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352B1 - 우루시올 함량 저감 조성물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조성물, 비만 방지제, 지방 축적 억제제 및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제 - Google Patents

우루시올 함량 저감 조성물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조성물, 비만 방지제, 지방 축적 억제제 및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352B1
KR102197352B1 KR1020207022114A KR20207022114A KR102197352B1 KR 102197352 B1 KR102197352 B1 KR 102197352B1 KR 1020207022114 A KR1020207022114 A KR 1020207022114A KR 20207022114 A KR20207022114 A KR 20207022114A KR 102197352 B1 KR102197352 B1 KR 102197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composition
lacquer
solution
urushi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헤이 스루가
츠요시 토미타
카즈나리 카도쿠라
Original Assignee
키븐 푸즈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븐 푸즈 아이엔씨. filed Critical 키븐 푸즈 아이엔씨.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0/003725 external-priority patent/WO2021038904A1/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9Polygonatum (Solomon's 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옻의 유효 성분을 확보하면서, 우루시올을 간단한 공정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옻 유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물과 알코올의 혼합 용매와, 상기 혼합 용매 중에 추출된 옻의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을 농축하여, 용액의 용량을 2분의 1 이하로 한 농축 용액을 얻는 공정을 이용하여, 우루시올 함량이 저감된 조성물을 제조한다.

Description

우루시올 함량 저감 조성물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조성물, 비만 방지제, 지방 축적 억제제 및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제
본 발명은, 우루시올의 함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옻 유래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비만 방지제, 지방 축적 억제제와 혈중 렙틴양(量) 증가 억제제로서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연계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성분을 이용하여 건강 음료나 의약 조성물을 개발하는 연구가 종래부터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그 중에는, 옻에 함유되는 성분을 추출하여 약효를 평가하는 연구도 보여지며, 이러한 연구가 진행된 결과, 옻에는 다양한 유효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보고되기에 이르렀다(비특허문헌 1~4).
여기에서, 옻은 다양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며, 의약의 원료로서 크게 기대된다. 그러나, 옻에 함유되어 있는 우루시올에는,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등의 강한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5). 그 때문에, 옻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을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옻으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고, 또한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점에서, 종래는, 옻으로부터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공정과,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의 2개의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옻으로부터 유효 성분을 취득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비특허문헌 1: Open Journal of Immunology 2015; 5: 39-49 비특허문헌 2: Drug Research 2017; 65: 127-130 비특허문헌 3: Journal of Cancer Therapy 2016; 7: 464-470 비특허문헌 4: Journal of Natural Medicines 2015; 69: 148-153 비특허문헌 5: Progress in pacific polymer science, vol 3, Springer, Berlin, 1994; p. 423-432
그러나, 2단계의 공정으로 옻의 유효 성분을 취득하는 방법에서는, 각각의 공정에서 약품이나 기구가 필요해지고, 또 공정의 수만큼 수고도 배가 되는 점에서, 비용과 시간을 요하여 생산 효율이 낮아지는 것이 과제가 되고 있다. 또, 공정마다 성분의 손실이 있는 점에서, 얻어지는 유효 성분의 수율도 낮아진다는 과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옻의 유효 성분을 확보하면서, 우루시올을 간단한 공정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옻 유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검토를 진행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행했다. 그 결과, 옻의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에 원스텝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우루시올을 큰 폭으로 제거하면서, 옻의 유효 성분을 농축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知見)에 근거하여 제안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 물과 알코올의 혼합 용매와, 상기 혼합 용매 중에 추출된 옻의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을 농축하여, 용액의 용량을 2분의 1 이하로 한 농축 용액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우루시올 함량 저감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상기 옻이, 옻의 잎부인, [1]에 기재된 제조 방법.
[3] 농축 전의 알코올 농도를 a용량%로 하고, 농축 후의 알코올 농도를 b용량%로 했을 때, a-b가 10용량% 이상인, [1] 또는 [2]에 기재된 제조 방법.
[4] 상기 농축에 의하여, 상기 용액의 알코올 농도를 50용량% 미만으로 저하시키는,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5] 상기 농축을 감압하에서 행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6] 상기 농축을 20~50℃에서 행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7] 상기 농축에 의하여, 상기 용액에 포함되는 우루시올을 석출시키는,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8] 상기 농축에 의하여, 상기 용액에 포함되는 우루시올의 농도를 10분의 1 미만으로 저하시키는,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9] 상기 농축 용액의 우루시올 농도가 0.1중량% 미만인,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10] 상기 농축 전의 용액에 포함되는 퀘르시트린의 80중량% 이상이, 상기 농축 후의 농축 용액에 잔존하고 있는,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11] 상기 농축 용액을 건조하여 분말상으로 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12]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조성물.
[13] 느릅나무, 둥굴레, 구기자, 리치 및 인삼세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12]에 기재된 조성물.
[14] [12] 또는 [13]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방지제.
[15] [12] 또는 [13]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지방 축적 억제제.
[16] [12] 또는 [13]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옻의 유효 성분을 확실하게 남기면서, 옻 추출액으로부터 간단한 공정으로 우루시올을 제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우루시올 함량이 저감된 옻 유래 조성물을, 낮은 제조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은, 우루시올 함량이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비만 방지제, 지방 축적 억제제,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제로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옻 추출액의 농축 과정에 있어서의 용액 용량, 에탄올 농도, 우루시올 잔존율 및 퀘르시트린 잔존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고지방 사료를 준 마우스군(그룹 I), 옻잎 추출액 건조 분말을 1중량% 함유하는 고지방 사료를 준 마우스군(그룹 II), 및 옻잎 추출액 건조 분말을 2중량% 함유하는 고지방 사료를 준 마우스군(그룹 III)의 체중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고지방 사료를 준 마우스군(그룹 I), 옻잎 추출액 건조 분말을 1중량% 함유하는 고지방 사료를 준 마우스군(그룹 II), 및 옻잎 추출액 건조 분말을 2중량% 함유하는 고지방 사료를 준 마우스군(그룹 III)의 56일간 급이(給餌) 후의 복강 내 지방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고지방 사료를 준 마우스군(그룹 I), 옻잎 추출액 건조 분말을 1중량% 함유하는 고지방 사료를 준 마우스군(그룹 II), 및 옻잎 추출액 건조 분말을 2중량% 함유하는 고지방 사료를 준 마우스군(그룹 III)의 급이 직전(0일째)의 혈중 렙틴양과 56일간 급이 후의 혈중 렙틴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 요건의 설명은, 대표적인 실시형태나 구체예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수치 범위는 "~"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우루시올 함량 저감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우루시올 함량 저감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물과 알코올의 혼합 용매와, 이 혼합 용매 중에 추출된 옻의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을 농축하여, 용액의 용량을 2분의 1 이하로 한 농축 용액을 얻는 공정(농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이용하는 옻은, 옻과에 속하는 것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옻과 옻속에 속하는 식물종이다. 예를 들면, 옻(Rhus verniciflua),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덩굴옻나무(Rhus ambigua), 붉나무(Rhus javanica), 거망옻나무(Rhus silvestris)를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옻은, 잎, 뿌리, 줄기, 가지 등에 의하여 구성되며, 제조 방법에 제공하는 것은 어느 부분이어도 되지만, 잎부나, 줄기 및 가지의 나무 껍질이나 목부(木部)가 채취하기 쉽고, 그 중에서도 잎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무 껍질이나 목부에 대해서는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옻의 잎부에 대해서는 연구예가 그다지 없으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우루시올 함량을 저감시킴으로써, 그 유효 성분의 연구 개발을 크게 진전시킬 수 있다.
옻의 잎부는, 추출하기 쉬운 상태로 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편상(細片狀) 또는 분말상으로 한 다음에 추출해도 된다.
잎부를 세편상 또는 분말상으로 할 때에는, 채취한 잎부를 그대로 커터, 세단(細斷)기, 콜로이드 밀 등을 이용하여 처리해도 되지만, 일단 건조하고 나서 세단, 분말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잎부의 건조는, 수분 함량이 1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미만이 될 때까지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조는, 자연 건조해도 되고 기계 건조해도 된다. 또, 건조를 행하는 경우는, 잎부 채취로부터 30분 이내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잎부의 건조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가압식 드럼 가열 장치나 전자파 등을 이용하여 급속 가열 건조해도 된다. 가압식 드럼 가열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는, 80~140℃의 범위 내에서 가열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시간은, 통상 2분 이내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분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0초 정도로 한다. 또, 전자레인지 등의 전자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600W에서 20~50초 정도 가열 건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 가열 건조함으로써, 잎부 원료 중에 포함되어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효소의 활성을 억제 또는 실활시켜, 생리 활성 성분의 분해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급속 가열 건조한 것은,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추가로 저온 건조시키고 나서 사용해도 된다. 저온 건조를 행하는 경우에는, -5℃~10℃의 범위 내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 건조는, 원적외선 건조 장치 등의 열풍 건조 장치, 통풍 건조 장치, 빙온 건조 장치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적외선 건조를 행한 후에 빙온 건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온 건조를 행하면, 생리 활성 성분의 분해를 방지할 수 있다.
잎부의 세단이나 분말화는, 목적에 맞는 장치나 도구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콜로이드 밀을 이용하여 50~100μm의 분말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단이나 분말화는, 건조 전, 고온 건조 후, 저온 건조 후 중 어느 때여도 된다.
추출 대상이 되는 잎부는, 이와 같이 하여 세편상 또는 분말상으로 한 잎부뿐만 아니라, 채취한 잎부 그 자체, 고온 건조한 것, 저온 건조한 것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잎부는 어느 정도 세편화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는, 알코올과 물의 혼합 용매이다. 알코올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뷰탄올, 아이소뷰탄올, tert-뷰탄올, 펜탄올, 아이소펜탄올, 헥산올, 아이소헥산올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이 바람직하고, 에탄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코올은 어느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추출 용매의 알코올 농도는, 60용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5용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용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추출 용매의 알코올 농도는, 85용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용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5용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옻의 성분의 추출은, 알코올과 물의 혼합 용매를 옻에 접촉시키고, 옻의 성분을 혼합 용매 중에 용출시킴으로써 행한다. 이로써, 알코올과 물의 혼합 용매와, 이 혼합 용매 중에 추출된 옻의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이 얻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용액을 "옻 추출액"이라고 한다. 추출은, 구체적으로는 알코올과 물의 혼합 용매 중에 옻을 침지하고, 일정 시간 방치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추출은, 상온에서 행해도 되고 환류하에서 행해도 된다. 또, 용액을 교반하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속슬렛 추출기 등의 추출 장치를 사용하여 추출을 행해도 된다.
얻어진 옻 추출액은, 그대로 농축 공정에 제공해도 되지만, 여과 등에 의하여 불용물을 제거하고 나서 농축 공정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농축 공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조제된 옻 추출액인 용액을 농축하여, 농축 전의 용량의 2분의 1 이하로 한 농축 용액을 얻는다. 이 농축 공정에 있어서의 "농축"이란, 알코올과 물의 혼합 용매와, 이 혼합 용매 중에 추출된 옻의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옻 추출액)으로부터, 혼합 용매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농축 과정에서, 우루시올이 석출되거나 하여 용액에 있어서의 우루시올 함량이 저감된다. 이 석출된 우루시올을 여과 등으로 농축 용액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우루시올 함량이 저감된 조성물이 얻어진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용액의 농축이라는 간단한 공정으로, 옻의 유효 성분을 용액 중에 확실히 남기면서, 용액의 우루시올 함량을 큰 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용액의 농축은, 예를 들면 용액에 포함되는 혼합 용매의 일부를 증발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알코올의 일부를 증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의 증발분의 비율보다 알코올의 증발분의 비율의 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증발분의 비율이란, 증발에 의하여 손실된 용량의 농축 전의 용량에 대한 비율을 의미한다. 농축은, 상압하에서 행해도 되고 감압하에서 행해도 되지만, 감압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저온에서 혼합 용매를 증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생리 활성 성분의 열변성이나 열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농축을 행하는 온도는, 압력 조건에 따라 상이하기도 하지만, 2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농축 공정에서는, 용액의 농축에 의하여 용액의 알코올 농도를 저하시킨다. 농축 전의 알코올 농도를 a용량%로 하고, 농축 후의 알코올 농도를 b용량%로 했을 때, a-b는 10용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용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용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용액의 농축에 의하여, 용액의 알코올 농도를 50용량% 미만으로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45용량% 미만으로 저하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용량% 미만으로 저하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용액의 농축에 의하여, 용액에 포함되는 우루시올의 농도를, 농축 전의 우루시올의 농도의 10분의 1 미만으로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20분의 1 미만 저하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분의 1 미만 저하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농축 공정에서 얻는 농축 용액의 용량은, 농축 전의 용액의 용량의 1/2 이하이며, 1/3 이하여도 되고, 1/5 이하, 1/7 이하, 1/9 이하여도 된다. 또, 농축 용액의 용량의 하한은, 여과 조작에 의한 우루시올의 제거를 용이하게 행하는 점에서 1/20이다.
농축 공정에서 얻어지는 농축 용액의 우루시올 농도는, 0.1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중량%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1중량% 미만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005중량% 미만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 농축 전의 용액에 포함되는 퀘르시트린의 80중량% 이상이, 농축 후의 농축 용액에 잔존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농축 전의 용액에 포함되는 퀘르시트린의 85중량% 이상이, 농축 후의 농축 용액에 잔존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옻 추출액이나 농축 용액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함량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측정 조건에 대해서는, 실시예의 란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얻어진 농축 용액은, 그대로 조성물로서 사용에 제공해도 되지만,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농축 용액을 건조하여 분말상으로 하는 공정을 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농축 용액의 건조는, 자연 건조로 행해도 되고, 동결 건조로 행해도 된다. 또, 분말로 한 후에 생리 식염수 등에 용해하여 농도 조정을 더 행해도 된다. 또, 분말로 하기 전에 가열 살균을 행해도 된다.
<조성물>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우루시올 함량 저감 조성물(본 발명의 조성물)은, 옻에서 유래하는, 퀘르시트린이나 폴리페놀 등의 생리 활성 물질(유효 성분)을 함유함과 함께,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우루시올의 함량이 큰 폭으로 저감되어 있는 점에서, 의약 조성물이나 건강 음료로서 유용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예방 또는 치료 유효량을,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투여함으로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방지제 및 지방 축적 억제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비만 방지제, 지방 축적 억제제의 유효량을, 생체에 투여함으로써, 그 복강 내 지방 등의 체지방의 축적을 억제하여 비만증이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렙틴은, 지방조직 유래 호르몬이며, 시상하부(視床下部) 뉴런의 렙틴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섭식 억제와 에너지 소비 증가를 초래하는 한편, 비만도가 높을수록, 혈중 렙틴양이 높은 값이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혈중 렙틴양은, 일반적으로 비만도의 지표로 여겨지고 있으며, 혈중 렙틴양이 낮은 값일수록, 비만이 억제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제의 유효량을 생체에 투여하면, 지방 축적이 억제되어 비만이 방지되는 결과, 혈중 렙틴양의 증가가 억제된다고 추측된다. 또한, 본 발명의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 작용이 렙틴의 작용 부족을 초래하는 것이 아닌 것은,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우루시올 함량 저감 조성물을 적용한 계에서, 혈중 렙틴양의 증가가 억제됨과 동시에, 체중 증가나 지방 축적도 억제되고 있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투여 경로에 의하여 다양한 제형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장 투여, 비내 투여, 협측 투여, 설하 투여, 질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정맥 내 투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 피하 투여 또는 경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구 투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제로서, 정제, 캡슐제, 산제, 세립(細粒)제, 과립제, 액제, 시럽제 등을 들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에 적절한 제제로서, 주사제, 점적(點滴)제, 좌제, 흡입제, 경피 흡수제, 경점막 흡수제, 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제는, 정맥 주사, 근육 주사, 피하 주사, 점적 등 중 어느 것에 이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경구용 제제, 주사제, 첩부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약리학적 및 제제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첨가물을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형제(賦形劑), 붕괴제 또는 붕괴 보조제, 결합제, 활택제, 계면 활성제, 코팅제, 색소, 희석제, 기제(基劑), 용해제 또는 용해 보조제, 등장화제(等張化劑), pH 조절제, 안정화제, 분사제, 점착제, 습윤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생리 활성 성분(예를 들면, 느릅나무, 둥굴레, 구기자(구기), 리치 및 인삼세근(인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등)을 첨가해도 된다. 이들의 첨가제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에 다양한 부가적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서는, 전분, 옥수수 전분, 백당, 유당, 마니트, 결정 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아라비아 검, 무기염류 등을 구체예로서 들 수 있다.
상기 붕괴제 또는 붕괴 보조제로서는, 밀 전분, 쌀 전분,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부분 알파화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카복시메틸 스타치 나트륨, 트라간트, 결정 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멜로스, 카멜로스칼슘, 카멜로스나트륨,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을 구체예로서 들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서는, 한천(寒天), 젤라틴, 밀 전분, 쌀 전분,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덱스트린, 알파화 전분, 부분 알파화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결정 셀룰로스, 결정 셀룰로스·카멜로스나트륨,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아세테이트석시네이트, 카멜로스나트륨, 에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플루란, 폴리바이닐피롤리돈,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폴리바이닐아세탈다이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폴리바이닐알코올, 아라비아 검, 아라비아 검 분말, 백색 세락, 트라간트, 정제 백당, 마크로골을 구체예로서 들 수 있다.
상기 활택제로서는, 밀 전분, 쌀 전분, 옥수수 전분, 자당 지방산 에스터,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함수(含水) 이산화 규소, 경질 무수 규산, 합성 규산 알루미늄, 건조 수산화 알루미늄 젤, 탤크,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인산 수소 칼슘, 무수 인산 수소 칼슘, 납류, 수소 첨가유,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구체예로서 들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당 지방산 에스터, 대두 레시틴, 스테아르산 폴리옥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라이콜, 세스퀴올레산 소비탄, 트라이올레산 소비탄, 모노스테아르산 소비탄,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모노팔미트산 소비탄, 모노라우르산 소비탄, 폴리소베이트,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로마크로골을 구체예로서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활성 성분이 서서히 방출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 체내의 필요한 개소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집중적으로 방출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서방성(徐放性) 제제나 드럭 딜리버리 시스템은, 제제 업계에 있어서 주지의 방법에 따라 설계 후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의 담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담체로서, 유당, 전분,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이나 유지(油脂)를 예시할 수 있다.
투여 대상은, 개 등의 인간 이외의 포유류나 인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 또는 예방의 목적, 환자의 성별, 체중, 연령, 질환의 종류나 정도, 제형, 투여 경로, 투여 횟수 등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적절히 결정한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하는 경우에는, 0.1μg~100mg(옻잎 추출액 건조 중량)/kg체중/일로, 1일 1회부터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지만, 투여량은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반드시 의약품의 형태를 취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종 식품이나 음료에 포함시킴으로써, 기능성 식품이나 기능성 음료로서도 안전하며 또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항암 작용을 갖는 취지를 표시한 식품이나 음료로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홍차, 청량 음료수, 주스, 사탕, 전분질 식품, 각종 가공식품 등에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 형태는 이들의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필요에 따라, 젤화제 등을 첨가하여 식감을 개량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특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절차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의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혼합 용매의 배합 비율을 나타내는 "%"는 "용량%"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제한 조성물의 성분 분석, 항산화 활성 및 α-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의 측정은 이하의 방법으로 행했다.
(a)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한 성분 분석
퀘르시트린, 퀘르세틴, 설퍼레틴, 피세틴, 푸스틴 등에 대해서는, HPLC 시스템(애질런트·테크놀로지사제: 애질런트 1100 시리즈)으로 성분 분석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역상(逆相) 칼럼(도소사제: TSKgel ODS-80Ts(내경 4.6mm×길이 250mm))을 이용하여, 10mM의 인산-아세토나이트릴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는 리니어 그래디언트 용출(95:5→5:95, 60분간)을 행하여, 각 성분의 검출, 함유량의 측정을 행했다.
우루시올에 대해서는, HPLC 시스템(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LC6A 시스템)과 역상 칼럼(노무라 가가쿠사제: Develosil ODS-5(내경 10mm×길이 250mm))을 이용하여, 90% 아세토나이트릴을 이동상으로서 용출시켜, 272nm의 검출 파장으로 검출, 함유량의 측정을 행했다.
(b) 총 폴리페놀 함유량의 측정
총 폴리페놀량은, 폴인·싸이오컬트법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c) 알코올 농도의 측정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 농도계(애즈원사제: DAAL-25)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d) 항산화 활성의 측정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의 측정:
96구멍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측정용 시료 용액 60μL에, 0.2M의 MES(2-morpholinoethanesulphonic acid) 완충액(pH 6.0) 60μL, 20% 에탄올 용액 60μL, 에탄올에 용해한 400μM의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용액 60μ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정확하게 20분간 반응을 행했다.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20nm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했다. Trolox를 이용하여 회귀 직선을 작성하고, 시료 첨가량(μL/assay)에 상당하는 Trolox양(μmol Trolox/g)으로서 산출했다.
산소 라디칼 흡수능(ORAC)의 측정:
96구멍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측정용 시료 용액 25μL, Fluorescein 용액(75mM 인산 완충액(pH 7.4)에 용해) 150μL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했다. AAPH(2,2'-azobis(2-methylpropionamidine)dihydrochloride) 용액 25μL를 첨가하여 진탕 교반 후 즉시, 37℃로 유지한 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형광 강도를 측정했다(Em: 485nm, Ex: 528nm). 그 후, 5분 간격으로 60분간 형광 강도의 경시 변화를 측정했다. 형광 강도를 기록한 그래프의 곡선 하측 면적을 산출하고, 시료 1g 중량당 Trolox 상당량(μmol Trolox/g)으로서 ORAC값을 표시했다.
(e) α-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의 측정
96구멍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측정용 시료 용액 10μL와 67mM 인산 완충액(pH6. 8)에 용해한 효모 유래 α-글루코시다제(0.1 mU/mL) 40μL를 첨가하여, 37℃에서 15분간 예비 가온했다. 계속해서, 67mM 인산 완충액(pH 6.8)에 용해한 p-나이트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1mM) 50μL를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시켰다. 37℃에서 정확하게 30분간 반응 시킨 후, 0.5M 탄산 나트륨 용액 100μL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반응을 정지했다.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00nm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했다. α-글루코시다제 저해율은,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했다.
저해율(%)={(C-S)/(C-B)}×100
C: 컨트롤의 400nm에 있어서의 흡광도
S: 샘플의 400nm에 있어서의 흡광도
B: 블랭크의 400nm에 있어서의 흡광도
또한, 저해율이 50%를 나타냈을 때의 효소 반응 시에 있어서의 시료 종농도(終濃度)를 IC50값이라고 정의하고, 이것을 α-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의 척도로 했다.
(실시예 1) 옻잎 추출액 건조 분말(우루시올 함량 저감 조성물)의 제조와 평가
한국 원주시에서 채취한 옻잎(Rhus verniciflua의 잎부)의 건조 분말 800g에 대하여, 70% 에탄올·30% 물 혼합 용매(10배량, 8L)를 첨가하고, 실온(25℃)에서 16시간 교반함으로써 옻잎 추출액을 얻었다. 여기에서 얻어진 옻잎 추출액은, 70% 에탄올·30% 물 혼합 용매와, 혼합 용매 중에 추출된 옻의 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에 상당한다. 얻어진 옻잎 추출액을, 여과지(No. 131)를 장착한 부흐너 깔때기를 이용하여 흡인 여과했다. 이 여과액을, 로터리 이배포레이터를 사용하여 40℃의 탕욕 중에서 약 10분의 1량(약 800mL)까지 감압 농축했다. 농축의 공정에서 우루시올을 포함하는 흑색의 침전물이 발생했다. 계속해서 농축 용액과 우루시올을 포함하는 흑색 침전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재차, 여과지(No. 131)를 장착한 부흐너 깔때기를 이용하여 농축물의 흡인 여과를 행하여, 여과액(농축 용액)을 회수했다.
얻어진 농축 용액의 성분 분석을 행했는데, 우루시올은 검출되지 않고, 퀘르시트린이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후, 농축 용액에 90℃에서 5분간의 가열 살균을 행하고, 충분히 방랭한 후, -80℃에서 예비 동결을 행하며, 또한 동결 건조기로 약 6일간 동결 건조함으로써 옻잎 추출액 건조 분말(조성물 1)을 얻었다.
(A) 성분 분석
실시예 1에서 얻은 옻잎 추출액 건조 분말에 대하여,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성분 분석을 행했는데, 퀘르시트린의 함유가 확인되었으나, 나무 껍질이나 목부에 함유되어 있는 퀘르세틴이나 설퍼레틴, 피세틴, 푸스틴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B) 농축 과정에서의 우루시올 및 퀘르시트린의 함량 변화의 측정
농축 과정에서의 우루시올 및 퀘르시트린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70% 에탄올·30% 물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옻잎 추출액을 조제하고, 이 옻잎 추출액(900mL)을 약 1/10량(100mL)이 될 때까지 감압 농축했다. 이 농축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용액의 일부(용액 샘플)를 채취하여, 그 용액 샘플의 에탄올 농도, 우루시올 함량 및 퀘르시트린 함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용액 샘플을 채취한 시점에서의 용액의 에탄올 농도, 우루시올 잔존율 및 퀘르시트린 잔존율을 구했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가로축은, 용액 샘플을 채취했을 때의 용액의 용량을 나타내고, 좌측 세로축은, 용액의 에탄올 농도를 나타내며, 우측 세로축은, 용액의 우루시올 잔존율 및 퀘르시트린 잔존율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잔존율이란, 농축 전의 함량을 100중량%로 했을 때의, 각 시점에서의 함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루시올 함량은 농축의 진행에 따라 현저히 감소되는 한편, 유용 성분인 퀘르시트린은 농축 과정에서 거의 손실되지 않고 초기의 함유량을 유지했다. 이점에서, 에탄올·물 혼합 용매에 의한 옻 추출액을 농축함으로써, 우루시올 함량을 선택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 미농축의 옻잎 추출액의 조제와 비교 평가
옻잎 건조 분말 800g에 대하여, 10배량(8L)의 에탄올·물 혼합 용매를 첨가하고, 실온(25℃)에서 16시간 교반함으로써 옻잎 추출액을 얻었다. 이때, 혼합 용매의 에탄올 농도는 70%, 40%, 또는 35%로 했다.
얻어진 옻잎 추출액과, 상기 (B)의 평가를 위하여 채취한 에탄올 농도 35%의 용액 샘플(옻잎 추출액의 농축 용액)에 대하여, 우루시올 함량, 퀘르시트린 함량 및 총 폴리페놀량, 및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 α-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각 성분 함량의 목푯값은, 퀘르시트린에서 5중량% 이상, 총 폴리페놀에서 15중량% 이상으로 설정했다. 또,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표 1에 나타낸 값이 높을수록, 활성이 높은 것을 의미하고, α-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은, 표 1에 나타낸 값이 낮을수록, 활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표 1]
Figure 112020079479079-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70% 에탄올에 의한 옻잎 추출액의 농축 용액(에탄올 농도: 35%)은, 우루시올 함량이 0.001중량% 미만으로 극미량이며, 또한 퀘르시트린 함량 및 총 폴리페놀량이 목표의 5중량%, 15중량%를 상회하는 것이었다. 이에 대하여, 농축하지 않은 옻잎 추출액에서는, 에탄올 농도가 70%이면, 퀘르시트린 함량 및 총 폴리페놀량은 목푯값을 초과하지만, 우루시올 함량이 5.9중량%로 높아, 그대로는 의약 원료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또, 에탄올 농도를 35%나 40%로 낮추면, 우루시올 함량은 어느 정도 저감되지만, 퀘르시트린 함량 및 총 폴리페놀량까지 줄어버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α-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도 낮아졌다. 특히 α-글루코시다제 저해 작용은, 옻잎 추출액의 농축 용액에 비하여 현저히 저활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물·알코올 혼합 용매의 옻잎 추출액에 농축을 행하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알레르기 성분인 우루시올만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유용 성분인 퀘르시트린이나 폴리페놀의 양을 저하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농축 공정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 항산화 활성의 평가
실시예 1에서 얻은 옻잎 추출액 건조 분말(조성물 1)에 대하여, 산소 라디칼 흡수능(ORAC)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함과 함께, 총 폴리페놀량을 카테킨당량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20079479079-pct00002
(D) 체중 증가 억제 작용, 복강 내 지방 축적 억제 작용 및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 작용의 평가
실시예 1에서 얻은 옻잎 추출액 건조 분말(조성물 1)에 대하여, 체중 증가 억제 작용, 복강 내 지방 축적 억제 작용 및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 작용을 평가했다. 시험은, 6주령의 수컷인 C57BL/6J 마우스에 대하여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18마리의 C57BL/6J 마우스(니혼 에스엘시사로부터 구입)를 3개의 그룹 I, II, III으로 나누어, 그룹 I에는 고지방 사료(오리엔탈 고보 고교사제: HFD-60), 그룹 II에는, 조성물 1을 1중량% 첨가한 고지방 사료, 그룹 III에는, 조성물 1을 2중량% 첨가한 고지방 사료를 각각 주고, 주마다 2회의 체중 측정을 행하며, 시험 개시부터 56일째에 복강 내 지방량의 측정과 채혈을 행하여 혈중 렙틴양을 측정했다. 통계 처리는, Dunnett법으로 행하고, 유의(有意) 수준은 0.05로 했다. 체중의 측정 결과를 도 2에 나타내고, 복강 내 지방량의 측정 결과를 도 3에 나타내며, 혈중 렙틴양의 측정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2~4에 있어서 에러 바는 표준오차를 나타낸다. 혈중 렙틴양은 ELISA법으로 측정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룹 I과 비교하여, 그룹 II에 체중 증가 억제 경향이 확인되며, 그룹 III에는 유의한 체중 증가 억제 작용이 확인되었다. 또, 그룹 III에는, 그룹 I과 비교하여 복강 내 지방의 축적 억제 경향이 확인되며, 또 유의한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 작용이 확인되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간단한 공정으로, 옻 추출액의 우루시올 함량을 큰 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옻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고, 또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우루시올의 함량이 저감된 조성물을 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

Claims (16)

  1. 알코올 농도가 60~85용량%인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을 이용해서 옻으로부터 옻의 함유 성분을 추출하고,
    추출한 옻의 함유 성분을 포함하는, 알코올 농도가 60~85용량%인 상기 알코올과 물의 혼합 용액을 농축함으로써, 용액의 용량을 2분의 1 이하로 하여 우루시올을 석출시키고,
    농축한 용액을 취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알코올이,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인, 우루시올 함량을 저감한 옻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옻이, 옻의 잎부인,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농축 전의 알코올 농도를 a용량%로 하고, 농축 후의 알코올 농도를 b용량%로 했을 때, a-b가 10용량% 이상인,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축에 의하여, 상기 용액의 알코올 농도를 50용량% 미만으로 저하시키는,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축을 감압하에서 행하는,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축을 20~50℃에서 행하는, 제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축에 의하여, 상기 용액에 포함되는 우루시올의 농도를 10분의 1 미만으로 저하시키는, 제조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축 용액의 우루시올 농도가 0.1중량% 미만인, 제조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축 전의 용액에 포함되는 퀘르시트린의 80중량% 이상이, 상기 농축 후의 농축 용액에 잔존하고 있는, 제조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축 용액을 건조하여 분말상으로 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비만 방지제용 조성물.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지방 축적 억제제용 조성물.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제용 조성물.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느릅나무, 둥굴레, 구기자, 리치 및 인삼세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조성물.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느릅나무, 둥굴레, 구기자, 리치 및 인삼세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조성물.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느릅나무, 둥굴레, 구기자, 리치 및 인삼세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207022114A 2019-08-30 2020-01-31 우루시올 함량 저감 조성물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조성물, 비만 방지제, 지방 축적 억제제 및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제 KR102197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58747 2019-08-30
JPJP-P-2019-158747 2019-08-30
PCT/JP2020/003725 WO2021038904A1 (ja) 2019-08-30 2020-01-31 ウルシオール含量低減組成物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組成物、肥満防止剤、脂肪蓄積抑制剤および血中レプチン量増加抑制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352B1 true KR102197352B1 (ko) 2021-01-04

Family

ID=7413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114A KR102197352B1 (ko) 2019-08-30 2020-01-31 우루시올 함량 저감 조성물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조성물, 비만 방지제, 지방 축적 억제제 및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3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641A (ja) * 2003-03-07 2003-08-19 Hoashi Masahito 肝機能障害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医薬組成物
KR20050113003A (ko) * 2004-05-28 2005-12-01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 억제용 조성물
JP2009513624A (ja) * 2005-10-25 2009-04-02 エージアィ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優れた抗癌活性の漆抽出物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抗癌薬剤組成物
KR20160149696A (ko) * 2015-06-19 2016-12-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우루시올 제거 및 기능성 성분 보전을 위한 발효옻의 속성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641A (ja) * 2003-03-07 2003-08-19 Hoashi Masahito 肝機能障害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医薬組成物
KR20050113003A (ko) * 2004-05-28 2005-12-01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 억제용 조성물
JP2009513624A (ja) * 2005-10-25 2009-04-02 エージアィ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優れた抗癌活性の漆抽出物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抗癌薬剤組成物
KR20160149696A (ko) * 2015-06-19 2016-12-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우루시올 제거 및 기능성 성분 보전을 위한 발효옻의 속성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Open Journal of Immunology 2015; 5: 39-49
비특허문헌 2: Drug Research 2017; 65: 127-130
비특허문헌 3: Journal of Cancer Therapy 2016; 7: 464-470
비특허문헌 4: Journal of Natural Medicines 2015; 69: 148-153
비특허문헌 5: Progress in pacific polymer science, vol 3, Springer, Berlin, 1994; p. 423-43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125B1 (ko) 갈색거저리 유충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382400B1 (ko) 흰점박이꽃무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1771726B2 (en) Composition, containing Quisqualis indica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ic hyperplasia
KR20150038775A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143244B1 (ko) 편각영지버섯 추출물, 사자발쑥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7332081A (ja) 健康美容機能性組成物、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および化粧品
KR20210052377A (ko) 캠퍼롤 및 에티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7352B1 (ko) 우루시올 함량 저감 조성물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조성물, 비만 방지제, 지방 축적 억제제 및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제
JP2011020925A (ja) 内臓脂肪型肥満抑制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56443B1 (ko) 잣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
KR20170013170A (ko)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인삼열매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US7250180B2 (en) Anti-prostate cancer composition and therapeutic uses therefor
WO2015160181A1 (ko)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세포 이상 증식 및 이동성 질환 또는 혈관 내막증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741890B1 (ja) ウルシオール含量低減組成物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組成物、肥満防止剤、脂肪蓄積抑制剤および血中レプチン量増加抑制剤
KR101084939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83566B1 (ko) 신품종 고구밸리 감자를 이용한 암 예방을 위한건강기능식품
KR20130103989A (ko) 꾸지뽕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및 당뇨병 예방용 조성물
KR102150114B1 (ko) 편각영지버섯 추출물, 잇꽃씨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2531B1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소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92180B1 (ko) 귤껍질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 질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132261A (ko) 싸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72625A (ko) 들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36559B1 (ko)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녹제초 추출물
KR101104269B1 (ko) 붓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313249B1 (ko)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