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211B1 -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211B1
KR100580211B1 KR1020040106546A KR20040106546A KR100580211B1 KR 100580211 B1 KR100580211 B1 KR 100580211B1 KR 1020040106546 A KR1020040106546 A KR 1020040106546A KR 20040106546 A KR20040106546 A KR 20040106546A KR 100580211 B1 KR100580211 B1 KR 100580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nip
sensor
detection signal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래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211B1/ko
Priority to US11/154,714 priority patent/US7593683B2/en
Priority to CN2005101088171A priority patent/CN176076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1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 G03G15/6564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with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Structural details or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sure elements and layer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밀착하여 닙(nip)을 형성하며 대향되게 배치된 구동롤러와 아이들롤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이송중인 용지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제1 센서 및 제2 센서; 및, 상기 닙 주위로 연장되어 닙으로 향하는 용지의 선단부를 가로막는 일단부와, 상기 제1 센서 주위로 연장되는 타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소정의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레버;를 구비하고,
이송중인 용지의 선단부에 의해 레버의 일단부가 제1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용지의 선단부가 상기 닙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용지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제1 위치보다 용지의 진행방향으로 더 진행한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용지의 선단부가 상기 닙을 통과하였음을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용지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용지의 진행방향에서 비켜나는 제3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용지가 상기 닙을 통과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제3 감지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 회동하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용지의 후단부가 상기 닙을 통과하였음을 감지하여 제4 감지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정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Apparatus for arranging pap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도 1 및 도 2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된 종래의 용지정렬장치의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정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정렬장치의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10 ...현상장치
115 ...감광매체 127 ...광주사장치
150 ...용지정렬장치 152 ...구동롤러
154 ...아이들롤러 160 ...제1 포토센서
165 ...레버 175 ...스토퍼(stopper)
177 ...스프링 200 ...제2 포토센서
본 발명은 이송되는 용지를 정렬(整列)하는 용지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광(光) 주사에 의해 감광매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可視)화상으로 현상하고, 이를 다시 용지에 전사하고 정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감광매체의 가시화상은 소정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에 연속적으로 전사되고 정착된다. 상기 용지의 이송경로상 감광매체의 앞에는, 용지의 정(正) 위치에 가시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감광매체로 향하는 용지를 가지런히 정렬하는 용지정렬장치가 마련된다.
도 1 및 도 2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된 종래의 용지정렬장치의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용지정렬장치(10)는 닙(nip, N)을 형성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구동롤러(12)와 아이들롤러(14), 포토센서(photo sensor, 16), 및 이송되는 용지(P)의 선단부(Pa)에 밀려 회전하는 레버(18)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롤러(12)는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모터와 구동롤러(12)는 전자 클러치(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단절(斷絶)된다.
아래에서 위로 진행하는 용지(P)의 선단부(Pa)가 레버(18)에 도달하기 전에는 상기 전자 클러치(미도시)는 구동롤러(12)와 모터(미도시)의 연결을 해제하여 구동롤러(12) 및 아이들롤러(14)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용지(P)의 선단부(Pa)가 진행하여 레버(18)의 일단부(18a)를 위로 밀면 레버(18)의 회전에 의해 타단부(18b)가 아래로 내려가며, 상기 타단부(18b)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센서(16)를 벗어나, 용지(P)의 접근이 감지된다. 연이어, 용지(P)의 선단부(Pa)가 컬(curl)을 형성하며 용지(P)가 정렬된다. 전자 클러치(미도시)는 상기 포토센서(16)의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동작을 개시하고, 이에 의해 상기 롤러들(12, 14)이 회전하여 용지(P)가 이송된다. 또한, 상기 전자 클러치(미도시)의 동작 개시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광주사장치(미도시)와 감광매체(미도시)가 차례로 동작을 개시하여 진행하는 용지(P)의 정(正) 위치에 화상이 전사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용지정렬장치(10)는 전자 클러치(미도시)의 동작 개시 시점을 기준으로 광주사장치(미도시)와 감광매체(미도시)의 동작 개시 시점, 다시 말해 노광(露光) 시점을 설정하므로, 상기 전자 클러치의 불균일한 동작 지연에 기인하여, 용지(P)상에 화상이 실제로 형성된 위치와 화상이 형성되기를 원했던 정(正) 위치와의 오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그 내부에 급지되는 용지의 길이를 측정하는 수단과, 이송경로상에서 용지의 잼 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용지의 길이측정수단이나 잼(jam)감지수단은 통상적으로 별개의 센서를 포 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필요한 센서의 수량이 많아지게 되어 생산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상형성위치의 오차가 감소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용지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급지되는 용지의 길이 측정이나 잼(jam) 감지가 가능한 용지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밀착하여 닙(nip)을 형성하며 대향되게 배치된 구동롤러와 아이들롤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이송중인 용지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제1 센서 및 제2 센서; 및, 상기 닙 주위로 연장되어 닙으로 향하는 용지의 선단부를 가로막는 일단부와, 상기 제1 센서 주위로 연장되는 타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소정의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레버;를 구비하고,
이송중인 용지의 선단부에 의해 레버의 일단부가 제1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용지의 선단부가 상기 닙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용지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제1 위치보다 용지의 진행방향으로 더 진행한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용지의 선단부가 상기 닙을 통과하였음을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용 지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용지의 진행방향에서 비켜나는 제3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용지가 상기 닙을 통과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제3 감지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 회동하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용지의 후단부가 상기 닙을 통과하였음을 감지하여 제4 감지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정렬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지정렬장치는, 상기 레버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닙으로 향하는 용지의 선단부를 가로막는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 상기 레버가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는 포토센서(photo sensor)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장치;
상기 광에 노광(露光)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상기 용지의 이송경로상 감광매체에 앞서 위치하고, 서로 밀착하여 닙(nip)을 형성하며 대향되게 배치된 구동롤러와 아이들롤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이송중인 용지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제1 센서 및 제2 센서, 및 상기 닙 주위로 연장되어 닙으로 향하는 용지의 선단부를 가로막는 일단부와, 상기 제1 센서 주위로 연장되는 타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소정의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레버를 구비하고,
이송중인 용지의 선단부에 의해 레버의 일단부가 제1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용지의 선단부가 상기 닙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용지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제1 위치보다 용지의 진행방향으로 더 진행한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용지의 선단부가 상기 닙을 통과하였음을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용지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용지의 진행방향에서 비켜나는 제3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용지가 상기 닙을 통과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제3 감지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 회동하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용지의 후단부가 상기 닙을 통과하였음을 감지하여 제4 감지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용지정렬장치; 및,
상기 센서의 제1 감지신호와 제2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 시점과 감광매체의 노광 시점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정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정렬장치의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용지(P)가 아래에서 위로 대략 C 자 형태의 이송경로를 따라 진행하 며, 케이스(101)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장치(110)와, 정착장치(130), 전사롤러(125), 및 광(光)주사장치(127)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장치(110)는 현상제인 토너를 수용하는 하우징(111)과, 그 내부에 광(光) 주사에 의한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매체(115)와, 상기 감광매체(115)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113)와, 감광매체(115)에 잔존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폐토너 클리너(114)와, 상기 감광매체(115)의 외주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매체(115)의 외주면에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롤러(117)와, 상기 현상롤러(117)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블레이드(doctor blade, 118), 및 상기 현상롤러(117)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119)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1) 내부에는 토너를 굳지 않도록 요동시켜 주는 교반기(121)가 마련된다. 상기 현상장치(110)는 카트리지 형태로 되어 있어, 그 내부의 현상제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상기 전사롤러(125)는 상기 감광매체(115)에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전사 바이어스 또는 감광매체(115)와의 접촉 압력에 의해 상기 감광매체(115)의 외주면에 현상된 가시(可視)화상이 전사롤러(125)와 감광매체(115)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에 전사되도록 한다.
상기 정착장치(130)는, 히트롤러(131), 및 그와 대향되게 위치하는 가압롤러(133)를 구비하여, 가시(可視)화상이 전사된 용지(P)가 히트롤러(131)와 가압롤러(133) 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을 이용한 열압착에 의해 상기 가시화상이 용지(P)에 정착된다.
또한, 상기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케이스(101) 하측부의 급지카세트(140)에 적재된 용지(P)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는 픽업롤러(145)를 구비하며, 픽업된 용지(P)에 이송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용지(P)의 정(正) 위치에 가시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감광매체(115)로 향하는 용지(P)를 가지런히 정렬하는 용지정렬장치(150)를 구비한다. 또한, 화상이 인쇄된 용지(P)를 케이스(101) 외부의 배지대(102)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롤러(135)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감광매체(115)는 상기 대전롤러(113)를 통해 소정 전위로 대전되고, 상기 광주사장치(127)에서 주사된 광(L)에 노광(露光)되어 그 외주면에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장치 하우징(111) 내부의 토너는 공급롤러(119) 및 현상롤러(117)를 통해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매체(115)에 공급되어, 상기 감광매체(115)의 외주면에 가시화상이 현상된다.
한편, 급지카세트(140)에 적재된 용지(P)는 픽업롤러(145)에 의해 픽업되고, 용지정렬장치(150)에 의해 급지 및 정렬되어 상기 감광매체(115)와 전사롤러(125) 사이를 통과하며, 이 때 상기 용지(P)의 감광매체(115) 대향면에 상기 감광매체(115) 외주면에 현상되었던 가시화상이 전사된다. 상기 용지(P)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장치(130)를 통과하며 열과 압력에 의해 상기 용지(P) 위에 정착되며, 배지롤러(135)에 의해 이송되어 배지대(102)에 적재된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용지정렬장치(150)는 서로 밀착하여 닙(nip, N)을 형성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구동롤러(152)와 아이들롤러(154), 이 송중인 용지(P)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제1 포토 센서(photo sensor, 160) 및 제2 포토센서(200), 및 이송되는 용지(P)의 선단부(Pa)에 밀려 회전하는 레버(165)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롤러(152)는 케이스(101, 도 3 참조) 내부에 마련된 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모터와 구동롤러(152)는 전자 클러치(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 클러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152)에 모터의 동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된다. 상기 전자 클러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콘트롤러(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콘트롤러(19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을 개시한다. 상기 모터와 전자 클러치, 및 콘트롤러(190)는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어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레버(165)는, 상기 닙(N) 주위로 연장되어 초기 위치에서 닙(N)으로 향하는 용지(P)의 선단부(Pa)를 가로막는 일단부(166)와, 상기 제1 포토센서(160) 주위로 연장되어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1 포토센서(160)의 슬릿(slit, 161) 위에 위치하는 타단부(167)를 구비하며, 양 단부(166, 167) 사이의 소정의 피봇축(16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송되는 용지(P)의 선단부(Pa)에 밀려 레버(165)가 피봇축(16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양 단부(166, 167)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165)는 스프링(177)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된다.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케이스(101) 내부의 소정 프레임(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은 레버(165)에 연결 된다.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용지(P)가 닙(N)을 통과한 후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레버(165)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175)가 마련된다. 상기 스토퍼(175)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레버(165)는 그 양 단부(166, 167)가 초기 위치일 때 회전을 멈추게 된다.
상기 제1 포토센서(160) 및 제2 포토센서(200)는 각각 상기 레버(165)의 타단부(167)가 통과 가능하도록 종(縱) 방향으로 슬릿(161, 2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들(160, 200)은 상기 슬릿(161, 201)의 내측벽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미도시)와 상기 발광부의 조사광을 받아들이는 수광부(미도시)가 마련된 구조로서,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어서 더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 포토센서(160)와 제2 포토센서(200)는 상기 레버(165)의 피봇축(168)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圓周) 상에 위아래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 포토센서(160) 및 제2 포토센서(200)는 각각 상기 콘트롤러(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포토센서(160)는 용지(P)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1 또는 제2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콘트롤러(190)에 송신하고, 상기 제2 포토센서(200) 또한, 용지(P)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3 또는 제4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콘트롤러(190)에 송신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용지정렬장치(1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레버(165)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65)의 일단부(166)는 닙(N)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타단부(167)는 제1 포토센서(160)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픽업롤러(145, 도 3 참조)에 의해 픽업된 용지(P)가 위로 진행하여 그 선단부(Pa)가 레버(165)의 일단부(166)에 도달하기 전에는, 상기 전자 클러치(미도시)는 콘트롤러(190)의 제어신호에 의해 모터(미도시)와 구동롤러(152)의 연결을 해제하며, 이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152) 및 이에 밀착된 아이들롤러(154)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용지(P)의 선단부(Pa)가 진행하여 레버(165)의 일단부(166)를 위로 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65)의 일단부(166)가 제1 위치에 도달하고, 레버(16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레버(165)의 타단부(167)가 아래로 내려간다. 이에 따라, 레버(165)의 타단부(167)가 제1 포토센서(160)의 슬릿(161, 도 4 참조)으로 진입하고, 제1 포토센서(160)의 발광부(미도시)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타단부(167)에 막혀 수광부(미도시)에 입사되지 않게 되어 상기 용지(P) 선단부(Pa)가 닙(N)으로 진입하고 있음이 감지되며, 상기 제1 포토센서(160)는 제1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연이어, 용지(P)의 선단부(Pa)가 상기 닙(N)에 막혀 컬(curl)을 형성하며 용지(P)가 정렬된다. 한편, 상기 제1 포토센서(160)의 제1 감지신호는 상기 콘트롤러(190)에 송신되며, 상기 콘트롤러(190)는 상기 제1 포토센서(160)의 제1 감지신호를 기준으로 제1 시간 간격 경과 후에 전자 클러치(미도시)가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전자 클러치(미도시)의 동작으로 모터(미도시)와 구동롤러(152)가 연결되면 상기 구동롤러(152)와 이에 밀착된 아이들롤러(154)가 회전하여 용지(P)가 다시 진행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65)는 그 일단부(166)가 닙(N)으로 진입한 용지(P)의 선단부(Pa)에 계속 밀리면서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한다. 그리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65)의 일단부(166)가 상기 제1 위치보다 용지의 진행방향으로 더 진행한 제2 위치에 이르면 레버(165)의 타단부(167)는 더 이상 제1 포토센서(160)의 발광부(미도시)의 광을 차단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수광부(미도시)에 다시 입사되어 상기 용지(P)의 선단부(Pa)가 닙(N)을 통과하였음이 감지되며, 상기 제1 포토센서(160)는 제2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1 포토센서(160)의 제2 감지신호는 상기 콘트롤러(190)에 다시 송신되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1 포토센서(160)의 제2 감지신호를 기준으로 제2 시간 간격 경과 후에 광주사장치(127, 도 6 참조)와 감광매체(115, 도 6 참조)가 동작하여 감광매체(115)의 노광(露光)이 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제2 시간 간격은 상기 닙(N)을 통과한 용지(P) 선단부(Pa)의 진행 속도와 감광매체(115)까지의 거리 등으로부터 계산되어지는 값으로, 전자 클러치(미도시)의 불균일한 동작 지연에 기인한 상대적으로 큰 시간 간격의 오차가 없다. 따라서, 용지(P)상에 화상이 실제로 형성된 위치와 화상이 형성되기를 원했던 정(正) 위치와의 오차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용지(P)가 계속 진행함에 따라 레버(165)는 그 일단부(166)가 용지(P)의 진행방향에서 비켜나는 제3 위치에 이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위치에서 레버(165)의 타단부(167)는 제2 포토센서(200)의 슬릿(201, 도 9 참조)으로 진입하고, 제2 포토센서(200)의 발광부(미도시)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타단부(167)에 막혀 수광부(미도시)에 입사되지 않게 되어 상기 용지(P)가 닙(N)을 계속 통과중에 있음이 감지되며, 상기 제2 포토센서(200)는 제3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용지(P)가 더욱 진행하여 그 후단부(Pb)가 닙(N)을 통과하면 상기 레버(165)는 스프링(17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토퍼(175)에 부딪혀 멈출 때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5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레버(165)의 타단부(167)는 더 이상 제2 포토센서(200)의 발광부(미도시)의 광을 차단하지 않게 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수광부(미도시)에 다시 입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지(P)의 후단부(Pb)가 닙(N)을 통과하였음이 제2 포토센서(200)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제2 포토센서(200)는 제4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2 포토센서(200)의 제3 및 제4 감지신호는 차례로 상기 콘트롤러(190)에 송신된다. 상기 콘트롤러(190)는 용지(P)의 이송속도, 및 상기 제3 감지신호와 제4 감지신호 사이의 시간차로부터, 급지된 용지(P)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190)는 제3 감지신호의 수신 후 충분한 여유를 두고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4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용지(P)의 진행중에 잼(jam)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된 표시패널(미도시)를 통해 잼 발생에 대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용지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미리 설정된 화상형성위치와 실제로 용지상에 화상형성위치의 오차가 감소되어 인쇄 품질이 향상된다.
한편, 용지정렬장치가 급지된 용지의 길이를 측정하는 기능과 용지의 잼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겸유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용지의 길이측정수단과 잼감지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생산비용이 절감된다.

Claims (5)

  1. 서로 밀착하여 닙(nip)을 형성하며 대향되게 배치된 구동롤러와 아이들롤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이송중인 용지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제1 센서 및 제2 센서; 및, 상기 닙 주위로 연장되어 닙으로 향하는 용지의 선단부를 가로막는 일단부와, 상기 제1 센서 주위로 연장되는 타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소정의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레버;를 구비하고,
    이송중인 용지의 선단부에 의해 레버의 일단부가 제1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용지의 선단부가 상기 닙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용지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제1 위치보다 용지의 진행방향으로 더 진행한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용지 의 선단부가 상기 닙을 통과하였음을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용지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용지의 진행방향에서 비켜나는 제3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용지가 상기 닙을 통과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제3 감지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 회동하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용지의 후단부가 상기 닙을 통과하였음을 감지하여 제4 감지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정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정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닙으로 향하는 용지의 선단부를 가로막는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 상기 레버가 탄성 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정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는 포토센서(photo 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정렬장치.
  5.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장치;
    상기 광에 노광(露光)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상기 용지의 이송경로상 감광매체에 앞서 위치하고, 서로 밀착하여 닙(nip)을 형성하며 대향되게 배치된 구동롤러와 아이들롤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이송중인 용지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제1 센서 및 제2 센서, 및 상기 닙 주위로 연장되어 닙으로 향하는 용지의 선단부를 가로막는 일단부와, 상기 제1 센서 주위로 연장되는 타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소정의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레버를 구비하고,
    이송중인 용지의 선단부에 의해 레버의 일단부가 제1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용지의 선단부가 상기 닙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용지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제1 위치보다 용지의 진행방향으로 더 진행한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용지의 선단부가 상기 닙을 통과하였음을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용지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용지의 진행방향에서 비켜나는 제3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용지가 상기 닙을 통과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제3 감지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 회동하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용지의 후단부가 상기 닙을 통과하였음을 감지하여 제4 감지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용지정렬장치; 및,
    상기 센서의 제1 감지신호와 제2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 시점과 감광매체의 노광 시점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40106546A 2004-10-12 2004-12-15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100580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546A KR100580211B1 (ko) 2004-12-15 2004-12-15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US11/154,714 US7593683B2 (en) 2004-10-12 2005-06-17 Paper arrang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CN2005101088171A CN1760767B (zh) 2004-10-12 2005-09-30 纸布置装置和带有该纸布置装置的电子照相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546A KR100580211B1 (ko) 2004-12-15 2004-12-15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0211B1 true KR100580211B1 (ko) 2006-05-16

Family

ID=3718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546A KR100580211B1 (ko) 2004-10-12 2004-12-15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21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656B1 (ko)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US1062058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80106692A (ko) 화상형성장치
KR100565085B1 (ko)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US20060284369A1 (en) Unit for and method of registering/feeding pa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580211B1 (ko)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US8768236B2 (en)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JP443295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717039B1 (ko) 급지 정렬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와, 용지의급지 정렬 방법
JP3668711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73044A (ja) 定着装置の用紙除電装置
JP4641475B2 (ja) 画像形成装置
JP4027260B2 (ja) 排紙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5194012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33427B1 (ko)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KR200156002Y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불량 감지장치
JP2003252483A (ja)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91431B2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6126Y2 (ja) 給紙装置
JP5989837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77692B1 (ko) 용지검지방법
JP2022143100A (ja)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51564A (ja) シート搬送装置
JP468953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347467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