싸는 상태로 흡기실 내에 설치하고, 이 덕트에 제2 흡기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폐 부재로서, 차폐판을, 코어면과 제1 흡기구와의 사이를 흡기실 전체 폭에 걸쳐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흡기구를, 적어도 일부가 흡기실의 실벽의 측면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또한 그 하단부가 제2 흡기구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흡기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제2 흡기구로 안내하는 안내판을, 흡기실 내에 있어서의 덕트와 제1 흡기구와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안내판을, 제2 흡기구의 입구 부분에, 흡입 공기를 상기 제2 흡기구를 향해 방향 전환시키는 상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안내판을 제2 흡기구의 하측 모서리부를 향해 끝이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코어면이 제1 및 제2 흡기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직시되지 않은 상태로 차폐 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코어면의 일부가 제1 및 제2 흡기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직시되는 상태로 차폐 부재를 마련하는 한편, 상기 외부로부터 직시되는 코어면 부분을 외부에 대해 차단하는 막판을 흡기실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막판을, 제1 흡기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제2 흡기구로 안내하는 안내판을 겸하는 상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흡기구에, 상향으로 돌출하는 흡기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흡기통의 내면에 흡음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흡기구를 열교환기의 코어면보다도 작은 면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흡기구를 덮는 상태로 차폐 부재에 필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폐 부재는 제1 흡기구와 대향하는 벽면을 구비하고, 이 벽면을, 제1 흡기구와의 간격이 열교환기 코어면으로부터 먼 측에서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폐 부재의 하부를 열교환기측을 향해 끝이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엔진룸의 후방에 커버재를 겸하는 카운터웨이트를, 좌우 양 사이드 부분이 엔진룸의 측방으로 돌아 들어가는 상태로 설치하고, 이 카운터웨이트의 상기 좌우 양 사이드 부분 중 흡기실에 면하는 사이드 부분의 내면을, 흡입 공기를 제2 흡기구로 유도하는 도풍면으로서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기실 내의 벽면에 흡음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엔진의 흡기를 여과하는 에어 클리너를, 차폐 부재에 의해 구획된 흡기실의 열교환기측의 실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에어 클리너의 유지 보수를 외부로부터 행하기 위한 유지 보수구와, 이것을 개폐하는 도어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KR1020077014501A 2004-12-27 2005-12-26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KR100894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77801 2004-12-27
JPJP-P-2004-00377802 2004-12-27
JP2004377802 2004-12-27
JPJP-P-2004-00377801 2004-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654A KR20070086654A (ko) 2007-08-27
KR100894950B1 true KR100894950B1 (ko) 2009-04-27

Family

ID=3661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501A KR100894950B1 (ko) 2004-12-27 2005-12-26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41314B2 (ko)
EP (1) EP1832731B1 (ko)
KR (1) KR100894950B1 (ko)
CN (1) CN101069002B (ko)
WO (1) WO2006070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1945B2 (ja) 2007-02-23 2010-07-1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器用フィルタの取付構造
AU2008268726A1 (en) 2007-06-26 2008-12-31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4900163B2 (ja) * 2007-09-26 2012-03-2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7984778B2 (en) * 2007-11-20 2011-07-26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Packaging arrangement for a fluid tank for a machine
JP5172381B2 (ja) * 2008-02-22 2013-03-2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09209647A (ja) * 2008-03-06 2009-09-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熱交換装置
JP2009274651A (ja) * 2008-05-16 2009-11-26 Toyota Industries Corp ハイブリッド産業車両
WO2010013537A1 (ja) * 2008-07-31 2010-02-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WO2010060481A1 (en) * 2008-11-27 2010-06-03 F.G. Wilson (Engineering) Ltd. Baffle arrangement for a genset enclosure
JP5363160B2 (ja) * 2009-03-27 2013-12-1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防塵装置
FR2944235B1 (fr) * 2009-04-09 2012-10-19 Renault Sas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20100301638A1 (en) * 2009-05-29 2010-12-02 Hinshaw Eric J Integrated Air Intake System
JP5699653B2 (ja) * 2010-03-08 2015-04-1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構造
JP2012106836A (ja) * 2010-11-17 2012-06-07 Tcm Corp 産業車両用ディーゼル・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ー取付構造
JP5594197B2 (ja) * 2011-03-16 2014-09-2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構造
DE102011005986A1 (de) * 2011-03-23 2012-09-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ühlmodul
JP5160668B2 (ja) * 2011-06-17 2013-03-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JP5824961B2 (ja) * 2011-08-19 2015-12-0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5966635B2 (ja) * 2012-06-05 2016-08-1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吸気構造
WO2014064852A1 (ja) 2012-10-26 2014-05-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ホイールローダ
US8936128B2 (en) * 2013-02-22 2015-01-20 Komatsu Ltd. Engine room of a wheel loader
JP5850024B2 (ja) * 2013-10-31 2016-02-0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US10252611B2 (en) * 2015-01-22 2019-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seal arrangement for use with vehicle condensers
JP6229694B2 (ja) * 2015-06-08 2017-11-1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エンジンを備えた建設機械
JP6530977B2 (ja) 2015-06-24 2019-06-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建設機械の吸気構造
US10563925B2 (en) * 2017-07-12 2020-02-18 Caterpillar Inc. Cooling assembly for service vehicle
US10813286B2 (en) * 2017-11-15 2020-10-27 Cnh Industrial America Ll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flow orientation of an air flow exhausted from an agricultural harvester
JP7260311B2 (ja) * 2019-01-31 2023-04-1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10092326B (zh) * 2019-03-25 2020-06-05 合肥方源机电有限公司 一种隔音型叉车发动机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7936U (ko) * 1988-12-26 1990-07-12
JPH02134826U (ko) * 1989-04-11 1990-11-08
JPH041626U (ko) * 1990-04-16 1992-01-08
JPH043398A (ja) * 1990-04-20 1992-01-08 Toyo Commun Equip Co Ltd 多段シフトレジス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0169B1 (ko) * 1970-08-29 1974-10-31
JPS4864633A (ko) 1971-12-08 1973-09-06
JPS5469203U (ko) * 1977-10-27 1979-05-17
JPS5469203A (en) 1977-11-14 1979-06-04 Koshihara Sogyo Edge for earth auger
JPS58129066A (ja) 1982-01-27 1983-08-01 Nippon Paint Co Ltd 塗料組成物
US4771844A (en) * 1987-02-11 1988-09-20 The Toro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 prime mover
JP2643362B2 (ja) 1988-09-26 1997-08-20 日本電気株式会社 充電制御回路
JPH02134826A (ja) 1988-11-15 1990-05-23 Nec Corp 半導体装置
JPH041626A (ja) 1990-04-18 1992-01-07 Canon Inc カメラ
JPH08218869A (ja) 1995-02-17 1996-08-27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冷却空気吸入用ダクト
JPH11240342A (ja) 1998-02-24 1999-09-07 Kobe Steel Ltd 建設機械の防音構造
JP2004003398A (ja) * 2002-05-31 2004-01-0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
JP4160448B2 (ja) 2003-05-28 2008-10-01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構造及び建設機械のエンジン冷却装置
JP2004352066A (ja) * 2003-05-28 2004-12-1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構造及び建設機械のエンジン冷却装置
US7451843B2 (en) * 2003-06-16 2008-11-18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7936U (ko) * 1988-12-26 1990-07-12
JPH02134826U (ko) * 1989-04-11 1990-11-08
JPH041626U (ko) * 1990-04-16 1992-01-08
JPH043398A (ja) * 1990-04-20 1992-01-08 Toyo Commun Equip Co Ltd 多段シフトレジ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2731A1 (en) 2007-09-12
WO2006070733A1 (ja) 2006-07-06
EP1832731A4 (en) 2013-11-27
US7841314B2 (en) 2010-11-30
KR20070086654A (ko) 2007-08-27
CN101069002B (zh) 2010-10-13
EP1832731B1 (en) 2018-08-15
US20080223319A1 (en) 2008-09-18
CN101069002A (zh)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950B1 (ko)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JP4506665B2 (ja) 建設機械の冷却構造
JP4175398B2 (ja) 建設機械の排気構造
US20080169142A1 (en) Cooling structure of construction machine
JP5831111B2 (ja) 建設機械の排気構造
KR101923759B1 (ko) 건설 기계
EP1571046B1 (en) Construction machine
JP4412276B2 (ja) 建設機械の冷却構造
JP5699653B2 (ja) 建設機械の冷却構造
JP5594197B2 (ja) 建設機械の冷却構造
JP5474447B2 (ja) 建設機械の冷却構造
EP3103930B1 (en) Construction machine including engine
JP2011021521A (ja) パッケージ形圧縮機
KR102099989B1 (ko) 흡기 구조를 갖는 건설 기계
JP2023103214A (ja) 建設機械
CN104652519B (zh) 工程机械
JP3652076B2 (ja) 建設機械の防音構造
JP6076213B2 (ja) エンジン作業機の吸気ダクト
KR200267953Y1 (ko) 발전기용방음케이스
JP4489375B2 (ja) 建設機械の吸気装置
JP2017122395A (ja) 防音箱の吸気ダクト
JP2003201720A (ja) 建設機械
JP2011016402A (ja) エンジンルームの遮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