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970B1 - 어류 선별기 - Google Patents

어류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970B1
KR100777970B1 KR1020070011398A KR20070011398A KR100777970B1 KR 100777970 B1 KR100777970 B1 KR 100777970B1 KR 1020070011398 A KR1020070011398 A KR 1020070011398A KR 20070011398 A KR20070011398 A KR 20070011398A KR 100777970 B1 KR100777970 B1 KR 100777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s
upper rollers
roller
fish
low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호 filed Critical 김윤호
Priority to KR102007001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970B1/ko
Priority to CNA2007100875573A priority patent/CN10123882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2Apparatus having only parallel elements
    • B07B1/14Rolle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두 개의 상부 롤러와 한 개의 하부롤러로 구성되어 새우, 멸치, 광어, 굴 등의 어패류를 크기별로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어류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된 어류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어류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환경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효과적인 선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어류, 선별기, 새우, 광어, 굴, 멸치, 롤러

Description

어류 선별기{Fish Sizer}
도 1a 내지 1d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별기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별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선별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선별부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롤러 사이의 간격을 표시한 단면도.
도 5는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선별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선별부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선별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선별부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선별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b와 8c는 선별부의 배치상태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
도 9는 실시예5에 따른 선별부의 롤러 배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실시예6에 따른 선별부의 롤러 배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선별기에서 배출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을 나타낸 예 시도.
도 12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a와 13b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효과를 비교한 개념도.
본 발명은 어류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두 개의 상부 롤러와 한 개의 하부롤러로 구성되어 새우, 멸치, 광어, 굴 등의 어패류를 크기별로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어류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새우나 멸치같은 어류는 크기별로 가격이 달라지므로 길이나 두께별로 구분하여 유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선별기들이 개시되고 있다.
종래에 개시된 선별기에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 특허등록된 '측방향으로 진동하는 로라선별기'(특허 제465405호), '로라선별기'(특허 제465404호), '회전롤러 선별장치'(특허 제642077호), '선별기'(특허 제652225호) 등이 있다.
도 1a 내지 1d는 특허 제642077호 '회전롤러 선별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새우나 멸치와 같은 선별대상 어류(10)를 투입부(1402)를 통해 투입하면 회전모터(1302)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롤러(1202) 사이로 떨어지면서 크기별로 분류가 된다.
회전롤러(1202)는 일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어서 어류(10)가 자연스럽게 아래쪽 배출구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회전롤러(1202)의 기울기는 경사조절부(1700)에 의하여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회전롤러(1202)의 상부에는 도 1b에서와 같이, 가이드롤러(1204)가 구비되어 있어서 어류(10)가 바깥으로 튀어나가지 않고 두 개의 회전롤러(1202) 사이로 내려올 수 있다.
도 1c에는 가이드롤러(1204)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판(1206)이 도시되어 있는데, 가이드판(1206)은 투입부로부터 내려온 어류(10)가 튀어오르면서 인접한 회전롤러(1202) 사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상하로 배치된 회전롤러(1202)의 층수에 따라 선별되는 어류(10)의 종류를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한 쌍의 회전롤러(1202)를 수평으로 다수 개 설치함으로써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선별되는 어류(1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한 쌍의 회전롤러(120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간격이 넓게 설정된 상부 회전롤러(1202) 아래에 간격이 좁게 설정된 하부 회전롤러(1202)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다양한 크기별로 어류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만약 세 쌍의 선별부(여섯 개의 회전롤러로 구성)를 수평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회전모터(1302a, 1302b)를 구비하여 세 개씩의 회전롤러(1202)를 번갈아 회전시킴으로써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세 쌍의 회전롤러(1202)를 구현할 수 있으며,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선별기를 사용하는 경우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1202) 사이의 간격에 따라 어류(10)의 크기가 선별될 것이다.
그러나 선별작업을 원활하게 하고, 어류(10)가 바깥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하려면 가이드롤러(1204)와 가이드판(1206)을 설치하여야 하고, 하나의 선별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1202)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살아있는 어류(10)를 선별할 때에는 어류(10)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하여 신속하게 선별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선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신속한 선별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살아있는 어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어류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두 개의 상부롤러와,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 아래쪽에 배치되는 하나의 하부롤러로 이루어지는 선별부와;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선별부를 고정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은 동일 평면상에 서로 나란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롤러의 중심축은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의 가운데로부터 수직 하방의 위치에서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이 위치한 평면에 대하여 0˚ 보다는 크고 15˚ 보다는 작은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두 개의 상부롤러와,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 아래쪽에 배치되는 하나의 하부롤러로 이루어지는 선별부와;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선별부를 고정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은 동일 평면상에서 0˚ 보다는 크고 15˚ 보다는 작은 각도만큼 벌어져 부채살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롤러의 중심축은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의 가운데로부터 수직 하방의 위치에서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이 위치한 평면과 나란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두 개의 상부롤러와,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 아래쪽에 배치되는 하나의 하부롤러로 이루어지는 선별부와;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선별부를 고정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은 동일 평면상에서 0˚ 보다는 크고 15˚ 보다는 작은 각도만큼 벌어져 부채살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롤러의 중심축은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의 가운데로부터 수직 하방의 위치에서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이 위치한 평면에 대하여 0˚ 보다는 크고 15˚ 보다는 작은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롤러 또는 상기 하부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간격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상부롤러 및 상기 하부롤러는 원통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롤러 또는 상기 하부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간격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중심축이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이 위치한 평면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한 평면에 놓인 채 설치되는 두 개의 가이드롤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가이드롤러의 중심축이 이격된 거리는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이 이격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류 선별기(이하 '선별기'라 한다)를 설명한다.
본 선별기에 사용되는 각종 구성요소들 중에는 종래 개시된 롤러 선별기에 사용되었던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미 공개되어 있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선별기(100)에도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프레임, 투입부, 회전모터, 컨베이어 벨트, 배출슈트, 경사조절부, 이동바퀴 등의 구성이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별기(100) 역시 투입구로부터 배출구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경사진 채 회전하는 롤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차이점은 선별부(110)의 구성과 작동원리가 다르다는 점이다.
실시예1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선별부(11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3b는 선별부(110)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a와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별부(11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부롤러(112a)와, 한 쌍의 상부롤러(112a) 아래에 위치한 한 개의 하부롤 러(112b)로 이루어진다.
세 개의 롤러(112a, 112b)의 회전축은 모두 평행이며, 선별부(110)는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장어와 같은 어류는 선별부(110)가 기울어져 있지 않아도 스스로 움직이면서 롤러(112a, 112b) 사이를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으므로, 선별부(110)가 지면과 평행으로 배치되어도 소정의 선별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세 개의 롤러(112a, 112b)는 모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원통형이다.
도 3b에서와 같이, 하부롤러(112b)의 중심축은 두 개의 상부롤러(112a)의 중심축의 가운데로부터 수직 하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하부롤러(112b)의 중심으로부터 두 개의 상부롤러(112a)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모두 동일하다.
또한 상부롤러(112a)와 하부롤러(112b)는 서로 동일한 방향이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롤러(112a, 112b)의 회전을 위해서는 회전모터 또는 유압모터(도면 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롤러(112a, 112b) 사이의 간격을 표시한 것으로서, 상부롤러(112a) 사이는 가이드구간(G)이며, 상부롤러(112a)와 하부롤러(112b) 사이는 투과구간(P)이다.
가이드구간(G)는 선별대상이 되는 어류(10)의 대부분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롤러(112a) 사이에 어류(10)를 투입하면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상부 롤러(112a) 사이로 떨어져서 하부롤러(112b)의 표면에 닿게 된다. 이때 하부롤러(112b) 역시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어류(10)는 떨어진 위치에 따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만약 어류(10)의 지름이나 두께가 투과구간(P)보다 작다면, 어류(10)는 투과구간(P)을 통과한 후, 선별기(100)의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반대로 어류(10)의 지름이나 두께가 투과구간(P)보다 크다면, 어류(10)는 투과구간(P)을 통과하지 못한 채, 하부롤러(112b)의 위쪽 표면을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 흘러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이 투과구간(P)의 크기를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로 어류(10)를 선별할 수 있게 된다.
투과구간(P)의 크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롤러(112b)를 수직방향으로 평행이동하면서 조절할 수 있지만, 이와 반대로 상부롤러(112a)를 이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롤러(112a, 112b)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방식은 종래기술에 나타난 바와 같은 간격조절부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이동수단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2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선별부(21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6b는 선별부(210)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실시예2에 사용된 롤러(212a, 212b) 역시 세 개의 롤러(212a, 212b)의 회전축이 모두 평행이면서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고,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만, 세 개의 롤러(212a, 212b)가 원통 형상이 아니며,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단면적이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이라는 점이 실시예1과 다른 점이다.
바람직하게는 경사가 기울어진 아래방향으로 갈수록 롤러(212a, 212b)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두 개의 상부롤러(212a) 사이에 어류(10)를 투입하면, 앞에서와 같이 가이드구간(G)을 통해 투입된 후, 투과구간(P)과 비교하여 작은 어류(10)는 투과구간(P)을 통과하여 수직 아래로, 큰 어류(10)는 하부롤러(212b)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선별부(210)를 구성하는 모든 세 개의 롤러(212a, 212b)가 원뿔대 형상이어서 길이방향으로 지름의 크기가 달라진다. 다시 말해서 높은 쪽(투입구 근처)의 투과구간(P)의 크기가 낮은 쪽(배출구 근처)의 투과구간(P)의 크기보다 작다.
따라서 투입구와 가까운 곳에는 작은 어류(10)가, 투입구와 먼 곳에는 큰 어류(10)가 선별될 것이다. 선별기(100)의 사용자는 적절한 위치에 수집통을 배치함으로써 필요한 방식으로 어류(10)를 선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과구간(P)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실시예3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선별부(31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7b는 선별부(310)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실시예3에 따른 선별부(310)에는 원통 형상의 롤러(312a, 312b)가 사용되는데, 상부롤러(312a)의 회전축과 하부롤러(312b)의 회전축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벌어져 있는 구조이다. 두 개의 상부롤러(312a)의 중심축은 동일 평면상에 서로 나란한 상태로 배치되며, 하부롤러(312b)의 중심축은 두 개의 상부롤러(312a)의 중심축이 위치한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라 함은 0˚ 보다는 크고 15˚ 보다는 작은 각도를 말한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상부롤러(312a)와 하부롤러(312b)의 간격이 점점 크게 벌어지는 것이다.
롤러(312a, 312b) 자체는 원통 형상이지만 상부롤러(312a)와 하부롤러(312b)의 회전축이 서로 평행이 아니므로 배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투과구간(P)의 크기가 점점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투입구로부터 배출구 방향으로 적절한 구간을 선정하여 수집통을 위치시키면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어류(10)를 선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과구간(P)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은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즉, 상부롤러(312a) 또는 하부롤러(312b)를 수직으로 평행이동하는 제1방법과, 상부롤러(312a)와 하부롤러(312b)의 회전축이 벌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제2방법이다.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적절한 간격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실시예4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선별부(41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8b와 8c는 선별부(410)의 배치상태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실시예4에 따른 선별부(410)는 원통 형상의 롤러(412a, 412b)를 사용하지만, 롤러(412a, 412b)의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롤러(412a) 두 개는 평행이 아닌 상태로 배치된다. 두 개의 상부롤러(412a)의 중심축은 동일 평면상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벌어져 부채살 형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투입구로부터 배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롤러 사이의 간격이 더 벌어지는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하부롤러(412b)의 중심축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롤러(412a)의 중심축이 놓여진 평면과 나란한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라 함은 0˚ 보다는 크고 15˚ 보다는 작은 각도를 말한다.
실시예4도 앞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투입구로부터 배출구로 가면서 투과구간(P)의 간격이 커지므로 적절한 크기를 조절하여 어류(10)를 선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투과구간(P)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은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즉, 두 개의 상부롤러(412a)의 회전축이 벌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제1방법과, 하부롤러(412a) 또는 상부롤러(412b)를 수직으로 평행이동하는 제2방법이다.
실시예5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선별부(510)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실시예5에 따른 선별부(510)는 실시예4와 같이 상부롤러(512a)가 부채살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상부롤러(512a)와 하부롤러(512b)가 평행이 아닌 소정의 각도만큼 벌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다르다.
즉 두 개의 상부롤러(512a)는 실시예4와 같이, 상부롤러(512a)와 하부롤러(512b)는 실시예3과 같이 배치되는 것이다.
실시예6
앞서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상부롤러, 한 개의 하부롤러를 이용하여 어류(10)를 선별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어류(10)의 종류나 크기, 상태 등에 따라서는 두 개씩의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6에 따른 선별부(610)의 롤러 배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부롤러(612a)는 가이드구간(G)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두 개의 하부롤러(612b)는 상부롤러(612a)의 표면으로부터 투과구간(P)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롤러(612a, 612b)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경우에는 앞서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하나의 선별부(610)에 세 개의 투과구간(P)이 형성되므로 보다 많은 양의 선별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선별기(100)에서 배출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 중에서 실시예2,3,4,5의 선별부(210, 310, 410, 5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입구로부터 배출구로 진행하면서 선별되는 어류(10)의 크기가 점점 커지게 된다. 즉 투입구와 가까운 곳에는 작은 어류(10)가, 먼 곳에는 큰 어류(10)가 쌓이게 된다. 사용자는 배출구의 숫자와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용도에 맞게 선별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실시예1,6의 선별부(110, 6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별부(110, 610)의 하단부에는 작은 어류(10)가, 말단부에는 큰 어류(10)가 쌓이게 되므로 선별부(110, 610)의 중간에 배출구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배출슈트(120)는 실시예2,3,4,5의 선별부(210, 310, 410, 510)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부(210, 310, 410, 510) 하부에 위치한 역 V 자 모양의 배출슈트(120)는 프레임(102)의 양측면 레일위에 놓여지며, 볼트에 의해서 고정된다. 배출슈트(12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볼트를 풀고 레일을 따라 배출슈트(120)를 이동시킨 후, 다시 볼트를 잠근다.
도 11에서는 배출슈트(120)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어서 선별대상이 되는 어류(10)를 두 가지 크기로 나눌 수 있지만, 배출슈트(120)가 두 개가 되면 세 가지 크기로 어류(10)를 나눌 수 있을 것이다. 배출슈트(120)의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다수의 상부롤러(U)와 하부롤러(L)는 상부브라켓(132)과 하부브라켓(134)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부브라켓(132)에는 가이드롤러(140)가 구비되는데, 가이드롤러(140)는 상부롤러(U)의 양 바깥쪽에 설치된다.
가이드롤러(140)는 두 개의 상부롤러(U)가 이격된 거리보다 더 멀리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며, 가이드롤러(140)의 중심축은 두 개의 상부롤러(U)의 중심축이 위치한 평면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한 평면에 놓여진다.
가이드롤러(140)는 어류(10)가 선별부(110) 바깥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어류(10)가 손상없이 선별부(11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선별되는 어류(1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136)를 돌리면서 상부브라켓(132) 또는 하부브라켓(134)을 상하로 이동시켜 간격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도 13a와 13b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효과를 비교한 개념도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를 이용한 선별기에서는 상당히 큰 어류가 투입되었을 때, 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일측으로 밀려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는 가이드구간 의 크기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상부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한쪽으로 밀려가는 경우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또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이 흔들리거나 기울어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선별기를 사용하여도 별 어려움없이 선별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어선에 선별기를 설치하고, 그물에서 어류를 잡아올리는 것과 동시에 바로 선별작업을 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이외에 선별기를 구성하는 다른 요소들은 종래에 개시된 통상적인 장치와 동일하다. 가령, 각각의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의 경우, 하나의 롤러마다 하나의 모터를 구비하여 직접 회전을 시킬 수도 있지만, 한 개 또는 두 개의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일 가장자리에 있는 롤러에는 직접 모터를 연결하고, 인접한 롤러는 타임벨트 또는 체인 등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롤러가 설치된 브라켓을 상하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에 손잡이를 부착하고, 각각의 브라켓에 연결하여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브라켓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된 어류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어류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환경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효과적인 선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두 개의 상부롤러와,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 아래쪽에 배치되는 하나의 하부롤러로 이루어지는 선별부와;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선별부를 고정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은 동일 평면상에 서로 나란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롤러의 중심축은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의 가운데로부터 수직 하방의 위치에서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이 위치한 평면에 대하여 0˚ 보다는 크고 15˚ 보다는 작은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기.
  4. 두 개의 상부롤러와,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 아래쪽에 배치되는 하나의 하부롤러로 이루어지는 선별부와;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선별부를 고정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은 동일 평면상에서 0˚ 보다는 크고 15˚ 보다는 작은 각도만큼 벌어져 부채살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롤러의 중심축은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의 가운데로부터 수직 하방의 위치에서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이 위치한 평면과 나란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기.
  5. 두 개의 상부롤러와,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 아래쪽에 배치되는 하나의 하부롤러로 이루어지는 선별부와;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선별부를 고정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은 동일 평면상에서 0˚ 보다는 크고 15˚ 보다는 작은 각도만큼 벌어져 부채살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롤러의 중심축은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의 가운데로부터 수직 하방의 위치에서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이 위치한 평면에 대하여 0˚ 보다는 크고 15˚ 보다는 작은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 또는 상기 하부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간격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어류 선별기.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 및 상기 하부롤러는
    원통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기.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중심축이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이 위치한 평면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한 평면에 놓인 채 설치되는 두 개의 가이드롤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가이드롤러의 중심축이 이격된 거리는 상기 두 개의 상부롤러의 중심축이 이격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기.
KR1020070011398A 2007-02-05 2007-02-05 어류 선별기 KR100777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398A KR100777970B1 (ko) 2007-02-05 2007-02-05 어류 선별기
CNA2007100875573A CN101238829A (zh) 2007-02-05 2007-04-02 鱼类筛选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398A KR100777970B1 (ko) 2007-02-05 2007-02-05 어류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970B1 true KR100777970B1 (ko) 2007-11-28

Family

ID=3908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398A KR100777970B1 (ko) 2007-02-05 2007-02-05 어류 선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77970B1 (ko)
CN (1) CN10123882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937B1 (ko) 2010-01-27 2013-04-04 김미경 어류 선별장치
CN111229606A (zh) * 2020-02-18 2020-06-05 上海海洋大学 一种轴转式秋刀鱼鱼体初级选别机
KR20210146073A (ko) * 2020-05-26 2021-12-03 김정명 수산물선별기
KR102437134B1 (ko) * 2021-11-17 2022-08-29 장해욱 농수산물 크기 선별기
KR20220152496A (ko) * 2021-05-09 2022-11-16 박성원 패류 선별장치
CN115350899A (zh) * 2022-09-20 2022-11-18 四川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青虾快速称量分拣装置与分拣方法
KR102490175B1 (ko) * 2022-08-04 2023-01-19 금호마린테크 (주) 어류 선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294A1 (en) * 2015-12-30 2017-07-06 Marin Biogas Apparatus and method to separate ascidians
CN106942093B (zh) * 2017-05-10 2020-06-30 重庆市春旭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巢蜜取蜜装置和巢蜜生产线
CN112042585A (zh) * 2020-07-21 2020-12-08 江苏食品药品职业技术学院 一种泥鳅筛选装置
NO346460B1 (no) * 2020-09-22 2022-08-29 Kenneth Myklebust Fiskevennlig sorteringsmaski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8879U (ja) 1981-10-09 1983-04-21 林 四郎 活魚大小選別装置
EP1212940A1 (en) 2000-10-26 2002-06-12 Giuseppe Pighin Adjustable size selection device for ichthyological products
JP2004089079A (ja) 2002-08-30 2004-03-25 Unjiyou Senpaku Kogyo Kk 魚分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8879U (ja) 1981-10-09 1983-04-21 林 四郎 活魚大小選別装置
EP1212940A1 (en) 2000-10-26 2002-06-12 Giuseppe Pighin Adjustable size selection device for ichthyological products
JP2004089079A (ja) 2002-08-30 2004-03-25 Unjiyou Senpaku Kogyo Kk 魚分別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937B1 (ko) 2010-01-27 2013-04-04 김미경 어류 선별장치
CN111229606A (zh) * 2020-02-18 2020-06-05 上海海洋大学 一种轴转式秋刀鱼鱼体初级选别机
KR20210146073A (ko) * 2020-05-26 2021-12-03 김정명 수산물선별기
KR102480371B1 (ko) 2020-05-26 2022-12-22 김정명 수산물선별기
KR20220152496A (ko) * 2021-05-09 2022-11-16 박성원 패류 선별장치
KR102600708B1 (ko) 2021-05-09 2023-11-08 박성원 패류 선별장치
KR102437134B1 (ko) * 2021-11-17 2022-08-29 장해욱 농수산물 크기 선별기
KR102490175B1 (ko) * 2022-08-04 2023-01-19 금호마린테크 (주) 어류 선별기
CN115350899A (zh) * 2022-09-20 2022-11-18 四川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青虾快速称量分拣装置与分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8829A (zh)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970B1 (ko) 어류 선별기
US59609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recycled material
US43177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a mixture of pieces or fragments of different materials and having different sizes into two or more fractions
SE454711B (sv) Roterbar separationskorg med kopplingsorgan till redskapsberare
US20100012556A1 (en) Rotating screen material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KR950000229A (ko) 선별기
KR101341224B1 (ko) 진동수단이 부가된 라운드벨트 컨베이어 선별기
KR101282235B1 (ko) 구근 선별기
KR100639257B1 (ko) 생새우의 선별장치
JP6842023B2 (ja) 芋類の切断装置
KR101302871B1 (ko) 피잣 선별장치
US202201764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rge debris conveyance
CA2318676A1 (en) Wood aligning and orienting conveyor
KR20040027828A (ko) 선별기
JP6893829B2 (ja) 分別機構及びそれを使用した異物選別装置
KR101296255B1 (ko) 함수율 높은 토사 선별용 이중 디스크 선별기 및 이를 이용한 토사 선별 장치
KR20090044275A (ko) 산업폐기물 처리를 위한 이송장치
JP3761125B2 (ja) 選別装置用ベルトコンベヤ
JP2019025442A (ja) 粒度選別装置
KR20060091089A (ko) 새우선별기
KR200419196Y1 (ko) 목재칩 이송장치
NL8602843A (nl) Inrichting voor het naar grootte sorteren van bol- en knolgewassen.
FI117799B (fi) Hakeseula
JPH0458843A (ja) 魚体選別機
NZ510942A (en) Roller and planar sor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