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998B1 - 공작 기계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998B1
KR100845998B1 KR1020060083934A KR20060083934A KR100845998B1 KR 100845998 B1 KR100845998 B1 KR 100845998B1 KR 1020060083934 A KR1020060083934 A KR 1020060083934A KR 20060083934 A KR20060083934 A KR 20060083934A KR 100845998 B1 KR100845998 B1 KR 100845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rough member
support
machine too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223A (ko
Inventor
후미오 가메야마
Original Assignee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25Relatively slidable coverings,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91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arranged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op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2)와, 상기 베이스(2) 상에 설치한 기계 본체와, 상기 베이스(2) 상에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의 상부 및 상기 기계 본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스플래시 커버(3)를 구비한 공작 기계에 있어서, 베이스(2) 상에 설치한 오목형 수납부(20)의 바닥부(21)와,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 사이에 라비린스 밀봉부(60)를 설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2)의 우측의 주위판(22) 근방의 라비린스 밀봉부(60)는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바닥부(21)에 우측 홈통 부재(70)를 배치하고,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와, 스플래시 커버(3)의 우측 바닥벽(3e)의 외측면과, 우측 바닥벽(3e)의 외측면으로부터 수납부(20)의 바닥부(21)측을 향해 각각 연장되는 제1 연장 설치 부재(100) 및 제2 연장 설치 부재(110)에 의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측 홈통 부재(70) 내에 냉각액이 기세 좋게 흘러도 라비린스 밀봉부(60)에 의해 냉각액의 기세를 약하게 할 수 있고, 베이스(2) 밖으로 냉각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작 기계, 베이스, 스플래시 커버, 라비린스 밀봉부, 홈통 부재, 연장 설치 부재

Description

공작 기계{MACHINE TOOL}
도1은 머시닝 센터(1)의 사시도.
도2는 머시닝 센터(1)의 우측면도.
도3은 도2에 나타내는 A-A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4는 베이스(2)의 사시도[우측 홈통 부재(70), 좌측 홈통 부재(80) 없음].
도5는 베이스(2)의 사시도[우측 홈통 부재(70), 좌측 홈통 부재(80) 있음].
도6은 우측 홈통 부재(70)의 사시도.
도7은 연결 부재(90)의 사시도.
도8은 베이스(2)의 우측의 주위판(22) 근방의 라비린스 밀봉부(60)의 구성을 도시하는 베이스(2)의 상부 우측 주변의 횡단면도.
도9는 베이스(2)의 전방측의 주위판(22) 근방의 라비린스 밀봉부(60)의 구성을 도시하는 베이스(2)의 상부 전방측 주변의 종단면도.
도10은 제1 변형예인 라비린스 밀봉부(160)의 구성을 도시하는 베이스(2)의 상부 우측 주변의 횡단면도.
도11은 제2 변형예인 라비린스 밀봉부(260)의 구성을 도시하는 베이스(2)의 상부 우측 주변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머시닝 센터
2 : 베이스
3, 31 : 스플래시 커버
5 : 컬럼
8 : 테이블
9 : 제어 상자
10, 14 : 개구부
11 : 개폐 도어
20 : 수납부
50 : 이동체
60 : 라비린스 밀봉부
70 : 우측 홈통 부재
80 : 좌측 홈통 부재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05542호 공보
본 발명은 공작 기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베이스 상으로부터 주위로 냉각액이나 칩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구비한 공작 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작 기계의 일종인 머시닝 센터는 토대가 되는 베이스 상에 워크를 절삭 공구로 가공하는 기계 본체를 구비하고, 그 베이스 상에 기계 본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기 위한 스플래시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플래시 커버는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한 테이블이나, 기계 본체로부터 비산되는 칩이나 냉각액이 외부 주위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플래시 커버를 구비하는 머시닝 센터는 베이스의 상부에 오목형 수납부를 갖고, 그 수납부의 바닥면에 대해 스플래시 커버의 하단부를 직접 나사 고정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구조만으로는 베이스의 수납부의 바닥면과 스플래시 커버의 하단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그 간극으로부터 냉각액이 외측으로 누출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스플래시 커버의 하부와, 수납부의 주위판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 내에 스플래시 커버의 외측으로부터 냉각액 등의 누설을 방지하는 고무제의 패킹을 압입하는 구성의 공작 기계가 이미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05542호 공보에 기재한 공작 기계에서는 베이스 상의 수납부에 있어서, 공작 기계를 둘러싸는 측에 개구부를 마련하고, 그 개구부 내에 수납부의 바닥면과 스플래시 커버의 하부 사이를 막는 패킹을 배치하고 있다. 이 공작 기계에서는 스플래시 커버의 내측에서 패킹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패킹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패킹이 스플래시 커버의 내측에 가려지므로, 미관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공작 기계에서는 베이스의 수납부의 바닥면과 스플래시 커버의 하부 사이의 간극을 막기 위해 패킹을 사용하고 있고, 그 패킹은 고무제나 스폰지제인 것이 많으므로, 내구성이 떨어진다. 그로 인해, 일정 시기에서의 패킹의 교환이 필요해지고, 패킹의 교환에 수반하는 착탈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패킹은 개구부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판금으로 상부로부터 압박하여 고정하므로, 그 판금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나 너트에 칩이 걸리고, 그곳을 기점으로 하여 칩이 퇴적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베이스 상에 낙하한 냉각액이 베이스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베이스 상에 칩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작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한 공작 기계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워크를 가공하는 기계 본체와,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의 상부 및 상기 기계 본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상자형으로 형성한 커버를 구비한 공작 기계이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커버의 하부를 내측에 수납하여 지지하는 오목형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와 상기 커버의 하부 사이에 라비린스 밀봉부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공작 기계에 따르면, 수납부에 낙하한 냉각액이 기세 좋게 라비린스 밀봉부로 침입해도 이 미로형의 통로를 통과하는 동안에 냉각액의 기세를 약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납부 내의 냉각액이 베이스 밖으로 누출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은 패킹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라비린스 밀봉부 내에는 패킹을 압박하는 판금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나 너트 등의 고정구나, 장해물 등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냉각액에 칩을 포함하고 있어도 라비린스 밀봉부 내에서 칩이 장해물 등에 걸려 퇴적되는 일이 없다.
청구항 2에 관한 공작 기계에서는, 상기 베이스의 측벽을 따라서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판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의 하부와 상기 판 부재로 라비린스 밀봉부를 구성하고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공작 기계에서는, 베이스의 측벽을 따라서 수납부의 바닥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판부재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그 판부재와 커버의 하부로 용이하게 라비린스 밀봉부를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3 및 4에 관한 공작 기계에서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수납부의 상기 바닥부에 형성한 칩 및 냉각액을 상기 수납부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오목형의 배출 통로와, 상기 배출 통로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배출 통로를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배출 통로의 폭 길이보다도 짧은 폭 길이를 구비하고,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기립하는 한 쌍의 측벽으로 구성된 오목형의 홈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판 부재를 상기 홈통 부재의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상기 수납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측벽으로 구성하고 있다.
청구항 3 및 4에 관한 공작 기계에서는 배출 통로의 내측에 상기 배출 통로보다도 짧은 폭 길이를 구비하는 홈통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라비린스 밀봉부를 구성하는 판부재를 홈통 부재의 외측 측벽으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냉각액을 홈통 부재의 내측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냉각액이 홈통 부재로부터 넘쳐도 배출 통로 내로 흐름으로써 냉각액을 베이스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홈통 부재의 폭 길이가 배출 통로의 폭 길이보다도 짧으므로, 홈통 부재와 배출 통로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홈통 부재의 내측을 흐르는 냉각액이 홈통 부재로부터 넘쳐도 그 간극으로부터 배출 통로 내로 냉각액을 흐르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공작 기계는 상기 커버의 상기 하부에 두갈래형으로 형성된 두갈래부를 갖고, 상기 판 부재를 상기 두갈래부로 끼우고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공작 기계에서는 커버의 하부에 형성한 두갈래부를, 판부재를 끼우도록 배치함으로써 판부재와 커버의 하부로 구성한 라비린스 밀봉부를 더 복잡화하여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라비린스 밀봉부에 침입하는 냉각액 흐름의 기세를 더 약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 및 7에 관한 공작 기계는 상기 수납부의 상기 바닥부에 상기 워크를 고정하기 위한 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측벽에 대향하는 내측 측벽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대에 접촉하고 있다.
청구항 6 및 7에 관한 공작 기계에서는 홈통 부재의 외측 측벽에 대향하는 내측 측벽의 상단부가 지지대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지지대가 지지하는 테이블로부터 낙하하는 냉각액을 홈통 부재로 흐르게 할 수 있다. 홈통 부재는 배출 통로의 지지대측으로 치우쳐 배치하고 있으므로, 홈통 부재의 외측 측벽과 배출 통로의 내측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액이 홈통 부재의 외측 측벽을 타고 넘어도 배출 통로와의 간극에 그 냉각액을 흐르게 하여 배출 통로 내로 흐 르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머시닝 센터(1)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4, 도5에 있어서, 좌측 경사 상측을 베이스(2)의 전방으로 하고, 우측 경사 하측을 베이스(2)의 후방으로 하고, 좌측 경사 하측을 베이스(2)의 우측으로 하고, 우측 경사 상측을 베이스(2)의 좌측으로 한다. 도6에 있어서, 좌측 경사 상측을 우측 홈통 부재(70)의 전방으로 하고, 우측 경사 하측을 우측 홈통 부재(70)의 후방으로 하고, 좌측 경사 하측을 우측 홈통 부재(70)의 우측으로 하고, 우측 경사 상측을 우측 홈통 부재(70)의 좌측으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머시닝 센터(1)의 X축 방향이라 함은, 머시닝 센터(1)의 좌우 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이라 함은, 머시닝 센터(1)의 전후 방향(깊이 방향)을 나타내고, Z축 방향이라 함은, 머시닝 센터(1)의 상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머시닝 센터(1)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 상에 설치한 오목형 수납부(20)의 바닥부(21)와,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 사이에 미로형의 라비린스 밀봉부(60)(도3 참조)를 설치한 점에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것이다.
처음에, 머시닝 센터(1)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하는 머시닝 센터(1)는 도시하지 않은 워크와 공구가 상대 이동함으로써, 워크에 원하는 기계 가공(예를 들어, 「보링」, 「밀링」, 「펀칭」, 「절삭」 등)을 실시하는 공작 기계이다. 이 머시닝 센터(1)는 기대가 되는 철제의 베이스(2)와, 상기 베이 스(2)의 상부에 설치한, 워크를 가공하는 기계 본체와, 상기 베이스(2)의 상부에 고정한 기계 본체 및 베이스(2)의 상부를 덮는 상자형의 스플래시 커버(3)를 구성의 주체로 한다. 머시닝 센터(1)는 스플래시 커버(3)의 후방에 머시닝 센터(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는 제어 상자(9)를 구비하고 있다. 도1에 도시하는 스플래시 커버(3)가 「커버」에 상당한다.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는 주형 내에 주철 등의 금속 재료를 유입함으로써 성형하고, Y축 방향에 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그 코어부는 경량화, 고강도화 및 저비용화를 위해, 소위 두께 감소 성형(리브에 의한 골조 구조)한다. 베이스(2)는 하부의 4구석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부(2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들 4개의 다리부(2a)를 공장 등의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머시닝 센터(1)를 소정 장소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2)는 상부 후방측의 양구석부에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컬럼 시트부(4, 4)(도2에서는 1개만 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컬럼 시트부(4, 4)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대(臺) 시트이다. 한 쌍의 컬럼 시트부(44) 상에는 Z축 방향으로 연장 설치한 기둥형의 컬럼(5)의 하부를 고정하고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는 그 상부에 바닥부(21)와 주위판(22)으로 구성한 오목형 수납부(20)(도4 참조)를 구비하고, 그 수납부(20)의 내측에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를 수납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머시닝 센터(1)는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와,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바닥부(21) 사이에 본 발명의 특징인 미로형의 라비린스 밀봉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2)의 수납 부(20) 내를 흐르는 냉각액이 베이스(2)의 주위판(22)을 타고 넘어 베이스(2)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베이스(2)의 상부 구조와, 라비린스 밀봉부(6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플래시 커버(3)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벽(3a), 우측벽(3b), 좌측벽(3c), 천정벽(3d), 베이스(2) 상부로부터 우측 경사 측방으로 돌출된 우측 바닥벽(3e), 베이스(2) 상부로부터 좌측 경사 측방으로 돌출된 좌측 바닥벽(3f), 컬럼(5)의 전방면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된 우측 배면벽(3g), 컬럼(5)의 전방면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좌측 배면벽(3h) 등의 복수의 판금으로 이루어지고, 상자형의 형상을 갖는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벽(3a)은 그 대략 중앙에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개구부(10)를 갖고, 상기 개구부(10)에는 슬라이드 개폐식 개폐 도어(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폐 도어(11)의 손잡이부(11a)를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개구부(10)가 개방되고, 후술하는 테이블(8)(도3 참조) 상에 유지한 워크의 착탈을 행할 수 있다. 전방벽(3a)은 개폐 도어(11)의 우측에 머시닝 센터(1)의 가공 프로그램이나, 가공 프로그램 등의 파라미터의 설정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12)을 구비하고 있다.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벽(3b)은 직사각형의 개구부(14)를 갖고, 상기 개구부(14)에는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덮개형의 점검 해치(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플래시 가드 사이드 커버(15)를 제거하여 개구부(14)를 개방함으로써 테이블(8) 상의 워크의 착탈 작업이나, 스플래시 커버(3)의 내측에 수납한 기계 본체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의 보수 작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좌측벽(3c)도 우측벽(3b)과 동일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는 스플래시 가드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스플래시 커버(3)의 천정벽(3d)은 주축 헤드(도시하지 않음)나, 주축 헤드로의 배선(도시하지 않음), 공구 교환 장치(6)(도3 참조)의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이 돌출되는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형의 커버(17, 18)가 각각 상기 개구부를 덮고 있다. 스플래시 커버(3)의 전방벽(3a)은 상부 좌측의 모서리부에 머시닝 센터(1)의 동작에 관한 에러를 작업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타워형의 경고 통지 램프(16)를 구비하고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플래시 커버(3)는 그 내측에 워크의 절삭 가공을 행하는 기계 본체를 수납하고 있다. 이 기계 본체는 베이스(2)의 상부 후방에 설치한 컬럼 시트부(4, 4)(도2 참조) 상에 적재하여 고정된 기둥형의 컬럼(5)과, 상기 컬럼(5)의 베이스(2)의 상부에 대향하는 전방면측에 보유 지지한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주축 헤드(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주축 헤드의 하부에 유지된 회전 가능한 주축(7)과, 상기 주축(7)에 장착된 공구를 자동적으로 교환하는 공구 교환 장치(ATC)(6)를 구성의 주체로 한다. 베이스(2) 상부의 수납부(20)는 워크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동시에, X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테이블(8)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테이블(8)에 대해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하는 테이블(8)은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내측에 설치한 후술하는 테이블 지지대(24)(도4 참조) 상에 위치되고, 수납부(20) 내를 XY축 방향(수평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테이블(8)은 그 하측에 이동체(50)를 구비하고, 이동체(50)는 그 상부에 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 쌍의 X축 이송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볼나사축, 너트 및 X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는 X축 이동 기구에 의해 테이블(8)이 상기 한 쌍의 X축 이송 가이드 레일 상을 이동한다. 이동체(50)는 베이스(2)의 수납부(20) 내를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 쌍의 Y축 이송 가이드 레일(30, 30) 상을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X축 이동 기구와 동일한 볼나사축, 너트 및 Y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는 Y축 이동 기구에 의해 이동체(50)가 상기 한 쌍의 Y축 이송 가이드 레일(30, 30) 상을 이동한다. 이에 의해, 테이블(8)은 X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이송 가이드 레일은 테이블(8)을 중앙에 두고, 신축 가능하게 신축하는 한 쌍의 신축 커버(52, 53)를 상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하고 있다. Y축 이송 가이드(30, 30)도 그 상부에 테이블(8)의 전방측에 배치한 신축 커버(54)와, 단면 대략 산형으로 형성한 판금이며, 테이블(8)과 컬럼(5)의 전방면측 사이에 배치한 Y축 후방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테이블(8)이 어떠한 방향(수평면을 구성하는 XY축 방향으로 한정함)으로 이동해도 이들 각종 커버가 X축 이송 가이드 레일 및 Y축 이송 가이드 레일(30, 30)을 덮고 있다. 따라서, X축 이송 가이드 레일 및 Y축 이송 가이드 레일(30, 30) 상에 칩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베이스(2)의 상부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는 그 상부에 상면이 개방되는 오목형으로 일체 성형된 수납 부(20)를 갖는다. 이 수납부(20)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인 바닥부(21)와, 상기 바닥부(21)의 주연을 둘러싸고 세워 설치한 주위판(22)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부(21)는 베이스(2)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완만하게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주위판(22)은 베이스(2)의 후방측이 개방되어 있고, Y축 방향으로 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인 하변이 빠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스플래시 커버(3)의 내측을 비산하여 수납부(20) 내로 낙하한 냉각액은 바닥부(21)의 경사면을 따라서 흐르고, 베이스(2)의 후방으로부터 베이스(2) 밖으로 유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하는 주위판(22)이 「상기 베이스의 측벽」에 상당한다.
다음에, 주위판(22)에 설치한 각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의 전방측의 주위판(22)의 상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한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의 고정판(40, 40)을 한 쌍 구비하고 있다. 이 한 쌍의 고정판(40, 40)은 주위판(2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연통하는 고정 구멍(40a)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2)의 좌우 양측의 주위판(22)의 각 상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한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의 지지판(42, 42)을 한 쌍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2) 상에 스플래시 커버(3)를 고정할 때에 이들 고정판(40) 및 지지판(42)을 사용한다. 고정판(40)에는, 도1,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플래시 커버(3)의 전방벽(3a)의 하단부에 설치한 블래킷(58)을 접촉하여 나사(68)로 고정한다. 지지판(42) 상에는, 도2,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플래시 커버(3)의 우측 바닥벽(3e)[좌측 바닥벽(3f)]의 하단부 근방의 외측면에 설치한 후술하는 단면 대략 L자형의 지지 부재(112)의 한쪽 부재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주위판(22)의 지지판(42) 상에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베이스(2) 상에 스플래시 커버(3)를 설치한다.
다음에, 바닥부(21)에 설치한 각 부재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21)의 좌우 양측 사이에 위치하는 대략 중앙부는 테이블(8)을 수납부(20) 내에서 대략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대략 직육면체형의 테이블 지지대(24)를 구비하고 있고, 바닥부(21)와 함께 일체 성형하여 구성한다. 테이블 지지대(24)는 대략 직육면체형의 지지대 본체(25)와, 상기 지지대 본체(25)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각각 세워 설치한 한 쌍의 우측 지지벽(26) 및 좌측 지지벽(28)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횡단면이 대략 오목형의 형상을 갖는다. 이 테이블 지지대(24)의 전방면, 우측면 및 좌측면과, 바닥부(21)와, 주위판(22)이 둘러싸고 형성하는 오목형의 통로가, 냉각액을 베이스(2) 밖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배출 통로」로 되어 있다.
다음에, 테이블 지지대(24)가 갖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에, 지지대 본체(25)가 갖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 본체(25)는 그 상면 후방측에 한 쌍의 지지 블럭(47, 47)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 블럭(47, 47)은 상기 Y축 이동 기구의 볼나사축(도시하지 않음)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볼나사축을 회전시키는 Y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고정한다. 지지대 본체(25)는 그 상면 전방측에 상기 볼나사축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 블럭(48, 48)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지지 블럭(47, 48)에 의해 상기 Y축 이동 기구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를 지지함으로써, 한 쌍의 우측 지지벽(26) 및 좌측 지지벽(28)의 각 상단부보다도 하측에 Y축 이동 기구를 배치한다.
다음에, 우측 지지벽(26) 및 좌측 지지벽(28)이 갖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지지벽(26) 및 좌측 지지벽(28)의 각 상단부는 Y축 이송 가이드 레일(30)(도3 참조)을 설치하기 위한 평면에서 볼 때 띠형인 가이드 레일 설치면(27, 29)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가이드 레일 설치면(27, 29)의 내측[테이블 지지대(24)의 내측]의 각 모서리부는 Y축 이송 가이드 레일(30)을 위치 결정하기 위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단면 볼록형의 견부(27a, 29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레일 설치면(27, 29)에 대해 테이블 지지대(24)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한 쌍의 Y축 이송 가이드 레일(30)을 설치하고, 각 견부(27a, 29a)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을 한다.
바닥부(21)는 테이블 지지대(24)의 후방에 바닥부(21) 상부로부터 수직 상승한 상태로 형성한 정면에서 볼 때 대략 Y자형의 시트부 지지대(32)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부 지지대(32)는 그 상부의 좌우 양측에 컬럼(5)의 하부를 적재하여 고정하기 위한 대 시트인 대략 직육면체형의 한 쌍의 컬럼 시트부(4, 4)를 서로 이격하여 구비하고 있다. 그 컬럼 시트부(4, 4)의 하부와 주위판(22)의 상단부 사이를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형의 수평판(34)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들 각 수평판(34)의 하측은 수납부(20) 내에 낙하한 냉각액을 시트부 지지대(32)의 양측으로 부터 베이스(2)의 후방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터널형으로 형성한 냉각액 통로(35)이다. 수평판(34)의 상면과, 상기 수평판(34)의 상면에 접촉하는 컬럼 시트부(4)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한 보강용 3매의 리브(45)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늘어서 있다.
시트부 지지대(32)는 한 쌍의 컬럼 시트부(4, 4) 사이에 테이블 지지대(24)의 상부 후방으로부터 베이스(2)의 후방을 향해 완만하게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37)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지지대 본체(25)의 상면에 낙하한 냉각액은 그 경사부(37)를 따라서 흘러 베이스(2)의 후방으로 유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납부(20)의 바닥부(21)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오목형의 홈통을 형성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인 한 쌍의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를 부설한다. 이 한 쌍의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는 테이블 지지대(24)의 전방측 및 좌우 양측을 매립하도록 하여 부설한다. 이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는 내측에 냉각액을 흐르게 하여 베이스(2)의 후방으로 유도하는 동시에, 본 발명의 특징인 라비린스 밀봉부(6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에,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하는 한 쌍의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는 매끄러운 측면을 갖는 판금으로 구성한다. 우측 홈통 부재(7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부(72)와, 상기 횡방향부(72)의 길이 방향 일단부로부터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방향부(73)로 이루어지고, 전체가 평면 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인 형상을 갖는다. 좌측 홈통 부재(80)도 마찬가지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부(82)와, 상기 횡방향부(82)의 길이 방향 일단부로부터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방향부(83)로 이루어지고, 전체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인 형상을 갖는다.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는 그 구조의 대부분이 서로 좌우 대칭 형상이므로, 우측 홈통 부재(70)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 좌측 홈통 부재(80)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하는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가 「오목형의 홈통 부재」에 상당한다.
우선, 횡방향부(72)에 대해 설명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부(72)는 평면에서 볼 때 가로로 긴 직사각형인 가로 본체(72a)를 구비하고, 상기 가로 본체(72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부에 상기 일단부의 소정 폭을 대략 직각으로 되접어 형성한 측벽부(72b)를 구비하고 있다. 가로 본체(72a)는 그 길이 방향 일단부에 좌측 홈통 부재(80)의 횡방향부(82)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중첩하여 연결하기 위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연결부(72c)를 구비하고 있다. 그 연결부(72c)는 좌측 홈통 부재(80)의 횡방향부(82)의 일단부에 마련한 고정 구멍(85, 85)에 대향하는 2개의 고정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좌측 홈통 부재(80)의 횡방향부(82)의 일단부를 연결부(72c)의 상면에 중첩한 후에 나사(66)를 각 고정 구멍에 연통하여 끼워 맞추고,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함으로써 우측 홈통 부재(70)와 좌측 홈통 부재(80)를 서로 연결한다.
다음에, 종방향부(73)에 대해 설명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 부(73)는 평면에서 볼 때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세로 본체(73a)를 구비하고, 상기 세로 본체(73a)는 횡방향부(72)의 연결부(72c)측의 일단부와는 반대인 타단부에 직교하여 연결되어 있다. 세로 본체(73a)의 횡방향부(72)에 연결하는 전단부와는 반대인 후단부측은 폭이 좁아지고, 베이스(2)의 시트부 지지대(32)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냉각액 통로(35)(도4 참조)의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세로 본체(73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외측 일단부[횡방향부(72)측과는 반대측의 일단부]는 상기 외측 일단부의 소정 폭을 대략 직각으로 상방으로 되접어 형성한 측벽부(73b)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 본체(73a)는 측벽부(73b)의 외측면에 고정한 세로 본체(73a)의 전단부측으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해 서서히 높아지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인 측벽부(73c)를 구비하고 있다. 측벽부(73c)는 그 중간부보다도 약간 후단부 근처에 L자형의 절결부(76)를 갖고, 상기 절결부(76)로부터 후단부까지의 측벽부(73c)의 높이는 베이스(2)의 상기 냉각액 통로(35)의 내측의 높이와 동일하다.
세로 본체(73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내측 일단부[횡방향부(72)측의 일단부]는 상기 내측 일단부의 소정 폭을 대략 직각으로 되접어 형성한 측벽부(73d)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 본체(73a)는 측벽부(73d)의 외측면의, 상기 측벽부(73d)의 전단부측으로부터 중간부까지의 부분에 고정한 접촉 측벽부(73e)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 측벽부(73e)는 세로 본체(73a)의 면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기립하고, 또한 그 상단부가 종방향부(73)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
측벽부(73d)의 후단부는 외측면에 측벽부(73d)보다 약간 높은 고정벽(73f)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벽(73f)은 고정벽(73f)을 좌측 홈통 부재(80)의 종방향부(83)의 후단부의 고정벽(83f)(도5 참조)과 연결하는 연결 부재(90)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고정벽(73f)은 후단부 근방에 연결 부재(9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멍(77)을 갖는다. 도6에 도시하는 측벽부(73c)와 접촉 측벽부(73e)가 「한 쌍의 측벽」에 상당하고, 측벽부(73c)가 「외측 측벽」에 상당하고, 접촉 측벽부(73e)가 「내측 측벽」에 상당한다.
횡방향부(72)의 가로 본체(72a)의 폭 길이는 베이스(2)의 전방측의 주위판(22)과 테이블 지지대(24)의 전방면을 사이에 두는 배출 통로의 폭 길이보다도 짧다. 이에 의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부(72)의 측벽부(72b)와, 주위판(22)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생기고, 그 소정의 간극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라비린스 밀봉부(60)를 설치할 수 있다. 횡방향부(72)가 주위판(22)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횡방향부(72) 내를 흐르는 냉각액이 주위판(22)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방향부(73)의 세로 본체(73a)의 폭 길이도 베이스(2)의 우측의 주위판(22)과, 테이블 지지대(24)의 우측 지지벽(26)의 외측면을 사이에 두는 배출 통로의 폭 길이보다도 짧다. 이에 의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부(73)의 측벽부(73c)와, 주위판(22)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생기고, 그 소정의 간극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라비린스 밀봉부(60)를 설치할 수 있다. 종방향부(73)가 주위판(22)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종방향부(73) 내를 흐르는 냉각액이 주위판(22)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조로 이루어지는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베이스(2) 상의 배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오목형의 우측 홈통 부재(70)의 개방측을 상방을 향하게 하고,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바닥부(21)의 우측 절반을 덮도록 하여 우측 홈통 부재(70)를 배치한다. 이때, 우측 홈통 부재(70)의 종방향부(73)의 후단부는 베이스(2) 후방의 터널형 냉각액 통로(35)(도4 참조)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배치한다. 계속해서, 좌측 홈통 부재(80)의 개방측을 상방을 향하게 하고,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바닥부(21)의 좌측 절반을 덮도록 하여 좌측 홈통 부재(80)를 배치한다. 좌측 홈통 부재(80)의 종방향부(83)의 후단부도 마찬가지로 하여 베이스(2)의 냉각액 통로(35)(도4 참조)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배치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홈통 부재(80)의 횡방향부(82)의, 우측 홈통 부재(70)의 횡방향부(72)에 대향하는 일단부를 우측 홈통 부재(70)의 횡방향부(72)의 연결부(72c)의 상면에 중첩하여 배치한다. 좌측 홈통 부재(80)의 횡방향부(82)의 고정 구멍(85)과, 우측 홈통 부재(70)의 횡방향부(72)의 연결부(72c)의 고정 구멍에 나사(66)를 끼워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우측 홈통 부재(70)의 횡방향부(72)와, 좌측 홈통 부재(80)의 횡방향부(82)를 서로 연결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의 바닥부(21)의 후단부 근방에 고정된 대략 L자형 단면의 연결 부재(90)가 우측 홈통 부재(70)의 종방향부(73)의 후단부와, 좌측 홈통 부재(80)의 종방향부(83)의 후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 연결 부 재(90)는 신축 가능하며,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를 함께 바닥부(21) 상의 대략 중앙의 테이블 지지대(24)측으로 당기면서 베이스(2)의 바닥부(21)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연결 부재(90)에 대해 설명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90)는 단면 대략 L자형의 제1 연결 부재(91)와, 마찬가지로 단면 대략 L자형의 제2 연결 부재(92)로 이루어진다. 제2 연결 부재(92)는 제1 연결 부재(91)의 길이 방향 일단부측의 내측과 중첩되고, 소정 거리 내에서 제1 연결 부재(9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우선, 제1 연결 부재(91)는 평면에서 볼 때 띠형인 본체 부재(91a)와, 상기 본체 부재(91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부에 대략 직각으로 설치한 측부재(91b)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대략 L자형인 형상을 갖는다. 제1 연결 부재(91)의, 제2 연결 부재(92)가 연결하는 측의 일단부와는 반대인 타단부에는 본체 부재(91a)와 측부재(91b)에 대해 직각으로 직사각형의 고정 부재(91c)가 연결되어 있다. 고정 부재(91c)는 본체 부재(91a)의 폭방향에 약간 긴 타원형의 고정 구멍(97)을 갖는다. 본체 부재(91a)는 상기 제2 연결 부재(92)가 연결하는 측의 일단부 근방에 본체 부재(91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렬로 한 쌍으로 늘어선 본체 부재(91a)의 길이 방향에 긴 타원형의 조정 구멍(95, 95)을 갖는다.
제2 연결 부재(92)도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볼 때 띠형인 본체 부재(92a)와, 상기 본체 부재(92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부에 대략 직각으로 설치한 측부재(92b)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대략 L자형인 형상을 갖는다. 제2 연결 부 재(92)의, 제1 연결 부재(91)에 연결하는 측의 일단부와는 반대인 타단부에는 본체 부재(92a)와 측부재(92b)에 대해 직각으로 직사각형의 고정 부재(92c)가 연결되어 있다. 고정 부재(92c)는 본체 부재(92a)의 폭방향에 약간 긴 타원형의 고정 구멍(98)을 갖는다. 본체 부재(92a)는 상기 제1 연결 부재(91)에 연결하는 측의 일단부 근방에 제1 연결 부재(91)의 한 쌍의 조정 구멍(95, 95)에 각각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조정 구멍(96, 96)을 갖는다. 조정 구멍(96, 96)은 본체 부재(92a)의 길이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을 갖고, 본체 부재(9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렬로 늘어서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90)의 고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91)의 고정 부재(91c)(도7 참조)를 좌측 홈통 부재(80)의 종방향부(83)의 후단부의 고정벽(83f)에 나사(94)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한다. 계속해서, 제2 연결 부재(92)의 고정 부재(92c)(도7 참조)를 우측 홈통 부재(70)의 종방향부(73)의 후단부의 고정벽(73f)에 나사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한다. 또한, 제1 연결 부재(91)의 상기 타단부측에 제2 연결 부재(92)의 상기 타단부측을 중첩한다. 계속해서, 본체 부재(91a)측의 조정 구멍(95, 95)과, 본체 부재(92a)측의 조정 구멍(96, 96)을 마주보게 한다.
다음에, 제1 연결 부재(91) 및 제2 연결 부재(92)를 테이블 지지대(24)측으로 당긴다. 이에 의해, 우측 홈통 부재(70)의 접촉 측벽부(73e)의 상단부가 테이블 지지대(24)의 우측 지지벽(26)의 외측면에 접촉하고, 좌측 홈통 부재(80)의 접 촉 측벽부(83e)의 상단부가 테이블 지지대(24)의 좌측 지지벽(28)의 외측면에 접촉한다.
계속해서, 베이스(2)의 바닥부(21)의 후단부 근방에 마련한 고정 구멍(23, 23)(도4 참조)에 대해 제1 연결 부재(91) 및 제2 연결 부재(92)의 각 조정 구멍(95, 96)을 중첩하여 대향시킨다. 이들 조정 구멍(95, 96) 및 고정 구멍(23)에 대해 나사(99)를 각각 끼움으로써 제1 연결 부재(91)와 제2 연결 부재(92)를 일직선형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베이스의 바닥부(21)에 연결 부재(90)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제1 연결 부재(91) 및 제2 연결 부재(92)를 테이블 지지대(24)측의 대략 중앙으로 당기면서 베이스(2)의 바닥부(21)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우측 홈통 부재(70)의 접촉 측벽부(73e)의 상단부와, 테이블 지지대(24)의 우측 지지벽(26)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없어진다. 마찬가지로, 좌측 홈통 부재(80)의 접촉 측벽부(83e)의 상단부와, 테이블 지지대(24)의 좌측 지지벽(28)의 외측면 사이에 간극이 없어진다. 우측 홈통 부재(70)의 접촉 측벽부(73e)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접촉 측벽부(73e)가 테이블 지지대(24)의 우측 지지벽(26) 및 좌측 지지벽(28)의 양측 외측면을 각각 덮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테이블(8) 상부로부터 비산하여 낙하하는 냉각액의 대부분을 베이스(2) 상의 수납부(20) 내의 배출 통로가 아닌,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내측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2)는 주철을 주형으로 유입함으로써 일체 성형하고 있으므로, 그 표면은 거칠고, 냉각액에 포함되는 칩이 걸리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머시닝 센 터(1)에서는 냉각액의 대부분을 베이스(2) 상의 배출 통로가 아닌, 표면이 매끄러운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내측면에 칩이 걸리지 않으므로, 냉각액 및 칩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징인 라비린스 밀봉부(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하는 라비린스 밀봉부(60)는 냉각액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미로형의 통로이다. 이 라비린스 밀봉부(60)는 베이스(2)의 좌우 양측의 주위판(22)의 근방과, 베이스(2)의 전방측의 주위판(22)의 근방에 각각 존재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베이스(2)의 좌우 양측의 라비린스 밀봉부(60)와, 베이스(2)의 전방측의 라비린스 밀봉부(60)에 대해 각각 차례로 설명한다.
우선, 베이스(2)의 좌우 양측에 구성한 라비린스 밀봉부(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베이스(2)의 우측의 라비린스 밀봉부(60)와, 베이스(2)의 좌측의 라비린스 밀봉부(60)는 서로 좌우 대칭 구조이므로, 베이스(2)의 우측의 주위판(22)의 근방에 설치한 라비린스 밀봉부(60)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시 커버(3)의 우측 바닥벽(3e)은 우측벽(3b)(도3 참조)의 하단부로부터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내측을 향해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우측 바닥벽(3e)의 하단부는 수납부(20)의 주위판(22)의 내측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다. 우측 바닥벽(3e)은 그 하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선단부가 우측 홈통 부재(70)의 내측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볼 때 띠형인 연장 설치 부재(100)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 설치 부 재(100)는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보다도 약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비스듬히 경사지는 우측 바닥벽(3e)은 하단부보다도 약간 상측의 외측면에 측면에서 볼 때 가로로 긴 직사각형인 제2 연장 설치 부재(110)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연장 설치 부재(110)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 폭을 절곡하고 있고, 상측의 한쪽 부재가 우측 바닥벽(3e)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하측의 다른 부재는 주위판(22)의 내측면과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의 외측면과의 간극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도2 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장 설치 부재(110)는 상기 다른 부재의 전단부 근방과 후단부 근방의 2군데에서 단면 대략 L자형의 지지 부재(112)로 고정하고 있다. 지지 부재(112)는 베이스(2)의 상부에 스플래시 커버(3)를 설치할 때, 지지 부재(112)의 제2 연장 설치 부재(110)의 외측면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한쪽 부재를 베이스(2)의 주위판(22)의 상단부에 고정한 각 지지판(42)의 상면에 접촉시키는 것이다(도2 참조).
상기 구성에 있어서,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는 우측 바닥벽(3e)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연장 설치 부재(100)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10) 사이의 간극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연장 설치 부재(100)와, 우측 바닥벽(3e)의 외측면과,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10)로 구성하는 통로는 미로형이 되므로, 라비린스 밀봉부(60)를 구성할 수 있다. 도8에 도시하는 제1 연장 설치 부재(100)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10)가 「두갈래부」에 상당한다.
이 라비린스 밀봉부(60)는 우측 홈통 부재(70)의 내측과, 주위판(22)의 상단 부와 우측 바닥벽(3e)의 외측면 사이의 간극 사이에 개재한다. 이에 의해, 우측 홈통 부재(70) 내를 냉각액이 기세 좋게 흘러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를 타고 넘었다고 해도 이 라비린스 밀봉부(60)를 구성하는 벽면에 닿음으로써 냉각액의 기세를 약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액이 주위판(22)의 상단부로부터 타고 넘어 베이스(2)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베이스(2) 전방측에 설치한 라비린스 밀봉부(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플래시 커버(3)의 전방벽(3a)의 하단부는 베이스(2)의 전방측의 주위판(22)보다도 후방에 수납되어 있다. 전방벽(3a)은 외측면의 하단부 근방에서 상기 하단부 근방을 따라서 연장되는 단면 대략 L자형의 블래킷(58)에 고정하고 있다. 블래킷(58)의 전방벽(3a)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한쪽 부재가 베이스(2)의 전방측의 주위판(22)의 상단부에 고정한 각 고정판(40)에 접촉하고, 블래킷(58)의 고정 구멍(도시하지 않음)과, 고정판(40)의 고정 구멍(40a)(도4 참조)에 끼워진 나사(68)에 의해 머물러 있다.
전방벽(3a)의 하단부는 하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단면 대략 L자형의 제1 연장 설치 부재(1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연장 설치 부재(120)는 고정부(120a)와 연장 설치부(120b)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대략 L자형인 형상을 갖는다. 고정부(120a)는 전방벽(3a)의 하단부에 고정하고 있고, 연장 설치부(120b)는 수직 하방[베이스(2)의 수납부(20)]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연장 설치부(120b)의 선단부(하단부)는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2b)의 내측면보다도 약간 후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제1 연장 설치 부재(120a)에는 상기 제1 연장 설치 부재(120a)의 외측 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전방벽(3a)의 하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연장 설치 부재(12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2b)는 전방벽(3a)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연장 설치 부재(120)의 연장 설치부(120b)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21) 사이의 간극에 위치한다. 따라서, 단면 대략 L자형의 제1 연장 설치 부재(120)의 연장 설치부(120b)와,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2b)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21)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가 미로형이 되고, 라비린스 밀봉부(6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라비린스 밀봉부(60)는 우측 홈통 부재(70)의 내측과, 주위판(22)의 내측면과 전방벽(3a)의 외측면 사이의 간극 사이에 개재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우측 홈통 부재(70) 내를 냉각액이 기세 좋게 흘러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2b)를 타고 넘었다고 해도 이 라비린스 밀봉부(60)를 구성하는 벽면에 닿음으로써 냉각액의 기세를 약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액이 주위판(22)의 상부로부터 타고 넘어 베이스(2)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머시닝 센터(1)는 베이스(2) 상에 설치한 오목형 수납부(20)의 바닥부(21)와,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 사이에 미로형의 라비린스 밀봉부(60)를 구비한 점에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다. 예를 들어,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내측에 설치한 배출 통로 내를 냉각액이 기세 좋게 흘러도 이 라비린스 밀봉부(60)에 의해 냉각액의 기세를 약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20) 내의 냉각액이 베이스(2)의 주위판(22)을 타고 넘어 베이스 밖으로 누 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머시닝 센터(1)는 베이스(2)의 수납부(20)의 바닥부(21)에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테이블(8) 상으로부터 비산하여 낙하하는 냉각액의 대부분을 수납부(20) 내의 배출 통로가 아닌,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내측으로 흐르게 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내측면은 매끄럽기 때문에, 이들 내측면에 칩이 걸리지 않아 냉각액 및 칩의 배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우측 홈통 부재(70) 및 좌측 홈통 부재(80)의 각 측벽부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라비린스 밀봉부(60)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부(20)의 바닥부(21)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와, 우측 바닥벽(3e)의 외측면과, 우측 바닥벽(3e)의 외측면으로부터 수납부(20)의 바닥부(21)측을 향해 각각 연장되는 제1 연장 설치 부재(100) 및 제2 연장 설치 부재(110)에 의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부(20)의 바닥부(21)와,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 사이의 간극을 종래와 같은 패킹으로 폐색하는 것은 아니고, 미로형의 라비린스 밀봉부(60)를 설치했다. 이에 의해, 라비린스 밀봉부(60) 내에는 칩이 걸리는 장해물이나 돌기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납부(20)의 바닥부(21)와, 스플래시 커버(3)의 하부 사이의 간극에 칩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을 고정하기 위한 판금이나, 상기 판금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나 너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설치 작업의 수고가 없고, 또한 이들 부품에 드는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작 기계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라비린스 밀봉부(60)의 구성 요소의 배치를 바꿀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바닥벽(3e)의 하단부에 설치한 제1 연장 설치 부재(100)와, 우측 바닥벽(3e)의 하단부 근방의 외측면에 고정한 제2 연장 설치 부재(110) 사이에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를 배치함으로써 라비린스 밀봉부(60)를 구성하고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도10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와 같이 우측 홈통 부재(70)의 측벽부(73c)를 제1 연장 설치 부재(100)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10) 사이가 아닌, 제1 연장 설치 부재(100)보다도 내측에 배치하여 라비린스 밀봉부(160)를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라비린스 밀봉부(160)에서도 미로형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과는 별도로, 예를 들어 도11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와 같이 베이스(2)의 수납부(20)에 있어서, 바닥부(21)로부터 기립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베이스측 연장 설치 부재(29)를 주위판(22)을 따라서 설치해도 좋다. 이 베이스측 연장 설치 부재(29)의 상단부를 제1 연장 설치 부재(100)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10) 사이에서 끼워 미로형의 라비린스 밀봉부(26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측 연장 설치 부재(29)를 베이스(2)의 수납부(20)와 일체 성형함으로써 라비린스 밀봉부(260)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두갈래부」로서, 제1 연장 설치 부재(100)와 제2 연장 설치 부재(110)를 설치했지만, 제2 연장 설치 부재(110)를 생략한 라비린스 밀봉부라도 좋다.
본 발명은 베이스 상에 낙하한 냉각액이 베이스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베이스 상에 칩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작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워크를 가공하는 기계 본체와,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의 상부 및 상기 기계 본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상자형으로 형성한 커버를 구비한 공작 기계이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상기 커버의 하부를 내측에 수납하여 지지하는 오목형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와 상기 커버의 하부 사이에 라비린스 밀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의 측벽을 따라서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의 하부와 상기 판 부재로 라비린스 밀봉부를 구성한 공작 기계.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수납부의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칩 및 냉각액을 상기 수납부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오목형의 배출 통로와,
    상기 배출 통로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배출 통로를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배출 통로의 폭 길이보다도 짧은 폭 길이를 구비하고,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기립하는 한 쌍의 측벽으로 구성한 오목형의 홈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판 부재를 상기 홈통 부재의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상기 수납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측벽으로 구성한 공작 기계.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하부에 두갈래형으로 형성된 두갈래부를 갖고, 상기 판 부재를 상기 두갈래부로 끼우도록 한 공작 기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기 바닥부에 상기 워크를 고정하기 위한 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 측벽에 대향하는 내측 측벽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대에 접촉하고 있는 공작 기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기 바닥부에 상기 워크를 고정하기 위한 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 측벽에 대향하는 내측 측벽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대에 접촉하고 있는 공작 기계.
KR1020060083934A 2005-09-02 2006-09-01 공작 기계 KR100845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5035A JP2007061998A (ja) 2005-09-02 2005-09-02 工作機械
JPJP-P-2005-00255035 2005-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223A KR20070026223A (ko) 2007-03-08
KR100845998B1 true KR100845998B1 (ko) 2008-07-11

Family

ID=3781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934A KR100845998B1 (ko) 2005-09-02 2006-09-01 공작 기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061998A (ko)
KR (1) KR100845998B1 (ko)
CN (1) CN100544886C (ko)
TW (1) TW2007098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4331B2 (ja) * 2008-09-29 2013-11-27 豊和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
JP2013141646A (ja) * 2012-01-11 2013-07-22 Sumitomo Heavy Ind Ltd 吸着材の定量排出装置
JP5766353B2 (ja) * 2012-06-25 2015-08-19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工作機械
JP5949409B2 (ja) * 2012-10-04 2016-07-06 村田機械株式会社 工作機械のカバー構造
JP5602899B2 (ja) 2013-02-26 2014-10-0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切粉を排出するのに適したカバー構造を備えた工作機械
KR101630687B1 (ko) * 2014-12-04 2016-06-15 (주)대성하이텍 공작기계용 스플래쉬가드의 절삭유 누출방지구조
CN108000228A (zh) * 2017-12-29 2018-05-08 科德数控股份有限公司 一种卧式复合五轴加工中心的中央排屑内防护结构
JP7484747B2 (ja) 2021-01-27 2024-05-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
CN113305634A (zh) * 2021-06-14 2021-08-27 深圳市安普圣科技有限公司 一种数控铣磨抛复合加工机床及其除尘除屑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843A (ja) * 2002-02-05 2003-08-12 Howa Mach Ltd 工作機械の保護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5656A (ja) * 1990-06-13 1992-02-14 Ricoh Co Ltd フアクシミリ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843A (ja) * 2002-02-05 2003-08-12 Howa Mach Ltd 工作機械の保護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4886C (zh) 2009-09-30
TW200709889A (en) 2007-03-16
TWI307649B (ko) 2009-03-21
CN1923460A (zh) 2007-03-07
JP2007061998A (ja) 2007-03-15
KR20070026223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998B1 (ko) 공작 기계
JP4969579B2 (ja) 工作機械のスプラッシュガード
JP4720523B2 (ja) 工作機械
US9656363B2 (en) Vertical machining center
JP4480040B2 (ja) 可動式支柱を備える水平型ボールフライス盤
JP3626376B2 (ja) 立形マシニングセンタ
CN108513553B (zh) 作业车辆
KR100732103B1 (ko) 공작 기계
JP2012152833A (ja) 工作機械
JP4595753B2 (ja) 工作機械
JP4710295B2 (ja) 工作機械
JP4609570B2 (ja) 建設機械のフレーム構造
JP2007069724A (ja) キャブ用保護部材、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4715162B2 (ja) 工作機械
JP5807088B2 (ja) 旋回作業機
JP4558436B2 (ja) 立形マシニングセンタ
JP2003275940A (ja) 工作機械
JP5949409B2 (ja) 工作機械のカバー構造
JP2001205541A (ja) 工作機械
JP4994120B2 (ja) キャブのフロア
JP2005290928A (ja)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01315039A (ja) コラム移動形マシンニングセンタ
JP2010095859A (ja) 作業機械の電装ボックス
JP2023071365A (ja) 工作機械
JP2002250051A (ja) Rops運転室のエアコン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