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369B1 -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회수방법 - Google Patents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369B1
KR100796369B1 KR20070040999A KR20070040999A KR100796369B1 KR 100796369 B1 KR100796369 B1 KR 100796369B1 KR 20070040999 A KR20070040999 A KR 20070040999A KR 20070040999 A KR20070040999 A KR 20070040999A KR 100796369 B1 KR100796369 B1 KR 10079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recovering
lithium ion
cobalt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40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싸이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싸이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싸이텍코리아
Priority to KR20070040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리튬이온 2차전지로부터 건식용융방식을 이용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유가금속인 코발트 및 구리를 각각 농축하고 회수하여 고순도의 금속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 회수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 회수방법은, 양극과 음극 및 격리막으로 구성된 젤리롤과 스틸(steel) 재질의 캔을 분리하여 분리된 양극과 음극, 격리막을 각각 파쇄 후 리튬코발트옥사이드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양극으로부터 코발트를 회수하고 음극으로부터 구리를 회수하며 격리막으로부터 재생플라스틱을 회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리튬이온전지, 용융환원, 코발트, 구리, 회수, 재활용

Description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 회수방법{RECOVERY METHOD OF HIGH PURITY COBALT, COPPER AND RECYCLED PLASTICS FROM WASTED LITHIUM ION BATTERY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 회수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흐름도.
본 발명은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코발트, 구리 등)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폐리튬이온전지의 양극, 음극 및 격리막을 모두 재활용하기 위해 원통형 폐리튬이온전지의 스틸캔과 젤리롤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고, 젤리롤을 구성하고 있는 양극, 음극 및 격리막에서 코발트, 구리, 플라스틱을 회수하는 토탈 리싸이클링이 가능한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리튬이온전지는 휴대전화, 노트북컴퓨터, 초소형 영상, 음향가 전기기 등의 전기화학적 전원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이온전지는 구리(copper), 코발트(cobalt), 리튬(lithium) 및 격리막, 유기계전해질 등 다량의 화학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폐리튬이온전지의 재활용 기술은 코발트(cobalt), 구리(copper) 등의 회수와 환경오염 방지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폐리튬이온전지의 가장 간단하고 경제적인 처리방법은 Zhang 등에 의해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이는 폐전지로부터 먼저 LiCoO2가 코팅되어 있는 양극을 분리하고, LiCoO2를 알루미늄 기재에서 박리해낸 다음 염산을 이용해 용출시킨 후 유기용제(PC-88A)를 이용해 코발트를 분리하고 리튬은 카보네이트로 침전시키는 방법이다.
Lee는 어떠한 전처리 공정 없이 LiOH 수용액을 이용하여 200℃에서 수열합성법으로 LiCoO2를 분리하여 새로운 양극활물질로 동시 재생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Contestabile는 폐전지를 100℃의 NMP(N-methylpyrrolidone)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여 LiCoO2를 효과적으로 분리해내고 기재인 알루미늄과 구리를 동시에 얻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전술한 종래기술을 요약하면 폐리튬이온전지의 재활용은 리튬이온전지에 포함된 부가가치가 높은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폐리튬이온전지를 파쇄한 후 자력선별로 철 성분을 제거하고 비중차, 공기분급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비금속 성분 및 구리, 알루미늄 등을 분리하여 1차적으로 코발트 성분을 농축하고 이를 산 침출공정을 거쳐 침전법, 전해채취법, 용매추출법 등으로 코발트를 회수하는 습식회수기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습식회수기술은 전처리 공정인 파쇄 및 분리 공정에서 분말상의 코발트의 손실율이 크고, 습식농축과정에서 고순도의 코발트 회수는 가능하나 대량처리가 곤란하고 폐산 등에 의한 2차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 이러한 문제로 고온용융에 의한 건식처리방법이 연구되고 있는데 대량처리가 가능하고 폐산 등의 처리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산을 이용해 선택적으로 코발트를 침출시키는 습식공정과는 달리 용융상태에서 코발트 이외의 금속을 분리하는데 한계가 있어 코발트의 순도가 낮아 습식처리에 의한 2차 정련 과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폐리튬이온전지 전체를 파쇄하여 분리하는 전처리 공정보다는 효율적인 분리공정이 필요하나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폐리튬이온전지의 친환경적인 재활용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건식용융공정에 적합한 전처리기술(분리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공정이 간단하기는 하나 유가금속의 손실율이 커서 경제성에 문제가 있는 기존의 방법을 혁신적으로 개선하여 양극, 음극, 격리막 소재를 모두 재활용할 수 있고 특히, 건식용융공정의 대량처리, 공정속도의 장점을 가지면서도 순도가 높은 코발트를 효율적으로 농축, 회수할 수 있는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 회수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코발트, 구리)과 플라스틱을 회수하는 방법은, 각각 유연성 있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겹쳐지는 코발트 함유 양극과 폴리프로필렌 격리막 및 구리 포일에 흑연이 코팅된 음극으로 이루어진 젤리롤, 내부에 상기 젤리롤이 수용된 밀폐형 스틸 캔으로 구성된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상기 양극과 격리막 및 음극을 분리하는 전처리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쳐 분리된 양극, 격리막 및 음극으로부터 유가금속 또는 재생플라스틱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코발트, 구리)과 플라스틱을 회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S100) 전처리. 폐리튬이온전지는 각각 유연성 있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진 코발트 함유 양극과 폴리프로필렌 격리막 및 구리 포일에 흑연이 코팅된 음극으로 이루어져 감긴 젤리롤, 내부에 상기 젤리롤이 수용된 원통의 밀폐형 스틸 캔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폐리튬이온전지는 완전 방전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분리공정 및 용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방전방법으로는 미방전상태의 전지를 소금물에 침전시키는 습식방전방법 또는 저항 및 콘덴서로 구성된 적절한 회로장치를 이용해 잔여 전류를 방전시키는 건식방전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방전이 완료된 폐리튬이온전지는 다음의 공정을 거쳐 스 틸캔과 젤리롤이 분리된다.
(S110) 스틸 캔 절단. 상기 스틸캔은 내부에 상기 젤리롤이 삽입된 후 밀봉된 구조로서, 상기 스틸캔에 내부에 삽입된 젤리롤을 분리하기 위해 스틸 캔을 절단하여 상기 스틸 캔의 양측 단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스틸 캔의 절단은 상기 젤리롤을 상기 스틸 캔에서 분리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이 가능할 것이며, 예컨대, 바람직하게 상기 스틸 캔의 길이 방향을 양측을 절단하여 상기 스틸 캔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개방되도록 하는 방법이나 상기 스틸 캔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스틸 캔의 길이 방향 양측을 절단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이 가능할 것이며, 예를 들어, 회전형 절단기가 상기 스틸 캔의 둘레를 따라 절단하는 방법이나 절단기가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스틸 캔의 양측을 절단하는 방법 등이 있다.
(S120) 젤리롤 분리. 상기 단계를 통해 상기 스틸 캔의 길이 방향 양측이 절단되면 상기 스틸 캔의 길이방향 양측 중 일측에서 푸셔를 통해 상기 스틸 캔 내부의 젤리롤을 밀어 상기 스틸 캔에서 분리한다.
이상의 공정을 통해 폐리튬이온전지를 스틸 캔과 젤리롤로 분리하며, 분리된 젤리롤은 각각 시트지 형태인 양극, 격리막, 음극이 감겨 있는 상태이며, 상기 양극, 격리막, 음극을 분리하여 각각의 회수공정을 거치게 된다.
(S200) 양극으로부터 코발트 회수.
(S210) 분쇄. 분리된 양극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파쇄한다. 파쇄공정은 코발트의 분리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 메탈이 용해되어 있는 용탕에 투입 되는 양극이 용탕에 원활하게 용해되기 위해서는 비표면적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양극의 분쇄입도는 40~8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40mm이하로 분쇄할 경우는 분쇄비용의 증가 및 loss량이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S220) 용융. 파쇄된 리튬코발트옥사이드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파쇄된 양극을 코우크스, CaO계 용제와 혼합한 후 가열로에 장입시켜 1,300∼1,550℃에서 용융 처리한다(배터리에 따라 조성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용융시간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1시간∼1시간 30분 정도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융로는 일반적인 전기로에 비해 승온속도가 빠른 유도로(Induction furnace)가 적합하며 양극물질은 전기전도도가 낮은 산화물과 유기물이 다량 존재하기 때문에 금속 코발트를 먼저 용해하여 용융상태의 베이스 메탈(base metal)을 제조하고 분쇄된 양극물질을 투입함으로써 유도로의 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알루미늄 포일에 코발트 산화물과 카본계(전도성 카본블랙)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양극물질로부터 금속상의 순수 코발트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산화물 상태인 코발트 산화물의 환원과 알루미늄 및 카본의 제거가 필요하다. 분석결과 양극물질은 약 14∼16%의 알루미늄, 34∼36%의 카본, 49∼51%의 코발트로 구성되어 있어 양극물질 전체중량의 50%에 달하는 이물질의 효율적인 제거와 산화물의 환원을 위해서는 첨가제의 투입이 바람직하다.
용융상태의 코발트에 폐전지 양극 스크랩을 투입하면 페이스트 상태로 알루미늄 포일에 코팅되어 있던 코발트 산화물은 고분자 결착제가 분해되며 분말상으로 전도성 카본 분말과 함께 알루미늄 기재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되면서 코발트 산화물은 고온의 환원분위기에서 코발트 용탕 속으로 용해되기 시작하는데 분말상의 코발트 산화물이 초미세 분말상으로 비중이 매우 낮아 용탕의 표면에 부유되면서 일부 환원반응을 하지 못한 코발트 산화물이 전도성 카본과 함께 슬래그화가 진행되어 금속 코발트의 회수율이 감소하는 점에 착안, 본 발명에서는 슬래그화되는 코발트 산화물의 양을 최소화하여 금속 코발트의 회수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별도의 환원제로서 코우크스를 사용하였다. 상기 코우크스는 탄소함량 93% 이상의 것으로서 투입량은 폐리튬이온전지 양극물질 원료 기준으로 7∼12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코우크스의 투입량이 7 중량% 미만에서는 슬래그로 혼입되는 코발트 산화물의 환원반응에 부족하며 12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과다한 환원반응에 의해 알루미늄이 슬래그 중으로 정련되는 것이 방해되며 용탕의 버블현상에 의한 조업안전성의 저하와 회수된 코발트 금속 매트에 탄소의 잔존량이 많아진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코우크스의 투입량을 원재료 총량의 7∼12 중량%로 한정한 것이다.
용융온도가 1,560℃에 이르는 코발트의 용융온도 저하 및 알루미늄, 탄소 등 불순물의 제거를 위해 코우크스와 함께 용제(flux)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극물질에 14∼16 중량% 혼합되어 있는 알루미늄에 대한 제거효율이 높으면서 용융조업 온도에서 충분한 점성을 가지는 SiO2가 포함된 CaO계 슬래그를 가공하여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CaO와 SiO2의 비율인 염기도(CaO/SiO2)가 1.5 ∼ 3.0인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도가 1.5 미만일 경우 유동성이 저하되어 슬래그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3.0을 초과할 경우 융점이 높아져 노 벽체의 마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장입되는 SiO2, CaO 조합 용제의 양은 폐리튬이온전지 양극물질의 불순물로 작용하는 알루미늄, 탄소와 같은 불순물 제거효율과 생산되는 코발트 금속의 순도를 고려하여 용융 후 분리되는 금속중량과 발생되는 슬래그 중량과의 비율인 슬래그비에 의해 결정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슬래그비(슬래그 중량/금속중량)가 0.05 이상이 되도록 투입되는 원재료의 양에 맞추어 정량 후 장입한다. 슬래그비가 0.05 미만일 경우 알루미늄이 산화되어 슬래그 내로 혼입되는 반응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슬래그비는 최소한 0.05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원통형 폐리튬이온전지의 양극 원료와 코우크스 및 용제가 혼합된 혼합물은 기 용융되어 있는 코발트 용탕에 투입되어 가열하여 용융시킨다. 이때, 양극원료물질 내 알루미늄 포일의 반응이 시작되면 격렬한 산화반응에 의해 용탕의 온도가 상승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온도 세팅이 요구된다. 용융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알루미늄 등 불순물의 제거 성능의 저하와 로벽체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1,350℃ 이상의 온도 범위 내에서 용융되도록 하며 최소한의 반응시간을 고려하여 양극 원료 물질의 투입이 완료된 후 1시간 정도 반응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30) 불순물 분리. 용융처리된 원료물질을 공기분압하에서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자연상태에서 냉각시켜 불순물이 함유된 슬래그 층과 코발트 금속매트 층이 분리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산소부하를 이용할 경우 탄소의 제거효율 증 가에 따른 코발트의 농축효과는 증가하지만, 산소분압이 과도할 경우 환원된 코발트 금속이 재산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고순도 코발트 제조를 위한 2차 건식정련 공정을 고려하여 공기분압하에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S240) 2차 용융. 마지막으로, 1차 건식제련 공정을 통해 제조된 코발트 금속매트는 알루미늄이 제거되고 약 3∼4 중량%의 탄소만이 함유된 매트상이며 고순도의 코발트 금속매트 제조를 위해 2차 정련공정에 1차 가공된 매트를 투입하고 용제 등의 첨가제 없이 산소분압하에서 상기 제련공정과 같은 용융조건으로 용융시켜 특수 제작된 몰드에 출탕함으로써 99.5% 이상의 고순도 금속코발트 잉고트를 제조할 수 있다.
(S300) 음극으로부터 구리 회수.
(S310) 분쇄. 분리된 음극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한다. 분쇄공정은 구리의 분리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음극은 양극과 마찬가지로 40~80mm로 분쇄된다.
(S320) 용융. 음극은 SiO2가 포함된 CaO계 용제와 혼합한 후 가열로에 장입시켜 1,000∼1,300℃의 온도에서 용융처리한다.
(S330) 불순물 분리. 공기분압하에서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자연상태에서 냉각시켜 불순물이 함유된 슬래그 층과 구리 금속매트 층이 분리 형성되도록 한다.
(S400) 격리막으로부터 플라스틱 회수.
(S410) 분쇄. 격리막의 원활한 투입을 위하여 10mm 정도로 분쇄한다.
(S420) 세척. 분쇄된 격리막을 세척조에 투입하여 세척하여 격리막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된 격리막을 탈수 건조한다.
(S430) 압출. 건조된 격리막을 단축 또는 2축 압출기를 이용해 마스터 배치 가공하여 펠릿화함으로써 재생플라스틱을 획득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실시예>
노트북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는 원통형 폐리튬이온전지와 전지를 습식 또는 건식방전방법으로 방전시킨다.
다음으로 코발트산화물, 탄소,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양극 원료물질을 코우크스 및 CaO계 용제와 혼합한 다음, 25℃/분 이상의 가열속도로 1,5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금속코발트를 기 용해한 용탕에 장입 후 1,350℃ 이상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가열한다.
본 발명을 위한 분리장치를 통해 다른 물질은 완벽하게 분리하여 철, 니켈, 구리 등의 불순물이 없는 양극 원료물질 80kg에 코우크스 6kg, SiO2와 CaO를 염기도 1.5 ∼ 3.0에 맞게 혼합하여 가공한 용제 4kg를 혼합하여 베이스메탈용 금속코발트 10∼20kg이 용해되어 있는 유도로의 용탕에 장입하고 물질의 반응공정에 따른 최적 온도제어 하에서 공기투입과 함께 1시간∼2시간 동안 유지한 후 자연 냉각하였다.
위와 같이 코우크스와 용제를 혼합한 상태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 면, 코발트 산화물은 용융되어 용탕을 형성하게 되며, 알루미늄과 탄소성분은 융점이 매우 높은 산화물의 형태로 용제에 흡수되어 낮은 비중에 의해 용탕의 상부에 부유하게 된다. 특히 상기 코우크스는 미세분말상으로 매우 낮은 비중에 의해 부유하려는 성향을 갖는 코발트 산화물이 용제에 흡수되지 않고 금속 매트상으로 환원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용융된 코발트 금속과 산화물상이 분리된다.
상기 방법으로 회수된 코발트 금속매트를 다시 유도로에 장입하고 산소분압하에서 30℃/분의 가열속도로 1,550℃까지 가열하여 카본을 제거하면 고순도의 코발트 금속매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금속매트와 슬래그를 냉각한 후 금속매트 각각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폐리튬이온전지, 폐리튬이온전지 전체를 분쇄하여 양극, 음극을 따로 분리하지 않고 Fe 성분을 제거한 후 건식처리한 경우, 본 발명의 효율적인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양극물질만을 건식처리한 경우의 성분의 비교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7031765575-pat00001
위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분쇄 후 steel 성분만을 제거한 후 건식제련을 통해 제조된 금속매트는 코발트와 구리 성분이 각각 91.81 중량%와 6.85 중량%로 합금상태의 금속매트이나 본 발명에 의해 전처리된 양극물질만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건식제련 한 본 발명의 금속매트는 코발트 함량 99.5 중량% 이상의 고순도 금속매트로 분리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처리조건에 의하여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효과적으로 고가의 코발트를 분리 농축하여 회수할 수 있었으며, 음극물질의 경우 양극물질의 회수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고순도 구리를 회수할 수 있었다.
부가적으로 효율적인 분리장치를 이용해 분리된 양극과 음극 물질로부터 코발트와 구리를 회수하고 남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격리막 또한 간단한 세척 공정을 통해 카본, 소량 잔존하는 코발트 산화물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압출기를 이용해 마스터배치 가공함으로써 백색도가 높아 경제적 가치가 높은 재생플라스틱 펠렛을 회수할 수 있어 폐리튬이온전지의 토탈 물질재활용기술을 실현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 회수방법에 의하면, 원통형 폐리튬이온전지의 건식용융방식을 이용한 재활용기술에 있어 기존의 습식 회수방법과 비교해 공정이 간단하고, 대량처리가 가능하며 특히, 효율적인 분리공정을 이용해 양극, 음극, 격리막을 분리하여 물질을 각각 회수함으로써 전체를 분쇄하여 유가금속을 회수할 경우 발생되는 금속의 순도 저하와 열처리에 의해 소실되는 격리막에 의한 환경오염의 최소화뿐만 아니라 재활용 가능자원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경제적 측면의 효과가 매우 크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각각 유연성 있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진 코발트 함유 양극과 폴리프로필렌 격리막 및 구리 포일에 흑연이 코팅된 음극으로 이루어져 감긴 젤리롤, 내부에 상기 젤리롤이 수용된 밀폐형 스틸 캔으로 구성된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상기 양극과 격리막 및 음극을 분리하는 전처리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쳐 분리된 양극, 격리막 및 음극으로부터 유가금속 또는 재생플라스틱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 단계는, 상기 폐리튬이온전지의 스틸 캔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스틸 캔으로부터 상기 젤리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단계 중 격리막으로부터 재생플라스틱을 회수하는 단계는, 상기 격리막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격리막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격리막을 펠릿형태로 압출하여 재생수지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수단계 중 음극으로부터 구리를 회수하는 단계는, 상기 음극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음극을 SiO2가 포함된 CaO계 용제와 혼합한 후 1,000℃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하는 단계, 상기 용융물을 산소분압 하에서 30분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자연 냉각하여 금속 구리와 불순물로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 회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틸 캔 절단단계에서는 상기 스틸 캔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를 각각 절단하여 상기 스틸 캔의 양측 단부가 개방되도록 하며, 상기 젤리롤 분리단계에서는 상기 길이 방향 양측이 개방된 상기 스틸 캔의 개방부 중 일측에서 상기 젤리롤을 밀어 상기 스틸 캔에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 회수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단계 중 양극으로부터 코발트를 회수하는 단계는, 양극을 파쇄하는 단계, 상기 파쇄된 양극과 용제를 혼합하여 용융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혼합물을 공기분압하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냉각하여 코발트가 포함된 유가금속과 불순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유가금속 매트를 산소부하만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2차 용융하여 코발트 매트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융단계에서는 유도로에 코발트 금속을 용해한 용탕, 코우크스 및 SiO2가 포함된 CaO계 용제 및 파쇄된 양극을 혼합하여 용융하며,
    상기 코우크스는 탄소함량 93% 이상의 것으로서 상기 양극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7∼12 중량%가 혼합되고, 상기 용제는 염기도(CaO/SiO2 비율)가 1.5∼3.0 이내이며 슬래그비(슬래그 중량/금속중량)가 0.05 이상이 되도록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 회수방법.
  7. 삭제
  8. 삭제
KR20070040999A 2007-04-26 2007-04-26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회수방법 KR100796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0999A KR100796369B1 (ko) 2007-04-26 2007-04-26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회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0999A KR100796369B1 (ko) 2007-04-26 2007-04-26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회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369B1 true KR100796369B1 (ko) 2008-01-21

Family

ID=3921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40999A KR100796369B1 (ko) 2007-04-26 2007-04-26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회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36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5915A1 (en) * 2009-09-25 2011-03-31 Umicore Process for the valorization of metals from li-ion batteries
EP2601323A1 (de) * 2009-10-14 2013-06-12 SGL Carbon SE VERFAHREN UND REAKTOR ZUR AUFBEREITUNG VON Li-HALTIGEN SCHÜTTGUT
DE102014116378A1 (de) 2014-11-10 2016-05-12 Schott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laskeramischen Ionenleiters
KR101621312B1 (ko) 2015-10-15 2016-05-16 이치헌 리튬이온2차전지의 자원재활용방법
KR101808121B1 (ko) 2016-08-24 2017-12-1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폐리튬전지의 희유금속 회수방법
CN109449525A (zh) * 2018-12-21 2019-03-08 湖南锐异资环科技有限公司 废旧锂电池电解液的无害化回收处理方法及装置
CN111403838A (zh) * 2019-12-23 2020-07-10 余姚市鑫和电池材料有限公司 一种退役动力锂电池隔膜纸回收再利用方法
KR102188889B1 (ko) 2019-07-25 2020-12-10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폐 리튬이차전지의 유가물질 회수 방법
CN114024049A (zh) * 2020-12-22 2022-02-08 深圳清研装备科技有限公司 废弃钴酸锂电池石墨负极再生方法
CN117305604A (zh) * 2023-11-29 2023-12-29 湖南五创循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还原气化与连续膜分离技术协同回收钴酸锂电池中有价金属的方法
WO2024080557A1 (ko) * 2022-10-12 2024-04-18 포스코홀딩스 주식회사 폐배터리 재활용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7967A (ja) * 1995-04-18 1996-11-01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使用済みリチウム二次電池からのコバルト、銅、リチウムの回収方法
JPH1177011A (ja) 1997-09-02 1999-03-2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廃バッテリからの有価物の回収方法
JP2000067935A (ja) 1998-08-25 2000-03-0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廃ニッケル・水素二次電池からの有価物回収方法
KR20010106562A (ko) * 2000-05-22 2001-12-07 김인석 폐리튬이차전지의 재활용방법
KR100448273B1 (ko) 2002-02-25 2004-09-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코발트를 회수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7967A (ja) * 1995-04-18 1996-11-01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使用済みリチウム二次電池からのコバルト、銅、リチウムの回収方法
JPH1177011A (ja) 1997-09-02 1999-03-2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廃バッテリからの有価物の回収方法
JP2000067935A (ja) 1998-08-25 2000-03-0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廃ニッケル・水素二次電池からの有価物回収方法
KR20010106562A (ko) * 2000-05-22 2001-12-07 김인석 폐리튬이차전지의 재활용방법
KR100448273B1 (ko) 2002-02-25 2004-09-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코발트를 회수하는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5915A1 (en) * 2009-09-25 2011-03-31 Umicore Process for the valorization of metals from li-ion batteries
US8840702B2 (en) 2009-09-25 2014-09-23 Umlcore Process for the valorization of metals from Li-ion batteries
EP2601323A1 (de) * 2009-10-14 2013-06-12 SGL Carbon SE VERFAHREN UND REAKTOR ZUR AUFBEREITUNG VON Li-HALTIGEN SCHÜTTGUT
DE102014116378A1 (de) 2014-11-10 2016-05-12 Schott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laskeramischen Ionenleiters
KR101621312B1 (ko) 2015-10-15 2016-05-16 이치헌 리튬이온2차전지의 자원재활용방법
KR101808121B1 (ko) 2016-08-24 2017-12-1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폐리튬전지의 희유금속 회수방법
CN109449525A (zh) * 2018-12-21 2019-03-08 湖南锐异资环科技有限公司 废旧锂电池电解液的无害化回收处理方法及装置
CN109449525B (zh) * 2018-12-21 2023-09-26 中南大学 废旧锂电池电解液的无害化回收处理方法及装置
KR102188889B1 (ko) 2019-07-25 2020-12-10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폐 리튬이차전지의 유가물질 회수 방법
CN111403838A (zh) * 2019-12-23 2020-07-10 余姚市鑫和电池材料有限公司 一种退役动力锂电池隔膜纸回收再利用方法
CN114024049A (zh) * 2020-12-22 2022-02-08 深圳清研装备科技有限公司 废弃钴酸锂电池石墨负极再生方法
CN114024049B (zh) * 2020-12-22 2024-04-16 深圳清研锂业科技有限公司 废弃钴酸锂电池石墨负极再生方法
WO2024080557A1 (ko) * 2022-10-12 2024-04-18 포스코홀딩스 주식회사 폐배터리 재활용 방법
CN117305604A (zh) * 2023-11-29 2023-12-29 湖南五创循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还原气化与连续膜分离技术协同回收钴酸锂电池中有价金属的方法
CN117305604B (zh) * 2023-11-29 2024-02-23 湖南五创循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还原气化与连续膜分离技术协同回收钴酸锂电池中有价金属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369B1 (ko)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 및 재생플라스틱의회수방법
Yu et al. Pretreatment options for the recycling of spent lithium-ion batteries: A comprehensive review
JP7249781B2 (ja) 使用済みLiイオン電池から金属を回収する方法
CN105375077B (zh) 回收利用锂离子电池电极材料的方法
CN101519726B (zh) 一种直接焙烧处理废旧锂离子电池及回收有价金属的方法
EP2312686B1 (en) Method for implementing full cycle regeneration of waste lead acid battery
KR100717389B1 (ko) 폐리튬이온전지의 유가금속 회수방법
WO2017145099A1 (en) Process for recovery of pure cobalt oxide from spent lithium ion batteries with high manganese content
Yi et al. Technology for recycling and regenerating graphite from spent lithium-ion batteries
CN111261968B (zh) 一种无损回收废旧磷酸铁锂电池电极材料的方法
CN104810566B (zh) 一种废旧磷酸铁锂动力电池绿色回收处理方法
WO2018047147A1 (en) Process for recovering pure cobalt and nickel from spent lithium batteries
EP3269832B1 (en) Method of recycling and processing waste battery
CN102637921A (zh) 一种新型高效废旧锂离子电池资源化综合利用方法
CN101603126B (zh) 一种废旧锂电池正极活性材料的高效浸出工艺
KR20120126946A (ko) 리튬이온전지의 재생공정을 위한 전처리방법
CN110828888A (zh) 锂离子电池正极材料的全干法提纯方法及提纯得到的锂离子电池正极材料
Dobó et al. A review on recycling of spent lithium-ion batteries
JP7271833B2 (ja) リチウムの回収方法
KR100358528B1 (ko) 폐리튬이차전지의 재활용방법
CN107317048A (zh) 从废旧锂离子电池负极材料中回收铜箔和石墨的方法
WO2022267419A1 (zh) 一种回收废旧锂离子电池粉中单质铜的方法和应用
CN110034350A (zh) 低氧裂解综合回收废旧锂电池的方法
CN104183887A (zh) 一种废旧LiCoO2电池绿色拆解分离回收方法
Traore et al. Characteristics of spent lithium ion batteries and their recycling potential using flotation separation: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