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410B1 - 절첩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절첩식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410B1
KR100852410B1 KR1020020011642A KR20020011642A KR100852410B1 KR 100852410 B1 KR100852410 B1 KR 100852410B1 KR 1020020011642 A KR1020020011642 A KR 1020020011642A KR 20020011642 A KR20020011642 A KR 20020011642A KR 100852410 B1 KR100852410 B1 KR 100852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top
main body
stop mem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1479A (ko
Inventor
스즈키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1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3Handle bars; Handles movable from front end to rear en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유모차는 사용시 펼침 상태로 펼치고 접힘 상태로 접도록 된 본체를 갖는다. 핸들(15)이 본체에 지지되어 전후방으로 회동된다. 핸들(15)은 뒤보고 밀기 모드의 뒤로 기운 자세 또는 앞보고 밀기 모드의 앞으로 기운 자세로 세트된다. 핸들 록킹 기구는 정지 부재(30)와 정지 부재(30)에 맞물리는 후방 정지 돌기(29)에 의해 뒤보고 밀기 모드의 뒤로 기운 자세로 핸들(15)을 록킹한다. 본체가 접히고 팔걸이(16)가 가동 위치로부터 위로 돌아 올라가면, 팔걸이(16)에 고정된 정지 돌기(29)가 정지 부재(30)에 대해 회동하고, 정지 돌기(29)의 단부(29b)가 그 장축이 핸들(15)의 축에 수직으로 뻗게 하고 일부는 홈(31b)에 놓이도록 위치한다. 유모차를 접으면, 단부(29b)는 홈(31b)에 형성된 단차부(31c)와 맞물려서 정지 부재(30)가 상방 이동(록킹 해방 방향으로의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앞보고 밀기 모드, 뒤보고 밀기 모드, 록킹 해방 방향

Description

절첩식 유모차{FOLDING STROLLER}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유모차의 개략 사시도.
도2는 도1의 유모차의 개략 측면도.
도3은 도1의 III부의 개략 확대 부분 측면도.
도4는 도1의 IV부의 부분 사시도.
도5는 도1 및 도2의 유모차에 포함된 핸들을 회동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유모차가 펼침 상태로 있을 때에 정지 부재와 정지 돌기가 맞물리는 록킹 상태에 있는 유모차의 핸들의 확대 부분 단면도.
도7은 유모차가 팔걸이가 돌아 올라간 접힘 상태에 있을 때에 정지 부재와 정지 돌기가 맞물리는 록킹 상태에 있는 유모차의 핸들의 확대 부분 단면도.
도8은 도1의 원격 조작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9는 도8의 원격 조작 장치의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10은 도1의 2중으로 접힌 유모차의 측면도.
도11은 도1의 3중으로 접힌 유모차의 개략 사시도.
(부호의 설명)
11…앞바퀴
12…앞다리
13…뒷바퀴
14…뒷다리
15…핸들
17…파이프
20…전방 접속바
21…후방 접속바
23…뒷다리 지지 부재
25…브라킷
26…록킹 부재
31… 제1 홈
32… 제2 홈
33…록킹 해방 부재
40…원격 조작 장치
본 발명은 절첩식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람이 유모차의 등을 향하는 뒤보고 밀기 모드로 사람이 핸들을 잡고 유모차를 밀 수 있도록 후방 위치에 핸들을 세트하거나 또는 사람이 유모차의 유아를 마주 보는 앞보고 밀기 모드로 사람이 핸들을 잡고 유모차를 밀 수 있도록 전방 위치에 핸들을 세트할 수 있도록 된 절첩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산책이나 쇼핑 등을 위해서 옥외에 데리고 나가는 경우에 사용하는 절첩식 유모차는, 필요에 따라서 작게 접어 수납이나 휴대가 용이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유아의 후방 위치 또는 전방 위치에 핸들을 마련한 것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핸들이 후방 위치에 세트될 때에는 사람은 유모차의 등을 향하는 뒤보고 밀기 모드로 핸들을 잡고 유모차를 밀 수 있고 핸들이 전방 위치에 세트될 때에는 사람이 유모차의 유아를 마주 보는 앞보고 밀기 모드로 핸들을 잡고 유모차를 밀 수 있다.
뒤보고 밀기 모드의 후방 위치와 앞보고 밀기 모드의 전방 위치 사이에서 회동될 수 있는 핸들이 마련된 유모차에서는, 핸들은 유모차의 본체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핸들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에 의해 핸들의 록킹 해방을 하고, 핸들은 본체에 지지된 시트 뒤의 후방 위치 또는 시트 앞의 전방 위치에 세트될 수 있다.
유모차가 접힘 상태로 있을 때 잘못하여 원격 조작 장치를 오조작한 경우에, 핸들의 록킹이 해방되어 본체가 앞쪽 또는 뒤쪽으로 넘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 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뒤보고 밀기 모드로 후방 위치에 또는 앞보고 밀기 모드로 전방 위치에 핸들이 세트된 유모차로서 유모차가 접힐 때에 핸들의 잘못된 록킹 해방을 방지한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시 펼침 상태로 펼치도록 되고 접힘 상태로 접도록 된 본체와, 본체 위에서 전후방으로 회동하게 고정되고, 뒤보고 밀기 모드 에서의 뒤로 기운 자세 또는 앞보고 밀기 모드에서의 앞으로 기운 자세로 설정되도록 된 핸들과, 핸들을 뒤보고 밀기 모드 상태 또는 앞보고 밀기 모드 상태로 록킹하기 위한 핸들 록킹 기구를 구비하고, 본체는 뒤보고 밀기 모드의 상태에서 본체에 록킹된 핸들과 함께 접히거나 펼쳐지고, 핸들 록킹 기구는 핸들을 본체가 펼쳐질 때에 록킹 해방을 허용하며 핸들을 본체가 접혀질 때에 록킹 해방을 규제하는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는 핸들 록킹 기구는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정지 돌기와 정지 돌기에 맞물리는 홈이 마련된 정지 부재를 포함하고, 정지 부재는 핸들의 축을 따라 미끌어지도록 핸들에 고정되고 록킹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정지 부재의 홈에 정지 돌기가 맞물리고, 정지 부재의 홈에 맞물린 정지 돌기는 본체의 상태가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사이에서 변함에 따라 정지 부재에 대해 회동하고, 상기 정지 돌기와 정지 부재의 홈의 맞물림 상태는 정지 부재의 홈에 대한 정지 돌기의 각 위치에 따라서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지 돌기는 정지 부재의 홈에서 회동하게 맞물리는 샤프트부와, 샤프트부의 끝에 형성되어 본체가 펼침 상태에 있을 때에 정지 돌기가 위치하는 제1 위치에 정지 돌기가 있을 때에 핸들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뻗고, 본체가 접힘 상태에 있을 때에 정지 돌기가 위치하는 제2 위치에 정지 돌기가 있을 때에 핸들의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뻗도록 된 단부를 갖고, 정지 부재의 홈은 정지 돌기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정지 돌기의 단부와 결합하여 정지 부재가 록킹 해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단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부는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모차는 핸들에 달린 조작 장치와, 핸들을 따라서 뻗고 일단이 정지 부재에 접속되고 타단이 조작 장치에 접속된 접속 부재를 더 구비하고, 조작 장치를 조작하여 접속 부재를 당겨 올림으로써 록킹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정지 부재를 록킹 방향과 반대인 록킹 해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를 펼칠 때에 핸들의 록킹 해방을 허용하고, 본체를 접을 때에 핸들의 록킹 해방을 규제하는 기구가 유모차에 마련되므로, 본체를 접을 때에 실수로 핸들이 록킹 해방되어 본체가 앞으로 또는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유모차(10)는 앞바퀴(11)가 각각 마련된 한쌍의 앞다리(12), 뒷바퀴(13)가 각각 마련된 한쌍의 뒷다리(14) 및 한쌍의 팔걸이(16)를 구비한다. 앞다리(12)와 뒷다리(14)의 상단부는 팔걸이(16)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호상의 플렉시블한 가드암(18)이 가로지르듯 뻗어서 팔걸이(16)의 전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평행 좌우 파이프(17)가 팔걸이(16)의 후단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받침(19)이 마련된 전방 접속바(20)가 앞다리(12) 사이로 뻗는다. 후방 접속바(21)가 뒷다리(14) 사이로 뻗는다. 측방 접속바(22)는 앞다리(12)의 중간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전단과, 파이프(17)의 하부에 조여진 뒷다리 지지 부재(23)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후단을 갖는다. 상부 접속바(24)는 좌우 측방 접속바(22)를 상호 접속한다.
앞다리(12), 뒷다리(14), 팔걸이(16), 파이프(17) 및 접속바(20, 21, 22, 24), 뒷다리 지지 부재(23) 등등으로 절첩식 본체가 구성된다. 유아가 앉혀지는 직물 시트와 그물백등이 앞다리(12)와 뒷다리(14)에 부착되는데 유모차(10)의 전체 구성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1 및 도2에서는 이를 생략한다.
거의 U자 모양의 핸들(15)은 도2의 실선으로 나타낸 뒤보고 밀기 모드의 후방 위치와 도2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앞보고 밀기 모드의 전방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좌우 파이프(17)의 하단부에 조여진 뒷다리 지지 부재(23)에 샤프트(27)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하단부를 갖는다. 핸들(15)은 오른다리(15a), 왼다리(15b)와 조인트(61a, 61b)에 의해 다리(15a, 15b)의 상단에 접속되는 원격 조작 장치(40)를 갖는다. 사용자는 원격 조작 장치(40)를 작동하여 유모차를 펼쳐 핸들(15)을 소망 위치에서 록킹하거나, 핸들(15)을 록킹 해방할 수 있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 브라킷(25)은 뒷다리 지지 부재(23)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중간부와 뒷다리(1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하단부를 갖는다. 단차부(25a)는 브라킷(25)의 자유단부에 형성된다. 단차부(25a)는 록킹 부재(26)에 형성된 단차부(26a)와 맞물려서 뒷다리(14)와 파이프(17)를 동시에 록킹한다. 록킹 부재(26)는 파이프(17)에 미끄러지게 장착되어 후술하는 원격 조작 장치(40)에 의해 축방향으로 파이프(17)를 따라 이동한다. 뒷다리 지지 부재(23)에는 단차부(23a)가 마련된다. 유모차가 펼쳐져서 뒷다리(14)를 펼침 상태로 유지할 때에 단차부(23a)가 뒷다리(14)에 대하여 눌려진다.
록킹 부재(26)의 단차부(26a)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 브라킷(25)의 단차부(25a)에 맞물릴 때, 브라킷(25)은 뒷다리(14)와 파이프(17)를 동시에 록킹하여 유모차를 사용을 위한 펼침 상태로 유지한다. 도3 및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격 조작 장치(40)를 조작하여 록킹 부재(26)가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올라가면, 브라킷(25)은 록킹 부재(26)로부터 해방된다. 따라서 뒷다리(14), 팔걸이(16), 앞다리(12)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회동될 수 있고, 따라서 유모차를 2중으로 접을 수 있어 운반이 편리해진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정지 돌기(28)와 후방 정지 돌기(29)는 각각의 팔걸이(16)의 바깥쪽면의 전후단부 각각에 부착되어 횡으로 뻗는다. 도4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 부재(30)는 핸들(15) 위에서 축방향으로 미끌어질 수 있게 핸들(15)에 장착된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 부재(30)는 파이프(17)를 마주보는 면에서 파이프(17)쪽으로 난 제1홈(31)과 제2홈(32)을 갖는다. 제1홈(31)은 거의 L자 모양으로 되고 뒤쪽으로 난 개방단(31a)을 갖는다. 제2홈(32)은 제1홈(31) 아래에 형성되고 전방 및 하방으로 나 있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 부재(30)는 핸들(15)에 위치한 스프링(34b)에 의해 축방향을 따라 아래로 바이어스되어 맞물린다.
정지 돌기(28, 29)와 정지 부재(30)(홈(31,32))가 핸들(15)을 뒤보고 밀기 모드의 후방 위치 또는 앞보고 밀기 모드의 전방 위치에 록킹하는 록킹 기구를 구성한다.
원격 조작 장치(40)를 조작하여 정지 부재(30)를 록킹 해방 방향으로 당기고, 핸들(15)을 후방 위치로 회동시킬 때, 후방 정지 돌기(29)가 제1홈(31)의 개방단(31a)을 통해 수용된다. 다음에 정지 부재(30)는 축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홈(31)의 후방 정지 돌기(29)에 맞물린다. 따라서 핸들(15)은 도2 및 도5의 실선으로 나타낸 뒤보고 밀기 모드의 후방 위치에 고정 유지된다. 정지 부재(30)를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 해방 방향으로 위로 당길 때, 전방 정지 돌기(28)가 제2홈(32)에 수용되고, 정지 부재(30)는 아래로 이동하고 도2 및 도5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앞보고 밀기 모드의 전방 위치에 고정 유지된다.
본체는 본체에 록킹된 핸들(15)로 접거나 펼칠 수 있으며, 이 때 후방 정지 돌기(29)는 정지 부재(30)의 제1홈(31)에 맞물린다.
전방 정지 돌기(28)는 원통상이다. 도6 및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정지 돌기(29)는 정지 부재(30)의 제1홈(31)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린 원통상부(29a)와 샤프트부(29a)의 선단에 형성된 단부(29b)를 갖는다. 도6 및 도7은 본체의 안쪽에서 유모차(10)의 앞쪽을 보았을 때 유모차(10)의 좌측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부(29b)는 샤프트부(29a)의 직경과 동일 크기의 단축을 갖는 타원형부이다. 타원형 단부(29b)의 장축은 본체가 펴져서 후방 정지 돌기(29)가 도6의 위치에 있을 때에 핸들(15)의 축을 따라 뻗고, 본체가 접혀서 후방 정지 돌기(29)가 도7의 위치에 있을 때에 핸들(15)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뻗는다. 도6 및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정지 돌기(29)의 단부(29b)를 수용하는 홈(31b)이 핸들(15)의 축을 따라 뻗는 측벽의 일부에 형성되도록, 후방 정지 돌기(29)가 맞물리는 정지 부재(30)의 제1홈(31)에 형성된다. 본체가 핸들(15)의 축을 따라 록킹 해방 방향으로의 정지 부재(30)의 축을 따른 상방 운동을 막기 위해 접힐 때에 도7에 나타낸 위치에서 후방 정지 돌기(29)의 단부(29b)와 맞물리는 스텝(31c)은 제1홈(31)의 일단에 형성된다.
후방 정지 돌기(29)가 정지 부재(30)의 제1홈(31)에 맞물리고 정지 부재(30)가 아래로, 즉 핸들(15)의 축을 따라서 록킹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상태에서 펼쳐지거나(도6), 접히면(도7), 정지 부재(30)의 제1홈(31)에 맞물린 후방 정지 돌기(29)는 정지 부재(30)에 대해 회동하고 후방 정지 돌기(29)와 정지 부재(30)의 제1홈(31)의 맞물림 조건은 정지 부재(30)의 제1홈(31)에 대한 후방 정지 돌기(29)의 각 위치에 따라 변한다.
유모차가 펼쳐지고 팔걸이(16)가 작업 위치에 유지되면, 각 후방 정지 돌기(29)의 단부(29b)의 주축은 핸들(15)의 축에 평행하게 뻗고 따라서 핸들(15)은 록킹 해방된다. 다음에 정지 부재(30)는 원격 조작 장치(40)를 조작하여 록킹 해방 방향으로 당겨 올려지고, 필요할 때에는 핸들(15)은 록킹 해방되고 뒤보고 밀기 모드의 후방 위치로부터 앞보고 밀기 모드의 전방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본체가 접히고 팔걸이(16)가 작업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회동하면, 후방 정지 돌기(29)는 정지 부재(30)에 대해 회동하고 후방 정지 돌기(29)의 단부(29b)는 그 장축이 핸들(15)의 축에 수직으로 뻗고 그 일부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31b)에 놓이도록 위치한다. 원격 조작 장치(40)를 오조작하여 정지 부재(30)를 당겨서 핸들(15)의 위치를 유모차가 접히는 상태로 바꾸면, 단부(29b)는 단차부(31c)와 맞물려서 정지 부재(30)가 상방 운동(록킹 해방 방향으로의 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핸들(15)은 정지 부재(30)의 잘못된 상방 운동으로 인하여 록킹 해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본체가 전후방으로 쓰러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 해방 부재(33)가 정지 부재(30)의 아래로 뻗는 핸들(15)의 일부에 장착되어 원격 조작 장치(40)를 조작하여 핸들(15)을 따라 미끄러진다. 록킹 해방 부재(33)는 핸들(15)에서 뻗은 스프링(34a)에 의해 아래로(록킹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록킹 해방 로드(35)는 록킹 해방 부재(33)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조작판(36)은 핸들(15)에 평행한 파이프(17)에 탑재된 록킹 부재(26)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록킹 해방 로드(35) 너머로 뻗는다. 록킹 해방 로드(35)가 마련된 록킹 해방 부재(33)를 당겨 올리면, 록킹 해방 로드(35)는 조작판(36)과 맞물려서 록킹 부재(26)를 밀어서 브라킷(25)을 해방한다.
본체를 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로 록킹하고 핸들(15)을 록킹 또는 록킹 해방하는 원격 조작 장치(40)를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원격 조작 장치(40)를 분해 사시도로 나타내는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상의 프레임(41)이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61a, 61b)에 의해 핸들(15)에 접속된다.
프레임(41)은 대향 측벽(42)들을 갖는다. 2개의 풀리(43a, 43b)는 측벽(42)에서 회전 유지된다. 와이어 케이블(44a)이 풀리(43a)의 대각선 반대측부에 각각 접속되고, 와이어 케이블(44b)이 풀리(43b)의 대각선 반대측부에 각각 접속된다. 와이어 케이블(44a, 44b)은 핸들(15)을 따라 뻗는다. 풀리(43a)에 접속된 와이어 케이블(44a)는 정지 부재(30)에 각각 접속된다. 풀리(43b)에 접속된 와이어 케이블(44b)은 록킹 해방 부재(33)에 각각 접속된다(도4).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 단면의 조작 레버(45a, 45b)는 프레임(41)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단을 갖는다. 조작 레버(45a, 45b)는 그 선단이 스프링(46a, 46b)에 의해 각각 프레임(41)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바이어스된다. 조작 레버(45a, 45b)는 풀리(43a, 43b)에 각각 접속되는 구동 돌기(62a, 62b)를 갖는다. 록킹판(47)이 프레임(41)에 장착되어 프레임(41)의 측벽(42)의 상부 모서리를 따라 미끄러진다. 도9a~도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슬롯(48)이 록킹판(47)의 단부에 형성되고 프레임(41)에 마련된 정지핀(49)이 안내 슬롯(48)에 맞물려서 록킹판(47)의 이동 범위를 한정한다. 록킹판(47)의 반대측벽에는 규제부(50a, 50b)가 각각 마련된다. 규제부(50a, 50b)는 구동 돌기(62a, 62b)의 상단과 각각 맞물린다.
도9a에 나타낸 상태에서, 록킹판(47)을 조작하면, 록킹판(47)은 복귀 스프링(51)에 의해 규제 방향으로 바이어스되고, 규제부(50a, 50b)의 하단부가 조작 레버(45a, 45b)의 구동 돌기(62a, 62b)의 상단의 조작 위치에 각각 놓여서 록킹 기능을 구현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 돌기(62a, 62b)는 조작력이 조작 레버(45a, 45b)에 가해지더라도 올려지지 않음으로써, 원격 조작 장치(40)의 안정성이 보장된 다.
록킹판(47)이 도9b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규제부(50a, 50b)는 조작 레버(45a, 45b)의 구동 돌기(62a, 62b)의 상단의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로 각각 시프트한다. 따라서 규제부(50a, 50b)가 구동 돌기(62a, 62b)로부터 멀어진다. 록킹판(47)의 기단부는 복귀 스프링(51)에 의해 아래로 바이어스된다. 따라서 록킹판(47)의 상벽(52)에 형성된 정지 돌기(52a)가 프레임(41)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홈(53)에 맞물려서 록킹판(47)이 도9b의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 록킹판(47)을 일시적으로 개방 위치에 유지한다.
도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9b의 상태에 있는 원격 조작 장치(40)의 조작 레버(45a, 45b)를 조작하여 구동 돌기(62a, 62b)를 올리면, 풀리(43a, 43b)가 회동되어 와이어 케이블(44a, 44b)을 당겨서 원격 조작을 한다. 풀리(43a, 43b)가 회동되면, 풀리(43a, 43b)의 주위로부터 돌출하는 돌기(54)는 록킹판(47)의 상벽(52)과 맞물려서 록킹판(47)을 올린다. 따라서 정지 돌기(52a)는 홈(53)으로부터 맞물림 해방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45a, 45b)에 가해진 힘이 조작 레버(45a, 45b)로부터 제거될 때, 록킹판(47)은 그 초기 위치로 즉시 자동 복귀함으로써 오조작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체를 접고 펴고 핸들(15)을 록킹하고 록킹 해방하는 원격 조작이 가능하다.
와이어 케이블(44a)은 스프링(34a)의 탄성에 대해 핸들(15)의 축을 따라서 록킹 해방 방향으로 정지 부재(30)를 당김으로써 조작 레버(45a)가 조작될 때에 핸들(15)을 록킹 해방한다. 따라서 핸들(15)이 앞보고 밀기 모드에서 전방 위치로 또는 뒤보고 밀기 모드에서 후방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핸들(15)을 뒤보고 밀기 모드에서의 후방 위치에 놓은 후에 다른 조작 레버(45b)를 조작할 때, 와이어 케이블(44b)은 스프링(34a)의 탄성에 대해서 록킹 해방 로드(35)와 조작판(36)을 통해 록킹 부재(26)를 당겨 올림으로써 브라킷(25)이 록킹 부재(26)로부터 해방된다. 따라서 팔걸이(16), 앞다리(12) 및 뒷다리(14)는 도3 및 도10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윗쪽으로 회동하여 본체를 둘로 접어서 유모차의 운반을 용이하게 한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접속바(20), 후방 접속바(21) 및 상부 접속바(24)에는 조인트(20a, 20b), 조인트(21a, 21b), 조인트(24a, 24b)가 각각 마련되어 전방 접속바(20), 후방 접속바(21) 및 상부 접속바(24)를 접히게 한다. 핸들(15)의 외부(15a, 15b)는 조인트(61a, 61b)에서 각각 앞쪽으로 회동될 수 있다. 유모차(10)가 접혀서 앞다리(12) 및 뒷다리(14)가 서로 평행으로 뻗으면, 조인트(20a, 21a, 24a, 61a)가 일렬로, 조인트(20b, 21b, 24b, 61b)가 일렬로 놓이고 이들은 평행을 이룬다.
핸들(15)의 외부(15a, 15b)는 유모차(10)를 접은 후에 앞쪽으로 회동하여 앞다리(12)와 뒷다리(14)가 서로 평행으로 되고, 핸들(15)의 각각의 외부(15a, 15b), 전방 접속바(20), 후방 접속바(21) 및 상부 접속바(24)는 조인트에서 앞쪽으로 회동하여 유모차(10)를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중으로 컴팩트하게 접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뒤보고 밀기 모드로 후방 위치에 또는 앞보고 밀기 모드로 전방 위치에 핸들이 세트된 유모차로서 유모차가 접힐 때에 핸들의 잘못된 록킹 해방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사용시 펼침 상태로 펼치도록 되고 접힘 상태로 접도록 된 본체와,
    상기 본체 위에서 전후방으로 회동하게 고정되고, 뒤보고 밀기 모드에서의 뒤로 기운 자세 또는 앞보고 밀기 모드에서의 앞으로 기운 자세로 설정되도록 된 핸들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핸들을 뒤보고 밀기 모드 상태 또는 앞보고 밀기 모드 상태로 록킹하기 위한 핸들 록킹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 록킹 기구는, 상기 본체가 상기 펼침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핸들의 록킹 해방을 허용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접힘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핸들 록킹 기구가 상기 핸들을 록킹 해방하도록 구동되더라도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핸들의 록킹 해방을 규제하는 정지 구조(stopping structu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록킹 기구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정지 돌기와 상기 정지 돌기에 맞물리는 홈이 마련된 정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 부재는 상기 핸들의 축을 따라 미끌어지도록 상기 핸들에 고정되고 록킹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상기 정지 부재의 홈에 상기 정지 돌기가 맞물리고, 상기 정지 부재의 홈에 맞물린 상기 정지 돌기는 상기 본체의 상태가 상기 접힘 상태와 상기 펼침 상태 사이에서 변함에 따라 상기 정지 부재에 대해 회동하고, 상기 정지 돌기와 상기 정지 부재의 홈의 맞물림 상태는 상기 정지 부재의 홈에 대한 상기 정지 돌기의 각(角) 위치에 따라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돌기는 상기 정지 부재의 홈에서 회동하게 맞물리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끝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펼침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정지 돌기가 위치하는 제 1 위치에 상기 정지 돌기가 있을 때에 상기 핸들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뻗고, 상기 본체가 상기 접힘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정지 돌기가 위치하는 제 2 위치에 상기 정지 돌기가 있을 때에 상기 핸들의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뻗도록 된 단부를 갖고,
    상기 정지 부재의 홈은 상기 정지 돌기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정지 돌기의 상기 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정지 부재가 록킹 해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단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달린 조작 장치와,
    상기 핸들을 따라서 뻗고 일단이 상기 정지 부재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조작 장치에 접속된 접속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접속 부재를 당겨 올림으로써 록킹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상기 정지 부재를 상기 록킹 방향과 반대인 록킹 해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020011642A 2001-03-05 2002-03-05 절첩식 유모차 KR100852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60216 2001-03-05
JP2001060216A JP4812948B2 (ja) 2001-03-05 2001-03-05 ベビーカ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479A KR20020071479A (ko) 2002-09-12
KR100852410B1 true KR100852410B1 (ko) 2008-08-14

Family

ID=1891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642A KR100852410B1 (ko) 2001-03-05 2002-03-05 절첩식 유모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893031B2 (ko)
EP (1) EP1238887A3 (ko)
JP (1) JP4812948B2 (ko)
KR (1) KR100852410B1 (ko)
CN (1) CN1319796C (ko)
HK (1) HK1050348A1 (ko)
MY (1) MY128514A (ko)
SG (1) SG111932A1 (ko)
TW (1) TW5444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6881B2 (ja) * 1999-10-12 2010-02-17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畳み操作装置
SG109989A1 (en) * 2001-09-19 2005-04-28 Combi Co Stroller
TWI308539B (en) * 2003-01-07 2009-04-11 Combi Corp Hammock type baby car
JP3967271B2 (ja) * 2003-02-04 2007-08-2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折畳式乳母車
JP4583742B2 (ja) * 2003-09-24 2010-11-17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US7311323B1 (en) * 2006-12-20 2007-12-25 Red Lan Stroller having a foldable handle frame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locked in a folded state
CN102303548B (zh) * 2008-10-01 2014-10-01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婴儿车与汽车座椅的组合
US8210563B2 (en) * 2008-12-19 2012-07-0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Reversible stroller handle
US8215651B2 (en) * 2009-02-03 2012-07-10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Stroller part assembly for a reversible handle stroller
KR200448210Y1 (ko) * 2009-06-03 2010-03-25 김봉현 의자용 등받이 프레임
CN102101490B (zh) * 2009-12-18 2014-07-16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可收合式婴幼儿承载装置
CN102100463B (zh) 2009-12-18 2014-03-26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幼儿承载装置及具有安全锁的操作机构
US8827283B2 (en) 2010-04-01 2014-09-09 Nuna International B.V. Mount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 child support accessory on a stroller frame
US8419025B2 (en) * 2010-04-07 2013-04-16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Infant carrier apparatus
CN102211602B (zh) * 2010-04-07 2015-09-30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及其操作方法
JP5613492B2 (ja) * 2010-08-06 2014-10-22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用スタンド装置
US8523218B2 (en) * 2010-08-09 2013-09-03 Europe Brands S.A.R.L. Stroller with articulating structure
WO2013065576A1 (ja) * 2011-11-01 2013-05-10 コンビ株式会社 折畳みが可能なベビーカー
CN104554409A (zh) * 2013-10-25 2015-04-2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防车架误用机构及具有该防车架误用机构的婴儿车
CN105329304B (zh) * 2014-06-06 2017-12-08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幼儿载具
US10077062B2 (en) 2014-07-29 2018-09-18 Veer Gear, Llc Wagon with adapter for installing child seat
GB2529718A (en) * 2014-09-01 2016-03-02 Stroller Tech Ltd Handle assembly for a folding perambulator and a folding perambulator incorporating the same
WO2017156115A1 (en) 2016-03-08 2017-09-14 Dragonfly Gear, LLC Wagon with collapsible footwell and position-locking handle
WO2020146576A1 (en) * 2019-01-10 2020-07-16 Evenflo Company, Inc. Stroller convertible for multiple modes of use
JP6957051B2 (ja) * 2020-02-20 2021-11-02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CN112319592A (zh) * 2020-12-02 2021-02-05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童车的解锁结构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4766U (ko) * 1986-08-25 1988-03-05
JPS6334678U (ko) * 1986-08-22 1988-03-05
JPS6334767U (ko) * 1986-08-25 1988-03-05
US4832361A (en) * 1986-08-22 1989-05-23 Combi Co., Ltd. Foldable baby carriage
JPH01233160A (ja) * 1988-10-28 1989-09-18 Aprica Kassai Inc 折畳み式乳母車
JPH08169348A (ja) * 1994-12-16 1996-07-02 Aprica Kassai Inc 乳母車の全開ロック機構および押棒ロック機構
KR19980056408U (ko) * 1997-01-14 1998-10-15 황현 유모차의 손잡이 조절장치
US5845924A (en) * 1996-11-11 1998-12-08 Huang; Li-Chu Chen Foldable mechanism for a stroller
EP0997367A2 (de) * 1998-10-28 2000-05-03 Firma Joh. Georg Hartan Fahrgestell für eine Kinder- oder Puppenwage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3148B2 (ja) * 1980-12-02 1983-07-18 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US4616844A (en) * 1983-07-15 1986-10-14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Mechanism for locking opened state of baby carriage
US4779879A (en) * 1986-09-02 1988-10-25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US4846494A (en) * 1987-07-28 1989-07-11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JP2521138Y2 (ja) * 1989-06-21 1996-12-25 コンビ株式会社 うば車の操舵機構
JP2523510Y2 (ja) * 1989-09-13 1997-01-2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に取付ける手押しハンドル及び手押しハンドルが着脱できるベビーカー
US5056805A (en) * 1990-06-05 1991-10-15 Wang Chia Ho Stroller
JPH0752778Y2 (ja) * 1990-09-20 1995-12-0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リクライニング機構
US5257799A (en) * 1991-10-04 1993-11-02 Cosco, Inc. Foldable stroller
JP3376120B2 (ja) * 1994-08-05 2003-02-1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押棒ロック機構
US5513864A (en) * 1994-11-01 1996-05-07 Huang; Li-Chu C. Stroller with switchable handle
JPH0997492A (ja) * 1995-09-29 1997-04-08 Aiwa Co Ltd キャリングハンドル機構
US6116624A (en) * 1998-04-01 2000-09-12 Hu; Stephen Direction-changing and positioning device for the handle of a baby stroller
US6073945A (en) * 1998-07-07 2000-06-13 Top Fortune Ltd. Switching device for a stroller handle
US6102432A (en) * 1999-02-18 2000-08-15 Pao-Hsien Cheng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handle of a stroller
JP3939537B2 (ja) * 2001-02-15 2007-07-0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4678U (ko) * 1986-08-22 1988-03-05
US4832361A (en) * 1986-08-22 1989-05-23 Combi Co., Ltd. Foldable baby carriage
JPS6334766U (ko) * 1986-08-25 1988-03-05
JPS6334767U (ko) * 1986-08-25 1988-03-05
JPH01233160A (ja) * 1988-10-28 1989-09-18 Aprica Kassai Inc 折畳み式乳母車
JPH08169348A (ja) * 1994-12-16 1996-07-02 Aprica Kassai Inc 乳母車の全開ロック機構および押棒ロック機構
US5845924A (en) * 1996-11-11 1998-12-08 Huang; Li-Chu Chen Foldable mechanism for a stroller
KR19980056408U (ko) * 1997-01-14 1998-10-15 황현 유모차의 손잡이 조절장치
EP0997367A2 (de) * 1998-10-28 2000-05-03 Firma Joh. Georg Hartan Fahrgestell für eine Kinder- oder Puppenw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479A (ko) 2002-09-12
US6893031B2 (en) 2005-05-17
EP1238887A3 (en) 2003-12-17
TW544420B (en) 2003-08-01
CN1374221A (zh) 2002-10-16
SG111932A1 (en) 2005-06-29
HK1050348A1 (en) 2003-06-20
US20020121753A1 (en) 2002-09-05
MY128514A (en) 2007-02-28
CN1319796C (zh) 2007-06-06
EP1238887A2 (en) 2002-09-11
JP4812948B2 (ja) 2011-11-09
JP2002264820A (ja)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410B1 (ko) 절첩식 유모차
KR100852409B1 (ko) 유모차
US5205579A (en) Handle bar for baby carriage
US5257799A (en) Foldable stroller
US7066542B2 (en) Child high chair with an inclination adjustable backrest
US7334836B2 (en) Foldable chair
EP0257588B1 (en) Foldable baby carriage
US7871100B2 (en) Collapsible stroller
US4765645A (en) Safety spreader bar lock for umbrella stroller
CN210882284U (zh) 一种座椅背靠可联动收合的婴儿车
GB2431140A (en) Baby stroller frame
US8215661B2 (en) Stroller
GB2476391A (en) A collapsible perambulator with hinges having latching members
JPH0329625B2 (ko)
JP4942977B2 (ja) ベビーカー
EP0466489A1 (en) Height-controllable chair
KR101133068B1 (ko) 유모차
JP2000325402A (ja) 携帯用車椅子
JP2007015587A (ja) ベビーカー
JP2001088710A (ja) 折畳み式ベビーカー
GB2474422A (en) Foldable high chair
JP2005328980A (ja) リクライニング可能な車椅子の手摺り
CN117141564A (zh) 可折叠童车
JPH04200406A (ja) 移動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