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165B1 - 코인 셀렉터 - Google Patents

코인 셀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165B1
KR100885165B1 KR1020070069133A KR20070069133A KR100885165B1 KR 100885165 B1 KR100885165 B1 KR 100885165B1 KR 1020070069133 A KR1020070069133 A KR 1020070069133A KR 20070069133 A KR20070069133 A KR 20070069133A KR 100885165 B1 KR100885165 B1 KR 100885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guide
passage
selector
canc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475A (ko
Inventor
히로시 아베
요시노부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6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07F1/041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07F1/041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 G07F1/042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the foreign matter being a long flexible member attached to a coin
    • G07F1/043Cutting or trapping of the flexible member or the attached co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07F1/041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 G07F1/042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the foreign matter being a long flexible member attached to a coin
    • G07F1/044Automatic detection of the flexibl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진짜 코인 검출용 코인 센서에 부정하게 액세스할 수 없고, 소형이며, 코인 처리 속도가 빠르고, 나아가 캔슬할 코인을 확실하게 캔슬할 수 있도록 한 코인 셀렉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코인이 이동하는 코인 통로를 따라 형성한 진위 판별 수단의 하류에 배치한 코인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코인의 통과를 검지하는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진위 판별 수단의 하류의 상기 코인 통로에 코인의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하류의 코인 검지 통로를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이 존재하는 제1 평면과 다른 제2 평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이다.
코인, 코인 통로, 진위 판별 수단, 코인 센서, 코인 셀렉터,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 코인 검지 통로

Description

코인 셀렉터{COIN SELECTOR}
본 발명은 파치 슬롯 머신 등에 사용되는 코인의 진위를 판별하는 코인 셀렉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코인 셀렉터에 의해 진짜 코인으로서 판별된 코인을 검지하는 코인 센서에 대한 부정을 할 수 없도록 한 코인 셀렉터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서는, 코인 센서에 대한 부정을 할 수 없는 소형이고 저렴한 코인 셀렉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캔슬할 코인이 캔슬되지 않고 수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코인 셀렉터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코인 셀렉터는 파치 슬롯 머신 이외에, 코인식 게임기나 자동 판매기 등에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코인이란 원반형의 메달 및 토큰 등의 총칭이다.
제1 종래 기술로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설치한 코인 통로와 그 코인 통로에 배치한 진위 판별 수단인 직경 선별 수단을 가지며, 가이드 레일 위를 굴러 코인 통로를 이동하는 코인이 직경 선별 수단에 있어서 그 직경을 선별받고, 소정의 직 경을 갖는 코인만이 직경 선별 수단을 통과하여 진짜 코인으로서 수용되는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이 진짜 코인의 수용을 검지하기 위하여, 코인 통로에 복수의 광전식의 코인 센서를 배치하고, 이들 코인 센서로부터의 신호 처리에 연구를 하여 부정을 방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제2 종래 기술로서 투입구로부터 투입한 코인이 코인 통로를 전동하는 과정의 선별부에 있어서 가짜 코인을 선별하고, 선별부의 하류에 배치한 통로 전환부를 전환함으로써 수납부와 캔슬 통로로 분류하도록 하고, 나아가 선별부와 전환부 사이에 통과 검출부를 배치하고, 전환부의 하류에 투입 검출부를 배치하고, 통과 검출부에서 코인을 검지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 동안에 투입 검출부로부터 검지 신호를 받은 경우에만 코인의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649728호 공보(도 1-도 4, 2페이지-5페이지)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 5-282514호 공보(도 2-4, 2페이지-4페이지)
최근 제1 종래 기술의 코인 셀렉터에 대하여 적외선 발광기를 선단에 부착한 판상 기구를 게임기의 코인 투입구로부터 삽입하고, 상기 발광기를 적당히 발광시켜 코인 센서에 의사적으로 검지 신호를 발신시킴으로써 마치 진짜 코인을 검지한 것처럼 오판별시켜 부정하게 코인을 취득하는 부정이 문제가 되고 있다.
제2 종래 기술은 코인 통로가 대략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투입 검지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부정용 기구의 삽입을 하기가 어려워 부정에 대한 시큐리티는 제 1 종래 기술보다 향상된다.
그러나, 제2 종래 기술은 선별부, 방향 전환부 및 투입 검지부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형화되어 파치 슬롯 머신의 소정의 범위에 배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진짜 코인 검지용 코인 센서에 부정하게 액세스할 수 없도록 한 코인 셀렉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코인 센서에 부정하게 액세스할 수 없도록 한 소형의 코인 셀렉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코인 센서에 부정하게 액세스할 수 없도록 하고, 코인의 처리 속도가 빠른 코인 셀렉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캔슬할 코인을 캔슬할 수 없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 코인을 확실하게 캔슬할 수 있는 코인 셀렉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인 셀렉터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코인이 이동하는 코인 통로를 따라 형성한 진위 판별 수단의 하류에 배치한 코인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코인의 통과를 검지하는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진위 판별 수단의 하류의 상기 코인 통로에 코인의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하류의 코인 검지 통로를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이 존재하는 평면과 다른 평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에 코인 캔슬 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의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하류의 상기 코인 통로에 상기 코인 센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의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평면은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의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진위 판별 수단과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 사이에 타이밍 센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의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하류에 되돌아옴 방지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의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코인 통로와 상기 코인 검지 통로가 오프셋 안내 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7의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안내 수단은 제1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7의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안내 수단은 상기 진위 판별 수단의 코인 가이드 레일의 연장 상의 대기 위치 및 코인 검 지 통로 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는 안내 위치에 코인의 중량에 의해 이동 가능한 안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9의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안내체는 상기 코인 검지 통로의 반대측에서 피벗축 둘레로 피벗 운동 가능하며, 상기 오프셋 안내 수단의 상방의 코인 통로에 진퇴하며, 상기 안내체의 코인 검지 통로측으로부터 상기 피벗축 측으로 경사지는 경사 안내 테두리를 갖는 캔슬체와, 상기 캔슬체의 상류로서, 캔슬체의 반대측의 코인 통로의 측면을 획정하는 측면안내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9의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코인 센서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센서는 서로 다른 검지 방식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9의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코인 센서의 하류에 코인 통과시 이외에는 코인 검지 통로를 폐쇄하는 셔터 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12의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 수단은 자기 모멘트에 의해 코인 통로의 폐지 위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는 상기 캔슬체와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캔슬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캔슬체 측으로 소정의 모멘트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청구항 14의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는 도립(倒立) L자체이고, 수평부의 선단부가 상기 캔슬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테이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는 하단이 상기 캔슬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자중에 의해 상기 캔슬체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코인은 코인 통로를 굴러 진위 판별 수단에 도달한다.
진위 판별 수단에 있어서, 위화는 배제되고 진짜 코인만이 하류에 존재하는 이동 방향 변경 수단에 있어서 이동 방향을 전환받는다.
진짜 코인은 이동 방향 변경 수단에 있어서 전동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동 속도가 감속된다.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을 통과한 진짜 코인은 이동 방향 변경 수단과 다른 평면에 위치하는 코인 통로로 안내된다.
바꾸어 말하면, 진짜 코인은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코인 통로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는 코인 검지 통로로 안내된다.
따라서, 진짜 코인은 3차원적으로 코인 통로에서 코인 검지 통로로 이동한다.
코인 검지 통로를 이동하는 진짜 코인은 코인 검지 통로에 배치된 코인 센서에 의해 검지된다.
이 검지 신호를 진짜 코인 수용 신호로 한다.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하류의 오프셋되어 있는 코인 통로에 배치된 코인 센서에 부정을 행하는 경우, 삽입한 부정용 기구의 가요성을 이용하여 코인 통로로부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을 통과시키고, 또한 오프셋되어 있는 코인 검지 통로로 진행시켜 코인 센서에 대향시켜야 한다.
바꾸어 말하면, 부정용 기구는 3차원적으로 구부러진다.
3차원적으로 구부러진 부정용 기구의 베이스부를 조작하여 선단의 발광부를 코인 센서에 대하여 액세스 가능 위치로 이동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진짜 코인 검지를 위한 코인 센서에 부정을 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여 부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진짜 코인의 수용을 캔슬하는 캔슬 수단이 이동 방향 변경 수단에 설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부위에 이동 방향 변경 수단과 캔슬 수단의 두 개의 장치가 배치되므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하류의 코인 검지 통로에 코인 센서가 배치된다.
코인 통로에서 코인 검지 통로로의 코인이 전동하는 통로는 3차원적으로 굴곡되어 있다.
따라서, 부정용 기구도 3차원적으로 굴곡되므로, 코인 센서에 액세스 가능하게 삽입하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부정용 기구를 이용한 부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 코인 통로는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코인의 일면은 경사의 하측의 면으로 안내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코인의 이동 자세가 안정되고 진위 판별의 정밀도가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위 판별 수단과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 사이에 타이밍 센서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타이밍 센서와 코인 센서 사이의 발생 타이밍을 판별함으로써 이상을 판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하류에 되돌아옴 방지 수단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실매달기에 의한 코인의 되돌아옴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코인 통로와 코인 검지 통로가 오프셋 안내 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코인은 코인 통로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는 코인 검지 통로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인의 선별을 종래와 동일한 속도로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있어서, 오프셋 안내 수단이 제1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안내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이며,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안내 수단은 안내체이며, 코인이 안내체 위에 올라타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안내체는 진위 판별부의 코인 가이드 레일의 연장 상에 위치해 있다.
진짜 코인이 안내체 위에 올라탄 경우, 해당 안내체는 코인 중량에 의해 코인 검지 통로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진짜 코인은 안내체의 경사를 따라 낙하하여 코인 검지 통로에 낙하하여 검지된다.
진짜 코인을 수용하지 않는 경우, 캔슬체에 의해 코인이 비켜나가 안내체는 코인에 의해 안내 위치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진짜 코인은 코인 검지 통로로는 안내되지 않는다.
안내체는 코인의 중량에 의해 경사지는 안내 위치로 이동되며, 통상은 자기 모멘트에 의해 대기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안내체는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코인은 안내체의 경사에 의해 코인 검지 통로로 안내되므로, 코인은 원활하게 코인 검지 통로로 안내된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캔슬체가 코인 통로에 위치해 있는 경우, 진짜 코인은 캔슬체의 캔슬 테두리에 의해 안내체의 피벗축 측으로 이동되어 코인 통로로부터 비켜나가 코인 검지 통로로는 안내되지 않는다.
더욱이, 코인이 코인 검지 통로로 안내되는 경우, 코인은 안내체의 상방에 있어서 측방에 위치하는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에 의해 측면을 안내받는다.
따라서, 코인이 안내체 상에서 불안정진 경우라도 코인은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에 의해 안내되므로 안내체 상으로부터 낙하하지 않고 코인 검지 통로로 확실하게 안내되는 이점이 있다.
진짜 코인을 수용하지 않는 경우, 코인은 캔슬체에 의해 안내체의 피벗축 측으로 비켜난다.
따라서, 안내체는 코인이 위에 올라타도 안내체에 코인 검지 통로 측으로 하향으로 경사지는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웨이트에 의해 안내체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있어서, 코인 센서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검지 방식의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부정을 행하는 경우, 종류가 서로 다른 센서에 대하여 오검지시키는 대응을 하여야 하여 부정되기 어려운 이점이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코인 센서의 하류에 코인 통과시 이외에는 코인 검지 통로를 폐쇄하는 셔터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셔터 수단에 의해 센서의 하류의 코인 검지 통로는 폐지되어 있다.
코인 셀렉터의 출구로부터 부정용 기구를 삽입하려고 하여도 셔터 수단에 의해 저지되므로, 코인 센서에 부정을 작용할 수 없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셔터 수단은 자기 모멘트에 의해 코인 통로의 폐지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셔터 수단은 자기 모멘트에 의해 코인 검지 통로를 폐지하고, 코인이 통과할 때에는 코인에 의해 이동되므로, 코인의 전동에 대하여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셔터 수단 구동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는 상기 캔슬체와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캔슬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캔슬체 측에 소정의 모멘트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캔슬체와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는 통상 소정의 힘으로 소정의 거리 관계에 소정의 모멘트로 유지된다.
복수의 코인이 캔슬체와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 사이에 끼인 경우, 코인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한 경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는 캔슬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코인은 캔슬체에 의해 코인 통로로부터 비켜나가 캔슬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코인이 캔슬체와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 사이에 끼어 움직이지 않게 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항 15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는 도립 L형으로서, 수평부의 선단부가 상기 캔슬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테이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의 수직 직립하는 안내부의 하단이 상기 캔슬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자중에 의해 상기 캔슬체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가 도립 L형이므로,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에 의해 소정의 힘으로 캔슬체에 근접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복수의 코인이 캔슬체와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 사이에 끼인 경우, 코인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한 경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는 캔슬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코인은 캔슬체에 의해 코인 통로로부터 비켜나가 캔슬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코인이 캔슬체와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 사이에 끼어 움직이지 않게 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에 의해 소정의 힘으로 캔슬체에 탄성 바이어스되므로, 추나 스프링을 사용할 일이 없으므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최선의 형태는 코인이 이동하는 코인 통로를 따라 형성한 진위 판별 수단의 하류에 배치한 코인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코인의 통과를 검지하는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진위 판별 수단의 하류의 코인 통로에 코인의 이동 방향을 하방으로 변경하는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하류의 코인 검지 통로를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이 존재하는 평면과 다른 평면에 배치하고, 상기 평면은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지고, 상기 코인 통로에 상기 코인 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에 코인 캔슬 수단을 배치하고, 상기 진위 판별 수단과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 사이에 타이밍 센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이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코인 셀렉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코인 셀렉터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코인 셀렉터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작용 설명용 타이밍 차트이다.
도 1에 있어서, 코인 셀렉터(100)는 판상의 본체(102), 본체(102)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레일(104), 코인 통로(106), 가이드 레일(104)의 중간에 배치된 진위 판별 수단(108)인 직경 선별 수단(110),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의 하류에 위치하는 코인 검지 통로(114), 코인 검지 통로(114)를 획정하는 제2 본체(138)(도 3, 4) 및 코인 검지 통로(114)에 배치된 코인 센서(116)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본체(102)를 설명한다.
본체(102)는 코인(C)의 일면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체(102)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의 본체(102)는 평판형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선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약 15도 경사진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다.
본체(102)의 재료는 금속, 수지 등 코인(C)에 대한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는 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다음, 가이드 레일(104)을 설명한다.
가이드 레일(104)은 본체(102) 및 제2 본체(138)에 안내되는 코인(C)의 둘레 면을 떠받쳐 전동하는 코인(C)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레일(104)은 본체(102) 및 제2 본체(138)의 하단에 부착되고, 코인(C)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가지며, 소정의 각도, 예컨대 약 20도로 앞으로 하향(도 2에 있어서 우하향)으로 경사지면서 직선형을 하고 있다.
다음, 코인 통로(106)를 설명한다.
코인 통로(106)는 투입구(118)에 투입된 코인(C)이 이동하는 통로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인 통로(106)는 본체(102)와 가이드 레일(104)에 의해 획정되며,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굽은 L형을 하고 있다.
코인 통로(106)는 투입구(118)로부터 수직하게 하강하는 수직부(122), 아크형부(124) 및 우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126)를 포함하고 있다.
수직부(122)에 있어서 본체(102)는 대략 수직 직립해 있다.
경사부(126)는 본체(102)가 수평선에 대하여 약 75도 경사져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약 75도 경사져 있다.
따라서, 코인(C)은 가이드 레일(104) 및 본체(102)에 안내되면서 수직부(122)를 수직으로 낙하한 후, 아크형부(124)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면서 본체(102)에 그 일면이 기댄 후, 코인(C)은 가이드 레일(104) 위를 굴러 경사부(126)를 이동한다.
코인(C)이 코인 통로(106)에 있어서 잼된 경우, 잼된 코인(C)을 반환할 수 있도록 코인(C)은 도시하지 않은 압출체에 의해 가이드 레일(104)로부터 낙하된다.
다음, 진위 판별 수단(108)을 설명한다.
진위 판별 수단(108)은 투입된 코인(C)의 진위를 판별하고, 가짜 코인을 배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진위 판별 수단(108)은 직경 선별 수단(110)이며, 경사부(126)에 배치되어 있다.
직경 선별 수단(110)은 가이드 레일(104)에 대하여 그 상단연(127)이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본체(102)에 형성된 사각형의 개구(128)이다.
경사부(126)에 있어서 그 아래 둘레면이 가이드 레일(104)에 떠받쳐지고, 하면이 본체(102)에 떠받쳐져서 전동하는 소직경 코인은 그 상단연이 윗 테두리(127)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소직경 코인의 상단연이 본체(102)에 안내되지 않기 때문에, 개구(128) 내로 쓰러져들어가고, 가이드 레일(104)로부터 낙하하여 직경 선별 수단(110)을 통과할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직경이 소정값보다 작은 소직경 코인(SC)이 사용되는 경우, 직경 선별 수단(110)에 있어서 소직경 코인(SC)의 하단이 가이드 레일(104)로부터 벗어나 낙하되고 선별된다.
낙하한 소직경 코인(SC)은 도시하지 않은 통로를 지나 반환구(도시 생략)에 반환된다.
또한, 코인(C)이 허용 코인보다 큰 경우, 투입구(118)에 있어서 정지됨으로써 선별된다.
따라서, 직경이 소정값인 코인(C)만, 바꾸어 말하면 진짜 코인(C)만이 직경 선별 수단(110)을 통과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을 설명한다.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은 경사부(126)를 이동해 온 코인(C)을 경사부(126)의 연장선 상으로부터 비켜나가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연장선 상으로부터 비켜나가게 하는"이란 실시예 1과 같이 하방향으로 방향 변경하는 경우, 코인 통로(106)에 대하여 우방향(도 1에 있어서 지면의 하방) 또는 코인 통로(106)에 대하여 좌방향(도 1에 있어서 지면의 상방)으로 변경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은 경사부(126)의 가이드 레일(104)을 전동해 온 진짜 코인(C)의 이동 방향을 하방으로 변경한다.
실시예 1의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은 적어도 본체(102) 및 경사부(126)의 연장선을 횡단하도록 배치된 아크형의 변경 가이드(132)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경사부(126) 및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의 코인 통로(10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선에 대하여 약 75도 경사져 있는 제1 평면(134) 내에 위치해 있다.
본체(102)에 의해 일면을 안내받으면서 경사부(126)의 가이드 레일(104) 위를 전동해 온 코인(C)은 변경 가이드(132)에 의해 급격하게 이동 방향을 하방으로 변경받는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102)에 의해 코인(C)의 면이 약 15도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약 20도 경사진 가이드 레일(104) 위를 전동해 온 코인(C)은 코 인(C)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약 110도 방향 변경되어, 제1 평면(134)에 있어서 하방으로 이동 방향이 변경된다.
따라서, 경사부(126)를 이동해 온 진짜 코인(C)은 변경 가이드(132)에 의해 매끄럽게 하향으로 이동 방향을 변경받는다.
변경 가이드(132)는 코인(C)과의 마찰 접촉에 의해 코인(C)의 이동 속도를 약간 감속하는 감속 기능도 갖는다.
변경 가이드(132)와 대향하는 코인 통로(106)의 본체(102) 측에는 이동 방향 변경 수단 개구(135)가 형성되어 코인(C)이 이동 방향 변경 수단 개구(135)를 통하여 낙하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4 참조).
다음, 코인 검지 통로(114)를 설명한다.
코인 검지 통로(114)는 진위 판별 수단(108) 및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을 통과한 진짜 코인(C)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코인 검지 통로(114)는 코인 통로(106)에 대하여 오프셋 배치되어 있다.
오프셋 배치란 코인 통로(106)가 위치하는 제1 평면(134)에 대하여 다른 제2 평면(136)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코인 검지 통로(114)는 본체(102)의 하방에 위치하며, 본체(102)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제2 본체(138) 및 제2 본체(138)에 코인(C)의 두께를 초과하면서 코인 두께의 두 배 이하인 간격으로 배치된 격벽(14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코인 검지 통로(114)가 위치하는 제2 평면(136)은 실시예 1 에서는 제1 평면(134)에 대하여 평행하고, 코인(C)의 두께 내지 코인 두께의 두 배 이하의 간격으로 어긋나 있다.
또한, 제2 평면(136)은 제1 평면(134)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평행한 경우 제조하기 쉬운 이점이 있다.
진짜 코인(C)은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에서 코인 검지 통로(114)로 오프셋 안내 수단(144)을 경유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진짜 코인(C)은 오프셋 안내 수단(144)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를 향해 안내되면서 횡방향(도 3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이동하므로 3차원적으로 이동한다.
다음, 진짜 코인(C)을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에서 코인 검지 통로(114)로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한 오프셋 안내 수단(144)을 설명한다.
오프셋 안내 수단(144)은 격벽(142)의 상단에 형성한 제2 본체(138)에 대하여 약 45도의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 안내면(146)을 갖는다.
바꾸어 말하면, 경사 안내면(146)은 제1 평면(134)에 대하여 약 45도 경사져 있다.
경사 안내면(146)의 상단부는 외방을 향하는 아크형면(148)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에 있어서 변경 가이드(132)에 의해 안내된 코인(C)은 제1 평면(134) 내를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 하단 주연이 경사 안내면(146)에 충돌한다.
이에 따라 코인(C)의 하단은 제2 본체(138) 측을 향한 반력을 받고, 해당 하단은 제2 본체(138)를 향해 안내된다.
따라서, 코인(C)은 코인 검지 통로(114)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코인(C)의 자세가 안정되지 않아 코인(C)의 하단이 아크형면(148) 측으로 어긋난 경우, 외향의 아크형면(148)에 의해 격벽(142)의 상측으로 안내되고 코인 검지 통로(114)로는 안내되지 않는다.
또한, 코인(C)이 충돌하는 경사 안내면(146)은 충돌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판 등의 금속으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코인 센서(116)를 설명한다.
코인 센서(116)는 코인 검지 통로(114)를 이동하는 진짜 코인(C)을 검지하고,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코인 센서(116)는 해당 기능을 갖는 센서이면 투과형 또는 반사형의 광전 센서, 자기 센서, 접촉식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타이밍 센서(152)를 설명한다.
타이밍 센서(152)는 진위 판별 수단(108)을 통과한 코인(C)을 검지하고,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실시예 1에 있어서, 타이밍 센서(152)는 진위 판별 수단(108)과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 사이의 코인 통로(106)에 면하여 배치되며, 코인 센서(116)와 마찬가지로 코인 통로(106)를 이동하는 코인(C)을 검지할 수 있으면 센서의 타입은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판별 장치(154)를 설명한다.
판별 장치(154)는 적어도 코인 센서(116)로부터 검지 신호를 받아 진짜 코인(C)의 통과 신호(PS)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코인 센서(116)와 타이밍 센서(152)는 판별 장치(154)에 접속되어 있다.
판별 장치(154)는 코인 센서(116)와 타이밍 센서(152)로부터의 검지 신호의 입력순 및 신호간의 발생 타이밍에 기초하여 그들 신호의 진위를 판별하고, 정상인 경우 통과 신호(PS)를 출력하고, 이상인 경우 이상 신호(ES)를 출력한다.
즉, 코인 센서(116) 및 타이밍 센서(152)로부터 검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라도 그들 신호간의 출력순 또는 출력 간격이 이상한 경우 이상으로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 센서(152)의 검지 신호(DS1)가 출력된 후, 소정 시간(T1) 경과 후의 소정 시간(T2) 동안에 코인 센서(116)로부터의 검지 신호(DS2)이 출력된 경우 통과 신호(PS)를 출력한다.
코인 센서(116)의 검지 신호(DS2) 다음으로 타이밍 센서(152)의 검지 신호(DS1)가 출력된 경우, 타이밍 센서(152)의 검지 신호(DS1)가 출력되고 소정 시간(T1) 이후부터 소정 시간(T2) 경과 동안에 코인 센서(116)로부터 검지 신호(DS2)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또는 소정 시간(T1) 종료 전에 코인 센서(116)로부터 검지 신호(DS2)가 출력된 경우 이상으로 판별하여 이상 신호(ES)를 출력한다.
다음, 코인 캔슬 수단(162)을 설명한다.
코인 캔슬 수단(162)은 진짜 코인(C)을 코인 센서(116)에 검지시키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코인 셀렉터(100)의 하류의 장치가 진짜 코인(C)을 수용 가능한 상태에 없는 경우, 진짜 코인(C)이 코인 센서(116)에 도달하기 전에 배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의 코인 통로(106)에 코인(C)의 면을 누르는, 비킴체(164)를 솔레노이드(166)에 의해 돌출시킨다.
즉, 타이밍 센서(152)에서 코인(C)을 검지한 후 소정 시간 후에 솔레노이드(166)를 여자하여 비킴체(164)를 코인 통로(166)에 돌입시키고, 코인(C)의 측면을 누름으로써 코인(C)을 이동 방향 변경 수단 개구(135)로부터 압출하여 코인 통로(106)로부터 배제한다.
다음, 되돌아옴 방지 수단(172)을 설명한다.
되돌아옴 방지 수단(172)은 코인(C)에 실을 접속하여 코인 통로(106)와 코인 검지 통로(114)를 왕복 이동시키고, 부정하게 코인 센서(116)에 검지시킴으로써 행하는 부정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되돌아옴 방지 수단(172)은 코인 검지 통로(114)의 코인 센서(116)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되돌아옴 방지 수단(172)은 저지체(174)를 포함하고 있다.
저지체(174)는 받침축(145)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판이며, 도시하지 않은 탄성 바이어스 수단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저지체(174)의 선단은 제2 본체(138)에 회전을 저지받아 코인(C)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둔각으로 교차하도록 정지된다.
이에 따라 코인(C)이 코인 검지 통로(114)를 도 3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저지체(174)는 코인(C)에 의해 압동되므로 코인(C)은 저지체(174)를 밀어젖히고 통과 가능하다.
코인(C)이 통과한 후, 저지체(174)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도시 생략)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의해 원래대로 돌아가 선단이 제2 본체(138)에 접한 상태에 있어서 대기 상태로 된다.
저지체(174)를 통과한 코인(C)에 접속한 실을 끌어올린 경우, 저지체(174)는 코인(C)에 의해 밀려올라가 더 큰 힘으로 제2 본체(138)에 가압되므로 코인(C)은 저지체(174)에 의해 이동을 규제받아 끌어올려질 수 없다.
따라서, 되돌아옴 방지 수단(172)을 사용함으로써 실매달기에 의한 부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되돌아옴 방지 수단(172)은 필요에 따라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본 코인 셀렉터(100)의 작용을 도 4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코인(C)은 투입구(118)로부터 투입되고, 가이드 레일(104)을 따라 수직부(122)를 수직으로 낙하한 후, 아크형부(124)에 있어서 도 2에서 우방향으로 전동 방향을 변경받은 후, 경사부(126)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104) 위를 자중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전동한다.
소직경 코인(CS)은 직경 선별 수단(110)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선별되 어, 진짜 코인(C)만이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에 도달한다.
이 전동 도중에 코인(C)은 타이밍 센서(152)에 의해 검지된다.
코인(C)은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에 있어서 변경 가이드(132)에 의해 강제로 하방으로 이동 방향을 변경받는다.
바꾸어 말하면, 코인(C)은 변경 가이드(132)에 안내되어 경사부(126)에 대하여 하방으로 대략 110도 이동 방향을 변경받는다.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에 있어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코인(C)의 하단 둘레면은 경사 안내면(146)에 충돌하고, 그 경사에 의한 반력에 의해 제2 본체(138) 측을 향해 안내된다.
이에 따라 코인(C)은 제1 평면(134)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는 제2 평면(136)에 위치하는 코인 검지 통로(114)로 안내된다.
코인 검지 통로(114)로 안내된 코인(C)은 코인 검지 통로(114)를 이동하여 출구(143)에서 하류의 처리 장치로 공급된다.
코인 검지 통로(114)를 이동하는 코인(C)은 코인 센서(116)에 의해 검지된다.
따라서, 판별 장치(154)는 타이밍 센서(152)로부터의 검지 신호(DS1)로부터 소정 시간(T1) 경과 후 소정 시간(T2) 동안에 코인 센서(114)로부터 검지 신호(DS2)를 수신한 경우 통과 신호(PS)를 출력한다.
진짜 코인(C)이 연속되어 투입된 경우, 코인(C)이 빈틈없이 경사부(126)의 가이드 레일(104) 위를 전동하여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에 도달한다.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에 있어서 선두의 코인(C)이 변경 가이드(132)에 의해 감속되면서 하방으로 방향 전환되고, 경사 안내면(146)에 충돌함으로써 선두의 코인(C)의 이동 속도가 감속되므로, 후속 코인(C)은 선두 코인(C)의 상단에 올라앉는다.
이에 따라 후속 코인(C)은 가이드 레일(104)로 안내되지 않고, 이동 방향 변경 수단 개구(135)를 지나 코인 통로(106)로부터 튀어나와 낙하한다.
바꾸어 말하면, 코인(C)이 빈틈없이 코인 검지 통로(114)를 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인(C)이 연달아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에서의 코인 통로(33)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과시키면 안되는 코인(C)을 확실하게 코인 통로로부터 배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하류의 장치가 수용 상태에 없는 경우, 타이밍 센서(152)가 코인(C)을 검지하고,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에 정확하게 도달하는 소정 시간 후에 솔레노이드(166)가 소정 시간 여자되어, 비킴체(164)가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코인 통로(106)로 일순 돌입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에 있어서 코인(C)은 측방으로부터 찔려서 코인 통로(106)로부터 비켜나가 이동 방향 변경 수단 개구(135)로부터 낙하한다.
따라서, 하류의 코인 처리 장치에 코인(C)을 공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가요성을 갖는 부정용 기구를 이용하여 카운트 센서(116)에 부정을 행하는 경우, 부정용 기구의 선단이 타이밍 센서(152)를 경유하여 코인 센서(116)에 도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부정용 기구는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에 있어서 예각적으로 굴곡된 후, 오프셋 안내 수단(144)에 있어서 신장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굴곡된 후, 코인 검지 통로(114)에 배치된 코인 센서(116)에 의해 검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부정용 기구를 이와 같이 굴곡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또한 부정용 기구를 타이밍 센서(152)에서 코인 센서(116)로 소정 시간(T1) 이후이면서 소정 시간(T2) 동안에 이동시켜 코인 센서(116)로부터 검지 신호(DS2)를 출력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더욱이, 미리 코인 센서(116)와 타이밍 센서(152)에 대향하여 발광체 등의 센서에 대한 액세스 수단을 부착한 부정용 기구를 사용한 경우, 부정용 기구를 이동시킬 필요는 없지만, 3차원적으로 구부러진 코인 통로(106) 및 코인 검지 통로(114)에 있어서 구부러진 부정용 기구를 조작하여 그들 코인 센서(116)와 타이밍 센서(152)에 대하여 각 발광체를 그들 코인 센서에 대하여 액세스 가능하게 위치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나아가, 코인 센서(116)에 대한 부정용 기구와 타이밍 센서(152)에 대한 부정용 기구를 별개로 형성한 경우, 타이밍 센서(152)에 대하여 액세스 가능 위치로 부정용 기구를 가져오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코인 센서(116)에 대한 액세스 위치에 부정용 기구를 위치시키기는 부정용 기구가 3차원적으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정용 기구를 사용하여 코인 셀렉터(100)의 진짜 코인(C)의 통과 검지를 위한 신호를 부정하게 출력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6은 실시예 2의 도 2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실시예 2는 되돌아옴 방지 수단(172)의 저지체(174)의 상면을 경사 안내면(146)으로 한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142)의 상단의 바로 위에 되돌아옴 방지 수단(172)의 저지체(174)가 고정된 받침축(145)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통상은 자중에 의해 회동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통상 저지체(174)는 격벽(142)의 상단에 의해 회동을 저지받아 제2 본체(138)에 대하여 약 45도의 각도를 하고 있다.
저지체(174)의 제2 본체(138) 측의 선단은 톱니형으로 되어 있다.
통상 저지체(174)는 자중에 의해 도 6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격벽(142)의 상단에 의해 수용되어 정지해 있다.
이 정지 상태에 있어서 저지체(174)의 선단이 약간 코인 검지 통로(114)로 돌출되어 있다.
스토퍼(176)가 제2 본체(138)에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176)는 코인(C)의 통과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며, 저지체(174)가 대략 수평해진 상태에 있어서 저지체(174)의 선단에 부딪쳐 스토퍼(176)를 그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실매달기에 의한 부정을 한 경우, 코인 통로(106)와 코인 검지 통로(114)는 오프셋되어 있으므로, 코인(C)에 접속한 실은 반드시 저지체(174)의 선단의 톱니의 오목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조종 실을 통하여 코인(C)을 끌어올린 경우, 코인(C)의 상단에 의해 저지체(174)는 도 6에 있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저지체(174)의 선단이 스토퍼(176)에 스톱되어 그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코인(C)을 더 이상 끌어올릴 수 없으므로, 실매달기에 의한 부정을 할 수 없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코인 셀렉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코인 셀렉터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코인 셀렉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코인 셀렉터의 제2 본체 및 제3 본체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코인 셀렉터의 제3 본체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A-A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B-B 단면도로서, (A)는 코인의 수용시, (B)는 코인의 캔슬 시이다.
도 14는 도 7의 C-C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7의 D-D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7의 E-E 단면도이다.
실시예 3의 코인 셀렉터(300)는 본체(302), 가이드 레일(304), 코인 통로(306), 코인 통로(306)의 중간에 배치된 진위 판별부(308)인 직경 선별 수단(310) , 이동 방향 변경 수단(312), 이동 방향 변경 수단(312)의 하류에 위치하는 코인 검지 통로(314), 코인 검지 통로(314)를 획정하는 제2 본체(318) 및 코인 검지 통로(314)에 배치된 코인 센서(316), 캔슬 수단(318) 및 셔터 수단(320)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본체(302)를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체(302)는 코인 셀렉터(300)를 구성하는 부품이 부착되며, 그리고 코인(C)의 일면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본체(302)는 수직 직립하는 가이드 벽(322), 가이드 벽(322)의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꺾인 좌측벽(324) 및 우측벽(325)을 포함하며, 가이드 벽(322), 좌측벽(324) 및 우측벽(325)에 의해 수직 직립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328)을 형성한다.
본체(302)의 폭 및 높이는 3.5인치이며, 소위 디펙트 스탠다드 사이즈(defect standard size)이다.
좌측벽(324) 및 우측벽(325)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332)를 게임기의 부착 홈(도시 생략)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코인 셀렉터(300)를 게임기에 부착한다.
다음, 가이드 레일(304)을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이드 레일(304)은 투입구(334)에 투입된 코인(C)이 전동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되는 기능을 갖는다.
가이드 레일(304)은 본체(322)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제3 본체(326)의 가이드 벽(322)에 대면하는 가이드면(328)으로부터 본체(302)의 가이드 벽(322)을 향하여 코인(C)의 두께보다 약간 많이 돌출되며, 대략 수직 직립한 상부 레일(304U) 및 도 7에 있어서 비스듬히 우방으로 만곡되는 만곡부(304C)로 구성된다.
가이드 레일(304)은 내마모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제3 본체(326)와 일체로 성형할 수 있는데, 실시예 3과 같이 표면에 가늘고 긴 금속판(330)을 배치하여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제3 본체(326)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본체(326)는 코인 통로(306)의 일면을 획정하고, 가이드 레일(304)이 설치되며, 더욱이 코인 통로(306)에 있어서 잼된 코인(C)을 캔슬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3 본체(326)는 가이드 벽(322)의 상단부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베어링(336) 및 우측벽(325)으로부터 가이드 벽(322)과 평행하게 돌출하는 제1 축(338) 및 제2 축(342)이 제3 본체(326)에 형성한 제1 축구멍(344)(도시하지 않음), 제2 축구멍(346)에 삽입되어 있다.
제1 축(338) 및 제2 축(342)은 도 10에 있어서 좌상향으로 경사지는 동일축선(L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3 본체(326)는 가이드 벽(322)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 및 하단부가 가이드 벽(322)으로부터 멀어지는 소정 각도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3 본체(326)를 본체(302)에 장착하는 경우, 제3 본체(326)를 본체(302)에 대하여 좌측벽(324) 상단의 경사 테두리(331)를 따라 비스듬히 유지하고, 제1 축(338)을 제1 축구멍(344)에, 제2 축(342)을 제2 축구멍(346)에 삽입하고, 횡방향(도 9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각 축에 장착한 후, 가이드 벽(322)을 향해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3 본체(326)는 축(338)과 축구멍(344)에 형성된 끼움부(도시 생략)가 서로 끼워져 해당 끼움을 해제할 수 없다.
또한, 제3 본체(326)는 가이드 벽(322)의 배면으로 돌출하는 원통(348) 내에 배치된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눌리는 푸셔(도시 생략)에 의해 제2 축구멍(346)의 측방의 피동 사면(350)에 축 방향의 모멘트를 받고, 가이드 벽(322)을 향하는 소정의 힘의 탄성 바이어스력을 받는다.
제3 본체(326)의 중앙에는 코인 통로(306)를 따라 아크형의 낙하 개구(3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본체(326)는 좌측벽(324) 측의 하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이드 벽(322)의 관통공(351)으로부터 돌출하는 피동편(353)이 가이드 벽(322) 측으로 밀림으로써 제1 축(338) 및 제2 축(342)을 받침점으로 회동된다(도 9에 있어서 시계 방향).
이에 따라 가이드 레일(304)의 단면이 가이드 벽(322)으로부터 코인(C)의 두께 이상 멀어지고, 가이드 레일(304)이 하향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코인 통로(306)에 있어서 전동할 수 없게 된 코인(C)은 가이드 레일(304)로부터 낙하하여 리젝트된다.
다음, 코인 통로(306)를 설명한다.
코인 통로(306)는 투입구(334)에 투입된 코인(C)이 가이드 레일(304) 위를 전동하여 이동 방향 변경 수단(312)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코인 통로(306)는 가이드 벽(322)의 안내면(354), 가이드 레일(304), 제3 본체(326)의 안내면(327) 및 직경 선별체(356)에 의해 획정된 단면 사각형으로서, 도 7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만곡되는 통로이며, 제1 평면 내에 위치한다.
직경 선별체(356)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362)을 제3 본체(326)로부터 돌출하는 위치 결정 핀(도시 생략)에 서로 끼우고, 스크루(도시 생략)에 의해 제3 본체(326)에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되어 있다.
제3 본체(326)에 대향하여 가이드 벽(322)의 상단부로부터 오목홈(328) 내를 향해 돌출되는 부착대(358)가 형성되어 있다.
직경 선별체(356)는 그 안내면(360)이 가이드 벽(322)과 평행한 제3 본체(326)의 안내면(328)과 동일한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그 안내 테두리(364)가 가이드 레일(304)과 닮음꼴로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304)과 소정의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진짜 코인(C)이 가이드 레일(304) 위를 전동하는 경우, 진짜 코인(C)의 상단부 측면은 직경 선별체(356)의 안내면(360)으로 안내되고, 소직경의 가짜 코인은 안내면(360)으로 안내되지 않고 낙하 개구(352)로부터 낙하 가능하다.
또한, 안내면(354)에는 코인(C)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조를 형성하여 코인(C)의 이동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안내면(328 및 360)에 돌조를 형성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직경의 코인(C)이 사용되는 경우, 직경 선별체(356)의 안내 테두리(364)와 가이드 레일(304)과의 거리가 다른 직경 선별체(356)로 교환된다.
직경 선별체(356)는 코인이 문지르게 되므로 금속판 등 내마모성을 갖는 재료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직경 선별 수단(310)을 설명한다.
직경 선별 수단(310)은 코인 통로(306)를 전동하는 소직경의 가짜 코인(FC)을 리젝트하는 기능을 갖는다.
직경 선별 수단(310)은 비킴체(372) 및 탄성 바이어스 수단(374)을 포함하고 있다.
비킴체(372)는 상단의 축(378)의 양단이 가이드 벽(322)의 배면의 상단부에 설치한 제3 베어링(376L) 및 제4 베어링(376R)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도 8 참조).
비킴체(372)는 판상이며, 가이드 벽(322)의 아크형 개구(380)를 지나 직경 선별체(356)의 안내 테두리(364)보다 약간 가이드 레일(304)에 가까운 코인 통로(306)에 진퇴 가능하며, 코인 통로(306)의 곡률에 맞추어 만곡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킴체(372)에 의해 직경 선별체(356)에 가까운 소직경 가짜 코인(SC)의 상단 측면을 횡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소직경 가짜 코인(FC)을 재빨리 코인 통로(306)로부터 배제할 수 있다.
비킴체(372)의 선단(372T)(도 12 참조)은 코인 통로(306)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비킴체(372)가 코인 통로(306)에 위치하는 경우, 투입구(334)로부터 투입된 코인(C)은 횡방향으로 안내되어, 코인 통로(306)로부터 밀려나오는 힘을 받는다.
비킴체(372)의 가이드 벽(322)의 이면측에는 제1 탄성 바이어스체(374)로서의 제1 추(382)가 부착되고, 비킴체(372)는 축(378)을 받침점으로 도 12에 있어서 소정의 힘으로 시계 방향의 모멘트를 받는다.
이에 따라, 통상 비킴체(372)는 소정의 모멘트로 코인 통로(306)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진짜 코인(C)이 가이드 레일(304)을 따라 전동한 경우, 그 상단측면은 직경 선별체(356)의 안내면(360) 및 제3 본체(326)의 안내면(328)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코인 통로(306)를 이동한다.
제1 탄성 바이어스체(374)는 비킴체(372)에 탄성 바이어스력을 주면 되므로, 추 대신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추를 사용한 경우 개개의 불균일이 작기 때문에 품질의 안정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소직경의 가짜 코인(SC)이 가이드 레일(304) 위를 전동한 경우, 그 상단측면 은 직경 선별체(356)의 안내면(360)으로 안내되지 않으므로, 낙하 개구(352)로 쓰러지고 가이드 레일(304)로부터 낙하되어 리젝트 통로(385)를 지나 리젝트된다.
다음, 이동 방향 변경 수단(312)을 설명한다.
이동 방향 변경 수단(312)은 코인 통로(306)의 하류에 배치되며, 코인 통로(306)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코인(C)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 3에 있어서, 이동 방향 변경 수단(312)에 의해 코인(C)은 코인 통로(306)에 대하여 오프셋 배치되어 있는 코인 검지 통로(314)로 안내된다.
코인 검지 통로(31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인 통로(306)에 대하여 후방(가이드 벽(322)의 이면측)으로 오프셋되며, 또한 비스듬하게 경사지는 제2 평면 내에 위치해 있다.
이동 방향 변경 수단(312)은 안내체(386)를 포함하고 있다.
안내체(386)는 가늘고 긴 사각형의 판상이며, 가이드 레일(304)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고, 도 7에 있어서 우하향으로 경사지고, 더욱이 전면측 단부 일단은 베어링(도시 생략)을 통하여 피벗축인 지지축(392)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지지축(392)은 가이드 벽(322)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제5 베어링(394) 및 우측벽(325)의 부근으로부터 돌출하는 제6 베어링(396)에 부착되어 있다.
이 지지축(392)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코인 통로(306)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고 있다.
안내체(386)의 지지축(392)의 반대측에 제2 탄성 바이어스체(398)인 제2 추(402)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내체(386)는 도 16에 있어서 지지축(392) 방향으로 반 시계 방향의 모멘트를 받고, 제2 추(402)의 이면이 제2 본체(318)에 형성한 스토퍼(397)에 의해 회전을 저지받아 가이드 레일(304)의 연장 평면을 이루는 대기 위치(SP1)에 유지된다.
제2 탄성 바이어스체(398)도 스프링 등 다른 탄성 바이어스 수단으로 변경할 수 있는데, 개개의 불균일이 적기 때문에 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체(386)의 선단은 각형 톱니(404)에 형성되며, 대기 위치(SP1)에 위치하는 경우 가이드 벽(322)과의 거리는 진짜 코인(C)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어 코인(C)이 통과할 수 없다.
코인 통로(306)를 전동한 코인(C)이 안내체(386) 위로 올라간 경우, 안내체(386)는 코인(C)의 중량에 의해 도 16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가이드 벽(322)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다.
안내체(386)가 경사진 경우, 그 선단과 가이드 벽(322)과의 거리는 진짜 코인(C)의 두께보다 크게 벌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인(C)은 안내체(386) 위를 미끄러져 코인 검지 통로(314)에 낙하한다.
이 때, 코인(C)은 안내체(386)에 대하여 둔각으로 충돌한다.
따라서, 안내체(386)는 하향으로 경사짐으로써 코인(C)에 대하여 완만한 오 르막길을 이루고, 또한 코인(C)의 후단을 가이드 벽(322) 측으로 스핀시킨다.
이에 따라, 후속 코인(C)이 연달아 있어도 이동 방향 변경 수단(312)에 있어서 잼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다음, 코인 검지 통로(314)를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인 검지 통로(314)는 이동 방향 변경 수단(312)에 의해 이동 방향을 변경받은 진짜 코인(C)을 소정 방향으로 안내하고, 또한 해당 코인 검지 통로(314)를 전동하는 진짜 코인이 검지되는 기능을 갖는다.
코인 검지 통로(314)는 코인 통로(306)의 하류에 배치되며, 코인 통로(306)와 다른 대략 수직 직립하는 평면에 배치된다.
코인 검지 통로(314)는 코인 통로(306)에 대하여 가이드 벽(322) 측으로 오프셋된 대략 수직 직립하는 제2 평면 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 3에 있어서,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인 검지 통로(314)는 코인 통로(306)에 대하여 경사지는 대략 수직 직립하는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동 방향 변경 수단(312)은 코인 검지 통로(314)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코인 검지 통로(314)는 검지 통로 가이드 벽(410), 검지 통로 가이드 벽(41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아크형의 검지부 가이드 레일(412) 및 제2 본체(318)의 내면(413)에 의해 획정되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하방으로 만곡하고, 하류단은 우측벽(325)에 개구된 세로로 긴 슬릿형의 출구(414)이다.
검지 통로 가이드 벽(410)은 후술하는 코인 센서(316)를 통과할 때까지 코인 통로(306)에 대하여 경사지는 평면 내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셔터 수단(320) 바로 앞에 있어서 코인 통로(306)의 가이드 벽과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인 검지 통로(314)는 코인 통로(306)에 대하여 경사시키지 않고 평행하게 할 수도 있다.
다음, 코인 센서(316)를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인 센서(316)는 코인 검지 통로(314)를 전동하는 진짜 코인(C)을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코인 센서(316)는 투과식 광전 센서, 반사식 광전 센서, 자기 센서 및 접촉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 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지 신호의 출력 순서 등을 판별함으로써 출구(414)로부터의 부정용 기구 삽입에 의한 부정을 판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 3에 있어서, 코인 센서(316)는 투과식 광전 센서(416) 및 자기 센서(418)의 서로 다른 방식의 복수의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서로 다른 방식의 센서를 이용한 경우, 부정을 하려면 서로 다른 센서에 대응하여 오검지를 발생시키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부정을 어렵게 하는 이점이 있다.
상류측에 배치된 투과식 광전 센서(416)는 코인 검지 통로(314)를 사이에 두고 투광부와 수광부가 배치되어 있다.
하류측에 인접 배치된 자기 센서(418)는 코인 검지 통로(314)를 사이에 두고 코일이 배치되어 있다.
투과식 광전 센서(416) 및 자기 센서(418)는 안내체(386)가 실로 매단 코인(C)에 의해 끌려올라가, 가이드 레일(304)의 연장 평면을 형성하는 상태에 있어서 진행이 정지된 경우, 코인(C)의 검지 상태를 유지하는 위치 관계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 캔슬 수단(318)을 도 8 및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캔슬 수단(318)은 진위 판별부(308)를 통과한 진짜 코인(C)을 코인 검지 통로(314)로 진행하지 않도록 캔슬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 3에 있어서 캔슬 수단(318)은 캔슬체(422) 및 전자 액추에이터(424)를 포함하고 있다.
캔슬체(422)는 안내체(386)의 상방의 코인 통로(306)에 적당히 여자되는 전자 액추에이터(424)인 로터리 솔레노이드(426)의 출력축(428)에 고정되어 있다.
로터리 솔레노이드(426)가 소자되어 있는 경우, 캔슬체(422)가 내장하는 자석의 반발력에 의해 도 13(B)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캔슬체(422)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452)가 가이드 벽(322)의 이면에 맞닿아 캔슬체(422)의 안내 테두리(454)가 코인 통로(306)를 횡단하는 캔슬 위치(CP)에 유지된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304) 위를 전동해 온 코인(C)은 안내 테두리(454)에 의해 횡방향으로 비켜나가 안내체(386) 상으로부터 낙하된다.
이 때, 안내체(386) 상에 코인(C)이 올라타는데, 코인(C)은 안내체(386)에 올라타기 전부터 안내 테두리(454)에 의해 안내체(386)의 지지축(392) 측으로 비켜나가게 되어 안내체(386)를 그 모멘트에 반하여 회동시키지는 않아 안내체(386)는 대기 위치(SP1)를 유지한다.
따라서, 코인(C)은 안내체(386) 상으로부터 낙하하고, 캔슬 통로(456)를 지나 캔슬된다.
돌기(452)에 연속하여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458)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458)는 안내체(386)의 상방의 캔슬체(422)에 대하여 코인 통로(306)를 사이에 둔 측방에 배치된다.
캔슬체(422)가 대기 위치(SP2)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458)는 코인 통로(306)의 측방에 위치하여 코인(C)이 안내체(386)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안내한다.
캔슬체(422)가 캔슬 위치(CP)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458)는 코인 통로(306)로부터 멀어져 안내체(386) 상으로부터 낙하하는 코인(C)을 방해하지 않는다.
다음, 셔터 수단(320)을 도 7, 9, 14 및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셔터 수단(320)은 출구(414)에서 코인 검지 통로(314)로의 부정용 기구의 삽입을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 3의 셔터 수단(320)은 셔터체(462)를 포함하고 있다.
셔터체(462)는 평면에서 보아 크랭크형(도 15 참조)의 판상이며, 코인 센서(316)와 출구(414) 사이의 코인 검지 통로(314)에 진퇴 가능하다.
셔터체(462)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본체(318)의 표측으로 돌출하는 제7 베어링(464) 및 제8 베어링(466)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제7 베어링(464)은 하향의 원주형이며, 셔터체(462)의 상단부에 형성된 축구멍(472)에 삽입되어 있다.
제8 베어링(466)은 원추형 돌기이며, 셔터체(462)의 하단부에 형성된 원추형 축구멍(474)에 서로 끼워져 있다.
제8 베어링(466)의 원추 돌기의 원추 각도가 원추형 축구멍(474)의 원추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셔터체(462)의 회전 저항이 적은 이점이 있다.
제7 베어링(464)과 제8 베어링(466)의 축선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코인 검지 통로(314)의 신장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체(46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302)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부착되어 축선 방향으로 모멘트를 받는다.
셔터체(462)는 자기 모멘트에 의해 도 15에 있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통상 셔터체(462)의 선단(462T)은 코인 검지 통로벽(410) 측으로 회전하고, 코인 검지 통로벽(410)에 형성된 수용홈(468)의 밑바닥에 소정의 힘으로 접해 있다.
이 때, 선단(462T)은 코인 검지 통로(314)에 있어서 코인의 이동 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코인(C)이 코인 검지 통로(314)를 전동하는 경우, 셔터체(462)는 코인(C)에 의해 밀려 도 15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코인(C)은 출구(414)로 이동할 수 있다.
출구(414)로부터 부정용 기구를 삽입한 경우, 셔터체(462)는 도 15에 있어서 반 시계 방향으로 밀리므로 셔터체(462)에 의해 더 이상의 진행을 저지받는다.
다음, 실시예 3의 작용을 설명한다.
코인 셀렉터(300)가 장착된 게임기 등이 코인(C)의 수용 상태에 없는 경우, 로터리 솔레노이드(426)가 소자되어 있으므로 캔슬체(422)가 내장 자석의 흡인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코인 통로(306)로 진출한 캔슬 위치(CP)에 유지되어 있다.
진짜 코인(C)을 투입구(334)에 투입한 경우, 코인(C)은 안내면(354), 제3 본체(326) 및 직경 선별체(356)에 의해 양 측면을 안내받으면서 가이드 레일(304) 위를 전동하여 캔슬체(422)에 도달한다.
코인(C)은 안내체(386) 위에 올라타기 전부터 코인 통로(306)를 횡단하는 캔슬체(422)의 안내 테두리(454)에 안내되어 안내체(386)의 지지축(392) 측으로 비켜나가 캔슬 통로(456)에 낙하한다.
다음, 코인 셀렉터(300)가 코인(C)의 수용 상태에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바꾸어 말하면,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 솔레노이드(426)가 여자되어 캔슬체(422)가 코인 통로(306)로부터 퇴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먼저, 진짜 코인(C)이 투입된 케이스를 설명한다.
진짜 코인(C)은 가이드 레일(304) 위를 전동하여 진위 판별부(310)에 도달한다.
진위 판별부(310)인 직경 선별 수단(308)에 있어서 코인 통로(306)를 횡단하는 비킴체(372)의 선단(372T)에 의해 횡방향으로 비켜나가는 힘을 받는다.
그러나, 진짜 코인(C)의 상단부 측면은 직경 선별체(356)의 안내면(360)에 의해 하단부 측면은 제3 본체(326)의 안내면(328)에 의해 안내되므로, 코인(C)은 진위 판별부(310)를 낙하하지 않고 통과하여 안내체(386)에 도달한다.
안내체(386)는 그 위에 올라탄 진짜 코인(C)에 의해 도 9에 있어서 지지축(392)의 시계 방향으로 모멘트를 받아 회동한다.
따라서, 진짜 코인(C)은 안내체(386) 위를 미끄러져 코인 통로(306)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오프셋 배치되어 있는 코인 검지 통로(314)로 이동하고, 검지부 가이드 레일(412) 위를 전동한다.
검지부 가이드 레일(412) 위를 전동하는 코인(C)은 투과광을 차단하므로 광전 센서(416)는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그 후 바로 자기 센서(418)도 금속제의 코인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들 검지 신호는 진짜 코인(C)의 카운트 등에 사용된다.
또한, 진짜 코인(C)은 셔터체(462)를 눌러 도 1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셔터 수단(320)을 통과하여 출구(414)에서 게임기로 들어간다.
다음, 소직경 가짜 코인(SC)이 투입된 경우를 설명한다.
진위 판별부(310)에 있어서 소직경 가짜 코인(SC)의 상단측면은 직경 선별 체(356)에 의해 안내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킴체(372)의 횡방향으로부터의 누름력에 의해 소직경 가짜 코인(C)의 상단부는 낙하 개구(352)로 밀려나오므로, 코인(C)은 옆으로 굴러 가이드 레일(304)에서 리젝트 통로(385)로 낙하하여 리젝트된다.
다음, 대직경 가짜 코인이 투입된 경우를 설명한다.
대직경 가짜 코인은 부착부(358)의 가장자리와 가이드 레일(304) 사이에 끼어 코인 통로(306)를 전동할 수 없다.
이 경우, 피동편(353)을 압동함으로써 제3 본체(326)를 제1 축(338) 및 제2 축(342)의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3 본체(326)의 가이드 레일(304)의 단면과 안내면(354) 사이에는 코인(C)의 두께 이상의 간격이 형성되고, 또한 가이드 레일(304)의 상면이 하향으로 경사지므로 움직일 수 없게 된 코인(C)이 낙하하여 리젝트된다.
다음, 부정용 기구를 투입구(334)에 삽입한 경우를 설명한다.
부정용 기구를 코인 통로(306)를 따르게 하여 삽입한 경우라도 오프셋 배치된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는 코인 검지 통로(314)로 진행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오프셋된 코인 검지 통로(314)에 좁은 범위에서 부정용 기구를 진행시키기는 어려워 실질적으로 진행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투입구(334)로부터 삽입한 부정용 기구에 의해 코인 센서(316)에 부정을 할 수는 없다.
또한 진짜 코인(C)에 끈을 묶어 코인 센서(316)를 ON, OFF시키고자 하여도 코인(C)을 끌어올린 경우, 코인(C)은 안내체(386)에 걸려 안내체(386)를 도 16에 있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안내체(386)는 가이드 레일(304)의 연장 상의 평면 위치까지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광전 센서(416) 및 자기 센서(418)가 OFF로 되지 않되므로, 코인(C)의 실 매달기에 의해서도 부정을 할 수 없다.
다음, 부정용 기구를 출구(414)에 삽입한 케이스를 설명한다.
부정용 기구를 출구(414)에 삽입한 경우, 셔터체(462)는 기구에 의해 밀려 선단이 가이드 벽을 누르는 방향으로만 회동된다.
따라서, 출구(414)에 삽입한 부정용 기구에 의해 코인 센서(316)에 부정을 할 수는 없다.
<실시예 4>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코인 셀렉터의 제2 본체 및 제3 본체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코인 셀렉터의 배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F-F 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코인 셀렉터의 캔슬체 및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의 코인 이동 방향 상류측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코인 셀렉터의 캔슬체 및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의 코인 이동 방향 하류측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7의 G-G 선 단면도이다.
도 23∼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코인 셀렉터의 캔슬체 및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의 작용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 4는 실시예 3에 대하여 캔슬체(422) 및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458)를 변경하기만 하였으므로 변경 부분만 설명한다.
먼저, 캔슬체(502)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 4의 캔슬체(502)는 로터리 솔레노이드(426)의 출력축(428)이 일단의 보스 구멍(504)에 삽입되고, 멈춤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캔슬체(502)는 보스 구멍(504) 측이 한 장 판상의 베이스부(505)이며, 중간부터 선단은 상하 관계로 위 캔슬편(502A) 및 아래 캔슬편(502U)이 코인(C)의 직경보다 좁은 간격의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간격은 코인(C)의 일면을 확실하게 누르기 위하여 코인(C)의 직경의 3분의 1 정도가 바람직하다.
위 캔슬편(502A) 및 아래 캔슬편(502U)은 코인 통로(306)를 따라 안내체(386)의 상방의 코인 통로(306)를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가이드 벽(322)에 형성한 위 투공(506A), 아래 투공(506U)에서 코인 통로(306)로 진퇴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위 캔슬편(502A) 및 아래 캔슬편(502U)의 코인(C)을 가이드하는 위 가이드 테두리(508A), 아래 가이드 테두리(508U)는 도 20∼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크형으로 형성되며, 코인 통로(306)에 돌출한 경우 코인(C)을 캔슬 통로(456)로 완만 한 곡선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코인(C)을 원활하게 캔슬 통로(456)로 안내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예 4에 있어서, 캔슬체(502)는 로터리 솔레노이드(426)에 내장되는 자석의 반발력에 더하여, 보스의 주위에 배치된 감김 스프링(510)의 스프링력에 의해서도 도 22에 있어서 시계 방향(코인 통로(306)로의 돌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다.
캔슬체(502)의 코인 통로(306)에의 이동 속도를 높임으로써 진짜 코인(C)을 확실하게 캔슬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예 4에 있어서, 캔슬체(502)는 로터리 솔레노이드(426)가 여자됨으로써 도 22에 있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베이스부(505)의 이면에 형성된 제1 걸림부(512)가 가이드 벽(322)과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도시 생략)에 걸려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522)가 후술하는 코인 통로(306)의 일측에 유지된다.
로터리 솔레노이드(426)가 소자된 경우, 내장되는 자석의 반발력 및 스프링(510)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 2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보스부의 측방에 형성된 걸림부(507)가 가이드 벽(322)의 이면의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걸림으로써 위 캔슬편(502A) 및 아래 캔슬편(502U)이 코인 통로(306)에 돌출된 캔슬 위치(CP)에 유지된다(도 25 참조).
다음,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522)를 설명한다.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522)는 도립 L자체(524)의 하향 수직 직립부이다.
도립 L자체(524)의 수평부(526)의 단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한 베어 링(528A, 528B)이 베이스부(505)로부터 수직 직립하는 스테이(532)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형성한 축(534A, 534B)에 회동이 자유롭게 서로 끼워져 있다.
도립 L자체(524)는 추나 스프링을 부가하지 않고 자기 모멘트를 발생시키므로, 수지 성형 또는 수지를 가공하여 제조하여 소정의 탄성 바이어스력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528A)에서 스테이(532)의 정면 측으로 연장되는 안내 위치 걸림편(536)이 돌출되어 있다.
이 안내 위치 걸림편(536)은 스테이(532)의 코인 통로(306) 측의 스토퍼면(538)에 의해 정지되어, 스테이(532)와 평행한 안내 위치(GP)에 유지된다.
회동 규제편(542)은 베어링(528B)에서 스테이(532)의 배면 측으로 연장되며, 도립 L자체(524)가 안내 위치(GP)로부터 소정 각도 회동한 위치에 있어서 스테이(532)의 배면의 스토퍼면(540)에 걸려 회동이 정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이동 변경부 안내체(522)가 캔슬편(502A, 502U)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경우, 회동 규제편(542)에 의해 이동 변경부 안내체(522)의 이동이 정지된다(도 23에 있어서 2점 쇄선 표시).
캔슬체(502)가 코인(C)의 수용 상태에 있는 경우, 바꾸어 말하면, 로터리 솔레노이드(426)가 여자되어 걸림부(512)가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 걸린 경우(도 22의 상태), 이동 변경부 안내체(522)의 가이드면(544)은 코인 통로(306)의 반 가이드 벽(322) 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면(544)은 코인 통로(306)에 대하여 코인(C)의 전동 방향의 전방을 향 해 예각을 이루며 형성되고, 코인 통로(306)로부터 비켜나가려고 하는 코인(C)을 코인 통로(306)로 안내한다.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면(544)은 안내면(354)의 연장선(546)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고 있다.
가이드면(544)의 가장 코인 통로(306) 측 부분은 안내면(354)의 연장선(546)에 대하여 코인(C)의 두께보다 약간 큰 간격을 갖는다.
코인 통로(306)를 전동하는 코인(C)을 코인 검지 통로(314)로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가이드면(544)의 위 캔슬편(502A) 및 아래 캔슬편(502B)에 마주보는 부분은 하방일수록 그들과의 거리가 커지도록 사면(548)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 캔슬편(502A) 및 아래 캔슬편(502B)에 의해 캔슬되는 코인(C)이 낙하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더욱이,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522)의 코인 통로(306)의 하류측 테두리(550)는 코인(C)이 캔슬 통로(456)로 전동하여 낙하하기 쉬워지도록 위 캔슬편(502A)과 아래 캔슬편(502U)과의 거리가 가급적 커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코인(C)이 안내체(386)에 접하는 하단을 받침점으로 위 캔슬편(502A) 및 아래 캔슬편(502B)에 의해 밀린 상단측이 회동하여 캔슬 통로(456)에 상하가 반전되어 낙하할 수 있도록 위 가이드 테두리(508A) 및 아래 가이드 테두리(508U)와 하류측 테두리(550)와의 거리가 정해져 있다.
또한 코인(C)의 가이드면(544)은 가급적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양립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 4에 있어서는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522)는 하향의 끝이 좁아지는 나이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립 L자체(524)는 도 23에 있어서 축(534A, 534B) 방향으로 반 시계 방향의 자기 모멘트를 발생시키므로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522)는 안내 위치 걸림편(536)이 스토퍼면(538)에 의해 정지된 안내 위치(GP)에 소정의 탄성 바이어스력으로 유지된다.
한편, 복수의 코인(C)이 위 캔슬편(502A)과 아래 캔슬편(502U) 및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522) 사이에 끼인 경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522)는 회동 규제편(542)이 스토퍼면(540)에 걸릴 때까지 회동할 수 있으므로, 복수 코인(C)간의 압접력을 소정의 압력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코인(C)간의 마찰력을 코인(C)이 자중에 의해 슬라이드할 수 있는 값 이하로 유지하여 코인(C)을 자유 낙하시킬 수 있다.
다음, 본 실시예 4의 작용을 도 24 및 도 25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진짜 코인(C)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설명한다.
코인 셀렉터(300)가 진짜 코인(C)의 수용 상태에 있는 경우, 로터리 솔레노이드(426)가 여자되므로 캔슬체(502)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위 캔슬편(502A) 및 아래 캔슬편(502U)이 코인 통로(306)로부터 비켜나가 위치한다.
진위 판별부(310)를 통과한 코인(C)은 안내체(386)에 도달한다.
이 때, 코인(C)의 캔슬 통로(456) 측 면은 가이드면(544)에 의해 안내될 수 있으므로, 전동 위치가 어긋난 경우라도 안내체(386) 위로 안내된다.
이 후, 코인(C)은 실시예 3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코인 검지 통로(314)로 안내된다.
다음, 진짜 코인(C)을 캔슬하는 케이스를 설명한다.
진짜 코인(C)을 캔슬하는 경우, 로터리 솔레노이드(426)는 소자되므로 캔슬체(502)는 내장 자석 및 스프링(510)의 탄발력에 의해 고속으로 걸림부(507)가 가이드 벽(322)의 배면에 진행을 저지받을 때까지 회동되어 도 25에 도시한 캔슬 위치(CP)에 유지된다.
이 경우, 진위 판별부(310)를 통과한 코인(C)은 안내체(386)에 오르기 직전부터 위 가이드 테두리(508A) 및 아래 가이드 테두리(508U)로 안내되므로, 코인(C)은 안내체(386)의 지지축(392) 측으로 비켜나가 캔슬 통로(456)에 낙하된다.
다음, 진짜 코인(C)을 캔슬하는 케이스에 있어서, 위 캔슬편(502A) 및 아래 캔슬편(502U)의 캔슬 위치(CP)로의 이동 도중에 있어서 코인(C)이 안내체(386)에 도달한 케이스를 설명한다.
코인(C)은 안내체(386)가 코인(C)의 중량에 의해 약간 회동하고, 코인 검지 통로(314) 측으로 미끄러지기 시작한 직후에 캔슬 위치(CP)로 이동 도중인 위 캔슬편(502A) 및 아래 캔슬편(502U)에 의해 코인 검지 통로(314)로의 이동을 저지받아 캔슬 통로(456) 측으로 밀린다.
이에 따라 코인(C)은 안내체(386)에 올려져 있는 하단을 받침점으로 상단부가 측방으로 밀리므로 코인(C)의 상단측에서 캔슬 통로(456)로 쓰러져들어가 코 인(C)의 상단이 하단이 되도록 측방으로 전동되어 캔슬된다.
다음, 위 캔슬편(502A) 및 아래 캔슬편(502U)의 캔슬 위치(CP)로의 이동 도중에 있어서 3장의 코인(C)이 줄줄이 이어진 상태에서 안내체(386)에 도달한 케이스를 설명한다.
이 경우, 최초의 코인(C)이 캔슬 통로(456)로 전동되기 전에 다음 코인(C)이 도달하므로, 위 캔슬편(502A) 및 아래 캔슬편(502U)과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522) 사이에 코인(C)이 복수 장 예컨대 3장 끼인다.
이 경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522)는 축(534A, 534B)을 받침점으로 도 2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 규제편(542)이 스테이(534)의 배면에 걸릴 때까지 회동된다(쇄선 표시 참조).
이 회동에 의해 복수의 코인(C)간의 압접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코인(C)간의 마찰력은 소정값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위 캔슬편(502A) 및 아래 캔슬편(502U)이 캔슬 위치(CP)로 이동한 경우, 코인(C)은 안내체(386) 상으로부터 비켜나간다.
따라서, 안내체(386)에 의해 지지되지 않게 된 코인(C)은 자연 낙하할 수 있고, 캔슬 통로(456)로 캔슬된다.
바꾸어 말하면, 캔슬체(502)의 캔슬 위치(CP)로의 이동 도중에 있어서도 코인(C)을 캔슬할 수 있으므로, 진짜 코인(C)이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투입한 코인이 카운트되지 않는 소위 "삼킴"을 발생시키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코인 셀렉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코인 셀렉터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코인 셀렉터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작용 설명용 타이밍 차트이다.
도 6은 실시예 2의 도 2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코인 셀렉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코인 셀렉터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코인 셀렉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코인 셀렉터의 제2 본체 및 제3 본체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코인 셀렉터의 제3 본체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A-A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B-B 단면도로서, (A)는 코인의 수납 시, (B)는 코인의 캔슬 시이다.
도 14는 도 7의 C-C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7의 D-D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7의 E-E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코인 셀렉터의 제2 본체 및 제3 본체를 제거 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코인 셀렉터의 배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F-F 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코인 셀렉터의 캔슬체 및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의 코인 이동 방향 상류측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코인 셀렉터의 캔슬체 및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의 코인 이동 방향 하류측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7의 G-G 선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코인 셀렉터의 캔슬체 및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코인 셀렉터의 캔슬체 및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가 캔슬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코인 셀렉터의 캔슬체 및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가 캔슬 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도 17의 H-H 선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C : 코인 108, 308 : 진위 판별 수단
106, 306 :코인 통로 112, 312 : 이동 방향 변경 수단
114, 314 : 코인 검지 통로 116, 316 : 코인 센서
134 : 제1 평면 136 : 제2 평면
144, 344 : 오프셋 안내 수단 146 : 경사 안내면
162, 318 : 코인 캔슬 수단 386 : 안내체
422, 502 : 캔슬체 458, 522 :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
320 : 셔터 수단 524 : 도립 L자체
526 : 수평부 532 : 스테이

Claims (15)

  1. 코인(C)이 이동하는 코인 통로(106)를 따라 형성한 진위 판별 수단(108)의 하류에 배치한 코인 센서(11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코인의 통과를 검지하는 코인 셀렉터에 있어서,
    상기 진위 판별 수단의 하류의 상기 코인 통로에 코인의 이동 방향 변경 수단(112)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하류의 코인 검지 통로(114)를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이 존재하는 제1 평면(134)과 다른 제2 평면(136)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에 코인 캔슬 수단(162)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하류의 상기 코인 검지 통로에 상기 코인 센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은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위 판별 수단과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 사이에 타이밍 센서(152)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하류에 되돌아옴 방지 수단(17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경 수단의 코인 통로와 상기 코인 검지 통로가 오프셋 안내 수단(144)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안내 수단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안내면(1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안내 수단은 상기 진위 판별 수단의 코인 가이드 레일의 연장 상의 대기 위치 및 코인 검지 통로 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는 안내 위치에 코인의 중량에 의해 이동 가능한 안내체(38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체는 상기 코인 검지 통로의 반대측에서 피벗축 둘레로 피벗 운동 가능하며,
    상기 오프셋 안내 수단의 상방의 코인 통로에 진퇴하며, 상기 안내체의 코인 검지 통로측으로부터 상기 피벗축 측으로 경사지는 경사 안내 테두리를 갖는 캔슬체(422)와,
    상기 캔슬체의 상류로서, 캔슬체의 반대측의 코인 통로의 측면을 획정하는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45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 센서는 복수의 센서(416, 418)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센서는 서로 다른 검지 방식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 센서의 하류에 코인 통과시 이외에는 코인 검지 통로를 폐쇄하는 셔터 수단(320)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수단은 자기 모멘트에 의해 코인 통로의 폐지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는 상기 캔슬체와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캔슬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캔슬체 측으로 소정의 모멘트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는 도립 L자체(524)로서, 수평부(526)의 선단부가 상기 캔슬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테이(532)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이동 방향 변경부 안내체는 하단이 상기 캔슬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자중에 의해 상기 캔슬체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셀렉터.
KR1020070069133A 2006-07-12 2007-07-10 코인 셀렉터 KR100885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92150 2006-07-12
JP2006192150 2006-07-12
JP2006261399 2006-09-26
JPJP-P-2006-00261399 2006-09-26
JPJP-P-2006-00309609 2006-11-15
JP2006309609A JP5044838B2 (ja) 2006-07-12 2006-11-15 コインセレ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75A KR20080006475A (ko) 2008-01-16
KR100885165B1 true KR100885165B1 (ko) 2009-02-23

Family

ID=3846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133A KR100885165B1 (ko) 2006-07-12 2007-07-10 코인 셀렉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61521B2 (ko)
JP (1) JP5044838B2 (ko)
KR (1) KR100885165B1 (ko)
CN (1) CN101105872B (ko)
GB (1) GB2440045B (ko)
TW (1) TW2008097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1697B2 (ja) * 2008-08-27 2013-08-14 旭精工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5309965B2 (ja) * 2008-09-17 2013-10-09 旭精工株式会社 価値媒体処理装置
TW201133397A (en) * 2010-03-19 2011-10-01 xin-da Chen Ticket machine structure
JP5649167B2 (ja) * 2010-08-06 2015-01-07 サミー株式会社 弾球遊技機の球通路構造
JP5537325B2 (ja) * 2010-08-06 2014-07-02 サミー株式会社 弾球遊技機の球通路構造
TW201207774A (en) * 2010-08-06 2012-02-16 Bingotimes Digital Technology Co Ltd Automatic counting game machine
TWM409489U (en) * 2011-02-24 2011-08-11 Int Currency Tech Coin detecting apparatus
JP5953010B2 (ja) * 2011-06-16 2016-07-13 京楽産業.株式会社 パチンコ遊技機
GB2512830B (en) * 2013-04-08 2017-05-24 Innovative Tech Ltd Coin validation apparatus
JP6047716B2 (ja) * 2014-01-21 2016-12-21 株式会社大都技研 遊技台
CN105654614A (zh) * 2014-11-10 2016-06-08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硬币输送通道及使用该通道的硬币处理装置
KR101696890B1 (ko) 2015-04-21 2017-01-16 김춘호 회전식 오거드릴
TWI738685B (zh) * 2015-12-01 2021-09-11 日商富士電機股份有限公司 硬幣處理裝置
JP6638485B2 (ja) * 2016-03-11 2020-01-29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CN105809803B (zh) * 2016-05-23 2018-08-10 河北工业大学 一种硬币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8683A (ja) 1983-05-13 1984-11-27 グレイ・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イン選別機
KR20050023847A (ko) * 2003-09-03 2005-03-10 정진한 코인셀렉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6639A (en) * 1957-12-17 miller
US2073949A (en) * 1934-11-08 1937-03-16 Gilbert J Scofield Coin detector mechanism
US2230566A (en) * 1937-07-07 1941-02-04 Peerless Weighing & Vending Ma Coin-selecting mechanism
US2453437A (en) * 1944-12-11 1948-11-09 Wurlitzer Co Coin selecting device
US3586146A (en) * 1969-05-26 1971-06-22 Int Standard Electric Corp Coin operated apparatus and signalling system
CH655395B (ko) * 1982-03-04 1986-04-15
US4546868A (en) * 1983-03-25 1985-10-15 Patent Research Development Corporation Coin testing apparatus
JPH0642291Y2 (ja) * 1988-02-17 1994-11-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自動料金収受装置
JPH03171280A (ja) * 1989-08-23 1991-07-24 Fuji Electric Co Ltd 硬貨選別装置
JPH05282514A (ja) 1992-03-31 1993-10-29 Kyowa Giken Kk 硬貨・トークン選別器
JP2781495B2 (ja) * 1992-06-19 1998-07-30 アルゼ株式会社 コイン払出し装置
GB2323200B (en) * 1997-02-24 2001-02-28 Mars Inc Coin validator
JP3997031B2 (ja) * 1999-03-11 2007-10-24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選別装置の硬貨引抜き防止レバー
ES2160066B2 (es) * 1999-08-18 2002-07-16 Jofemar Sa Selector de monedas mejorado.
JP2001175912A (ja) * 1999-12-21 2001-06-29 Laurel Bank Mach Co Ltd 硬貨判別装置
US6508700B2 (en) * 2000-01-14 2003-01-21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Coin processing device
US6840366B2 (en) * 2002-06-28 2005-01-11 Comex Telecom Corporation Coin processing device
JP2005074098A (ja) * 2003-09-02 2005-03-24 Asahi Seiko Kk ディスク案内装置のディスク検知装置
JP4431732B2 (ja) * 2004-04-21 2010-03-17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セレクタ
JP3649728B1 (ja) * 2004-04-30 2005-05-18 株式会社ネット メダル選別装置の判定方法
JP2007164638A (ja) * 2005-12-15 2007-06-28 Asahi Seiko Kk コインセレ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8683A (ja) 1983-05-13 1984-11-27 グレイ・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イン選別機
KR20050023847A (ko) * 2003-09-03 2005-03-10 정진한 코인셀렉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75A (ko) 2008-01-16
US7661521B2 (en) 2010-02-16
TWI343549B (ko) 2011-06-11
CN101105872B (zh) 2010-12-15
CN101105872A (zh) 2008-01-16
US20080011578A1 (en) 2008-01-17
JP5044838B2 (ja) 2012-10-10
GB2440045A (en) 2008-01-16
TW200809701A (en) 2008-02-16
GB2440045B (en) 2009-09-30
GB0713398D0 (en) 2007-08-22
JP2008108221A (ja)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165B1 (ko) 코인 셀렉터
JP2008108221A5 (ko)
KR100897571B1 (ko) 가치매체 처리장치
JP5066674B2 (ja) コインセレクタ
JP2008117072A5 (ko)
JP2009193375A (ja) 価値媒体処理装置
JP5360343B2 (ja) コインセレクタ
JP4924000B2 (ja) 投入メダル選別装置及び遊技機
WO2006098047A1 (ja) コイン機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センサ
JP3547125B2 (ja) メダルセレクタ
JP5309965B2 (ja) 価値媒体処理装置
JP5109072B2 (ja) 価値媒体処理装置
JP2010072859A (ja) コイン判別装置におけるコイン画像取得装置、コイン画像取得装置を備えたコイン選別装置、及びゲーム機のコイン投入装置におけるコイン選別装置
JP2010097582A5 (ko)
JP4644773B2 (ja) ディスクの振分装置
JP2008276616A (ja) コインホッパにおける誤検知防止装置
JP4505592B2 (ja) コインセレクタのコイン検知装置の不正防止装置
KR101028446B1 (ko) 가치 매체 처리 장치
JP2012160087A (ja) コインセレクタ
JP5439658B2 (ja) 価値媒体処理装置における通路シャッタ
JP2012160087A5 (ko)
JP4072749B2 (ja) ディスクの案内装置
JP2008198106A (ja) コインセレクタ
JP5286498B2 (ja) コインホッパにおける誤検知防止装置
JP2008119163A (ja) 投入メダル選別装置及び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