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606B1 -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606B1
KR100532606B1 KR10-2004-0025626A KR20040025626A KR100532606B1 KR 100532606 B1 KR100532606 B1 KR 100532606B1 KR 20040025626 A KR20040025626 A KR 20040025626A KR 100532606 B1 KR100532606 B1 KR 100532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ater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720A (ko
Inventor
정경식
이재학
이명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5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606B1/ko
Priority to US11/035,987 priority patent/US7113722B2/en
Priority to CNB2005100558413A priority patent/CN100418022C/zh
Publication of KR20050100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1롤러; 제1롤러와 접촉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2롤러와; 제1 및 제2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수용되며, 양단 각각에 제1 및 제2히터단자를 가지는 히터와; 하우징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및 제2전원 공급단자와;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각 히터단자를 각각의 대응되는 공급단자와 접속시키는 한 쌍의 접속유닛;을 포함하며, 하우징이 히터의 길이방향으로 팽창시, 히터단자와 공급단자 및 접속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하우징의 외측면이 밀착되어 히터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히터단자와 공급단자 및 접속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하우징의 외측면 사이에는 소정 갭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Fusing apparatus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토너화상이 옮겨진 용지를 소정 온도 및 압력으로 정착시키는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전자사진 화상형성기기, 예를 들어 복사기, 레이저 프린터 등은 감광드럼과 같은 감광매체가 인접된 대전유닛에 의해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드럼의 표면은 레이저 주사유닛으로부터 주사된 레이저광에 의해 원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노광되어, 감광드럼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기는 감광드럼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한다.
상기 감광드럼에 마련된 가시화상은 전사매체를 경유하여 인쇄용지로 전사된다. 또는, 감광드럼 상의 가시화상은 전사매체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인쇄용지로 전사될 수도 있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인쇄용지는 정착장치를 통과하면서, 고온 고압으로 정착됨으로써, 인쇄용지 상에 토너화상이 고착된다. 정착장치를 통과한 인쇄용지는 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정착장치는, 통상적으로 서로 마주하여 회전되는 가압롤러 및 가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는 일본 특개평 11-133774호에 개시된 정착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착장치는, 상부 및 하부하우징(10,11) 내부에 가압롤러(13)와 히팅롤러(14)가 접촉회전되게 설치된다. 히팅롤러(14) 내부에는 히터(15)가 설치된다. 히터(15)의 좌단은, 히터단자(16)와 도전부재(17)가 나사(18)에 의해 하부하우징(11)에 체결됨에 의해 고정된다. 히터(15)의 우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단자(21)와 접속편(22)이 나사(23)에 의해 하부하우징(11) 측벽(11a)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23)는 하부하우징(11)의 측벽(11a)의 두께(a)보다도 큰 높이(b)를 가지는 너트(24)에 의해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우징(11)이 열에 의해 길이가 팽창됨으로 인해 두께(a)가 축소되더라도 나사(23)에 의한 히터단자(21)와 접속편(22) 사이의 체결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정착장치는, 하부하우징(11)이 열에 의해 그 전체 길이(좌우길이)가 늘어날 경우에 대해서는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하부하우징(11)의 좌우 길이가 팽창에 의해 늘어나면, 히터(15)와 히터단자(16,21)가 용접되어 있으므로 히터(15)가 파손되거나, 히터단자들(16,21)이 끊길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히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와 접촉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수용되며, 양단 각각에 제1 및 제2히터단자를 가지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및 제2전원 공급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각 히터단자를 각각의 대응되는 공급단자와 접속시키는 한 쌍의 접속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히터의 길이방향으로 팽창시, 상기 히터단자와 상기 공급단자 및 접속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이 밀착되어 상기 히터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히터단자와 공급단자 및 접속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사이에는 소정 갭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접속유닛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접속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히터단자와 공급단자를 서로 접속되게 클램핑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비원형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서 시작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가이드부의 지지두께보다 큰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접속유닛 각각은 상기 길이방향과,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 각각으로 움직임 가능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접속유닛 각각은 상기 각 히터단자와 공급단자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방향 및 교차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갭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길이방향으로 팽창시 상기 접속유닛의 상기 교차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억제되도록, 상기 공급단자들과 상기 히터단자들 및 접속단자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팽창된 하우징에 밀착될 정도의 거리로 유지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것이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히팅롤러와; 상기 히팅롤러 내에 설치되며, 양단에 제1 및 제2히터단자를 가지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제1 및 제2공급단자와; 상기 공급단자 각각을 상기 히터단자들 각각에 접속시키며, 상기 하우징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접속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열에 의해 상기 히터의 길이방향으로 팽창시, 상기 히터단자들과 상기 공급단자들 및 접속유닛들 중에서 상기 하우징의 양 외측면 각각에 접촉되는 접촉부위들 간의 거리를 L1이라 하고, 상기 하우징이 팽창시 상기 접촉부위들과 각각 접촉될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들 간의 거리를 L2라 할 때, 다음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계식>
L1 - L2 > 0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유닛을 상기길이방향과, 그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 각각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이 상기 히팅롤러의 열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으로 팽창된 거리를 L3라 할 때, 다음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이 좋다.
<관계식>
L1 - L2 = L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롤러(41,43)와, 상기 각 롤러(41,43)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히터(51,53)와, 제1전원공급단자(61)와, 제2전원 공급단자(63,65) 및 복수의 접속유닛(71,72,73,74)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30)은 서로 결합되는 제1하우징(130)과 제2하우징(140)을 구비한다. 이러한 하우징들(130,140)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인서트 몰딩에 의해 형성된 몰드물이다. 이러한 하우징들(130,140)은 상기 롤러들(41,43)이 고온으로 가열될때, 고열에 의해 팽창되고, 냉각시에는 다시 수축되는 성질을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30,140) 각각에는 제1 및 제2롤러(41,43)가 서로 접촉회전되게 설치된다. 각 롤러들(41,4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파이프형의 롤러몸체(41a,43a)와, 롤러몸체(41a,43a)의 외주에 마련되는 탄성층(41b,43b)을 구비한다. 상기 롤러몸체(41a,43a)는 통상적으로 열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롤러몸체(41a,43a)는 베어링에 의해 각 하우징(130,140)에 지지된다. 롤러몸체(41a,43a) 각각의 단부에는 기어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프린팅시, 각 롤러(41,43)는 서로 밀착되어 회전되며, 상기 히터(51,53)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다. 따라서, 각 롤러(41,43) 사이로 통과하는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고온/고압에 의해 용지의 표면에 고착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들(41,43) 중에서 어느 하나(41)만 가열롤러이고, 나머지 하나(43)는 가열롤러를 압착하는 가압롤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롤러들(41,43)에 의한 정착유닛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술로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히터(51,53)는 각 롤러(41,43)를 가열하기 위한 것이며, 각 롤러(41,43) 내부에 수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비접촉식으로 수용된다. 각 히터(51,5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제1히터단자(51a,53a)와, 타단에 연결된 제2히터단자(51b,53b)를 가진다. 이러한 히터(51,53)는 양단으로 공급된 소정 전압의 전류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서 롤러들(41,43)을 가열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롤러(41)의 내부에 설치된 제1히터(51)에 제2히터(53)보다 더 큰 전력이 인가되어 더 고온으로 가열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열을 발생시키는 제1히터(51)를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히터(51)는 제1 및 제2히터단자(51a,51b)가 하우징(30) 즉, 제1하우징(130)에 지지됨으로써 롤러(41) 내부에 롤러(41)와 비접촉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51)는 제1하우징(130)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제1하우징(130)이 고열에 의해 길이방향(A)으로 팽창될 때, 그 팽창력에 의해 제1히터(51)가 파손되지 않고, 팽창된 하우징(130)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제1히터(51)는 고정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하우징(130)의 양단부에는 제1히터(51)의 히터단자들(51a,51b)을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부(131,133)가 소정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 가이드부(131,133)는 서로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2히터단자(51b)가 지지되는 가이드부(133)를 발췌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133)는 접속유닛(72)을 움직임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챔버(133a)와, 소정 구간 절개된 슬릿(133b)을 가진다. 반대측의 가이드부(131)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이드부(133)에 지지된 접속유닛(72)은 제2히터단자(51b)와 제2공급단자(63)를 접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유닛(72)은 가이드부(133)에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접속유닛(72)은 가이드부(133)의 챔버(133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너트부재(171)와, 너트부재(171)에 결합되면서 제2히터단자(51b)와 제2공급단자(63)를 클램핑하여 접속시키는 나사(172)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부재(17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원형의 받침부(171a)와, 그 비원형의 받침부(171a)로부터 소정 높이(h) 돌출된 돌출부(171b)를 가진다. 상기 받침부(171a)는 가이드부(32)의 챔버(3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 받침부(171a)는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나사(172)와 체결시 헛도는 것이 방지된다. 돌출부(171b)는 슬릿(133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제2공급단자(63)와 밀착된다. 여기서, 돌출부(171b)의 높이(h)는 가이드부(133)의 지지벽(133c)의 두께(t)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172)와 너트부재(171) 사이에 제2공급단자(63)와 제2히터단자(51b)를 개재시키고, 나사(172)를 최대한 조이면, 상기 높이(h)와 두께(t) 차로 인한 소정 갭(G1)이 교차방향(B)으로 생긴다. 상기 교차방향(B)은 상기 제1히터(51)의 길이방향(A)에 대해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반대측의 가이드부(131)에서도 제1히터(51)의 제1히터단자(51a)와 제1공급단자(61)를 체결시킨 접속유닛(71)에 의해서 상기 갭(G1)과 동일한 갭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접속유닛(71)은 앞서 설명한 접속유닛(72)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우징(30)에는 도 4를 참조하면, 제1전원 공급단자(61)와, 제2전원 공급단자(63)가 지지된다. 제1공급단자(61)는 제1히터단자(51a)에 연결되고, 제2공급단자(63)는 제2히터단자(51b)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공급단자(61)는 제1하우징(13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히터단자(51a)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공급단자(61)는 제1 및 제2히터들(51,53)의 제1히터단자들(51a,53a)을 직렬 연결할 수 있도록 공용으로 사용된다.
즉, 제1공급단자(61)는 양단이 히터들(51,53)의 제1히터단자(51a,53a)에 각각 접속된다. 이 중,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히터(53)의 제1히터단자(53a)에 연결된 공급단자(61)의 일단(61a)은 접속유닛(73)에 의해 제1히터단자(53a)와 연결된 상태로, 가이드부(141)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공급단자(61)의 타단(61b)은 상기 접속유닛(71)에 의해 제1히터단자(51a)와 연결된 상태로, 가이드부(131)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2하우징(140)의 가이드부(141)에 지지된 접속유닛(73)은 앞서 설명한 접속유닛(71)과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하지만, 상기 접속유닛(73)은 가이드부(141)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제1공급단자(61)는 일단(61a)이 제2하우징(140)에 고정되고, 타단(61b)은 움직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2공급단자(63,65)는 한 쌍이 마련되며, 각각(63,65)은 제1 및 제2하우징(130,140) 각각에 지지된다. 이중에서, 제2히터(53)에 연결된 제2공급단자(65)는 접속유닛(74)에 의해 제2히터단자(53b)와 연결된 상태로 제2하우징(140)에 고정된다. 즉, 상기 제2히터(53)는 제2하우징(140)에 대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설치된다.
상기 제2공급단자(63)은 일단은 제1하우징(130)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공급단자(63)의 타단은 제1하우징(130)에 대해서는 고정되지 않는다. 다만, 제2공급단자(63)의 타단은 접속유닛(72)에 의해 제1히터(51)의 제2히터단자(51b)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기 접속유닛(72)은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33)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2공급단자(63)의 타단과 제2히터단자(51b)는 제1하우징(130)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제1히터(51)는 길이방향(A)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1하우징(130)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히터(51)가 접속유닛(71,72)에 의해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제1히터(51)가 길이방향(A)으로 움직일수 있는 거리가 확보될 경우, 상기 갭(G1)에 의해 제1히터(51)가 길이방향(A)으로 제1하우징(1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하우징(130)이 열에 의해 교차방향(B)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갭(G1)에 의해 가이드부(131,133)의 변화량이 보상된다. 따라서, 공급단자(63)와 히터단자(51b) 사이의 체결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30)이 열에 의해 팽창되기 전에, 제1히터(51)는 소정 갭(G2)만큼 길이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도 6에서는 제1히터(51)가 A1 방향으로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도면에서 바라보는 제1하우징(31)의 오른쪽 외측면(130a)과 제2히터단자(51b)의 대응되는 접촉부위(C1) 사이에는 상기 갭(G2)이 마련된다. 상기 외측면(130a)은 제1히터(51)가 A2 방향으로 밀착될 때, 제2히터단자(51b)와, 제2공급단자(63) 및 체결유닛(7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접촉되는 부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히터단자(51b)가 제1하우징(130)의 오른쪽 외측면(130a)에 접촉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외측면(130a)은 가이드부(133)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스토퍼(132)의 단부이다.
또한, 제1하우징(130)의 왼쪽 외측면(130b) 즉, 제1히터(51)가 A1 방향으로 밀착될 때, 제1공급단자(61)와 접촉되는 부위는 가이드부(130)의 외측 단부이다. 즉, 제1하우징(130)의 왼쪽에서는 제1공급단자(61)의 접촉부위(C2)가 외측면(130b)에 밀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히터(51)가 A2 방향으로 밀착될 경우, 접촉부위(C2)와 왼쪽 외측면(130b) 사이에도 소정 갭(G2)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히터(51)가 A 방향에 대해 소정 갭(G2)만큼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것은, 상기 갭(G1)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상기 제1히터(51)와 체결유닛들(71,72)과 제1하우징(130)은 다음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구성을 갖는다.
[관계식1]
L1 - L2 > 0
여기서, 상기 거리 L1은 제1하우징(31)이 열에 의해 팽창시, 상기 외측면(130a,130b) 각각에 접촉될 부위 즉, 접촉부위들(C1,C2)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거리 L2는 상기 제1하우징(130)이 열에 의해 팽창시, 상기 접촉부위들(C1,C2) 각각에 접촉될 양측 외측면(130a,130b) 사이의 거리이되, 제1하우징(130)이 팽창되기 전의 거리를 나타낸다. 즉, 상기 소정 갭(G2)은 상기 관계식 1을 만족하도록 적절히 결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130)이 제1히터(51)에 의한 고열로 팽창될 때, 팽창된 거리를 L3라 할 때, 다음 관계식 2를 만족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성되는 것이 좋다.
[관계식2]
L1 - L2 = L3
상기 관계식 2를 만족하도록, 제1하우징(130)과 제1히터(51)와 공급단자(61,63) 및 체결유닛(71,72)이 적절히 결합되어 구성되면, 제1하우징(130)이 열에 의해 팽창되더라도, 그 팽창된 거리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하우징(130)이 팽창시 체결유닛(71,72)을 포함한 히터단자들(51a,51b)에 팽창된 제1하우징(130)의 양측면(130a,130b)이 밀착되어 움직임을 고정시킴으로서, 제1히터(51)가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고 일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팽창된 제1하우징(130)에 밀착된 제1히터단자(51b)와 제1공급단자(61)에 의해 제1히터(51)가 교차방향(B)으로 움직이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상기 갭(G1)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하우징(31)이 팽창시 제1히터(51)에 팽창력이 전달되지 않고, 제1하우징(130) 자체만 길이방향(A)으로 순수하게 팽창됨으로서, 제1히터(5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히터(51)가 제2히터(53)이 비해 상대적으로 큰 전압을 인가받아 더 고온을 발열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때문에, 제1롤러(41)에 의해 가열되는 제1하우징(130)이 고열에 의해 팽창되는 것만을 고려하였다. 실지적으로, 제1롤러(41)가 약 180℃로 가열될 경우, 제1하우징(130)은 길이방향(A)으로 약 2mm 정도 팽창된다. 따라서, 제1롤러(41)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되는 제2롤러(43)를 감싸는 제2하우징(140)의 팽창률은 통상적으로 무시할 정도이기 때문에, 제2히터(53)는 최초 장착시 제2하우징(14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거리 L1을 결정짓는 부분 즉, 제1하우징(130)의 팽창시 밀착되는 부분에 대해서도, 제2히터단자(51b)와 제1공급단자(6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속유닛(71)과, 히터단자 및 공급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접속유닛, 히터단자 및 공급단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1하우징(130)의 양측에 밀착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는, 히터가 하우징에 대해 소정 걸리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 갭이 유지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팽창시, 팽창된 거리를 보상하여 히터가 팽창된 하우징에 접촉되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히터와 공급단자를 접속시키는 접속유닛이 히터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벽에 대해 소정 갭을 갖도록 설치됨으로서, 하우징이 팽창시 팽창력이 접속유닛 및 히터에 미치지 않아 히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착장치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히터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1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하우징의 측면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접속유닛의 너트부재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정착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하우징 41,43..제1 및 제2롤러
51,53..제1 및 제2히터 61..제1공급단자
63,65..제2공급단자 71,72,73,74..접속유닛
130,140..제1 및 제2하우징

Claims (10)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와 접촉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수용되며, 양단 각각에 제1 및 제2히터단자를 가지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및 제2전원 공급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각 히터단자를 각각의 대응되는 공급단자와 접속시키는 한 쌍의 접속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히터의 길이방향으로 팽창시, 상기 히터단자와 상기 공급단자 및 접속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이 밀착되어 상기 히터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히터단자와 공급단자 및 접속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사이에는 소정 갭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접속유닛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접속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히터단자와 공급단자를 서로 접속되게 클램핑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비원형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서 시작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가이드부의 지지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유닛 각각은 상기 길이방향과,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 각각으로 움직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유닛 각각은 상기 각 히터단자와 공급단자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방향 및 교차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길이방향으로 팽창시 상기 접속유닛의 상기 교차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억제되도록, 상기 공급단자들과 상기 히터단자들 및 접속단자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팽창된 하우징에 밀착될 정도의 거리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8.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히팅롤러와;
    상기 히팅롤러 내에 설치되며, 양단에 제1 및 제2히터단자를 가지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제1 및 제2공급단자와;
    상기 공급단자 각각을 상기 히터단자들 각각에 접속시키며, 상기 하우징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접속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열에 의해 상기 히터의 길이방향으로 팽창시, 상기 히터단자들과 상기 공급단자들 및 접속유닛들 중에서 상기 하우징의 양 외측면 각각에 접촉되는 접촉부위들 간의 거리를 L1이라 하고,
    상기 하우징이 팽창시 상기 접촉부위들과 각각 접촉될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들 간의 거리를 L2라 할 때, 다음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관계식]
    L1 - L2 > 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유닛을 상기 길이방향과, 그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 각각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히팅롤러의 열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으로 팽창된 거리를 L3라 할 때, 다음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관계식]
    L1 - L2 = L3
KR10-2004-0025626A 2004-04-14 2004-04-14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KR100532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626A KR100532606B1 (ko) 2004-04-14 2004-04-14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US11/035,987 US7113722B2 (en) 2004-04-14 2005-01-18 Fusing apparatus for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B2005100558413A CN100418022C (zh) 2004-04-14 2005-03-15 用于图像照相装置的热熔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626A KR100532606B1 (ko) 2004-04-14 2004-04-14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720A KR20050100720A (ko) 2005-10-20
KR100532606B1 true KR100532606B1 (ko) 2005-12-01

Family

ID=3509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626A KR100532606B1 (ko) 2004-04-14 2004-04-14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13722B2 (ko)
KR (1) KR100532606B1 (ko)
CN (1) CN10041802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6203B2 (ja) * 2009-03-17 2014-01-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022305A (ja) * 2009-07-15 2011-02-0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003778B2 (ja) * 2010-03-17 2012-08-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
GB2533195B (en) * 2012-12-28 2017-06-28 Canon Kk Fixing device
JP2016163013A (ja) * 2015-03-05 2016-09-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接続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701871B2 (ja) * 2016-03-28 2020-05-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
JP6701870B2 (ja) * 2016-03-28 2020-05-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6780358B2 (ja) * 2016-08-10 2020-11-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248Y2 (ko) * 1984-10-22 1991-09-25
US5436431A (en) * 1993-02-19 1995-07-25 Sharp Kabushiki Kaisha Toner image fixing device having improved lamp heater
JP3302825B2 (ja) 1994-05-18 2002-07-15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
JPH08272239A (ja) 1995-04-04 1996-10-18 Fuji Xerox Co Ltd 複写機等の定着装置
JPH10240051A (ja) * 1997-02-27 1998-09-11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定着装置
JPH11133744A (ja) 1997-10-28 1999-05-2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42488B2 (ja) * 1998-10-30 2006-11-08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284622A (ja) * 1999-03-31 2000-10-13 Brother Ind Ltd 定着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720A (ko) 2005-10-20
US7113722B2 (en) 2006-09-26
CN100418022C (zh) 2008-09-10
CN1684009A (zh) 2005-10-19
US20050232652A1 (en)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2607B2 (ja) 加熱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20121305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7113722B2 (en) Fusing apparatus for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0928767B2 (en) Heating device with a guide having convex and recess portions and a connector with a conduction terminal
EP2360532B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2018165791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10191299A1 (en) Fixing device
US20070098418A1 (en) Image fixing apparatus
US9804555B2 (en) Positioning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484179B1 (ko) 정착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US20080240806A1 (en) Fix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886134B2 (en) Heating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70747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133635B2 (en) Fusing unit used with a color laser printer
KR101314233B1 (ko) 정착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10955780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2007121900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324423B2 (ja) ニップ形成部材、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7251350B2 (ja) ニップ形成部材、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US11675297B2 (en) Fusing apparatus
JPH0887197A (ja) 定着装置
JP7127496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58600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定着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476969B1 (ko) 레이저 프린터의 정착기용 할로겐 램프 고정장치
KR100208788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