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510B1 -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510B1
KR100589510B1 KR1020040102724A KR20040102724A KR100589510B1 KR 100589510 B1 KR100589510 B1 KR 100589510B1 KR 1020040102724 A KR1020040102724 A KR 1020040102724A KR 20040102724 A KR20040102724 A KR 20040102724A KR 100589510 B1 KR100589510 B1 KR 100589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resin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도
조재환
허만생
이기도
Original Assignee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2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8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84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특히 자동차 전선피복용에 적합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전선피복용으로서 특히 요구되는 내열성, 충격강도, 내백화성, 난연성, 연신성, 파단강도 물성 등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환경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종래의 자동차 전선 피복용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친환경성의 측면에서 보다 우수한, 긴가지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올레핀 탄성체, 변성 폴리올레핀 및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자동차, 전선피복

Description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특히 자동차 전선피복용에 적합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전선피복용으로서 특히 요구되는 내열성, 충격강도, 내백화성, 난연성, 연신성, 파단강도 물성 등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환경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종래의 자동차 전선 피복용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친환경성의 측면에서 보다 우수한, 긴가지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올레핀 탄성체, 변성 폴리올레핀 및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전선피복용으로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등의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들은, 요구되는 내열성 정도에 따라서, 자동차의 전자제품, 문, 트렁크, 하부 후드(underhood), 엔진접촉 부위 등에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자동차 전선피복용 수지 조성물 중에서, PVC 수지 조성물은 소각시 다이옥신, 중금속 화합물 등이 발생하는 환경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PE 수지 조성물은 녹는점이 낮아서, 100℃ 이상의 내열성이 필요한 엔진 접촉부분 내지 하부 후드 부분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PBT 수지 조성물의 경우, 내열성은 우수하나 가격이 매우 고가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전기적인 절연특성과 제조상의 편리함을 위한 기계적 특성 및 내화학적 특성 등이 우수하여, 전선 및 통신용 케이블등의 개재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난연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할로겐계 화합물을 난연제로서 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할로겐계 난연제가 첨가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로 형성된 제품은, 화재 등에 의해 고열과 화염에 노출될 경우, 부식성이 있으면서 인체에 유독한 할로겐계 가스와 짙은 연기를 발생시키게 되어,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유해성은 제품 제조시에도 동일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건강에도 매우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할로겐계 난연제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할로겐계 난연제로서 금속수산화물이나 황산암모늄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252388호에서와 같이,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기본 수지로 하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조성물 재료를 화학가교 내지 전자선 가교하는 방법, 또는 기계적 특성이나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을 기본 수지에 사용하는 방법이 검토되어 왔으나, 물성의 밸런스 측면에서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 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342309호, 제2003-313377호 및 제2004-75992호에서와 같이, 통신용 케이블, 전선 케이블, 자동차 전선피복 용도로 무기계 난연제를 고충전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검토되어 왔으나, 이들은 모두 선형 사슬의 분자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폴리프로필렌을 기본 수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내열성, 파단강도, 연신성 등의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전선피복용에 가장 적합한, 특히 100℃ 이상에서 사용가능할 정도의 내열성을 가지고, 내백화성, 충격성, 난연성 등을 만족하면서도, 일반 선형 사슬의 분자구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기본 수지를 포함하는 종래의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내열성, 인장강도, 연신성에 있어서 보다 더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230℃의 온도 및 2.16kg 하중에서의 용융지수가 0.02~4.0g/10분인 긴가지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 폴리올레핀 탄성체 3~15중량부, 변성 폴리올레핀 2~6중량부 및 비할로겐계 난연제 80~14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긴가지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의 온도 및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지수가 0.02~4.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2.0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융지수가 0.02g/10분 미만이면, 수지 가공특성이 나빠지고, 4.0g/10분을 초과하면, 내열성, 인장강도 등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긴가지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200mN 이상의 용융강도를 갖고, 전단 농화(shear thickening)한 연신점도 특성을 갖는 것이, 인장강도, 연신성 등의 측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긴가지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헥센 공중합체, 프로필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등과 같은 소량의 다른 알파 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블록공중합체, 랜덤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긴가지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특정적으로 포함하므로써,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더라도 전선피복용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기계적 물성을 지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올레핀 탄성체는, 수지 조성물에 탄성과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무니점도(ML1+4, 100℃)가 5.0~40.0인 것이 바람직하며, 8.0~3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무늬점도가 5.0 미만인 경우에는 흐름성은 향상되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4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은 향상되나 흐름성이 저하되어 성형이 어려워진다.
상기 폴리올레핀 탄성체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디시클로펜타디엔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1,4-헥사디엔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시클로펜타디엔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메틸렌 노보넨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에틸리덴 노보넨 고무, 에틸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또는 에틸렌 옥타디엔 공중합체 고무가 바람직하게 사용가능하며, 특히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또는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고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인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공중합체(SEBS), 수소화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HSBR), 스티렌·에틸렌-부티렌 블록공중합체(SEBC) 또는 결정성 에틸렌-부티렌 블록공중합체(CEBC)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내충격성이 특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탄성체에 있어서, 공단량체의 함량은 10~40중량%, 특히 20~30중량%인 것이,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긴가지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올레핀 탄성체가 3~1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함량이 3중량부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의 탄성, 연신성 등이 저하되어 작업성이 나빠지며, 15중량부를 초과하면, 흐름성이 저하되어 성형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은 수지 조성물의 비할로겐계 난연제 계면에 대한 접착성 향상을 통해 내열성을 개선하고자 사용된다.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으로는,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부틸렌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가능하며, 이러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제조는 통상의 용융 혼련법에 의해 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불포화 카르본산 또는 그 무수물 및 촉매를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180~220℃의 온도에서 가열 용융하므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는, 상기 긴가지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이 2~6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이면, 비할로겐계 난연제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의 접착성이 저하되어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및 내열성이 나빠지며, 6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비할로겐계 난연제는, 할로겐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보다 우수한 난연제로서, 내열성 및 난연특성을 개선하고자 사용되며, 수산화마그네슘(Mg(OH)2), 수산화알루미늄(Al(OH)3), 수산화칼슘(Ca(OH)2) 등과 같은 금속수산화물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는, 상기 긴가지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비할로겐계 난연제가 80~140중량부의 비교적 고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80중량부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에 충분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없으며, 140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환경적으로 문제가 있는 종래의 할로겐계 난연제를 대체하고자 금속수산화물과 같은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경우, 충분한 난연성을 얻기 위해서는,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비교적 고함량으로 수지 조성물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고함량으로 포함시키면, 케이블 성형을 위한 연신과정에서 쉽게 끊어지거나 부스러지는 등, 기계적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상기 폴리올레핀 탄성체를 3~15중량부 첨가하고,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을 2~6중량부 첨가하므로써, 비할로겐계 난연제, 특히, 금속수산화물을 최대 140중량부까지의 고함량으로 포함하더라도, 기계적 특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극대화된 난연성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산화방지제, 활제 등과 같이 전선피복용 난연성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기타 첨가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기타 첨가제 중에서, 특히, 산화방지제는 0.1~1중랑부, 활제는 0.5~2.5중량부를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더 첨가하는 것이 작업성 및 물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단독 또는 그 혼합물, 비할로겐계 난연제로서 금속수 산화물인 수산화마그네슘(Mg(OH)2), 폴리올레핀 탄성체, 변성 폴리올레핀, 산화방지제 및 활제를 상기한 함량 비율로 혼합장치에 투입하고, 이를 1분~1시간동안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200~250℃의 온도에서 압연기 또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및 혼련시켜 펠렛화된 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원료물질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함량으로 Hensel 믹서(상표명)에 투입하고, 약 3분동안 교반하여 혼합시켰다. 결과 혼합물을 구경이 30mm인 일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약 200℃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화된 형태의 난연성 수지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제조된 난연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시편을 제작한 뒤, 내열성, 전선백화현상, 상온 IZOD 충격강도, 상온 파단강도, 상온 신율 및 난연성을 평가 내지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물성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물성측정방법]
① 용융지수(MI):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kg에서 측정.
② 용융강도 및 연신점도 특성 : 한국실용신안출원 제1999-0008553호 및 한국특허출원 제2001-0030112호에 기재된 SMER(Samsung Melt Tension Rheometer)을 이용하여, 200℃에서 모세관 유변측정기(Capillary Rheometer)의 다이를 통해 나오는 스트랜드에 대하여 140℃ 챔버 온도에서 측정.
③ 내열성 : 150℃ 오븐중에서 60시간, 120시간, 240시간, 360시간, 480시간이상 가열후 피복표면의 균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균열 발생을 발견한 시점에 해당되는 소요시간을 기준으로 평가.
④ 전선백화현상 : 전선피복으로 성형된 시편에 대하여 180° 절곡을 행하고, 절곡부에서의 백화를 육안으로 관찰.
⑤ 상온 IZOD 충격강도 :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3.2mm의 사출시편에 대하여 측정.
⑥ 상온 파단강도 및 신율 : ASTM D-412에 의거하여, 두께 2mm의 사출시편을 사용하여 인장속도 50mm/분의 조건하에 파단될 때의 강도 및 신율을 측정.
⑦ 난연성 : UL94에 의거하여, 두께 1.6mm의 시험편에 대하여 측정.
[표 1]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수지 조성물 조성(단위 : 중량부)
PP-1 PP-2 POE MPO FR-1 FR-2 AO LB
실시예 1 100 - 9 4 110 - 0.2 1.5
실시예 2 100 - 15 6 140 - 0.2 1.5
실시예 3 100 - 3 2 80 - 0.2 1.5
비교예 1 - 100 9 4 110 - 0.2 1.5
비교예 2 100 - 9 4 - 50 0.2 1.5
비교예 3 100 - 2 1 40 - 0.2 1.5
주) PP-1 : 긴가지가 도입된 호모폴리프로필렌(GRADE HM200F, 삼성토탈(주)), 용융지수 1.7g/10분, 용융강도 200mN, 전단 농화한 연신점도 특성
PP-2 : 선형 구조의 호모폴리프로필렌(GRADE HF11HPT1, 삼성토탈(주)), 용융지수 1.6g/10분, 용융강도 30mN, 전단 박화(shear thinning)한 연신점도 특성
POE : 폴리올레핀 탄성체(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GRADE VISTAMAXX VM1100, 엑손모빌사), 무니점도(ML1+4, 125℃) 25
MPO : 변성 폴리올레핀(변성 폴리프로필렌, GRADE CP4673, 삼성토탈(주))
FR-1 : 비할로겐계 난연제(수산화마그네슘(Mg(OH)2)
FR-2 : 할로겐계 난연제
(비스펜타브로모페녹시에탄, S-8010, 미국 Albermale사)
AO : 산화방지제(IRGANOX 1010, 시바 가이기사)
LB : 활제(Songstab SC-110, 송원산업)
[표 2]
내열성(균열발생까지의 소요시간) 전선백화현상 상온 IZOD 충격강도 (kg·cm/cm) 상온 파단강도 (kg/㎟) 상온 신율(%) 난연성 (UL94 등급)
실시예 1 360시간 후 없음 6.3 327 375 V-0
실시예 2 360시간 후 없음 7.0 350 343 V-0
실시예 3 360시간 후 없음 6.1 303 392 V-1
비교예 1 120시간 후 없음 6.0 164 154 V-0
비교예 2 360시간 후 있음 6.3 311 367 V-0
비교예 3 240시간 후 없음 5.1 289 352 V-2
상기 표 2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긴가지가 분자구조 내에 도입된 호모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실시예 1은, 내백화성, 충격강도, 난연성에 있어서는 선형 구조의 호모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비교예 1과 유사하나, 내열성은 3배 이상, 상온 파단강도 및 신율은 약 2배 이상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있어서는, 금속수산화물 난연제를 140중량부의 고함량으로 첨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표 2의 모든 물성에서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실시예 3에 있어서는, 폴리올레핀 탄성체와 변성 폴리올레핀의 함량을 각각 3중량부 및 2중량부까지 줄이더라도, 80중량부의 함량으로 금속수산화물 난연제를 첨가할 수 있었고, 그 결과 난연성이 다소 저하되기는 하나, 역시 여러 물성에서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한 비교예 2와 실시예들을 비교해 보면, 내백화성에 있어서는 실시예들의 수지 조성물이 우수하고, 그 밖의 물성들에 대해서는 동등한 수준을 나타내었는 바, 이로부터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종래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유사 내지는 그보다 우수한 난연성 및 물성을 지니는 친환경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얻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3의 경우, 실시예 3에 비하여 폴리올레핀 탄성체와 변성 폴리올레핀의 함량을 각각 2중량부 및 1중량부까지 줄인 결과, 40중량부를 최대함량으로 하여 금속수산화물 난연제를 첨가할 수밖에 없었는 바, 본 실시예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비교예 3에 있어서, 그 이상의 함량으로 금속수산화물 난연제를 첨가하면, 결과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너무 나빠져서 유의한 시편의 제작 및 물성측정이 불가능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3의 수지 조성물은 특히 난연성에 있어서 실시예들의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열등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이 목적하는 수준의 난연성을 얻기 위해서는 금속수산화물 난연제를 일정 수준 이상의 고함량으로 첨가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폴리올레핀 탄성체와 변성 폴리올레핀의 함량을 각각 적어도 3 중량부 및 2중량부 이상으로 수지 조성물에 첨가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일반적인 선형 분자구조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과 유사한 수준의 내백화성, 충격성, 난연성 등을 가지는 동시에, 그보다 우수한 내열성, 파단강도, 상온신율 등을 가지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100℃이상의 내열성이 필요한 통신용 케이블 및 전기전자용 전선피복용, 자동차 전선피복용 등의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자동차 전선피복용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특성인 파단강도와 연신성이 크게 강화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친환경적인 폴리프로필렌 소재 및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폴리염화비닐 소재 및/또는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환경친화성을 가진다.

Claims (6)

  1. 230℃의 온도 및 2.16kg 하중에서의 용융지수가 0.02~4.0g/10분인 긴가지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 폴리올레핀 탄성체 3~15중량부, 변성 폴리올레핀 2~6중량부 및 비할로겐계 난연제 80~14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가지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200mN 이상의 용융강도를 갖고, 전단 농화한 연신점도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가지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프로필렌 랜덤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탄성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또는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할로겐계 난연제는 금속수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가지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1~1중랑부 및 활제 0.5~2.5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040102724A 2004-12-08 2004-12-08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589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724A KR100589510B1 (ko) 2004-12-08 2004-12-08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724A KR100589510B1 (ko) 2004-12-08 2004-12-08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9510B1 true KR100589510B1 (ko) 2006-06-14

Family

ID=3718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724A KR100589510B1 (ko) 2004-12-08 2004-12-08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5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518B1 (ko) * 2011-01-12 2011-04-04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비할로겐계 연질내열성 난연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기통신자동차용 케이블
KR20170016720A (ko) 2015-08-04 2017-02-14 태성에컴스(주) 내마모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조성물
KR101863421B1 (ko) * 2015-12-30 2018-05-31 한화토탈 주식회사 비할로겐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7374A (ja) 1996-09-04 1998-03-2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改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前記組成物の製法
KR0169007B1 (ko) * 1995-12-26 1999-03-20 성기웅 폴리프로필렌 섬유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20010071879A (ko) * 1999-05-14 2001-07-31 간디 지오프레이 에이치. 기판 피복용으로 적합한 접착성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JP2001226510A (ja) 1999-12-06 2001-08-21 Sekisui Plastics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成形品およびその製法
JP2002105259A (ja) 2000-09-28 2002-04-10 Toppan Printing Co Ltd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KR20030013831A (ko) * 2001-08-09 2003-02-15 주식회사 두람하이테크 전자파 차폐용 금속복합수지 조성물, 시트 및 이의제조방법
KR20030055617A (ko) * 2001-12-27 2003-07-04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고탄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50042077A (ko) * 2002-09-17 2005-05-04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고충전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007B1 (ko) * 1995-12-26 1999-03-20 성기웅 폴리프로필렌 섬유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JPH1077374A (ja) 1996-09-04 1998-03-2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改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前記組成物の製法
KR20010071879A (ko) * 1999-05-14 2001-07-31 간디 지오프레이 에이치. 기판 피복용으로 적합한 접착성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JP2001226510A (ja) 1999-12-06 2001-08-21 Sekisui Plastics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成形品およびその製法
JP2002105259A (ja) 2000-09-28 2002-04-10 Toppan Printing Co Ltd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KR20030013831A (ko) * 2001-08-09 2003-02-15 주식회사 두람하이테크 전자파 차폐용 금속복합수지 조성물, 시트 및 이의제조방법
KR20030055617A (ko) * 2001-12-27 2003-07-04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고탄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50042077A (ko) * 2002-09-17 2005-05-04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고충전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518B1 (ko) * 2011-01-12 2011-04-04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비할로겐계 연질내열성 난연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기통신자동차용 케이블
KR20170016720A (ko) 2015-08-04 2017-02-14 태성에컴스(주) 내마모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조성물
KR101863421B1 (ko) * 2015-12-30 2018-05-31 한화토탈 주식회사 비할로겐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6440B2 (en) Fire resistant resin composition and electrical wire having fire resistant covering
US6475628B2 (en) Resin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it and electrical wire covered with it
KR100737615B1 (ko) 전선 절연재 제조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CN101578334B (zh) 无卤阻燃树脂复合材料以及采用该复合材料的电线和电缆
KR101542110B1 (ko) 압출용 고온내수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및 케이블
US6476138B2 (en) 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KR20100025211A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기반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100702739B1 (ko) 굽힘 변형시 백화현상이 억제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20040030549A (ko) 절연전선
KR102473515B1 (ko) 내한성 및 내유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선
US6462121B2 (en) 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EP1033384B1 (en) Flame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
KR20130094404A (ko) 유연성, 내마모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전선용 수지 조성물
KR101037817B1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기반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EP1215685A1 (en) Electrical wire having a covering of a resin composition
KR100589510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70006694A (ko) 자동차용 전선소재용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JP4163052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難燃性樹脂組成物を被覆した絶縁電線
KR100655532B1 (ko) 굽힘 변형시 백화현상이 억제된 난연성 전선 피복재료 조성물
JP4784005B2 (ja) 難燃性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難燃性重合体組成物
JP2012140557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コード
US6866932B2 (en) 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it and electrical wire covered with it
CN1266209C (zh) 一种离子交联型低烟无卤阻燃热塑性弹性体及制备方法
JP2001200106A (ja) 難燃性重合体組成物
US6452106B1 (en) Resin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it and electrical wire covered with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