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532B1 - 기능성 막 - Google Patents

기능성 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532B1
KR100464532B1 KR10-2001-7010226A KR20017010226A KR100464532B1 KR 100464532 B1 KR100464532 B1 KR 100464532B1 KR 20017010226 A KR20017010226 A KR 20017010226A KR 100464532 B1 KR100464532 B1 KR 100464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unctional
transparent conductive
fine particles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863A (ko
Inventor
다마이기미노리
이이지마다다요시
가와하라히로시
다카스기야스후미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8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4/00Coating starting from inorganic powd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10T428/257Iron oxide or aluminum 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미립자를 사용하여 각종 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기능성 막, 특히 도전성 미립자를 사용한 저항치가 낮은 투명도전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의 기능성 막은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면에 기능층을 갖춘 기능성 막으로서, 기능층을 기능성 미립자를 함유하며, 또한 표면측의 기능성 미립자 배열로부터 얻어지는 분산치 σ2와 그의 반대측의 기능성 미립자 배열로부터 얻어지는 분산치 σ1의 비 (σ1/σ2)가 1.2이상 1.85이하인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기능층에서 기능성 미립자의 접촉이 충분하게 이루어지고, 기능층의 강도, 기능층과 지지체와의 밀착성이 큰 것으로 되고, 예컨대 기능성 미립자가 도전성 미립자인 기능성 막은 전기저항이 낮은 것으로 된다.

Description

기능성 막{FUNCTIONAL FILM}
종래부터, 각종 기능성 재료로 이루어진 기능성 막이 진공증착, 레이저애브레이션, 스퍼터링, 이온플레이팅 등의 물리적 기체상성장법(PVD)이나, 열 CVD, 광 CVD, 플라즈마 CVD 등의 화학적 기체상성장법(CVD)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다.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장치가 필요하며, 그 중에는 대면적의 막의 형성에는 맞지 않는 것도 있다.
또, 졸-겔법을 사용한 도포에 의한 막의 형성도 알려져 있다. 졸-겔법으로는 대면적의 막의 형성에도 적합하나, 많은 경우 도포후에 고온에서 무기재료를 소결시킬 필요가 있다.
예컨대, 투명도전막에 대하여 보면 이하와 같다. 현재, 투명도전막은 주로 스퍼터링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다. 스퍼터링법은 여러가지 방식이 있으나, 예컨대 진공중에서 직류 또는 고주파 방전으로 발생한 불활성가스 이온을 타겟 표면에 가속 충돌시켜, 타겟을 구성하는 원자를 표면으로부터 때리기 시작하여, 지지체 표면에 침착시켜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스퍼터링법은 어느 정도 큰 면적의 것이라도 표면 전기저항이 낮은 투명도전막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그러나, 장치가 대규모이며 성막속도가 느리다는 결점이 있다. 금후, 더욱 투명도전막의 대면적화가 진행되면, 더욱 장치가 크게 된다. 이 사실은 기술적으로는 제어의 정확도를 높이지 않으면 안된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다른 관점에서는 제조비용이 크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성막속도의 느림을 보충하기 위해 타겟수를 증가시켜 속도를 올리고 있으나, 이것도 장치를 크게 하는 요인으로 되어 있으며 문제이다.
도포법에 의한 투명도전막의 제조도 시도되고 있다. 종래의 도포에서는 도전성 미립자가 바인더 용액중에 분산된 도전성 도료를 수지 필름상에 도포하여, 건조하고 경화시켜, 투명도전막을 형성한다. 도포법으로는 대면적의 투명도전막을 용이하게 형성하기 쉽고, 장치가 간편하고 생산성이 높고, 스퍼터링법 보다도 저비용으로 투명도전막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포법으로 형성된 투명도전막에서는 도전성 미립자끼리 접촉함으로써 전기경로를 형성하여 도전성이 발현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포법으로 제작된 투명도전막은 바인더의 존재에 의해 도전성 미립자의 접촉이 불충분하여, 얻어지는 투명도전막의 전기저항치가 높다(도전성이 뒤떨어진다)는 결점이 있어 그 용도가 한정된다.
종래의 도포법에 의한 투명도전막의 제조로서,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9-109259호 공보에는 도전성 분말과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도료를 전사용 플라스틱 필름상에 도포, 건조하여 도전층을 형성하는 제1공정, 도전층 표면을 평활면으로 가압(5∼100kg/cm2), 가열(70∼180℃) 처리하는 제2공정, 이 도전층을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상에 적층하여 열압착시키는 제3공정으로 이루어진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바인더 수지를 대량으로 사용하고 있기(무기질 도전성 분말의 경우에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도전성 분말 100 내지 500중량부, 유기질 도전성 분말의 경우에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도전성 분말 0.1 내지 30중량부) 때문에, 전기저항치가 낮은 도전막을 얻지 못한다.
또,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8-199096호 공보에는 주석도핑산화인듐(ITO) 분말, 용매, 커플링제, 금속의 유기산염 또는 무기산염으로 이루어진, 바인더를 포함하지 않는 도전막 형성용 도료를 유리판에 도포하여, 300℃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바인더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도전막의 전기저항치가 낮게 된다. 그러나, 300℃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공정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지필름과 같은 지지체상에 도전막을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수지필름은 고온에 의하여 용융하거나, 탄화하거나, 연소하여 버린다. 수지필름의 종류에 의하나,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서는 130℃의 온도가 한계일 것이다.
도포법 이외로 형성된 도전막으로서는 일본국 특개평 6-13785호 공보에 도전성 물질(금속 또는 합금) 분체로 구성된 골격구조의 공극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공극의 전부에 수지가 충전된 분체압축층과 그의 아래측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피막이 개시되어 있다. 그 제법에 대하여, 판재에 피막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동호 공보에 의하여, 우선 수지, 분체물질(금속 또는 합금) 및 피처리부재인 어느 판자를 피막형성매체(직경 수 mm의 스틸볼)와 동시에 용기내에서 진동 또는 교반하면 피처리부재 표면에 수지층이 형성된다. 계속하여, 분체물질이 이 수지층의 점착력에 의해 수지층에 포착·고정된다. 더욱이, 진동 또는 교반을 받고 있는 피막형성매체가 진동 또는 교반을 받고 있는 분체물질에 타격력을 주어 분체압축층이 형성된다. 그러나, 분체압축층의 고정효과를 얻기 위해, 상당한 양의 수지가 필요로 된다. 또, 제법이 도포법에 비해 번잡하다
도포법 이외로 형성된 다른 도전막으로서는 일본국 특개평 9-107195호 공보에, 도전성 단섬유를 PVC 등의 필름상에 뿌려서 퇴적시켜, 이것을 가압처리하여 얻은 도전성 섬유-수지 일체화층이 개시되어 있다. 도전성 단섬유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단섬유에 니켈도금 등을 피착처리한 것이다. 그러나, 가압조작은 수지매트릭스층이 열가소성을 나타내는 온도조건하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75 ℃, 20kg/cm2라고 하는 고온·저압조건이 요구되기 때문에, 수지필름과 같은 지지체상에 도전막을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대면적의 기능성 막을 용이하게 형성하기 쉽고, 장치가 간편하며 생산성이 높고, 저비용으로, 또한, 고품질의 기능성 막의 개발이 요망된다.
특히, 도전막에 대하여는, 대면적의 도전막을 용이하게 형성하기 쉽고, 장치가 간편하며 생산성이 높고, 저비용으로, 또한, 고품질의 도전막의 개발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기능성 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막은 이하와 같이 정의된다. 즉, 기능성 막이란 기능을 가지는 막으로서, 기능이란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현상을 통하여 달성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기능성 막에는 도전막, 자성막, 강자성막, 유전체막, 강유전체막, 일렉트로크로믹막, 일렉트로루미네센스막, 절연막, 광흡수막, 광선택흡수막, 반사막, 반사방지막, 촉매막, 광촉매막 등의 각종 기능을 가지는 막이 포함된다.
특히, 본 발명은 투명도전막에 관한 것이다. 투명도전막은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전극, 일렉트로크로믹 소자전극, 액정전극, 투명면 발열체, 터치패널과 같은 투명전극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외에, 투명한 전자파 차폐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막의 1실시형태인 투명도전막의 사진배율 10만배의 단면사진의 1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투명도전층의 표면층과 그 반대측의 도전성 미립자 배열상태를 도시한 선으로부터 분산치 σ1, σ2를 얻는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한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막은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면에 기능층을 갖춘 기능성 막으로서, 기능층을 기능성 미립자를 함유하며, 또한 기능층의 표면측의 기능성 미립자 배열로부터 얻어지는 분산치 σ2와 그 반대면측(지지체측)의 기능성 미립자 배열로부터 얻어지는 분산치 σ1의 비 (σ1/σ2)가 1.2이상 1.85이하인 것으로 하였다.
이하에, 본 발명의 기능성 막의 1실시형태인 투명도전막을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투명이란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광의 산란 정도에 대하여는 투명도전막의 용도에 의해 요구되는 레벨이 다르다.
본 발명의 기능성 막인 투명도전막은 투명지지체상에 기능층으로서의 투명도전층을 갖추고 있다.
투명도전막을 구성하는 투명도전층은 기능성 미립자로서 도전성 미립자를 함유하며, 투명도전층의 표면측의 도전성 미립자 배열로부터 얻어지는 분산치 σ2와 그 반대측의 면의 도전성 미립자 배열로부터 얻어지는 분산치 σ1의 비 (σ1/σ2)가 1.2이상 1.85이하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치 σ1과 분산치 σ2는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즉, 투명도전막의 사진배율 10만배의 단면사진에서 투명도전층의 표면과 반대측의 도전성 미립자 배열과, 표면측의 도전성 미립자 배열을 각각 트레이스하여, 얻어진 2종의 도전성 미립자 배열상태를 도시하는 선에 대하여 기준선과의 거리를 복수 측정하여, 이 측정치의 평균치와 각 측정치와의 차의 제곱의 평균치를 분산치 σ1, σ2로 한다.
이 요건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투명도전막의 사진배율 10만배의 단면사진(도 1)상에 모눈 트레이싱 페이퍼를 어긋나지 않도록 올려 놓고, 투명도전층의 표면과는 반대측(도 2의 1A면)의 도전성 미립자가 배열되어 있는 끝면과, 표면측(도 2의 1B면)의 도전성 미립자가 배열되어 있는 끝면을 각각 트레이스하여, 도전성 미립자 배열상태를 도시한 선 L1, L2를 얻는다. 또한, 도전성 미립자가 명백히 결핍하여 있는 부분은 측정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결핍부분은 결핍부분의 양옆으로부터 외삽하여 선분을 얻는다. 다음에, 상기 2종의 도전성 미립자 배열상태를 도시한 선 L1, L2 각각에, 약 1cm 떨어진 곳에 기준선 B1과 B2를 긋는다. 그리고, 기준선(B1)에서 도전성 미립자 배열상태를 도시한 선 L1까지의 거리를 1 내지 2mm 간격으로 측정(측정길이는 10cm 이상으로 한다)하여, 이 측정치의 평균치와 각 측정치와의 차의 제곱의 평균치를 분산치 σ1로 한다. 마찬가지로, 기준선(B2)에서 도전성 미립자 배열상태를 도시한 선 L2까지의 거리를 1 내지 2mm 간격으로 측정하여, 이 측정치의 평균치와 각 측정치와의 차의 제곱의 평균치를 분산치 σ2로 한다. 그리고, 분산치 σ1와 분산치 σ2의 비 (σ1/σ2)를 계산한다.
분산치 σ1와 분산치 σ2의 비 (σ1/σ2)가 1.2이상 1.85이하가 되도록 한 투명도전층은, 구성하는 도전성 미립자가 투명지지체에 매립되도록 한 상태로 되어서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종래의 투명도전막에서는 투명도전층의 표면과 반대측은 투명지지체의 평활면이 그대로 반영된 평활한 면으로 되어, 비 (σ1/σ2)가 1.2이상으로 되도록 한 것은 존재하지 않았다. 비 (σ1/σ2)가 1.2미만이면 도전성 미립자끼리의 접촉이 불충분하게 되어, 도전성이 우수한 투명도전층을 얻기 힘들다. 또, 투명도전층의 강도가 낮고, 투명지지체와의 밀착성도 불충분한 것으로 된다. 한편, 비 (σ1/σ2)는 높은 쪽이 바람직하나, 투명도전층의 형성에 있어 높은 압축력이 필요하게 되어, 압축장치의 내압을 올리지 않으면 안되므로 일반적으로 1.85까지가 적당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투명도전층을 구성하는 도전성 미립자로서는 투명도전막의 투명성을 손상하는 것이 아니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없고, 공지의 무기질 도전성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질 도전성 미립자로서는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아연, 산화카드뮴 등이 있으며, 안티몬도핑산화주석(ATO), 플루오르도핑산화주석(FTO), 주석도핑산화인듐(ITO), 알루미늄도핑산화아연(AZO) 등의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ITO가 보다 우수한 도전성이 얻어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혹은, ATO, ITO 등의 무기재료를 황산바륨 등의 투명성을 가지는 미립자의 표면에 코팅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도전성 미립자의 평균 1차 입경은 300nm이하, 바람직하게는 100nm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nm 내지 50nm의 범위이다. 도전성 미립자의 평균 1차 입경이 300nm를 초과하면, 투명도전층의 특성 밸런스가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도전성 미립자로 이루어진 투명도전층은 그 두께가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의 범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투명도전층의 전기저항은 투명도전막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도전막을 구성하는 투명도전층의 전기저항치를 증대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미량의 수지를 함유하여도 좋다. 예컨대, 상기 도전성 미립자의 체적을 100으로 한때에, 체적에서 25미만, 바람직하게는 20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7미만으로 투명도전층에 수지를 함유시킬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한 것은 투명도전층에 수지를 함유시키지 않는 것이다. 수지는 투명도전층의 광산란을 적게 하는 작용이 있으나, 한편으로 투명도전막의 전기저항치를 높게 하여 버린다. 그것은 절연성의 수지에 의하여 도전성 미립자끼리의 접촉이 저해되어, 수지량이 많은 경우에는 도전성 미립자끼리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미립자 상호간의 전자이동이 저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헤이즈도의 향상과 도전성 미립자 상호간의 도전성 확보의 쌍방을 고려하여,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는 상기의 체적범위내에서 사용된다. 이 범위내의 수지량이면 수지는 소량이므로, 투명도전층에서 도전성 미립자의 공극에 수지의 거의가 존재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상술의 수지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또는 고무탄성을 갖는 폴리머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지의 예로서는 플루오르계 폴리머, 실리콘수지, 아크릴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재생셀룰로오스디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SBR, 폴리부타디엔, 폴리에틸렌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플루오르계폴리머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플루오르화비닐리덴 (PVDF), 플루오르화비닐리덴-삼플루오르화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주쇄의 수소를 알킬기로 치환한 함플루오르계 폴리머도 사용할 수 있다. 수지의 밀도가 클수록, 큰 중량을 사용하여도 체적이 보다 작고, 상기의 체적조건을 충족하기 쉽다.
또한, 상술의 도전성 미립자의 체적 및 수지의 체적은 겉보기 체적이 아니고 참체적이다. 참체적은 JIS Z 8807에 의거 피크노미터와 같은 기기를 사용하여 밀도를 구하고, 사용하는 재료의 중량을 밀도로 나누어 구한다. 이와 같이, 수지의 사용량을 중량이 아니고 체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투명도전층에서 도전성 미립자에 대하여 수지가 어떻게 하여서 존재하는가를 생각한 경우에 보다 현실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투명도전막을 구성하는 투명지지체로서는 수지필름, 유리 등의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투명지지체에 접하고 있는 도전성 미립자의 일부분이 투명지지체에 매립되는 것 같은 느낌으로 되어, 투명도전층이 투명지지체에 잘 밀착된다. 이와 같은 투명지지체로서, 유리 등의 경도가 큰 재료, 혹은 수지필름이라도 필름 표면이 단단한 것 등 도전성 미립자의 경도보다도 큰 경도를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유리면이나 단단한 필름 표면상에 도전성 미립자의 경도보다도 작은 경도를 갖는 수지층을 미리 형성한 투명지지체를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서, 도전성 미립자가 수지층에 매립되어, 투명도전층과 투명지지체의 밀착성이 충분한 것으로 된다.
또한, 투명도전층을 형성한 후에 경도가 작은 수지층을 열이나 자외선 등으로 경화시켜도 좋다. 이 수지층은 도전성 미립자를 분산한 액에 용해하지 않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해하면 모세관 현상으로 상기 수지를 함유하는 용액이 도전성 미립자의 둘레로 와 버리고, 결과로서, 얻어지는 투명도전층의 전기저항치가 높게 되어 버린다. 또, 투명도전층을 형성한 후에 수지층을 유리면이나 단단한 필름 표면으로부터 박리하여, 투명지지체로서 투명한 수지층을 갖춘 투명도전막으로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지층은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또는 고무탄성을 가지는 폴리머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수지의 예로서는, 플루오르계폴리머, 실리콘수지, 아크릴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재생셀룰로오스디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SBR, 폴리부타디엔, 폴리에틸렌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유리, 세라믹스 등의 가요성을 갖추지 않은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공정중에 갈라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그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투명지지체로서 갈라지는 것이 없는 수지필름이 적합하다. 수지필름은 다음에 말한 바와 같이 도전성 미립자로 이루어진 투명도전층과의 밀착성이 좋은 점에서도 바람직하고, 또 경량화를 구하고 있는 용도에도 적합하다. 따라서, 고온에서의 사용 목적이 없는 경우, 수지필름을 투명지지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수지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등의 폴리에스테르필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필름, 폴리카르보네이트필름, 아크릴필름, 노르보르넨필름(JSR(주) 제 아톤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투명지지체는 용도에 따라 헤이즈가 0.5 내지 5%의 범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지지체의 양면에 투명도전층을 갖춘 투명도전막으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투명도전막 제조방법의 1예를 설명한다.
투명도전막을 구성하는 투명도전층은 도전성 미립자와, 필요에 따라 미량의 수지를 함유한 분산액을 도전성 도료로서 투명지지체상에 도포, 건조하여, 그후 압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전성 미립자를 분산하는 액체로서는, 도전성 도료가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수지가 용해하는 것이라면 한정되는 것은 없고, 기지의 각종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용제로서 헥산 등의 포화탄화수소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NMP),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에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중에서도, 극성을 가지는 용제가 바람직하고,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NMP 등의 아미드류가 적합하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의 혼합한 것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도전성 미립자의 분산성 향상을 위해 분산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 용제로서 물도 사용가능하다.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명지지체가 친수성의 것일 필요가 있다. 상기 수지층이나 수지필름은 통상 소수성이기 때문에, 물이 튀기 쉽고 균일한 막을 얻기가 어렵다. 투명지지체 표면에 수지층을 갖춘 경우, 투명지지체가 수지필름인 경우에는 물에 알코올을 혼합하던가, 혹은 지지체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전성 도료가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수지의 용해성도 고려하는 쪽이 좋다.
사용하는 용제의 양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도전성 미립자의 분산액이 도포에 적합한 점도를 가지도록 하면 좋다. 예컨대 도전성 미립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액체 100 내지 100000중량부 정도이다. 도전성 미립자와 액체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여도 좋다.
도전성 미립자의 액체중으로의 분산은 공지의 분산수법에 의해 행하면 좋다. 예컨대, 샌드그라인더밀법에 의해 분산한다. 분산에 있어서는, 도전성 미립자의 응집을 풀기 위해 지르코니아비드 등의 메디아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분산시에 먼지 등의 불순물의 혼입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상기 도전성 미립자의 분산액에는 도전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 첨가제를 배합하여도 좋다. 예컨대, 자외선 흡수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등의 첨가제이다.
투명지지체 상에 도전성 미립자 분산액의 도포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없고,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컨대, 리버스롤법, 다이렉트트롤법, 블레이드법, 나이프법, 익스트루젼노즐법, 커텐법, 그라비어롤법, 바코트법, 딥법, 키스코트법, 스퀴즈법 등의 도포법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또, 분무, 뿜어서 부착시키는 등에 의해 투명 지지체상에 분산액을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온도는 분산에 사용한 액체의 종류에 의하나, 10 내지 150℃ 정도가 바람직하다. 10℃미만에서는 공기중의 수분의 결로가 일어나기 쉽고, 150℃를 초과하면 수지필름 지지체가 변형한다. 또, 건조시에 불순물이 도전성 미립자의 표면에 부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도포, 건조후의 도전성 미립자 함유층의 두께는 다음 공정의 압축조건이나 투명도전막의 용도에도 의하나, 0.1 내지 10㎛ 정도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도전성 미립자를 액으로 분산시켜서 도포하여 건조하면, 균일한 막을 만들기 쉽다. 도전성 미립자의 분산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키면 분산액중에 종래와 같은 다량의 바인더 수지가 존재하지 않아도, 즉 본 발명과 같이 수지를 함유하지 않거나, 혹은 수지가 특정량 이하의 적은 양이라도 미립자는 막을 형성한다. 다량의 바인더 수지가 존재하지 않아도 막으로 되는 이유는 반드시 명확하지 않으나, 건조시켜서 액이 적어지면 모세관력 때문에 미립자가 모여든다. 더욱이, 미립자란 것은 비표면적이 크고 응집력도 강하므로, 막으로 되는 것이 아닌가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의 막은 분산치 σ1과 분산치 σ2의 비 (σ1/σ2)가 1.2미만의 것이며, 강도는 약하고, 또 투명도전층으로서는 전기저항치가 높고, 전기저항치의 편차도 크다.
다음에, 형성된 도전성 미립자 함유층을 압축하여, 도전성 미립자의 압축층을 얻는다. 압축함으로써 도전성 미립자가 투명지지체에 매립되는 상태로 되어, 분산치 σ1과 분산치 σ2의 비 (σ1/σ2)가 1.2이상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서 전기저항의 저하와 막강도의 향상이 달성된다. 즉, 압축함으로써 도전성 미립자 상호간의 접촉점이 증가하여 접촉면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전기저항은 내려가고, 도막강도는 올라간다. 미립자는 원래부터 응집하기 쉬운 성질이 있으므로, 압축함으로써 공고한 막으로 된다. 또, 압축함으로써 헤이즈도가 저하한다.
압축은 44N/mm2이상의 압축력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4N/mm2미만의 저압이라면 도전성 미립자 함유층을 충분하게 압축할 수 없고, 도전성이 우수한 투명도전층을 얻기가 어렵다. 압축은 180N/mm2이상의 압축력이 보다 바람직하다. 압축력이 높을수록 보다 도전성이 우수한 투명도전층을 얻으며, 또 투명도전층의 강도가 향상하고, 투명지지체와의 밀착성도 공고하게 된다. 압축력을 높게 할수록 장치의 내압을 올리지 않으면 안되므로, 일반적으로 1000N/mm2까지의 압축력이 적당하다.
또, 압축을 상온(15 내지 40℃) 부근의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조건화에서 압축(핫프레스)을 행하면, 압축압력을 강하게 한때에 수지필름이 신장할 가능성이 있다.
압축수단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없고, 시트프레스, 롤프레스 등에 의해 행할 수 있으나, 롤프레스기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프레스는 롤과 롤의 사이에 압축할 필름을 끼워서 압축하여 롤을 회전시키는 방법이다. 롤프레스는 균일하게 고압이 걸려지고, 또 롤투롤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어 적합하다.
롤프레스기의 롤온도는 상온이 바람직하다. 가온한 분위기나 롤을 가온한 압축(핫프레스)에서는, 압축압력을 강하게 하면 수지필름이 늘어나 버리는 좋지 못함이 생긴다. 가온하에서 수지필름이 늘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압축압력을 약하게 하면, 투명도전층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여 전기저항이 상승한다. 미립자 표면의 수분부착을 될 수 있는 한 적게 하려고 하는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분위기의 상대습도를 내리기 위해 가온한 분위기로서도 좋으나, 온도범위는 필름이 용이하게 늘어나지 않는 범위내이다.
일반적으로는, 유리전이온도(2차전이온도) 이하의 온도범위로 된다. 습도의 변동을 고려하여, 요구되는 습도로 되는 온도보다 조금 높인 온도로 하면 좋다. 롤프레스기로 연속압축한 경우에, 발열에 의해 롤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온도조절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필름의 유리전이온도는 동적점탄성을 측정하여 구하여지며, 주분산의 역학적 손실이 피크로 되는 온도를 가르킨다. 예컨대, PET 필름에 대하여 보면, 그 유리전이온도는 대략 110℃ 전후이다.
롤프레스기의 롤은 강한 압력이 걸리므로, 금속롤이 바람직하다. 또, 롤 표면이 부드러우면 압축시에 도전성 미립자가 롤에 전사되는 일이 있으므로, 롤 표면을 경질막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도전성 미립자의 압축층을 형성함으로써, 투명도전층을 갖춘 본 발명의 투명도전막을 얻는다. 투명도전층의 두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용도에 의하나, 0.1 내지 10㎛ 정도로 하면 좋다. 또, 10㎛ 정도의 두꺼운 투명도전층을 얻기 위해, 도전성 미립자 분산액의 도포, 건조, 압축의 일련의 조작을 반복하여 행하여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이 동일 조작을 반복하여 같은 기능층이 적층된 기능층을 얻은 경우에는, 적층의 가장 외측의 면을 측정하는 면으로 한다. 또, 다른 기능층이 적층된 기능층을 얻은 경우에도 적층의 가장 외측의 면을 측정하는 면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투명도전막은 그의 투명도전층이 우수한 도전성을 나타내며, 종래와 같은 다량의 바인더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용상 충분한 막강도를 가지고 투명지지체와의 밀착성도 우수하다.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막으로서 투명도전막을 들었으나, 본 발명에서 기능성 막에는, 특히 한정되는 일 없이, 도전막, 자성막, 강자성막, 유전체막, 강유전체막, 일렉트로크로믹막, 일렉트로루미네센스막, 절연막, 광흡수막, 광선택흡수막, 반사막, 반사방지막, 촉매막, 광촉매막 등의 각종 기능을 가지는 막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목적으로 하는 막을 구성할 기능성 미립자가 사용된다. 기능성 미립자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응집력을 가진 주로 무기 미립자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막 어느 것에 있어서도,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기능층이 얻어지는 동시에, 바인더 수지를 다량으로 사용하고 있었던 종래의 도포법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에 의한 폐해를 해소할 수 있다. 그 결과 목적으로 하는 기능이 보다 향상된다.
상술의 투명도전막 외에, 예컨대 강자성막에 있어서는 γ-Fe2O3, Fe3O4, Co-FeOX, Ba 페라이트 등의 산화철계 자성분말이나, α-Fe, Fe-Co, Fe-Ni, Fe-Co-Ni, Co, Co-Ni 등의 강자성 금속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강자성 합금분말 등이 사용되며, 기능층인 자성도막의 포화자속밀도가 향상한다.
유전체막이나 강유전체막에 있어서는, 티탄산마그네슘계, 티탄산바륨계, 티탄산스트론튬계, 티탄산납계, 티탄산지르콘산납계(PZT), 지르콘산납계, 란탄첨가티탄산지르콘산납계(PLZT), 규산마그네슘계, 납함유퍼로브스카이트화합물 등의 유전체 내지는 강유전체의 미립자가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전체막이나 강유전체막에서는 유전체 특성 내지는 강유전체 특성의 향상이 얻어진다.
또, 각종 기능을 발현하는 금속산화물막에 있어서는, 산화철(Fe2O3), 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이산화티탄(TiO2), 산화티탄(TiO), 산화아연(ZnO),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텅스텐(WO3) 등의 금속산화물의 미립자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막에서는, 기능층에서 금속산화물의 충전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각 기능이 향상한다. 예컨대, 촉매를 담지시킨 SiO2, Al2O3를 사용한 경우에는, 실용강도를 가지는 다공질 촉매막을 얻는다. TiO2를 사용한 경우에는, 광촉매 기능의 향상이 얻어진다. 또, WO3를 사용한 경우에는, 일렉트로크로믹 표시소자에서의 발색작용의 향상이 얻어진다.
더욱이, 일렉트로루미네센스막에 있어서는, 황화아연(ZnS) 미립자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막은 도포법에 의한 값싼 것으로 할 수 있다.
기능성 미립자의 입자경(r)은 기능성 막의 용도에 따라서, 예컨대 필요로 하는 산란의 정도 등에 의해 다르며, 또 입자의 형상에 의해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평균 1차 입경 r=10㎛이하이며, 1.0㎛이하가 바람직하고, 5nm 내지 100nm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개시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성 미립자를 사용하여 각종 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기능성 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본발명의 목적은 기능성 미립자를 사용한 저항치가 낮은 투명도전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능성 막은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면에 기능층을 갖춘 기능성 막으로서, 상기 기능층은 기능성 미립자를 함유하며, 표면측의 기능성 미립자 배열로부터 얻어지는 분산치 σ2와 그의 반대면측의 기능성 미립자 배열로부터 얻어지는 분산치 σ1의 비 (σ1/σ2)가 1.2이상 1.85이하인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였다.
또, 본 발명의 기능성 막의 적합한 양태로서, 상기 지지체가 투명수지필름인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였다.
또, 본 발명의 기능성 막의 적합한 양태로서, 상기 기능성 미립자가 도전성 미립자인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였다.
또, 본 발명의 기능성 막의 적합한 양태로서, 상기 도전성 미립자의 평균 1차 입경이 5 내지 50nm의 범위인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였다.
또, 본 발명의 기능성 막의 적합한 양태로서, 상기 기능층의 두께가 0.5 내지 5㎛의 범위인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였다.
더욱이, 본 발명의 기능성 막의 적합한 양태로서, 상기 기능층은 상기 도전성 미립자의 체적을 100으로 한때에, 체적에서 3.7미만의 범위로 수지를 함유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면에 기능층을 갖춘 기능성 막을, 기능층이 기능성 미립자를 함유하며, 또한 기능층의 표면측의 기능성 미립자 배열로부터 얻어지는 분산치 σ2와 그의 반대측의 기능성 미립자 배열로부터 얻어지는 분산치 σ1의 비 (σ1/σ2)가 1.2이상인 것으로 한 것이므로, 기능층에서 기능성 미립자의 접촉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기능층의 강도, 기능층과 지지체와의 밀착성이 큰 것으로 되고, 예컨대 기능성 미립자로서 도전성 미립자를 사용한 투명도전막은 전기저항이 낮은 것으로 된다. 또, 지지체와 기능층의 밀착도 공고하며,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더욱이, 지지체로서 투명수지필름과 같은 투명지지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본 발명의 기능성 막은 대면적화에 대하여도 도포장치나 압축장치의 변경 등으로 대응가능하다.
(실시예 1)
우선, 평균 1차 입경이 20nm인 ATO미립자(이시하라산교오(주) 제 SN-100P) 100중량부에 에탄올 300중량부를 가하여, 메디아를 지르코니아비드로 하여 분산기로 분산하여 도전성 도료를 제조하였다.
다음에, 상기의 도전성 도액을 바코팅기를 사용하여 PET 필름(두께 50㎛)상에 도포하여 50℃에서 건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을 이후에 압축 ATO 필름이라 칭한다. ATO 함유 도막의 두께는 2.2㎛였다.
다음에, 압축전 ATO필름을 금속롤(롤 표면에 하드 크롬도금처리가 시행된 것) 사이에 끼우고, 실온(23℃)에서 롤을 회전시켜 5m/분의 이송속도로 압축하였다. 이 압축공정에서 단위 면적당의 압축압력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ATO 필름을 압축함으로써, 투명도전층을 갖춘 투명도전막(시료 1∼6)을 얻었다.
또, 수지로서 다이세이가꼬오(주) 제의 아크릴수지용액 MT 408-42(불휘발성분 농도 50%) 100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톨루엔/시클로헥사논(1:1:1) 혼합용액 400중량부에 용해한 수지용액에 상기와 같은 ATO 분말 100중량부를 가하여, 메디아를 지르코니아비드로 하여 분산기로 분산하여 도전성 도료를 제조하였다. 본 도전성 도료를 사용하여, 상기의 투명도전막(시료 1∼6)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도전막(시료 7)을 얻었다. 단, 압축공정에서 단위 면적당의 압축압력은 표 1에 나타낸 것으로 하였다.
더욱이, 투명지지체로서 상기 PET 필름상에 실리콘수지계 하드코트재(GE·도시바실리콘(주) 제 도스카드 510)를 3㎛ 두께로 설치한 것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의 투명도전막(시료 3: 수지를 사용하지 않음)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도전막(시료 8)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제작한 8종의 투명도전막(시료 1∼8)에 대하여, 압축후의 투명도전층의 두께를 측정하고, 또 하기의 측정방법에 따라서 투명도전층에 대하여 σ1과 분산치 σ2의 비 (σ1/σ2)를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냈다.
또, 하기의 측정방법에 따라서 표면전기저항치, 헤이즈를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PET 필름과 투명도전층과의 밀착성, 및 투명도전층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하기의 방법으로 90°필시험을 행하고,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냈다.
비 (σ1/σ2)의 측정방법
투명도전막의 배율 10만배의 단면사진상에 모눈 트레이싱 페이퍼를 어긋나지 않도록 얹어 놓고, 투명도전층의 계면측과 표면측의 도전성 미립자가 배열되어 있는 끝면을 각각 트레이스하여, 도전성 미립자 배열상태를 도시한 선 L1, L2로 한다. 또한, 도전성 미립자가 명백히 결락되어 있는 부분은 그 양옆으로부터 외삽하여 선분을 얻는다. 다음에, 상기 2종의 도전성 미립자 배열상태를 도시한 선 L1, L2 각각에, 약 1cm 떨어진 곳에 기준선 B1 과 B2를 긋는다. 그리고, 기준선 B1에서 L1까지의 거리, 및 기준선 B2에서 선 L2까지의 거리를 각각 2mm 간격으로 측정(측정거리는 10cm로 함) 하여, 이 측정치의 평균치와 각 측정치와의 차의 제곱의 평균치를 분산치 σ1, σ2로 하여 비 (σ1/σ2)를 계산한다.
표면전기저항치의 측정
투명도전층이 형성된 투명도전막을 50mm ×50mm의 크기로 잘라내어, 대각의 위치에 있는 각의 2점에 테스터의 단자봉을 대고 전기저항을 측정.
헤이즈의 측정
헤이즈미터(도오교오덴쇼쿠(주) 제 TC-H3 DPK형)을 사용하여 측정.
90°필시험
투명도전막의 PET 필름의 투명도전층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양면 테이프를 붙이고, 이것을 크기 25mm ×100mm로 잘라내어 시험샘플로 하여 스텐레스판에 붙인다. 이어서, 시험샘플이 벗겨지지 않도록, 시험샘플의 양끝부(25mm 길이 변)에 셀로판테이프를 붙인다. 그후, 시험샘플의 투명도전층면에 셀로판테이프(폭 12mm, 닛도덴꼬오(주) 제 No.29)를 시험샘플의 긴변과 평행하게 되도록 붙인다. 셀로판테이프와 시험샘플의 첩부길이는 50mm로 한다. 이어서, 셀로판테이프의 첩부되지 않은 끝을 챠크에 부착, 셀로판테이프의 첩부면과 비첩부면과의 이룬 각이 90°가 되도록 세트하여, 셀로판테이프를 100mm/분의 속도로 잡아당겨서 벗긴다. 이때, 셀로판테이프를 벗기는 속도와 시험샘플을 첩부한 스텐레스판이 같은 속도로 이동하도록 하여, 셀로판테이프의 비첩부면과 시험샘플면이 항상 90°가 되도록 한다. 시험후, 도막의 상태를 조사, 하기의 평가기준으로 평가한다.
○: 도막이 파괴되지 않고, 또한 PET 필름에서의 박리도 일어나지 않은 것.
×: 도막이 파괴되어 있으며, 도막의 일부가 셀로판테이프에 부착되어 있는 것.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산치 σ1, σ2의 비 (σ1/σ2)가 1.2이상 1.85 이하인 투명도전층을 갖춘 본 발명의 투명도전막(시료 1∼5)은 어느 것도 전기저항치가 충분히 낮고, 또한 헤이즈도 낮고, 충분한 투명성을 갖춘 것이 확인되었다. 또, 이들 투명도전막은 수지를 함유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투명도전층의 PET 필름에 대한 밀착성도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분산치 σ1, σ2의 비 (σ1/σ2)가 1.2미만인 투명도전층을 갖춘 투명도전막(시료 6, 8)은 투명도전층의 전기저항치에 관계 없이 투명도전층의 PET 필름에 대한 밀착성이 나쁜 것이었다.
또, 분산치 σ1, σ2의 비 (σ1/σ2)가 1.2미만인 투명도전층을 갖춘 투명도전막(시료 7)은 투명도전층에 다량의 수지가 함유되기 때문에, 투명도전층의 PET 필름에 대한 밀착성은 양호하나, 투명도전층의 전기저항이 높은 것이었다.
(실시예 2)
우선, 평균 1차 입경이 20nm인 ITO 미립자(스미도모긴조구고도산(주) 제 SUFP-HX) 100중량부에 메탄올 300중량부를 가하여, 메디아를 지르코니아비드로 하여 분산기로 분산하여 도전성 도료를 제조하였다.
다음에, 두께 50㎛의 PET 필름에 상기 도전성 도액을 바코팅기를 사용하여 도포하여 50℃에서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필름을 이후에 압축전 ITO 필름이라 칭한다. 이 압축전 ITO 필름의 ITO 함유 도막의 두께는 1.9㎛였다.
다음에, 압축전 ITO 필름을 금속롤(롤 표면에 하드 크롬도금처리가 시행된 것) 사이에 끼우고, 실온(23℃)에서 롤을 회전시켜 5m/분의 이송속도로 압축하였다. 이 압축공정에서 단위면적당의 압축압력을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ITO 필름을 압축함으로써, 투명도전층을 갖춘 투명도전막(시료 I∼VI)을 얻었다.
또, 수지로서 다이세이가꼬오(주) 제의 아크릴수지용액 MT 408-42(불휘발성분 농도 50%) 100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톨루엔/시클로헥사논(1:1:1) 혼합용액 400중량부에 용해한 수지용액에 상기와 같은 ITO 분말 100중량부를 가하여, 메디아를지르코니아비드로 하여 분산기로 분산하여 도전성 도료를 제조하였다. 본 도전성 도료를 사용하여, 상기의 투명도전막(시료 I∼VI)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도전막(시료 VII)을 얻었다. 단, 압축공정에서 단위면적당의 압축압력은 표 2에 나타낸 것으로 하였다.
더욱이, 투명지지체로서 상기 PET 필름상에 실리콘수지계 하드코트재(GE·도시바실리콘(주) 제 도스카드 510)를 3㎛ 두께로 설치한 것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의 투명도전막(시료 Ⅲ: 수지를 사용하지 않음)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도전막(시료 Ⅷ)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제작한 투명도전막(시료 I∼Ⅷ)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도전층의 두께, 분산치 σ1, σ2의 비 (σ1/σ2), 표면 전기저항치, 헤이즈를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90°필시험을 행하고,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산치 σ1, σ2의 비 (σ1/σ2)가 1.2이상 1.85이하인 투명도전층을 갖춘 본 발명의 투명도전막(시료 I∼V)은 어느 것도 투명도전층의 전기저항치가 충분히 낮고, 또한 헤이즈도 낮고, 충분한 투명성을 갖춘것이 확인되었다. 또, 이들 투명도전막은 수지를 함유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투명도전층의 투명지지체에 대한 밀착성도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분산치 σ1, σ2의 비 (σ1/σ2)가 1.2미만인 투명도전층을 갖춘 투명도전막(시료 Ⅵ, Ⅷ)은 투명도전층의 투명지지체에 대한 밀착성이 나쁜 것이었다.
또, 분산치 σ1, σ2의 비 (σ1/σ2)가 1.2미만인 투명도전층을 갖춘 투명도전막(시료 Ⅶ)은 투명도전층에 다량의 수지가 함유되기 때문에, 투명도전층의 PET 필름에 대한 밀착성은 양호하나, 투명도전층의 전기저항이 높은 것이었다.
본 발명의 기능성 막은 도전막, 자성막, 강자성막, 유전체막, 강유전체막, 일렉트로크로믹막, 일렉트로루미네센스막, 절연막, 광흡수막, 광선택흡수막, 반사막, 반사방지막, 촉매막, 광촉매막 등의 각종 기능을 가지는 막이며, 예컨대 투명도전막은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전극, 일렉트로크로믹 소자전극, 액정전극, 투명면 발열체, 터치패널과 같은 투명전극으로서, 또는 투명한 전자파 차폐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면에 기능층을 갖춘 기능성 막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이 기능성 미립자를 함유하며, 표면측의 기능성 미립자 배열로부터 얻어지는 분산치 σ2와, 그의 반대면측의 기능성 미립자 배열로부터 얻어지는 분산치 σ1의 비 (σ1/σ2)가 1.2이상 1.8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투명수지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미립자가 도전성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미립자의 평균 1차 입경이 5 내지 50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막.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의 두께가 0.5 내지 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막.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이 상기 도전성 미립자의 체적을 100으로 한때에, 체적에서 3.7미만의 범위로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막.
KR10-2001-7010226A 2000-05-19 2001-05-17 기능성 막 KR100464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48904 2000-05-19
JP2000148904 2000-05-19
PCT/JP2001/004124 WO2001087591A1 (fr) 2000-05-19 2001-05-17 Film fonction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863A KR20020028863A (ko) 2002-04-17
KR100464532B1 true KR100464532B1 (ko) 2005-01-03

Family

ID=1865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226A KR100464532B1 (ko) 2000-05-19 2001-05-17 기능성 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05341B2 (ko)
EP (1) EP1283104A4 (ko)
KR (1) KR100464532B1 (ko)
TW (1) TW520324B (ko)
WO (1) WO2001087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2294B1 (en) * 1999-08-12 2002-01-29 Bruce G. Ruefer Composite PTFE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1131485A (ja) * 1999-10-29 2001-05-15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透明導電性膜形成用塗料及び透明導電性膜
JP2001332130A (ja) * 2000-05-19 2001-11-30 Tdk Corp 機能性膜
WO2001087590A1 (fr) * 2000-05-19 2001-11-22 Tdk Corporation Film fonctionnel avec couche fonctionnelle et article dote d'un tel film
JP5007777B2 (ja) * 2000-05-21 2012-08-22 Tdk株式会社 透明導電積層体
US20100026176A1 (en) 2002-03-28 2010-02-04 Jan Blochwitz-Nomith Transparent, Thermally Stable Light-Emitting Component Having Organic Layers
EP1535731A4 (en) * 2002-07-24 2005-11-02 Tdk Corp FUNCTIONAL FILM FOR TRANSFER WITH FUNCTIONAL LAYER, OBJECT PROVIDED WITH A FUNCTIONAL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U2003264510A1 (en) * 2002-10-02 2004-04-23 Bridgestone Corporation Anti-reflection film
US20060074166A1 (en) * 2003-12-19 2006-04-06 Tpl, Inc. Title And Interest In An Application Moldable high dielectric constant nano-composites
US20060074164A1 (en) * 2003-12-19 2006-04-06 Tpl, Inc. Structured composite dielectrics
US20080128961A1 (en) * 2003-12-19 2008-06-05 Tpl, Inc. Moldable high dielectric constant nano-composites
JP2006012783A (ja) * 2004-05-21 2006-01-12 Tdk Corp 透明導電材料、透明導電ペースト、透明導電膜及び透明電極
WO2007039969A1 (ja) * 2005-10-05 2007-04-12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透明導電層付フィルムとフレキシブル機能性素子、フレキシブル分散型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デバイス
CN101473699A (zh) * 2006-06-26 2009-07-01 住友金属矿山株式会社 分散型电致发光元件及其制造方法
DE102009053314A1 (de) * 2009-11-06 2011-05-12 Ringo Grombe Mechanische Funktionalisierung von Polymeroberflächen mittels funktionalisierter Festkörperteilche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0492A (en) * 1974-12-16 1976-06-18 Kogyo Gijutsuin Teiteikono sankainjiumudodenmakuno seizoho
US4336277A (en) * 1980-09-29 1982-06-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ransparent electrical conducting films by activated reactive evaporation
US5225273A (en) * 1989-12-28 1993-07-06 Teijin Limited Transparent electroconductive laminate
JP2918497B2 (ja) 1990-06-07 1999-07-12 平岡織染株式会社 高電磁波シールド性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JP2994764B2 (ja) 1991-01-18 1999-12-2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透明導電膜の成膜方法
DE69223877T2 (de) * 1991-08-09 1998-04-16 Intermetallics Co Ltd Beschichtete Bauteile mit pulvergerüststrukturiertem Film und Verfahren zur ihrer Herstellung
JPH0613785A (ja) 1991-10-17 1994-01-21 Inter Metallics Kk 電磁遮蔽膜
US5747152A (en) * 1993-12-02 1998-05-05 Dai Nippon Printing Co., Ltd. Transparent functional membrane containing functional ultrafine particles, transparent functional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473146B2 (ja) 1995-01-26 2003-12-02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導電膜形成用組成物と透明導電膜被覆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H09109259A (ja) 1995-10-18 1997-04-28 Sekisui Chem Co Ltd 帯電防止透明プラスチックプレートもしくはシートの製造方法
US5698262A (en) * 1996-05-06 1997-12-16 Libbey-Owens-Ford Co. Method for forming tin oxide coating on glass
JPH11203942A (ja) * 1998-01-12 1999-07-30 Kuraray Co Ltd 透明帯電防止樹脂板
JP3478973B2 (ja) * 1998-07-21 2003-12-15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
CN1204568C (zh) * 1999-12-28 2005-06-01 Tdk株式会社 透明导电膜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87591A1 (fr) 2001-11-22
US6605341B2 (en) 2003-08-12
US20020051879A1 (en) 2002-05-02
EP1283104A4 (en) 2009-11-04
TW520324B (en) 2003-02-11
KR20020028863A (ko) 2002-04-17
EP1283104A1 (en)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532B1 (ko) 기능성 막
KR100522035B1 (ko) 기능성막 및 그 제조방법
KR100444398B1 (ko) 기능성 막
KR100484574B1 (ko) 투명 도전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0504591B1 (ko) 투명 도전막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21474A (ko) 기능성층을 갖는 전사용 기능성 필름, 그 기능성층이부여된 물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50214528A1 (en) Transfer functional film, method for forming functional layer and object to which functional layer is applied
JP3774117B2 (ja) 導電膜の製造方法
JP4005001B2 (ja) 機能性層を有する転写用機能性フィルム、その機能性層が付与された物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491910B2 (ja) 多層機能性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4465812B2 (ja) 機能性膜
JP4639430B2 (ja) 透明導電膜の製造方法
JP4678097B2 (ja) 導電膜
JP2003016842A (ja) 透明導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4305B2 (ja) 導電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036613B2 (ja) 透明導電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4365510B2 (ja) 機能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491911B2 (ja) 導電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622039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32128A (ja) 機能性膜
JP2001328196A (ja) 機能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