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471B1 -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471B1
KR100812471B1 KR1020057024481A KR20057024481A KR100812471B1 KR 100812471 B1 KR100812471 B1 KR 100812471B1 KR 1020057024481 A KR1020057024481 A KR 1020057024481A KR 20057024481 A KR20057024481 A KR 20057024481A KR 100812471 B1 KR100812471 B1 KR 100812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cking
door
car
lock release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0602A (ko
Inventor
다케히코 구보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24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471B1/ko
Publication of KR2006004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65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장의 도어의 잠금 해제 장치가 조작되어 잠금 해제된다. 액추에이터는 잠금 해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잠금 해제 제어부는,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수신하여 액추에이터에 잠금 해제 동작을 행하게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PLATFORM DOOR UNLOCKING DEVICE OF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장의 도어의 시정(施錠) 장치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 특개평 3-152085호 공보에는, 승강장측으로부터 잠금 해제 조작구(操作具)를 삽입함으로써, 승강장의 도어의 시정 장치를 수동 조작으로 잠금 해제하는 종래의 비상 잠금 해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비상 잠금 해제 장치에서는, 잠금 해제 조작구를 삽입하기 위한 열쇠 구멍을, 승강장의 도어 또는 승강장의 도어와 세방면 틀의 사이에 설치할 필요가 있어서, 의장성(意匠性)이 저하되고 만다.
또, 수동 조작으로 시정 장치를 조작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시정 장치의 상태를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제어에 관련짓는 것이 어려웠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장의 의장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시정 장치의 상태에 따른 운전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는, 승강장의 도어의 시정 장치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정 장치를 조작하여 잠금 해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수신하여 액추에이터에 잠금 해제 동작을 행하게 하는 잠금 해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승강장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각 층 잠금 해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도 5의 잠금 해제 제어부의 보수 작업시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장에는 승강장 출입구(21)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출입구(21)의 양측 및 상부에는 세방면 틀(22)이 고정되어 있다. 세방면 틀(22)은 한 쌍의 세로 틀(23a, 23b)과 막판(幕板)(24)을 가지고 있다.
승강장 출입구(21)는 한 쌍의 승강장의 도어(25)에 의해 개폐된다. 승강장 출입구(21)의 옆쪽의 승강장 벽에는 승강장 버튼 장치(26)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승강장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화살표 Ⅲ 방향에 따라 본 도면이다. 승강장 출입구(21)의 상부에는 행거 케이스(hanger case)(27)가 고정되어 있다. 행거 케이스(27)에는 도어 레일(28)이 고정되어 있다. 도어 레일(28)은 승강장 출입구(21)의 정면 폭 방향으로 평행하면서 또한 수평이다.
각 승강장의 도어(25)의 상부에는, 브래킷(29)을 통하여 행거 플레이트(30)가 고정되어 있다. 각 행거 플레이트(30)에는, 도어 레일(28) 위를 구름 운동하게 되는 한 쌍의 행거 롤러(31)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의 도어(25)의 상부에는, 승강장의 도어(25)의 개방을 규제하는 시정 장치(래치 기구)(32)가 설치되어 있다. 시정 장치(32)는, 도어 레일(28)에 고정된 걸쇠(33)와, 행거 플레이트(30)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 판(34)과,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도시하지 않음)의 맞물림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맞물리는 한 쌍의 맞물림 롤러(35, 36)와, 리턴 스프링(37)을 가지고 있다.
래치 판(34)은, 통상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쇠(33)에 맞물려 있으며, 이것에 의해 승강장의 도어(25)의 개방 동작이 규제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롤러(35, 36)에 맞물린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가 개방 동작함으로써, 래치 판(34)이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되어, 래치 판(34)의 걸쇠(33)에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승강장의 도어(25)가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와 함께 개방된다.
또한, 도어 개방 후에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면, 맞물림 부재의 맞물림 롤러(35, 36)에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동시에, 리턴 스프링(37)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 판(34)이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되어, 래치 판(34)이 걸쇠(33)에 다시 맞물린다.
브래킷(29)에는, 래치 판(34)을 가압하여 요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의 전자(電磁) 솔레노이드(14)가 장착되어 있다.
승강장의 도어(25)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도어의 레그(leg)(38)가 장착되어 있다. 승강장 출입구(21)의 하부에는 문턱(39)이 설치되어 있다. 문턱(39)에는 도어의 레그(38)가 삽입되는 문턱 홈(39a)이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구동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2)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본체(3)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4)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4)의 근방에는, 회전이 자유로운 디플렉터 쉬브(5)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4) 및 디플렉터 쉬브(5)에는, 복수 개(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낸다)의 메인 로프(6)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6)의 일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7)이 접속되어 있다. 메인 로프(6)의 타단부에는 평형추(8)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7)및 평형추(8)는, 메인 로프(6)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으며, 구동장치(2)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게 된다.
구동장치 본체(3)는 운전 제어장치(제어반)(9)에 의해 제어된다. 각 층의 승 강장 출입구(21)에는, 승강장의 도어(25)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센서(도어 스위치)(10)가 설치되어 있다. 모든 개폐 센서(10)는 운전 제어장치(9)에 접속되어 있다. 즉, 개폐 센서(10)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운전 제어장치(9)에 전송된다.
각 층의 승강장에는, 시정 장치(32)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각 층 잠금 해제 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7) 상에는, 보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 칸(7)을 승강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상의 스위치(1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의 피트(1a)에는, 보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 칸(7)을 승강시키기 위한 비(非)-래치식 스위치(13)가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각 층 잠금 해제 장치(1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각 층 잠금 해제 장치(11)는, 전자 솔레노이드(14), 잠금 해제 제어부(15), 승강장 조작부(16) 및 승강로 조작부(17)를 가지고 있다. 전자 솔레노이드(14)는, 시정 장치를 기계적으로 조작하여 잠금 해제한다. 잠금 해제 제어부(15)는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 솔레노이드(14)에 잠금 해제 동작을 행하게 한다.
승강장 조작부(16)는, 예를 들면 승강장 버튼 장치(26)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승강장 버튼 장치(26)의 커버를 여는 것에 의해 조작 가능해진다. 승강장 조작부(16)를 조작함으로써, 잠금 해제 제어부(15)에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 승강장 조작부(16)에 카드 리더를 설치하고, 전용의 카드 키를 사용하여 승강장 조작부(16)의 조작을 실시하도록 해도 되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승강로 조작부(17)는 승강로(1) 내의 승강장의 도어(25) 근방에 배치되며,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7) 위로부터 조작된다. 승강로 조작부(17)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도, 잠금 해제 제어부(15)에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제어부(15)는, 입출력부, CPU(연산 처리부) 및 기억부(ROM 및 RAM 등)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잠금 해제 제어부(15)는, 운전 제어장치(9)에 접속되어 있다. 운전 제어장치(9)의 운전 모드가 통상 운전 모드일 때는, 잠금 해제 제어부(15)는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무효로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잠금 해제 제어부(15)는,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만 전자 솔레노이드(14)에 잠금 해제 동작을 행하게 한다.
또한, 잠금 해제 제어부(15)는, 승강장 조작부(16)로부터의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엘리베이터 칸(7)의 위치에 따라 유효로 한다. 즉, 잠금 해제 제어부(15)는, 최하층 승강장 이외의 승강장 조작부(16)로부터의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대응하는 승강장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7) 위에 탑승할 수 있는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7)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만 유효로 한다. 또, 잠금 해제 제어부(15)는, 최하층 승강장의 승강장 조작부(16)로부터의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최하층 승강장으로부터 승강로(1)의 피트(1a) 내에 들어갈 수 있는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7)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만 유효로 한다. 엘리베이터 칸(7)의 위치 정보는 운전 제어장치(9)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또, 운전 제어장치(9)는 승강로 조작부(17)로부터 잠금 해제 제어부 (15)에 잠금 해제 지령 신호가 입력되고 나서, 승강장에 설치된 종료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조작될 때까지의 동안에, 엘리베이터 칸(7)의 이동을 규제한다. 종료 스위치는, 예를 들면 승강장 조작부(16)와 함께 승강장 버튼 장치(26)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또, 승강장 조작부(16)가 종료 스위치를 겸하도록 해도 된다.
또, 잠금 해제 제어부(15)에는, 운반 가능한 외부 배터리 장치(18)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부 배터리 장치(18)는, 모든 잠금 해제 제어부(15)의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외부 배터리 장치(18)를 잠금 해제 제어부(15)에 접속함으로써, 정전시라도 전자 솔레노이드(14)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각 층 잠금 해제 장치(11)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는, 각 층 잠금 해제 장치(11)와 외부 배터리 장치(18)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잠금 해제 제어부(15)의 보수 작업시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보수원이 엘리베이터 칸(7) 위 또는 피트(1a) 내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운전 제어장치(9)의 운전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자동 운전 모드)로부터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한다.
운전 모드가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되면, 승강장 조작부(16)로부터 잠금 해제 지령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S1).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7) 위로 이동하는 경우는 최하층 이외의 승강장의 승강장 조작부(16)를 조작하고, 피트(1a) 내에 들어가는 경우는 최하층의 승강장 조작부(16)를 조작한다.
잠금 해제 지령 신호가 입력되면, 엘리베이터 칸(7)이 정지 중인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S2). 엘리베이터 칸(7)이 안전하게 정지되어 있으면, 엘리베이터 칸(7)의 위치가 엘리베이터 칸(7) 위 또는 피트(1a) 내로 이동 가능한 범위내인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S3).
엘리베이터 칸(7)의 위치가 적정하면, 전자 솔레노이드(14)에 대하여 잠금 해제 동작 지령이 출력된다(스텝 S4). 이것에 의해, 전자 솔레노이드(14)가 여자(勵磁)되고 래치 판(34)이 요동되어, 걸쇠(33)와 래치 판(34)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 상태로, 보수원은 승강장의 도어(25)를 수동으로 열 수 있으며, 승강장 출입구(21)로부터 엘리베이터 칸(7) 위 또는 피트(1a) 내로 이동할 수 있다.
개방된 승강장의 도어(25)는, 수동 또는 도어 클로저(도시하지 않음)의 가압력에 의해 닫혀진다. 전자 솔레노이드(14)의 여자는, 승강장의 도어(25)가 실제로 개폐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미리 설정된 시간만 계속된다.
잠금 해제 동작 지령을 출력한 후, 잠금 해제 제어부(15)에서는 설정 시간 내에 승강장의 도어(25)가 개방되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S5). 승강장의 도어(25)가 실제로 개방되었는지 여부의 정보는 운전 제어장치(9)로부터 얻을 수 있다.
잠금 해제 동작 지령을 출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설정 시간 내에 승강장의 도어(25)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 전자 솔레노이드(14)의 여자가 종료되기 때문에, 래치 판(34)이 걸쇠(33)에 다시 맞물림되어 잠금 해제가 중지되게 된다(스텝 S6).
또, 설정 시간 내에 승강장의 도어(25)의 개방이 확인되면, 소정의 조건 이 외에서의 엘리베이터 칸(7)의 이동을 금지하는 지령(기동 불가 지령)이 운전 제어장치(9)에 출력된다(스텝 S7). 소정의 조건이란, 최하층 이외의 승강장의 도어(25)가 열린 경우는 엘리베이터 칸 상의 스위치(12)의 조작이며, 최하층의 승강장의 도어(25)가 열린 경우는 비-래치식 스위치(13)의 조작이다.
즉, 최하층 이외의 승강장 출입구(21)로부터 엘리베이터 칸(7) 위로 이동한 경우,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 상의 스위치(12)의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7)을 승강시킬 수 있다. 또, 최하층의 승강장 출입구(21)로부터 피트(1a) 내에 들어간 경우, 보수원은 비-래치식 스위치(13)의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7)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들 조건 이외에서는, 보수 운전도 포함하여 구동장치(8)를 기동하는 것은 금지되며, 구동장치(8)의 브레이크도 제동 상태인 채로 된다.
보수원이 승강장으로 되돌아오는 경우, 승강로 조작부(17)로부터 잠금 해제 제어부(15)에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입력하여, 승강장의 도어(25)를 다시 수동으로 개방한다. 보수 작업 중, 잠금 해제 제어부(15)에서는, 승강로 조작부(17)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가 감시된다(스텝 S8). 승강로 조작부(17)가 조작되면, 전자 솔레노이드(14)에 대하여 잠금 해제 동작 지령이 출력되며(스텝 S9), 전자 솔레노이드(14)가 미리 설정된 시간 여자된다.
이후, 종료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가 확인되며(스텝 S10), 종료 스위치가 조작되어 있으면, 운전 제어장치(9)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칸 이동 허가 지령이 출력된다(스텝 S11). 종료 스위치가 조작될 때까지는, 엘리베이터 칸 이동금지 지령이 유효로 된다.
마지막으로, 운전 제어장치(9)의 운전 모드가 통상 운전 모드에 복귀되어 보수 작업이 종료된다.
이와 같은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에 의하면, 전자 솔레노이드(14)의 구동력에 의해 시정 장치(32)를 잠금 해제하므로, 잠금 해제 조작구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승강장의 도어(25)나 그 주위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잠금 해제 제어부(15)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전자 솔레노이드(14)를 제어하므로, 잠금 해제 제어부(15)를 운전 제어장치(9)에 접속함으로써, 시정 장치(32)의 상태에 따른 운전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제어장치(9)의 운전 모드가 통상 운전 모드일 때는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무효로 하므로, 통상 운전 중에 시정 장치(32)가 실수로 잠금 해제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또, 잠금 해제 제어부(15)는,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만 전자 솔레노이드(14)에 잠금 해제 동작을 행하게 하므로, 잠금 해제 지령 신호가 실수로 입력된 경우에, 시정 장치(32)가 잠금 해제된 채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잠금 해제 제어부(15)는, 승강장 조작부(16)로부터의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엘리베이터 칸(7)의 위치에 따라 유효로 하므로, 엘리베이터 칸(7)이 적정한 위치에 정지하고 있지 않을 때에 승강장의 도어(25)가 실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배터리 장치(18)를 잠금 해제 제어부(15)에 접속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정전시에도 잠금 해제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승강로 조작부(17)로부터 잠금 해제 제어부(15)에 잠금 해제 지령 신호가 입력되고 나서, 종료 스위치가 조작될 때까지의 동안은 엘리베이터 칸(7)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보수 작업 중에 실수로 엘리베이터 칸(7)이 이동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층마다 잠금 해제 제어부(15)를 설치하였으나, 반드시 각 층마다로 나누지 않아도 된다. 즉, 하나의 잠금 해제 제어부에 의해 모든 층의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 잠금 해제 제어부는, 예를 들면 운전 제어장치 내에 설치해도 된다. 또, 승강장 층을 복수의 블록으로 나누고, 블록마다 잠금 해제 제어부를 설치해도 된다.
또, 액추에이터는, 전자 솔레노이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잠금 해제 제어부로부터의 잠금 해제 동작 지령에 따라 시정 장치를 기계적으로 조작하는 액추에이터이면, 예를 들면 리니어 모터, 에어 액추에이터, 유압 액추에이터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2개의 도어의 중앙 개방식의 승강장의 도어를 나타내었으나, 승강장의 도어의 수나 개폐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한쪽 개방식의 승강장의 도어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상기의 예에서는 잠금 해제 제어부(15)에 잠금 해제 지령 신호가 입력되면, 엘리베이터 칸(7)이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하였 으나, 보수 운전 모드에 있어서 잠금 해제 지령 신호가 입력되면, 그 정보가 운전 제어장치에 전송되고, 잠금 해제 지령 신호가 입력된 승강장에 대응하는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7)이 자동적으로 이동되어 정지되고, 이후 잠금 해제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동작 지령이 출력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장의 도어의 시정(施錠) 장치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승강장의 도어의 시정 장치를 조작하여 잠금 해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에 잠금 해제 동작을 행하게 하는 잠금 해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로서,
    승강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 해제 제어부에 잠금 해제 지령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승강로 조작부, 및 승강장에 설치된 종료 스위치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승강로 조작부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제어부에 상기 잠금 해제 지령 신호가 입력되고 나서, 상기 종료 스위치가 조작될 때까지의 동안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57024481A 2005-12-20 2004-04-20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KR100812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4481A KR100812471B1 (ko) 2005-12-20 2004-04-20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4481A KR100812471B1 (ko) 2005-12-20 2004-04-20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602A KR20060040602A (ko) 2006-05-10
KR100812471B1 true KR100812471B1 (ko) 2008-03-10

Family

ID=3714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481A KR100812471B1 (ko) 2005-12-20 2004-04-20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42B1 (ko) 2017-06-02 2018-06-18 지상열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617B1 (ko) * 2007-06-04 2007-09-20 (주)광덕산업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
KR101220495B1 (ko) * 2010-09-17 2013-01-10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승장 도어 잠금 장치
KR101220502B1 (ko) * 2010-09-17 2013-01-10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승장 도어 잠금 장치
KR101257878B1 (ko) * 2011-08-12 2013-04-24 (주)금강테크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KR101694815B1 (ko) * 2015-03-20 2017-01-11 (주)모든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569A (ja) * 1991-12-04 1993-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乗場解錠装置
JPH0859151A (ja) * 1994-08-18 1996-03-0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乗場錠外し装置
JPH0891730A (ja) * 1994-09-22 1996-04-09 Toshiba Elevator Technos Kk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H0952685A (ja) * 1995-08-15 1997-02-2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乗場扉解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569A (ja) * 1991-12-04 1993-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乗場解錠装置
JPH0859151A (ja) * 1994-08-18 1996-03-0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乗場錠外し装置
JPH0891730A (ja) * 1994-09-22 1996-04-09 Toshiba Elevator Technos Kk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H0952685A (ja) * 1995-08-15 1997-02-2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乗場扉解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42B1 (ko) 2017-06-02 2018-06-18 지상열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602A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2004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戸解錠装置
JP5452726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モード切替システム
KR101624825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20100098446A (ko) 엘리베이터 안전 체인 재설정용 회로
CN106904516B (zh) 用于电梯维护操作的方法和装置
KR100812471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JP4190626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06264841A (ja) エレベータ
JP5600778B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08074585A (ja) エレベータ運転制御システム
JP2009202996A (ja) 荷物用エレベータの台車停止装置
JP4661022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点検方法
JPH081222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8230782A (ja) エレベータ
JP2019085220A (ja) エレベーター
JP6975686B2 (ja) エレベーター保守安全装置
KR20040083086A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513824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67247B1 (ko) 도어 개폐제어구조를 갖는 산업용 승강장치
KR100804068B1 (ko) 도어 개폐제어구조를 갖는 산업용 승강장치
JP2007217128A (ja) エレベータ付き建物
JP747189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H04173686A (ja) ダムウェータ
JP5407820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2037542A (ja) 住宅用荷物昇降装置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