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334B1 - 응집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응집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334B1
KR100810334B1 KR1020067005103A KR20067005103A KR100810334B1 KR 100810334 B1 KR100810334 B1 KR 100810334B1 KR 1020067005103 A KR1020067005103 A KR 1020067005103A KR 20067005103 A KR20067005103 A KR 20067005103A KR 100810334 B1 KR100810334 B1 KR 100810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ter
separation tank
floccul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3687A (ko
Inventor
야스오 야마다
šœ소쿠 교사이
노리미쓰 모리카와
미노루 사토
고지 니시하라
신이치 나가마쓰
마사미 오우라
류마 사쿠라이
히로코 마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시하라 간쿄 테쿠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시하라 간쿄 테쿠놀러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시하라 간쿄 테쿠놀러지
Publication of KR20070043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2Baffles or guid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27The feed or discharge opening located at a distant position from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88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bringing about a partial recirculation of the liquid, e.g. for introducing chemical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2Density control of clear liquid or sediment, e.g. optical control ; Control of phys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6Recirculation with an external loo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2Inert solids used as ballast for improving sedimen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응집분리장치는 원수가 도입되는 응집분리탱크(1)를 구비한다. 상기 원수는 원수 도입파이프(3),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 및 원수 도입파이프(5)를 통하여 혼합탱크(2)로부터 상기 응집분리탱크(1)로 흐른다. 수류발생기(11)는 상기 응집분리탱크(1) 내에 구비되어 피처리수를 교반하여 물의 흐름을 생성한다. 상기 응집분리탱크(1) 하부에, 슬러지 배출구(13) 및 슬러지 수집박스(14)가 제공된다. 상기 슬러지 수집박스(14)의 슬러지는 슬러지 이송파이프(15)를 통하여 세퍼레이터(8)로 이송된다. 상기 세퍼레이터(8)는 상기 슬러지로부터 고비중의 재료를 분리하여 이를 상기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로 공급한다.

Description

응집분리장치{COAGULATING AND SEPA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콜로이드 물질 또는 미립자와 같은 현탁물질을 포함하는 피처리수인 초기의 물(예컨대, 원수(raw water), 유입수(inflow water))을 응집제와 혼합함으로써, 현탁물질이 응집되어 플럭(floc;응집된 슬러지)을 형성하고, 상기 플럭이 상기 초기 물로부터 고-액 분리됨으로써 청정한 물이 연속적으로 얻어질 수 있는 응집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통상적인 응집분리장치는, 응집반응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현탁물질 등을 포함하는 피처리수인 초기 물은 원수 도입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응집반응탱크로 흐른다. 상기 응집반응탱크 내에서 흐르는 피처리수에 응집제 공급수단으로부터 응집제가 첨가된다. 모래와 같은 불용성의 첨가물이 첨가물 공급수단으로부터 상기 응집반응탱크 내에서 흐르는 피처리수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응집분리장치는 혼합물 배출수단, 고액분리탱크, 펌프, 복귀파이프 및 첨가물 회수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혼합물 배출수단은 상기 응집반응탱크로부터 혼합물을 배출시킨다. 상기 고액분리탱크는 상기 응집반응탱크로부터의 유출수를 고액분리시킨다. 상기 펌프는 상기 고액분리탱크로부터 분리된 목적물을 배출하기 위한 분리목적물 배출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첨가물 회수장치는, 상기 펌프로부터 복귀파이프를 통하 여 복귀한 상기 분리된 목적물에 포함된 첨가물를 분리하고 이를 회수한다. 상기 첨가물 회수장치는 또한 회수된 첨가물를 응집반응탱크로 복귀시키고, 분리된 슬러지는 그 시스템 바깥으로 배출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특허 미심사 공개공보 번호 2003-326110(2페이지, 우측 칼럼의 14~26행, 도1)
상기의 통상적인 응집분리장치는 응집반응탱크에서 응집제를 첨가하여 플럭을 형성한 후에, 고액분리탱크 내에서 중력을 이용하여 피처리수로부터 플럭을 분리하고 있다. 따라서, 고액분리탱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뿐 아니라, 상기 고액분리탱크는 적어도 상기 응집반응탱크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큰 전체 설비장소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 플럭이 중력을 이용하여 피처리수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플럭의 침전속도를 초과하는 속도에서는 처리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그 처리효율은 나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설비장소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으며 더욱 빠르고 안정되게 고액분리를 행할 수 있는, 즉 설비장소 크기 감소, 처리시간 단축 및 안정적 처리의 수행이 가능한 응집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는 응집분리탱크, 수류발생기 및 슬러지 이송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응집제와 혼합된 원수는 상기 응집분리탱크 내에서 유동한다. 상기 수류발생기는 상기 응집분리탱크 내에 순환류 또는 선회류를 생성한다. 상기 슬러지 이송파이프는 응집된 슬러지를 이송한다.
바람직하게는, 드래프트 튜브(draft tube)가 상기 응집분리탱크 내에 제공된다. 고비중을 가진 재료가 상기 응집분리탱크 내에 존재한다. 고비중의 재료를 분리하여 상기 응집분리탱크로 순환시키기 위하여 세퍼레이터가 상기 슬러지 이송파이프에 제공된다. 다공성부재가 상기 드래프트 튜브의 위에 제공된다. 응집제와 혼합된 원수를 상기 드래프트 튜브 내로 도입하기 위하여 원수 도입파이프가 제공된다. 상기 수류발생기는 축류형(axial-flow)의 교반 베인을 가지는 교반기로 구성된다. 슬러지 수집박스가 상기 응집된 슬러지를 농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라인 믹서(line mixer)가 상기 응집제와 원수를 혼합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응집분리탱크에 수질측정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처리된 물을 받아들이는 집수기(catchment)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플럭을 형성하는 응집제와 선회류를 형성하는 수류발생기를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플럭이 하나의 응집분리탱크에서 연속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응집 및 분리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플럭의 생성과 고액분리가 동일한 응집분리탱크 내에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고액분리가 효율적이고 안정하게 행해질 수 있으므로, 넓은 설비장소 등을 요구하는 상기 통상적인 고액분리탱크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전체 장치는 소형화되고 건설비용도 감소된다.
상기 드래프트 튜브가 제공되면, 체류시간(residence time)을 약 2~3분으로 설정하고 80% 이상의 SS(현탁물질) 제거율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응집분리탱크 내의 플럭 상태 또는 처리된 물의 상태가 항상 측정된다면, 안정된 계면(interface)과 상기 플럭의 적절한 양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처리작업을 연속적으로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다.
응집제와 혼합된 처리수가 응집분리탱크로 흐르고 상기 수류발생기에 의하여 교반된다면, 상기 응집분리탱크 내에 선회류(swirl flow)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드래프트 튜브가 상기 수류발생기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수평의 가이드판 및 수직의 가이드판이 추가적으로 배치되면, 상기 선회류를 유연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공성부재가 배치되면, 상부 방향의 유속을 제어함에 따라 수평류(예컨대, 구심류(centripetal flow)) 및 선회류(예컨대, 하강류(downflow))를 보다 안정하게 생성할수 있다. 따라서, 처리작업의 효율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통상적인 응집 및 침전처리용으로 사용되는 응집제를 첨가할 뿐 아니라, 고비중의 재료가 주입되고 또한 응집 보조제가 첨가되면, 종래보다 플럭을 더 크게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에, 상기 플럭의 질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처리속도를 높이고, 체류시간을 줄이고, 처리를 효율적으로 안정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응집반응에 기여하는 고비중재료가 상기 슬러지 수집박스로부터 배출되고, 세퍼레이터로 이송되고, 상기 슬러지로부터 분리되어, 피처리수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면, 고비중재료를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및 제어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7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8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9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10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11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12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13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4는, 복수의 응집분리장치를 배치하는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5는, 복수의 응집분리장치를 배치하는 방식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6은, 복수의 응집분리장치를 배치하는 방식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7은, 복수의 응집분리장치를 배치하는 방식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8은, 가이드판을 배치하는 하나의 방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9는, 집수기로 사용되는 홈통(trough)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0은, 집수기로 사용되는 홈통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1은, 집수기로 사용되는 홈통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2은, 집수기로 사용되는 홈통에 대한 부분횡단면도이다.
도23은, 집수기로 사용되는 홈통에 대한 부분횡단면도이다.
도24는, 집수기로 사용되는 홈통에 대한 부분횡단면도이다.
도25는, 집수기로 사용되는 홈통에 대한 부분횡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응집분리장치는 원수 내의 현탁물질 등을 응집하여 고액분리를 수행하기 위한 응집분리탱크(1)을 구비한다. 원수는 혼합탱크(2)로부터 원수 도입파이프(3),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 및 원수 도입파이프(5)를 통하여 상기 응집분리탱크(1)로 흐른다. 상기 혼합탱크(2)는 원수유입공(2a) 및 응집제 주입공(2b)을 가진다. 원수는 상기 원수유입공(2a)으로 흘러들어온다. 응집제 주입공(2b)은 응집제(6)의 주입용으로 제공된다. 상기 혼합탱크(2)는 소정의 체류시간 동안 원수의 난류(turbulence)를 유지시킨다. 상기 혼합탱크는 원수 내의 현탁물질을 응집제(6)와 반응시켜 플럭을 형성한다.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에는, 원수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크린(7)이 설치된다. 상기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 위에는 세퍼레이터(8)가 설치된다. 고비중재료(9)는 상기 세퍼레이터(8)로부터 상기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로 첨가된다. 원수 도입파이프(5)는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의 하류에 제공된다. 응집보조제(10)는 응집보조제 주입공(10a)으로부터 상기 원수 도입파이프(5)로 주입된다. 응집보조제(10)를 첨가하면 고비중재료(9)와 플럭 사이의 접촉을 효율적으로 하게 하여 무거운 플럭이 형성되어, 양호한 고액분리를 이끌어낸다.
혼합탱크(2)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난류를 형성하는 교반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수 도입파이프(5)의 원수도입공(5a)의 위치는 상기 응집분리탱크(1) 내의 난류 상에 용이하게 올라탈 수 있도록 설정된다. 스크린(7)의 위치는 상기 응집분리탱크(1)의 상류측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세퍼레이터(8)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린(7)은 고비중재료(9)가 첨가되는 상류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탱크(2)의 앞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문제는 없다. 물론 원수가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상기 스크린(7)을 장착할 필요는 없다. 고비중재료(9)에 응집보조제(10)를 첨가하는 위치는, 상기 고비중재료(9)와 응집보조제(10)가 순간적으로 반응하여 플럭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설정된다. 고비중재료(9)의 첨가위치는 상기 응집분리탱크(1)의 상류측에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고비중재료(9)는 응집분리탱크(1)와 혼합탱크(2) 사이에서 바람직하게 첨가된다. 응집보조제(10)의 첨가위치는, 상기 혼합된 액체가 상기 응집분리탱크(1)로 흐르기 전의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집보조제 (10)의 첨가위치는, 상기 혼합된 액체가 상기 응집분리탱크(1)의 원수도입공(5a) 근처로 도입된 후에 직접 충분하게 혼합되는 곳일 수 있다.
응집분리탱크(1)의 중간에는, 유동하는 혼합액(원수와 응집제(6)가 혼합된 액체), 즉 피처리수를 교반하여 물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수류발생기(11)가 제공된다. 상기 응집분리탱크(1)의 상부에서, 고액분리에 의하여 얻어진 처리수를 모으기 위하여 집수기(12)가 제공된다. 상기 처리수는 상기 집수기(12)로부터 처리수 배출구(12a)를 통하여 시스템의 바깥으로 유도된다. 응집분리탱크(1)의 하부에는, 피처리수로부터 분리된 슬러지 배출용의 슬러지 배출공(13)이 제공된다. 응집분리탱크(1)의 하부 외측에는, 상기 슬러지 배출공(13)으로부터의 슬러지를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박스(14)가 구비된다. 슬러지 수집박스(14)의 슬러지는 슬러지 이송파이프(15)를 통하여 상기 세퍼레이터로 이송된다. 개폐밸브(16) 및 이송펌프(17)가 상기 슬러지 수집박스(14)로부터 차례로 상기 슬러지 이송파이프(15) 상에 배치된다. 상기 응집분리탱크(1)는 슬러지 계면(K)에서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질측정기(18)를 구비한다. 상기 수질측정기(18)는 개폐밸브(16)와 연결되어 수질측정기(18)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밸브(18)를 작동시킨다.
상기 응집분리탱크(1)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집분리탱크(1)는, 그러나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건설비용을 고려하여 입방체모양(직사각형의 평행파이프모양)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응집분리탱크(1)는 평면형태 대신 다각형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평탄한 대칭형의 다각형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용적을 가지는 키가 큰 형태와 작은 형태를 비교하면, 후자는 비록 같은 용적을 가지는 경우에도 선회류를 생성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응집분리탱크(1)의 높이는 측방향 길이(직경 또는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응집분리탱크(1)의 형태가 원통형이라면, 직경에 대한 높이의 비율이 1 이상으로 설정된다. 만약 직사각형의 평행파이프 형태라면, 측방향 길이에 대한 높이의 비율이 1 이상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응집분리탱크(1)가 측방향으로 긴 경우에도 응집분리탱크(1) 내에 디바이더(divider)를 배치하여 유연한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다. 유사한 경우로서, 응집분리탱크(1)의 상부 직경이 하부 직경보다 큰 경우에는, 응집분리탱크(1)의 하부에 비하여 상부에서의 선회류 상승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슬러지 계면(K)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큰 이온 전하를 가지는 철계(鐵系) 및 알루미늄계의 무기응집제가 응집제(6)로 사용된다. 그러한 종류의 무기응집제로서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알루미늄 설페이트(aluminum sulfate), 페릭 클로라이드(ferric chloride), 페릭 설페이트(ferric sulfate)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충분히 플럭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응집제(6)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세퍼레이터(8)는 슬러지 이송파이프(15)로부터 흐르는 응집된 슬러지로부터 고비중재료(9)를 분리한다. 상기 세퍼레이터(8)는 고비중재료(9)를 재사용한다. 상기 세퍼레이터(8)는 제1 실시형태에서 하이드로 사이클론(hydrocyclone)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퍼레이터(8)는 분리에 의해 얻어진 고비중재료(9)를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로 공급한다. 세퍼레이터(8)는 잔존하는 슬러지를 시스템의 외부로 배출한다. 고비중재료(9)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할 수 있다면, 세퍼레이터(8)로서 다른 종류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교반, 혼합 또는 낙하(falling)에 의하여 고비중재료(9)에 부착된 슬러지를 벗겨 제거하기 위한 분류탱크(classifying tank)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비중재료(9)를 재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슬러지와 고비중재료(9)를 함께 시스템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상기 혼합액(원수와 응집제(6)를 혼합한 액체)에 고비중재료(9)를 가하는 목적은, 플럭의 겉보기 비중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고비중재료(9)로서, 예컨대 미립(微粒) 모래와 같이 1 이상의 비중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립 모래는 비중 2.6, 균등계수(uniformity coefficient) 1.7, 약 100㎛의 유효크기(effective size)를 가진다. 상기 미립 모래에 가까운 2~8의 비중을 가지는 유기 또는 무기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재료와 미립 모래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응집분리장치를 가동하데 있어 바람직한 고비중재료의 비중범위는 2.0~3.0 이다. 이러한 재료의 종류로서 가넷(garnet), 수퍼 애쉬(super ash;동경 메트로폴리스 제조품), 지르코늄 옥사이드, 무연탄 등이 있다. 또한, 응집보조제(10)로서 음이온 타입(anion type) 또는 비이온 타입(nonion type)과 같은 고분자 응집제를 사용할 수 있다.
수류발생기(11)는 플럭을 파괴함이 없이 교반하는 전단력을 가지는 난류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류발생기(1)는 마이크로 플럭(micro-floc)을 고비중재료 등과 접촉시켜 큰 플럭으로 형성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류발생기(11)는 축류형의 교반 블레이드(11a)를 구비한 교반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류발생기(11)는 구동축(11b)과 모터(11c)를 구비한다. 구동축(11b)은 상기 교반 블레이드(11a)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연장된다. 모터(11c)는 상기 구동축(11b)을 회전 구동한다. 설비조건에 따라, 상기 구동축(11b)은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축류형 수류발생기(11)는 작은 정압(static pressure)으로 큰 배출양을 생성할 수 있다. 축류형 교반 블레이드(11a)를 가진 교반기 뿐 아니라, 상기 수류발생기(11)로서 펌프, 팬, 이젝터(eject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류발생기(11)가 가변회전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응집분리장치의 구동조건에 따라 비가변회전형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수류발생기(11)로서 선회류를 충분히 생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 예컨대 써큘레이터(circulator)와 같은 제트생성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집수기(12)는, 상기 응집분리탱크(1)로부터 유출하는 처리수를 받아들여 제1 실시형태에서 처리수의 플럭을 제거한다. 상기 처리수는 처리수 배출구(12a)를 통하여 시스템의 외부로 이송된다. 상기 집수기(12)는 필터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치는 회전디스크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필터부재를 구비한 필터장치, 또는 분리막(separate membrane)이나 필터 천(filter cloth)을 구비한 멤브레인(membrane) 필터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집수기는 처리수의 성질에 적합한 홈통, 예를 들어 잠수형 홈통(submerged type trough)일 수 있다. 그러한 집수기 또는 홈통은 후에 다시 기술될 것이다.
상기 슬러지 수집박스(14)를 제공하는 목적은, 상기 응집분리탱크(1) 내에서 슬러지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응집분리탱크(1)로부터 응집된 슬러지를 끌어내어, 슬러지 계면(K)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슬러지수집박스(14)는 상기 응집분리탱크(1)의 바닥부 외표면으로부터 기울어져 상향으로 연장된 경사벽(14a)을 구비한다. 상기 슬러지 수집박스(14)는, 응집분리탱크(1)와 경사벽(14a) 사이에 있는 슬러지 배출공(13)으로부터 응집된 슬러지를 받아들인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슬러지 수집박스(14)는 응집분리탱크(1)의 하부 외측에 구비된다. 그러나, 선회류를 방해하지 않고 슬러지의 응집에 적합하다면 그 위치는 외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비중재료(9)를 재순환시키는 순환 비율을 낮추고 시스템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러지 수집박스(14)에서 상기 응집된 슬러지는 농축된다. 슬러지 수집박스(14) 내의 응집된 슬러지는 이송펌프(17)에 의하여 배출된다.
상기 슬러지 이송파이프(15)는 개폐밸브(16) 및 이송펌프(17)를 통하여 상기 응집된 슬러지를 슬러지 수집박스(14) 밖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 슬러지 이송파이프(15)는 상기 응집분리탱크(1) 내의 고체의 밀도를 제어한다. 상기 슬러지 이송파이프(15)는 배출된 응집 슬러지를 세퍼레이터(8)로 공급한다. 상기 슬러지 이송파이프(15)는 상기 응집된 슬러지로부터 고비중재료를 분리하고 이를 순환시키는데 기여한다. 즉, 고비중재료(9)를 응집반응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비중재료(9)가 일정 농도로 원수에 첨가된다. 상기 농도는 이송펌프(17)에 의하여 배출되는 응집 슬러지의 양에 따라 제어된다. 만약 고비중재료(9)가 재생되지 않는다면, 세퍼레이터(8)를 설치함이 없이, 상기 고비중재료(9)를 상기 응집된 슬러지와 함께 시스템 밖으로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질측정기(18)는 응집분리탱크(1) 내의 플럭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측 정한다. 즉, 상기 수질측정기(18)는 응집분리탱크 내에서 플럭이 과도하게 축적되는지를 관찰한다. 상기 수질측정기(18)는 계면계(interface meter), 농도계 또는 탁도계(turbidimet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개, 슬러지 계면(K)은 응집분리탱크(1) 내에서 플럭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다. 상기 수질측정기(18)는 응집분리탱크(1) 내에서 항상 슬러지 계면(K)을 측정한다. 만약, 플럭이 과도하게 축적되면, 상기 수질측정기(18)는 자동적으로 개폐밸브(16)를 열어서 과잉 플럭을 응집 슬러지로서 배출시킨다. 따라서, 상기 수질측정기(18)는 응집분리탱크(1) 내의 플럭의 양의 균형을 잡고 슬러지 계면(K)을 제어하여 상기 플럭이 처리수 쪽으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응집분리탱크(1) 내의 플럭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응집분리탱크(1) 내의 플럭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처리수의 탁도(turbidity)나 투명도를 측정하는 방법 또는 이를 조합한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응집분리장치를 만족스럽게 구동할 수 있도록 응집분리탱크(1) 내의 물 표면과 슬러지 계면(K) 사이 거리를 항상 1.0mm 이상이 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지의 농도를 약 7~14%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유입원수에 대한 응집된 슬러지의 배출양이 약 3~10%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응집분리탱크(1) 내 농도가 약 0.5~3%가 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일정 보유시간(pertain period of time)에 응집된 슬러지의 일정양이 상기 개폐밸브(16) 및 이송펌프(17)에 의하여 응집분리탱크(1)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상기 응집된 슬러지의 일정양은 상기 슬러지 이송파이프(15)를 통 하여 세퍼레이터(8)로 이송된다. 다음에, 고비중재료(9)가 세퍼레이터(8) 내에서 상기 응집 슬러지로부터 분리된다. 남은 슬러지는 시스템의 밖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플럭이 처리수 쪽으로 흘러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처리수가 악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제1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응집제 주입공(2b)으로부터의 응집제가 혼합탱크(2)로 흘러들어오는 원수와 혼합될 때, 원수 내의 현탁물질은 상기 응집제(6)와 반응하여 플럭이 된다. 따라서 플럭이 된 상기 혼합액(원수와 응집제(6)가 혼합된 액체)은 상기 원수 도입파이프(3)를 통하여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로 흐른다. 그 동안, 상기 스크린(7)은 원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세퍼레이터(8)가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에서, 세퍼레이터(8)로부터의 상기 고비중재료(9)가 상기 혼합액(원수와 응집제(6)가 혼합된 액체)과 혼합된다. 그 후, 고비중재료를 포함하는 상기 혼합액(원수와 응집제(6)가 혼합된 액체)은 원수 도입파이프(5)로 흐르고, 그 사이에 응집보조제(10)가 상기 응집보조제 주입공(10a)으로부터 주입되어 상기 혼합액(원수와 응집제(6)가 혼합된 액체)과 혼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비중재료(9)와 응집보조제(10)를 포함한 혼합액(원수와 응집제(6)가 혼합된 액체)은 원수 도입공(5a)으로부터 상기 응집분리탱크(1)로 흘러들어가 피처리수를 형성한다. 응집분리탱크(1)에서는, 수류발생기(11)가 피처리수에 순환류 또는 선회류를 생성한다. 선회류의 총량은 이미 응집분리탱크(1) 내에 있던 피처리수와 상기 원수 도입공(5a)으로부터 새롭게 첨가되는 원수의 합이 된다. 상기 선회류는 상기 응집분리탱크(1)의 중간에서 하강류(downflow)가 된다. 이후, 상기 선회류는 상기 응집분리탱크(1)의 바닥부에서 수평류(방사류(radial flow)가 된다. 그 후, 상기 선회류는 상승류(upflow)가 된다. 또한, 상기 선회류는 상기 슬러지 계면(K) 근처에서 수평류(구심류(centripetal flow))가 된다. 선회류는 현탁물질과 상기 고비중재료(9) 및 응집보조제(10)를 반응시켜, 효율적으로 플럭을 형성한다. 상기 플럭은 고비중재료(9)와 합쳐져서 높은 겉보기 비중을 나타낸다. 즉, 상기 응집분리탱크(1) 내의 순환이 피처리수의 상승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상기 플럭은 침전되어 슬러지 계면을 형성한다. 그 후, 하부의 응집된 슬러지는 슬러지 배출구(13)를 통하여 슬러지 수집박스(14)로 흘러나간다. 상부에서는 처리수가 집수기(12)로 유출된다. 따라서, 플럭의 형성 및 고액분리가 상기 응집분리탱크(1) 내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그 동안에, 상기 슬러지 수집박스(14) 내의 응집 슬러지는 상기 슬러지 이송파이프(15)를 통하여 세퍼레이터(8)로 흘러들어가고, 상기 수질측정기(18)는 응집분리탱크(1) 내의 슬러지 계면(K)에서의 수질을 측정하여 상기 개폐밸브(16)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응집분리탱크(1) 내의 피처리수에 대한 고비중재료(9)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질측정기(18)는 개폐밸브(18)의 개구도(opening)를 변화시켜 응집분리탱크(1) 내의 과잉 플럭을 응집된 슬러지로서 배출하며, 이에 의하여 응집분리탱크(1) 내의 플럭 양의 균형을 맞춘다. 상기 세퍼레이터(8)는 응집된 슬러지로부터 고비중재료(9)를 분리한다. 상기 세퍼레이터(8)는 분리된 고비중재료(9)를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로 복귀시킨다.
제1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는, 응집제(6)로 플럭을 형성하고 상기 수류발생기(11)로부터의 선회류를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응집분리장치는, 하나의 응집분리탱크(1) 내에서 연속적으로 플럭의 분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응집반응탱크 이외에 다른 고액분리탱크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응집제(6)를 원수와 혼합하기 위하여 혼합탱크(2)가 제공되므로, 응집제(6)와 원수를 효율적으로 혼합하고 상기 원수를 빠르고 확실하게 응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비중재료(9)가 첨가되는 상류에 스크린(7)이 제공되므로, 세퍼레이터(8)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응집분리탱크(1) 내의 응집효율을 안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8)는 하이드로 사이클론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설비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고비중재료(9)가 혼합액(원수와 응집제(6)가 혼합된 액체)에 첨가되기 때문에, 큰 플럭을 형성하고 처리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그와 동일한 부분들을 지시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에서는, 상기 응집분리탱크(1)의 중간에 드래프트 튜브(21)가 제공된다. 상기 슬러지 계면 근처에 다공성부재(22)가 수평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다공성부재(22) 아래에는, 가이드판(23)이 상기 응집분리탱크(1)의 내면 상에 제공된다. 상기 응집분리탱크(1)의의 형태는 장방형이다.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 수류발생기(11)의 수직위치는 상기 드래프트 튜브(21)의 중간이다. 교반 블레이드(11a)의 수평위치는 상기 드래프트 튜브(21)의 바닥에 있다. 드래프트 튜브(21)에서 교반되기 전에 고비중재료(9)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원수 도입파이프(5)의 원수 도입공(5a)을 드래프트 튜브(21)의 내측 또는 바로 위쪽에 제공함으로써, 고비중재료(9)와 응집보조제(10)를 포함한 혼합액(원수와 응집제(6)의 혼합 액체)이 드래프트 튜브(21)에서 움직이는 선회류에 쉽게 올라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원수가 선회류에 쉽게 올라탈 수 있다면, 상기 원수 도입파이프(5)의 원수도입공(5a)의 위치는 드래프트 튜브(21) 안, 하부영역, 또는 상부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수 도입파이프(5)의 원수도입공(5a)은, 수류발생기(11)의 구동축(11b)이 다공성부재(22)를 관통하는 절개부(cut part)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래프트 튜브(21)의 형태는,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개구들(opening)을 가지는 원통형이다. 자세히는, 상기 드래프트 튜브(21)는 테이퍼진 둥근 파이프로 형성되고, 드래프트 튜브(21) 하부의 개구가 그 상부의 개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다시 말하면, 원추형의 외형을 가진 둥근 파이프로 형성되어 선회류가 하강류로부터 수평류(방사류)로 쉽게 바뀔 수 있다. 드래프트 튜브(21) 내측의 수평단면과 드래프트 튜브(21) 외측의 수평단면이 일치하면, 안정한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고 고액분리를 만족스럽게 진행할 수 있다. 선회류를 하강류로부터 수평류(방사류)로 용이하게 바꿀 수 있는 구조, 즉 유체의 흐름이 선회류를 생성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구조라면, 상기 드래프트 튜브(21)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한 형태는, 센터 웰(center well) 또는 케이싱 등, 원형에 가까운 다각형, 하부 쪽으로 확장 및 두꺼워지는 형태의 원추형의 외형일 수 있다.
응집분리탱크(1)의 바닥면과 드래프트 튜브(21)의 바닥면 사이 거리는, 상기 수류발생기(11)의 교반 블레이드(11a) 직경의 약 7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류발생기(11)의 교반 블레이드(11a)의 수직위치는, 비록 상술한 바와 같이 드래프트 튜브(21)의 하부에 위치하기는 하지만, 상기 드래프트 튜브(21)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효율적인 선회류를 제공하기만 한다면, 수류발생기(11)의 교반 블레이드(11a)의 수직위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공성부재(22)는, 제1 실시형태의 수질측정기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많은 구멍들을 가진 판이다. 상기 다공성부재(22)는 슬러지계면을 안정하게 형성하고, 플럭이 위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무질서하게 처리된 물을 제거하여 직선화된 흐름(straight flow)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장착되므로, 양호하고 안정한 처리수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다공성부재(22)는 응집분리탱크(1)의 내부를 수직으로 분할하여, 다공성부재(22)의 위에 직선화된 흐름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플럭 형성영역(슬러지 영역)을 용이하게 형성한다. 그러한 종류의 다공성부재(22)로서 구멍 뚫린 금속(punching metal), 네트(net), 직선화된 흐름용 플레이트, 경사판, 슬릿(slit), 하니컴부재(honeycomb memb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네트 또는 구멍 뚫린 금속이 다공성부재(22)로 사용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다공성부재를 불연속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부재(22)는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예컨대 볼록 또는 오목한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 도 가능하다. 또한, 원수의 성질에 상응하게 다공성부재(22)의 구멍을 바꿀 수도 있다. 다공성부재(22)의 구멍이 예컨대 50%라면, 집수기(12) 홈통의 설비장소의 크기는 다공성부재(22) 설비장소 크기의 1/2 이하가 바람직하다. 즉, 다공성부재(22)를 통과하는 처리수의 속도는 홈통 또는 그 하부를 제외한 물의 표면상에 상승하는 처리수의 속도와 동일할 수 있다.
가이드판(23)은, 응집분리탱크(1)의 내면과 드래프트 튜브(21)의 외면 사이의 상승류를 차단하는 효과(baffle effect)에 의하여 유연하게 상기 상승류를 수평류(구심류)로 바꾼다. 상기 가이드판(23)은 응집분리탱크(1)의 내면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는 평평한 고리모양의 판이다.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에서는, 단지 상기 수류발생기(11)에 의하여 선회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효율적으로 신뢰 가능하고 안정적인 선회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드래프트 튜브(21)와 가이드판(23)이 모두 제공된다. 특히, 상기 응집분리탱크(1)가 코너부(corner)를 가진 형태, 예컨대 사각형 모양이라면, 상기 가이드판(23)은 수평의 가이드판(23)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집분리탱크(1)가 원형이라면, 안정하게 선회류를 형성하고 선회류가 동시회전(co-rotation)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판(23)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가이드판(23)은 평평한 판 대신에 굽은 판(curved plate)일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원수도입공(5a)으로부터 드래프트 튜브(21)로 흘러들어온 원수, 즉 원수와 응집제(6), 고비중재료(9) 및 응집보조제(10)가 혼합된 피처리수는 수류발생기(11)에 의하여 즉시 교반된다. 이후, 드래프트 튜브(21) 내의 수류발생기(11)는 피처리수을 교반하여 난류상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고비중재료를 가진 플럭이 형성된다. 이후, 피처리수의 흐름은 드래프트 튜브(21) 하부에서 하강류가 되고, 그 하부 끝부분에서 수평류(방사류)로 바뀌며, 응집분리탱크(1)의 내면과 드래프트 튜브(21)의 외면 사이에서 수직의 상승류가 된다. 상기 상승류는 드래프트 튜브(21)의 상단과 다공성부재(22) 사이에서 상기 드래프트 튜브(21)에서 생성된 하강류 쪽으로의 수평류(구심류)로 바뀐다. 상기 플럭은 선회류에 올라타서 다시 상기 드래프트 튜브(21)로 이동한다. 이 사이에, 상기 가이드판(23)은 상기 선회류가 상승류에서 수평류(구심류)로 용이하게 바뀌도록 돕는다. 따라서, 슬러지 계면이 형성된다. 상기 처리수는 다공성부재(22)를 통과하여 집수기(12)로 유출된다.
여기서, 다공성부재(22)를 통과하는 처리수의 속도를 V라 한다. 만약 상기 속도 V보다 큰 속도의 수평류 또는 하강류가, 응집분리탱크(1) 내에서 속도 V로 상승하는 피처리수의 아래에 형성된다면, 상기 속도 V보다 작은 침전속도를 가지는 플럭이라도 상기 수평류 또는 하강류에 올라탈 수 있다. 그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플럭이 상승류에 올라타는 것은 어렵다. 즉, 상기 플럭이 선회류로부터 큰 힘을 받기 때문에, 상승류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플럭이 상승속도 V보다 작은 침전속도로 움직인다 하더라도, 고액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응집분리탱크(1) 내에서 플럭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회류로 효율적인 고액분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고 무거운 플럭, 즉 큰 질량과 작은 유동저항을 가지는 무거운 플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고비중재료(9)와 응집보조제(10)가 상기 혼합액(원수와 응집제(6)가 혼합된 액체)에 첨가되기 때문에, 고액분리의 효율은 개선된다. 상기 플럭이 무겁기 때문에, 응집분리탱크(1) 하부에서 플럭 농도는 높아진다. 플럭 사이의 충돌 횟수, 응집부에서 원료 입자와 상기 플럭의 충돌 횟수는 증가한다. 따라서, 응집효과가 개선되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는 플럭을 중력으로 침전시키지 않고 고액분리공정을 진행시킬 수 있다. 이는, 수류발생기(11)의 교반에 의하여 생성되는 선회류의 유속, 즉 피처리수의 상승속도에 대하여 응집분리탱크(1)의 내면과 드래프트 튜브(21)의 상단 사이에 생성되는 수평류(구심류)의 유속을 크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더욱이, 고비중재료(9)와 응집보조제(10)를 포함하는 피처리수는 응집분리탱크(1)로 흘러들어온 후 바로 교반된다. 따라서, 응집보조제(10)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고비중재료(9)를 첨가하면 피처리수에 콜로이드 물질 또는 현탁물질을 형성하여 고비중재료(9) 주위에 큰 플럭을 형성한다. 따라서, 고액분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2분 또는 3분 내에 80% 이상의 제거율로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럭 내의 고비중재료(9)를 유입수(원수, 응집제(6)를 포함하지 않은 피처리수)에 대하여 일정한 농도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입수의 양에 대한 첨가농도는 3000~5000mg/L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수질 또는 물의 점도와 같은 물의 특성에 따라, 상기 첨가농도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2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그와 동일한 부분들을 지시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세퍼레이터(8)로 하이드로 사이클론이 사용되었다. 제3 실시형태의 세퍼레이터(31)는, 그러나 중력에 의하여 슬러지 이송파이프(15)의 슬러지로부터 고비중재료(9)를 분리하고, 분리된 고비중재료(9)를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로 복귀시킨다. 세퍼레이터(32)는 슬러지 이송파이프(15)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받아들이는 탱크(32)를 구비한다. 상기 탱크(32)에서, 슬러지 이송파이프15)로부터 흘러나오는 슬러지로부터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의 고비중재료(9)가 중력에 의하여 침전한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의 고비중재료(9)는 탱크(32) 상부로부터 유출된다. 탱크(32)에 침전된 고비중재료(9)는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로 공급된다. 탱크(32)로부터 유출되는 슬러지는 시스템의 외부로 이송된다. 제3 실시형태의 세퍼레이터(31)에서는, 고비중재료의 침전속도는 약 70m/h이고, 반면 슬러지의 침전속도는 약 3~4m/h이다. 고비중재료의 침전속도가 슬러지 침전속도에 비하여 훨씬 크다. 따라서, 약 5분의 짧은 시간에 중력의 영향에 의하여 고비중재료(9)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에서도, 제2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2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그와 동일한 부분들을 지시하고 있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판(23)의 내측 끝단이 그 외측 끝단보다 높게 배치된다. 이에 의하여,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에서는, 제2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드래프트 튜브(21)의 외면과 응집및 분리탱크(1)의 내면 사이를 흐르는 상승류를 유연하게 수평류(구심류)로 바꿀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2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그와 동일한 부분들을 지시하고 있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고비중재료(9)가 응집보조제 주입공(10a)의 하류측에 있는 원수 도입파이프(5)로 주입된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의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는 단지 스크린(7)을 구비한 원수 수용탱크(4A)로 구성된다. 제5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에서도, 제2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응집보조제(10)를 첨가하는 위치는, 혼합액이 상기 응집분리탱크(1)로 흘러들어가기 전의 위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응집분리탱크(1)에서 원수도입공(5a) 근처에 혼합액을 도입한 직후에 상기 응집보조제(10)를 혼합할 수도 있다.
제6 실시형태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2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그와 동일한 부분들을 지시하고 있다. 제6 실시형태에서는, 고비중재료(9)가 응집분리탱크(1)로 직접 주입된다. 이 경우, 세퍼레이터(8)로부터의 고비중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공(8a)이 원수도입공(5a) 근처에 배치되어, 고비중재료(9)가 드래프트 튜브(21) 내의 선회류에 확실하게 올라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는 단지 스크린(7)을 구비한 원수 수용탱크(4A)로 구성된다.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에서도, 제2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7 실시형태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7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2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그와 동일한 부분들을 지시하고 있다. 제7 실시형태에서는, 원수 도입파이프(5)의 중간부(5b)가 유동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고비중재료(9)와 응집보조제(10)가 상기 원수 도입파이프(5)의 중간부(5b)의 최하 끝단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의 고비중재료 첨가장치(4)는 단지 스크린(7)을 구비한 원수 수용탱크(4A)로 구성된다. 제7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는 제2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원수 도입파이프(5)의 경사진 중간부(5b)에 의하여 원수를 가속하여 드래프트 튜브(21) 내의 선회류를 가속시킨다.
제8 실시형태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8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2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그와 동일한 부분들을 지시하고 있다. 제8 실시형태에서는, 원수 도입파이프(5)의 원수도입공(5a)이 응집분리탱크(1)로부터 드래프트 튜브(21)로 측방향으로 도입된다. 자세히는, 상기 원수 도입파이프(5)가 응집분리탱크(1)의 측벽과 드래프트 튜브(21)의 측벽을 관통함에 의하여, 고비중재료(9)와 응집보조제(10)를 포함한 혼합액(원수와 응집제(6)의 혼합액)이 드래프트 튜브(21)의 선회류 상에 확실하게 올라탈 수 있다. 제8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에서는, 제2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원수가 측방향으로 짧게 순환되어 플럭을 충분하게 형성하지 않고 흘러나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9 실시형태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9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그와 동일한 부분들을 지시하고 있다. 제9 실시형태에서는, 단지 드래프트 튜브(21)만이 제1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에 부가되고 있다. 이 경우, 원수 도입파이프(5)의 원수도입공(5a)의 위치와 수류발생기(11)의 위치는 제2 실시형태와 유사하다. 제9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드래프트 튜브(21)에 의하여 선회류를 충분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0 실시형태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10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그와 동일한 부분들을 지시하고 있다. 제10 실시형태에서는, 단지 드래프트 튜브(21)만이 제1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에 부가되고 있으며, 제1 실시형태의 수질측정기(18)는 생략된다. 또한, 파이프(41), 탱크(42), 파이프(43)가 구비된다. 상기 파이프(41)는 슬러지 계면(K)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탱크(42)는, 중력에 의하여 상기 파이프(41)로부터 배출된 슬러지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파이프(43)는 탱크(42) 내에서 얻어지는 상청수(supernatant water)를 응집분리탱크(1)로 복귀시키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41)의 안쪽 끝단은 슬러지 계면(K)에서 슬러지를 배출하고 상기 탱크(42)의 침전된 슬러지를 시스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10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드래프트 튜브(21)에 의하여 선회류를 충분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1 실시형태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11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그와 동일한 부분들을 지시하고 있다. 제11 실시형태에서는, 단지 드래프트 튜브(21)만이 제1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에 부가된다. 또한, 상기 응집분리탱크(1)에 제1 실시형태의 집수기(12) 대신에 필터장치를 구비한 집수기(12A)가 제공된다. 제11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드래프트 튜브(21)에 의하여 선회류를 충분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기(12A)에 의하여 낮은 품질의 처리수를 제거할 수 있다.
제12 실시형태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12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그와 동일한 부분들을 지시하고 있다. 제12 실시형태에서는, 단지 드래프트 튜브(21)만이 제1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에 부가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집수기(12) 대신에 필터장치를 구비한 집수기(12A)가 상기 응집분리탱크(1)의 외부에 제공된다. 제12 실시형태의 응집분리장치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드래프트 튜브(21)에 의하여 선회류를 충분히 형성할 수 있다.
제13 실시형태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분리장치의 제13 실시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2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그와 동일한 부분들을 지시하고 있다. 제13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의 혼합탱크(2) 대신 라인 믹서(51)가 제공된다. 상기 라인 믹서(51)는 파이프와 스크류(screw)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는, 예컨대 원수 유입공(2a) 또는 원수 도입파이프와 동일한 보어(bore) 직경을 가진다. 상기 스크류는 파이프 내에 배치된다. 원수로 응집제(6)를 주입하는 것이 단지 플럭을 형성하기 위해서만 필요한 때에는, 상기 라인 믹서(51)는 스크류 없이 단지 파이프만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충분하게 플럭을 형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선회류를 형성하기 위한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정적 믹서(static mixer)를 사용하여 혼합을 위한 교반을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예로서, 일본 잉카(주) 제조의 웨스트폴 잉카(WESTFALL-INKA) 정적 주입 믹서 모델 2800을 들 수 있다. 제13 실시형태에의 응집분리장치에서도, 제2 실시형태와 유사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3 내지 제13 실시형태에서 주로 원형의 응집분리탱크(1)에 드래프트 튜브(21)가 배치되었다. 그러나,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복수의 장방형 응집분리탱크(1A)를 제공하고 상기 각 탱크(1A)에 드래프트 튜브(21)를 구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독립적인 반응의 경우 또는 유입량이 변화되는 경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장방형의 응집분리탱크(1A)를 장방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탱크(1A)에 드래프트 튜브(21)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8각형 응집분리탱크(1B)를 선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육각형 응집분리탱크(1B)를 벌집모양(honeycombed way)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복수의 드래프트 튜브를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나의 응집분리탱크(1B)에 배치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드래프트 튜브들은 수류발생기 등의 특성에 부합되게 할 필요가 있다.
제2 내지 제8 실시형태, 제13 실시형태에서, 가이드판(23)이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판(23)의 형태 또는 방향은, 가이드판(23)이 선회류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면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응집분리탱크(1)가 원통형 또는 극히 원통에 가까운 형태를 가진다면,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류가 동시에 회전하지 못하도록 복수의 가이드판(23A)을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둥근 응집분리탱크(1)의 내면에 수평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예를 들어 4개의 가이드판(23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판(23A)은, 수류발생기(11)의 교반효과로서 생성되는 수평의 선회류를 차단효과에 의하여 수직류로 바꾸어 피처리수의 상향 흐름을 직선화한다. 이러한 종류의 가이드판으로서 수평 가이드판(23) 뿐만 아니라, 수직의 가이드판(23A)도 하나의 응집분리탱크(1)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 가이드판(23A)에 의하여 상승류를 직선화하고 수평 가이드판(23)에 의하여 수평류(구심류)를 직선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응집분리탱크(1)가 다각형인 경우, 그 내면 자체가 동시에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기 때문에, 수직의 가이드판(23A)를 설치하는 것은 때때로 불필요하다.
제1 내지 제13 실시형태에서 집수기(12)로 잠수형(submergence type)의 홈통이 사용되는 경우에,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파이프(61a)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개구(61b)를 가진 홈통(61)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파이프(62a)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개구(62b)를 가진 홈통(62)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파이프(63a)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선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작은 홀(63b)을 구비한 홈통(63)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삼각형 홈통(64)이 조합된 구조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잠수형은 아니지만, 경사면(65a)을 가지는 홈통(65)을 사용할 수 있다.
원수의 농도와 같은 특성의 변화가 특히 크고, 슬러지 계면(K)과 응집분리탱크(1) 내의 농도 측정에 관한 처리가 불안정해지면, 12B의 집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집수기(12B)에서는, 필터재료(66c) 또는 도면 등에 도시되지 않은 직선화 판(straightening plate)이,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66a)을 가지는 박스(66b)에 설치된다. 또는, 12C의 집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집수기(12C)에서는,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67a)을 가지는 박스(67b) 상에 필터재료가 놓여진다. 또한, 도24, 도2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필터재료(66c, 67c)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집수기(12)에 필터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재료 (66c,67c)용으로 비중 1.0 이하의 구형 필터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필터재료가 1.0 이상의 비중을 가진다 하더라도, 필터재료의 하부에 스크린 등을 배치함으로써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에어리프팅(airlifting) 작용 등을 이용함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순환청정(circulating washing)을 수행함으로써, 포집된 슬러지를 청정된 배출물(washed drain)로 시스템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원수 특성 변화가 그렇게 크지 않으면, 상기 필터재료(66c, 67c) 대신 상기 집수기(12) 용으로 수직 또는 경사진 평평한 보드(board)들이 균일하게 배치된 직선화 판을 사용할 수 있다. 대개, 도19 내지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또는 물 표면으로부터 의 상청수를 수집하기 위하여 상기 홈통(61 내지 65)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도관(conduit)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들은 원수 등의 특성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도1에 도시된 상기 응집분리장치의 제1 실시형태가 채용되었다. 사용조건으로서, 하수처리플랜트의 제1 침전 못(pond)의 유입수가 원수로서 사용되었다. PAC가 10mg/L 의 첨가율로 원수에 첨가되어 (Al203로 변환되어) 응집제(무기응집제)(6)를 형성한다. 고비중재료를 형성하기 위하여 원수에 3000mg/L의 농도로 모래를 첨가하였다. 응집보조제(10)를 형성하기 위하여 고분자의 응집제가 1mg/L의 농도로 원수에 첨가되었다. 상기 조건 하에서,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입수의 양, 장치 체류시간, 원수 SS(현탁물질), 처리수 SS, SS 제거율, 슬러지 농도 및 배출슬러지의 양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결과가 얻어졌다. 표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SS 제거율은 10분의 장치 체류시간에서 80% 이상이 되었다. 따라서, 양호한 질의 처리수를 얻을 수 있었다. 80% 이상의 SS 제거율로 제거할 때의 장치 체류시간은 짧아졌다. 이는 수질측정기(18)가 슬러지 계면의 균형을 맞추고, 고비중재료(9)의 추가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응집을 촉진시켜 무거운 플럭을 형성하고, 이에 의하여 짧은 시간 내에 선회류가 슬러지 계면(K)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Figure 112006017488941-pct00001
제2 실시예
도2에 도시된 상기 응집분리장치의 제2 실시형태가 채용되었다. 사용조건은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하다. 상기 조건 하에서,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입수의 양, 장치 체류시간, 원수 SS, 처리수 SS, SS 제거율, 슬러지 농도 및 배출슬러지의 양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결과가 얻어졌다. 표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SS 제거율은 3분의 장치 체류시간에 80% 이상이 되었다. 따라서, 양호한 질의 처리수를 얻을 수 있었다. 80% 이상의 SS 제거율로 제거할 때의 장치 체류시간은 짧아졌다. 이는 드래프트 튜브(21)가 플럭의 응집을 효율적으로 촉진하여 무거운 플럭을 형성하고, 이에 의하여 짧은 시간 내에 선회류가 슬러지 계면(K)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Figure 112006017488941-pct00002

Claims (11)

  1. 원수(raw water)와 응집제를 함유하는 혼합액을 수용하는 응집분리탱크와;
    상기 응집분리탱크 내의 중앙에 설치되고, 상하 끝단에 개구를 가지는 드래프트 튜브(draft tube)와,
    상기 혼합액을 상기 드래프트 튜브 내로 도입하는 파이프와,
    상기 드래프트 튜브 내에 설치되며, 상기 드래프트 튜브 내에서 상기 혼합액을 아래쪽으로 유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응집분리탱크 내에서 상기 혼합액에 선회류(swirl flow)를 발생시키는 수류발생기와,
    상기 응집분리탱크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응집분리탱크의 하부에 설치된 슬러지 배출공으로부터 응집된 슬러지를 도입하여 농축하는 슬러지 수집박스와,
    상기 슬러지 수집박스에서 농축된 응집 슬러지를 이송하는 슬러지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응집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분리탱크 내에 고(高)비중의 재료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이송수단이, 상기 응집된 슬러지로부터 고비중의 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세퍼레이터에 접속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분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분리탱크 내에 있어서, 상기 드래프트 튜브의 상단 위쪽에 다공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분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발생기는, 축류형(axial-flow)의 교반 블레이드(stirring blade)를 가지는 교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분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와 원수를 혼합하여 상기 혼합액을 생성하기 위한 라인 믹서(line mixer)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분리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분리탱크에 수질측정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분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분리탱크 내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집수하여, 상기 처리수를 상기 응집분리탱크 밖으로 이송하기 위한 집수기(catchment)가, 상기 응집분리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분리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67005103A 2004-09-30 2005-09-29 응집분리장치 KR100810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87920 2004-09-30
JP2004287920A JP3954055B2 (ja) 2004-09-30 2004-09-30 凝集分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687A KR20070043687A (ko) 2007-04-25
KR100810334B1 true KR100810334B1 (ko) 2008-03-06

Family

ID=3611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103A KR100810334B1 (ko) 2004-09-30 2005-09-29 응집분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813336A4 (ko)
JP (1) JP3954055B2 (ko)
KR (1) KR100810334B1 (ko)
CN (1) CN101072615A (ko)
MY (1) MY139683A (ko)
TW (1) TWI300006B (ko)
WO (1) WO20060360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8312B (en) 2007-04-10 2010-11-10 Agco Gmbh Loader attachment having at least two parallel arms
SE1050451A1 (sv) * 2010-05-06 2011-07-19 Bert Gustafsson Sätt och anläggning för att rena råvatten
KR101005470B1 (ko) * 2010-08-11 2011-01-05 이준상 동력학적 전기분해 및 철 여과를 통한 생물학적 처리수의 인 제거 장치
EP2828204A2 (en) * 2012-03-21 2015-01-28 Innovative Industries Limited Water recycling unit
GB2502670B (en) * 2012-03-21 2015-01-14 Innovative Ind Ltd Water recycling unit
JP6074836B2 (ja) * 2012-06-14 2017-02-08 日本ソリッド株式会社 横流沈澱池
CN108298652B (zh) * 2016-11-23 2023-11-28 浙江传超环保科技有限公司 均相氧化混凝器
EP3392209A1 (en) * 2017-04-21 2018-10-24 Chemical Equipment Scandinavia AB Fluid treatment plant
CN109279688B (zh) * 2018-11-02 2021-05-14 苏伊士水务工程有限责任公司 澄清池及其污泥回流和颗粒载体回收方法
WO2020132261A1 (en) * 2018-12-20 2020-06-25 Deep Reach Technology, Inc. Multiphase separation and pressure letdown method
EP3730461A3 (en) * 2019-04-25 2020-11-25 CWC Clear Water Clarification Technologies Inc. Fluid treatment system
CN111875211A (zh) * 2020-06-17 2020-11-03 上海仁创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泥水浓缩分离装置及分离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912A (ja) * 2000-08-22 2002-02-26 Nishihara Environ Sanit Res Corp 旋回流式凝集分離装置
JP2002058913A (ja) * 2000-08-22 2002-02-26 Nishihara Environ Sanit Res Corp 撹拌流形成手段を有する固液分離装置
JP2002282605A (ja) * 2001-03-28 2002-10-02 Nishihara Environ Sanit Res Corp 強制循環式分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1738A (en) * 1941-12-08 1945-12-25 Infilco Inc Liquid treating apparatus
US2425371A (en) * 1943-01-07 1947-08-12 Infilco Inc Apparatus and process for improving separation of clarified liquid from a slurry by subdividing the slurry at the separation interface into a plurality of shallow streams
US5840195A (en) * 1995-05-01 1998-11-24 Omnium De Traitement Et De Valorisatio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treating an untreated flow by simple sedimentation after ballasting with fine sand
JP3814853B2 (ja) * 1995-11-21 2006-08-30 栗田工業株式会社 凝集沈殿装置
JP3866439B2 (ja) * 1999-03-26 2007-01-10 オルガノ株式会社 凝集沈澱装置
JP3901392B2 (ja) * 1999-05-19 2007-04-04 オルガノ株式会社 凝集沈澱装置
EP1197474A1 (en) * 2000-10-10 2002-04-17 Patrick W. Hanlon Tapered flocculation water treat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912A (ja) * 2000-08-22 2002-02-26 Nishihara Environ Sanit Res Corp 旋回流式凝集分離装置
JP2002058913A (ja) * 2000-08-22 2002-02-26 Nishihara Environ Sanit Res Corp 撹拌流形成手段を有する固液分離装置
JP2002282605A (ja) * 2001-03-28 2002-10-02 Nishihara Environ Sanit Res Corp 強制循環式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6014A1 (ja) 2006-04-06
EP1813336A1 (en) 2007-08-01
EP1813336A4 (en) 2009-01-28
MY139683A (en) 2009-10-30
JP2006095493A (ja) 2006-04-13
JP3954055B2 (ja) 2007-08-08
KR20070043687A (ko) 2007-04-25
CN101072615A (zh) 2007-11-14
TWI300006B (en) 2008-08-21
TW200621345A (en) 200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334B1 (ko) 응집분리장치
CA2266583C (en)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nternal recirculation
JP3641008B2 (ja) 未処理液体流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992430B1 (ko) 침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ㆍ폐수 처리 장치
JP4765022B2 (ja) 固液分離装置
RU2006126705A (ru) Способ и реактор обработки флокуляцией
JP3676209B2 (ja) 凝集沈殿処理装置
KR101336169B1 (ko)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고도정수처리장치
KR20160015867A (ko) 원형 슬러지 수집기
KR101606845B1 (ko) 탁수 처리장치
JP2013188721A (ja) 汚泥濃縮槽、汚泥処理システム及び汚泥処理方法
JP2000271407A (ja) 凝集沈澱装置
KR102093758B1 (ko) 와류식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활용한 장방형 고효율 가압고액분리 수처리장치
KR101189912B1 (ko) 오폐수 처리장치
WO1997035655A1 (en) Water treatment system
KR100530772B1 (ko) 2차 하수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554211B1 (ko) 직분사를 이용한 고액 부상 분리 장치
KR100745119B1 (ko) 수처리 장치
JP3676657B2 (ja) 旋回流式凝集分離装置
KR101077248B1 (ko) 저진공 믹싱에 의한 미세기포 부상 고액분리장치
KR200421751Y1 (ko) 원형 경사판을 가지는 침전장치
JP2017013029A (ja) 凝集槽及び凝集処理方法
JP2006095494A (ja) 凝集分離装置
KR101045878B1 (ko) 상하수 고도 처리를 위한 고효율 하이브리드 침전지
EP0625074B1 (en) Vortex flocculation of solids suspended in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