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026B1 -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026B1
KR100800026B1 KR1020070008700A KR20070008700A KR100800026B1 KR 100800026 B1 KR100800026 B1 KR 100800026B1 KR 1020070008700 A KR1020070008700 A KR 1020070008700A KR 20070008700 A KR20070008700 A KR 20070008700A KR 100800026 B1 KR100800026 B1 KR 100800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atient
emergency
information
medical
medical instit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원경
심평강
강대훈
황재동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70008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기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의료기관과 공조하여 응급환자를 최적의 의료기관으로 신속히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송중인 응급환자에게 최적의 맞춤형 응급처치를 해줄 수 있도록 한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양한 질병보유자들의 신상정보와 의료정보 및 의료기관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시켜 둠으로써, 응급호출이 있게 되면 소방방재센터에서 그에 해당하는 응급환자의 의료정보 및 현재 위치를 출동국에 신속하게 알려주어 출동국에서는 이송중 응급처치를 위해 가장 최선의 맞춤형 인력 편성 및 장비 편성을 하게 된다. 응급환자를 의료기관에 이송하는 과정에서 응급환자 이송차량측에서 응급환자의 신체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를 소방방재센터측으로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소방방재센터측에서는 보다 정확한 응급처치 방법을 알려주게 되므로, 기존에 비해 이송중 응급환자에 대한 보다 적절한 맞춤형 응급처치가 가능하게 된다. 응급환자가 의료기관으로 도착하기 전에 해당 응급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가장 근거리의 목적지 의료기관에 미리 해당 응급환자의 상태를 알려주면서 진료대기를 요청함으로써, 목적지 의료기관에서는 미리 만반의 진료준비를 하게 되어 응급환자의 도착시 매우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응급진료를 하여 소생률을 높이게 된다.

Description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servicing evacuation of an emergency ca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응급환자 관리서버 및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입자별 신상정보 DB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입자별 의료정보 DB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소방방재센터내의 영상 단말기 및 응급환자 이송차량내의 영상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응급호출수단 12 : 통신망
20 : 소방방재센터 22 : 응급환자 관리서버
22a : 수신부 22b : DB관리부
22c : 관리부 22d : 제어부
24 : 데이터베이스 24a : 가입자별 신상정보 DB
24b : 가입자별 의료정보 DB 24c : 가입자별 응급처치결과 DB
24d : 의료기관 DB 24e : GIS DB
26, 42 : 영상 단말기 28, 44 : 음성 단말기
30 : 출동국 40 : 응급환자 이송차량
50a ~ 50n : 의료기관
본 발명은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중인 응급환자에 대하여 최적의 맞춤형 응급처치를 해 줄 수 있도록 한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응급환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구급차가 현장에 도착하고 난 후 구급병동으로 이송하는 중의 처치 및 구급병동측에서의 인수 준비가 구명률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응급의료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초기 응급처치를 잘할 경우 응급환자 소생률이 20%대에서 50%대 수준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현재에는, 현장에 도착한 구급대원은 무선망(구두)으로 제공되는 구급전문의의 응급의료지도를 받아서 응급처치를 시행하고 있다. 즉, 구급대원이 무전기 또는 휴대전화로 원격지의 구급전문의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응급처치지시를 받는다. 이 경우, 구급전문의는 현장의 상황(즉, 응급환자의 상태 등)을 정확히 알 수 없어서 보다 정확한 응급의료지도를 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구급대원은 응급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응급처치를 제대로 하지 못하여 효과적인 응급처치를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교통지체 등으로 신속하게 병원 이송이 안되는 현장 상황이 날로 증가 하고 있어서,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동안의 응급처치의 중요성이 매우 높아가고 있다.
또한, 급성질환, 사고부상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전달 및 응급의료 판단이 절실해지고 있는데, 현재의 응급의료 판단 및 응급처치만으로는 원격지의 구급전문의와 현장의 구급대원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하여 응급처치가 미흡하다.
그리고, 응급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구급대원은 응급환자를 어느 병원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대부분 규모가 큰 병원으로 이송시킬려고 하기 때문에 그 규모가 큰 병원까지의 도달시간이 길어져서 구급병동(병원)에서의 진료가 더디게 되고, 그로 인해 응급환자에 대한 소생률이 저하되기도 한다.
한편, 구급병동에서는 이송되어 온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기간동안의 응급처치 내용은 구급대원들로부터 들어서 알 수 있으나, 응급환자가 애초에 갖고 있던 질병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눈에 보이는 징후에 대한 진료를 우선적으로 행하게 된다. 응급환자가 애초에 갖고 있던 질병을 간과하여 부작용이 발생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본의 아니게 원하던 바의 결과를 얻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각종의 정보를 기반으로 의료기관과 공조하여 응급환자를 최적의 의료기관으로 신속히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송중인 응급환자에게 최적의 맞춤형 응급처치를 해줄 수 있도록 한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은,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식별정보가 포함된 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제 1과정;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다수의 신상정보와 의료정보 및 의료기관의 정보가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식별정보와 부합되는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독출하는 제 2과정;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독출된 의료정보 및 네트워크로부터의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출동국에 통지하는 제 3과정; 및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응급환자를 이송중인 응급환자 이송수단으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한 응급처치 문의에 대응하여 응급처치 방법을 응급환자 이송수단측으로 무선 전송시키는 제 4과정을 포함한다.
제 1과정에서 수신하는 응급호출신호는 모바일폰, 컴퓨터, 유선 전화기중의 어느 한 기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신호이고, 모바일폰 및 유선 전화기의 식별정보는 해당 기기의 전화번호이며, 컴퓨터의 식별정보는 IP주소이다.
제 2과정에서 독출하는 의료정보는 해당 응급환자의 병력 및 주요병명에 관련된 정보이다.
제 4과정은, 응급환자 이송수단으로부터 무선전송되는 응급환자에 대한 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영상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1단계; 및 영상 단말기상의 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에 근거한 응급처치 방법을 음성 단말기를 응급환자 이송수단측에게로 무선 전송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과정에서 독출되는 의료정보에는 주진료 병원의 정보가 포함되고,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목적지 의료기관을 결정하고 이를 통지하는 제 5과정을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이 경우,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결정한 목적지 의료기관의 정보를 출동국 또는 응급환자 이송수단에게로 통지한다.
제 5과정에서, 응급환자 관리서버는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가 주진료 병원에서 근거리이면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해당 응급환자의 주진료 병원을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한다.
제 5과정에서, 응급환자 관리서버는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가 주진료 병원에서 원거리이면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근거리의 의료기관이면서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의료기관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응급환자를 진료가능한 의료기관을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한다.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결정한 목적지 의료기관에게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하면서 진료대기를 요청하고 목적지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진료대기가능신호를 수신하면 최종적인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한다.
응급환자 관리서버는, 목적지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진료대기 불가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근거리의 의료기관이면서 해당 응급환자를 진료가능한 차순위의 목적지 의료기관을 선정하고, 차순위의 목적지 의료기관에게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하면서 진료대기를 요청하며, 차순위의 목 적지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진료대기가능신호를 수신하면 차순위의 목적지 의료기관을 최종적인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한다.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응급환자의 가족,친족 또는 도우미의 연락번호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한 정보를 근거로 해당하는 가족.친족 또는 도우미의 단말기에게로 통지해 주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은, 다수의 신상정보와 의료정보 및 의료기관의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를 통해 식별정보가 포함된 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하고, 식별정보와 부합되는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독출하고, 독출된 의료정보 및 네트워크로부터의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출동국에 통지하고, 응급환자를 이송중인 응급환자 이송수단으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한 응급처지 문의에 대응하여 응급처치 방법을 응급환자 이송수단측으로 무선 전송시키는 응급환자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응급환자 관리서버는, 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수신부에 수신된 응급호출신호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응급환자의 의료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고, 응급환자 이송수단과의 통신을 제어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해당 응급환자를 이송시킬 목적지 의료기관을 결정하여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 1음성 단말기를 갖춘 응급환자 이송수단에 설치된 제 1영상 단말기로부터 무선송신된 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2영상 단말기; 및 제 2영상 단말기상의 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에 근거한 응급처치 방법을 제 1음성 단말기에게로 전송하는 제 2음성 단말기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된다.
데이터베이스는, 응급환자별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제 1DB; 응급환자별 병력 정보와 주요병명 정보 및 주진료 병원 정보를 저장하는 제 2DB; 및 의료기관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 3DB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는 GIS정보를 저장하는 제 4DB 및/또는 응급환자별 응급처치한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DB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제 1DB의 응급환자별 신상정보에는 해당 응급환자의 가족,친족의 정보 또는 도우미의 정보가 포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응급환자 관리서버 및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입자별 신상정보 DB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입자별 의료정보 DB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소방방재센터내의 영상 단말기 및 응급환자 이송차량내의 영상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소방방재센터(20)(예컨대, 119 상황실)는 통신망(12)을 통해 응급호출수단(10)으로부터의 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한다. 소방방재센터(20)에서는 데이터베이스(24)에 기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응급호출신호를 보낸 자의 신상정보와 의료정 보 등을 독출하고 통신망(12)으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응급호출신호를 보낸 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출동국(30)에 통지하면서 출동명령을 보낸다. 여기서, 응급호출신호를 보내는 자는 예를 들어, 소정의 질병을 보유하고 있는 독거노인, 심장질환자, 뇌혈관계 질환자 등과 같이 질병을 보유하고 있는 자가 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에는 여러 응급환자들에 대한 신상정보(예컨대,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연락번호 등), 의료정보(예컨대, 병력, 이력 사항, 주요병명, 주진료 병원 등) 등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소방방재센터(20)는 응급호출이 있게 되면 데이터베이스(24)내에 기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적절하게 출동명령을 통지함과 더불어 목적지 의료기관(즉, 응급환자를 이송시킬 의료기관)을 결정하게 된다.
출동국(30)은 구급대원 및 장비 등을 편성하여 응급환자 이송차량(40)(예컨대, 구급차)을 현장으로 보낸다. 출동국(30)은 소방서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출동국(30)을 하나만 도시하였는데, 이는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간략화한 것이다. 실질적으로는 출동국(30)이 다수개 존재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출동국(30)이 다수개이더라도 소방방재센터(20)는 응급환자에 대하여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출동국(30)에 출동명령을 내릴 수 있으므로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는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익히 알려져 있는 기술로 충분히 이해가능하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응급환자 이송차량(40)이 출동하여 응급환자를 곧바로 진료가능한 가장 근거리의 의료기관(50a ~ 50n중의 어느 하나)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방방재센터(20)는 출동국(30)에 출동명령을 보낼 때 응급호출신호를 보낸 자를 응급 진료할 수 있는 목적지 의료기관(50a ~ 50n중의 어느 하나)을 결정하여 알려준다. 출동국(30)에 출동명령을 보낼 때 목적지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는 보내지 않고 응급환자 이송차량(40)이 현장으로 출동하는 동안에 결정하여 보내어도 된다.
응급호출수단(10)은 통신망(12)으로의 접속이 가능한 기기이다. 예를 들어, 통신망(12)이 이동통신망이라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폰,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무선 단말기가 응급호출수단(10)이 될 수 있다. 통신망(12)이 인터넷이라면 셋탑형 컴퓨터 또는 휴대형 노트북 및 인터넷접속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 등이 응급호출수단(10)이 될 수 있다. 통신망(12)이 공중교환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라면 유선 전화기가 응급호출수단(10)이 될 수 있다.
응급호출수단(10)을 휴대폰이라고 가정하였을 경우, 휴대폰에는 응급호출을 위해 사용되는 별도의 버튼이 설치되거나 일반적으로 갖추어진 10-키의 조작에 의해 응급호출을 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10-키 조작에 의해 응급호출을 할 경우 예컨대, 숫자 119를 순서대로 누른 후에 통화 버튼(또는 확인 버튼)을 누른다거나 숫자 119만을 순서대로 누르고 소정시간(예컨대, 3초 정도)이 경과하면 응급호출이 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예로 든 몇가지 방법 이외로 응급호출을 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그러한 방법에 대해서는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충분히 알 수 있는 자명한 내용이다. 응급호출수단(10)이 휴대폰이 아니라 유선 전화기 또는 노트북이라고 하더라도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과 유사하게 응급호출을 할 수 있다. 노트북의 경우는 별도의 응급호출 버튼이 있어서 그 응급호출 버튼을 누르면 해당 노트북의 ID를 포함한 응급호출신호가 전송되게 할 수도 있다.
휴대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는 응급호출을 할 가능성이 있는 자가 멀리 이동하더라도 소방방재센터(20)에서 응급호출신호를 송신한 응급호출수단(10)의 고유한 식별정보(예컨대, 전화번호) 파악 및 위치 추적이 용이하여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를 응급호출수단(10)으로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통상의 휴대폰과 같은 형태가 아니더라도 응급호출신호를 생성하여 무선송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어떠한 형태의 단말기라면 무방하다.
앞서의 설명에서는 응급호출신호를 보내는 자를 독거노인, 심장질환자, 뇌혈관계 질환자 등으로 설명하였는데, 응급환자를 간병하는 간병인 또는 주변에 있던 자들도 자신의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또는 응급환자의 단말기(예컨대, 휴대폰)를 이용하여 응급호출을 행할 수 있다. 간병인 또는 주변에 있던 자들이 자신의 단말기로 응급호출을 하는 경우에는 응급환자에 대한 몇가지 신상정보(예컨대,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 및 현재 위치 등을 알려주어야 한다. 그리해야, 소방방재센터(20)가 데이터베이스(24)를 검색하여 응급환자에 대한 병력사항(주요병명, 주진료 병원 등)을 파악한 후 출동국(30)에 적절한 출동명령을 내릴 수 있고 응급환자를 이송시킬 최적의 의료기관을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응급호출수단(10)을 휴대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라고 가정 하고, 통신망(12)을 이동통신망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통신망(12)이 이동통신망인 경우, 통상적으로 이동통신망은 응급호출수단(10)과 함께 무선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도시 생략); 기지국과 연결되고 무선 링크 및 유선 링크를 제어하고 가입자가 이동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도시 생략);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고 가입자의 통화로를 구성시켜 주고 타 통신망(예컨대, 인터넷, PSTN)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교환국(도시 생략); 응급호출수단(10)에게로 착신 호를 연결시켜 주거나 그 밖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응급호출수단(10)의 모든 영구적인 정보(예컨대, 단말기의 전화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MIN), Electronic Serial Number(ESN)), 가입자 정보(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 정보 등)를 저장하고 있는 홈위치 등록기(도시 생략); 및 자기가 가입되어 있는 홈 ECP(executive cellular processor : 교환국 단위) 지역을 벗어나 타 ECP지역으로 이동할 때 자동 등록 기능에 따라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 레코드를 생성함으로써 ECP간 상호 서비스권 전환(로밍)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의 정보는 가입자의 ECP가 이동에 따라 수시로 생성 및 소멸된다.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는 서비스권 전환중인 가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록한다. 즉,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는 홈 교환국을 벗어난 무선 단말기(휴대폰)의 위치를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라고 이해하면 된다. ESN은 단말기에 유일하게 할당되는 구분자 이며 호처리에 사용된다. 교환국은 이동성 관리, 위치 등록/관리, 인증, 핸드오버, 로밍 등을 담당하고, 소방방재센터(20)내의 응급환자 관리서버(22)와 연결된다.
통신망(12)은 응급호출수단(10)으로부터의 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이를 즉각적으로 소방방재센터(20)로 보낸다. 그리고, 통신망(12)은 가입된 가입자의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응급호출한 단말기(즉, 응급호출수단(10))의 전화번호를 알 수 있음과 더불어 응급호출한 단말기(즉, 응급호출수단(1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응급호출한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현재 위치 파악에 대해서는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라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망(12)은 응급호출신호를 소방방재센터(20)로 보낼 때 응급호출한 단말기(즉, 응급호출수단(10))의 전화번호 및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함께 보낸다.
소방방재센터(20)는 응급환자 관리서버(22), 데이터베이스(24), 영상 단말기(26), 및 음성 단말기(28)를 구비한다.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통신망(12)을 통해 응급호출수단(10)으로부터의 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24)를 검색하여 응급호출신호에 대응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의료정보 및 통신망(12)으로부터의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출동국(30)에 통지하고, 통신망(12)을 통한 응급환자 이송차량(40)으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한 응급처치 문의에 대응하여 최적의 응급처치 방법을 통신망(12)을 통해 응급환자 이송차량(40)측으로 무선 전송시킨다.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가 데이터베이스(24)내의 기저장된 해당 응급환자의 주진료 병원에서 가까우면 데이터베이스(24)내에 기정된 해당 응급환자의 주진료 병원을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한다. 반대로,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주진료 병원에서 원거리이면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근거리의 의료기관이면서 데이터베이스(24)에 기저장된 의료기관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응급환자를 진료가능한 의료기관을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한다.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그 결정된 목적지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예컨대, 상호, 위치 등)를 출동국(30) 또는 응급환자 이송차량(40)에게로 통지한다. 물론, 상기에서의 목적지 의료기관은 해당 목적지 의료기관의 사정상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의료기관과의 통신으로 진료가능여부를 확인한 후에 정확하게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하고 이를 통지한다.
도면에는 소방방재센터(20)와 응급환자 이송차량(40)사이에 통신망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방방재센터(20)와 응급환자 이송차량(40)은 통신망(12)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급호출수단(10)으로부터의 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2a), 데이터베이스(24)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2b), 영상 단말기(26) 및 음성 단말기(28)의 동작을 관리하는 관리부(22c), 및 수신부(22a)에 수신된 응급호출신호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응급환자의 의료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고, 응급환자 이송차량(40)과의 통신을 제어하고, 데이터베이스(24)를 기반으로 해당 응급환자를 이송시킬 목적지 의료 기관을 결정하여 통지하는 제어부(22d)를 포함한다.
관리부(22c)는 다수의 영상 단말기와 다수의 음성 단말기를 관리한다. 도 1에서는 영상 단말기(26)와 음성 단말기(28)를 각각 하나씩만 도시하였는데, 실질적으로는 도 2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영상 단말기(26)와 음성 단말기(28)가 갖추어진다. 도 2에 도시된 영상 단말기 #1과 음성 단말기 #1이 하나의 단말기 세트를 이루고, 이하의 번호도 동일한 번호끼리 하나의 단말기 세트를 이룬다. 관리부(22c)는 응급호출에 따른 응급환자 이송차량(40)과의 통신시 다수의 단말기 세트중에서 어느 한 단말기 세트를 해당 응급환자 이송차량(40)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관리부(22c)에서 관리되는 단말기 세트가 다수 개이고 응급환자 이송차량(40) 역시 여러 대일 수 있으므로, 하나의 단말기 세트와 하나의 응급환자 이송차량(40)이 일대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리부(22c)에서는 단말기 세트의 활성화를 관리한다.
소방방재센터(20)내에는 다수의 응급의료지도사(의사)가 배치된다. 각각의 응급의료지도사는 어느 한 단말기 세트를 통해 구급대원에게 최적의 맞춤형 응급처치 요령(음성)을 알려준다. 즉, 영상 단말기(26)는 응급환자 이송차량(40)에 설치된 영상 단말기(42)로부터 무선송신된 영상(즉, 현재 이송중인 응급환자의 신체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예컨대, 혈압, 동맥혈 산소포화도, 맥박, 심호흡, 심전도, 체온 등)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음성 단말기(28)는 영상 단말기(26)상의 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된 최적의 응급처치 방법(즉, 응급의료지도사의 음성)을 통신망(12)을 통해 응급환자 이송차량(40)에 갖추어진 음성 단말기(44)에게 로 전송한다. 따라서, 영상 단말기(26)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응급환자의 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를 응급의료지도사가 보고 가장 최선의 응급처치 방법을 결정하여 이를 음성으로 표현하게 되면 그 표현된 음성의 응급처치 방법은 음성 단말기(28)를 통해 응급환자 이송차량(40)내의 음성 단말기(44)에게로 무선송신된다. 여기서, 음성 단말기(28)는 영상 단말기(26)의 부근에 고정되게 설치되어도 되고 헤드폰 형태로 응급의료지도사의 신체 일부(예컨대,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하여도 된다. 응급환자 이송차량(40)내의 음성 단말기(44) 역시 영상 단말기(42)의 부근에 고정되게 설치되어도 되고 헤드폰 형태로 구급대원의 신체 일부(예컨대,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하여도 된다.
데이터베이스(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별 신상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별 신상정보 DB(24a), 가입자별 의료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별 의료정보 DB(24b), 가입자별 응급처치한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별 응급처치결과 DB(24c), 다수의 의료기관의 정보(예컨대, 상호명, 주소, 진료(응급진료도 포함)가능한 과목 및 의사 성명 등)를 저장하고 있는 의료기관 DB(24d), 및 전국의 GIS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DB(24e)를 포함한다.
가입자별 신상정보 DB(24a)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식별번호(인덱스 번호라고도 함),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번호(전화번호) 등의 섹터로 구획되어 가입자별로 각 섹터에 해당하는 정보가 저장된다.
가입자별 의료정보 DB(24b)는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식별번호(인덱스 번호라고도 함), 병력사항, 주요병명, 주진료 병원 등의 섹터로 구획되어 가입자별로 각 섹터에 해당하는 정보가 저장된다. 병력사항 섹터에는 해당 가입자(응급환자)의 그동안의 병력 정보가 수록된다. 주요병명 섹터에는 해당 가입자(응급환자)의 진료시 관심을 기울이면서 진료해야 할 병명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다. 주진료 병원 섹터에는 해당 가입자(응급환자)가 주로 진료받는 병원의 명칭, 위치, 주진료 의사의 성명 등의 정보가 수록된다.
가입자별 의료정보 DB(24b)에는 성명을 저장할 섹터가 없는데, 이는 가입자별 신상정보 DB(24a)의 식별번호와 가입자별 의료정보 DB(24b)의 식별번호가 동일할 경우에는 동일한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것으로 보면 된다. 예를 들어, 가입자별 신상정보 DB(24a)에서 식별번호 1은 "홍길*"에 대한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번호를 검색해 볼 수 있고, 가입자별 의료정보 DB(24b)에서 식별번호 1은 "홍길*"에 대한 병력사항, 주요병명, 주진료 병원을 검색해 볼 수 있다. 필요하다면 가입자별 의료정보 DB(24b)에 가입자의 성명을 저장할 섹터를 갖추어도 무방하다.
다른 정보의 저장 필요성이 있다면, 가입자별 신상정보 DB(24a) 및 가입자별 의료정보 DB(24b)의 섹터는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섹터 이외로 더 세분화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가입자별 신상정보 DB(24a)에 가입자마다의 가족/친족의 정보(예컨대, 성명, 관계, 연락번호(전화번호, 휴대번호)), 및/또는 도우미의 정보(예컨대, 성명, 관계, 연락번호) 등을 추가로 저장시켜도 된다. 이는 별도로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아도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도 3의 내용으로 충분히 이해가능하 다. 이러한 가족/친족의 정보, 도우미의 정보를 저장시키는 이유는 응급환자를 이송시키는 동안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가입자별 신상정보 DB(24a)에서 해당 응급환자의 가족/친족 또는 도우미의 연락번호를 독출하여 신속하게 알려주기 위함이다. 그에 따라, 연락을 받은 가족/친족 또는 도우미는 해당 응급환자가 이송되고 있는 의료기관으로 가서 진료에 도움이 될만한 이야기를 해 준다거나 간호를 해 줄 수 있다.
가입자별 응급처치결과 DB(24c)는 도 3 및 도 4처럼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3의 가입자별 신상정보 DB(24a) 및 도 4의 가입자별 의료정보 DB(24b)처럼 다수의 섹터로 나누어져서 가입자별 응급처치결과의 정보가 저장되리라는 것을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누구라도 쉽게 알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내의 정보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최신 정보로 갱신된다. 최초에 데이터베이스(24)에 가입자별로 정보(예컨대, 신상정보, 의료정보 등)를 등록시키기 위해서는 응급상황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자 또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들에게 직접 방문하여 신청등록을 받는다. 다르게는, 응급상황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자 또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들이 휴대폰 또는 컴퓨터 등을 통해 보내 온 자료를 근거로 정보등록한다. 아니면, 의료기관(50a ~ 50n)과 공조하여 응급상황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자 또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들의 정보를 등록받는다.
영상 단말기(26)와 영상 단말기(42)간의 정보 송수신이 통신망을 통해 직접 적으로 행해질 수도 있고, 영상 단말기(42)로부터의 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가 통신망 및 응급환자 관리서버(22)를 통해 영상 단말기(26)에게로 전달되게 하여도 된다. 음성 단말기(28)와 음성 단말기(44)간의 정보 송수신 역시 통신망을 통해 직접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고, 음성 단말기(28)와 음성 단말기(44)간의 정보 송수신이 통신망 및 응급환자 관리서버(22)를 통해 행해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는 시스템 구현을 어떠한 방식으로 하느냐의 문제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으리라는 것을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영상 단말기(26) 및 음성 단말기(28)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안테나가 갖추어진다. 영상 단말기(26)와 영상 단말기(42)간의 정보 송수신이 통신망을 통해 직접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가정하였을 경우, 영상 단말기(26)와 영상 단말기(42)의 내부 구성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다. 영상 단말기(42)로부터의 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가 통신망 및 응급환자 관리서버(22)를 통해 영상 단말기(26)에게로 전달되는 경우의 영상 단말기(26)와 영상 단말기(42)의 내부 구성은 안테나가 응급환자 관리서버(22)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날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이하의 도 5 설명과 대동소이하다. 그리고, 이하의 도 5 설명에서, 통상적으로 응급환자 이송차량(40)의 영상 단말기(42)의 안테나는 기지국과 무선 통신하겠지만, 소방방재센터(20)내의 영상 단말기(26)의 안테나는 기지국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영상 단말기(26)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후단에서 신호처리가능하도 록 디코딩(신호증폭 및 노이즈 제거 포함)하는 디코더(26a), 디코더(26a)에서 디코딩된 신호(영상 및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영상 및 데이터 처리부(26b), 및 영상 및 데이터 처리부(26b)에서 출력되는 영상(즉, 응급환자의 신체영상) 및 데이터(즉, 응급환자의 생체징후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26c)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 단말기(26)는 디스플레이부(26c)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및 데이터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다른 영상으로의 전환 등을 행할 수 있게 하는 조작부(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영상 단말기(42)는 응급환자의 신체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42a), 영상 획득부(42a)에서 획득한 영상을 영상신호화하는 영상 처리부(42b), 응급환자의 생체징후 데이터(예컨대, 혈압, 동맥혈 산소포화도, 맥박, 심호흡, 심전도, 체온 등)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42c), 영상 처리부(42b)로부터의 영상신호와 데이터 입력부(42c)로부터의 데이터를 혼합하는 혼합부(42d), 및 혼합부(42d)에서 혼합한 영상 및 데이터를 무선전송가능한 대역의 신호로 엔코딩하여 안테나를 통해 영상 단말기(26)에게로 출력하는 엔코더(42e)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42a)는 X-ray촬영기, 자기공명장치, 단층촬영기 또는 초음파 진단기 등을 포함하여 응급환자의 신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에 의해 응급환자의 외형적인 신체영상을 획득한다.
데이터 입력부(42c)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키보드와 같은 입력수단 및 그 입력수단에서 입력되는 키입력신호에 근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혼합부(42d)에게로 제공하는 처리수단을 구비한다. 물론, 이와 같이 입력수단 및 처 리수단이 아닌 다른 형태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것이더라도 데이터 입력부로 채용가능하다.
영상 단말기(42)에서의 영상 및 데이터는 MPEG, JPEG 등의 압축 알고리즘에 의해 압축되어 영상 단말기(26)측으로 전송되고, 영상 단말기(26)에서는 복원 프로그램에 의해 복원작업을 거친 후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상기에서는 데이터 입력부(42c)를 영상 단말기(42)의 구성요소로 하였으나, 데이터 입력부(42c)를 영상 단말기(42)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별도의 데이터 입력장치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도 1에 도시된 음성 단말기(28, 44)에 대해서는 내부 구성을 별도로 설명하지 않았는데, 이는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익히 알려진 기술에 의해 자명하게 알 수 있는 사항이라 설명하지 않았다. 즉, 음성 단말기(28, 44)는 응급의료지도사 및 구급대원의 음성을 무선신호화하여 전송하고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화하여 스피커로 출력가능한 기기이면 어떠한 형태이더라도 무방하다.
소방방재센터(20)와 출동국(30)은 전용선 또는 통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공중교환전화망(PSTN),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1에서, 출동국(30)과 응급환자 이송차량(40) 사이가 마치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실선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통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인터넷)을 통해 필요한 경우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의료기관(50a ~ 50n)은 최소한 응급진료가 가능한 의사를 채용하고 있는 병원 또는 의원이 될 수 있다. 소방방재센터(20)와 의료기관(50a ~ 50n)은 전용선 또는 통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공중교환전화망(PSTN),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응급호출이 필요한 자는 응급호출수단(10)을 조작하여 응급호출을 행한다. 응급호출수단(10)에서의 응급호출신호가 통신망(12)을 통해 응급환자 관리서버(22)에게로 전송된다(S10). 여기서, 응급호출을 행한 자가 예를 들어 모바일폰으로 응급호출을 하였으면 통신망(12; 이 경우 이동통신망)에서는 응급호출신호를 응급환자 관리서버(22)에게로 보낼 때 응급호출한 모바일폰의 전화번호 및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함께 보낸다. 응급호출을 행한 자가 예를 들어 유선 전화기로 응급호출을 하였으면 통신망(12; 이 경우 공중교환전화망)에서는 응급호출신호를 응급환자 관리서버(22)에게로 보낼 때 응급호출한 유선 전화기의 전화번호 및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함께 보낸다. 응급호출을 행한 자가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응급호출을 하였으면 통신망(12; 이 경우 인터넷)에서는 응급호출신호를 응급환자 관리서버(22)에게로 보낼 때 응급호출한 컴퓨터의 IP주소 및 IP주소에 근거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함께 보낸다. 이동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의 응급호출한 자 의 전화번호 및 현재 위치 파악은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공지의 기술로 충분히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인터넷에서의 응급호출한 자의 IP주소 및 현재 위치 파악 역시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공지의 기술(예컨대, 국내특허등록번호 10-0399342, 10-0615470 참조)로 충분히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물론, 예로 든 국내특허등록번호 10-0399342, 10-0615470 에는 도난 컴퓨터의 위치 추적를 어떻게 하느냐를 설명하였지만, 도난 컴퓨터를 응급호출한 단말기로 본다면 충분히 이해되리라 본다. 그리고, 예로 든 국내특허등록번호 10-0399342, 10-0615470 이외의 방식으로도 응급호출한 자의 현재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면 채용가능하다.
한편, 응급호출을 응급환자를 간병하는 간병인 또는 주변에 있던 자가 할 수도 있는데, 간병인 또는 주변에 있던 자들은 예를 들어 자신의 휴대폰 또는 근처의 유선 전화기로 응급호출을 하게 된다. 이 경우는 응급환자에 대한 몇 가지 신상정보(예컨대,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 및 현재 위치 등을 알려주어야 한다. 그리하면, 통신망(12)을 통해 응급환자 관리서버(22)에게로 응급호출신호와 함께 응급환자에 대한 신상정보 및 현재 위치가 전송된다.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데이터베이스(24)를 검색하여 현재 응급호출을 한 자(즉, 응급환자 또는 그 주변에 있는 사람이겠지만 이하에서는 응급환자라고 가정함)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다(S12). 즉,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데이터베이스(24)내의 가입자별 신상정보 DB(24a)내에 현재 응급호출을 한 응급호출수단(10)의 전화번호(또는 성명, 주민등록번호)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를 파악한다.
가입자별 신상정보 DB(24a)내에 현재 응급호출을 한 응급호출수단(10)의 전 화번호(또는 성명, 주민등록번호)와 일치하는 정보가 없게 되면(S12에서 "No")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등록되지 않은 자가 응급호출을 한 것으로 인식하고서 출동국(30)에 출동명령을 통지한다(S14). 이 경우에는 등록되지 않은 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데이터베이스(24)내에 없기 때문에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만을 알려준다. 그 이후에는 출동국(30)에서 정확한 인력 및 장비 편성을 하지 못한 채 기본적인 인력 및 장비를 편성하여 응급환자 이송차량(40)을 현장(응급환자가 위치해 있는 곳)으로 출동시켜서 응급환자를 의료기관(50a ~ 50n중의 하나)으로 이송시킨다. S14의 경우는 일반적인 경우가 되기 때문에 보다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반대로, 가입자별 신상정보 DB(24a)내에 현재 응급호출을 한 응급호출수단(10)의 전화번호(또는 성명, 주민등록번호)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게 되면(S12에서 "Yes")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가입회원이 응급호출을 한 것으로 인식하고서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 및 의료정보(즉, 가입자별 의료정보 DB(24b)에서 독출한 정보로서 병력, 주요 병명을 포함함)를 출동국(30)에 통지하면서 출동명령한다(S16). 그리하면, 출동국(30)에서는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알기 때문에 응급처치에 적합한 인력 및 장비를 편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응급환자를 이송시킬 목적지 의료기관(즉, 지정병원)을 결정하여 출동국(30) 또는 구급대원의 단말기에게로 통지한다. 도 6에서는 출동국(30)에 통지하는 것으로 하였다.
목적지 의료기관(즉, 지정병원)을 결정함에 있어서, 1차적으로는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가 가입자별 의료정보 DB(24b)내의 해당 응급환자의 주진료 병원에서 가 까울 경우에는 가입자별 의료정보 DB(24b)내의 해당 응급환자의 주진료 병원을 목적지 의료기관(즉, 지정병원)으로 결정하고,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가 가입자별 의료정보 DB(24b)내의 해당 응급환자의 주진료 병원에서 멀 경우에는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면서 의료기관 DB(24d)에 기저장된 의료기관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응급환자를 진료가능한 의료기관(50a ~ 50n중의 어느 하나)을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한다. 이때,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GIS DB(24e)내의 GIS정보를 지도화하여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에서 소정 반경 범위내를 조사함으로써 목적지 의료기관을 결정하게 된다. 이와 함께,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1차적으로 결정한 목적지 의료기관(예컨대, 50a라고 가정함)에게 현재 이송중인 응급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하면서 진료대기를 요청한다. 만약, 진료대기를 요청받은 1차적인 목적지 의료기관(50a)이 진료대기가능의사를 밝히면 그 1차적인 목적지 의료기관이 최종적인 목적지 의료기관이 된다. 그러나,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그 1차적인 목적지 의료기관(50a)으로부터의 진료대기 불가신호를 받게 되면 해당 응급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근거리(응급환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함)의 다른 의료기관(예컨대, 50n이라고 가정함)에게 이송중인 응급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하면서 진료대기를 요청한 후, 해당 의료기관(50n)에서 진료대기가능의사를 보내오면 출동중이거나 응급환자를 이송중인 응급환자 이송차량(40)에게로 목적지 의료기관이 변경되었음을 알려주면서 변경된 목적지 의료기관(50a)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위치 정보)를 보낸다. 응급환자 관리서버(22)가 목적지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언제 어디로 보내느냐는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목적지 의료기관의 정 보는 출동국(30)에 출동명령을 보낼 때 진료대기가능의사를 밝힌 의료기관을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하여 함께 보내어도 되고, 출동명령시에는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 및 의료정보만을 보내고 목적지 의료기관의 정보는 이후에 결정하여 출동중인 응급환자 이송차량(40)에 보내어도 된다. 이는 어느 방법이 보다 효율적인지를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한편으로는, 출동국(30)에 1차적으로 결정한 목적지 의료기관이 통지되므로, 출동국(30)에서 그 1차적인 목적지 의료기관과 통화하여 최종적인 목적지 의료기관으로의 결정 및 다른 의료기관으로의 변경을 관리하여도 된다.
앞서의 S16 설명에서, 가입자별 신상정보 DB(24a)에 해당 응급환자의 가족/친족의 정보 및/또는 도우미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면,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가입자별 신상정보 DB(24a)에 기저장되어 있는 해당 응급환자의 가족/친족의 연락번호(전화번호 또는 휴대번호) 또는 도우미의 연락번호를 독출하여 통신망을 통해 즉각적으로 해당하는 가족/친족 또는 도우미의 단말기에게로 통지(즉, 응급환자가 발생하였다는 사실, 목적지 의료기관의 명칭, 목적지 의료기관의 위치 등을 통지)해 준다. 통지를 받은 가족/친족 또는 도우미는 즉각적으로 해당 응급환자가 이송중인 의료기관으로 가서 대기하고 있거나 진료상황을 지켜본다든지 아니면 진료에 도움이 될만한 이야기를 해 주게 된다. 이로 인해 가족/친족 등은 응급환자의 안위를 보다 빠르게 보살필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진료에 도움을 될만한 이야기를 해 줄 수 있어서 소생률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목적지 의료기관이 최종적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응급환자 이송차량(40)이 현장에 도착하게 되면 구급대원들은 응급환자를 신속히 차량내로 옮긴 후에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이송한다(S18, S20).
응급환자 이송차량(40)내의 구급대원들은 영상 단말기(42)를 통해 응급환자의 신체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를 소방방재센터(20)측으로 무선전송하고, 음성 단말기(44)를 통해 보다 정확한 응급처치 방법을 문의한다(S22).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미리 응급환자 이송차량(40)의 영상 단말기(42) 및 음성 단말기(44)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영상 단말기(26) 및 음성 단말기(28)를 지정해 둔다.
소방방재센터(20)의 응급지도사(의사)는 영상 단말기(26)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응급환자의 신체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다 적절한 응급처치 방법을 결정한 후에 음성 단말기(28)를 통해 알려준다. 그에 따라, 음성 단말기(28)에서의 음성신호가 무선전송되어 음성 단말기(44)에게로 보내지고, 구급대원은 음성 단말기(44)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즉, 현재 이송중인 응급환자에 대한 맞춤형 응급처치 방법)을 듣고서 보다 적절한 응급처치를 행하게 된다(S24, S26).
이와 같은 맞춤형 응급처치는 응급환자 이송차량(40)이 목적지 의료기관에 도착할 때까지 행해진다.
목적지 의료기관에 도착하였을 경우(S28에서 "Yes")에는 진료대기중인 목적지 의료기관에서 응급환자를 진료하게 된다. 그리고, 구급대원은 응급환자를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행한 맞춤형 응급처치의 결과를 소방방재센터(20)측으로 알려준다(S30). 그에 따라, 응급환자 관리서버(22)는 데이터베이 스(24)내의 가입자별 응급처치결과 DB(24c)에 해당 응급환자의 응급처치결과를 저장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질병보유자들의 신상정보와 의료정보 및 의료기관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시켜 둠으로써, 응급호출이 있게 되면 소방방재센터에서 그에 해당하는 응급환자의 의료정보 및 현재 위치를 출동국에 신속하게 알려주어 출동국에서는 이송중 응급처치를 위해 가장 최선의 맞춤형 인력 편성 및 장비 편성을 할 수 있게 된다.
응급환자를 의료기관에 이송하는 과정에서 응급환자 이송차량측에서 응급환자의 신체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를 소방방재센터측으로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소방방재센터측에서는 보다 정확한 응급처치 방법을 알려주게 되므로, 기존에 비해 이송중 응급환자에 대한 보다 적절한 맞춤형 응급처치가 가능하게 된다.
응급환자가 의료기관으로 도착하기 전에 해당 응급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가장 근거리의 목적지 의료기관에 미리 해당 응급환자의 상태를 알려주면서 진료대기를 요청함으로써, 목적지 의료기관에서는 미리 만반의 진료준비를 하게 되어 응급환자의 도착시 매우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응급진료를 하여 소생률을 높이게 된다.
해당 응급환자의 가족/친족 또는 도우미에게 즉각적으로 통지해 주게 되므로, 통지를 받은 가족/친족 또는 도우미는 즉각적으로 해당 응급환자가 이송중인 의료기관으로 가서 대기하고 있거나 진료상황을 지켜본다든지 아니면 진료에 도움이 될만한 이야기를 해 주게 된다. 이로 인해 가족/친족 등은 응급환자의 안위를 보다 빠르게 보살필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진료에 도움을 될만한 이야기를 해 줄 수 있어서 소생률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24)

  1.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식별정보가 포함된 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제 1과정;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다수의 신상정보와 주진료 병원의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및 의료기관의 정보가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식별정보와 부합되는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독출하는 제 2과정;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상기 독출된 의료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출동국에 통지하는 제 3과정;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응급환자를 이송중인 응급환자 이송수단으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한 응급처치 문의에 대응하여 응급처치 방법을 상기 응급환자 이송수단측으로 무선 전송시키는 제 4과정;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상기 제 2과정에서 독출한 주진료 병원의 정보에 근거하여 목적지 의료기관을 결정하고 이를 통지하는 제 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에서 수신하는 응급호출신호는, 모바일폰, 컴퓨터, 유선 전화기중의 어느 한 기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폰 및 유선 전화기의 식별정보는 해당 기기의 전화번호이고, 상기 컴퓨터의 식별정보는 IP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에서 독출하는 의료정보는 해당 응급환자의 병력 및 주요병명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과정은,
    상기 응급환자 이송수단으로부터 무선전송되는 응급환자에 대한 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영상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1단계; 및
    상기 영상 단말기상의 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에 근거한 응급처치 방법을 음성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응급환자 이송수단측에게로 무선 전송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상기 결정한 목적지 의료기관의 정보를 상기 출동국 또는 응급환자 이송수단에게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5과정에서,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는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주진료 병원에서 근거리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해당 응급환자의 주진료 병원을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5과정에서,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는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주진료 병원에서 원거리이면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근거리의 의료기관이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의료기관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응급환자를 진료가능한 의료기관을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상기 결정한 목적지 의료기관에게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하면서 진료대기를 요청하고 상기 목적지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진료대기가능신호를 수신하면 최종적인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는, 상기 목적지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진료대기 불가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근거리의 의료기관이면서 해당 응급환자를 진료가능한 차순위의 목적지 의료기관을 선정하고, 상기 차순위의 목적지 의료기관에게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하면서 진료대기를 요청하며, 상기 차순위의 목적지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진료대기가능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순위의 목적지 의료기관을 최종적인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응급환자의 가족,친족 또는 도우미의 연락번호의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한 정보를 근거로 해당하는 가족, 친족 또는 도우미의 단말기에게로 통지해 주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13. 다수의 신상정보와 주진료 병원의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및 의료기관의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를 통해 식별정보가 포함된 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정보와 부합되는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의료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출동국에 통지하고, 응급환자를 이송중인 응급환자 이송수단으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한 응급처지 문의에 대응하여 응급처치 방법을 상기 응급환자 이송수단측으로 무선 전송시키고, 상기 독출한 주진료 병원의 정보에 근거하여 목적지 의료기관을 결정하고 이를 통지하는 응급환자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는 상기 결정한 목적지 의료기관의 정보를 상기 출동국 또는 상기 응급환자 이송수단에게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는,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주진료 병원에서 근거리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해당 응급환자의 주진료 병원을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는,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주진료 병원에서 원거리이면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근거리의 의료기관이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의료기관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응급환자를 진료가능한 의료기관을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는, 상기 결정한 목적지 의료기관에게로 응급환자의 정보를 제공하면서 진료대기를 요청하고 상기 목적지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진료대기가능신호를 수신하면 최종적인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는, 상기 목적지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진료대기 불가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응급환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근거리의 의료기관이면서 해당 응급환자를 진료가능한 차순위의 목적지 의료기관을 선정하고, 상기 차순위의 목적지 의료기관에게로 응급환자의 의료정보를 제공하면서 진료대기를 요청하 며, 상기 차순위의 목적지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진료대기가능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순위의 목적지 의료기관을 최종적인 목적지 의료기관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는,
    상기 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응급호출신호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응급환자의 의료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고, 상기 응급환자 이송수단과의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해당 응급환자를 이송시킬 목적지 의료기관을 결정하여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 1음성 단말기를 갖춘 응급환자 이송수단에 설치된 제 1영상 단말기로부터 무선송신된 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2영상 단말기; 및
    상기 제 2영상 단말기상의 영상 및 생체징후 데이터에 근거한 응급처치 방법을 상기 제 1음성 단말기에게로 전송하는 제 2음성 단말기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2영상 단말기 및 제 2음성 단말기는 상기 응급환자 관리서버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가입자별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제 1DB;
    가입자별 병력 정보와 주요병명 정보 및 주진료 병원 정보를 저장하는 제 2DB; 및
    의료기관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 3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GIS정보를 저장하는 제 4DB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
  23. 청구항 21 또는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가입자별로 응급처치한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DB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 1DB의 가입자별 신상정보에는 해당 가입자의 가족,친족의 정보 또는 도우미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시스템.
KR1020070008700A 2007-01-29 2007-01-29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800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700A KR100800026B1 (ko) 2007-01-29 2007-01-29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700A KR100800026B1 (ko) 2007-01-29 2007-01-29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026B1 true KR100800026B1 (ko) 2008-02-01

Family

ID=39342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700A KR100800026B1 (ko) 2007-01-29 2007-01-29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026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0341A2 (ko) * 2010-01-25 2011-07-28 주식회사 나노엔텍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KR200459614Y1 (ko) * 2010-05-13 2012-04-04 주식회사 코넥트론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KR101222379B1 (ko) * 2010-05-19 2013-01-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WO2013129713A1 (ko) * 2012-02-28 2013-09-06 주식회사 엠디웨어 응급환자 정보전송 시스템
KR20140114477A (ko) * 2013-03-13 2014-09-29 주식회사 케이티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39804B1 (ko) * 2015-05-15 2016-07-2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구급이 가능한 무인 스마트카 및 그의 운용 방법
WO2016186381A1 (ko) * 2015-05-15 2016-11-2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인체신호 분석을 이용한 무인 스마트카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70120854A (ko) * 2016-04-22 2017-11-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송 시스템
KR101815159B1 (ko) * 2017-08-22 2018-01-30 (주)에스텍휴먼서비스 환자 이송을 위한 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6638B1 (ko) * 2015-12-04 2018-05-1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858674B1 (ko) * 2017-08-22 2018-05-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서버
WO2018044123A3 (ko) * 2016-09-02 2018-08-09 남기원 응급환자 신고용 개인정보 중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23955A (ko) * 2017-05-10 2018-11-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190079795A (ko) * 2017-12-28 2019-07-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KR102174704B1 (ko) 2020-01-20 2020-11-05 임승환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1045535A1 (ko) 2019-09-04 2021-03-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적 이송 병원 결정 방법 및 서버
US20220223267A1 (en) * 2021-01-08 2022-07-14 Nec Corporation Ambulance service support device, ambulance service support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KR20220131480A (ko) 2021-03-21 2022-09-28 강민호 응급환자 진단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952A (ko) * 2000-05-17 2001-11-28 황욱배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20017829A (ko) * 2000-08-31 2002-03-07 박진영 지리정보 및 자기위치정보 시스템을 연계한 응급의료 후송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20040028580A (ko) * 2002-09-30 2004-04-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긴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37339A (ko) * 2002-10-28 2004-05-07 (주)메드 밴 원격응급진단장치
KR20050004553A (ko) * 2003-07-03 2005-01-12 정경우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952A (ko) * 2000-05-17 2001-11-28 황욱배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20017829A (ko) * 2000-08-31 2002-03-07 박진영 지리정보 및 자기위치정보 시스템을 연계한 응급의료 후송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20040028580A (ko) * 2002-09-30 2004-04-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긴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37339A (ko) * 2002-10-28 2004-05-07 (주)메드 밴 원격응급진단장치
KR20050004553A (ko) * 2003-07-03 2005-01-12 정경우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0341A3 (ko) * 2010-01-25 2011-11-24 주식회사 나노엔텍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WO2011090341A2 (ko) * 2010-01-25 2011-07-28 주식회사 나노엔텍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KR200459614Y1 (ko) * 2010-05-13 2012-04-04 주식회사 코넥트론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KR101222379B1 (ko) * 2010-05-19 2013-01-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WO2013129713A1 (ko) * 2012-02-28 2013-09-06 주식회사 엠디웨어 응급환자 정보전송 시스템
KR102047924B1 (ko) * 2013-03-13 2019-11-26 주식회사 케이티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114477A (ko) * 2013-03-13 2014-09-29 주식회사 케이티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39804B1 (ko) * 2015-05-15 2016-07-2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구급이 가능한 무인 스마트카 및 그의 운용 방법
WO2016186380A1 (ko) * 2015-05-15 2016-11-2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구급이 가능한 무인 스마트카 및 그의 운용 방법
WO2016186381A1 (ko) * 2015-05-15 2016-11-2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인체신호 분석을 이용한 무인 스마트카 운용 방법 및 장치
US10368806B2 (en) 2015-05-15 2019-08-06 Hancom, Inc. Autonomous smart car capable of first aid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101856638B1 (ko) * 2015-12-04 2018-05-1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120854A (ko) * 2016-04-22 2017-11-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송 시스템
KR101950818B1 (ko) * 2016-04-22 2019-05-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송 시스템
WO2018044123A3 (ko) * 2016-09-02 2018-08-09 남기원 응급환자 신고용 개인정보 중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23955A (ko) * 2017-05-10 2018-11-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022345B1 (ko) 2017-05-10 2019-09-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1858674B1 (ko) * 2017-08-22 2018-05-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서버
KR101815159B1 (ko) * 2017-08-22 2018-01-30 (주)에스텍휴먼서비스 환자 이송을 위한 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79795A (ko) * 2017-12-28 2019-07-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KR102068581B1 (ko) 2017-12-28 2020-01-21 탑알앤디 주식회사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WO2021045535A1 (ko) 2019-09-04 2021-03-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적 이송 병원 결정 방법 및 서버
KR102174704B1 (ko) 2020-01-20 2020-11-05 임승환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65067B1 (ko) 2020-01-20 2021-06-15 임승환 영유아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65070B1 (ko) 2020-01-20 2021-06-15 임승환 사고 발생에 대한 이송업체 또는 동승업체 선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65072B1 (ko) 2020-01-20 2021-06-15 임승환 사고 발생에 대한 응급환자를 판단하고,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65068B1 (ko) 2020-01-20 2021-06-15 임승환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65071B1 (ko) 2020-01-20 2021-06-15 임승환 다중 이용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65069B1 (ko) 2020-01-20 2021-06-15 임승환 심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판단된 심인성 사고에 대한 최적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20223267A1 (en) * 2021-01-08 2022-07-14 Nec Corporation Ambulance service support device, ambulance service support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KR20220131480A (ko) 2021-03-21 2022-09-28 강민호 응급환자 진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026B1 (ko)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200342983A1 (en) Nurse call system
WO2003054762A1 (fr) Procede permettant la fourniture de soins medicaux d&#39;urgence
US9298881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voice message recording and playback at point of care
TW201921905A (zh) 使用語音和感測器資料擷取的緊急回應
US20150065812A1 (en) Telemedicine information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storage medium
US200702706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end user&#39;s health status via a network
US20100248679A1 (en) Resuscitation team mobiliz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JP2005135051A (ja) 救急対応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及び救急対応方法
US20230336661A1 (en) Emergency response system with dynamic ali database alphanumeric character hacking
Martini et al. Real-time multimedia communications in medical emergency-the CONCERTO project solution
CN209487159U (zh) 一种医疗抢救***
KR100800016B1 (ko) 재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050176402A1 (en) Method of making an emergency telephone call and an automatic calling apparatus for making such call
JP2016099922A (ja) 装置、端末、システム、感染予防方法
JP5939612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6093583B2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管理センタ装置
JP7383385B2 (ja) 搬送計画生成装置、搬送計画生成システム及び搬送計画生成方法
TWI398831B (zh) 一種以網際網路通訊協定為基礎之病床呼叫系統及其控制方法
KR20090001550A (ko) So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5020480A (ja) 救急通報システムおよび救急通報方法
JP2004221926A (ja) 救護システム
JP2006276922A (ja) 救急システムおよび患者情報共有方法
Gaebel et al. Requirements for 5G integrated data transfer in German prehospital emergency care
WO2023162372A1 (ja) 救急傷病者治療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