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004B1 -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파일 관리방법, 파일 관리 장치 및 정보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파일 관리방법, 파일 관리 장치 및 정보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004B1
KR100608004B1 KR1020040068031A KR20040068031A KR100608004B1 KR 100608004 B1 KR100608004 B1 KR 100608004B1 KR 1020040068031 A KR1020040068031 A KR 1020040068031A KR 20040068031 A KR20040068031 A KR 20040068031A KR 100608004 B1 KR100608004 B1 KR 100608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lbum
file
asset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7442A (ko
Inventor
안진용
신성국
김두일
김영윤
김희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525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EP1583005A3/en
Priority to BRPI0506171-7A priority patent/BRPI0506171A/pt
Priority to PCT/KR2005/000918 priority patent/WO2006004285A1/en
Priority to CNA200510059949XA priority patent/CN1677401A/zh
Priority to US11/097,358 priority patent/US20050223037A1/en
Priority to JP2005107838A priority patent/JP2005327257A/ja
Publication of KR20050097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7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06F40/143Markup, e.g.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or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06F40/154Tree transformation for tree-structured or markup documents, e.g. XSLT, XSL-FO or style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F40/221Parsing markup language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파일 관리 방법, 파일 관리 장치 및 정보 저장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파일 관리 방법은, 상기 응용 기기에 의해 획득된 자산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MPV(MusicPhotoVideo)에 기초한 인덱스 파일을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같은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획득된 자산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자로 하여금 관리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파일 관리 방법, 파일 관리 장치 및 정보 저장 매체{File management method and file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assets in multimedia appliances and th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thereof}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MPV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MPV의 단순 자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라 MPV의 복합 자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라 한 카메라에서 촬영한 사진들을 다른 카메라에서 재생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관리 장치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파일(index.pvm)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앨범 파일(album.pvm)의 구조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자산 정보의 데이터 구조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앨범 정보의 데이터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모델 사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동작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스틸 자산을 생성할 때 생성되는 디렉토리 구조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인덱스 파일(index.pvm)의 구조도,
도 15는 도 13의 디렉토리 상태에서 하나의 스틸위드오디오 자산을 추가할 때의 디렉토리 구조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인덱스 파일(index.pvm)의 구조도,
도 17은 도 15의 디렉토리 상태에서 하나의 오디오 자산을 추가할 때의 디렉토리 구조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인덱스 파일(index.pvm)의 구조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일 관리 방법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카메라의 LCD 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스틸 자산을 생성하여 앨범으로 구성할 때 생성되는 디렉토리 구조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인덱스 파일(index.pvm)의 구조도,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앨범 파일(album001.pvm)의 구조도,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디렉토리 상태에서 두 개의 스틸 자산을 더 생성하여 앨범으로 구성할 때 나타내지는 앨범 파일(album001.pvm)의 구조도,
도 24는 도 20에 도시된 디렉토리 상태에서 세 개의 스틸 자산을 더 생성하 고, 두 개의 앨범 파일을 더 생성한 경우의 디렉토리 구조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인덱스 파일(index.pvm)의 구조도,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앨범 파일(album002.pvm)의 구조도.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응용 환경에서 컨텐츠 등의 자산 제어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파일 관리 방법, 파일 관리 장치 및 정보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사진(still image), 비디오, 디지털 오디오, 텍스트 등의 미디어를 처리하고 재생하여 왔다. 그리고, 이러한 미디어를 생성하는 장치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오디오 재생기(MP3, WMA)등의 장치 사용이 많아짐으로 인하여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가 대량으로 생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대량으로 생성되고 있는 컨텐츠 즉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파일 기반 경험을 요구하고, 이렇게 관리되어 데이터 재생 순서나 재생 방법 등의 속성이 부여된 데이터를 PC 이외의 장치에서 재생하게 되면 상기 PC에서 부여된 속성 데이터를 잃어버리고 원본 데이터만 이동되어버린다. 즉, 가전제품, PC 및 디지털 컨텐츠 생성 장치간 데이터와 데이터의 속성에 대한 상호 연동성(Inter-operability)이 현재 매우 취약하다.
상호 연동성의 취약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MPV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를 이용하여 포토나 비디오 클립 등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포토나 비디오 클립 등을 PC(11)로 옮겨 편집 등의 작업을 하고, CD-R/Video-CD, DVD-R/+R 등의 광 저장매체에 작업한 내용을 굽는다. 이렇게 구워진 광 저장 매체는 DVD 플레이어(12)나 TV(13)에서 재생하여 볼 수 있다. 또한, PC(11)에서 작업한 내용을 프린터(14)로 전송하여 인쇄할 수도 있고, 온라인상의 매체(15)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진을 캡쳐하고, 캡쳐된 사진을 디지털 카메라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슬라이드쇼 기능을 사용하면서 결정된 슬라이드쇼 순서나 사진간 시간 간격 등의 속성, 파노라마 기능을 사용하면서 결정된 촬영된 사진간의 관계 등의 속성 등의 데이터가 원본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게 된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를 AV 케이블을 사용하여 텔레비전으로 화상을 전송하게 되면 각각의 속성이 표현된 컨텐츠를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USB 케이블을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하게 되면 원본 데이터만 컴퓨터로 전송되며 부여되었던 속성은 모두 상실한다. 이는 디지털 카메라와 개인용 컴퓨터가 각각 다른 정보구조와 데이터 처리방식을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 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에서 저장된 속성 데이터 즉, 메타데이터에 대한 개인용 컴퓨터의 상호 연동성이 없다. 이러한 디지털 기기간 데이터에 대한 상호 연동성 취약을 보강하기 위하여 MPV(MusicPhotoVideo) 라는 표준이 진행되고 있다. 즉, MPV는 CE 기기 들 및 IT 기기들에서 디지털 뮤직, 포토, 비디오 등의 메타데이터 표현, 교환, 처리, 재생을 더 쉽게 만들게 하기 위한 표준이다.
현재 OSTA(Optical Storage Technology Association)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MPV 표준은 광학디스크, 메모리 카드, 컴퓨터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인터넷 프로토콜에 의해 교환되는 디지털 사진, 비디오, 오디오 등의 컨텐츠의 집합을 처리하고, 재생하기 위한 매너페스트(Manifest), 메타데이터(Metadata) 및 프랙티스(Practice)를 정의하고 있다. 매너페스트는 독립적인 XML 문서 파일로서 모든 MPV 요소들을 그룹화한 것이다.
MPV는 크게 MPV 코어 스팩(MPV Core-Spec.)과 프로파일(Profile)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코어는 컬렉션(Collection), 메타데이터(Metadata), 식별자(Identifier)의 3가지 기본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컬렉션으로는 루트 멤버로 매너페스트(Manifest)를 가지고 있으며, 메타데이터, 앨범(Album), 표시자산(Marked Asset), 자산 리스트(AssetList) 등이 있다. 자산은 MPV가 다루는 컨텐츠의 기본 단위로서, 2가지 종류가 있는데, 디지털 사진, 비디오, 디지털 오디오, 문서 등과 같은 심플 미디어 자산과, 디지털 사진+디지털 오디오, 연속촬영디지털 사진, 파노라마 촬영 디지털 사진 등과 같은 복합 미디어 자산이 있다.
MPV 소프트웨어는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MPV 파일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을 기초로 하여 자산을 읽고,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즉, MPV 파일은 MPV 소프트웨어와 자산(asset)이라는 데이터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 역할을 한다. 즉, MPV 파일은 기존 파일 시스템과 유사한 동작으로 상위 레벨의 파일 시스템이라 볼 수 있다.
이제, MPV가 다루는 컨텐츠의 기본 단위인 자산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MPV의 단순 자산의 예를 나타낸다.
심플 자산(simple asset)은 물리적인 저장 엔티티에 대응한다.
심플 자산으로는, 스틸(Still)(21), 비디오(Video)(22), 오디오(Audio)(23), 텍스트(Text)(24), 프린트(Print)(25), 다큐먼트(Document)(26), 매너페스트 링크(MenifestLink)(27)를 포함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MPV의 복합 자산의 예를 나타낸다.
복합 자산(composite asset)은 미디어 자산들의 의미있는 그룹이다. 이러한 복합 자산은 디지털 카메라의 일반적인 캡쳐 모드에 대응한다.
복합 자산으로는, 스틸위드오디오(StillWithAudio)(31), 스틸멀티샷시퀀스(StillMultishotSequence)(32), 스틸파노라마시퀀스(StillPanoramaSequence)(33), 파(Par)(34), 시크(Seq)(35)를 포함한다.
이중에서 Par(34)나 Seq(35) 자산은 서로 다른 종류의 미디어 자산들의 임의적인 표현을 허용한다. 즉, 다른 복합 자산들은 그 복합 자산들에 포함되는 단순 자산들이 정의되어 있어서 고정되어 있는 것이지만, Par나 Seq는 그 자산들에 포함되는 단순 자산들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임의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Par은 자산들의 집합이 서로 동기화하여 발생되는 경우의 복합 자산을 정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Par(34)는 자산들의 묶음으로 되어 있고, 이 자산들이 병렬적으로 나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Seq는 자산들의 집합이 순서를 가지고 발생되는 경우의 복합 자산을 정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Seq(35)는 자산들의 묶음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자산들이 순서를 가지고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에 의해 기록 저장되는 정지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는 DCF(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 방식의 디렉토리 및 파일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러한 DCF 디렉토리 및 파일 구조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트 디렉토리 아래에 최상위의 DCIM(Digital Camera Image) 디렉토리를 가지며, 또한 이러한 DCIM 디렉토리 아래에는 서로 중복되지 않는 3자리수의 일련번호, 예를 들어, 100 내지 999중 어느 하나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지정될 수 있는 5자리수의 문자가 조합된 총 8자리수의이름을 갖는 최대 900개의 디렉토리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8자리수의 이름을 갖는 디렉토리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ABCDE 디렉토리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지정될 수 있는 4자리수의 문자와 서로 중복될 수 없는 4자리수의 일련 번호가 조합된 총 8자리수의 파일명을 갖는 다수의 파일들이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파일에는, JPEG 방식의 기록 포맷을 갖는 정지영상 파일(*.JPG)과, TIFF 방식의 기록 포맷을 갖는 정지영상 파일(*.TIF), 그리고 정지 영상을 소정 크기로 축소한 축소 영상 파일(*.THM)이 포함되어 기록될 수 있으며, PCM 방식 등의 기록 포맷을 갖는 웨이브 오디오 파일(*.WAV) 등이 기록될 수 있다.
도 4b 종래 기술에 따라 한 카메라에서 촬영한 사진들을 다른 카메라에서 재생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카메라 1(41)에서 스틸 사진을 찍어서 차례로 사진이 담긴 목록(42)이 만들어지더라도, 종래 기술에 따르면 아직 이러한 파일들을 관리할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이 파일들을 카메라 2(43)에서 재생하는 경우에는 목록(44)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1(41)에서 찍은 순서에는 전혀 상관없이 임의적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보급이 현저히 증대됨에 따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서 찍은 사진 데이터 그리고 기록한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편리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관리 방법, 파일 관리 장치 및 정보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파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응용 기기에 의해 획득된 자산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MPV(MusicPhotoVideo)에 기초한 인덱스 파일을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자산에 관한 정보는,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와, 상기 개별 자산을 그룹화한 앨범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자산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mpv:id) 와, 상기 자산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와, 상기 자산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astUR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앨범에 관한 정보는, 상기 앨범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mpv:id)와, 상기 앨범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와, 상기 앨범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astUR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앨범은, 상기 앨범에 속한 하나 이상의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덱스 파일은 DCF 디렉토리 구조의 루트 디렉토리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파일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용 기기에 의해 획득된 자산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MPV(MusicPhotoVideo)에 기초한 인덱스 파일을 생성 및 관리하는 파일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응용 기기에 의해 획득된 자산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MPV(MusicPhotoVideo)에 기초한 인덱스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서 찍은 사진들을 사용자에 의해 편리하고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DCF 디렉토리 및 파일 구조(52)에 MPV 데이 터를 이용한 인덱스 파일 index.pvm을 생성하고 관리한다. 인덱스 파일은 DCF 디렉토리들에 저장된 자산들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러한 인덱스 파일은 용이하게 탐색될 수 있도록 루트 디렉토리 안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DCF디렉토리 규칙을 따르고, 이러한 DCF 디렉토리 아래에 자산들을 관리하기 때문에 DCF 포맷을 이용하는 기존 장치들과 호환성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DCF 디렉토리 구조의 루트 디렉토리 내에 자산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인덱스 파일을 관리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 1(51)에서 재생되는 자산의 순서와 동일하게 디지털 카메라 2(53)에서도 재생될 수 있고 관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파일 관리 장치(600)는 인덱스 파일을 생성하는 인덱스 파일 생성부(610), 앨범 파일을 생성하는 앨범 파일 생성부(620), 상기 생성된 인덱스 파일을 메모리(650)에 저장하는 인덱스 파일 저장부(630), 상기 생성된 파일을 메모리(650)에 저장하는 앨범 파일 저장부(640)를 포함한다. 메모리(650)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 데이터와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에 관한 파일, 사진 등이 생성될 때마다 변경되는 DCF 디렉토리 구조에 대한 데이터 및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파일과 앨범 파일을 저장한다.
"앨범"이란,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의해 찍은 사진들을 그룹화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놀이공원에 가서 찍은 사진들을 하나의 앨범에 포함시켜 구성하고 싶을 때 이용될 수 있다. 앨범에 포함되는 자산이 생성된 경우에는 인덱스 파일 생성부(610)에 의해 앨범 정보를 가지는 인덱스 파일이 생성되어 저장됨과 함께, 앨범 파일 생성부(620)에 의해 자산 정보를 가지는 앨범 파일이 생성되어 저장된다. 앨범에 포함되지 않는 자산이 생성된 경우에는 인덱스 파일 생성부(610)에 의해 자산 정보를 가지는 인덱스 파일만 생성되어 저장된다.
인덱스 파일 생성부(610)는 앨범 자산 식별부(611), 자산/앨범 정보 생성부(612), 자산/앨범 정보 삽입부(613)를 포함한다.
앨범 자산 식별부(611)는 새로 생성된 자산이 앨범에 포함되어야 하는 자산인지 아니면 앨범에 포함되지 않는 자산인지를 식별한다.
자산/앨범 정보 생성부(612)는 새로 생성된 자산이 앨범에 포함되는 자산인 경우에는 앨범 정보를 생성하고, 새로 생성된 자산이 앨범에 포함되지 않는 자산인 경우에는 자산 정보를 생성한다.
자산/앨범 정보 삽입부(613)는 자산/앨범 정보 생성부(612)에 의해 생성된 앨범 정보 또는 자산 정보를 인덱스 파일에 추가한다.
먼저, 새로 생성된 자산이 앨범에 포함되지 않는 자산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앨범 자산 식별부(611)에 의해 새로 생성된 자산이 앨범에 포함되지 않는 자산으로 식별된 경우에는 앨범 파일 생성부(620)는 동작하지 않으며, 자산/앨범 정보 생성부(612)는 자산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자산/앨범 정보 삽입부(613)는 생성된 자산 정보를 메모리(650)로부터 읽어온 인덱스 파일에 삽입한다. 만일, 생성된 자산이 첫 번째 자산이어서 메모리에 저장된 인덱스 파일이 없는 경우에는 MPV 파일 규칙에 따른 헤더 정보가 포함되고 생성된 자산에 관한 정보를 담은 인덱스 파일을 새로 생성한다.
인덱스 파일 저장부(630)는 새로 생성된 인덱스 파일 또는 자산 정보가 추가된 인덱스 파일을 메모리(650)에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의 의미는 이 인덱스 파일이 DCF 디렉토리 구조의 루트 디렉토리에 들어가도록 DCF 디렉토리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앨범 자산 식별부(611)에 의해 새로 생성된 자산이 앨범에 포함되는 자산으로 식별된 경우에 자산/앨범 정보 생성부(612)는 앨범 정보를 생성하고, 앨범 파일 생성부(620)도 앨범 파일을 생성해야 한다.
자산/앨범 정보 생성부(612)는 자산이 포함될 앨범 정보를 생성한다. 자산/앨범 정보 삽입부(613)는 생성된 앨범 정보를 메모리(650)로부터 읽어온 인덱스 파일에 삽입하거나 새로운 인덱스 파일을 만들어서 거기에 삽입한다. 인덱스 파일 저장부(630)는 앨범 정보가 담긴 인덱스 파일을 메모리(650)에 저장한다.
앨범 파일 생성부(620)는 자산 정보 생성부(621)와 자산 정보 삽입부(622)를 포함한다.
자산 정보 생성부(621)는 앨범에 포함되는 자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자산 정보 삽입부(622)는 메모리(650)로부터 앨범 파일을 읽어와서 생성된 자산에 관한 정보를 삽입하거나 또는 새로 앨범 파일을 만들어 여기에 자산에 관한 정보를 삽입한다. 앨범 파일 저장부(640)는 새로 생성되거나 자산 정보가 추가된 앨범 파일을 메모리(650)에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의 의미는 이 앨범 파일이 DCF 디렉토리 구조에서 예를 들어, 루트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MISC 디렉토리에 들어가도록 DCF 디렉토리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파일(index.pvm)의 구조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덱스 파일(700)은 자산에 관한 정보, 자산 #1 정보(710), 자산 #2 정보(720), ...자산 #n 정보(730)와, 앨범에 관한 정보, 앨범 #1 정보(740), ...앨범 #m 정보(750)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자산 정보의 데이터 구조도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자산 #i에 관한 정보(900)는 자산 식별자(910)와, 메타 데이터(920), 자산 위치 정보(930)를 포함한다.
자산 식별자(910)는 자산을 식별하기 위한 아이디와 같은 것으로, MPV 데이터에서 mpv:id를 이용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920)는 이 자산에 관한 속정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자산 생성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자산 생성장치 식별자(921)와, 자산이 생성된 날짜를 나타내는 자산 생성 날짜(922) 등을 포함한다.
자산 위치 정보(930)는 이 자산이 저장된 DCF 디렉토리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MPV 데이터에서 LastURL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앨범 정보의 데이터 구조도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앨범 #i에 관한 정보(1000)는 자산 식별자(1010)와, 메타 데이터(1020), 앨범 위치 정보(1030)를 포함한다.
앨범 식별자(1010)는 앨범을 식별하기 위한 아이디와 같은 것으로, MPV 데이터에서 mpv:id를 이용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1020)는 이 앨범에 관한 속정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 어, 앨범의 제목 등을 나타내는 타이틀(1021)과, 앨범을 생성한 앨범 생성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앨범 생성 장치 식별자(1022) 등을 포함한다.
앨범 위치 정보(1030)는 이 앨범 파일이 저장된 DCF 디렉토리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MPV 데이터에서 LastURL을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앨범 파일(album.pvm)의 구조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앨범 파일(800)은 자산에 관한 정보, 자산 #1 정보(810), 자산 #2 정보(820), ...자산 #n 정보(830)를 포함한다. 자산 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MPV 데이터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지원할 수 있는 자산 타입에 따라 MPV 데이터가 설계될 수 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단순한 스틸 이미지만 생성할 수 있다면, <mpv:still> 타입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멀티샷 스틸 이미지 또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지원할 수 있다면 <mpv:StillMultishotSequence> 또는 <mpv:StillPanoramaSequence>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음성이나 오디오를 기록하는 것을 지원한다면, <mpv:Audio>, <mpv:StillWithAudio> 타입을 이용할 수 있다.
이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모 델 사양을 나타낸다.
두 개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 모델을 가정한다. 카메라 모델 "Foo"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이고, 카메라 모델 "Bar"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이다.
모델 "Foo"는 주로 사진을 찍기 위한 카메라 모드(camera mode)를 위한 것으로, 스틸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나, 멀티샷이나 파노라마 기능은 없고, 오디오 또는 음성 데이터를 mp3 형태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주 저장 장치는 메모리 카드이다.
모델 "Bar"는 주로 찍은 사진을 프리뷰(preview)하기 위한 재생 모드(playback mode)를 위한 것으로, 스틸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 멀티샷이나 파노라마 기능도 지원한다. 그러나, 오디오 지원은 되지 않으며, 주 저장 장치는 메모리 카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동작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카메라의 파워를 온시키고(1210), 카메라가 사진 찍을 준비가 되면(1220), 사용자는 셔터를 클릭함으로써(1230), 사진을 찍는다(1240). 사진을 찍은 후에 이미지를 저장하고(1250), 이때 사용자에 의해 오디오 버튼이 클릭되면(1260), 오디오가 레코딩된다(1270). 그리고, 오디오 버튼이 해제되면(1280), 오디오 레코딩은 종료되고, 다시 카메라 준비(1220) 상태가 된다.
이때 모델 "Foo"는 DCF 네이밍 규칙에 따라 스틸 이미지를 저장한다. 그리고, 모델 "Foo"는 스틸 이미지와 오디오를 지원하기 때문에, 모델 "Foo"에서는 <mpv:Still>, <mpv:Audio>, mpv:StillWithAudio> 타입의 자산들이 이용될 수 있다. 아무것도 저장되어 있지 않고 포맷되어진 메모리 카드를 모델 Foo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삽입하여 위와 같이 한 장의 스틸 사진을 찍은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스틸 자산을 생성할 때 생성되는 디렉토리 구조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루트 디렉토리 아래에 DCIM 디렉토리가 생성되고, DCIM 디렉토리 아래에 100ABCDE라는 디렉토리가 생성되고, 여기에 스틸 이미지 SFOO0001.JPG 파일이 저장된다. 이것은 통상의 DCF에 따른 것과 동일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파일인 "index.pvm"이 루트 디렉토리에 생성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인덱스 파일(index.pvm)의 구조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인덱스 파일의 네모 박스(1400) 위 부분은 MPV 파일의 기본적인 헤더 정보에 관한 내용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네모 박스(1400)에 해당하는 부분이 생성된 자산의 정보에 관한 것이다.
생성된 스틸 이미지 자산의 정보는 도 9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자산 식별자와, 메타 데이터와 자산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스틸 자산의 식별자인 mpv:id(1401)는 스틸 이미지가 저장된 디렉토리 이름과 스틸 이미지의 파일 이름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자산의 메타 데이터는 두 개의 속성 creator와 created를 포함한다.
"creator"(1402)는 자산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스틸 이미지를 생성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모델 명을 이용하고, "created"(1403)는 자산 생성 날짜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일 시스템의 파일 속성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메타 데이터 정보로는 예로 든 자산 생성 장치나 자산 생성 날짜 뿐만 아니라 그외 자산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자산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자산 위치 정보인 LastURL(1404)은 루트 디렉토리 이하부터 표시하여 이 스틸 이미지가 저장된 위치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이제, 사용자가 음성 데이터가 추가된 또다른 사진을 찍는다고 가정한다. 오디오 데이터가 추가된 스틸 이미지는 <mpv:StillWithAudio> 타입의 MPV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3의 디렉토리 상태에서 하나의 스틸위드오디오 자산을 추가할 때의 디렉토리 구조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100ABCDE 디렉토리에 SFOO0002.JPG와 AFOO0002.mp3 파일이 추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SFOO0002.JPG와 AFOO0002.mp3 파일 추가로 인해 index.pvm에 SFOO0002.JPG와 AFOO0002.mp3 자산에 관한 정보가 추가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인덱스 파일(index.pvm)의 구조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네모 박스(1400) 아래에 스틸위드오디오 자산의 정보를 나타내는 네모 박스(1600)가 추가되어 있다.
스틸위드오디오 자산의 식별자인 mpv:id(1601)는 "SA:100ABCDE:SFOO0002"로 표시되어 있고, "creator"(1602)와, "created"(1603)가 메타 데이터의 속성으로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스틸위드오디오 자산에 포함된 스틸 자산을 참조하기 위한 StillRef(1604)와 오디오 자산을 참조하기 위한 AudioRef(1605)가 들어있다.
StillRef(1604)에 따른 자산을 찾아가보면, mpv:id가 "STILL:100ABCDE:SFOO0002"이고, 라스트유알엘이 "DCIM/100ABCDE/SFOO0002.JPG"인 자산 정보(1606)가 표시되어 있다.
AudioRef(1605)에 따른 자산을 찾아가보면, mpv:id가 "AUDIO:100ABCDE:AFOO0002"이고, 라스트유알엘이 "DCIM/100ABCDE/AFOO0002.MP3"인 자산 정보(1607)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스터 자산이라 할 수 있는 스틸위드오디오 자산에는 두 개의 종속 자산인 스틸 자산과 오디오 자산이 종속된다. 마스터 자산에 메타 데이터가 포함되기 때문에 마스터 자산의 종속 자산에는 따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이제, 마지막으로 하나의 음성 데이터로 이루어진 자산을 추가한다고 가정한다.
도 17은 도 15의 디렉토리 상태에서 하나의 오디오 자산을 추가할 때의 디렉토리 구조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100ABCDE 디렉토리에 SFOO0001.JPG, SFOO0002.JPG, AFOO0002.mp3 외에 AFOO0003.mp3 파일이 더 추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AFOO0003.mp3 파일 추가로 인해 index.pvm에 AFOO0003.mp3 자산에 관한 정보가 추가된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인덱스 파일(index.pvm)의 구조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mpv:id가 "STILL:100ABCDE:SFOO0001인 스틸 자산에 관한 정보(1400)와 mpv:id가 "SA:100ABCDE:SFOO0002"인 스틸위드오디오 자산에 관한 정보(1600) 외에 mpv:id가 "AUDIO:100ABCDE:AFOO0003"인 오디오 자산에 관한 정보(1800)가 더 추가되어 있다.
오디오 자산의 식별자인 mpv:id(1801)는 "AUDIO:100ABCDE:AFOO0003"로 표시되어 있다.
메타 데이터는, "creator"(1802)와, "created"(1803) 외에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PlayingTime(1804)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이 오디오 자산의 라스트유알엘(1805)은 "DCIM/100ABCDE/AFOO0003.mp3"로 표시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모델 Bar는 모델 FOO와 약간 다르다. 모델 Bar는 오디오 지원 기능이 없고 대신에 멀티샷과 파노라마 지원 기능이 있다. 따라서, 모델 FOO에서 이용되던 <mpv:Audio>나 <mpv:StillWithAudio> 는 필요하지 않고, 대신에 <mpv:StillMultiShotSequence> 과 <mpv:StillPanoramaSequence>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또한 멀티플 앨범 지원을 한다. 예를 들어 각 앨범은 사진들이 찍혀진 장소를 분류한다. 이것은 모델 Bar에서 "New Album" 이라는 메뉴를 더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New Album" 메뉴를 선택할 때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새로운 앨범을 생성할 것이고, 이후에 찍혀진 사진은 이 새로운 앨범에 저장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본 발명에 따른 MPV 파일 관리 방법이 구현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저장된 스틸 이미지들을 LCD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일 관리 방법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카메라의 LCD 에 출력되는 화면의 재생 모드 시나리오의 일 예이다.
스크린 A(1900)는 앨범 "Amusment Park"(1901)과 앨범 "DownTown"(1902)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첫 번째 앨범(1901)을 선택한 경우에는 스크린 B(1910)가 표시될 것이고, 사용자가 두 번째 앨범(1902)을 선택한 경우에는 스크린 D(1930)가 표시될 것이다.
스크린 B(1910)는 앨범 "Amusment Park"에 들어있는 7개의 자산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 뷰를 나타낸다. 이중 첫 번째 썸네일 M은 멀티샷 자산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첫 번째 썸네일을 선택하면, 스크린 C(1920)가 나타날 것이며, 스크린 C(1920)는 멀티샷에 속하는 스틸 이미지들을 보여준다.
스크린 C는 앨범 "DownTown"에 들어있는 이미지들의 썸네일 뷰를 나타낸다. 스크린 D의 두 번째 썸네일 P는 파노라마 자산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이 파노라마 자산을 선택하면, 스크린 E(1940)가 나타날 것이며, 스크린 E(1940)는 파노라마에 속하는 스틸 이미지들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시나리오와 같은 멀티플 앨범을 지원하기 위해 앨범 당 하나 이상의 MPV 파일들을 생성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가 아무것도 저장되지 않은 포맷된 메모리 카드를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삽입하고 사진을 찍을 때, 모델 Bar 디지틸 스틸 카메라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렉토리 구조를 생성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스틸 자산을 생성하여 앨범으로 구성할 때 생성되는 디렉토리 구조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루트 디렉토리 아래에 DCIM 디렉토리가 생성되고, DCIM 디렉토리 아래에 100ABCDE 디렉토리가 생성되며, 여기에 새로 찍은 스틸 이미지인 SFOO0001.JPG가 저장되는 것은 일반적인 DCF 룰과 동일한다. 본 발명에 따라 루트 디렉토리 안에 인덱스 파일인 index.pvm이 생성되고, 루트 디렉토리 아래에 MISC 디렉토리가 새로 생성되며, 이 MISC 디렉토리 안에 앨범 파일 album001.pvm이 저장된다.
인덱스 파일인 index.pvm은 앨범 파일을 참조하기 위한 정보인 앨범 정보를 가지고 있고, 앨범 파일인 album001.pvm은 스틸 이미지 자산 SFOO0001.JPG를 참조하기 위한 정보인 자산 정보를 가지고 있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인덱스 파일(index.pvm)의 구조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인덱스 파일은 album001.pvm을 참조하기 위한 앨범 정보 (2100)를 가지고 있다.
생성된 앨범에 대한 정보는 도 10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자산 식별자와, 메타 데이터와 자산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앨범 자산의 식별자인 mpv:id(2101)는 "ALBUM:ALBUM001"로 표시된다.
앨범 자산의 메타 데이터는 두 개의 속성 title과 creator를 포함한다.
"title"(2102)는 텍스트로 "Amusement Park"로 표시되는데, 만약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사용자 입력 장치의 성능이 좋지 않다면,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해서 텍스트인 "Amusement Park"를 입력받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내부에서 정한 임의의 명칭 즉, 앨범 1 정도로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creator"(2103)는 앨범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DSC Model Bar"가 표시된다. 메타 데이터 정보로는 예로 든 타이틀이나 앨범 생성 장치 이외에도 앨범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설계에 따른다.
앨범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앨범 위치 정보인 LastURL(2104)은 루트 디렉토리 이하부터 표시하여 이 앨범이 저장된 위치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앨범 파일(album001.pvm)의 구조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앨범 파일은 자산 SFOO0001.JPG를 참조하기 위한 자산 정보(2200)를 가지고 있다.
생성된 자산에 대한 정보는 도 10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자산 식별자와, 메타 데이터와 자산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스틸 이미지 자산의 식별자인 mpv:id(2201)는 "100ABCDE:SFOO0001"로 표시된다.
스틸 이미지 자산의 메타 데이터는 세 개의 속성 title, creator, created를 포함한다.
"title"(2202)는 텍스트로 "Amusement Park Still-1"로 표시되고, "creator"(2203)는 자산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DSC Model Bar"가 표시되며, "created"(2204)는 자산 생성 날짜를 나타낸다.
스틸 이미지 자산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자산 위치 정보인 LastURL(2205)은 루트 디렉토리 이하부터 표시하여 이 앨범이 저장된 위치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디렉토리 상태에서 두 개의 스틸 자산을 더 생성하여 앨범으로 구성할 때 나타내지는 앨범 파일(album001.pvm)의 구조도이다. 두 개의 스틸 자산이 모두 동일한 앨범에 저장되는 경우에 앨범 정보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인덱스 파일은 변경되지 않는다.
도 23을 참조하면, 앨범 파일에는 자산 SFOO0001에 관한 정보(2200)외에 자산 SFOO0002에 관한 정보(2310)와 자산 SFOO0003에 관한 정보(2320)가 더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24는 도 20에 도시된 디렉토리 상태에서 한 개의 스틸 자산을 더 생성하고, 한 개의 앨범 파일을 더 생성한 경우의 디렉토리 구조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100ABCDE 디렉토리 안에는 SFOO0004.JPG 자산이 더 저장되어 있고, MISC 디렉토리 안에는 두 번째 앨범 파일 album002.pvm이 더 생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렉토리 구조에서, 인덱스 파일인 index.pvm은 album001.pvm과 album002.pvm에 관한 정보를 가지게 되고, 앨범 파일인 album001.pvm은 자산 SFOO0001.JPG, SFOO0002.JPG, SFOO0003.JPG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album002.pvm은 자산 SFOO0004.JPG에 관한 정보를 가진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인덱스 파일(index.pvm)의 구조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인덱스 파일은 album001.pvm을 참조하기 위한 앨범 정보(2100) 외에 album002.pvm을 참조하기 위한 앨범 정보(2500)를 더 가지고 있다.
앨범 정보(2500)에서, 앨범 자산의 식별자인 mpv:id(2501)는 "ALBUM:ALBUM002"로 표시되고, "title"(2502)는 텍스트로 "Downtown"으로 표시되며, "creator"(2503)는 앨범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DSC Model Bar"가 표시된다. 또한, 앨범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앨범 위치 정보인 LastURL(2504)은 루트 디렉토리 이하부터 표시하여 이 앨범이 저장된 위치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앨범 파일(album002.pvm)의 구조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앨범 파일은 자산 SFOO0004.JPG를 참조하기 위한 자산 정보(2600)를 가지고 있다.
스틸 이미지 자산의 식별자인 mpv:id(2201)는 "100ABCDE:SFOO0001"로 표시된다.
스틸 이미지 자산의 메타 데이터는 세 개의 속성 title, creator, created를 포함한다. "title"(2602)는 텍스트로 "Downtown Still-1"로 표시되고, "creator"(2603)는 자산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DSC Model Bar"가 표시되며, "created"(2604)는 자산 생성 날짜를 나타낸다.
스틸 이미지 자산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자산 위치 정보인 LastURL(2605)은 루트 디렉토리 이하부터 표시하여 이 앨범이 저장된 위치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관리 방법을 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자산 정보들을 획득하는 수단을 가진 어떠한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도 MPV 포맷을 이용한 인덱스 파일에 자산들에 관한 정보를 넣어서 자산을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서는 멀티미디어 자산들에 관한 정보를 어떻게 관리할 지에 관해 관심이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관리 시스템을 실제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다른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어떻게 이용할지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파일 관리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 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일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같은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획득된 자산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자로 하여금 관리할 수 있게 한다.

Claims (31)

  1.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파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응용 기기에 의해 획득된 자산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MPV(MusicPhotoVideo)에 기초한 인덱스 파일을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에 관한 정보는,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와, 상기 개별 자산을 그룹화한 앨범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자산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mpv:id)와, 상기 자산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와, 상기 자산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astUR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에 관한 정보는,
    상기 앨범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mpv:id)와, 상기 앨범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와, 상기 앨범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astUR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은, 상기 앨범에 속한 하나 이상의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자산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mpv:id)와, 상기 자산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와, 상기 자산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astUR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파일은 DCF 디렉토리 구조의 루트 디렉토리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방법.
  8.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파일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용 기기에 의해 획득된 자산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MPV(MusicPhotoVideo)에 기초한 인덱스 파일을 생성 및 관리하는 파일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에 관한 정보는,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와, 상기 개별 자산을 그룹화한 앨범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자산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mpv:id)와, 상기 자산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와, 상기 자산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astUR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에 관한 정보는,
    상기 앨범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mpv:id)와, 상기 앨범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와, 상기 앨범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astUR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은, 상기 앨범에 속한 하나 이상의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자산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mpv:id)와, 상기 자산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와, 상기 자산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astUR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파일은 DCF(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 디렉토리 구조의 루트 디렉토리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장치.
  15.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응용 기기에 의해 획득된 자산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MPV(MusicPhotoVideo)에 기초한 인덱스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에 관한 정보는,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와, 상기 개별 자산을 그룹화한 앨범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자산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mpv:id)와, 상기 자산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와, 상기 자산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astUR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에 관한 정보는,
    상기 앨범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mpv:id)와, 상기 앨범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와, 상기 앨범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astUR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은, 상기 앨범에 속한 하나 이상의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자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자산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mpv:id)와, 상기 자산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와, 상기 자산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astUR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파일은 DCF 디렉토리 구조의 루트 디렉토리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22.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의 제어를 위한 파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별도의 인덱스 파일을 생성하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관리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응용기기의 저장매체의 DCF 디렉토리 구조의 루트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방법.
  24. 다수의 앨범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파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 1 앨범에 속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앨범에 속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제 1앨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제 2 앨범에 속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앨범에 속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제 2 앨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앨범과 제 2 앨범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별도의 인덱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응용기기의 저장매체의 DCF 디렉토리 구조의 루트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응용기기의 저장매체의 DCF 디렉토리 구조의 루트 디렉토리 내의 별도의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방법.
  27. 멀티미디어 파일의 제어를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획득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획득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별도의 인덱스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응용기기의 저장매체의 DCF 디렉토리 구조의 루트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
  29. 다수의 앨범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에 있어서,
    제 1 앨범에 속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및 제2 앨범에 속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획득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획득부와,
    상기 제 1 앨범에 속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제 1앨범 파일 및 상기 제 2 앨범에 속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제 2 앨범 파일을 생성하는 앨범 파일 생성부와,
    상기 제 1 앨범과 제 2 앨범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별도의 인덱스 파일을 생성하는 인덱스 파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응용기기의 저장매체의 DCF 디렉토리 구조의 루트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응용기기의 저장매체의 DCF 디렉토리 구조의 루트 디렉토리 내의 별도의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
KR1020040068031A 2004-04-02 2004-08-27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파일 관리방법, 파일 관리 장치 및 정보 저장 매체 KR100608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251839A EP1583005A3 (en) 2004-04-02 2005-03-24 File management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gital contents in multimedia appliance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therefor
BRPI0506171-7A BRPI0506171A (pt) 2004-04-02 2005-03-30 método de gerenciamento de arquivos para controle de ativos para aparelhos de multimìdia, aparelho de gerenciamento de arquivos para controle de ativos em aparelhos de multimìdia, mìdia de armazenamento de informações para controle de ativos em aparelhos de multimìdia, e método de controle de arquivos de multimìdia para controle de um arquivo de multimìdia em um aparelhos de multimìdia
PCT/KR2005/000918 WO2006004285A1 (en) 2004-04-02 2005-03-30 Fil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ssets in multimedia appliance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therefor
CNA200510059949XA CN1677401A (zh) 2004-04-02 2005-04-04 控制资源的文件管理方法和设备及其信息记录介质
US11/097,358 US20050223037A1 (en) 2004-04-02 2005-04-04 Fil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ssets in multimedia appliance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therefor
JP2005107838A JP2005327257A (ja) 2004-04-02 2005-04-04 マルチメディア応用機器における資産の制御のためのファイル管理方法、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情報保存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5854904P 2004-04-02 2004-04-02
US60/558,549 2004-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442A KR20050097442A (ko) 2005-10-07
KR100608004B1 true KR100608004B1 (ko) 2006-08-02

Family

ID=36139457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951A KR100677116B1 (ko) 2004-04-02 2004-05-24 사이클릭 레퍼런싱 방법/장치, 파싱 방법/장치 및 그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기록매체
KR1020040037257A KR100565069B1 (ko) 2004-04-02 2004-05-25 Mpv 프로파일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및 그 재생 장치
KR1020040063511A KR100765745B1 (ko) 2004-04-02 2004-08-12 엠피브이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수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KR1020040067093A KR100667762B1 (ko) 2004-04-02 2004-08-25 엠피브이 파일 파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수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KR1020040068031A KR100608004B1 (ko) 2004-04-02 2004-08-27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파일 관리방법, 파일 관리 장치 및 정보 저장 매체
KR1020040072074A KR100580197B1 (ko) 2004-04-02 2004-09-09 엘리먼트 서치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KR1020040074822A KR100580198B1 (ko) 2004-04-02 2004-09-18 트리 패스 필터링 기능을 갖는 엑스엠엘 프로세서, 트리패스 필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951A KR100677116B1 (ko) 2004-04-02 2004-05-24 사이클릭 레퍼런싱 방법/장치, 파싱 방법/장치 및 그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기록매체
KR1020040037257A KR100565069B1 (ko) 2004-04-02 2004-05-25 Mpv 프로파일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및 그 재생 장치
KR1020040063511A KR100765745B1 (ko) 2004-04-02 2004-08-12 엠피브이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수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KR1020040067093A KR100667762B1 (ko) 2004-04-02 2004-08-25 엠피브이 파일 파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수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074A KR100580197B1 (ko) 2004-04-02 2004-09-09 엘리먼트 서치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KR1020040074822A KR100580198B1 (ko) 2004-04-02 2004-09-18 트리 패스 필터링 기능을 갖는 엑스엠엘 프로세서, 트리패스 필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7) US20050223035A1 (ko)
EP (1) EP1705581A1 (ko)
JP (1) JP4885841B2 (ko)
KR (7) KR100677116B1 (ko)
CN (4) CN19508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969B1 (ko) * 2004-04-05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플레이 리스트 재생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
JP4377737B2 (ja) * 2004-04-07 2009-12-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アルバム管理方法、およびアルバム管理プログラム
KR20050099291A (ko) * 2004-04-09 200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 이름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06074517A (ja) * 2004-09-02 2006-03-16 Sony Corp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US7953733B2 (en) * 2005-04-18 2011-05-3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playback apparatus, recording/playback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275810B2 (en) * 2005-07-05 2012-09-2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aking and using abstract XML representations of data dictionary metadata
US20070016549A1 (en) * 2005-07-18 2007-01-18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system, and digital media for controlling how digital assets are to be presented in a playback device
KR100728002B1 (ko) * 2005-07-22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스트 유알아이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WO2007029921A1 (en) * 2005-07-22 2007-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last uniform resource identifier,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US7805507B2 (en) * 2006-06-22 2010-09-28 Oracle America, Inc. Use of URI-specifications in meta-data driven instrumentation
JP2009541839A (ja) * 2006-06-23 2009-11-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ジタルコンテンツメタデータの表現
US20090030952A1 (en) * 2006-07-12 2009-01-29 Donahue Michael J Global asset management
JP4948087B2 (ja) * 2006-08-23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836736B1 (ko) 2006-09-27 2008-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파서 장치 및 파싱 방법
US7836085B2 (en) * 2007-02-05 2010-11-16 Google Inc. Searching structured geographical data
KR100864537B1 (ko) * 2007-04-24 2008-10-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리 레이블을 이용한 확장성 표시 언어 문서의 질의 처리 방법, 및 그 질의 처리 장치
KR100905494B1 (ko) * 2007-09-07 2009-07-01 박수민 파일 관리 시스템 및 파일 관리를 실행하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8341165B2 (en) * 2007-12-03 2012-12-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data
US9697229B2 (en) * 2008-04-11 2017-07-04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nd storing metadata
US8176061B2 (en) * 2009-10-29 2012-05-08 Eastman Kodak Company Tracking digital assets on a distributed network
KR101110202B1 (ko) 2010-08-02 2012-02-16 (주)엔써즈 동영상 데이터들의 상호 관계에 기초한 데이터베이스 형성 방법 및 데이터베이스 형성 시스템
CN104267998B (zh) * 2014-10-13 2017-04-19 上海交通大学 基于滑动窗技术的硬件xml解析器
CN113805887B (zh) * 2020-06-15 2024-03-0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文件循环引用检测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7320A (en) * 1988-07-15 1990-08-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referential constraint enforcement in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US5430872A (en) * 1993-03-12 1995-07-04 Asymetrix Corporation Verifying multimedia linking for a multimedia presentation
WO1996017313A1 (en) * 1994-11-18 1996-06-06 Orac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xing multimedia information streams
EP0740431B1 (en) * 1995-04-28 2005-09-14 Alcatel Method for TDMA management, central station, terminal station and network system to perform this method
US7562392B1 (en) * 1999-05-19 2009-07-14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of interacting with audio and ambient music
JPH10334060A (ja) * 1997-06-02 1998-12-18 Digital Vision Lab:Kk 演算処理装置、並列分散処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JP3364420B2 (ja) * 1997-11-13 2003-01-08 富士通株式会社 分散ファイルシステムにおける統合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統合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KR100279735B1 (ko) * 1998-11-20 2001-02-01 정선종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달방법
US6597891B2 (en) 1999-04-05 2003-07-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bining online browsing and on-demand data broadcast for selecting and downloading digital content
US7042583B1 (en) * 1999-04-12 2006-05-09 Eastman Kodak Company Techniques for acquiring a parent multimedia asset (digital negative) from any of a plurality of multiply modified child multimedia assets
US6381618B1 (en) * 1999-06-17 2002-04-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synchronizing distributed versions of documents
US6549922B1 (en) * 1999-10-01 2003-04-15 Alok Srivastava System for collecting, transforming and managing media metadata
KR100327107B1 (ko) * 1999-12-13 2002-03-06 오길록 문서관리 시스템에서의 정보 재사용을 위한에스지엠엘/엑스엠엘 엔티티의 저장/복원 장치 및 그 방법
US7606746B2 (en) * 2000-04-06 2009-10-20 Jpmorgan Chase Bank, N.A. Like kind exchange system and method
US6839059B1 (en) * 2000-08-31 2005-01-04 Interactive Video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on and interaction of time-based mixed media formats
US6721736B1 (en) 2000-11-15 2004-04-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figuring a meta search engine
US20040133924A1 (en) * 2000-12-15 2004-07-08 Wilkins David C. Techniques for syncronizing any of a plurality of associated multimedia assets in a distributed system
KR20020058639A (ko) * 2000-12-30 2002-07-12 오길록 엑스엠엘 문서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20111995A1 (en) * 2001-02-14 2002-08-15 Mansour Peter M. Platform-independent distributed user interface system architecture
US20020138593A1 (en) * 2001-03-26 2002-09-26 Novak Michael J. Methods and systems for retrieving, organizing, and playing media content
KR100353688B1 (ko) 2001-04-03 2002-09-28 메타빌드주식회사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매체
US7295755B2 (en) * 2001-06-22 2007-11-13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ifying the access of metadata
KR100414406B1 (ko) * 2001-08-09 2004-01-14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문서 버전 관리가 가능한 워크플로우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문서 버전 관리 방법
KR20030038933A (ko) * 2001-11-09 2003-05-17 이승근 시간, 공간으로 연관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및 그 장치
JP3884309B2 (ja) * 2002-03-14 2007-02-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用受信装置
US9715500B2 (en) * 2004-04-27 2017-07-25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laylists
KR20040000194A (ko) * 2002-06-24 2004-01-03 오동익 문서구조정보 추출방법
US20040010752A1 (en) * 2002-07-09 2004-01-15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XML documents with XPath expressions
KR20040027050A (ko) * 2002-09-27 2004-04-01 (주)인컴아이엔씨 확장성 생성 언어 저장 및 검색방법
KR100453060B1 (ko) * 2002-11-15 200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MPV(MultiPhotoVideo) 환경하에서자산이 위치하는 경로와 파일 이름을 나타내는 라스트유알엘 복구 방법
KR100494845B1 (ko) 2002-12-21 2005-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확장성 생성 언어 기반의 메타데이터 부호화 장치 및 그방법
US7369164B2 (en) * 2003-04-11 2008-05-06 Eastman Kodak Company Using favorite digital images to organize and identify electronic albums
KR100781507B1 (ko) 2003-06-07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시 장치 및 전시 방법과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CA2528261A1 (en) * 2003-06-07 2004-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rganization and interpretation of multimedia data on a recording medium
US7286723B2 (en) * 2003-06-27 2007-10-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images
US8166053B2 (en) * 2003-10-30 2012-04-24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ma-driven XML parsing optimization
US7165216B2 (en) * 2004-01-14 2007-01-16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ng legacy and proprietary documents into extended mark-up language format
JP4301513B2 (ja) * 2004-11-26 2009-07-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ポリシーを用いたアクセス制御効果の判定方法
US20060184513A1 (en) * 2005-02-17 2006-08-17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trieving apparatus, an image retriev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0816A (zh) 2007-04-18
CN1744081A (zh) 2006-03-08
KR100765745B1 (ko) 2007-10-15
KR20050097446A (ko) 2005-10-07
CN1677384A (zh) 2005-10-05
CN1906582A (zh) 2007-01-31
US20070198590A1 (en) 2007-08-23
KR100580198B1 (ko) 2006-05-16
US20050223036A1 (en) 2005-10-06
EP1705581A1 (en) 2006-09-27
KR20050097440A (ko) 2005-10-07
JP2007534056A (ja) 2007-11-22
CN100545810C (zh) 2009-09-30
KR20050097434A (ko) 2005-10-07
KR100677116B1 (ko) 2007-02-02
US20050223035A1 (en) 2005-10-06
KR100667762B1 (ko) 2007-01-11
US20050223017A1 (en) 2005-10-06
US7415451B2 (en) 2008-08-19
KR20050097442A (ko) 2005-10-07
KR20050097428A (ko) 2005-10-07
CN1950816B (zh) 2010-05-05
JP4885841B2 (ja) 2012-02-29
US20070198574A1 (en) 2007-08-23
KR100565069B1 (ko) 2006-03-30
US20050223038A1 (en) 2005-10-06
KR100580197B1 (ko) 2006-05-16
KR20050097444A (ko) 2005-10-07
US20050223037A1 (en) 2005-10-06
KR20050097429A (ko) 200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8004B1 (ko) 멀티미디어 응용 기기에서 자산의 제어를 위한 파일 관리방법, 파일 관리 장치 및 정보 저장 매체
CN1992857B (zh) 图像记录设备和方法
KR100607969B1 (ko) 멀티미디어 플레이 리스트 재생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
US20020180803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multimedia content
EP1583005A2 (en) File management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gital contents in multimedia appliance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therefor
US20040263644A1 (en) Electronic apparatus, directory generating method, directory rea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478566B2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をリンク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02023898A1 (fr) Dispositif et procede d&#39;enregistrement/reproduction d&#39;images, disque et dispositif de reproduction d&#39;images
JP2004350042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5252854B2 (ja) アダプ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453060B1 (ko) MPV(MultiPhotoVideo) 환경하에서자산이 위치하는 경로와 파일 이름을 나타내는 라스트유알엘 복구 방법
RU23249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данных, объединенных с текстом, и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содержащий программу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CN100492512C (zh) 记录设备、再现设备、记录方法、再现方法及其记录介质
RU23454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фотоданных и видеоданных
EP1489616A1 (en) Method of generating a multimedia disc
JP2008530717A (ja)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及び記録媒体
JP3821020B2 (ja) 記録方法、記録装置、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伝送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37355B2 (ja) リムーバブル記録媒体
JP4892162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生産方法
KR100678884B1 (ko) 텍스트 데이터가 결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시 장치 및전시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기록매체
JP2004342302A (ja) 光記憶媒体の専用位置に格納されるメニューアイテムデータに関連する付加データを格納するための方法及びメニューアイテムデータ及びこのメニューアイテムデータに関連する付加データを有するメニュー関連データを格納又は光記憶媒体から検索するための装置
JP2011130219A (ja) 映像記録装置および映像再生装置
JP5299043B2 (ja) 映像記録再生装置、映像記録再生方法、映像記録再生プログラム
KR100678885B1 (ko) 이미지 및 비디오 데이터 전시 장치 및 전시 방법과 상기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5240014B2 (ja) 映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