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387B1 -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387B1
KR100460387B1 KR10-1998-0010801A KR19980010801A KR100460387B1 KR 100460387 B1 KR100460387 B1 KR 100460387B1 KR 19980010801 A KR19980010801 A KR 19980010801A KR 100460387 B1 KR100460387 B1 KR 100460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sorting
amount
thresh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111A (ko
Inventor
마사미 오오사키
쥰지 도이하라
마사미 마쯔이
후미오 요시무라
히데타카 히라야마
타카오 아키야마
료오 사와무라
코오지 이즈미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8-001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387B1/ko
Publication of KR19990076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8Control devices; Brakes; B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4Fann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첫 번째 곡물의 선별 정밀도의 향상과 낟알의 기체(機體) 바깥으로의 배출의 감소를 도모한다. 수확부(6)에서 수확된 곡간을 탈곡장치(7)에서 탈곡하는 수확작업시에, 처리실(20)의 배출측에 설치된 낟알유량센서(1)가 낟알량을 "적음"이라고 검출한 경우에는, 풍구(49)의 선별풍량을 감소함과 동시에 선별선반(2)으로부터의 누하량을 감소하고, 누하량의 감소조작을 선별풍량의 감소조작을 선행하여 행하는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

Description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
본 발명은 농장의 곡간(穀稈)을 수확하여 탈곡처리하는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탈곡처리량이 적다고 판단했을 때, 풍량과 선별 선반의 누하량(漏下量)을 동시에 감소하는 수단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수단에서는 풍구에 의한 선별풍량도 적어지기 때문에, 탈곡처리물의 조건(예컨대, 습도)에 따라서는, 낟알이 선별 바람에 의해 배출구측으로 날려 로스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낟알로스의 감소와 선별을 양호하게 하는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다음 기술적 수단을 강구했다.
즉, 수확·탈곡작업시에 낟알유량(流量)센서(1)가 낟알량을 "적음"이라고 검출한 경우에는 선별풍량 및 선별 선반(2)에서의 누하량(漏下量)을 감소조작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을 선별 선반측이 선별풍량측보다 선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로 한다.
기체(機體)를 전진하여 작업을 개시하면, 농장에 심어져있는 곡간은 수확되어 탈곡처리된다. 수확작업에 있어서, 낟알유량센서(1)가 낟알량을 "적음"이라고 검출하면, 선별풍량 및 선별 선반(2)의 누하량을 감소조작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을, 선별 선반측이 선별풍량보다 선행하여 행한다.
도 1은 컴바인의 우측면도,
도 2는 일부 절단한 탈곡장치의 좌측면도,
도 3은 일부 절단한 탈곡장치의 우측면도,
도 4는 탈곡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일부 절단한 탈곡장치의 평면도,
도 6은 일부 절단한 탈곡장치의 정면도,
도 7은 일부를 절단한 선별 선반의 측면도,
도 8은 좌측의 횡측벽측의 바람조절밸브 작동후의 바람조절밸브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우측의 횡측벽측의 바람조절밸브 작동전의 바람조절밸브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우측의 횡측벽측의 바람조절밸브 작동후의 바람조절밸브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블록회로,
도 12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낟알유량(流量)센서, 2 … 선별 선반.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컴바인(3)은 크롤러(crawler)형의 주행장치(4)를 구비하는 차체 받침대(5)의 전부(前部)에 수확반송장치(6)를 설치하고, 상기 수확부(6)의 뒤쪽에 자동전송방식의 탈곡장치(7)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옆에 운전부(도시생략)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확반송장치(6)는 분초체(分草體)(8)와, 곡간발생장치(9)와, 바리캉식의 칼날(10)과, 수확된 곡간을 상기 탈곡장치(7)로 반송하는 반송장치(11)를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
탈곡장치(7)는 왼쪽 벽에 개설된 탈곡 수취구를 따라 설치된 끼워누름판(12)과 피드체인(feed chain)(13)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전송장치(14)를 구비하고, 상기 자동전송장치(14)가 상기 반송장치(11)에 의해 반송되어 온 곡간의 그루부분을 사이에 끼워 그 이삭의 끝부를 전벽(15)에 나있는 곡간 공급구로부터 벼훑기실내에 넣고, 그 후 중간벽(16)에 나있는 곡간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구성이다.
벼훑기실(17)은 전벽(15)과 중간벽(16)에 걸쳐 바닥부에서 위쪽에 이르는 사이에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받침로프(18)를 설치하여 형성하고 있고, 상기 벼훑기실(17)의 옆쪽에 누하 구멍을 다수 가지는 누하체(漏下體)(19)를 설치하여 전벽쪽으로부터 처리실(20)과 배진처리실(21)(排塵處理室)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배진처리실(21)은 수입구(22)가 벼훑기실(17)의 종단부에 연통하고, 배출구(23)가 탈곡장치(7)의 후벽(24)에 근접하여 있다. 또한, 상기 벼훑기실(17)에는 벼훑기 기구(25)를, 처리실(20)에는 처리기구(26)를, 배진처리실(21)에는 배진기구(27)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28은 처리기구(26)의 바깥둘레면에 설치된 처리치(處理齒), 29는 배진기구(27)의 바깥둘레면에 설치된 배진치(排塵齒), 30은 벼훑기 기구(25)의 바깥둘레면에 설치된 벼훑기 치(齒)이다. 그리고, 상기 처리기구(26)의 이송종단측(전벽측)의 처리치(31)를 평판으로 형성하고 있다.
낟알유량센서(1)는 상기 처리실(20)의 누하체(19)의 전벽측을 절단하여 형성한 처리실 배출구(32)에 대향하는 처리실(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처리치(31)에 의해 배출되는 낟알을 받을 때마다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도시생략)로 송신한다.
선별실(33)은 상기 벼훑기실(17), 처리실(20) 및 배진처리실(21)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고, 전단부를 전벽(15)에 근접시킴과 동시에 후단부를 후벽(24)에 설치된 선별실 배출구(34)에 근접시킨 요동선별선반(35)을 전후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요동선별선반(35)은 전단부에 반송랙부(36)를 설치하고, 후단부에 짚 랙(37)을 설치하고, 벼훑기실(17)의 종단부 아래쪽에서 짚 랙(37)에 이르는 사이에 선별 선반(2)을 설치하고, 상기 선별 선반(2)의 중간부의 아래쪽에 첫 번째 선별망(38)을 설치하고 있다.
선별선반(2)은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함과 동시에 상단을 하단보다 뒤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좌우방향으로 긴 플레이트(39)와, 상기 플레이트(39)의 좌·우 상단부를 피벗 지지하는 요동프레임(4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39)의 하단부는 요동프레임(40)에 절단된 길이구멍(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경사각을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9)의 하단이 위쪽으로 이동하면 누하량이 감소하고,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누하량이 증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42는 요동프레임(40)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각 플레이트(39)의 하단부를 피벗 지지하고 있는 연동판(連動板)이다.
43은 상단부를 플레이트(39)의 상단부에 피벗 지지한 플레이트 작동판이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작동판(43)의 하단부는 모터(44)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 암(45)에 연결하고 있는 와이어(46)의 다른 단부를 설치하고 있다. 47은 플레이트 작동판(43)을 원래의 위치로 인장하는 리턴 스프링이다. 48은 양 플레이트 작동판(43)을 연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연동 암이다. 그리고, 모터(44)는 전벽 하부에 설치하고, 와이어(46)는 중간부를 풍구의 풍구축(50)의 뒤쪽에서 아래로 향하고, 그 후 앞쪽으로 향하고나서 위쪽을 향하여 회동 암(45)에 연결하는 구성이다. 또, 와이어(46)는 탈곡장치(7)의 횡측벽에 나있는 창(51)을 통해 측벽의 바깥쪽으로 나가 있지만, 이 창(51)은 창덮개(52)로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풍구(49)가 위치하는 좌우의 횡측벽(55, 56)에는 각각 사각형상의 흡기구멍(57)을 형성하고 있고, 이 흡기구멍(57)을 상하로 사이에 끼워 대향하도록 바람조절밸브(58)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바람조절밸브(58)는 전부(前部)를 횡방향으로 축심을 가지고 횡측벽(55, 56)에 회동하는 횡축(59, 60)에 고정하고 있다.
상기 횡축(59, 60)은 좌우 양단부를 축심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횡측벽(55)측에 있어서, 횡축(59)의 단부에 정역전(正逆轉)모터(61)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로드(62)에 연결된 상(上)연동 암(63)을 고정하고 있고, 횡축(60)의 단부에 하(下)연동 암(64)을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양 연동 암(63, 64)을 링크 기구(65)를 통해 접속하고, 상기 로드(62)가 뒤쪽(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하의 연동 암(63, 64) 및 링크기구(65)를 통해 양 바람조절밸브(58)에 접근하는 쪽으로 회동하여 흡기구멍(57)의 개구면적을 작게 하고, 그 위치에서 로드(62)가 앞쪽(화살표 A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이동하면 연동 암(63, 64) 및 링크 기구(65)를 반대측으로 작동하여 흡기구멍(57)의 개구면적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횡측벽(56)측에 있어서, 횡축(59, 60)의 각각의 축단부에 상연동 암(66)과 하연동 암(67)을 고정하고, 상기 상연동 암(66)과 하연동 암(67)을 우(右)접속 암(68)으로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양 바람조절밸브(58)는 로드(62)의 이동에 관련하여 횡측벽(55)측의 바람조절밸브(58)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여 흡기구멍(57)의 개구면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정역전모터(61)는 탈곡장치(7)의 좌측면에서 볼 때, 첫 번째 곡물 반송장치(53)보다 두 번째 곡물 반송장치(54)쪽으로 두 번째 곡물 반송장치(54)의 위쪽에 위치하고, 이 두 번째 곡물 반송장치(54)의 반송종단부에 연통하여 두 번째 곡물을 상기 처리기구(26)의 반송개시단부측에서의 처리실(20)에 공급하는 두 번째 곡물올림통(69)보다 내측(횡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 70은 첫 번째 곡물 반송장치(53)의 반송종단부에 연통하고, 첫 번째 곡물을 올려 그레인 탱크(grain tank)(그레인 호퍼라도 좋다)(71)에 공급하는 첫 번째 곡물올림통이고, 72는 그레인 탱크내의 낟알을 기계 바깥으로 배출하는 배출오거(auger)이다. 73은 짚 랙(37)의 위쪽에 배치된 배진(排塵) 핀, 74는 볏짚절단장치이다.
도 11에 나타낸 블록회로에 대해서 설명하면, 75는 제어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내장한 메모리(76)를 가지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연산제어부(이하, CPU라 함)이고, 산술·논리 및 비교연산 등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CPU(75)에 입력 인터페이스(77)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로서, 운전부에 설치된 선별 자동 스위치(78)로부터의 선별자동유무정보, 윈도우설정다이얼(79)로부터의 풍구풍량조절정보, 누하량 설정다이얼(80)로부터의 선별선반 누하량 설정정보, 그리고, 정역전모터(61)의 모터축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윈도우 포지션센서(82)로부터의 바람조절밸브위치정보, 모터(44)의 모터축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쉬브포지션센서(sheave position sensor)(82)로부터의 누하량정보, 낟알유량센서(1)로부터의 낟알검출정보, 변속레버(예컨대, 주변속의 HST레버)의 변속위치를 검출하는 차속도센서(83)로부터의 차속도정보, 탈곡스위치(84)로부터의 탈곡클러치 잇기·끊기 정보, 수확부(6)(수확부가 아니라 탈곡장치측이라도 좋다)에 설치된 곡간센서(85)로부터의 곡간유무정보 등이 있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86)를 통해 CPU(75)에서 출력하는 지령신호로서 모터(44), 정역전모터(61)로의 구동지령신호 등이 있다. 또, 상기 선별자동스위치(78)는 리미트 스위치, 윈도우설정다이얼(79)과 누하량 설정다이얼(80)과 윈도우 포지션센서(81)와 쉬브포지션센서(82)와 차속도센서(83)는 포텐쇼미터(potentiometer), 탈곡스위치(84) 및 곡간센서(85)는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검출하는 구성이다.
다음에 작용에 대해서 흐름도를 병용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원동기(실시예에서는 디젤엔진)를 구동하여 회전 각부를 구동함과 동시에 선별자동스위치(78)를 넣고, 윈도우 설정 다이얼(79) 및 누하량 설정 다이얼(80)을 조작하여 풍구풍량과 선별선반(2)의 누하량을 선택하고, 수확부(6) 및 탈곡클러치를 "잇기"로 하고, 그리고,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기체를 전진하여 수확작업을 개시한다.
그러면, 기체는 전진하여 농장에 심어진 곡간을 수확부(6)에서 수확하여 반송함과 동시에 CPU(75)는 선별자동 "있음", 풍구설정풍량, 누하설정량, 차속도센서(83)로부터의 설정차속도정보,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곡간센서(85)로부터의 곡간 "있음"(수확작업중인 것)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수확부(6)에서 수확반송되어 반송종단부에 도달된 곡간의 그루부분은 자동전송장치(14)의 끼워누름판(12)과 피드체인(13)에 사이에 끼워져 뒤쪽으로 반송되지만, 이것에 관련하여 그 이삭의 앞부분은 전벽(15)에 설치된 곡간공급구에서 벼훑기실(17)로 넣고, 여기에서 회전하는 벼훑기 기구(25)의 벼훑기 치(齒)(30)에 의해 탈곡처리를 받으면서 중간벽(16)에 설치된 곡간 배출구에서 벼훑기실 바깥으로 나온다. 그 후, 탈곡처리를 받은 탈곡 완료된 볏짚은 볏짚반송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되어 볏짚절단장치(74)에 의해 소정 길이로 미세하게 절단되어 농장으로 낙하한다.
이 탈곡처리에 의해, 벼훑기실(17)의 수취망(18)에서 누하된 다량의 낟알을 포함하는 탈곡물은 하방에 위치하여 전후방향으로 요동하는 요동선별선반(35)의 반송랙부(36)로 받아낸다(소량은 선별선반(2)으로 누하하는 것도 있다). 그리고, 탈곡물은 반송랙부(36)에 의해 첫 번째 선별망(38)으로 반송된다.
또한, 수취망(18)에서 누하하지 않고 벼훑기실(17)의 곡간배출구측으로 이동한 이삭조각이나 긴 짚부스러기를 혼입하는 배진물은 수입구(22)에서 배진처리실(21)에 들어가고, 회전하는 배진기구(27)에 의해 뒤쪽으로 보내지지만, 이 반송도중에 있어서, 배진치(29)에 의해 처리를 받기 때문에, 낟알이나 이삭조각 일부의 짚부스러기 등은 누하체(19)로부터 아래쪽의 선별선반 위로 누하하는 한편, 누하하지 않았던 짚부스러기는 배출구(23)로부터 짚 랙(37)으로 낙하하여 풍구(49)의 선별풍에 의해 선별실 배출구(34)로부터 기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선별선반(2)에 누하된 누하물 중에서, 낟알선반(2)으로부터 누하하는 낟알의 혼입이 많은 선별선반 누하물은 첫 번째 선별망(38)으로 낙하하고, 상기 반송 랙부(36)에 의해 반송되어 온 탈곡물과 합류하여 체 선별과 풍구(49)에 의해 경사진 위쪽으로 치솟게 하는 선별풍을 받는다. 이 선별풍에 의해, 낟알은 첫 벗째 곡물 반송장치(53)에 회수되어 반송되고, 반송종단으로부터 첫 번째 양곡통(70)으로 계속 받아서 그레인 탱크(1)에 공급된다. 그리고, 선별풍 작용에 의해 낟알과 분리된 먼지나 작은 짚부스러기 등은 뒤쪽의 위로 날려 선별실 배출구(34)로부터 기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선별선반(2)으로부터 누하시키지 않고 이 후단부로 이동된 비누하물은 짚 랙(37)으로 이동하고, 이 짚 랙(37) 및 선별풍에 의해 선별실 배출구(34)로부터 기체 외부로 배출되지만, 일부 낟알이나 이삭조각 등의 미처리물(두 번째 곡물이라고도 한다)은 낙하하여 두 번째 곡물 반송장치(54)에 회수되고, 그 반송종단으로부터 두 번째 양곡통(69)으로 계속 받아서 선별실 위쪽의 처리실(20)로 보내진다. 그리고, 상기 미처리물은 회전하는 처리기구(26) 및 처리치(28)에 의해 낟알화 처리를 받으면서 앞쪽으로 보내지기 때문에, 낟알은 누하체(19)로부터 횡측벽(55)에 가까운쪽으로 누하하고, 누하하지 않은 낟알은 처리치(31)에 의해 위쪽으로 올라가 횡측벽(55)에서 먼쪽의 반송 랙부(36)로 환원된다. 이 때, 낟알유량센서(1)에 낟알이 닿으면, CPU(75)는 이 정보를 읽어들여 카운트하여 단위시간당 낟알량, 즉 낟알유량을 연산한다. 또, 선별선반(2)의 위쪽으로 부유하는 먼지 등의 이물은 배진 핀(73)에 의해 기체 외부로 배출되고, 탱크(1)에 낟알이 가득찬 경우에는 배출오거(72)등의 낟알배출수단을 구동하여 기체외부로 배출한다.
다음에, 선별선반제어에 대해서 설명하면, CPU(75)가 탈곡 스위치(84)의 정보로부터 탈곡 클러치 "잇기·끊기"를 판단하고(스텝 10), "끊기"의 상태인 경우에는 선별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탈곡클러치"잇기"의 경우에는 곡간센서(85)가 "잇기·끊기"를 판단한다(스텝20).
그리고, CPU(75)가 곡간센서(85) "잇기"를 판단하면 차속도센서(83)에 의해 고속인지 저속(미리 어느 속도이상을 "고속"이라고 설정하고 있다)인지를 판단하는 공정(스텝30)으로 진행하고, 곡간센서(85) "끊기"를 판단하면 낟알유량센서(1)에 의해 검출된 낟알유량이 "높음·낮음"(미리 어느 유량 이상이 "높음"이라고 설정하고 있다)인지를 판단하는 공정(스텝40)으로 진행한다.
CPU(75)가 차속도센서(85) "높음"이라고 판단하면, 풍구(49)의 풍량은 윈도우 설정 다이얼(79)에서 설정한 위치이고, 선별선반(2)에서의 누하량은 누하량 설정 다이얼(80)에서 설정한 위치이다.
CPU(75)가 차속도센서(85)를 "높음"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4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40에서 CPU(75)가 낟알유량센서(1)에서의 출력정보를 받아들여 낟알유량을 "높음"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스텝30에 있어서 차속도센서 "높음"이라고 판단한 경우와 동일하다.
CPU(75)가 스텝40에 있어서 낟알유량 "높음"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우선, 7초후에 출력 인터페이스(86)를 통해 모터(44)로 구동지령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모터(44)는 기동하여 회동 암(45)을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하여 와이어(46)를 같은 방향으로 인장한다. 그러면, 이것에 관련하여 플레이트 작동판(43)은 상단부의 피벗 지지부(a)를 중심으로 하여, 하단부가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연동 암(48)에 접속하고 있는 뒤쪽의 플레이트 작동판(43)도 상단부의 피벗 지지부(a)를 중심으로 하여 하단부가 앞쪽의 플레이트 작동판(43)과 같은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양 플레이트 작동판(43)의 회동에 의해 각각의 연동판(42)도 앞쪽의 위쪽을 향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있는 플레이트(39)의 하단이 길이구멍(41)에 따라 작동한다. 따라서, 뒤쪽의 플레이트(39)의 하단부가 앞쪽의 플레이트(39)의 후면으로 가까이 가서 누하통로가 좁게 되어 낟알 등의 누하량을 작게한다. 그리고, CPU(75)가 쉬브포지션센서(82)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받아들이고, 메모리(76)에 내장하고 있는 설정값과 비교 연산하여 그 차이가 미리 설정된 폭내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모터(44)로의 구동지령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게다가, CPU(75)가 스텝40에 있어서 낟알유량 "높음"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8초후(즉, 모터(44)로의 구동지령신호의 1초후)에, 정역전모터(61)로 정전(正轉)의 구동지령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정역전모터(61)는 기동하여 로드(62) 및 상연동 암(63)의 상부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인장한다. 그러면, 상연동 암(63)의 하단부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횡축(59)을 회동하기 때문에, 횡측벽(55, 56)의 각각의 측에 설치된 각 바람조절밸브(58)를 아래로 회동하여 각 흡기구멍(57)의 개구면적을 작게한다. 그리고, 상기 횡축(59)의 회동에 관련하여 링크기구(65), 상연동 암(63, 66) 및 하연동 암(64, 67)과 우접속 암(68)을 작동하여 횡축(60)을 회동하고 이 횡축(60)의 양단부에 고정된 각 바람조절밸브(58)를 위쪽으로 회동하여 각 흡기구멍(57)의 개구면적을 작게 한다. 따라서, 풍구(49)가 흡기구멍(57)으로부터 받아들여진 풍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선별실(33)에 공급되는 선별풍량이 적어진다.
그리고, CPU(75)가 윈도우 포지션 센서(81)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받아들이고, 메모리(76)에 내장하고 있는 설정값과 비교 연산하여 그 차이가 미리 설정된 폭내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정역전모터(61)로의 구동지령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선별선반(2)으로부터의 누하통로를 작게 하고, 그 후에 풍구(49)의 선별풍량을 적게하기 때문에, 첫 번째 곡물 반송장치(53)로의 짚부스러기의 낙하를 감소하여 선별정밀도를 향상한다. 또한, 저속작업시에서의 낟알의 회수량을 높인 장치 바깥 배출낟알량을 적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플레이트(39)의 회동의 구동체(驅動體)인 와이어(46)의 작동을 요동선별선반(35)의 요동에 관계없이 원활한 작동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46)를 작동하는 모터(44)를 선별실(33)의 전벽의 바깥 면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46)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피드체인(13)을 횡측벽(56)의 횡측방으로 회동하는 구성으로 하면 모터(44)의 점검 등 메이티넌스도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그레인 탱크(71)가 횡측으로 회동함으로써, 횡측벽(55)측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정역전모터(61)의 점검이나 메인티넌스가 간단하게 됨과 동시에 로드(62)를 직선적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그 후, 낟알유량센서(1)에 의한 검출정보를 받아들인 CPU(75)가 낟알유량 "높음"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동작과 반대로 작동하여, 각각의 다이얼(79, 80)로 설정위치로 되돌아 간다.
수확작업에 있어서, 낟알유량이 소량으로 되면, 우선 선별선반(2)에서의 누하량을 적게하고, 그 후 선별풍량을 소량으로 하기 때문에, 낟알의 로스를 감소함과 동시에 선별선반(2)으로부터 누하된 볏짚가루나 먼지 등의 이물을 날려 선별을 양호하게 한다.

Claims (1)

  1. 수확·탈곡작업시에 낟알유량(流量)센서(1)가 낟알량을 "적음"이라고 검출한 경우에는 선별풍량 및 선별선반(2)에서의 누하량(漏下量)을 감소조작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을 선별선반측이 선별풍량측보다 선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
KR10-1998-0010801A 1998-03-27 1998-03-27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 KR100460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801A KR100460387B1 (ko) 1998-03-27 1998-03-27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801A KR100460387B1 (ko) 1998-03-27 1998-03-27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111A KR19990076111A (ko) 1999-10-15
KR100460387B1 true KR100460387B1 (ko) 2005-01-15

Family

ID=4951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801A KR100460387B1 (ko) 1998-03-27 1998-03-27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092A (ko) * 2017-04-28 2018-11-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용 곡물 선별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305Y1 (ko) * 1984-10-30 1986-09-20 금성전선주식회사 콤바인 탈곡부 선별팬의 풍량 조절 장치
JPS6485012A (en) * 1987-09-25 1989-03-30 Kubota Ltd Grain threshing machine
JPH02312518A (ja) * 1989-05-26 1990-12-27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選別制御装置
JPH04218314A (ja) * 1990-12-19 1992-08-07 Kubota Corp 脱穀選別制御装置
JPH06197622A (ja) * 1993-01-07 1994-07-19 Iseki & Co Ltd 脱穀風選装置の選別風調節装置
JPH07107846A (ja) * 1993-10-12 1995-04-25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脱穀制御装置
JPH1028457A (ja) * 1996-07-11 1998-02-0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305Y1 (ko) * 1984-10-30 1986-09-20 금성전선주식회사 콤바인 탈곡부 선별팬의 풍량 조절 장치
JPS6485012A (en) * 1987-09-25 1989-03-30 Kubota Ltd Grain threshing machine
JPH02312518A (ja) * 1989-05-26 1990-12-27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選別制御装置
JPH04218314A (ja) * 1990-12-19 1992-08-07 Kubota Corp 脱穀選別制御装置
JPH06197622A (ja) * 1993-01-07 1994-07-19 Iseki & Co Ltd 脱穀風選装置の選別風調節装置
JPH07107846A (ja) * 1993-10-12 1995-04-25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脱穀制御装置
JPH1028457A (ja) * 1996-07-11 1998-02-0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092A (ko) * 2017-04-28 2018-11-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용 곡물 선별 장치
KR102345146B1 (ko) 2017-04-28 2021-12-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용 곡물 선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111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1893B (zh) 脱粒装置
KR100460387B1 (ko)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
JP3680447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脱穀選別装置
JP2001327923A (ja) 風選別装置
JP4119313B2 (ja) コンバイン
JP2000188937A (ja) コンバインの脱穀選別装置
JP2002000052A (ja) 脱穀機における風量センサのチェック装置
JP4119312B2 (ja) コンバイン
JP2004016200A (ja) 脱穀装置
JP2008289455A (ja) コンバイン
JP3433541B2 (ja) 脱穀装置
JP2009005640A (ja) コンバイン
KR100678508B1 (ko) 콤바인
JP3302509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制御装置
JPH10113053A (ja) コンバインの選別制御装置
JP3280218B2 (ja) 脱穀装置
JP2000245245A (ja) 選別装置
JPH0484825A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脱穀選別制御装置
JP3734590B2 (ja)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JP2881991B2 (ja) 脱穀機の排塵選別制御装置
KR19980030055A (ko) 콤바인
JP4009101B2 (ja)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JPH1014369A (ja) 脱穀機の排塵流量検出装置
JP2012139143A (ja) コンバイン
JP2002360047A (ja) 脱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