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374B1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374B1
KR100627374B1 KR1020050069441A KR20050069441A KR100627374B1 KR 100627374 B1 KR100627374 B1 KR 100627374B1 KR 1020050069441 A KR1020050069441 A KR 1020050069441A KR 20050069441 A KR20050069441 A KR 20050069441A KR 100627374 B1 KR100627374 B1 KR 100627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hole
cas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9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374B1/ko
Priority to JP2006190513A priority patent/JP4537353B2/ja
Priority to US11/495,325 priority patent/US8318336B2/en
Priority to CNB2006101089412A priority patent/CN100487954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단자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활물질이 도포된 코팅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를 포함하는 양극판 및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군,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관통구가 형성되는 캡 플레이트, 상기 관통구보다 큰 단면적으로 이루어진 단부에서부터 납작하게 퍼지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무지부에 부착되는 무지부 용접부를 포함하는 집전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 전극군, 플랜지부, 무지부 용접부, 집전부, 전극단자.

Description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집전부와 전극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집전부와 전극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군과 집전부 및 전극 단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전부와 전극단자의 구조를 개선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전지 셀을 수십 개 연결한 전지 팩 단위의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 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으며, 띠 상의 양,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이를 와류 상으로 감은 전극군(또는 젤리-롤)을 케이스에 내장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에 외부 단자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설치하여 전지를 구성한다.
이때, 각형 전지의 케이스는 직사각형 형태로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전극군이 삽입된다. 그리고 개구부에는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구비된 캡 조립체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며, 캡 조립체는 내측에 벤트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필요시 케이스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단자 설치를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고 전극단자(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다. 그리고 캡 플레이트의 관통구에는 절연을 위한 패킹과 오링이 장착되어 캡 플레이트와 외부 단자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과 기밀성을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극 단자는 전극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집전하는 집전부와 연결되어 전기를 외부로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단자구조는 집전부의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전극 단자와 플랜지 및 플랜지와 집전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구조가 복잡하여 ??공 시에 많은 시간과 비용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들을 각각 따로 형성하고 부착시킬 경우 접촉 부분에서 저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지부 용접부와 플랜지부가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되며, 무지부 용접부와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집전부를 단조가공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며 대향하는 양측에 개방되어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각각의 개구부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구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은 집전체에 활물질이 도포되는 코팅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지부에 부착되어 전기를 집전하는 무지부 용접부와 상기 전극단자를 지지하는 플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집전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부의 플랜지면에 상기 전극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부의 상단면은 상기 관통구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렌지부가 상기 전극단자를 지지하여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렌지부는 단자가 형성된 플랜지면에서 타측단으로 갈수록 납작하게 퍼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타측단에는 무지부 용접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무지부 용접부는 상기 플레지부보다 납작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지부에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도록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부 및 무지부 용접부의 단면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지부 용접부는 납작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렌지부 및 무지부 용접부는 모서리가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대향하는 양측이 개방되어 두 개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개구부에 캡 플레이트가 결합된다. 또한, 각각의 캡 플레이트에는 하나의 전극단자가 삽입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전극단자는 케이스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는 개스킷을 매개로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구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면이 사익 개스킷과 접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개스킷이 캡 플레이트와 단자 사이를 절연시켜서 전해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또는 전지 모듈)는 HEV(하이브리드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단면도로서, 이차전지의 단자가 전지 캔의 상하로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차전지는 활물질이 도포된 코팅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를 포함하는 양극판(11) 및 음극판(12)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3)를 개재하여 젤리-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군(25), 대향하는 양단이 개방된 개구부(14a, 14b)를 이루고 내부에 상기 전극군(25)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갖는 각형의 케이스(14), 상기 케이스(14)의 개구부(14a, 14b)에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33), 상기 무지부(11a, 12a)에 부착되는 무지부 용접부(26b, 28b)와 상기 무지부 용접부(26b, 28b)와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부(26a, 28a)를 포함하는 집전부(26, 28), 및 상기 집전부(26, 28)에 일측 단부에 부착되는 전극단자(21, 23)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판(11)은 박판의 금속 호일, 예컨대 알루미늄 호일 등으로 된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상기 음극판(12)은 박판의 금속 호일, 이를테면 구리 호일 등으로 된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음극 활물질은 탄소재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양극판(11) 및 음극판(12)에는 상기 집전체에 활물질이 코팅되는 영역인 코팅부와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는 무지부(11a, 12a)를 포함한다.
상기 무지부(11a, 12a)는 고출력 이차전지의 경우 양극판(11) 및 음극판(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극판(11) 및 음극판(12)의 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극판(11) 및 음극판(12)은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3)를 중심에 개재하여 적층되며 권취롤 등을 이용해서 권취되어 젤리-롤 형태의 전극군(25)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전극군(25)은 각형 케이스(14)에 내장될 수 있도록 프레스 등으로 가압되어 납작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4)는 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대향하는 양측이 개방되어 개구부(14a, 14b)가 형성되며, 상기 전극군(25)은 상기 각형 케이스(14)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14)에는 이온 전도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전해액이 주입된다. 그리고 상기 무지부(11a, 11b)는 각각 케이스(14)의 양측 개구부(14a, 14b)를 향하도록 삽입되다.
또한, 상기 개구부(14a, 14b)에는 중앙에 관통구가(33a) 형성된 두 개의 캡 플레이트(33)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관통구(33a)에는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3)가 삽입된다. 다만,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3)는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개스킷(27)을 매개로 상기 관통구(33a)에 삽입된다.
상기 집전부(26, 28)는 무지부(11a, 12a)에 부착되는 무지부 용접부(26b, 28b)와 상기 전극단자(21, 23)를 지지하는 플랜지부(26a, 28a)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26a, 28a)와 무지부 용접부(26b, 28b)는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6a, 28a)는 일측 단부인 플랜지면에 전극단자(21, 23)가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랜지면은 상기 관통구(33a)보다 큰 단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단자(21, 23)가 관통구(33a)에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플랜지면이 캡플레이트(33)와 맞닿아 전극단자(21, 23)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 집전부와 양극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극 집전부와 양극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양극 집전부(26)는 양극 무지부(11a)에 삽입되는 무지부 용접부(26b)와 양극 단자(21)를 지지하는 플랜지부(26a)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랜지부(26a)의 단면인 플랜지면(26c)에 양극 단자(21)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양극단자(21)는 상기 플랜지부(26a)와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26a)에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플랜지부(26a)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6a)와 무지부 용접부(26b)는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26a)는 상기 무지부(11a)에 접하는 측으로 갈수록 납작한 사각형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납잡한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플랜지부(26a)의 단부에 무지부 용접부(26b)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무지부(11a)에 삽입되는 무지부 용접부(26b)는 상기 무지부(11a)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균일한 두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극단자(21)가 부착되는 플랜지면(26c)은 상기 관통구(33a)보다 큰 단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단자(21)가 개스킷(27)을 매개로 상기 관통구(33a)에 삽입될 경우 상기 개스킷(27)과 접하여 전극단자(21)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극단자(21)는 상면에서 일정 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전극단자(21)가 이웃하는 전극단자(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극단자(21)의 단면 형상은 너트 등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전극단자(31)의 집전부(31b)는 각 모서리가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양극단자(31)가 단조가공으로 제조되어 모서리가 각지게 이루어지지 않고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렇게 모서리가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무지부 용접부(36b)가 전극군(25)에 삽입될 때, 상기 전극군(25)을 이루는 양극판(11) 및 음극판(1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집전부가 전극군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단자(21, 23)는 상호 대향하도록 집전부(26, 28)가 전극군(25)에 삽입되며, 무지부 용접부(26b, 28b)는 상기 전극군(25)에 초음파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무지부 용접부(26b, 28b)는 상기 전극군(25)의 중심부분에 삽입되며 상기 무지부 용접부(26b, 28b)가 무지부(11a, 12a)가 형성된 부분까지만 삽입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지부(11a, 12a)는 상기 케이스(14)에 형성된 개구부(14a, 14b)를 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양극 무지부(11a)에는 양극 무지부 용접부(26b)가 삽입되고, 음극 무지부(12a)에는 음극 무지부 용접부(28b)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무지부 용접부(26b, 28b)는 플랜지부(26a, 28a)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6a, 28a)의 단부에 전극단자(21, 23)가 부착되므로, 전극단자(21, 23)도 케이스(14)의 각각 다른 면에 설치되어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전극단자, 플랜지부, 및 무지부 용접부는 단순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작업 공수를 감소시키고 플랜지부 및 무지부 용접부를 단조 가공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가 각각 케이스의 양측에 설치되어 그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는 작업 공정을 단순화시켜서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절삭 가공이 아닌 단조 가공으로 단자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되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8)

  1. 활물질이 도포된 코팅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를 포함하는 양극판 및 음극판,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 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군;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관통구가 형성되는 캡 플레이트;
    상기 관통구보다 큰 단면적으로 이루어진 단부에서부터 납작하게 퍼지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무지부에 부착되는 무지부 용접부를 포함하는 집전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전극단자;
    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대향하는 양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단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이차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개스킷을 매개로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 는 이차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부의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이차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부는 각 모서리가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무지부 용접부는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모터 구동용인 이차 전지.
KR1020050069441A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KR100627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441A KR100627374B1 (ko)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JP2006190513A JP4537353B2 (ja) 2005-07-29 2006-07-11 二次電池
US11/495,325 US8318336B2 (en) 2005-07-29 2006-07-26 Rechargeable battery
CNB2006101089412A CN100487954C (zh) 2005-07-29 2006-07-28 可充电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441A KR100627374B1 (ko)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374B1 true KR100627374B1 (ko) 2006-09-22

Family

ID=3762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441A KR100627374B1 (ko)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18336B2 (ko)
JP (1) JP4537353B2 (ko)
KR (1) KR100627374B1 (ko)
CN (1) CN10048795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6417A2 (en) * 2007-01-09 2008-07-17 Johnson-Controls--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Battery cell
US20080254354A1 (en) * 2007-04-11 2008-10-16 Saft Connection system for an electrochemical cell
US8449999B2 (en) 2007-04-20 2013-05-28 Lg Chem, Ltd. Safety battery cell with safety exhaust part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lead
JP4315231B2 (ja) * 2008-01-22 2009-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US7972185B2 (en) * 2009-03-16 2011-07-05 Sb Limotive Co., Ltd. Battery module having connector for connecting terminals
KR101126809B1 (ko) * 2010-06-16 2012-03-2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559339B2 (en) * 2011-04-19 2017-01-3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DE102011110813A1 (de) * 2011-08-17 2013-02-21 Li-Tec Battery Gmbh Energiespeichervorrichtung, Kontaktelement für eine solche Energiespeich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Energiespeichervorrichtung
CN102437308B (zh) * 2011-12-02 2013-07-03 苏州冠硕新能源有限公司 锂电池
US8945763B2 (en) 2012-01-31 2015-02-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s
KR101422656B1 (ko) 2012-02-07 2014-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US20130236771A1 (en) * 2012-03-08 2013-09-12 Robert Bosch Gmbh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050255B2 (en) 2012-03-08 2018-08-1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478792B2 (en) * 2013-07-26 2016-10-25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EP3200262B1 (en) * 2014-09-26 2019-07-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CN104851999B (zh) * 2015-04-30 2017-06-27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舱
CN104953060B (zh) * 2015-04-30 2017-06-27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舱组
KR102515096B1 (ko) 2015-06-16 2023-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집전부재를 가진 이차 전지
KR20160148316A (ko) * 2015-06-16 2016-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DE102016220975A1 (de) 2016-10-25 2018-04-26 Robert Bosch Gmbh Stromkollektor für eine Energiespeicherzelle zum Speichern elektrischer Energie
KR102096997B1 (ko) * 2017-10-23 2020-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CN108461700B (zh) * 2018-02-02 2024-01-02 惠州拓邦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高倍率全极耳型锂电池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939A (ja) * 1992-05-19 1993-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鉛蓄電池
KR19980064685A (ko) * 1996-12-26 1998-10-07 모리시타요우이치 사각형 밀폐식 축전지와 그 제조 방법
JP2000228182A (ja) 1999-02-04 2000-08-15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電極捲回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52036A (ja) 2001-02-23 2002-09-06 Mitsubishi Materials Corp リチウムイオンポリマー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14881A (en) 1994-08-24 1998-01-04 Duracell Inc Electrochemical cell gasket support disc
KR100417560B1 (ko) * 1995-09-27 2004-04-2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젤리롤형고용량2차전지
JPH09161761A (ja) * 1995-12-14 1997-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ルカリ蓄電池の製造方法
JPH11195561A (ja) * 1997-11-10 1999-07-21 Asahi Glass Co Ltd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US6440604B1 (en) * 1998-09-08 2002-08-27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Cell
US6280874B1 (en) * 1998-12-11 2001-08-28 Schlumberger Technology Corp. Annular pack
JP3842925B2 (ja) * 1999-06-25 2006-11-08 三洋電機株式会社 筒型電池
JP3681928B2 (ja) * 1999-07-29 2005-08-1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の電極体の接合方法
EP1205985B1 (en) * 2000-02-09 2014-08-13 NGK Insulators, Ltd. Lithium secondary cell
JP3831595B2 (ja) * 2000-09-26 2006-10-11 三洋電機株式会社 円筒型二次電池
CA2374724A1 (en) * 2000-03-28 2001-10-04 Ngk Insulators, Ltd. Lithium secondary cell
JP5034135B2 (ja) * 2000-09-22 2012-09-2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12528B2 (en) * 2001-06-28 2004-03-30 Corning O.T.I. S.R.L. Optical bench for an opto-electronic device
US7129001B2 (en) * 2001-12-18 2006-10-31 Gs Yuasa Corporation Cell comprising a power-generating element fastened by sheets
CA2384215A1 (en) * 2002-04-30 2003-10-30 Richard Laliberte Electrochemical bund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03100886A1 (en) * 2002-05-27 2003-12-04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Battery
KR100661680B1 (ko) * 2002-07-25 2006-12-2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FR2853764B1 (fr) * 2003-04-11 2009-06-05 Cit Alcatel Raccordement electrique d'une connexion a un faisceau electrochimique
US7097733B2 (en) * 2003-09-02 2006-08-29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of bonding ends of flame retardant sheet and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of image forming apparatus fabricated by the method
US7947393B2 (en) * 2003-11-14 2011-05-24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Alkaline electrochemical cell
KR100599709B1 (ko) * 2004-07-28 2006-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2859825Y (zh) 2005-04-13 2007-01-17 天津和平海湾电源集团有限公司 方型塑料壳密封蓄电池
KR100846074B1 (ko) * 2005-05-09 2008-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의 입체형 전극단자
KR100637443B1 (ko) * 2005-07-05 2006-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단자 조립체
US8088516B2 (en) * 2005-11-18 2012-01-03 Acme Aerospace, Inc. Storage battery electrodes with integral conduct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939A (ja) * 1992-05-19 1993-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鉛蓄電池
KR19980064685A (ko) * 1996-12-26 1998-10-07 모리시타요우이치 사각형 밀폐식 축전지와 그 제조 방법
JP2000228182A (ja) 1999-02-04 2000-08-15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電極捲回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52036A (ja) 2001-02-23 2002-09-06 Mitsubishi Materials Corp リチウムイオンポリマー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05245A (zh) 2007-01-31
CN100487954C (zh) 2009-05-13
US8318336B2 (en) 2012-11-27
JP4537353B2 (ja) 2010-09-01
JP2007042628A (ja) 2007-02-15
US20070026307A1 (en)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374B1 (ko) 이차 전지
KR100627313B1 (ko) 이차 전지
US7745046B2 (en) Secondary battery
KR100599752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KR100612364B1 (ko) 이차 전지
US8765291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599732B1 (ko) 이차 전지
KR100667945B1 (ko) 이차 전지
KR100696666B1 (ko) 이차 전지
KR100599714B1 (ko) 이차 전지
KR100627359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캡 조립체 및 밴트 플레이트
KR100612236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KR100648699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캡 조립체
KR100599797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KR101201815B1 (ko) 이차 전지
KR20080028091A (ko) 이차 전지
KR100649568B1 (ko) 이차 전지
KR100599733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이차 전지
KR100612396B1 (ko) 이차 전지
KR100667952B1 (ko) 이차 전지
KR100649218B1 (ko) 이차 전지
KR100805111B1 (ko) 이차 전지
KR100658680B1 (ko)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28193B1 (ko) 이차 전지의 전극군 고정 장치
KR100599804B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