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204B1 -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204B1
KR100811204B1 KR1020060046654A KR20060046654A KR100811204B1 KR 100811204 B1 KR100811204 B1 KR 100811204B1 KR 1020060046654 A KR1020060046654 A KR 1020060046654A KR 20060046654 A KR20060046654 A KR 20060046654A KR 100811204 B1 KR100811204 B1 KR 100811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sauce
kimchi sauce
weight
vine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3000A (ko
Inventor
한귀정
신동선
조용식
함승시
이수열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이수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이수열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102006004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20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3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를 주재료로 하는 김치소스에 있어서, 백년초분말, 파프리카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김치를 활용한 다양한 가공품 개발의 일환으로 김치를 주재료로 하는 영양생리가 우수한 다용도 김치소스 및 김치소스의 제조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는 약리효능이 높은 천연색소로 백년초 분말, 파프리카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여 새로운 맛과 색을 부여하며 균일한 품질유지와 품질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우수한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Kimchi sauc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도 1은 배추김치의 숙성정도별 품질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백김치의 숙성정도별 품질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저장기간별 김치소스의 비타민 C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저장기간별 김치소스의 점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저장기간별 김치소스의 총균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저장기간별 김치소스의 젖산균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를 주재료로 하는 김치소스에 있어서, 백년초분말, 파프리카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시 김치소스의 관능성, 기능성 향상을 위해 알로에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김치는 다른 발효식품과는 달리 양념이 많이 가미된 복합 발효식품으로 신선한 맛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국내 소비 확대 및 수출을 위한 김치의 산업화 및 저장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발효된 양념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가공식품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계속 되어 오고 있다.
김치는 영양학적으로 중요한 비타민, 무기질, 섬유질, 유산균 및 각종 유기 생성물 등이 풍부한 전통식품이나 과숙 시 강한 발효취와 연부현상에 의한 조직감 저하 등으로 소비확대에 장애가 되고 있으며 김치를 활용한 다양한 가공품 개발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김치에 대한 연구는 주로 김치의 산패를 방지하거나, 장기보존법 및 새로운 재료를 이용한 김치 가공 식품 연구에 집중되어 왔다.
종래 개발된 국내 김치 가공식품은 김치 자체를 주재료, 부재료로 사용한 것으로 김치관련 특허로는 김치덮밥소스(한국공개특허 제1992-005917), 김치맛김(한국공개특허 제1999-0064560), 김치를 주재료로 한 스테이크용 소스(한국공개특허 제2001-0068215), 김치쨈(한국공개특허 제2002-0086418), 김치 라이스 버거(한국공개특허 제2003-00000741), 김치분말소스(한국공개특허 제2004-0038573) 등의 식품에 한정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가공식품은 흐름 특성과 혼합 특성이 조미식품으로 사용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아 다양한 식품에서의 김치의 특성을 조화시키고 소비자들의 기호성을 충족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소비계층을 겨냥한 새로운 맛과 향을 갖는 다목적 용도로 사 용할 수 있는 김치향 신소재 개발로 김치소스의 균일한 품질특성 유지와 저장성을 증진 시킬 수 있다면 대량생산 및 유통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농산물의 활용증진과 김치의 소비확대 및 수출상품 일환으로 김치를 활용한 다양한 가공품 개발이 요구 되고 있다.
본 발명은 김치를 활용한 다양한 가공품 개발의 일환으로 김치를 주재료로 하는 영양생리가 우수한 다용도 김치소스 및 김치소스의 제조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는 약리효능이 높은 천연색소로 백년초 분말, 파프리카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여 새로운 맛과 색을 부여하며 균일한 품질유지와 품질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우수한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는 샐러드, 생선요리, 육류요리, 바비큐 소스, 제과용 소스, 드레싱과 같이 종래 일반적으로 소스 대신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김치를 주재료로 하는 김치소스에 있어서, 백년초분말, 파프리카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김치소스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에서 김치는 적색배추김치 또는 백김치를 주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적색배추김치는 김치 제조시 김치의 주재료로 배추를 사용하고, 양념의 하나로 고춧가루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색상이 적색인 김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천연색소로 사용하는 백년초분말, 파프리카분말은 백년초, 파프리카를 분쇄기로 분말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색소로 사용하는 백년초분말, 파프리카분말은 약리효능이 높은 천연색소이기 때문에 상기의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김치소스는 색상에 대한 관능성 이외에도 약리적인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에서 백년초분말, 파프리카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색소를 김치소스 전체 중량 대비 1.0∼2.0%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색소의 하나이며 약리효능을 함유한 백년초분말은 적색배추김치 소스의 색소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적색배추김치를 주재료로 하는 김치소스의 경우 적색배추김치를 분쇄하면 적색 계통의 색상을 나타내는 김치 분쇄물을 얻는데 여기에 백년초분말을 첨가하면서 더욱 다양한 종류의 적색 계통의 김치소스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색상을 지닌 파프리카분말을 첨가하는 경우 적색 계통 이외에도 다양한 색상을 지닌 김치소스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백년초분말은 백년초 열매를 분쇄한 후 분말화하여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색소의 하나인 파프리카분말은 주황색 파프리카, 노랑색 파프 리카, 녹색 파프리카, 적색 파프리카 등의 파프리카로부터 주황색, 노랑색, 녹색, 적색 등의 색깔을 지닐 수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흰색을 나타내는 백김치에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의 백김치 소스를 얻기에 적당하다. 백김치는 주로 흰색을 나타내므로 다양한 색상을 지닌 파프리카분말을 첨가하여 다양한 색상을 지니도록 하여 색상에 대한 관능성이 우수한 김치소스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는 주재료인 김치를 분쇄한 김치 분쇄물에 상기에서 언급한 백년초분말, 파프리카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색소 및 부재료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부재료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김치소스 제조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는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의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김치소스 중에 스테로이드, 아미노산, 사포닌, 항생물질, 상처치유 호르몬,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진 알로에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알로에는 상기의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김치소스 전체 중량 대비 0.1∼1.5%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알로에는 알로에 잎을 분쇄한 후 분말화한 알로에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로에 잎의 액즙을 얻은 후 이를 분무건조하여 얻은 알로에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알로에로부터 알로에 분말을 얻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백년초분말, 파프리카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김치소스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는 김치를 주재료로 하는 김치소스에 있어서, 분쇄한 김치에 부재료 및 천연색소로서 백년초분말, 파프리카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색소로 사용하는 백년초분말, 파프리카분말은 약리효능이 높은 천연색소이기 때문에 상기의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김치소스는 색상에 대한 관능성 이외에도 약리적인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 제조시 주재료인 김치 분쇄물은 김치소스 중량 대비 58∼64.9% 사용하고, 부재료는 김치소스 중량 대비 34∼40% 사용하며, 백년초분말, 파프리카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색소는 김치소스 중량 대비 1.0∼2.0%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 제조시 주재료인 김치는 적색배추김치, 백김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에서 주재료인 김치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김치를 분쇄한 후 이 김치 분쇄물에 부재료와 천연색소를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김치소스 제조시 부재료는 김치소스의 관능성,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의 김치소스 제조시 부재료는 당류, 전분, 식초, 소금 중에서 선택된 어 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부재료 성분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부재료의 하나인 당류는 김치소스에서 달콤한 맛을 내기 위해 사용하며, 이러한 당류의 일예로서 설탕, 포도당, 과당, 엿류, 당시럽류, 덱스트린, 올리고당, 당알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당알콜은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파라티노스, 만니톨 또는 말티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재료의 하나인 전분은 김치소스의 관능성, 기능성 이외에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전분의 일예로서 쌀전분, 밀전분,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및 이들의 변성전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재료의 하나인 식초는 소스 특유의 새콤한 맛을 내어 음식의 맛을 돋우며 피로회복을 위해 발효시켜 양조한 식초, 과실의 신맛을 이용한 식초, 합성식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식초의 일예로서 현미식초, 맥아식초, 포도식초, 사과식초, 레몬식초, 살구식초, 청주 찌꺼기를 원료로 한 청주박식초, 순수 알코올을 발효시킨 알코올식초, 발효식초를 증류한 증류식초, 빙초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재료의 하나인 소금은 소스에 관능성, 생리적 기능성을 부여하고, 부재료의 하나인 식초의 강한 자극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는 김치소스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테로이드, 아미노산, 사포닌, 항생물질, 상처치유 호르몬,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진 알 로에를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김치소스에 추가로 더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알로에는 상기의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김치소스 전체 중량 대비 0.1∼1.5%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알로에는 알로에 잎을 분쇄한 후 분말화한 알로에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로에 잎의 액즙을 얻은 후 이를 분무건조하여 얻은 알로에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알로에로부터 알로에 분말을 얻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 제조시 주재료의 하나인 적색배추김치는 배추를 소금에 절인 후 절임배추에 고춧가루, 마늘, 생강과 같은 양념, 멸치액젓, 까나리액젓, 새우젓과 같은 젓갈, 설탕 및 부추, 무, 쪽파, 파와 같은 야채를 첨가하고 용기에 담아 숙성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치소스 제조시 주재료의 다른 하나인 백김치는 절임배추, 마늘, 생강과 같은 양념, 설탕 및 부추, 무, 쪽파, 파와 같은 야채, 과일인 배, 사과를 정제수에 침지시킨 후 숙성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적색배추김치, 백김치는 본 발명의 김치소스의 주재료인 김치 제조의 일예일 뿐 이러한 김치제조에 대한 내용은 다수의 선행기술과 경험에 의해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 제조시 다양한 성분, 함량에 의해 김치소스를 제조한바, 상기에서 언급한 성분, 함량으로 김치소스 제조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김치 소스를 얻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김치소스는 상기에서 언급한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적색배추김치 제조
다듬은 배추를 십자모양으로 4등분하여 절단한 다음 10% 소금물에서 10시간 절인 후, 흐르는 물에 3회 세척하고 3시간 동안 탈수시켜 절임 배추를 얻었다.
상기의 절임배추 100g에 대하여 고춧가루 4.5g, 마늘 2.0g, 생강 1.0g, 멸치액젓 5.0g, 설탕 0.5g, 찹쌀풀 8.5g, 무 10.0g, 부추 5.0g, 쪽파 5.0g을 첨가하고 버무린 후 밀폐용기에 500g씩 담아서 5℃에서 숙성하여 적색배추김치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적색배추김치 제조시 절임 배추는 가로세로 크기를 4cm 정도로 자르고 무는 5cm로 채를 썰었으며 부추와 쪽파는 5cm로 자른 것을 사용하였다.
<제조예 2> 백김치 제조
배추를 2등분하고 10% 소금물에 6시간 정도 절인 다음 흐르는 물로 2회 세척한 후 1시간 동안 탈수시켜 절임 배추를 얻었다.
부재료인 무, 배, 마늘, 생강은 채를 썰어 혼합한 후 배추잎의 사이사이에 혼합된 부재료를 넣어 겉잎으로 감쌌다. 그런 다음 절임 배추 중량과 동일한 함량의 정제수에 상기의 부재료가 혼합된 절임 배추와 설탕을 넣고 10L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5℃에서 숙성시켜 백김치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절임 배추에 싸인 양념은 절임배추 100g에 대하여 무 10.0g, 배 5.0g, 마늘 2.0g, 생강 1.0g을 사용하고, 설탕 1.0g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김치소스(Ⅰ) 제조
상기의 제조예 1에서 얻은 적색배추김치를 믹서기(Lon power-DA505, 대성아트론, Korea)로 분쇄하였다.
표 1의 조성과 같이 분쇄한 적색배추김치 61중량%, 당 36.4중량%, 옥수수전분 0.6중량%, 식초 0.6중량%, 소금 0.4중량% 및 천연색소로 백년초분말 1.0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당은 물엿과 올리고당이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김치소스 제조
상기의 제조예 2에서 얻은 백김치를 믹서기(Lon power-DA505, 대성아트론, Korea)로 분쇄하였다.
표 1-1의 조성과 같이 상기의 분쇄한 백김치 61.3중량%, 당 36.9중량%, 옥 수수전분 0.8중량%, 식초 0.6중량%, 소금 0.4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당은 물엿과 올리고당이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김치소스(Ⅱ) 제조
상기의 제조예 2에서 얻은 백김치를 믹서기(Lon power-DA505, 대성아트론, Korea)로 분쇄하였다.
표 1-1의 조성과 같이 상기의 분쇄한 백김치 61.5중량%, 당 35.4중량%, 옥수수전분 0.6중량%, 식초 0.6중량%, 소금 0.4중량%, 천연색소로 주황색파프리카 분말 1.5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당은 물엿과 올리고당이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김치소스(Ⅲ) 제조
상기의 제조예 2에서 얻은 백김치를 믹서기(Lon power-DA505, 대성아트론, Korea)로 분쇄하였다.
표 1-1의 조성과 같이 상기의 분쇄한 백김치 61.5중량%, 당 35.4중량%, 옥수수전분 0.6중량%, 식초 0.6중량%, 소금 0.4중량%, 천연색소로 노랑색파프리카 분말 1.5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당은 물엿과 올리고당이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김치소스(Ⅳ) 제조
상기의 제조예 2에서 얻은 백김치를 믹서기(Lon power-DA505, 대성아트론, Korea)로 분쇄하였다.
표 1-2의 조성과 같이 상기의 분쇄한 백김치 61중량%, 당 35.4중량%, 옥수수전분 0.6중량%, 식초 0.6중량%, 소금 0.4중량%, 천연색소로 녹색파프리카 분말 2.0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당은 물엿과 올리고당이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 김치소스(Ⅴ) 제조
상기의 제조예 2에서 얻은 백김치를 믹서기(Lon power-DA505, 대성아트론, Korea)로 분쇄하였다.
표 1-2의 조성과 같이 상기의 분쇄한 백김치 61.5중량%, 당 35.4중량%, 옥수수전분 0.6중량%, 식초 0.6중량%, 소금 0.4중량%, 천연색소로 빨강색프리카 분말 1.5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당은 물엿과 올리고당이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표 1-1. 김치소스 재료 배합비(단위: 중량%)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
김치 61.0 61.3 61.5
36.4 36.9 35.4
옥수수전분 0.6 0.8 0.6
식초 0.6 0.6 0.6
소금 0.4 0.6 0.4
천연색소 1.0 - 1.5
표 1-2. 김치소스 재료 배합비(단위: 중량%)
구 분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김치 61.5 61 61.5
35.4 35.4 35.4
옥수수전분 0.6 0.6 0.6
식초 0.6 0.6 0.6
소금 0.4 0.4 0.4
천연색소 1.5 2.0 1.5
<실시예 6> 김치소스 제조
상기의 제조예 2에서 얻은 백김치를 믹서기(Lon power-DA505, 대성아트론, Korea)로 분쇄하였다.
상기의 분쇄한 백김치 61중량%, 당 36.4중량%, 옥수수전분 0.6중량%, 식초 0.6중량%, 소금 0.4중량% 및 천연색소로 백년초분말 1.0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당은 물엿과 올리고당이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김치소스 제조
상기의 제조예 1에서 얻은 적색배추김치를 믹서기(Lon power-DA505, 대성아트론, Korea)로 분쇄하였다.
상기의 분쇄한 백김치 61.3중량%, 당 36.9중량%, 옥수수전분 0.8중량%, 식초 0.6중량%, 소금 0.4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당은 물엿과 올리고당이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 김치소스 제조
상기의 제조예 1에서 얻은 적색배추김치를 믹서기(Lon power-DA505, 대성아트론, Korea)로 분쇄하였다.
상기의 분쇄한 적색배추김치 61.5중량%, 당 35.4중량%, 옥수수전분 0.6중량%, 식초 0.6중량%, 소금 0.4중량%, 천연색소로 주황색파프리카 분말 1.5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당은 물엿과 올리고당이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8> 김치소스 제조
상기의 제조예 1에서 얻은 적색배추김치를 믹서기(Lon power-DA505, 대성아트론, Korea)로 분쇄하였다.
상기의 분쇄한 적색배추김치 61.5중량%, 당 35.4중량%, 옥수수전분 0.6중 량%, 식초 0.6중량%, 소금 0.4중량%, 천연색소로 노랑색파프리카 분말 1.5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당은 물엿과 올리고당이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9> 김치소스 제조
상기의 제조예 1에서 얻은 적색배추김치를 믹서기(Lon power-DA505, 대성아트론, Korea)로 분쇄하였다.
상기의 분쇄한 적색배추김치 61중량%, 당 35.4중량%, 옥수수전분 0.6중량%, 식초 0.6중량%, 소금 0.4중량%, 천연색소로 녹색파프리카 분말 2.0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당은 물엿과 올리고당이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0> 김치소스 제조
상기의 제조예 1에서 얻은 적색배추김치를 믹서기(Lon power-DA505, 대성아트론, Korea)로 분쇄하였다.
상기의 분쇄한 적색배추김치 61.5중량%, 당 35.4중량%, 옥수수전분 0.6중량%, 식초 0.6중량%, 소금 0.4중량%, 천연색소로 빨강색프리카 분말 1.5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당은 물엿과 올리고당이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1> 김치소스 제조
상기의 제조예 1에서 얻은 적색배추김치를 믹서기(Lon power-DA505, 대성아트론, Korea)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적색배추김치 61중량%, 당 36.4중량%, 옥수수전분 0.6중량%, 식초 0.6중량%, 소금 0.4중량% 및 천연색소로 백년초분말 1.0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김치소스에 김치소스 전체 중량 대비 1.0%의 알로에분말을 추가로 더 첨가하여 천연색소와 알로에분말을 함유한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당은 물엿과 올리고당이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김치소스 제조
상기의 제조예 2에서 얻은 백김치를 믹서기(Lon power-DA505, 대성아트론, Korea)로 분쇄하였다.
상기의 분쇄한 백김치 61.5중량%, 당 35.4중량%, 옥수수전분 0.6중량%, 식초 0.6중량%, 소금 0.4중량%, 천연색소로 주황색파프리카 분말 1.5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김치소스에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김치소스 전체 중량 대비 1.0%의 알로에분말을 추가로 더 첨가하여 천연색소와 알로에분말을 함유한 김치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당은 물엿과 올리고당이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숙성 정도에 따른 김치 품질특성
상기에서 제조된 제조예 1의 적색배추김치와 제조예 2의 백김치를 밀폐용기에 500g씩 담아서 5±1℃에서 냉장저장 숙성하면서 3일 간격으로 김치의 일부를 채취하여 pH, 총산도, 염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pH의 측정은 pH meter(Corning Pinnacle 540, UAS)로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총산도는 0.1 N NaOH으로 pH 8.3이 될 때까지 중화적정하고 이때 소비된 mL수를 젖산의 함량(%)으로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염도 측정은 각각의 김치 5g을 예비탄화 및 회화 한 후 증류수로 녹인 다음 여과하여 증류수 250mL로 정용하였다. 그 중 5mL를 취하여 지시약으로 2% potassium chromate 1mL를 첨가한 후 0.02N AgNO3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정량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1, 도 2에서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pH가 pH4.2∼4.7이고, 산도는 0.6∼0.8%이며, 염도가 약 3.0%인 것은 적색배추김치의 경우에는 숙성 25일 전후에 가장 잘 숙성된 김치를 얻을 수 있으며, 백김치는 숙성 18일 전후가 가장 잘 숙성된 김치로 이를 김치소스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도 1은 적색배추김치의 숙성정도별 품질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백김치의 숙성정도별 품질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시험예 2> 저장기간별 김치소스의 pH 및 총산도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각각의 김치소스를 5±1℃에서 91일까지 저장하면서 김치소스의 pH, 총산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저장기간별 김치소스 pH 측정은 시료 50g를 1분 동안 균질화 하여 pH meter(Corning Pinnacle 540, UAS)로 3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저장기간별 김치소스의 총산도는 0.1N NaOH으로 pH 8.3이 될 때까지 중화적정하고 이때 소비된 mL수를 젖산의 함량(%)으로 나타내었다.
표 2. 김치소스의 pH, 총산도의 변화
구분 저장기간(일) pH 총산도(%)
실시예 1 0 4.1±0.01 0.85±0.01
7 4.1±0.01 0.80±0.02
14 4.1±0.01 0.83±0.02
21 4.1±0.02 0.86±0.02
28 4.2±0.02 0.87±0.02
35 4.1±0.01 0.91±0.01
42 4.1±0.01 0.92±0.01
49 4.2±0.02 0.94±0.02
56 4.2±0.02 0.95±0.01
63 4.2±0.02 0.96±0.01
70 4.2±0.01 0.96±0.02
77 4.1±0.01 0.97±0.02
91 4.1±0.02 1.00±0.02
비교예 1 0 3.7±0.02 0.72±0.01
7 3.8±0.02 0.72±0.02
14 3.8±0.01 0.71±0.01
21 3.7±0.01 0.70±0.01
28 3.8±0.02 0.75±0.01
35 3.7±0.01 0.88±0.01
42 3.8±0.02 0.89±0.02
49 3.7±0.02 0.92±0.02
56 3.7±0.01 0.91±0.02
63 3.7±0.02 0.93±0.02
70 3.7±0.01 0.93±0.01
77 3.7±0.02 0.89±0.01
91 3.7±0.02 0.93±0.01
실시예 2 0 3.9±0.02 0.80±0.02
7 4.0±0.01 0.80±0.01
14 4.0±0.01 0.80±0.02
21 3.9±0.01 0.81±0.02
28 4.0±0.01 0.86±0.01
35 3.9±0.02 0.91±0.02
42 3.9±0.03 0.95±0.02
49 4.0±0.01 1.02±0.02
56 3.9±0.01 0.96±0.02
63 3.9±0.01 1.00±0.01
70 3.9±0.01 1.02±0.01
77 3.9±0.01 1.20±0.02
91 3.9±0.03 1.18±0.02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소스별 pH의 경우 저장초기에 실시예 1의 김치소스는 pH 4.1, 비교예 1의 김치소스는 pH 3.7, 실시예 2의 김치소스는 pH 3.9 이다가 저장 91일이 되어도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총산도의 경우에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각 소스별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였으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김치소스의 pH와 총산도에 관계없이 91일 동안 냉장 저장하여도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김치소스 제조 시 부재료 첨가한 당 및 식초, 소금 등이 품질 수명을 연장한 것으로 사료된다.
<시험예 3> 저장기간별 김치소스의 색도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각각의 김치소스를 5±1℃에서 91일까지 저장하면서 김치소스의 색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색도는 색차계(Color & Color difference meter, Macbath color-Eye 3100, USA)를 이용하여 시료의 색깔에 대한 L값(lightness, 어둠(0)-밝음(100)), a값(redness, 적색(60)-녹색(-60)), b값(yellowness, 노랑(60)-파랑(-60))으로 나타내었다. 표준판(Standard plate)은 백색판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시료는 4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표 3. 김치소스의 색도의 변화
구분 저장기간(일) 색도
L a b
실시예 1 0 34.4±0.32 17.9±0.345 10.4±0.03
7 31.3±1.47 17.9±0.38 10.3±0.04
14 32.3±0.42 16.8±0.43 10.2±0.26
21 33.8±0.67 17.8±1.23 11.1±1.19
28 32.0±0.33 18.0±1.06 10.2±0.79
35 33.3±0.28 18.9±1.26 12.2±3.25
42 31.8±0.63 18.4±2.03 11.6±2.26
47 35.7±1.02 17.8±2.34 12.2±1.25
56 34.3±0.68 18.0±1.65 10.9±0.76
63 35.2±0.75 18.0±1.27 11.7±0.59
70 32.9±1.26 19.2±1.85 13.8±0.66
77 34.8±1.46 19.3±0.68 13.1±0.78
91 32.6±0.74 19.7±0.90 13.3±0.75
비교예 1 0 55.5±0.56 -2.7±0.90 16.9±0.28
7 53.4±0.75 -2.9±0.85 15.3±1.24
14 52.5±0.12 -3.0±0.86 15.8±1.06
21 52.7±0.22 -2.9±0.57 14.5±1.23
28 49.4±1.65 -3.0±3.11 16.9±2.64
35 59.7±2.98 -2.1±0.21 16.3±2.01
42 53.5±0.53 -2.1±0.26 13.5±3.47
49 54.7±0.85 -2.0±0.28 15.8±2.88
56 57.5±0.62 -2.1±0.37 13.2±2.65
63 57.5±0.39 -2.0±0.46 17.3±4.22
70 55.0±2.64 -2.0±0.45 13.9±1.86
77 57.6±0.68 -2.1±0.44 16.7±3.85
91 52.5±0.82 -2.1±0.53 16.3±3.15
실시예 2 0 51.9±1.39 10.7±0.26 32.5±0.46
7 49.3±0.08 10.0±0.35 32.6±1.04
14 46.9±0.86 8.7±0.79 30.0±2.31
21 48.1±0.76 7.5±1.23 29.1±2.26
28 49.4±1.26 8.7±2.55 29.2±1.34
35 52.4±1.31 11.6±2.63 36.4±1.68
42 52.0±1.28 8.8±4.63 32.4±1.13
49 51.6±1.36 10.6±0.65 34.8±0.90
56 53.8±1.85 9.2±2.87 34.2±0.82
63 52.3±2.04 9.8±1.93 32.7±0.76
70 50.3±2.25 9.6±2.82 30.2±1.56
77 52.6±1.33 9.5±4.56 33.3±2.62
91 48.1±1.63 9.4±2.33 33.5±1.87
김치소스의 저장기간별 색의 변화를 명도(L값), 적색도(a값), 황색도(b값) 및 총색차(ΔE)로 구분하여 기계적으로 측정한 표 3에서 실시예 1 김치소스의 경우 초기의 L, a, b값은 34.4, 17.9, 10.4이었으며, 비교예 1 김치소스의 경우 55.5, -2.7, 16.9, 실시예 2 김치소스는 51.9, 10.7, 32.5로 저장기간에 따른 색변화는 91일 동안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경우에는 L- value가 약간 감소하는 반면 a-value와 b-value가 약간 증가하였지만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김 등이 보고한 백년초 가루 첨가 증편의 결과(백년초 분말의 첨가비율과 저장에 따른 증편의 품질 특성, 한국조리과학회지, 김기숙, 이소영, p179-184, 2002), 와 정 등이 보고한 백년초 가루 함량이 증가할수록 a-value와 b-value가 증가한다는 결과(백년초 분말 첨가에 따른 국수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정현숙, 박찬성, p200-205, 2003)와 유사하였으며, 황 등이 보고한 주황색 파프리카즙을 첨가한 생면의 색도의 변화의 결과(파프리카즙 첨가가 생면의 기호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Ⅰ), 한국조리과학회지, 황재희, 장명숙, p373-379, 2001)와 일치하였다. 천연색소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 김치소스는 a-value 경우 저장 초기 약 -2.8∼-3.0을 그대로 유지하다가 35일이 지나면서 급격한 변화를 보이다가 그 이후에 변화가 없었다. ΔE의 경우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사용된 김치소스는 비교예 1의 약간의 변화를 제외하고는 91일 동안의 저장기간에 따른 외관적 품질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시험예 4> 저장기간별 김치소스의 비타민 C 변화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각각의 김치소스를 5±1℃에서 91일까지 저장하면서 김치소스의 비타민 C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비타민 C의 함량은 AOAC 방법에 따라 2, 4-dinitrophenyl hydrazine (DNP) 비색법으로 정량하였다.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저장기간별 김치소스의 비타민 C변화를 나타냈다. 즉, 실시예 1 김치소스의 경우에는 저장초기에 18.7mg%이다가 조금씩 감소하다가 저장 28일이 지나면서 11.0mg%로 급격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저장 91일 동안 그 수준을 유지하였다. 비교예 1 김치소스는 초기에 14.7mg% 이다가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저장 91일째는 비타민 C의 함량이 7.0mg%으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2 김치소스는 저장초기 34.3 mg%이다가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저장 91일에는 24.0mg%이었다. 이는 김치의 발효과정 중에 일어나는 비타민 C의 변화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김치의 제조조건(재료와 발효조건, 미생물의 변화 및 환경조건)에 따라 달라지므로 발효초기부터 비타민 C 함량이 증가하다가 완숙기 및 그 이후부터 계속 감소하기도 하며, 발효초기부터 계속 저하되기도 한다는 연구결과(마늘의 첨가량을 달리한 김치의 숙성에 따른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이상금, 신말식, 전덕영, 홍윤호, 임현식, p68-74, 1989)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각 소스별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 양상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지만, 비타민 C의 함량은 김치소스 제조 시 주황색 파프리카 분말을 1.5% 첨가한 실시예 2 김치소스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백년초 분말을 1.0% 첨가한 실시예 1 김치소스으로 나타났으며, 천연색소를 첨가하지 않는 비교예 2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도 3에서 ●은 실시예 1의 백년초분말을 함유한 김치소스를 나타내고, ■은 비교예 1의 백김치소스를 나타내고, ▲은 실시예 2의 주황색파프리카 분말을 함유한 백김치소스를 나타낸다.
<시험예 5> 저장기간별 김치소스의 점도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각각의 김치소스를 5±1℃에서 91일까지 저장하면서 김치소스의 점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점도의 측정은 김치소스를 점도계(Viscometer RVDV-Ⅱ+, USA) 3번 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4의 결과와 같이 실시예 1 김치소스 점도의 변화는 저장초기에 100.6mPa·s에서 저장말기 91일째 70.1mPa·s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실시예 2 김치소스의 점도로 81.6mPa·s에서 43.3mPa·s이었으며, 비교예 1 김치소스의 점도는 48.6mPa·s에서 저장 91일에는 25.5mPa·s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점도의 변화는 3군의 소스에서 모두 점차로 감소하였으나, 91일 저장하여도 외관상 점도의 변화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 4에서 ●은 실시예 1의 백년초분말을 함유한 김치소스를 나타내고, ■은 비교예 1의 백김치소스를 나타내고, ▲은 실시예 2의 주황색파프리카 분말을 함유한 백김치소스를 나타낸다.
<시험예 6> 저장기간별 김치소스의 미생물 특성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각각의 김치소스를 5±1℃에서 91일까지 저장하면서 김치소스의 총균수 및 젖산균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각각 도 5,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총균수 측정은 단계별로 희석한 시료를 ACP(aerobic count plate, 3M petrifilm aerobic, USA)에 도말한 후 30℃에서 3일 동안 배양한 다음 생성된 콜로니(colony)를 계수하여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젖산균수의 측정은 Lactobacillus MRS Broth(Difco Co. USA)를 사용하여 단계별로 희석한 시료를 접종한 다음 30℃에서 3일 동안 배양 후 생성된 colony를 계수하였다. 이때 검출된 미생물수는 시료 1g 당 log colony forming unit(Log CFU/g)으로 나타내었다.
도 5,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장기간별 김치소스의 총균수 및 젖산균수의 변화는 모든 김치소스에서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도 5에서 총균수의 경우 실시예 1 김치소스, 비교예 1 김치소스, 실시예 2 김치소스는 저장초기 약 6.8∼7.1 log cycle에서 거의 변화가 없다가 저장 약 20일에는 약 6.9∼8.1 log cycle으로 약간 증가했다가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여 저장 60일이 지나면서 저장 91일까지는 거의 변화 없이 약 1.8∼3.8 log cycle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ark 등에 의하면 김치의 발효 중 총균수는 사용원료와 제조여건에 따라 다르지만 최고균수는 보통 약 8.0∼10.0 log cycle사이라고 보고(떫은 감잎의 정유성분이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생물생면공학회, 박상규, 강성규, 정희종, p217-221, 1994)한 것과 비교해 보면 발효온도가 낮은 발효의 경우 총균수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도 6에서 젖산균의 경우 총균수와 비슷한 양상으로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모든 소스에서 젖산균수가 다소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즉, 저장초기 젖산균수는 약 5.3∼5.9 log cycle이다가 조금 증가하다가 실시예 1 김치소스, 실시예 2 김치 소스는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높은 분포상태를 더 지속적으로 나타내고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기나 속도가 더 늦어지는 경향으로 저장 91일 되어도 약 3.2∼3.8 log cycle을 유지하였으며, 비교예 1 김치소스의 경우에는 약 2.7 log cycle이었다. 이는 Lactobacillus 속이 저온에서는 활발하게 증식하지 못한다는 Shin 등의 결과(시판 김치의 발효 온도별 성분과 미생물 변화, 신동화, 김문숙, 한지숙, 임대관, 박완숙, 한국식품과학회지, p137-145, 1996)와도 일치하였다.
도 5 및 도 6에서 ●은 실시예 1의 백년초분말을 함유한 김치소스를 나타내고, ■은 비교예 1의 백김치소스를 나타내고, ▲은 실시예 2의 주황색파프리카 분말을 함유한 백김치소스를 나타낸다.
<시험예 7> 저장기간별 김치소스의 관능적 특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6가지의 김치소스를 1 kg씩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저장(5±1℃)하면서 0주, 8주, 16주 간격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평가항목은 색, 냄새, 질감, 맛 및 종합적 기호도에 대해 9점 기호척도법으로 실시하였는데 패널요원은 반복적으로 훈련된 20명을 선정하였고 시료번호에서 선입견을 없애기 위하여 시료의 배열은 난수표를 이용하여 얻은 3자리 숫자를 표시하여 주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시료는 동일한 조건으로 제시하였으며, 입안을 미지근한 정수기물로 깨끗이 헹군 다음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결과에 대한 통계 분석은 SAS program(2001)을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성 검정(p<0.05)은 Duncan의 다중검정법(multiple range test)을 이용하였다
표 4. 저장기간에 따른 김치소스의 관능적 특성(단위 : 점)
구분 저장기간 관능적 특성
냄새 질감 전반적기호
실시예 1 0주 6.9Aa 5.7Ab 5.1Aab 6.1Aab 6.6Aa
8주 6.9Aa 5.9Ab 5.9Ab 6.0Ab 6.1Aab
16주 6.4Aa 4.5Ab 5.2Aab 5.3Aab 5.5Aa
비교예 1 0주 3.8Da 4.5Db 5.5Dab 4.5Dab 4.4Da
8주 5.0Da 5.1Db 5.0Db 4.9Db 4.9Dab
16주 3.6Ba 4.6Bb 4.9Bab 4.9Bab 4.4Ba
실시예 2 0주 5.8BCa 5.7BCb 5.1BCab 5.1BCab 6.0BCa
8주 6.1ABa 5.8ABb 5.9ABb 5.8ABb 5.7ABab
16주 5.7Aa 4.9Ab 4.6Aab 5.4Aab 5.2Aa
실시예 3 0주 6.1BCa 4.9BCb 5.1BCab 4.9BCab 5.5BCa
8주 5.5DCa 4.9DCb 5.4DCb 5.1Dcb 5.3DCab
16주 5.1Ba 4.5Bb 4.3Bab 4.7Bab 4.7Ba
실시예 4 0주 5.0Ca 5.4Cb 5.4Cab 5.1Cab 5.1Ca
8주 5.5DCa 5.3DCb 5.3DCb 5.2DCb 5.3DCab
16주 4.3Ba 4.2Bb 4.3Bab 4.7Bab 4.9Ba
실시예 5 0주 6.7ABa 4.7ABb 5.4ABab 5.9ABab 6.2ABa
8주 6.3BCa 5.1BCb 5.3BCb 5.6BCb 5.6BCab
16주 5.5ABa 4.5ABb 4.8ABab 4.5ABab 5.2ABa
* 관능검사 항목에 대한 수치가 높을수록 관능특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저장기간에 따른 각 김치소스별 관능평가 결과인 표 4에서 김치소스의 색(color), 냄새(flavor), 질감(texture), 맛(taste), 전반적기호도(overall quality)의 기호성 평가에서 전반적으로 모든 소스에서 저장기간별 각 소스는 유의적으로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았다.
색의 경우 배추김치에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실시예 1 김치소스는 저장 16주까지 6.4∼6.9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그 다음으로 백김치에 빨강색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실시예 2 김치소스는 5.5∼6.7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실시예 2 김치 소스, 실시예 3 김치소스, 실시예 4 김치소스의 경우는 5.0∼6.1로 비슷한 점수를 받았으며, 천연색소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 김치소스는 3.6∼5.0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냄새 및 질감, 맛에 대해서도 색의 경우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실시예 1 > 실시예 5 > 실시예 2 > 실시예 4 > 실시예 3 > 비교예 1순으로 나타났다. 백김치를 주재료로 한 비교예 1 김치소스, 실시예 2 김치소스, 실시예 3 김치소스, 실시예 4 김치소스, 실시예 5 김치소스는 배추김치를 주재료로 한 실시예 1 김치소스에 비해 다소 낮은 점수를 받은 것은 개개인마다 기호성에 다르기 때문에 백김치의 냄새라든가 맛이 배추김치에 비해 약한 것을 싫어하는 패널들이 많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영양학적으로 생리 효과가 우수한 김치를 활용한 다용도 소스 개발로 다양한 소비계층을 겨냥한 새로운 맛과 향을 갖는 김치 향신소재 개발로 김치소스의 균일한 품질특성 유지와 저장성을 증진 시키고 대량생산 및 유통이 가능하 므로 우리 농산물의 활용증진을 위해 김치의 소비확대 및 수출상품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김치소스는 샐러드, 생선요리, 육류요리, 바비큐 소스, 제과용 소스, 드레싱과 같이 종래 일반적으로 소스 대신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김치를 주재료로 하는 김치소스에 있어서,
    김치소스 중량 대비 김치분쇄물 58∼64.9%와, 김치소스 중량 대비 부재료 34∼40%와, 김치소스 중량 대비 백년초분말, 파프리카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색소 1.0∼2.0%와 상기 김치분쇄물, 부재료 및 천연색소로 이루어진 김치소스 전체 중량 대비 알로에 0.1∼1.5%를 포함하는 김치소스.
    상기에서 부재료는 당류와, 전분과, 현미식초, 맥아식초, 포도식초, 사과식초,레몬식초, 살구식초, 청주 찌꺼기를 원료로 한 청주박식초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식초와, 소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2. 삭제
  3. 김치를 주재료로 하는 김치소스의 제조에 있어서,
    김치소스 중량 대비 김치분쇄물 58∼64.9%과, 김치소스 중량 대비 부재료 34∼40%를 혼합한 후 상기 김치분쇄물 및 부재료의 혼합물에 김치소스 중량 대비 백년초분말, 파프리카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색소 1.0∼2.0%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얻은 다음 상기 김치소스에 김치소스 전체 중량 대비 알로에 0.1∼1.5%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소스의 제조방법.
    상기에서 부재료는 당류와, 전분과, 현미식초, 맥아식초, 포도식초, 사과식초,레몬식초, 살구식초, 청주 찌꺼기를 원료로 한 청주박식초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식초와, 소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60046654A 2006-05-24 2006-05-24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1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654A KR100811204B1 (ko) 2006-05-24 2006-05-24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654A KR100811204B1 (ko) 2006-05-24 2006-05-24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000A KR20070113000A (ko) 2007-11-28
KR100811204B1 true KR100811204B1 (ko) 2008-03-07

Family

ID=3909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654A KR100811204B1 (ko) 2006-05-24 2006-05-24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2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564B1 (ko) 2009-03-09 2010-12-30 참참참식품(주) 백련초김치의 제조방법
WO2012057405A1 (ko) * 2010-10-29 2012-05-03 Lee Jin-Soo 노빨김치
KR101284370B1 (ko) 2011-01-31 2013-07-09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김치스틱을 이용한 퓨전 김치버리토의 제조방법
KR101284504B1 (ko) 2011-01-31 2013-07-16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김치를 이용한 퓨전 김치타코의 제조방법
KR20190037634A (ko) 2017-09-29 2019-04-08 (주)삼아아시아 다목적용 김치미트소스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810B1 (ko) * 2012-11-06 2014-08-19 신세경 해물류 김치 소스의 제조 방법
KR101282390B1 (ko) * 2012-11-06 2013-07-04 신세경 고기류 김치 소스의 제조 방법
KR101299726B1 (ko) * 2012-11-06 2013-08-26 신세경 생선류 김치 소스의 제조 방법
US20140127380A1 (en) * 2012-11-06 2014-05-08 Se Gyoung Shin Method of preparing kimchi source
KR101431811B1 (ko) * 2012-11-06 2014-09-19 신세경 야채류 김치 소스의 제조 방법
KR101865842B1 (ko) * 2016-05-16 2018-06-11 샘표식품 주식회사 천일염 함유 쌀유산균발효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김치소스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326A (ko) * 1997-06-13 1999-01-15 더블유. 유 병 강화 김치믹스 조성물
KR100187522B1 (ko) * 1996-03-08 1999-03-20 김영택 샐러드 드레싱용 김치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2492A (ko) * 1999-12-08 2000-03-06 권재중 선인장 열매(백년초) 김치 및 제조방법
US20020182304A1 (en) * 2000-05-16 2002-12-05 Kim Soon Ja Process of beak-nun-cho white kimchi for stamina
KR20030016590A (ko) * 2001-08-21 2003-03-03 이종범 한방 선인장 김치의 제조방법
KR20030064436A (ko) * 2002-01-28 2003-08-02 주식회사 태백 맵지 않은 김치
KR20060027033A (ko) * 2004-09-22 2006-03-27 정은주 김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522B1 (ko) * 1996-03-08 1999-03-20 김영택 샐러드 드레싱용 김치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01326A (ko) * 1997-06-13 1999-01-15 더블유. 유 병 강화 김치믹스 조성물
KR20000012492A (ko) * 1999-12-08 2000-03-06 권재중 선인장 열매(백년초) 김치 및 제조방법
US20020182304A1 (en) * 2000-05-16 2002-12-05 Kim Soon Ja Process of beak-nun-cho white kimchi for stamina
KR20030016590A (ko) * 2001-08-21 2003-03-03 이종범 한방 선인장 김치의 제조방법
KR20030064436A (ko) * 2002-01-28 2003-08-02 주식회사 태백 맵지 않은 김치
KR20060027033A (ko) * 2004-09-22 2006-03-27 정은주 김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564B1 (ko) 2009-03-09 2010-12-30 참참참식품(주) 백련초김치의 제조방법
WO2012057405A1 (ko) * 2010-10-29 2012-05-03 Lee Jin-Soo 노빨김치
KR101284370B1 (ko) 2011-01-31 2013-07-09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김치스틱을 이용한 퓨전 김치버리토의 제조방법
KR101284504B1 (ko) 2011-01-31 2013-07-16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김치를 이용한 퓨전 김치타코의 제조방법
KR20190037634A (ko) 2017-09-29 2019-04-08 (주)삼아아시아 다목적용 김치미트소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000A (ko)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204B1 (ko)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360360A (zh) 一种调味专用新型豆瓣发酵工艺
CN103202448A (zh) 方便型发酵酸菜的制作方法
CN102687844A (zh) 一种制备五豆酱油的方法
KR101485539B1 (ko) 황칠김치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식감이 우수한 황칠김치
KR20010044329A (ko) 기능성 발효원액 및 그 이용식품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903633B1 (ko) 유산균 블루베리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삼채의 제조방법
KR101098624B1 (ko) 묵은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KR101793700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장성이 향상된 어묵 조성물
JP2019068774A (ja) 加熱調理食材の製造方法
KR101448544B1 (ko) 과일 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8849A (ko) 갈비덮밥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4926B1 (ko) 쿼세틴이 함유된 발효유 제조방법
KR101824844B1 (ko) 가식 기간이 연장된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5331B1 (ko) 죽염을 이용한 건염절임배추 및 이를 이용한 죽염김치의 제조방법
KR20170000158A (ko)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4032411A1 (en) Acetic acid bacteria-containing composition
KR20200114834A (ko) 저염 새우젓 및 그 제조방법
KR102553183B1 (ko) 효소를 이용한 김치 양념장 및 이를 이용한 김치
KR20020089921A (ko) 배추 즙을 이용한 액상 김치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의해 제조된 액상 김치
KR20090073348A (ko) 건강 기능성이 강화된 오미자 단무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022086B1 (ko) 감귤-미곡 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13095A (ko) 딸기 고구마 쌈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딸기 고구마 쌈장
KR20130066044A (ko) 참다래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250609B1 (ko) 배 및 사과즙 쌀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추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