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283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283B1
KR100746283B1 KR1020020004372A KR20020004372A KR100746283B1 KR 100746283 B1 KR100746283 B1 KR 100746283B1 KR 1020020004372 A KR1020020004372 A KR 1020020004372A KR 20020004372 A KR20020004372 A KR 20020004372A KR 100746283 B1 KR100746283 B1 KR 100746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region
reverse tilt
crystal display
light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986A (ko
Inventor
장용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283B1/ko
Priority to TW091137055A priority patent/TWI326376B/zh
Priority to US10/331,420 priority patent/US7333168B2/en
Priority to JP2003005576A priority patent/JP4703098B2/ja
Priority to CNB031029965A priority patent/CN100449368C/zh
Publication of KR2003006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283B1/ko
Priority to US12/014,420 priority patent/US794452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53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or pretilt angles on a same surface, e.g. for grey scale or improved viewing ang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53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or pretilt angles on a same surface, e.g. for grey scale or improved viewing angle
    • G02F1/13375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or pretilt angles on a same surface, e.g. for grey scale or improved viewing angle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Filt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TFT 기판의 러빙 방향에 따라서 화소 전극과 화소 전극 사이에 형성된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및 화소 전극 상에도 형성된 전경선을 광 누설 방지막이 차단하여 전경선이 형성된 부분에서 발생한 광 누설을 차단하여 디스플레이 품질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액정표시장치에서 원하는 않는 광에 의한 휘도 저하, 디스플레이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 전경선, 블랙 매트릭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전경선(declination line)에 의한 광 누설이 발생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전경선에 따른 광 누설을 방지한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광 누설이 차단된 액정표시패널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Ⅲ-Ⅲ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 인가 모듈 및 화소 전극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TFT 기판에 형성된 배향막에 배향홈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TFT 기판의 표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TFT 기판과 컬러필터기판에서의 제 1, 제 2 배향홈의 방향을 정의한 좌표계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액정표시패널에 좌표계에 의하여 배향홈을 형성하였을 때 발생하는 역틸트 영역을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 또는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라인 반전 구동 방식일 때, 광 누설 차단막 및 색화소 오버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 또는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컬럼 반전 구동 방식일 때, 광 누설 차단막 및 색화소 오버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도트 반전 구동 방식일 때, 광 누설 차단막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경선(disclination line)에 의하여 발생하는 누설광을 차단하여 고품질 디스플레이를 구현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액정(Liquid Crystal)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이때, 액정의 제어는 전계에 의해서 수행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액정은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배향홈에 의하여 지정된 방향으로 배열 및 배향홈과 지정된 각으로 틸트된 액정을 주입한 상태에서 액정을 제어할 경우, 액정을 통과하는 "광투과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액정(10)에 의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는 매우 작은 면적 단위로 액정(10)을 정밀하게 제어하기에 적합한 구성을 필요로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액정(10)의 일측에는 일정한 크기의 레퍼런스 전압이 인가되는 공통전극(common electrode;20)이 형성된다. 또한, 공통 전극(20)과 마주보는 곳에는 해상도에 적합한 개수로 나뉘어진 화소 전극(pixel electrode;30,35)이 형성된다. 이때, 화소 전극(30)과 화소 전극(35)은 상호 단락 되지 않도록 배려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각 화소 전극(30,35)에는 지정된 시기에 원하는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인가 모듈(40)이 연결된다.
그러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화소 전극(30,35)을 2 개 이상으로 나눌 경우, 화소 전극(30)과 화소 전극(35)의 사이에 미세한 갭(gap; W)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이공간 W에서는 액정(20)을 제어할 수 없다. 즉, 화소 전극(30)과 화소 전극(35)의 사이공간 W에서는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지 않는 곳에서 발생한 광은 디스플레이 품질을 크게 저하시킨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화소 전극(30)과 화소 전극(35)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는 띠 형상을 갖는 광차단막(50)에 의하여 가려진다. 또한, 이 광차단막(50)은 전원인가 모듈(40)이 사용자의 눈에 인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겸한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광차단막(50)을 사용하더라도 일부 광이 광차단막(50)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고 누설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화소 전극이 1 개일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지만, 화소 전극이 2 개 이상 일 경우에 발생된다.
이처럼 화소 전극이 2 개 이상일 경우 발생되는 광의 누설 현상은 화소 전극(30)과 화소 전극(35)에서 형성되는 "수평 전계"에 의해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정(10)은 화소 전극(30,35)과 공통 전극(20)에 형성된 "수직 전계(12)"에 의해서만 배열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화소 전극(30)과 화소 전극(35)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수평 전계(14)"가 화소 전극(30,35)상에 형성되는 수직 전계(12)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 수평 전계(14)는 화소 전극의 에지에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액정(20)은 전계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하려는 특성을 갖는 바, 화소 전극(30)과 화소 전극(35)의 사이에서는 액정(20)이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된 수평 전계(14)를 따라서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처럼 수평 전계(14)를 따라서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화소 전극의 상면에 형성된 배향막(60)에 형성된 배향홈(65)의 러빙 방향과 마주보는 쪽의 화소 전극(30)에서는 액정(20)이 역틸트 영역(70)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액정의 역틸트 영역(70)에서는 액정(20)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 부분에서는 화소 전극(30)과 화소 전극(35)의 사이공간 W에서와 마찬가지로 광 누설이 발생된다.
이 부분은 "전경선(declination line)"이라 불린다.
이처럼 화소 전극(30) 상에서 발생된 전경선은 심각한 디스플레이 불량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화소 전극 상에 전경선이 형성되더라도 외부에서 전경선에 따른 누설광을 인식할 수 없도록 하여 고품질 디스플레이가 가능토록 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는 (a) 기판에 제 1 전극 및 제 1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인가수단이 행렬 형태로 형성된 화소들 및 화소들이 형성된 기판에 제 1 러빙 방향으로 러빙 된 제 1 배향홈이 형성된 제 1 배향막을 갖는 TFT 기판, (b) 1 전극과 대향하는 2 전극, 레드, 그린, 블루 색화소 박막 및 제 2 러빙 방향으로 러빙 된 제 2 배향홈이 형성된 제 2 배향막이 형성된 컬러필터 기판, (c) TFT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제 2 배향홈에 의하여 틸트(tilt) 및 트위스트 된 액정, (d) 화소와 화소의 사이에 형성된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및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한 제 1 전극의 일부에 배향홈의 제 1 러빙 방향에 의하여 역틸트(reverse tilt)된 액정에 의한 광 누설 영역을 가리는 광 누설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액정표시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구성에 따른 독특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300)가 개념적으 로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300)는 전체적으로 보아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10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선광원 광학 분포를 갖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210), 선광원 광학 분포를 갖는 광이 면광원 광학 분포를 갖도록 변경하는 도광판(220) 및 도광판(220)에서 면광원 광학 분포로 변경된 광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광학 시트류(2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에서 출사된 광은 액정표시패널(100)로 입사된다.
액정표시패널(100)은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에서 출사된 광의 투과도를 미세 면적 단위로 제어하여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첨부된 도 3 또는 도 4에는 액정표시패널(100)의 외관 및 액정표시패널(100)의 내부 구조가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정표시패널(100)은 TFT 기판(110), 액정(130;도 4참조), 컬러필터기판(120)과 함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40) 및 구동 인쇄회로기판(150)으로 구성된다.
TFT 기판(110)은 다시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11), 화소 전극(112), 전원인가 모듈(113), 제 1 배향막(114) 및 제 1 배향홈(114a)으로 구성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115는 편광판이다.
구체적으로, 전원인가 모듈(113)은 유리 기판(111)의 상면에 형성된다.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전원인가 모듈(113)은 다시 박막 트랜지스터(113a) 및 공통 신호선(113g,113h)으로 구성된다.
이때, 박막 트랜지스터(113a)는 1 개 이상이 유리 기판(111)상에 행렬 형태로 배열되며, 이때, 박막 트랜지스터(113a)의 개수는 해상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해상도가 800 ×600 이고 풀 컬러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800 ×600 ×3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엄청난 개수로 유리 기판(113)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113a)는 2 개의 신호 입력포트 및 1 개의 신호 출력포트를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113a)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2 개의 공통 신호선(113g,113h)을 필요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박막 트랜지스터(113a) 및 공통 신호선(113g,113h)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유리 기판(111)의 상면에는 행렬(matrix) 형태로 박막 트랜지스터(113a)의 2 개의 신호 입력포트중 하나인 게이트 전극(113b)이 형성된다. 이 게이트 전극(113b)들은 행(column) 단위로 2 개의 공통 신호선 중 하나가 연결된다. 이하, 이 공통 신호선을 "게이트 라인(113g)"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이 게이트 라인(113g)은 게이트 전극(113b)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이때, 게이트 전극(113b)의 상면에 형성된 박막은 절연막(113c)이다. 이 절연막(113c)에 의하여 절연된 상태에서 절연막(113c)중 게이트 전극(113g)의 상면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채널층(113d)이 형성된다. 이 채널층(113d)은 아몰퍼스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또는 단결정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채널층(113d)은 게이트 전극(113b)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부도체 특성을 갖고, 게이트 전극(113b)에 전원이 공급되면 도전체 특성을 갖는다.
한편, 채널층(113d)의 상면에는 선택적으로 n+ 이온이 아몰퍼스 실리콘에 이온 주입된 n+ 아몰퍼스 실리콘 박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층은 도전층으로 서로 쇼트 되지 않도록 2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오믹 콘택층"이라 불린다.
이때, 2 조각으로 나뉘어진 오믹 콘택층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13a)의 2 개의 신호 입력포트 중 나머지 하나의 신호 입력포트인 소오스 전극(113e)이 형성된다. 이 소오스 전극(113e)들은 열(row) 단위로 나머지 하나의 공통 신호선에 연결된다. 이하, 소오스 전극(113e)에 연결된 공통 신호선을 "데이터 라인(113h)"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오믹 콘택층 중 나머지 하나의 상면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13a)의 신호 출력포트인 드레인 전극(113f)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전원인가 모듈(113)은 각 박막 트랜지스터(113a)의 드레인 전극(113f)으로 원하는 전압이 출력되도록 하기에 특히 적합한 구성을 갖는다. 즉, 이는 소정 면적을 갖는 유리 기판(111)을 박막 트랜지스터(111a)의 개수만큼 분할하여 서로 다른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이와 같은 전원인가 모듈(113)의 각 박막 트랜지스터(113a) 중 드레인 전극(113f)에는 화소 전극(112)이 형성된다. 이때, 각 박막 트랜지스터(113a)중 드레인 전극(113f)에 형성된 화소 전극(112)들은 서로 쇼트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화소 전극(112a)과 화소 전극(112b)의 사이에는 빈 공간 W1이 존재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화소 전극(112a)과 화소 전극(112b) 사이공간을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W1)"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화소 전극(112)이 형성된 유리 기판(111)의 전면적에 걸쳐 폴리이미드 재질의 제 1 배향막(first orientation film;1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 배향막(114)에는 다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빙천(310)이 감겨진 러빙 롤러(300)가 지정된 방향으로 제 1 배향막(114)에 제 1 배향홈(first orientation groove;114a)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TFT 기판(110)에는 다시 컬러 필터 기판(120)이 겹쳐진다. 이때, 컬러 필터 기판(120)은 유리 기판(121), 광 누설 방지막(122), 색화소(123a,123b;123), 공통전극(124), 제 2 배향막(125) 및 제 2 배향홈(125a)으로 구성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126은 편광판이다.
색화소(123a,123b;123)는 레드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레드 색화소(123a), 그린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그린 색화소(123b) 및 블루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블루 색화소(미도시)로 구성된다.
이 색화소(123)는 화소 전극(112a,112b;112)과 일대일 매치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색화소(123)의 사이사이에는 광 누설 방지막(122)이 형성된다. 한편, 컬러 필터 기판(120)의 유리 기판(121)에는 전면적에 걸쳐 투명한 공통 전극(124)이 형성된다. 또한, 이 공통 전극(124)의 상면에는 TFT 기판(110)에 형성된 것처럼 제 2 배향막(125)이 형성되고 제 2 배향막(125)에는 제 2 배향홈(125a)이 형성된다.
이때, 제 1 배향홈(114a)과 컬러 필터 기판(120)에 형성된 제 2 배향홈(125a)은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TFT 기판(110) 및 컬러 필터 기판(120)의 사이에는 액정(130)이 실런트(미도시)에 의하여 밀봉되어 액정표시패널(100)이 제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화소 전극(112a)과 화소 전극(112b)의 사이로 정의된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W1)뿐만 아니라, 화소 전극(112b)의 일부에서도 제어할 수 없는 "수평 전계"에 따라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W1)이 형성 될 수 있다. 이 수평 전계가 화소 전극(112b)에 형성되는 방향은 제 1 배향홈(114a)의 방향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하, 화소 전극(112b)의 수직 전계가 형성될 부분에 수평 전계가 형성된 영역을 "역틸트 영역(W2)"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하, 화소 전극(112b)에 형성되는 역틸트 영역(W2)의 형성 위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역틸트 영역(W2)의 발생 위치는 TFT 기판(110)에 형성된 제 1 배향막(114)의 1 배향홈(114a)의 방향에 의하여 결정된다.
제 1 배향홈(114a)의 방향을 정의하기 위해서,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라인(113g)을 좌표계의 X축 및 게이트 라인(113g)과 직교하는 데이터 라인(113h)을 좌표계의 Y 축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X축 및 Y 축을 원점 O 라 정의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X축 및 +Y축을 "제 1 영역"이라 정의하고, +X축 및 -Y축을 "제 2 영역", -X축 및 -Y축을 "제 3 영역"이라 정의하고, -X축 및 +Y축을 "제 4 영역"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좌표계가 형성된 상태에서,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TFT 기판(110)의 화소 전극(112)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 배향홈(114a)은 제 3 영역으로부터 제 1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러빙 된다. 반면, 컬러 필터 기판(120)에 형성된 제 2 배향홈(125a)은 제 2 영역으로부터 제 4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러빙 된다.
이와 같은 방향으로 제 1 배향홈(114a)의 방향이 결정됨에 따라 화소 전극(112) 중 제 1 배향홈(114a)의 배향 방향과 마주보는 화소 전극(112)의 2 개의 인접한 에지(edge;112c,112d)에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이 발생된다. 이때,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은 모든 화소 전극(112)에 공통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12)의 2 개의 인접한 에지(112c,112d)에 형성된 역틸트 영역(W2)중 게이트 라인(113g)과 평행한 에지(112d)에 형성된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을 제 1 역틸트 영역(W3)이라 정의하기로 하고, 데이터 라인(113h)과 평행한 에지(112c)에 형성된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을 제 2 역틸트 영역(W4)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12)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 배향홈(114a)은 제 2 영역으로부터 제 4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반면, 컬러 필터 기판(120)에 형성된 제 2 배향홈(125a)은 제 3 영역으로부터 제 1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향으로 제 1 배향홈(114a)의 방향이 결정됨에 따라 화소 전극(112) 중 제 1 배향홈(114a)의 배향 방향과 마주보는 화소 전극(112)의 2 개의 인접한 에지(edge;112d,112f)에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이 발생된다. 이때,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은 모든 화소 전극(112)에 공통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12)의 2 개의 인접한 에지에는 역틸트 영역(W2)이 형성된다. 이때, 게이트 라인(113g)과 평행한 에지(112d)에 형성된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을 제 1 역틸트 영역(W3)이라 정의하기로 하고, 데이터 라인(113h)과 평행한 에지(112f)에 형성된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을 제 2 역틸트 영역(W4)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12)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 배향홈(114a)은 제 4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반면, 컬러 필터 기판(120)에 형성된 제 2 배향홈(125a)은 제 3 영역으로부터 제 1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향으로 제 1 배향홈(114a)의 방향이 결정됨에 따라 화소 전극(112) 중 제 1 배향홈(114a)의 배향 방향과 마주보는 2 개의 인접한 에지(edge;112c,112e)에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이 발생된다. 이때,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은 모든 화소 전극(112)에 공통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12)의 2 개의 인접한 에지에 형성된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중 게이트 라인(113g)과 평행한 에지(112e)에 형성된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을 제 1 역틸트 영역(W3)이라 정의하기로 하고, 데이터 라인(113h)과 평행한 에지(112c)에 형성된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을 제 2 역틸트 영 역(W4)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12)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 배향홈(114a)은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3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반면, 컬러 필터 기판(120)에 형성된 제 2 배향홈(125a)은 제 4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향으로 제 1 배향홈(114a)의 방향이 결정됨에 따라 화소 전극(112) 중 제 1 배향홈(114a)의 배향 방향과 마주보는 화소 전극(112)의 2 개의 인접한 에지(edge;112e,112f)에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이 발생된다. 이때,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은 모든 화소 전극(112)에 공통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12)의 2 개의 인접한 에지에 형성된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중 게이트 라인(112g)과 평행한 에지(112e)에 형성된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을 제 1 역틸트 영역(W3)이라 정의하기로 하고, 데이터 라인(113h)과 평행한 에지(112f)에 형성된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을 제 2 역틸트 영역(W4)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이때, 첨부된 도 9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 1 역틸트 영역(W3)은 예를 들어, 2 개의 화소 전극(112a,112b)이 인접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화소 전극(112b)에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역틸트 영역(W4)도 2 개의 화소 전극(112)이 인접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화소 전극(112b)에만 형성된다.
이때, 제 1, 제 2 역틸트 영역(W3, W4)에서는 액정이 제어가 되지 않음으로 광 누설이 발생된다. 즉, 이는 액정표시장치로부터 광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 기 위해서는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뿐만 아니라 제 1, 제 2 역틸트 영역(W3, W4)도 함께 가려져야 함을 의미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역틸트 영역(W3) 및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W1)은 모두 광 누설 방지막()에 의하여 가려진다. 이때, 광 누설 방지막(122)은 크롬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화소 전극(112)중 제 1, 제 2 역틸트 영역(W3, W4)이 형성되지 않는 쪽은 화소 전극(112) 및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W1)의 경계에 광 누설 방지막(122)의 에지가 위치한다. 한편, 제 1, 제 2 역틸트 영역(W3, W4)이 형성된 쪽은 화소 전극(122)과 제 1, 제 2 역틸트 영역(W3, W4)의 경계까지 광 누설 방지막(122)이 화소 전극(122)의 상부 쪽으로 연장된다.
이때, 특이하게 제 1, 제 2 역틸트 영역(W3, W4)에서 누설된 광의 강도에는 다소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 차이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방식이 따른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n ×n의 매트릭스 형태를 갖는 화소 전극 중 예를 들어, n-1번째 행에 속한 모든 화소 전극들이 (+) 극성으로 전계가 형성된 상태에서 n 번째 행에 속한 모든 화소 전극들은 (-) 극성으로 전계가 형성된다고 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라인 반전 구동 방식"이라 불린다.
이와 같이 라인 반전 구동 방식에 의하여 화소 전극에 전계가 형성될 경우, 동일 행(column)에 속한 화소 전극간 전계차보다 인접한 서로 다른 행에 속한 화소 전극간 전계차가 훨씬 크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n-1번째 행에 속한 화소 전극들에 가 해진 전원이 각각 +5V, +4V, +3V이고, n 번째 행에 속한 화소 전극에 가해진 화소 전극들에 가해진 전원이 각각 -10V, -9V, -10V일 경우, n-1번째 행 및 n 행에 속한 화소 전극들간 전계차는 겨우 Δ1V에 불과하지만, n-1번째 행이면서, n-2 열, n-1열, n 열에 속한 화소 전극들 및 n 번째 행이면서, n-2 열, n-1열, n 열에 속한 화소 전극의 전계차는 최소한 Δ10V 이상이 된다.
결국, 이와 같은 경우, 제 1 역틸트 영역(W3)에서는 디스플레이 불량이 심화되고, 제 2 역틸트 영역(W4)에서는 제 1 역틸트 영역(W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양호한 디스플레이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라인 반전 구동 방식"의 경우, 화소 전극(122)중 제 1 역틸트 영역(W3)이 형성된 부분 및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W1)은 광 누설 방지막(122)에 의하여 가려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 누설 방지막(122)은 게이트 라인(113g)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형성된다. 이때, 미설명 도면부호 C는 화소 전극과 화소 전극의 중심이다.
한편, 라인 반전 구동 방식에서 제 1 역틸트 영역(W3)과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W1)은 조절된 광 누설 방지막(122)에 의하여 커버되지만 제 2 역틸트 영역(W4)에서 발생하는 미약한 광 누설은 차단되지 않는 상태임으로 제 2 역틸트 영역(W4)에서 발생한 미약한 광 누설 역시 차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화소를 오버랩 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색화소의 오버랩은 매우 간단하다. 먼저, 레드 색화소(123a), 그린 색화소(123b) 및 블루 색화소(123c)들은 행렬 방식으로 배열된 화소 전극(122) 중 n-2열, n-1열, n 열(row)에 속한 화소 전극들을 그룹별로 커버하는 긴 띠 형상을 갖는다.
이때, 각 색화소의 오버랩은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W1) 및 제 2 역틸트 영역(W4)에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드 색화소(123a)는 +5V 및 -10V가 인가된 화소 전극을 덮으면서 +4V 및 -9V가 인가된 화소 전극에 형성된 제 2 역틸트 영역(W4)까지 연장된다.
한편, 그린 색화소(123b)는 +4V 및 -9V가 인가된 화소 전극을 덮으면서 일측으로는 +5V 및 -10V가 인가된 화소 전극의 에지까지 연장되고, 타측으로는 +3V 및 -10V가 인가된 화소 전극에 형성된 제 2 역틸트 영역(W4)까지 연장된다.
또한, 블루 색화소(123c)는 +3V 및 -10V가 인가된 화소 전극을 덮으면서 +4V 및 -9V가 인가된 화소 전극의 에지까지 연장된다.
이로써, 레드, 그린, 블루 색화소(123a,123b,123c)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빗금친 영역에서 오버랩 된다. 이때, 레드 색화소- 그린 색화소, 그린 색화소-블루 색화소가 겹쳐진 곳에서는 광투과도가 현저히 저하됨에 따라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W1) 및 제 2 역틸트 영역(W4)을 가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8 및 도 19에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제 1, 제 2 역틸트 영역 및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에 의한 디스플레이 특성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n ×n의 매트릭스 형태를 갖는 화소 전극 중 예를 들어, n-2번째 열(row)에 속한 모든 화소 전극들이 (+) 극성으로 전계가 형성된 상태에서 n-1번째 열에 속한 모든 화소 전극들은 (-) 극성으로 전계가 형성되고, n 번째 열에 속한 모든 화소 전극들이 다시(+) 극성으로 전계가 형성된다고 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컬럼 반전 구동 방식"이라 불린다.
이와 같이 컬럼 반전 구동 방식에 의하여 화소 전극들에 규칙적인 전계가 형성될 경우, 동일 열(row)에 속한 화소 전극간 전계차보다 인접한 서로 다른 열에 속한 화소 전극간 전계차가 훨씬 크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8의 n-2번째 열에 속한 화소 전극들에 가해진 전원이 각각 +1V, +6V이고, n-1 번째 열에 속한 화소 전극들에 가해진 전원이 각각 -5V, -2V이고, n번째 열에 속한 화소 전극들에 가해진 전원이 각각 +7V, +4V라 하기로 한다. 이때, n-2 열, n-1열, n 열에 속한 화소 전극의 전계차보다 각 열간 전계차가 훨씬 크게 된다.
이는 제 2 역틸트 영역(W4)에서의 디스플레이 불량이 제 1 역틸트 영역(W3)보다 심화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칼럼 반전 구동 방식"의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 중 제 2 역틸트 영역(W4)이 형성된 부분 및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W1)은 광 누설 방지막(122)에 의하여 가려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 누설 방지막(122)은 데이터 라인(113h)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형성된다. 이때, 광 누설 방지막(122)은 서로 인접한 화소 전극 중 제 2 역틸트 영역(W4)이 형성되지 않은 화소 전극이 최소의 면적을 덮도록 하여 화소 전극의 개구 면적이 감소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칼럼 반전 구동 방식에서 제 2 역틸트 영역(W4)과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W1)은 위치 조절된 광 누설 방지막(122)에 의하여 커버되지만 제 1 역틸트 영역(W3)에서의 미약한 디스플레이 특성 저하 또한 보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화소를 오버랩 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색화소(129)의 오버랩은 매우 간단하다. 먼저, 레드 색화소(129a), 그린 색화소(129b) 및 블루 색화소(미도시)들은 행렬 방식으로 배열된 화소 전극 중 n-1 행 및 n 행(column)에 속한 화소 전극들을 공통적으로 커버하는 긴 띠 형상을 갖는다.
이때, 각 색화소의 오버랩은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W1) 및 제 1 역틸트 영역(W3)에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드 색화소(129a)는 +1V, -5V, +7V가 인가된 화소 전극을 덮으면서 +6V, -2V, +4V가 인가된 화소 전극까지 연장된다.
한편, 그린 색화소(129b)는 +6V, -2V, +4V가 인가된 화소 전극을 덮으면서 일측으로는 +1V, -5V, +7V가 인가된 화소 전극에 형성된 제 1 역틸트 영역(W3)까지 연장된다.
이로써, 색화소(129)들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금친 영역에서 오버랩 된다. 이때, 레드 색화소(129a)- 그린 색화소(129b)가 겹쳐진 곳에서는 광투과도가 현저히 저하됨에 따라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W1) 및 제 2 역틸트 영역(W4)을 가 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20 에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제 1, 제 2 역틸트 영역 및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에 의한 디스플레이 특성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에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20에는 화소 전극이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극성이 반전되는 "도트 반전 구동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트 반전 구동 방식에 의하여 형성된 제 1, 제 2 역틸트 영역(W3, W4)에서는 모두 강한 광 누설이 발생됨으로 색화소를 오버랩 하는 방식으로는 그다지 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제 1, 제 2 역틸트 영역(W3,W4) 및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W1)은 모두 광 누설 방지막(122)에 의하여 가림으로써 액정의 역틸트 영역(W2)에 의한 디스플레이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의 러빙 방향에 따라 발생하는 광 누설을 광 누설 방지막의 면적 증대 없이 광 누설 방지막의 위치를 최적화하여 개구율 감소 없이 액정표시장치로부터 광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 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구동 방식이 "라인 반전 구동 방식" 또는 "컬럼 반전 구동 방식"이더라도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과 화소 전극의 사이에 모두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a) 기판에 제 1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인가수단이 행렬 형태로 형성된 화소들 및 상기 화소들이 형성된 상기 기판에 제 1 러빙 방향으로 러빙 된 제 1 배향홈이 형성된 제 1 배향막을 갖는 TFT 기판, (b) 상기 1 전극과 대향하는 2 전극, 레드, 그린, 블루 색화소 박막 및 제 2 러빙 방향으로 러빙 된 제 2 배향홈이 형성된 제 2 배향막이 형성된 컬러필터 기판, (c) 상기 TFT 기판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제 2 배향홈에 의하여 틸트(tilt) 및 트위스트 된 액정, (d) 상기 화소와 화소의 사이에 형성된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과 인접한 상기 제 1 전극의 일부에 상기 제 1 배향홈의 상기 제 1 러빙 방향에 의하여 역틸트(reverse tilt)된 액정에 의한 광 누설 영역을 가리는 광 누설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역틸트된 액정은 상기 전원인가수단을 작동시키는 제 1 라인과 평행한 제1 역틸트 액정 영역 및 상기 전원인가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1 전극으로 출력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라인과 평행한 제2 역틸트 액정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제1 역틸트 영역 및 제2 역틸트 영역 중 상기 광 누설 방지 수단에 의해 가려진 부분을 제외한 상기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중 나머지와, 상기 나머지에 나란한 상기 제1 또는 제2 역틸트 액정 영역은 상기 레드, 그린 및 블루 색화소 박막 중 선택된 2 개의 그룹을 오버랩 시켜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틸트 액정 영역 및 제2 역틸트 액정 영역은 상기 제1 러빙 방향과 마주보는 상기 제1 전극의 인접한 2개의 에지들에 각기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틸트 액정 영역은 각 상기 제 1 전극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가수단은 상기 제 1 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제 1 전극들을 행(column) 단위로 극성이 반전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광 누설 방지 수단은 상기 제 1 역틸트 액정 영역 및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제 1 라인과 평행한 방향에 해당하는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띠 형태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인과 평행한 상기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컬러필터기판에 형성된 상기 레드, 그린 및 블루 색화소 박막 중 선택된 2 개 의 그룹을 오버랩 시켜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레드, 그린 및 블루 색화소 박막은 상기 제 1 전극들 중 각 열(row)에 속한 제 1 전극들을 동시에 가리도록 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누설 방지 수단은 광을 흡수하는 금속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가수단은 상기 제 2 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제 1 전극들을 열(row) 단위로 극성이 반전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광 누설 방지 수단은 상기 제 2 역틸트 액정 영역 및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제 2 라인과 평행한 방향에 해당하는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띠 형태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인과 평행한 상기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컬러필터기판에 형성된 상기 레드, 그린 및 블루 색화소 박막 중 선택된 2 개의 그룹을 오버랩 시켜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레드, 그린 및 블루 색화소 박막은 상기 제 1 전극들 중 각 행(column)에 속한 제 1 전극들을 동시에 가리도록 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누설 방지 수단은 광을 흡수하는 적어도 1 층 이상의 금속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가수단은 상기 제 1 전극들을 행렬(matrix) 단위로 극성이 반전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광 누설 방지 수단은 상기 제 1 역틸트 액정 영역, 제 2 역틸트 액정 영역 및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격자 형태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누설 방지 수단은 광을 흡수하는 금속 박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은 크롬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20004372A 2002-01-25 2002-01-25 액정표시장치 KR100746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372A KR100746283B1 (ko) 2002-01-25 2002-01-25 액정표시장치
TW091137055A TWI326376B (en) 2002-01-25 2002-12-23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10/331,420 US7333168B2 (en) 2002-01-25 2002-12-30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03005576A JP4703098B2 (ja) 2002-01-25 2003-01-14 液晶表示装置
CNB031029965A CN100449368C (zh) 2002-01-25 2003-01-24 液晶显示设备
US12/014,420 US7944528B2 (en) 2002-01-25 2008-01-15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372A KR100746283B1 (ko) 2002-01-25 2002-01-25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986A KR20030063986A (ko) 2003-07-31
KR100746283B1 true KR100746283B1 (ko) 2007-08-03

Family

ID=2760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372A KR100746283B1 (ko) 2002-01-25 2002-01-25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333168B2 (ko)
JP (1) JP4703098B2 (ko)
KR (1) KR100746283B1 (ko)
CN (1) CN100449368C (ko)
TW (1) TWI3263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6791B2 (ja) * 2003-12-26 2008-09-1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KR101200444B1 (ko) * 2005-07-14 2012-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와 이를 이용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제조방법 및 액정표시장치
JP5707973B2 (ja) * 2011-01-27 2015-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映像処理方法、映像処理回路、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6681048A (zh) * 2017-01-19 2017-05-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液晶显示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3802A (ja) * 1993-03-24 1994-09-30 Fuji Xerox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表示装置
JPH10161153A (ja) * 1996-11-29 1998-06-19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010056347A (ko) * 1999-12-15 2001-07-04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20030054013A (ko) * 2001-12-24 2003-07-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8801A (ja) 1988-01-25 1989-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828990B2 (ja) 1988-04-19 1998-11-25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素子
JP2543286B2 (ja) * 1992-04-22 1996-10-1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液晶表示装置
KR0148391B1 (ko) * 1993-08-31 1998-11-16 박경팔 액정표시소자
KR950029830A (ko) * 1994-04-19 1995-11-24 가네꼬 히사시 액정 디스플레이 셀
JP3109979B2 (ja) * 1994-06-20 2000-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934875B2 (ja) * 1994-09-30 1999-08-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マトリックス型液晶表示装置
TW347477B (en) * 1994-09-30 1998-12-11 Sanyo Electric Co Liquid crystal display with storage capacitors for holding electric charges
JP2827920B2 (ja) * 1994-10-13 1998-11-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液晶表示パネル
DE69533982T2 (de) 1994-11-21 2006-01-05 Seiko Epson Corp. Flüssigkristallsteuergerät, flüssigkristallanzeigegerät und flüssigkristallsteuerungsverfahren
JPH0926603A (ja) * 1995-05-08 1997-01-2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JPH08328006A (ja) * 1995-05-31 1996-12-13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パネル
JP3659608B2 (ja) 1996-08-05 2005-06-1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10260646A (ja) * 1997-03-18 1998-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10268309A (ja) * 1997-03-21 1998-10-09 Furontetsuku:Kk 液晶表示装置
KR100513910B1 (ko) * 1998-02-23 2005-09-13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회로,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0047189A (ja) 1998-07-28 2000-02-18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
WO2000057241A1 (en) 1999-03-24 2000-09-28 Lg Chemical Ltd. A backlight system
US6493050B1 (en) * 1999-10-26 2002-1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ide viewing angle liquid crystal with ridge/slit pretilt, post spacer and dam structur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JP2001324713A (ja) 2000-05-15 2001-11-22 Hitachi Ltd 液晶表示素子およびこの液晶表示素子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3813433B2 (ja) * 2000-10-16 2006-08-23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4402280B2 (ja) * 2000-11-22 2010-01-2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3802A (ja) * 1993-03-24 1994-09-30 Fuji Xerox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表示装置
JPH10161153A (ja) * 1996-11-29 1998-06-19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010056347A (ko) * 1999-12-15 2001-07-04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20030054013A (ko) * 2001-12-24 2003-07-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4332A (zh) 2003-08-06
TW200302374A (en) 2003-08-01
US20030142251A1 (en) 2003-07-31
JP2003287752A (ja) 2003-10-10
JP4703098B2 (ja) 2011-06-15
TWI326376B (en) 2010-06-21
US20080180612A1 (en) 2008-07-31
KR20030063986A (ko) 2003-07-31
US7333168B2 (en) 2008-02-19
US7944528B2 (en) 2011-05-17
CN100449368C (zh)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4803B2 (en) Liquid crystal device,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US5831707A (en)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1350738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US20080316413A1 (en) Display panel
US785245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00048706A (ko) 액정 표시 장치
US7800570B2 (en) LCD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viewing angl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8026756A (ja) 液晶表示装置
KR100959367B1 (ko)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US8040472B2 (en) Large pixel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fringe fields
KR2004008138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595453B1 (ko)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KR10074628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49459A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US728319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herein liquid crystal molecules having particular pre-tilt angle
JP4019593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0703518A (zh) 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0949491B1 (ko)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
KR20080049440A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15729003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18200453A (ja) 液晶表示装置
KR20040108499A (ko) 액정표시장치
KR20020040991A (ko) 광누출 방지를 위한 액정 표시장치
KR20070101514A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JP2008203675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