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881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부재를 감광드럼에서 분리하는 분리 기구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부재를 감광드럼에서 분리하는 분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881B1
KR100458881B1 KR10-2002-0007664A KR20020007664A KR100458881B1 KR 100458881 B1 KR100458881 B1 KR 100458881B1 KR 20020007664 A KR20020007664 A KR 20020007664A KR 100458881 B1 KR100458881 B1 KR 10045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main assembly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228A (ko
Inventor
간노가즈히꼬
야스이고지로
호리까와다다시
닛따니스스무
스즈끼다쯔야
야마구찌고오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6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1Rotational subunit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되며 현상제에 의하여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샤프트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떨어뜨려 유지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힘을 수용하기 위한 힘 수용부와, 주 조립체에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힘 수용부의 결합에 의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부재를 감광 드럼에서 분리하는 분리 기구{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parating Mechanism for Separating Developing Member from Photosensitive Drum}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것을 사용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전자사진 감광 드럼에서 현상 부재를 분리하는 분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컬러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함께 적절히 사용 가능하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식 프로세스를 통해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LED 프린트, 레이저 비임 프린터 등), 전자사진 프린터식 팩시밀리 장치, 전자사진 프린터식 워드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적어도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현상 수단을 유닛으로서 포함하고,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또는 유닛이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서 작동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유닛으로써 포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형식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형식은 유지 보수 작업이 수리공이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므로, 작동 성능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형식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널리 사용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일렬로 배열된 라인 형식에 대한 컬러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200)가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를 위한 현상 수단에 대하여, 두 가지 형식의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1) 현상 롤러가 현상 작동 중에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접촉 유지되는 접촉 현상 시스템과, (2) 현상 작동 중에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는 비접촉 현상 시스템이다. 어느 형식에서라도, 소정의 접촉 압력 또는 간격이 현상 작동 중에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 사이에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으로 가압함으로써 유지된다.
그러나, 접촉 현상 시스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경우에, 현상 롤러는 감광 드럼에 가압 접촉되거나 가압된다. 다시 말해, 현상 롤러의 탄성층이 소정의 접촉 압력으로 감광 드럼과 접촉된다. 따라서,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설치된 상태로 오랜 기간 동안 작동되지 않는다면, 현상 롤러의 탄성층에 영구 변형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현상된 화상은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현상 롤러가 비작동(화상을 형성하지 않는) 기간 중에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다면, 현상 롤러 상의 토너는 감광 드럼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토너는 기록 재료 등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작동이 수행되지 않을 때 현상 롤러가 감광 드럼에서 멀리 유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현상 부재(예컨대, 현상 롤러)가 전자사진 감광 부재로부터 확실히 분리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현상 부재를 분리하는 분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현상 부재가 전자사진 감광 부재로부터 확실히 분리될 수 있고, 이들이 확실히 상호 접촉하게 될 수 있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현상 부재를 분리하는 분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현상 부재가 전자사진 감광 부재로부터 현상 작동을 제외하고 확실히 분리될 수 있지만, 현상 작동 중에는 그 시간은 소정의 접촉 압력으로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확실히 접촉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현상 부재를 분리하는 분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화상 현상 작동이 수행되지 않을 때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현상 부재를 분리하고 화상 형성 작동 중에 현상 부재는 감광 드럼과 확실히 접촉되는 분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제1 프레임과,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내에 제공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현상제에 의하여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제공된 현상 부재와,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멀리 유지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힘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샤프트의 하류측에 제공된 힘 수용부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들 그리고 다른 목적과, 특징과, 장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후속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기술을 고려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컬러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확대 사시도.
도4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카트리지의 분리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5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카트리지의 분리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6은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카트리지의 분리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7은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에 대해 분리시키고 접촉시키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8은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에 대해 분리시키고 접촉시키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9는 현상 유닛의 힘 수용부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감광 부재 유닛과 현상 유닛 사이에 대한 가압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12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13은 종래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광 드럼
4 : 현상 유닛
7 : 카트리지
11 : 정전 전사 벨트
24 : 토출부
40 : 현상 롤러
42 : 토너 공급 기구
44 : 현상 블레이드
54 : 가압 스프링
100 : 화상 형성 장치
첨부 도면과 관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 구조를 도시한다. 도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3은 카트리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분리 기구를 도시한다. 도7및 도8은 감광 드럼에 대해 현상 롤러를 분리시키고 접촉시키는 작동을 도시한다. 도9는 현상 유닛의 힘 수용부를 도시한다. 도10은 감광 부재 유닛과 현상 유닛 사이에 대한 가압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11 및 도12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설치된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 구조)
도1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 구조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네 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부(100a 내지 100d)를 가진다. 장착부에 장착된 카트리지(7)는 하나의 전자사진 감광 드럼(1a 내지 1d)이 제공된 화상이다. 감광 드럼(1)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감광 드럼(1)의 주연 이동 방향으로 그 순서로 후속 요소가 제공된다.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2a 내지 2d)과, 화상 정보에 따라 레이저 비임을 투사하여 감광 드럼(1)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스캐너 유닛(3a 내지 3d)과, 현상제(토너)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유닛(4a 내지 4d; 제2 프레임)과, 기록 재료(S) 위에 감광 드럼(1)으로부터 토너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정전 전사 수단(5)과, 화상 전사 후에 감광 드럼(1)의 표면 상의 토너 잔류물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감광 드럼(1), 대전 수단(2), 현상 유닛(4), 및 세척 수단(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통합된다.
감광 드럼(1)은 예를 들어 직경이 30mm인 알루미늄 실린더와 그의 외부 표면에 도포된 유기 광 방향 전송 부재층(OPC 감광 부재)을 포함한다. 감광 드럼(1)은 지지 부재에 의해 대향 단부 부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단부 부분 중 하나에서, 구동력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로부터 전달된다. 이로써, 감광 부재(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실시예의 대전 수단(2)은 접촉 대전형 대전 수단이며 도2에 도시된다. 대전 수단은 감광 드럼(1)이 표면에 접촉된 전기 전도성 롤러이다. 롤러(2a 내지 2d)는 대전 바이어스 전압으로 공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감광 드럼(1)의 표면은 균일하게 전기적으로 대전된다.
스캐너 유닛(3)은 감광 드럼(1)과 대체로 동일한 레벨로 부가되어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방사된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 광은 (도시되지 않은) 스캐너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다각 거울(9a 내지 9d)로 지향된다. 전기적으로 대전된 감광 드럼(1)의 표면은 화상 렌즈(10a 내지 10d)를 통해 거울(9)에 의해 반사된 화상 광에 선택적으로 노출된다. 이로써, 정전 잠상은 화상 신호에 따라 형성된다. 스캐너 유닛(3)은 도5에 도시된 길이 방향으로 좌측 및우측판 사이의 길이보다 길다. 돌출부(33)는 좌측 및 우측판(32)에 형성된 개구(35a 내지 35h)를 통해 외향 돌출된다. 스캐너 유닛(3)은 (하향 45도 경사인)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압축 스프링(36)에 의해 약 9.8 N으로 가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캐너 유닛(3)은 확실하게 가압되어 위치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유닛(4)은 옐로우 컬러 토너를 수용한 토너 용기(41a)와, 마젠타 컬러 토너를 수용한 토너 용기(41b)와, 시안 컬러 토너를 수용한 토너 용기(41c)와, 블랙 컬러 토너를 수용한 토너 용기(41d) 및 현상 장치 프레임(45)을 포함한다. 토너 공급 기구(42)는 토너 용기(41) 내측으로부터 토너 공급 롤러(43)로 토너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토너는 현상 롤러(40)의 외주연과 가압 접촉된 현상 블레이드(44)에 의해 현상 롤러(40)의 외주연 상에 도포된다. 또한, 토너는 전기적으로 대전된다. 현상 롤러(40)가 현상 바이어스로 공급되어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잠상이 현상된다. 현상 롤러(40)는 감광 드럼(1)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는 모든 감광 드럼(1a 내지 1d)에 대향하도록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정전 전사 벨트(11)를 포함한다. 전사 벨트(11)는 두께가 약 150 ㎛이고 체적 비저항이 1011 내지 1014 Ωcm인 재료로 제조된다. 전사 벨트(11)는 네 개의 롤러(네 개의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며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기록 재료(S)는 전사 벨트(11)에 의해 화상 전사 스테이션으로 공급되어 토너 화상이 감광 드럼(1)으로부터 기록 재료(S) 상으로 전사된다. 전사 롤러(12a 내지 12d)는 감광 드럼(1a 내지 1d)에 대향하며 전사 벨트(11)의 내측에 접촉된다. 양 전하는 전사 롤러(12)로부터 전사 벨트(11)로 기록 재료(S)에 인가된다. 이로써, 토너 화상은 감광 드럼(1)으로부터 기록 재료(S) 상으로 전사된다. 전사 벨트(11)는 네 개의 롤러, 즉 구동 롤러(13), 종동기 롤러(14a, 14b) 및 인장 롤러(15) 상에서 연장되며 도1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기록 재료(S)가 전사 벨트(11)로 순환 이동하여 종동기 롤러(14a)로부터 구동 롤러(13)로 공급되는 동안에 토너 화상은 기록 재료(S) 상에 전사된다.
공급부(16)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으로 기록 재료(S)를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다수의 기록 재료(S)는 공급 카세트(17) 내에 수용된다. 화상 형성 중에 공급 롤러(18) 및 정합 롤러(19)는 화상 형성 작업에 따라 회전된다. 기록 재료(S)는 순차로 카세트(17) 외부로 공급된다. 또한 기록 재료(S)의 선단부는 롤러(19) 사이에 형성된 닙에 인접한다. 기록 재료(S)는 전사 벨트(11)가 회전하여 정기적으로 정합 롤러(19)에 의해 전사 벨트(11) 및 감광 드럼 상의 토너 화상으로 공급된다.
정착부(20)는 기록 재료(S) 상으로 전사된 여러 컬러의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도록 기능한다. 정착 수단은 기록 재료(S)에 열과 압력을 인가하기 위해서 회전 가능한 가열 롤러(21a)와 이 가열 롤러(21a)에 가압 접촉된 가압 롤러(21b)를 포함한다. 현재 감광 드럼(1)으로부터 전사된 토너 화상을 가지는 기록 재료(S)는 정착부(20)를 통과하는 동안 정착 롤러(21)에 의해 공급된다. 기록 재료(S)가 공급되는 동안, 정착 롤러(21) 쌍에 의해 열과 압력이 기록 재료에 가해진다. 이에 의해, 다수의 컬러의 토너 화상은 기록 재료(S)의 표면 상에 정착된다.
화상 형성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카트리지(7a-7d)는 화상 형성 작동과 동기로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1a-1d)은 회전된다. 그 후, 카트리지(7)를 위한 스캐너 유닛(3)이 연속적으로 작동된다. 그 후, 대전 수단(2)은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전기적으로 대전시킨다. 감광 드럼(1)의 외주면은 화상 신호에 따라 변조된 광에 노출되어,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다. 현상 롤러(40)는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토너 화상은 감광 드럼(1)과 전사 롤러(12)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감광 드럼(1)으로부터 기록 재료(S) 상으로 연속적으로 전사된다. 이제 전사된 네 개의 컬러 토너 화상을 갖는 기록 재료(S)는 구동 롤러(13)의 곡률에 의해 전사 벨트(11)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기록 재료는 정착 스테이션(20)으로 공급된다. 토너 화상은 정착부(20)의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 재료(S)에 정착되고, 그 후, 토출 롤러(23)에 의해 토출부(24)로부터 주 조립체의 외부로 토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한 설명이 행해진다. 도2는 토너를 수용하는 카트리지(7)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옐로우 토너를 수용하는 카트리지(7a), 마젠타 토너를 수용하는 카트리지(7b), 시안 토너를 수용하는 카트리지(7c), 및 블랙 토너를 수용하는 카트리지(7d)는 같은 구조를 갖는다.
카트리지(7; 7a 내지 7d)는 감광 드럼(1; 1a 내지 1d)과 대전 수단(2; 2a 내지 2d)과 세척 수단(6; 6a 내지 6d)을 포함하는 감광 부재 유닛(50; 50a 내지 50d)(제1 프레임)과, 현상 수단을 포함하는 현상 유닛(4; 4a 내지 4d)(제2 프레임)을 포함한다.
유닛(50)에서, 감광 드럼(1)은 베어링(31a, 31b)에 의해 세척 프레임(5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감광 드럼(1) 주위에는, 대전 수단(2)과 세척 블레이드(60)가 제공된다. 세척 블레이드(60)에 의해 감광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 토너는 토너 공급 메커니즘(52)에 의해, 세척 프레임 뒤에 제공된 제거된 토너 챔버(53) 안으로 공급된다. 유닛(50)은 화상 형성 작동을 위해 감광 드럼(1)을 회전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는다.
현상 유닛(4)은 감광 드럼(1)과 접촉하여 화살표(Y)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현상 롤러(40)와,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41)와, 현상 장치 프레임(45)을 포함한다. 현상 롤러(40)는 베어링 부재에 의해 현상 장치 프레임(45)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40)의 외주면은 현상 롤러(40)와, 토너 공급 롤러(43)와, 현상 블레이드(44)에 의해 접촉된다. 토너 용기(41)에는, 안에 수용된 토너를 혼합시키고 토너를 롤러(43)로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 기구(42)가 제공된다.
대체로 현상 유닛(4)은 감광 부재 유닛(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현상 유닛(4)은 유닛(4)의 대향 단부에 장착된 베어링 부재(47, 48)의 구멍(49a)에 결합된 샤프트(49; 피봇)를 중심으로 유닛(5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카트리지(7)가 프린터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지 않을 때, 현상 유닛(4)은 보통은 가압 스프링(54; 압축 코일 스프링)과 가압 스프링(90;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현상 롤러(40)는 샤프트(49)를 중심으로 한 회전 모멘트에 의해 감광 드럼(1)에 접촉된다. 현상 유닛(4)의 토너 용기(41)에는 현상 롤러(40)가 감광 드럼(1)으로부터 분리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100)의 (이하에서 설명될) 분리 수단에 의해 맞닿도록 리브 형태의 힘 수용부(46; 46a 내지 46d)가 일체형으로 제공된다. 샤프트(49)는 현상 롤러(40)와 토너 용기(41)의 후방 단부 사이에 제공된다. 현상 롤러(40)는 힘 수용부(46)를 상승시킴으로써 사이에 소정의 틈을 가진 채로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된다. 동시에, 도11 및 도12와 관련되어 이하에서 설명될 제한부에 의해, 유닛(50)은 상방 이동이 방지된다.
현상 롤러(40)가 감광 드럼(1)과 접촉하는 동안 현상 작동이 실행되는 접촉 현상 시스템의 경우, 감광 드럼(1)은 강성이고 현상 롤러(40)는 탄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는 토너에의 대전 적용 성질을 고려하여 고체 고무 단분자층이거나, 또는 상승 재료로 코팅된 고체 고무 층일 수 있다.(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감광 드럼과 현상 부재 사이의 분리를 위한 분리 기구)
도4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카트리지(7)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로 분해될 때 작동하는 분리 기구에 대한 설명이 행해진다. 도4에서, 카트리지(7) 장착 구조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카트리지(7)는 생략되고, 오직 감광 드럼(1)과 베어링이 도시된다. 도11 및 도12는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에 장착된, 카트리지(7)의 사시도이다. 도11에서, 힘 수용부(55L, 55R)는 힘 인가 부재(8)에 의해 상승된다. 도12는 힘 수용부(55L, 55R)와 힘 인가 부재(8)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지 않은) 카트리지(7) 그 자체에서, 현상 롤러(40; 현상 부재)는 보통 감광 드럼(1)에 접촉된다.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감광 드럼(1)을 지지하는 베어링은 안내 홈(34a 내지34h)을 따라 삽입된다 (카트리지 장착 방향이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는 도4). 도6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31"은 안내 홈(34)의 맞닿음 표면(37, 38)에 대해 가압되고, 그에 의해 카트리지(7)의 위치는 장치의 주 조립체와 관련하여 결정된다. 장치의 주 조립체에서 카트리지(7)의 가압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도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샤프트(39)는 측면판(32)에 크림핑된다. 비틀린 코일 스프링(30)은 샤프트(39) 상에 지지된다. 단부(30a)는 구멍(32a) 안에 꼭 맞게 끼워져서 그곳에 고정된다. 카트리지(7)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지 않을 때, 스프링(30)은 직립부(32b)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제한된다. 카트리지(7)가 삽입될 때, 스프링(30)은 스프링(30)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것이 베어링 위에 얹혀질 때, 베어링(31)을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도1,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분리 수단에 대한 설명이 행해질 것이다. 카트리지(7)의 삽입 방향에 대한 장치의 주 조립체(100)의 후방 측면에는, 현상 유닛(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현상 롤러(40)에서 감광 드럼(1)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 수단(힘 인가 부재(8))이 제공된다. 힘 인가 부재(8)는 (도시되지 않은)스테핑 모터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동된다. 힘 인가 부재(8)의 분리판(80)은, 분리판(80)이 힘 수용부(46a 내지 46d)를 상승시켜 현상 롤러(40)가 감광 드럼(1)으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와, 분리판(80)이 상승되지 않으며 낮은 위치를 차지하여 분리판(80)이 힘 수용부(46a 내지 46d)로부터 분리되어 현상 롤러(40)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는 현상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화상 형성 작동 동안만, 현상 유닛(4)을 현상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분리판(80)이 상승될 수 없다. 분리판(80)의 상승 작동을 해제함으로써, 현상 롤러(40)가 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감광 드럼에 접촉하게 된다.
도9는 도2의 화살표 X에 의해 지시된 방향에서 도시된 카트리지(7)의 도면이다.
이 구조에서는, 카트리지(7)의 종방향으로 배열된 두 쌍의 수용부(46L, 46R, 55L, 55R)가 제공된다. 현상 롤러(40)가 감광 드럼(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분리판(80)이 상승될 때, 분리판(80)은 힘 수용부(46R, 46L) 또는 힘 수용부(55L, 55R)에 동시에 접촉된다. 이로 인하여, 현상 롤러(40)가 종방향으로 경사지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1, 도2, 도7 및 도8에서, 힘 수용부(46)가 장착 방향(Y)(도2)에 대해 전방 돌출한 예가 도시된다. 도9, 도11 및 도12에서는, 힘 수용부(46, 55)가 유닛(4)의 하부면 상에 제공되어 하방으로 지향된 예가 도시된다.
분리판(80)의 상승의 해제는 세 개의 모드, 즉 (1) 분리판(80)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컬러에 대한 카트리지(7a 내지 7d) 모두에 대해 상승되는 모드(도1), (2) 분리판(80)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컬러에 대한 카트리지(7a 내지 7d)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상승되지 않는 모드(도7), (3) 분리판(80)이 옐로우, 마젠타, 시안 컬러에 대한 카트리지(7a 내지 7c)에 대해서만 상승되는 모드(도8)를 포함한다. 이들 세 개의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 토너 용기(41)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쌍의 힘 수용부를 구비한다. 옐로우 컬러, 마젠타 컬러 및 시안 컬러 현상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7; 7a 내지 7c)가 힘 수용부(46L, 46R)를 사용하여 접촉되고 접촉 해제된다. 반면에, 블랙 컬러 현상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7(7d))는 힘 수용부(55L, 55R)를 사용하여 접촉되고 접촉 해제된다. 장치의 주 조립체는 옐로우 컬러, 마젠타 컬러 및 시안 컬러 현상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7; 7a 내지 7c)와 블랙 컬러 현상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7; 7d)를 위한 두 쌍의 분리판(80)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7)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분리판(8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컬러 카트리지(7; 모든 카트리지)에 대해 상승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의 장착 작동과 함께, 현상 유닛(4)에 제공된 힘 수용부(46)는 분리판(80) 상에 놓인다. 이로 인해, 현상 롤러(40)는 감광 드럼(1)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상태는 주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거나 또는 현상 작동이 수행되지 않는 기간 동안 유지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 내에 설정된 상태로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감광 드럼(1)에 현상 롤러(40)의 장기간 접촉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는 현상 롤러 층의 영구 변형이 방지된다.
화상 형성 작동이 시작될 때 인쇄 신호에 반응하여 분리판(80)의 상승이 현상 작동에 대해 알맞은 시간에 해제된다. 이로써, 분리판(80)이 하강한다. 힘 수용부(46, 55)가 분리판(80)으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현상 롤러(40)가 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감광 드럼(1)에 접촉하게 되고, 현상 작용이 작동 가능한 상태가 설정된다. 전색 모드의 경우, 현상 롤러(4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카트리지(7)의 모두에서 감광 드럼(1)에 접촉된다. 따라서, 분리판(80)은 힘 수용부(46, 55)로부터 분리된다. 단색 모드의 경우, 현상 롤러(4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 컬러에 대한 카트리지(7d)에서만 감광 드럼(1)에 접촉된다. 따라서, 분리판(80)은 힘 수용부(46, 55)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상 형성 작동은 각 컬러 모드에 상응하여 수행된다.
상술된 실시예가 다음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요약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 프레임(감광 드럼 유닛(50))과,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하며 샤프트(49)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프레임(4)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1)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되며 현상제(t)에 의하여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현상 롤러(40))와,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 부재(스프링(54, 90))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도2의 Y)에 대하여 샤프트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떨어뜨려 유지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힘을 수용하기 위한 힘 수용부(46, 55)와, 주 조립체에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힘 수용부의 결합에 의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56a, 56b)를 포함한다.
제한부(56a)는 측면판(32)에 제공된 록킹부(32d)와 결합된다. 제한부(56)는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제공된 후방 측면판(32c)의 록킹부(32c)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장치의 주 조립체(100)로부터의 힘이 힘 수용부(46, 55)에 인가되고, 그 결과 유닛(50)의 상방 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장착 방향(Y)에 대한 유닛(4)의 하류측이 샤프트(49)에 대해 회전적으로 상승한다. 이로써, 현상 롤러(40)가 감광 드럼(1)으로부터 분리된다. 제한부(56a)는 카트리지(7)가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안내부로써 기능한다. 제한부(56b)는 주 조립체(100)에 대해 카트리지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안내부로써 기능한다.
힘 수용부(46, 55)는 현상 유닛(4)의 종방향 일단부 및 종방향 타단부에 제공된다.
힘 수용부(46, 55)는 현상 유닛(4)의 부분의 종방향 일단부에서의 두 위치(46L, 55L)와 두 위치(46R, 55R)에 제공된다. 네 개의 힘 수용부(46L, 46R, 55L, 55R)는 카트리지(7)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전방에 대면한다. 카트리지(7d)가 블랙 컬러 현상을 위한 현상제를 포함할 때, 상기 일단부 부분에서 하나의 힘 수용부(55L)와 타단부에서의 하나의 힘 수용부(55R)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로부터 상향력을 수용한다. 롱-블랙(long-black) 컬러에 대한 현상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7a 내지 7c)의 경우, 일단부에 배치된 다른 힘 수용부(46L)와 타단부에서의 다른 힘 수용부(46R)는 장치의 주 조립체(100)로부터 힘을 수용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0)로부터 감광 드럼(1) 상으로 투사될 레이저 비임의 경로를 허용하기 위한 레이저 비임 경로(70)를 추가로 포함한다. 레이저 비임 경로(70)는 장착 방향(Y)에 대해 하류측 부분에서 프레임(50)과 프레임(4) 사이에 배치된다. 힘 수용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수직 방향에 대한 레이저 비임 경로(70)를 방해하지 않는다. 이로써,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제공된 힘 인가 수단(8)은 레이저 비임을 위한 광 경로를 차단하지 않는다.
감광 드럼(1)과 현상 롤러(40)가 서로에 대해 접촉된 접촉 위치(C)(도2)는 장착 방향(Y)(도2)에서 샤프트(49)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제한부(56a)(도11, 도12)는 장착 방향(Y)에 대해 하류측에 그리고 장착 방향(Y)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해 유닛(50)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유닛(50)으로부터 돌출한다.
도11 및 도12에 3점 쇄선으로 표시된 제한부(56C)는 장착 방향(Y)에 대해 하류측 부분에 그리고 장착 방향(Y)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해 유닛(50)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유닛(50)으로부터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한부(56C)가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제한부(56b)를 대신하여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제한부(56a)와 제한부(56C)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제한부(56b)(도11, 도12)는 장착 방향(Y)으로 선단부와 장착 방향(Y)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해 유닛(50)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장착 방향(Y)에 대해 유닛(50)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돌출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또한 감광 드럼(1)의 종방향 일단부 및 종방향 타단부에 감광 드럼(1)과 동축으로 배치된 부재(베어링(31))를 포함한다. 카트리지(7)가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100)에 제공된 스프링(30)은 베어링(31)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스프링(상기 탄성 부재)은 유닛(50) 및 유닛(4)의 종방향 일단부 및 종방향 타단부 각각에 배치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가압 스프링(54)이 일단부에 제공되고, 신장 스프링의 형태로 가압 스프링(90)이 타단부에 제공된다. 이런 구성에서, 현상 롤러(40)는 감광 드럼(1)으로 안정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주 조립체(100)의 장착부(100d)는 블랙 컬러에 의한 현상을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d)를 장착하기 위한 하나의 장착 수단(100d)과 블랙 컬러가 아닌 컬러에 의한 현상을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a 내지 7c)를 장착하기 위한 세 개의 장착 수단(100a 내지 100c)을 포함하고, 힘 인가부(8)는 장착 수단(100d)에 장착된 블랙 컬러에 의한 현상을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d)의 힘 수용부(55L, 55R)에 힘을 인가하기 위한 제1 힘 인가 수단(81)과 블랙 컬러가 아닌 컬러에 의한 현상을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a 내지 7c)의 힘 수용부(46L, 46R)에 힘을 인가하기 위한 제2 힘 인가 수단(82)을 포함한다. 제1 힘 인가 수단(81) 및 제2 힘 인가 수단(82)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분리 기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탈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된 전자사진 감광 드럼에서 현상 부재(40)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기구는,
(A)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힘을 인가하기 위한 힘 인가 수단(8)을 포함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0)와,
(B) 제1 프레임(감광 드럼 유닛(50)),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프레임(현상 유닛(4)),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1),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되며 현상제(t)에 의하여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현상 롤러(40)),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 부재(스프링(54)),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도2의 Y)에 대하여 샤프트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떨어뜨려 유지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힘 인가 수단으로부터 힘을 수용하기 위한 힘 수용부(46, 55), 상기 주 조립체에 구비되는 상기 힘 인가부에서의 결합부와 상기 힘 수용부의 결합에 의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56a, 56b)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를 분리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한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향 운동을 제한하면서 상기 제2 프레임을 상향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힘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주 조립체의 상기 힘 인가 수단에 의해 상기 힘 수용부에 인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7)는 샤프트(49)를 중심으로 피봇 가능한(피봇 되는) 감광 부재 유닛(50)과 현상 유닛(4)을 포함한다. 카트리지(7)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지 않으면, 현상 유닛(4)은 일반적으로 감광 드럼(1)에 현상 롤러(40)를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스프링(54)에 의해 가압된다. 그러므로, 분리 작용이 해제될 때, 즉 화상 형성 공정 동안에, 주 조립체의 다른 구조들을 사용하지 않고 오직 스프링(54)의 스프링 압력에 의해 안정화된 접촉 압력이 감광 드럼(1)에 인가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스프링은 현상 롤러의 중심 부근과 감광 드럼(1)의 중심 부근 사이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신장 스프링일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압축 코일 스프링(54, 가압 스프링)과 도10에 도시된 신장 스프링(90, 가압 스프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스프링(54) 및 스프링(90)은 도2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하여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두 쌍의 힘 수용부(46L, 46R, 55L, 55R)는 감광 드럼(1)의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보다 더 많은 힘 수용부가 모드 제어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힘 수용부가 하나만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랙 컬러에 의한 현상을 위한 카트리지(7d) 및 블랙 컬러가 아닌 컬러에 의한 현상을 위한 카트리지(7a 내지 7c)가 사용된다. 때문에, 적어도 두 개의 힘 수용부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경우가 아니라면 하나의 힘 수용부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러나, 확실한 분리 작용의 관점에서 볼 때, 다수의 힘 수용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 현상 시스템의 현상 장치에 대해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비접촉 현상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은 예컨대 스페이서 롤러에 의해 가압되는 흔적의 생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명세서에 기재된 구조를 참고로 설명되었지만, 전술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 또는 개선의 목적 내에서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들 실시예들에 의하면, 두 개의 상태, 즉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 사이의 접촉 및 분리가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달성된다. 그러므로, 감광 드럼에 현상 롤러의 접촉으로 인한 롤러의 영구적인 변형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화상 형성 공정 동안만 분리 작용을 해제시킴으로써, 바이어스 전압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인가되지 않을 때 현상 롤러로부터 감광 드럼에 현상제가 침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상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사진 감광 드럼 및 현상 부재가 확실히 분리될 수 있다. 간단한 구조로 전자사진 감광 드럼 및 현상 부재가 분리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되며, 현상제에 의하여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샤프트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떨어뜨려 유지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힘을 수용하기 위한 힘 수용부와,
    주 조립체에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힘 수용부의 결합에 의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종방향 단부들 각각에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종방향 일단부에서 두 위치에 그리고 종방향 타단부에서 두 위치에 제공되어 네 개의 힘 수용부를 제공하고,
    상기 네 개의 힘 수용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하방으로 대면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블랙 컬러에 의한 현상을 위한 현상제를 수용하는 경우, 종방향 일단부에 배치된 상기 힘 수용부의 하나와 종방향 타단부에 배치된 상기 힘 수용부의 하나가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힘을 수용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블랙 컬러가 아닌 컬러에 의한 현상을 위한 현상제를 수용하는 경우, 종방향 일단부에 배치된 상기 힘 수용부의 다른 하나와 종방향 타단부에 배치된 상기 힘 수용부의 다른 하나가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힘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 상으로 투사되는 레이저 비임을 통과시키기 위한 레이저 비임 경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비임 경로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하류측 부분에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장착될 때 상기 힘 수용부가 수직 방향에 대하여 레이저 비임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부재는, 현상 롤러의 형태이며, 상기 감광 드럼과 접촉하고,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샤프트의 상류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한부는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제1 단부에, 그리고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한부는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부는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제2 단부에, 그리고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한부는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제2 단부에, 그리고 장착 방향에 대하여 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한부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하류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단부 및 타단부에서 상기 감광 드럼의 축 상의 위치에 배치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스프링이 상기 부재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레이저 비임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서, 레이저 비임 경로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되며, 현상제에 의하여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를 상기 감광 드럼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 상으로 투사되는 레이저 비임을 통과시키기 위한 레이저 비임 경로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샤프트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떨어뜨려 유지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힘을 수용하기 위하여 힘 수용부와,
    주 조립체에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힘 수용부의 결합에 의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제한부와,
    주 조립체에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힘 수용부의 결합에 의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비임 경로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하류측 부분에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힘 수용부가 수직 방향에 대하여 레이저 비임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방향 일단부 및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제한부는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부에 그리고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제한부는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2 제한부는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부에 그리고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제한부는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현상 롤러가 상기 감광 드럼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가 샤프트의 상류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되며, 현상제에 의하여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를 상기 감광 드럼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스프링과,
    장착 방향에 대해 하류측 부분에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 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 상으로 투사되도록 레이저 비임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레이저 비임 경로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샤프트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떨어뜨려 유지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힘을 수용하기 위한 힘 수용부와,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부에 그리고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며, 주 조립체에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힘 수용부의 결합에 의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제한부와,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부에 그리고 장착 방향에 대해 선단부에 배치되고, 장착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며, 주 조립체에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힘 수용부의 결합에 의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힘 수용부가 수직 방향에 대하여 레이저 비임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방향 일단부 및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가 상기 감광 드럼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가 샤프트의 상류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A) 힘 인가부와,
    (B)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과 결합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프레임과,
    제1 프레임에 제공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제2 프레임에 제공되며, 현상제로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현상 부재를 감광 드럼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샤프트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떨어뜨려 유지시키도록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힘 인가부로부터 힘을 수용하기 위한 힘 수용부와,
    주 조립체에 구비되는 상기 힘 인가부에서의 결합부와 상기 힘 수용부의 결합에 의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4.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A) 힘 인가부와,
    (B)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과 결합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프레임과,
    제1 프레임에 제공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제2 프레임에 제공되며, 현상제로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스프링과,
    장착 방향에 대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류측 부분에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 방향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감광 드럼 상으로 투사되는 레이저 비임의 통과를 허용하는 레이저 비임 경로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샤프트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으로부터 떨어뜨려 유지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힘 인가부로부터 힘을 수용하기 위한 힘 수용부와,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제1 프레임의 일단부에 그리고 장착 방향에 대하여 제1 프레임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제1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며, 주 조립체에 구비되는 상기 힘 인가부에서의 결합부와 상기 힘 수용부의 결합에 의한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제한부와,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제1 프레임의 타단부에 그리고 장착 방향에 대하여 제1 프레임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제1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며, 주 조립체에 구비되는 상기 힘 인가부에서의 결합부와 상기 힘 수용부의 결합에 의한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힘 수용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힘 수용부가 수직 방향에 대하여 레이저 비임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방향 일단부 및 타단부에 배치되고,
    현상 롤러가 감광 드럼과 접촉하는 접촉 위치가 샤프트의 상류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A) 힘 인가부와,
    (B)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과 결합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프레임과,
    제1 프레임에 제공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제2 프레임에 제공되며, 현상제로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스프링과,
    장착 방향에 대하여 하류측 부분에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 방향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감광 드럼 상으로 투사되는 레이저 비임의 통과를 허용하는 레이저 비임 경로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샤프트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으로부터 떨어뜨려 유지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힘 인가부로부터 힘을 수용하기 위한 힘 수용부와,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제1 프레임의 일단부에 그리고 장착 방향에 대하여 제1 프레임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제1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며, 주 조립체에 구비되는 상기 힘 인가부에서의 결합부와 상기 힘 수용부의 결합에 의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제한부와,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제1 프레임의 타단부에 그리고 장착 방향에 대하여 선단부에 배치되고, 장착 방향으로 제1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며, 주 조립체에 구비되는 상기 힘 인가부에서의 결합부와 상기 힘 수용부의 결합에 의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제한부를 포함하고,
    힘 수용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힘 수용부가 수직 방향에 대하여 레이저 비임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방향 일단부 및 타단부에 배치되고,
    현상 롤러가 감광 드럼과 접촉하는 접촉 위치가 샤프트의 상류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블랙 컬러 현상제를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하나의 장착 수단과 블랙 컬러가 아닌 현상제를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3개의 장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힘 인가부는 장착 수단에 장착된 블랙 컬러 현상제를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힘 수용부에 힘을 인가하기 위한 제1 힘 인가 수단과, 블랙 컬러가 아닌 현상제를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힘 수용부에 힘을 인가하기 위한 제2 힘 인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된 전자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현상 부재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기구이며,
    상기 분리 기구는,
    (A)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힘을 인가하기 위한 힘 인가 수단을 포함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와,
    (B)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되며, 현상제에 의하여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샤프트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떨어뜨려 유지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힘 인가 수단으로부터 힘을 수용하기 위한 힘 수용부와,
    상기 주 조립체에 구비되는 상기 힘 인가부에서의 결합부와 상기 힘 수용부의 결합에 의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을 상향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힘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주 조립체의 상기 힘 인가 수단에 의해 상기 힘 수용부에 인가되고, 상기 제한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현상 부재를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떨어뜨려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각각의 종방향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힘 수용부는 종방향 일단부에서 두 위치에 그리고 종방향 타단부에서 두 위치에 제공되어 네 개의 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힘 수용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하방으로 대면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블랙 컬러에 의한 현상을 위한 현상제를 수용하는 경우, 종방향 일단부에 배치된 상기 힘 수용부의 하나와 종방향 타단부에 배치된 상기 힘 수용부의 하나가 상기 장치의 상기 힘 인가 수단으로부터 힘을 수용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블랙 컬러가 아닌 컬러에 의한 현상을 위한 현상제를 수용하는 경우, 종방향 일단부에 배치된 상기 힘 수용부의 다른 하나와 종방향 타단부에 배치된 상기 힘 수용부의 다른 하나가 상기 장치의 상기 힘 인가 수단으로부터 힘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기구.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부에 그리고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한부는 장착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기구.
KR10-2002-0007664A 2001-02-09 2002-02-09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부재를 감광드럼에서 분리하는 분리 기구 KR100458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33350 2001-02-09
JPJP-P-2001-00033350 2001-02-09
JPJP-P-2001-00285144 2001-09-19
JP2001285144 2001-09-19
JPJP-P-2002-00004313 2002-01-11
JP2002004313A JP3566697B2 (ja) 2001-02-09 2002-01-11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隔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228A KR20020066228A (ko) 2002-08-14
KR100458881B1 true KR100458881B1 (ko) 2004-12-03

Family

ID=27345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664A KR100458881B1 (ko) 2001-02-09 2002-02-09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부재를 감광드럼에서 분리하는 분리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81088B2 (ko)
EP (1) EP1231523B1 (ko)
JP (1) JP3566697B2 (ko)
KR (1) KR100458881B1 (ko)
CN (1) CN1214299C (ko)
DE (1) DE6023603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4173B2 (en) * 2001-11-05 2004-12-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apparatus process cartridge having a locking portion to prevent the cartridge from disengaging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ing such a cartridge
JP3595798B2 (ja) 2002-01-31 2004-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11930B2 (ja) 2002-02-20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58372B2 (ja) * 2002-02-22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用の離間保持部材
JP4164293B2 (ja) * 2002-06-03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947687B2 (en) 2002-06-07 2005-09-20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having locking portion for locking cartridge with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leasing portion to release the locking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a cartridge
KR100452548B1 (ko) * 2002-06-28 200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그 접촉충격 완충 및 현상닙 형성장치
JP4174380B2 (ja) * 2002-07-04 2008-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745327B2 (ja) * 2002-09-30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984900B2 (ja) 2002-09-30 2007-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離間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42588B2 (ja) * 2002-09-30 2004-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一端サイドカバーの取付け方法、他端サイドカバーの取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09412B2 (ja) * 2002-09-30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78100B2 (en) * 2002-09-30 2005-12-2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cartridge and developing roller
JP3951929B2 (ja) * 2003-02-06 2007-08-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色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395008B2 (en) * 2003-02-24 2008-07-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photoreceptor cartridge
US7088939B2 (en) * 2003-07-25 2006-08-08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072603B2 (en) * 2003-08-01 2006-07-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holding member
JP2005099691A (ja) * 2003-08-29 2005-04-1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58272B2 (ja) * 2003-09-25 2007-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78221B2 (ja) * 2003-10-08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3795B2 (ja) * 2003-10-24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086766B2 (ja) * 2003-11-28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組立方法
JP4110143B2 (ja) * 2004-01-30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378299B2 (ja) * 2004-02-20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605165B1 (ko) * 2004-08-13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3962734B2 (ja) * 2004-08-31 2007-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本体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取り外し可能に装着する装着機構
JP4817682B2 (ja) * 2004-12-13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1834217B1 (en) * 2004-12-28 2011-08-17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4865341B2 (ja) * 2005-02-04 2012-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86077B2 (ja) * 2005-03-18 2007-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40636B2 (ja) 2005-03-24 2008-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80753B2 (ja) * 2005-04-27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684732B2 (ja) * 2005-04-27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7058073A (ja) * 2005-08-26 2007-03-08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4661507B2 (ja) 2005-09-30 2011-03-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81948B2 (ja) * 2005-09-30 2010-1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77578B2 (ja) * 2005-12-20 2010-11-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像形成構造体、像形成構造体の装着方法、及び像形成構造体の引き出し方法
JP4389174B2 (ja) * 2005-12-27 2009-1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80770B2 (ja) 2006-01-11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41865B2 (ja) * 2006-12-08 2009-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44999B2 (ja) * 2006-12-11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929881B2 (en) * 2006-12-11 2011-04-1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856192B2 (en) * 2006-12-28 2010-12-2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084257B2 (ja) * 2006-12-28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280772B2 (ja) * 2006-12-28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094186B2 (ja) * 2007-04-10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8377B2 (ja)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8378B2 (ja)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06006B2 (ja) 2007-08-30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29346B2 (ja) 2007-12-27 2012-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13858B2 (ja) * 2007-12-28 2010-07-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05296B2 (ja) 2008-02-29 2011-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68957B2 (ja) * 2008-03-31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5182492B2 (ja) * 2008-04-17 2013-04-17 株式会社リコー 装置ユニット、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27565B2 (ja) * 2008-05-23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004870B2 (ja) * 2008-05-23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01266B2 (ja) * 2008-05-27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44538B2 (ja) * 2008-05-27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591569B2 (ja) 2008-07-22 2010-1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62206B2 (ja) * 2008-09-29 2010-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92626B2 (ja) * 2008-12-26 2011-06-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5349999B2 (ja) * 2009-02-16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123348A (ja) * 2009-12-11 2011-06-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
JP2011186447A (ja) * 2010-02-15 2011-09-22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517732B2 (ja) 2010-05-11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539038B2 (ja) 2010-06-02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06656B2 (ja) * 2010-06-22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420026B2 (ja)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2733547B1 (en) 2011-07-14 2020-04-0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hous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5420025B2 (ja)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WO2013008955A1 (ja) 2011-07-14 2013-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HUE047660T2 (hu) * 2011-08-19 2020-05-28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Festéktartály
JP5911275B2 (ja) 2011-11-29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808233B2 (ja) 2011-11-29 2015-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55679B2 (ja) 2011-12-27 201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04690B2 (ja) * 2012-03-21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3187534A1 (ja) 2012-06-15 2013-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053404B2 (ja) 2012-06-15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920070B2 (ja) * 2012-07-09 2016-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62273B2 (ja) 2012-07-09 2016-08-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57078B2 (ja) 2012-09-04 2017-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202911B2 (ja) 2012-09-07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693678B2 (ja) 2012-09-10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116162B2 (ja) 2012-09-10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66841B2 (ja) 2012-09-10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56045A (ja) 2012-09-11 2014-03-27 Canon Inc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980061B2 (ja) 2012-09-11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16254B2 (ja) 2013-01-11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202820B2 (ja) 2013-01-11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182733B2 (en) 2013-02-07 2015-11-10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282149B2 (ja) 2013-06-05 2018-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及び現像装置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160325B2 (ja) * 2013-07-19 2017-07-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像担持体カートリッジ
JP6338460B2 (ja) 2013-08-20 2018-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092226A (ja) 2013-10-01 2015-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粉体搬送機構、紛体搬送方法、現像剤収納容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376749B2 (ja) 2013-12-06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381222B2 (ja) 2014-02-18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671997B2 (ja) 2015-02-05 2020-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感光体ユニット、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598468B2 (ja) 2015-02-16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552212B2 (ja) 2015-02-16 2019-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EP3825771B1 (en) 2015-02-27 2023-07-19 Canon Kabushiki Kaisha Drum unit, cartridge and coupling member
JP6873604B2 (ja) 2015-06-05 2021-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WO2017142099A1 (en) 2016-02-18 2017-08-24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L3470931T4 (pl) 2016-06-14 2024-01-15 Canon Kabushiki Kaisha Wkład procesowy oraz tworzące elektrofotograficzny obraz urządzenie
CN108333901B (zh) * 2017-01-18 2023-12-22 江西亿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驱动组件及包含该驱动组件的处理盒
CN115993761A (zh) * 2017-06-15 2023-04-21 佳能株式会社 盒与电子照相图像形成装置
JP7058992B2 (ja) 2017-12-13 2022-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WO2019117317A1 (ja) 2017-12-13 2019-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627780B2 (en) 2018-01-23 2020-04-21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047541B2 (ja) * 2018-03-30 2022-04-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N110161825A (zh) * 2019-06-03 2019-08-23 珠海市拓佳科技有限公司 处理盒
CN111103781A (zh) * 2019-12-16 2020-05-05 佛山普瑞威尔科技有限公司 一种粉盒硒鼓机构和打印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4472A (ja) * 1988-03-25 1989-09-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66662A (ja) * 1991-03-01 1993-03-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本体に着脱可能な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
JPH06186798A (ja) * 1992-12-17 1994-07-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286509A (ja) * 1995-04-19 1996-11-0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950224A (ja) * 1995-08-04 1997-02-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1869A (ja) * 1989-03-24 1990-10-09 Toshiba Corp 電子写真記録装置
JP3317994B2 (ja) * 1992-04-03 2002-08-26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ユニット
JP2877729B2 (ja) 1994-04-28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ャッタ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877728B2 (ja) 1994-04-28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15940A (ja) 1994-04-28 1996-01-19 Canon Inc 現像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35342B2 (ja) * 1994-05-16 2001-12-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多色画像形成装置
US5768658A (en) 1995-07-21 1998-06-1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de member,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402860B2 (ja) 1995-07-31 2003-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893006A (en) 1995-07-31 1999-04-0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detect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US6070029A (en) 1995-07-31 2000-05-30 Canon Kabushiki Kaisha Coupling member,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JP3869901B2 (ja) 1996-03-05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950049A (en) 1996-03-05 1999-09-0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JP3869903B2 (ja) 1996-03-05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67036B2 (ja) * 1996-05-31 2003-01-1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
JP3332818B2 (ja) 1996-08-29 2002-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接続端子の接続方法
JP3413173B2 (ja) * 2000-01-05 2003-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20707B2 (ja) * 2000-01-19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34410B2 (ja) * 2000-02-04 2010-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89338B2 (ja) 2000-03-31 2011-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546218B2 (en) 2000-03-31 2003-04-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4472A (ja) * 1988-03-25 1989-09-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66662A (ja) * 1991-03-01 1993-03-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本体に着脱可能な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
JPH06186798A (ja) * 1992-12-17 1994-07-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286509A (ja) * 1995-04-19 1996-11-0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950224A (ja) * 1995-08-04 1997-02-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66697B2 (ja) 2004-09-15
EP1231523A2 (en) 2002-08-14
US6681088B2 (en) 2004-01-20
DE60236038D1 (de) 2010-06-02
EP1231523A3 (en) 2006-09-06
EP1231523B1 (en) 2010-04-21
CN1369750A (zh) 2002-09-18
JP2003167499A (ja) 2003-06-13
KR20020066228A (ko) 2002-08-14
CN1214299C (zh) 2005-08-10
US20020110386A1 (en) 2002-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881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부재를 감광드럼에서 분리하는 분리 기구
US679567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eaturing switchable, contact and spaced, clutch-operated developing units
US865523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969725B1 (ko)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584617B1 (ko)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7272341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158735B2 (en) Process cartridge, mounting method of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and replacing method of the photosensitive drum
US670452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tachable cleaning unit
US20050265746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071808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20020064667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사진 감광 드럼, 전자사진 화상형성 장치 및 컬러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2009003174A (ja) 画像形成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感光体ユニット
JP2006292868A (ja) 画像形成装置
KR20180054024A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3754923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270222B1 (ko) 현상 장치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608067B1 (ko) 감광드럼 및 이를 구비한 현상 카트리지와 화상형성장치
KR101812076B1 (ko) 화상형성장치
JP2003084559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71734A (ja) 画像形成装置
US2013010728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454920B2 (en) Support assembly for supporting toner cartridge to be mounted or detached
JP200509179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162417U (ja) 画像形成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感光体ユニット
JP437839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