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986B1 -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 Google Patents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986B1
KR100525986B1 KR10-2001-0085978A KR20010085978A KR100525986B1 KR 100525986 B1 KR100525986 B1 KR 100525986B1 KR 20010085978 A KR20010085978 A KR 20010085978A KR 100525986 B1 KR100525986 B1 KR 100525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ole
reflector
supported
screw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5423A (ko
Inventor
시라이가츠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20055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2Ball-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성형이 용이하고, 누름 고정구(push-on fix)를 사용하지 않고서 에이밍 스크류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원활하고 또한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리플렉터 가동형 헤드 램프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에 지지된 에이밍 스크류(30)가 회동하여 리플렉터(14)가 틸팅하는 헤드 램프에 있어서, 통형부(50)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을 구성하고, 전체를 합성 수지로 형성한 에이밍 스크류(30)는 통형부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34)와, 피지지부(34) 전방의 수나사부(32)와, 피지지부(34) 후방의 크라운형 리브(35)를 구비하고, 피지지부(34)의 전단측에는 탄성 변형하여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을 통과할 수 있고 통형부(50) 전단에 결합하여 에이밍 스크류(30)가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걸림 부재(138)가 형성되며, 피지지부(34)의 후단측에는 통형부 후단에 압접하여 에이밍 스크류(30)의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하는 탄성 리브(35b)가 형성되어 있다. 피지지부(34)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 걸림 부재(138)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고, 그만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통형부(50)는 단순한 형상으로, 성형용 금형의 가공도 용이하다.

Description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MOVABLE REFLECTOR FOR VEHICLE HEAD LAMP}
본 발명은 광원을 장착한 리플렉터가 에이밍 기구에 의해서 램프 보디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램프 보디에 형성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에이밍 기구 구성 부재인 에이밍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자동차용 헤드 램프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을 장착하여 일체화한 리플렉터(2)가 램프 보디(1)의 전방면측에서, 에이밍 지점인 1개의 볼 조인트(도시 생략)와, 2개의 에이밍 스크류(한쪽의 에이밍 스크류를 부호 4로 나타냄)에 각각 나사 결합하고 축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에이밍 점인 2개의 너트 부재[에이밍 스크류(4)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를 부호 5로 나타냄]로 구성된 에이밍 기구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즉, 에이밍 스크류(4)는 램프 보디(1)에 설치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램프 보디(1)의 전방으로 연장하는 에이밍 스크류(4)의 나사부(4a)에는 리플렉터(2)에 장착된 너트 부재(5)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에이밍 스크류(4)를 회동(回動)시킴으로써, 너트 부재(5)가 에이밍 스크류(4)를 따라서 진퇴하여, 볼 조인트와 다른 에이밍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를 연결하는 틸팅축 둘레로 리플렉터(2)가 틸팅하고, 이로써 램프의 광축을 조정할 수 있다.
에이밍 스크류(4)는 금속제이며, 그 후단부에는 크라운형 기어(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드라이버(D)를 사용하여 에이밍 스크류(4)를 회동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램프 보디(1)의 후방에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a)으로 삽입 관통된 에이밍 스크류(4)는 금속제의 누름 고정구(8)(push-on fix)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위치 결정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a)에는 시일재인 O자형 링(9)이 개장(介裝)되어, 에이밍 스크류(4)의 회전 지지부에서의 방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에이밍 스크류(4)의 회전 지지부에 방수를 확보하기 위한 O자형 링(9)이나 에이밍 스크류(4)를 전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누름 고정구(8)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결하여, 이것이 에이밍 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늘리거나, 에이밍 기구의 조립 작업을 번거롭게 하는 한가지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특히, 누름 고정구(8)에 의한 협지(挾持)력은 매우 강하기 때문에, 에이밍 스크류(4) 소정 위치에 누름 고정구(8)를 개장하는 작업은 상당한 작업이었다.
그래서, 출원인은 일본국 특허 출원 평11-299296호(1999년 10월21일 출원)에서,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보디(1A)에 형성한 통형부(100)에 의해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2)을 구성하는 동시에, 통형부(100) 전단측에 세로 슬릿(104)을 형성하여 통형부 전단측 걸림부(106)가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로써, 램프 보디(1A) 후방에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2)에 에이밍 스크류를 삽입한 경우에, 에이밍 스크류가 통형부 전단측 걸림부(106)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어 넓히고, 에이밍 스크류의 피지지부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2)에 수습되어, 간단하게 에이밍 스크류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2)에 위치 결정하여 고정할 수 있다고 하는 구조를 제안했다.
그러나, 간단하게 에이밍 스크류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2)에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있다고는 하여도, 에이밍 스크류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2)에 삽입할 때는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통형부 전단측 걸림부(104)를 밀어 넓히기 위한 큰 압박력이 필요하고, 에이밍 스크류의 장착 작업에 시간이 걸리거나, 에이밍 스크류 삽입용의 충분한 가압력을 갖는 프레스기가 설비로서 필요하다고 하는 새로운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통형상부(100)는 램프 보디(1A)와 일체로 성형되지만, 통형부(100)의 전단측의 형상[걸림부(106)의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성형용 금형의 구조가 그만큼 복잡하게 되고, 또 금형의 성형면의 가공도 그만큼 번거롭고, 금형 가공 시간이 길어져 비용도 커지는 등의 문제도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성형이 용이하고, 누름 고정구나 그 밖의 부재를 이용하는 일없이 에이밍 스크류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원활하고 또한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따른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용기형의 램프 보디와, 광원이 장착된 리플렉터와, 상기 램프 보디와 리플렉터 사이에 개장되어 상기 리플렉터를 램프 보디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에이밍 기구를 구비하고, 램프 보디에 마련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에이밍 기구 구성 부재인 에이밍 스크류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리플렉터가 틸팅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램프 보디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연장하는 통형부에 의해서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을 구성하고,
상기 에이밍 스크류는,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의해서 지지되는 피지지부와, 상기 피지지부 전방의 수나사부와, 상기 피지지부 후방의 회동 조작력 피전달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피지지부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피지지부의 전단측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전단측의 주연부에 결합하여 에이밍 스크류가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한편 상기 피지지부의 후단측에는,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후단측의 주연부에 압접하고 에이밍 스크류를 전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여 고정하는 탄성 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했다.
(작용) 에이밍 스크류를 램프 보디 배면측으로부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압입하면, 에이밍 스크류의 피지지부 전단측의 탄성 걸림부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후단측 주연부 및 구멍의 내주면에서 눌려 반경방향 내측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탄성 변형하고, 통형부(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속을 활주한다. 그리고, 탄성 리브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후단측 주연부로부터 받는 탄발력(彈發力) 이상의 힘으로 에이밍 스크류(피지지부)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압입하여 탄성 걸림부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을 통과한 형태가 되면, 탄성 걸림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복원되고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전단측 주연부에 결합하여, 에이밍 스크류가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피지지부 후단측의 탄성 리브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후단측 주연부에 압접 상태로 되어,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대하여 에이밍 스크류를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여 고정한다.
일본국 특허 출원 평11-299296호(도 20, 21 참조)에서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에이밍 스크류를 삽입할 때에, 비교적 두꺼운 통형부의 전단측 걸림부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어 넓히기(탄성 변형시키기) 위해서 큰 에이밍 스크류 압입력을 필요로 하는 데에 비하여, 제1항에서는 에이밍 스크류의 피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 걸림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고, 그만큼 에이밍 스크류 압입력은 작아도 된다. 즉, 에이밍 스크류측에 형성된 탄성 걸림부의 횡단면의 단면 계수는 일본국 특허 출원 평11-299296호에서의 통형부에 형성된 탄성 걸림부의 횡단면의 단면 계수에 비해서 작아, 그만큼 피지지부에 형성되는 탄성 걸림부는 탄성 변형하기 쉽다.
또한, 탄성 리브 및 램프 보디(통형부)는 모두 합성 수지제이고, 탄성 리브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주연부 사이의 미끄럼 접촉부에서는 양자의 미끄럼 운동이 확보되며, 에이밍 스크류의 회동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합성 수지제 탄성 리브는 종래의 고무제 O자형 링에 비하여 물에 의한 열화(劣化)가 적다.
또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은 일본국 특허 출원 평11-299296호에서의 통형부와 비교해서 단순한 통형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용 금형의 구조나 금형의 성형면의 형상이 단순한 것으로 된다.
청구항 2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탄성 걸림부는 상기 피지지부의 둘레방향으로 등분한 복수 개소에 마련된 후방으로 연장하는 설편(舌片)형 걸림 부재로 구성하도록 했다.
(작용) 복수 개의 설편형 걸림 부재가 내측으로 균등하게 변형하여, 피지지부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설편형 걸림 부재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전단측 주연부의 둘레방향 등분 위치에 균일하게 압접하여, 에이밍 스크류의 원활한 회동을 보장한다.
또한, 특히 탄성 걸림부를 대향하는 한 쌍의 설편형 걸림 부재로 구성한 경우에는, 피지지부 성형용 금형으로서 설편형 걸림 부재의 외측면을 세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분리선(parting line)을 갖는 분할 금형을 이용함으로써 지지부의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설편형 걸림 부재는 종단면이 L자형으로, 그 수평 연장부의 선단측만큼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설편형 걸림 부재의 수평 연장부의 선단측 만큼 두껍게 형성한 경우)에는, 에이밍 스크류(피지지부)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할 때에 삽입되는 측의 끝이 오므라지는 설편형 걸림 부재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주연부에 맞닿아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내에 원활하게 침입할 수 있다. 또한, 설편형 걸림 부재의 선단부가 두꺼운 만큼 설편형 걸림 부재의 통형부 전단면과의 결합 면적이 커서, 설편형 걸림 부재가 통형부 전단면에서 떨어지기 어렵다.
청구항 3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브를 스커트형으로 형성하도록 했다.
(작용) 스커트형 탄성 리브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후단측의 주연부 전체 둘레에 균일하게 압접하여 에이밍 스크류를 요동(搖動)없이 지지하는 동시에,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어느 정도 저지한다.
청구항 4에서는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회동 조작력 피전달부는 톱니가 전방을 향한 크라운형 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은 램프 보디를 전후로 관통하여 전후로 연장하는 통형부에 의해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통형부의 후방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크라운형 기어를 회동 조작하는 공구의 선단부를 위치 결정하는 공구 위치 결정용 접촉부가 마련되도록 구성했다.
(작용)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전후 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에이밍 스크류를 요동없이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방수성도 향상된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를 회동 조작하기 위해서 램프 보디를 따라서 배치한 드라이버 등의 공구의 선단부가 공구 위치 결정용 접촉부에 접촉하면, 공구의 톱니가 크라운형 기어부의 톱니에 맞물리는 상태로 유지되어, 에이밍 스크류의 회동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된다.
청구항 5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원환(圓環)형의 탄성 방수 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했다.
(작용) 에이밍 스크류의 피지지부에 형성되어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원환형 탄성 방수 리브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내주면에 압접 상태로 유지되어,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방수를 확보한다.
또한, 방수 리브는 합성 수지제이고 탄성(가요성)을 지니므로, 에이밍 스크류의 피지지부를 통형부(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에이밍 스크류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셋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탄성 방수 리브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내주면 사이의 미끄럼 접촉부도 에이밍 스크류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합성 수지제의 방수 리브는 고무제의 O자형 링에 비해서 물에 의해 열화되기 어렵다.
청구항 6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스크류 전체를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했다.
(작용) 에이밍 스크류 전체가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그만큼 경량이 된다.
청구항 7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스크류에는 상기 리플렉터에 장착된 에이밍 기구의 구성 부재인 너트 부재가 나사 결합하여, 상기 램프 보디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에이밍 스크류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에 상기 너트 부재를 담지(擔持)시키도록 구성했다.
(작용)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너트 부재는 램프 보디에 일체로 형성된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에 담지되기 때문에, 리플렉터의 중량은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인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작용하지 않는다.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리플렉터 가동형의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정면도, 도 2는 동 헤드 램프의 수평 단면도(도 1에 도시된 선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동 헤드 램프의 종단면도(도 1에 도시된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램프 보디, 리플렉터 및 에이밍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를 구성하는 통형부를 나타내며, (a)는 동 통형부의 확대 사시도, (b)는 동 통형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에이밍 스크류를 나타내며, (a)는 에이밍 스크류의 확대 사시도, (b)는 에이밍 스크류의 확대 측면도, (c)는 에이밍 스크류의 횡단면도[도 6(b)에 도시된 선 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8은 에이밍 스크류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너트 부재를 나타내고, (a)는 너트 부재의 정면도, (b)는 너트 부재의 종단면도, (c)는 너트 부재의 수평 단면도, 도 11은 브래킷측의 너트 결합 구멍의 정면도, 도 12는 너트 결합 구멍의 수평 단면도(도 11에 도시된 선 XⅡ-X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3은 좌우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의 단면도, 도 14는 상하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의 단면도, 도 15는 너트 부재가 너트 결합 구멍에 결합하고 있는 형태의 단면도(도 13에 도시된 선 XV-XV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6은 너트 부재가 너트 결합 구멍에 결합하고 있는 형태의 단면도(도 13에 도시된 선 XⅥ-X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7은 좌우 에이밍 점인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에서의 응력 해소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제의 용기형 램프 보디로서, 램프 보디(10)의 전방면 개구부에는 전방면 렌즈(12)가 셋팅되고 등실(S)이 구획되어 있다. 등실(S) 내에는, 광원인 벌브(18)를 장착하여 일체화한 리플렉터(14)가 에이밍 기구(E)에 의해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부호 13은 리플렉터(14)와 전방면 렌즈(12) 사이에 배치되어 리플렉터(14)와 램프 보디(10) 사이의 간극을 은폐시키는 동시에, 등실(S) 내부 전체를 경면(鏡面)색으로 보이게 하는 익스텐션 리플렉터이다.
에이밍 기구(E)는 램프 보디(10)와 리플렉터(14) 사이에 개장된 에이밍 지점(P)을 구성하는 볼 조인트(20)와, 램프 보디(10)에 마련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에이밍 스크류(30, 40)와, 리플렉터(14)의 배면측으로 돌출되는 브래킷(150a, 150b)에 각각 장착되는 동시에, 에이밍 스크류(30, 40)의 나사부(32, 42)에 각각 나사 결합하여 에이밍 점(P1, P2)을 구성하는 한 쌍의 너트 부재(130, 14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부호 22는 리플렉터(14)의 배면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브래킷(150c)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볼 부재로서, 램프 보디(1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볼 수납부(24)에 이 볼 부재(22)의 볼부(23)가 지지되어 볼 조인트(20)가 구성되어 있다. 볼 수납부(24)는 원통 형상으로서, 원통부의 선단측에는 둘레방향 등간격으로 종(縱) 슬릿이 마련되어, 볼부(23)의 볼 수납부(24)에 장/탈착할 수 있다.
부호 230(240)은 램프 보디(10)에 일체로 형성된 개미집 형상 홈 구조의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로서, 에이밍 스크류(30, 40)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130, 140)는 이 미끄럼 이동 가이드(230, 240)에 담지 및 가이드되어, 전후 방향으로 진퇴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에이밍 스크류(30)를 회동시키면, 너트 부재(130)[와 브래킷(150a) 사이의 장착부인 좌우 에이밍 점(P1)]가 에이밍 스크류의 나사부(32)를 따라서 진퇴하여, 에이밍 지점(P)[볼 조인트(20)]과 너트 부재(140)[와 브래킷(150b) 사이의 장착부인 상하 에이밍 점(P2)]를 연결하는 수직 틸팅축(Ly) 둘레로 리플렉터(14)가 틸팅한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40)를 회동시키면, 너트 부재(140)[와 브래킷(150b) 사이의 장착부인 상하 에이밍 점(P2)]가 에이밍 스크류의 나사부(42)를 따라서 진퇴하여, 에이밍 지점(P)[볼 조인트(20)]과 너트 부재(130)[와 브래킷(150a) 사이의 장착부인 좌우 에이밍 점(P1)]을 연결하는 틸팅축(Lx) 둘레로 리플렉터(14)가 틸팅한다. 즉, 에이밍 스크류(30)는 램프의 광(光)축을 틸팅축(Ly) 둘레로 틸팅 조정하는 좌우 에이밍 스크류를 구성하고, 에이밍 스크류(40)는 램프의 광축을 수평 틸팅축(Lx) 주위로 틸팅 조정하는 상하 에이밍 스크류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에이밍 기구(E)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은 도 5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보디(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 형상의 통형부(5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통형부(50)의 전후 길이는 에이밍 스크류(30, 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요동없이 유지할 수 있는 데에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 연장부(50B)의 연장량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보디(10)를 따라서 배치된 에이밍 스크류 회동 조작용의 드라이버(D)의 선단부를 담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 연장부(50B)의 상측면에는, 드라이버(D)의 선단부가 접촉했을 때에 드라이버(D)의 톱니가 크라운형 기어의 톱니에 맞물린 상태가 되게 하는 공구 위치 결정용 접촉부로서 기능하는 평탄면(51)이 형성되어 있어, 드라이버(D)를 회동시킬 때에 드라이버(D)의 선단부가 통형부(50) 외주면을 따라서 미끄러져 움직이지 않게 되어 있다.
통형부(50)는 램프 보디(10)와 일체 성형되지만 그 형상이 간결하기 때문에, 성형용 금형의 구조도 금형의 성형면의 형상도 단순 간결한 것으로 되어, 금형의 가공이 간단하다.
한편, 에이밍 스크류(30, 4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부(32, 42)가 형성된 전단측의 스크류 본체(31, 41)는 물론, 후단의 크라운형 기어부(35, 45)를 포함하는 전체가, 예컨대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 34(44)는 에이밍 스크류(30, 40) 중 통형부(50)에 의해서 지지되는 부위, 즉 피지지부로서, 이 피지지부(34, 44)의 후단측에는 통형부(50)의 후방 연장부의 단부면(50b)에 접촉하는 크라운형 기어부(35, 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피지지부(34, 44)의 전단측에는 통형부(50)의 전방 연장부(50A)의 내측 플랜지형 전단부의 단부면(통형부의 전단면)(50a)에 결합하는 탄성 걸림 부재(38, 48)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 걸림 부재(38, 48)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지지부(34, 44) 전단측의 좌우 측면(36a, 46a)이 대향하도록 모따기되어 있는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기초부(36, 46)의 양측에 L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후방으로 연장하는 수평 연장부가 반경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탄성 걸림 부재(38, 48)의 수평 연장부는 선단측만큼 두껍게 형성되어 판 스프링으로서의 강성 강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통형부(50)의 단부면(50a)과의 결합이 떨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에이밍 스크류(30, 40)에 있어서, 피지지부 후단측의 크라운형 기어(35, 45)의 기단부 측에는 통형부(50)의 후단면(50b)에 미끄럼 접촉하는 스커트형의 탄성 리브(35b, 45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탄성 리브(35b, 45b)는 통형부(50)의 후단면(50b)에 접촉하고, 또한 피지지부(34, 44)의 전단측의 탄성 걸림 부재(38, 48)는 통형부(50)의 전단면(50a)에 결합함으로써, 에이밍 스크류(30, 40)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이 탄성 리브(35b, 45b)는 통형부(50)의 후단면(50b)에 압접 상태로 유지되어 에이밍 스크류(30, 40)를 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에이밍 스크류(30, 40)가 회전 지지부에서 요동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또한, 이 탄성 리브(35b, 45b)는 에이밍 스크류(30, 40)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방수를 다소 확보하는 작용도 한다.
크라운형 기어부(35, 45)의 톱니(35a, 45a)는 전방[램프 보디(10)에 임하는 측]에 설치되어 있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보디(10)를 따라서 배치된 에이밍 스크류 회동 조작용 드라이버(D)의 선단부를 통형부(50)의 평탄면(51)에 접촉시키면, 드라이버(D)의 이가 크라운형 기어부(35, 45)의 톱니(35a, 45a)에 딱 맞물려 드라이버(D) 측의 회전력이 크라운형 기어부(35, 45) 측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30, 40)의 후단부[크라운형 기어부(35, 45)의 후방]에는, 단면의 형태가 정육각형이고 단부면에 각(角)형 홈(37a, 47a)이 마련된 회동 조작부(37, 4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드라이버(D) 대신에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에이밍 스크류(30, 40)를 회동 조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 합성 수지제의 탄성 리브(35b, 45b)는 알맞은 탄성(가요성)을 지니는 동시에, 합성 수지제의 통형부(50)의 후단면(50b)이 평활면이므로, 탄성 리브(35b, 45b)와 통형상 후단면(50b) 사이의 미끄럼 접촉부가 에이밍 스크류(30, 40)의 회동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의 피지지부(34, 44)에는 통형부(50)[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원환형 탄성 방수 리브(34a, 4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방수 리브(34a, 44a)의 외경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의 내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방수 리브(34a, 44a)의 선단부가 항상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의 내주면에 압접되도록 되어 있다.
피지지부(34, 44) 외주면에 있어서, 탄성 방수 리브(34a, 44a)의 양측에는 방수 리브(34a, 44a)를 따라서 연장되는 환상 홈(34b, 44b)이 형성되어 에이밍 스크류의 피지지부(34, 44)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 사이의 틈을 넓히는 일없이 탄성 방수 리브(34a, 44a)의 반경방향의 돌출량을 크게 함으로써, 탄성 방수 리브(34a, 44a)의 탄성(가요성)이 높아지고, 이로써 탄성 방수 리브(34a, 44a)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 내주면과의 사이에 알맞은 압접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즉, 환상 홈(34b, 44b)이 마련되지 않으면, 탄성 방수 리브의 돌출량(반경방향 높이)이 그만큼 줄어들어 탄성(가요성)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탄성 방수 리브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내주면과의 사이에 과대한 압접력이 작용하고 에이밍 스크류의 회동 토크가 커져, 에이밍 스크류를 원활하게 회동시키거나 에이밍 스크류를 원활하게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끼워 붙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탄성 방수 리브(34a, 44a)의 탄성(가요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피지지부(34, 44)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l0b) 사이의 틈을 넓혀 방수 리브의 돌출량을 크게 하면 되지만, 이 틈이 커짐에 따라서 방수성이 저하되고, 또한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요동도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방수 리브(34a, 44a)의 기단부를 따라서 환상 홈(34b, 44b)을 형성하여, 피지지부(34, 44)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 내주면 사이의 틈을 넓히지 않고, 즉 방수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탄성 방수 리브(34a, 44a)의 돌출량을 크게 하여, 탄성 방수 리브(34a, 44a)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 내주면 사이에 생기는 압접력이나 미끄럼 이동의 마찰 저항을 경감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에이밍 스크류(30, 40)의 원활한 회동과, 에이밍 스크류(30, 40)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에 원활하게 끼워 붙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방수 리브(34a, 44a)는 축 방향으로 2곳에 병설되어 있고, 방수 리브(34a, 44a)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 내주면 사이의 원환형 미끄럼 접촉부가 2단으로 되어, 그만큼 에이밍 스크류(30, 40)의 회전 지지부에서의 방수성이 향상된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30, 40)의 피지지부(34, 44)보다 전방인 부분은, 도 6(c)의 흰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한 쌍의 분할 금형(60A, 60B)을 이용하고, 또한 에이밍 스크류(30, 40)의 크라운형 기어부(35, 45)는 도 6(b)의 흰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 분할된 한 쌍의 분할 금형(61A, 61B)을 이용하여 각각 사출 성형할 수 있다. 도 6의 (b), (c)에 있어서 부호 (60C, 61C)는 분할 금형의 분리선을 나타낸다.
이어서, 에이밍 스크류(30, 40)를 램프 보디(10)의 통형부(50)[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에 셋팅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에이밍 스크류(30, 40)를 램프 보디(10)의 후방측에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으로 압입한다.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의 구멍 직경보다 작은 외경의 수나사부(32, 42)는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에 원활하게 삽입되어 관통한다. 에이밍 스크류(30, 40)의 피지지부(34, 44)는 전단측의 한 쌍의 탄성 걸림 부재(38, 48) 사이의 거리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보다 크기 때문에, 탄성 걸림 부재(38, 48)가 통형부(50) 후단면(50b)에 맞닿아 삽입이 일단 방해받게 되지만, 에이밍 스크류(30, 40)를 탄성 걸림 부재(38, 48)에 작용하는 반력에 대항하여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에 압입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걸림 부재(38, 48)는 후단측 통형부(50B)의 후단면(50b) 및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의 내주면에 눌려 반경방향 내측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탄성 변형하고 통형부(50) 속을 활주한다. 그리고, 스커트형 탄성 리브(35b, 45b)가 통형부(50B)의 후단면(50b)에서 받는 탄발력 이상의 힘으로, 피지지부(34, 44)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으로 압입하여, 탄성 걸림 부재(38, 48)의 선단부(38a, 48a)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을 통과한 형태가 되면, 탄성 걸림 부재(38, 48)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복원하고 통형부 전단면(50a)에 결합하여 에이밍 스크류(30, 40)가 후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피지지부(34, 44) 후단측의 스커트형 탄성 리브(35b, 45b)가 통형부 후단면(50b)에 압접 상태가 되어,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에 대하여 에이밍 스크류(30, 40)가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또한, 탄성 걸림 부재(38, 48)는 비교적 얇은 두께의 설편형으로 형성되어 판 스프링으로서의 단면 계수가 작기 때문에, 그만큼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다. 또한, 탄성 걸림 부재(38, 48)의 종단면은 L자형으로 그 수평 연장부의 선단측일수록 두껍게 형성되고, 탄성 걸림 부재(38, 48)의 외주면(38b, 48b)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의 내주면을 따라 횡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기단부 측일수록 끝이 오므라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지지부(34, 44)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에 삽입할 때에, 탄성 걸림 부재(38, 48)의 외주면(38b, 48b)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의 주연부에 맞닿고, 탄성 걸림 부재(38, 48)가 원활하게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10a, 10b) 안으로 원활하게 삽입되어 미끄럼 전진 이동한다.
또한, 탄성 걸림 부재(38, 48)의 선단부가 두꺼운 만큼 탄성 걸림 부재(38, 48)의 통형부 전단면(50a)과의 결합 면적이 크고, 그만큼 탄성 걸림 부재(38, 48)가 통형부 전단면(50a)에서 떨어지기 어렵다고 말할 수 있다.
이어서, 에이밍 스크류(30, 40)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130, 140)와, 너트 부재(130, 140)가 장착되는 브래킷(150a, 150b)측의 결합 구멍(152)과, 너트 부재(130, 140)를 회전 방지하는 동시에, 너트 부재(130, 140)를 담지하고,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230, 240)의 각각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230, 240)는, 도 1 내지 도 4, 도 1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상하) 에이밍 스크류(30, 40)의 측방(하측)의 램프 보디 벽면 근방에서 전후로 연장되고, 에이밍 스크류(30, 40)에 임하는 측면의 개구폭이 넓은 개미집 형상 홈(232, 242)이 마련된 직사각형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 231(241)은 개미집 형상 홈(232, 242)의 개구부를 나타낸다. 또한,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230, 240)는 램프 보디(10)의 벽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로서의 강도가 확보되고 있다. 그리고,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230)는 램프 보디(1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 상측 코너에,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240)는 램프 보디(1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왼쪽 하측 코너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한편, 너트 부재(130, 140)는, 도 1 내지 도 4, 도 9, 도 10,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밍 스크류(30, 40)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132, 142)가 형성되어 있고 거의 구(球)형인 너트 부재 본체(131, 141)의 측방에는 축부(136, 146)를 통해 슬라이더부(137, 14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인 슬라이더부(137, 147)의 거의 중앙부에서 구형의 너트 부재 본체(131, 141)가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 에이밍 점(P1)[상하 에이밍 점(P2)]을 구성하는 너트 부재 본체(131, 141)는 후에 자세히 설명되는 브래킷(150a, 150b)에 형성된 너트 결합 구멍(152)에 지지되어, 유니버설 조인트 구조의 브래킷(150a, 150b)·너트 부재(130, 140) 간 장착부를 구성하고 있다.
슬라이더부(137, 147)는 직사각형의 슬라이드 플레이트(137a, 148)와, 그 저면측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판 스프링형 탄성 연장 부재(138, 148)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연장 부재(138, 148)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37a, 147a)의 폭 방향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원호형 단면으로 만곡하여 연장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플레이트(137a, 147a)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세로 리브(137b, 147b)가 형성되며, 슬라이더부(137, 147)가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230, 240)에 셋팅되면, 탄성 변형된 좌우 한 쌍의 탄성 연장 부재(138, 148)의 선단부가, 도 10(a) 가상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리브(137b, 147b)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부(137, 147)가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230, 240)의 개미집 형상 홈(232, 242)에 결합된 형태에서는 내벽면(234, 244)에 압접하는 탄성 연장 부재(138, 148)의 선단부가 세로 리브(137b, 147b)의 양측에 접촉하고, 탄성 연장 부재(138, 148)가 아치를 형성하여, 슬라이더부(137, 147)가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230, 240)에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요동함 없이 지지되는 동시에,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230, 240)의 연장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슬라이더부(137, 147) 배면측의 탄성 연장 부재(138, 148)의 측가장자리부는, 부호 138a(14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컷트된 형상으로서, 슬라이더부(137, 147)가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230, 240)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되게 한다.
리플렉터(14)의 중량은 에이밍 지점(P)인 볼 조인트(20)에서 담지되는 것이 물론이지만,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230)가 너트 부재(130)의 슬라이더부(137)를 담지함으로써 리플렉터(14)의 중량을 지지하는 동시에, 너트 부재(130)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여, 에이밍 스크류(30)의 상하 방향 요동[(리플렉터(14)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억제한다.
또한,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240)는 너트 부재(140)의 슬라이더부(147)의 좌우 방향 위치를 결정하여 유지하고, 에이밍 스크류(40)의 좌우 방향 요동[(리플렉터(12)의 좌우 방향의 진동)]을 억제한다. 또한, 에이밍 지점(P)을 구성하는 볼 조인트(20)와, 너트 부재(130)의 미끄럼 이동 가이드(230)가 리플렉터(14)의 중량을 지지하기 때문에, 리플렉터(14)의 중량이 너트 부재(130)를 통해 에이밍 스크류(30)에 작용하는 일은 없다.
물론, 미끄럼 이동 가이드(240)에 셋팅된 슬라이더부(147)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너트 부재 본체(141)와, 브래킷(150b) 하측으로 개구되는 너트 결합 구멍(152)은 상하 방향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으므로, 리플렉터(14)의 중량이 에이밍 스크류(40)에 작용하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이, 리플렉터(14)는 상하 좌우 방향으로 요동함 없이 지지되고, 에이밍 스크류(30, 40)의 회동에 연계하여 원활하게 틸팅한다.
또한, 예컨대 너트 부재 본체의 측방에는 볼부인 결합 돌출부가 마련되고, 브래킷에 마련된 볼 수납부인 결합 구멍에 볼부인 결합 돌출부가 결합하는 브래킷·너트 부재 사이의 장착 구조에서는, 리플렉터측의 중량 부하가 비틀림 모멘트로서 너트 부재에 작용하여 리플렉터의 진동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 부재 본체(131, 141) 자체가 유니버설 조인트의 볼부를 구성하여 볼 수납부인 결합 구멍(152)에 지지된 구조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이 없다. 즉, 리플렉터(14)측의 관성 중량 부하는 너트 부재 본체(131, 141)의 암나사부(132, 142)에 나사 결합하는 에이밍 스크류(30, 40)의 축심 위치에 작용하기 때문에, 리플렉터(14)측의 중량 부하가 비틀림 모멘트로서 너트 부재에 작용하는 일이 없어 그만큼 리플렉터(14)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는 일도 없다.
또한, 너트 부재 본체(131, 141)의 배면측에는 에이밍 스크류(30, 40)를 암나사부에 용이하게 나사 결합시키도록, 암나사부(132, 142)에 수렴하는 테이퍼형의 개구부(132a, 14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너트 부재 본체(131, 141)의 모따기된 상하의 측면에는 암나사부(132, 142)를 직교하여 걸쳐있는 탄성 돌기인 문 형상의 탄성 결합 프레임(133, 143)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의 탄성 결합 프레임(133, 143)의 수평 교량부(133a, 143a)에는 선단면이 구면(球面)인 미소 돌기(133b, 143b)가 암나사부(132, 142)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마련되어 있다.
한편, 브래킷(150a, 150b)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너트 결합 구멍(152)은 거의 구형인 너트 부재 본체(131, 141)에 정합하는 원형 단면의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150a)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플렉터(14)의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해서 개구되는 구멍(152)에 측방에서부터 너트 부재 본체(131)가 결합하고, 브래킷(150b)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플렉터(14)의 하측으로 개구되는 구멍(152)에 하측에서부터 너트 부재 본체(141)가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결합 구멍(152)의 내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형상의 탄성 결합 프레임(133, 143)의 수평 교량부(133a, 143a)에 대응하는 결합 홈(154)이 구멍(152)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또한, 브래킷(150a, 150b)에 있어서 결합 구멍(152) 주벽(周壁)의 전후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에이밍 스크류(30, 40) 삽입 관통용 슬릿(153, 153)이 마련되고, 결합 구멍(152) 주변 영역의 종단면이 U자형(도 13 및 도 14 참조)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 결합 프레임(133, 143)과 결합 홈(154)은 결합 구멍(152)의 반경방향으로 압접하고 결합 구멍(152)의 둘레방향[홈(154)의 홈 폭 방향]으로 헐겁게 결합하여, 너트 부재 본체(131, 141)와 결합 구멍(152)은 결합 구멍(152)의 연장 방향으로 상대적인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고, 결합 구멍(152)의 둘레방향으로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점에 관해서, 상술한다. 탄성 결합 프레임(133, 143)의 폭은 결합 홈(154)의 홈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탄성 결합 프레임(133, 143)은 그 수평 교량부(133a, 143a)가 결합 홈(154)의 저면(154a)과 압접하는 상태로, 결합 홈(154)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탄성 결합 프레임(133, 143)과 결합 홈(154) 사이에 간극(155)이 형성되어, 이 간극(155)에 상당하는 만큼 너트 부재 본체(131, 141)와 결합 구멍(152)이 결합 구멍(152) 둘레방향으로 상대적인 회동을 할 수 있다. 또한, 탄성 결합 프레임(133, 143)은 그 수평 교량부(133a, 143a)가 결합 홈(154)의 저면(154a)에 압접하는 형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너트 부재 본체(131, 141)가 결합 구멍(152)에 대하여 요동하지도 않는다.
또한, 결합 홈(154)의 저면(154a)은 너트 구멍의 내주면에 정합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미소 돌기(133b, 143b)의 선단면이 구상으로 형성되고, 한편,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결합 프레임(133)의 수평 교량부(133a, 143a)의 외측 표면도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압접 상태의 수평 교량부(133a, 143a)와 결합 홈 저면(154a) 사이의 미끄럼 이동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탄성 결합 프레임(133)의 결합 홈(154)에 대한 상대 회동량[너트 부재(130, 140)와 브래킷(150a, 150b) 사이의 결합 구멍(152) 둘레방향의 상대 회동량]이 크게 잡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 구멍(152)과 너트 부재 본체(131, 141)는 결합 구멍(152)의 연장 방향으로 상대적인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고, 수평 틸팅축(Lx) 둘레로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며, 상하의 미소 돌기(133b, 133b, 143b, 143b)를 지나는 축(L10)(도 9, 10 참조) 둘레로 상대적인 요동이 가능한 유니버설 조인트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예컨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이밍 스크류(30)의 회동에 따라, 너트 부재(130)는 화살표 A에 표시된 것처럼, 스크류(30)를 따라서 전후 진퇴(직선 운동)하고, 한편 리플렉터(14)[의 브래킷(150a)의 결합 구멍(152)은 화살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밍 지점(P)의 수직 틸팅축(Ly) 둘레로 회전(틸딩)한다. 이 때문에, 이동 궤적이 다른 양자(직선 운동을 하는 너트 부재(130)와 회전 운동을 하는 브래킷(150a)] 사이의 결합부[너트 부재 본체(131)와 결합 구멍(152)]에는 이동 궤적의 차(편차)에 해당하는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너트 부재(130)의 스크류(30)를 따른 전후 진퇴 동작에 따라, 너트 부재 본체(131)와 브래킷(150a)측의 결합 구멍(152)이 결합 방향[결합 구멍(152) 연장 방향]으로 상대적인 미끄럼 이동을 하여, 너트 부재(130)와 브래킷(150a) 사이의 장착부에 있어서 에이밍 지점(P)을 지나는 수평 틸팅축(Lx)을 따른 방향의 편차(δ)에 대응하는 인장 응력(압축 응력)을 해소한다.
또한, 너트 부재 본체(131)와 결합 구멍(152)이 수평 방향으로 상대 요동[도 9 및 도 10의 축(L10) 둘레로 상대 요동]하여, 너트 부재(130)와 브래킷(150a) 사이의 장착부에 있어서 결합 구멍(152)의 연장 방향(L2)과 너트 부재 본체(131)의 돌출 방향(L3)의 각도 편차(θ)에 대응하는 토크를 해소한다. 즉, 리플렉터(14)가 에이밍 지점(P)을 지나는 수직 틸팅축(Ly) 둘레로 틸팅할 때의, 장착부에 생기는 응력을 해소한다.
또한, 너트 부재 본체(131)와 결합 구멍(152)이 결합 구멍(152)의 둘레방향으로 상대 회동하여, 리플렉터(14)가 에이밍 지점(P)을 지나는 수평 틸팅축(Lx) 둘레로 틸팅할 때의, 너트 부재(130)와 브래킷(150a) 사이의 장착부에 생기는 응력을 해소한다.
또한, 광원의 발열로 인해 리플렉터(14)가 열팽창하는 등의 경우에도, 너트 부재(130)와 브래킷(150a) 사이의 장착부에는 리플렉터(14)의 변형에 따른 응력이 발생하려고 하지만, 너트 부재 본체(131)와 결합 구멍(152)으로 구성된 유니버설 조인트 구조에 의해서 해소된다.
또한, 너트 부재(140)와 브래킷(150b) 사이의 장착부에 있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너트 부재 본체(141)와 결합 구멍(152)으로 구성되는 유니버설 조인트 구조에 의해서 장착부에 발생하려고 하는 응력이 해소된다.
이어서, 에이밍 기구를 통해 리플렉터(14)를 램프 보디(10)에 셋팅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에이밍 스크류(30, 40)가 셋팅된 램프 보디(10)를 상향으로 해놓는다. 이어서, 브래킷(150c)에 볼 부재(22)를 부착하고, 브래킷(150a, 150b)의 결합 구멍(152)에 각각 너트 부재(130, 140)의 너트 부재 본체(131, 141)를 결합한다. 그리고, 브래킷(150a, 150b, 150c)을 하향으로 하고, 램프 보디(10)의 상측으로부터 리플렉터(14)를 하강시켜, 너트 부재(130, 140)의 암나사부(132, 142)를 에이밍 스크류(30, 40)의 선단에 위치맞춤 시킨다. 그리고, 에이밍 스크류(30, 40)를 회동시켜, 너트 부재(130, 140)의 암나사부(132, 142)를 에이밍 스크류(30, 40)에 각각 나사 결합시키는 동시에, 슬라이더부(137, 147)를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230, 240) 내에 삽입하며, 또한 볼 부재(22)의 볼부(23)를 램프 보디(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볼 수납부(24)에 압입함으로써, 리플렉터(14)가 에이밍 기구(E)를 통해 램프 보디(10)에 일체화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헤드 램프의 정면도이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에이밍 지점(P)이 리플렉터(14)의 왼쪽 코너 상측에 배치된 에이밍 기구를 갖춘 헤드 램프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에이밍 지점(P)이 리플렉터(14)의 왼쪽 코너 하측에 배치된 에이밍 기구를 갖춘 구조로, 좌우 에이밍 점(P1)은 오른쪽 하측 코너에, 상하 에이밍 점(P2)은 왼쪽 상측 코너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 밖에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2개의 실시예에서 램프 보디(10)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구성되고, 에이밍 스크류(30, 40)는 적절한 탄력이 있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미끄럼 이동성이 좋은 폴리아세탈 수지로 구성되어 있지만, 폴리아세탈 수지 대신에 나일론 수지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탄성 리브(35b, 45b)는 스커트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스커트형이 아니라 둘레방향으로 등분한 복수 개소에서 탄성 리브가 방사형으로 연장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에이밍 스크류(30, 40) 전체가 합성 수지제로서 설명되고 있지만, 적어도 피지지부(34, 44)는 합성 수지제로, 그 밖의 부분은 금속제로 하여도 좋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30, 40)는 종래 공지의 금속제로 하고, 누름 고정구에 의해 에이밍 스크류(30, 40)의 협지력을 약하게 하여, 에이밍 스크류(30, 40)의 회동 조작성을 높인 구조이어도 무방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의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따르면, 에이밍 스크류에 일체로 형성되어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주연부에 압접하는 탄성 리브에 의해서, 에이밍 스크류는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요동함 없이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누름 고정구나 O자형 링 등의 탄성 부재를 개재할 필요가 없어져, 그만큼 에이밍 기구를 구성하는 부품 갯수가 줄어들고, 에이밍 기구의 구성이 간결하게 되는 동시에, 에이밍 기구의 조립 작업도 간단하게 된다.
특히, 작은 힘으로 에이밍 스크류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장착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에이밍 스크류의 셋팅 작업이 단시간에서 끝나고, 또한 작은 가압력을 갖는 프레스기를 이용하면 되기 때문에, 에이밍 기구 조립용의 설비도 저렴해진다.
또한, 합성 수지제 탄성 리브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물에 의해 열화되지 않아서,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장기간에 걸친 탄성 지지가 보장된다.
또한, 통형부 성형용 금형의 구조나 금형의 성형면이 단순 간결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금형의 가공이 용이하고, 통형부(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성형도 용이하게 되어, 그만큼 헤드 램프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설편형 걸림 부재가 내측으로 균등하게 변형하여, 피지지부의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원활하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에이밍 스크류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셋팅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복수 개의 설편형 걸림 부재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전단측의 주연부에 둘레방향 등간격으로 미끄럼 접촉하기 때문에, 에이밍 스크류는 요동함 없이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르면, 스커트형의 탄성 리브에 의해서 에이밍 스크류가 요동함 없이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고, 또한 어느 정도의 방수 기능을 갖춘 에이밍 스크류 회전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르면, 축 방향 길이가 큰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 에이밍 스크류는 요동함 없이 지지되는 동시에, 방수성도 향상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가능한 에이밍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에이밍 스크류 회동 조작용 공구의 선단부를 통형부의 공구 위치 결정 용 접촉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원활하고 또 확실하게 에이밍 스크류를 회동 조작할 수 있고, 그만큼 에이밍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5에 따르면,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는, 램프 보디 배면측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주연부의 탄성 리브에 의한 방수 수단과,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내부의 탄성 방수 리브에 의한 방수 수단, 2곳에 의해서 방수가 되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 방수를 확실히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르면, 에이밍 스크류 전체가 경량이 되는 만큼,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경량화로 이어진다.
청구항 7에 따르면, 리플렉터의 중량이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인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스커트형 탄성 리브에 의한 에이밍 스크류의 협지력은 그만큼 작아도 된다. 따라서,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토크를 작게, 즉, 에이밍 스크류의 회동 조작력을 작게 함으로써, 경쾌한 에이밍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헤드 램프의 수평 단면도(도 1에 도시된 선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헤드 램프의 종단면도(도 1에 도시된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램프 보디, 리플렉터 및 에이밍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를 구성하는 통형부의 확대 사시도, (b)는 상기 통형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에이밍 스크류의 확대 사시도, (b)는 에이밍 스크류의 확대 측면도, (c)는 에이밍 스크류의 횡단면도[도 6(b)에 나타내는 선 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에이밍 스크류가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너트 부재와 브래킷의 장착부 사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의 (a)는 너트 부재의 정면도, (b)는 너트 부재의 종단면도, (c)는 너트 부재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1은 브래킷측의 너트 결합 구멍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너트 결합 구멍의 수평 단면도(도 11에 도시된 선 XⅡ-X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좌우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하 에이밍 점을 구성하는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너트 부재가 너트 결합 구멍에 결합하고 있는 형태의 단면도(도 13에 도시된 선 XV-XV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너트 부재가 너트 결합 구멍에 결합하고 있는 형태의 단면도(도 13에 도시된 선 XⅥ-X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에이밍 점인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에 있어서의 응력 해소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선출원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의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램프 보디
10a, 10b :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
12 : 전방면 렌즈
14 : 리플렉터
18 : 광원인 벌브
20 : 에이밍 지점을 구성하는 볼 조인트
23 : 에이밍 지점을 구성하는 볼부
24 : 에이밍 지점을 구성하는 볼 수납부
30 : 좌우 에이밍 스크류
32, 42 : 수나사부
34, 44 : 에이밍 스크류의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의한 피지지부
34a, 44a : 원환형 탄성 방수 리브
35b, 45b : 스커트형 탄성 리브
38(48) : 판 스프링형 탄성 걸림 부재
40 : 상하 에이밍 스크류
50 : 에이밍 스크류 회전 지지부를 구성하는 통형부
50A : 통형부의 전방 연장부
50B : 통형부의 후방 연장부
50a : 통형부 전단면
50b : 통형부 후단면
130, 140 : 너트 부재
131, 141 : 너트 부재 본체
132, 142 : 암나사부
133a, 143a : 볼록부
137, 147 : 슬라이더부
138, 148 : 판 스프링형 탄성 연장 부재
150a, 150b : 브래킷
152 : 결합 구멍
154 : 결합 홈
230, 240 :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
232, 242 : 개미집 형상 홈
E : 에이밍 기구
P : 에이밍 지점
P1 : 좌우 에이밍 점
P2 : 상하 에이밍 점
S : 등실
LX : 수평 틸팅축
LY : 수직 틸팅축

Claims (7)

  1. 용기형 램프 보디와, 광원이 장착된 리플렉터와, 상기 램프 보디와 리플렉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리플렉터를 램프 보디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에이밍 기구를 구비하고, 램프 보디에 설치된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에이밍 기구 구성 부재인 에이밍 스크류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리플렉터가 틸팅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은 램프 보디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연장하는 통형부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에이밍 스크류는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에 의해서 지지되는 피지지부와, 상기 피지지부 전방의 수나사부와, 상기 피지지부 후방의 회동 조작력 피전달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피지지부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피지지부의 전단측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탄성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지지부의 후단측에는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후단측의 주연부에 압접하며 에이밍 스크류를 전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여 고정하는 탄성 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전단측의 주연부에는 에이밍 스크류가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탄성 걸림부는 상기 피지지부의 둘레방향으로 등분한 복수 개소에 마련된 후방으로 연장하는 설편형 걸림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브는 스커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조작력 피전달부는 톱니가 전방을 향한 크라운형 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은 램프 보디를 전후로 관통하여 전후로 연장하는 통형부에 의해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통형부의 후방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크라운형 기어를 회동 조작하는 공구의 선단부를 위치 결정하는 공구 위치 결정용 접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크류 삽입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원환형의 탄성 방수 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스크류 전체는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스크류에는 상기 리플렉터에 장착된 에이밍 기구 구성 부재인 너트 부재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램프 보디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에이밍 스크류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너트 미끄럼 이동 가이드에 상기 너트 부재가 담지(擔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KR10-2001-0085978A 2000-12-28 2001-12-27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KR100525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400073 2000-12-28
JP2000400073A JP2002193023A (ja) 2000-12-28 2000-12-28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423A KR20020055423A (ko) 2002-07-08
KR100525986B1 true KR100525986B1 (ko) 2005-11-08

Family

ID=1886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978A KR100525986B1 (ko) 2000-12-28 2001-12-27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46142B2 (ko)
JP (1) JP2002193023A (ko)
KR (1) KR100525986B1 (ko)
CN (1) CN1250900C (ko)
DE (1) DE10164351B4 (ko)
FR (1) FR28189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37458A1 (en) * 2002-08-09 2004-02-09 Alexandre Curthelet Modular headlight system for recreational vehicles
US7052164B2 (en) 2002-11-12 2006-05-30 Burton Technologies Llc Gear screw adjuster
SI21418A (sl) * 2003-01-29 2004-08-31 Saturnus Avtooprema D.D. Regulacijski sklop svetila, zlasti meglenke za motorna vozila
DE10342168B4 (de) * 2003-09-12 2015-11-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in einer Mulde eines Karosserieteiles aufgenommenes Bauteil
JP4530722B2 (ja) 2004-06-01 2010-08-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DE102006018305B4 (de) * 2006-04-20 2012-02-02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Fahrzeuge
JP4814738B2 (ja) * 2006-09-20 2011-11-1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led灯具
DE102007010210A1 (de) * 2007-03-02 2008-09-04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Fahrzeuge
FR2918938B1 (fr) * 2007-07-20 2010-02-26 Valeo Vision Correcteur d'eclairage pour dispositif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JP5430225B2 (ja) * 2009-05-21 2014-02-2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2011060727A (ja) * 2009-09-14 2011-03-24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JP5507987B2 (ja) * 2009-12-10 2014-05-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5438539B2 (ja) 2010-02-09 2014-03-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光軸調整用スクリュー
CN102566003B (zh) * 2010-12-30 2014-10-15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反射镜安装结构
DE102011051681B4 (de) * 2011-07-08 2023-09-28 HELLA GmbH & Co. KGaA Einstellvorrichtung für Scheinwerfer
US9381850B2 (en) * 2011-10-31 2016-07-05 Hella Kgaa Hueck & Co. Compact adjuster for headlight
DE102011119392A1 (de) 2011-11-24 2013-05-29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Justierbare Halterungsvorrichtung für Sensoren
US9475421B2 (en) 2013-10-23 2016-10-25 Burton Technologies, Llc Reflector damper bracket
JP6279376B2 (ja) * 2014-03-26 2018-02-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ピボット受体および車両用灯具
JP6062899B2 (ja) * 2014-09-11 2017-01-18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照明装置
JP6425134B2 (ja) 2015-03-11 2018-11-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移動体及び支持体
FR3048654A1 (fr) * 2016-03-10 2017-09-15 Valeo Vision Belgique Projec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equipe d'organes d'emboitement a deformation elastique procurant un montage pivotant entre deux pieces du projecteur
CN106015981A (zh) * 2016-05-24 2016-10-12 江苏天楹之光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高光效led灯
JP6798254B2 (ja) * 2016-11-02 2020-12-09 市光工業株式会社 軸受機構及び自動車用のヘッドランプ
US10464469B2 (en) * 2017-08-24 2019-1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iscernible headlamp adjuster mechanism
CN111023038B (zh) * 2019-12-27 2021-03-23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汽车前雾灯的调节机构和汽车前雾灯总成
US11719381B2 (en) 2020-10-05 2023-08-08 Asyst Technologies L.L.C. Adjustable linkage arm
JP2022149077A (ja) * 2021-03-25 2022-10-0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US11788700B1 (en) * 2022-09-23 2023-10-17 Eagle Eyes Traffic Industrial Co., Ltd. Adjustable light fixture capable of preventing light holder from falling of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1801A (ja) * 1991-11-26 1993-06-18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におけるエイミングスクリユー支承構造
JPH07180762A (ja) * 1993-11-04 1995-07-18 Koito Mfg Co Ltd ギヤ装置
JPH0822703A (ja) * 1994-07-08 1996-01-23 Ichikoh Ind Ltd 光軸調整装置を具備した車両用灯具
JPH08315608A (ja) * 1995-05-17 1996-11-29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におけるエイミングスクリュー
JPH09151924A (ja) * 1995-11-28 1997-06-10 Nifco Inc アジャストスクリュ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2488C1 (de) * 1984-06-16 1986-01-09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Einstellmechanismus für einen in einem Scheinwerfergehäuse von Kraftfahrzeugen schwenkbar gelagerten Reflektor
JPH069001U (ja) * 1992-07-07 1994-02-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傾斜検出器付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US5444603A (en) * 1993-07-19 1995-08-22 Koito Manufacturing Co., Ltd. Push-on fixer for screw engagement
GB2285307B (en) * 1993-12-21 1997-11-12 Koito Mfg Co Ltd Vehicular headlamp
JP2757934B2 (ja) * 1993-12-28 1998-05-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エイミング機構
US5580149A (en) * 1994-07-25 1996-12-03 Koito Manufacturing Co., Ltd. Automotive headlamp
JP3217213B2 (ja) * 1994-07-28 2001-10-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エーミングスクリューの支持構造
JP3074557B2 (ja) * 1994-11-24 2000-08-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ヘッドランプ
FR2752040B1 (fr) * 1996-07-31 1998-10-30 Valeo Vision Element de fixation intermediaire pour le montage d'un reflecteur sur une partie d'appui d'un projecteur
US6017136A (en) * 1997-04-07 2000-01-25 Burton; John Adjusting apparatus for automotive lamps
JP3128623B2 (ja) * 1997-10-01 2001-01-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ヘッドランプ
JP2000149624A (ja) * 1998-08-31 2000-05-30 Koito Mfg Co Ltd リフレクタ―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3822007B2 (ja) * 1999-10-21 2006-09-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3883356B2 (ja) * 2000-03-14 2007-02-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1801A (ja) * 1991-11-26 1993-06-18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におけるエイミングスクリユー支承構造
JPH07180762A (ja) * 1993-11-04 1995-07-18 Koito Mfg Co Ltd ギヤ装置
JPH0822703A (ja) * 1994-07-08 1996-01-23 Ichikoh Ind Ltd 光軸調整装置を具備した車両用灯具
JPH08315608A (ja) * 1995-05-17 1996-11-29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におけるエイミングスクリュー
JPH09151924A (ja) * 1995-11-28 1997-06-10 Nifco Inc アジャストスクリ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64351A1 (de) 2002-07-11
JP2002193023A (ja) 2002-07-10
CN1250900C (zh) 2006-04-12
FR2818941A1 (fr) 2002-07-05
US6746142B2 (en) 2004-06-08
FR2818941B1 (fr) 2005-07-08
DE10164351B4 (de) 2008-04-03
KR20020055423A (ko) 2002-07-08
US20020085385A1 (en) 2002-07-04
CN1362595A (zh) 200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5986B1 (ko)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JP3718124B2 (ja)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3883356B2 (ja)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KR20030055117A (ko)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EP0796780B1 (en) Interlocking device for opposed racks in an adjustable steering column
JP3822007B2 (ja)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US4904107A (en) Ball joi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5678915A (en) Easy-to-assemble aiming mechanism for vehicle lamps
US6158113A (en) Grommet water-proofing method and wire-harness loosening jig
JP4580516B2 (ja) 鏡枠装置
CN108349520A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和用于制造转向柱的方法
JP4382078B2 (ja)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000024944A (ja) 変速機付回転工具
US5580149A (en) Automotive headlamp
US7207573B2 (en) Chuck assembly
JPH09120701A (ja) 自動車の前照灯における反射鏡傾斜角の調節装置
JP3229554B2 (ja) 車輌用前照灯
JPH10151577A (ja) 変速機付回転工具
US6231222B1 (en) Headlight for vehicle
JP4275517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における支軸の製造方法
JP2561831Y2 (ja) ヘッドランプのエイミング機構
KR0173816B1 (ko)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JPH0316001B2 (ko)
CN117533234A (zh) 客车后视镜电动转向器
JPWO2003098102A1 (ja) 照準装置用部品及び照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18

Effective date: 200508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