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125B1 -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125B1
KR100446125B1 KR10-2001-0050530A KR20010050530A KR100446125B1 KR 100446125 B1 KR100446125 B1 KR 100446125B1 KR 20010050530 A KR20010050530 A KR 20010050530A KR 100446125 B1 KR100446125 B1 KR 10044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nsor array
microcomputer
micom
arr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793A (ko
Inventor
김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1-0050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125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60Q9/007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to an obstacle, e.g. varying s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comprising special mechanical means for correcting the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particular driving conditions, e.g. change of lane; scann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선단 및 후미에 다수의 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센서들과 마이콤간에 연결된 신호 전송선에 의한 신호 왜곡으로 인해 센서나 마이콤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는 차량 선단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져 차량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어레이부와, 차량 후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져 차량 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제 2 센서 어레이부와, 상기 제 1 센서 어레이부를 제어하는 제 1 마이콤과, 상기 제 1 마이콤과 CAN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고 상기 제 1 마이콤에 보다 상기 제 2 센서 어레이부쪽에 근접되어 상기 제 2 센서 어레이부를 제어하는 제 2 마이콤과, 상기 각 센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가 물체를 감지하였을 경우 감지결과를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Device for sensing front and rear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 후방 시계(視界)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감지 범위의 확대에 따른 신호 전송선의 길이 증가에 기인한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여 차량의 성능을 개선시키는데 적당하도록 한 차량의 전, 후방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고 있거나 후진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진 주행의 경우에는 운전자의 주위 집중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 확실한 시계를 확보할 수가 있으나, 특히 차량 후방의 시계를 확보하기란 쉽지가 않으며, 따라서 후진 시에는 운전자가 백미러(Back Mirror)를 통해 후방을 감시하거나 직접 운전자가 후방을 바라보면서 차량을 후진하게 된다.
특히, 대형 차량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볼 수 없는 사각지대는 더욱 넓어져서 후방의 사물이나 후방에서 놀고 있는 어린아이를 미처 발견하지 못하여 사고 발생이 다반사로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미에 감시 카메라를 장착하여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후미 환경을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통해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른 바, 백-아이(Back-Eye)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백-아이 시스템은 단지 차량의 후방만을 감지하는데 그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전방 및 코너(Corner)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의 구성도를 도 2에 도시하였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는 차량의 선단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된 제 1 센서 어레이부(21)와, 상기 차량의 후미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된 제 2 센서 어레이부(23)와, 상기 차량내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제 2 센서 어레이부(21,23)를 제어하는 마이콤(25)과, 상기 마이콤(25)의 제어하에 상기 제 1, 제 2 센서 어레이부(21,23)에 의한 감지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27) 및 제 1, 제 2 센서 어레이부(21,23)가 동작하여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물체(사람이나 물건)가 감지되었을 때,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2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콤(25)은 대개가 차량의 운전석 근처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제 1 센서 어레이부(21) 및 제 2 센서 어레이부(23)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센서들은 와이어(Wire)를 통해 마이콤과 연결된다.
상기 제 1 센서 어레이부(21)를 구성하는 복수의 센서들은 차량 선단의 중앙부 및 양쪽 코너부근에 각각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하고, 발생된 초음파가 피드백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전방에 물체의 유무를 감지한다.
일 예로, 제 1 센서 어레이부(21)를 구성하는 복수의 센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센서는 마이콤(25)으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마이콤(25)은 디스플레이부(27)를 제어하여 물체를 감지한 센서가 어느 센서인지를 화면을 통해 문자나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경고음발생부(29)를 제어하여 경고음을 발생한다.
참고로, 차량의 후미에 설치된 제 2 센서 어레이부(23)에 의한 동작도 전술한 동작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들이 차량의 선단 및 후미에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은 차량의 어느 한 쪽에 설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센서들과 마이콤을 연결하는 와이어(Wire)의 길이가 길어진다. 더욱이 마이콤이 차량의 운전석쪽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후미에 설치된 센서들과의 거리는 더욱 더 멀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후미의 센서들과 마이콤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의 길이는 더욱 더 길어지며 특히, 대형 차량의 경우에는 그 길이는 더욱 증가할 수밖에 없다.
여기서, 와이어의 길이가 길어진다는 것은 그 만큼 노이즈에 민감하게 됨을 의미하고 노이즈에 민감하다는 것은 신호 왜곡이 발생할 소지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신호의 왜곡으로 인해 센서가 오동작하게 되며 나아가 마이콤에까지도 영향을 미쳐 시스템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오동작이 일어나 결국 차량의 성능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와이어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차량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며, 차량의 설계에 있어서 와이어의 길이를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만큼 설계마진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센서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각각의 센서와 마이콤을 연결하는 와이어의 길이로 인해 발생되는 와이어간의 신호 왜곡으로 인한 센서의 오동작을 제거하여 차량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는 차량 선단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져 차량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어레이부와, 차량 후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져 차량 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제 2 센서 어레이부와, 상기 제 1 센서 어레이부를 제어하는 제 1 마이콤과, 상기 제 1 마이콤과 CAN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고 상기 제 1 마이콤에 보다 상기 제 2 센서 어레이부쪽에 근접되어 상기 제 2 센서 어레이부를 제어하는 제 2 마이콤과, 상기 각 센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가 물체를 감지하였을 경우 감지결과를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백-아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의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에 따른 CAN프로토콜의 물리계층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에 따른 CAN프로토콜의 데이터 링크층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에 따른 CAN프로토콜의 데이터 프레임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제 1 센서 어레이부 53 : 제 1 마이콤
55 : 제 2 센서 어레이부 57 : 제 2 마이콤
59 : CAN버스 61 : 디스플레이부
63 : 경고음 발생부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는 각 센서들과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콤과의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차량의 선단에 설치된 센서들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차량의 후미에 설치된 센서들을 제어하는 마이콤을 별도로 분리시킨다.
그리고 각 마이콤 사이에는 CAN버스를 구성하여 CAN이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을 행함으로써, 와이어의 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신호 왜곡으로 인한 센서 및 마이콤의 오동작을 방지하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마이콤간의 통신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CAN(Controller Area Network)이라고 하는 프로토콜(Protocol)을 이용하는 바, CAN프로토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SI계층 구조에서 물리 계층은 최하위 계층으로서 장치와 장치간의 물리적 접속을 처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송 매체, 접속장치, 신호 전달 방식 등 물리적 연결에 관한 사항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CAN 프로토콜의 물리 계층의 내용은 도 3a와 같다.
한편, 데이터 링크층은 물리적 케이블로 연결된 두 개의 스테이션(Station) 사이에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방식, 전송 에러의 검출 및 처리, 상황에 따른 데이터의 흐름 조절 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CAN 프로토콜의 데이터 링크층의 내용은 도 3b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에 따른 CAN프로토콜의 데이터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SOF(Start of Frame), Arbitration Field, Control Field, Data Field, CRC Field, ACK Field 및 EOF(End of Frame)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SOF는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로서 1bit가 할당되며, 아비트레이션 필드(Arbitration Field)에는 총 12Bits가 할당되는데, 그 중에서 11Bits는 데이터 송신처의 ID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나머지 1비트는 RTP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Arbitration Field에 데이터 송신처의 ID정보를 실어주는 이유는 CAN버스(BUS)에 실린 데이터들이 서로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RTP(Remote Transmission Request)는 임의의 데이터 송신처에서 임의의 다른 ECU에게 특정한 데이터를 요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이러한 경우 데이터 송신처에서는 프레임의 Arbitration Field의 RTP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를 "1"로 설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Control Field에는 총 6bits가 할당되는데, 그 중에서 4bits는 다음에 연속되는 Data Field의 데이터(Data) 길이(length)를 나타내고, 나머지 2bits는 예비 비트이다. 이후에 설명하겠지만 데이터는 최대 8Bytes까지 할당되기 때문에 Control Field의 DLC(Data Length Code)는 최소한 4bits가 요구된다.
상기 Data Field에는 최대 8bytes까지 할당되는데,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Data Field에 할당되는 bytes의 수가 가변되는 관계로 Data Field에 실린 데이터의 길이가 어느 정도인지를 전단의 Control Field의 DLC 정보로 나타낸다.
상기 CRC Field에는 16bits가 할당되는데, CRC Field에는 네트워크 상에서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본래의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데이터가 각각의 CAN버스를 통해 다른 ECU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에러 체크용 데이터가 실린다. 즉, CRC Field에 특정 데이터를 실어 놓음으로써,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 ECU는 상기 CRC Field에 실린 데이터와 본래의 데이터를 조합하여미리 정해진 데이터와 일치하면 수신된 데이터에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만일 일치하지 않으면 본래의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ACK Field에는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알 수 있는 정보가 실리게 되는데, 실제로 임의의 데이터 송신처에서 특정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프레임을 CAN 버스에 실어 주면, 상기 CAN버스에 연결된 모든 ECU는 현재 CAN 버스에 실린 데이터가 자신에게 필요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하여, 필요한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상기 CAN 버스에 실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데이터를 수신한 ECU는 데이터 송신처에서 출력된 데이터 프레임의 ACK Field에 자신이 데이터를 수신하였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실어줌으로써, 상기 데이터 송신처가 똑같은 데이터를 계속해서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즉, 임의의 데이터 송신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CAN버스에 실린 후 다시 자신에게 피드백(Feedback)되는데, 피드백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ACK Field에 실린 정보를 토대로 똑같은 데이터를 재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프레임의 끝을 알리는 EOF(End of Frame)에는 1bits가 할당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 데이터 형태로 마이콤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며,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의 구성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는 차량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 선단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지는 제 1 센서 어레이부(51)와, 상기 제 1 센서 어레이부(51)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마이콤(53)과, 상기 차량 후방의 물체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 후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지는 제 2 센서 어레이부(55)와, 상기 제 2 센서 어레이부(55)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마이콤(57)과, 상기 제 1 마이콤(53)과 제 2 마이콤(57)이 CAN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CAN버스(59)와, 상기 제 1 센서 어레이부(51) 및 제 2 센서 어레이부(55)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 1 마이콤(53)의 제어하에 이를 운전자에게 문자 또는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해 주는 디스플레이부(61) 및 각 센서들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었을 경우 상기 제 1 마이콤(53)의 제어하에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마이콤(53)과 제 2 마이콤(57)은 각각의 센서들로 제어신호, 전원전압(Vcc) 및 접지전압(GND)을 출력하고, 각 센서들은 해당 마이콤으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 2 마이콤(57)은 제 2 센서 어레이부(55)를 구성하는 각각의 센서들 중 임의의 어느 한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센서의 위치정보를 CAN버스(59)를 통해 제 1 마이콤(53)으로 출력한다.
한편, 제 1 마이콤(53)은 제 1 센서 어레이부(51)를 구성하는 센서들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CAN버스(59)를 통해 제 2 마이콤(57)으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 2 마이콤(57)이 제 2 센서 어레이부(55)를 구성하는 센서들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제 1 마이콤(53)은 제 1 센서 어레이부(51)의 각 센서들의 고장 확인 결과와 제 2 마이콤(57)에서 CAN버스(59)를 통해 전송되어 온 제 2 센서 어레이부(55)의 각 센서들의 고장 확인 결과를 취합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61)를 통해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한다.
한편, 센서들은 적어도 차량 선단의 중앙 및 좌, 우측과 차량 후미의 중앙 및 좌, 우측에 설치함으로써, 최대한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을 위해 기어를 드라이브(D) 위치로 이동시키면, 제 1 마이콤(53)은 현재 차량이 전방을 향해 주행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제 1 센서 어레이부(51)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센서들을 동작시킴과 동시에 제 2 마이콤(57)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 2 마이콤(57)으로 하여금 제 2 센서 어레이부(55)의 각 센서들이 동작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제 1 마이콤(53)은 기어의 위치에 따라 제 1 센서 어레이부(51)와 제 2 센서 어레이부(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는 차량이 전방을 향해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후미에 설치된 제 2 센서 어레이부(55)가 동작할 아무런 이유가 없고, 반대로 차량이 후진하고 있을 경우에는 전방에 설치된 제 1 센서 어레이부(51)가 동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력 소모 및 센서의 수명을 위해서도 불필요한 센서 어레이부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제 1 마이콤(53)과 통신을 통해 현재 차량이 전방을 향해 주행할 것이라는 정보를 받은 제 2 마이콤(57)은 차량의 후방을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후미에 설치된 제 2 센서 어레이부(55)의 복수의 센서들이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에, 차량이 전방을 향해 주행하고 있는 도중에 차량의 선단에 설치된 제 1 센서 어레이부(51)를 구성하는 복수의 센서들 중에서 어느 한 센서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었을 경우, 상기 해당 센서는 감지신호를 제 1 마이콤(53)으로 출력한다.
이에, 제 1 마이콤(53)은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센서가 어느 위치에 설치된 센서인지를 파악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61)를 통해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문자나 그래픽 형태로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경고음 발생부(63)를 제어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한편, 운전자가 차량의 후진을 위해서 기어를 후진(Rear)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제 1 마이콤(53)은 차량의 선단에 설치된 제 1 센서 어레이부(51)의 모든 센서들이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현재 차량이 후진할 것이라는 정보를 CAN버스(59)를 통해 제 2 마이콤(57)으로 전송한다.
이에, 제 2 마이콤(57)은 차량의 후미에 설치된 제 2 센서 어레이부(55)의 각 센서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이때, 차량의 후진 시 제 2 센서 어레이부(55)를 구성하는 복수의 센서들 중 어느 한 센서가 물체를 감지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해당 센서는 감지신호를 제 2 마이콤(57)으로 출력한다. 이에, 제 2 마이콤(57)은 감지신호를 보내오는 센서의 위치를 파악한 후, 이를 CAN버스(59)를 통해 제 1 마이콤(53)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 1 마이콤(53)은 제 2 마이콤(57)에서 보내온 정보를 토대로 디스플레이부(6)를 제어하여 물체가 파악된 위치를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문자나 그래픽 형태로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경고음 발생부(63)를 제어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한편, 제 1 마이콤(53)이나 제 2 마이콤(57)은 각각의 센서들을 일정한 시간 간격 또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의 고장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하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즉, 운전자의 선택 시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제 1 마이콤(53)은 제 1 센서 어레이부(51)를 구성하는 각각의 센서들로 센서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CAN버스(59)를 통해 제 2 마이콤(57)으로 정보를 전송하여 제 2 마이콤(57)이 제 2 센서 어레이부(55)를 구성하는 각각의 센서들로 센서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출력토록 한다.
이에, 제 1 마이콤(53)은 제 1 센서 어레이부(51)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센서들 중 고장난 센서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만일 고장난 센서가 있다면 어느 위치에 설치된 센서인지를 파악한다. 또한, 제 2 마이콤(57)은 제 2 센서 어레이부(55)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센서들 중에서 고장난 센서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고장난 센서가 있다면 어느 위치에 설치된 센서인지를 파악한 다음 이에 대한 정보를 CAN버스(59)를 통해 제 1 마이콤(53)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 1 마이콤(53)은 상기 제 2 마이콤(57)으로부터 보내온 정보와 제1 센서 어레이부(51)의 각 센서들의 고장 여부 및 고장 위치 확인 정보를 취합하여 전체적인 센서의 고장 여부 및 고장 위치를 디스플레이부(61)를 통해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문자나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량의 선단에 위치한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과 차량의 후미에 위치한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을 별도로 구성하고, 각 마이콤간에는 CAN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각 센서들과 마이콤간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신호 왜곡으로 인한 센서 및 마이콤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차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별도의 마이콤을 구성함으로써, 와이어의 길이를 짧게 가져감으로서 와이어 배치에 따른 설계마진을 확보할 수 있어 설계가 용이하다.
셋째, 와이어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차량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7)

  1. 차량 선단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져 차량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어레이부;
    차량 후미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져 차량 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제 2 센서 어레이부;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제 1 센서 어레이부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한 후 제 1,2 센서 어레이부의 고장 유무 판별용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마이콤;
    상기 제 1 마이콤과 CAN프로토콜을 통해 테스트 신호 및 차량의 진행방향 신호를 받아 제 2 센서 어레이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함은 물론 고장유무를 판별한 후 제 2 센서 어레이부에 의해 이루어진 물체감지신호를 제 1 마이콤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제 2 센서 어레이부에 근접 설치되는 제 2 마이콤; 및,
    상기 제 1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제 1,2 센서 어레이부내의 센서들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 의해 물체가 감지될 때 그 감지결과는 물론 제 1,2 센서어레이부의 고장유무를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후방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선단 및 후미에 위치하는 제 1,2 센서 어레이부내 어느 하나의 센서가 물체를 감지할 때 그 감지결과를 운전자가 인식하도록 제 1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후방 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센서 어레이부의 물체 감지결과는,
    제 2 마이콤을 통해 CAN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제 1 마이콤이 전달받은 후, 상기 제 1 마이콤의 제어를 받는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후방 감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이콤은,
    제 1 마이콤으로부터 테스트 신호를 받아 제 2 센서 어레이부내 센서들의 고장유무를 판별한 후 그 결과와, 상기 제 2 센서 어레이부내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물체감지결과를 CAN프로토콜 통신을 통해 제 1 마이콤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후방 감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어레이부는 차량의 전방 주행을 위해 기어를 드라이버 위치로 변속할 경우 그 변속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마이콤에 의해 온 동작 제어되고, 차량의 후진을 위해 기어를 후진 위치로 변속할 경우 그 변속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마이콤에 의해 오프 동작으로 제어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2 센서 어레이부는 차량의 후진을 위해 기어를 후진 위치로 변속할 경우 그 변속신호를 제 1 마이콤으로부터 전달받는 제 2 마이콤에 의해 온 동작 제어되고, 차량의 전방 주행을 위해 기어를 드라이버 위치로 변속할 경우 그 변속신호를 제 1 마이콤으로부터 전달받는 제 2 마이콤에 의해 오프 동작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후방 감지장치.
KR10-2001-0050530A 2001-08-22 2001-08-22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 KR10044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530A KR100446125B1 (ko) 2001-08-22 2001-08-22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530A KR100446125B1 (ko) 2001-08-22 2001-08-22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793A KR20030016793A (ko) 2003-03-03
KR100446125B1 true KR100446125B1 (ko) 2004-08-30

Family

ID=2772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530A KR100446125B1 (ko) 2001-08-22 2001-08-22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1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8563A (en) * 1982-11-11 1985-07-09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Rearward obstruction sens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4931930A (en) * 1988-04-19 1990-06-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utomatic parking device for automobile
JPH04221245A (ja) * 1990-12-21 1992-08-11 Hino Motors Ltd 車間距離警報装置
US5281949A (en) * 1991-09-20 1994-01-25 C.A.R.E., Inc. Vehicular safety sensor and warning system
JPH1166493A (ja) * 1997-08-27 1999-03-09 Nissan Motor Co Ltd 自動駐車装置
JP2000172996A (ja) * 1998-12-03 2000-06-23 Aisin Aw Co Ltd 運転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8563A (en) * 1982-11-11 1985-07-09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Rearward obstruction sens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4931930A (en) * 1988-04-19 1990-06-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utomatic parking device for automobile
JPH04221245A (ja) * 1990-12-21 1992-08-11 Hino Motors Ltd 車間距離警報装置
US5281949A (en) * 1991-09-20 1994-01-25 C.A.R.E., Inc. Vehicular safety sensor and warning system
JPH1166493A (ja) * 1997-08-27 1999-03-09 Nissan Motor Co Ltd 自動駐車装置
JP2000172996A (ja) * 1998-12-03 2000-06-23 Aisin Aw Co Ltd 運転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793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7022B2 (en) Reliable data transmission with reduced bit error rate
EP1987405B1 (en) Auto-address multi-sensor network
US4939725A (en)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US10838906B1 (en) Communication between transceiver and microcontroller
JPH05236560A (ja) 通信装置
US5309436A (en)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for vehicles
US20060031016A1 (en) Obstacle detecting apparatus
KR100446125B1 (ko) 차량의 전, 후방 감지장치
KR20100076479A (ko) 충돌 경보 시스템 및 충돌 경보 시스템 제어방법
KR101953566B1 (ko) 차량 실내 침입 감지 방법 및 장치
JP2000300816A (ja) パチンコ機の制御装置
JPH0944798A (ja) 駐車場在車管理装置
KR200452418Y1 (ko) 자동차의 후방감지센서 배선 연결장치
JP2023183810A (ja) エンコーダ配線の障害検出装置
JP4387523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JP3816643B2 (ja) 断線監視システム
US20210287457A1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JP2933972B2 (ja) 車両用多重伝送装置
KR100272828B1 (ko) 분산 및 집중 제어방식을 이용한 차량의 랜 장치
JP2004178081A (ja) エンコーダシステム
JPH08275269A (ja) 多重伝送システム
JPH0614530Y2 (ja) 車両用電装品制御装置
JP3088200B2 (ja) 多重通信装置
JP3088201B2 (ja) 多重通信装置
KR101151214B1 (ko) 센서 전자제어장치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