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083B1 - 휴대 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083B1
KR100683083B1 KR1020050024770A KR20050024770A KR100683083B1 KR 100683083 B1 KR100683083 B1 KR 100683083B1 KR 1020050024770 A KR1020050024770 A KR 1020050024770A KR 20050024770 A KR20050024770 A KR 20050024770A KR 100683083 B1 KR100683083 B1 KR 100683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lay
portable device
hing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120A (ko
Inventor
슌지 후지하라
가즈유끼 니시모또
마사오 후지모또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5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또한 돌출부에 스피커 구멍이 형성된 제1 하우징과, 돌출부에 회전축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힌지부에 회전축과 대략 직교하는 회전축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힌지부는 제2 하우징이 연결되는 중앙부와, 중앙부로부터 갈라져 나와 돌출부의 한 쌍의 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양단부를 갖는 U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하우징에 힌지부와의 연결면에 대략 직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제1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표시부의 표시에 연동한 소리의 청취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휴대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기기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구성되는 휴대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힌지를 거쳐서 2개의 하우징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절첩형 휴대 전화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 타입의 휴대 전화기에는, 일반적으로 한 쪽 하우징에 표시부나 리시버 등이 설치되고, 다른 쪽 하우징에는 조작 버튼이나 마이크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 와서 서로 독립되어 회전하는 2개의 회전축을 구비한 절첩형 휴대 전화기가 판매되기 시작했다. 도14는 2개의 회전축을 구비한 종래의 절첩형 휴대 전화기(101)에 있어서의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4에 도시한 종래의 휴대 전화기(101)에 있어서의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4 및 도15에 도시한 종래의 휴대 전화기(101)에 있어서의 닫힌 상태를 도15 중 화살표 XⅢ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4 내지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01)는 표면(103a)을 갖는 하우징(103)과, 하우징(103)에 대해 화살표(15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우징(107 및 108)과, 하우징(103) 내에 수용된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부를 구비한다. 하우징(107)의 내부에는 하우징(103)과 하우징(107)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하우징(107)과 하우징(108)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힌지 장치가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103)에는 힌지 장치측단부의 주연부에 표면(103a)으로부터 돌출되는 힌지 지지부(104m 및 104n)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 지지부(104m 및 104n)는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표면(103a) 상의 힌지 지지부(104m)와 힌지 지지부(104n) 사이에는 하우징(107)이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 지지부(104m 및 104n)와 하우징(107)이 하우징(107) 내에 수용된 힌지 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03)의 표면(103a)에는 복수의 조작 버튼(118)이 설치되어 있고, 표면(103a)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하우징(103)의 표면(103b)에는 스피커(122)가 설치되어 있다. 표면(103b)에 대해 단차를 갖고 형성된 표면(153)에는 카메라부의 촬영 렌즈(114)가 노출되어 있다. 촬영 렌즈(114)는 휴대 전화기(101)를 연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108)과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부는 표면(103a)과 표면(153) 사이에 협지된 하우징(103) 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8)의 표면(108a)에는 메인 표시부(116)가 설치되어 있다.
도17은 휴대 전화기(101)에 있어서, 도14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메인 표시부가 설치된 하우징(108)을 회전시킨 경우의 휴대 전화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8)은 하우징(107)에 대해 화살표(15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메인 표시부(116)가 설치된 표면(108a)을 적당한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개방 상태 및 폐색 상태에 상관없이 조작 키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접속하는 힌지부에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절첩한 상태에 있어서 조작 가능한 부조작 키를 설치한 모바일 정보 단말 기기가 일본 공개 특허 공보인 일본 특허 공개 2003-229941호 공보(공개일 2003년 8월 15일)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2개의 회전축을 구비한 종래의 절첩형 휴대 전화기에서는 표시부를 내면에 폐색한 상태 및 외면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를 닫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운반 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손상 방지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휴대 전화기를 닫은 상태에서 표시부를 사용할 수도 있는 등 기기의 사용 용도를 확장할 수 있다.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229941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절첩형 휴대 전화기에서는 휴대 전화기를 열었을 때, 혹은 표시부를 외면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를 닫았을 때에 표시부와 스피커 구멍이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하므로, 표시부의 표시에 연동한 소리를 청취하기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부의 표시에 연동한 소리의 청취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절첩형 휴대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돌출부에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상기 제1 회전축과 대략 직교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 기기이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에 스피커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회전축에 대략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면에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휴대 기기를 열었을 때 및 표시부를 외측으로 노출시켜 휴대 기기를 닫았을 때에 표시부와 스피커 구멍이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표시부로부터의 빛의 진행 방향과 소리의 진행 방향이 대략 동일해진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있어서 표시부의 표시에 연동한 소리를 청취하기 쉬운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나타내는 기재에 의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기기는 2개의 하우징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절첩형 휴대 전화기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기기는 라디오 방송이나 텔레비전 방송 등의 시청기로서의 기능 및 휴대 게임기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휴대 기기)(1)의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휴대 전화기(1)의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은 휴대 전화기(1)를 도2 중 화살표 Ⅲ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절첩형 휴대 전화기이고, 카메라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한 쪽의 하우징을 표리 반전시킬 수 있는 타입의 휴대 전화기이다.
휴대 전화기(1)는 제1 하우징(2)과, 제1 하우징(2)에 대해 회전축(5)(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힌지부(3)와, 힌지부(3)에 대해 회전축(6)(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하우징(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하우징(2, 4)이나 힌지부(3)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나 PC-ABS(Polycarbonate-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 등의 플라스틱 수지를 재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5)과 회전축(6)은 서로 대략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부(3) 및 제2 하우징(4)은 회전축(5)을 중심으로 각 변위 가능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기(1)의 형상은 도1에 도시하는 열린 상태와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닫힌 상태 사이에서 변화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표면(7a)을 갖는 베이스부(7)와, 표면(7a)의 소정 위치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8)로 이루어진다. 표면(7a)은 휴대 전화기(1)를 연 상태에서 외측에 면하고, 닫은 상태에서 내측에 면하는 표면이다. 즉, 표면(7a)은, 휴대 전화기(1)를 닫은 상태에서는 하우징(4)에 의해 덮여 있고(폐색되어 있음), 휴대 전화기(1)를 연 상태에서는 외부에 대해 열린 상태가 된다. 베이스부(7)는 표면(7a)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연결되고, 표면(7a)을 협지하여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측면(7b)을 갖는다.
표면(7a)에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 버튼군(9)과,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각종 설정/기능 절환을 하기 위한 기능 버튼군(10)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입력 버튼군(9)이나 기능 버튼군(10)의 키 정상부는 ABS나 PC-ABS 등의 플라스틱 수지를 재료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또한 기능 버튼군(10)의 키 정상부에는 크롬 도금 등의 도금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이들 입력 버튼군(9) 및 기능 버튼군(10)은 휴대 전화기(1)의 개폐 조작 및 휴대 전화기(1)를 닫은 상태에서의 기기로의 압박에 의해 키 조작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기(1)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및 제2 하우징(2, 4) 사이에 간극(A)이 마련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표면(7a)에는 휴대 전화기(1)를 연 상태에서의 통화 등에 이용하는 제1 마이크에 대응하는 마이크 구멍(11a)과, 휴대 전화기(1)를 닫은 상태에서의 통화 등에 이용하는 제2 마이크에 대응하는 마이크 구멍(11b)이 뚫려 있다. 즉, 제1 마이크는 마이크 구멍(11a)을 거쳐서 전도된 음성을 적절하게 취득(입력)할 수 있도록 마이크 구멍(11a)에 대응(관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마이크는 마이크 구멍(11b)을 거쳐서 전도된 음성을 적절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마이크 구멍(11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마이크 구멍(11a)은 돌출부(8)가 형성된 단부측과 반대측의 단부측(대향하는 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마이크 구멍(11b)은 돌출부(8)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제1 하우징(2)과 힌지부(3) 및 제2 하우징(4)이 대향하도록 회전축(5)을 중심으로 하여 힌지부(3)를 제1 하우징(2)에 대해 회전시키고, 휴대 전화기(1)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중앙부(3m)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2에 도시하는 제1 하우징(2)과 힌지부(3) 사이에 생기는 간극(B)과, 힌지부(3)와 제2 하우징(4) 사이에 생기는 간극(C)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마이크 구멍(11b)의 배치에 대해서는 휴대 전화기(1)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2)과 힌지부(3) 사이에 생기는 간극(B) 또는 힌지부(3)와 제2 하우징(4) 사이에 생기는 간극(C)이 상부에 오는 위치라도 좋다.
또한, 제1 마이크 및 그것에 대응하는 마이크 구멍(11a)을 폐지하여 휴대 전화기(1)를 열었을 때와 닫았을 때 중 어떠한 상태라도 제2 마이크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경우, 부품점수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휴대 전화기(1)를 열었을 때와 닫았을 때 중 어떠한 상태라도 통화가 가능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측면(7b)의 한 쪽에는 제1 하우징(2)의 내부에 수용되는 카메라부의 사용 시에 조작되는 셔터 버튼(12)이 설치되어 있다.
힌지부(3)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회전축(5)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7a)의 주연에는 돌출부(8)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8)는 회전축(5)이 연장되는 방향에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표면(7a)에 대해 대략 수평이 되는 표면(8a)과, 표면(7a)에 대략 직각이 되도록 표면(8a)에 있어서의 표면(7a)과 떨어진 위치에 연속되는 한 쌍의 측면(8b)을 갖는다.
표면(8a)에는 착신 멜로디 등의 음성을 고레벨에서 출력하는 제1 스피커(24)(도4)용 제1 스피커 구멍(13)이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8)에 있어서의 회전축(5) 방향의 양단부가 되는 면인 한 쌍의 측면(8c)의 각각은 한 쌍의 측면(7b)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내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표면(7a)에 연속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8)는 표면(7a)의 주연의 양단부를 제외한 중심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하우징(2)에는 돌출부(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힌지부(3)와, 힌지부(3)에 대해 회전축(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하우징(4)이 접속되어 있다. 회전축(6)의 연장선은 돌출부(8)의 중심, 즉 한 쌍의 측면(8c)의 각각으로부터의 거리가 동등한 위치에서 회전축(5)에 직교하고 있다.
힌지부(3)는 회전축(5)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부(3m)와, 중앙부(3m)의 양단부로부터 회전축(6)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부(3n)에 의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3)는 양단부(3n)가 돌출부(8)의 한 쌍의 측면(8c)을 협입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힌지부(3)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힌지 장치와 안테나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 장치에 의해 양단부(3n)와 측면(8c)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앙부(3m)와 제2 하우징(4)이 제1 하우징(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를 거쳐서, 예를 들어 기지국과의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제2 하우징(4)은 힌지부(3)가 연결되는 단부측이 일부 절결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 표면(4a)을 갖는다. 이 표면(4a)은 제2 하우징(4)에 있어서의 힌지부(3)와의 연결면에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표면(4a)은 회전축(6)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표면(4a)에는 제1 표시부(표시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표시부(14)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EL(electro luminescent)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표시 드라이버부를 거쳐서 부여되는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면(4a)에는 통화 등에 이용하는 리시버의 리시버 구멍(15)이 뚫려 있다. 리시버 구멍(15)은 제2 하우징(4)에 있어서의 힌지부(3)가 연결되는 단부측과 반대측(대향함)의 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표시부(14)는 표면(4a)에 있어서의 힌지부(3)가 연결되는 단부측과 리시버 구멍(1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표면(4a)에는 제1 표시부(14)를 외측으로 하여 휴대 전화기(1)를 닫았을 때에 이용하는 조작 버튼군(키 조작부)(16)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버튼군(16)은 제1 표시부(14)의 4구석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하우징(4)에는 힌지부(3)가 연결되는 단부측의 절결된 부분에 완충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완충 부재(17)는 ABS나 PC-ABS 등의 플라스틱 수지나, 플라스틱 수지에 도금 가공을 실시한 것보다도 저경도이고 또한 탄성을 갖는 TPE(Thermoplastic-Elastomer)나 TPEE(Thermoplastic-Polyester-Elastomer) 등의 고무 함유 플라스틱 수지(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재료를 재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완충 부재(17)가 설치되는 부분은 휴대 전화기(1)를 닫았을 때에 제1 표시부(14)가 폐색되는 상태[제1 표시부(14)가 제1 하우징(2)에 있어서의 표면(7a)에 대향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힌지부(3)에 대한 제2 하우징(4)의 각도를 0도, 휴대 전화기(1)를 닫았을 때에 제1 표시부(14)가 개방되는 상태{제2 하우징(4)에 있어서의 표면(4a)[제1 표시부(14)를 갖는 면]의 반대측의 면인 표면(4b)이 제1 하우징(2)에 있어서의 표면(7a)에 대향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힌지부(3)에 대한 제2 하우징(4)의 각도를 180도로 하였을 때, 제2 하우징(4)을 힌지부(3)에 대해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힌지부(3)를 제1 하우징(2)에 대해 회전시켰을 때에 제1 하우징(2)에 접촉하는 제2 하우징(4)의 모서리부이다.
이와 같이, 제1 하우징(2)을 구성하는 재질보다 저경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 부재(17)를 구비함으로써 제2 하우징(4)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4)의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17)는 제1 하우징(2)을 구성하는 재질과 동등, 혹은 제1 하우징(2)을 구성하는 재질보다도 딱딱한 재질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는 경우, 완충 부재(17)가 변형되거나, 제2 하우징(4)에 대해 완충 부재(17)가 이동하는 등 제2 하우징(4)에 대한 압박에 의한 힘이나 미끄럼 이동에 의한 힘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부(3)에 대한 제2 하우징(4)의 회전 범위가 0 내지 180도가 되도록 구성하고, 제2 하우징(4)을 상부[회전축(6)의 연장선 상이며, 제2 하우징(4)에 대해 힌지부(3)측과는 반대측]에서 보았을 때, 0도의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우측 방향)으로 180도까지 회전하고, 180도의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좌측 방향)에 0도까지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완충 부재(17)는 제2 하우징에 있어서의 힌지부(3)가 연결되는 단부측의 한 쪽의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2 하우징(4)에 있어서, 제1 하우징(2)을 구성하는 재질보다 저경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제2 하우징(4)의 강도 저하를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3)에 대해 제2 하우징(4)을 회전시키는 경우의 힌지부(3)와 제2 하우징(4)을 연결하는 신호선(리드선이나 가요성 기판)의 비틀림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완충 부재(17)가 항상 표면(7a)측에 오도록 제2 하우징(4)을 회전시키면 좋으므로, 회전 방향을 인식하여 쉽고,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2 하우징(4)을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생기는 힌지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7a)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7)의 표면(7c)에는 돌출부(8)의 이측에 위치하도록 촬영 렌즈(18) 및 플래쉬(19)가 늘어서서 설치되어 있다. 플래쉬(19)는 후에 설명하는 카메라부에서 촬영할 때의 보조 광원으로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는, 보조 광원에는 크세논관이 이용되고, 또한 최근에는 RGB의 LED(light emitting diode)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3색의 LED를 동시 발광시킴으로써 백색광의 조명을 얻을 수 있다.
표면(7c)에는 촬영 렌즈(18)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제2 표시부(20) 및 착신 멜로디 등의 음성의 출력에 이용하는 제2 스피커(도시되지 않음)용 제2 스피커 구멍(21)이 늘어서서 마련되어 있다. 제2 표시부(20)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EL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4는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2), 힌지부(3) 및 제2 하우징(4)의 연결부를 도1 중 Ⅳ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의 내부에는 돌출부(8)와 베이스부(7) 사이에서 연통하는 내부 공간(22)이 규정되어 있다. 내부 공간(22)에는 촬영 렌즈(18)의 배면측에 위치하여 촬영 렌즈(18)로부터 입사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3)와 제1 스피커(24)가 수용되어 있다. 카메라부(23)는 오토 포커스 기능, 20배 디지털 줌 기능 및 2배 광학 줌 기능 등을 구비하는 고성능 카메라이다. 제1 스피커(24)는 착신 멜로디나 라디오 방송 또는 텔레비전 방송의 음성 등을 출력하는 고출력 스피커이다.
카메라부(23)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의 촬영 소자와, RGB의 3색의 컬러 필터를 구비한다. 카메라부(23)에서는 피사체로 반사되어 촬영 렌즈(18)에 입사한 빛을, 컬러 필터를 통해 RGB의 3색광으로 변환하여 RGB의 3색광을 각각 CCD에 입사시킨다.
또한, 제1 스피커(24) 대신에 통화 등에 이용되는 저출력의 리시버를 내부 공간(22)에 수용하도록 해도 좋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휴대 전화기(1)를 닫은 상태에서 이 리시버와 제1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피커(24)를 전기적으로 고출력용과 저출력용으로 절환하도록 함으로써도 전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통화 중에 제1 스피커(24)가 고출력이 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회로를 설치하면 된다. 이에 의해, 통화 중에 제1 스피커(24)가 고출력이 됨으로써 사용자가 청각 장해를 일으키는 등의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5는 도1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1)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면 중에는 열린 상태의 휴대 전화기(1)가 표면(7a 및 4a)측으로부터 도시되어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은 표면(7a)을 갖는 캐비닛(2p)과, 표면(7c)을 갖는 배면 캐비닛(2q)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4)은 표면(4a)을 갖는 캐비닛(4p)과, 표면(4b)을 갖는 배면 캐비닛(4q)으로 구성되어 있다.
힌지부(3)는 캐비닛(3p)과 배면 캐비닛(3q)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비닛(3p)과 배면 캐비닛(3q)은 내부에 힌지 장치(25)를 수용하여 조합된다. 힌지 장치(25)는 중앙부(3m)와 제2 하우징(4)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기구(26)와, 양단부(3n)와 측면(8b)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2개의 힌지 기구(27)로 구성되어 있다.
힌지 장치(25)는 힌지 기구(26)로부터 2 방향으로 갈라져 나와 연장되고, 그 선단부에 힌지 기구(27)가 설치된 형상을 갖는다. 카메라부(23) 및 제1 스피커(24)는 2개의 힌지 기구(27) 사이에 위치하여 제1 하우징(2)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힌지부(3)에 연결되는 돌출부(8)의 내부까지 연통하는 내부 공간(22)에 카메라부(23)와 제1 스피커(24)가 수용된다. 이로 인해, 광학 줌 기능 등을 구비한 대형의 카메라부(23)라도 제1 하우징(2)의 표면(7c)측에 있어서의 돌출부(8) 이외의 부분을 돌출시키지 않고, 제1 스피커(24)와 함께 제1 하우징(2)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돌출부(8)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22)을, 제1 스피커(24)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이용하지 않은 경우, 즉 돌출부(8)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22) 이외의 부분에 제1 스피커(24)를 수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베이스부(7)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하우징(2)의 두께가 커지는 일이 없으므로, 휴대 전화기(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6은 휴대 전화기(1)를 90도 연 상태[힌지부(3) 및 제2 하우징(4)을, 회전축(5)을 중심으로 제1 하우징(2)에 대해 닫은 상태로부터 90도 회전시킨 상태]로 하고, 제2 하우징(4)을, 회전축(6)을 중심으로 힌지부(3)에 대해 도1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90도만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 하우징(4)은 이 상태일 때에 제1 표시부(14)가 설치된 표면(4a)과, 입력 버튼군(9) 및 기능 버튼군(10)이 설치된 제1 하우징(2)의 표면(7a)이 직교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도7은 도6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휴대 전화기(1)를 180도 연 상태[힌지부(3) 및 제2 하우징(4)을, 회전축(5)을 중심으로 제1 하우징(2)에 대해 닫은 상태로부터 180도 회전시킨 상태]로 하고, 제2 하우징(4)을, 회전축(6)을 중심으로 힌지부(3)에 대해 90도만큼 더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경우, 제2 하우징(4)의 표면(4a)과 제1 하우징(2)의 표면(7c)이 동일 방향을 향하고, 제2 하우징(4)의 표면(4b)과 제1 하우징(2)의 표면(7a)이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또한, 도1, 도6 및 도7에 도시하는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하우징(4)은 회전축(6)을 중심으로 적당한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면(4a)에 설치된 제1 표시부(14)를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기(1)에서는 제2 하우징(4)이 제1 하우징(2)에 대해 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카메라부(23)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그 촬영의 조건에 맞추어 제1 표시부(14)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면에 서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2 하우징(4)을 도1에 도시하는 상태로 위치 결정하면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촬영 렌즈(18)를, 피사체를 향하게 하면서 제1 표시부(14)에 투영해 낸 피사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4)을 도6에 도시하는 상태로 위치 결정하면, 사용자는 정면에 서 있는 피사체의 모습을, 제1 표시부(14)를 피사체가 위치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 면하는 자세를 취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기의 모습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2 하우징(4)을 도7에 도시하는 상태로 위치 결정하면 된다. 이에 의해, 촬영 렌즈(18)를 자기에게 향하게 하면서 제1 표시부(14)에 투영해 낸 자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23)가 셀프 타이머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서서 자기의 모습을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도3 중 제2 표시부(20)에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을 표시시켜도 좋다.
도8은 도6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휴대 전화기(1)를 닫는 방향[회전축(5)을 중심으로 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 제2 하우징(4)에 설치된 완충 부재(17)가 제1 하우징(2)의 표면(7a)에 설치된 기능 버튼군(10) 중 "F 키"를 누르도록 닫힌다. 휴대 전화기(1)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라도, "F 키"는 기능 버튼군(10) 중에서도 사용 빈도가 높으므로 내구성이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및 완충 부재(17)가 TPE나 TPEE 등의 고무 함유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 시의 충격에 수반하는 조작 키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4)에 대해 회전축(5)을 중심으로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하우징(4)을, 회전축(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제2 하우징(4)에 설치된 완충 부재(17)가 제1 하우징(2)의 표면(7a)이나 기능 버튼군(10)의 일부와 접촉하면서 이동한다. 이 경우, 완충 부재(17)가 제1 하우징(2)의 표면(7a)이나 기능 버튼군(10)보다 저경도의 재질인 TPE나 TPEE 등의 고무 함유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 하우징(2)의 표면(7a)이나 기능 버튼군(10)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9는 제1 표시부(14)가 외측을 향하도록 휴대 전화기(1)를 닫은 경우의 휴대 전화기(1)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10은 이 경우의 제1 하우징(2)의 상태를 도시하는 투시 사시도이다. 즉, 도9 및 도10은 제2 하우징(4)을 도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2 하우징(4)을, 회전축(5)을 중심으로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휴대 전화기(1)는 제1 표시부(14) 및 조작 버튼군(16)이 설치된 표면(4a)이 외측을 향하고, 표면(4b)이 내측을 향하도록 닫힌다. 그리고, 이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셔터 버튼(12)(도1 참조)에 오른손의 집게 손가락을 걸고, 양손으로 휴대 전화기(1)를 파지한 상태에서 촬영을 행할 수 있다. 즉, 휴대 전화기(1)를 전용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휴대 전화기(1)를 카메라로서 이용할 때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1 표시부(14)와 제1 스피커(24)[혹은 스피커 구멍(13)]를 대략 동일면으로 할 수 있으므로, 라디오 방송이나 텔레비전 방송 등의 시청기로서 이용할 때의 휴대 전화기(1)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시버 구멍(15)도 음성 출력부로서 이용함으로써 제1 표시부(14)를 협지하여 좌우에 음성 출력부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스테레오 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를 닫은 상태에서 제1 표시부(14)를 확인하면서 조작 버튼군(16)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휴대 게임기로서 이용할 때의 휴대 전화기(1)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표시부(14)와 제1 스피커(24)[혹은 스피커 구멍(13)]가 대략 동일면이 되므로, 사용자는 현장감이 있는 게임을 체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피커(24) 대신에, 혹은 제1 스피커(24)와 병렬로 상하 좌우의 키로 이루어지는 십자(十) 키(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휴대 게임기로서 이용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휴대 전화기(1)의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8)에 있어서의 스피커 구멍(13)에 인접하는 위치에 십자 키(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도 좋다. 즉, 돌출부(8)에 스피커(24) 및 스피커 구멍(13)을 구비하고, 돌출부(8)에 있어서의 스피커 구멍(13)과 대략 동일면에 십자 키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표시부(14)를 외측으로 노출시켜 휴대 전화기(1)를 닫았을 때에 제1 표시부(14)와 스피커 구멍(13)과 십자 키가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1 표시부(14)로부터의 빛의 진행 방향과 소리의 진행 방향이 대략 동일하게 되는 동시에, 제1 표시부(14)를 보면서 십자 키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있어서, 제1 표시부(14)를 이용한 키 조작을 하기 쉽고, 또한 제1 표시부(14)의 표시에 연동한 소리를 청취하기 쉬운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를 닫은 상태에서 마이크 구멍(11b)은 중앙부(3m)에 대향하는 위치, 즉 제1 하우징(2)과 힌지부(3) 사이에 생기는 간극(B)과, 힌지부(3)와 제2 하우징(4) 사이에 생기는 간극(C)의 중간에 배치되므로, 이들 간극(B, C)으로부터 간극(A)을 통해 음성을 듣기 쉽고, 휴대 전화기(1)를 닫은 상태에서의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11을 참조하여 휴대 전화기(1)의 전기적 구성을 설명한다. 도11은 휴대 전화기(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럭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는 안테나(28), 무선부(29), 통신 제어부(30), 스피커 구동 제어부(31), 리시버(32), 제1 스피커(24), 제2 스피커(33), 송화 제어부(34), 제1 마이크(35), 제2 마이크(36), 표시 제어부(37), 제1 표시부(14), 제2 표시부(20), 조작 입력부(38), 입력 버튼군(9), 기능 버튼군(10), 조작 버튼군(16), 카메라부(23), 화상 제어부(39), 광원 제어부(40), 플래쉬(19), 기억부(41), 제1 홀 소자(42), 제2 홀 소자(43), 상태 검출 제어부(44) 및 주제어부(4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무선부(29)는 안테나(28)를 거쳐서 기지국 혹은 다른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교환되는 통신 데이터의 송수신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무선부(29)에서는 라디오 방송이나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30)는 각종 통신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라디오 방송이나 텔레비전 방송의 수신 제어나, 웹 사이트에 있어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어, 게임 프로그램 등)을 웹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기 위한 송수신 제어, 발신 시에 있어서의 발호 제어, 통화 제어, 착신 시에 있어서의 착신 제어, 전자 메일의 송수신 제어 등이 행해진다.
스피커 구동 제어부(31)는 음성 출력 시에 있어서 리시버(32), 제1 스피커(24), 제2 스피커(33)를 구동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제1 스피커(24) 및 제2 스피커(33)에 있어서의 구동 상태의 절환은 상태 검출 제어부(44)에 의한 단말기 상태의 검출 결과나, 휴대 전화기(1)의 각종 기능의 사용 상태를 기초로 하여 행해진다.
송화 제어부(34)는 통화 시에 제1 마이크(35) 및 제2 마이크(36)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입력 제어를 행한다. 이 제1 마이크(35) 및 제2 마이크(36)로부터의 입력의 절환[제1 마이크(35) 및 제2 마이크(36)의 유효/무효의 절환]은 상태 검출 제어부(44)에 의한 단말기 상태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행해진다.
표시 제어부(37)는 제1 표시부(14) 및 제2 표시부(20)에 표시하는 내용을 절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화면 표시의 절환은 상태 검출 제어부(44)에 의한 단말기 상태의 검출 결과 등을 기초로 하여 행해진다. 조작 입력부(38)는 입력 버튼군(9), 기능 버튼군(10), 조작 버튼군(16)에 있어서의 키 조작을 기초로 하여 입력 처리를 행한다.
화상 제어부(39)는 카메라부(23)로부터의 촬상 데이터나 기억부(41)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용 데이터에 전개하거나, JPEG 데이터에 압축하는 등의 제어를 행한다. 광원 제어부(40)는 플래쉬(19)의 발광 제어를 행한다.
상태 검출 제어부(44)는 휴대 전화기(1)가 어느 한 쪽의 단말기 상태에 있는지의 검출을 행하는 상태 검출 수단이다. 즉, 제1 및 제2 홀 소자(42, 43)의 온 오프(ON/OFF)를 기초로 하여 휴대 전화기(1)가 닫혀 있는지 여부, 또한 제2 하우징(4)이 힌지부(3)에 대해 0도의 상태에 있는지가 판별된다. 이에 의해, 단말기 상태가 자동적으로 검출되므로, 음성의 입출력이나 화상 표시의 절환을 자동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홀 소자(42, 43)는 제1 또는 제2 하우징(2, 4) 혹은 힌지부(3)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 홀 소자(42, 43)에 대향하는 것 외의 하우징에 설치된 자석으로부터의 자력을 검지함으로써 온 오프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12 및 도13의 (a) 내지 도13의 (c)을 참조하여 휴대 전화기(1)의 개폐 동작 및 제2 하우징(4)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는 음성 입력이나 표시 내용의 절환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도12는,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음성 입력이나 표시 내용의 절환 제어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원이 온일 때(대기시, 통화시, 텔레비전 시청시 등)에 있어서, 주제어부(45)는 상태 검출 제어부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감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태 검출 제어부가 휴대 전화기(1)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면 주제어부(45)는 상태 검출 제어부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음성 입력이나 표시 내용의 절환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주제어부(45)는 상태 검출 제어부에 의해 제2 하우징(4) 및 힌지부(3)가 제1 하우징(2)에 대해 0도의 상태인지 여부, 즉 휴대 전화기(1)가 닫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스텝 S1). 그리고, 휴대 전화기(1)가 닫혀 있는 경우, 주제어부(45)는 상태 검출 제어부에 의해 제2 하우징(4)이 힌지부(3)에 대해 회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스텝 S2).
여기서, 제2 하우징(4)이 힌지부(3)에 대해 회전하고 있는 경우, 주제어부(45)는 표시 제어부(37)를 제어하여 제1 표시부(14)를 오프로 하고(스텝 S3), 제2 표시부(20)를 온으로 한다(스텝 S4). 또한, 주제어부(45)는 송화 제어부(34)를 제어하여 제1 마이크를 오프(무효)로 하고(스텝 S5), 제2 마이크를 온(유효)으로 한다(스텝 S6). 그리고, 음성 입력이나 표시 내용의 절환 제어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에 있어서, 제2 하우징(4)이 힌지부(3)에 대해 회전하지 않았던 경우, 즉 상태 검출 제어부가 제2 하우징(4)이 힌지부(3)에 대해 180도 회전된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1)가 닫힌 것을 검출한 경우, 주제어부(45)는 표시 제어부(37)를 제어하여 제1 표시부(14)를 온으로 하고(스텝 S7), 제2 표시부(20)를 오프로 한다(스텝 S8). 그 후, 스텝 S6 및 S6의 처리를 행하여 음성 입력이나 표시 내용의 절환 제어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1)가 닫혀 있지 않았던 경우, 주제어부(45)는 상태 검출 제어부에 의해 제2 하우징(4)이 힌지부(3)에 대해 회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스텝 S9). 즉, 상태 검출 제어부에 의해 제2 하우징(4)이 힌지부(3)에 대해 0도의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1)가 열려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2 하우징(4)이 힌지부(3)에 대해 회전하지 않은 경우, 주제어부(45)는 표시 제어부(37)를 제어하고, 제1 표시부(14)를 온으로 하는 동시에, 제1 표시부(14)의 일부(예를 들어 화면 좌측 하부)에 제2 하우징(4)이 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우측 방향 아이콘"을 표시시킨다. 도13의 (a)는 제1 표시부(14)의 화면 좌측 하부에 제2 하우징(4)이 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우측 방향 아이콘"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주제어부(45)는 제2 표시부(20)를 오프로 하는(스텝 S12) 동시에, 송화 제어부(34)를 제어하여 제1 마이크를 온으로 하고(스텝 S13), 제2 마이크를 오프로 한다(스텝 S14). 이에 의해, 음성 입력이나 표시 내용의 절환 제어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9에 있어서, 제2 하우징(4)이 힌지부(3)에 대해 회전하고 있던 경우, 즉 상태 검출 제어부에 의해 제2 하우징(4)이 힌지부(3)에 대해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1)가 열린 것을 검출한 경우, 주제어부(45)는 표시 제어부(37)를 제어하여 제1 표시부(14)를 온으로 하는 동시에, 제1 표시부(14)의 일부(예를 들어 화면 좌측 하부)에 제2 하우징(4)이 좌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좌측 방향 아이콘"을 표시시킨다. 도13의 (b)는 제1 표시부(14)의 화면 좌측 하부에 제2 하우징(4)이 좌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좌측 방향 아이콘"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주제어부(45)는 제2 표시부(20)를 오프로 하는(스텝 S12) 동시에, 송화 제어부(34)를 제어하여 제1 마이크를 온으로 하고(스텝 S13), 제2 마이크를 오프로 한다(스텝 S14). 이에 의해, 음성 입력이나 표시 내용의 절환 제어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기(1)가 열려 있을 때, 제1 표시부(14)의 일부(예를 들어 화면 좌측 하부)에 제2 하우징(4)이 회전 가능한 방향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회전 방향을 인식하기 쉬워지고, 사용자가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2 하우징(4)을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생기는 힌지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완충 부재(17)의 위치로부터 회전 가능한 방향을 인식할 수도 있으므로, 회전 가능한 방향을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한층 더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표시부(20)에도 제2 하우징(4)이 회전 가능한 방향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제2 하우징(4)의 힌지부(3)에 대한 회전 각도가 0도인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1)가 열린 경우이며, 제1 하우징(2)의 표면(7c)측으로부터 휴대 전화기(1)를 본 경우라도 사용자는 제2 하우징(4)의 회전 가능한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2 하우징(4)을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생기는 힌지의 파괴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스피커 구멍(13) 대신에 표시부를 설치하고, 이 표시부에 제2 하우징(4)이 회전 가능한 방향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제2 하우징(4)의 힌지부(3)에 대한 회전 각도가 180도인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1)가 열린 경우이며, 제1 하우징(2)의 표면(7a)측에서 휴대 전화기(1)를 본 경우라도 사용자는 제2 하우징(4)의 회전 가능한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하우징(4)을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생기는 힌지의 파괴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4)이 회전 가능한 방향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아이콘은, 휴대 전화기(1)의 개폐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바로 표시를 절환하고, 제2 하우징(4)의 회전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바로 표시를 절환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4)의 회전 도중(1도 내지 179도)에 있어서는 표시 중의 아이콘의 표시를 유지하고, 제2 하우징(4)의 회전이 완료(0도 또는 180도)되었을 때, 그 상태를 기초로 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회전 도중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방향을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당초 희망한 방향으로 제2 하우징(4)을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4)의 회전 도중(1도 내지 179도)에 있어서는 우측 회전 및 좌측 회전의 양쪽이 가능하므로 우측 방향 아이콘 혹은 좌측 방향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아도 좋고, 또한 도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회전 및 좌측 회전의 양쪽이 가능한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아이콘(좌우 방향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첩형 휴대 전화기(1)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휴대 기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절첩식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 등록상표), 절첩식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절첩식 노트북 컴퓨터, 절첩식 워드 프로세서 등의 다른 절첩식 휴대 기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돌출부에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상기 제1 회전축과 대략 직교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 기기이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에 스피커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회전축에 대략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면에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휴대 기기를 열었을 때 및 표시부를 외측으로 노출시켜 휴대 기기를 닫았을 때에 표시부와 스피커 구멍이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표시부로부터의 빛의 진행 방향과 소리의 진행 방향이 대략 동일해진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있어서, 표시부의 표시에 연동한 소리를 청취하기 쉬운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상기한 구성 외에,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돌출부 사이에서 연통한 내부 공간에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에 있어서의 베이스부로부터 제2 하우징으로 연결되는 돌출부까지 연통하는 내부 공간에 스피커가 수용된다. 이로 인해, 돌출부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을, 스피커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이용하지 않은 경우, 즉 돌출부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 이외에 스피커를 수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베이스부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 기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상기한 구성 외에,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돌출부와 반대측의 면(대향하는 면)에 촬영 렌즈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촬영 렌즈와 상기 스피커 사이에 상기 촬영 렌즈로부터 입사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베이스부로부터 제2 하우징으로 연결되는 돌출부까지 연통하는 내부 공간에 스피커 및 카메라부가 수용된다. 이로 인해, 돌출부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을, 스피커 및 카메라부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이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베이스부의 두께를 작게 하여 스피커 및 카메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영 기능이 달린 휴대 기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전술한 구성 외에,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표시부와 동일면에 키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표시부를 외측으로 노출시켜 휴대 기기를 닫았을 때에 표시부와 스피커 구멍과 키 조작부가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표시부로부터의 빛의 진행 방향과 소리의 진행 방향이 대략 동일해지는 동시에, 표시부를 보면서 키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있어서 표시부를 이용한 키 조작을 하기 쉽고, 또한 표시부의 표시에 연동한 소리를 청취하기 쉬운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전술한 구성 외에,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에 십자 키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표시부를 외측으로 노출시켜 휴대 기기를 닫았을 때에 표시부와 스피커 구멍과 십자 키가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표시부로부터의 빛의 진행 방향과 소리의 진행 방향이 대략 동일해지는 동시에, 표시부를 보면서 십자 키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있어서, 표시부를 이용한 키 조작을 하기 쉽고, 또한 표시부의 표시에 연동한 소리를 청취하기 쉬운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전술한 구성 외에, 상기 제2 하우징은 이 제2 하우징을 상기 힌지부에 대해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촉하는 모서리부에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도중에서 제2 하우징을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거나, 제2 하우징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도중에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거나 해도 제1 하우징과 접촉하는 제2 하우징의 부위에 완충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손상이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전술한 구성 외에,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을 구성하는 재질보다 저경도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도중에서 제2 하우징을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거나, 제2 하우징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도중에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거나 해도 제1 하우징과 접촉하는 제2 하우징의 부위가 제1 하우징을 구성하는 재질보다 저경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손상이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전술한 구성 외에, 상기 완충 부재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도중에서 제2 하우징을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거나, 제2 하우징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도중에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도 제1 하우징과 접촉하는 제2 하우징의 부위가 제1 하우징을 구성하는 재질보다 저경도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손상이나 파괴를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전술한 구성 외에, 상기 표시부는 상기 힌지부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 가능 방향을 표시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힌지부에 대한 제2 하우징의 회전 가능 방향이 상기 표시부 또는 회전 방향 표시부에 표시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완충 부재에 의한 회전 방향의 인식과 더불어 제2 하우징이 회전 가능한 방향을 인식하기 더 쉬워진다. 이에 의해, 제2 하우징을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생기는 기기의 파괴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전술한 구성 외에, 상기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돌출부 근방에 마이크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1 하우징과 힌지부 사이 및 힌지부와 제2 하우징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이들 간극과 마이크 구멍의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휴대 기기를 닫은 상태에서 음성을 듣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전술한 구성 외에,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는 단부측과 반대측의 단부측에 리시버 구멍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휴대 기기를 닫은 상태 및 연 상태 중 어떠한 상태라도 리시버 구멍과, 마이크 구멍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마련할 수 있고, 리시버 및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돌출부에 스피커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2 회전축에 대략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면에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표시부의 표시에 연동한 소리를 청취하기 쉬운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개시한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즉, 청구항에 개시한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하여 얻을 수 있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절첩식 휴대 전화기, 절첩식 PHS(등록상표), 절첩식 PDA, 절첩식 노트북 컴퓨터, 절첩식 워드 프로세서 등 절첩식 휴대 기기(정보 단말 장치)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 있어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백하게 하는 것이며,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좁은 의미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 청구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의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의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의 닫힌 상태를 도2 중 화살표 Ⅲ 방향에서 본 휴대 전화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 힌지부, 제2 하우징의 연결부를 도1 중 Ⅳ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기기의 분해 조립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 힌지부 및 제2 하우징을 제1 하우징(2)에 대해 닫은 상태로부터 90도 회전시킨 상태로 하고, 제2 하우징을 힌지부에 대해 도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90도만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 도6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힌지부 및 제2 하우징을 제1 하우징(2)에 대해 닫은 상태로부터 180도 회전시킨 상태로 하고, 제2 하우징을 힌지부에 대해 90도만큼 더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 도6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힌지부 및 제2 하우징을 제1 하우징(2)에 대해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 표시면(제1 표시부)이 외측을 향하도록 휴대 기기를 닫은 경우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 표시면(제1 표시부)이 외측을 향하도록 휴대 기기를 닫은 경우의 제1 하우징의 상태를 도시하는 투시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기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럭도.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의 음성 입력이나 표시 내용의 절환 제어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13의 (a) 내지 도13의 (c)는 도1 중 휴대 전화기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도13의 (a)는 제1 표시부의 화면 좌측 하부에 제2 하우징이 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우측 방향 아이콘"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3의 (b)는 제1 표시부의 화면 좌측 하부에 제2 하우징이 좌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좌측 방향 아이콘"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3의 (c)는 제1 표시부의 화면 좌측 하부에 제2 하우징이 우측 방향 및 좌측 방향의 양쪽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아이콘(좌우 방향 아이콘)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4는 종래에 있어서, 2개의 회전축을 구비한 절첩형 휴대 전화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5는 도14 중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6은 도14 중 화살표 XⅢ로부터 본 휴대 전화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7은 도14 중 메인 표시부가 설치된 하우징을 회전시킨 경우의 휴대 전화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기
2 : 제1 하우징
3 : 힌지부
4 : 제2 하우징
5, 6 : 회전축
7 : 베이스부
8 : 돌출부
9 : 입력 버튼군
10 : 기능 버튼군
12 : 셔터 버튼
14 : 제1 표시부
15 : 리시버 구멍
16 : 조작 버튼군(키 조작부)
17 : 완충 부재

Claims (11)

  1.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돌출부에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 일체가 되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하여 회전 가능한 동시에 상기 힌지부에 상기 제1 회전축과 대략 직교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 기기이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에 의해 폐색되는 표면에 버튼군을 갖는 동시에, 상기 돌출부에 스피커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회전축에 대략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면에 표시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2 하우징은 이 제2 하우징을 상기 힌지부에 대해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회전시켰을 때,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촉하는 모서리부에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표면을 폐색한 상태로부터 상기 힌지부와 함께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하여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180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휴대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돌출부 사이에서 연통한 내부 공간에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와 반대측의 면에 촬영 렌즈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촬영 렌즈와 상기 스피커 사이에 상기 촬영 렌즈로부터 입사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표시부와 동일면에 키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스피커 구멍에 인접하는 위치에 십자 키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 기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을 구성하는 재질보다 저경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휴대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휴대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힌지부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 가능 방향을 표시하는 휴대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돌출부 근방에 마이크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휴대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는 단부측과 반대측의 단부측에 리시버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휴대 기기.
KR1020050024770A 2004-03-26 2005-03-25 휴대 기기 KR100683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93781A JP2005286430A (ja) 2004-03-26 2004-03-26 携帯機器
JPJP-P-2004-00093781 2004-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120A KR20060045120A (ko) 2006-05-16
KR100683083B1 true KR100683083B1 (ko) 2007-02-15

Family

ID=3485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770A KR100683083B1 (ko) 2004-03-26 2005-03-25 휴대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99720B2 (ko)
EP (1) EP1580966B1 (ko)
JP (1) JP2005286430A (ko)
KR (1) KR100683083B1 (ko)
CN (1) CN100566349C (ko)
DE (1) DE602005017689D1 (ko)
HK (1) HK10821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1257B2 (en) 2000-01-19 2017-10-03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Technique for obtaining caller-originated alert signals in IP-based communication sessions
CN1319356C (zh) * 2003-04-24 2007-05-30 三星电子株式会社 在移动终端中使用旋转键以及控制显示的装置和方法
KR100736663B1 (ko) 2003-07-31 2007-07-06 보다폰 가부시키가이샤 이동통신 단말장치
KR100630067B1 (ko) * 2004-04-29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디에이 겸용 이축 힌지 타입 휴대 통신 장치
US7415290B2 (en) * 2004-12-14 2008-08-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terminal with loudspeaker sound redirection
US20060246964A1 (en) * 2005-04-29 2006-11-02 Castaneda Julio C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ingle hinge twist mechanism and a method to use same
CN1697462A (zh) * 2005-06-24 2005-11-16 朱占新 双向转屏式移动通信终端
US8140133B2 (en) * 2005-07-29 2012-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m portable terminal
EP2372983B1 (en) * 2005-08-04 2017-08-30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plugging on cradle for charging
KR100734631B1 (ko) * 2005-08-16 2007-07-02 주식회사 팬택 스윙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모듈
TWI289768B (en) * 2005-09-05 2007-11-11 Compal Electronics Inc Multi-mode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07116550A (ja) * 2005-10-21 2007-05-10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US8243967B2 (en) 2005-11-14 2012-08-14 Nokia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70138920A1 (en) * 2005-12-16 2007-06-21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rugged mobile device housing
JP2007194853A (ja) * 2006-01-18 2007-08-02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折り畳み式携帯通信機
JP5344932B2 (ja) 2006-03-06 2013-11-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中型または大型電池モジュール
KR100948002B1 (ko) * 2006-03-06 201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US9484591B2 (en) * 2006-03-06 2016-11-01 Lg Chem, Ltd.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JP5154454B2 (ja) * 2006-03-06 2013-02-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電池モジュール
KR100728926B1 (ko) * 2006-03-20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3축 힌지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US7787618B2 (en) 2006-03-29 2010-08-31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513105A (zh) * 2006-09-25 2009-08-19 飞思卡尔半导体公司 移动通信设备、控制器和用于控制移动通信设备的方法
JP4727598B2 (ja) * 2007-01-25 2011-07-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4633068B2 (ja) * 2007-01-25 2011-02-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4711978B2 (ja) * 2007-01-25 2011-06-2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WO2008117908A1 (en) * 2007-03-26 2008-10-02 Paco Electronics Co., Ltd. Speaker-equipped case for a sound player
EP2159995A4 (en) * 2007-06-15 2011-12-07 Panasonic Corp PORTABLE TERMINAL
TWI354455B (en) * 2007-08-21 2011-12-11 Asustek Comp Inc Communication device
EP2039398B1 (en) * 2007-08-29 2016-05-04 Nintendo Co., Ltd. Imaging apparatus
US8177441B2 (en) * 2007-08-29 2012-05-15 Nintendo Co., Ltd. Imaging apparatus
JP4260215B1 (ja) 2007-08-29 2009-04-30 任天堂株式会社 撮像装置
US8917985B2 (en) * 2007-08-29 2014-12-23 Nintendo Co., Ltd. Imaging apparatus
JP2009088900A (ja) * 2007-09-28 2009-04-23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20090156273A1 (en) * 2007-12-14 2009-06-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oudspeaker for a Clamshel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1257689B (zh) * 2008-04-10 2011-03-30 Tcl天一移动通信(深圳)有限公司 一种话筒隐蔽悬挂式手机装置
CN101262511A (zh) * 2008-04-17 2008-09-10 Tcl天一移动通信(深圳)有限公司 一种手机麦克风结构
JP2009302827A (ja) * 2008-06-12 2009-12-24 Fujitsu Ltd 折り畳み型の電子機器およびヒンジのガタ抑制装置
US8130275B2 (en) 2008-06-13 2012-03-06 Nintendo Co., Ltd.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photographing application launch program executed by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JP4181211B1 (ja) 2008-06-13 2008-11-12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れにおいて実行される起動用プログラム
US20090324002A1 (en) * 2008-06-27 2009-12-3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Display and Speaker
JP5129686B2 (ja) * 2008-08-06 2013-01-30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並びにこの携帯機器の開閉装置
US8452020B2 (en) * 2008-08-20 2013-05-28 Apple Inc. Adjustment of acoustic properties based on proximity detection
WO2010038296A1 (ja) 2008-10-01 2010-04-08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ならびに起動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20110022365A (ko) * 2009-08-27 2011-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2 개의 힌지축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08681666B (zh) * 2012-05-11 2022-07-0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手持装置及调整手持装置声音输入输出的方法
CN105164599A (zh) * 2013-04-30 2015-12-16 富士通株式会社 具备分割筐体的结合装置以及分割筐体的电子装置
KR102065419B1 (ko) * 2013-12-02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클립형 이동 단말기
KR102205868B1 (ko) * 2014-07-14 2021-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방향 표시 장치
CN104484018A (zh) * 2014-12-30 2015-04-01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电子设备以及电子设备的外屏幕的加工方法
US9268197B1 (en) * 2015-01-21 2016-02-23 Canfield Scientific, Incorporated External shutter and flash for rolling shutter camera
KR102485361B1 (ko) * 2016-10-13 2023-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GB201703099D0 (en) * 2017-02-27 2017-04-12 Therefore Ltd Neo
CN112956180B (zh) * 2018-11-07 2023-09-19 索尼公司 便携式电子设备和控制便携式电子设备的方法
WO2020112120A1 (en) * 2018-11-29 2020-06-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otatable port uni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255A (ko) * 2001-06-26 2003-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피디에이 겸용 디지털 카메라 통신 휴대 장치
KR20030068664A (ko) * 2002-02-15 2003-08-25 강병채 폴더를 열지 않고 통화 가능한 폴더형 휴대폰
KR20030096771A (ko) * 2002-06-17 2003-12-31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장치
JP2004357117A (ja) * 2003-05-30 2004-12-16 Hitachi Ltd 携帯情報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030A (ja) * 1995-04-19 1996-11-05 Hitachi Ltd 携帯電話一体型ビデオカメラ
JP2002118633A (ja) 2000-10-06 2002-04-19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2185589A (ja) 2000-12-14 2002-06-28 Nec Access Technica Ltd 折畳式携帯電話機
KR100413601B1 (ko) * 2001-03-08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JP3810294B2 (ja) 2001-09-07 2006-08-16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3229941A (ja) 2001-11-28 2003-08-15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モバイル情報端末機器及びヒンジ構造
KR100454965B1 (ko) * 2001-12-29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JP4393750B2 (ja) 2002-04-25 2010-0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開閉式携帯端末装置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4366965B2 (ja) * 2003-03-10 2009-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6976861B2 (en) * 2004-04-26 2005-12-20 Motorola, Inc. Handheld electronics device having pivotal hinge mechanis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255A (ko) * 2001-06-26 2003-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피디에이 겸용 디지털 카메라 통신 휴대 장치
KR20030068664A (ko) * 2002-02-15 2003-08-25 강병채 폴더를 열지 않고 통화 가능한 폴더형 휴대폰
KR20030096771A (ko) * 2002-06-17 2003-12-31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장치
JP2004357117A (ja) * 2003-05-30 2004-12-16 Hitachi Ltd 携帯情報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82143A1 (en) 2006-05-26
EP1580966A2 (en) 2005-09-28
EP1580966A3 (en) 2006-07-05
CN100566349C (zh) 2009-12-02
US7599720B2 (en) 2009-10-06
DE602005017689D1 (de) 2009-12-31
JP2005286430A (ja) 2005-10-13
US20050215296A1 (en) 2005-09-29
CN1681276A (zh) 2005-10-12
EP1580966B1 (en) 2009-11-18
KR20060045120A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083B1 (ko) 휴대 기기
EP1718042B1 (en) Foldable cellular telephone incorporating two separate displays and a camera
US7692717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US7877119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rotatable screen and qwerty keypad
KR20030057661A (ko)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KR20030003056A (ko) 휴대형 단말기
JP2005286431A (ja) 携帯機器
JP4480545B2 (ja) 携帯通信端末
US20080194299A1 (en) Portable terminal
JP4145824B2 (ja) 携帯機器
JP3894449B2 (ja) 携帯通信端末及び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JP2005286429A (ja) 携帯機器
KR20050036129A (ko) 촬영모드 자동 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JP4239441B2 (ja) 電子機器
JP4480546B2 (ja) 携帯通信端末
JP4231804B2 (ja) 携帯端末
JP4064367B2 (ja) 携帯機器
JP2005277781A (ja) 携帯機器
KR10055709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JP2008067114A (ja) 携帯通信端末
KR20040070898A (ko) 회전식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35030A (ko) 액정표시부가 회전 및 자동절환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