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513B1 -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空環)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空環)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513B1
KR100523513B1 KR10-1999-0040848A KR19990040848A KR100523513B1 KR 100523513 B1 KR100523513 B1 KR 100523513B1 KR 19990040848 A KR19990040848 A KR 19990040848A KR 100523513 B1 KR100523513 B1 KR 100523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er
needle
ring
needles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363A (ko
Inventor
사쿠마코우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즈키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즈키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즈키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0002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3/00Casings
    • D05B73/04Lower casings
    • D05B73/12Slides; Needle plat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05B1/10Double chain-stitch 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空環)형성장치는 봉제직물의 비송급(非送給)시에 생기는 3개의 바늘(3A, 3B, 3C) 및 루퍼(4)의 동작에 따라서 각 바늘(3A, 3B, 3C)의 침사(針絲)(30A, 30B, 30C)와 루퍼(4)의 루퍼사(絲)(40)와의 얽힘에 의해 침판(針板)(6) 아래에 형성되는 2중환봉합공환을, 침락(針落)위치 뒤쪽의 침판(6) 위로 유도하여, 침락위치 후방의 후송치(後送齒)와 공환누름 사이에 협지(狹持)하여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편평봉합봉제기의 해당 침판(6)에, 침락위치에 각각 정치(整致)되고 침판(6)의 오목부(6C, 6D, 6E) 사이에 설치된 경사부(10A', 10B')를 가지는 계지(係止)포올(10A, 10B)로 형성되어 있는 정사기(整絲器)(1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공환형성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커버 스테치 봉합의 공환을 안정된 상태로 연속하여 봉합한다.

Description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空環)형성장치{BLANK LOOP FORMER FOR FLAT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사 및 루퍼사에 의하여 편출되는 공환봉합을 연속으로 형성하는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복수 개의 바늘과 한 개의 루퍼로 2중환 봉합이나 편평봉합을 형성하는 봉제기는, 천의 봉합을 마치고 다음 천의 봉합을 위해 봉합사의 절단 및 인출을 위한 공환봉합을 필요로 한다.
이 공환봉목(縫目)은, 예를 들어, 편평봉합봉제기의 경우, 천이 송출되어 봉제위치로부터 없어진 뒤, 침사와 루퍼사가 침판하부에서 바늘 및 루퍼만으로 편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환봉목은 이송치(移送齒)에 의해서 인출된 후 침판 상면(上面)과 누름쇠 하면(下面)에 의하여 협지(狹持)될 때까지 어느 것에도 계지(係止)되는 일이 없다. 또한, 천의 후단에 이어져 형성된 공환봉목은 바늘의 상하 움직임, 루퍼의 원호(圓弧)왕복 움직임에 의하여 흔들려지게 된다. 따라서, 눈(目)을 건너뛰는 일이 발생하여 연속된 정상적인 공환봉목을 형성할 수 없게 되어, 루퍼에 얽히거나 실의 끊김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단속봉(斷續縫)용 침판 및 이송치(일본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소39-5653호), 2침식(2針式) 봉제기로 스테치·체인을 만드는 장치(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57-58191호), 가장자리 걸림 봉합봉제기의 침판(일본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소61-25754호), 다침(多針)루프 스테치 봉합봉제기의 실(絲)루프형성장치(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3-23887호), 2중환봉합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이 장치를 위한 이송구 및 침판(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5-237275호), 2본(本)침3본사(絲)의 봉제기에 의한 공환인출방법 및 장치 그리고 공환(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5-300991호),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6-182079호), 2중환봉합봉제기(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7-8667호), 다본(多本)침2중환봉합봉제기(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7-275546호), 2중환봉합봉제기의 실(絲)제어장치(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9-285666호)가 제안되고 있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소39-5653호에 개시된 단속봉용 침판 및 이송치는 2분할된 이송치와, 침판에 뚫어져 마련된 2분할의 이송치용의 구멍 사이에 형성되는 가로 틀과, 누름쇠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봉합봉제기에 있어서 형성된 공환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2) 특허공고공보 소57-58191호에 개시된 2침식 봉제기로 스테치·체인을 만드는 장치는, 천 조각이 존재하고 있지 않았을 경우에서 검출하면, 2개의 바늘 중 한 쪽이 침사(針絲)의 장력을 해제하고, 장력을 해제하지 않은 다른 쪽의 침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2중환봉목의 공환에 장력을 해제한 쪽의 침사가 따라붙을 수 있게 한 구성이므로, 편평봉합의 공환을 형성할 수 있다.
(3) 등록실용신안공보 소61-25754호에 개시된 가장자리 걸림 봉합봉제기의 침판은, 2중환봉목의 공환을 천의 이송 방향으로 안내하는 공환안내 홈이 침판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2중환봉목의 공환을 형성할 수 있다.
(4) 특허공개공보 평3-23887호에 개시된 다침루프스테치 봉합봉제기의 실루프형성장치는, 스테치판이 가지는 2개의 스테치 구멍 슬릿 사이에 배치된 스테치 형성부재(形成部材)의 아래쪽에, 봉사(縫絲)제동장치가 봉침(縫針) 뒤의 봉합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존재하지 않는 직물을 대신할 수가 있기 때문에, 공환을 형성할 수 있다.
(5) 특허공개공보 평5-237275호에 개시된 2중환봉합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이 장치를 위한 이송구 및 침판은, 2중환 봉합의 공환이 송출되는 2개의 바늘의 중앙에 있어서, 침판의 송출 측에 형성된 투공(透孔)에 배치되는 이송치를 천 이송방향에 대하여 전후 2곳에 분할시키고, 이 2분할된 이송치 사이에 봉목을 유지하기 위한 횡항(橫桁)(웨브)을 침판에 형성시키고, 다시 침판에 형성된 침판포올(U자형의 슬릿)의 공환송출구멍(실 통과 슬릿)과 2분할된 이송치가 배치되는 투공과의 사이에도 횡항을 형성시킨다.
이에 따라, 2분할된 이송치 및 두 개의 횡항과 누름쇠(천누름)에 의하여, 형성된 공환봉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천종단(終端)(천의 끝단)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장치 구동기구는 천종단 신호에 의거하여 스테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이송 속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속되는 공환봉목을 형성할 수 있다.
(6) 특허공개공보 평5-300991호에 개시된 2본침3본사의 봉제기에 의한 공환인출방법 및 장치 그리고 공환에는, 루퍼에 보조 브레이드가 설치되고, 침판의 바늘구멍에는 침판포올(세장(細長)판)의 선단(先端)이 진퇴 가능하게 돌출됨과 동시에 천 이송방향 뒤쪽에 공환송출용의 후송치가 설치되고, 또한 이 바늘구멍의 좌측에서 후송치의 중앙을 향하여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 봉제기에는 봉제용의 실 조자기군(調子器群)과 공환형성용의 실 조자기군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천을 봉합 완료하였을 때에 침사의 장력을 소(小)로 루퍼사의 장력을 대(大)로 전환시키면, 이완된 한 쪽의 침사가 다른 쪽의 침사쪽으로 근접되어져 1개의 끈 모양으로 되고, 또한 보조 브레이드에 지지되는 상태로 안내 홈을 거쳐 후송치의 중앙을 향하여 유도되어 후송치로 송출된다. 따라서, 안정된 공환을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7) 특허공개공보 평6-182079호에 개시된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는, 봉제직물(生地)의 송급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에 의한 비송급의 검출에 따라 각각 동작하고 루퍼사에 대한 부여장력을 높이는 루퍼사 긴장수단과, 복수의 침사 각각에 대한 부여장력을 일괄하여 감소시키는 침사 이완수단과, 후송치의 이송량을 증량측으로 보정하는 이송보정수단과, 후송치의 노출 구멍을 전후로 분할하는 태양으로 침판에 가로로 걸고 누름쇠와의 사이에 공환을 정상적으로 협지하는 공환받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봉제직물의 비송급시에, 복수의 침사의 모든 장력이 해제되지 않을 정도로 감소시키고, 동시에 루퍼사의 장력을 높여, 이완상태에 있는 복수의 침사가 긴장된 루퍼사에 의하여 긴장된 형태를 이룬 안정된 공환을, 각 침사의 이완이 생기게 하는 일없이 형성할 수 있다.
(8) 특허공개공보 평7-8667호에 개시된 2중환봉합봉제기에는, 바늘받이에 마련되어 바늘에 형성되는 침사 루프를 측면 쪽에서 지지하는 루프지지와, 침판의 바늘구멍에서 송출하는 방향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의 일단측(一端側)이 송출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단(段)모양을 이루는 슬릿에 의하여 둘러싸여, 선단 일측의 일부를 남겨두어 돌출부로 하고, 다른 쪽을 절결한 포올편과, 슬릿과 이송치 구멍과의 사이의 횡잔(橫棧) 상면에 중앙보다 다른 쪽 가까이에 형성되는 안내 홈과, 실 조자기의 장력을 천 봉합용 또는 공환형성용으로 전환하는 장치와, 실 조자기와 하사(下絲)조정기와의 사이에 설치된 실잡이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천을 봉합 종료하였을 때, 장력의 전환장치로 하사의 장력을 대(大)로, 오른쪽 침사의 장력을 소(小)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좌우의 침사가 집속되어 정리된 공환으로 될 수 있고, 이 정리된 공환은 횡잔의 안내 홈을 지나 후송치와 누름쇠에 의해 협지하여 인출할 수 있고 또한, 침사루프를 루프지지에 의해 측면쪽에서 지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포올 조각에 의하여 루퍼에 거는 침사가 루퍼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일이 적어지기 때문에, 공환은 확실하게 형성되어 인출되게 되는 것이다.
(9) 특허공개공보 평7-275546호에 개시된 다본침2중환봉합봉제기는, 침봉에 한 쌍의 실 통과구멍을 설치한 U자형 가이드와, 봉제기의 틀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캠을 가지는 실가리개를 구비하며, 이 실가리개의 캠의 작용면은 침봉의 강하(降下)에 따라서 U자형 가이드가 강하할 때에 실 통과구멍에 꿰어지는 오른쪽 침사를 점차로 크게 굴곡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도(絲道)와 실 조정 캠과의 상대위치는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봉제 시에는 루퍼사용의 제2의 실 조자기의 실에 대한 작용을 해제하고, 공환형성시에는 오른쪽 침사용의 제1의 실 조자기의 실에 대한 작용을 해제하는 장력해제장치를 실 장력 전환장치로서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봉합끝단에 있어서 실 조자기를 전환하여 공환을 형성할 때, 이완되어 느슨해져 보이는 우측 침사는, 실 가리개의 캠 작용에 의하여 느슨해짐에 의한 쳐짐이 흡수되기 때문에, 작은 루프가 생겨서 공환으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정리된 공환을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 공환형성 시에 실 조정 캠에 의한 루퍼사의 실 조절량을 봉제시보다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환을 가늘게 정리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침사 및 루퍼사를 각 실 조자기에 통과시켜 두고, 장력 전환시에는 한 쪽의 실 조자기의 장력을 해제하도록 하면, 전환시의 실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10) 특허공개공보 평9-285666호에 개시된 2중환봉합봉제기의 실 제어장치는, 루퍼와 루퍼사용의 실 조정기와의 사이의 실 경로에 루퍼사에 장력을 부여하는 소조자기가 설치되고, 이 소조자기에는 그 작용을 공환 형성시에만 해제시키는 해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늘받이에는 공환을 루퍼의 후부하방(後部下方)으로부터 지지하는 공환받이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환형성시에 이완된 우측 침사를 확실하게 조발(早拔)시켜서 긴장된 공환을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루퍼사의 장력을 적절한 제어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기의 고속운전시에 있어서도 공환을 안정적으로 인출할 수가 있다. 또 공환받이에 의해 바늘의 하사점(下死點)근방에서 침사나 공환이 쳐져 내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루퍼의 2회 걸림에 의한 공환 절단의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1) 내지 (10)에 개시된 발명에서는, 공환봉목을 안정된 상태에서 연속하여 형성하기에는 센서 등의 검출수단에 의하여 봉제직물의 유무를 검출하여, 이 봉제직물의 송급 또는 비송급의 검출에 따라 실 장력제어수단으로 침사 및 루퍼사에 대한 부여장력을 변화시키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한 안정된 공환을 형성하기 위해서 공환지지, 루프지지, 실 가리개 등 특별한 장치를 설치해야 했고 구조가 복잡하게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특별한 장치를 설치하여도 어느 좁은 범위의 봉제조건에만 충분한 공환을 얻는 것이 가능하며, 폭넓은 봉제 조건에 대응할 수 있다고는 말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커버 스테치 봉합공환을 안정된 상태로 연속하여 봉제할 수 있는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는, 봉제직물의 비송급시에 생기는 복수 개의 바늘 및 루퍼의 동작에 따라 각 바늘의 침사와 루퍼의 루퍼사와의 얽힘에 의해서 침판아래에 형성되는 2중환봉합공환을, 침락위치의 후측의 침판 위로 유도하여, 침락위치 후방의 후송치와 공환누름 사이에 협지하여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로서, 침판은 봉제직물의 비송급시에 상기 침락위치 후방에 있어서, 바늘이 봉제직물의 송급시에 먼저 형성된 2중환봉목으로부터 루퍼에 이어진 루퍼사와 루퍼에 의하여 걸려 멈춰진 침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공간에 진입할 때 이어진 침사와 루퍼사를 일정한 간격으로 계지하고, 바늘이 후퇴할 때 루퍼가 침사에 의해 형성된 루프로 진입하여 2중환봉합공환이 송급되어 서로 얽혀진 침사를 루퍼로부터 해방하고 서로 얽혀진 침사와 루퍼사에 계지상태를 유지시키는 정사기(整絲器)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의하면, 바늘의 상하직선 왕복운동에 의한 공환 인입(引入)을 방지할 수가 있고, 또한 루퍼의 왕복 원호운동에 저항하여 각각의 실을 소정 위치로 정치(整致)할 수 있으므로, 루퍼의 왕복 원호운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공환봉목을 눈의 건너뜀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된 상태에서 연속으로 형성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있어서 정사기는, 침락위치에 각각 정치되고 침판의 오목부 사이에 설치된 경사부를 가지는 계지포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계지포올은 후퇴(상승)하는 바늘의 침사 루프를 루퍼가 잡아채서 전진할 때 이 루퍼가 걸어서 멈추게 한 각각의 침사와, 상기 침사에 이어져 있는 공환을 루퍼의 진입방향으로 끌어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각각의 침사와 루퍼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륜(絲輪)을 각각의 침락위치에 정치할 수 있다. 또 계지포올의 경사부는, 바늘이 침판에서 후퇴하여 이송치가 공환을 인출하기 시작할 때, 루퍼가 걸어 멈추게 한 침사를 끌어당기면서 천 이송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 계지포올에 걸어 멈춰진 공환을 개방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공환 인입을 방지할 수가 있고, 또한 공환봉목을 눈의 건너뜀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된 상태로 연속으로 형성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있어서 정사기의 설치 방향은 삼각형에 대응하여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바늘을 확실하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삼각형의 사륜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바늘은 정확하게 루퍼사를 잡아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있어서 침판은, 봉제된 2중환봉합공환이 루퍼의 진입방향쪽에서 송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뜨개질된 공환을 루퍼의 최후퇴점쪽으로부터 인출할 수가 있으므로, 루퍼의 진입에 의하여 상기 루퍼의 최전진점쪽으로 치우쳐진 공환을 끌어 되돌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있어서 공환누름은, 2중환봉합공환을 침판과의 사이에서 2중환봉목형성시에 유지할 공환누름치(齒)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송치에 의하여 인출된 공환을 침판상면에 협지함과 동시에 바늘이나 루퍼의 작동에 의하여 공환이 끌어 되돌려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는 도1,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직선왕복운동하는 바늘 멈춤(2)에 고정된 3개의 바늘(3A, 3B, 3C)과, 3개의 바늘(3A, 3B, 3C)의 운동 궤적과 교차하도록 원호왕복운동하는 하나의 루퍼(4)와, 루퍼(4)가 하방으로 배설된 3개의 바늘(3A, 3B, 3C)용의 침락구멍 및 이송치(5)용의 이송창이 설치된 침판(6)과, 침판(6)과 함께 봉제직물을 협지하는 누름쇠(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바늘 멈춤(2) 및 루퍼(4)는 주축(도시 생략)의 회전에 의하여 각각 왕복운동을 행한다.
3개의 바늘(3A, 3B, 3C)은 상하방향으로 약간 빗나가게 하여 바늘 멈춤(2)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바늘(3A, 3B, 3C)을 루퍼(4)에 대하여 최적의 높이로 각각 교차시킬 수 있다.
루퍼(4)의 구동기구(도시 생략)는 해당 루퍼(4)를 침판(6)의 아래쪽에서 3개의 바늘(3A, 3B, 3C)의 상하직선왕복운동에 동기(同期)하여 원호왕복운동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타원운동하도록 구동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침판(6)에는 3개의 바늘(3A, 3B, 3C)용의 침락 구멍 부로서 침판포올판(8)이 고정되고, 이 침판포올판(8)의 고정위치의 바닥 부에는 정사기(1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침판(6)의 이송치(5)용의 이송창은 특히 침판포올판(8)의 앞뒤로 배분되어지는 전송치(5A) 및 후송치(5B)를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전송창(6A) 및 복수의 후송창(6B)을 가지고 있다. 전송치(5A) 및 후송치(5B)는 주축의 회전에 따라 3개의 바늘(3A, 3B, 3C)의 상하직선왕복운동에 동기하는 수직면내에서의 타원운동을 행하여, 각각 전송창(6A) 및 후송창(6B)으로부터 노출되어 봉제직물을 천 이송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송한다.
따라서, 전송치(5A) 및 후송치(5B)와 누름쇠(7)에 의하여 봉제직물을 천 이송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송하면서, 루퍼(4)와 3개의 바늘(3A, 3B, 3C)에 의해 침판(6)상의 봉제직물에 루퍼사(40)와 3개의 침사(30A, 30B, 30C)(도5 참조)를 얽히게 하여 편평봉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침판(6)상에 봉제직물이 비송급의 경우에는 침판(6)의 아래쪽에서 루퍼사(40)와 3개의 침사(30A, 30B, 30C)를 얽히게 해서 2중환봉합공환을 짤 수 있게 된다.
침판(6)에 고정되는 침판포올판(8)은 3개의 바늘(3A, 3B, 3C)을 위한 침락구멍(8A, 8B, 8C)과, 침판(6)의 하방에서 3개의 바늘(3A, 3B, 3C) 및 하나의 루퍼(4)에 의해 짜여진 공환이 침판(6)상으로 인출되도록 침락구멍(8A, 8B, 8C) 각각에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문형(門型) 슬릿(8D)이 뚫려 설치된 침판포올부(8')를 가지며, 또한 가장자리 걸기를 위한 가장자리 걸기 포올(8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침판포올부(8')의 문형 슬릿(8D)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합된 2중환봉합공환이 루퍼(4)의 진입방향쪽에서 송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문형 슬릿(8D)의 공환인출부(8D')가 루퍼(4)의 진입방향쪽만큼 천 이송방향을 향하여 확대되어지도록 경사져 개구(開口)되어 있다.
이 침판포올부(8')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침판(6)의 부위에는 3개의 침사(30A, 30B, 30C) 및 루퍼사(40)를 침락위치에 각각 정치하는 침락구멍으로서의 3개의 이어진 원호형상의 오목부(6C, 6D, 6E)가 뚫어져 설치되어 있다. 또 침판(6)에는 침판포올판(8)을 고정시키면 침판포올부(8')의 문형 슬릿(8D)의 위치에 공간이 생기도록 홈(6F)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침판포올부(8')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 정사기(10)는, 봉제직물의 비송급시에 침락위치 후방(후송치5B쪽)에 있어서, 3개의 바늘(3A, 3B, 3C)이 각각 봉제직물의 송급시에 먼저 형성된 2중환봉목으로부터 루퍼(4)에 이어진 루퍼사(40)와 루퍼(4)에 의하여 걸어 멈춰진 3개의 침사(30A, 30B, 30C)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3각형(단, 이 삼각형을 형성하는 루퍼사(40)는 루퍼(4)에 끼워져 있는 실도 포함됨. 이하 동일하다)의 사이에 진입할 때, 이어져 있는 3개의 침사(30A, 30B, 30C)와 루퍼사(40)를 소정 간격으로 걸어 멈추고(도13, 도15, 도16참조), 3개의 바늘(3A, 3B, 3C)이 후퇴할 때 루퍼(4)가 3개의 침사(30A, 30B, 30C) 각각으로 형성되는 루프에 진입하여, 2중환봉합공환이 송급되어 서로 얽힌 3개의 침사(30A, 30B, 30C)와 루퍼사(40)에 걸어 멈춤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도7, 도8, 도10 참조) 형성되어 있다.
이 정사기(10)에는 예를 들어 도4,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락 위치에 각각 정치되어 침판(6)의 오목부(6C, 6D, 6E)사이에 설치되는 두 개의 계지포올(10A, 1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계지포올(10A, 10B)에는 각각 침락위치로부터 천 이송방향을 향하여 위쪽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부(10A', 10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경사부(10A', 10B')에는 각각 2중환봉합공환을 걸기 위한 공환훅(10A", 10B")이 침판(6)의 홈(6F)의 단상(段上)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정사기(10)의 설치방향은 상술한 루퍼사(40)와 3개의 침사(30A, 30B, 30C)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에 대응하여 경사져 있다. 즉, 2중환봉목으로부터 루퍼로 이어진 루퍼사(40)를 따라 두 개의 계지포올(10A, 10B)과 함께 침판(6)의 오목부(6C, 6D, 6E)가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누름쇠(7)는 도1,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환누름(9)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이 공환 누름(9)은 2중환봉합공환을 침판(6)과의 사이에서 2중환봉목형성시에 유지하는 공환누름치(9a)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1)에 의한 공환봉합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5,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중환봉합공환이 어느 정도 봉제되어, 3개의 바늘(3A, 3B, 3C)이 하사점, 루퍼(4)가 최후퇴점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동작 설명을 개시한다.
상술한 상태로부터 3개의 바늘(3A, 3B, 3C)이 후퇴(상승)하기 시작하면, 각 바늘(3A, 3B, 3C)에 끼워진 침사(30A, 30B, 30C)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바늘(3A, 3B, 3C)에 얽힌 루퍼사(40)에 눌려져 있기 때문에, 각 바늘(3A, 3B, 3C)과 함께 상승하지 않고, 침락위치 후방에 각각 루프를 발생한다. 그리고 각 바늘(3A, 3B, 3C)의 상승과 함께 루퍼(4)가 침락위치 후방에서 각 바늘(3A, 3B, 3C)에 교차되면서 전진하기 때문에, 도8,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루퍼(4)의 검선(劍先)(4a)은 상기한 각 침사 루프를 앞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낚아 채어져 각 침사(30A, 30B, 30C)를 루퍼(4)에 걸어 멈추게 한다. 이 때, 2중환봉합공환으로부터 이어진 상태로 루퍼(4)에 걸어 멈춰진 각 침사(30A, 30B, 30C)는 루퍼(4)에 의하여 루퍼(4)의 진행방향으로 끌어당겨지게 되는데, 각각의 바늘(3A, 3B, 3C)에 대응한 침판(6)의 각 오목부(6C, 6D, 6E)사이에 설치된 계지포올(10A, 10B)로 계지할 수 있으므로, 각 침사(30A, 30B, 30C)는 얽히는 일없이 각 오목부(6C, 6D, 6E)에 정치된다.
계속해서 각 바늘(3A, 3B, 3C)이 상승을 계속하면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바늘(3A, 3B, 3C)에 얽혀있던 루퍼사(40)는 각 바늘(3A, 3B, 3C)로부터 빠져 나와서 전진하는 루퍼(4)에 의해서 죄어지게 된다. 또한 각 침사(30A, 30B, 30C)도 침사천칭(天秤)(도시 생략)에 의하여 루퍼(4)에 걸려 멈추어진 상태로 조여진다.
또한 각 바늘(3A, 3B, 3C)이 침판(6)의 위치로부터 후퇴하면, 후송치(5B)가 침판(6)의 이송치창(6B)에서 돌출하여 누름쇠(7)의 공환누름(9)과 협동하여 공환을 협지하면서 인출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도11,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퍼(4)가 천 이송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루퍼(4)에 걸려 멈춰진 각 침사(30A, 30B, 30C)를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긴장시킴과 동시에, 정사기(10)의 각 계지포올(10A, 10B)에 계지되어 있는 공환을 들어올리기 때문에, 공환은 경사부(10A', 10B')를 타고 넘어 계지포올(10A, 10B)로부터 개방되고, 후송치(5B)에 의하여 계지포올(10A, 10B)의 경사부(10A', 10B')를 따라 침판(6)의 하부로부터 끌어 올려진다.
또 끌어 올려진 공환은 침판포올판(8)의 문형 슬릿(8D)의 공환인출부(8D')가 루퍼(4)의 진입방향측만큼 천 이송방향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경사져 개구되어 있으므로, 공환을 루퍼(4)의 최후퇴점측에서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루퍼(4)의 진입에 의하여 이 루퍼(4)의 최전진점측으로 근접한 공환을 되돌릴 수 있다.
그 후, 루퍼(4)는 더욱 전진함과 동시에 천 이송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최전진점까지 이동하면, 이번에는 후퇴를 시작한다. 또 이 시점에서 각 바늘(3A, 3B, 3C)은 전진(하강)하기 시작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 공환이송은 정지된다.
루퍼(4)가 후퇴하기 시작하면, 루퍼(4)에 의해 되돌려져 걸어 멈춰진 각 침사(30A, 30B, 30C)는 정사기(10)의 계지포올(10A, 10B)에 계지되고 각 침락 위치에 정치된다.
또한 각 바늘(3A, 3B, 3C)은 전진하면 도13, 도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루퍼(4)가 침락위치 전방(전송치5A측)에 위치하는 것이 되므로, 루퍼사(40)와 루퍼(4)에 의해 걸려 멈춰진 각 침사(30A, 30B, 30C)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삼각형의 사륜을 통과하여 루퍼사(40)를 잡아채게 된다. 이때, 정사기(10)의 설치방향이 삼각형에 대응하여 경사져 있음으로 인하여, 침판(6)의 각 오목부(6C, 6D, 6E)에 각 침사(30A, 30B, 30C)를 정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 바늘(3A, 3B, 3C)을 확실하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삼각형의 사륜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바늘(3A, 3B, 3C)은 정확하게 루퍼사(40)를 잡아챌 수 있다.
또한,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바늘(3A, 3B, 3C)이 루퍼사(40)를 잡아채며 전진할 때, 각 침사(30A, 30B, 30C)에 이어져 있는 각 공환을 침판(6)의 아래쪽으로 끌어들이려해도 정사기(10)의 각 계지포올(10A, 10B)의 경사부(10A', 10B')에 설치된 공환훅(10A", 10B")에 걸리게 되므로, 공환이 침판(6)의 아래쪽으로 끌어당기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바늘(3A, 3B, 3C)이 루퍼사(40)를 낚아채 올림과 동시에, 루퍼(4)에 걸려 멈춰진 각 침사(30A, 30B, 30C)가 루퍼(4)의 후퇴에 의하여 해당 루퍼(4)로부터 빠지게 되면, 침사천칭(도시 생략)은 이 각 침사(30A, 30B, 30C)를 끌어올린다. 그리고, 각 침사(30A, 30B, 30C)가 빠져나간 루퍼(4)가 천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최후퇴점에 도달하면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사천칭의 끌어올리는 동작에 의하여 긴장된 각 침사(30A, 30B, 30C)는 공환에 이어진 상태로 침판(6)의 오목부(6C, 6D, 6E)에 정치된다.
이후, 상술한 공환봉합동작을 반복하면, 공환봉목을 안정된 상태로 연속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공환형성장치가 적용된 편평봉합봉제기의 봉제 동작은 봉제직물의 송급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또 이 봉제동작의 설명에서 사용할 도17 내지 도23에 있어서는, 편의상 봉제직물의 기재를 생략한다. 또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급되고 있는 봉제직물은 어느 정도 봉제되어, 3개의 바늘(3A, 3B, 3C)이 하사점에, 루퍼(4)가 최후퇴점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동작 설명을 개시한다.
상술한 상태에서 3개의 바늘(3A, 3B, 3C)이 후퇴하기 시작하면, 각 바늘(3A, 3B, 3C)에 끼워진 침사(30A, 30B, 30C)는 도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침판 상면에서 각 바늘(3A, 3B, 3C)과 함께 관통한 천에 눌려져서, 3개의 바늘(3A, 3B, 3C)과 함께 상승하지 않고 남아, 침락위치 후방에 각각 침사루프를 발생한다. 그리고 3개의 바늘(3A, 3B, 3C)의 상승과 함께, 루퍼(4)가 침락위치 후방에서 3개의 바늘(3A, 3B, 3C)에 교차하면서 전진하게 되므로, 도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루퍼(4)의 검선(4a)은 상기한 각 침사루프를 앞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낚아채어, 각 침사(30A, 30B, 30C)를 루퍼(4)에 걸려 멈춰지게 한다. 이때, 편평봉제된 천에서부터 이어진 상태로 루퍼(4)에 걸려 멈춰져 있는 각 침사(30A, 30B, 30C)는 천에 봉제되어 있으므로, 루퍼(4)에 의하여 해당 루퍼(4)의 전진방향으로 끌어당겨지는 일은 없다.
계속해서 각 바늘(3A, 3B, 3C)이 후퇴를 하게 되면, 도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바늘(3A, 3B, 3C)에 얽혀있던 루퍼사(40)는 각 바늘(3A, 3B, 3C)에서 빠져나와, 전진하는 루퍼(4)에 의하여 죄어지고, 또한 각 침사(30A, 30B, 30C)도 침사천칭(도시 생략)에 의하여 루퍼(4)에 걸려 멈춰진 상태로 조여지게 되므로, 봉목을 조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각 바늘(3A, 3B, 3C)이 침판(6)의 위치로부터 후퇴하면, 전송치(5A) 및 후송치(5B)가 침판(6)의 이송치창(6A, 6B)에서 돌출하여 누름쇠(7)와 협동하여 천을 협지하면서 이송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도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퍼(4)가 천 이송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게 된다.
그 후, 루퍼(4)는 더욱 전진함과 동시에 천 이송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최전진점까지 이동하면, 이번에는 후퇴를 시작한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 각 바늘(3A, 3B, 3C)은 전진하기 시작한다. 또한 바늘(3C)의 바늘 끝이 천에 도달하기 전에, 천의 이송이 정지된다.
루퍼(4)가 후퇴함과 동시에, 각 바늘(3A, 3B, 3C)이 전진하여 천을 관통하면 도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퍼(4)가 침락위치 전방(전송치5A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각 바늘(3A, 3B, 3C)은 루퍼사(40)와 루퍼(4)에 의하여 걸려 멈춰진 각 침사(30A, 30B, 30C)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삼각형의 사륜을 통과하여, 루퍼사(40)를 건져 올리게 된다.
그리하여, 도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바늘(3A, 3B, 3C)이 루퍼사(40)를 낚아채 올림과 동시에, 루퍼(4)에 걸려 멈춰진 각 침사(30A, 30B, 30C)가 루퍼(4)의 후퇴에 의하여 해당 루퍼(4)로부터 빠져나간다. 또 루퍼(4)가 천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최후퇴점에 도달하면,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사천칭에 의해 각 침사(30A, 30B, 30C)가 끌어올려지고, 침판(6)의 바닥부에 설치된 정사기(10)에 아무런 관계없이 하나의 편평봉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상술한 편평봉합동작을 반복하면, 봉목을 안정된 상태에서 연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9, 도12, 도14에서는 바늘(3A)만을 표시하여 단면도로 하였는데, 이것은 다른 바늘(3B, 3C)도 동일한 공환봉합동작을 하는 것이므로 생략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3개의 바늘(3A, 3B, 3C)을 각각 우침(3A), 중침(3B), 좌침(3C)으로 하면, 루퍼(4)는 우침(3A)쪽에서 좌침(3C)쪽으로 전진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좌침(3C)쪽에서 우침(3A)쪽으로 전진시켜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정사기(10)의 설치방향은 루퍼사(40)와 3개의 침사(30A, 30B, 30C)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에 따라 바꾸면 된다.
또 본 실시태양에서는 침판(6)에 설치된 오목부(6C, 6D, 6E)가 각각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실을 정치할 수 있으면 어떤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의하면, 침판의 침락위치 후방의 바닥부에 정사기를 설치하였으므로, 바늘의 상하직선왕복운동에 의한 공환 끌어들임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루퍼의 원호왕복운동에 영향받지 않고 공환봉목을 안정된 상태에서 연속으로 봉합할 수 있다. 따라서, 공환지지, 루프지지, 실 가리개 등의 특별한 장치를 설치하는 일없이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바늘땀의 건너뜀이나 침판하방으로의 공환의 끌어들임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등의 검출수단에 의하여 천 후단을 검출하고, 더욱이 그 검출에 따라 실의 장력을 바꾸지 않고도 공환봉목을 안정한 상태로 연속하여 봉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 사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를 구성하는 정사기(整絲器)를 나타내는 상세도로서, (a)는 상면도, (b)는 (a)의 A-A단면도.
도 4는 정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정사기와 바늘과 침사 및 루퍼사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의한 공환봉합동작을 나타낸 제 1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의한 공환봉합동작을 나타낸 제 2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의한 공환봉합동작을 나타낸 제 3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의한 공환봉합동작을 나타낸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의한 공환봉합동작을 나타낸 제 4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의한 공환봉합동작을 나타낸 도 10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의한 공환봉합동작을 나타낸 제 5의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의한 공환봉합동작을 나타낸 제 6의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의한 공환봉합동작을 나타낸 도 13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의한 공환봉합동작을 나타낸 제 7의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의한 공환봉합동작을 나타낸 제 8의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에 의한 봉제동작을 나타낸 제 1의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에 의한 봉제동작을 나타낸 제 2의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에 의한 봉제동작을 나타낸 제 3의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에 의한 봉제동작을 나타낸 제 4의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에 의한 봉제동작을 나타낸 제 5의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에 의한 봉제동작을 나타낸 제 6의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의 편평봉합봉제기에 의한 봉제동작을 나타낸 제 7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
3A, 3B, 3C.... 바늘
5B....후송치
6.... 침판
6C, 6D, 6E.... 침판의 오목부
9.... 공환누름
10.... 정사기
10A, 10B.... 계지포올
10A', 10B'.... 경사부
30A, 30B, 30C.... 침사
40.... 루퍼사

Claims (5)

  1. 봉제직물(生地)의 비송급시에 생기는 복수 개의 바늘 및 루퍼의 동작에 따라 각 바늘의 침사와 루퍼의 루퍼사(絲)와의 얽힘에 의하여 침판 아래에 형성되는 2중환봉합공환을, 침락위치의 후측의 침판 상으로 유도하여, 침락위치 후방의 후송치(齒)와 공환누름 사이에 협지(挾持)하여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판은, 봉제직물의 비송급시에 상기 침락위치의 후방에 있어서, 상기 바늘이 봉제직물의 송급시에 앞서 형성된 상기 2중환봉목에서 상기 루퍼에 이어진 상기 루퍼사와 상기 루퍼에 의하여 걸려 멈춰진 상기 침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공간 사이를 진입할 때 이어진 상기 침사와 상기 루퍼사를 일정한 간격으로 계지시키고(係止), 상기 바늘이 후퇴할 때 상기 루퍼가 상기 침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루프에 진입하여 상기 2중환봉합공환이 송급되어 얽힌 상기 침사를 상기 루퍼로부터 해방시켜 서로 얽힌 상기 침사와 상기 루퍼사에 상기 계지상태를 유지시키는 정사기(整絲器)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정사기는상기침락위치에각각정치(整致)되고 상기 침판의 오목부 사이에 설치된 경사부를 가지는 계지포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정사기의 설치 방향은 상기 삼각형에 대응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침판은봉제된상기 2중환봉합공환이 상기 루퍼의 진입방향측으로부터 송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형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공환 누름은 상기 2중환봉합공환을 상기 침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2중환봉목 형성시에 유지하는 공환 누름치(齒)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봉합봉
KR10-1999-0040848A 1998-09-22 1999-09-21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空環)형성장치 KR100523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268329 1998-09-22
JP26832998A JP3364164B2 (ja) 1998-09-22 1998-09-22 偏平縫いミシンの空環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363A KR20000023363A (ko) 2000-04-25
KR100523513B1 true KR100523513B1 (ko) 2005-10-24

Family

ID=1745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848A KR100523513B1 (ko) 1998-09-22 1999-09-21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空環)형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98555A (ko)
JP (1) JP3364164B2 (ko)
KR (1) KR100523513B1 (ko)
CN (1) CN1146682C (ko)
IT (1) IT1308226B1 (ko)
TW (1) TW4406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6269A (ja) * 2001-05-23 2002-12-03 Juki Corp 環縫いミシンの空環形成装置
JP4995447B2 (ja) 2005-08-16 2012-08-08 株式会社鈴木製作所 偏平縫いミシン
US7441508B2 (en) * 2006-02-28 2008-10-28 Union Special Corporation Mattress edge sewing machine
JP2008220597A (ja) * 2007-03-12 2008-09-25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駆動装置
JP5053047B2 (ja) * 2007-11-14 2012-10-17 株式会社ミドリ安全縫技研究所 縫い目及び縫い目形成装置並びに縫い目の形成方法
KR100948645B1 (ko) * 2009-08-12 2010-03-18 권중덕 지퍼레일 3중 재봉장치 및 그에 의한 지퍼
CH702534B1 (de) * 2010-01-15 2013-09-13 Bernina Int Ag Punching-Vorrichtung.
CN102691190B (zh) * 2011-03-24 2014-09-03 常州奥德纺织机械有限公司 导布机
CN104911829B (zh) * 2015-06-15 2018-09-11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压脚结构
CN110923974B (zh) * 2019-11-21 2022-06-21 东莞市浔兴拉链科技有限公司 一种尼龙拉链缝合机的针板装置
JP2022174611A (ja) 2021-05-11 2022-11-24 株式会社ジャノメ 二重環縫いミシンの整糸器および該整糸器を備えるミシ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7275A (ja) * 1991-05-29 1993-09-17 Schips Ag 二重環縫い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この装置のための送りおよび針板
JPH05300991A (ja) * 1992-04-28 1993-11-16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二本針三本糸のミシンによる空環引出方法及び装置並び に空環
JPH06182079A (ja) * 1992-12-17 1994-07-05 Yamato Sewing Mach Seizo Kk 偏平縫いミシンの空環形成装置
JPH078667A (ja) * 1993-06-29 1995-01-13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二重環縫い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8569A (en) * 1974-11-26 1975-09-30 Singer Co Apparatus for blind stitch sewing
IT1077525B (it) * 1977-04-28 1985-05-04 Rockwell Rimoldi Spa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produrre una catenella continua di punti in assenza del lavoro in macchine a due aghi e crochet singolo,senza copertura
JPS5758191A (en) * 1980-09-25 1982-04-07 Suwa Seikosha Kk Active matric type liquid crystal indicator driving system
DE3201254C2 (de) * 1982-01-16 1983-12-29 Union Special Gmbh, 7000 Stuttgart Nähmaschine
JPS6125754A (ja) * 1984-07-09 1986-02-04 Osaka Kiko Co Ltd 工具折損検出装置
US4791874A (en) * 1985-01-31 1988-12-20 Tokyo Juki Industrial Co., Ltd. Chain stitch machine
US4934293A (en) * 1987-12-28 1990-06-19 Pegasus Sewing Machine Mfg., Co., Ltd. Chaining thread sew-in device
DE3918572A1 (de) * 1989-06-07 1990-12-13 Union Special Gmbh Vorrichtung zum bilden einer fadenkette an einer mehrnadel-kettenstichnaehmaschine
JP2759824B2 (ja) * 1989-09-08 1998-05-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データ記憶装置のアドレス誤り検出方法
JP3754710B2 (ja) * 1994-04-13 2006-03-15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多本針二重環縫いミシン
US5503094A (en) * 1995-02-27 1996-04-02 Tseng; Hsien-Chang Needle plate with movable tongues for sewing machine
JPH09285666A (ja) * 1996-04-19 1997-11-04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二重環縫いミシンの糸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7275A (ja) * 1991-05-29 1993-09-17 Schips Ag 二重環縫い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この装置のための送りおよび針板
JPH05300991A (ja) * 1992-04-28 1993-11-16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二本針三本糸のミシンによる空環引出方法及び装置並び に空環
JPH06182079A (ja) * 1992-12-17 1994-07-05 Yamato Sewing Mach Seizo Kk 偏平縫いミシンの空環形成装置
JPH078667A (ja) * 1993-06-29 1995-01-13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二重環縫い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93671A (ja) 2000-04-04
ITRM990579A1 (it) 2001-03-21
US6098555A (en) 2000-08-08
CN1146682C (zh) 2004-04-21
ITRM990579A0 (it) 1999-09-21
KR20000023363A (ko) 2000-04-25
TW440624B (en) 2001-06-16
IT1308226B1 (it) 2001-12-10
CN1248649A (zh) 2000-03-29
JP3364164B2 (ja)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3513B1 (ko) 편평봉합봉제기의 공환(空環)형성장치
KR100878862B1 (ko) 다수의 바늘을 가진 이중환 재봉 미싱의 침사 제어장치
US5398627A (en) Thread chai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out the thread chain on multiple needle sewing machines
JP4995447B2 (ja) 偏平縫いミシン
US5769018A (en) Looper thread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 double chainstitch sewing machine
JP3754710B2 (ja) 多本針二重環縫いミシン
US5495816A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with thread tension control
US5816175A (en) Thread control apparatus for a 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US4301751A (en) Tufting machine for producing a variety of pile fabrics
JP4296560B2 (ja) 二重環縫いミシンの針糸案内装置
US4296701A (en) Threading arrangement for chainstitch sewing on a sewing machine
JP4722503B2 (ja) ミシン
JP3391846B2 (ja) 二重環縫いミシン
US4934291A (en) Needle thread supply device in two needle sewing machine with one needle pause function
US6390004B2 (en) Double-chain stitching method and apparatus
JPH06182079A (ja) 偏平縫いミシンの空環形成装置
JPH0331271Y2 (ko)
JP3821136B2 (ja) 針糸繰り装置付ミシン
JPH11279928A (ja) タフテッド機
JP2006192189A (ja) ミシン及び縫い目の形成方法
JPH0815514B2 (ja) 下糸用ルーパの下糸張力調整方法及び装置
SU383254A1 (ko)
JPH0521600B2 (ko)
JP3714975B2 (ja) すくい縫いミシンにおける糸倒れ防止装置
JPH0748231Y2 (ja) ミシンの糸案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