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508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508B1
KR100678508B1 KR1020050088037A KR20050088037A KR100678508B1 KR 100678508 B1 KR100678508 B1 KR 100678508B1 KR 1020050088037 A KR1020050088037 A KR 1020050088037A KR 20050088037 A KR20050088037 A KR 20050088037A KR 100678508 B1 KR100678508 B1 KR 100678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ain tank
tank
grains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시 오하라
미치오 이시카와
히로시 니시자키
카즈나리 타노우에
지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0088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콤바인의 그레인 탱크에 있어서의 용량의 증대와 곡식낱알의 손상방지에 관한 것이다.
주행장치(2)의 위쪽에 탈곡장치(3)과 그레인 탱크(5)를 설치한다. 그리고, 그레인 탱크(5)의 앞쪽 부분을 엔진(10)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돌출시켜 앞쪽 돌출부(17)를 형성한다. 또한, 탈곡장치(3)에 의해 탈곡된 곡식낱알을 반송하는 양곡기(12)의 배출구(14)를 앞쪽 돌출부(17)에 있어서의 탈곡장치(3) 쪽에 접속시켜 구성한다.
콤바인, 그레인, 탱크, 탈곡, 양곡, 돌출부, 곡식

Description

콤바인 {HARVESTER}
도 1은 콤바인의 측면도.
도 2는 그레인 탱크의 평면도.
도 3은 동 측면도.
도 4는 전자장치 박스를 리어 커버를 열어 개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전자장치 박스를 설치한 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동 배면도.
도 7은 그레인 탱크의 측면도.
도 8은 콤바인(주행장치 생략)의 측면도.
도 9는 동 평면도.
도 10은 긁어담는 릴로의 회전전달기구의 개략도.
도 11은 긁어담는 릴의 회전제어의 개략 설명도.
도 12는 동 다른 실시예
도 13은 긁어담는 릴의 회전제어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설명도.
도 14는 콤바인의 일부 생략 사시도.
도 15는 탈곡장치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K … 공간, 1 … 기체 프레임, 2 … 주행장치, 3 … 탈곡장치, 4 … 예취부, 5 … 그레인 탱크, 6 … 곡식낱알 배출오거, 7 … 조종부, 8 … 배출용 양곡장치, 10 … 엔진, 12 … 승강기, 14 … 배출구, 15 … 배출날개, 17 … 앞쪽 돌출부, 17a … 앞쪽 돌출부의 하면, 18 … 안쪽 측판, 19 … 그레인 탱크의 후벽, 20 … 천정판, 21 … 앞쪽 평탄부, 22 … 뒤쪽 경사면부, 22a … 외측단 가장자리, 22b … 내측단 가장자리, 23 … 뒤쪽 평탄부, 25 … 선단배출구, 26 … 내측 기립면부, 27 … 리어 커버, 27A … 리어 프레임, 28 … 전자장치 박스, 29 … 라디오 안테나, 30 … 콘덴서, 31 … 냉각 팬, 31a … 그레인 탱크 오프 레버, 31b … 엔진 커버, 31c … 가이드, 31d … 콘덴서 통풍구, 32 … 측벽, 33 … 바닥판, 34 … 후벽, 35 … 예취 프레임, 36 … 분초체, 37 … 긁어담는 릴, 38 … 칼, 39 … 오거, 40 … 반송장치, 41 … 탈곡실, 45 … 회전축, 46 … 암, 47 … 변속장치, 48 … 입력 풀리, 55 … 지지몸체, 56 … 송풍풍구, 57 … 풍구 케이싱, 58 … 풍선실, 59 … 요동선별선반, 60 … 요동선별장치, 61 … 이송선반부, 62 … 1번 컨베이어, 63 … 2번 컨베이어, 65 … 2번 반손장치, 66 … 2번물 반송장치, 67 … 반송통, 68 … 반송나선, 69 … 낙하구, 70 … 유도통, 71 … 배출구, 72 … 뒤쪽 송풍구, 73 … 앞쪽 송풍구, 74 … 크랭크 축, 75 … 풀리, 76 … 벨트, 77 … 카운터 풀리, 78 … 축, 79 … 라디에이터, 80 … 엔진 팬, 81 … 오일 탱크.
본 발명은, 그레인 탱크(grain tank)를 구비한 콤바인(combine)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행장치의 일측상방(一側上方)에 탈곡장치를, 타측(他側)위쪽에 그레인 탱크를 각각 설치하고, 그 그레인 탱크의 전후 중간부분에, 탈곡장치에 의해 탈곡된 곡식낱알을 양곡(揚穀)하는 승강기의 배출구를 설치한 구성은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승강기의 상부에, 양곡한 곡식낱알을 그레인 탱크의 중앙까지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설치한 구성은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실개평1-112636호공보
[특허문헌 2] 특개평7-31271호공보
상기 공지 예 중 전자(前者)의 구성에서는, 승강기가 대략 중앙에서부터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기로 양곡된 곡식낱알은 중앙에 쌓여, 충전률(充塡率)이 낮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승강기는 버켓 컨베이어(bucket conveyor)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버켓으로부터 방출(放出)된 곡식낱알을 배출구로부터 배출날개에 의해 불어 배출하기 때문에, 뛰어 나가는 곡식낱알이 그레인 탱크의 내벽에 충돌하여 손상되어, 상품가치를 떨어뜨리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공지 예 중 후자(後者)에서는, 양곡된 곡식낱알을 중앙으로부터 낙하하도록 이송장치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또한, 단순히 중 앙으로부터 낙하시킬 뿐이므로, 중앙부분만 많게 되어, 코스트를 들인만큼 충전률을 그다지 향상시키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주행장치(2)의 위쪽에 탈곡장치(3)과 그레인 탱크(5)를 설치하고, 그 그레인 탱크(5)의 앞쪽 부분을 엔진(10)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돌출시켜서 앞쪽 돌출부(17)를 형성하며, 상기 탈곡장치(3)에 의해 탈곡된 곡식낱알을 반송하는 양곡기(12)의 배출구(14)를 상기 앞쪽 돌출부(17)에 있어서 탈곡장치(3) 쪽의 위치에 접속시켜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인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앞쪽 돌출부(17)의 형성에 따라 그레인 탱크(5)의 용량이 증대된다. 그리고, 탈곡장치(3)에 의해 탈곡된 곡식낱알은 양곡기(12)에 의해 양곡되고, 앞쪽 돌출부(17)에 있어서 탈곡장치(3) 쪽의 위치에 접속된 배출구(14)로부터 그레인 탱크(5) 내에 충전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앞쪽 돌출부(17)의 하면(17a)을 뒤쪽이 내려가게 경사지게 하여 그 앞쪽 돌출부(17) 내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콤바인인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앞쪽 돌출부(17)의 형성에 따라 그레인 탱크(5)의 용량이 증대됨과 동시에, 그레인 탱크(5)의 앞쪽 돌출부(17) 내의 바닥면을 안식각(安息角)(곡식낱알이 자연스럽게 흘러 내리는 각도)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어, 이에 따라 그레인 탱크(5) 내에 충전된 곡식낱알의 배출이 원활하게 된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앞쪽 돌출부(17)의 하면(17a)과 엔진(10)과의 사이에 에어컨용 콘덴서(condenser)(3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콤바인인 것이다.
이것에 의해, 그레인 탱크(5)의 용량이 증대됨과 동시에, 그 그레인 탱크(5)의 앞쪽 돌출부(17)의 하면(17a)과 엔진(10)과의 사이에 에어컨용 콘덴서(30)를 배치할 수 있고, 그 콘덴서(30)로부터의 배풍(排風)이 엔진(10)의 전방으로 향하여 빠지기 때문에, 콘덴서(30) 주변에 열기가 머물지 않아, 콘덴셔(30)의 냉각효율이 저하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콤바인의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1은 콤바인의 기체(機體) 프레임(frame), 2는 기체 프레임(1)의 하방에 설치된 주행장치, 3은 기체 프레임(1)의 위쪽에 설치된 탈곡장치, 4는 탈곡장치(3)의 앞쪽에 설치된 예취부(刈取部), 5는 탈곡장치(3)의 측부(側部)에 설치된 그레인 탱크, 6은 그레인 탱크(5)의 곡식낱알을 배출하는 곡식낱알 배출 오거(auger), 7은 앞쪽에 설치한 조종부(操縱部)이다.
상기 그레인 탱크(5)는, 내부의 바닥부에 곡식낱알 배출 반송장치(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곡식낱알 배출 반송장치에 배출용 양곡장치(8)의 하부를 접속하며, 배출용 양곡장치(8)의 상부에 상기 곡식낱알 배출 오거(6)의 기부(基部)를 접속하고 있다. 그레인 탱크(5)는, 평면에서 보아서 전후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하고, 그레인 탱크(5)의 앞쪽부분은 상기 기체 프레임(1) 위에 설치한 엔진(10)의 위쪽에 위치시킨다. 탈곡장치(3)와 그레인 탱크(5)의 사이에는 상기 탈곡장치(3)에 의해 탈곡된 곡식낱알을 양곡하는 승강기(12)를 설치한다. 승강기(12) 는, 버켓을 소정간격으로 설치한 소위 버켓 컨베이어로 구성하고, 승강기(12)의 상부에 반전(反轉)하는 버켓이 쏟아내는 곡식낱알을 배출구(14)로부터 배출하는 배출날개(15)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승강기(12)의 배출구(14)는, 상기 엔진(10)의 위쪽에 가로질러 걸리도록(over-hang) 설치된 그레인 탱크(5)의 앞쪽 돌출부(17)의 안쪽 측판(側板)(18)에 접속한다.
즉, 종래의 그레인 탱크(5)는 단순히 사각 모양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승강기(12)의 배출구(14)는 그레인 탱크(5)의 전후 중앙근처에 설치되어 있지만, 곡식낱알의 충전율이 낮아, 레벨링 오거(leveling auger) 등을 설치하여 대응하고 있어,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배출구(14)의 정면과 그레인 탱크(5)의 내벽이 가깝기 때문에, 과(過)건조되어 있는 대두(大豆) 등의 경우, 쪼개짐이 발생하여 품질저하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에서는, 그레인 탱크(5)를 전후방향으로 긴 장사각형 모양으로 형성하고, 그레인 탱크(5)의 앞쪽 돌출부(17)에 배출구(14)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앞쪽 돌출부(17)에 설치된 배출구(14)에 의해 배출된 곡식낱알은, 그레인 탱크(5)의 길이방향으로 뛰어 나가, 그레인 탱크(5) 내에 균일하게 충전되어, 충전률이 높다. 또한, 배출구(14)에 의해 배출된 곡식낱알은, 그레인 탱크(5)의 후벽(後壁)(19)이 배출구(14)로부터 충분하게 떨어져 있으므로, 닿을 때의 충격이 작아 곡식낱알의 쪼개짐 등의 손상을 감소시킨다.
상기 그레인 탱크(5)의 천정(20)은, 앞쪽 부분은 상기 배출구(14)보다도 위 쪽에 위치하는 평탄한 앞쪽 평탄부(21)로 형성하고, 뒤쪽 부분은 측면에서 보아서 뒤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뒤쪽 경사면부(22)로 형성하며, 뒤쪽 경사면부(22)의 뒤쪽에는 뒤쪽 평탄부(23)을 형성한다. 뒤쪽 경사면부(22)는, 평면에서 보아서, 외측(기체의 우측)의 외측단 가장자리(22a)이 내측단 가장자리(22b)(기체의 좌측)보다도 앞쪽에 위치하도록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따라서, 대략 수직한 종래의 후벽에 비해, 뒤쪽 경사면부(22)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곡식낱알이 닿을 때의 충격을 감소시켜, 그 손상을 억제 또는 방지한다. 또한, 평면에서 보아서 좌측(내측)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되므로, 뒤쪽 경사면부(22)에 닿는 곡식낱알은 좌측으로 향해 튀어 되돌아와 쌓여, 충전률이 향상한다.
그리하여, 그레인 탱크(5)의 뒤쪽 상방(상면)에는, 선회시킨 곡식낱알 배출 오거(6)가 위치할 수 있는 회송 공간(K)을 형성한다. 공간(K)은, 상기 뒤쪽 평탄부(23) 및 뒤쪽 경사면부(22)에 의해 형성하고, 곡식낱알 배출 오거(6)가 대략 평편한 상태로 그 선단 배출구(25)를 그레인 탱크(5)의 측방(側方)에 위치시켜 행하는 측방배출을 가능하게 하며, 배출 작업의 범용성(汎用性)·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앞쪽 평탄부(21)에 비해 뒤쪽 평탄부(23)를 낮게 하는 것에 의해, 그레인 탱크(5)의 뒤쪽의 곡식낱알 충전률이 낮아지는 부분을 상기 곡식낱알 배출 오거(6)가 위치할 수 있는 회송 공간(K)으로 할 수 있어, 합리적인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뒤쪽 경사면부(22)의 내측단 가장자리(22b)에서는, 상방으로 기립(起立)하는 내측 기립면부(26)을 연결하여 설치한다. 내측 기립면부(26)는 평면 에서 보아서 내측으로 갈수록 앞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한다.
그 때문에, 격납할 때, 곡식낱알 배출 오거(6)와 천정(20)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곡식낱알 배출 오거(6)의 기부(基部)를 접속한 배출용 양곡장치(8)의 후방에는 리어(rear) 프레임(27A)을 설치하고(도 4), 리어 프레임(27A)에는 배출용 양곡장치(8)의 후방을 포위하는 리어 커버(cover)(27)를 개폐가 자유롭게 부착한다(도 5, 도 6). 리어 커버(27)의 내면측의 상부 위치의 리어 프레임(27A)에는 릴레이(relay)나 콘트롤러(controller)를 집중시킨 전자장치 박스(box)(28)를 설치한다.
종래, 전자장치 박스(28)는, 그레인 탱크(5)의 내면측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레인 탱크(5)를 오픈시키지 않으면, 점검할 수 없지만, 본원에서는 리어 커버(27)의 내측의 리어 프레임(27A)의 상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5)를 오픈과 무관하게 리어 커버(27)를 열기만 하면 점검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maintenance)가 용이하다.
또한, 곡식낱알 배출 오거(6)의 좌우선회·승강·신축·배출 및 정지·자동인출 등이 원격조작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 원격 조작장치의 출력파를 수신하는 라디오 안테나(radio antenna)(29)를 리어 커버(27)의 근처에 배치할 수 있어, 라디오 안테나(29)의 감도가 양호하게 되고, 배선도 가깝고, 가격도 싸진다.
그리하여, 상기 앞쪽 돌출부(17)의 하면과 엔진(10)과의 사이에는, 에어콘용 콘덴서(30)를 설치한다(도 7, 도 8). 콘덴서(30)는 뒤쪽이 낮아지게 경사지게 설치 한다.
그 때문에, 콘덴서(30)로부터의 배풍은 일단 엔진(10) 전방으로 향하여 조종부(7)의 하부에 닿아 방향을 바꾸고, 탈곡장치(3)의 앞쪽을 통하여 측방으로 빠져나가므로(도 9), 콘덴서(30) 주변에 열기가 머물지 않아, 콘덴서(30)의 냉각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그레인 탱크(5)의 앞쪽 부분을 콘덴서(30)의 위쪽에 가로질러 걸쳐지게 설치한 것에 의해, 그레인 탱크(5)의 용량을 증대시키면서, 그레인 탱크(5)의 앞쪽 돌출부(17)의 하면(바닥면)(17a)을 뒤쪽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하였기 때문에, 앞쪽 돌출부(17) 내의 바닥면의 경사는 안식각을 확보하여, 곡식낱알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31은 냉각 팬, 31a는 그레인 탱크 오픈 레버(lever), 31b는 엔진(engine) 커버, 31c는 록크 가이드(lock guide), 31d는 콘덴서 통풍 구멍이다.
상기 냉각 팬(31)의 옆쪽(기체 외측)에는, 라디에이터(79)를 설치하고 있고, 냉각 팬(31)에서 기풍(起風)된 바람이 기체 내측으로 향하여, 이 바람에 의해 상기 라디에이터(79)가 냉각되는 구성이다. 또한, 냉각 팬(31)에서 기풍된 바람은, 유압장치의 오일 탱크(81)도 냉각하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냉각 팬(31)의 전동(傳動)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엔진(10)의 크랭크(crank) 축(74)에 풀리(pully)(75)를 설치하고, 이 풀리(75)와 카운터(counter) 풀리(77)와의 사이에 벨트(76)가 감겨져 돌아간다. 그리고, 풀리(77)는 축(78)의 일단에 부착되어 있고, 이 축(78)의 타단에 냉각 팬(31)이 부착되어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엔진(10)이 구동되면, 크랭크 축(74), 풀리(75), 벨트(76), 카운터 풀리(77), 축(78)을 통하여 냉각 팬(31)이 구동된다.
상기 크랭크 축(74)의 타단(기체 외측)에는 엔진 팬(80)이 설치되어 있어서, 엔진(10)이 구동되면 엔진 팬(80)이 회전하여 기풍시켜, 이 바람에 의해 엔진(10)이 냉각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냉각 팬(31)에 의해 기풍된 바람은, 엔진 팬(80)에서 기풍된 바람을 끌어 당기고, 그 후 합류하여 기체 좌측(기체 전진방향에 대하여 좌측)으로 향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탈곡장치(3)의 앞쪽에 설치된 예취부(4)는, 좌우측벽(32)과 바닥판(33)과 후벽(34)을 설치하여 예취 프레임(35)를 구성한다. 측벽(32)의 선단에는 분초체(分草體)(36)를 설치하고, 예취 프레임(35)의 위쪽에 그 분초체(36)에 의해 분초된 줄기를 긁어 담는 릴(reel)(37)을 설치하고, 긁어담는 릴(37)의 아래 쪽에는 칼(38)을 설치하며, 칼(38)의 뒤쪽에는 베어낸 곡식줄기를 모으는 오거(39)를 설치한다. 상기 예취 프레임(35)의 후벽(34)에는 반송장치(40)의 시단부(始端部)를 접속하고, 반송장치(40)의 종단은 상기 탈곡장치(3)의 탈곡실(41)에 접속한다. 예취부(4)는 상기 예취 프레임(35) 또는 반송장치(40)와 상기 기체 프레임(1)과의 사이에 예취부 상하 실린더(cylinder)(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반송장치(40)와 일체 모양으로 상하운동이 자유롭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긁어담는 릴(37)은, 그 회전축(45)을 한 쌍의 암(arm)(46)의 선단에 전후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부착한다. 암(46)의 기부는 예취 프레임(35)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긁어담는 릴(37)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회전축(45)에는 상기 엔진(10)으로부터의 회전을 변속장치(47)에 의해 변속가능하게 전달하고 있다.
이 경우, 긁어담는 릴(37)의 회전은, 도 11과 같이, 차량속도에 대응하여 단계적으로 회전수를 상승하도록 하고, 한편, 차량속도가 고속으로 됨에 따른 회전상승폭을 좁게 하도록 구성한다.
즉, 기체가 주행정지상태에서도, 긁어담는 릴(37)은 소정 회전수 a로 회전하고, 차량속도 제로에서부터 고속까지의 차량속도 A가 차량속도 B로 상승하면, 다음의 단계의 소정회전수 b로 단숨에 상승하며, 이 소정회전수 b는 다음의 전환속도로 차량속도 C가 상승하기까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고, 다음의 전환속도로 차량속도 C가 상승하면, 다음의 단계의 소정회전수 c로 단숨에 상승시키며, 이것을 반복하여, 긁어담는 릴(37)의 소정 회전수는 도 11에 있어서 계단 모양을 보이고 있고, 한편, 소정회전수 a에서부터 소정회전수 b로의 상승폭보다, 소정회전수 b에서부터 소정회전수 c로의 상승폭이 크게 되도록 구성한다.
긁어담는 릴(37)의 회전은, 도 11에 도시한 차량속도 추종의 회전 라인(L)과 같이 변속하면, 저속영역에서는 긁어담는 릴(37)의 회전이 늦어 줄기의 넘쳐흐름이 발생하고, 고속영역에서는 곡식줄기의 이동이 늦어서 빠르게 회전하는 긁어담는 릴(37)에 의해 두드려져서 탈립(脫粒)하는 헤드 로스(head loss)가 생긴다.
본원에서는, 차량속도 추종의 회전 라인(L)에 대하여 저속영역에서는 긁어담는 릴(37)의 회전(소정 회전수 a ~ b)이 상대적으로 빨라져, 줄기의 넘쳐흐름이 감 소한다. 고속영역으로 되면, 차량속도 추종의 회전 라인(L)에 대하여 긁어담는 릴(37)의 회전(소정회전수 c ~ d)이 늦어지게 되어, 곡식줄기의 이동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긁어담는 릴(37)에 의한 두드림을 억제하여, 탈립하는 헤드 로스를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비례적인 차량속도 추종제어에 비해, 주행 속도가 고속영역일 때 긁어담는 릴(37)의 회전을 낮게 할 수 있음으로써, 회전축(45)에 설치한 입력 풀리(48)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콘팩트(compact)한 설계로 된다.
상기의 경우, 각 소정회전수 a, 소정회전수 b, 소정회전수 c ~ 의 각각의 회전 전환은, 차량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일정한 대략 등간격으로 행해짐으로써, 안정하게 전환한다.
그리고, 긁어담는 릴(37)의 회전을, 계단 모양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한 것에 있어서, 긁어담는 릴(37)의 높이 위치에 의해, 긁어담는 릴(37)의 회전수의 상승률 등을 변경하도록 구성한다.
즉, 도 12와 같이, 긁어담는 릴(37)의 높이가 소정 높이보다 높을 때는, 표준 곡식줄기 모드로 하여 어떤 소정 회전수로부터 어떤 소정 회전수로 순차전환하여 회전을 상승시키고, 긁어담는 릴(37)의 높이가 소정 높이보다 낮을 때는, 짧은 곡식줄기 모드로 하여 상기 표준 곡식줄기 모드에 비해 초기 설정회전수를 높게하여 어떤 소정 회전수로부터 어떤 소정 회전수로의 상승폭은 표준 곡식줄기 모드에 비해 작게 되며, 짧은 곡식줄기 모드의 경우, 가장 빠른 차량속도일 때는 표준 곡식줄기 모드와 대략 같은 회전수로 되지만, 그때까지는 표준 곡식줄기 모드보다 빠 른 회전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긁어담는 릴(37)은, 긁어담는 릴(37)의 높이를 내리는 것만으로 초기 설정 회전수가 높게 되어, 릴 회전수는 증속됨으로써, 짧은 곡식줄기의 앞쪽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하여, 헤드 로스를 감소시킨다.
또한, 통상의 곡식줄기 또는 긴 곡식줄기에서는 표준 곡식줄기 모드로 되어, 헤드 로스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긁어담는 릴(37)의 높이 검출장치의 구성은 임의이지만, 실시예에서는 포텐셔메터(potentiometer) 등의 변위 센서(sensor)를 암(46)에서 링크(link) 기구에 의해 접속하고 있다.
도 13은, 긁어담는 릴(37)의 회전제어에 관한 다른 실시예이고, 저속영역의 소정회전까지는, 계단 모양으로 일정회전까지 단숨에 상승시켜서 전환하고, 소정회전을 넘는 고속영역에서는, 주행속도(차량속도)에 비례하여 상승하도록 구성한다.
그 때문에, 저속영역에서는, 차량속도의 변화에 대하여 크게 긁어담는 릴(37)의 회전수가 상승하므로, 곡식줄기의 넘쳐흐름이 감소하고, 고속영역에서는 차량속도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긁어담는 릴(37)을 빠르게 회전시키지 않으므로, 긁어담는 릴(37)에 의한 곡식줄기의 두드림을 방지하여, 헤드 로스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도 14,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곡장치(3)는, 상부에 지지몸체(55)를 축이 장착된 탈곡실(41)을 설치하고, 지지몸체(55)의 주로 아래쪽은 지지망(도시 생략)에 의해 포위하고, 지지망의 아래쪽에는 송풍풍구(送風風箕)(56)의 풍구 케이싱(casing)(57)을 설치한다. 상기 탈곡실(41)의 아래쪽에는 상기 송풍 풍구(56)의 송풍에 의해 곡식낱알과 다른 물질을 풍선(風選)하여 얻는 풍선실(58)을 형성하고, 풍선실(58) 내에는, 송풍풍구(56)의 송풍방향으로 왕복요동하는 요동선별선반(59)에 의해 구성된 요동선별장치(60)를 설치한다.
요동선별장치(60)는 공지된 것으로서, 요동선별선반(59)의 시단부(始端部)는 풍구 케이싱(57)의 위쪽에 위치시켜서, 상면에 이송돌기(도시 생략)를 요동방향으로 병렬로 설치하여 이송선반부(61)을 형성하고, 이송선반부(61)에 이어서 곡식낱알과 다른 물질을 선별하는 체(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있다. 요동선별선반(59)의 아래쪽에는 1번 컨베이어(62)를 설치하고, 1번 컨베이어(62)의 뒤쪽에는 2번 컨베이어(63)을 설치한다.
2번 컨베이어(63)의 종단에는 2번 반송장치(65)의 기부를 접속하고, 2번 컨베이어(3)의 선단에는 좌우방향의 2번물(物) 반송장치(66)의 외단부에 접속한다. 2번물 반송장치(66)는 아랫면을 개구시킨 반송통(바이패스(by-pass) 통)(67) 내에 반송나선(螺線)(68)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2번 반송장치(65)에 의해 반송된 2번물을 반송하면서 확산시켜 탈곡실(41)에 반송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반송통(67)의 하면에는, 길이 방향에 걸쳐 낙하구(69)를 형성하고, 낙하구(69)에는 유도통(70)을 접속하며, 유도통(70)의 배출구(71)는 요동선별장치(60)의 이송선반부(61) 위에 개구시킨다.
풍구 케이싱(57)의 앞쪽에는 풍선실(58)로 향하여 송풍하는 후측송풍구(72)와는 달리 앞쪽송풍구(73)를 설치하고, 앞쪽 송풍구(73)은 이송선반부(61) 위에 송풍하도록 개구시킨다.
따라서, 2번 반송장치(65)에 의해 2번물 반송장치(66)로 반송된 2번물은, 2번물 반송장치(66)에 의해 요동선별장치(60)의 폭방향으로 확산되고, 2번물 반송장치(66)에 의해 낙하된 2번물은 유도통(70)으로부터 이송선반부(61) 위로 낙하하며, 이때, 풍구 케이싱(57)의 앞쪽송풍구(73)로부터의 송풍을 받아, 뒤쪽으로 확산시킨다.
이와 같이, 2번물 반송장치(66)에서부터 이송선반부(61)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낙하시키고, 또한, 송풍풍구(56)의 송풍에 의해 뒤쪽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이송선반부(61) 위에서의 흐름도 양호하게 되고 선별성능도 향상하며 로스를 감소시키면서 선별부하도 감소시키는 합리적인 구성이 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그레인 탱크(5)의 용량을 증대할 수 있고, 또한, 특별히 승강기(12)의 상부에 이송장치나 확산체(擴散體)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4)와 그레인 탱크(5)의 후벽과의 사이의 거리가 길게 되기 때문에, 곡식낱알이 배출구(14)로부터 충전될 때에, 곡식낱알이 그레인 탱크(5)의 후벽에 닿을 때의 충격이 작아지게 되어, 곡식낱알의 쪼개짐 등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그레인 탱크의 용량을 증대할 수 있고, 또한, 특별히 승강기(12)의 상부에 이송장치나 확산체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4)와 그레인 탱크(5)의 후벽과의 사이의 거리가 길게 되기 때문에, 곡식낱알이 배출구(14)로부터 충전될 때에, 곡식낱알 이 그레인 탱크(5)의 후벽에 닿을 때의 충격이 작아지게 되고, 곡식낱알의 쪼개짐 등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그레인 탱크(5) 내에 충전된 곡식낱알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그레인 탱크의 용량을 증대할 수 있고, 또한, 특별히 승강기(12)의 상부에 이송장치나 확산체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4)와 그레인 탱크(5)의 후벽과의 사이의 거리가 길게 되기 때문에, 곡식낱알이 배출구(14)로부터 충전될 때에, 곡식낱알이 그레인 탱크(5)의 후벽에 닿을 때의 충격이 작아지게 되고, 곡식낱알의 쪼개짐 등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컨용 콘덴서(30)의 냉각효율이 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주행장치(2)의 위쪽에 탈곡장치(3)와 그레인 탱크(5)를 설치하고,
    그 그레인 탱크(5)의 앞쪽 부분이 엔진(10)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돌출시켜서 앞쪽 둘출부(17)를 형성하며,
    상기 탈곡장치(3)에 의해 탈곡 된 곡식낱알을 반송하는 양곡기(12)의 배출구(14)를 상기 앞쪽 돌출부(17)에 있어서 탈곡장치(3) 쪽에 접속시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쪽 돌출부(17)의 하면(17a)을 뒤쪽이 내려가게 경사지게 하여 그 앞쪽 돌출부(17)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쪽 돌출부(17)의 하면(17a)과 엔진(10)과의 사이에 에어컨용 콘덴서(3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050088037A 2005-09-22 2005-09-22 콤바인 KR100678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037A KR100678508B1 (ko) 2005-09-22 2005-09-22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037A KR100678508B1 (ko) 2005-09-22 2005-09-22 콤바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508B1 true KR100678508B1 (ko) 2007-02-02

Family

ID=38105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037A KR100678508B1 (ko) 2005-09-22 2005-09-22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04815A (ja) * 2017-06-27 2019-01-1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04815A (ja) * 2017-06-27 2019-01-1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508B1 (ko) 콤바인
JP6052287B2 (ja) 色彩選別機
JP2010253351A (ja) 籾摺選別機
JP2009072068A (ja) コンバイン
JP2018198577A (ja) コンバイン
JP4340891B2 (ja) コンバイン
JP4548454B2 (ja) コンバイン
JP2001327923A (ja) 風選別装置
CN100539824C (zh) 联合收割机
KR100460387B1 (ko)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
WO2022124173A1 (ja) コンバイン、算定システム、算定方法、算定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509916Y2 (ja) 脱穀機の選別装置
JP2006095434A (ja) 籾摺選別機の仕上米吸塵装置
JP2019110804A (ja) 脱穀装置
JP3841777B2 (ja) コンバイン
JP4787576B2 (ja) コンバイン
JP3680447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脱穀選別装置
KR100383319B1 (ko) 탈곡기에서의 요동선별 장치
JP2008289455A (ja) コンバイン
JP3295980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揺動選別装置
JPH1189402A (ja) 脱穀装置
JP5941790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2524670Y2 (ja) 穀粒選別装置における被選別物量検知体
JP3918756B2 (ja) エアー式穀粒搬送装置
JP4544402B2 (ja) 脱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