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896B1 - 화상 형성 장치를 위한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유닛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를 위한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896B1
KR100425896B1 KR10-2001-0053791A KR20010053791A KR100425896B1 KR 100425896 B1 KR100425896 B1 KR 100425896B1 KR 20010053791 A KR20010053791 A KR 20010053791A KR 100425896 B1 KR100425896 B1 KR 100425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orce
supply container
toner
image form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8965A (ko
Inventor
야마다유우스께
반유따까
다자와후미오
미나가와히로노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66733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24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627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351204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8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8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 F16D1/112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the interengaging parts comprising torque-transmitting surfaces, e.g. bayonet j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10T428/24017Hook or barb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 기구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력 인가부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구동력 인가부에 대해 결합 및 해제를 하는 구동력 인가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상기 구동력 수용부에는 표면 체결구가 구비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를 위한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유닛{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IMAGE FORMING UN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전 기록형 또는 전자 사진형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와 구동력 수용 부재 사이의 구동 트랜스미션 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기계등의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와 구동력 수용 부재 사이의 구동 트랜스미션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복사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는, 현상제, 즉 미세한 토너 분말이 사용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토너가 다 소모되었을 경우, 토너 공급 용기(토너 보충 용기)를 사용하여 주 조립체로 토너가 공급된다.
토너는 매우 미세한 입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토너가 보충될 때 토너 공급 용기는 토너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에 위치되고 토너는 공지된 바와 같이 작은 개구를 통해 조금씩 배출된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토너가 중력에 의해 쉽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토너 이송 기구가 요구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보 제7-113796호는 예를 들어, 이러한 용도를 위한 토너 이송 기구가 제공된 토너 공급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토너 배출을 허용하기 위해 비교적 작은 개구가 외주연면의 일부에 형성된다. 용기의 내부에는, 용기의 단부 벽을 통해 용기의 외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는 나선형 토너 이송 부재가 제공된다.
토너 공급 용기는 사용시 장치의 주 조립체 내부에 유지되고, 토너는 장치의 주 조립체 측에 의해 토너 이송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이송되어서, 토너는 개구를 통해 조금씩 배출된다.
한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7-44000호는 토너 이송 수단이 제공된 토너 공급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는 원통 병의 형태이고, 그 내측면에는 나선형 돌출부가 제공되며, 용기의 일 단부의 중심부에 인접하여 작은 토너 배출 개구가 제공된다.
앞선 예와는 대조적으로, 토너 용기의 내부에 어떠한 이송 부재도 제공되지 않는다. 토너 공급 용기는 사용시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위치되고, 용기의 주 본체 자체가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서, 토너가 외부로 이송된다.
상기 예들 중 어느 것에서든, 토너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여 용기의 주 본체 또는 이송 부재를 구동시킴으로써 배출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구동 전달 수단들이 있다. 예를 들어, (1) 기어부가 토너 병의 외측면 상에 제공되어 토너 병이 회전되도록 구동력과 결합하는 구동 기어와 맞물림 결합하거나, (2) 회전 구동을 위한 돌출부가 토너 병의 단부면 상에 제공되어 돌출부가 회전되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구동부 내에 제공된 리세스와 결합되거나, (3) 돌출부 대신에, 리세스가 토너 병의 단부면 상에 제공되어 돌출부가 회전되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구동부 상에 제공된 돌출부와 결합된다.
그러나, 여기에는 해결되어야 할 몇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1) 첫 번째 경우, 토너 병이 주 조립체 속으로 삽입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구동 기어부가 병의 외측면 상에 제공되는 기어부와 적절히 결합될 것이 요구되고, 이 작업은 사용자의 세심한 주의를 요구하며, 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로드를 가한다. 기어들 사이의 결합에 의한 토너 용기의 회전은 토너 병의 측방향 편차를 유도하는 힘을 생성하고, 토너 병의 편차는 정확한 회전을 막는다. 이러한 편차를 방지하기 위해서, 토너 병 전체면이 둘러싸이고 지지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되면, 토너 병의 장착 및 해제는 쉽지 않게 되고, 또한 공급 시스템을 위한 구조가 복잡해져서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2) 두 번째 및 세 번째 경우, 토너 병의 단부면의 돌출부(리세스)가 주 조립체 구동부의 리세스(돌출부)와 결합될 때, 토너 병의 회전 방향으로의 위치설정이 요구된다. 이는 사용자에게 로드를 가하기 때문에 공급 작동 성능을 저하시킨다. 작은 편차조차도 적절한 구동 트랜스미션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부적절한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서, 토너 병의 외측면 상에 인덱싱을 위한 안내 리브가 제공되거나 또는 회전 작동이 적절한 결합을 위해 제어될 수도 있다. 이는 공급 시스템의 비용 및 복잡성을 증대시킬 것이다.
돌출부와 리세스 사이의 결합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커플링 구동 트랜스미션은 삽입시 토너 병과 주 조립체 구동부 사이에 상 편차가 있는 경우 탄성적으로 수축가능하고, 주 조립체 구동부는 상 정렬시 정상 위치를 취한다. 이러한 구조로서, 병의 회전 상이 주 조립체 구동부의 상과 정렬되지 않더라도, 병이 회전될 때 조만간 적절한 결합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주 조립체 구동부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주 조립체 구동부의 수축을 허용하도록 주 조립체의 소형화에 대항하여 부수적인 공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구동력이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력 인가부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의 구동력 수용부로 전달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구동력이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력 인가부로부터 화상 담지 부재의 구동력 수용부로 전달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구동력이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력 인가부로부터 구동력 수용 부재의 구동력 수용부로 전달될 수 있는 구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력이 현상제 수용 장치의 구동력 인가부로부터 현상제 용기의 구동력 수용부로 전달될 수 있는 구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력이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력 인가부로부터 화상 형성 유닛의 구동력 수용부로 전달될 수 있는 구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복사기)의 주 조립체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2는 전자 사진 복사기의 사시도.
도3은 토너 용기 교환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전자 사진 복사기 속에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사시도.
도5는 구동 전달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6은 토너 공급 용기의 밀봉 부재의 측면도.
도7은 도6의 A방향에서 본 도면.
도8은 도6에 도시된 장치의 정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구동 전송부의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구동 전송부의 측면도.
도11은 표면 체결구 및 밀봉 부재 사이를 연결한 예의 사시도.
도12는 표면 체결구 및 밀봉 부재 사이를 연결한 예의 사시도.
도13은 표면 체결구 및 밀봉 부재 사이를 연결한 예의 사시도.
도14는 표면 체결구의 다른 예의 측면도.
도15는 표면 체결구의 다른 예의 측면도.
도16은 표면 체결구의 다른 예의 측면도.
도17은 표면 체결구의 다른 예의 측면도.
도18은 표면 체결구의 다른 예의 측면도.
도19는 표면 체결구의 다른 예의 측면도.
도20은 표면 체결구의 다른 예의 측면도.
도21은 표면 체결구의 배열 패턴을 도시한 정면도.
도22는 표면 체결구의 배열 패턴을 도시한 정면도.
도23은 표면 체결구의 배열 패턴을 도시한 정면도.
도24는 전자 사진 복사기의 정면도.
도25는 전자 사진 복사기의 측면도.
도26은 토너 용기 교체 커버가 개방된 전자 사진 복사기의 평면도.
도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작동(장착 개시)을 도시한 측면도.
도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작동(삽입 중)을 도시한 측면도.
도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작동(장착 작동 완료시)을 도시한 측면도.
도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체결구를 위한 분리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체결구를 위한 분리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32는 표면 체결구를 위한 분리 수단의 다른 예의 측면도.
도33은 표면 체결구를 위한 분리 수단의 다른 예의 측면도.
도34는 표면 체결구의 배치(환형 배열)의 예의 사시도.
도35는 표면 체결구의 배치(분할 배열)의 예의 사시도.
도36은 표면 체결구의 배치(배출 개구)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37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종단면 구조 개략도.
도38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의 개략 종단면도.
도39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외관의 사시도.
도4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부의 사시도.
도41은 주 조립체 측 표면 체결구 및 카트리지 측 표면 체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42는 주 조립체 측 표면 체결구 및 카트리지 측 표면 체결구의 측면 개략도.
도43은 개방 및 폐쇄 커버가 폐쇄될 때의 장치의 주 조립체의 구동 전송 수단의 평면도.
도44는 커버가 폐쇄될 때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표면 체결구 구동 전송 수단의 정면도.
도45는 커버가 개방될 때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표면 체결구 구동 전송 수단의 평면도.
도46은 커버가 개방될 때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표면 체결구 구동 전송 수단의 정면도.
도4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사시도.
도48은 토너 공급 용기의 구동 전송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49는 토너 공급 용기의 밀봉 부재의 정면도.
도50은 A 방향(A)으로 볼 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밀봉 부재의 도면 및 B 방향(B)으로 볼 때의 도면.
도51은 밀봉 부재의 정단면도.
도52는 실시예 3에 따른 구동 전송부 및 구동력 수용부를 위한 표면 체결구의 사시도.
도53은 표면 체결구의 확대 정면도.
도54는 체결구를 위한 분리 기구의 측면도.
도55는 체결구를 위한 분리 기구의 다른 예의 측면도.
도56은 체결구를 위한 분리 기구의 다른 예의 측면도.
도57은 구동 전송부를 위한 체결구 수단의 사시도.
도58은 토너 공급 용기의 밀봉 부재의 정면도.
도59는 A방향(A)으로 볼 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밀봉 부재의 도면 및 B방향(B)으로 볼 때의 도면.
도60은 밀봉 부재의 정단면도.
도61은 토너 공급 용기의 구동 전송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6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사시도.
도6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사시도.
도64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와 토너 공급 용기 사이의 결합의 모든 예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65는 밀봉 부재에 제공된 돌출부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66은 밀봉 부재에 제공된 돌출부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토너 공급 용기
15 : 커버
50 : 용기 홀더
101 : 원본
100 :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102 : 원본 배치 플래튼
103 : 광학부
104 : 광전도성 드럼
105, 108 : 카세트
109 : 종이 운반부
110 : 레지스터 롤러 쌍
111 : 전송 대전기
112 : 분리 대전기
113 : 운반부
114 : 고착 스테이션
115 : 역진부
116 : 배출 롤러 쌍
117 : 배급 트레이
118 : 플래퍼
119, 120 : 재공급 패스
201 : 현상 스테이션
202 : 세척 스테이션
203 : 대전 스테이션
이하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1에서, 전자 사진 복사기, 즉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가 장착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그의 구조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도면에서, 도면 부호 100은 (이하에서 장치 주 조립체라 언급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101은 원본 배치 플래튼(102)에 위치된 원본을 나타낸다. 그 결과, 원본의 광화상은 복수개의 거울(M) 및 광학부(103)의 렌즈(Ln)의 조합을 통해 광전도성 드럼(104) 상에 형성된다. 도면 부호 105 내지 108은 카세트를 나타낸다. 이러한 카세트(105 내지 108) 내의 층들에 배치된 (이하에서 "종이"라 언급될) 상이한 기록 매체(P) 중에서, 도2에 도시된 제어 패널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또는 원본(101)의 종이 사이즈에 가장 적절한 종이(P)는 카세트(105 내지 108)의 종이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기록 매체의 선택은 종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OHP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종이(P)는 다수의 카세트 중 하나로부터 장치의 주조립체로 공급되고, 대응 시트 공급/분리 장치(105A, 106A, 107A, 108A) 및 종이 운반부(109)에 의해 레지스터 롤러 쌍(110)으로 운반된다. 레지스터 롤러 쌍(110)은 광전도성 드럼(104)의 회전과 광학부(103)의 스캐닝 시간과 동시에 종이(P)를 내놓는다. 도면 번호(111, 112)는 각각 전송 대전기 및 분리 대전기이다. 광전도 드럼(104)의 주연 표면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송 대전기(111)에 의해 종이(P) 상에 전송된다. 다음으로, 토너 화상이 전송된 종이(P)는 분리 대전기에 의해 광전도 드럼(104)으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으로, 종이(P)는 운반부(113)에 의해 고착 스테이션(114)으로 운반된다. 고착 스테이션(114)에서, 종이(P) 상의 토너 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해 종이(P)에 고착된다. 화상 형성 장치가 단일측 모드에 있을 때, 종이(P)는 역진부(115)를 통해 보내지고, 배출 롤러 쌍(116)에 의해 배급 트레이(117)로 배출된다. 양측 모드에 있을 때, 종이(P)는 역진부(115)에 있는 플래퍼(118)를 제어하여 재공급 패스(119, 120)를 통해 레지스터 롤러 쌍(110)으로 보내진다. 다음으로, 단일측 모드일 때, 종이(P)가 놓이는 화상 형성로를 통한 후에 배급 트레이로 배출된다.
다중층 모드에 있을 때, 종이(P)는 역진부(115)를 통해 보내지고, 배출 롤러 쌍(116)에 의해 장치 밖으로 부분적으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플래퍼(118)를 통과한 후에도 종이의 후단부가 배출 롤러 쌍(116)에 의해 여전히 지지되는 동안, 배출 롤러 쌍(116)은 플래퍼(118)가 제어되는 것과 동일한 시간에 역으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종이(P)는 장치의 주조립체(100)로 다시 보내진다. 다음으로, 종이는 운반부(119, 120)를 통해 레지스터 롤러 쌍(110)으로 다시 운반되고, 단일측 모드일 때 종이(P)가 보내지는 것과 동일한 패스를 통해 배급 트레이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주조립체(100)에서 현상 스테이션(201), 세척 스테이션(202), 최초 대전 스테이션(203) 등은 광전도 드럼(104) 주위에 배치된다. 현상 스테이션(201)은 토너를 사용하여 광전도 드럼(104)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장치의 주조립체(100)에는 현상 스테이션(201)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 용기(1)가 제공된다. 토너 공급 용기(1)는 사용자에 의해 장치의 주조립체(100)로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현상 스테이션(201)은 토너 호퍼(201a)와 현상 장치(201b)를 갖는다. 토너 호퍼(201a)에는 교반 부재(201c)가 제공된다. 교반 부재(201c)에 의해 교반된 후, 토너는 자석 롤(201d)에 의해 현상 장치(201b)로 보내진다. 현상 장치(201b)는 현상 롤러(201f)와 토너 운반 부재(201e)를 갖는다. 자석 롤(201d)에 의해 토너 호퍼(201a)로부터 토너 운반 부재(201e)로 보내진 후, 토너는 토너 운반 부재(201e)에 의해 현상 롤러(201f)로 보내진 후, 토너는 광전도 드럼(104)에 공급된다.
세척 스테이션(202)은 광전도 드럼(104) 상에 잔류하는 토너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최초 대전기(203)는 광전도 드럼(104)을 대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2에 도시된 토너 공급 용기를 교체하기 위한 외부 커버의 일부분인 커버(15)(이하 용기 배치 커버로 지칭됨)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개방될 때, 용기 홀더(50)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시스템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당겨진다. 토너 공급 용기(1)는 상기 용기 홀더(50) 상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장치의 주조립체(100)로부터 토너 공급 용기(1)를 제거할 때, 사용자는 용기 홀더(50)를 당긴 후에 용기 홀더(50) 상의 토너 공급 용기(1)를 제거한다. 용기 배치 커버(15)는 토너 공급 용기(1)를 장착 및 탈착(교환) 하기 위해 지정된 커버이다. 따라서, 이것은 토너 공급 용기(1)를 장착 및 탈착하기 위해서만 개폐된다. 장치의 주조립체(100)의 보수는 전방 커버(100c)를 개방하여 수행된다.
용기 홀더(50)의 제공은 필수적이 아니다.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치의 주조립체(100)로 직접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다음으로,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제1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도4는 토너 공급 용기의 상기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5는 그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해 토너 용기의 구동력 전달부의 단면도이다.
(토너 공급 용기)
(이하에서 종종 토너 병으로 지칭되는) 토너 공급 용기(1)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토너 병(1)의 주요 구조보다 직경이 작은 토너 출구(1a)를 갖고, 토너 병(1)의 단부 벽 중 하나의 외부 표면의 대략의 중심으로부터 돌출한다. 토너 출구(1a)에는 토너 출구(1a)의 밀봉을 위해 밀봉 부재가 제공된다. 밀봉 부재(2)는 토너 출구(1a)를 개폐하기 위해 토너 병(1)의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다. 밀봉 부재(2)의 단부에는 토너 공급 용기 측부(3)가 제공되는데, 토너 병(1)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2편의 표면(표면 대 표면) 체결구 중 하나는 주조립체 측부(30)와 결합하고, 2편의 표면 체결구(30) 중 다른 하나는 후속하여 기술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의 구동부(20; 도9)의 표면에 부착된다. 표면 체결구(3, 30)의 2개의 측부(3, 30)의 형상은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먼저, 토너 병(1)의 내부 구조가 기술된다.
토너 병(1)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에 내에 대략 수평적으로 배치된다. 장치의 주조립체(100)로부터 회전력을 수용하여 회전하도록 구조되어 있다.
토너 병(1)은 그 내부 표면상에 나선 리브(1c)를 갖는다. 토너 병(1)이 회전함에 따라, 그 안의 토너는 병(1)의 축방향으로 나선 리브(1c)를 따라 운반되고, 토너 병(1)의 한 단부에 위치한 토너 출구(1a)로부터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 병(1)의 모양 및 내부 구조에 관해서는 특별한 요구 조건이 없다. 다시 말해, 토너 병(1)의 회전에 의해 그 안의 토너가 토너 출구(1a)로부터 배출되는 한, 토너 병(1)의 모양 및 내부 구조는 문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요지는 토너 병(1)이 구동될 때 그 안의 토너가 배출되는 토너 공급 용기 또는 토너 병(1)에 표면 체결구의 2측부 중 하나가 제공되고, 표면 체결구의 상기 측부(3)는 토너 병(1)의 구동력 수용부에 부착된다. 따라서, 토너 병(1)의 구조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토너 병의 구조와 같이 토너 병(1)의 내부 표면에 나선 리브(1c)가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나선 리브(1c)와는 다르게 구조되어도 된다.
도4는 일반적으로 구조된 토너 병, 즉 나선 리브(1c)가 배치된 토너 병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 병(1)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의 종류는 본 실시예의 회전 구동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병 안의 토너가 토너 출구(1a)로부터 적절히 배출되는 한, 토너 병(1)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에 관해서는 특별한 요구 조건이 없다. 토너가 적절히 배출되는 한, 예컨대, 토너 공급 용기 또는 토너 병(1)은 진동, 발진 또는 임의의 다른 구동 수단으로 구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관해서, 토너 공급 용기 또는 토너 병(1)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100)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여 회전할 때 그 안의 토너를 적절히 배출하도록 구조되는 한, 임의의 구동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토너 공급 용기는 회전 구동, 발진 또는 진동될 수 있다.
토너 병(1)의 주요 구조(1A)에는 토너 출구(1a) 및 구동 샤프트(1b)가 제공된다. 토너 출구(1a)는 토너 병의 주요 구조(1A)의 단부 벽 중 하나에 부착되고, 구동 샤프트(1b)는 상기 토너 병의 주요 구조(1A)와 일체이고 토너 출구(1a)를 통해 외부로 돌출한다. 구동 샤프트(1b)는 축선에 대해 토너 출구(1a)와 대략 일치하고, 밀봉 부재(2)의 구멍(2a)에 끼워맞춤된다.
구동 샤프트(1b)는 밀봉 부재(2)에 의하여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토너병 주 구조물(1A)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1b)에는 구동 샤프트(1b)가 토너병 주 구조물(1A)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단면이 주어진다. 구동 샤프트(1b)의 단면은 정사각형, H자 또는 D자 등의 형상이다. 더욱이, 구동 샤프트(1b)는 토너병 주 구조물(1A)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다.
(밀봉 부재)
다음으로,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밀봉 부재(2)가 설명된다. 도6은 밀봉 부재(2)의 정면도이고, 도7은 도6의 화살표(A)에 의해 표시된 방향에서 본 밀봉 부재(2)의 평면도이다. 도8은 밀봉 부재(2)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밀봉 부재(2)의 단면도이다.
도6 내지 도8에서, 도면 부호 2b는 밀봉 부재(2)가 토너 공급 용기(1)의 토너 출구(1a)를 해제 가능하게 밀봉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밀봉부를 표시한다. 밀봉부(2b)의 외경은 토너 출구(1a)를 밀봉하도록 적절한 양만큼 토너 출구(1a)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밀봉부(2b)가 토너 출구(1a) 내로 가압되면, 토너 공급 구멍, 즉 토너 출구(1a)의 구멍이 기밀 밀봉된다.
밀봉 부재(2)는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밀봉 부재(2)가 받는 구동력이 구동 샤프트(1b)로 전달되도록 구동 샤프트(1b)가 끼워지는 구멍(2a)을 구비한다. 이 구멍(2a)의 축선은 밀봉 부재(2)의 축선과 일치한다. 구멍(2a)은 밀봉부(2b) 및 밀봉 부재(2)의 결합부(2c)를 통해 연장된다. 구멍(2b)의 단면은 구동 샤프트(1b)와 형상이 동일하고, 구동 샤프트(1b)의 크기보다 약간 더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1b)는 구멍(2a) 내에 헐겁게 끼워진다. 특히, 구멍(2a) 및 구동 샤프트(1b)의 단면은 다각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사각형이다.
구동 샤프트(1b)가 구멍(2a) 내에 헐겁게 끼워지므로, 토너병 주 구조물(1A)과 밀봉 부재(2)는 토너병 주 구조물(1A)의 회전 방향에서는 서로에 대해 로킹되고 그들의 축방향에서는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된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가 토너 공급 장치 내로 장착되면, 밀봉 부재(2)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토너병 주 구조물(1A)로부터 분리되어 토너 출구 구멍을 밀봉 해제(개방)할 수 있다.
구멍(2a)과 구동 샤프트(1b)가 그들의 축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결합하는 길이는 밀봉 부재(2)가 토너병 주 구조물(1A)로부터 분리될 때 구동 샤프트(1b)가 구멍(2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밀봉 부재(2)가 토너병 주 구조물(1A)로부터 분리되더라도, 구동 샤프트(1b)는 밀봉 부재(2)를 통해 구동력을 받을 수 있다.
밀봉 부재(2)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지만, 수지 재료가 아닌 다른 재료로 사출 성형이 아닌 다른 제조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밀봉 부재는 단일편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호 결합된 다부품으로 성형될 수 있다. 더욱이, 밀봉 부재(2)는 토너 출구(1a) 내로 가압되어 토너 출구(1a)를 기밀 밀봉하는 데 적당한 양의 탄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밀봉 부재(2) 재료로서 가장 양호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또는 직선 고리 폴리아미드, 즉 나일론,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이 사용되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표면 체결구의 구조)
다음으로,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측(3) 구조가 설명된다.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측(3)은 토너 공급 용기(1)의 구동력 수용부를 구성하고, 토너 공급 장치의 구동력 전달부(30)로부터 구동력을 받는다.
본 발명의 표면 체결구의 형상에 있어서, 표면 체결구는 두 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체결 수단을 의미하고, 두 측면들의 각각의 작용 표면은 다수의 작은 탄성 변형 가능한 돌출부(3a, 스템)를 가지며 두 측면들은 그들 중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돌출부에서 서로에 대해 결합 가능하고, 또는 표면 체결구는 그러한 체결 수단의 두 측면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도 있다. 특히, 작용 표면의 각각의 돌출부(3a)는 스템부(3a1)와 헤드부(3a2)를 포함한다. 돌출부(3a)의 헤드부(3a2)는 스템부(3a1)보다 직경이 크고, 스템부(3a1)에 대향한 측면 상에서 반원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수단의 두 측면들이 작용 표면 대 작용 표면으로 서로에 대해 가압되면, 일 측면의 작용 표면상의 돌출부가 타 측면의 작용 표면상의 돌출부와 로킹된다.
돌출부(3a)는 기부(3z)와 일체이거나 또는 기부(3z)에 일체식으로 부착된다. 기부(3z)는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 형태이다. 그러나, 기부(3z)의 형태는 디스크 형태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기부의 형태가 중공 원추형일 수도 있다. 기부(3z)가 중공 원추 형상일 때 구동 측면 상의 돌출부(3a)가 중공 원추의 외측면 상에 있으면, 피구동 측면 상의 돌출부(3a)는 중공 원추의 내측면 상에 있을 것이고, 반대도 가능하다.
표면 체결 수단의 본질적인 특징의 일 태양에 있어서,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측(3)의 작용 표면과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측(30)의 작용 표면은 위에서 설명된 다수의 돌출부(3a)를 구비한다. 따라서, 표면 체결 수단의 두 측면(3, 30)들이 두 작용 표면들이 서로 대면한 채로 서로에 대해 가압되면, 두 측면(3, 30)들은 서로에 대해 확실하게 접합되어 큰 인장 해제력을 갖는 표면 체결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각각의 돌출부(3a)가 매우 작지만 두 세트의 다수의 돌출부(3a)들이 서로 결합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다른 한편으로, 표면 체결 수단의 두 측면(3, 30)들을 분리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할 모든 것은 표면 체결 수단의 일 측면의 각각의 돌출부(3a)를 단지 타 측면의 적은 개수의 돌출부(3a)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하는 것이며, 이는 작은 힘만을 필요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표면 체결 수단은 표면 체결 수단의 두 측면들이 쉽게 연결 또는 분리된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표면 체결 수단의 본질적인 특징의 다른 태양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체결 수단이 결합 수단으로 사용될 때 결합 수단은 수형 측면 및 암형 측면을 포함하는종래의 커플링에 의해 요구되는 커플링의 두 측면들 사이의 회전 위상 동기화를 요구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이는 표면 체결 수단 또는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수단의 각각의 측면의 작용 표면이 구비한 다수의 매우 작은 탄성 변형 가능한 돌출부(3a)들이 작용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두 세트의 다수의 돌출부들이 두 측면들, 즉 서로에 대해 확실하게 접합된 두 측면들 사이의 회전 위상 동기화에 무관하게 서로에 대해 결합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장치 주 조립체 내의 토너병(1)을 새로운 토너병(1)으로 교체할 때, 사용자는 교체 토너병(1)의 회전 위상을 고려하지 않고서 교체 토너병(1)을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세팅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토너병(1)을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력 전달부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면 체결 수단을 채용하는 것은 장치의 작동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키며, 회전 위상 동기화 등으로부터 야기되는 결합 실패를 제거한다.
표면 체결 수단의 토너 공급 용기측(3)은 밀봉 부재(2)의 단부에 부착되어,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력 전달부의 단부에 부착된 표면 체결 수단의 주 조립체측(30)과 결합한다. 토너 공급 용기측은 밀봉 부재(2)를 통해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토너병(1)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면 체결 수단의 토너 공급 용기측(3)이 밀봉 부재(2)의 단부에 부착되었지만, 표면 체결 수단의 이러한 측부(3)는 도11에 도시된 것처럼 밀봉 부재(2)의 일부로서 성형될 수 있다. 더욱이, 표면 체결 수단의 이러한 측면(3)은 도12에 도시된 것처럼 표면 체결 수단의 이러한 측면(3)의 후방면과 밀봉 부재(2)의 표면 사이에 접착 부재(3b)를 개재시킨 채로 밀봉 부재(2)의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토너 공급 용기 측면(3)은 전술된 방법 외에, 예를 들어 작은 나사, 볼트 등의 소정의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밀봉 부재(2)의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표면 체결구 양 측면(3, 30)의 돌출부(3a) 구조에 관하여 도14 내지 도20에 도시된 여러 가지 형태 외에도, 버섯 모양의 헤드와 스템을 포함하는 전술된 돌출부(3a) 및 임의의 이러한 구성들이 채용될 수 있다. 도14에서, 체결 수단은 한 세트의 다수의 후크(3d; 수형 측면)와 한 세트의 다수의 루프(3e; 암형 측면)의 조합이고, 도 15에서, 체결 수단은 절두 피라미드형을 형성하는 두 세트의 다수의 돌출부(3f)의 조합이다. 도16에서, 체결 수단은 스템부와 단부 부분이 반구형이고 기부 부분은 절두 콘형인 헤드부를 갖는 두 세트의 다수의 돌출부의 조합이고, 도17에서, 체결 수단은 두 세트의 다수의 엇갈리게 위치된 후크(3d) 및 루프(3e)의 조합이다. 또한, 체결 수단은 도18에 도시된 대로 두 세트의 다수의 T자형 돌출부이거나, 도19에 도시된 대로 두 세트의 다수의 물마루(crest of a wave)형 돌출부이다. 또한, 체결 수단은 구형 헤드부와 스템부를 포함하는 두 세트의 상당한 수의 돌출부의 조합이다. 다시 말하면, 표면 체결부의 체결 기구의 구조에는 특정한 요구가 없고, 표면 체결부의 체결 기구는 소정의 이용에 따라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표면 체결부 전체의 치수 및 그 체결 기구 구성 요소의 치수에 특정한 요구도 없다. 본 발명을 고려하는 한은, 체결 기구가 도14 내지 도20에 도시된 두 세트의 돌출부의 구조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17에 도시된 대로 엇갈리게 위치된 한 세트의 상당한 수의 후크(3d) 및 루프(3e)의 조합과 같이, 체결 기구는 돌출부 구조가 상이한 두 세트의 상당한 수의 돌출부 및 도19에 도시된 대로 파정(crest wave)형인 한 세트의 상당한 수의 돌출부의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된 설명으로 명백하듯이, 돌출부 구조 및 돌출부 구성에는 특정한 요구가 없다. 다시 말하면, 서로 밀봉되게 접합된 체결 기구의 2개의 측면에 관한 한은, 돌출부의 형태로써 임의의 형태가 채용될 수 있고, 표면 체결구의 체결 기구의 2개의 측면은 구조, 돌출 형태, 돌출 혼합물 등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채결 기구의 유동 구동력 수용면은 채결 기구의 구동력 전송면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도14를 참조하여, 후크(3d)를 갖는 체결 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면(3)은 체결 기구의 구동 측면으로써 이용될 수 있고, 사용 중에, 루프(3e)를 갖는 체결 기구의 주조립체 측면(30)은 종동 측면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스템) 배열은 일 측면의 돌출물이 다른 측면의 대응 돌출부와 결합하는 곳에서 돌출물의 방향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어서, 표면 체결구는 인장 분리력의 지향성이 감소되거나, 장력 분리력이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다시 말하면, 드러스트 또는 표면 체결구의 방사상 방향에 대한 표면 체결구의 인장 분리력은 돌출부 배열의 변화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는 도21에 도시된 평행 직선, 도22에 도시된 평행 곡선, 도23에 도시된 동심선 등의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표면 체결구의 인장 분리력이 증가될 필요가 있을 경우, 이는 돌출부 밀도의 증가만을 갖는다. 대향하는 두 세트의 표면 체결구의 돌출부는 돌출부의 배열이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대향하는 두 세트의 돌출부는 도21 및 도22, 도22 및 도23, 또는 도21 내지 도23에 도시된 대로 각각의 돌출부 배열이 상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대향하는 두 세트의 돌출부가 표면 체결구의 인장 분리력이 증가할 때 서로 부드럽게 맞물리는 것을 허용하도록 높이 그리고/또는 형태에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돌출부 형태 또는 돌출 배열에 대하여 토너 병을 위한 표면 체결구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면(3)의 돌출부의 길이는 0.5 내지 5.0mm의 범위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mm의 범위로 설계된다. 돌출부(3a)의 직경은 0.1 내지 2.0mm의 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mm의 범위에서 구성된다.
전술된 표면 체결구용 재료에 대해서는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를 함유한 재료가 바람직하고, 그것을 위한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사출 성형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술된 것 이외의 재료 및 제조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결합 또는 분리될 때,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면(3) 및 주장치 측면(30)은 적당한 양의 탄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polyolefin) 수지, 나일론(공업용)과 같은 폴리아미드(polyamid) 수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 등과 같은 수지를 함유한 재료가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면(3) 및 주장치 측면(30)용 재료로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토너 공급 용기 교환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실제로 토너 보틀(1) 내의 전체 토너는 화상 형성을 통해 소모되기 때문에, 실제로 토너 보틀(1)의 빈 상태는 장치 주조립체(100)의 토너 공급 용기 빔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되고, 이용자는 실제로 토너 공급 용기 내의 토너가 비었다는 액정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토너 공급 용기(1)는 이용자에 의해 교환된다. 교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2, 도24 및 도25를 참조하여, 폐쇄된 커버가 토너 공급 용기의 교환을 위해 개방된다. 폐쇄된 커버는 도3 내지 도26에 도시된 힌지(18) 주위의 파선의 윤곽선에 위치되도록 회전된다. 커버(15)가 개방됨에 따라, 토너 보틀(1)은 도28에 표시된 화살표와, 토너 공급부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커버(15)의 이동에 링크되어 이동되고, 이는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토너 보틀(1)이 개방됨에 따라 제거되는 토너 공급 용기(1)의 토너 출구(1a)로부터 분리된 곳에 위치된 밀봉 부재(2; 도29)가 토너 보틀(1)을 폐쇄하면서 토너 출구(1a) 내로 가압된다(도28).
다음에, 내부 토너가 고갈된 장치 주조립체(100) 내의 토너 보틀(1)은 이용자에 의해 도28에 표시된 화살로 나타낸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장치 주조립체(100)로부터 빠진다. 그후에, 새로운 토너 공급 용기(1)가 이용자에 의해 도27에 U/Ua로 나타낸 방향으로 장치 주조립체(100) 내로 삽입되고, 커버(15)가 폐쇄된다. 커버(15)가 폐쇄됨에 따라, 새로운 토너 보틀(1)의 밀봉 부재(2)는 토너 출구(1a)를 개방하는 토너 출구 개방/폐쇄 수단에 의해 토너 보틀 주 구조(1A)로부터 분리된다. 전술된 것은 토너 공급 용기 교환 과정이다.
(토너 교환 과정의 상세한 설명)
다음에, 도27 내지 도29를 참조하여, 장치 주조립체가 본 발명에 대한 토너 공급 용기의 이러한 실시예로부터 토너를 재 공급하는 과정이 설명될 것이다. 도27 내지 도29는 각각 화상 형성 장치가 본 발명에 대한 토너 보틀(1)을 장치 주조립체(100)로 삽입함으로써 새로운 토너로 재 공급되는 연속적인 과정의 하나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에서, 도면부호 m은 장치 주 조립체(100) 내에 배치된 모터를 나타낸다. 모터(m)는 매개 기어(21) 쌍을 통하여 토너 공급 병으로 연결되는 구동부(20)를 회전 구동시킨다.
구동부(20)의 단부면은 주 조립체 측(30)에, 즉, 토너 병(1)을 회전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표면 대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에 제공된다.
도29는 토너 병(1)이 장치 주 조립체(100) 내에 삽입되는 연속적인 단계들 중의 하나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단계에서, 토너 병(1)의 선단부에 위치된 토너 출구(1a)는 밀봉 부재(2)로 밀봉된다.
도28은 토너 병(1)과 그 인접물들의 상태를 나타내고, 토너 병(1)은 밀봉 부재(2)의 단부에 위치한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3)이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의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30)과 결합하는 지점에 또한 삽입된다.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3)과 주 조립체 측(3) 간의 이러한 결합은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병을 삽입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토너 병(1)에 인가되는 힘에 의해 발생된다. 특히, 이 상태에서, 토너 병(1)이 삽입됨으로써, 추진 방향(축 방향)에 대해 예정된 위치로 밀봉 부재(2)를 지지하기 위해 유지 부재(22)는 밀봉 부재(2)의 밀봉 부재 위치 결정 홈(2d) 내로 결합되므로, 밀봉 부재(2)의 위치는 추진 방향(축 방향)에 대해 고정된다. 유지 부재(22)는 밀봉 부재(2)의 반경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밀봉 부재(2)가 회전함으로써 홈(2d) 안으로 활주하는 것을 또한 허용하는 장치 주 조립체(100)에 부착된다. 위치 결정 홈(2d)은 (도6의) 밀봉 부재(2)의 원통형 결합부(2c)의 외주면을 포위한다.
도29는 밀봉 부재(2)와 구동부(20)의 결합, 특히,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30)과 토너 공급 용기 측(3)간의 결합 후에 발생된 토너 병(1)과 인접물들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장치 주 조립체(100)의 도시되지 않은 전방 커버가 폐쇄됨으로써, 활주 부재(300)는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후퇴하여 토너 병(1)이 후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밀봉 부재(2)는 토너 병(1)이 내부의 토너를 토출하도록 토너 출구(1a)를 개방된 채로 남겨두고 토너 병(1)으로부터 분리된다. 토너 병(1)의 이러한 이동동안, 토너 병(1)의 주 구조체(1A)에 고정된 구동 축(1b)은 밀봉 부재(2)로부터 완전히 해제되지 않는다. 즉, 구동 축(1b)의 일부가 밀봉 부재(2) 내에 남게 된다. 구동 축(1b)은 단면이 원형이 아니며, 구동 축(1b)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단면을 갖는다. 예컨대, 정사각형 또는 삼각형 단면 등을 갖는다.
모터(m)가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구동됨에 따라,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로부터 밀봉 부재(2)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고, 또한 토너 병(1)의 구동 축(1b)으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토너 병(1)이 회전한다. 즉, 밀봉 부재(2)는 토너 병을 밀봉하고 또한 토너 병(1)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2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토너 병(1)이 4개의 병 지지 롤러(23)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부드럽게 회전하고 회전을 위해 아주 작은 토크만을 필요로 하게 된다. 4개의 병 지지 롤러(23)는 4개의 다른 지점에서 새들과 같은, 토너 병(1)의 주 구조체(1A)를 올려놓는 식으로 일대일로 배치된다. 병 지지 롤러(23)는 장치 주 조립체(100)의 토너 공급 장치에 회전식으로 부착된다. 토너 병(1)이 회전함에 따라, 내부에 저장된 토너가 화상 형성 장치로 공급되고, 토너는 토너 출구(1a)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의 호퍼(201a) 내로 서서히 토출된다.
(분리 방법)
다음으로, 도30 및 도31을 참조하여,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30)으로부터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3)을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토너 공급 작업이 완료된 후, 즉, 토너 병(1)이 비워진 후, 빈 토너 병은 새로운 토너 병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낡은 빈 병을 제거하기 위해, 각각 서로 결합되어 있는 표면 체결구의 토너 용기 측(3)과 구동부 측(30)은 서로 분리되어야 한다.
도30 및 도31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24는 나이프와 같은 형태의 분리 부재를 나타낸다. 이 분리 부재(24)는 장치 주 조립체(100) 내에 배치되고, 양 방향 화살표로 표시된 c 및 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주 조립체 측(30)으로부터 토너 공급 용기 측(3)을 분리하기 위해, 나이프 형태의 분리 부재(24)가 대응부로부터 측(3, 30)의 돌출부(3a)를 연속적으로 개별적으로 해제하도록 c방향으로 측(3, 30) 사이의 접촉면으로 이동하여 표면 체결구의 측(3, 30)이 나이프형 분리 부재(24)에 의해 분리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서로 분리된다. 나이프형 분리 부재(24)의 이동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의 도시되지 않은 커버의 개방/폐쇄 움직임과 연결되어, 전방 커버가 개방됨에 따라 나이프형 분리 부재(24)는 토너 공급 용기 측(3)과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30)을 분리하도록 c방향으로 하강하는 반면, 전방 커버가 폐쇄됨에 따라 나이프형 분리 부재(24)는 d방향으로 이동한다. 더욱이, 장치 주 조립체(100)의 전방 커버의 이동을 나이프형 분리 부재의 이동과 연결시키는 대신에, 추가적인 모터 등이 전방 커버의 이동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나이프형 분리 부재(24)를 이동시키도록 제공되거나 나이프형 분리 부재(24)를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나이프형 분리 부재(24)가 어떻게 이동되는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32 및 도33을 참조하면,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30)과 토너 공급 용기 측(3)을 분리하기 위한 다른 방법이 설명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는 구동부(20)의 후방측상에 배치된 푸시 로드(25)가 제공된다. 이 푸시 로드(25)는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된 E 와 F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30)이 부착된 구동부(20)의 단부벽은 벽의 중앙에 위치한 관통 구멍이 제공된다. 토너 공급 용기 측(3)으로부터 주 조립체 측(30)을 분리하기 위해, 푸시 로드(25)는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조립체 측(30)을 밀어내기 위해 주 조립체 측(30)의기저측으로부터 F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주 조립체 측(30)은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 측(3)을 향해 구형으로 돌출 된다. 주 조립체 측(30)이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므로 주 조립체 측(30)의 돌출부(3a)는 개별적으로 연속적으로 토너 공급 용기 측(3)상의 대응부로부터 해제가 주 조립체 측(30)의 주변으로부터 개시된다. 결과적으로, 주 조립체 측(30)은 토너 공급 용기 측(3)으로부터 분리된다.
명백히,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30)과 토너 공급 용기 측(3)을 분리하기 위한 상술한 두 가지 방법은 조합하여 채택될 수 있다. 두 방법을 조합하여 채택할 경우, 먼저, 주 조립체 측(30)은 토너 공급 용기 측(3)을 향해 주 조립체 측(30)를 반구식으로 구부리도록 푸시 로드(25)에 의해 밖으로 밀어지고, 표면 체결구의 2개의 측(30, 3)은 상술한 나이프형 분리 부재(24)에 의해 분리된다. 따라서, 2개의 측(30, 3)은 보다 부드럽게, 즉, 쉬운 방식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표면 체결구의 2개의 측(3, 30)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해 특별한 필수 조건은 없다. 즉, 상술한 분리 방법 이외의 방법을 채택하더라도 문제가 없음이 명백하다.
(표면 체결구의 위치 설정 및 구조)
다음으로, 도34 내지 도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대 표면의 토너 공급 용기 측(3)의 위치 설정 및 구조가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체결구의 위치 설정 및 구조는 표면 체결구의 2개의 측면 중 하나가 상술한 밀봉 부재(2)의 단부에 접촉되도록 한정될 필요가 없다. 표면 체결구의 2개의 측이 일대일로 부착되는 위치는 토너 병(1)을 구동하기 위한 힘이 토너 병(1)에 전달될 수 있는 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체결구는 도34, 도35 또는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34는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3)이 토너 병(1)의 단부면들 중 하나의 전체를 수직으로 덮는 설계를 도시한다.
도35는 토너 공급 용기 측(3)이 복수의 부품으로 분할되고 복수의 부품이 토너 병(1)의 단부면들 중 하나에 부착되고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분포되는 설계를 도시한다.
도36은 토너 공급 용기 측(3)이 도34 및 도35에서 토너 배출 구멍(1d)이 위치하는 토너 출구(1)의 단부에 부착되고 토너 출구(1a)의 토너 배출 구멍(1d)이 토너 출구(1a)의 측벽에 위치한 설계를 도시한다.
전술한 설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3)이 부착되는 토너 병(1) 상의 위치는 토너 용기 구성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토너 공급 용기 측(3)이 토너 병(1)의 단부면들 중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복수의 부품으로 분할될 때,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30) 또는 장치 주 조립체 측은 도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조립체 측 상의 구동부의 전체 단부면을 실질적으로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실시예 2]
먼저, 도37 내지 도4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그 카트리지가 장착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설명에 순서에 있어서, 먼저 도37 내지 도40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조가 설명되고, 그 다음에 도41 내지 도46을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표면 체결구가 그 구성면에서 설명된다.
(전체 구조)
도37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38은 그 구성의 도시를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39는 그 구성의 도시를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40은 장치 주 조립체 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공간의 사시도이다.
도37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A)(레이저 빔 프린터)에서, 화상 형성 정보로 변조된 레이저 빔은 사진전도성 드럼 상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광학부(103)로부터 전자사진 사진전도성 부재로 투사된다. 이러한 잠상은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토너 화상의 형성과 동조하여, 기록 매체로서 종이(P)는 시트 공급 카세트(31a)로부터 장치 주 조립체로 공급되고 이어서 픽업 롤러(31b), 반송 롤러 쌍(31c), 반송 롤러 쌍(31d), 정합 롤러 쌍(31e) 등을 포함하는 반송 수단(31)에 의해 반송된다. 종이(P)가 반송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에 배치된 전술한 사진전도성 드럼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사 수단으로서 전사 롤러(4)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종이(P)로 전사된다. 그 다음에, 종이(P)는 안내 판(31f)에 의해 안내되면서 정착 수단으로 반송된다. 이러한 정착 수단(5)은 구동 롤러(5a) 및 히터(5b)를 포함하는 정착 롤러(5c)를 포함한다. 종이(P)가 정착 수단(5)을 통해 반송될 때, 토너 화상을 종이(P)에 정착시키기 위해 토너 화상 및 종이(P)에 열 및 압력이 인가된다. 그 다음에, 이 종이(P)는 역전로를 통해 반송되고 방출 롤러 쌍(31g)에 의해 반송 트레이(6)로 방출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종이(P)가 수동 공급 트레이(31i) 및 롤러(31j)의 조합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로 수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사진 사진전도성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수단에 있어서, 전자사진 사진전도성 부재를 대전하는 대전 수단과, 전자사진 사진전도성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전자사진 사진전도성 드럼의 외주면에 잔류한 토너 입자를 제거하는 세척 수단 등이 있다. 도38 및 도39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사진전도성 부재(7), 즉 사진전도성 층을 구비한 전자사진 사진전도성 부재가 회전되고, 사진전도성 드럼(7)이 회전될 때 사진전도성 드럼(7)의 외주면은 대전 롤러(8)에, 즉 대전 수단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고르게 대전된다. 그 다음에, 사진전도성 드럼(7)의 대전된 외주면은 광학부(103)로부터 투사된 광 빔에 노출되고 화상 형성 데이터로 변조된다. 그 결과, 사진전도성 드럼(7)의 외주면에 잠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잠상은 현상 수단(10)에 의해 현상된다.
현상 수단(10)에 있어서, 토너 보유부(10a) 내의 토너는 토너 이동 부재(10b)에 의해 송출되고, 고정 자석(10c)을 포함한 현상 롤러(10d)는 현상 블레이드(10e)에 의해 마찰전기 대전 토너 입자들의 박층을 형성하도록 회전된다. 토너의 박층 내의 토너 입자는 잠상을 반사하는 방식으로 사진전도성 드럼(7)에 전사된다. 따라서, 잠상을 반사하는 토너 화상 또는 가시 화상이 사진전도성 드럼(7)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다. 그 다음에, 사진전도성 드럼(7)의 외주면 상의 토너 화상은 토너 화상에 반대 극성인 전압을 전사 롤러(4)에 인가함으로써 종이(P)에 전사된다. 그 후에, 사진전도성 드럼(7) 상에 잔류한 토너 입자들은 세척 수단(11)에 의해 제거되고, 토너 입자들은 세척 블레이드(11a)에 의해 벗겨지고, 토너 입자 포착 시트(11b)에 의해 포착되며, 제거된 토너 입자 수집소 내로 수집된다.
다양한 부품, 예를 들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진전도성 드럼은 토너를 보유하는 토너 용기(12b)와, 현상 롤러(10d)와 같은 현상 부재를 보유하는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2b)과, 세척 수단 보유 프레임(12c)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프레임 내에 배치된다. 특히, 현상 수단이 배치된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2b)은 현상 유닛을 형성하는 토너 용기(12b)에 용접된다. 사진전도성 드럼(7) 및 세척 수단(11) 등은 세척 유닛을 형성하는 세척 수단 보유 프레임(12c)에 부착된다. 그 다음에, 현상 유닛은 세척 유닛과 결합되는데, 세척 유닛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형성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3)의 카트리지 장착 수단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장착 수단에 있어서, 커버(14)가 축(14a)을 중심으로 개방될 때,카트리지 장착 공간이 노출되고, 그 장착 공간에서 카트리지 안내 부재(32)가 도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하나씩 좌우측 벽에 부착된다(도40은 카트리지 장착 공간의 측벽들 중 단지 하나만을 도시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안내하기 위해 좌우측 카트리지 안내 부재(32) 각각에는 안내부(32a)가 제공된다. 안내부(32a)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장치(A) 내로 삽입되고 안내부(32a)에 의해 안내된 카트리지(B)의 프레임의 길이방향 단부들로부터 수직으로 보스가 돌출 된다. 그 다음에, 커버(14)가 폐쇄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B) 내에 적절하게 설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A) 내로 삽입될 때, 카트리지 측 상의 표면 체결구 부재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측 상의 표면 체결구 부재와 결합하고, 사진전도성 부재(7)가 장치 주 조립체(13)로부터 구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게 한다.
(구동력 전달부의 구성)
다음으로, 구동력 전달 수단의 구성, 즉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3)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구의 구성이 설명된다.
도41 및 도42를 참조하면, 광도전성 드럼(7)에는 카트리지 체결구, 즉 광도전성 드럼(7)의 한 단부에 부착되는 표면 체결구의 카트리지 측면(3)이 제공된다.
반면에,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에는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이 제공된다. 주 조립체 측면 상의 이러한 체결구 부품(30)은 구동축(1b)에 대해 위치 설정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3)로 삽입됨에 따라,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의 축방향 선은 광도전성 드럼(7)의 선과 정렬된다. 이러한 구동 축(1b)으로, 회전력이 모터(19)의 피니언 기어(33)로부터 전달 기어(34)를 통해 전달된다.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은 이러한 구동축(1b)의 단부에 부착된다.
도42를 참조하면, 피니언 기어(33)처럼 헬리컬 기어인 전달 기어(34)는 구동축(1b)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헬리컬 기어의 비틀린 각은 구동축(1b)이 화상 형성을 위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달 기어(34)를 화살표 Ua/U로 표시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트러스트(thrust)가 발생되게 한다. 따라서, 전달 기어(34)와 일체로 형성된 구동축(1b)은 광도전성 드럼(7)에 대하여 가압되어, 상기 구동축(1b) 주위로 끼워지는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이 광도전성 드럼(7) 상에 위치 설정되는 표면 체결구의 드럼 측면(3)과 결합하도록 한다.
또한, 도41 및 도42를 참조하면, 주 조립체 측면 상에서 구동축(1b)과 정렬하는 광도전성 드럼(7)의 정확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과 표면 체결구의 드럼 측면(3)에는 그 중심에 각각 위치 설정되는 정렬 축(30a)과 정렬 홀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표면 체결구의 드럼 측면(3)이 부착되는 드럼 플랜지(16)에는 중앙 홀(3h)이 제공되고,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의 정렬 축(30a)은 표면 체결구의 드럼 측면(3)의 중앙 홀을 통해 드럼 플랜지(16)의 정렬 홀(3h)로 끼워지게 된다. 또한, 드럼 플랜지(16)는 우묵한, 원통형 광도전성 드럼(7) 안으로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정렬축(30a)의 회전축 또는 결합 돌출부 및 중앙 홀(3h) 또는 결합 리세스는 장치 주 조립체 측면의 구동력 전달부의 회전축 및 토너 병(1)의 구동력 수용부와 일치한다. 그 대신에, 정렬 및 결합을 위한 리세스와 정렬 및 결합을 위한 돌출부는 장치 주 조립체 측면 및 토너 병 측면 상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적 배열들 중의 하나의 제공으로, 양 측면들은 높은 정확도로 서로 정렬되어, 구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양 측면들 사이의 결합이 방해되는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광도전성 드럼(7)은 확실하고 정확하게 회전 구동될 수 있다. 구조적 정렬의 이러한 형태는 구동력을 매우 높은 정도의 회전 정확도가 요구되는 광도전성 드럼 등으로 전달하기 위해 구동력 전달부로 적용될 때 특히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적 정렬은 상술한 구동력 전달 수단과 다른 다양한 구동력 전달 수단뿐만 아니라 제1 실시예에 관하여 상술한 토너 병(1)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도44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3)에는 커버(14a)에 부착되는 체결구 해제 부재(35)가 제공된다. 표면 체결구 해제 부재(35)는 원통형 만곡부를 갖고 축(14a)에 대해 회전한다. 체결구 해제 부재(35)의 단부는 팁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캠부(35a)를 구성한다. 따라서, 도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4)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제거하도록 개방됨에 따라, 캠부(35a)는 도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로 표시된 방향으로 전달 기어(34)를 이동시키면서 벽(36)과 전달 기어(34) 사이로 들어간다. 그 결과, 구동축(1b)과 상기 구동축(1b)에 부착된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은 벽(36)으로부터 이격되어,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부드럽게 제거되도록 광도전성 드럼(7)에 부착된 표면 체결구의 드럼 측면(3)으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제1 및 제2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사용한 토너 공급 용기를 새 것과 교체하기 위한 작업 중에, 과거와 같이 회전축과 회전 상(phase)의 관점에서, 새로운 토너 공급 용기를 장치 주 조립체와 정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새로운 토너 공급 용기를 화상 형상 장치의 주 조립체로 위치시키고 장치의 전방 커버를 닫으면, 토너 공급 용기는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부와 결합하여 토너 재공급 효율을 매우 향상시키면서 토너 공급을 위한 준비가 마련된다.
(2) 구동력을 토너 공급 용기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면 체결구의 사용은 토너 공급 용기의 구동력 수용부가 토너 공급 용기를 장치 주 조립체로 간단하게 삽입함으로써 간단하고 확실하게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력 전달부와 결합되게 한다. 따라서, 종래에 발생되던 이러한 결합 실패는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너 재공급을 보장하는 신뢰도 높은 토너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3) 토너 공급 용기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사이의 구동력 전달부로서 표면 체결구의 사용은 회전축 방향의 관점에서 구동력 전달부의 두께를 매우 감소시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내부 공간의 절약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크기 감소에 기여한다.
(4) 토너 공급 용기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표면 체결구의 사용은 종래의 커플링에 의해 요구되는 돌출부를 갖춘 부재와 리세스를 갖춘 부재의 조합과 같은 복잡한 구조적 배열을 제거한다. 따라서, 이는 토너 공급 용기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의 비용 감소에 실질적으로 기여한다.
(5) 토너 공급 용기에 대한 본 발명의 전술된 효과는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화상 형성 장치 본 조립체 사이의 구동력 전달에도 사실이다.
(6) 화상 형성 장치는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도47 및 도4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가 설명된다.
도47은 이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예의 사시도이다. 도48은 토너 공급 용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2)에는 격벽(2e), 즉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측(3)을 둘러싸는 식으로 직각으로 돌출하여 표면 체결구로부터 나온 작은 편들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원형 벽이 제공된다. 이 구조적인 배열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이 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다른 구조적인 배열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고, 설명될 것이다.
(밀봉 부재)
다음으로, 도49 내지 도51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2)가 설명될 것이다. 도49는 이의 축방향 선에 직각인 방향으로부터 보여지는 밀봉 부재(2)의 도면이다. 도50a 및 도50b는 도49의 화살표(Ua/U 및 b)로 지시된 방향으로부터 보여지는 밀봉 부재(2)의 도면이다. 도51은 이의 축방향 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밀봉 부재(2)의 단면도이다.
도49 내지 도51에서, 참조 부호 2b는 토너 출구(1a)를 해제 가능하게 밀봉하기 위해서 토너 공급 용기(1)의 토너 출구(1a) 속으로 끼워지는 밀봉부를 나타낸다. 이 밀봉부(2b)의 외직경은 토너 출구(1a)의 구멍의 내직경보다 적절한 양만큼 크도록 설정된다. 밀봉부(2b)가 토너 출구(2b)의 토너 배출 구멍 내로 가압됨에 따라 밀봉 부재(2)는 토너 출구(2b)의 토너 배출 구멍을 기밀식으로 밀봉한다.
밀봉 부재(2)에는 밀봉 부재(2)가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수용하는 구동력이 구동 샤프트(1b)로 전달되도록 구동 샤프트(1b)가 끼워지는 구동력 전달 수단으로써 구멍(2a)이 제공된다. 이 구멍(2a)의 축방향 선은 밀봉 부재(2)의 것과 일치한다. 구멍(2b)은 밀봉 부재(2)의 커플링부(2c)와 밀봉부(2b)를 통해서 연장한다. 구멍(2b)의 단면은 구동 샤프트(1b)와 형상이 동일하고, 구동 샤프트(1b)보다 약간 큰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1b)는 구멍(2a) 내로 느슨하게 끼워진다.
구동 샤프트(1b)가 구멍(2a) 내로 느슨하게 끼워지기 때문에, 바닥 주 구조체(1A) 및 밀봉 부재(2)는 이들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되는 것이 이동되는 동안 토너 병 주 구조체(1A)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체결된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는 토너 공급 장치에 장착될 때,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2)는 토너 출구 구멍을 밀봉해제(개방)하기 위해서 바닥 주 조립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멍(2a) 및 구동 샤프트(1b)가 이들 축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는 길이는 밀봉 부재(2)가 토너 병 주 조립체(1A)로부터 분리될 때 구멍(2a)으로부터 구동 샤프트(1b)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밀봉 부재(2)가 토너 병 주 조립체(1a)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도, 구동 샤프트(1b)는 밀봉 부재(2)를 통해서 구동력을 수용할 수 있다.
비록 전술된 구조는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었지만, 구동 샤프트 및 구동 샤프트 결합 구멍은 밀봉 부재측 및 토너 병 주 조립체측에도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비록 밀봉 부재(2)는 압출 성형에 의해서 플라스틱 같은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수지 재료이외의 재료와 압출 성형이외의 제작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일편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결합되는 다중편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2)는 밀봉 토너 출구(1a)를 기밀식으로 밀봉하기 위해서 토너 출구(1a) 내로 가압되도록 적절한 양의 탄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저 밀도 폴리에틸렌이 밀봉 부재(2)의 재료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또는 직선 고리형 폴리아미드, 즉 나이론(상표명),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이 원하는 결과로 사용될 수 있다.
(표면 체결구의 구조)
다음으로 도52 및 도53을 참조하여 표면 체결구 요소(3)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52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력 전달부와 토너 공급 용기의 구동력 수용부 사이의 표면 체결구의 확대도이고, 도53은 토너 공급 용기의 표면 체결구의 단면도이다.
표면 체결구 요소(3)는 토너 공급 용기(1)의 구동력 수용부를 구성하고, 토너 공급 장치의 구동력 전달부의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측(30)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체결구의 한정에 대해, 이는 다수의 작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돌출부를 갖는 납작한 작용 표면을 갖는 두 측부를 포함하고, 이들 돌출부는 양측을 서로 결합한 채로 유지하기 위해서 연결 수단의 대향 요소 상에 대응부로 잠겨지게 되고 작용 표면 대 작용 표면으로 서로 일 측에서 타측으로 가압함에 의해서 작용 표면 대 작용 표면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능성 표면의 각 돌출부(3a)는 스템부(3a1) 및 헤드부(3a2)를 포함한다. 돌출부(3a)의 헤드부(3a2)는 스템부(3a1)보다 직경이 크고, 스템부(3a1)의 대향 측면 상에서, 반구형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연결 수단의 두 측면은 서로에 대하여 기능성 표면 대 기능성 표면으로 압박하기 때문에, 한 측면의 기능성 표면의 돌출부는 다른 측면의 기능성 표면의 돌출부와 맞붙는다.
도53을 참조하여, 각 돌출부(3a)는 스템부(3a1) 및 스템부(3a1)보다 외부 직경이 큰 헤드부(3a2)를 포함한다. 헤드부(3a2)는 스템부(3a1)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구형의 곡률이 주어진다. 주 조립체 측면 상의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은 그것이 기부(30z) 및 다수의 돌출부(30a)를 갖는다는데 있어서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면(3)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돌출부(30a)의 헤드부(30a2)는 돌출부(30a)의 스템부(30a1)보다 외부 직경이 더 크다.돌출부(3a, 30a)는 기부(30z)와 일체이거나, 기부(3z, 30z)에 각각 일체로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부(3z, 30z)는 디스크와 같은 형상이다. 그러나, 기부(3z, 30z)의 형상은 디스크 형상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그것은 중공 원뿔의 형상일 수도 있다. 기부(3z, 30z)가 중공 원뿔로 형성될 때, 구동 측면 상의 돌출부(30a)가 중공 원뿔의 외부 측면 상에 있다면, 구동 측면 상의 돌출부(3a)는 중공 원뿔의 내부 측면에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표면 대 표면 체결 수단의 필수적인 특징의 일 태양으로서, 비록 각 돌출부(3a, 30a)가 매우 작을지라도, 두 세트의 다수의 돌출부(3a, 30a)는 서로, 전체로서, 다량의 인장 이탈력을 제공하며, 결합한다. 한편, 표면 대 표면 체결 수단의 두 측면을 분리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모든 것은 작은 힘만을 필요로 하며, 다른 측면의 오직 적은 수의 돌출부(30a, 3a)로부터 표면 대 표면 체결 수단의 한 측면의 각 돌출부(3a, 30a)를 개별적으로 그리고 순서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이다. 다른 말로, 표면 대 표면 체결 수단은 표면 대 표면 체결 수단의 두 측면이 매우 쉽게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표면 대 표면 체결 수단의 필수적인 특징 중 다른 태양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대 표면 체결 수단이 연결 수단으로써 사용될 때, 연결 수단은 수형 측면 및 암형 측면을 포함하는 종래의 연결이 필요로 하는 것처럼 연결의 두 측면 사이의 회전 위상 일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표면 대 표면 체결 수단의 각 측면의 기능성 표면, 또는 본 실시예에서 연결 수단을 구비한 다수의 매우 작은 탄성 변형가능 돌출부(3a, 30a)가 전체의 기능성 표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어있다는 사실이고, 그러므로, 두 세트의다수의 돌출부는 두 측면, 다른 말로, 서로 고정 접합된 두 측면 사이의 회전 위상 일치에 관계없이 서로 맞물린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장치 주 조립체 내의 토너 용기(1)를 새로운 토너 용기로 교환할 때, 사용자는 교환 토너 용기(1)의 회전 위상을 고려하지 않고 장치 주 조립체(100) 내에 새로운 토너 용기(1)를 설치할 수 있다. 다른 말로,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력 전달부에 토너 용기(1)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표면 대 표면 체결 수단의 채용은 장치의 조작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회전 위상의 일치 등과 같은 문제점을 일으키는 연결 실패를 없앤다.
표면 대 표면 체결 수단의 토너 공급 용기 측면(3)은 밀봉 부재(2)의 단부에 부착되고,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력 전달부의 단부에 연결된 표면 대 표면 체결 수단의 주 조립체 측면(30)과 결합한다. 이는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토너 용기(1)까지 밀봉 부재(2)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면(3)의 돌출부(3a)의 길이(도53에서 L)는 0.5 내지 5.0mm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요구된다. 돌출부(3a)의 직경(도53에서 D)은 0.1 내지 2.0mm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요구된다.
위에서 설명한 표면 체결구용 재료로서는,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 재료가 필요하고, 그 제조 방법으로서는, 사출 성형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위와 다른 재료 및 제조 방법이 채용될 수도 있다.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a) 및 토너 공급 용기 측면(3)은 그들이 결합되거나 해제될 때 적당한 양의 탄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수지 재료,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수지, 나이론(상표)과 같은 직선 체인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이 표면 체결구의 부품(3, 30)용 재료로서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차단부)
다음으로 도47 내지 도5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가장 좋은 특징을 갖는 밀봉 부재(2)의 제1 차단부(2e)가 설명된다.
밀봉 부재(2)의 기본 구조 및 기능과, 토너 공급 용기 측면(3) 및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토너 공급 용기(1)의 교환 중에, 토너 공급 용기 측면(3) 및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은 서로로부터 해제되어야 하고, 그들을 해제하기 위하여, 실질적인 양의 하중이 두 측면(3, 30) 위에 가해진다. 또한, 두 측면(3, 30)이 결합되어 있는 동안 구동력을 전달하는 본 실시예에서의 표면 체결구의 경우에 있어서, 표면 체결구의 두 측면(3, 30)은 구동력이 전달되는 동안 실질적인 양의 응력을 받는다. 표면 체결구의 두 측면(3, 30)이 높은 응력을 받음으로써, 표면 체결구의 두 측면(3, 30)의 어떠한 매우 작은 돌출부(3a, 30a)는 가끔씩 부분적으로 빠지고, 부서지고 또는 깎인다. 파편으로 되거나 잔털 모양의 찌꺼기로 된다.(이하 체결구 잔여물이라 칭함)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내에서 체결구 잔여물이 소산된다면, 불충분한 화상의 생성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대책 중 하나로서, 작은 돌출부를 강화하거나 그리고/또는 기부로부터 떨어지거나 깎여나가는 것으로부터 돌출부(3a)를 보호하기 위한 표면 체결구의 양측(3, 30)의 기부와 돌출부(3a 또는 30a) 사이에서의 접착력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돌출부(3a, 30a)가 매우 작기 때문에, 떨어지는 잔여물로부터 돌출부(3a, 30a)를 완전하게 막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다음의 대책이 채택된다. 도47, 도48 및 도51을 참조하여, 표면 체결구의 양 측면(3, 30)으로부터의 잔여물이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소산하는 것을 막도록 포획하기 위해 시일 부재(2)에는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3)을 둘러싸는 연속적인 제1 방벽이 제공된다. 도51을 참조하면, 이러한 제1 방벽(2e)은 토너 통 주 구조물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3)이 부착되는 단부 표면(2i)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의 제1 방벽(2e)은 표면 고정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3)을 둘러싸고, 표면 체결구(3, 30)로부터의 잔여물을 수납하는 수집부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제1 방벽(2e)은 단부 표면(2i)에 대해 수직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요지는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30)과 토너 공급 용기 측(3)으로부터 떨어지는 다른 물질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내에서 소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방벽(2e)에 의해 포획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방벽(2e)이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3)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구성되더라도, 제1 방벽(2e)은 도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측(30)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표면 체결구의 화상 형성 장치 측(30)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요지에 반대되지 않는다.
그런데,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는 그 사용 연한 동안 토너가 수십번 보충된다. 매번 장치 주 조립체(100)는 토너가 보충되고 토너 공급 용기 측(3) 및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로부터의 잔여물은 제1 방벽(2e)에 의해 형성된 수집부 내에 축적된다. 그러므로 표면 체결구의 장치 측(30)에 제1 방벽(2e)이 제공된다면, 용기 및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의 다른 물질 또는 소산물은, 저품질의 화상 형성과 같은 이러한 문제를 야기하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내의 소산 및 제1 방벽(2e)의 떨어짐을 일으킬 것이다.
달리 말하면, 주 조립체 측의 제1 방벽의 배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신뢰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측의 제1 방벽(2e)에 모여진 다른 물질은 정규적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방벽(2e) 상에 포집된 다른 물질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내로부터 제거되기 위해, 토너 공급 용기(1)가 신품으로 교체되는 것과 같이 토너 공급 용기(1)와 함께 제1 방벽(2e)은 토너 용기측 상에 제공된다.
다음에, 제1 방벽(2e)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표면 체결구의 토너 용기측(3)은 대략 원형이고, 그러므로 제1 방벽(2e)은 표면 체결구의 토너 용기측(3)의 외주와 정합하도록 사실상 원통형으로 된다. 그러나, 제1 방벽(2e)은 제1 방벽(2e)이 표면 체결구의 토너 용기측(3)을 완전하게 둘러싸기만 하면 예컨대 삼각형 또는 사각형 기둥과 같은 임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측의 구동력 전달부(20)가 토너 공급 용기측의 구동력 수용부와 대략 동일한 크기와 구성을 갖고, 예컨대 삼각형 또는 다각형 기둥의 형태와 같은 비원통형 형상일 때, 사용자는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할 때 원주 방향에 대해 토너 공급 용기를 정렬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구동력 전달부와 구동력 수용부가 대체로 원주형인 것이 작동성의 견지에서 바람직하다.
제1 방벽(2e)의 높이[표면 체결구의 토너 용기 측(3a)의 돌출부(3a)의 전체와 접촉하는 가상 평면(3g)과 제1 방벽(2e)의 팁(2e2) 사이의 시일 부재(2)의 축방향에 대한 측정값(H)]를 고려하여, 측정값(H)이 너무 작다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내에서 잔여물이 소산되는 것을 허용하여 제1 방벽(2e)은 표면 체결구의 토너 용기측으로부터 잔여물을 포집하는데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에 반해, 측정값(H)이 너무 크다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의 내부 공간은 증가될 필요가 있고, 장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에 반대된다. 그러므로, 제1 방벽(2e)은 양호하게는 적어도 전술한 가상 평면(3g)으로 연장되고, 더욱 양호하게는 1 내지 30 mm로 외향으로 연장되고, 가장 양호하게는 전술한 가상 평면(3g)을 넘어 3 내지 25 mm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적 장치의 제공으로, 잔여물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에 반대되지 않고 매우 효율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그런데, 제1 방벽(2e)이 돌출된 거리는 잔여물이 화상 형성 주 조립체(100)에서 소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30)과 토너 용기측으로부터 잔여물을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기에 충분하다. 그러므로, 제1 방벽(2e)의 돌출된 거리는 본 발명의 요지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이 거리는 제1 방벽(2e)이 그 기능을 만족스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최적치에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그 기능을 만족스럽게 수행하기에 충분히 크나,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의 크기 축소를 반박하기에는 충분하게 크지 않은 수치로의 제1 방벽(2e)의 돌출 거리 설정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 내에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 및 토너 공급 용기(1)의 결합부분의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더욱이, 제1 방벽(2e)의 팁부의 전체 내부 모서리는 도52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안내면(2e1)을 생성하도록 모서리를 깍아 낼 수 있다. 안내면(2e1)의 제공은 토너 공급 용기(1)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 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와 직각으로 충돌하는 것을 막아주어, 작동성을 개선시킨다.
전술한 구조적 배열 이외에도, 제1 방벽(2e)의 내부면(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면(3)과 마주하는 표면)에는 토너 공급 용기 측면(3)으로부터 잔여물을 신뢰성있게 포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 및 표면 체결구의 장치 주 조립체 측면(3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단은 잔여물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내에 분산되지 않도록 한다.
부착 수단에 대해서는,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충분한 양의 부착력을 제공하고 있는 한 어떠한 수단도 충분할 것이다. 예를 들어, 부착제가 제1 방벽(2E) 상에 피복되거나, 상업 상 이중 측면 또는 단일 측면 부착 테이프가 제1 방벽(2E)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65를 참고하면, 제1 방벽(2e)은 밀봉 부재의 축선을 포함한 평면에서 그 횡단면이 파우치의 단면처럼 보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표면 체결구의 토어 공급 용기 측면(3)으로부터 잔여물은 제1 방벽(2e)의 파우치 형상의 부분(2g) 내에 실질적으로 국한되며, 토너 공급 용기(1)의 장착 또는 탈착 중에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내에서 산란이 방지된다. 따라서, 잔여물은 전술한 부착 수단을 갖는 제1 방벽(2e)의 내부면에 제공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산란이 방지되며, 잔여물은 저가의 간단한 구조적 배열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내에서 산란이 방지된다.
제1 방벽(2e)은 밀봉 부재(2)와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밀봉 부재(2)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제1 방벽(2e)은 부착제의 사용으로 밀봉 부재(2)에 부착된다.
(분리 방법)
다음으로, 도54를 참조하면,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으로부터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면(3)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토너 공급 작용이 완료된 이후 즉, 토너 병(1)이 비게 되었을 때, 비어있는 토너 병은 새로운 토너 병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오래된 비어있는 병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서로 결합되어 유지되는 표면 체결구의 밀봉 부재 측면(3) 및 주 조립체 측면(30)은 서로 분리되어야 한다.
도54a를 참조하면, 참조 부호(24)는 쐐기 형상의 모서리(24a)를 구비한 분리 부재를 지칭한다. 분리 부재(24)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위치되며 이중 방향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C 및 D)으로 이동 가능하다.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으로부터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면(3)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쐐기 형상의 모서리(24a)를 구비한 분리 부재(24)는 도54c에 도시되어진 것처럼 표면 체결구의 주장치 측면(30)으로부터 표면 체결구의 토어 공급 용기 측면(3)을 해제하기 위한 방향(C)으로,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력 전송부(20)의 단부면(20b)과 제1 방벽(2e) 사이의 계면으로 이동된다.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력 전송부(20)의 단부면(20b)은 디스크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적어도 제1 방벽(2e) 에서와 같이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그 결과, 토너 병(1)은 분리 부재(24)에 의해 물러나도록 초래한다. 쐐기 형상의 모서리(24a)를 구비한 분리 부재(24)의 이동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의 전면 커버(100c)의 개폐 이동에 연결될 수 있어, 전면 커버(100c)가 개방됨에 따라, 쐐기 형상의 모서리(24a)를 구비한 분리 부재(24)는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으로부터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면(3)을 분리하기 위해 C 방향으로 하강하는 반면에, 전면 커버(100c) 가 밀폐됨에 따라, 쐐기 형성의 모서리(24a)를 구비한 분리 부재(24)는 D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장치 주 조립체(100)의 전면 커버(100c)의 이동에 쐐기 형상의 모서리(24a)를 구비한 분리 부재(24)의 연결 대신에, 전면 커버(100c)의 이동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쐐기 형상의 모서리(24a)를 구비한 분리 부재(24)를 이동하기 위해 부가의 모터 등이 제공될 수 있거나, 쐐기 형상의 모서리(24a)를 구비한 분리 부재(24)를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쐐기 형상의 모서리(24a)를 구비한 분리 부재(24)가 어떻게 이동되는 지는 중요하지 않다.
다음으로, 도55 및 도56을 참조하면,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 및 토너 공급 용기 측면(3)을 분리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에는 구동부(20)의 이면 상에 배치된 푸쉬 로드(25)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푸쉬 로드(25)는 이중화살표에 표시된 방향(E 및 F)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더욱이, 표면 체결구의 장치 주 조립체 측면(30)이 부착된 구동부(20)의 단부 벽에는 벽의 중심에 위치된 관통 구멍이 제공된다.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면(3)으로부터 표면 체결구의 주 조립체 측면(3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주 조립체 측면(30)을 누르기 위해, 도56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주 조립체 측면(30)의 기저면으로부터 방향(F)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주 조립체 측면(30)은 도56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 측면(3)을 향해 구형으로 부풀어지는 방식으로 휘어진다.
주조립체측(30)은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주조립체측(30)의 돌출부(30a)를 토너 공급 용기측(3) 상의 대상물로부터 개별적이고 연속적으로 해제되도록 표면 체결구의 주연부로부터 시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결국, 주조립체(30)는 토너 공급 용기측(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명백하게, 상기 설명한 토너 공급 용기측(3)과 상기 표면 체결구의 주조립체측(30)을 분리시키기 위한 두 가지 방법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두 가지 방법이 조합되어 사용될 때, 우선 주조립체측(30)은 주조립체측(30)을 토너 공급 용기측(3)을 향해 반구형으로 감싸도록 푸싱 로드(25)에 의해 푸싱된 뒤, 상기 표면 체결구의 두 측(30, 3)은 쐐기형 엣지(24a)를 갖는 상기 설명한 분리 부재(24)에 의해 분리된다. 따라서, 평면 체결구의 두 개의 측(30, 3)은 보다 부드럽게 즉, 손쉬운 방식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설명한 분리 방법에 관한 특별한 요구사항은 없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설명한 것보다 다른 분리 방법을 사용하는 데 어떠한 문제도 발생시키지 않는 다는 것은 명백하다.
[실시예 4]
도57 내지 도6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밀봉 부재(2)가 상기 설명한 제1 방벽(2e)에 부가하여 제2 방벽(2f)을 구비한 점에서 제3 실시예와 사실상 상이하다. 그렇지 않으면 본 실시예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구조가 동일하다.
둑 형상의 제2 방벽(2f)은 잔여물이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 내에 살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측(3) 및 주조립체측(3)으로부터 방출된 잔여물을 체크하고 제1 방벽(2e)에 의해 형성된 수집부 내로 포획하는 데 효과적이다.
도57 내지 도61을 참조할 때, 제2 방벽(2f)은 원반 형태이고, 제1 방벽(2) 또는 그 인접부의 엣지로부터 내향 돌출되어 둑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 "내향"은 밀봉 부재(2)의 회전축 방향을 의미한다.
제2 방벽(2f)의 구조에 관한 한, 본 실시예에서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측(3)은 실제 원형이어서 이는 제1 방벽(2e)의 엣지의 외형이다. 따라서, 제2 방벽(2f)은 그 형상에 조화시키기 위해 실제 둥근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제2 방벽(2f)은 제1 방벽(2e)의 구조,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측(3)의 구조 및/또는 장치의 구조 및 제조에 관련된 제한에 따른 형상을 갖고, 제2 방벽(2f)이 제1 방벽(2e)의 주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360°연장될 때 제1 방벽(2e)의 내면에 접촉된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측 상의 구동력 전달부(20)가 삽입되는 제2 방벽(2f)의 부분이 구동력 전달부(20)와 동일한 크기로 되면, 토너 공급 용기(1)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100) 안으로 장착될 때, 토너 공급 용기(1)의 커플링부와 화상 형성 주조립체(100) 상의 커플링부를 보다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방벽(2f)의 팁의 전체적인 내향 엣지는 도60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면(2e1; 표면 C)이 형성되도록 모따기될 수 있다. 안내면(2f1)의 설치로 토너 공급 용기(1)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 내로 삽입될 때 토너 공급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와 정면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측 상의 구동력 전달부(20)는 토너 공급 용기측 상의 구동력 수용부와 구조 및 크기가 동일하고 비원형 형태 예로써, 삼각형 또는 다각형 기둥의 형태일 때, 사용자는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시킬 때 회전 단계를 거쳐 토너 공급 용기를 정렬시켜야 한다. 따라서, 작동의 견지에서 보면, 구동력 전달부(20)와 구동력 수용부는 실제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방벽(2f)의 내면과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측(3)의 전술한 이론적인 접촉면(3g) 사이의 거리(도60에서 측정치 H')에 관해서, 만일 거리(H')가 너무 짧으면, 제2 방벽(2f)은 표면 체결구의 토너 용기측(3)과 주조립체측(30)으로부터 잔여물을 수집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여 잔여물이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 내에 분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거리(H')가 너무 길면,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100)의 내부 공간이 증가될 필요가 있고 상기 장치의 크기를 줄이는 데 부정적이다. 따라서, 전술한 가정의 결합면(3g)과 제2 방벽(2f)의 내면(2f2) 사이의 거리(H')는 약 30 ㎜, 바람직하게는 3-25 ㎜이다. 이러한 구조의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잔여물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100)의 크기를 감소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포획될 수 있다. 또한, 제2 방벽(2f)과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측(3) 사이의 거리(H')는 토너 용기측(3)으로부터 잔여물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기에 충분하고, 표면 체결구의 주조립체측(30)은 잔여물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100) 내에 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는 거리(H')를 줄이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방벽(2e, 2f)이 그 기능을 바람직하게 수행하기 위해 최적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구조의 장치에 덧붙여, 제1 방벽(2e)의 내면과 제2 방벽(2f)의 내면[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측(3)과 대면하는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토너 공급 용기측(3)으로부터 잔여물을 신뢰할만하게 포획하기 위한 부착 수단과 표면 체결구의 장치 주조립체측(30)을 구비하여, 잔여물이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에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도65를 참조하면, 밀봉 부재(2)에는 밀봉 부재(2)의 반경 방향으로 제2 배리어(2f)의 엣지로부터 제1 배리어(2e)를 향하여 돌출하는 제3 배리어(2h)가 제공될 수 있어서, 밀봉 부재(2)의 배리어 부분에 의해 주머니 모양의 부분이 형성된다. 밀봉 부재(2)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밀봉 부재(2)의 배리어 부분의 단면은 주머니의 단면과 같이 보인다. 이러한 구조적 배열의 제공은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부(3)로부터 잔여물을 포집 및 보유하는 데에 배리어 부분의 효율을 더 증대시킨다. 여기에서, 제3 배리어(2h)는 도6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키이와같이 보이도록 구성되지만, 이는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부(3)가접착되는, 밀봉 부재(2)의 표면(2i)을 향하여 직선으로 단순히 돌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도65에 도시된 밀봉 부재(2)의 배리어 부분이 복수의 직선 벽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는 주머니 모양의 부분(2g)을 형성하는 만곡된 연속 벽 또는 직선 벽과 만곡 벽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는 어떠한 문제점도 있지 않다.
더욱이, 밀봉 부재(2)의 배리어 부분은 밀봉 부재(2)의 일체 부품으로서 또는 밀봉 부재(2)로부터 독립된 단일 또는 복수의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배리어 부분은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밀봉 부재(2)에 부착된다.
[제5 실시예]
도62 및 도6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부(3)는 밀봉 부재(2) 이외에 토너 공급 용기의 일부에 부착되며, 제1 및 제2 배리어(2e, 2f)의 위치들은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부(3)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다른 점에서는, 제5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62 및 도63을 참조하여,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부(3)와 제1 배리어(2e)를 그 구조 및 위치와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부(3)의 구조 및 위치와, 제1 배리어(2e)의 구조 및 위치는 토너 공급 용기 측부(3)와 제1 배리어(2e)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2)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한정되지 않는다. 토너 공급용기 측부(3)와 제1 배리어(2e)가 놓여질 수 있는 위치들은 그 위치들이 토너 용기(12)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허용하는 한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62는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부(3)가 토너 용기 주 구조체(1A)의 단부면(1A1)들 중의 하나의 전체를 실질적으로 덮도록 구성 및 위치하고, 또한 제1 배리어(2e)도 토너 용기 주 구조체(1A)의 단부면(1A1)의 엣지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구성 및 위치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63을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부(2)가 복수의 피스들로 구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분포되는, 토너 용기 주 구조체(1A)의 단부면(1A1)들 중의 하나에 부착되며, 제1 배리어(2e)는 토너 용기 주 구조체(1A)의 단부면(1A1)의 엣지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구성 및 위치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상술한 경우들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부(3)가 부착되는, 토너 용기(1)상의 위치는 토너 용기 구성에 따라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토너 공급 용기 측부(3)는 도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피스로 분할되며, 표면 체결구의 주조립체 측부(30) 또는 토너 공급 용기 측부(3)의 대응부는 도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립체 측부상의 분할 부분(20)의 단부면의 전체를 실질적으로 덮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명백하게는, 제1 배리어(2e)는 그 엣지를 따라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부(3)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구성 및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 및 위치를 제외하고서, 제5 실시예의 제1 배리어(2e)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2)에는제1 배리어(2e)만이 제공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밀봉 부재(2)에는 표면 체결구의 토너 공급 용기 측부(3)와 주조립체 측부(30)로부터의 잔여물의 비산 방지를 보장하도록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배리어(2f)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구동력 전달 기구의 채택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와 토너 공급 용기의 사이의 구동력 전달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화상 형성 장치 이외의 장치의 요소들의 사이에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채택할 수 있다.
상술한 기재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3 내지 제5 실시예들은 다음의 효과를 증명한다.
(1) 파편, 잔털 등이 표면 체결구로부터 발생될 경우, 이들은 효율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저화질의 형성과 같은 문제점은 저가한 구조적 배열의 채택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2) 표면 체결구의 대향 측부는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할 때 고가의 구조적 배열을 사용하여, 서로 용이하게 정렬될 수 있다.
(3) 소모된 토너 공급 용기를 신제품으로 교체하기 위한 작동 중에, 종래에서와같이 장치 주조립체에 대해 신제품의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축을 정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내로 신품인 토너 공급 용기를 간단하게 위치시키고 장치의 전방 커버를 덮으면, 토너 공급 용기는 장치 주조립체의 구동 부분과 결합하고 토너가 토출될 상태에 있게 되어, 토너 보급 효율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4) 토너 공급 용기에 대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표면 체결구의 사용은 토너 공급 용기의 구동력 수용부가 장치 주조립체 속으로 토너 공급 용기를 단순히 삽입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구동력 전송부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맞물리게 한다. 따라서, 종래의 수단으로 발생된 것과 같이 결합 실패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토너 보충을 보장하는 토너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확실히 가능하다.
(5) 토너 공급 용기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 사이의 구동력 전송부로서 표면 체결구의 사용은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구동력 전송부, 구동력 수용부 및 인접부의 구조들의 두께를 철저히 감소하고, 실질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내부 공간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크기 감소를 줄이는데 공헌한다.
(6) 토너 공급 용기에 대해 구동력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면 체결구의 사용은 종래의 커플링, 즉 돌출부를 갖는 부재와 리세스를 갖는 부재의 조화에 의해 요구된 복잡한 구조 배열을 제거한다. 그러므로, 실질적으로 구동력 수용부의 비용 감소에 공헌한다.
[다른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공정 카트리지(B)와 다른 화상 형성 장치 요소는 설명될 것이다.
선례에서, 공정 카트리지(B)는 단색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다중색 화상(예를 들어, 이색 화상, 삼색 화상 또는 다색 화상)을 형성하고 다수의 현상 수단을 포함하는 공정 카트리지에 대해 바람직한 결과를 갖고, 적용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은 알려진 다양한 현상 방법, 예를 들어 두 성분 자기 브러쉬 현상 방법, 캐스캐이드(cascade) 현상 방법, 터치-다운 현상 방법 및 클라우드(cloud)현상 방법들과 호환성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전자 사진용 광전도 부재는 다음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호환성이 있는 광전도 재료에 대하여, 무정형의 실리콘, 무정형의 셀레니엄, 징크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오르가닉 광전도(OPC)등을 목록에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광전도 재료가 위치된 기부 부재의 구성에 관하여, 기부 부재는 드럼 또는 벨트와 같은 회전 부재일 수 있거나, 판자 모양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드럼이나 벨트가 사용된다. 드럼 타입 광전도 부재의 경우에, 광전도 부재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형성된 원통 모양의 기부 주위에 설치되고, 광전도 재료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형성된 원통 모양의 기부의 주변 표면에 코팅된다.
충전 수단에 대하여, 소위 접촉 충전 방법 중의 하나는 선행 실시예에서 사용되어졌다. 그러나, 명백하게 접촉 충전 방법이외의 종래의 충전 방법 중의 하나는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중 하나에 따르면, 텅스텐 와이어 한 조각은 알루미늄 판과 같은 금속판에 의해 세 면이 둘러싸이고, 텅스텐 와이어에 대해 고전압을 적용함으로써 발생된 음 또는 양이온은 광전도 드럼의 주위 표면을 균일하게 차지하기 위한 광전도 드럼의 표면으로 이동된다.
충전 수단은 상술한 롤러뿐만 아니라, 블레이드(차지 블레이드), 패드, 블록, 러드, 와이어 등의 모형일 수 있다.
광전도 드럼사에 잔류하는 토너 입자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방법에 대하여,세척 수단은 블레이드, 가죽 브러쉬, 자기 브러쉬 등의 모형일 수 있다.
상술된 공정 카트리지는 화상 담지 부재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사진용 광전도 부재를 포함하고 이미지 형성 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공정 카트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공정 수단뿐만 아니라, 광전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술된 공정 카트리지뿐만 아니라, 공정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서 해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전자 사진용 광전도 부재 및 충전 부재가 완전히 배치되는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서 해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전자 사진용 광전도 부재와 현상 부재가 완전히 배치된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서 해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전자 사진용 광전도 부재와 세척 부재가 완전히 배치된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서 해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전자 사진용 광전도 부재와 상술한 공정 수단의 두 개 이상의 조화가 완전히 배치된다.
다른 말로, 전술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수단에서,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 가능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그 내부에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 그리고 정전 기록 광전도 부재가 일체형으로 배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 가능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는 그 내부에 대전 수단, 현상 수단, 세척 수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단과 정전 기록 광전도 부재가 일체형으로 배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 가능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는 그 내부에 정전 기록 광전도 부재 및 적어도 대전 수단이 일체형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 가능식으로 장착 가능한 현상 카트리지에 적용 가능하고, 그 내부에 현상 수단 및 현상기가 일체형으로 배치된다.
더욱이, 선행 실시예에서, 레이저 빔 프린터기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언급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예는 레이저 빔 프린터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레이저 빔 프린터와 다른 화상 형성 장치, 예를 들어 정전 기록 복사기, 팩스기, 워드 프로세서, 그리고 명백하게 그와 유사한 것에 적용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력 전송 기구의 구동력의 적용예에서, 표면 체결구의 양측면 사이에 결합부를 관통해서 전송되는 구동력은 화상 형성 장치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사이의 구동력 전송기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력 전송 기구는 또한 화상 형성 장치와 다른 장치에서 두 개의 부품들 사이에서 전송 구동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후크 및 루프 체결구의 형상에서 표면 체결구의 루프 측면이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에 구비되고, 따라서 다음에 후크부로부터 생성된 칩들은 주조립체에서 덜 산란된다. 더욱이, 차단부 또는 연장부가 바람직하게는 체결구의 후크 측면 상에 구비되고, 따라서 상기 후크들은 칩을 생산하도록 비교적 쉽게 마모된다. 바람직하게는 차단부 또는 연장부가 스텝 스템형 체결구의 경우에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에 구비되고, 따라서 다음에 스템으로부터 생성된 칩들은 장치의 주조립체에서 덜 산란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구조물들과 관련해서 설명했지만, 설명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서는 개선의 목적 또는 후술되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력이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력 인가부로부터 구동력 수용 부재의 구동력 수용부로 전달될 수 있는 구동력 수용 부재가 제공된다.

Claims (60)

  1.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현상제를 화상 형성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용기이고,
    현상제의 방출을 허용하는 개구가 제공되는,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주 본체와,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제공되는 구동력 인가부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주 본체 내의 현상제를 상기 개구로 공급하는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부와,
    상기 구동력 수용부 상에 제공되고,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상기 구동력 인가부 상에 제공된 표면 체결구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표면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력 인가부 및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력 인가부와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의 돌출부는 서로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구동력 인가부 및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의 돌출부는 기부 단부에서보다 자유 단부에서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구동력 인가부 및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의 복수의 돌출부 중 하나는 루우프의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갈고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구동력 인가부 및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의 돌출부는 피라미드 절두체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7. 제3항에 있어서, 구동력 인가부 및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의 돌출부의 자유 단부는 둥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로부터 떨어져 나온 파편을 수납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단부에, 수집된 파편을 위한 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의 둘레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현상제 수용 장치 내로 현상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를 갖춘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개구를 비밀폐식으로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6. 제1항에 있어서,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는 현상제 공급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방향의 선단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본체는 실린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49.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 유닛이고,
    화상 담지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제공된 구동력 인가부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화상 담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부와,
    상기 구동력 수용부 상에 제공되고,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상기 구동력 인가부 상에 제공된 표면 체결구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표면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
  50. 제49항에 있어서, 구동력 인가부 및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력 인가부와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의 돌출부는 서로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
  51. 제50항에 있어서, 구동력 인가부 및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의 돌출부는 기부 단부에서보다 자유 단부에서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
  52. 제50항에 있어서, 구동력 인가부 및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의 복수의 돌출부 중 하나는 루우프의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갈고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
  53. 제50항에 있어서, 구동력 인가부 및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의 돌출부는 피라미드 절두체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
  54. 제50항에 있어서, 구동력 인가부 및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의 돌출부의 자유 단부는 둥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
  55. 제49항에 있어서,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로부터 떨어져 나온 파편을 수납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단부에, 수집된 파편을 위한 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의 둘레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58.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의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대전하는 대전 수단과,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일체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
  59. 제16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장착 방향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종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6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구동력 인가부의 표면 체결구와 상기 구동력 수용부의 표면 체결구 사이의 결합력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01-0053791A 2000-09-04 2001-09-03 화상 형성 장치를 위한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유닛 KR100425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66733A JP3862491B2 (ja) 2000-09-04 2000-09-04 トナー補給容器
JPJP-P-2000-00266733 2000-09-04
JPJP-P-2001-00162729 2001-05-30
JP2001162729A JP2002351204A (ja) 2001-05-30 2001-05-30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及びトナー封止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965A KR20020018965A (ko) 2002-03-09
KR100425896B1 true KR100425896B1 (ko) 2004-04-03

Family

ID=2659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791A KR100425896B1 (ko) 2000-09-04 2001-09-03 화상 형성 장치를 위한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34494B2 (ko)
EP (1) EP1184739B1 (ko)
KR (1) KR100425896B1 (ko)
CN (1) CN1229698C (ko)
DE (1) DE60142325D1 (ko)
HK (1) HK10441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3325B2 (ja) * 2002-04-26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駆動伝達部材
JP4323818B2 (ja) * 2003-01-22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US7155138B2 (en) * 2003-12-22 2006-12-26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JP4636853B2 (ja) * 2004-11-12 2011-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RU2407049C2 (ru) 2004-11-24 2010-12-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JP4621019B2 (ja) * 2004-12-17 2011-01-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WO2007072991A1 (en) * 2005-12-21 2007-06-2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US7729644B2 (en) * 2006-05-11 2010-06-01 Katun Corporation Toner cartridge
US7676182B2 (en) * 2006-05-17 2010-03-09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buffering mechanism
JP4995126B2 (ja) * 2008-03-13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ATE502326T1 (de) * 2008-12-23 2011-04-15 Sagemcom Documents Sas Druckeinheit
JP6083954B2 (ja) 2011-06-06 2017-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5950611B2 (ja) 2012-02-17 2016-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CN104632908B (zh) * 2014-12-12 2017-04-26 西南石油大学 一种粘性联轴器及其测试用试验台
JP6584228B2 (ja) 2015-08-27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3895A (en) * 1962-07-16 1964-08-11 Electro Refractories & Abrasiv Device for transmitting motion
DE1940981A1 (de) * 1969-08-12 1971-02-25 Stromag Maschf Kupplungshaelften-Verbindungsglied
JPS6449720A (en) 1987-08-18 1989-02-27 Kanai Juyo Kogyo Kk Needle engagement type coupling
US5149573A (en) 1990-06-01 1992-09-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ly transparent strip material used for forming fasteners
US5307129A (en) 1990-10-01 1994-04-26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3320152B2 (ja) 1993-07-28 2002-09-0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3229088B2 (ja) 1993-10-14 2001-11-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自動ガス採取方法及び自動ガス分析方法
US5418600A (en) * 1993-12-17 1995-05-23 Xerox Corporation Conformable friction drive system for belt or drum transport
US5482962A (en) 1994-07-22 1996-01-09 Rohm And Haas Company Insecticidal N,N'-disubstituted-N-N'-diacylhydrazines
US5634245A (en) 1995-07-14 1997-06-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uctured surface fastener
US5691021A (en) 1996-02-28 1997-11-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ame retardant fasten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0797125B1 (en) * 1996-03-21 2002-11-0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337916B2 (ja) 1996-07-04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軸受ガイド部品
US6256470B1 (en) * 2000-02-18 2001-07-0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device for use in image forming system and toner cartridge for use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84739B1 (en) 2010-06-09
KR20020018965A (ko) 2002-03-09
HK1044198A1 (zh) 2002-10-11
EP1184739A2 (en) 2002-03-06
US6934494B2 (en) 2005-08-23
CN1229698C (zh) 2005-11-30
CN1349137A (zh) 2002-05-15
EP1184739A3 (en) 2009-02-25
DE60142325D1 (de) 2010-07-22
US20020031638A1 (en) 200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4185B2 (en) Toner container having protrusions projecting from opposite sides of the toner container
KR100425896B1 (ko) 화상 형성 장치를 위한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유닛
US9690232B2 (en)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411268B2 (en)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mechanism to secure the toner container
JP2001125359A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862491B2 (ja) トナー補給容器
CN110780558B (zh) 显影剂容器单元、显影装置和处理盒
JP439772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021953A (ja)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及び封止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308818A (ja) 画像形成装置、トナー補給装置、トナー補給容器、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0319698A (ja) トナー/現像剤補給装置
JP2002244418A (ja) トナー補給容器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トナー補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