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592B1 - 차량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592B1
KR100601592B1 KR1020040065429A KR20040065429A KR100601592B1 KR 100601592 B1 KR100601592 B1 KR 100601592B1 KR 1020040065429 A KR1020040065429 A KR 1020040065429A KR 20040065429 A KR20040065429 A KR 20040065429A KR 100601592 B1 KR100601592 B1 KR 100601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light guide
guide plate
light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896A (ko
Inventor
스즈키류우지
키무라사토시
쿠라하시히카루지
Original Assignee
덴소풍성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소풍성전자(주) filed Critical 덴소풍성전자(주)
Publication of KR20050025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도광판의 형상을 연구를 거듭하여 경사 명(斜名)을 눈에 띄지 않게 함으로써 양호한 시야를 갖는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도광판(3)의 문자반(2)쪽 표면에 직선 모양으로 늘어나는 요철인 볼록나온 부분(31) 및 들어간 부분(32)를 만들고, 이러한 요철의 길이 방향을 문자반(2) 위의 배경 부분에서의 잉크 층의 후막부(21) 및 박막부(2)에 의한 호막 모양의 길이 방향(A)과 직접 교차시켰다.
이에 따라 문자반(2)에서의 잉크 층의 호막 모양을 도광판(3)으로부터의 조명광의 호막 모양에 의하여 섬세하게 분단(分斷)하고, 수많은 섬세하고 밝은 점을 형성하고, 문자반(2)의 배경 부분을 균일한 밝기로 발광 표시되도록 보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문자반, 호막 모양, 도광판, 도광체, 콤비네이션 메터

Description

차량용 표시장치{Combination meter for Car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의 단면도이며, 도 1에 있는 Ⅱ - 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의 도광판(3) 의 정면도이며, 도 2에 있는 Ⅲ 시시도(矢視圖)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의 도광판(3)의 단면도이며, 도 3에 있는 Ⅳ - 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의 전기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의 변형 예의 도광판(3)의 단면도이며, 도 3에 있는 ⅠV-ⅠV선 단면도에 상당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콤비네이션 메터(차량용 표시 장치) 2. 문자반
21. 후막부 22. 박막부
2b. 문자부 2c. 관통 구멍
3. 도광판 31. 볼록 나온 부분(요철부)
32.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요철부) 3a. 관통 구멍
4. 발광 다이오드(광원) 5. 프린트 기판
6. 구동부 6a. 샤프트
7. 지침 8. 발광 다이오드
9. 도광체 10. 케이스
11. 면지판 12. 투명커버
13. 차광 캡 14. 제어회로
15. 이그니션 스위치 16. 밧데리
17. 속도센서 A. 방향
본 발명은 차량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자동차에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종래의 자동차용 표시장치로는, 예를 들어 투명한 아크릴 수지판 등으로 이루어진 눈금이나 숫자 등이 형성된 문자반과 문자반의 뒷 쪽에 겹쳐지게 배치된 도 광판과 도광판 뒤쪽 도광판에 빛을 입사(立射)가능하게 배치된 광원을 갖추고 있다.
문자반의 눈금이나 숫자 등은 눈금이나 숫자 등 이외의 배경부분에 불투명 착색층을 인쇄 등으로 만들고, 동시에 눈금이나 숫자 등에 투광석 착색층을 만들거나 투명한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고 있다.
또한 도광판은 입사된 광원으로부터 빛을 확산 반사해서 문자반의 눈금이나 숫자 등으로 유도하여 이러한 것을 투과조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3 - 90743호 참조).
또한 앞에서 기술한 종래의 자동차용 표시장치에서는 문자반의 배경부분에 불투명 착색층을 만들어서 배경부분은 투과조명되지 않지만, 배경 부분에 투광성 착색층을 만들어서 배경 부분도 투과 조명되는 구성으로 한 것도 있다.
이 경우, 배경 부분도 투과조명에 의하여 발광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용 표시장치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문자반에 대한 착색층 형성은 일반적으로 스크린 인쇄에 의존하고 있다.
그렇지만 위에 기술한 차량용 표시장치에서 스크린 인쇄에 의하여 문자반 표면에 착색층을 만들게되면 착색층에 호막(縞膜) 모양이 발생한다.
이것은 문자반에서 스크린 인쇄를 할 때에 스크린 섬유가 접촉된 부분은 착색층이 두꺼워지고, 스크린의 섬유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은 착색층이 엷어지는것에 기인한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문자반에 대한 스크린 인쇄를 호막 모양이 운전자가 보았을 때 비스듬하게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호막 모양을「경사목」이라고 한다.
이러한 호막 모양은 불투명 착색층이 만들어진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문자반에 입사하는 바깥 빛에 조사(照射)되어서 운전자에 의하여 인식된다.
또한, 투광성 착색층이 만들어진 경우에는 광원에 투과 조명되어서 호막 모양이 휘도의 고저(高低)로써 운전자의 눈으로 인식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래 있어야할 배경 부분에 호막 모양이 인식되기 때문에 차량용 표시장치의 선명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비추어서 개발한 것이며, 도광판의 형상에 연구를 거듭해서 경사(斜)를 눈에 띄지 않게 함으로써 양호한 시야를 갖는 차량용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기술적인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장치는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진 문자반과 문자반의 뒤쪽 면에 배치되어 있는 광원과,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진 문자반의 뒤쪽 면에 겹쳐지게 설치된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문자반을 투과 조명하 는 도광판을 갖추고, 문자반에는 스크린 인쇄가 설치되며, 도광판의 문자반쪽 또는 문자반과 반대측 표면에는 직선 모양으로 퍼지는 요철(凹,凸)이 형성되며, 도광판 요철의 긴 방향은 스크린 인쇄의 착색층 두께의 불균일로 인하여 문자반 위에 발생하는 호막모양의 긴 방향과 교차하는 구성으로 했다.
종래의 차량용 표시장치의 도광판은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확산 반사하면서 문자반으로 유도되어 문자반을 투과조명하면, 문자반의 발광 휘도가 문자반 전역에서 균일하게 되도록 그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말하면 도광판 전체가 면 모양으로 균일 조도로 발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지재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장치의 도광판에서는 직선 모양으로 번지는 요철 부분의 반사에 의하여, 도광판 전체가 면 모양으로 균일하게 발광하는 것이 아니라 호막 모양으로 발광한다.
즉 도광판의 발광면은 직선 모양으로 번지는 휘도가 높은 부분과 휘도가 낮은 부분이 상호 교차하듯이 배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도광체에 투과조명되는 문자반 위에도 명암의 호막 모양이 형성되어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장치에서는 스크린 인쇄에 의하여 문자반 위에서 발생하는 호막 모양과 도광체에 의하여 문자반 위에 형성된 명암의 호막 모양이 교차되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린 인쇄에 의하여 문자반 위에서 발생하는 호막 모양이 도광체에 의하여 문자반 위에 형성되는 명암의 호막 모양에 의하여 분단되므로, 호막 모양으로는 인식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서 스크린 인쇄에 의하여 문자반 위에서 발생하는 호막 모양, 즉 경사 명을 눈에 뜨지 않게 함으로써 양호한 시야를 갖는 차량용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장치는 도광판 요철이 긴 방향은, 문자반 위의 호막 모양의 긴 방향과 직접 교차하도록 설정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서 분단된 호막 모양의 요소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목(斜目)을 선명하게 눈에 띄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장치는, 도광판의 전기(前記) 요철이 설치되는 범위는 문자반의 스크린 인쇄가 설치되는 범위를 덮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스크린 인쇄에 의하여 문자반 위에서 발생하는 호막 모양을 도광체에 의하여 문자반 위에 형성되는 명암의 호막 모양에 의하여 확실하게 분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사 명을 확실하게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표시장치를 자동차에 탑재되는 콤비네이션 메터(1)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하여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의 정면도이며, 도 1에서는 상하 방향이 자동차의 상하 방향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의 단면도이며, 도 1에 있는 Ⅱ - Ⅱ선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좌측이 운전석 측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의 도광판 정면도이며, 도 2에 있는 Ⅲ 시시도(矢視圖)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의 도광판의 단면도이며, 도 3에 있는 Ⅳ - 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의 전기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차량용 표시장치인 콤비네이션 메터(1)은 자동차의 운전석 앞쪽에 배치되어 해당 자동차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은 도 1에서 표시하듯이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지시하는 속도계를 형성하고 있다.
콤비네이션 메터(1)은 정보를 표시하고 운전자에게 눈으로 인식되도록 하기 위한 문자반(2)를 갖추고 있으며, 도 2에서는 좌측에서 운전자에게 인식된다.
문자반(2)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면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판재료로 형성되고, 속도계로써 눈금부(2a), 숫자부(2b) 및 문자부(2c)가 형성되어 있다.
즉, 문자반(2)의 운전자측 표면(도 2에서의 좌측 표면)에 눈금부(2a), 숫자부(2b) 및 문자부(2c)를 빛이 투과 가능한 상태(예를 들면 투명한 상태)로 하면서 눈금부(2a), 숫자부(2b) 및 문자부(2c) 이외의 배경 부분을 반투광성 착색층을 스크린 인쇄를 실시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즉, 문자반(2)의 표면에서 눈금부(2a), 숫자부(2b) 및 문자부(2c) 이외의 배경 부분에는 반투광성 착색층인 잉크층이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눈금부(2a), 숫자부(2b) 및 문자부(2c) 는 문자반(2)의 뒷면 쪽(도 2의 우측)에 배치된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4)가 점등되면, 발광 다이오드(4)가 발하는 빛에 의하여 투과 조명되며, 발광 다이오드(4)의 발광색에 의하여 발광 표시된다.
한편, 문자반(2)의 눈금부(2a), 숫자부(2b) 및 문자부(2c) 이외의 배경 부분은 발광 다이오드(4)가 발하는 빛에 의하여 투과 조명되며, 반 투광성 착색층의 색상에 의하여 발광 표시된다.
또한 문자반(2)의 중앙부에는 뒤에 기술하는 구동부(6)의 샤프트(6a)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2d)이 만들어져 있다.
그런데 문자반(2)의 스크린 인쇄를 한 경우, 이 잉크 층의 두께는 균일하게 되지 않고 잉크 층 두께가 후막부(厚膜部)(21) 및 잉크 층 두께가 엷은 박막부(薄膜部)(22)가 형성된다.
이러한 후막부 및 박막부(22)는 스크린 직목(織目)에 기인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나있듯이 문자반(2)위의 스크린 직목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호 교차하는 호막 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에서는 알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 거친 호막 모양으로 그려져있지 만, 실제로는 보다 섬세한 막으로 이루어져있다.
문자반(2)의 뒷쪽(도 3의 우측)에는 도광판(3)이 도 2와 같이 문자반(2)에 겹치게 배치되어 있다.
도광판(3)은 투광성 재료, 예를 들면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으로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3)에 입사한 발광 다이오드(4)로부터의 빛은 도광판(3) 내에서 확산 반사되면서 문자반(2)쪽으로 이끌리고, 도광판(3)의 문자반(2)쪽의 표면에서 문자반(2)로 향하여 출사(出射)한다.
즉, 도광판(3)은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4)로부터의 빛에 의하여 균일한 휘도로 면 모양으로 발광하며, 이 빛에 의하여 문자반(2)의 눈금부(2a), 숫자부(2b) 및 문자부(2c) 및 그러한 배경 부분이 투과조명되어 발광 표시된다.
또 도광판(3)의 문자반(2)쪽의 표면에는 도 3에 나타나있듯이 직선 모양으로 퍼지는 요철(凹,凸)인 볼록 나온 부분(31) 및 들어간 부분(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철부분인 볼록 나온 부분(31) 및 들어간 부분(32)는, 도광판(3)의 거의 전역에 만들어지고, 따라서 문자반(2)의 운전자가 눈으로 인식되는 범위, 즉 도 1에서 보이는 부분을 완전하게 덮고 있다.
이러한 튀어나온 부분(31) 및 들어간 부분(32)의 긴 방향은 문자반(2) 위에 형성되는 호막 모양의 긴 방향, 즉, 후막부(21) 및 박막부(22)의 긴 방향(도 3에서 화살표 표시 A로 나타낸 방향)과 직교(直交)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3)의 중앙부분에는 뒤에 기술하는 구동부(6)의 샤프트(6a)를 삽 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3a)이 만들어져 있다.
문자반(2)의 뒷쪽(도 3의 우측)에는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4)가 배치되어 있다.
발광 다이오드(4)는 그림(2)에 나타나 있듯이 도광판(3)의 뒤쪽(도 2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5) 위에 장착되어 있다.
또 발광 다이오드(4)의 개수는 도 2에서는 1개로 되어 있지만, 문자반(2)의 눈금부(2a), 숫자부(2b) 및 문자부(2c)를 발광 표시할 때의 밝기가 소정의 밝기이면서 균일한 밝기가 되도록 개수 및 실제 장착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5)은 예를 들어서 글래스 에폭시 기판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콤비네이션 메터(1)의 전기회로부를 형성하고 있다.
프린트 기판(5) 위에는 그림(2)에 나타나있듯이 뒤에 기술하는 지침(7)을 발광 표시 시키기 위한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8)이 장착되어 있다.
또 프린트 기판(5)에는 발광 다이오드(8)이 발하게되는 빛을 지침(7)로 입사 되도록 하기 위한 도광판(9)이 발광 다이오드(8)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광체(9)는 도광판(3)과 마찬가지로 투광성 재료, 예를 들면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프린트기판(5) 위에는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외부로부터의 전기 신호(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메터(1)에서는 차 속도 신호)에 대응한 각도만큼 지침 축인 샤프트(6a)를 회전시키는 회동내기(回動內機)인 구동부(6)가 장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5)에는 구동부(6)를 구동하고 자동차의 작동 상태에 대응한 발광 다이오드(4)(8)의 점등ㆍ소등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14)이 장착되어 있다.
제어회로(14)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동내기(回動內機)인 구동부(6)는 예를 들면 교차 코일식 엑튜에이터(actuator유압이나 전동 모터에 의하여 에너지를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장치) 또는 스테핑 모터 등으로 구성되며, 외부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대응한 각도만큼 지침 축인 샤프트(6a)를 회전 시키고 있다.
구동부(6)의 샤프트(6a)는 문자반(2)의 관통 구멍(2d)를 통과하여 앞 방향, 즉, 도 2의 좌측으로부터 나오게되고, 그 끝에는 지침(7)이 고정되어 있다.
지침(7)은 투광성 재료인 아크릴 수지 등으로 형성되며, 그 아래 면, 즉 운전자와 반대측 표면에는 확산반사층(도면에 표시 하지 않음)으로 하였다.
예를 들면 시보면(금속 표면에 막을 형성하게 하는 금속 미세 가공의 종류)이나 도장면을 형성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서 지침(7)은 도광체(9)에 의하여 지침(7) 내로 입사한 발광 다이오드(8)가 발하는 빛이 위에 기술한 확산 반사층에서 반사하여 발광 표시된다.
또 지침(7)에는 차광 캡(13)이 장착되어 있다.
차광 캡(13)은 예를 들면 차광성을 갖는 수지 또는 금속판 등으로 형성되며, 발광 다이오드(8)로부터 빛이 직접 운전자의 눈에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문자반(2), 도광판(3), 프린트 기판(5), 구동부(6) 등은 케이스(10) 내에 수용 고정되어 있다.
또한 문자반(2)의 표면에는 틀 모양의 판(11)을 통하여 투명 커버(16)가 장착되어있다.
투명 커버(12)는 투명한 수지의 박 판 또는 글래스 판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의 전기회로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도 5를 기본으로 설명하겠다.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제어회(14)로에는 밧데리(16)에서 전력이 항상 공급되고 있다.
또 제어회로(14)에는 이그니션(ignition)스위치(15)가 그 작동 상태(ON 또는 OFF)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회로(14)에는 해당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속도센서(17)가 검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회로(14)에는 발광 다이오드(4),(8) 및 구동부(6)가 접속되어 있다.
운전자에 의하여 이그니션 스위치(15)가 ON되어서 자동차가 작동 상태가 되면, 제어회로(14)는 이그니션 스위치(15)가 ON상태로 있다는 것을 검지하고 발광 다이오드(4)(8)를 점등시킨다.
이에 따라서 문자반(2) 위에서 눈금부(2a), 숫자부(2b) 및 문자부(2c)가 발광 다이오드(4)로부터의 빛에 의하여 투과 조명되어서 발광 표시됨과 동시에 지침(7)이 발광 다이오드(8)로부터의 빛에 의하여 발광 표시된다.
또 제어회로(14)는 속도센서(17)로부터 검출신호를 기준으로 구동부(6)를 구 동시켜서 샤프트(6a)를 소정의 각도, 즉 해당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지시하는 각도까지 회전시킨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의 특징인 도광판(3)의 구성 및 눈에 의한 인식 향상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종래의 차량용 표시장치, 즉 도광판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문자반이 도광판에 의한 광원으로부터의 빛에 의하여 투과 조명되면, 잉크층의 박막부의 발광 조도는 잉크층의 후막부의 발광 조도보다 높아진다.
바꾸어 말하면 박막부는 후막부보다 눈에 밝게 인식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콤비네이션 메터를 봤을 때, 문자반의 배경 부분의 거의 전역에 명암의 호막 모양이 인식되어 버리기 때문에, 콤비네이션 메터의 선명도가 저하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에서는, 도광판(3)의 문자반(2)쪽 표면에 직선 모양으로 늘어나는 요철(凹,凸)인 볼록 나온 부분(31) 및 들어간 부분(32)를 만들었다.
이러한 것들의 요철의 긴 방향은 문자반(2)위의 배경 부분인 잉크 층의 후막부(21) 및 박막부(22)에 의한 호막 모양의 긴 방향(A)과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3)은 발광 다이오드(4)의 빛으로 문자반(2)쪽의 표면이 면모양으로 발광하는 발광면이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에서의 도광판(3)의 발광면의 발광 휘도는 볼록 나온 부분(31) 및 들어간 부분(32)에서의 빛의 굴절 작용에 의하여 균일하게 되지 않고, 볼록 나온 부분(31) 및 들어간 부분(32)로 이루어진 요철의 긴 방향으로 늘어나는 발광 휘도가 높은 부분과 발광 휘도가 낮은 부분이 상호 교차하며, 나란히 명암의 호막 모양이 된다.
그러므로 문자반(2)은 이러한 도광판(3)으로부터 명암의 호막 모양의 빛에 의하여 투과 조명된다.
또한 도광판(3)으로부터의 조명광 호막 모양의 긴 쪽 방향은, 문자반(2)에서의 잉크 층의 호막 모양의 긴 쪽 방향(A)과 직접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말하면 도광판(3)으로부터의 조명광의 호막 모양과 문자반(2)의 잉크 층의 호막 모양에 의하여 격자호(格子縞)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문자반 배경 부분에 있어서는 문자반(2)에서의 잉크 층의 호막 모양이 도광판(3)으로부터의 조명광의 호막 모양에 의하여 섬세하게 분단된다.
바꾸어말하면 문자반(2)의 배경 부분에 섬세하고 밝은 점이 균일한 분포 밀도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것을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자세에서 눈으로 인식하면, 문자반(2)의 배경부분에서의 섬세하고 밝은 점은 점으로 인식되지 않고, 배경 부분이 균일한 밝기로 발광 표시되는 것처럼 보인다.
즉, 종래의 자동차용 표시장치에서의 문자반의 배경 부분에 보이는 명암의 호막 모양을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고, 양호한 선명도의 시야를 갖는 콤비네이션 메터(1)을 제공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에서는 문자반(2)의 눈금부(2a), 숫자부(2b) 및 문자부(2c)도 도광판(3)으로부터 명암의 호막 모양의 빛에 의하여 투과 조명된다.
그러나 눈금부(2a), 숫자부(2b) 및 문자부(2c)에 있어서는 명암의 호막 모양을 거의 보이지 않게 하고, 균일한 밝기로 발광되고 있는 것처럼 눈에 인식 된다.
또한 위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에서는, 도광판(3)의 볼록 나온 부분(31) 및 들어간 부분(32)을 문자반(2)쪽에 형성시키고 있지만, 이것을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문자반(2)과 반대측 표면에 만들어도 좋다.
또 도광판(3)에 형성된 요철 형상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형상, 즉 도 4에서 나타내는 형상으로 한정지을 필요는 없으며, 문자반(2)의 스크린 인쇄에 의한 잉크 층의 후막부(21) 및 박막부(22)의 피치 크기에 대응해서 그것을 눈에 뜨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최대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에 있어서 문자반(2)의 눈금부(2a), 숫자부(2b) 및 문자부(2c)에는 인쇄 등을 하지 않고 투명한 상태로 되어 있는데, 눈금부(2a), 숫자부(2b) 및 문자부(2c)에 배경 부분과는 다른 색상의 반투광성 착색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눈금부(2a), 숫자부(2b) 및 문자부(2c)는 그러한 것에 있는 반투광성 착색층 색으로 발광 표시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 (1)에는 문자반(2) 조명용 광원으로써 발광 다이오드(4)를 이용하고 있는데, 발광 다이오드(4)에 한정할 필요 없이 다른 종류의 광원, 예를 들면 전구, 방전관, 디판넬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콤비네이션 메터(1)에는 문자반(2) 위의 계기를 속도계로 하고 있는데, 속도계에 한정지을 필요는 없으며 다른 계기 예를 들면 엔진 회전수를 지시하는 타코메터, 수온계, 연료잔량계, 전압계 등과 교체하거나 추가해도 좋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표시장치에 있어서, 도광판의 형상에 경사를 눈에 띄지 않게 함으로써 양호한 시야 확보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진 문자반과, 전기(前記) 문자반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광원과,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진 전기 문자반의 뒤쪽 면에 겹치게 배설되어 있는 전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으로 전기 문자반을 투과 조명하는 도광판을 준비하고, 전기 문자반은 스크린 인쇄가 설치되어, 전기 도광판의 전기 문자반측 또는 전기 문자반과 반대측 표면에는 직선 모양으로 늘어나는 요철(凹,凸)이 형성되며, 전기 도광판의 전기 요철 직사각형 방향은 전기 스크린 인쇄의 착색층 두께의 불균일로 인하여 전기 문자반 위에 발생하는 호막 모양의 직사각형 방향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도광판의 전기 요철 직사각형 방향은, 전기 문자반 위의 전기 호막 모양의 직사각형 방향과 교차하듯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도광판의 전기 요철이 설치된 범위는, 전기 문자반의 전기 스크린 인쇄가 설치되는 범위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KR1020040065429A 2003-09-08 2004-08-19 차량용 표시장치 KR100601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15697A JP2005083871A (ja) 2003-09-08 2003-09-08 車両用表示装置
JPJP-P-2003-00315697 2003-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896A KR20050025896A (ko) 2005-03-14
KR100601592B1 true KR100601592B1 (ko) 2006-07-14

Family

ID=3441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429A KR100601592B1 (ko) 2003-09-08 2004-08-19 차량용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083871A (ko)
KR (1) KR100601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1253A2 (ko) * 2008-06-09 2009-12-17 Choi Jaegu 자동차 계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840B1 (ko) * 2016-09-06 2017-04-13 김주영 싸인보드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1253A2 (ko) * 2008-06-09 2009-12-17 Choi Jaegu 자동차 계기판
WO2009151253A3 (ko) * 2008-06-09 2010-03-11 Choi Jaegu 자동차 계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896A (ko) 2005-03-14
JP2005083871A (ja) 200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85858A (ja) 車両用指針計器
KR100601685B1 (ko) 차량용 표시장치
JP4977403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5045403B2 (ja) 指針計器
KR100660673B1 (ko) 차량용 표시장치
JP4984847B2 (ja) 表示装置
JP4186910B2 (ja) 表示装置
KR100601592B1 (ko) 차량용 표시장치
JP4175308B2 (ja) 車両用指針計器
JP2007132818A (ja) 車両用指針計器
JP4858228B2 (ja) 指針計器
JP4218604B2 (ja) 車両用指針計器
JP4075843B2 (ja) 車両用指針計器
JP4933069B2 (ja) 車両用指針計器
JP4228977B2 (ja) 表示装置
JP4259480B2 (ja) 車両用計器
JP2005061924A (ja) 車両用指針計器
JP4265514B2 (ja) 車両用指針計器
JP5018350B2 (ja) 車両用計器
JP2005345287A (ja) 指針計器
JP2007304066A (ja) 車両用指針計器
JP4684596B2 (ja) 光透過発光式指針
JP2007256194A (ja) 車両用指針計器
JP4655876B2 (ja) 車両用指針計器
JP2004226363A (ja) 車両用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