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544B1 - 폴리올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올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544B1
KR100628544B1 KR1020040099377A KR20040099377A KR100628544B1 KR 100628544 B1 KR100628544 B1 KR 100628544B1 KR 1020040099377 A KR1020040099377 A KR 1020040099377A KR 20040099377 A KR20040099377 A KR 20040099377A KR 100628544 B1 KR100628544 B1 KR 10062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kel
nickel powder
reaction
hydrazine
reduc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331A (ko
Inventor
최은영
김광호
이윤복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99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544B1/ko
Publication of KR20060060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1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 B22F9/2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starting from liquid metal compounds, e.g.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2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15Nickel or cobal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법에 의한 니켈분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산화기(OH-)가 존재하는 알칼리용액에 니켈염을 용해시켜 출발물질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출발물질에 분산매와 유기환원제 역할을 동시에 하는 에탄올아민계의 반응매질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에 히드라진(N2H4) 또는 히드라진 수화물(N2H4·H2O)과 같은 환원제를 첨가하여 환원반응시키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을 세척, 여과한 후 소정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제4단계로 구성되는 폴리올법에 의한 니켈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을 제공한다. 상기 알칼리용액으로는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이, 니켈염으로는 염화니켈육수화물이, 반응매질인 에탄올아민계화합물은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은 그 입경이 0.1~1.0㎛로서 미세할 뿐만 아나라 분산성이 양호하므로 MLCC(multi layer ceramic condenser)용 내부전극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니켈, 폴리올법, 수산화니켈,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분산매

Description

폴리올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 및 제조방법{Preparation of the nickel powders by polyol process and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Ni분말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Ni분말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Ni분말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Ni분말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Ni분말의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니켈분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산화기(OH-)를 포함하는 알칼리용액에 니켈염을 용해시켜 출발물질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출발물질과 에탄올아민계의 반응매질을 일정 부피비로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반응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에 환원제로서 히드라진(N2H4) 또는 히드라진 수화물(N2H4·H2O)을 첨가하여 환원반응시키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을 세척, 상기 혼합용액이 환원반응 결과 생긴 생성물을 세척, 여과하여 건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올법에 의한 니켈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에 관한 것이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는 세라믹 유전(dielectric) 물질과 내부 전극을 번갈아 적층한 후, 이들 층을 가압하여 부착시키고 생성된 어셈블리를 소성(firing) 시킴으로써 층을 서로 합체시켜 제조된 콘덴서이다.
최근 전자부품의 소형화, 고용량에 따라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적층수가 많아야 하므로 Pd 및 Pt등에 의한 고가의 귀금속의 사용은 증가하여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므로 내부 전극재료를 Pd 및 Pt등에서 니켈로 대체하는 경우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저 산소분압, 환원분위기 소결이 가능한 유전체가 이미 개발되었기 때문에 최근 니켈을 내부 전극으로 사용하는 것에 관한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적층수가 많은 고용량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내부 전극으로 니켈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공업적 목적으로 니켈 미분말을 사용할 때 문제가 되는 것은 니 켈 미분말의 평균 입경과 입도 분포, 분산성, 밀도 등이다.
이러한 니켈 미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상법과 폴리올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상법은 J. P. KOKAHei 8-24600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염화니켈의 증기에 수소 등의 환원성 가스를 접촉시켜 니켈 분말을 환원, 석출하는 기상 환원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 방법은 기상 상태에서 순간적인 반응에 의하여 입자를 형성하기 때문에 비교적 단분산이 우수한 반면에 제조 비용이 높고 생산성이 낮으며 또한 핵 생성 및 핵 성장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입경 제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J. P. KOKAI 제 Hei 7-20730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특정 농도를 갖는 니켈 염수용액에 강 알카리를 첨가하여 혼합물의 온도 및 PH를 특정값으로 조절한 후, 이를 특정 온도 및 농도를 갖는 환원제를 처리하여 반응을 특정 반응시간내에 종결시키는 폴리올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 방법은 수용액 중에서 환원 반응을 일으키므로 생성된 니켈 분말은 쉽게 응집 현상이 일어나는데, 수용액 중에서 한번 응집된 입자는 여과 및 건조 과정에서 더욱 응집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제조된 분말은 입자가 크고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산성이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7-278619호 공보에 이하면 염화니켈 및 황산니켈 수용액을 강알칼리 존재하에서 환원제로서 히드라진 및 히드라진 수화물을 이용하여 환원하여 니켈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 폴리올 환원법이 제안되었다. 기상반응법에 비하여 좁은 입도 분포를 갖는 니켈분말을 얻을 수 있었으나, 입자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치밀한 내부전극을 형성하기 곤란하다.
특히, 종래의 방법에서는 수계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침전제 첨가시 첨가가부위의 급작스러운 용액의 pH변화에 의한 화학적 충격에 의해 대부분 심하게 응집되고, 금속염의 반응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단분산된 구형 분말을 제조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매우 낮은 출발물질의 농도와 긴 반응시간이 요구되었다.
최근 유기용매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폴리올법이 개발되어, Ag, Ni, Cu, Co등의 다양한 종류의 금속분말이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용매로서 물 대신 유기용매를 사용한다. 여기서 유기용매로는 에틸렌글리콜과 디에틸글리콜이 사용된다. 이때 유기용매는 분산매와 환원제의 역할을 동시에 하므로 핵생성 및 성장을 통한 미립자의 입경 제어가 용이하고 입도 분포가 작은 미립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반응매질이 상대적으로 높은 유전율로 인하여 낮은 물의 끓는 점을 제한시킴으로써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반응속도와 수율 향상이 기대된다.
폴리올법에 의한 니켈분말 제조방법으로는 초미분의 Ni(OH)2 을 환원시킬 목적으로 에틸렌글리콜과 불균일한 핵생성으로 입경을 감소하기 위하여 AgNO3를 핵생성제로 사용하여 1.0~2.0㎛ 범위의 니켈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입자들의 응집을 억제할 목적으로 분산제로서 폴리비닐피로돈(PVP)과 핵생성제로서 Pt, Pd를 사용하여 단분산을 갖는 미립의 니켈분말을 제조한다. 그러나 폴리올법에 의하더라도 1.0㎛ 이하의 니켈분말을 제조할 수 없으므로 니켈 내부전극막에서의 층간단락 및 단 선 불량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최근 고순도 및 초미립의 니켈분말은 자성재료, 전기접점재료, 접착제, 촉매 및 용접봉 재료 등 여러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들은 높은 시설비, 특수한 반응 환경, 연장된 반응시간, 불순물의 편입 등에 의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세한 입경, 균일한 입도 분포 및 양호한 분산성을 갖는 니켈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출발물질및 환원반응단계에서 각종 공정 조건, 즉 반응온도, 반응시간, 반응매질의 종류 및 첨가량, 분산제의 양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출발물질의 선택 및 공정조건은 물론 우수한 구형 니켈 분말을 수득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수계만을 용매로 사용하여 제조된 니켈 분말은 입자의 응집현상, 조대한 평균 입경, 넓은 입도 분포, 낮은 밀도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여 미세한 니켈분말이 응용될 수 있는 니켈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니켈분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니켈염 수용액과 비수용성 반응매질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니켈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 수산화기(OH-)를 포함하는 알칼리용액에 니켈염을 용해시켜 출발물질을 제조하는 제1단계;
(2) 상기 출발물질에 분산매와 유기환원제 역할을 동시에 하는 에탄올아민계의 반응매질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제2단계;
(3) 상기 제2단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에 환원제로서 히드라진(N2H4) 또는 히드라진 수화물(N2H4·H2O)을 첨가하여 환원반응시키는 제3단계;
(4)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을 세척·여과한 후 소정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리올법에 의한 니켈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 그리고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을 이용한 MLCC용 내부전극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출발물질을 제조하는 제1단계
출발물질은 상용화된 Ni(OH)2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산화기(OH-)를 포함하는 알칼리수용액에 니켈염을 용해시켜 제조하는 것이 미세하면서도 분산성이 양호한 니켈분말을 얻는데 유리하다.
경제성 및 반응성을 고려해볼 때 상기 알칼리용액으로는 수산화나트륨(NaOH)을, 니켈염으로는 염화니켈육수화물(NiCl6H2O)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발물질은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에 염화니켈육수화물 을 용해시켜 제조한다.
상기 수산화나트륨에 염화니켈육수화물을 용해킬 경우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NaOH + NiCl6H2O 〓 Ni2+ + 2OH- + 2NaCl + 6H 2O
상기 반응식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최종적으로 니켈분말을 얻기 위해서는 Ni2+이 생성되어야 하는데, 니켈이온의 생성은 알칼리 영역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수산화기(OH-)를 갖는 알칼리용액에 염화니켈육수화물(NiCl6H2O)을 용해시켜 출발물질을 제조한다.
알칼리용액 중 수산화나트륨은 반응성과 경제성면에서 우수하다는 점, 특히 염화니켈육수화물(NiCl6H2O)중의 염화이온(Cl-)과 나트륨이온(Na+ )이 잘 반응하므로 알칼리용액으로는 수산화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용액의 pH는 11~13인 것이 바람직하다. pH가 너무 작을 경우 상기 반응에서 정반응이 일어나기 어려우므로 니켈이온이 소량 생성되어 결국 니켈분말의 수득률이 저하된다. 반면, pH가 너무 클 경우에는 니켈이온의 가수분해로 인하여 Ni(OH)2의 침전반응이 일어나므로 환원반응속도가 감소하거나 환원반응이 정지될 수 있어 역시 니켈이온이 많이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반응에서 니켈이온의 가수분해를 최소화하면서 니켈이온을 많이 생성시키기 위해 pH를 11~13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할 경우 0.0013~0.25(mol/ℓ)의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출발물질과 반응물질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제2단계
상기 (1)에 의해 제조된 출발물질에 반응물질을 일정비율로 혼합한다. 상기 반응물질로는 아민기(-NH2)를 포함하는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아민계 화합물인 디에탄올아민(DEA), 트리에탄올아민(TEA)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중 하나를 사용한다.
종래의 수계만을 용매로 사용하여 제조된 니켈분만은 반응용액 중 입자간의 응집현상으로 입경제어가 곤란하여 평균 입경이 크고, 입도 분포도 넓으며, 낮은 밀도를 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환원제와 분산매 역할을 동시에 하는 비수용성 에탄올아민계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분산성이 양호한 니켈분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환원제이면서 분산매 역할을 하는 에틸렌클리콜(EG)과 디에틸렌글리콜(DEG)을 반응매질로 사용하는 기존의 폴리올(Polyol)법과 차별화하고자 반응매질로서 에탄올아민계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니켈분말의 입경을 제어하기 위해 출발물질과 반응물질의 부피혼합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출발물질과 반응물질의 부피비를 1:1~9로 조절하면 1.0㎛ 이하의 입경을 갖는 니켈분말이 제조된다.
상기 반응물질로서 디에탄올아민(DEA)과 트리에탄올아민(TEA) 또는 이들을 혼합한 용액을 사용한다. 이때 양 물질의 혼합비율은 니켈분말의 입경 및 분산성에 영향을 미친다.
반응매질로서 디에탄올아민(DEA)만을 사용하거나 트리에탄올아민(TEA)만을 사용할 경우 또는 디에탄올아민(DEA)에 트리에탄올아민(TEA)을 25vol%로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사용할 경우, 0.5㎛의 입경을 갖는 직선으로 연결된 사슬형태의 미세한 니켈분말이 관찰된다.
반면에 디에탄올아민(DEA)에 트리에탄올아민(TEA)을 50vol%로 혼합할 경우에는, 니켈입자의 응집이 감소하여 균일한 입도(입자의 고르기)를 가지면서 1.0㎛이하의 입경을 갖는 미세한 니켈분말이 얻어진다.
그러나 트리에탄올아민(TEA)을 50vol% 초과하여 트리에탄올아민(TEA)에 첨가시 니켈분말의 입경이 1.0㎛이상으로 되며, 입도도 불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TEA는 50vol% 이하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반응매질을 준비하는 것이 미세하면서도 분산성이 양호한 니켈분말을 얻는데 적합하다.
(3) 환원제로서 히드라진(N2H4) 또는 히드라진 수화물(N2H 4·H2O)을 첨가하여 환원반응시키는 제3단계
다음 반응식은 상기 제2단계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Ni2+(DEA)n)과 히드라진과의 반응을 나타낸다.
2Ni2+(DEA)n + N2H4 + 4OH- 〓 2Ni + N 2 + 4H2O
폴리올공정에서는 환원제이면서 분산매 역할을 하는 에틸렌클리콜(EG)과 디 에틸렌글리콜(DEG)을 반응매질로 사용하는데, 이 경우 환원반응 속도가 느려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반응이 진행되므로 니켈분말의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강력한 환원제인 히드라진(N2H4) 또는 히드라진 수화물(NiCl6H2O)을 첨가한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환원제를 첨가하면 환원반응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므로 아주 짧은 시간내에 니켈분말을 얻을 수 있다.
히드라진을 첨가할 경우 히드라진/니켈의 몰비가 1~10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드라진/니켈의 몰비가 1 미만인 경우, 생성된 니켈분말의 입경은 1㎛ 이상이 된다. 또한 이 경우 조대한 입자들은 높은 온도에서 입자간의 소결로 인하여 심하게 응집되고, 일부 치밀화된 각형의 입자도 관찰된다.
반면에 히드라진의 첨가량을 히드라진/니켈의 몰비가 1이상이 되도록 할 경우, 입도가 균일하며 입경도 1㎛이하인 미세한 니켈분말이 얻어진다. 따라서 히드라진/니켈의 몰비가 1~10이 되도록 히드라진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원반응은 180℃~220℃의 온도에서 0~60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40℃ 이상의 온도에서 환원반응시킬 경우, 니켈입자간의 소결현상과 치밀화된 각형 결정체가 형성되어 이상적인 분말로 사용되기 어렵다. 그리고 반응시간을 60분 이상으로 할 경우, 급속한 환원반응으로 조대한 니켈분말 입자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되며, 입자의 고르기(입도)도 불균일하게 된다. 여기서 0분이란 소정의 온도에서 히드라진의 첨가와 동시에 환원반응이 종료되는 것을 의미한다.
(4) 세척, 여과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제3단계의 환원반응 결과 생성된 니켈생성물을 세척, 여과한 후 소정의 온도에서 건조시킨다. 상기 세척용액으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고, 상기 건조 온도는 5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는 일반 건조방법에 의한다. 미세한 금속분말이므로 건조 온도를 높일 경우 화재의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에 의해 니켈분말을 제조할 경우 분산성이 양호하고, 입경이 0.1~1.0㎛ 이하인 초미세 니켈분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비교예 1>
시판중인 Ni(OH)2 5g을 출발물질로 하여 반응물질인 디에탄올아민 500ml에 첨가한 후 히드라진/니켈의 몰비가 1.5가 되도록 80% 히드라진 수화물을 첨가하여 185℃에서 45분간 환원반응시킨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생성물을 에탄올로 세척, 여과한 후 50℃에서 건조시킨다.
도 1은 상기의 제조과정을 거쳐 제조된 니켈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으로서, 이에 의하면, 니켈분말의 입경은 0.1~0.5㎛이하의 범위를 가지며, 니켈분말은 포도송이처럼 입자들의 응집이 관찰된다. 도 5는 니켈분말의 x-선 회절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비교예1에 의해 니켈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1 >
pH 11의 수산화나트륨수용액 50㎖에 염화니켈육수화물(NiCl2 6H2O) 5g을 용해시켜 출발물질을 준비한다. 반응매질은 디에탄올아민과 트리에탄올아민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출발물질과 반응매질의 부피혼합비가 1:9가 되도록 출발용액 50㎖와 반응매질 450㎖를 혼합한다.
제조된 혼합용액에 히드라진/니켈의 몰비가 1.5가 되도록 첨가하여 80% 히드라진 수화물을 첨가하여 185℃에서 45분간 환원반응시킨다.
환원반응 결과 얻어진 생성물을 에탄올로 세척, 여과 후 50℃에서 건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니켈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이며, 니켈분말의 생성은 도 5에 도시된 X선 회절 분석결과 그래프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니켈분말은 미립의 구형이며, 입경은 0.1~0.5㎛의 범위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비교예1에서 얻은 니켈분말과는 달리 입자들간의 응집이 관찰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조단계를 거치면 분산성이 양호한 미세 니켈분말을 얻을 수 있고, 이는 각 종 우수한 분산성과 미세한 입경을 가진 니켈분말을 필요로하는 산업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은 전자제품의 소형화, 고용량화에 따른 MLCC의 내부전극용 소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 실시예 2 >
pH 11의 수산화나트륨수용액 150㎖에 염화니켈육수화물(NiCl2 6H2O) 5g을 용 해시켜 출발용액을 준비한다. 반응매질은 디에탄올 아민을 사용한다.
출발물질과 반응매질의 부피혼합비가 3:7이 되도록 상기 출발용액 150㎖와 반응매질인 디에탄올아민 350㎖를 혼합한다.
제조된 혼합용액에 히드라진/니켈의 몰비가 1.5가 되도록 80% 히드라진 수화물을 첨가하여 185℃에서 45분간 환원반응시킨다.
환원반응 결과 얻어진 생성물을 에탄올로 세척, 여과 후 50℃에서 건조한다.
도 3은 실시예2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으로서 니켈의 생성은 도 5의 X선 회절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있다. 주사전자현미경사진에 의하면, 니켈분말의 입경은 0.5~1.0㎛에 있으므로 비교예1에 비해 입경이 증가하기는 했지만, 입자들간의 응집이 관찰되지 않는 바 우수한 분산성과 미세니켈분말이 요구되는 산업분야에 응용가능하다.
< 실시예 3 >
pH 11의 수산화나트륨수용액 50㎖에 염화니켈육수화물(NiCl2 6H2O) 5g을 용해시켜 출발물질을 준비한다. 반응매질은 디에탄올아민을 사용한다.
출발용액과 반응매질의 부피혼합비가 1:9가 되도록 디에탄올아민 450㎖를 혼합한다.
제조된 혼합용액에 히드라진/니켈의 몰비가 1.5가 되도록 80% 히드라진 수화물을 첨가하여 185℃에서 45분간 환원반응시킨다.
얻어진 생성물을 에탄올로 세척, 여과 후 50℃에서 건조한다.
도 4는 실시예3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으로서, 이에 의하면, 니켈분말의 입경은 0.1~0.5㎛ 이하의 범위로서 비교예1과 유사한 범위이나, 선형적인 형태로 입자들의 응집이 관찰되는바 비교예1에 비해 니켈분말의 분산성이 우수하다.
도 5는 니켈분말의 X선 회절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실시예3에 의해 제조된 니켈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을 이용하여 MLCC용 내부전극을 제작할 수 있다.
세라믹 콘덴서의 특징은 고주파 특성이 좋고, 열에 강하며, 각종 온도 특성을 비교적 쉽게 구현할 수 있고 극성이 없으므로 기판 장착에도 유리하다. MLCC는 내부전극과 세라믹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고, 내부전극을 단자화하기 위해 외부전극이 감싸고 있으며, 표면실장을 하기 위해 니켈도금 및 Solder 도금이 되어 있다.
MLCC의 용도는 다이오드와 결합하여 평활회로를 만들어 교류를 직류로 만드는 작용을 하며, 이는 실제의 예를 들면 LSI등의 동작에 의한 전압변동과 노이즈에 대해, 콘덴서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를 충,방전함으로써 전류를 보충하고 전압변동을 억제하여 LSI의 오작동 방지 역할을 한다. 또한, 저항과 결합하여 필터회로를ㄹ 만들어 저주파 부분만 또는 고주파 부분만을 통과시티는 작용을 하며 라디오 또는 무선통신 등의 튜너에 사용된다.
MLCC는 통신, 컴퓨터, 가전, 자동차산업이 주요시장이며 특히 PC, CDMA, PCS, TV, VCR, 캠코더 등 디지털 제품에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은 그 입경이 작고, 분산성이 양호하므로 MLCC용 내부전극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형 니켈 미분말은 평균 입경이 0.1∼1.0㎛이고 입도 분포는 좁으며 분산성이 양호하므로 미세하고 균일한 니켈분말이 응용되는 산업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은 소형화, 고용량화가 요구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내부 전극을 제조하는 소재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니켈 전극막 중에서 니켈분말은 분말 야금에서 성형체의 충진밀도에 비하여 낮으며, 또한 소성 과정시 소결에 따른 수축량이 기판이 되는 세라믹 그린시트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니켈전극막 중에서 층간 단락 및 단선 불량을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층간단락 및 단선 불량을 막기 위해서는 내부전극층에 사용되는 니켈분말의 입경은 1.0㎛이상의 조대한 입자를 함유하지 않고, 입도분포가 좁고, 입자표면은 평활하고 응집이 없으며, 분산성이 양호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세하고 분산성이 양호한 니켈분말을 제공함으로써 적층세라믹 콘덴서의 내부전극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Claims (7)

  1. 몰농도가 0.0013mol/ℓ~0.25mol/ℓ이고, pH는 11~13인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에 니켈염을 용해시켜 출발물질을 제조하는 제1단계;
    분산매와 유기환원제 역할을 동시에 하는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디에탄올아민과 트리에탄올아민 혼합 매질 중 1종인 에탄올아민계의 반응매질을 상기 출발물질에 1:1~9의 비율로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에 환원제로서 히드라진(N2H4) 또는 히드라진 수화물(N2H4·H2O)을 첨가하여 환원반응시키는 제3단계; 그리고,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을 세척·여과한 후 소정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분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환원반응 조건은 히드라진(N2H2))/니켈(Ni)의 몰비가 1~10의 범위가 되도록 환원제가 첨가되고, 반응온도가 180~220℃이며, 반응시간이 60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분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건조온도는 5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분말의 제조방법.
  6. 삭제
  7. 내부전극과 세라믹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층 및 상기 내부전극을 단자화하기 위해 상기 적층층을 감싸는 외부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MLCC에 있어서, 제1항의 각 단계를 통해 제조된 니켈분말을 이용한 MLCC용 내부전극.
KR1020040099377A 2004-11-30 2004-11-30 폴리올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 및 제조방법 KR100628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377A KR100628544B1 (ko) 2004-11-30 2004-11-30 폴리올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377A KR100628544B1 (ko) 2004-11-30 2004-11-30 폴리올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331A KR20060060331A (ko) 2006-06-05
KR100628544B1 true KR100628544B1 (ko) 2006-09-26

Family

ID=3715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377A KR100628544B1 (ko) 2004-11-30 2004-11-30 폴리올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424B1 (ko) * 2007-09-12 2009-07-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습식환원법에 의한 구형 니켈 미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형 니켈 미분말
KR101897670B1 (ko) 2017-04-28 2018-09-12 주식회사 솔루에타 니켈 나노 파우더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63184B1 (ko) 2017-04-28 2019-03-28 주식회사 솔루에타 니켈 나노 파우더의 제조 및 페이스트화 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191A (ja) * 2003-01-08 2004-07-29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ニッケル微粉末の製造用薬液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191A (ja) * 2003-01-08 2004-07-29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ニッケル微粉末の製造用薬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331A (ko) 2006-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7064B2 (ja) ニッケルナノ粒子の製造方法
KR100954425B1 (ko) 연속식 용액환원에 의해 은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01663B1 (ko) 미세 니켈 분말 및 그 제조방법
EP1160033B1 (en) Method for producing fine powder of metallic nickel comprised of fine spherical particles
EP1543902A1 (en) Metallic nickel powder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2006336060A (ja) ニッケル微粒子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526191A (ja) 銀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40190B2 (ja) 球状チタン酸バリウム粒子粉末及びその製造法
JP2010064983A (ja) ニッケル粒子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適したニッケル錯体
KR20020037284A (ko) 구형의 정방정계 티탄산바륨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CA2345804C (en) Method for preparing metal powder
JP4096152B2 (ja) 誘電体組成物
WO2006069513A1 (fr) Poudre de nickel spherique ultrafine presentant une densite apres tassement elevee et procede de preparation par voie humide
JP4100244B2 (ja) ニッケル粉末とその製造方法
KR100628544B1 (ko) 폴리올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 및 제조방법
CN116441528B (zh) 一种超细球状镍粉及其制备方法
KR100436523B1 (ko) 액상 환원법을 이용한 미세금속 제조방법
KR100700149B1 (ko) 폴리올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분말 및 제조방법
KR101044726B1 (ko) 화학환원법에 의한 미세 니켈 분말의 제조 방법
CN101362212A (zh) 一种制备微细球形镍粉的方法
SI20973A (sl) Sintrno pomožno sredstvo na osnovi silikata in postopek
KR100449369B1 (ko) 편상의 미립 은 분말 제조방법
TWI544977B (zh) 導電性糊用銅粉及其製造方法
CN109896541A (zh) 一种超细氧化亚铜粉的制备方法
KR20040094096A (ko) 습식환원법에 의한 구형 니켈 미분말 제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