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459B1 - 비만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459B1
KR100595459B1 KR1020040038483A KR20040038483A KR100595459B1 KR 100595459 B1 KR100595459 B1 KR 100595459B1 KR 1020040038483 A KR1020040038483 A KR 1020040038483A KR 20040038483 A KR20040038483 A KR 20040038483A KR 100595459 B1 KR100595459 B1 KR 100595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group
present
bark extract
lacqu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3003A (ko
Inventor
김호경
전원경
고병섭
김정희
이혜원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3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45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besit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옻나무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은 고지방식이에 의한 비만 실험동물의 체중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며, 간, 부고환 지방조직 및 신장후 복막하 지방조직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백혈구수,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농도, 혈소판수, 헤마토크리트, 림프구 백분율, 단핵구 백분율 및 다핵구 백분율과 같은 일반 혈액학적 성상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며,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킴으로, 비만 억제에 유용한 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만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obesity}
도 1은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비만 실험동물의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옻나무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모든 연령층에 걸쳐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장년층의 발생빈도가 높다. 동양에서는 채식위주의 생활습관으로 인해 비만증이 그리 많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대에 들어서 서양문물의 영향으로 식생활 습관이 바뀌고 주거환경이 바뀌면서 동양인에게서도 점차 비만증이 많아지기 시작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경제발전으로 생활양식이 편리해지고 식생활이 서구화되어 동물성 식품의 섭취가 늘어나고 지방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체중과다나 비만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체중과다와 비만이 되는 이유는 섭취한 열량중 소 모되고 남는 것이 지방으로 전환되어 체내의 여러 부분 특히 피하조직과 복강내에 축적되기 때문이다. 또한 현대인은 과로, 과음,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체력이 저하되며, 약 30~40%가 비만증을 가지고 있고, 그 중 약 10% 정도는 심각하거나 병적인 비만증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
비만은 단순성 비만과 2차성 비만(증후성 비만)으로 분류된다.
단순성 비만의 원인으로는 과식, 운동부족, 및 기초대사의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임상적으로 비만으로 판정되는 경우의 대부분은 단순성 비만이다. 단순성 비만이 발현하여 그 상태가 지속되면, 각종 건강 장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2차성 비만은 임의의 기초질환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비만으로, 내분비성 비만, 시상하부성 비만, 유전성 비만 또는 약제에 기인한 비만 등을 들 수 있다.
비만은 여러 가지 질환이 원인이 되어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비만 자체가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 가성 뇌종양(pseudotumor cerebri), 고지혈증, 수면 무호흡증(sleep apnea), 암, 폐 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담낭염(cholecystitis), 및 골관절염(osteoarthritis)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거나, 또는 활동성의 저하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비만의 주요한 원인은 섭취 에너지가 소비 에너지에 비해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되는 것으로, 일부 비만 환자들은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통해 체중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 외, 행동요법, 정신요법, 약물요법 또는 외과요법(위축소술과 같은 수술요법) 등이 병행된다.
식이요법은 총 에너지 섭취량을 제어하는 치료방법이나, 안정시의 대사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기대와 같은 체중감소는 얻어질 수 없고, 감량성공의 경우라도 제(除)지방체중의 감소가 중심이 되는 경우가 많고, 또는 영양 불량장해, 공복감 또는 스트레스라고 하는 육체적 및 정신적 고통을 환자에게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운동요법의 경우 소비 에너지의 증가 뿐만 아니라, 안정시 대사율의 개선, 인슐린 저항성의 시정 및 체지방의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으나, 1회에 20분간의 호기(好氣)적 운동을 주 3회 이상 행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계속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행동요법 또는 정신요법은 식이요법 또는 운동요법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나, 충분한 효과를 얻는 것은 일반적으로 곤란하다.
상기의 치료방법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또는 극도의 비만에 대한 긴급치료의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약물요법 또는 외과요법 등이 행해지고 있으나, 외과요법은 환자에게 주는 부담이 매우 크다. 약물요법을 위해 사용되는 비만증 치료약으로서는 식욕억제제, 소화흡수 저해제, 비만축적 방해제 또는 대사촉진제 등이 있으나, 이들 비만 치료제는 약물 의존성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 또한, 투여한 환자에게 단기간에 내성이 생겨버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장기간 연속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운동요법을 행하는 경우, 비만한 사람에게 격렬한 운동을 강제시키면 하지(下肢)관절을 상해하는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가벼운 수영 등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에너지 대사를 활성화하는 부작용이 적은 약제와 가벼운 수영 등 가벼운 운동을 병행하여 근육을 증가시키고, 기초대사의 증대에 의해 에너지 소비를 촉진하는 것은 비만개선을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여겨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열량이 적고 공복감을 없애주는 식이섬유가 비만 또는 체중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많이 있다(Relser S. Methabolic effects of dietary pection related to Human Health Food Technology. 91-99, 1987; 한상섭 외. Kte:C57BL/6 마우스의 주령에 따른 기초연구. 한국실험동물학회지. 10(2) : 197-209, 1994).
따라서, 환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장기간 연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부작용이 적고 효과적으로 체중감소를 촉진하는 새로운 방법이나 의약품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는 옻나무과(Anacardiaceae)에 속하는 것으로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에서 많이 자라는 낙엽활엽수교목이며, 수액은 옻 또는 건칠이라 하여 공업용과 약용에 쓰이고, 특히 한방과 민간에서 주독, 해열, 학질, 구충, 복통, 통경, 변비 등에 약재로 쓰고 옻닭과 같이 식품으로 이용되어 왔다. 옻나무 추출물에 대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일부 보고된 바 있으며, 옻나무에서 분리된 물질들에 대한 항균 작용, 플라보노이드 성분과 수액의 우루시올(urushiol) 성분에 대한 항산화작용, 항암작용이 보고 되었다. 그러나 옻나무 성분의 일부가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보고 되어 있어 의약품 및 식품개발로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같이 옻나무의 수액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수액에 비해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옻나무 껍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특히 비만억제 작용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약재에서 비만을 억제하는 물질에 대해 연구하던중, 옻나무 껍질 추출물에서 비만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옻나무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옻나무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옻나무 껍질 추출물은 물, 알콜 또는 물과 알콜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하며, 상기 옻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옻나무 껍질을 세절한 후 믹서기를 이용하여 가루로 만든 다음 70% 메탄올을 가하여 100℃에서 5시간 추출한다. 상기와 같은 추출과정을 2회 반복한다. 상기 추출액을 실온에서 방치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60℃ 수욕상에서 증발건조기로 감압 농축한 후 증류수에 용해하여 -70℃에서 방치한 다음 동결건조기로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은 고지방식이에 의한 비만 실험동물의 체중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며, 간, 부고환 지방조직 및 신장후 복막하 지방조직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백혈구수,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농도, 혈소판수, 헤마토크리트, 림프구 백분율, 단핵구 백분율 및 다핵구 백분율과 같은 일반 혈액학적 성상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며,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은 비만 억제에 유용한 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옻나무 껍질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은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이 80~120㎎/㎏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의 억제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옻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
본 실험에 사용한 옻나무 껍질(표준번호 KIOM-01-02)은 정도물산(서울소재)에서 구입하여 한국한의학연구원 검사사업부에서 외부형태를 비교검사 확인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옻나무 껍질 600g을 세절한 후 믹서기를 이용하여 가루로 만든 다음 둥근 플 라스크에 넣고 70% 메탄올을 가하여 100℃에서 5시간 추출하였다. 상기와 같은 추출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실온에서 방치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60℃ 수욕상에서 증발건조기로 감압 농축한 후 증류수에 용해하여 -70℃에서 방치한 다음 동결건조기로 동결 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 104.2g을 얻었다.
실험예 :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이 비만 억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의 비만 억제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실험동물
실험동물은 3주령의 C57BL/6 수컷 마우스를 대한바이오링크(충북 음성 소재)에서 분양받아 1주간 본 연구실 동물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체중이 평균 20.1 ± 0.95g 정도 되는 것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실 사육조건으로는 온도 23±3℃, 상대습도 55±10%, 환기횟수 10~20회/시간, 형광등 조명 12시간/하루(오전 8시 점등 ~ 오후 8시 소등), 조도 150~300Lux 로 하였으며, 실험동물은 1군에 10마리씩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크기 : 220 W ×360 L ×200 H ㎜)에 넣고 사육하였다.
실험군은 1) 일반식이를 섭취하면서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한 정상군 (N+S군), 2)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한 비만대조군 (HF+S군), 3)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제니칼(Xenical; Roche, Switzerland)을 양성대조약물로서 경구투여한 양성대조군 (HF+X군), 4)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옻나무 껍질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실험군 (HF+RVS군)으로, 총 4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마리수를 10마리씩 배정하였고 8주 동안 실험하였다.
2. 식이 및 경구투여 용량
고지방 식이는 D12451(Research Diets; New Jersey, USA)를, 일반식이는 2018S(Harlan TEKLAD; wisconsin, USA)를 구입하여 실험 기간 동안 사용하였다.
실험동물 마리당 약물 경구투여용량은, 옻나무 껍질 추출물은 100㎎/㎏, 제니칼 투여용량은 1일 복용량이 1캅셀(238㎎) 3회로 권장되어 있어, 사람 체중 50㎏ 기준으로 인간용량을 환산하여 14.28㎎/㎏으로 정하였다. 물 및 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으며, 경구투여는 일주일에 6회 일정시간에 실시하였다.
실험결과의 통계처리는 SPSS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모든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분석치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one way-ANOVA를 실시하여, 분석결과에 대한 p<0.05의 수준에서 LSD 다중검정법으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각 처리구간의 평균치에 대한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3. 체중, 사료 섭취량 및 사료효율 측정
사료 섭취량 및 실험동물의 체중은 일주일에 2회씩 일정시간에 측정하였으며, 사료효율은 총 사료 섭취량에 대한 체중 증가량의 비를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결과는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사료 섭취량(g/day) 체중 증가(g/mice) 사료 효율(%)
N+S 2.67±0.23a 0.06±0.03a 2.15±1.19a
HF+S 2.03±0.09b 0.11±0.03a 5.37±1.63b
HF+X 2.0±0.11b 0.09±0.03ab 4.37±1.68b
HF+RVS 1.96±0.04b 0.09±0.03ab 4.43±1.43b
※ 1) N+S(정상군) : 일반식이 + 생리식염수,
2) HF+S(비만대조군) : 고지방식이 + 생리식염수,
3) HF+X(양성대조군) : 고지방식이 + 제니칼(양성대조약물),
4) HF+RVS(실험군) : 고지방식이 + 옻나무 껍질 추출물.
※ a, b, c : 각 실험군간에 p<0.05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중변화는 실험시작 후 3주째 정상군이 21.1±0.5g이고, 비만대조군이 22.2±0.9g으로 식이에 의한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0.05 이하로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실험 종료까지 식이에 의한 유의성은 0.05 이하로 유지되었다(p<0.05). 또한 비만대조군이 22.2±0.9g인 것에 비해 양성대조군은 21.3±0.1g이고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 투여군(HF+RVS)은 21.3±0.9g으로 측정되어 p값이 각각 0.023과 0.022정도로 나타나, 제니칼과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은 비만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실험종료까지 유의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험전반에 걸쳐 양성대조군과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 투여군 간의 체중 차이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어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이 제니칼과 비슷한 정도의 체중증가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8주째에는 비만대조군과 양성대조군 간의 유의성은 p값이 0.08이고 비만대조군과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 투여군 간의 유의성은 p값이 0.005로, 실험 8주째에는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이 제니칼에 비하여 체중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료섭취량의 경우 일반 식이를 섭취하는 군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군보다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고지방 식이가 상대적으로 열량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약물을 경구투여한 군에서는 사료섭취량에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증가량의 경우 실험이 진행됨에 따라 비만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주별 체중증가가 높게 측정되었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효율에서는 양성대조군이 4.37±1.68%,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 투여군이 4.43±1.43%로, 비만대조군이 5.37±1.63%로 측정된 값에 비하여 사료효율이 각각 18.62%, 17.5% 정도 감소하였다.
4. 채혈과 장기 및 지방조직 무게 측정
실험종료 후 C57BL/6 마우스를 12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물만 제공하였으며, 에틸에테르로 마취한 후 해부하였다. 부대정맥에서 1㎖ 용량의 1회용 주사기로 채혈한 후 EDTA K2로 처리한 1.5㎖ 마이크로-튜브(micro-tube)에 넣어 혈액의 응고가 일어나지 않게 하였으며, 혈액을 채취한 후 즉시 간과 부고환 지방조직 및 신장후 복막하 지방조직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조직은 혈액을 제거하기 위해서 생리식염수 로 세척하고 여과지로 수분을 제거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간(g) 부고환 피하 지방조직(g) 신장후 복막하 지방조직(g)
N+S 0.79±0.04 0.37±0.08a 0.11±0.04a
HF+S 0.76±0.04 0.97±0.25b 0.33±0.08b
HF+X 0.78±0.65 0.93±0.25b 0.33±0.08b
HF+RVS 0.75±0.05 0.83±0.20b 0.30±0.12b
※ 1) N+S(정상군) : 일반식이 + 생리식염수,
2) HF+S(비만대조군) : 고지방식이 + 생리식염수,
3) HF+X(양성대조군) : 고지방식이 + 제니칼(양성대조약물),
4) HF+RVS(실험군) : 고지방식이 + 옻나무 껍질 추출물.
※ a, b : 각 실험군간에 p<0.05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의 경우 각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부고환 지방조직과 신장후 복막하 지방조직의 경우 일반식이 섭취군과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군간에 p값이 0.001 이하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고지방식이로 인해 지방조직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만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 투여군의 부고환 지방조직과 신장후 복막하 지방조직의 무게가 각각 14.28%, 9.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일반 혈액학적 성상 측정
전혈을 대상으로 혈액분석기(coulter JT, Beckman coulter, USA)를 사용하여 백혈구수,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농도, 혈소판수, 헤마토크리트, 림프구 백분율, 단핵구 백분율 및 다핵구 백분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백혈구수 (WBC) (×103/㎖) 림프구 백분율 (LY)(%) 다핵구 백분율 (GR)(%) 단핵구 백분율 (MO)(%) 적혈구수 (RBC) (×106/㎖) 헤모글로빈 농도(HB) (g/㎗) 헤마토크리트 (Hct)(%) 혈소판수(PLT) (×106/㎖)
N+S 2.37± 0.36a 81.57±4.86 13.13±5.10 5.28± 1.10a 9.37± 0.19a 14.35±0.38ac 46.18± 1.57a 121.77±12.36a
HF+S 2.82± 0.76a 82.75±6.18 11.15±4.60 5.78± 2.22a 9.27± 0.18ab 14.17±0.23ab 46.28± 1.28a 108.11±14.12b
HF+X 2.94± 0.30a 84.80±2.49 8.96± 2.67 6.24± 1.36a 9.11± 0.2b 14.04±0.39b 46.59± 1.62a 124.10±13.31a
HF+RVS 3.20± 0.82b 81.67±6.08 11.45±5.48 6.88± 1.50b 9.58± 0.12c 14.57±0.15c 48.75± 1.55b 122.60±22.93a
※ 1) N+S(정상군) : 일반식이 + 생리식염수,
2) HF+S(비만대조군) : 고지방식이 + 생리식염수,
3) HF+X(양성대조군) : 고지방식이 + 제니칼(양성대조약물),
4) HF+RVS(실험군) : 고지방식이 + 옻나무 껍질 추출물.
※ a, b, c : 각 실험군간에 p<0.05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혈액검사 결과는 혈소판수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일반식이와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군 간에 유의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혈소판수의 경우 비만대조군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고지방식이 군과 약물을 섭취하는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관찰되었다. 백혈구수의 경우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 투여군이 (3.20±0.82)×103 cells/㎖으로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적혈구수의 경우는 양성대조군이 (9.11±0.2)×106 cells/㎖로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적혈구수가 감소하였고,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 투여군이 (9.58±0.12)×106 cells/㎖로 다른 군보다 p값이 0.05 이하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리트 수치도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 투여군이 각각 14.57±0.15g/㎗, 48.75±1.55%로 다른 군보다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은 백혈구수,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혈소판 수치 등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6. 혈장내의 생화학적 성상 측정
일반혈액검사를 완료한 전혈을 원심분리한 후 혈장을 분리하여 -20℃에 보관하였다가 실험에 사용하였다. 혈장에 대한 GOT, GPT, 혈당치, 트리글리세라이드,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Beckman coulter사와 Hanlantek사의 시약 및 생화학분석기 (CX-4, Beckman coulter,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GOT (IU/ℓ) GPT (IU/ℓ) 콜레스테롤 (㎎/㎗) 혈당치 (㎎/㎗) 트리글리세라이드 (㎎/㎗)
N+S 118.0±58.28 32.55±6.18 82.40±7.66a 69.8±25.39a 38.9±16.87a
HF+S 125.88±48.60 29.22±8.74 88.88±9.22a 81.55±50.08ab 55.9±34.92a
HF+X 128.9±42.21 31.55±9.48 110.0±11.13b 106.60±39.02b 71.5±18.48b
HF+RVS 166.7±41.69 36.4±19.60 100.4±14.15b 69.1±27.47a 41.0±8.41ac
※ 1) N+S(정상군) : 일반식이 + 생리식염수,
2) HF+S(비만대조군) : 고지방식이 + 생리식염수,
3) HF+X(양성대조군) : 고지방식이 + 제니칼(양성대조약물),
4) HF+RVS(실험군) : 고지방식이 + 옻나무 껍질 추출물.
※ a, b, c : 각 실험군간에 p<0.05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GOT, GPT의 농도는 모든 군간에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에 의한 간독성이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리글리세라이드의 경우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 투여군이 41.0±8.41㎎/㎗, 비만대조군이 55.9±34.92 ㎎/㎗로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 투여군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가 26.6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 투여군은 양성대조군에 비해 p값이 0.004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양성대조군의 트리글리세라이드가 비만대조군보다 높은 이유는, 제니칼이 지방분해효소를 불활성화시켜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의 식이성 지방의 흡수가 가능한 모노글리세라이드와 유리지방산으로 가수분해 시킬 수 없기 때문에 분해되지 않은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체내에 흡수되지 못하고 대부분이 체외로 배출되지만 일부는 혈중에 남아있기 때문에 농도가 높게 나온 것으로 사료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옻나무 껍질 추출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옻나무 껍질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옻나무 껍질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 추출물은 고지방식이에 의한 비만 실험동물의 체중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며, 간, 부고환 지방조직 및 신장후 복막하 지방조직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백혈구수,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농도, 혈소판수, 헤마토크리트, 림프구 백분율, 단핵구 백분율 및 다핵구 백분율과 같은 일반 혈액학적 성상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며,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킴으로, 비만 억제에 유용한 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옻나무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옻나무 껍질 추출물은 물, 알콜 또는 물과 알콜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은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20040038483A 2004-05-28 2004-05-28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0595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483A KR100595459B1 (ko) 2004-05-28 2004-05-28 비만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483A KR100595459B1 (ko) 2004-05-28 2004-05-28 비만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003A KR20050113003A (ko) 2005-12-01
KR100595459B1 true KR100595459B1 (ko) 2006-07-03

Family

ID=3728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483A KR100595459B1 (ko) 2004-05-28 2004-05-28 비만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6117A (zh) * 2015-08-05 2015-11-18 成都市飞龙水处理技术研究所 一种治疗副睾肿大的汤剂药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657B1 (ko) * 2005-11-24 2007-04-24 코스맥스 주식회사 디하이드로퀘세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03550B1 (ko) * 2018-11-23 2021-01-18 (주)헬스코치생명공학 Atdiet-801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8199B1 (ko) * 2019-02-13 2020-11-13 재단법인 임실치즈앤식품연구소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97352B1 (ko) * 2019-08-30 2021-01-04 키븐 푸즈 아이엔씨. 우루시올 함량 저감 조성물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조성물, 비만 방지제, 지방 축적 억제제 및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생명과학회지 10(5), 467-474, 2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6117A (zh) * 2015-08-05 2015-11-18 成都市飞龙水处理技术研究所 一种治疗副睾肿大的汤剂药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003A (ko)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385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JP2009511468A5 (ko)
CN102885306A (zh) 一种辅助降血脂的保健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1522844A (ja) 血糖レベルを低下させる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4921681B2 (ja) 予防薬剤
KR100595459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EP3403664B1 (en) Use of cistanche tubulosa
JP2007269631A (ja) 中性脂肪蓄積抑制剤
KR20110105627A (ko)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20010464A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90087671A (ko) 두충을 이용한 고혈압 억제 음료 개발
KR20100088794A (ko)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 2형 당뇨병에 의한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13603B1 (ko)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증진 기능을 가지는 한방복합제재 조성물(dts20, dts21)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6182706A (ja) 血中アディポネクチン量増加剤
KR100293890B1 (ko) 동아녹즙및그잔사를사용하여제조된체중및혈당조절용식품조성물및그제조방법
KR100940133B1 (ko) 지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1688126B1 (ko)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51809B1 (ko) 율무 및 꾸지뽕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573592B1 (ko) 비만치료·억제용 백모근 추출물
KR100758364B1 (ko)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573590B1 (ko) 비만치료ㆍ억제용 생약 조성물
KR100761938B1 (ko) 고지혈증 및/또는 고혈압에 기인한 발기부전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573591B1 (ko) 비만치료ㆍ억제용 맥문동 추출물
CN113181173A (zh) 药用组合物及其在制备用于预防和/或治疗肝癌的产品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