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754B1 -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의 단자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의 단자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754B1
KR100599754B1 KR1020040049417A KR20040049417A KR100599754B1 KR 100599754 B1 KR100599754 B1 KR 100599754B1 KR 1020040049417 A KR1020040049417 A KR 1020040049417A KR 20040049417 A KR20040049417 A KR 20040049417A KR 100599754 B1 KR100599754 B1 KR 100599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terminal
press tube
cap assembly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520A (ko
Inventor
김재경
전상은
유석윤
윤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9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754B1/ko
Priority to US11/168,926 priority patent/US7842416B2/en
Priority to JP2005190262A priority patent/JP2006019292A/ja
Priority to CNB2005100798578A priority patent/CN100334748C/zh
Publication of KR20060000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의 캡 플레이트와 외부 단자와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며 상기 전극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가 구비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에 형성되는 외부 단자 관통구멍 상에 형성되어 외부 단자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는 프레스관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캡 플레이트, 프레스관, 단자, 돌기, 가스켓, 오링

Description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의 단자 조립 방법{SECONDARY BATTERY AND CAP ASSEMBLY OF SECONDARY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캡 조립체의 단자 설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에 단자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단자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의 단자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 최근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 기기에 사용되고,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의 경우에는 상기 전지 셀을 수십 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 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으며, 띠 상의 양,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이를 와류 상으로 감아 전극군(또는, 젤리롤)을 형성하거나, 양극판과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복수개로 적층하여 전극군을 형성한 후 이를 케이스에 내장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에 외부 단자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설치하여 전지를 구성한다.
이와같이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는 전극군의 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단자가 구비되며 캡 조립체와는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조립되는 데, 종래 기술의 경우 외부 단자를 캡 조립체에 조립하는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에 소요되는 부품이 많아 이차 전지의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이차 전지의 경우 캡 조립체를 구성하는 캡 플레이트 상에 단자 설치를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외부단자는 그 단부에 플렌지가 형성된 구조로, 캡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에는 절연을 위한 패킹과 오링이 장착되어 캡 플레이트와 외부 단자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과 기밀성을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으로 관통되어 돌출된 외부 단자에는 외측으로부터 와셔가 끼워짐과 동시에 제1너트와 제2너트가 체결된 구조로 되어, 너 트를 조임에 따라 너트와 단자의 플랜지와 와셔가 패킹과 오링을 가압하는 것으로 실링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외부 단자 조립 구조는 캡 플레이트와 외부 단자와의 기밀 유지를 위해 패킹부재나 오링 그리고 와셔와 너트 등 많은 부품이 소요되므로 이차 전지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많은 부품을 조립하여 캡 플레이트에 외부 단자를 설치해야 하므로 조립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부품이 조립되어 캡 플레이트에 대해 외부 단자의 기밀을 유지시키게 되므로 일 부품의 이상이나 조립 불량이 발생할 소지가 높고 이에 따라 캡 플레이트와 외부 단자 사이로 누수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 전지의 캡 플레이트와 외부 단자와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의 단자 조립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차 전지의 캡 플레이트와 외부 단자와의 결합을 위해 소요되는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이차 전지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의 단자 조립 방법을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외부단자에 캡 조립체를 프레스하여 조립함을 그 요지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며 상기 전극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가 구비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에 형성되는 외부 단자 관통구멍상에 상기 외부 단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외부 단자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는 프레스관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프레스관이 외부 단자의 외주면에 눌려져 밀착됨으로써 두 부재 사이의 기밀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관은 캡 조립체를 이루는 캡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스관은 상기 단자의 단면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캡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그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외부 단자는 케이스 내측에 위치하는 하단에 외주면을 따라 플랜지가 더욱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프레스관과 접하는 외주면을 따라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는 원호형태의 단면구조로 외부 단자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 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스관을 가압하게 되면 외부 단자에 형성된 돌기부분이 프레스관과 더욱 기밀하게 압착되면서 기밀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프레스관과 외부 단자 사이에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부재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는 가스켓 또는 프레스관과 외부 단자 사이에 주입되어 경화되는 폴리머 등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원통형 실린더구조로 상기 프레스관에 끼워져 상기 프레스관 내주면에 위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은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프레스관의 상단 및 캡 플레이트와 외부단자의 플랜지 사이에 놓여지는 플랜지가 더욱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는 외부 단자의 외주면에 오링이 더욱 설치되어 상기 프레스관과 외부 단자 사이에 가압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는 전극군이 젤리롤 형태로 감겨 각형 또는 원통형 케이스에 설치되는 각형 또는 원통형 구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는 HEV용 이차 전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는,
단차 가공된 설치 구멍을 갖는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전극군과 전기적으 로 연결되는 양,음극단자,
상기 캡 조립체에 형성되는 외부 단자 관통구멍상에 상기 외부 단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외부 단자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는 프레스관
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캡 조립체에 외부 단자를 조립하기 위하여 캡 조립체를 이루는 캡 플레이트 상에 단자 조립을 위한 프레스관을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스관으로 외부 단자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프레스관 외측에서 프레스관을 가압 형성하여 외부 단자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 조립체의 단자 조립 방법은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프레스관 내주면에 가스켓을 삽입설치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단자를 프레스관으로 삽입하기 전에 외부 단자 외주면에 외주면을 따라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단자를 프레스관으로 삽입하기 전에 상기 외부 단자 외주면에 오링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캡 조립체의 단자 설치 구조를 상세하 게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에 단자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캡 조립체를 이루는 캡 플레이트 상에 외부 단자인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설치된 각형의 이차 전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전지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차 전지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이차 전지는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10)과, 상기 전극군(10)이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20),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캡 조립체(30)를 포함하며, 상기 캡 조립체(30)는 상기 케이스(20)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케이스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31), 상기 양,음극판과 탭(15)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31)에 조립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음극단자(16,17), 상기 캡 플레이트(31)에 형성된 양,음극단자 관통구멍(32)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각 단자(16,17)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프레스관(33)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구멍(32)으로 각 단자를 관통하여 프레스관(33)에 단자(16,17)를 끼운 후 프레스관(33)의 외측면을 프레스(P)로 눌러 주게 되면 프레스관(33)이 단자(16,17)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면서 단자가 캡 플레이트(31)에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 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제작되고, 그 형상은 전극군(10)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부를 가진 육면체의 각형 또는 원통형이나 그 이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각형의 이차전지로 양극단자(16)와 음극단자(17)가 동일면에 배치된 구조를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군(10)은 각각의 활물질이 집전체에 코팅되어 구성된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상태에서 이들이 와류상으로 감겨 형성된 젤리롤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양극판의 무지부(11a)와 음극판의 무지부(12a)가 세퍼레이터(13)를 기준으로 세퍼레이터의 폭방향 즉, 전극군(10)의 양단에 대향 배치되어, 케이스(20)를 수직으로 세워 캡 조립체(30)가 상,하방향으로 놓여졌을 때를 기준으로 케이스(20)의 양 측면에 전극군(10)의 무지부(11a,12a)가 위치할 수 있도록 내장설치되며, 전극군(10)의 양단의 무지부(11a,12a)에 각각 설치되는 탭(15)(또는 집전판)을 매개로 캡 조립체의 양,음극단자(16,17)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프레스관(33)은 각 단자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캡 플레이트(31)의 관통구멍(32) 상에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캡 플레이트(31)의 외측면에서 외측을 향해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스관(33)의 내경은 각 단자가 충분히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프레스(P)에 의해 눌려져 내경이 축소되어 전면이 고르게 단자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정도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양극단자(16)와 음극단자(17)는 상기 프레스관(33)을 지나 외부 로 노출되는 상단부에는 수나사가 가공되며, 캡 플레이트(31)의 내측에 위치하는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플랜지(18)가 형성되어 관통구멍(32)을 통해 단자가 캡 플레이트(31)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프레스관(33)과 접하는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환형태로 돌기(19)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돌기(19)는 원호형태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프레스(P)에 의해 프레스관(33)이 단자에 가압 밀착시 단자(16,17)에 형성된 돌기(19)에 의해 프레스관(33)의 내주면이 눌려지면서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어 두 부재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 단자에 형성된 돌기(19)는 프레스관(33)과 밀착되면서 프레스관(33)에 대해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관(33)의 외측에 놓여져 상기 프레스관(33)을 가압하는 프레스(P)는 상기 단자(16,17)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9)와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돌기(19)와 대응되는 홈(H)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스로 프레스관(33)을 가압하게 되면 프레스관(33)은 단자의 돌기(19)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전체적으로 돌기(19)가 형성된 단자(16,17)의 외형과 동일하게 가압 성형된다.
한편, 본 이차 전지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스관(33)의 내측면과 외부 단자 사이에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부재가 더욱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부재는 가스켓(3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스켓(34)은 프레스관(33)과 동일하게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스관(33)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플랜지(35,36)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35)는 프레스관(33)의 상단에 걸쳐지고,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36)는 캡 플레이트(31)의 관통구멍(32)을 지나 바로 캡 플레이트(31)의 내측면에 걸쳐진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켓(34)을 사이에 두고 프레스관(33)을 단자에 가압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34)이 프레스관(33)과 단자에 밀착되면서 기밀을 더욱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가스켓(34)의 하단에 형성되는 플랜지(36)는 캡 플레이트(31)의 내측면과 상기 단자(16,17)의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8) 사이에 밀착되어 실링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34)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레스(P)에 의한 가압 성형시 단자(16,17)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9)의 형상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단자에 밀착된다.
이와같이 단자(16,17)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19)를 형성함으로써 기밀성을 높임과 더불어 프레스관(33)에 대한 단자의 상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데 즉, 캡 플레이트(31)를 기준으로 단자(16,17)의 하부와 단자의 상부쪽에 각각 플랜지(18)와 돌기(19)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걸려 있게 되어 단자(16,17)의 상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로 가스켓(34) 이외에 액상의 폴리머 수지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액상의 폴리머 수지를 프레스관(33)과 단자 사이에 주입하고 이를 경화시킨 후 프레스관(33)을 가압 성형시킴으로써 폴리머 수지를 사이에 두고 프레스관(33)과 단자를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액상의 폴리머 수지 주입시 프레스관(33)과 단자 사이의 공기가 모두 배출되어 두 부재 사이의 더욱 긴밀한 결합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이차 전지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단자(16,17)는 외주면에 오링(37)이 더욱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링(37)은 단자에 형성된 돌기(19)의 위쪽에 위치하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프레스관(33)과 대응되는 위치면 단자의 외주면 어디나 가능하고, 그 개수 또한 하나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스관(33)의 길이에 따라 두 개 또는 그 이상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단자에 대한 오링(37)의 설치는 통상의 오링 설치구조와 동일하게 단자 표면에 오링 장착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오링을 장착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캡 조립체에 단자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캡 플레이트(31)의 관통구멍(32) 상에 일체로 형성된 프레스관(33) 내측면에는 가스켓(34)을 삽입설치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관(33) 내측으로 단자를 삽입한다.
단자가 완전히 프레스관(33)으로 끼워져 단자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가스켓(34) 하단의 플랜지에 접하게 되면 프레스관(33) 외측에 놓여진 프레스를 구동시켜 프레스관(33)을 단자쪽으로 가압성형한다.
이에 따라 프레스관(33)이 단자쪽으로 눌려져 변형되면서 가스켓(34)을 사이 에 두고 단자(16,17)에 밀착된다.
이와같이 간단히 프레스(P)에 의한 가압 성형을 통해 캡 플레이트(31)에 형성된 프레스관(33)을 단자에 밀착시킴으로써 단자와 캡 플레이트(31)의 프레스관(33) 사이를 실링시켜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프레스(P) 구동만으로 단자를 캡 플레이트(31)에 용이하게 설치함과 더불어 단자 설치와 기밀 유지를 위해 필요로 하는 부품의 개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이차 전지와 전지 모듈은, 고출력/대용량을 요구받는 HEV용 전지로서 전지의 내부 압력이 높은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 용도가 HEV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캡 조립체에 단자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 되어 단자 장착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와 캡 조립체 사이의 기밀성을 개선하여 전지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의 조립과 기밀 유지를 위해 필요로 하는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이차 전지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Claims (25)

  1.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며 상기 전극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단자가 구비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전극군의 양,음극판과 탭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조립체의 캡 플레이트에 조립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며 표면에 수나사가 가공되고,
    상기 캡 조립체에 형성되는 외부 단자 관통구멍 상에는 상기 외부 단자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는 프레스관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 단자가 상기 프레스관을 매개로 설치되는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관과 상기 외부 단자 사이에 실링부재가 개재되는 이차 전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프레스관과 접하는 외주면을 따라 돌기가 돌출 형성된 이차 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관은 캡 조립체를 이루는 캡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이차 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관은 상기 캡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관은 상기 단자와 동일한 단면형태로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관은 원통형태인 이차 전지.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프레스관 내주면에 끼워지는 실린더형태의 가스켓으로 이루어진 이차 전지.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프레스관과 상기 외부 단자 사이에 주입되어 경화 부착되는 수지로 이루어진 이차 전지.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양단에 각각 프레스관의 상단과 캡 플레이트의 내측면으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이차 전지.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원호형태로 이루어진 이차 전지.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 외주면에 오링이 설치되어 상기 프레스관 사이에 밀착되는 이차 전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각형으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HEV용인 이차 전지.
  16. 단차 가공된 설치 구멍을 갖는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전극군과 탭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표면에 수나사가 가공되는 양,음극단자,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외부 단자 관통구멍 상에 상기 외부 단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외부 단자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는 프레스관
    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관과 상기 외부 단자 사이에 실링부재가 개재되는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프레스관과 접하는 외주면을 따라 돌기가 돌출 형성된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19. 삭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관은 상기 캡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 외주면에 오링이 설치되어 상기 프레스관 사이에 밀착되는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22. 캡 조립체를 이루는 캡 플레이트 상에 단자 조립을 위한 프레스관을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와;
    탭을 매개로 전극군과 연결되는 외부 단자를 상기 프레스관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프레스관 외측에서 프레스관을 가압 형성하여 외부 단자에 밀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의 단자 조립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프레스관 내주면에 가스켓을 삽입설치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캡 조립체의 단자 조립 방법.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에 외주면을 따라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캡 조립체의 단자 조립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 외주면에 오링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캡 조립체의 단자 조립 방법.
KR1020040049417A 2004-06-29 2004-06-29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의 단자조립 방법 KR100599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417A KR100599754B1 (ko) 2004-06-29 2004-06-29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의 단자조립 방법
US11/168,926 US7842416B2 (en) 2004-06-29 2005-06-29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cap assembly
JP2005190262A JP2006019292A (ja) 2004-06-29 2005-06-29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CNB2005100798578A CN100334748C (zh) 2004-06-29 2005-06-29 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417A KR100599754B1 (ko) 2004-06-29 2004-06-29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의 단자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520A KR20060000520A (ko) 2006-01-06
KR100599754B1 true KR100599754B1 (ko) 2006-07-12

Family

ID=3550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417A KR100599754B1 (ko) 2004-06-29 2004-06-29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의 단자조립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42416B2 (ko)
JP (1) JP2006019292A (ko)
KR (1) KR100599754B1 (ko)
CN (1) CN100334748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139B1 (ko) * 2008-11-27 2011-05-17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전지
KR101275786B1 (ko) * 2011-08-23 2013-06-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045B1 (ko) * 2004-11-30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조립 방법
US8146249B2 (en) * 2007-01-03 2012-04-03 Pollack Laboratories, Inc. Method of assembling an hermetically-sealed feed-through device
US8420254B2 (en) * 2007-12-25 2013-04-16 Byd Co. Ltd. End cover assembly for an electrochemical cell
KR100976452B1 (ko) * 2008-01-23 2010-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5182568B2 (ja) * 2008-04-02 2013-04-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利用
JP5646482B2 (ja) * 2008-08-26 2014-12-24 ビーワイ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Byd Company Limited 電池のカバーアッセンブリー、該カバーアッセンブリーを備える電池、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828600B2 (en) 2009-07-24 2014-09-0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ttery with reinforcing member for press-fitted terminal
CN102656716B (zh) * 2010-01-12 2014-12-1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池的制造方法以及电池
CN102792481B (zh) * 2010-03-23 2015-09-1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池的制造方法以及电池
KR101211901B1 (ko) 2010-05-25 2012-12-1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5941143B2 (ja) 2011-06-28 2016-06-29 シェンゼェン ビーワイディー オート アールアンド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バーアセンブリ、およびカバーアセンブリを備えるバッテリ
CN202167550U (zh) * 2011-06-29 2012-03-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盖板组件及电池
KR101300110B1 (ko) 2011-08-17 2013-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351903B1 (ko) * 2011-08-19 2014-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CN102412413B (zh) * 2011-09-27 2015-02-11 丁振荣 锂电池及其盖板、电芯、保护线路板和装配方法
KR101358425B1 (ko) * 2012-02-29 2014-02-12 (주)벡셀 이차전지의 커넥터 및 이차전지의 커넥터의 제조방법
US9209438B2 (en) 2012-03-01 2015-12-08 Pollack Laboratories, Inc. Hermetically-sealed feed-through device
KR102023916B1 (ko) * 2012-07-23 2019-09-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모듈의 전극단자 및 터미널 연결장치
US9502710B2 (en) * 2012-09-06 2016-11-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Llc Cell terminal seal system and method
US9634301B2 (en) * 2015-01-05 2017-04-2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ithium ion battery cell with secondary seal
USD773390S1 (en) 2015-02-27 2016-12-0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ithium ion battery cell
CN105449134A (zh) * 2015-11-30 2016-03-30 芜湖凯尔电气科技有限公司 可携带的动力电池
FR3095086B1 (fr) 2019-04-12 2021-04-16 Aptiv Tech Ltd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ontact de puissance mâle et contact de puissance mâle
CN212750989U (zh) * 2020-06-12 2021-03-19 珠海市讯达科技有限公司 一种纽扣电池
CN116780086A (zh) * 2022-03-08 2023-09-19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及电子设备
CN116780120A (zh) * 2022-03-08 2023-09-19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9095A (en) * 1972-04-10 1973-10-30 Mc Grwa Edison Co Battery case construction
US3964934A (en) * 1975-05-15 1976-06-22 The Gates Rubber Company High discharge capability sealed through connector
DE2627249A1 (de) 1976-06-18 1977-12-29 Battelle Institut E V Speicherelement fuer einen loeschbaren, digitalen permanentspeicher
JPS5466122A (en) 1977-11-07 1979-05-28 Fujitsu Ltd Pattern formation material
US4164609A (en) * 1978-05-08 1979-08-14 Eltra Corporation Battery post seal
JP3507518B2 (ja) * 1993-02-03 2004-03-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 池
US5704501A (en) * 1995-02-06 1998-01-06 Ev Family Limited Partnership Container closure assembly including barrier layer with a crystallized, brittle weakened portion
JPH10302760A (ja) 1997-04-30 1998-11-13 Yuasa Corp 蓄電池
JPH11329476A (ja) 1998-05-07 1999-11-3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密閉形鉛蓄電池
US6268079B1 (en) * 1998-11-25 2001-07-31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Nonaqueous-electrolyte battery
JP3778741B2 (ja) * 1999-10-29 2006-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蓄電池
US6579640B1 (en) * 1999-09-28 2003-06-17 Sanyo Electric Co., Ltd. Sealed rectangular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2001332264A (ja) 2000-05-25 2001-11-30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小形制御弁式鉛蓄電池
JP3756096B2 (ja) * 2001-10-02 2006-03-15 Necトーキン栃木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3746002B2 (ja) 2001-12-25 2006-02-15 Necトーキン栃木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531063U (en) * 2002-03-27 2003-05-01 Csb Battery Co Ltd Electrode post head for delaying acidification
US7601460B2 (en) * 2003-11-28 2009-10-13 Panasonic Corporation Prismatic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139B1 (ko) * 2008-11-27 2011-05-17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전지
KR101275786B1 (ko) * 2011-08-23 2013-06-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US9178205B2 (en) 2011-08-23 2015-11-0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520A (ko) 2006-01-06
CN100334748C (zh) 2007-08-29
US20050287434A1 (en) 2005-12-29
US7842416B2 (en) 2010-11-30
CN1716657A (zh) 2006-01-04
JP2006019292A (ja)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754B1 (ko)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의 단자조립 방법
KR100590045B1 (ko)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조립 방법
KR100627374B1 (ko) 이차 전지
KR100976452B1 (ko) 이차 전지
US7745046B2 (en) Secondary battery
KR101201744B1 (ko) 이차 전지
KR100949333B1 (ko) 전지 모듈
US7544440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a sealing gasket with concave and convex portions
US8709632B2 (en) Battery module
US9023516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odule thereof
KR100684802B1 (ko) 이차 전지
US20130115494A1 (en) Rechargeable battery
EP2808918A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n improved terminal structure
KR101117622B1 (ko) 이차 전지
US8790822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20113556A (ko) 이차 전지
KR102611656B1 (ko) 이차 전지
KR101201815B1 (ko) 이차 전지
KR100627369B1 (ko)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조립 방법
KR100649568B1 (ko) 이차 전지
KR100667952B1 (ko) 이차 전지
KR100658680B1 (ko)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27401B1 (ko) 이차 전지
KR20060112819A (ko)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H05114389A (ja) 円筒形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