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256B1 - 부스팅 회로 - Google Patents

부스팅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256B1
KR100749256B1 KR1020050025122A KR20050025122A KR100749256B1 KR 100749256 B1 KR100749256 B1 KR 100749256B1 KR 1020050025122 A KR1020050025122 A KR 1020050025122A KR 20050025122 A KR20050025122 A KR 20050025122A KR 100749256 B1 KR100749256 B1 KR 100749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oosting
signal
enable signa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000A (ko
Inventor
이용섭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5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256B1/ko
Publication of KR20060103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11Arrangements of noise-d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371Use of springs
    • B25D2250/381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04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of the hammer piston type, i.e. in which the tool bit or anvil is hit by an impuls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넓은 전압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전원전압(VDD)에 대하여 일정한 부스팅 전압(Vboost)을 출력하여 전원전압(VDD)의 넓은 영역에서 사용가능하면서 독출동작시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센싱할 수 있도록 하는 부스팅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입력되는 제1 전압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제2 전압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및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인에이블시켜 출력하는 전압 검출부와,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압을 부스팅하여 출력하는 부스팅부와, 상기 제1 및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부스팅부를 통해 부스팅된 제3 전압의 크기를 트리밍하는 트리밍부를 포함하는 부스팅 회로를 포함한다.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플래시 메모리 소자, EEPROM, EPROM, 부스트 회로

Description

부스팅 회로{BOOSTING CIRCUIT}
도 1은 일반적인 부스팅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2의 (a) 내지 (d)는 도 1에 도시된 부스팅 회로의 동작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스팅 회로의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스팅 회로의 회로도.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부스팅 회로의 동작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스팅부
20 : 전원전압 검출부
30 : 트리밍부
31 : 제1 트리밍부
32 : 제2 트리밍부
본 발명은 부스팅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독출동작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메모리 셀의 워드라인으로 인가되는 워드라인 전압을 생성하는 부스팅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및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장치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데이터를 잃어버리는 휘발성(volatile)이면서 데이터의 입/출력이 빠른 RAM 제품과, 한번 데이터를 입력하면 그 상태를 유지하는 비휘발성(nonvolatile)이면서 데이터의 입/출력이 느린 ROM(Read Only Memory) 제품으로 크게 구분된다. ROM 제품으로는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EEPROM(Electrically EPROM)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러한 ROM 제품 중에서 전기적 방법으로 데이터를 프로그램(program) 및 소거(erase)할 수 있는 EEPROM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EEPROM이나 일괄 소거 기능을 갖는 플래시 EEPROM은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와 컨트롤 게이트(control gate)가 적층된 스택형(stack type) 게이트 구조를 갖는다. 플래시 메모리 셀은 노트북(notebook), PDAs, 셀룰러 폰(cellular phone) 등의 이동형 전자소자(portable electronics)와 컴퓨터 BIOS 및 프린터(printer) 등에 널리 사용된다. 회로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플래시 메모리 셀은 n개의 셀 트랜지스터(transistor)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단위 스트링(string)을 이루고, 이러한 단위 스트링들이 비트라인(bit line)과 접지라인(ground line)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고집적화에 유리한 난드형(NAND type)과 각각의 셀 트랜지스터들이 비트라인과 접지라인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고속 동작에 유리한 노아형으로 구분된다.
이하, 노아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프로그램, 소거 및 독출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그램 동작은 채널 열전자(Channel Hot Electron, CHE) 주입방식으로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된다. 예컨대, 프로그램 동작은 드레인 영역에 대략 5V를 인가하고, 컨트롤 게이트에 대략 9V를 인가함으로써 수행된다. 드레인 영역에 인가된 드레인 전압에 의해 드레인 영역측의 채널 영역 부근에 열전자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열전자는 컨트롤 게이트에 인가된 게이트 전압에 의해 터널 산화막을 통해 플로팅 게이트로 주입된다.
소거 동작은 F-N 터널링(Fouler Nordheim Tunneling) 방식으로 소거 동작이 수행된다. 예컨대, 소거 동작은 컨트롤 게이트에 음전압(negative voltage)(대략, -8V)을 인가되고, 기판 또는 소오스 영역에 양전압(positive voltage)(대략, 8V)을 인가함으로써 수행된다. 컨트롤 게이트에 인가된 게이트 전압과 기판에 인가된 벌크전압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 내에 주입된 전자는 터널 산화막을 통해 기판으로 방출된다.
독출 동작은 플래시 메모리 셀에 적절히 프로그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으로서, 소오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간의 흐르는 독출전류의 크기로 판단한다. 전형적으로, 독출 모드시에서 소오스 영역은 접지전압(0V)로 유지되고, 컨트롤 게이트는 대략 4V 내지 5V 전위로 유지되며, 드레인 영역은 대략 1V 내지 2V 사이의 전위로 유지한다. 선택 셀이 프로그램된 셀인 경우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한편, 전형적으로,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서는 프로그램, 소거 및 독출 모드시 워드라인을 통해 메모리 셀의 컨트롤 게이트로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고, 비트라인을 통해 드레인 영역으로 드레인 전압을 인가한다. 독출 모드시 게이트 전압은 전원전압(VDD)보다 높은 전압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전원전압을 승압하기 위한 부스팅 회로가 사용된다. 부스팅 회로에 의해 승압된 전압은 해당 워드라인을 통해 셀로 인가된다.
도 1은 독출 모드시 워드라인용 게이트 전압을 생성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부스팅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부스팅 회로는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에 따라 한개의 캐패시터(C)를 이용하여 전원전압(VDD)을 승압시켜 출력한다.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가 로우레벨(LOW level, '0')로 인에이블되면, 인버터(INV)는 하이레벨(HIGH level, '1')의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에 의해 NMOS 트랜지스터(N1)가 턴-온(turn-ON)된다. 이에 따라, PMOS 트랜지스터(P1)는 접지전압(VSS)에 의해 턴-온되어 전원전압(VDD)은 PMOS 트랜지스터(P1)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캐패시터(C)는 PMOS 트랜지스터(P1)를 통해 유입되는 전류를 충전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하면, 인버터(INV)는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인버터(INV)의 출력신호에 의해 PMOS 트랜지스터(P2, P3)가 턴-온되고, NMOS 트랜지스터(N1, N2)는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대략 'VDD'가 충전된 캐패시터(C)의 일단으로는 PMOS 트랜지스터(P3)를 통해 전원전압(VDD)이 인가된다. 따라서, 캐패시터(C)의 커플링 효과(coupling effect)에 의해 출력단으로는 '2VDD'를 갖는 부스팅 전압(Vboost)이 출력된다.
이러한 부스팅 회로의 출력파형이 도 2에 도시되었다. 그러나, 도 2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부스팅 회로의 부스팅 전압(Vboost)은 전원전압(VDD)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즉, 전원전압(VDD)이 감소하면, 그에 따라 부스팅 전압(Vboost)이 감소하게 된다. 전원전압(VDD)의 감소는 메모리 기술이 진보되고, 더 작은 기술들(0.25㎛ 셀 크기)이 개발됨에 따라 더욱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원전압(VDD)의 사용 범위가 넓은 시스템에서는 하이 전원전압(VDD)과 로우 전원전압(VDD)에 따라 독출동작시 메모리 셀의 게이트 전압의 차가 심하게 발생하여 센싱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결국, 독출동작을 위해서는 수용가능한 전압범위가 작은 전원전압(VDD)을 사용하여야 하나, 이 경우 전압범위가 넓은 전원전압(VDD)이 요구되는 넓은 시스템에서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넓은 전압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전원전압(VDD)에 대하여 일정한 부스팅 전압(Vboost)을 출력하여 전원전압(VDD)의 넓은 영역에서 사용가능하면서 독출동작시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센싱할 수 있도록 하는 부스팅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입력되는 제1 전압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제2 전압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의 크기가 동일할 경우 제1 및 제2 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상기 제1 전압이 클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인에이블시키며, 상기 제1 전압이 작을 경우 상기 제2 신호를 인에이블시켜 출력하는 전압 검출부와,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압을 부스팅하여 출력하는 부스팅부와, 상기 제1 및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부스팅부를 통해 부스팅된 제3 전압의 크기를 트리밍하는 트리밍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밍부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의 반전신호에 따라 상기 제3 전압의 크기를 트리밍하는 제1 트리밍부와,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제3 전압의 크기를 트리밍하는 제2 트리밍부를 포함하는 부스팅 회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스팅 회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스팅 회로의 회로도이며, 도 5는 고전 압 인에이블 신호(HVEN)에 따른 동작 파형도이며, 도 6은 저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에 따른 동작 파형도이다. 여기서,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는 전원전압(VDD)이 설정된 전압(즉, 정상전압)보다 높은 경우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고, 저전압 인에블 신호(LVEN)는 전원전압(VDD)이 설정된 전압보다 낮은 경우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스팅 회로는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에 따라 전원전압(VDD)을 일차적으로 부스팅하는 부스팅부(10)와, 전원전압(VDD)을 검출하고, 그 전압의 크기에 따라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 및 저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 중 어느 하나를 인에이블시키는 전원전압 검출부(20)와,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 또는 저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에 따라 부스팅부(10)를 통해 부스팅된 전압을 트리밍(trimming)하는 트리밍부(30)를 포함한다.
부스팅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INV1), PMOS 트랜지스터(P1 내지 P3), NMOS 트랜지스터(N1, N2) 및 캐패시터(C1)로 이루어진다.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가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면, 캐패시터(C1)에는 대략 'VDD'의 전하가 충전되고, 이런 상태에서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가 하이레벨로 천이하면, 출력단으로는 커플링 효과에 의해 대략 '2VDD'의 부스팅 전압(Vboost)이 출력된다.
전압 검출부(20)는 입력되는 전원전압(VDD)과 미리 설정된 정상적인 전원전압과 비교한다. 입력되는 전원전압(VDD)이 정상적인 전원전압보다 높은 경우 고전 압 인에이블 신호(HVEN)를 하이레벨로 인에이블시키고, 낮은 경우에는 저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를 하이레벨로 인에이블시킨다. 또한, 입력되는 전원전압(VDD)이 정상적인 전원전압과 동일할 경우에는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와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를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시켜 출력한다.
트리밍부(30)는 전압 검출부(20)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와 저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에 따라 부스팅부(10)를 통해 부스팅된 전압의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부스팅 전압(Vboost)을 트리밍한다.
트리밍부(30)는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에 따라 부스팅 전압(Vboost)을 트리밍하는 제1 트리밍부(31)와 저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에 따라 부스팅 전압(Vboost)을 트리밍하는 제2 트리밍부(32)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리밍부(31)는 노아 게이트(NOR), 인버터(INV2, INV3), 캐패시터(C2)로 이루어지고, 제2 트리밍부(32)는 난드 게이트(NAND), 인버터(INV4), 캐패시터(C3)로 이루어진다.
제1 트리밍부(31)는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트리밍 캐패시터(C2)에 대략 'VDD'에 해당하는 전하를 충전시키고,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가 로우레벨로 출력되는 경우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에 따라 캐패시터(C2)를 통해 충전 및 부스팅 동작을 수행하여 부스팅 전압(Vboost)을 트리밍하게 된다.
제2 트리밍부(32)는 저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트리밍 캐패시터(C3)에 대략 'VDD'에 해당하는 전하를 충전시키고, 저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가 로우레벨로 출력되는 경우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에 따라 캐패시터(C3)를 통해 충전 및 부스팅 동작을 수행하여 부스팅 전압(Vboost)을 트리밍하게 된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스트 회로의 동작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5는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의 동작에 따른 부스트 회로의 부스팅 전압(Vboost) 파형도이고, 도 6은 저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의 동작에 따른 부스트 회로의 부스팅 전압(Vboost) 파형도이다.
먼저, 부스트 회로로 입력되는 전원전압(VDD)과 미리 설정된 전원전압이 동일할 경우 부스트 회로의 동작특성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전원전압(VDD)이 전압 검출부(20)로 입력되면, 전압 검출부(20)는 입력되는 전원전압(VDD)과 설정된 전원전압과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 두 전원전압이 동일할 경우 전원전압 검출부(20)는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와 저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를 모두 로우레벨로 출력한다.
이런 상태에서,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가 인에이블되면, NMOS 트랜지스터(N1, N2)와 PMOS 트랜지스터(P1)는 턴-온되고, PMSO 트랜지스터(P2, P3)는 턴-오프되어, 캐패시터(C1)에는 PMOS 트랜지스터(P1)를 통해 공급되는 전하가 저장된다. 한편, 노아 게이트(NOR)에는 인버터(INV1)에 의해 반전된 하이레벨의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와 로우레벨의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가 입력된다. 이 에 따라, 노아 게이트(NOR)는 로우레벨의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결국, 캐패시터(C2)에는 캐패시터(C1)와 마찬 가지로 PMOS 트랜지스터(P1)를 통해 공급되는 전하가 저장된다. 한편, 난드 게이트(NAND)에는 로우레벨의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와 저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난드 게이트(NAND)는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결국, 캐패시터(C3)에는 캐패시터(C1, C2) 와 마찬 가지로 PMOS 트랜지스터(P1)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전압(VDD)과 대응되는 전하가 충전된다.
이후,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가 하이레벨로 출력되면, NMOS 트랜지스터(N1, N2)와 PMOS 트랜지스터(P1)는 턴-오프되고, PMOS 트랜지스터(P2, P3)는 턴-온되어, 캐패시터(C1)의 일단에는 PMOS 트랜지스터(P3)를 통해 전원전압(VDD)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캐패시터(C1)의 커플링 효과에 의해 출력단에는 '2VDD'가 출력된다. 한편, 노아 게이트(NOR)는 로우레벨의 인버터(INV1) 출력신호와, 로우레벨의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에 의해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캐패시터(C2)의 일단에는 인버터(INV3)를 통해 출력되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부스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캐패시터(C3)의 일단에는 인버터(INV4)를 통해 출력되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부스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결국, 캐패시터(C1, C2)는 부스팅되고, 캐패시터(C3)는 부스팅되지 않기 때문에 캐패시터의 커플링비(coupling ratio)에 따라 대략 부스팅 전압(Vboost)은 하기의 수학식1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Vboost = 2VDD[(C1+C2)/(C1+C2+C3)]
여기서, 'C1'은 캐패시터(C1)의 정전용량이고, 'C2'는 캐패시터(C2)의 정전용량이며, 캐패시터(C3)의 정전용량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부스트 회로로 입력되는 전원전압(VDD)이 미리 설정된 전원전압보다 높을 경우 부스트 회로의 동작특성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전원전압(VDD)이 전압 검출부(20)로 입력되면, 전압 검출부(20)는 입력되는 전원전압(VDD)과 설정된 전원전압과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 전원전압(VDD)이 설정된 전원전압보다 높을 경우 전원전압 검출부(20)는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만을 하이레벨로 인에이블시켜 출력한다.
이런 상태에서,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가 인에이블되면, NMOS 트랜지스터(N1, N2)와 PMOS 트랜지스터(P1)는 턴-온되고, PMSO 트랜지스터(P2, P3)는 턴-오프되어, 캐패시터(C1)에는 PMOS 트랜지스터(P1)를 통해 공급되는 전하가 저장된다. 한편, 노아 게이트(NOR)에는 인버터(INV1)에 의해 반전된 하이레벨의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와 하이레벨의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노아 게이트(NOR)는 로우레벨의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결국, 캐패시터(C2)에는 캐패시터(C1)와 마찬 가지로 PMOS 트랜지스터(P1)를 통해 공급되는 전하가 저장된다. 한편, 난드 게이트(NAND)에는 로우레벨의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와 저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난드 게이트(NAND)는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결국, 캐패시터(C3)에는 캐패시터(C1, C2) 와 마찬 가지로 PMOS 트랜지스터(P1)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전압(VDD)과 대응되 는 전하가 충전된다.
이후,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가 하이레벨로 출력되면, NMOS 트랜지스터(N1, N2)와 PMOS 트랜지스터(P1)는 턴-오프되고, PMOS 트랜지스터(P2, P3)는 턴-온되어, 캐패시터(C1)의 일단에는 PMOS 트랜지스터(P3)를 통해 전원전압(VDD)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캐패시터(C1)의 커플링 효과에 의해 출력단에는 '2VDD'가 출력된다. 한편, 노아 게이트(NOR)는 로우레벨의 인버터(INV1) 출력신호와, 하이레벨의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에 의해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캐패시터(C2)의 일단에는 인버터(INV3)를 통해 출력되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부스팅이 이루어지 않는다. 또한, 캐패시터(C3)의 일단에는 인버터(INV4)를 통해 출력되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부스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결국, 캐패시터(C1)는 부스팅되고, 캐패시터(C2, C3)는 부스팅되지 않기 때문에 캐패시터의 커플링비에 따라 대략 부스팅 전압(Vboost)은 하기의 수학식2와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Vboost = 2VDD[C1/(C1+C2+C3)]
여기서, 'C1'은 캐패시터(C1)의 정전용량이고, 'C2'는 캐패시터(C2)의 정전용량이며, 캐패시터(C3)의 정전용량이다.
마지막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부스트 회로로 입력되는 전원전압(VDD)이 미리 설정된 전원전압보다 낮은 경우 부스트 회로의 동작특성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전원전압(VDD)이 전압 검출부(20)로 입력되면, 전압 검출부(20)는 입력되는 전원전 압(VDD)과 설정된 전원전압과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 전원전압(VDD)이 설정된 전원전압보다 낮은 경우 전원전압 검출부(20)는 저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만을 하이레벨로 인에이블시켜 출력한다.
이런 상태에서,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가 인에이블되면, NMOS 트랜지스터(N1, N2)와 PMOS 트랜지스터(P1)는 턴-온되고, PMSO 트랜지스터(P2, P3)는 턴-오프되어, 캐패시터(C1)에는 PMOS 트랜지스터(P1)를 통해 공급되는 전하가 저장된다. 한편, 노아 게이트(NOR)에는 인버터(INV1)에 의해 반전된 하이레벨의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와 로우레벨의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노아 게이트(NOR)는 로우레벨의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결국, 캐패시터(C2)에는 캐패시터(C1)와 마찬 가지로 PMOS 트랜지스터(P1)를 통해 공급되는 전하가 저장된다. 한편, 난드 게이트(NAND)에는 로우레벨의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와 하이레벨의 저전압 인에이블 신호(LVEN)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난드 게이트(NAND)는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결국, 캐패시터(C3)에는 캐패시터(C1, C2)와 마찬 가지로 PMOS 트랜지스터(P1)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전압(VDD)과 대응되는 전하가 충전된다.
이후,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ENboost)가 하이레벨로 출력되면, NMOS 트랜지스터(N1, N2)와 PMOS 트랜지스터(P1)는 턴-오프되고, PMOS 트랜지스터(P2, P3)는 턴-온되어, 캐패시터(C1)의 일단에는 PMOS 트랜지스터(P3)를 통해 전원전압(VDD)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캐패시터(C1)의 커플링 효과에 의해 출력단에는 '2VDD'가 출력된다. 한편, 노아 게이트(NOR)는 로우레벨의 인버터(INV1) 출력신호와, 로우레벨 의 고전압 인에이블 신호(HVEN)에 의해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캐패시터(C2)의 일단에는 인버터(INV3)를 통해 출력되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부스팅이 이루어진다. 또한, 캐패시터(C3)의 일단에는 인버터(INV4)를 통해 출력되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부스팅이 이루어진다. 결국, 캐패시터(C1 내지 C3)는 모두 부스팅되기 때문에 캐패시터의 커플링비에 따라 대략 부스팅 전압(Vboost)은 하기의 수학식3과 같은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Vboost = 2VDD[(C1+C2+C3)/(C1+C2+C3)]=2VDD
여기서, 'C1'은 캐패시터(C1)의 정전용량이고, 'C2'는 캐패시터(C2)의 정전용량이며, 캐패시터(C3)의 정전용량이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스팅 전압(Vboost)이 출력되는 출력단에 트리밍부을 두어 전원전압(VDD)의 크기에 따라 출력되는 부스팅 전압(Vboost)의 크기를 적절히 트리밍하여 출력함으로써 넓은 전압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전원전압(VDD)에 대하여 일정한 부스팅 전압(Vboost)을 출력하여 전원전압 (VDD)의 넓은 영역에서 사용가능하면서 독출동작시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센싱할 수 있다.

Claims (9)

  1. 입력되는 제1 전압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제2 전압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의 크기가 동일할 경우 제1 및 제2 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상기 제1 전압이 클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인에이블시키며, 상기 제1 전압이 작을 경우 상기 제2 신호를 인에이블시켜 출력하는 전압 검출부;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압을 부스팅하여 출력하는 부스팅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부스팅부를 통해 부스팅된 제3 전압의 크기를 트리밍하는 트리밍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밍부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의 반전신호에 따라 상기 제3 전압의 크기를 트리밍하는 제1 트리밍부; 및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제3 전압의 크기를 트리밍하는 제2 트리밍부
    를 포함하는 부스팅 회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밍부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반전신호를 부정논리합하여 출력하는 노아 게이트; 및
    상기 노아 게이트와 상기 부스팅부의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노아 게이트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단으로 공급되는 전하를 충전하거나, 부스팅을 수행하는 제1 캐패시터
    를 포함하는 부스팅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밍부는 상기 노아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하여 상기 노아 게이트와 상기 제1 캐패시터 사이에 접속된 복수의 인버터단을 더 포함하는 부스팅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밍부는 상기 제1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부스팅을 수행하는 부스팅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리밍부는,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를 부정논리곱하여 출력하는 난드 게이트;
    상기 난드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와 상기 부스팅부의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인버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단으로 공급되는 전하를 충전하거나, 부스팅을 수행하는 제2 캐패시터
    를 포함하는 부스팅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리밍부는 상기 제2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부스팅을 수행하는 부스팅 회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부는 상기 부스팅 인에이블 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1 전압에 대응하는 전하를 충전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신호에 따라 충전된 전하를 이용하여 부스팅을 수행하는 부스팅 회로.
KR1020050025122A 2005-03-25 2005-03-25 부스팅 회로 KR100749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122A KR100749256B1 (ko) 2005-03-25 2005-03-25 부스팅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122A KR100749256B1 (ko) 2005-03-25 2005-03-25 부스팅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000A KR20060103000A (ko) 2006-09-28
KR100749256B1 true KR100749256B1 (ko) 2007-08-13

Family

ID=3762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122A KR100749256B1 (ko) 2005-03-25 2005-03-25 부스팅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2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870A (ko) * 2002-07-11 2004-01-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부스팅 회로
KR20040102841A (ko) * 2003-05-29 2004-1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부스팅 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870A (ko) * 2002-07-11 2004-01-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부스팅 회로
KR20040102841A (ko) * 2003-05-29 2004-1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부스팅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000A (ko)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2007B2 (en) Data processing device
CN107527654B (zh) 非易失性半导体存储装置及其字线的驱动方法
US6567309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699852B1 (ko) Hpmos를 이용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디코더
US20060017077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witch circuit to supply voltage
US7428169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voltage generating circuit for the same
US20100124140A1 (en) Power supply circuit and nand-type flash memory
US767578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dummy bit lines for charge and discharge timing
US20160380532A1 (en) Clock freezing technique for charge pumps
JP4989927B2 (ja) 負電位放電回路
US7885118B2 (en) Flash memory device and voltage generating circuit for the same
EP2709108B1 (en) NVM with charge pump and method therefor
US7656714B2 (en) Bitline bias circuit and nor flash memory device including the bitline bias circuit
JP3841560B2 (ja) 低い電源電圧で安定された読出動作が可能なフラッシュメモリ装置
JP3943790B2 (ja) 負電位検知回路及びこの負電位検知回路を備えた半導体記憶装置
US20040145948A1 (en) Power-on reset circuit for erasing of split gate flash memory reference cells
JP3836787B2 (ja) 半導体装置
KR100749256B1 (ko) 부스팅 회로
JP2002184192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とその書き換え方法
KR20050062060A (ko)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프로그램 방법
KR100223263B1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방법
CN108122585B (zh) 半导体器件
JP2004079036A (ja) 電圧制御回路及び半導体記憶装置
JPH07105148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20000010133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전압 발생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