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235B1 - 구근 선별기 - Google Patents

구근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235B1
KR101282235B1 KR1020120072070A KR20120072070A KR101282235B1 KR 101282235 B1 KR101282235 B1 KR 101282235B1 KR 1020120072070 A KR1020120072070 A KR 1020120072070A KR 20120072070 A KR20120072070 A KR 20120072070A KR 101282235 B1 KR101282235 B1 KR 101282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bulb
bulbs
ga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흥수
Original Assignee
안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흥수 filed Critical 안흥수
Priority to KR1020120072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구근이 투입되는 투입부; 구근을 크기 별로 선별하는 선별부; 및 크기 별로 선별된 구근을 각각의 용기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선별부는 상기 투입부 측에서 상기 배출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적층 설치되되, 각각의 선별판이, 상기 선별틈새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선별봉; 및 상기 복수의 선별봉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선별봉이 고정형으로 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선별틈새의 간격과 유사한 크기의 구근이 선별틈새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접촉저항을 최소화하여 선별판에 가해지는 진동만으로도 선별틈새에서의 구근 걸림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구근 선별기의 선별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구근 선별기{Bulb sorter}
본 발명은 구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합, 튤립 등과 같은 구근식물의 뿌리를 크기 별로 선별함에 있어 선별판의 선별봉을 회전시키지 않고도 선별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구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근 선별기는 백합이나 튤립과 같은 구근류 화초의 뿌리를 크기 별로 선별하는 장치로서, 기존에 수작업에 의하던 구근 선별작업의 능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으며, 이러한 구근 선별기의 일례가 동록실용신안20-0167498, 등록특허10-0992605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근 선별기는 대부분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선별봉(121)을 구비한 복수의 선별판(111,112,113)에 의해 구근(120)을 크기 별로 선별하는 바, 각각의 선별판(111,112,113)은 이웃한 선별봉(121) 사이에 형성되는 선별틈새에 의해 선별될 구근(120)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선별틈새의 간격이 가장 긴 것이 상단에, 반대로 가장 짧은 것이 하단에, 그리고 중간 길이의 것이 중단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각각의 선별봉(121)은 선별틈새를 통한 구근(120)의 통과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구동모터(137)와 벨트(133) 및 풀리(135)로 이루어진 전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바, 회전하는 선별봉(121)과 선별봉(121) 사이의 선별틈새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선별봉(121)의 단면 형상이 반드시 원형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선별봉(121)의 단면을 원형으로 할 경우, 도 4에 은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횡으로 긴 타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구근(120) 중 선별틈새의 간격보다 약간 큰 장직경을 갖는 구근(120)은 옆으로 기운 상태로 선별틈새를 통과할 때, 선별봉(121)과의 접촉면이 넓어짐으로써, 접촉저항이 증대되어 쉽게 선별틈새에 걸리며, 따라서 선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선별판(111,112,113)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각각의 선별봉(121)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는 구근의 이동은 물론, 이동하지 못하고 선별틈새를 통과하는 구근의 동작을 촉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선별봉(121)을 회전 구동시키는 메커니즘과 선별판(111,112,113)을 진동시키는 메커니즘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므로, 즉, 구동모터(137)에 의해 선별봉(121)이 회전하는 선별판(111,112,113)을 간섭없이 진동시켜야 하므로, 관련된 지지 및 연결구조가 매우 복잡해 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별봉의 회전 메커니즘과 선별판의 진동 메커니즘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여 구근 선별기 전체의 구조를 간단화하고, 진동 메커니즘 만으로도 선별판의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별하고자 하는 구근이 외부에서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구근을 크기 별로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에 의해 크기 별로 선별된 구근을 각각의 용기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선별부는 상기 투입부 측에서 상기 배출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적층 설치되되, 상측에 배치될수록 구근을 통과시키는 선별틈새의 간격이 더 벌어져 구근을 크기 별로 선별하는 복수의 선별판;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선별판은, 상기 선별틈새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선별봉; 및 상기 복수의 선별봉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근 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별봉은 횡단면 형상이 각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선별틈새를 통과하는 구근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별봉은 횡단면 형상이 마름모꼴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별봉은 횡단면 형상이 십자형과 마름모꼴의 중간 형태인 별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속이 빈 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별봉은 전후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통체 내부로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선별판을 진동시켜, 각각의 상기 선별판에 의한 구근의 이송 및 선별틈새를 통한 구근의 통과를 촉진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별판의 위쪽에서 선별판을 가로질러 배열되면서 구근 이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근의 표면을 닦아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정부는 상기 선별판 위쪽에 고정되어, 상기 선별판을 따라 이송되는 구근과의 상대 이동에 따른 마찰에 의해 구근의 표면을 세정하는 고정형 브러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정부는 상기 선별판 위쪽에 장착되어, 상기 선별판을 따라 이송되는 구근의 표면을 회전 접촉에 의해 세정하는 회전형 브러시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근 선별기에 의하면, 구근을 선별하는 선별판의 선별봉이 지지프레임 상에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선별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이 필요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선별판에 진동을 주는 진동 메커니즘과 회전 메커니즘의 간섭을 염려할 필요가 없어 전체적인 구조의 간단화와 이에 따른 원가 절감 및 성능 저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선별봉을 회전하지 않는 고정형으로 제작하더라도 선별봉의 횡단면 형상을 각형이 되도록 함으로써, 선별틈새의 간격과 유사한 크기의 구근이 선별틈새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접촉저항을 최소화하여 선별판에 가해지는 진동만으로도 선별틈새에서의 구근 걸림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구근 선별기의 선별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고정형 또는 회전형 브러시와 같은 세정부에 의해 선별판을 따라 이송되는 구근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 등을 이송 도중에 제거할 수 있으므로, 구근을 선별과 동시에 세정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구근 선별기를 개략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 선별기를 개략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적층 구조의 선별판을 개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별봉의 횡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선별판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선별판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고정형 브러시가 부착된 선별판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회전형 브러시가 부착된 선별판의 부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근 선별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근 선별기는 백합이나 튤립의 구근 등 다양한 종류의 구근을 선별하도록 되어 있는 바,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투입부(3), 선별부(5), 및 배출부(7)로 이루어지며, 진동부(8)와 세정부(9)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투입부(3)는 외부로 개방된 구근 투입구로서, 작업자가 선별하고자 하는 각종 구근(20)을 외부에서 선별기(1)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선별기(1) 상면에 개방되는 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위로 넓어지는 호퍼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7)는 선별된 구근(20)을 배출하는 구근 배출구로서, 아래 설명될 선별부(5)에서 크기 별로 선별된 구근(20)을 각각의 용기(10)로 배출하도록 선별기(1) 하면에 개방되는 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투입부(3)와 마찬가지로 위로 넓어지는 호퍼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별부(5)는 투입부(3)를 통해 투입되는 다양한 크기의 구근(20)을 크기 별로 선별하는 부분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선별판(11,12,1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선별판(11,12,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3)의 배출 측에서 배출부(7)의 투입 측을 향하여 예컨대, 5 내지 8° 정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투입부(3)로부터 투입되는 구근(20)을 선별봉(21)의 경사면을 따라 자중에 의해 배출부(7)까지 이송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선별판(11,12,13)은 복수의 선별봉(21)과 지지프레임(23)으로 구성되는 바, 각각의 선별봉(21)은 소정값 이하의 작은 구근(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웃한 선별봉(21) 또는 지지프레임(23)과 일정한 간격의 선별틈새(g)를 유지하면서 구근(20)의 이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또한, 지지프레임(23)은 선별판(11,12,13)의 테두리 부분으로서, 복수의 선별봉(21)을 양단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선별판(11,12,13)은 이송 중인 구근(20) 중 선별틈새(g)의 간격보다 직경이 작은 구근(20)을 그대로 통과시켜 바로 아래 쪽에 배치된 선별판(11,12,13) 또는 배출부(7)로 투입한다.
따라서, 구근(20)은 선별판(11,12,13)을 따라 배출부(7)까지 이송된 것과, 이송 도중에 선별틈새(g)를 통과하여 아래로 낙하한 것으로 2분되어 그 크기에 따라 선별된다.
또한, 선별부(5)는 구근(20)을 크기에 따라 3 가지 이상의 분류로 선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선별틈새의 간격이 서로 다른 2 개 이상의 선별판(11,12,13)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아래로 적층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측에 배치되는 선별판(11,12,13)일수록 선별틈새의 간격이 더 벌어지게 되는데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선별판(11,12,13)이 3단으로 설치되는 경우, 상단에 위치하는 1차 선별판(11)의 선별틈새(g)가 가장 넓고, 하단에 위치하는 3차 선별판(13)의 선별틈새(g)가 가장 좁으며, 중단에 위치하는 2차 선별판(12)의 선별틈새(g)가 중간 폭을 갖는다. 따라서, 예컨대 선별봉(21)의 직경이 25㎜일 때, 1차 선별판(11)의 선별틈새(g)는 35㎜ 정도되고, 3차 선별판(13)의 선별틈새(g)는 10㎜ 정도되며, 2차 선별판(12)은 그 중간 정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선별판(11,12,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선별봉(21)이 지지프레임(23) 내측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고정되는 바, 각각의 선별봉(21)은 구동 회전은 물론 헛도는 일도 없으며, 횡단면 형상이 각형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것처럼 마름모꼴로 이루어져, 선별틈새(g)를 통과하는 구근(20)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즉, 대부분 횡단면 형상이 횡으로 긴 타원형인 구근(20)은 장직경이 선별틈새(g)의 간격보다 길더라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기운 상태로도 선별틈새(g)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구근(20)은 선별틈새(g)를 이루는 모서리(e1) 및 모서리(e2)와만 접촉하므로, 선별봉(21)의 횡단면 형상이 은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원형일 때보다 절반 정도되는 비율로 선별틈새(g)에 덜 끼이게 된다. 따라서, 각형으로 된 선별봉(21)으로 인해 선별판(11,12,13)은 선별틈새(g)의 간격보다 약간 큰 장직경을 갖는 타원형 구근(20)이 선별틈새(g)를 확실하게 통과하거나, 아니면 선별틈새(g) 중간에 끼이는 일없이 확실하게 선별봉(21)을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선별봉(21)은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횡단면 형상이 십자형과 마름모꼴의 중간 형태인 별모양으로 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선별틈새(g)의 간격과 비슷한 장직경의 구근(20)이 선별틈새(g)를 통과할 때 에지(e1,e2) 외의 부분과 접촉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회피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선별판(11,12,13)은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봉(21)을 지지프레임(23)에 대해 화살표(A)로 표시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작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지지프레임(23)은 도시된 것처럼 속이 빈 통체로 제작되며, 선별봉(21)이 배치되는 지점의 내측 벽면에 선별봉(21)의 전후단을 끼울 수 있는 삽입공(24)이 관통되어 있다. 이때, 선별봉(21)의 전후 끝면이 접하는 지지프레임(23)의 통체 내벽면 상에는 선별봉(21)이 부딪칠 때 발생하는 충격이나 소음을 완화하기 위해 완충패드(39)를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진동부(8)는 복수의 선별판(11,12,13)에 진동을 가하는 수단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선별판(11,12,13) 지지프레임(23)에 인접 설치되어, 선별판(11,12,13)에 떨림을 발생시킴으로써, 선별판(11,12,13)에 의한 구근의 이송은 물론, 선별틈새(g)를 통과하는 구근의 움직임을 촉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세정부(9)는 선별판(11,12,13)을 따라 이송되는 동안 구근(20)의 표면을 닦아 주는 세정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판(11,12,13)의 지지프레임(23)에 고정되어 선별판(11,12,13) 위를 가로질러 배열되는 바, 구근(20)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둘 이상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세정부(9)는 구근(20)을 세정하는 것이면 어떤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나, 특히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구동력을 요하지 않는 고정형으로, 또는 세정을 위해 구동력을 이용하는 회전형으로 대별하여 실시 형태를 달리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형 세정부로는 도 7에 도시된 고정형 브러시(9-1)를 들 수 있다. 이 고정형 브러시(9-1)는 도시된 것처럼 선별판(11,12,13) 위쪽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횡봉(27)에 장착되는 바, 횡봉(27)은 선별판(11,12,13)의 지지프레임(23) 좌우 양측에 부착되어 저면에 부착되는 고정형 브러시(9-1)가 선별판(11,12,13) 위에서 구근(20)의 이송방향을 가로질러 배열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선별판(11,12,13)의 선별틈새(g)를 통해 낙하하지 않고 고정형 브러시(9-1)를 통과하는 구근(20)은 고정형 브러시(9-1)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서 아래로 향한 브러시(9-1)의 세정모(25)와 마찰을 일으켜 표면에 묻은 각종 이물질이 제거된다.
또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세정부(9)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구근(20)의 세정에 구동력을 사용하는 회전형 브러시(9-2)를 들 수 있다. 이 회전형 브러시(9-2)는 세정모(25)가 회전봉(29)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형태로서, 고정형 브러시(9-1)와 마찬가지로 선별판(11,12,13) 위쪽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바, 선별판(11,12,13)의 지지프레임(23) 좌우 양측에 돌출된 축받이(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회전형 브러시(9-2)는 회전봉(29) 양단에 장착되는 벨트(33)와 풀리(35) 같은 전동수단을 통해 구동모터(37)와 연결되어 구동모터(37)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선별판(11,12,13)을 따라 이송되는 구근(20)의 표면을 회전 접촉에 의해 세정한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 선별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근 선별기(1)에 의해 백합이나 튤립 등의 구근(20)을 크기 별로 선별하기 위해서는 먼저, 선별하고자 하는 구근(20)을 투입부(3)를 통해 선별기(1) 안으로 집어넣는다.
선별기(1) 안으로 투입된 구근(20)은 선별부(5)로 이동하는데, 최초 상단에 위치한 1차 선별판(11)으로 이동한다. 이때, 1차 선별판(11)은 선별봉(21)과 선별봉(21) 사이의 선별틈새(g)가 예컨대, 35㎜ 정도로 가장 넓게 벌어져 있으므로, 1차 선별판(11)의 경사를 따라 선별봉(21) 위를 이동하는 구근(20) 중 직경이 35㎜ 이상인 것을 제외한 상대적으로 작은 구근(20) 들은 모두 선별틈새(g)로 빠져 2차 선별판(12) 위로 낙하한다. 반면, 35㎜ 이상의 직경을 갖는 구근(20) 들은 1차 선별틈새(g)를 통과하지 못하고 1차 선별판(11)의 하류단까지 이송되어 배출부(7) 호퍼를 통해 해당 용기(10-1)로 낙하한다.
2차 선별판(12)로 낙하한 구근(20)들은 다시 2차 선별판(12)의 경사를 따라 2차 선별봉(21) 위를 이동하는데, 이때, 1차 선별판(11,12,13)에서와 마찬가지로, 구근(20) 들 중 예컨대 23㎜ 전후로 벌어진 2차 선별봉(21) 사이의 선별틈새(g)를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구근(20) 들은 이 선별틈새(g)를 통해 아래쪽의 3차 선별판(13)으로 낙하하는 반면, 2차 선별틈새(g)를 통과하지 못한 상대적으로 큰 구근(20)들은 2차 선별판(12) 하류단까지 이동하여 배출부(7)를 통해 해당 용기(10-2)로 낙하한다.
3차 선별판(13)으로 낙하한 구근(20) 들도 마찬가지로 3차 선별판(13)을 따라 이동하면서, 3차 선별봉(21) 사이의 선별틈새보다 작은 예컨대, 10㎜ 전후의 직경을 갖는 구근(20) 들은 3차 선별판(13)을 통과하여 도 2의 우측단에 위치하는 해당 용기(10-4)로 낙하하나, 3차 선별틈새(g)를 통과하지 못한 나머지 구근(20) 들은 3차 선별판(13)의 하류단까지 이송되어 배출부(7)를 통해 해당 용기(10-3)로 낙하한다.
이와 같이, 구근(20)들은 각각의 직경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것부터 차례로 용기(10-1)에서 용기(10-4)까지 해당하는 용기에 담겨 크기 별로 선별된다. 이 과정에서 구근(20)은 어떤 것이든 최소 1회 선별틈새(g)와 만나게 되는데, 선별틈새(g)보다 확실하게 큰 구근(20)은 선별판(11,12,13)을 따라 이송되고, 반대로 확실하게 작은 구근(20)은 선별틈새(g)를 통과하여 분명하게 선별이 되지만, 선별틈새(g)보다 약간 큰 구근(20)의 경우에도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옆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선별틈새(g)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구근(20)이 횡으로 긴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갖더라도, 선별봉(21)과 구근(20)의 접촉이 마름모꼴로 된 선별봉(21)의 모서리(e1) 부분에서만 이루어지므로, 접촉면의 면적이 최소화되고 따라서, 선별틈새(g)의 간격과 비슷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구근(20)도 선별틈새(g)에 걸리지 않고, 쉽게 선별판(11,12,13)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선별봉(21)의 단면 형상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별 모양일 때는 선별틈새(g)의 간격과 비슷한 크기의 구근(20)이 선별틈새(g)를 비스듬히 통과할 때, 구근(20)의 표면과 선별봉(21)의 표면이 접촉할 가능성이 더 낮아지므로, 구근(20)은 보다 확실하게 선별틈새(g)에 걸리는 일없이, 선별판(11,12,13)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각의 구근(20)들은 선별판(11,12,13) 위를 이동하는 동안 도 2에서 1차 선별판(11) 위로 장착된 도 7의 고정형 브러시(9-1)를 통과하게 되면, 이 브러시(9-1)와의 상대 이동으로 인한 쓸림에 의해 표면에 묻어 있던 각종 이물질들이 제거된다. 마찬가지로, 구근(20)들은 도 2에서 2차 선별판(12) 위에 장착된 것과 같은 회전형 브러시(9-2)를 통과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회전하는 브러시(9-2)와의 접촉에 의해 표면에 묻은 각종 이물질이 말끔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선별판(11,12,13)을 따라 이송되거나 선별틈새(g)를 통과할 때 또는 세정부(9)의 세정 브러시(9-1,9-2)를 통과할 때, 구근(20) 들은 자중에 의해 경사진 선별판(11,12,13)을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려오거나 선별틈새(g)를 통과하는데, 진동부(8)에서 발생하는 떨림에 의해 선별판(11,12,13)이 상하로 진동을 일으킴으로써, 선별판(11,12,13) 위에서의 이동이나 선별틈새(g)로의 통과가 더욱 촉진된다.
더욱이, 선별봉(21)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프레임(23) 상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경우에는, 진동부(8)로부터 가해지는 떨림에 의해 선별봉(21)이 화살표(A)로 표시된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므로, 선별판(11,12,13)을 따라 흘러내려오는 구근(20)에 대해 마찰 저항을 줄이고, 앞뒤로도 움직임을 줄 수 있으며, 따라서 구근(20)들, 특히 길이가 긴 구근(20)도 선별틈새(g)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 또는 선별되도록 한다.
1 : 구근 선별기 3 : 투입부
5 : 선별부 7 : 배출부
8 : 진동부 9 : 세정부
10 : 용기 11, 12, 13 : 선별판
20 : 구근 21 : 선별봉
23 : 지지프레임 25 : 세정모
27 : 횡봉 29 : 회전봉
31 : 축받이 33 : 벨트
35 : 풀리 37 : 구동모터
g : 선별틈새

Claims (9)

  1. 선별하고자 하는 구근이 외부에서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구근을 크기 별로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에 의해 크기 별로 선별된 구근을 각각의 용기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선별부는 상기 투입부 측에서 상기 배출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적층 설치되되, 상측에 배치될수록 구근을 통과시키는 선별틈새의 간격이 더 벌어져 구근을 크기 별로 선별하는 복수의 선별판;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선별판은,
    상기 선별틈새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선별봉; 및
    상기 복수의 선별봉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별봉은 그 횡단면 형상이 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별틈새를 통과하는 구근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선별틈새는 각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선별봉의 횡단면 중 첨단 형상의 모서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속이 빈 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별봉은 전후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통체 내부로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선별판을 진동시켜, 각각의 상기 선별판에 의한 구근의 이송 및 선별틈새를 통한 구근의 통과를 촉진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선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봉은 횡단면 형상이 마름모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선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봉은 횡단면 형상이 십자형과 마름모꼴의 중간 형태인 별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선별기.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의 위쪽에서 선별판을 가로질러 배열되면서 구근 이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근의 표면을 닦아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선별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선별판 위쪽에 고정되어, 상기 선별판을 따라 이송되는 구근과의 상대 이동에 따른 마찰에 의해 구근의 표면을 세정하는 고정형 브러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선별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선별판 위쪽에 장착되어, 상기 선별판을 따라 이송되는 구근의 표면을 회전 접촉에 의해 세정하는 회전형 브러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선별기.
KR1020120072070A 2012-07-03 2012-07-03 구근 선별기 KR101282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070A KR101282235B1 (ko) 2012-07-03 2012-07-03 구근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070A KR101282235B1 (ko) 2012-07-03 2012-07-03 구근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235B1 true KR101282235B1 (ko) 2013-07-10

Family

ID=4899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070A KR101282235B1 (ko) 2012-07-03 2012-07-03 구근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2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8827A (zh) * 2015-07-15 2015-10-28 昆山市工业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钢球筛选机
CN108188033A (zh) * 2018-01-12 2018-06-22 沈阳农业大学 一种半自动百合种球筛选机
IT201900001137A1 (ko) * 2019-01-25 2019-01-25
CN115007500A (zh) * 2022-07-21 2022-09-06 安徽咏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十二菌菇汤制备用原料筛选装置
KR20230122764A (ko) 2022-02-15 2023-08-22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란 선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98Y1 (ko) * 1999-08-20 2000-02-1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백합구근 선별장치
KR100671992B1 (ko) * 2006-01-16 2007-01-24 남송학 구근 선별배출 장치
US20080223770A1 (en) 2007-03-15 2008-09-18 Machinefabriek Bollegraaf Appingedam B.V.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stic film from waste
KR101135470B1 (ko) 2008-10-17 2012-04-13 송기훈 양파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98Y1 (ko) * 1999-08-20 2000-02-1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백합구근 선별장치
KR100671992B1 (ko) * 2006-01-16 2007-01-24 남송학 구근 선별배출 장치
US20080223770A1 (en) 2007-03-15 2008-09-18 Machinefabriek Bollegraaf Appingedam B.V.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stic film from waste
KR101135470B1 (ko) 2008-10-17 2012-04-13 송기훈 양파처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8827A (zh) * 2015-07-15 2015-10-28 昆山市工业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钢球筛选机
CN108188033A (zh) * 2018-01-12 2018-06-22 沈阳农业大学 一种半自动百合种球筛选机
CN108188033B (zh) * 2018-01-12 2019-08-09 沈阳农业大学 一种半自动百合种球筛选机
IT201900001137A1 (ko) * 2019-01-25 2019-01-25
KR20230122764A (ko) 2022-02-15 2023-08-22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란 선별기
CN115007500A (zh) * 2022-07-21 2022-09-06 安徽咏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十二菌菇汤制备用原料筛选装置
CN115007500B (zh) * 2022-07-21 2023-06-30 安徽咏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十二菌菇汤制备用原料筛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235B1 (ko) 구근 선별기
CN106583220B (zh) 分拣机和餐厨垃圾处理设备
KR100777970B1 (ko) 어류 선별기
CN109351640A (zh) 一种辣椒分选机
KR20130068214A (ko) 조갯살분리장치
KR20130057565A (ko) 크기별 조개선별장치
JP5594059B2 (ja) キャップ供給装置
KR20120127369A (ko) 투과구간의 하측에 경사판을 구비한 막힘없는 멸치선별판
JP2022049983A (ja) スパイラルコンベアおよび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5818671B2 (ja) 選別搬送装置
JP2017192378A (ja) たばこ産業の複数のロッド状要素用の調整可能能力を有する搬送保管デバイス用の洗浄システム
KR101302871B1 (ko) 피잣 선별장치
US20220288640A1 (en) Screen apparatus with multi-discharge
KR20070006083A (ko) 곡물 선별기
CN103517770B (zh) 分级散料的方法和装置
KR101208356B1 (ko) 브러쉬롤에 의한 구형 농산물의 이물질 제거 겸용 선별기
US3389711A (en) Silverware sorting machine
KR100756341B1 (ko) 트롬멜장치
US20170333950A1 (en) Sieve cleaners, sieve unit, and methods
JP6893829B2 (ja) 分別機構及びそれを使用した異物選別装置
JP3606935B2 (ja) グリズリ型振動篩
US6004404A (en) Product cleaner
JP7428896B2 (ja) 物品整列搬送装置
KR100431251B1 (ko) 건어멸치 선별장치
KR200409732Y1 (ko) 트롬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