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175B1 -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175B1
KR100649175B1 KR1020007011480A KR20007011480A KR100649175B1 KR 100649175 B1 KR100649175 B1 KR 100649175B1 KR 1020007011480 A KR1020007011480 A KR 1020007011480A KR 20007011480 A KR20007011480 A KR 20007011480A KR 100649175 B1 KR100649175 B1 KR 100649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formula
phenyl
compound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2750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바테
헬페르트베른트
악케르만카를-아우구스트
고트쉴리히루돌프
슈타인인게보르크
부다크옌스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65063&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4917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4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35/00Reactions without formation or introduction of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hetero atoms, involving a change in the type of bonding between two carbon atoms already directly linked
    • C07B35/02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43/00Formation or introduction of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nitrogen
    • C07B43/06Formation or introduction of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nitrogen of am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12Oxygen or sulfur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 또는 N-메틸-N-[(1R)-1-페닐-2-((3R)-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 및 중간 생성물로 제조되는 신규 화합물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 및 N-메틸-N-[(1R)-1-페닐-2-((3R)-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의 신규한 대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ENANTIOMER-FREE N-METHYL-N-[(1S)-1-PHENYL-2-((3S)-3-HYDROXYPYRROLIDINE-1-YL)ETHYL]-2,2-DIPHENYL ACETAMIDE}
본 발명은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 또는 N-메틸-N-[(1R)-1-페닐-2-((3R)-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의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신규한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서 중간체로 형성된 신규한 화합물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 및 N-메틸-N-[(1R)-1-페닐-2-((3R)-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에 관한 것이다.
바버 등[B.J.Pharmacol.(1994), 113, 1317-1327]에 의해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합물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 및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모두 진통제, 항염증약 및 아쿠아레틱 작용(aquaretic action)과 같은 유용한 약리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이들은 특히 약제 제조에 적합하다.
특허 출원 DE 1 95 23 502 또는 EP 752 246 에는, 이 화합물이 매우 특별한 방법으로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에 대해 약제로서 적당한 특별한 효력이 있는 화합물이라고 공지되어 있다. 특히, 이 화합물은 이러한 증후에 이용가능하고 효력이 있는데, 이러한 질환에 수반되는 통증을 완화하고, 염증성 장질환으로 인하여 급성 장 폐색이 일어나거나 일어날 우려가 있는 경우, 큰 부작용 없이 장의 운동 반응(motor response)을 다시 정상화하거나 일어나도록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화합물은 IBS(과민성 장 증후군)와 같은 비-염증성 장질환에도 사용할 수 있다.
(2S)-2-N-카르복시에틸-2-페닐글리신-N,N-[(3S)-3-히드록시테트라메틸아미드와 디페닐아세틸클로라이드의 반응에 의한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의 제조가 특허 출원 DE 40 34 785 A1 및 DE 42 15 213 A1 또는 EP 0 569 802 A1에 개시되어 있다. DE 42 15 2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1S)-[1-N-메틸아미노-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디노)에탄으로도 알려진, 출발 화합물 (2S)-2-N-카르복시에틸-2-페닐글리신-N,N-[(3S)-3-히드록시테트라메틸렌아미드는 (1S)-1-아미노-1-페닐-2-클로로에탄을 (3S)-3-히드록시피롤리딘과 반응시킨 후, 요오드화메틸로 메틸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제조 방법의 문제점은 출발 생성물의 용해도와, 합성 후에 부-생성물로 오염된 얻어진 라세믹 생성 혼합물이 분리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의 제조에 관한 지금까지 공지된 방법으로는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며, 사용된 출발 화합물을 기준으로 수율이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하고 경제적인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를 출발 물질로 사용하는 경우, N-메틸-N-[(1R)-1-페닐-2-((3R)-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의 사용가능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경제적이고, 쉽게 녹는 출발 물질로부터 시작하여 가능한 한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생성물로 얻어지며, 이어서 단순한 방법으로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이전에 공지되지 않은 화합물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을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의 제조에서 신규 중간체로 사용하거나, N-메틸-N-[(1R)-1-페닐-2-((3R)-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을 N-메틸-N-[(1R)-1-페닐-2-((3R)-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의 제조에서 신규 중간체로 사용하는, 청구항 1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였다.
화학식 Ⅲ의 화합물은
Figure 112000021632761-pct00001
(상기 식에서, R 및 R2는 하기 의미를 갖는데,
R은 H, OR1 또는 SR1이고,
R1은 A, 아릴, 헤테로아릴, Si(R3)3 또는 COR3이고,
R2는 H, A, 아릴, 헤테로아릴 및 Si(R3)3 또는 COR3이고,
R3는 H, A,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A는 탄소수가 1 내지 6인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라디칼이다.)
바람직한 최종 생성물에 따라, 화학식 II의 (3S)-3-히드록시피롤리딘 또는 (3R)-3-히드록시피롤리딘 또는 HCl, HBr, HI, H2SO4, H3PO4 또는 적합한 유기산으로 형성된 이의 염을, 화학식 I의 N-치환된 페닐글리신의 적합한 (S)- 또는 (R)-거울상 이성질체 형태와 아미드성 커플링하여 고수율 및 순수한 형태의 거울상 이성질체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0021632761-pct00003
(상기 식에서,
R2는 H, A, 아릴, 헤테로아릴 및 Si(R3)3 또는 COR3이고,
R3는 H, A,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Figure 112000021632761-pct00013
(상기 식에서,
R은 H, OR1 또는 SR1이고,
R1은 A, 아릴, 헤테로아릴, Si(R3)3 또는 COR3이고,
R3는 H, A,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M은 H 또는 알칼리금속, 알칼리토 금속, 암모늄 또는 알킬암모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의 양이온이다.)
알킬은 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1, 2, 3 또는 4개의 탄소수를 갖는다. 알킬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한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2차-부틸 또는 3차-부틸, 또한 펜틸, 1-, 2- 또는 3-메틸부틸, 1,1-, 1,2- 또는 2,2-디메틸프로필, 1-에틸프로필, 헥실, 1-, 2-, 3- 또는 4-메틸펜틸, 1,1-, 1,2-, 1,3-, 2,2-, 2,3- 또는 3,3-디메틸부틸, 1- 또는 2-에틸부틸, 1-에틸-1-메틸프로필, 1-에틸-2-메틸프로필, 1,1,2- 또는 1,2,2-트리메틸프로필이다.
아릴은 바람직하게는 비치환 페닐 또는 Hal, OA 또는 알킬로 일- 또는 이치환된 페닐이고, 또한 예를 들어, 비페닐 또는 나프틸이다.
헤테로아릴은 예를 들어, 푸란일, 티오펜일, 피리딘일, 피롤릴 또는 티아졸릴이 바람직하다.
Si(R3)3은 예를 들어, Si(CH3)3가 바람직하다.
COR3는 예를 들어, 아세틸 또는 벤조일이 바람직하다.
R은 예를 들어, 메톡시 또는 에톡시가 특히 바람직하다.
R1은 특히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페닐, Si(CH3)3 또는 아세틸이다.
R2는 특히 예를 들어, H, 3차-부틸, Si(CH3)3, 아세틸, 벤질 또는 벤조일이고, H가 특히 매우 바람직하다.
화학식 IV의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 또는 N-메틸-N-[(1R)-1-페닐-2-((3R)-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에서 피롤리딘의 히드록실기로부터 보호기를 적절하게 제거하면, 제조된 화학식 Ⅲ의 아미드는 간단한 방법으로 환원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화학식 V의 활성화된 카르복실산과 반응시킴으로써,
Figure 112000021632761-pct00004
(상기 식에서,
R4는 F, Cl, Br, I, OA 또는 0-CO-A이다.)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유리염기로부터, 또는 HCl, HBr, HI, H2SO4, H3PO 4 또는 적절한 유기산으로 형성된 이의 염으로부터,
Figure 112000021632761-pct00005
화학식 VI의 거울상 이성질체 화합물을
Figure 112000021632761-pct00006
순수한 형태로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화합물을 염산염, EMD 61753에 공지된 형태인 화합물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로 제조하고; 상기한 다른 산과의 대응하는 염도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디페닐아세틸 클로라이드와 최종 반응시켜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를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간체로서 합성된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반응 시켜 얻을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이 반응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경우에, R은 R1이 A, 아릴, 헤테로아릴, Si(R3)3 또는 COR2인 OR1의 의미를 갖고, R2는 상기 바람직한 의미를 갖는 H,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알킬이다.). 놀랍게도, 대응하는 포르밀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와 대조적으로, 화학식 III의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반응 생성물을 얻는다. 이 방법에서, 라세미체의 분해능이 생략될 수 있어 유리하다.
화학식 I 및 II의 화합물의 반응은 임의의 바람직한 비 양성자성 용매에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용매는 디에틸에테르, 석유 에테르, 아세톤, 니트로벤젠,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술폭시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의 극성 비 양성자성 용매 또는 대응하는 다른 용매이다. 이와 관련하여, 출발 물질을 충분한 용매로 녹여, 10 내지 30% 용액을 얻는다.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매로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 및 II의 화합물의 반응은 0 내지 50℃의 온도에서 적절한 조건하에 수행한다. 그러나, 20 내지 30℃의 실온 및 표준 압력에서 특히 우수한 결과를 얻는다.
출발 물질의 활성화를 위해, 보조제가 존재할 필요가 있다. 이는 펩티드 커플링제로도 사용되는 보조제일 수 있다. 적절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인 옥시트리클로라이드, 원자가 III 및 V의 인 할로겐화물, 포스겐,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피리딘의 트리부틸암모늄염, 페닐 디클로로포스페이트, 2-클로로-1,2,3-트리니트로벤젠, 인산 에스테르, 클로로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 CH3SO2Cl-(C2H5)3N, (C6H5)3P-CCl4-(C2H5)3N,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 N-(알킬카르보닐)이미다졸, 산 무수물 또는 산 염화물이고, 특히, 에틸 클로로포름에이트와 같은 알킬 클로로포름에이트가 적절하다. 다른 적절한 보조제는 다양한 참고 서적에 기재되어 있다[예를 들어, C. Ferri "Reaktionen der organischen Synthese" ["Reactions of Organic Synthesis"]; R. C. Larock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A Guide to Functional Group Preparations", Verlag Chemie, 1989.].
또한, 염기가 존재할 필요가 있다. 적절한 염기는 또한 상기 참고 서적에서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염기의 예로는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삼차 아민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무기 염기를 또한 첨가할 수 있다. 적합한 무기 염기는 특히 탄산염이다. NaOH 또는 KOH와 같은 알킬 금속 히드록시드를 사용하는 경우, 정확히 첨가하도록 특히 주의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원하지 않는 부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응 마무리를 단순화하기 위해, 히드록시피롤리딘을 과량으로 사용하여 그 자체가 염기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얻은 반응 생성물 III은 통상의 실험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해낸 후, 여과물로부터 반응 마무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적절한 방법은, 용매를 증류해내고, 조생성물을 유기 용매에 다시 녹이고, 얻어진 용액을 물로 수회 추출하고, 용매를 다시 증류하고, 얻어진 생성물을 예를 들면, 메탄올과 같은 적절한 용매로부터 재결정하여 결정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면, 추가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포함하는 것과 같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변형된 다른 반응 마무리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조건에 따라, 유리 염기로서 또는 산 HCl, HBr, HI, H2SO4 또는 유기 카르복실산의 산 부가염으로서 물-함유 용매 혼합물로부터 반응 생성물 III을 얻는다. 후자의 경우, 통상의 실험 방법에 따라 상 분리 후, 분리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적절한 유기 카르복실산은 특히,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피발산, 디에틸아세트산, 말론산, 숙신산, 피멜산, 푸마르산, 말레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말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아스코르브산, 니코틴산, 이소니코틴산, 메탄- 또는 에탄술폰산, 에탄디술폰산, 2-히드록시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 -모노- 및 -디술폰산, 라우릴 황산과 같은 지방족, 지환족, 방향성지방족, 방향족, 또는 헤테로시클릭 모노- 또는 다염기성 카르복실산, 술폰산 또는 황산이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히드리드 전환제의 존재 하에, 예를 들어, 질소 분위기 하에서와 같은 보호 기체 분위기 하에서 환원된다. 적절한 히드리드 전환제, 예를 들면, 필요시 삼불화 붕소와 같은 루이스산이 추가적으로 존재 하에 금속 알루미늄 히드리드, 바람직하게는 리튬 알루미늄 히드리드, 예를 들면, Li 트리에톡시알루미늄 히드리드와 같은 금속 알콕시알루미늄 히드리드, 금속 보로히드리드, 바람직하게는 NaBH4, 또는 보레인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환원은 극성 비 양성자성 및 히드리드-불활성 용매 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용매는 이미 상기한 바와 같다. 예를 들면, 디에틸에테르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이 특히 적합하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적절한 용매에 용해하고, 가온하면서 히드리드 전환제 등몰량 또는 약간 과량으로 함유하는 용액에 첨가하여 수소화 반응을 수행한다. 그러나, 수소화하기 위하여 출발 화합물을 도입하고, 출발 물질이 용매를 기준으로 10 내지 25중량%의 농도를 갖는 반응 혼합물을 얻는 적합한 방법으로 적당량의 수소화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응 혼합물을 수시간 동안 환류 조건 하에서 교반하여 반응을 완료한다. 그리고 나서, 반응 용액을 본 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특히, 양성자-생성 및 비 양성자성 용매, 과량의 히드리드 전환제로 구성된 용매 혼합물을 첨가하여 분해하고, 반응 생성물을 유리시켜 처리한다. 적합한 양성자-생성 용매의 예로는, 물 또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과 같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적합한 비 양성자성 용매는 이미 상기한 모든 극성 비 양성자성 용매이고, 특히, 테트라히드로푸란이다. 공업적으로 무수 생성물로서 얻을 수 있으므로 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성물 반응 마무리는 통상의 실험 방법에 따라 상 분리 후 수행할 수 있다. 얻은 조생성물은 결정화 방법을 사용하여 반응 마무리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면, 유기 물-혼합 불가능한 용매에 녹이고, 과량의 무기산, 바람직하게는 염산으로 처리하여 반응 마무리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 방법에서 생성된 염을 결정형태로 분리해낼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최종 생성물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화학식 VI, EMD 61753)를 생성하기 위하여,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 또는 이의 디히드로클로라이드와 적절한 디페닐 아세트산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산 염화물의 반응은 DE-A1-40 34 785 및 DE-A1-42 15 213 또는 EP 0 569 802 A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수행한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데 사용될 수 없고,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로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생성물인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화학식 IV]을 생성한다.
화학식I의 (2S)-페닐글리신으로부터 화학식 Ⅲ의 N-치환된 (2S)-2-페닐글리신-N,N-[(3S)-3-히드록시테트라메틸렌아미드]
실시예 1
(2S)-N-포르밀-2-페닐글리신-N,N-[(3S)-3-히드록시테트라메틸렌아미드
(2S)-N-포르밀-2-페닐글리신[예를 들면, Huszthy, Peter; Oue, Masatoshi; Bradshaw, Jerald S.; Zhu, Cheng Y.; Wang, Tingmin; et al., J. Org. Chem., EN, 57 (20) [1992] 5383-5394에 따라 (S)-(+)-알파-아미노페닐아세트산 및 아세트산 무수물/포름산으로부터 얻을 수 있음] 및 (3S)-3-히드록시피롤리딘으로부터[예를 들면, Bhat, Krishna L.; Flanagan, Denise M.; Joullie, Madeleine M., Synth. Commun., EN, 15 (7) [1985] 587-598 또는 Naylor, Alan; Judd, Duncan B.; Scopes, David I. C.; Hayes, Ann G.; Birch, Philip J., J. Med. Chem., EN, 37 (14) [1994] 2138-2144에 따라 시판용 (S)-1-벤질-3-피롤리딘올로부터 얻을 수 있음]:
질소 분위기 하에 -15℃에서, 1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4.8ml의 에틸 클로로포름에이트를 250ml의 THF 중의 9g의 (2S)-N-포르밀-2-페닐글리신 및 5.5ml의 N-메틸모르폴린에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10분 기다린 후, 6.2g의 (3S)-3-히드록시피롤리딘 염산염 및 7ml의 트리에틸아민을 5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넣은 용액에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18시간 교반한 후,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해 내고, 통상의 실험 방법을 사용하여 농축하고, 이어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하여, 생성물 (2S)-N-포르밀-2-페닐글리신-N,N-[(3S)-3-히드록시테트라메틸렌아미드를 여과물로부터 분리해냈다.
1H-NMR: D6-DMSO; 3.0-3.8(m), 4.25(d), 5.0(s,br), 5.7(dd), 7.4(ArH), 8.0(ArH), 8.8(CHO):
MS-FAB: (M+1)+ 221, 205;
결정의 녹는점: 97-101℃;
[α]D20 = +208°, 메탄올 중 c = 1
실시예 2
(2S)-N-카르복시벤질-2-페닐글리신-N,N-[(3S)-3-히드록시테트라메틸렌아미드
(2S)-N-카르복시벤질-2-페닐글리신[예를 들어, Jones, Raymond CF; Turner, Ian; Howard, Kevin J., Tetrahedron Lett., 34 (39) [1993] 6329-6332에 따라 (S)-(+)-알파-아미노페닐아세트산 및 벤질 클로로카르보네이트로부터]
및 (3S)-3-히드록시피롤리딘[예를 들어, Bhat, Krishna L.; Flanagan, Denise M.; Joullie, Madeleine M., Synth. Commun., EN, 15 (7) [1985] 587-598 또는 Naylor, Alan; Judd, Duncan B.; Scopes, David I. C.; Hayes, Ann G.; Birch, Philip J., J. Med. Chem., EN, 37 (14) [1994] 2138-2144에 따른 시판용 (S)-1-벤질-3-피롤리딘올로부터 얻을 수 있음]으로부터:
질소 분위기 하에서, 10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4.3g의 (2S)-N-카르복시벤질-2-페닐글리신을 5.5ml의 4-메틸모르폴린 및 4.8ml의 에틸클로로포름에이트 및 1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의 용액으로 차가운 상태에서 처리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나서, 4.36g의 (3S)-3-히드록시피롤리딘 및 1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해내고, 통상의 실험 방법을 사용하여 농축하고, 유기 용매에 녹이고, 수성 상으로 세척하고, 재농축하고 결정화하여, 형성된 (2S)-N-카르복시벤질-2-페닐글리신-N,N-[(3S)-3-히드록시테트라메틸렌아미드를 여과물로부터 분리하였다.
1H-NMR: D6-DMSO+TFA; 5.1(s), PhCH 2R;
FAB-MS: 355 (M+1)+, 311, 196, 176;
농도: 오일;
[α]D20 = +108°, 메탄올 중 c = 1
실시예 3
(2S)-N-카르복시에틸-2-페닐글리신-N,N-[(3S)-3-히드록시테트라메틸렌아미드
3.a)
(2S)-N-카르복시에틸-2-페닐글리신[예를 들어, Bodurow, C.C.; Boyer, B.D.; Brennan, J.; Bunnell, C.A.; Burks, J.E.; et al., Tetrahedron Lett., EN, 30 (18) [1989] 2321-2324에 따라 (S)-(+)-알파-아미노페닐아세트산 및 에틸 클로로카르보네이트로부터]
(3S)-3-히드록시피롤리딘[예를 들어, Bhat, Krishna L.; Flanagan, Denise M.; Joullie, Madeleine M., Synth. Commun., EN, 15 (7) [1985] 587-598 또는 Naylor, Alan; Judd, Duncan B.; Scopes, David I. C.; Hayes, Ann G.; Birch, Philip J., J. Med. Chem., EN, 37 (14) [1994] 2138-2144에 따른 시판용 (S)-1-벤질-3-피롤리딘올로부터 얻을 수 있음]으로부터:
질소 분위기 하에서, 16.7g의 (2S)-N-카르복시에틸-2-페닐글리신을 8.3ml의 4-메틸모르폴린 및 7.1ml의 에틸 클로로포름에이트 및 2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의 용액으로 차가운 상태에서 처리하고, 6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나서, 6.5g의 (3S)-3-히드록시피롤리딘 및 3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18시 간 동안 교반한 후,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해내고, 통상의 실험 방법을 사용하여 농축하고, 유기 용매에 녹이고, 수성 상으로 세척하고, 재농축하고, 결정화하여, 여과물로부터 생성물 (2S)-N-카르복시에틸-2-페닐글리신-N,N-[(3S)-3-히드록시테트라메틸렌아미드를 분리하였다.
3.b)
(2S)-N-카르복시에틸-2-페닐글리신(상기 참조) 및 (3S)-3-히드록시피롤리딘 염산염으로부터(시판품 이용가능): 100ml의 THF 중의 10g의 메틸모르폴린과 24g의 (2S)-N-카르복시에틸-2-페닐글리신 혼합물을 약 -10℃에서 100ml의 THF 중의 11g의 에틸 클로로포름에이트에 첨가하였다. 교반 단계 후, 10ml의 탈이온수 중의 12g의 (3S)-3-히드록시피롤리딘 염산염의 혼합물 및 20ml의 THF 중의 10g의 메틸모르폴린의 혼합물을 가한다. 수 시간 동안 교반하고, 상 분리한 후, 통상의 실험 방법을 사용하여, 농축하고, 유기 용매에 녹이고, 수성 상으로 세척하고, 재농축하고, 결정화하여, (2S)-N-카르복시에틸-2-페닐글리신-N,N-[(3S)-3-히드록시테트라메틸렌아미드를 분리하였다.
변형법 3a 및 3b에 대한 분석 데이타는 다음과 같다:
1H-NMR: D6-DMSO; 1.2(t), 3-3.8(m,br), 4.05(q), 4.25(s,br), 7.25-7.45(m);
MS: 293 (M+1)+, 247, 178, 106;
결정의 녹는점: 124-126℃;
[α]D20 = +137℃ = 1 메탄올 중
화학식 IV의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
실시예 4
(1S)-1-메틸아미노-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
1-[(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2S)-2-메틸아미노-2-페닐에탄
질소 하에, 2200ml의 1.08몰 리튬 알루미늄 히드리드-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을 서서히 데우고, 264g의 (2S)-N-카르복시에틸-2-페닐글리신-N,N-[(3S)-3-히드록시테트라메틸렌아미드] 및 140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의 용액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첨가 완료후, 이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하고, 냉각한 반응 용액을 물/테트라히드로푸란 혼합물로 가수분해하였다. 탄산나트륨 처리하고, 무기 성분을 제거한 후, 통상의 실험 방법을 사용하여 여과물로부터 생성물을 분리하였다. 유성 조생성물을 결정화 또는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한 후, 고체를 얻었다.
1H-NMR: D6-DMSO; 2.1-3.1(m), 3.6(dd), 4.3(m), 7.15-7.35(m);
MS: 220 (M+), 205, 120, 100, 91;
외관: 배치에 따라 결정화되는 황색 오일;
[α]D20 = +66.8°; 10ml의 메탄올 중 c = 0.0938g
실시예 5
(1S)-1-메틸아미노-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2S)-2-메틸아미노-2-페닐에탄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질소 하에, 2200ml의 1.08몰 리튬 알루미늄 히드리드-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을 서서히 데우고, 264g의 (2S)-N-카르복시에틸-2-페닐글리신-N,N-[(3S)-3-히드록시테트라메틸렌아미드] 및 140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의 용액을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첨가 완료후, 이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한 후, 냉각하고, 반응 용액을 80ml의 물 및 40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의 혼합물로 가수분해하였다. 탄산나트륨 처리하고, 무기 성분을 제거한 후, 통상의 실험 방법을 사용하여 여과물로부터 생성물을 분리하였다. 유성 조생성물을 유기, 물-혼합 불가능한 용매에 녹이고, 과량의 염산으로 처리하였다. 결정질 생성물을 분리하고, 건조하였다.
1H-NMR: D6-DMSO; 3.4(m), 3.8(m), 4.2(m), 4.4(m), 4.9(m), 7.5 및 7.8(ArH);
녹는점: 240-242℃;
[α]D20 = -22.4°; 물 중 c = 1

Claims (15)

  1.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 또는 N-메틸-N-[(1R)-1-페닐-2-((3R)-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의 대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화학식 I의 N-치환된 페닐글리신 유도체를
    화학식 I
    Figure 112006048679150-pct00014
    (상기 식에서,
    R은 OR1이고,
    R1은 C1-6 알킬 또는 페닐이고,
    M은 H이다.)
    화학식 II의 화합물
    화학식 II
    Figure 112006048679150-pct00015
    (상기 식에서,
    R2는 H이다.)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HCl, HBr, HI, H2SO4, H3PO4 또는 유기 카르복실산의 산 부가염과 반응시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생성하고 나서,
    화학식 III
    Figure 112006048679150-pct00016
    (상기 식에서,
    R 및 R2는 상기한 의미를 갖는다.)
    b) 환원하여, 산 HCl, HBr, HI, H2SO4, H3PO4의 대응하는 산 부가염, 또는 유기 카르복실산의 염으로 선택적으로 전환되는 화학식 IV의 화합물로 전환하고,
    화학식 IV
    Figure 112006048679150-pct00017
    c) 얻어진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화학식 V의 활성화된 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V
    Figure 112006048679150-pct00018
    (상기 식에서,
    R4는 F, Cl, Br, I, OA 또는 O-CO-A이고,
    A는 탄소수가 1 내지 6인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라디칼이다.)
    HCl, HBr, HI, 황산, 술팜산, 질산, 인산, 오르토인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사용하여 관련된 산 부가염으로 선택적으로 전환되는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생성하고,
    화학식 VI
    Figure 112006048679150-pct00019
    a)단계에서 사용되는 출발 물질은 최종 생성물로서 요망되는 거울상 이성질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 (1R)-1-메틸아미노-1-페닐-2-((3R)-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
  3. 삭제
  4. N-메틸-N-[(1R)-1-페닐-2-((3R)-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로서의 (1R)-1-메틸아미노-1-페닐-2-((3R)-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탄.
  5. 제 1항에 있어서, R은 OR1의 의미를 갖고, 이때 R1은 에틸 또는 페닐인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과 II의 화합물의 반응이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0 내지 5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화학식 I과 II의 화합물의 반응이 디에틸 에테르, 석유 에테르, 아세톤, 니트로벤젠,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술폭사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의 용매 중에서 수행되고, 용매 중에 존재하는 출발 물질의 농도가 1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화학식 I과 II의 화합물의 반응이 인 옥시트리클로라이드, 원자가 III 및 V의 인 할로겐화물, 포스겐,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피리딘의 트리부틸암모늄염, 페닐 디클로로포스페이트, 2-클로로-1,2,3-트리니트로벤젠, 인산 에스테르, 클로로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 CH3SO2Cl-(C2H5)3N, (C6H5)3P-CCl4-(C2H5)3N,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 N-(알킬카르보닐)이미다졸, 아세트산, 아세틸 클로라이드 및 에틸 클로로포름에이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의 보조제 및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의 존재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과 II의 화합물의 반응이 트리에틸아민,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칼슘, NaOH, KOH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의 염기의 존재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환원이 금속 알루미늄 히드리드, 금속 알콕시알루미늄 히드리드, 금속 보로히드리드 또는 보레인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의 히드리드 전환제의 존재 하에서, 디에틸 에테르, 석유 에테르, 아세톤, 니트로벤젠,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술폭사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의 극성 비 양성자성 용매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출발 물질로서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 10 내지 25% 농도로 용매 중에 용해되고, 양성자-생성 용매를 비양성자성 용매와의 혼합물로 첨가하여 수소화 생성물이 유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양자성 용매는 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이 루이스 산의 존재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서,
    상기 루이스 산은 붕소 트리플루오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007011480A 1998-04-20 1999-04-16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방법 KR100649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7393 1998-04-20
DE19817393.8 1998-04-20
DE19827633.8 1998-06-20
DE19827633A DE19827633A1 (de) 1998-04-20 1998-06-20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nantiomerenreinem N-Methyl-N-[(1S)-1-phenyl-2-((3S)-3-hydroxypyrrolidin-1-yl)ethyl]-2,2-diphenylacetam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750A KR20010042750A (ko) 2001-05-25
KR100649175B1 true KR100649175B1 (ko) 2006-11-24

Family

ID=786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480A KR100649175B1 (ko) 1998-04-20 1999-04-16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6344566B1 (ko)
EP (2) EP1607090B1 (ko)
JP (1) JP4688292B2 (ko)
KR (1) KR100649175B1 (ko)
CN (2) CN1310884C (ko)
AR (2) AR019080A1 (ko)
AT (2) ATE303361T1 (ko)
AU (2) AU761721B2 (ko)
BR (1) BR9909731A (ko)
CA (1) CA2329210C (ko)
CY (1) CY1112314T1 (ko)
CZ (1) CZ301121B6 (ko)
DE (2) DE19827633A1 (ko)
DK (2) DK1607090T3 (ko)
ES (2) ES2375384T3 (ko)
HK (1) HK1039111A1 (ko)
HU (1) HUP0101600A3 (ko)
MY (1) MY120471A (ko)
NO (1) NO317984B1 (ko)
PL (1) PL206969B1 (ko)
PT (1) PT1607090E (ko)
RU (1) RU2298549C2 (ko)
SI (2) SI1607090T1 (ko)
SK (2) SK288016B6 (ko)
TW (1) TWI249524B (ko)
UA (1) UA73472C2 (ko)
WO (1) WO1999054298A1 (ko)
ZA (1) ZA2000066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9245A1 (de) * 2002-12-17 2004-07-01 Merck Patent Gmbh Derivate des Asimadolins mit kovalent gebundenen Säuren
JP2007509865A (ja) * 2003-10-30 2007-04-19 ティオガ ファーマシュウ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神経障害の治療における選択的オピエート受容体調節物質の使用
US20070160559A1 (en) * 2006-01-12 2007-07-12 Roszell James A Skin disinfectant composition and methods for using
AU2008232954A1 (en) * 2007-03-30 2008-10-09 Tioga Pharmaceuticals Inc. Kappa-opiate 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diarrhea-predominant and alternating irritable bowel syndrome
CN103664727A (zh) * 2013-12-19 2014-03-26 无锡万全医药技术有限公司 一种一锅法制备1-[(3s)-3-羟基吡咯烷-1-基]-(2s)-2-甲氨基-2-苯基乙烷的工艺
CN103772257A (zh) * 2013-12-31 2014-05-07 无锡万全医药技术有限公司 一种制备2-((3s)-3-羟基吡咯烷-1-基)-(1s)-1-苯乙基氨基甲酸酯的方法
WO2016161085A1 (en) 2015-04-01 2016-10-06 Cedars-Sinai Medical Center Anti-methanogenic lovastatin analogs or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CN112574068A (zh) * 2020-11-17 2021-03-30 万华化学(宁波)有限公司 一种低色号高稳定性碳化二亚胺改性异氰酸酯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34785A1 (de) * 1990-11-02 1992-05-07 Merck Patent Gmbh 1-(2-arylethyl)-pyrrolidine
US5232978A (en) * 1988-12-23 1993-08-03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1-(2-arylethyl)-pyrrolidines
DE4215213A1 (de) * 1992-05-09 1993-11-11 Merck Patent Gmbh Arylacetamide
DE4425071C2 (de) * 1994-07-15 1996-08-29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optisch aktiver Pyrrolidine mit hoher Enantiomerenreinheit
DE19523502A1 (de) * 1995-06-28 1997-01-02 Merck Patent Gmbh Kappa-Opiatagonisten für entzündliche Darmerkrankungen
DE19531464A1 (de) * 1995-08-26 1997-02-27 Merck Patent Gmbh N-Methyl-N-[(1S-)-1-phenyl-2-((3S)-3-hydroxypyrrolidin 1-yl-)-ethyl]-2,2-diphenyl-acetamid
US5968968A (en) * 1996-07-24 1999-10-19 Warner-Lambert Company Diphenyl-cyclopropenes as selective K-agonists
DE19647538A1 (de) * 1996-11-16 1998-05-20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nantiomerenreinem N-Methyl-N-[1-phenyl-2-(-3-hydroxypyrrolidin-1-yl)ethyl]-2,2-diphenylacetam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17984B1 (no) 2005-01-17
PL206969B1 (pl) 2010-10-29
RU2298549C2 (ru) 2007-05-10
AU4031199A (en) 1999-11-08
WO1999054298A1 (de) 1999-10-28
AR019080A1 (es) 2001-12-26
DE19827633A1 (de) 1999-10-21
KR20010042750A (ko) 2001-05-25
HUP0101600A2 (hu) 2001-09-28
MY120471A (en) 2005-10-31
BR9909731A (pt) 2000-12-19
JP2002512223A (ja) 2002-04-23
CN1310884C (zh) 2007-04-18
SK15572000A3 (sk) 2001-05-10
CN1297435A (zh) 2001-05-30
HUP0101600A3 (en) 2002-12-28
AU761721B2 (en) 2003-06-05
NO20005259D0 (no) 2000-10-19
ATE527999T1 (de) 2011-10-15
ES2375384T3 (es) 2012-02-29
DK1607090T3 (da) 2012-01-30
CN1846696A (zh) 2006-10-18
TWI249524B (en) 2006-02-21
CZ20003860A3 (cs) 2001-01-17
PT1607090E (pt) 2012-01-10
CZ301121B6 (cs) 2009-11-11
EP1073634B1 (de) 2005-08-31
ES2251194T3 (es) 2006-04-16
PL343556A1 (en) 2001-08-27
US6344566B1 (en) 2002-02-05
CA2329210A1 (en) 1999-10-28
DE59912502D1 (de) 2005-10-06
SK288016B6 (sk) 2012-11-05
SK286442B6 (sk) 2008-10-07
AU2003248428B2 (en) 2005-10-20
NO20005259L (no) 2000-10-19
ZA200006689B (en) 2002-02-18
CA2329210C (en) 2008-03-04
CY1112314T1 (el) 2015-12-09
UA73472C2 (en) 2005-08-15
AU2003248428A1 (en) 2003-11-06
EP1073634A1 (de) 2001-02-07
JP4688292B2 (ja) 2011-05-25
AR066455A2 (es) 2009-08-19
ATE303361T1 (de) 2005-09-15
EP1607090A1 (de) 2005-12-21
SI1607090T1 (sl) 2012-01-31
HK1039111A1 (en) 2002-04-12
SI1073634T1 (sl) 2006-02-28
DK1073634T3 (da) 2006-01-09
EP1607090B1 (de)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175B1 (ko)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n-메틸-n-[(1s)-1-페닐-2-((3s)-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틸]-2,2-디페닐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방법
CA2810393A1 (en) Method of preparing 3-amino-4-(2-oxo-piperidin-1-yl)-butyric acid derivative for synthesizing medicament
NO328627B1 (no)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en av iopamidol og de nye intermediater deri
AU2014220865A1 (en) Asymmetric synthesis of a substituted pyrrolidine-2-carboxamide
CN108727224B (zh) 药物合成用中间体的制备方法
US6252082B1 (en) Pyridon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synthesis intermediates
JP3241741B2 (ja) 「3−(7−アミジノ−2−ナフチル)−2−フェニルプロピオン酸誘導体の製造方法」
WO2004099136A1 (ja) ピロリジン誘導体の製造方法
KR100850558B1 (ko) 아토르바스타틴의 효율적인 제조방법
MXPA00010234A (en) Method for producing enantiomer-free n-methyl-n- [(1s)-1-phenyl- 2-((3s)- 3-hydroxypyrrolidine- 1-yl)ethyl]- 2,2-diphenyl acetamide
KR102184129B1 (ko) 의약품 합성용 중간체 화합물의 제조 방법
JP2002155059A (ja) 4−アミノ−5−シアノイミダゾール誘導体及びその中間体の製造方法
SK55497A3 (en) Effective and enantiomerically high-selective method for producing enantiomerically pure cyclopentane-beta-amino acids
US6172234B1 (en) Optically active cyclic amino acid ester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JP3013760B2 (ja) 4−ヒドロキシ−2−ピロリドンの製法
KR100896087B1 (ko) 광학적으로 순수한 2-메틸피롤리딘 및 그 염의 제조방법
JPWO2005066124A1 (ja) ピロリジン誘導体の製造法
JP2002053536A (ja) スピロアミノピロリジ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WO2003095446A1 (ja) 1−(4−ピリジル)−4−ピペリドンの製造方法
MXPA01004227A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4-((2'-5'-diamino-6'-halopirimidin- 4'-il)amino)- ciclopent-2- enilmetano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