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897B1 - 속결 단자장치 - Google Patents

속결 단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897B1
KR100720897B1 KR1020050051798A KR20050051798A KR100720897B1 KR 100720897 B1 KR100720897 B1 KR 100720897B1 KR 1020050051798 A KR1020050051798 A KR 1020050051798A KR 20050051798 A KR20050051798 A KR 20050051798A KR 100720897 B1 KR100720897 B1 KR 100720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release lever
lock
spr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612A (ko
Inventor
미노루 혼다
마키 콘도우
노보루 하시모토
카주히로 카토우
쿠니야수 시마오카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선의 접속완료표시를 시각적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한다.
단자판(1)과 전선(110)의 접속이 완료되면 해제 레버(30)의 조작부(31)가 초기위치보다 하방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전선의 접속완료표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31)가 기기체(100) 표면에 충돌할 때에 발생하는 소리(충돌음)에 의해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선(110)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레버(30)를 전선(110)의 접속완료표시에 겸용함으로써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속결 단자장치{QUICK CONNECTION TERMINAL DEVICE}
도 1은 실시형태1을 나타내고, 도 1(a)은 초기위치의 단면도, 도 1(b)은 전선이 도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1(c)는 전선이 접속되는 도중의 단면도, 도 1(d)은 전선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동 상에 있어서의 단자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상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상에 있어서의 기기체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2의 단자판 및 해제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상에 있어서의 단자판을 나타내고, 도 6(a)은 정면도, 도 6(b)은 상면도, 도 6(c)는 좌측면도, 도 6(d)은 하면도, 도 6(e)은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동 상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동 상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를 나타내고, 도 8(a)은 정면도, 도 8(b)은 상면도, 도 8(c)는 좌측면도, 도 8(d)은 하면도, 도 8(e)은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동 상의 초기위치에 래치된 해제 레버 및 단자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 상을 사용한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동 상의 단자판 및 해제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 상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의 해제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동 상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의 해제 레버를 나타내고, 도 13(a)은 정면도, 도 13(b)은 상면도, 도 13(c)는 좌측면도, 도 13(d)은 하면도, 도 13(e)은 우측면도, 도 13(f)은 배면도이다.
도 14(a)는 실시형태3에 있어서의 단자판과 록(lock) 스프링의 분해 사시도, 도 14(b)는 록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동 상에 있어서의 단자판을 나타내고, 도 15(a)는 정면도, 도 15(b)는 상면도, 도 15(c)는 좌측면도, 도 15(d)는 하면도, 도 15(e)는 우측면도이다.
도 16(a)~도 16(d)은 실시형태4에 있어서의 단자판과 록 스프링의 설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은 동 상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의 단자판 및 록 스프링의 설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형태5에 있어서의 단자판과 록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동 상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의 록 스프링을 나타내고, 도 19(a)는 정면도, 도 19(b)는 상면도, 도 19(c)는 좌측면도, 도 19(d)는 하면도, 도 19(e)는 우측면도이다.
도 20은 동 상을 나타내고, 도 20(a)은 초기위치의 단면도, 도 20(b)은 전선이 도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20(c)는 전선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동 상에 있어서의 래치 스프링을 나타내고, 도 22(a)는 정면도, 도 22(b)는 상면도, 도 22(c)는 좌측면도, 도 22(d)는 하면도, 도 22(e)는 우측면도이 다.
도 23은 동 상에 있어서의 단자판과 래치판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동 상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를 나타내고, 도 24(a)는 정면도, 도 24(b)는 상면도, 도 24(c)는 좌측면도, 도 24(d)는 하면도, 도 24(e)는 우측면도, 도 24(f)는 배면도이다.
도 25는 동 상을 나타내고, 도 25(a)는 초기위치의 단면도, 도 25(b)는 전선이 도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25(c)는 전선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동 상의 다른 구성의 단자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실시형태7에 있어서의 기기체와 해제 레버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28은 동 상을 나타내고, 도 28(a)은 초기위치의 단면도, 도 28(b)은 전선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 도 28(c)는 전선의 접속을 해제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실시형태8에 있어서의 기기체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0은 동 상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동 상을 나타내고, 도 31(a)은 초기위치의 단면도, 도 31(b)은 전선이 도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31(c)는 전선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 도 31(d)은 전선의 접속을 해제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동 상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의 기기체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33은 종래예를 나타내고, 도 33(a)은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33(b)은 전선이 접속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자판 3 … 접촉편
4 … 록편 4a … 록부
4c … 수용부 5 … 삽입통과부
6 … 피걸림부 30 … 해제 레버
31 … 조작부 33 … 압압 이동부
37 … 걸림부
본 발명은 속결(速結) 단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위치나 콘센트와 같은 배선기구에 있어서는, 기기체에 형성된 전선삽입구멍을 통해서 기기체 내에 도입된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서 속결 단자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속결 단자장치는 종래 주지이며, 스위치에 있어서의 접점이나 콘센트에 있어서의 나이프 에지 베어링(knife-edge bearing)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판과,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전선(도체)을 끼워 지지하여 전선과 단자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전선을 고정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는 록 스프링과, 기기체에 형성된 조작구멍을 통해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조작되어 록 스프링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1 참조).
그런데, 상기 종래의 속결 단자장치는, 전선이 확실하게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로부터 알 수 없으므로, 시공자에 대해서 불안감을 준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L1)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H3)에 의해 탄성 가압된 표시체(H2)의 일부가 기기체(H)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전선(L1)이 접속되었을 때에 전선(L1)[(도체(L10)]에 의해 코일스프링(H3)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표시체(H2)가 눌려 이동되어, 표시체(H2)의 일부가 구멍 안으로 퇴피됨으로써 전선의 접속완료표시를 행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평11-185905호 공보(단락0014, 도 1)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선접속완료 표시기구에서는, 표시체(H2)와 코일스프링(H3)의 2부품을 새롭게 추가함과 아울러 이들 부품을 수납하는 공간을 기기체에 형성할 필요가 있어, 부품점수의 증가나 기기체의 설계변경 등에 의한 비용상승이 생긴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구는 전선의 접속완료표시를 시각적으로 행하는 것이므로, 그 표시부위가 보이지 않는 상황 하에서 시공할 때에는 접속완료표시를 확인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전선의 접속완료표시를 시각적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속결 단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선기구의 기기체에 관통하여 형성된 전선삽입구멍을 통해서 기기체에 도입되는 전선에 접촉하는 단자판과,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선을 끼워지지함과 아울러 록부가 상기 전선을 구속하여 빠짐방지하는 접속수단과, 그 접속수단에 의한 빠짐방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구비하고, 그 해제수단은, 상기 기기체의 표면에 노출되어 수동 조작되는 조작부와, 기기체 내에 피벗되어 상기 조작부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축부와, 그 축부를 지점으로 상기 조작부가 수동조작에 의해 회전이동하였을 때에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기 접속수단의 전선을 구속한 상기 록부를 상기 전선으로부터 떼어 놓는 방향으로 눌러 이동시키는 압압 이동부를 구비한 해제 레버로 이루어지고, 그 해제 레버를 반대 조작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그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조작부가 기기체로부터 떨어진 회전이동위치에서 상기 해제 레버를 래치함과 아울러 상기 전선삽입구멍을 통해서 기기체에 도입된 전선이 상기 접속수단에 의해 상기 단자판과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전선에 의해 래치 상태가 해제되는 래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전선의 접속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작부가 기기체로부터 떨어진 회전이동위치에서 해제 레버가 래치 수단에 래치되어 있지만, 접속수단에 의해 단자판과 접속되는 위치까지 전선이 기기체에 도입되면 상기 전선에 의해서 래치 수단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고, 가압수단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있는 해제 레버가 반대 조작방향으로 회전이동해서 조작부의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조작부의 위치의 차이에 의해서 전선의 접속완료표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작부가 기기체의 표면에 충돌할 때에 발생하는 소리에 의해 전선의 접속완료표시를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전선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레버를 전선의 접속완료표시에 겸용시킴으로써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기기체 내에 설치된 피걸림부와, 상기 해제 레버에 설치되어 상기 피걸림부에 걸림과 아울러 기기체에 도입된 전선의 선단부에 의해 눌려져 피걸림부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래치 수단을 구성하는 걸림부가 해제 레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의 증가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부가 상기 단자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래치 수단을 구성하는 피걸림부가 단자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의 증가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래치 수단에 의해 래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의 압압 이동부에 눌려 이동된 상기 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록부를 가압수단으로 함으로써 부품점수의 증가가 억제됨과 아울러,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록부가 눌려 이동되어 단자판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의 도체가 강연선(strand wire)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록부의 다른 장소를 동시에 눌러 이동시키는 복수의 상기 압압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1개의 장소를 눌러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교해서 록부를 균형 좋게 눌러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록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전선의 도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록부의 폭치수를 전선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하고,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록부의 중앙부분을 전선에 구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중앙부분을 제외한 록부의 양단부분을 해제 레버로 누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록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여분의 변위를 주지 않고 끝낸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록부와 단자판이 전선을 끼워지지하는 부위와 상기 전선삽입구멍 사이에서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는 포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포위부에 의해서 전선의 위치 어긋남을 교정할 수 있어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단자판의 일부를 상기 해제 레버측으로 구부려 올려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해제 레버의 래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조작부가 회전이동할 때에 상기 축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해제 레버를 안정되게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기체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해제 레버의 조작부가 노출되는 부위의 주위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부터 조작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접속된 전선이 조작부에 닿아서 해제 레버가 부주의하게 회전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조작방향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를 당김으로써 벽에 방해되지 않고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어서 해제 레버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어 있을 때에 상기 해제 레버의 조작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창 구멍이 상기 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벽으로 둘러싸여진 조작부의 위치를 창 구멍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기체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해제 레버의 조작부가 노출되는 부위의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의 주 위를 덮음과 아울러 조작부를 조작하는 공구가 삽입되는 조작 창이 형성된 포위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를 포위체로 덮음으로써 해제 레버가 부주의하게 조작될 일이 없고, 또한, 포위체에 형성된 조작 창에 삽입한 공구로 조작부를 조작하여 해제 레버를 회전이동시키면 전선의 접속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청구항 1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 창과 대향하는 면이 평탄면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공구에 의한 조작부의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기체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해제 레버의 조작부가 노출되는 부위의 주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의 주위를 덮는 포위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의 조작에 공구를 사용할지 수동으로 행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청구항 15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위체는, 상기 기기체 표면을 따라 평행 이동했을 때에 상기 기기체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기기체에 대한 포위체의 착탈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편과, 스프링편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록부를 갖는 록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록 스프링을 단자판과 일체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단자판의 가공이 간단하게 됨과 아울러 배선기구의 도전부재(스위치에 있어서의 접점이나 콘센트에 있어서의 나이프 에지 베어링 등)와 단자판의 일체화가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18의 발명은, 청구항 1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상기 록 스프링과의 사이에서 전선을 끼워지지함과 아울러 전선에 접촉 도통하는 접촉편과, 전선을 록 스프링쪽으로 압압하는 압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압압부에 의해 전선이 접촉편쪽으로 압압됨으로써 전선의 삽입상태에 상관없이 단자판과 전선의 접속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19의 발명은, 청구항 1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전선의 도입방향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전선삽입구멍과 대향하는 주편(主片)을 갖고, 상기 록 스프링은, 상기 주편과 대향하는 스프링편의 후단이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기기체에 도입된 전선에 눌려서 록 스프링이 주편쪽으로 이동할 때, 주편과 대향하는 록 스프링의 스프링편의 후단이 절곡되어 있음으로써 주편에 대한 스프링편 후단의 구속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0의 발명은, 청구항 1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편의 휨방향으로 휠 수 있게 한 보조 스프링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편의 만곡된 부분에 걸리는 응력을 보조 스프링편에 분산함으로써 스프링편의 소성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1의 발명은, 청구항 1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에 대해서 상기 록 스프링의 스프링편을 2방향으로부터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록 스프링과 단자판의 접촉면적을 늘릴 수 있다.
청구항 22의 발명은, 청구항 2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전선의 도입방향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전선삽입구멍과 대향하는 주편과, 전선의 도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과 접촉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록 스프링을 설치하는 설치부가 상기 주편 또는 접촉편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3의 발명은, 청구항 2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의 후단으로부터 전선의 도입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대략 T자 형상의 설치편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주편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편이 삽입되어 걸리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록 스프링을 단자판의 주편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청구항 24의 발명은, 청구항 2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의 후단으로부터 전선의 도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대략 T자 형상의 설치편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접촉편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편이 삽입되어 걸리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록 스프링을 단자판의 주편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청구항 2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상기 해제 레버가 걸리는 피걸림편과, 기기체에 도입된 전선의 선단부에 접촉하는 접촉편과, 상기 피걸림편 및 접촉편을 전선의 반대 도입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래치 수단의 일부를 해제 레버에 설치할 경우에 비교해서 전선의 접속 해제시에 래치 수단이 해제 레버의 방해로 되는 경우가 없다.
청구항 26의 발명은, 청구항 25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전선의 도입방향에 있어서 전선삽입구멍과 대향하는 주편을 갖고, 상기 주편을 사이에 두고 전선의 도입방향에 있어서 전선삽입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래치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피걸림편이 출입가능하게 삽입되는 구멍이 상기 주편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단자판에 대해서 전선삽입구멍과 반대측에 래치 수단을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27의 발명은, 청구항 25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편과, 스프링편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록부를 갖는 록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판은, 전선의 도입방향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전선삽입구멍과 대향하는 주편과, 전선의 도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과 접촉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해제 레버가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해제 레버를 피하게 하기 위한 도피부가 상기 록 스프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해제 레버에 대한 치수의 제약을 완화할 수 있어서 해제 레버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28의 발명은, 청구항 25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록부의 다른 장소를 동시에 눌러 이동시키는 복수의 상기 압압 이동부와, 이들 복수의 압압 이동부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피걸림편에 거는 연결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압압 이동부를 연결 걸림부로 연결함으로써 해제 레버의 강도가 향상함과 아울러 해제 레버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형태1)
본 실시형태의 속결 단자장치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판(1)과 해제 레버(30)로 구성된다. 단자판(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주편(2)과, 주편(2)의 길이방향을 따른 한쪽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하강된 1쌍의 접촉편(3)과, 주편(2)의 길이방향을 따른 다른쪽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하강된 대략 J자 형상의 1쌍의 록편(4)을 갖고, 탄성을 갖는 띠형상의 금속판을 가공하여 접촉편(3)의 선단부와 록편(4)의 선단부가 각각 교차하도록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접촉편(3)에는 전선의 삽입방향을 따른 양단부에 있어서 전선을 압압하는 1쌍의 압압부(3a,3b)와, 상측의 압압부(3b)의 선단을 록편(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려 올려서 이루어지는 피걸림부(6)가 형성되고, 압압부(3b)와 주편(2) 사이에는 후술하는 전선삽입구멍(101)과 대향하여 전 선이 삽입통과되는 삽입통과부(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편(3)에 대해서 내측에 위치하는 록편(4)에는, 전선을 접촉편(3)쪽으로 압압함과 아울러 전선의 일부를 구속하여 빠짐방지하는 록부(4a)가 선단에 형성되고, 록부(4a)보다 하방의 부위에 전선[접속편(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굽힘부(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선의 도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록부(4a)의 편측이 접촉편(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부분이 해제 레버(30)에 의해 압압되는 수용부(4c)가 된다. 또한, 록부(4a)가 접촉편(3)에 대향함과 아울러 수용부(4c)가 접촉편(3)과 대향하지 않도록 접촉편(3)의 폭치수가 록편(4)의 폭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단자판(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나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의 기기체(100)에 형성된 단자판 수납실(102)에 수납되고, 단자판 수납실(102)의 저벽에는 1쌍의 전선삽입구멍(10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나 콘센트와 같은 배선기구에 있어서는, 스위치의 접점이나 콘센트의 나이프 에지 베어링 등의 도전 부품에 단자판(1)이 연결되고, 단자판(1)을 통해서 스위치의 접점이나 콘센트의 나이프 에지 베어링과 전선이 도통하게 된다.
해제 레버(30)는 합성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형상의 조작부(31)와, 반원판형상의 축부(32a)를 갖는 본체부(32)과, 조작부(31)의 중앙으로부터 돌출해서 본체부(32)과 연결하는 연결부(34)과, 본체부(32)로부터 축부(32a)와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대략 부채꼴형의 지지부(35)과, 본체부(32)의 편방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대략 삼각기둥형상의 압압 이동부(33)와, 연결부 (34)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지지부(35)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암부(36)와, 암부(36)의 선단으로부터 조작부(31)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대략 사각기둥형상의 걸림부(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체(100)에 설치된 베어링 대(103)에 축부(32a)가 적재되고, 단자판 수납실(102)에 수납되는 단자판(1)의 주편(2)에 지지부(35)가 접촉함으로써 축부(32a)가 회전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기기체(100)의 측면에는 단자판 수납실(102)과 통하는 세로홈(104)이 형성되어 있고, 해제 레버(30)는 세로홈(104)을 통해서 연결부(34) 및 조작부(31)가 기기체(100) 밖으로 노출되고, 압압 이동부(33)가 단자판(1)의 록편(4)에 있어서의 수용부(4c)와 대향하고, 단자판 수납실(102) 내에 설치된 베어링 대(103)에 축부(32a)를 적재함으로써, 축부(32a)를 지점으로 기구본체(1)의 전후방향(도 1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을 따라 회전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단자판 수납실(102)에는 서로 거울상(reflected image)의 관계가 되는 2개의 해제 레버(30)가 본체부(32)를 서로 이웃하게 배열하여 배치된다.
그런데, 전선(11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37)가 단자판(1)의 피걸림부(6)에 걸리(래치)는 회전이동위치까지 해제 레버(30)가 회전이동되어 있다(이하, 이 회전이동위치를 「초기위치」라 칭한다). 해제 레버(30)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는 단자판(1)의 수용부(4c)가 압압 이동부(34)에 압압 이동되어 록편(4)이 접촉편(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휜 상태로 있다. 이 때 록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해제 레버(30)가 반대 조작방향 (도 1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지만, 걸림부(37)가 단자판(1)의 피걸림부(6)에 걸려 있기 때문에 해제 레버(30)는 초기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삽입구멍(101)을 통해서 전선(110)의 도체(111)를 접촉편(3)과 록편(4) 사이에 도입하면, 삽입통과부(5)를 통해서 도체(111)의 선단이 해제 레버(30)의 걸림부(37)에 접촉하고, 걸림부(37)를 밀어 올려서 걸림부(37)와 피걸림부(6)의 래치상태를 해제한다. 그러면,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있던 해제 레버(30)가 반대 조작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록편(4)의 록부(4a)가 도체(111)를 구속함으로써 전선(110)이 빠짐방지됨과 아울러 록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체(111)가 접촉편(3)에 탄성 접촉한다. 또한 도체(111)는 1쌍의 압압부(3a,3b)에 의해 록편(4)쪽으로 압압되고, 록부(4a)와 1쌍의 압압부(3a,3b)의 압압력이 균등하게 되어 전선(110)이 끼워지지된다. 또한, 록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대 조작방향으로 회전이동한 해제 레버(30)는, 곧바로 조작부(31)가 기기체(100) 표면에 닿아서 정지하지만, 이 때 조작부(31)가 기기체(100) 표면에 충돌함으로써 소리(충돌음)를 발생한다[(도 1(d) 참조].
한편, 도 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110)이 접속된 상태에서 조작부(31)를 상방에 밀어 올리도록 조작하면, 축부(32a)를 지점으로 하여 해제 레버(30)가 접속시와 반대방향(도 1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압압 이동부(33)가 단자판(1)의 수용부(4c)를 압압하여 도체(111)를 구속하고 있는 록부(4a)가 도체(111)로부터 떨어지도록 록편(4)을 휘게 하여 전선(110)의 뽑기가 가능하게 된 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자판(1)과 전선(110)의 접속이 완료하면 해제 레버(30)의 조작부(31)가 초기위치보다 하방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전선의 접속완료표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작부(31)가 기기체(100) 표면에 충돌할 때에 발생하는 소리(충돌음)에 의해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전선(110)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레버(30)를 전선(110)의 접속완료표시에 겸용함으로써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래치 수단을 구성하는 걸림부(37)가 해제 레버(30)에 설치되고, 동일하게 래치 수단을 구성하는 피걸림부(6)가 단자판(1)에 설치됨과 아울러, 단자판(1)의 록부(4a)[록편(4)]를 가압수단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전선의 접속완료 표시기구의 추가에 따른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선(11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초기위치)에 있어서, 해제 레버(30)의 압압 이동부(34)에 의해 수용부(4c)와 함께 록부(4a)가 눌러 움직여져서 접촉편(3)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110)의 도체(111)가 강연선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판(1)의 일부[접촉편(3)의 선단부]를 록편(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해제 레버(30)측]으로 구부려 올림으로써 피걸림부(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37)와의 걸림값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해제 레버(30)의 래치가 확실하게 행해진다.
(실시형태2)
도 5~도 13을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의 속결 단자장치를 설명한다. 단, 실시 형태1과 공통인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도시 및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자판(1)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110)의 도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5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과 대향하는 위치에 접촉편(3)이 배치됨으로써, 록부(4a)의 중앙부분을 제외한 양단부분이 수용부(4c)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3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편(3)을 사이에 두고 압압 이동부(33)와 대향하는 제 2 압압 이동부(38)와, 제 2 압압 이동부(38)와 조작부(31)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39)와, 제 2 연결부(39)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암부(36)와 병행해서 돌출함과 아울러 제 1 암부(36)의 선단과 연결된 제 2 암부(40)와, 제 1 암부(36)와 제 2 암부(40)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접촉편(3)을 향해 돌출하는 걸림부(37)를 구비하고 있다. 단, 도 7에 나타낸 해제 레버(30)와 도 8에 나타낸 해제 레버(30)는 서로 거울상의 관계에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접촉편(3,3)의 사이의 공간에 주부(主部)(32)가 배치되고, 주부(32)에 형성된 압압 이동부(33)가 내측의 수용부(4c)와 대향하고, 접촉편(3)을 사이에 두고 외측에 배치된 제 2 압압 이동부(38)가 외측의 수용부(4c)와 대향하는 형태로 2개의 해제 레버(30,30)가 단자판(1)과 조합되고, 단자판(1)의 피걸림부(6)에 걸림부(37)를 걸은 초기위치로 유지된다(도 9 참조).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속결 단자장치를 전압극측의 전선을 접속하는 단자부와 접지극측의 전선을 접속하는 단자부와 접지선을 접속하는 단자부에 이용한 배선기구(콘센트)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콘센트(C)는, 접지극이 있는 콘센트 구멍(105)이 기기체(100) 앞면에 길이방향으로 병설되어 있고, 각 단자부마다 2개의 해제 레버(30)가 기기체(100)의 측면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해제 레버(30)에 제 2 연결부(39)가 추가된 것에 따라, 기기체(100) 측면에는 각 단자부마다 각각 2개의 세로홈(104)이 추가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록부(4a)의 다른 장소, 즉 록편(4)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록부(4a)의 중앙부분을 제외한 양단부분[수용부(4c,4c)]을 해제 레버(30)의 압압 이동부(33) 및 제 2 압압 이동부(38)로 동시에 눌러 이동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실시형태1과 같이 1개의 장소[수용부(4c)]를 눌러 이동시킬 경우와 비교하여 록부(4a)를 균형 좋게 눌러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록부(4a)[록편(4)]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변형분을 고려한 여분의 압압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자판(1)(록편(4))의 소성변형의 경감이 도모된다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 이동부(33) 및 연결부(34)과 제 2 압압 이동부(38) 및 연결부(39)로, 록부(4a)와 단자판(1)[접촉편(3)]이 도체(111)를 끼워지지하는 부위와 전선삽입구멍(101) 사이에서 도체(111)의 주위를 둘러싸는 포위부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 포위부에 의해 도체(111)의 위치 어긋남을 교정할 수 있어서 전선(110)을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압압 이동부(38)에 제 2 주부(41) 및 축부(41a)와 제 2 지지부(42)를 일체로 형성하면, 축부(32a) 및 지지부(35)가 편측에만 있는 경우에 비교하여, 2개의 축부(32a,41a)와 2개의 지지부(35,42)에 의해 해제 레버(30)를 안정하게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3)
그런데, 실시형태1,2에서는 단자판(1)과 다른 도전부재(스위치에 있어서의 접점이나 콘센트에 있어서의 나이프 에지 베어링)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통상은 금속판을 가공해서 단자판(1)과 다른 도전부재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시형태1,2에서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단자판과 록 스프링을 일체로 형성한 관계상, 다른 도전부재를 일체화하는 경우에 매우 복잡한 형상의 금형이 필요하게 되고, 그러한 금형의 복잡화를 피하고자 하면 단자판과 다른 도전부재를 코킹이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4(a)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판(1)으로부터 록편(4)을 제거하고,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편(10a)과, 스프링편(10a)의 선단에 형성된 록부(10b)를 갖는 록 스프링(10)으로 접속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단자판(1)의 형상을 간소화하고 있다. 탄성을 가짐과 아울러 도전율이 높은 띠판형상의 금속판을 굽힘가공함으로써 대략 U자 모양의 스프링편(10a)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절곡된 스프링편(10a)의 선단이 록부(10b)로 된다.
단자판(1)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편(2)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접촉편(3)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수직 하강된 접촉편(7)이 록편(4) 대신에 형성되어 있고, 록부(10b)와 대향하는 스프링편(10a)의 평탄부를 접촉편(7)에 접촉하는 형태로 단자판(1)의 내측에 록 스프링(10)이 배치된다.
전선(도체)이 접속된 상태에서는, 록 스프링(10)의 록부(10b)가 도체를 구속하여 빠짐방지함과 아울러 스프링편(10a)의 스프링력에 의해 스프링편(10a)의 평탄부가 단자판(1)의 접촉편(7)에 눌러짐으로써 단자판(1)과 록 스프링(10)이 도통한다. 또한, 전선이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는 록 스프링(10)에 전선의 삽입방향[(도 14(a)에 있어서의 상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록 스프링(10)이 이동할 때에 스프링편(10a)의 후단이 단자판(1)의 주편(2)을 구속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편(10a)의 후단을 절곡해 두면, 주편(2)에 대한 스프링편(10a) 후단의 구속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판(1)으로부터 록편(4)을 제거하여 록 스프링(10)으로 접속수단을 구성하도록 했으므로, 실시형태1,2에 있어서의 단자판(1)과 비교하여 금형의 복잡화를 억제하면서 스위치에 있어서의 접점판이나 콘센트에 있어서의 나이프 에지 베어링과 같은 다른 도전부재를 단자판(1)의 접촉편(7)에 연결하여 일체화할 수 있고, 단자판(1)과 다른 도전부재를 코킹이나 용접 등으로 결합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형태4)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3과 마찬가지로 단자판(1)과 록 스프링(10)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스프링(10)을 설치하는 설치부(8)가 단자판(1)의 주편(2)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록 스프링(10)은, 스프링편(10a)의 후단부가 록부(10b)를 향해서 만곡하고, 그 앞에서부터 전선의 도입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대략 T자 형상의 설치편(10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판(1)의 주편(2)에 형성된 설치부(8)는, 록 스프링(10)의 설치편(10c)이 걸리는 걸림홈(8a)과, 걸림홈(8a)보다 폭이 좁고 삽입통과부(5)와 걸림홈(8a)을 연통하는 연통홈(8b)으로 구성된다.
다음에 단자판(1)에 대한 록 스프링(10)의 설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단자판(1)에 대해서 록 스프링(10)을 약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연통홈(8b) 및 삽입통과부(5)에 설치편(10c)을 삽입통과시키고, 설치편(10c)의 목의 부분을 연통홈(8b)을 통과시켜 걸림홈(8a)까지 이동시킨다[도 10(b) 참조]. 그리고, 록부(10b)가 접촉편(3)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록 스프링(10)을 회전시키면[도 10(c), 도 10(d) 참조], 설치편(10c)이 걸림홈(8a)에 걸려서 단자판(1)의 설치부(8)에 록 스프링(10)이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선을 접속한 상태에서 록 스프링(10)이 위로 밀어 올려지면 스프링편(10a)의 후단 가장자리와 주편(2)의 하면이 접촉 도통하고, 록 스프링(10)이 아래로 당겨 내려지면 설치편(10c)의 하단 가장자리와 주편(2)의 상면이 접촉 도통하기 때문에, 록 스프링(10)과 단자판(1)의 접촉편(7) 사이뿐만 아니라, 설치부(8)과 설치편(10c) 사이에 있어서도 단자판(1)과 록 스프링(10)이 통전하게 되어 양자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하고, 또한, 단자판(1)의 주편(2)에 록 스프링(1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라는 이점이 있다. 단, 도 17에 나타내는 바 와 같이 단자판(1)의 접촉편(7)에 설치부(8)를 설치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거둔다.
(실시형태5)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3과 마찬가지로 단자판(1)과 록 스프링(10)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스프링(10)의 스프링편(10a) 후단부(평탄부)에, 스프링편(10a)의 휨방향으로 휠 수 있게 한 보조 스프링편(10d)이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보조 스프링편(10d)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편(10a)의 평탄부에 역 U자형의 홈을 형성하고, 그 홈의 내측의 부위를 대략 V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고, 절곡된 굽힘부(10e)가 스프링편(10a)의 평탄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판(1)의 내측에 록 스프링(10)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보조 스프링편(10d)이 굽힘부(10e)에 있어서 단자판(1)의 접촉편(7)과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도 20(a)~도 2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 레버(30) 또는 전선(110)[도체(111)]에 의해 록 스프링(10)의 스프링편(10a)이 휘어졌을 때에 보조 스프링편(10d)도 마찬가지로 휘어지고, 스프링편(10a)과 보조 스프링편(10d)의 쌍방에서 하중을 받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편(10a)의 만곡한 부분에 걸리는 응력을 보조 스프링편(10d)에 분산함으로써 스프링편(10a)의 소성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6)
그런데, 해제 레버(30)에 형성된 걸림부(37)를 단자판(1)에 형성된 피걸림부 (6)에 거는 실시형태1~5의 구성에 있어서는, 전선(110)의 접속을 해제할 때에 해제 레버(30)의 걸림부(37)가 도체(111)의 선단에 올라타야만 하므로, 그 올라 탈 때에 걸림부(37)가 형성된 암부(36)를 휘게 할 필요가 있지만, 암부(36)의 형상이나 재질에 따라서는 충분한 휨량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해제 레버(30)의 조작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판(1)의 피걸림부(6) 및 해제 레버(30)의 걸림부(37) 대신에 래치 스프링(20)을 이용하여 해제 레버(30)를 초기위치로 래치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래치 스프링(20)은,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Z자 형상의 1쌍의 스프링편(21)과, 1쌍의 스프링편(21)의 선단(도 21에 있어서의 상단)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편(22)과, 스프링편(21)의 후단부(도 21에 있어서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잘라 올려져서 도체(111)의 선단부에 접촉하는 접촉편(23)과, 스프링편(21)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하강되어 해제 레버(30)가 걸리는 피걸림편(24)이, 금속제의 판스프링재를 천공가공 및 굽힘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편(23)을 단자판(1)의 삽입통과부(5)에 삽입통과시킴과 아울러 주편(2)에 관통되게 형성된 구멍(9)에 피걸림편(24)을 삽입통과시키는 형태로, 주편(2)을 사이에 두고 전선의 도입방향에 있어서 전선삽입구멍(도시 생략)과 대향하는 위치[도 23에 있어서는 주편(1)의 상측]에 래치 스프링(20)이 배치된다. 이 때 스프링편(21)의 선단부(도 23에 있어서의 상단부)는 기기체(도시 생략)의 내벽에 닿아서 지지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30)는, 도 21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실시형태2의 해제 레버(30)에 있어서 암부(36,40) 및 걸림부(37) 대신에, 2개의 지지부(35,42)의 선단부분을 연결함과 아울러 래치 스프링(20)의 피걸림편(24)에 걸리는(래치하는) 연결 걸림부(43)를 구비하고 있다. 단, 도 21에 나타낸 2개의 해제 레버(30)는 서로 거울상의 관계에 있다. 또한 단자판(1)은 주편(2)에 구멍(9)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점 이외에는 실시형태2의 것과 공통이다.
그리고,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접촉편(3,3)의 사이의 공간에 주부(32)가 배치되고, 주부(32)에 형성된 압압 이동부(33)가 록부(4a)의 내측과 대향하고, 접촉편(3)을 사이에 두고 외측에 배치된 제 2 압압 이동부(38)가 록부(4a)의 외측과 대향하는 형태로 2개의 해제 레버(30,30)가 단자판(1)과 조합된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부(31)를 밀어 올리게 하여 해제 레버(30)를 회전이동시키면, 연결 걸림부(43)가 피걸림편(24)을 압압함으로써 스프링편(21)이 상방으로 휘고, 곧바로 연결 걸림부(43)가 피걸림편(24)을 타고 넘으면 스프링편(21)이 복원됨으로써 피걸림편(24)에 연결 걸림부(43)가 걸려지고, 2개의 압압 이동부(33,38)가 록부(4a)로부터 받는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해제 레버(30)가 초기위치에 유지된다[도 25(b) 참조).
그리고, 도 2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삽입구멍(도시 생략)을 통해서 전선(110)의 도체(111)를 접촉편(3)과 록편(4) 사이에 도입하면, 삽입통과부(5)를 통해서 도체(111)의 선단이 래치 스프링(20)의 접촉편(23)에 접촉하고, 접촉편(23)이 밀어 올려져서 스프링편(21)이 상방으로 휘기 때문에, 피걸림편(24)과 연결 걸 림부(43)의 래치 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면 록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있던 해제 레버(30)가 반대 조작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록편(4)의 록부(4a)가 도체(111)를 구속함으로써 전선(110)이 빠짐방지됨과 아울러 록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체(111)가 접촉편(3)에 탄성 접촉한다. 또한 록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대 조작방향으로 회전이동한 해제 레버(30)의 조작부(31)가 기기체 표면에 충돌함으로써 소리(충돌음)가 발생한다. 또한, 도 2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110)이 접속된 상태에서는 래치 스프링(20)의 피걸림편(24)이 구멍(9) 밖으로 퇴출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110)의 접속을 해제할 때에 래치 스프링(20)이 해제 레버(30)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어 해제 레버(30)의 조작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5와 마찬가지로 단자판(1)과 2개의 록 스프링(10)의 3부품으로 구성해도 상관없다. 이 때, 해제 레버(30)가 조작되었을 때에 해제 레버(30)를 피하게 하기 위해, 록 스프링(10)의 스프링편(10a)의 후단을 커팅하여 도피부(10f)를 형성해 두면, 해제 레버(30)에 대한 치수의 제약을 완화할 수 있어서 해제 레버(30)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실시형태7)
그런데, 실시형태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매립형의 배선기구의 단자부에 본 발명에 관한 속결 단자장치가 이용되는 경우, 기기체(100)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해제 레버(30)의 조작부(31)에 전선이 닿음으로써 해제 레버(30)가 부주의하게 회전이동해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전선이 닿아 해제 레버(30)가 부주의하게 회전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체(100)의 표면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30)의 조작부(31)가 노출되는 부위의 주위에 조작부(31)의 조작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부터 조작부(31)의 주위를 둘러싸는 벽(106)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단, 실시형태1과 공통인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도시 및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벽(106)은 기기체(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기기체(100)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봤을 때에 해제 레버(30)의 주위를 덮는 각이 진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벽(106)의 저면에는 해제 레버(30)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어 있을 때에 조작부(31)가 눈으로 확인가능한 창 구멍(10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7에 있어서는 기기체(100)를 구성하는 보디(100a)와 커버(도시 생략) 중에서 보디(100a)만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30)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31)로부터 조작방향으로 돌출하는 평판형상의 손잡이(44)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형태2의 것과 공통이다.
그리고, 도 2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삽입구멍(101)을 통해서 전선(110)의 도체(111)를 접촉편(3)과 록편(4) 사이에 도입하면, 삽입통과부(5)를 통해서 도체(111)의 선단이 해제 레버(30)의 걸림부(37)에 접촉하고, 걸림부(37)를 밀어 올려서 걸림부(37)와 피걸림부(6)의 래치상태를 해제하면, 도 2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있던 해제 레버(30)가 반대 조작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록편(4)의 록부(4a)가 도체(111)를 구속함으로써 전선 (110)이 빠짐방지됨과 아울러 록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체(111)가 접촉편(3)에 탄성 접촉된다. 또한 록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대 조작방향으로 회전이동된 해제 레버(30)의 조작부(31)가 기기체(100) 표면에 충돌함으로써 소리(충돌음)를 발생한다. 또한, 해제 레버(30)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는 벽(106)의 창 구멍(106a)으로부터 조작부(31)를 눈으로 확인할 수는 없지만, 전선의 접속이 완료하여 조작부(31)가 벽(106)의 저면까지 내려진 상태에서는 창 구멍(106a)을 통해서 조작부(31)를 눈으로 확인할 있으므로, 전선의 접속완료표시가 창 구멍(106a)을 통해서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의 접속을 해제할 때, 손잡이(44)를 가지고서 앞으로 잡아당기면, 벽(106)에 방해되지 않고 조작부(31)를 조작할 수 있어서 해제 레버(30)의 조작성이 향상되는 것이다[도 28(c) 참조].
(실시형태8)
본 실시형태는,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체(100)의 표면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30)의 조작부(31)가 노출되는 부위의 주위에, 조작부(31)의 주위를 덮음과 아울러 조작부(31)를 조작하는 공구가 삽입되는 조작 창(107a)이 형성된 포위체(107)를 구비한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30)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31)의 저면[조작 창(107a)과 대향하는 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형태2의 것과 공통이다.
포위체(107)는 기기체(100)와 일체로 형성된 상자형상이며,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는 해제 레버(30)의 조작부(31)가 이동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 레버(30)가 초기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삽입구멍(101)을 통해서 전선(110)의 도체(111)를 접촉편(3)과 록편(4) 사이에 도입하면, 삽입통과부(5)를 통해서 도체(111)의 선단이 해제 레버(30)의 걸림부(37)에 접촉하고, 걸림부(37)를 밀어 올려서 걸림부(37)와 피걸림부(6)의 래치 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면, 도 3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있었던 해제 레버(30)가 반대 조작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록편(4)의 록부(4a)가 도체(111)를 구속함으로써 전선(110)이 빠짐방지됨과 아울러 록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체(111)가 접촉편(3)에 탄성 접촉한다. 또한 록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대 조작방향으로 회전이동한 해제 레버(30)의 조작부(31)가 기기체(100) 표면에 충돌함으로써 소리(충돌음)를 발생한다. 또한, 해제 레버(30)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는 포위체(107)의 조작 창(107a)으로부터 조작부(31)를 눈으로 확인할 수는 없지만, 전선의 접속이 완료하여 조작부(31)가 포위체(107)의 저면까지 내려진 상태에서는 조작 창(107a)을 통해서 조작부(31)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의 접속완료표시가 조작 창(107a)을 통해서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3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110)이 접속된 상태에서 조작 창(107a)으로부터 삽입된 공구(120)로 조작부(31)를 상방에 밀어 올리도록 조작하면, 축부(32a)를 지점으로 하여 해제 레버(30)가 접속시와 반대방향(도 31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압압 이동부(33,38)가 단자판(1)의 수용부(4c)를 압압해서 도체(111)를 구속하고 있는 록부(4a)를 도체(111)로부터 떨어지도록 록편 (4)을 휘게 하여 전선(110)의 뽑기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부(31)를 포위체(107)로 덮음으로써 해제 레버(30)가 부주의하게 조작되는 일이 없고, 또한, 포위체(107)에 설치된 조작 창(107a)에 삽입한 공구(120)로 조작부(31)를 조작하여 해제 레버(30)를 회전이동시키면 전선의 접속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해제 레버(30)의 조작부(31)에 있어서의 조작 창(107a)과 대향하는 면을 평탄면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공구(120)에 의한 조작부(31)의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위체(107)를 기기체(100)의 표면에 있어서의 해제 레버(30)의 조작부(31)가 노출되는 부위의 주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면, 조작부(31)의 조작에 공구(120)를 사용할지 수동으로 행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포위체(107)는 전체가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대략 T자 형상의 결합부(107b)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기체(100) 표면을 따라 포위체(107)를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이들 1쌍의 결합부(107b)를 기기체(100)에 형성된 홈형상의 피결합부(108)에 결합함으로써 포위체(107)가 기기체(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의 접속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작부가 기기체로부터 떨어진 회전이동위치에서 해제 레버가 래치 수단에 래치되어 있지만, 접속수단에 의해 단자판과 접속되는 위치까지 전선이 기기체에 도입되면 상기 전선에 의해 래치 수단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고, 가압수단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있는 해제 레버가 반대 조작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조작부의 위치가 변화되기 때문에, 조작부의 위치의 차이에 의해 전선의 접속완료표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작부가 기기체의 표면에 충돌할 때에 발생하는 소리에 의해서 전선의 접속완료표시를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전선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레버를 전선의 접속완료표시에 겸용시킴으로써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8)

  1. 배선기구의 기기체에 관통되게 형성된 전선삽입구멍을 통해서 기기체에 도입되는 전선에 접촉하는 단자판과,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선을 끼워지지함과 아울러 록부가 상기 전선을 구속하여 빠짐방지하는 접속수단과, 그 접속수단에 의한 빠짐방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구비하고, 그 해제수단은, 상기 기기체의 표면에 노출되어 수동 조작되는 조작부와, 기기체 내에 피벗되어 상기 조작부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축부와, 그 축부를 지점으로 상기 조작부가 수동조작에 의해 회전이동하였을 때에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기 접속수단의 전선을 구속한 상기 록부를 상기 전선으로부터 떼어 놓는 방향으로 눌러 이동시키는 압압 이동부를 구비한 해제 레버로 이루어지고, 그 해제 레버를 반대 조작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그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조작부가 기기체로부터 떨어진 회전이동위치에서 상기 해제 레버를 래치함과 아울러 상기 전선삽입구멍을 통해서 기기체에 도입된 전선이 상기 접속수단에 의해 상기 단자판과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전선에 의해 래치 상태가 해제되는 래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기기체 내에 형성된 피걸림부와, 상기 해제 레버에 형성되어 상기 피걸림부에 걸림과 아울러 기기체에 도입된 전선의 선단부에 의해 눌려져 피걸림부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부가 상기 단자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래치 수단에 의해 래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의 압압 이동부에 눌려 이동된 상기 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록부의 다른 장소를 동시에 눌러 이동시키는 복수의 상기 압압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전선의 도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록부의 폭치수를 전선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하여, 그 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록부의 중앙부분을 전선에 구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록부와 단자판이 전선을 끼워지지하는 부위와 상기 전선삽입구멍 사이에서 전선의 주위를 둘러싸는 포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단자판의 일부를 상기 해제 레버측으로 구부려 올려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조작부가 회전이동할 때에 상기 축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체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해제 레버의 조작부가 노출되는 부위의 주위에, 상기 조작부의 조작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부터 조작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조작방향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어 있을 때에 상기 해제 레버의 조작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창 구멍이 상기 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체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해제 레버의 조작부가 노출되는 부위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의 주위를 덮음과 아울러 조작부를 조작하는 공구가 삽입되는 조작 창이 형성된 포위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 창과 대향하는 면이 평탄면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체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해제 레버의 조작부가 노출되는 부위의 주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의 주위를 덮는 포위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체는, 상기 기기체 표면을 따라 평행 이동했을 때에 상기 기기체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편과, 스프링편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록부를 갖는 록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상기 록 스프링과의 사이에서 전선을 끼워지지함과 아울러 전선에 접촉 도통하는 접촉편과, 전선을 록 스프링쪽으로 압압하는 압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전선의 도입방향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전선삽입구멍과 대향하는 주편을 갖고, 상기 록 스프링은, 상기 주편과 대향하는 스프링편의 후단이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편의 휨방향으로 휠 수 있게 한 보조 스프링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에 대해서 상기 록 스프링의 스프링편을 2방향으로부터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전선의 도입방향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전선삽입구멍과 대향하는 주편과, 전선의 도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과 접촉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록 스프링을 설치하는 설치부가 상기 주편 또는 접촉편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의 후단으로부터 전선의 도입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대략 T자 형상의 설치편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주편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편이 삽입되어 걸리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의 후단으로부터 전선의 도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대략 T자 형상의 설치편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접촉편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편이 삽입되어 걸리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상기 해제 레버가 걸리는 피걸림편과, 기기체에 도입된 전선의 선단부에 접촉하는 접촉편과, 상기 피걸림편 및 접촉편을 전선의 반대 도입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전선의 도입방향에 있어서 전선삽입구멍과 대향하는 주편을 갖고, 그 주편을 사이에 두고 전선의 도입방향에 있어서 전선삽입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래치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피걸림편이 출입가능하게 삽입되는 구멍이 상기 주편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편과, 스프링편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록부를 갖는 록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판은, 전선의 도입방향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전선삽입구멍과 대향하는 주편과, 전선의 도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록 스프링과 접촉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해제 레버가 조작되었을 때에 그 해제 레버를 피하게 하기 위한 도피부가 상기 록 스프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록부의 다른 장소를 동시에 눌러 이동시키는 복수의 상기 압압 이동부와, 이들 복수의 압압 이동부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피걸림편에 거는 연결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장치.
KR1020050051798A 2004-06-25 2005-06-16 속결 단자장치 KR100720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88779A JP4289230B2 (ja) 2004-06-25 2004-06-25 速結端子装置
JPJP-P-2004-00188779 2004-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612A KR20060049612A (ko) 2006-05-19
KR100720897B1 true KR100720897B1 (ko) 2007-05-25

Family

ID=3571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798A KR100720897B1 (ko) 2004-06-25 2005-06-16 속결 단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89230B2 (ko)
KR (1) KR100720897B1 (ko)
CN (1) CN100377426C (ko)
TW (1) TWI2601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4150B1 (fr) * 2006-07-19 2008-10-10 Legrand France Appareil electrique comportant une borne de connexion bilaterale
JP4770697B2 (ja) * 2006-10-26 2011-09-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JP2008108642A (ja) * 2006-10-26 2008-05-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装置
JP5102480B2 (ja) * 2006-11-27 2012-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JP4816428B2 (ja) 2006-11-27 2011-11-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JP4803136B2 (ja) * 2007-08-16 2011-10-2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配線器具
DE102009050366A1 (de) * 2009-10-22 2011-04-2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ung zur Aufnahme eines starren Leiterendes
JP5491837B2 (ja) * 2009-12-04 2014-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JP5958680B2 (ja) * 2010-09-14 2016-08-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子装置
FR2965117B1 (fr) * 2010-09-21 2012-09-28 Legrand France Dispositif pour la connexion electrique automatique de deux conducteurs electriques
CN102306875A (zh) * 2011-06-24 2012-01-04 孙庆华 一种安保插
CN102354831B (zh) * 2011-08-15 2013-10-16 浙江正泰建筑电器有限公司 无螺纹接线端子装置
DE102011056410B4 (de) 2011-12-14 2013-06-2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CN103367935B (zh) * 2012-04-01 2016-12-14 厦门唯恩电气有限公司 一种依靠带状硬金属扭曲压力接线的连接器
DE102013101406B4 (de) * 2013-02-13 2018-07-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3101409B4 (de) * 2013-02-13 2022-01-2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202013101582U1 (de) * 2013-04-15 2014-07-16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Federkraftklemmelement mit Schwenkhebel
JP2015187997A (ja) * 2015-06-24 2015-10-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子装置
CN104993310B (zh) * 2015-08-07 2017-08-15 江门市高翔电气智能化有限公司 一种接线端子分路连接器
US10374332B2 (en) * 2015-10-27 2019-08-06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Device for holding and bringing into electrical contact conductors
JP2017204415A (ja) * 2016-05-12 2017-11-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配線器具
DE102016111627A1 (de) * 2016-06-24 2017-12-2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TWI634712B (zh) * 2016-08-25 2018-09-01 德商鳳凰康特公司 Terminal clamp
CN106384916A (zh) * 2016-10-18 2017-02-08 浪潮(苏州)金融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电源分线器
DE102017108171A1 (de) * 2017-04-18 2018-10-1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Federkraftanschluss
CN109560436B (zh) * 2017-09-26 2024-02-02 安波福中央电气(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JP6866829B2 (ja) * 2017-11-22 2021-04-2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板ばねの製造方法
BE1026171B1 (de) * 2018-04-03 2019-10-3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einrichtung zum Anschließen eines Schirmleiters einer elektrischen Leitung an einen Erdungsabschnitt
CN110391508A (zh) * 2018-06-21 2019-10-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现场做线连接器
CN109149218B (zh) * 2018-08-30 2020-01-07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使用弹片快速锁线的结构
DE202018106900U1 (de) * 2018-12-04 2020-03-0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Federanschlussklemme
DE202018106896U1 (de) * 2018-12-04 2020-03-0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Federanschlussklemme
JP7334583B2 (ja) * 2019-11-11 2023-08-29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台
DE102019131143A1 (de) * 2019-11-19 2021-05-2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einrichtung zum Anschließen einer elektrischen Leitung
CN113972506B (zh) * 2020-07-24 2022-12-16 菲尼克斯亚太电气(南京)有限公司 一种带有操作声音反馈的接线端子
LU502541B1 (de) * 2022-07-21 2024-01-22 Phoenix Contact Gmbh & Co Anschlussanordnung mit einer Mehrzahl von Anschlussklemmen zum Anschließen elektrischer Leitungen
LU502538B1 (de) * 2022-07-21 2024-01-22 Phoenix Contact Gmbh & Co Anschlussklemme zum Anschließen einer elektrischen Leitung
LU502539B1 (de) * 2022-07-21 2024-01-22 Phoenix Contact Gmbh & Co Anschlussanordnung mit zumindest einer Anschlussklemme zum Anschließen einer elektrischen Leitung
LU502537B1 (de) * 2022-07-21 2024-01-22 Phoenix Contact Gmbh & Co Anschlussklemme zum Anschließen einer elektrischen Leitung
LU502540B1 (de) * 2022-07-21 2024-01-22 Phoenix Contact Gmbh & Co Anschlussklemme zum Anschließen einer elektrischen Lei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40U (ko) * 2017-10-12 2019-04-22 김태연 이탈방지구를 갖는 볼체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9234B2 (ja) * 2002-07-26 2007-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JP3969339B2 (ja) * 2002-11-26 2007-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器具
JP3975897B2 (ja) * 2002-11-26 2007-09-12 松下電工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並びに配線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40U (ko) * 2017-10-12 2019-04-22 김태연 이탈방지구를 갖는 볼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60118B (en) 2006-08-11
CN1713453A (zh) 2005-12-28
JP2006012634A (ja) 2006-01-12
KR20060049612A (ko) 2006-05-19
CN100377426C (zh) 2008-03-26
TW200607191A (en) 2006-02-16
JP4289230B2 (ja)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897B1 (ko) 속결 단자장치
US4071722A (en) Latch and switch interlock safety structure
US7710694B2 (en) Earth leakage breaker
US6407656B1 (en) Breaker device
EP1630906A2 (en) Coaxial connector having a switch
KR101970097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로크 부재
JP2014500601A (ja) 差込みコネクタ
TW200408169A (en) Electric connection device
JPH11512222A (ja) リボン・ケーブル・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KR100887791B1 (ko) 속결단자장치 및 배선기구
JP2005535069A (ja) 電気コネクタ用ラッチシステム
JP4830556B2 (ja) 速結端子装置並びに配線器具
JP3608462B2 (ja) 速結端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分電盤
US6139353A (en)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 medical use
JPH06163116A (ja) テレビ同軸プラグの結線構造
JP6319976B2 (ja) コネクタ
JP4690145B2 (ja) コネクタ装置
JP4803136B2 (ja) 配線器具
JP5436284B2 (ja) 自動車用充電ケーブルのコンセントプラグ
JP2004327127A (ja) ヒューズ誤挿入防止栓
WO2024048238A1 (ja) コネクタ
JP2003332003A (ja) 配線ダクトシステム用のプラグ
JP3333934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付シールド構造
JP3964143B2 (ja) ブレーカ装置
KR101795768B1 (ko) 누전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