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915B1 -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915B1
KR100864915B1 KR1020070043380A KR20070043380A KR100864915B1 KR 100864915 B1 KR100864915 B1 KR 100864915B1 KR 1020070043380 A KR1020070043380 A KR 1020070043380A KR 20070043380 A KR20070043380 A KR 20070043380A KR 100864915 B1 KR100864915 B1 KR 100864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lum
catabolic
mixed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미경
정현식
김기호
김영희
이수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생그린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생그린,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생그린
Priority to KR1020070043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매화 및 이화 혼합 식물 추출물은 머쉬룸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멜란 에이의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자유라디칼 소거능,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효과 및 히아루로니다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색소침착 억제, 노화 방지 및 주름완화를 위한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미백, 항산화, 매화, 이화, 피부노화, 주름완화

Description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mixed extract of Japanese apricot and pear blossom having anti-oxidative activity}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신체는 자외선 및 유해한 외부물질에 노출되어 있어 그에 대항하기 위해 자연 치유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런 능력의 일종으로 세포의 중요한 치유시스템인 엔도시토시스 프로세스, 인체를 수호하는 면역활동의 주역인 백혈구, 그리고 유해 라디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멜라닌 생성, 그리고 수퍼옥사이드를 제거하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연 치유능력 중 과잉 반응으로 인해 신체에 해를 입히기도 한다. 그 중 하나가 면역기구의 과잉반응인데 동물의 털이나 먼지, 꽃가루 같이 번식하지 않는 이물질들에 대해 지나친 면역반응을 보이도록 판단을 내리면 과민성질환(알레르기)을 초래하기도 하고, 지나친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싸이토카인이나 호르몬, 활성 산소종에 의해 피부의 색소침착 이 과도하게 생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원인 중 특히 활성산소종들은 피부 세포 및 조직 손상을 주도하여 노화, 특히 피부노화의 원인 물질로 작용하고 있다. 이들은 항산화 효소와 비효소적 항산화제들로 구성된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함으로써 산화제/항산화제 균형을 산화 상태쪽으로 기울게 한다. 그렇게 계속된 산화적 스트레스는 피부 과잉 색소침착,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간질 성분을 파괴시키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 탄력 섬유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히아루론산 사슬의 절단, 멜라닌 생성반응 촉진, DNA 산화와 같은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야기시킨다. 결국에는 탄력감소, 주름살 및 기미, 주근깨 등으로 특징 지워지는 피부노화가 가속화된다.
따라서 피부과잉 색소 침착 및 노화 방지를 위해서는 과잉의 활성 산소종 생성을 억제하고 또한 생성된 활성산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이 화장품의 처방에 반드시 포함될 필요가 있다. 즉, 산화제/항산화제 밸런스가 유지되는 피부의 항산화 방어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생체 내에서 산화제 공격과 항산화제 방어는 밀접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방어는 필연적으로 완벽하지 못하다. 따라서 생체 구성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핵산 등의 생체분자들은 산화제인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에 의해 계속적인 산화적 손상을 받으며 이들 산화반응 산물들은 나이와 더불어 축적된다. 산화제에 유리한 이러한 불균형이 노화 그 자체의 원인이 된다는 학설이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설이다.(Harman, Brunk et al. pp1596-1992, 1992)
강한 산화제인 자유라디칼은 짝이 없는 전자이다. 자유라디칼은 다양한 생 물체의 산화 환원 반응에서 생성되며, 식용유지의 변질 또는 여러 생체물질(지질, 단백질, 핵산, 탄수화물)에 산화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돌연변이가 일어날 수 있다 (Yen GC et al., J. Agric. Food Chem ., 43, pp27-32, 1995). 생체막 구성성분인 인지질의 불포화지방산은 활성산소종과 같은 자유라디칼에 의해 과산화 반응이 개시되며 또한 연쇄적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자유라디칼에 의한 과산화반응은 세포막의 투과성을 항진시킬 뿐 아니라 전반적인 세포독성을 초래하여 노화현상이나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질환의 병리현상을 유도하여 발암과정에도 관여한다.
라디칼 작용은 기미, 주근깨를 비롯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환인 아토피성 질환, 암, 고혈압, 심근경색, 동맥경화, 류머티스, 백내장, 파킨슨씨병 등 여러 가지 만성질환의 진행에 많은 영향을 주며 (De Souza LC et al., Bioorg . Med . Cehm . Lett ., 14, pp5859-5861, 2004), 면역계 기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Pike J et al., Int . J. Vitam . Nutr . Res ., 65, pp117-120, 1995).
DPPH는 여러 가지 자연적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의 측정에 많이 이용되는 안정적인 자유라디칼이다 (Yokozawa T et al., Biochem . Pharmacol ., 56, pp213-222, 1998). 항산화 즉, DPPH에 전자나 수소이온을 전달하는 DPPH와의 상호작용으로 자유라디칼의 성질을 중화시킨다. 크산틴 산화효소 (Xanthine oxidase, XO)는 퓨린 크산틴 (purines hypoxanthine)과 크산틴 (xanthine)을 산화시켜 요산 (uric acid) 형성하는 효소로써 통풍으로 알려진 질환의 원인이기도 하다. 통풍은 관절부위에 요산의 침착으로 동통을 동반한 염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크산틴 산화효소의 저해는 통풍을 진정시킨다(Chiang et al., Journal of Enzyme Inhibition, 8, pp61-71, 1994). 크산틴 산화효소는 살아 있는 세포에서 산화적인 손상에 작용되는 산소 파생 자유라디칼의 생물학적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산화적인 손상은 염증, 동맥경화, 암 그리고 노화를 포함한 많은 병리학적 질환을 일으킨다(Cos P et al., Journal of Natural Products, 61, pp71-76, 1998). 크산틴 산화효소의 저해는 통풍이나 다른 크산틴 산화효소-유도 질환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증명되었다(Goodman Gilman A et al.,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eighth edition), pp 674-681, 1990).
자유라디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협동적인 방어시스템은 산화를 저해시키는 영양소와 효소를 가지고 있다 (Halliwell B, Annu . Rev . Nutr ., 16, pp33-50, 1996). 산화적인 스트레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항산화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De Souza LC et al., Bioorg . Med . Cehm . Lett., 14, pp 5859-5861, 2004). 따라서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예방하기 위한 대체 물질의 항산화적인 평가는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일반 화장품, 의약품, 식품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색소침착 억제와 활성산소를 소거시키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이 많이 알려져 있지만 합성품으로 장기간 인간의 피부에 적용할 경우 안전성이 문제화되므로 사용이 제한된다. 천연물은 색소침착 억제와 활성산소 소거 효과가 약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사람의 피부에 대해서는 안전성이 보증된다 (대한화장품 학회 제 23권 1호 피부노화와 항산화제, pp.75, 1997).
매화나무(Prunus mume SIEB. et ZUCC)는 벗나무과에 속하며, 잎지는 작은 큰키나무이다. 달걀 모양의 잎이 어긋나게 붙으며, 이른봄 잎이 나기 전에 희색 또는 붉은색 꽃이 핀다. 열매는 둥글고 여물면 노란색을 띤다. 동의치료에서는 청량성 수렴약, 설사멎이약, 열내림약, 기침약, 가래약으로 사용하였으며, 주로 배아픔, 구토, 설사 등에 사용한다. 주요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탄닌, 글루코스 등이 들어있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 pp358, 1984, 일월서각)
이화는 장미과 식물인 백리(白梨; Pyrus bretschneideri Rehd.), 돌배나무(沙梨; Pyrus pyrifolia(Burm.f. Nakai.)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Max.)의 꽃을 말한다. 백리는 중국 북부에, 돌배나무는 우리나라의 전국 각지와 중국 장강 및 주강 유역에 분포하고, 산돌배나무는 우리나라 전국의 산지와 부락 근처 및 중국의 동북, 하북, 산동, 산서, 섬서, 감숙 등 지역에 분포된다.
백리는 낙엽성 교목으로 개화기는 4월, 결실기는 9월이다. 원식물의 뿌리(梨樹根), 가지(樹皮), 잎(梨葉), 과피(果皮; 梨皮)도 약용된다. 약물의 성질은 달고 약간 시며, 약간 차다. 폐경, 위경에 들어가며, 효능은 열병으로 진액이 손상되어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을 일으킬 때 쓰고, 소갈증에 갈증을 멈추게 하며, 발열 및 해수에 해열, 진해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응용은 열병진상번갈, 소갈, 폐열해수, 각혈, 토혈, 열격, 반위, 변비를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양 의학 대사전, 8, p166, 1999)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매화 및 이화를 혼합한 조성이 피부 색소침착 억제와 노화, 주름 완화 효과를 나타낸다는 교시나 개시된 바는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매화와 이화를 혼합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고자 한다.
종래의 산화 방지 효과를 갖는 원료 중 BHT나 BHA는 화학적 합성을 통해 만든 것으로 피부 자극을 유발하여 사용량을 제한한다. 천연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은 물이나 열, 공기 중에 불안정하여 산화가 잘되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지용성 비타민류중의 하나인 토코페롤도 지용성이기 때문에 수용성 매체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새로운 기능성 물질들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해서 시도되어져 왔다. 예로부터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여러 가지 자연의 천연물 등은 안정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유익한 약효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어 좋은 검색대상이 되어 오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매화 및 이화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머쉬룸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melan-a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자유라디칼 소거능,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효과 및 히아루로니다제 활성 억제 효과 실험을 통해 피부 미백과 노화 방지 그리고 주름완화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색소 침착 억제, 노화 방지 및 주름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매화 및 이화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화 및 이화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노화방지 및 주름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화 및 이화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노화 방지 및 주름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포함한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에탄올 혼합용매로부터 가용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에서 정의되는 매화는 벚나무과인 매화나무(Prunus mume SIEB. et ZUCC)의 꽃을 포함하고, 이화는 장미과 식물인 백리(白梨; Pyrus bretschneideri Rehd.), 돌배나무(沙梨; Pyrus pyrifolia(Burm.f. Nakai.)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Max.) 또는 서양배나무(Pyrus communis Linn. var. sativa. DC.), 바람직하게는 서양배나무(Pyrus communis Linn. var. sativa. DC.)의 꽃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 식물 추출물의 배합 중량비로는 매화 : 이화의 중량비가 1~ 10 : 1 ~ 5 가 바람직하고, 1 ~ 5 : 1~ 4의 중량비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혼합 식물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매화 및 이화의 건조 중량비에 대하여 추출용매로서 정제수를 포함한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군으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용매를 1 내지 30배 부피량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배 부피량을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의 추출 온도에서 1내지 30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법으로 1 내지 7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회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 추출물을 액상의 중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의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백분율로 포함한다.
또한 농축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의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의 중량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의 중량 백분율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매화 및 이화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색소침착 억제, 노화 방지 및 주름 완화용 피부외용 약 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외용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매화 및 이화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색소침착 억제, 노화 방지 및 주름 완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피부 색소침착 억제, 노화 방지 및 주름 완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으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매화 단일 추출물 ( BL -1)의 제조
건조된 매화 (광양 매실 영농 조합) 1 kg에 70% 에탄올 5 kg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5일간 침척추출한 후 25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50℃의 수욕상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농축하여 분말 형태의 매화 단일 추출물 (BL-1) 39.5 g을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이화 단일 추출물 ( BL -2)의 제조
건조된 매화를 이화 (충남 천안시 병천 소재 재배 농가)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분말 형태의 이화 단일 추출물(BL-2) 39.8 g을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 BL -3)의 제조
건조된 매화 1 kg을 건조된 매화 0.5 kg 및 이화 0.5 kg으로 혼합하는 것으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 추출물 (BL-3) 39.9 g을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 BL -4)의 제조
건조된 매화 1 kg을 건조된 매화 0.67 kg 및 이화 0.33 kg으로 혼합하는 것으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 추출물 (BL-4) 40.3 g을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5.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 BL -5)의 제조
건조된 매화 1 kg을 건조된 매화 0.75 kg 및 이화 0.25 kg으로 혼합하는 것으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 추출물 (BL-5) 40.0 g을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6.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 BL -6)의 제조
건조된 매화 1 kg을 건조된 매화 0.8 kg 및 이화 0.2 kg으로 혼합하는 것으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 추출물 (BL-6) 40.2 g을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7.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 BL -7)의 제조
건조된 매화 1 kg을 건조된 매화 0.33 kg 및 이화 0.67 kg으로 혼합하는 것으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 추출물 (BL-7) 39.9 g을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8.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 BL -8)의 제조
건조된 매화 1 kg을 건조된 매화 0.25 kg 및 이화 0.75 kg으로 혼합하는 것으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 추출물 (BL-8) 40.0 g을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9.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 BL -9)의 제조
건조된 매화 1 kg을 건조된 매화 0.2 kg 및 이화 0.8 kg으로 혼합하는 것으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 추출물 (BL-9) 40.1 g을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0.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 BL -10)의 제조
건조된 매화 0.8 kg 및 이화 0.2 kg을 혼합하여 정제수 5 kg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5일간 침적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4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상기 추출물을 50℃의 수욕상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농축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 추출물 (BL-10) 51.3 g을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1.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 BL -11)의 제조
건조된 매화 0.8 kg 및 이화 0.2 kg을 혼합하여 30% 함수 부틸렌 글리콜 5 kg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5일간 침적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추출액 (BL-11) 4.02 kg을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 BL -12)의 제조
건조된 매화 0.8 kg 및 이화 0.2 kg을 혼합하여 30% 에탄올 5 kg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5일간 침적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시켰다. 상기 추출물을 50℃ 수욕상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농축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 추출물 (BL-12) 50.2 g을 얻었고 이를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 BL -13)의 제조
건조된 매화 0.8 kg 및 이화 0.2 kg을 혼합하여 80% 함수 글리세린 5 kg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5일간 침적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시켜 혼합 추출액 (BL-13) 3.97 kg을 얻었고 이를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4.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 BL -14)의 제조
건조된 매화 0.8 kg 및 이화 0.2 kg을 혼합하여 부틸렌 글리콜 5 kg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5일간 침적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시켜 혼합 추출액 (BL-14) 3.86 kg을 얻었고 이를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5.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 BL -15)의 제조
건조된 매화 0.8 kg 및 이화 0.2 kg을 혼합하여 95% 에탄올 5 kg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5일간 침적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시켰다. 상기 추출물을 50℃ 수욕상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농축하여 분말 형태의 혼합 추출물 (BL-15) 28.9 g을 얻었고 이를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6.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 BL -16)의 제조
건조된 매화 0.8 kg 및 이화 0.2 kg을 혼합하여 30% 함수 프로필렌 글리콜 5 kg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5일간 침적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시켜 혼합 추출액 (BL-16) 4.01 kg을 얻었고 이를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자유라디칼 소거 효능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16의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Y. Fugita et al., Yakugak Zasshi, 108, p129, 1988).
0.2 m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용액 0.5mL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16의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1mL을 첨가하였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액 A를 520nm에서 최대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군 색보정인 A'는 DPPH대신 95% 에탄올을 동량 사용하였고, 대조군인 B는 DPPH 대신 에탄올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의 색보정인 B'는 시료대신 용매, DPPH대신 95% EtOH을 동량 첨가하였다. 각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는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 [1-(A-A')/(B-B')] x 100
추출물 SC 50 (ug/mL)
BL-1 39.78
BL-2 96.41
BL-3 37.86
BL-4 35.20
BL-5 10.12
BL-6 41.20
BL-7 65.86
BL-8 75.27
BL-9 92.04
BL-10 1001.75
BL-11 100.87
BL-12 28.01
BL-13 530.92
BL-14 819.38
BL-15 20.69
BL-16 151.28
실험결과, 상기 표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BL-5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 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머쉬룸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능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16의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의 머쉬룸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A. Vanni, Annali di Chimica, 80 , p35, 1990).
0.1 M 포타슘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6.8) 1.0 ㎖, 0.3 ㎎/㎖ L-티로신 수용액 1.0 ㎖, 1,250 U/㎖ 머쉬룸 티로시나제(SIGMA, T-7755) 0.1 ㎖를 혼합한 후 여기에 시료용액을 농도에 따라 각각 0.2 ㎖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효소반응을 진행시키고, 양성대조군으로 알부틴(바이오랜드 사)을 사용하였다. 반응 용액의 흡광도를 480 nm에서 측정하였다. 실험군 색보정인 A'는 티로시나제 대신 완충용액을 동량 사용하였고, 대조군인 B는 시료 대신 용매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의 색보정인 B'는 시료대신 용매, 티로시나제 대신 완충용액을 동량 첨가하였다. 각 추출물의 머쉬룸 티로시나제 활성억제 효과는 하기 수학식 2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머쉬룸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 (%) = = [1-(A-A')/(B-B')] x 100
추출물 IC50 (μg/㎖)
BL-1 206.59
BL-2 299.01
BL-3 197.46
BL-4 195.02
BL-5 84.57
BL-6 210.21
BL-7 228.05
BL-8 289.42
BL-9 291.68
BL-10 >600.00
BL-11 307.00
BL-12 133.52
BL-13 464.52
BL-14 550.85
BL-15 85.29
BL-16 339.41
실험결과, 상기 표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BL-5와 BL-15 추출물의 머쉬룸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멜란 -에이( melan -a) 세포를 이용한 세포 생존율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16의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의 멜라닌-에이(melan-a, St. George's University로부터 분양, 영국)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Maeda and Fukuda, J. Soc . Cosmetic Chem., 42 , 361, 1991).
멜란-에이(melan-a) 세포를 10% 소혈청(GIBCO, 미국), 1% 항생제(GIBCO, 미국), 200nM TPA (Tetradecanoyl phorbol acetate, 시그마사, 미국)가 첨가된 RPMI 1640 배지 (GIBCO, 미국)에 1×105 세포의 밀도로 24웰 배양접시에 접종하고 하루 동안 10% CO2, 37℃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으며, 모든 농도에 따른 웰 수는 3배수로 준비하였다. 3일 후 배지를 제거하였고, 0.25 ㎎/㎖의 MTT (3-[4,5- 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그마사, 미국)를 1.0 ㎖ 처리하여 37℃에서 4시간 반응시켰고, MTT를 제거한 후 DMSO (Dimethylsulfoxide) 1.0 ㎖을 첨가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인 B는 시료대신 용매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 (%) = (A / B) × 100
추출물 실험농도 (μg/㎖) 생존율 (%)
BL-1 10 101.15
100 100.80
BL-2 10 100.87
100 101.64
BL-3 10 100.02
100 103.56
BL-4 10 105.68
100 105.66
BL-5 10 100.41
100 96.95
BL-6 10 109.42
100 102.41
BL-7 10 100.86
100 100.53
BL-8 10 106.81
100 110.51
BL-9 10 101.33
100 106.41
BL-10 10 103.58
100 102.15
BL-11 10 103.11
100 109.62
BL-12 10 99.64
100 103.18
BL-13 10 98.18
100 102.61
BL-14 10 103.28
100 106.24
BL-15 10 105.62
100 101.51
BL-16 10 106.21
100 101.08
실험결과, 상기 표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모든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멜란 -에이( melan -a)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16의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의 멜란-에이(melan-a)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Maeda and Fukuda, J. Soc . Cosmetic Chem., 42 , 361, 1991).
멜란-에이(melan-a) 세포를 10% 소혈청, 1%의 항생제와 200nM TPA를 첨가한 RPMI 1640 배지에 1×105 세포의 밀도로 6웰 배양접시에 접종하고 하루 동안 10% CO2, 37℃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접종한 웰 배양접시는 멜라닌 생합성량과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두 세트를 준비하였다. 1일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새로운 배지로 갈아준 후 시료를 농도별로 웰에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으며, 모든 농도에 따른 웰 수는 3배수로 준비하였다. 3일 후 멜라닌 양을 측정할 세트의 세포는 PBS로 세척 후 1N 수산화나트륨 0.5 ㎖을 처리하여 1.5 ㎖ 튜브로 수거하고 초음파 분쇄(sonication)하여 완전히 멜라닌을 용해한 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 세트는 MTT를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 생성량을 세포수로 나누어 단위 세포당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 (%)을 구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율 (%) = [(A-B)/A] × 100
A : 세포 생존율 B : 생성된 멜라닌 생성량을 세포수
추출물 실험농도 (μg/㎖) 저해율 (%)
BL-1 10 7.05
100 30.64
BL-2 10 5.23
100 42.08
BL-3 10 8.69
100 58.64
BL-4 10 9.54
100 60.49
BL-5 10 15.67
100 68.46
BL-6 10 6.59
100 50.46
BL-7 10 5.94
100 48.21
BL-8 10 5.36
100 47.99
BL-9 10 5.33
100 42.61
BL-10 10 0.29
100 30.85
BL-11 10 5.12
100 40.69
BL-12 10 10.59
100 61.74
BL-13 10 5.00
100 38.94
BL-14 10 4.01
100 30.59
BL-15 10 12.18
100 65.99
BL-16 10 5.06
100 39.86
실험결과, 상기 표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BL-5 추출물이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16의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의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Ohkawa et al ., Anal . Biochem . 95 , pp.351, 1979).
2% 리놀렌산 20uL, 0.5M 글리신-염산(glycine-HCl)버퍼(pH 3.6) 160uL, 에탄올 640uL, 실시예 1 내지 16의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80uL, 정제수 588uL, 30mM 염화제이철(FeCl3 ) 32uL 및 1.5% TBA 80uL를 넣어 잘 혼합한 후 끓는 물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얼음물에서 냉각한 후 증류된 액만큼 정제수로 보충하고 혼합하였다. n-부탄올을 1,600uL를 넣어 잘 혼합한 후 3,500rpm, 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부인 n-부탄올층을 취한 A를 534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놀렌산 대신 정제수를 20uL 넣은 색보정액을 A'라 한다. 그리고 대조군인 B는 매화 및 이화 혼합추출물 대신에 용매를 80uL 첨가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대조군의 색보정액인 B'는 시료와 리놀렌산 대신 시료의 용매와 정제수를 동일양 첨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각 추출물의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는 하기 수학식 5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 = [1-(A-A')/(B-B')] x 100
추출물 IC50 (ug/mL)
BL-1 321.68
BL-2 398.99
BL-3 245.57
BL-4 191.11
BL-5 102.72
BL-6 391.64
BL-7 348.29
BL-8 361.15
BL-9 375.06
BL-10 2051.47
BL-11 507.19
BL-12 188.82
BL-13 909.00
BL-14 1001.21
BL-15 150.97
BL-16 301.28
실험결과, 상기 표 5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BL-5 추출물의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16의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James et al., Biochemistry , 35, pp.9090-9096, 1996).
0.267M 트리스(Tris)액을 pH 8.0이 되도록 0.267M 염산(HCl)액으로 조정한 완충액 60㎕에 엘라스타제 기질 Succ-Ala-Ala-Ala-p-nitroanilide 표준품을 8.8mM로 한 기질액 20㎕, 상기 실시예 1 내지 16의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 각 100㎕를 넣어 혼합하였고, 돼지 췌장 엘라스타제(Porcine Pancreatic Elastase) 표준품을 10㎍/㎖로 한 효소액 20㎕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25℃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파라-니트로아닐린(p-nitroaniline)의 생성량을 파장 410nm에서 흡광도 A를 측정하였다.
색보정인 A'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액 대신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의 시료 대신 용매 100㎕를 가지고 검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대조군으로 하여 그 흡광도 B를 측정하였고, 효소액 대신 완충용액을 20uL 넣었으며, 시료 대신 용매를 100㎕ 넣어 검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대조군의 색보정액으로 하여 그 흡광도 B'를 측정하였다.
각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효과는 하기 수학식 6으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엘라스타제 저해율(%) = [1-(A-A')/(B-B')] x 100
추출물 IC50 (ug/mL)
BL-1 193.81
BL-2 262.69
BL-3 132.12
BL-4 91.94
BL-5 55.26
BL-6 423.62
BL-7 531.68
BL-8 555.71
BL-9 605.99
BL-10 1222.35
BL-11 553.92
BL-12 83.14
BL-13 903.48
BL-14 971.74
BL-15 62.55
BL-16 353.68
실험결과, 상기 표 6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BL-5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히아루로니다제 활성 억제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16의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의 히아루로니다제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Reissig et al ., J. Biol . Chem . 217, pp.959-963, 1955).
7,900units의 히아루로니다제 50uL와 실시예 1 내지 16의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 100uL를 넣어 37℃의 수욕상에서 20분간 방치한 다음, 12.5mM 염화칼슘(CaCl2 ) 100uL를 넣고, 37℃의 수욕상에서 20분간 방치하였다. 기질인 소듐 히아루론산을 250uL 넣고, 37℃의 수욕상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0.4N NaOH 100uL와 0.4M 칼륨 붕산염(potassium borate) 100uL를 넣고 끓는 물에서 3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DMAB 용액을 3mL넣고, 37℃의 수욕상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액 A를 58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색보정인 A'는 히아루로니다제 대신 0.1M 아세트산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대조군인 B는 시료대신 시료의 용매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의 색보정인 B'는 시료대신 시료의 용매를, 히아루로니다제 대신 0.1M 아세트산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위와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각 추출물의 히아루로니다제 활성 억제 효과는 하기 수학식 7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히아루로니다제 저해율(%) = [1-(A-A')/(B-B')] x 100
추출물 IC50 (ug/mL)
BL-1 363.81
BL-2 414.29
BL-3 293.75
BL-4 201.68
BL-5 122.84
BL-6 703.42
BL-7 447.37
BL-8 553.31
BL-9 671.97
BL-10 2100.74
BL-11 533.08
BL-12 183.27
BL-13 903.44
BL-14 1034.81
BL-15 132.98
BL-16 563.65
실험결과, 상기 표 7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BL-5 추출물의 히아루로니다제 활성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보습 효과 측정 (1)
상기 BL-10 추출물에 대하여 Courage+Khazaka 사의 Corneometer CM 825 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피부질환이 없는 23~32세의 남녀 20명(남자 5명, 여자 1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으며, 각 대상들은 실험 전 실험부위를 물로 세정한 후 30분 동안 외적환경에 적응하였다. 실험 환경조건은 실내온도 20~22℃, 실내습도 20~25%로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시료를 각각 10uL씩 상완 내측 2× 2cm2로 도포하고 1분간 건조하였다. 그 후 각 도포부위에 정제수 20uL씩 도포하고, 크리넥스로 수분을 닦아낸 직후로 부터 1분 간격으로(0분, 1분, 2분, 3분, 4분, 5분, 6분, 7분, 8분, 9분, 10분) 각 도포 부위의 피부표면의 정전용량을 Corneometer(CM 825)로 측정하여 전도도(Conductance, %) 를 하기 수학식 8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전도도(%)= {(각 분당 5회 측정 평균 Cv값 - 시료적용 전 Cv값)
/ (시료 적용 직후 (0분) 측정된 값 - 시료적용 전 Cv값)} × 100
Figure 112007033415074-pat00001
실험결과, 상기 표 8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제수보다 BL-10 추출물의 보습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9. 보습 효과 측정 (2)
상기 BL-10 추출물에 대하여 Delfin사의 Vapometer SWL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20~30세의 여성, 20명을 피시험자로 하여 TEWL 측정을 실시하였다. BL-10 추출물과 정제수를 각각 20 uL씩 피시험자의 상완 내측 2cm × 2cm (4cm2)에 도포한 후 건조시켰다.
그 후 각 도포부위의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을 Vapometer (Delfin technologies Ltd.)로 1시간 단위로 6시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단위: g/m2hr)
Figure 112007033415074-pat00002
실험결과, 상기 표 9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제수보다 BL-10 추출물의 보습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유연 화장수
번 호 원 료 단위 (중량%)
1 BL-5 4.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글리콜 2.0
4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피마자유 0.5
5 에탄올 6.0
6 향료, 방부제, 색소 적량
7 정제수 잔량
합 계 100.0
제제예 2. 영양로션
번호 원 료 단위 (중량%)
1 BL-5 10.0
2 스쿠알란 4.0
3 유동파라핀 3.0
4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4.0
5 스테아린산 1.0
6 세틸알코올 1.0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5
8 폴리솔베이트 60 1.5
9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
11 글리세린 3.0
12 부틸렌글리콜 2.0
13 카보머 0.1
14 트리에탄올아민 0.1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16 정제수 잔량
합 계 100.0
제제예 3. 영양크림
번호 원 료 단위 (중량%)
1 BL-5 10.0
2 스쿠알란 5.0
3 유동파라핀 3.5
4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4.5
5 스테아린산 1.5
6 세틸알코올 2.0
7 밀납 1.0
8 바셀린 2.0
9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10 폴리솔베이트 60 1.5
11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1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5
13 글리세린 5.0
14 부틸렌글리콜 5.0
15 카보머 0.2
16 트리에탄올아민 0.2
17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18 정제수 잔량
합 계 100.0
제제예 4. 에센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BL-5 0.5
2 시토 스테롤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4 세라마이드 0.7
5 세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선플라우어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100.0
제제예 5. 친수성 연고제
번호 원 료 함량(중량%) 함량(중량%)
1 BL-5 0.5 -
2 BL-5 - 0.5
3 백색 바세린 250 250
4 스테아릴 알콜 220 220
5 에칠(또는 메칠)p-옥시벤조에이트 0.25 0.25
6 프로필렌 글리콜 120 120
7 라우릴 황산 나트륨 15 15
8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0.15 0.1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화 및 이화의 혼합 식물 추출물은 자유라디칼 소거능, 머쉬룸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 멜란-에이(melan-a)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효과 및 히아루로니다제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색소침착 억제,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완화를 위한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매화나무(Prunus mume SIEB. et ZUCC) 꽃 : 서양배나무(Pyrus communis Linn. var. sativa. DC.) 꽃이 1~10: 1~5의 중량비로 배합된 50 내지 90% 에탄올에 가용한 혼합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매화나무(Prunus mume SIEB. et ZUCC) 꽃 : 서양배나무(Pyrus communis Linn. var. sativa. DC.) 꽃이 1~10: 1~5의 중량비로 배합된 50 내지 90% 에탄올에 가용한 혼합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KR1020070043380A 2007-05-04 2007-05-04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64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380A KR100864915B1 (ko) 2007-05-04 2007-05-04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380A KR100864915B1 (ko) 2007-05-04 2007-05-04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915B1 true KR100864915B1 (ko) 2008-10-23

Family

ID=4017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380A KR100864915B1 (ko) 2007-05-04 2007-05-04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9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059B1 (ko) * 2009-06-30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15881A (ko) * 2010-08-13 2012-02-2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8774A (ko) * 2017-05-24 2018-12-04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꽃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CN114569512A (zh) * 2022-03-22 2022-06-03 厦门碱起来食品有限公司 一种青梅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917A (ko) * 1995-02-06 1996-09-17 김성녕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020043339A (ko) * 2000-12-02 2002-06-10 이재민 매실의 다알코올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040087644A (ko) * 2003-04-07 2004-10-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50045428A (ko) * 2003-11-11 2005-05-17 주식회사 생그린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917A (ko) * 1995-02-06 1996-09-17 김성녕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020043339A (ko) * 2000-12-02 2002-06-10 이재민 매실의 다알코올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040087644A (ko) * 2003-04-07 2004-10-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50045428A (ko) * 2003-11-11 2005-05-17 주식회사 생그린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059B1 (ko) * 2009-06-30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15881A (ko) * 2010-08-13 2012-02-2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09619B1 (ko) 2010-08-13 2017-02-28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8774A (ko) * 2017-05-24 2018-12-04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꽃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414390B1 (ko) * 2017-05-24 2022-06-30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꽃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CN114569512A (zh) * 2022-03-22 2022-06-03 厦门碱起来食品有限公司 一种青梅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29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6225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90762B1 (ko) 오크라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9756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8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0455A (ko)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한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40141A (ko)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4915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080107565A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2089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956A (ko) 오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9755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433628B2 (ja) 皮膚外用剤及び内用剤
KR100930592B1 (ko) 반대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JP5690149B2 (ja) 外用剤又は内用剤
KR102051581B1 (ko) 프리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7580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120880A (ko) 노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23128614A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ワレモコウ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内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