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952B1 -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밥솥 - Google Patents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952B1
KR100856952B1 KR1020040059983A KR20040059983A KR100856952B1 KR 100856952 B1 KR100856952 B1 KR 100856952B1 KR 1020040059983 A KR1020040059983 A KR 1020040059983A KR 20040059983 A KR20040059983 A KR 20040059983A KR 100856952 B1 KR100856952 B1 KR 100856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drawer
refrigerato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1266A (ko
Inventor
목영래
Original Assignee
목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영래 filed Critical 목영래
Priority to KR1020040059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9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02B1/06Devices with rotary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을 냉장 저장하는 쌀통과 자동 밥솥을 일체화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쌀 냉장고와 정수필터가 구비되고, 서랍 온장고와 냉장고가 구비되며, 본체 하부의 서랍으로 쌀을 간단하게 흡입할 수 있는, 밥 짓기에 관련한 모든 사항이, 하나의 가전제품으로 구성된 자동 밥솥으로서, 본체에서의 조작은 물론 외부에서 전화기로 조작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할 때 언제 어디서든 밥을 짓도록 제어가 가능한 자동 밥솥에 관한 것이다.
본체의 상부 중앙에 전화기가 포함된 LCD 컨트롤러(30)가 설치되고, 그 아래로는 본 발명이 진행하고 있는 작업에 관한 표시; 쌀 씻기 작업(43), 밥짓기 작업(42), 보온 작업(41) 등의 LED 표시가 점등된다. 그 아래에는 쌀통(100)에 남아있는 쌀 잔량 LED(40)와 서랍 식 밥솥의 서랍(540)의 개방을 허가하는 LED(61)가 내장된다. 작업 진행 표시용 LED(41,42,43)의 좌우에는, 냉수용 물 꼭지(607)와 온수용 물 꼭지(610)가 설치되어 언제든 식음이 가능하며, 그 아래에 서랍 냉장고(541)와 서랍 온장고(542)가 설치되어, 냉장 저장을 필요로 하는 음식물과 보온 보관을 필요로 하는 음식물을 저장한다. 발명의 최 하단에는 쌀을 저장하기 위한 쌀 흡입용 서랍(170)이 구성되어, 이 서랍을 개방한 후 쌀자루를 찢고, 찢은 부위를 열린 서랍에 거꾸로 안착하고 스위치를 누르면, 자동으로 쌀이 쌀 냉장고(100)로 이송되도록 구성하였으며, 그 위의 서랍(540)은 밥솥이 내장된 서랍으로 밥을 꺼낼 때, 혹은 밥솥을 착, 탈할 때 여닫는 서랍이 구성되었다.
요즈음의 식단은 인스턴트에 떠밀려 쌀 소비가 많이 줄어드는 추세이다. 본 발명이 활성화된다면 주부보다 컨트롤러 동작에 익숙한 아이들이 밥을 더 잘 지을 수 있어 쌀 소비 증대뿐만 아니라, 국민 건강에도 일조하리라 기대한다.
쌀 냉장고,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 쌀 세척용 날개, 홀 소자, 밥솥, 체인 기어

Description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밥솥{ The automatic rice kettle where the rice refrigerator is combined. }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 우측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쌀 이송장치 정면, 우측면사시도.
제4도는 쌀 이송장치의 90°코너 부분 사시도.
제5도는 쌀 이송장치의 와이어 장력 조절기 사시도.
제6도는 쌀 이송장치의 구동 장치 사시도.
제7도는 쌀 이송장치의 쌀 반출장치 세부도
제8도는 쌀 이송장치의 쌀 흡입 장치 세부도.
제9도는 쌀 흡입 장치의 서랍 및 쌀 이송장치 연결도.
제10도는 쌀통의 쌀의 양을 체크하는 레벨 추 및 구동장치 사시도
제11도는 쌀의 양을 체크하는 레벨 추의 동작도.
제12도는 레벨 추 구동부의 자석과 홀 소자의 세부도.
제13도는 레벨 추의 분해 구성도.
제14도는 레벨 추 구동부의 정면, 단면 사시도.
제15도는 레벨 추 센서의 전자제어 블록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쌀 세척기 정면 사시도
제17도는 쌀 세척기 측면 사시도.
제18도는 쌀 세척기의 상부 단면 사시도.
제19도는 쌀 세척기의 내부 단면 사시도
제20도는 쌀 세척기에 포함된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의 정면, 단면사시도
제21도는 밥물 조절장치의 내부 사시도.
제22도는 밥물 조절장치의 이동 길이 체크 위한 홀 소자의 위치도.
제23도는 밥물 조절장치의 구동장치 및 홀 센서 세부도.
제24도는 밥물 조절장치의 구동도
제25,26도는 밥물 조절장치의 물과 쌀 확인 위한 구동도.
제27도는 밥솥 뚜껑의 패킹제 정면 단면도.
제28도는 밥솥 뚜껑의 물 세척 상태도.
제29,30,31,32도는 압력 조절기의 내부 사시도 및 구동도.
제33도는 서랍 밥솥과 리프팅 시스템의 정면 사시도.
제34도는 리프팅 시스템의 체인 장력 조절장치 사시도.
제35도는 리프팅 시스템의 세부 구동도.
제36도는 서랍 밥솥과 리프팅 시스템의 측면 사시도.
제37도는 본 발명의 물 흐름 블록도.
제38도는 본 발명의 냉장 장치 블록도.
제39, 40도는 본 발명의 센서 장치 블록도.
제41, 42도는 본 발명의 제어 계통 블록도
제43-49도는 본 발명의 밥짓기를 위한 프로그램 순서도
제50-52도는 전화로 밥 짓기 예약을 위한 프로그램 순서도.
제53-56도는 쌀 레벨 추의 제어 프로그램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본체 10 : 서랍 냉장고
20 : 서랍 온장고 30 : 전화기가 포함된 LCD 컨트롤러
40 : 쌀 잔량 확인용 LED 100 : 쌀 냉장고
110 : 쌀 이송 파이프 111 : 쌀 이송 단추 와이어
112 : 90°쌀 이송 구동장치 120 : 단추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160 : 쌀 흡입, 인출 선택 조절장치 170 : 쌀 흡입용 서랍
171 : 플라스틱 서랍 내부 이동판 180 : 쌀 레벨 추 동력장치
200 : 쌀 레벨 추 300 : 쌀 세척기
301 : 쌀 세척 날개 305 : V 벨트
316 : 진동 소자 322 : 밸브 조절용 캠
330 : 쌀 배출 밸브 340 :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
345 : 막대형 영구자석 346 : 홀 소자
400 : 밥물 조절장치 401 : 물 흡입 라인
삭제
삭제
420 : 덮개용 원판 422 : 막대형 영구자석
430 : 밥물 조절 구동장치 고정대 434 : 반지형 16극 영구자석
삭제
454 : 원추형 밸브 463 : 고무 패킹
500 : 밥솥 504 : 스크류 축
505 : 서랍 밥솥 잠금 장치 527 : 체인 기어
528 : 체인 장력 조절장치 602 : 정수 필터
613 : 오수 저장탱크 630 : 콤프레셔
635 : 쌀통용 증발기 700 : MCU
삭제
본 발명은 쌀 냉장고와 정수필터가 구비되고 서랍 온장고와 냉장고가 구비되며, 본체 하부의 서랍으로 쌀을 간단하게 흡입할 수 있고 자동으로 쌀을 씻고 밥을 짓는 밥 짓기에 관련한 모든 사항이 하나의 가전제품으로 구성된 자동 밥솥으로서, 본체에서의 조작은 물론 외부에서 전화기로 조작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할 때 언제 어디서든 밥을 짓도록 제어가 가능한 발명이다.
사회적인 필요 조건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상품화가 안된 것은 밥 짓기가 간단한 일임에도 제어 수순이 복잡 난해하여, 가정용 보급을 위한 원가 등에 있어서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 된다. 일반적으로 밥을 짓기 위해서는 정량의 쌀을 준비하고 씻어야 하며 일정 시간 숙성을 하고, 씻은 쌀에 물을 적당량 부어 가스 혹은 전기로 밥을 해야 한다. 상기의 과정 중, 씻은 쌀에 적당량 물을 투여 하는 것은 기계가 하기에는 쉬운 과제가 아니며, 일상에서도 밥이 질게 혹은 되게 되었다는 푸념을 듣곤 한다. 기 등록된 특허 특1996-0004894의 경우 쌀을 씻는 장치에 대해서는 인정되나, 쌀에 대한 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것에 대해 저울을 이용한 방법을 주장 하였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치 도면이 제시되지 않았고 일정양의 쌀은 사용자가 직접 투여하고 또한 급 배수를 제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고번호 실1996-0010149에서는 상기의 특허보다 전 자동 측면에서는 진일보 하였으나 밥물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 혹은 쌀의 양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 밥솥의 덮개 부위를 어떻게 막아, 높은 온도에서 밥을 지을 것인가 등에 대한 상품화에 필요한 구체적인 제안이 부족한 듯 하다. 또한 본인이 기 출원한 특허 출원번호 1020040043239는 쌀통을 높은 곳에 장착하여 자루의 쌀을 부어 공급하고 쌀의 자연 낙하 방식을 유도하여, 저렴한 가격의 보급형으로 제안된 것으로 쌀을 쉽게 흡입하는 장치와 저장된 쌀의 높이를 측정하는 장치 그리고 쌀을 냉장 저장하는 장치가 없어, 편리하고 좋은 밥을 짓기 위한 조건들에 있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본체의 후면에 직접 냉각 방식으로 쌀을 저장하는 쌀 냉장고를 구비하고 본체의 맨 위쪽으로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설치하며 그 아래로는 찬물과 더운물을 저장하는 음수 저장 통을, 식음을 위한 수도꼭지와 연결 구성한다.
또한 쌀 냉장고에서 정량의 쌀을 인출 할 수 있도록, 홀 소자에 의해 측정 제어되는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가 구비된 쌀 세척기가 내장되어, 쌀 세척 날개와 진동 소자에 의해 쌀을 씻어 서랍 형의 착, 탈 가능한 밥솥에 쌀을 공급한다. 공급된 쌀은 밥물 조절 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밥의 형태에 맞는 밥물을 조정하고 상하 이동식 리프트로 밥솥을 밀폐하고 이동식 열원장치에 전기를 공급하여 밥을 짓는다. 압력밥솥의 기능을 갖춘 본 발명은 압력을 조절해 가며 밥을 지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서랍 온장고와 서랍 냉장고를 구성하고, 본체의 가장 하부에 쌀 흡입용 서랍 장치를 만들어, 자루의 쌀을 간단히 쌀 냉장고에 투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집에서 혹은 외부에서 전화로 밥을 지을 수 있도록 구성한 전자동 전기 밥솥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쌀 냉장고(100)와 평행한, 수직 구조의 쌀 이송 파이프(110)와 쌀 이송 단추 와이어(111) 그리고 90°코너(130) 및 90°쌀 이송 구동장치(112) 단추와이어 장력 조절장치(120)로 구성된 쌀 이송장치를 구성하여, 플라스틱 서랍 내부 이동판(171)이 구비된 쌀 흡입용 서랍(170)과, 쌀 냉장고에서의 쌀 인출을 위한 쌀 흡입 인출 선택 조절장치(160)를 이용하여, 하나의 쌀 이송장치로, 외부의 쌀을 쌀 냉장고(100)로 혹은 쌀 냉장고(100)의 쌀을 쌀 세척기(300)로,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이에 상응하여 쌀 이송장치의 쌀 토출 장치도, 상기와 같은 선별적 운용으로, 쌀 흡입용 토출관(140)을 이용하여 쌀 냉장고에 투입하는 경우와, 쌀 토출용 슬라이드 본체(150) 및 리이드 파이프(159)를 이용하여, 쌀 세척기(300)로 공급되는 선택적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하나의 목적은, 직접 냉각 방식의 증발관으로 휘감기고, 단열재로 충진된 쌀 냉장고(100)의 쌀의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쌀 잔량 레벨기로서, 쌀 레벨 추 동력장치(180)와 쌀 레벨 추(200) 그리고 연결용 리이드 와이어(183)로 구분되어, 누적된 쌀에 놓이면 스프링(203)의 탄성에 의해 두 접점(204,205)이 전기적으로 열리며, 공중에 뜨면 자체 무게로 두 접점(204,205)이 전기적으로 닫히는 쌀 레벨 추(200)와, 2개의 홀 소자(193,194)를 구비하고 기어드모터(190)에 고정된 PCB(191) 및 기어드모터(190) 축(184)에 결합된 반지형 8극 혹은 16극 영구자석(192)과, 와이어(183)를 감고 풀기 위한 풀리(181)가 고정된 쌀 레벨 추 동력장치(180)로 이루어져, 프로그램과 연결하여 데이터 값에 의한 누적 량 비교 방식으로 도면53,54,55,56의 프로그램 순서도에 의해 쌀 냉장고 내부의 쌀 레벨 감지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하나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량의 쌀을 쌀 세척기(3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의 중심에, 기어드 모터(342)에 연결된 축(343)이 고정되며, 축(343)과 일정한 거리 및 일정한 각도비로 분할 타공된 8개의 토출구(341)를 구성하고, 이웃한 토출구(341)간의 2등분점의 원주 면에 원통형 영구 자석(345) 8개를 고정하여, 두 개의 홀 소자(346,347)로, 회전 속도와 토출구(341)를 통과한 숫자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량의 쌀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하나의 목적은,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가 계량하여 공급한 쌀을 씻기 위한 쌀 세척기(300)로서, 상부의 측면에 그릴형태(311)의 배수구(312)와, 바닥의 그릴형태(313)의 배수구(315)를 구비하고, 기어드모터(309)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4각 날개(301)와 진동소자(316)의 동력으로 쌀을 씻고, 밸브 조절용 캠(322)에 연결된 패킹(331)이 구비된 원뿔형 밸브(330)에 의해, 씻은 쌀을 밥솥(500)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하나의 목적은 기어드모터(438)에 연결된 렉기어(406)에 의해, 상하 왕복 운동을 하며, 모터 축(431)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16극 반지형 자석(434)에, 근접 설치된 2개의 홀 소자(436,437)에 의해, 이동 거리 인식이 가능하며, 상부에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409,410)에 의해, 솥(500)에 공급된 쌀의 양과, 물의 양을 확인하며, 이것에 기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밥(진밥, 된밥)을 지을 수 있도록, 밥물의 양을 조절하는 밥물 조절기로, 밥솥의 뚜껑(501)을 세척하며, 밥솥에 공급된 쌀의 양을 측정하고, 쌀과 물을 공급하는 뚜껑의 중앙 부위를 밀폐하는 3가지 기능의 세척용 분사체(414)가 포함된 덮개용 원판(420)과, 쌀 세척기(300)에서 공급된 쌀과 물 중에서, 쌀은 상기의 덮개용 원판(420)에 의해 측정되며, 물의 양은 원판의 위에 설치된 뜨게(411)로 확인되며, 뜨게(411)의 역할은 단지 밥솥(500) 안에 물이 얼마 만큼 공급되어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며, 밥물의 제어는 2개의 홀 센서(436,437)와 기어드모터(438)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16극 반지형 자석(434)에 의해, 프로그램으로 가능하며, 밥물 조절은 물을 얼마만큼 공급할 것인가가 아니라, 씻은 쌀이 밥솥(500)에 이만큼 있는데, 공급된 많은 물 중 얼마만한 수위로 물을 빼 줄 것인가 하는 것이다. 또한 밥솥 뚜껑(516)의 세척은 가압용 물 펌프(611)로부터 유입된 고압의 물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617)의 작동으로 프랙시블 호스를 통해 세척 수 유입용 파이프(403)로 유입되어 세척용 분사체(414)의 복수개의 원형으로 구성된 노즐(415)를 통해 밥솥 뚜껑(516)을 세척하며, 이때 밥물 조절기는 상하 운동을 반복하며 노즐(415)로부터 분사되는 일정 각도의 물줄기를 밥솥 뚜껑에 골고루 타격되도록 조절함으로써 가능하며, 상기의 밥물 조절 장치에 의해, 밥물 조절과 뚜껑 세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하나의 목적은 본체(1)의 정면에서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밥솥(500)이 거치된 서랍(540)과, 밥솥(500)의 리프팅 시스템으로서, 본체의 고정용 서포트(501)에 고정된 평면 프레임(510)에 수직으로 양 끝이 베어링(514,515)에 의해 고정되고, 축(504)의 하부에 체인 기어가 구성된, 4개의 스크류 축(504)의 회전으로, 스크류 축(504)과 맞물린 너트 구조의 이동틀(513)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는 열원장치 프레임(508)이, 서랍 틀(503)에 거치된 전열선이 매립된 보온재(502)와 밥솥(500)을 상승시켜, 밥솥 뚜껑(516)의 패킹제(443)에 밀착시키는 것으로, 기어드모터(511)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체인기어(525)는 어드저스트(528)와 연결된 어드저스트 체인기어(526)와 연계되어, 체인(509)의 장력을 조절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 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부(A), 측면부(B) 전면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직접 냉각 방식의 구조로, 쌀 냉장고(100)의 외부면에 증발관(635)을 휘감아 설치하고 단열재로 매설하여,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고, 이 쌀 냉장고(100)의 내부에는 쌀의 누적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쌀 레벨 추 동력장치(180)와 쌀 레벨 추(200)가 설치된다. 쌀 냉장고(100)의 안쪽 면에 접해 수직으로 설치된 쌀 이송 파이프(110)는, 외부에서의 쌀 흡입과, 내부의 쌀을 인출하는 선택이 가능한 쌀 흡입, 인출 선택 조절장치(160)가 하부에 설치되고, 파이프의 안쪽에는 금속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쌀 이송 단추 와이어(111)가 설치되어, 90°쌀 이송 구동장치(11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쌀을 흡입 혹은 인출한다. 쌀 이송 파이프(110)의 상부 측에는, 쌀 흡입 혹은 인출을 위한 토출구가 설치되어, 쌀 인출의 경우 쌀 세척기(300)와 연결된 관에 의해 쌀을 세척기로(300)투여한다. 본체의 가장 상층부에는 정수필터(602)를 통과한 정수된 물을 보관하는 정수물탱크(604)가 설치되어, 본 기기의 모든 물을 공급한다. 정수물탱크(604)에 연결된 물 펌프(611)는 쌀 세척기(300)에 높은 압력의 물을 공급하며, 쌀 세척기(300)에는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에 의해 정량의 쌀을 공급 받아, 내부의 쌀 세척 날개(301) 및 진동소자(316)의 회전과 떨림으로 쌀을 씻어 밥솥(500)에 쌀을 공급한다. 밥물 조절장치(400)가 밥솥의 상부에 설치되며, 밥솥(500)의 하부에는 밥솥(500)의 높이 조절과 밥을 짓기 위한 열원을 공급하는 리프트 열원장치 프레임(508)이 설치되어 상하 이동된다. 그 아래에는 쌀 흡입을 위한 플라스틱 서랍 내부 이동판(171)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쌀을 흡입 한다. 밥물 조절장치(400)의 좌우에는 서랍 냉장고(10)와 서랍 온장고(20)가 설치되어 밥과 반찬을 저장토록 하며, 그 위쪽에는 냉수저장 통(606)과 온수저장 통(609)에 연결된 냉수 물 꼭지(607)와 온수 물 꼭지(610)에 의해 식음이 가능토록 구성하였다. 이상은 도면1의 정면(A도면), 측면(B도면)의 전면 사시도 에 의한 위치상의 개괄적 구성 배치에 관한 설명이며, 각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면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관상의 외부 정면도로서, 본체의 상부 중앙에 전화기가 포함되고 LCD가 내장되며, 각종 제어용 버튼이 내장된 전화기가 포함된 LCD 컨트롤러(30)가 설치되고, 그 아래로는 현재 본 발명 물이 진행하고 있는 작업에 관한 표시로, 쌀 씻기 작업(43), 밥짓기 작업(42), 보온 작업(41) 등의 LED 표시가 점등된다. 그 아래에는 쌀 냉장고(100)에 남아있는 쌀의 잔량을 표시하는 LED(40)이며, 그 밑의 LED(61)는 밑에 위치한 서랍 밥솥의 서랍(540)의 개방을 허가하는 LED로서, 이 LED(61)가 점등되면 서랍(540)을 열 수 있도록 하였다. 작업 진행 표시용 LED(41,42,43)의 좌우에는, 냉수 물 꼭지(607)와 온수 물 꼭지(610)가 설치되어 언제든 식음이 가능하며, 그 아래에 서랍 냉장고(541)와 서랍 온장고(542)가 설치되어, 밥솥(500)에 남은 밥을 저장하며, 찌게 류, 기타 보온보관을 필요로 하는 음식물을 저장하며, 서랍 냉장고는 냉장저장을 필요로 하는 음식의 저장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물의 최 하단에는 쌀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가 서랍(170)으로 구성되어, 이 서랍을 개방한 후 쌀자루를 찢고, 찢은 부위를 열린 서랍에 거꾸로 안착하고 스위치를 누르면, 자동으로 쌀이 쌀 냉장고(100)로 흡입되도록 구성하였으며, 그 위의 서랍(540)은 밥솥이 내장된 서랍으로 밥을 꺼낼 때, 혹은 밥솥을 착, 탈할 때 여닫는 서랍이 구성되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쌀 이송장치의 정면(A도면), 측면(B도면) 사시도로서, 이 도면과 연계된 세부도면인 도면4,5,6,7,8,9 및 도면10을 연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부의 쌀 이송 파이프(110)의 양쪽에는 2개의 90°코너(130)가 위치하여, 쌀 이송 단추와이어(111)의 각도변화의 진행을 유도한다. 두 90°코너(130)의 중간에는 두 개의 쌀 토출장치가 위치한다. 하나는 쌀 세척기(300)에 쌀 투여를 위한 리이드 파이프(159)가 연결되어, 기어드모터(154)에 의해 열림과 닫힘의 선택이 가능한 쌀 토출용 슬라이드 본체(150)와 연결되며, 그 옆에는 쌀 이송 파이프(110)와 일치된 구멍 구조로 약간의 리이드 파이프가 구성되어 쌀이 떨어질 경우, 쌀 레벨 추 동력부(180)의 마이크로스위치(186)를 작동하기 위한, 구둣주걱 형태의 리이드 판(187)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쌀 흡입용 토출관(140)이 구성된다. 90°쌀 이송 구동장치(112)의 구동으로 쌀 이송 단추와이어(111)가 쌀 이송 파이프(110) 내부를 회전할 경우, 이 시스템에서는 2가지의 선택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하나는 본체의 하부에 위치한 서랍 형 쌀 흡입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이 쌀 흡입용 서랍(170)을 열고 쌀자루를 개방하여 거꾸로 이 서랍의 내부에 위치한 플라스틱 서랍 내부 이동판(171)에 쌀을 부으면, 이송장치의 최 하부에 위치한 쌀 흡입, 인출 선택 조절장치(160)의 외부 쌀 흡입이 선택되어, 외부의 쌀이 단추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쌀이 이송되어, 이송장치의 상부로 이동한다. 이때 쌀 토출용 슬라이드 본체(150)의 슬라이드(157)는 닫혀있는 상태로 쌀은 그대로 이동되어 쌀 흡입용 토출관(140)으로 이송되어, 이곳에서 쌀이 떨어지며, 떨어질 때 구둣주걱 형태의 리이드 판(187)을 뒤로 밀고, 이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186)가 작동하고, 이 시그널이 MCU에 전달되어 쌀 흡입이 진행되고 있음을 감지한다. 또한 이 감지에 의해 쌀 레벨 추(180)를 작동하여 쌀의 누적량을 본체(1)의 정면에 위치한 LED표시창(40)에 나타내며, 과도한 양의 쌀 흡입시에는 경고음을 발생하고 쌀 이송장치 시스템을 정지시킨다. 다른 또 하나의 작업은 밥을 짖기 위해 쌀 냉장고(100)내부의 쌀을 쌀 세척기(300)로 이송하는 작업으로서, 본체 하부의 쌀 흡입, 인출 선택 조절기(160)가 쌀 냉장고(100)의 쌀 인출용으로 선택되어 지며, 90°쌀 이송 구동장치(112)의 구동으로 쌀이 이송된다. 상부로 이송된 쌀은 쌀 토출용 슬라이드 본체(150)에 도달하며, 이 쌀 토출용 슬라이드 본체(150)는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하여, 쌀은 쌀 세척기(300)에 쌀 투여를 위한 리이드 파이프(159)를 통과하여 쌀 세척기로 이송된다. 또한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어 쌀 토출용 슬라이드 본체(150)를 비정상적으로 통과한 쌀이 있다면, 이것은 쌀 흡입용 토출관(140)에서 떨어져 다시 쌀 냉장고(100)으로 반환될 것이며 다시 90°쌀 이송 구동장치(112)로 유입되는 쌀은 거의 존재하지 않아, 쌀이 으깨지는 경우는 없을 것이다.
이하 도면4부터 도면9까지가 이 원리에 대한 본 발명의 세부도로, 부분별 설명은 아래와 같다. 도4는 이송장치의 90°코너(130)에 관한 것으로, 쌀 이송 단추와이어(111)의 흡입과 인출이 90°각을 형성하는 2개의 대칭구조가 결합한 플라스틱 혹은 금속재의 케이스(131)의 중앙에, 쌀 이송 단추와이어(111)의 90°진행 변화각을 리이드 할 수 있고, 단추의 원주면의 1/3이상이 매립될 수 있는 원판의 중앙부가 홈이 페인, 플라스틱 혹은 금속원판(132)의 중앙이 베어링(134)과 결합된 축(133)이 2개의 대칭된 결합 구조의 케이스(131)에, 와샤(137) 및 너트(135)로 고정되어 쌀 이송용 단추 와이어(111)의 진행 방향을 90°회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도면은 정면도이며, B, C도면은 측면도, D도면은 리이드 원판(132)과 그 결합을 위한 보조물의 세부도 이다. 도면5는 도면3의 A도면 좌측 하부 90°쌀 이송장치(112)의 위에 위치한, 쌀 이송 단추와이어(111)의 단추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120)로서, 이것은 최초 공장에서 제작과 사용 중 A/S에 필요하며, 제작 공정상, 사용 길이에 맞게 절단된 단추와이어를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면 느슨한 형태가 될 것이다. 이때 이 단추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120)를 풀어주면 쌀 이송 단추와이어(111)는 일정한 장력의 유지가 가능하며, 그 구조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2개의 삽입 가능한 파이프(123,124)를 이용하여, 기존의 쌀 이송파이프(110)에 연결토록 하는 연결 부재(125,126)를 연결하고, 직경이 다른 삽입 구조의 2개의 파이프(123,124)의 외측에 볼트스크류(121)와 너트(122)를 용접 결합하여 이 볼트스크류(121)를 잠그면, 이 단추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120)의 전체 길이가 작아져 쌀 이송 단추와이어(111)가 느슨해지며, 역 방향의 경우 반대현상이 일어난다. 도면6은 쌀 이송장치의 구동장치로, 쌀 이송 단추와이어(111)의 흡입과 인출이 90°각을 형성하는 2개의 대칭구조가 결합한 플라스틱 혹은 금속재의 케이스(112)의 중앙에, 단추 와이어(111)의 90°진행 변화각을 리이드 할 수 있는 단추의 원주면을, V자형 홈이 형성되고 단추와 단추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금속원판으로(114) 기어드모터(1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쌀 이송 단추와이어(111)를 회전시키는 90°쌀 이송 구동장치(112)이다. 도면7은 쌀 토출용 슬라이드 본체(150)의 세부도로서 외부의 쌀을 인출할 경우, 토출용 슬라이드(157)는 닫히며, 쌀통의 쌀을 쌀 세척기(300)로 인출할 경우는 열리는 구조로, 반 원통의 중앙 외부면에 랙기어(156)가 구성된 토출용 슬라이드(157)의 일측면에 리이드 "ㄱ"자형 막대(153)가 구성되어, 좌우에 위치한 마이크로스위치(151, 152)를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두개의 마이크로스위치(151,152)는 기어드 모터(154)의 회전 한계점으로, 만일 마이크로스위치(151)에 근접하여 마이크로스위치(151)를 작동하면 기어드 모터(154)는 멈추며, 다시 기어드 모터(154)가 구동될 때는 구동방향이 바뀌어 역회전하며, 이것은 MCU가 정,역회전 가능한 릴레이를 조작하므로 가능하다. 도면8은 쌀 이송장치의 쌀 흡입장치 세부도로서, 쌀 이송파이프(110)가 정 중앙을 관통하며, 수직 대칭으로 양쪽에 2개의 쌀 흡입구가 구성되어, 한쪽은 쌀 냉장고(100)의 최 하단부와, 그리고 한쪽은 서랍 형 쌀 흡입장치의 최 하단부(175)와 연결되어, 쌀 흡입(외부에서 쌀 냉장고로)과 쌀 토출(쌀 냉장고에서 쌀 세척기로)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제어 장치를 구성하였다. A도면은 단면사시도로서 쌀 이송파이프(110)가 서랍과 쌀 냉장고의 최 하단에 위치하며, 쌀 이송파이프(110)보다 내경이 크고 파이프의 일측면 구멍과 일치할 수 있는 사각의 홀이 구성된 원통형 슬라이드(163)의 외부면의 일측에, 기어드모터(162)의 구동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원형기어(161)에 맞물려진 기어를 포함하고, 기어의 양쪽 끝에는 마이크로스위치(164,165)를 작동할 리이드 돌기(169)를 갖는다. A도면은 쌀 냉장고에서 쌀을 흡입할 때의 상태로, 좌측의 마이크로스위치(164)가 닫힌 상태이며, 외부에서 쌀을 흡입할 때에는 우측의 마이크로스위치(165)가 닫힌 상태가 될 것이다. B도면은 정면 사시도로서, 쌀 이송파이프(110)의 외주면을 원통형 슬라이드(163)가 감싸며, 그 외주면에 쌀 냉장고(100)와 쌀 흡입용 서랍의 최하단과 연결된 쌀 흡입, 인출 선택 조절장치(160)의 사출 성형물이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C도면은 이 부분에서의 쌀 이송 파이프(110)의 2개의 사각홀의 정면, 단면도이며, D도면은 원통형 슬라이드(163)의 정면, 단면도이다. E도면은 쌀 냉장고(100)에서 쌀을 흡입할 때의 상태이며, F도면은 외부에서 서랍을 통해 쌀을 흡입하는 상태도이다. 도면9는 서랍 형 쌀 흡입장치의 서랍 및 이송장치 연결도로서, B도면은 플라스틱 내부 이동판(171)의 정면도로서, 쌀 흡입용 서랍(170)과 후면 가운데에 배출 홈(174)이 구성된 플라스틱 내부 이동판(171)과 4개의 서랍 연결대(172,173)로 구성되며, A도면과 C도면은 각각 좌우 측면도이다. D도면은 단면도로서 쌀 흡입용 서랍(170)에 결합된 4개의 좌, 우, 상, 하 서랍 연결대(172,173)와 배출 홈(174)이 구성된 플라스틱 내부 이동판(171)이, 쌀 흡입용 서랍(170))에 연결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된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175)은 쌀 흡입, 인출 선택 조절장치(160)에 고정되어 있다. E도면은 쌀 이송장치 파이프(110)와 연결된 서랍 형 흡입장치의 사시도이다.
삭제
삭제
도면10에서 도면15까지는 쌀 냉장고(100)의 쌀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쌀 잔량 레벨기로서, 쌀 레벨 추 동력장치(180)와 쌀 레벨 추(200) 그리고 연결용 리이드 와이어(183)로 구분된다. 쌀 냉장고(100)의 쌀의 잔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광 센서를 부착하여, 발광 후 수광되는 빛의 세기를 검출하여 잔량을 체크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 경우 쌀의 색깔 및 도정차이, 그리고 쌀에 혼합된 미세가루 등에 의해 오차의 여지가 크게 발생하여 본 발명에 맞지 않으며, 전체 무게를 체크하는 방식은 값비싼 로드셀을 장착해야 하고, 또한 증발관으로 휘감긴 쌀 냉장고(100)의 상하 움직임을 구성해야 하는 난제가 발생하며, 전체 발명물에 대한 로드셀 장착 방식은 물통의 물의 양, 혹은 사용자가 본 발명물의 상부에 이 물질을 올려놓아 본체에 합산되는 무게 값 등 오차의 범주가 많아, 본 발명물에는 쌀의 색깔 및 이물질의 포함에도 문제가 없으며, 간단히 제작 가능한 마이크로스위치 형태가 내장된 레벨 추를 상하 이동하며, 누적된 쌀의 양을 감지하는 간단한 기계장치와 프로그램이 접목된 방식을 구상하였다. 도면 10에서 보듯 쌀 레벨 추(200)를 상하 이동하는 쌀 레벨 추 동력장치(180)가 쌀 냉장고의 상부에 거치되며, 여기에는 리이드 와이어(183)를 일정 직경으로 감아주는 풀리(181)가 구동부의 구동축(184)과 결합되어 구성되며, 소형 풀리(182)가 와이어의 진행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변경하며, 쌀 레벨 추(200)가 최고점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185)와, 쌀이 흡입되고 있는지를 감지할 목적의 마이크로스위치(186)가 우측 하단에 구성된다. 쌀 레벨 추(200)는 일종의 마이크로스위치로서 A도면과 같이,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는 쌀 레벨 추(200)의 무게가 내부 용수철의 탄성력보다 커서, 전기적으로 닫혀있는 상태이며, B도면처럼 쌀 레벨 추(200)가 저장된 쌀 위에 놓여 질 때는 쌀 레벨 추(200)의 무게는 누적된 쌀로 힘이 분산되어 내부 용수철의 탄성력에 의해 양 접점은 분리되어, 전기적으로 열린 상태가 될 것이다. 이 접점의 닫힘과 열림 상태는 MCU에 시그널을 전달할 것이며, 이에 의해 쌀의 누적량이 체크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프로그램과 연결하여 데이터 값에 의한 누적량 비교 방식으로 도면53,54,55,56의 프로그램 순서도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도면 11은 쌀 레벨 추(200)의 이동 상황도이며 A도면은 마이크로스위치(185)가 닫힌 상태의 최고점 상황이며, B도면은 중간 이동 상태 그리고 C도면은 최저점 상태이다. 도12는 쌀 레벨 추(200)를 상하 이동하는 쌀 레벨 추 동력장치(180)의 구동부인 기어드 모터(190), 그리고 2개의 홀 소자(193,194)가 인서트되어 기어드모터(190)에 고정된 PCB, 및 기어드모터(190) 축(184)에 결합된 반지형 8극 혹은 16극 영구자석(192)과, 와이어(183)을 감고 풀기 위한 풀리(181)가 고정된 정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2개의 홀소자(193,194)에 의해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어, MCU에 의해 기어드 모터(190)가 가동됨과 동시에 회전량이 감지되는 형태로, 8극과 16극의 영구자석(192)의 차이는, 회전량 감지의 세밀성과 연결되며 16극의 경우 8극의 반지형 영구자석보다 2배의 미세 길이 측정이 가능하다. 도면13은 쌀 레벨 추(200)의 세부도 및 결합도로서, 쌀 레벨 추 동력장치(180)와 연결된 와이어(183)가, 방수가 가능하도록 도면과 같이 사출된 중심 축(201)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축(201)과 쌀 레벨 추(200)의 본체 사이에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고, 방수 가능한 프랙시블 형태의 연질 폴리에틸렌 재료의 원통형 필름(202)이, 중심축(201)과 본체(200)에 본드로 결합되어 이완/수축이 가능하여, 이물질이 투입될 수 없도록 구성하여, 중심축(201)과 쌀 레벨 추(200)가 상하운동이 자유롭도록 구성한다. 쌀 레벨 추(200) 내부에는 2개의 접점이 있으며, 하나는 고정용 반지형 접점(204)으로 쌀 레벨 추(200)에 고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이동용 반지형 접점(205)은, 상하 이동용 중심축(201)과 볼트(208)로 고정된 플라스틱 이형 사출물로, 중심축(201)과 동일한 상하 운동을 한다. 두 개의 접점 사이에는 스프링(203)이 매설되어, 쌀 레벨 추(200)가 공중에 떠있을 경우에는 전기적으로 닫힌 상태이며, 쌀 레벨 추(200)가 저장된 쌀 위에 안착되어 있을 때에는, 전기적으로 열린 상태를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며, 스프링의 탄성력은 쌀 레벨 추(200)의 무게와 관련한다. 쌀 레벨 추(200)의 하부에는 일자형 드라이버로 풀고 닫을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형 뚜껑(207)이 있으며, 뚜껑(207)과 쌀 레벨 추(200) 사이에는 반지형의 방수용 패킹제(206)가 구성되어, 물 혹은 이물질의 내부 침투를 막는다. 도면14의 A도면은 쌀 레벨 추(200)를 상하 이동하는 쌀 레벨 추 동력장치(180)로서, 우측의 성형판은 쌀 이송파이프(110)에 연결된 토출구(140)로부터 쌀이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스위치(186)의 작동을 보조하는 구둣주걱 형태의 리이드 판(187)과 고정핀(188)이다. B도면은 본체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로서 점선은 쌀 레벨 추(200)가 삽입 되는 삼각 원뿔 형태의 삽입 구조이며, 본체의 양끝에는 쌀 냉장고(100)의 윗부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쇠(189)가 구성되었다. 도면15는 쌀 레벨 센서의 전자 제어 블록도로서, 두 개의 마이크로스위치(185,186)와 쌀 레벨 추(200)의 접점 방식 센서와, 2개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 인식용 홀소자(193,194)가 내장되어, MCU에 내장된 프로그램 도면 53,54,55,56에 의해 쌀의 양을 인식하여, 쌀 레벨 표시용 LED(40)를 동작하도록 구성하였다.
삭제
도면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쌀 세척기 정면 사시도로서, 상부의 좌측에 쌀 세척 회전날개(301)의 구동부가, 우측에는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및 구동부가, 중앙에는 쌀 세척기의 본체 및 쌀 세척 회전날개(301), 진동자(316), 물 넘침 배출구(312)가 구성되며, 하부에는 쌀 배출용 벨브(330) 및 벨브의 캠 구동장치(320)가 구성되었다. 도면16부터 17,18,19,20은 상부에 언급한 본 발명물의 쌀 세척기의 세부 상세도로서, 서로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쌀 세척 회전날개(301)는 서로 90°각을 갖는 4개의 날개로, 날개의 상부에는 원형 고리 서포트(317)가 구성되어 4개의 날개를 축과 반지형 서포트(317) 두 지점에서 고정토록 구성하여, 물에 섞여진 쌀을 회전하는데, 구조적 보강을 하였으며 이 쌀 세척 회전날개(301)는 회전축(303)에 고정되어 회전한다. 회전축(303)의 날개 반대편의 상부에는 두 개의 베어링(308)으로 고정되며, 베어링(308) 사이에 V형 큰 풀리(304)가 설치되어, 기어드모터(309)의 축과 연결된 V형 작은 풀리(306)와 V벨트(305)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 받아 쌀 세척 회전날개(301)가 회전토록 한다. 회전속도는 60-100R.P.M.으로 저속 회전한다. 쌀 세척기(300)의 위에 고정되어 회전축(303)을 고정하고, 구동부와 쌀 계량부를 구성하여 고정할 사출성형물(302)은 쌀 세척기(300)의 중간 지점에 "+"자형으로 보조 써포트를 구성하여, 더욱 견고한 구성물이 되도록 한다. 도16의 우측 상단에 위치한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는 도면18 및 도면20과 연계하여 설명하면. 도면20의 B도면과 같이 8개의 대칭 구조의 홀(341)이 뚫어져 있으며, 홀(341)과 홀의 중간 원판 외주면에, 막대 영구자석(345)이 고정된 구조의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이, 기어드모터(342)의 축(343)과 연동하여 회전토록 베어링(344)으로 고정되고, 원판(345)과 일정한 거리(홀 소자가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는 거리)가 이격 되어, PCB(348)에 고정된 두 개의 홀 소자(346,347)가 측면에 고정되어, 쌀의 양을 계량하는 방식이다. 쌀 이송파이프(110)를 통해 쌀은 토출용 슬라이드 본체(150)를 통과하여, 쌀 세척기(300)에 쌀 투여를 위한 리이드 파이프(159)를 통과하여,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의 홀(341)을 통과하여 쌀 세척기(300)에 도달한다. 도면3의 A도면의 상부에서 보듯, 쌀 세척기(300)에 쌀 투여를 위한 리이드 파이프(159)의 길이가 충분히 길게 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쌀 이송파이프(110)내의 쌀은 고른 분포의 이송이 어렵다. 쌀 냉장고(100)하부에서 쌀 이송 단추와이어(111)의 이동에 따른, 쌀의 낙하운동으로, 저장된 쌀의 양과, 쌀의 건조도 및 쌀의 점도에 따라, 쌀이 자유낙하하는 시간적 요소가 다소 다르며, 이 결과로 쌀 이송 파이프(110)내의 쌀 이송은, 파이프의 위치에서 다소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런 관계로 본 발명은, 쌀 이송파이프(110)로부터 다소 긴 길이의 리이드 파이프(159)를 연결토록 하였으며, 이 리이드 파이프(159)안에 저장할 수 있는 쌀의 양은 1회분의 밥짓기(약10인분)가 가능한 양으로 한다. 이 리이드 파이프(159)의 쌀은 항상 충만한 상태로, 일정한 방식의 자유낙하 흐름을 가질 수 있으므로, 쌀의 흐름을 끊어주는 방식; 회전하는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의 홀(341)과 리이드 파이프(159)와 중첩되어 쌀이 통과되는 상태로의 계량이 가능하며, 이것은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의 회전속도와 리이드파이프(159)와 중첩되는 홀(341)의 숫자에 의해 쌀의 계량이 가능하다. 기어드 모터의 회전은 PWM(전력제어방식) 제어로 적은 토르크의 변화로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쌀 1인분의 많고 적음, 즉 사용자가 1인분의 쌀의 양을 100g/120g/140g등의 어떤 값을 설정하면, 데이터에 의한 그 값이 1인분으로 토출될 수 있는 회전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방식이며, 4인분/5인분/6인분 등의 몇 인분의 쌀의 양은, 리이드파이프(159)와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의 홀(341)이 중첩하는 개수로, 이것은 홀(341)과 홀(341) 사이에 원판의 외주면에 고정된 막대형 영구자석(345)의 자기력을 두 개의 홀 센서(346,347)가 같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가, 1인분의 통과지점으로 만일 6인분의 경우, 홀 센서의 인식이 6번 이루어진 지점까지 회전 후 멈춘다면, 6인분의 쌀이 쌀 세척기(300)로 투입되는 결과이다. 로드셀 방식에 비해, 정확도는 떨어지나, 밥을 하기 위한 쌀의 양은 애초부터 불확정성을 내포한 근접량으로, 적은 비용과 간단한 구조물에 의한 본 구성물은 유용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도면17은 도면16의 쌀 세척기(300)를 90°회전된 각도에서 본 사시도로서, 상부에 물 펌프((611)와 연결된 T형 이음관(351)과 2라인의 가지관(352)으로 연결되어, 2개의 가지관(352)의 끝 지점은 노즐 장치(350)가 구성되어 강한 물 분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쌀 세척기의 하부에는 2개의 초음파 진동소자(316)가 내장되어, 회전날개(301)에 의한 회전력의 쌀 씻음 장치와 더불어, 진동소자의 진동에 의해, 복합적인 쌀 씻기가 가능토록 하고, 또한 진동소자의 진동은 물에 담겨진 쌀을 부유시키는 효과가 있어, 회전날개(301)에 크게 무리가 가지 않으며, 단시간에 쌀을 씻을 수 있다. 쌀 세척기(300)의 위쪽에 원형으로 구성한 물 배출로(311)는, 씻기 위한 쌀에 정량의 물을 투입하여 쌀을 씻는 것이 아니라, 물은 과잉 공급되어 위로 넘치도록 구성한 것으로, 물 배출로의 안쪽의 물 배출구(311)은 그릴로 구성되어 있어, 쌀의 배출은 막고, 오직 물만 배출 되도록 하였다. 또한 도면 16의 쌀 세척기(300)의 하부에 위치한 물 배출구(313)의 윗부분 역시, 그릴로 구성하여 쌀이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막았다. 본 발명물의 쌀 세척기는, 정량의 쌀이 회전원판 계량기를 통과하여, 쌓이면, 물 펌프(611)를 가용하여 계속 물을 공급하며, 물 펌프 가동 후 일정 시간 후에 진동소자(316)을 가동하고, 일정 시간 후에 회전날개(301)를 가동하는 방식이며, 이때 물은 계속 공급된다. 또한 2개의 물 배출구중 아래에 위치한 배출구(313)는, 물 공급량에 비해 약 1/3의 배출 능력의 그릴이 매설된 배출구(313)로서, 물 공급 후 수초 후부터 배출이 일어나며, 상부에 위치한 물 배출구(311)는, 물이 세척기에 가득 고여 넘치는 형태의 배출로, 2개의 배출구를 갖춤으로써, 쌀에 함유된 작은 이물질 및 쌀이 아닌 쌀겨 등 물에 부유되는 물질은, 상부에 위치한 물 배출구(311)로 배출되고, 쌓여진 쌀을 통과한 작은 이물질이 포함된 물은 하부에 위치한 물 배출구(313)로 배수되어, 보다 단시간에 효율적인 쌀 씻기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16과17의 하부에 위치한 밸브장치는, 캠(322)을 이용한 밸브개폐 방식으로, 평상시 캠(322)의 가장 낮은 상태에 맞추어, 캠에 대응하는 밸브 이동축(323)의 옆면에 구성된 리이드 판(324)이 마이크로스위치(328)를 눌러, 전기적으로 닫힌 상태이고, 스프링(325)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가 닫히는 상태로, 삼각원뿔 모양의 밸브(330)의 하부에는 반지형의 패킹제(331)가 고정되어, 상기에 언급한 닫힌 상태에서는 물의 흐름이 전혀 없도록 구성하며, 쌀을 다 씻어 밥솥(500)에 배출할 때, 밸브 조절기의 구동용 모터(321)가 가동하며, 모터축에 고정되어 연동하는 캠 축의 가장 높은 부분에 접근하면, 마이크로스위치(327)가 닫힌 상태가 되며, 이때 모터를 정지 후 씻은 쌀을 배출한다. 배출하는 방법은 물 펌프(611)를 가동하여 씻은 쌀이 물과 함께 밥솥으로 흘러 들어가게 하는 것으로, 이때 회전날개(301)를 약간 가동하여, 쌀이 고르게 흘러 내려가도록 유도한다. 쌀이 다 배출된 시간은 실험에 의한 데이터 값에 따른 물 펌프 가용시간으로 결정되며, 프로그램 된다. 도면16의 B도면은 상부 측면의 물 배출구(311)의 도면으로 쌀 세척기(300)내부의 일정 폭의 내벽 전체가 그릴로 구성되어, 물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C도면은 쌀 세척기(300) 하부의 물 배출구(313)로 원형의 그릴을 구성한다. 도면17의 B도면은 씻은 쌀이 배출되는 곳의 단면도로서, 밸브 축(326)을 고정하며 씻은 쌀이 무리 없이 배출 되도록 구성한, "+"자형의 밸브 축(326) 고정용 사출 성형 형태이다. 도면18은 쌀 세척기(300)의 상부 단면도로서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 두 개의 홀 소자(346,347)가 인서트된 PCB의 고정, 2개의 물 공급용 관(352) 및 쌀 씻는 회전 날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309) 및 연결 기구(304,305,306)로 구성되어있다. 도면19는 쌀 세척기의 회전날개 밑에서 위로 바라본 단면도로서, 가장 외곽의 원은 쌀 씻은 물의 넘침에 의한 배출 장치의 배출구(311)로서, 물이 흐를 정도의 경사각을 구성하여 경사각의 최 하단에 배출구(318)가 조성되며, 이 배출구는 도면16의 하부 배출구(315)와 만나 오수저장탱크(613)로 자연낙하 방식으로 흘러 배출된다. 배출구(311)의 안쪽에 굵은 해칭으로 표시된 부분이 쌀 세척기(300)의 중간 높이 단면이며, 이곳에 "+"자형으로 접한 부분이 쌀 세척기(300)의 상부면과 하나의 사출물을 형성하는 회전날개 축 서포트(302)이다. 그 안쪽에 반지형의 고리는 회전날개와 연결되어, 축에서 먼 지점의 날개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반지형 서포트(317)이며, 이중 해칭된 +자형이 회전날개(301)이며, 중앙의 조그만 원은 회전날개(301)를 축(30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쇠이다. 도면20은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 세부도로, A도면은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의 홀(341)과 리이드 파이프(159)가 중첩되어 쌀이 흘러내릴 때의 상태도이며, C도면은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의 막대형 영구자석(345)과 홀 센서(346,347)의 회전 인식을 위한 구성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도면21,22,23,24,25,26,27,28은 밥물 조절장치와 밥솥 뚜껑(501)에 관련한 도면으로서, 상기의 도면을 연계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면 21은 밥물 조절장치 내부 사시도로서 밥물 조절장치는 크게 2개 장치로 구분하여, 하나는 피니언 기어(432), 16극 반지형 영구자석(434), 2개의 홀 소자(436,437), 피 구동부의 위치를 측정할 PCB(426)에 인서트된 3개의 홀소자(423,424,425)로 이루어져, 상하 구동의 구동 역할 및 센서 역할, 그리고 피 구동부의 가이드 역할을 하며, 본체에 고정된 뚜껑(501) 역할의 상부에 고정된다. 다른 하나는 상기의 피니언 기어(432)의 구동을 상하 왕복 운동으로 바꾸는 렉기어(406)가, 일측면에 구성된 플라스틱 사출 혹은 알루미늄 단조물로 이루어진 밥물 조절장치(400)로, 내부에 3개의 파이프 형 홀(401,402,404)이 구성되고, 여기에 2개의 파이프(403,405)가 매설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마이크로 스위치(409,410) 2개와 원통 혹은 막대형 영구자석(422)이 구성되어 있다. 우선 도면 23의 밥물 조절장치(400)의 상하 이동 제어 및 센서의 역할을 보면, 플라스틱 사출 혹은 알루미늄 단조물의 가이드 역할의 밥물 조절장치(400) 구동부 고정대(430)의 중간 높이의 일측면에, 밥물 조절장치(400)의 상하 구동의 구동역할인 구동용 기어드 모터(438)가 장착되고, 이 모터 축에는 밥물 조절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렉기어(406)를 구동할 피니언 기어(432)와 모터축(431)을 고정할 목적의 베어링(433), 그리고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감지할 목적의 반지형 16극 영구자석(434)이 고정되어, 모터 축(431)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할 것이다. 또한 반지형 16극 영구자석(434)과 밀접한 거리에 고정된, 홀 소자(436,437)가 인서트된 PCB(435)가, 이 자석(434)의 회전을 측정한다. 도면23의 B도면은 PCB(435)에 인서트된 2개의 홀 소자(436,437)와 반지형 16극 영구자석(434)의 설치 도면으로, 자석(434)이 회전하면 도면 23의 C도면의 가, 나 와 같이 시간적 딜레이 형의 파형이 각자 출력된다. 상기의 가, 나 파형을 합산하면 다와 라의 파형이 출력되며, 이것은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어 밥물 조절기가 상승하는지 하강 하는지를 확인하는 결과이다. 또한 16극 반지형 영구자석(434)이 1회전 한다면, C도면의 마와 같이 16개의 파형이 감지될 것이므로, 피니언 기어(432)와 렉기어(406)의 배율에 대비한다면, 1파형(1/16 회전)의 값이 몇 밀리미터 이동하는지의 데이터 값에 따라, 이동 거리의 명령이 가능할 것이다. 도면 22의 D도면에서 보듯, 플라스틱 혹은 알루미늄 단조물의 상부와 하부의 각각 4개소에는, 볼 베어링 구조(412)의 볼, 스프링 그리고 매립형 조절 볼트로 구성된 볼 베어링(412) 4개가 대칭적으로 마주보며, 단조물의 아래와 위쪽에 설치되어, 피니언 기어(432)와 렉 기어(406)의 구동에 의한, 기울어지는 현상을 막아 줄 것이다. 또한 도면 22의 A도면의 좌측과 같이, 단조물의 상부에 고정된 PCB(426)에 인서트된 3개의 홀소자(423,424,425)중, 2개의 홀소자(423,425)는 밥물 조절장치의 상한점과 하한점을 인식시켜, 더 이상의 구동을 막을 목적의 리미트 센서의 역할이며, 1개의 홀소자(424)는 상한점의 홀소자(423) 바로 아래 설치되는데, 이 홀소자(423)의 역할은 일종의 영점 조정기 역할로, 밥물 조절기의 이동 거리는 이 점을 기준으로 위로 12파형 이동, 혹은 아래로 270파형 이동 등의 영점 조정으로 활용되며, 이 점은 서랍 밥솥을 여닫는데 걸림이 없는 높이에 설치된다. 밥물 조절장치는 어떠한 작업 상태가 아닐 때에는 항상 이점에 멈추어 대기한다. 실제로 밥물 조절장치(400)가 밥물을 측정하는 것을 도면으로 설명하면, 도면 24의 A도면과 같이, 밥솥(500)이 일정 높이로 올라와 고정되면, 밥솥 뚜껑(501)을 세척하기 위해 가압용 물펌프(611)로부터 유입된 고압의 물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617)의 작동으로, 프랙시블 호스를 통해 세척수 유입용 파이프(403)로 유입되어, 세척용 분사체(414)의 복수개의 원형으로 구성된 노즐(415)를 통해, 밥솥 뚜껑(501)을 세척하며, 이때 밥물 조절장치는 상하 운동을 반복하며 노즐(415)로부터 분사되는 일정 각도의 물줄기를 밥솥 뚜껑에 골고루 타격되도록 도면 28과 같이 밥물 조절장치를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2,3회 왕복 운동을 실행하고, 밥솥(500)에 고인 세척수는 밥물 조절장치(400)를 최대한 내려 배수용 물 펌프(612)를 가동하여 오수저장탱크(613)로 배출시킨다. 밥솥 뚜껑(501)의 세척을 마치면, B도면과 같이 덮개용 원판(420)이 포함된 밥물 조절장치(400)를 일정거리 아래로 내려놓고, 세척된 쌀을 밥솥으로 투입하고, 일정시간 물이 투입되어, 덮개용 원판(420)위에 잔류된 쌀은 밥솥으로 떨어져 쌀은 아래에, 물은 위에 축적될 것이다. 도면 25의 A도면에서 덮개용 원판(420)의 바로 위에 있는 것이, 비중이 낮아 물에 뜰 수 있는 뜨게(411)로, 파이프(405)로 연결 되어 상부의 가로 연결대(421)를 통하여, 마이크로 스위치(410)를 눌러주고 있다. 이것은 뜨게(411)와, 파이프(405)의 무게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410)가 닫혀진 상태이며, 도면 24의 B도면과 같이, 씻은 쌀을 밥솥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쌀 세척기(300)에 잔류하는 쌀을 떨구고, 또한 쌀 세척기(300) 세척용으로도 많은 물을 밥솥(500)으로 공급할 것이고, 이 물의 양을 확인하는 것이 바로 뜨게(411)로, 도면 25의 B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410)가 열린다면, 이것은 물이 뜨게(410)의 위치까지 수위가 올라왔다는 결과이므로, MCU(700)는, 이 마이크로 스위치(410)가 열리면, 쌀 세척기(300)에 물을 공급하는 물 펌프(611)의 가동을 멈춘다. 그리고 도면 26의 A도면과 같이, 밥물 조절기를 최대한 내린다 . 도면 25의 B그림을 다시 보면 덮개용 원판(420)과 수직으로 연결된 파이프(403)가, 상부의 가로 연결대(413)와 연동하여 움직이며, 마이크로 스위치(409)를 누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것 또한 상기의 뜨게(411)와 마찬가지로 자체의 무게로 마이크로 스위치(409)를 누르는 것이며, 도면 26의 A그림과 같이 덮개용 원판(420)이 쌀 위에 내려지면서, 덮개용 원판(420) 및 연결대의 무게는 쌀에게로 전달되고, 밥물 조절기는 더 내려갈 것이며, 어느 순간 마이크로 스위치(409)는 열릴 것이다. 바로 이점이 MCU(700)가 인식하는 쌀의 양이 될 것이며, 쌀이 떨어져 쌓인 관계로 쌀은 균일한 높이로 쌓여 있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작업을 수 차례 반복하고 평균한다면, 근접한 쌀의 양 측정이 가능하다. 뜨게(411)는 이 쌀의 양을 확인 하는 것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방해될 요소도 없다. 쌀의 양을 확인 하였으면, 계산된 평균값의 지점에 덮개용 원판(420)을 정확히 고정한 후, 이미 프로그램 된 데이터 값; 이 값은 전적으로 실험값으로 밥솥의 크기, 밥솥의 형태, 쌀의 양에 따라 달라지나, 제품이 만들어지면 밥솥의 크기 및 형태는 상수화 되고, 단지 변수는 쌀의 양이 될 것이다. 그래서 쌀의 양 확인이 중요하며, 실험값이 입력되어, 예로 현재 쌀의 양이 도면 22의 B도면의 영점용 홀 소자(424) 기준 -286 파형이라 한다면, 이때 실험값을 대비하면 -258이 보통 밥의 밥물 지점이라는 결과가 계산되며, 이 값에 사용자가 요구한 밥의 형태; 예를 들어 진밥이면 +12, 된밥이면 -10의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2차 값을 계산하여, 진밥의 경우 -258+12= -246이 되며, 된밥의 경우 -258-10= -268이 밥물 조절장치가 위치할 점이 될 것이다. 상기의 방법으로 밥물 조절장치를 위치시킨 다음, 밥솥의 물을 퍼낼 물 펌프(612)를 가동하여 물을 퍼낸다. 이 물의 흐름은 덮개용 원판(420)의 우측 위에 있는, 밥물 조절장치(400)에 구성된 물 배수 파이프의 물 인입구(413)을 통과하여, 물 배수 파이프와 가로 연결대(408)을 통과하여, 프렉시블 호수관을 통해, 물 펌프(612)로 연결되어, 오수 저장 탱크(613)로 유입되도록 구성하였다. 도면 26의 B도면에서 보듯 물 펌프(612)는, 밥물 조절장치의 상하 운동에 지장을 주지 않고, 음압에 형상을 잃지 않는 플라스틱 혹은 비닐 소재의 플렉시블 관을 이용하여 가로 연결대(408)에 연결되고, 물 인입구(413)의 지점으로부터 물을 빨아 올리는데, 결국 물 인입구(413)가 밥물 수위점인 셈이다. 밥물 조절이 완료되면 도면 24의 A도면과 같이 영점용 홀소자(424)의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밥솥 뚜껑(501)의 세척은 가압용 물펌프(611)로부터 유입된, 고압의 물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617)의 작동으로, 프랙시블 호스를 통해 세척수 유입용 파이프(403)로 유입되어, 세척용 분사체(414)의 복수개의 원형으로 구성된 노즐(415)를 통해, 밥솥 뚜껑(501)을 세척하며, 이때 밥물 조절기는 프로그램에 의해 상하 운동을 반복하며, 노즐(415)로부터 분사되는 일정 각도의 물줄기를 밥솥 뚜껑에 골고루 타격되도록 조절함으로써 가능하며, 밥솥 뚜껑(501)의 세척은 밥솥(500)에 씻은 쌀이 투입되기 전에 실시하며, 도면 28은 밥물 조절장치(400)를 상하로 이동하며 밥솥 뚜껑을 세척하는 과정을 A,B,C도면으로 표현한 것이며, 2회 혹은 3회 반복하여 실행하면, 밥솥 뚜껑(501)은 완전히 세척될 것이며, 이때 발생한 물은, 밥물 조절기(400)를 최대한 하강하여, 밥솥의 배수용 물 펌프(612)로 전량 뽑아낸 후, 쌀 세척기(300)로부터 씻은 쌀을 공급받아, 상기의 밥물 조정 방법으로 밥물을 조정한다. 여기서 덮개용 원판(420)은 특별히 씻지 않더라도, 밥물을 조절 함으로서, 계속 물에 노출되는 관계로 깨끗할 것이므로, 상기의 세척 작용은 오직 상부의 밥솥 뚜껑(501)의 세척에만 사용된다. 도면 27은 고정된 밥솥 뚜껑의 패킹에 관한 것으로, 밥솥의 상단면에 대응하는 패킹제(443)와, 밥물 조절기의 덮개용 원판(420)에 대응하는 패킹제(442)로 구성하여, 압력의 누수가 없도록 하였다. 도면 27의 A도면 우측에 고정된 압력 조절기(450)는 도면 29에 자세히 표시하였다.
삭제
도면 29의 우측 하단의 고무 혹은 실리콘으로 구성된 압력밸브(463)에 끼워진 "T"형 환봉축(462)은 축 머리(464)에 스프링(462)과 와샤를 관통하고, 막대 혹은 원통형 영구자석(460)을 축(461)의 일측에 설치한다. PCB(467)에 인서트된 2개의 홀소자(458,459)는 영구자석(460)의 이동 시간; 즉 아래 홀소자(459)가 파형을 출력한 후, 위 홀소자(458)가 파형을 출력할 때까지 걸린 시간을 기준으로, 밥솥의 전열을 조절하는 장치로 실험값에 기준한 설계가 필요하며, 이것은 압력밥솥 하에서의 밥에 뜸들이기에 해당하며, 트라이악에 의한 위상제어 방식으로 열량을 조절한다. 또한 도면 29의 우측 상단에는 마이크로 스위치(457)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비상 상황에 대한 비상 스위치로, 홀 소자(458,459)의 감지에 의한 제어에도 불구하고, 밥솥의 압력이 상승하여 마이크로 스위치(457)가 닫힌다면, 이것을 스위치 구동용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451)가 작동하여, 이 솔레노이드 밸브 축과 연결된 패킹제(455)가 포함된 밸브(454)는 열릴 것이고, 이에 따라 내부의 압력은 내려갈 것이다. 압력이 일정치 이하로 내려가면 마이크로스위치(457)는 다시 열리며,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51)는, 작동을 멈추어 밸브(454)는 닫힐 것이다. 이 솔레노이드 밸브(451)은 마이크로 스위치(457)를 전원 스위치로 구성하여, 열원전선과 병렬 연결 되어, 만일 MCU 등 기타의 오류에도 작동토록 구성하였다. 도면 29는 밥솥 내부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 마이크로스위치(457)가 열려 있어, 좌측의 솔레노이드벨브(451)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 패킹제(455)가 포함된 밸브(454)가, 증기 분출구(466)의 입구를 스프링(456)의 탄성력으로, 막고 있는 상태도이다. 도면 30은 밥솥 내부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로, 압력밸브(463)에 끼워진 "T"형 환봉축(462)이 마이크로스위치(457)를 밀어, 마이크로스위치(457)가 전기적으로 닫혀져, 좌측의 솔레노이드벨브(451)가 작동하여, 패킹제(455)가 포함된 밸브(454)가 열려 증기 분출구(466)가 개방되어 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상태도이다. 도면 31은 도면 29에서, 솔레노이드밸브(451)가 작동하여 밥솥(500)의 압력이 내려가, 압력밸브(463)가 복원되면서 마이크로스위치(457)가 열려, 솔레노이드밸브(451)가 작동을 중단, 밸브(454)가 닫혀진 상태도이다. 도면 32는 도면 30의 비상 상황이 아닌 정상적인 압력 조절 형태를 보인 상태도로, 두 개의 홀 소자(458,459) 사이를 지나가는 영구자석(460)의 시간을 측정하여, 실험 데이터 값으로 프로그램 된 명령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451)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이것은 된밥, 혹은 진밥, 밥솥의 바닥에 누룽지가 있는 밥 등 지어진 밥의 상태를 결정하는, 실험 데이터에 의한 프로그램을 수반한 압력과, 전열기의 전력의 변화로 가능한 작업이며, 이에 필요한 구성이 도 29에 구성된, 압력 측정용 홀 소자(458,459)와 솔레노이드밸브(451)와 주변 장치들이다.
삭제
삭제
도면 33은 상하 이동용 열원장치 리프트의 단면, 정면도로서, 이 이동용 열원장치리프트의 기능은 첫째, 밥솥(500)에 열을 제공 함으로써 밥을 짓는 것이며, 둘째는 고정된 뚜껑(501)에 밥솥을 밀착 시키기 위해 강제적으로 밥솥을 들어 뚜껑에 밀착하는 것이며, 셋째는 밥짓기 작업 중 서랍을 열지 못하도록 잠금 장치(505)를 하는 것이다. 도면 33의 A도면은 이동용 열원장치(506)와 밥솥(500)을 내장한 서랍과 그 주변장치의 단면을 표기한 것이며, B도면은 이동용 열원장치(506) 및 열원 리프트 프레임(508)의 정면도로서, 도면34의 A,B,C,D도면과, 도면 35, 36의 도면이 연관된 것으로, 도면34의 B,C,D에서와 같이, 열원 리프트 프레임(508)의 하부에는 6개의 체인 기어가 구성되어, 이중 일측의 체인기어(525)는 구동용 기어드모터(511)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이며, 이 체인 기어(525)와 대칭 지점에 위치한 체인기어(526)는, 체인의 느슨함 혹은 단단함을 조정하는 역할과, 처음 체인을 결합할 때 필요한 길이를 확보하기 위한 일종의 어드저스트 체인 기어(526)로, 도면 34의 B,C,D에서 보듯, 구동용 기어드모터 체인기어(525)와 어드저스트 체인기어(526)는,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고정되어 각각 별도의 스크류(529)에 고정되어, 중간에 두개의 서로 직교하는 홀을 구성하여, 여기에 환봉을 넣어 회전시킬 수 있는 장너트형의 어드저스트 이음관(528)을 구성하여, 장너트형의 어드저스트 이음관(528)의 양 입구부에 스크류(529)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 어드저스트(528)에 환봉을 넣어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두개의 체인 기어(525,526)는, 스크류(529)가 어드저스트(528)에 삽입되어, 결과적으로, 체인기어에 물려있는 체인(509)은 느슨해질 것이며, 반대로 어드저스트(528)를 왼쪽으로 돌리면, 체인은 단단해질 것이다. 나머지 4개의 체인기어(527)는 본체의 밥솥 고정용 하부 프레임(510)의 네 모서리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며, 스크류 축(504)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였다. 도면 34의 A도면과 같이, 네 개의 스크류 축(504)은 열원 리프트 프레임(508)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여, 상,하 프레임에 고정된 베어링(514,515)에 고정되어, 하부프레임(510) 바로 윗지점의 스크류(504)축과 연동하는 체인기어(527)에 의해, 스크류(504)는 제 위치에서 단지 좌,우 자전만을 한다. 도면 33의 B그림의 네 모서리의 원은, 이 스크류(504)의 회전을, 상,하 운동으로 바꾸는 스크류(504)와 동일한 피치를 갖는 너트형으로, 도면 35와 같이 스크류(504)의 자전 운동이, 열원장치 이동용 프레임(508)의 상,하 운동으로 바뀌어지는 것이 이 구성의 특징이며, 너트 구조의 이동 틀(513) 중 뒤쪽의 두 곳은 서랍 잠금 쇠(505)를 포함한다. 도면36은 상기의 열원 리프트 프레임(508)과 체인(509) 및 구동용 기어드 모터(511)을 측면에서 바라본 리프팅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면 34의 A도면의 우측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확인용 세 개의 홀 센서(521,522,523) 및 막대형 영구자석(524)으로, 열원 리프트 프레임(508)의 상하 이동에 대한 한계점 제어를 위해 구성된 것이며, 본 발명에 홀 소자를 주된 센서로 이용하고 있는 이유는, 저가의 비용으로 센서 검출이 확실하며, 기계적이 아니어서 오랜 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특히 외부적 요인에 대해서도 오작동의 확률이 거의 없다는 점 때문이다. 3개의 홀 소자(521,522,523)중 첫 번째 홀 소자(523)는, 밥솥의 서랍을 열고자 할 때의 위치로, 잠금 쇠(505)와 서랍 틀의 여닫이 가이드에 연결된 잠금 틀(531)로 구성되어, 홀 소자(523)에 파형이 출력되면 이 잠금 쇠(505)와 잠금 틀(531)의 간격이 이격 되어 서랍을 열 수 있게 된다. 이때 MCU는 본체 전면의 서랍 문(540) 위에 고안된 LED(61)를 점등하며, 부드러운 차임벨 소리를 내며 서랍을 열어도 된다는 시그널을 발생한다. 두 번째 홀 소자(522)는 밥을 짓기 위한 전 작업; 쌀 계량하기, 쌀 씻기, 밥솥 뚜껑 세척하기, 밥물 조절하기뿐만 아니라 보온의 역할을 수행 할 때의 전 과정에 위치하도록 고안 하였다. 이 상태는 뚜껑의 패킹제(443)와는 붙은 상태이나, 패킹제(443)에 압력을 가하지는 않은 상태로, 상온의 물, 공기의 흐름은 차단하나, 고압의 증기는 차단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세 번째 홀 소자(521)는 밥을 짓기 위해 고정된 뚜껑의 패킹제(443)를 강압적으로 밀고 있는 상태로, 밥을 짓는 동안 고온 고압의 발생에 따라 내부의 수증기가 상당한 압력으로 밀고 나오려 할 것이며, 이것을 막아낼 정도의 압력으로 패킹제(443)를 밀고 있는 상태이다. 홀 소자(523)와 홀 소자(521)에서 시그널이 인식되면 열원 리프트 프레임(508)의 구동용 기어드 모터(511)의 회전 접점이 역방향으로 바뀌도록 MCU가 이 모터(511)의 정,역 변환용 릴레이를 조작하여, 그 위치에서 이 모터(511)에 전원이 인가되면, 반대 방향으로 모터가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도면 33에서 서랍 틀(503)과 전열선이 매립된 보온재(502)는, 일정 길이만큼 분리가 가능하여 열원장치 리프트 프레임(508)에 고정되고, 열선이 매립된 열원 장치 프레임(506)의 밑에 원형으로 고정된, 보온재가 충진된 보온틀(507)이, 스크류축(504)의 회전으로 위로 이동 시, 가장 먼저 잠금 쇠(505)가 잠금 틀(531)을 관통하여 잠금 장치가 이루어지며, 다음으로 열원 장치 프레임(506)이 밥솥(500)과 원구면으로 만나며, 상승 진행은 계속되어, 보온 틀(507)이 서랍 틀의 안쪽에 구성된 전열선이 매립된 보온재(502)와 만나며, 상승은 계속 이루어져, 밥솥의 상부 턱(532)의 면이; 본체 프레임에 고정된 뚜껑의 일측면에 매립되고 반달형으로 하부를 지향하는 부풀어진 패킹제(443)와 살며시 만나는 점이, 홀 소자(522)에서 출력 파형이 발생되는 지점이며, 더 상승하여 홀 소자(521)에서 출력 파형이 발생되는 지점이 끝 지점으로, 이 점은 밥짓기를 시작하고 끝내는 지점이다. 밥 짓기가 완료되면 일정 시간 혹은 사용자의 설정으로, 서랍 밥솥이 개방된 이후에는 다시 밥짓기를 하기 이전까지는 홀 소자(522)의 지점에 머물며, 밥짓기 대기 혹은 보온을 한다.
삭제
삭제
도면 37은 수도관에서 입력된 물이, 밸브(600)를 거쳐 가압용 물 펌프(601)를 통해 가압된 후, 정수필터(602)를 통해 정수되고, 정수 물탱크(604)에 저장되며, 일부는 식음용으로 증발관이 매설된 냉수물탱크(606)를 통해, 냉수 물 꼭지(607)로, 일부는 열선이 매설된 온수 물탱크(609)를 통해, 온수 물 꼭지(610)로 연결되며, 일부는 가압용 물 펌프(611)로 가압되어, 선택적으로 배출을 조정할 수 있는 2개의 배출구를 갖는 솔레노이드밸브(617)로 보내지며, 솔레노이드밸브(617)가 작동 상태이면, 물은 세척용 파이프(403)을 따라 원형 다공관(414)를 통해 밥솥 뚜껑(501)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며, 솔레노이드밸브(617)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라면, 쌀 세척기(300)로 급수되어, 쌀 씻은 물은 오수저장탱크(613)에 보관되고, 밥물 조절용 물은 씻겨진 쌀과 함께 밥솥(500)에 머물다가, 밥물 조절 위치 이상의 물은 물 펌프(612)에 의해 오수 저장탱크(613)로 보내져, 이곳의 수위가 차면 물 펌프(615)가 가동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순환도이다.
도면 38은 본 고안의 냉각라인 블록도로서, 압축기(630)에서 고온고압의 액체냉매가 공냉식 냉각팬이 갖추어진 응축기(631)를 거치면서, 저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되며, 냉매에 함유된 수분등을 정제하기 위한 필터 드라이어(632)를 거쳐, 3개의 냉각 라인; 제1라인은 쌀 냉장고(100) 냉매용 솔레노이드벨브(633)를 거쳐 모세관(644)을 지나, 직접 냉각 방식으로 쌀 냉장고(100)의 외부에, 일정 간격으로 관을 돌린 증발기(635)가 연결되며, 쌀 냉장고(10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636)가 부착되어, 전자 회로 장치에 의해 솔레노이드벨브(633)를 On/Off 작동토록 구성한다. 제2라인은 냉수 물탱크(606) 냉매용 솔레노이드벨브(637)를 거쳐 모세관(638)을 지나, 직접 냉각 방식으로 냉수 물탱크(606)의 외부에, 일정 간격으로 관을 돌린 증발기(639)가 연결되며, 냉수 저장 탱크(606)의 내부에는 온도센서(640)가 부착되어, 전자 회로 장치에 의해 솔레노이드벨브(637)를 On/Off 작동토록 구성한다. 제3라인은 서랍 냉장고(10) 냉매용 솔레노이드벨브(641)를 거쳐 모세관(642)을 지나, 직접 냉각 방식으로, 서랍 냉장고(10)의 외부에 일정 간격으로 관을 돌린 증발기(643)가 연결되며 서랍 냉장고(1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644)가 부착되어, 전자 회로 장치에 의해 솔레노이드벨브(102)를 On/Off 작동토록 구성한다. 상기의 3라인의 냉매 관은 1개의 관으로 연결되어, 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한 액 분리기(645)를 통해 다시 압축기(630)로 유입되어 리사이클링 된다.
도면 39, 40은 각 부위별로 설명한 홀 센서와 자석, 마이크로 스위치, 온도센서등을 각 부위별 간단한 표시도 및, 제어되는 각 부위별 센서 개략도의 도면 및 설명이다.
도면 41, 42는 전자 제어 계통 블록도이며, 도면43,44,45,46,47,48,49는 밥짓기에 관한 프로그램 순서도이며, 도면 50,51,52는 외부에서 전화로 밥짓기 예약을 하는 프로그램 순서도이며, 도면 53,54,55,56은 쌀통(100)안에 있는 쌀의 누적량을 체크하여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프로그램 순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쌀 냉장고와 정수필터가 구비되고, 서랍 온장고와 냉장고가 구비되며, 본체 하부의 서랍으로 쌀을 간단하게 흡입할 수 있는, 밥짓기에 관련한 모든 사항이 하나의 가전제품으로 구성된 자동 밥솥으로서, 본체에서의 조작은 물론 외부에서 전화기로 조작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할 때 언제 어디서든 밥을 짓도록 제어가 가능한 발명이다.
밥이 주식인 우리 사회에서 쌀 소비가 줄고 있는 것은, 편한 것과 빠른 것을 요구하는 현대 사회에서의 당연한 귀결일 것이다. 마음만 먹으면 할 수 있지만, 일상적인 일에 늘 마음 먹기가 쉬운 것이 아니며, 밥을 짓는 것은 잔일을 수행치 않고는 불가능하며 또한 기교가 포함된 노동으로 해보지 않던 사람이 하기에는 망설여지는 까닭이다. 본 발명으로 인해 가정마다 이 자동 밥솥이 보급된다면 컴퓨터, 핸드폰 등 컨트롤러 동작에 익숙한 어린 아이들이 주부보다 밥을 더 잘 지을 수 있어, 적지 않은 양의 쌀 소비 증대 효과가 있으며, 또한 밥 힘으로 살아간다는 우리 속담처럼 국민 건강에도 크게 일조할 것이다.

Claims (7)

  1. 직접 냉각 방식의 구조로 외부에 증발관(635)을 휘감고 단열재로 매설하여 본체의 후면에 설치한 쌀 냉장고(100)의 내부에는 쌀의 누적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쌀 레벨 추 동력장치(180)와 쌀 레벨 추(200)가 설치되고 본체(1)의 전면에 쌀의 잔량이 표시되는 LED(40)로 쌀의 잔량을 표시하며, 아래쪽에 쌀 흡입을 위한 플라스틱 서랍 내부 이동판(171)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쌀을 흡입하며, 쌀 냉장고(100)의 하부에는 쌀 이송 파이프(110)와 연결된 쌀 흡입, 인출 선택 조절장치(160)가 설치되어 외부에서의 쌀 흡입과 내부의 쌀을 인출하는 선택적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파이프의 안쪽에는 금속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쌀 이송용 단추와이어(111)가 설치되어, 90°쌀 이송 구동장치(112)의 회전력에 의해 쌀을 흡입 혹은 인출이 가능하며, 쌀 이송 파이프(110)의 상부에는 쌀 흡입 혹은 인출을 위한 2개의 토출장치가 설치되어, 쌀 흡입용 토출관(140)을 이용하여 쌀 냉장고(100)에 투입하는 경우와, 쌀 토출용 슬라이드 본체(150) 및 리이드 파이프(159)를 이용하여 쌀 세척기(300)로 공급하는 선택적 제어가 가능하며, 본체의 가장 상층부에는 정수필터(602)를 통과한 정수된 물을 보관하는 정수물탱크(604)가 설치되어 본 기기의 모든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정수물탱크(604)에 연결된 물 펌프(611)는 쌀 세척기(300)에 높은 압력의 물을 공급하며, 쌀 세척기(300)의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에 의해 정량의 쌀을 공급 받아, 내부의 쌀 세척 날개(301) 및 진동소자(316)의 회전과 떨림으로 쌀을 씻어 밥솥(500)에 쌀을 공급하고, 밥솥 뚜껑(5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축의 한 측면에 구비된 렉기어(406)와 피니언 기어(432)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밥솥 뚜껑(501)을 세척하는 밥물 조절장치(400)는 프로그램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밥을 짓기 위한 밥물을 조절하며, 본체(1)의 정면에서 열고 닫을 수 있는 서랍(540)에 삽입된 밥솥(500)의 하부에는 밥솥(500)의 높이 조절과 밥을 짓기 위한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 리프트 프레임(508)이 설치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밥물 조절장치(400)의 좌우에는 서랍 냉장고(10)와 서랍 온장고(20)가 설치되어 밥과 반찬을 저장토록 구성하며, 그 위쪽에는 냉수저장 통(606)과 온수저장 통(609)에 연결된 냉수 물 꼭지(607)와 온수 물 꼭지(610)에 의해 식음이 가능토록 구성하고, 상기의 밥짓기에 관련한 모든 컨트롤은 본체에 부착된 각종 설정키가 내장되고 전화기가 포함된 LCD 컨트롤러(30)를 이용하여 본체(1)에서 직접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외부에서 전화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 밥솥.
  2. 제 1항에 있어서, 쌀 냉장고(100) 외부에 수직 구조의 쌀 이송 파이프(110)와 쌀 이송용 단추와이어(111), 그리고 90°코너(130) 및 90°쌀 이송 구동장치(112), 단추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120)가 구성된 쌀 이송 장치로, 플라스틱 서랍 내부 이동판(171)이 구비된 쌀 흡입용 서랍(170)과 쌀 냉장고(100)에서의 선별적 작업을 수행하는 쌀 흡입 인출 선택 조절기(160)를 이용하여, 하나의 이송 장치로 외부의 쌀을 쌀 냉장고(100)로 혹은 쌀 냉장고(100)의 쌀을 쌀 세척기(300)로,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쌀 토출장치도, 상기와 같은 선별적 운용으로 쌀 흡입용 토출관(140)을 이용하여 쌀 냉장고(100)에 투입하는 경우와, 쌀 토출용 슬라이드 본체(150) 및 리이드 파이프(159)를 이용하여,쌀 세척기(300)로 공급하는 선택적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쌀 이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 밥솥.
  3. 제 1항에 있어서, 직접 냉각 방식의 구조로 외부에 증발관(635)을 휘감고 단열재로 매설하여 본체의 후면에 설치한 쌀 냉장고(100)의 저장된 쌀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쌀 잔량 레벨기로서, 쌀 레벨 추 동력장치(180)와 쌀 레벨 추(200), 그리고 연결용 리이드 와이어(183)로 구분되어, 누적된 쌀에 놓이면 스프링(203)의 탄성에 의해 두 접점(204,205)이 전기적으로 열리고 공중에 뜨면 자체 무게로 접점(204,205)이 전기적으로 닫히는 쌀 레벨 추(200)와, 2개의 홀소자(193,194)가 인서트 되어 기어드모터(109)에 고정된 PCB(191) 및 기어드모터(190) 축(184)에 결합된 반지형 8극 혹은 16극 영구자석(192)과 연결용 리이드 와이어(183)를 감고 풀기 위한 풀리(181)가 고정된 쌀 레벨 추 동력장치(180)로 이루어져, 프로그램과 연결하여 데이터 값에 의한 누적량 비교 방식의 프로그램 순서도에 의해 쌀 냉장고 내부의 쌀 레벨 감지가 가능하고, 본체(1)의 중앙에 현재 쌀의 잔량을 LED(40)를 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쌀 잔량 레벨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 밥솥.
  4.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량의 쌀을 쌀 세척기(3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의 중심에 기어드 모터(342)에 연결된 축(343)이 고정되며, 축(343)과 일정한 거리 및 일정한 각도비로 분할 타공된 8개의 토출구(341)를 구성하고 이 토출구(341)간의 2등분점의 원주면에 원통형 영구 자석(345)을 고정하여, 두 개의 홀 소자(346,347)로, 회전 속도와 토출구(341)를 통과한 숫자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량의 쌀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 밥솥.
  5.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원판 쌀 계량장치(340)가 계량하여 공급한 쌀을 씻기 위한 쌀 세척기(300)로 상부의 측면에 그릴형태(311)의 배수구(312)와, 바닥의 그릴형태(313)의 배수구(315)를 구비하고, 기어드모터(309)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쌀 세척용 날개(301)와 진동소자(316)의 동력으로 쌀을 씻고, 캠(322)에 연결된 패킹제(331)가 구비된 원뿔형 밸브(330)에 의해 씻은 쌀을 밥솥(500)에 공급하도록 구성한 쌀 세척기(30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 밥솥.
  6. 제 1항에 있어서, 기어드모터(438)에 연결된 렉기어(406)에 의해 상하 왕복 운동을 하며 모터 축(431)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16극 반지형 자석(434)에 근접 설치된 2개의 홀 소자(436,437)에 의해 이동 거리 인식이 가능하며, 상부에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409,410)에 의해 밥솥(500)에 공급된 쌀의 양과 물의 양을 확인하며, 이것에 기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밥(진밥, 된밥)을 지을 수 있도록 밥물의 양을 조절하는 밥물 조절장치(400)로, 하부에 세척용 분사체(414)가 포함된 덮개용 원판(420)이 설치되어 밥솥의 뚜껑(501)을 세척하며, 밥솥에 공급된 쌀의 양을 측정하고 밥물을 조절하며, 쌀과 물을 공급하며 밥물 조절장치의 이동로인 뚜껑의 중앙 부위를 밀폐하는 3가지 기능의 덮개용 원판(420)과, 쌀 세척기(300)에서 공급된 쌀과 물 중에서 쌀은 상기의 덮개용 원판(420)에 의해 측정되며, 물의 양은 원판의 위에 설치된 뜨게(411)로 확인되며, 밥물의 제어는 2개의 홀 센서(436,437)가 기어드모터(438)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16극 반지형 자석(434)의 회전을 인지하여 프로그램 된 설정 값에 맞추는 방법이며, 또한 밥솥 뚜껑(501)의 세척은 가압용 물 펌프(611)로부터 유입된 고압의 물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617)의 작동으로 플랙시블 호스를 통해 세척수 유입용 파이프(403)로 유입되어 세척용 분사체(414)의 복수개의 원형으로 구성된 노즐(415)을 통해 밥솥 뚜껑(501)을 세척하는 밥물 조절과 뚜껑 세척이 하나의 구동 장치로 가능한 밥물 조절 장치(40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 밥솥.
  7.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의 정면에서 열고 닫을 수 있는 밥솥(500)이 거치된 서랍(540)에서 밥솥(500)의 리프팅 시스템은 기어드모터(511)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체인기어(525) 그리고 어드저스트(528)와 연결된 어드저스트 체인기어(526)와 연동하여 체인(509)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며, 본체의 고정용 서포트(501)에 고정된 평면 프레임(510)에 수직으로 양 끝이 베어링(514,515)에 의해 고정되고, 축(504)의 하부에 체인 기어가 구성된 4개의 스크류 축(504)의 회전으로, 스크류 축(504)과 맞물린 너트 구조의 이동틀(513)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는 열원장치 프레임(508)과, 서랍틀(503)에 거치된 전열선이 매립된 보온재(502)와 밥솥(500)을 상승시켜 뚜껑(501)의 패킹제(443)에 밀착시켜, 밥을 짓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체인 구동에 의한 밥솥 리프팅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 밥솥.
KR1020040059983A 2004-07-29 2004-07-29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밥솥 KR100856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983A KR100856952B1 (ko) 2004-07-29 2004-07-29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983A KR100856952B1 (ko) 2004-07-29 2004-07-29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266A KR20060011266A (ko) 2006-02-03
KR100856952B1 true KR100856952B1 (ko) 2008-09-04

Family

ID=3712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983A KR100856952B1 (ko) 2004-07-29 2004-07-29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425A1 (ko) * 2015-12-23 2017-06-29 이숙향 보온기능과 냉동냉장 기능을 구비한 적외선 스팀 광파그릴 겸용 전기압력밥솥
KR102346837B1 (ko) * 2020-07-22 2022-01-03 안덕찬 자동 곡물세척 및 요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117B1 (ko) * 2006-10-11 2007-11-29 주식회사 바퍼텍 무인 자동 취사장치
CN101869430A (zh) * 2010-06-04 2010-10-27 张京 一种水壶及其应用的电热壶
CN104739225B (zh) * 2015-04-10 2017-06-06 黄文彬 远程智能电饭煲
CN106679311A (zh) * 2016-09-25 2017-05-17 万福 一种程控全自动做饭炒菜一体机
CN108567347B (zh) * 2017-03-08 2023-07-1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物料清洗装置及烹饪器具
CN109247842B (zh) * 2017-07-13 2023-11-2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KR20210056811A (ko) * 2019-11-11 2021-05-20 고순정 무인 취사 밥솥 장치
CN111938417B (zh) * 2020-08-28 2021-11-12 合肥荣事达电子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电饭煲
WO2024096157A1 (ko) * 2022-11-02 2024-05-10 주식회사 고원인더스트리 지능형 밥 취사기,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7941852B (zh) * 2024-03-21 2024-06-04 成都天府智慧大厨房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预制米饭松散装置及制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608U (ko) * 1995-09-18 1997-04-28 전영호 다기능 냉,온수 급수기
JP2000201808A (ja) 1999-01-18 2000-07-25 Kubota Corp 自動洗米装置
KR20010017078A (ko) * 1999-08-07 2001-03-05 이인화 쌀통이 내장된 냉장고
KR200309730Y1 (ko) 2003-01-13 2003-04-18 김용율 항온항습 저장고를 가지는 자동취사기
JP2004147853A (ja) 2002-10-30 2004-05-27 Konica Minolta Technoproducts Co Ltd 洗米炊飯装置
KR20040045704A (ko) * 2002-11-25 2004-06-0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밥솥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608U (ko) * 1995-09-18 1997-04-28 전영호 다기능 냉,온수 급수기
JP2000201808A (ja) 1999-01-18 2000-07-25 Kubota Corp 自動洗米装置
KR20010017078A (ko) * 1999-08-07 2001-03-05 이인화 쌀통이 내장된 냉장고
JP2004147853A (ja) 2002-10-30 2004-05-27 Konica Minolta Technoproducts Co Ltd 洗米炊飯装置
KR20040045704A (ko) * 2002-11-25 2004-06-0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밥솥
KR200309730Y1 (ko) 2003-01-13 2003-04-18 김용율 항온항습 저장고를 가지는 자동취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425A1 (ko) * 2015-12-23 2017-06-29 이숙향 보온기능과 냉동냉장 기능을 구비한 적외선 스팀 광파그릴 겸용 전기압력밥솥
KR102346837B1 (ko) * 2020-07-22 2022-01-03 안덕찬 자동 곡물세척 및 요리 장치
WO2022019556A1 (ko) * 2020-07-22 2022-01-27 안덕찬 자동 곡물세척 및 요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266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952B1 (ko)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밥솥
US10194637B2 (en) Drinking apparatus for pets
CN205866584U (zh) 一种智能电饭煲及智能烹饪***
US20160222636A1 (en) Undermount sink
KR101400108B1 (ko)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US10258188B2 (e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drinking water
WO2020182056A1 (zh) 自动泡茶装置
US6401729B1 (en) Beverage reservoi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13455420A (zh) 一种宠物的智能饮水控制***及其方法
CN105342459A (zh) 饮水设备及其定量水供应装置
US5531362A (en) Automatic apparatus for metering spaghetti and the like
KR100635792B1 (ko) 욕조의 온도 및 수위조절 시스템
CN208837657U (zh) 一种饮水机的防溢出自动出水装置
JP2004033479A (ja) 全自動炊飯装置の米供給手段とこれを用いた全自動炊飯装置
JPH09192020A (ja) 自動給茶機
WO2021184711A1 (zh) 自动供水装置、具有其的冰箱及自动供水方法
CN204049286U (zh) 饮水设备及其定量水供应装置
CN209950998U (zh) 一种电饭煲
CN110859537A (zh) 一种感应出油器
JP2791526B2 (ja) 後付式自動水栓装置
KR20050117955A (ko) 서랍 온장고와 정수기가 포함된 서랍식 자동밥솥
US20240023786A1 (en) Immersion Systems & Methods for Pre-Washing or Washing Silverware
KR200366611Y1 (ko) 욕조의 온도 및 수위조절 시스템
CN218899189U (zh) 一种火锅自助加汤机
CN208301492U (zh) 电水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