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031B1 -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카본시트 - Google Patents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카본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031B1
KR100628031B1 KR1020050068557A KR20050068557A KR100628031B1 KR 100628031 B1 KR100628031 B1 KR 100628031B1 KR 1020050068557 A KR1020050068557 A KR 1020050068557A KR 20050068557 A KR20050068557 A KR 20050068557A KR 100628031 B1 KR100628031 B1 KR 100628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layer
expanded graphite
carbon she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수
강승경
김명호
서창우
김관영
Original Assignee
(주) 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노텍 filed Critical (주) 나노텍
Priority to KR102005006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031B1/ko
Priority to US11/996,636 priority patent/US20080193767A1/en
Priority to DE602005018116T priority patent/DE602005018116D1/de
Priority to PCT/KR2005/002456 priority patent/WO2007013705A1/en
Priority to EP05774235A priority patent/EP1911042B1/en
Priority to AT05774235T priority patent/ATE450869T1/de
Priority to EP09177300A priority patent/EP2159804A1/en
Priority to JP2008523777A priority patent/JP2009502567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C01B32/22Intercalation
    • C01B32/225Expansion; Exfol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04B35/53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based on expanded graphite or complexed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C04B35/645Pressure sin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4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4Organic non-macromolecula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32B2264/108Carbon, e.g. graphi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6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32B2307/5825Tea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4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2Constituents or additiv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 C04B2235/5284Hollow fibers, e.g. nanotubes
    • C04B2235/5288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 C04B2235/9607Thermal properties, e.g.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0Self-sustaining carbon mass or layer with impregnant or other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는, 소정의 혼합비로 혼합된 팽창흑연(Expanded Graphite) 분말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분말을 고온가압하여 성형한 단위카본시트층; 및 단위카본시트층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어 단위카본시트층을 보강하고 단위카본시트층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합성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열전도율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물성이 강화되고 인장강도 및 찢김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카본시트, 팽창흑연, 탄소나노튜브, 분말, 필름, 보강

Description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Thermally improve conductive carbon sheet base on mixed carbon material of expanded graphite powder and carbon nano tube powd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에 히트 파이프(Heat Pipe)를 적용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본시트의 크기와 소스(Source) 온도변화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10b,10c : 카본시트 11 : 단위카본시트층
11a : 팽창흑연 시트층 12 : 탄소나노튜브 코팅층
13 : 접착제층 15 : 내열성 필름층
17 : 점착제층 19 : 이형지
본 발명은,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열전도율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물성이 강화되고 인장강도 및 찢김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에 관한 것이다.
카본시트란, PDP(Plasma Display Panel)나 LCD(Liquid Crystal Display), 그리고 LED(Light-Emitting Diode)의 히트 싱크(Heat Sink)로 활용되는 시트(Sheet)를 가리킨다. 이러한 카본시트는 대부분 소위, 팽창흑연(Expanded Graphite)이라는 재료의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그 방법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코팅된 팽창흑연 분말을 소정의 프레스 성형틀에 채워 넣는다. 그리고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적정한 성형압력으로 팽창흑연 분말을 가압 성형하여 1차 가공물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필요에 따라 1차 가공물에 롤링(Rolling) 가공을 하여 적당한 목표두께를 맞춘 후, 2차 가공물을 생성하고, 2차 가공물을 절단/벤딩하 여 최종적인 카본시트를 제조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으로 카본시트를 제조할 경우, 카본시트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일정 압력 이상이 가해지면 소성 변형될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열전도율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카본시트는 전량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에 대한 기술을 출원한 바 있다(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번호 10-2004-0023235호 참조). 출원된 기술은 팽창흑연(Expanded Graphite)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를 혼합하여 고열전도성 카본시트를 제조함으로써 종래기술 대비 강도를 높이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열전도율 향상의 효과를 극대화한 것을 그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카본시트를 제조하더라도 충분한 물성을 얻지 못하고 인장강도 및 찢김강도도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열전도율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물성이 강화되고 인장강도 및 찢김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소정의 혼합비로 혼합된 팽창흑연(Expanded Graphite) 분말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분말을 고온가압하여 성형한 단위카본시트 층; 및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을 보강하고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합성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의 성형 온도는 400 내지 1000 ℃ 이며, 성형 압력은 150 내지 800 Kgf/㎠ 일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층은 에폭시와 우레탄 중 어느 하나를 액상으로 도포한 후 건조 및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층은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 아마이드(Amide) 및 PEN(Poly Ethylene Naphtalat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내열성 필름층으로서,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의 일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코팅층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코팅층의 두께는 0.2 ㎛ 내지 5 ㎛인 것이 유리하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코팅층은 롤 코팅(Roll Coating)과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 중 어느 하나의 코팅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카본시트층, 상기 내열성 필름층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코팅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최외각면에 도포되는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이형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카본시트층, 상기 내열성 필름층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코팅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방열특성을 배가하는 금속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 분말은 99.5 ~ 50 중량%,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말은 0.5 ~ 50 중량%가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의 원재료로서 혼합된다.
한편, 상기 목적은, 팽창흑연 시트층; 상기 팽창흑연 시트층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코팅되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코팅층; 및 상기 팽창흑연 시트층과 상기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코팅층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합성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에폭시와 우레탄 중 어느 하나를 액상으로 도포한 후 건조 및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층은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 아마이드(Amide) 및 PEN(Poly Ethylene Naphtalat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내열성 필름층으로서,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의 일면에 접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각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카본시트(10)는 크게, 단위카본시트층(11), 접착제층(13), 합성수지층(미도시), 점착제층(17) 및 이형지(19)를 갖는다.
단위카본시트층(11)은 소정의 혼합비로 혼합된 팽창흑연(Expanded Graphite) 분말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분말을 고온에서 프레스로 가압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 때, 팽창흑연 분말은 99.5 ~ 50 중량%, 탄소나노튜브 분말은 0.5 ~ 50 중량%가 단위카본시트층(11)의 원재료로서 혼합된다. 그리고 프레스 성형시, 성형 온도는 400 내지 1000 ℃, 성형 압력은 150 내지 800 Kgf/㎠ 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팽창흑연 분말은 팽창흑연의 원료로서 천연흑연, 키시(kish)흑연 등 층상 결정구조를 갖는 흑연립을 황산, 질산, 인산, 과염소산들의 산과 크롬산, 과망간산, 과옥소산 및 과산화수소 등으로 된 산화제로 처리하여 층간화합물을 형성한 후, 세척하고 고온가열(400 ~ 1000 ℃)하여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팽창흑연은 가열되면 층평면에 직각인 층간거리가 흑연 본래의 것보다 80배 이상 200 ~ 800배 정도 팽창시키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수 내지 수 백 ㎛의 직경과 수 내지 수백 ㎛의 길이를 가진 비등방성의 소재이다. 탄소나노튜브에서 하나의 탄소원자는 3개의 다른 탄소원자와 결합되어 있고 육각형 벌집무늬를 이루고 있다. 평평한 종이 위에 이러한 벌집무늬를 그린 다음 종이를 둥글게 말면 나노튜브 구조가 된다. 즉 나노튜브 하나는 속이 빈 튜브 혹은 실린더와 같은 모양을 갖고 있다. 이것을 나노튜브라고 부르는 이유는 그 튜브의 직경이 보통 1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정도로 극히 작기 때문이다. 종이에 벌집무늬를 그리고 둥글게 말면 나노튜브가 되는데 이때 종이를 어느 각도로 말 것인가에 따라서 탄소나노튜브는 금속과 같은 전기적 도체(Armchair 구조)가 되기도 하고 반도체(Zigzag 구조)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는 높은 길이/직경 비를 가지고 있어 단위면적당 표면적이 매우 크고 물리적으로는 강철의 약 100배에 달하는 강도를 지니면서 화학적으로 도 안정한 특성을 지닌다. 특히, 탄소나노튜브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질 중 상온에서 열전도도가 가장 높은 다이아몬드(33.3W/cm K)보다도 더 큰 열전도도(1500~6000 W/mk)를 가지므로 일반적으로 방열판에 사용되어지는 알루미늄(0.243W/cm K)이나 구리(4.01W/cm K)에 비해 수십에서 수백 배의 열전도도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는 단층벽 탄소나노튜브(SWNT : Single-Wall Nanotube)와 다층벽 탄소나노튜브(MWNT : Multi-Wall Nanotube) 등이다.
한편, 단위카본시트층(11)이 강도가 높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열전도율 향상되기는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충분한 물성을 얻지 못하고 인장강도 및 찢김강도도 충분하지 못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위의 방법으로 제조된 단위카본시트층(11)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13)을 형성한 후, 접착제층(13)으로 합성수지층을 더 형성하고 있다.
합성수지층은 에폭시와 우레탄 중 어느 하나를 액상으로 도포한 후 건조 및 경화(자연 건조한 후 경화시키거나 열 건조한 후 경화시키는 것)시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층을 내열성 필름층(15)으로 마련하여 접착제층(13)에 접착하고 있다.
내열성 필름층(15)은 단위카본시트층(11)을 보강하는 한편 단위카본시트층(11)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재료로서 내열성 필름층(15)은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 아마이드(Amide) 및 PEN(Poly Ethylene Naphtalate)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단위카본시트층(11)의 일면에 내열성 필름층(15)을 접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물성이 강하고 인장강도 및 찢김강도가 강해질 수 있는 카본시트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카본시트는 주로 PDP(Plasma Display Panel)나 LCD(Liquid Crystal Display), 그리고 LED(Light-Emitting Diode)의 히트 싱크(Heat Sink)로 활용되기 때문에 해당 물건이나 부품에 쉽게 접착될 수 있으면 사용하기가 더욱 편리할 것이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성 필름층(15)의 노출면으로 점착제를 도포하고 점착제 위로 이형지(19)를 붙여 놓고 있다. 따라서 사용할 경우에는, 이형지(19)를 떼어내고 점착제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원하는 물건이나 부품에 붙여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실시예의 고열전도성 카본시트(1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팽창흑연 분말과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혼합하여 단위카본시트층(11)을 제조한다. 즉, 팽창흑연 분말과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적정량 혼합하여 혼합카본분말을 만든 다음, 혼합카본분말을 작업위치에 도포한다. 그리고는 도포된 혼합카본분말의 상부에 설치된 프레스와 혼합카본분말의 하부에 위치한 금형 사이에 일정한 압력이 발생되도록 하면서 프레스로 고온가압 성형하면 혼합카본분말이 가압되면서 1차 카본시트층(미도시)이 생성된다. 이 때의 성형 온도는 400 내지 1000 ℃, 성형 압력은 150 내지 800 Kgf/㎠ 이다.
그런 다음, 1차 카본시트층 상면에 혼합카본분말을 재도포하고 위의 프레스 가압 공정을 반복한다. 그러면 2차 카본시트층(미도시)이 1차 카본시트층의 상면에 적층되면서 그 두께가 두꺼워진다. 이처럼 1차 카본시트층의 상면으로 2차 카본시트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원하는 목표두께가 얻어지지 않으면 원하는 두께에 도달할 때까지 동일한 방법으로 3차 카본시트층(미도시)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원하는 목표두께를 갖는 단위카본시트층(11)을 제조하게 된다. 물론, 2차 카본시트층만으로도 목표두께가 얻어지면 3차 카본시트층을 형성할 필요 없이 롤링작업을 거쳐 가공과정을 완료함으로써 단위카본시트층(11)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팽창흑연(Expanded Graphite) 분말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분말의 혼합비는 아래와 같은 실험들의 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팽창흑연(Expanded Graphite) 분말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분말의 혼합비를 달리하여 단위카본시트층(11)을 제조한 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의 열전도율을 측정한 것이다.
실험1의 경우에는 팽창흑연 분말 99 중량%에 탄소나노튜브 분말 1 중량%를 사용하여 단위카본시트층(11)을 만든 예이다. 그리고 실험2의 경우에는 팽창흑연 분말을 99 중량% 대신에 95 중량%를 넣고 탄소나노튜브 1 중량% 대신에 5 중량%를 넣어 상기의 방법대로 단위카본시트층(11)을 형성하고 있다. 실험3 내지 실험7의 경우에는 각각 팽창흑연 분말을 90 중량%, 85 중량%, 80 중량%, 75 중량%, 70 중량% 넣고,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각각 10 중량%, 15 중량%, 20 중량%, 25 중량%, 30 중량% 넣어 단위카본시트층(11)을 제조한 예를 나타낸다. 어떠한 방법을 적용하더 라도 강도가 높아지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열전도율 향상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표 1]
실험1 실험2 실험3 실험4 실험5 실험6 실험7
열전도율 수평방향 232 239 252 260 284 322 400
(W/mk) 수직방향 13 19 30 52 87 120 203
다음, 단위카본시트층(11)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13)을 형성한다. 그리고는 접착제층(13)으로 내열성 필름층(15)을 판면방향으로 배치하여 접착함으로써 단위카본시트층(11)과 일체화한다. 다음으로 내열성 필름층(15)의 노출면에 점착제층(17)을 형성한 후, 점착제층(17)으로 이형지(19)를 점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카본시트(1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카본시트(10)를 제조하여 PDP(Plasma Display Panel)나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히트 싱크(Heat Sink)로 사용할 경우, 강도가 높아지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열전도율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물성이 강화되고 인장강도 및 찢김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에 히트 파이프(Heat Pipe)를 적용한 예시도로서 다음의 [표 2]는 카본시트(10, 도 2a 참조)와 카본시트(10)의 일면에 히트 파이프(20, Heat Pipe)를 부가하여(도 2b 참조) 방열특성의 개선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2]
구분 카본시트(도 2a) 히트파이프(heat pipe)가 마련된 카본시트(도 2b)
(크기, 세로x가로,mm) 50 X 150 50 X 150
소스(source)온도 113.5℃ 일때의 온도값 결과(℃) 90 ℃ 86 ℃
온도차(△T) 0 4 ℃
도 2a, 도 2b를 참조하면서 [표 2]의 결과를 보면, 도 2a와 같은 카본시트(10)에 히트 파이프(20, Heat Pipe)를 적용할 경우, 방열효과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히트 파이프(20, Heat Pipe)의 길이는 100 mm인 것으로 채용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단위카본시트층(11)의 일면으로 순서대로 접착제층(13), 내열성 필름층(15), 점착제층(17) 및 이형지(19)가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 2와 같이, 고열전도성 카본시트(10a)는 접착제층(13), 내열성 필름층(15), 점착제층(17) 및 이형지(19)는 단위카본시트층(11)의 양면으로 각각 대칭되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카본시트(10b)에서 단위카본시트층(11)의 일면에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코팅층(12)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 코팅층(12)은 0.2 ㎛ 내지 5 ㎛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데, 롤 롤 코팅(Roll Coating)과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 중 어느 하나의 코팅 방법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참고로, 롤 코팅(Roll Coating)이란 탄소나노튜브 코팅액을 롤러로 단위카본시트층(11)의 일면에 코팅하는 것을 말하고,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이란 일정량의 탄소나노튜브 코팅액을 단위카본시트층(11)의 일면에 도포한 다음 나이프를 이용하여 적정량의 두께로 얇게 펴서 코팅하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코팅층(12)을 더 형성할 경우, 보다 높은 방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참고로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코팅층(12)을 형성한 열전도성 카본시트(10b)의 크기와 소스(Source) 온도변화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온도조건 하에서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코팅층(12)이 형성된 열전도성 카본시트(10b)는 일반흑연시트에 비해 방열효과가 높을 것을 알 수 있다. 그래프에 나타난 두 개의 선들중, 우측의 것이 일반흑연시트이고 좌측의 것이 열전도성 카본시트(10b)이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카본시트(10b)는 그 면적이 클수록 방열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카본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모두가 팽창흑연(Expanded Graphite) 분말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분말을 사용하여 카본시트(10,10a,10b)를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카본시트(10c)는 팽창흑연 시트층(11a), 팽창흑연 시트층(11a)의 일면에 코팅되는 탄소나노튜브 코팅층(12) 및 탄소나노튜브 코팅층(12)의 일면에 형성되는 내열성 필름층(15)으로 제조하고 있다.
도 6과 같이 제조하더라도 강도가 높아지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열전도율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물성이 강화되고 인장강도 및 찢김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도 4에서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 코팅층(12)과 내열성 필름층(15) 사이에는 접착제층(13)이 형성되고, 내열성 필름층(15)의 일면에는 점착제층(17)에 이형지(19)가 착탈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다.
참고로, 다음의 [표 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카본시트(10b)의 크기별 소스(Source) 온도변화 결과표를 나타낸다.
[표 3]
구분 열(Heat) 소스(Source) 온도 75x75(mm) 100x100(mm) 200x200(mm)
탄소나노튜브 코팅층 113.5 ℃ 87.7 ℃ 72.9 ℃ 50.1 ℃
팽창흑연 시트층 113.5 ℃ 94.3 ℃ 78 ℃ 54.5 ℃
온도차(△T) 0 4.4 5.1 6.6
[표 3]에 의하면 팽창흑연 시트층(11a, 두께 0.7mm) 표면에 탄소나노튜브 코팅층(12)을 코팅하여 방열특성의 개선 정도를 확인 한 결과 팽창흑연 시트층(11a)에 탄소나노튜브 코팅층(12)을 적용할 경우 좁은 면적으로 갈수록 방열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강도가 높아지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열전도율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물성이 강화되고 인장강도 및 찢김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카본시트(10,10a,10b,10c)가 제공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있지만, 전술한 카본시트에는 별도의 금속판을 일체로 붙여 하나의 히트 싱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현재, 카본시트에 방열팬을 결합시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방열팬의 소음이나 부피의 문제가 발생되기에 방열팬을 대신하여 별도의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판을 카본시트에 붙여 사용할 경우, 카본시트의 방열특성이 부가되어 보다 뛰어난 방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강도가 높아지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열전도율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물성이 강화되고 인장강도 및 찢김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3)

  1. 팽창흑연(Expanded Graphite) 분말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분말을 고온가압하여 성형한 단위카본시트층; 및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을 보강하고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합성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의 성형 온도는 400 내지 1000 ℃ 이며, 성형 압력은 150 내지 800 Kgf/㎠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에폭시와 우레탄 중 어느 하나를 액상으로 도포한 후 건조 및 경화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 아마이드(Amide) 및 PEN(Poly Ethylene Naphtalat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내열성 필름층으로서,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의 일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코팅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코팅층의 두께는 0.2 ㎛ 내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코팅층은 롤 코팅(Roll Coating)과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 중 어느 하나의 코팅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카본시트층, 상기 내열성 필름층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코팅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최외각면에 도포되는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이형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카본시트층, 상기 내열성 필름층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코팅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방열특성을 배가하는 금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흑연 분말은 99.5 ~ 50 중량%,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말은 0.5 ~ 50 중량%가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의 원재료로서 혼합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
  11. 팽창흑연 시트층;
    상기 팽창흑연 시트층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코팅되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코팅층; 및
    상기 팽창흑연 시트층과 상기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코팅층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합성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에폭시와 우레탄 중 어느 하나를 액상으로 도포한 후 건조 및 경화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 아마이드(Amide) 및 PEN(Poly Ethylene Naphtalat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내열성 필름층으로서, 상기 단위카본시트층의 일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 카본시트.
KR1020050068557A 2005-07-27 2005-07-27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카본시트 KR100628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557A KR100628031B1 (ko) 2005-07-27 2005-07-27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카본시트
US11/996,636 US20080193767A1 (en) 2005-07-27 2005-07-28 Thermally Improve Conductive Carbon Sheet Base on Mixed Carbon Material of Expanded Graphite Powder and Carbon Nano Tube Powder
DE602005018116T DE602005018116D1 (de) 2005-07-27 2005-07-28 Thermisch verbesserte leitfähige kohlenstoffblattb graphitpulver und kohlenstoffnanoröhrenpulver
PCT/KR2005/002456 WO2007013705A1 (en) 2005-07-27 2005-07-28 Thermally improve conductive carbon sheet base on mixed carbon material of expanded graphite powder and carbon nano tube powder
EP05774235A EP1911042B1 (en) 2005-07-27 2005-07-28 Thermally improve conductive carbon sheet base on mixed carbon material of expanded graphite powder and carbon nano tube powder
AT05774235T ATE450869T1 (de) 2005-07-27 2005-07-28 Thermisch verbesserte leitfähige kohlenstoffblattbasis auf mischkohlenstoffmaterial aus expandiertem graphitpulver und kohlenstoffnanoröhrenpulver
EP09177300A EP2159804A1 (en) 2005-07-27 2005-07-28 Thermally improved conductive carbon sheet based on mixed carbon material of expanded graphite powder and carbon nano tube powder
JP2008523777A JP2009502567A (ja) 2005-07-27 2005-07-28 膨張黒鉛と炭素ナノチューブとの混合カーボンを用いた高熱伝導性カーボンシー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557A KR100628031B1 (ko) 2005-07-27 2005-07-27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카본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8031B1 true KR100628031B1 (ko) 2006-09-26

Family

ID=3762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557A KR100628031B1 (ko) 2005-07-27 2005-07-27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카본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193767A1 (ko)
EP (2) EP2159804A1 (ko)
JP (1) JP2009502567A (ko)
KR (1) KR100628031B1 (ko)
AT (1) ATE450869T1 (ko)
DE (1) DE602005018116D1 (ko)
WO (1) WO2007013705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4849A3 (en) * 2007-12-27 2009-09-17 Posco Chrome-free coating compositions for surface-treating steel sheet including carbon nanotube, methods for surface-treating steel sheet and surface-treated steel sheets using the same
KR100958444B1 (ko) 2009-12-16 2010-05-18 주식회사 배스팀 팽창흑연시트에 혼합분산용액을 코팅한 혼합카본시트의 제조방법
KR100975885B1 (ko) 2009-11-03 2010-08-16 주식회사 배스팀 팽창흑연시트에 혼합분산용액을 코팅한 혼합카본시트의 제조방법
KR100977479B1 (ko) 2007-12-14 2010-08-23 (주)폴리메리츠 발열체용 전도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상발열체
WO2010151013A2 (ko) * 2009-06-22 2010-12-29 (주)탑나노시스 탄소나노튜브 도전막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1055961A2 (ko) * 2009-11-03 2011-05-12 Yu Jong-Sam 팽창흑연시트에 혼합분산용액을 코팅한 혼합카본시트의 제조방법
KR101128291B1 (ko) 2009-04-23 2012-03-23 (주)탑나노시스 탄소나노튜브 도전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1306948B1 (ko) * 2010-12-28 2013-09-09 지씨에스커뮤니케이션(주) 고열전도성 미립자가 복합화된 고열전도성 팽창흑연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10141B1 (ko) 2011-09-09 2013-09-23 한국세라믹기술원 탄화규소-흑연 복합 방열재
KR20160132196A (ko) * 2015-05-06 2016-11-1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5819B1 (ko) 2016-02-05 2017-05-16 이석 탄소계 방열구조체용 재료, 이를 이용한 탄소계 방열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소계 방열구조체
KR20180083125A (ko) 2017-01-12 2018-07-20 (주)하이엠시 탄소나노튜브 및 알루미나를 포함하는 복합종이, 그 제조방법 및 열처리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2004B2 (en) * 2001-04-04 2013-02-26 Graftech International Holdings Inc. Flexible graphite flooring heat spreader
KR100528925B1 (ko) * 2003-09-09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방열시트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1721A (ko) * 2008-05-16 2011-03-04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탄소선 및 탄소막으로 이루어지는 나노 구조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5578640B2 (ja) * 2008-08-27 2014-08-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導電性膜、導電性基板、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09274936A (ja) * 2008-05-16 2009-11-26 Sumitomo Electric Ind Ltd 炭素線、集合線材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275721B2 (ja) * 2008-08-12 2013-08-28 株式会社カネカ グラファイトフィルム
JP5790023B2 (ja) * 2011-02-25 2015-10-07 富士通株式会社 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20130112605A (ko) * 2012-04-04 2013-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셀 모듈용 방열 플레이트 및 이를 갖는 배터리 셀 모듈
CN102642843B (zh) * 2012-05-10 2014-07-16 北京理工大学 一种同时制备多级结构介孔二氧化硅和碳纳米材料的方法
WO2014091647A1 (ja) * 2012-12-11 2014-06-19 昭和電工株式会社 カーボンペーストおよび固体電解コンデンサ素子
JP5779788B2 (ja) * 2013-05-01 2015-09-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炭素線および集合線材の製造方法
JP5739937B2 (ja) * 2013-05-20 2015-06-24 株式会社カネカ グラファイトフィルムおよびグラファイ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442070B1 (ko) * 2013-07-22 2014-09-18 (주)월드튜브 그래핀, 흑연나노플레이트, 카본나노튜브 및 나노금속으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이용한 방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5060090A1 (ja) * 2013-10-25 2015-04-3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熱伝導性積層シート、熱伝導性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CN104091682B (zh) * 2014-07-29 2016-03-09 哈尔滨理工大学 基于纳米改性非线性绝缘纸板的换流变压器出线装置
CN105111484B (zh) * 2015-08-28 2019-06-21 上海利物盛企业集团有限公司 一种高效连续大面积制备导热石墨膜的方法
KR101679698B1 (ko) 2016-05-19 2016-11-25 전자부품연구원 방열특성이 향상된 섬유강화형 고분자 복합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739349A (zh) * 2016-11-18 2017-05-31 王琴芬 电子产品的外贴膜及其制备方法
US11161329B2 (en) * 2017-04-12 2021-11-02 Lintec Of America, Inc. Multilayer composites comprising heat shrinkable polymers and nanofiber sheets
JP7214971B2 (ja) * 2018-03-29 2023-01-3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複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760274B (zh) * 2018-07-27 2021-09-21 苏州今蓝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兼具低反光率低透光率的纳米金属隔热膜及其制备方法
CN110980693A (zh) * 2019-12-09 2020-04-10 宁波中乌新材料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碳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CN110950628B (zh) * 2019-12-09 2022-02-15 宁波中乌新材料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碳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13816742A (zh) * 2021-09-27 2021-12-21 江苏宝烯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导热块体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033A (ja) * 2000-05-19 2002-02-06 Suzuki Sogyo Co Ltd 熱伝導性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2730A (ja) * 1997-07-15 1999-02-16 Bergquist Co:The 電子装置用熱伝導性インタフェース
JP2000091453A (ja) * 1998-09-10 2000-03-31 Ishino Corporation:Kk 放熱用シー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放熱器
JP2000169128A (ja) * 1998-12-10 2000-06-20 Showa Denko Kk カーボンシート、導電性複合シート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1315244A (ja) * 2000-05-01 2001-11-13 Jsr Corp 熱伝導性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熱伝導性シートを用いた放熱構造
JP2002009213A (ja) * 2000-04-17 2002-01-11 Suzuki Sogyo Co Ltd 熱伝導性シート
JP3937962B2 (ja) * 2001-08-06 2007-06-27 昭和電工株式会社 導電性硬化性樹脂組成物
US7329698B2 (en) * 2001-08-06 2008-02-12 Showa Denko K.K. Conductive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separator for fuel cell
JP2003268249A (ja) * 2002-03-20 2003-09-25 Showa Denko Kk 導電性硬化性樹脂組成物、その硬化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86102A (ja) * 2002-12-06 2004-07-02 Jfe Engineering Kk 層構造を成している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集合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製品
US20040121122A1 (en) * 2002-12-20 2004-06-24 Graftech, Inc. Carbonaceous coatings on flexible graphite materials
JP2005075672A (ja) * 2003-08-29 2005-03-24 Seiko Epson Corp 成形体
KR20050098037A (ko) * 2004-04-06 2005-10-11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카본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033A (ja) * 2000-05-19 2002-02-06 Suzuki Sogyo Co Ltd 熱伝導性シー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68557 - 643676
14038033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479B1 (ko) 2007-12-14 2010-08-23 (주)폴리메리츠 발열체용 전도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상발열체
WO2009084849A3 (en) * 2007-12-27 2009-09-17 Posco Chrome-free coating compositions for surface-treating steel sheet including carbon nanotube, methods for surface-treating steel sheet and surface-treated steel sheets using the same
KR101128291B1 (ko) 2009-04-23 2012-03-23 (주)탑나노시스 탄소나노튜브 도전막 및 그 제조 방법
WO2010151013A2 (ko) * 2009-06-22 2010-12-29 (주)탑나노시스 탄소나노튜브 도전막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0151013A3 (ko) * 2009-06-22 2011-04-21 (주)탑나노시스 탄소나노튜브 도전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75885B1 (ko) 2009-11-03 2010-08-16 주식회사 배스팀 팽창흑연시트에 혼합분산용액을 코팅한 혼합카본시트의 제조방법
WO2011055961A2 (ko) * 2009-11-03 2011-05-12 Yu Jong-Sam 팽창흑연시트에 혼합분산용액을 코팅한 혼합카본시트의 제조방법
WO2011055961A3 (ko) * 2009-11-03 2011-11-03 Yu Jong-Sam 팽창흑연시트에 혼합분산용액을 코팅한 혼합카본시트의 제조방법
US8974862B2 (en) 2009-11-03 2015-03-10 Jong-Sam Yu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carbon sheet using expanded graphite sheet and mixed dispersion solution
KR100958444B1 (ko) 2009-12-16 2010-05-18 주식회사 배스팀 팽창흑연시트에 혼합분산용액을 코팅한 혼합카본시트의 제조방법
KR101306948B1 (ko) * 2010-12-28 2013-09-09 지씨에스커뮤니케이션(주) 고열전도성 미립자가 복합화된 고열전도성 팽창흑연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10141B1 (ko) 2011-09-09 2013-09-23 한국세라믹기술원 탄화규소-흑연 복합 방열재
KR20160132196A (ko) * 2015-05-06 2016-11-1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7764B1 (ko) 2015-05-06 2017-01-1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고방열 고분자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5819B1 (ko) 2016-02-05 2017-05-16 이석 탄소계 방열구조체용 재료, 이를 이용한 탄소계 방열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소계 방열구조체
KR20180083125A (ko) 2017-01-12 2018-07-20 (주)하이엠시 탄소나노튜브 및 알루미나를 포함하는 복합종이, 그 제조방법 및 열처리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50869T1 (de) 2009-12-15
EP1911042A4 (en) 2008-10-29
EP1911042B1 (en) 2009-12-02
JP2009502567A (ja) 2009-01-29
WO2007013705A9 (en) 2009-10-15
WO2007013705A1 (en) 2007-02-01
DE602005018116D1 (de) 2010-01-14
EP2159804A1 (en) 2010-03-03
US20080193767A1 (en) 2008-08-14
EP1911042A1 (en)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031B1 (ko)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카본시트
KR100723298B1 (ko) 카본소재가 함침된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방열구조체
Wang et al. Bending of multilayer van der Waals materials
US9064994B2 (en) Self-corrugating laminates useful in the manufacture of thermoelectric devices and corrugated structures therefrom
TWI432298B (zh) 抗靜電處理之工作檯
KR101238667B1 (ko) 그래핀 탄소섬유발열지를 이용한 양면 함침형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
JP2017038086A (ja) 熱伝導シート、熱伝導シートの製造方法、放熱部材及び半導体装置
KR20170110622A (ko) 열 전도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Ding et al. Graphene—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 hybrid on PDMS as stretchable electrodes
CN104756610B (zh) 印刷布线板
TW201707951A (zh) 可壓縮多層物品及其製作方法
US11548264B2 (en) Insulation sheet, laminate, and substrate
JP2011132387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複合構造体および粘着部材
KR20220059491A (ko) 그래핀 기반 탄성 히트 스프레더 필름
Jang et al. Stretchability of PMMA-supported CVD graphene and of its electrical contacts
Huda et al. On the existence of Si–C double bonded graphene-like layers
KR101706756B1 (ko) 방열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5885B1 (ko) 팽창흑연시트에 혼합분산용액을 코팅한 혼합카본시트의 제조방법
TWI419643B (zh) 電路板基板及電路板
US8847081B2 (en) Planar thermal dissipation patch
KR102332823B1 (ko) 유연성 및 열확산 성능이 우수한 복합방열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KR101986168B1 (ko) 집진방지 및 자가세정 기능을 갖는 led용 방열 핀에 적용 가능한 코팅액 및 이의 제조방법
Ohzono et al. Reinforced shape-tunable microwrinkles formed on a porous-film-embedded elastomer surface
KR20050098037A (ko)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카본을 이용한 고열전도성카본시트
KR20140089725A (ko) 열확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