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728B1 - 전기장치의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장치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728B1
KR100419728B1 KR10-2001-0036571A KR20010036571A KR100419728B1 KR 100419728 B1 KR100419728 B1 KR 100419728B1 KR 20010036571 A KR20010036571 A KR 20010036571A KR 100419728 B1 KR100419728 B1 KR 100419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interference
control piece
insertion contro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542A (ko
Inventor
곽원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6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728B1/ko
Priority to EP01250282A priority patent/EP1271707A1/en
Priority to CN01123922A priority patent/CN1393963A/zh
Priority to US09/923,740 priority patent/US20020197902A1/en
Priority to JP2001246648A priority patent/JP2003017188A/ja
Publication of KR2003000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커넥터는 전기장치의 단자부와 커넥터 몸체와 결합을 위한 1차 록킹수단, 커넥터 몸체 내부와 와이어 하네스의 결합을 위한 2차 록킹수단, 그리고 1차 록킹수단의 해제수단이 의도되지 않은 경우에 작동되지 않도록 1차 록킹수단의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3차 록킹수단으로 다중되게 마련되어 있지만, 록킹수단은 서로 독립적인 것일뿐 록킹수단의 결합상태를 서로 확인해 주는 연동관계는 아니어서, 커넥터의 결합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1차 록킹수단의 결합완료를 조건으로 3차 록킹수단인 누름방지구가 삽입되도록 1차 록킹수단과 3차 록킹수단 사이에 삽입제어수단을 마련한 것으로, 삽입제어수단은 후크홀의 선단에 간섭되어 해제방지구의 완전삽입을 저지하는 삽입제어편이 해제방지구에 형성되고, 해제방지구의 지지턱에는 상기 삽입제어편과 후크홀과의 간섭시 누름레버와 간섭되어 삽입제어편의 삽입저지를 보조하는 간섭돌기가 형성됨과 더불어, 후크돌기는 후크홀과 결합되어질때 삽입제어편의 휨을 강제 유도시켜 삽입제어편과 걸림홈 후크와의 간섭을 해제시키는 간섭해제턱이 되어져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장치의 커넥터{Thd Wire-harnes Connector of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엔진등과 같이 진동이 심한 장소에서 전기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의 록킹수단 사이에 제어수단을 마련하여 연동되게 함으로써, 전기장치와 커넥터몸체가 결합되는 기본적인 결합을 보장하고 그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하는 전기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과 이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전기장치로의 배선은 커넥터로 연결된다.
특히, 점화장치가 장착되는 엔진룸과 같이 진동이 심한 장소에서의 배선은 와이어 하네스와 전지장치의 연결보장이 필수적이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점화장치는 예시도면 도 1 에서의 개요도와 같이 전원공급부(1)에서의 전압을 이그니션코일부(2)를 통해 승압시켜 스파크플러그(3)로 공급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점화장치는 근래에 들어 컨트롤유니트(4)에 의해 점화시기가 제어되며, 이는 점화시기의 진각과 지각을 통해 최적의 연소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자제어화 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컨트롤유니트(4)를 매개로 전원공급부(1)와 이그니션코일부(2) 및 스파크플러그(3)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전원공급라인인 와이어 하네스와 전기장치인 이그니션코일부(2)에 커넥터가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점화장치의 전원공급라인의 연결이 불량할 경우, 엔진실화가 발생되어 미연소된 연료가 배기계에서 폭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에는 연결보장을 위한 수단이 필수적인 것이다.
이를 위한 종래의 커넥터는 예시도면 도 2 에서와 같이 전기장치(이그니션코일부,2)의 단자(5)와 와이어 하네스(6) 선단에 마무리된 압착단자(7)의 결합을 보장하기 위하여, 1,2,3 차의 다단계 록킹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기장치의 단자(5)는 수부를 이루고 압착단자(7)가 암부를 이루며, 커넥터가 이러한 단자의 암수결합을 보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도 암수부로 구분되어져 전기장치에는 수부를 이루는 결합몸체(8)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 몸체(9)가 암부를 이루는 외통의 역할을 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에 단자간의 결합을 보장하기 위한 1차 록킹수단으로 내통과외통인 커넥터 몸체와의 결합으로 단자와 압착단자의 결합 유지를 위해 후크돌기(10)가 결합몸체(8)의 외주에 형성되고, 이 후크돌기(10)와 맞물리는 후크홀(11)이 커넥터 몸체(9)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크돌기(10)와 후크홀(11)은 서로간의 결합유도를 위해 대향되는 경사면으로 그 선단이 가공되어 있으며, 후크홀(11)은 상기 후크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레버(1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2차 록킹수단은 커넥터 몸체(9)에 압착단자(7)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고정구(미도시)와 연동되어 서로 맞물리는 고정구(13)가 삽입되며, 압착단자(7)의 후부에도 커넥터 몸체(9)로의 이물질 침입과 와이어 하네스(6)를 고정시키는 캡(14)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15와 15'은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텍터이다.
한편, 결합몸체(8)와 커넥터 몸체(9)의 결합해제는 이것의 후크결합을 해제시켜야 가능해 지므로, 작업자가 후크돌기(10)와 후크홀(11)과의 맞물림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해제레버(12)에 후크홀(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도 3 을 참고하면 지지대(15)를 중심으로 양단에 후크홀(11)과 해제레버(12)가 형성되어 있어, 해제레버(12)를 누르게 되면 탄성재질의 변형에 의해 후크홀(11)이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에 의해 후크홀(11)과 후크돌기(10)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해제레버(12)는 상기된 바와 같이 1차 록킹수단인 후크결합의 해제수단이므로, 해제레버의 오작동, 예를들어 정비자가 아닌 비숙련자가 커넥터의 해제레버(12)를 파지하여 흔드는 경우나 진동등의 외력에 의해 결합이 해제되려하는 경우, 의도되지 않는 결합의 해제 방지하기 위해 3차 록킹수단으로 커넥터의 결합확보수단인 해제방지구(16)가 마련되어 있다.
즉, 해제방지구(16)는 해제레버(12)와 커넥터 몸체(9) 사이에 삽입되어 해제레버(12)를 지지함으로써, 의도된 해제레버(12)의 작동이 아닌 경우에 해제레버(12)의 눌림에 의해 1차 록킹수단인 후크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시킨 것이다.
이를 위한 해제방지구(16)는 커넥터 몸체(9)가 제공하여 해제레버(12)의 외측으로 둘러싸여진 지지벽(18)과 간섭되는 몸체(19)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18)과 커넥터 몸체(9)의 경계부가 제공하는 가이드홈(20)을 따라 커넥터 몸체로(9)의 삽입을 위한 가이드턱(21)이 상기 몸체(19)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9)의 일측에는 커넥터 몸체(9)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해제레버(12)를 지지하는 지지턱(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턱(22)과 이 지지턱(22)의 전방으로 누름방지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3)(24)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23)(24)과 맞물리는 걸림턱(25)이 지지벽(18)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해제레버(12)와 커넥터 몸체(9)와의 공간부 사이에 해제방지구(16)를 위치시키고 삽입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가이드턱(22)의 유도에 따라 지지턱(22)이 삽입되면서 해제레버(12)의 저부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때, 삽입의 완료는 몸체(19)와 지지벽(18)의 간섭에 의해 확인되며, 지지턱(22)의 삽입이 완료되면 후방의 걸림턱(23)이 지지벽(18)의 걸림턱(25)과 맞물리게 되어 삽입완료상태에서 해제방지구(16)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해제방지구(16)의 삽입해제는 몸체(19)를 후방으로 인출시키게 되면 지지턱(22)과 해제레버(12)의 간섭이 해제되어 수행되고, 이때 전방의 걸림턱(24)이 후방의 걸림턱(23)으로부터 약간의 이격공간을 제공하여 삽입해제상태에서 해제방지구(16)가 커넥터 몸체(19)에서 완전히 이탈되어 유실되는 것을 방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진동이 심한 곳에 장착되는 전기장치에는 와이어 하네스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결합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록킹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이러한 록킹수단만으로는 커넥터의 결합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된 바와 같이 커넥터에 1,2,3차 록킹수단으로 다단계의 록킹수단이 마련되어 있지만, 이러한 록킹수단은 서로 독립적인 것일뿐 록킹수단의 결합상태를 서로 확인해 주는 연동관계는 아닌 것이다.
물론, 상기 3차 록킹수단은 1차록킹수단의 결합해제를 방지하는 록킹수단으로 1차 록킹수단과 3차 록킹수단이 서로 연동되는 수단이라 볼 수 있지만, 이것은 해제상태에서만의 경우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후크돌기(10)와 후크홀(11)의 결합과 지지턱(22)과 해제레버(12)의 간섭이 서로 독립적이므로, 1차 록킹수단의 후크결합완료 여부를 떠나 지지턱(22)의 삽입에는 지장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1차 록킹수단의 결합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3차 록킹수단인 해제방지구의 삽입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으며, 다만 1차 록킹수단에 포함되는 해제레버(12)의 눌림만을 저지시켜줄 뿐이어서, 1차 록킹수단의 결합상태를 확인은 작업자의 숙련도에만 의존할 따름이다.
즉, 상기와 같은 엔진룸에 장착되는 이그니션코일부(2)의 조립라인을 고려해보면, 커넥터의 결합은 작업자의 숙련도에만 의존하는 결과가 되며, 정비시에도 정비자의 숙련도에만 의존하고 비숙련자인 경우에 더욱 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의 결합상태 확인은 후크결합에 의한 딸깍음 소리와 후크의 재질변형과 복원에 따른 충격을 손으로 감지하여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확인함이 작업장에서 일반적이고, 이것은 다수의 부품이 배열되어 좁은 엔진룸에서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그런데, 공장의 조립라인이나 정비소에서는 작업장 자체의 소음에 의해 딸깍음에 의한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시 손의 감각으로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감시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커넥터의 결합상태는 작업자의 숙련도에만 의존하는 실정이어서, 커넥터의 결합상태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전기장치의 커넥터 결합 불량시, 특히 상기된 점화장치와 같은 경우에는 엔진작동에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되며, 미연소된 연료가 배기계 열로 폭발하는 경우가 실제로 발생되었으며, 이것은 주로 배기가스 정화장치인 촉매컨버터에 폭발되어 고가의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1차 록킹수단의 결합완료시에만 3차 록킹수단이 삽입되도록 하여 1차 록킹수단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하여 커넥터의 결합완료상태를 보장하는 전기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1차 록킹수단의 결합완료를 조건으로 3차 록킹수단인 누름방지구가 삽입되도록 1차 록킹수단과 3차 록킹수단 사이에 삽입제어수단을 마련한 것으로, 삽입제어수단은 후크홀의 선단내측에 간섭되어 해제방지구의 완전삽입을 저지하는 삽입제어편이 해제방지구에 형성되고, 해제방지구의 지지턱에는 상기 삽입제어편과 후크홀과의 간섭시 후방으로 돌출되어 해제레버와 간섭되어 삽입제어편의 삽입저지를 보조하는 간섭턱이 형성되는 한편, 후크돌기가 후크홀과 결합되어질때 삽입제어편의 휨을 강제 유도시켜 삽입제어편과 후크홀과의 간섭을 해제시키는 간섭해제돌기가 되어져 이루어진 것이다.
도 1 은 커넥터가 사용되는 전기장치의 일례를 보인 개념도,
도 2a 는 종래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b 는 도 2a 의 A-A선 단면에 대응하여 종래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설명도,
도 3 은 종래 커넥터의 확대 절개사시도,
도 4a 는 도 2a 에 대응되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b 는 도 3 에 대응되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확대 절개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 는 도 2b에 대응되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단자, 6 - 와이어 하네스,
7 - 압착단자, 8 - 결합몸체,
9 - 커넥터 몸체, 10 - 후크돌기,
11 - 후크홀, 12 - 해제레버,
16 - 해제방지구, 18 - 지지벽,
19 - 몸체, 21 - 가이드턱,
22 - 지지턱, 23,24,25 - 걸림턱,
30 - 삽입제어편, 31 - 간섭턱,
32 - 간섭해제유도면, 33 - 간섭해제돌기,
34,35 - 간섭면, 36,37,39 - 유도면,
38 - 압박돌기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사시이고, 예시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전기장치(2)의 단자(5)가 형성되어진 결합몸체(8)와 상기 단자(5)와 접속되는 와이어 하네스(6)가 결합되어진 커넥터 몸체(9)를 결합하는 1차 록킹수단인 후크결합의 완료를 조건으로 3차 록킹수단인 해제방지구(16)의 삽입을 허가하는 삽입제어수단이 1차 록킹수단과 3차 록킹수단이 결합에 매개되어진 전기장치의 커넥터이다.
이를 위한 삽입제어수단은 후크홀(11)의 전방내단부에 간섭되는 위치로 해제방지구(16)의 완전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를 갖춘 삽입제어편(30)이 상기 해제방지구의 몸체(19)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해제방지구(16)에는 상기 삽입제어편(30)과 후크홀(11)의 내단부와 간섭시 해제레버(12)의 후단부와 간섭되게 지지턱(22)에 연장되어 삽입제어편(30)의 삽입저지를 보조하는 간섭턱(31)이 유도면(39)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후크홀(11)과의 후크결합되는 1차 록킹수단의 후크돌기는 상기 삽입제어편(30)의 휨을 강제 유도시켜 삽입제어편(30)과 후크홀(11)와의 간섭을 해제시키는 간섭해제유도면(32)을 갖춘 간섭해제돌기(33)가 되어져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완전삽입을 저지하는 삽입제어편(30)의 길이는 전술된 종래의 이격정도를 유지시킬 정도면 충분하고 이것은 상기된 바와 같이 해제방지구(16)의 측부에 형성된 걸림턱(23)(24)의 배열에 의해 결정되어진 길이이다.
따라서, 삽입제어편(30)의 길이는 해제방지구의 몸체(19)에서 상기 이격길이와 여기에서 후크홀(11)의 전방내단부까지 연장된 길이이면 적당하다.
이러한 삽입제어편(30)의 길이에 마추어 삽입제어편(30)에 의한 해제방지구(16)의 삽입저지를 보조하기 위한 간섭턱(31)이 형성되어지며,간섭돌기(31)는 해제레버(12)의 선단과 간섭되어져 삽입제어편(30)의 간섭을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간섭턱(31)은 특히, 1차 록킹수단인 후크결합이 완전히 결합되어 있지 않고 후크간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제방지구(16)의 삽입을 더욱 방해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삽입제어수단에 포함되는 간섭해제돌기(33)인 후크돌기와 후크홀(11)의 경사면이 서로 접촉되어 후크가 변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해제레버(12)의 단부가 지지턱(22)으로 하강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해제레버(12)의 하단부는 간섭턱(31)의 유도면(39)보다 하방에 위치되고, 해제레버(12) 단부의 상당면이 간섭턱(31) 및 지지턱(22)에 간섭되어 지므로, 해제방지구(16)의 삽입이 더욱 어렵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간섭턱은 작업자가 해제방지구를 눌러 커넥터를 결합할때, 후크의 변형에 따른 탄성력의 저항으로 삽입제어편이 강제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시켜 준다.
즉, 1차 록킹수단의 후크결합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해제방지구(16)의 몸체(19)를 누를때, 상기 후크끼리 서로 간섭되어 지면 몸체(19)를 누르는 저항이 가장 많이 작용된다.
이때, 해제레버가 간섭턱의 하부로 위치되어 간섭턱과 확실히 간섭되어 지며, 이에 의해 긴형상의 삽입제어편(30)을 보조하여 삽입제어편(30)이 강제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시켜 주게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삽입제어편(30)과 더불어 1차 록킹수단의 후크홀(11)과 간섭해제돌기(33)인 후크돌기가 삽입제어수단에 포함되어지므로, 삽입제어를 위한 걸후크의 형상제약이 뒤따르게 된다.
즉, 후크홀(11)의 전방내단부가 삽입제어편(30)의 삽입에 간섭되어 해제방지구(16)의 삽입을 저지시키기 위해서는 삽입제어편(30)의 삽입방향으로부터 수직일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상기 삽입제어편(30)이 간섭해제돌기(33)에 의해 휨이 유도되는 부재이므로, 탄성재질로 되어짐이 당연한데, 이러한 삽입제어편(30)과 간섭되는 면이 경사지게 설정되면 삽입제어편(30)의 삽입시 휨의 유도에 의해 해제방지구(16)의 삽입저지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크홀(11)의 전방내단부에는 간섭해제돌기(33)와의 미결합시 삽입제어편(30)이 삽입되어져 간섭되는 위치에 이 삽입제어편(30)의 삽입방향으로부터 직각인 면을 이루어 삽입제어편(30)의 간섭면(34)과 간섭되어지는 간섭면(35)이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간섭해제돌기(33)에 의한 삽입제어편(30)과 후크홀(11)과의 간섭해제시 상기 간섭해제돌기(33)의 간섭해제유도면(32)과 연장되는 유도면(36)이 간섭면(35)에 연장되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삽입제어편(30)에도 이 삽입제어편(30)의 삽입방향으로부터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어져 후크홀(11)의 간섭면(35)과 대응되는 간섭면(34)이 형성되고, 이 간섭면(34)에 연장되어 상기 간섭해제유도면(32)에 접촉되어 삽입제어편(30)의 휨이 유도되게 상기 간섭해제유도면(32)과 대향되는 유도면(3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삽입제어편(30)의 삽입방향은 기존의 지지벽(18)과 가이드턱(21)에 의해 직선이동경로로 결정되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간섭턱(31)에는 해제방지구(16)의 완전 삽입시 해제레버(12)의 탄착으로 해제방지구(16)의 삽입완료상태가 유지됨과 더불어 후크결합에 탄성력을 부가시키는 압박돌기(37)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간섭턱(31)은 해제방지구(16)의 삽입저지를 보조하는 보조수단임과 더불어, 압박돌기(37)로써 해제방지구(16) 삽입상태를 확실히 유지하는 이탈방지수단임과 동시에, 1차 록킹수단인 후크결합을 더욱 확실히 하는 탄성지지수단인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해제방지구(16)의 삽입조건 즉, 1차 록킹수단의 결합이 완료되어 해제방지구(16)가 커넥터 몸체(9)에 완전히 삽입되면 압박돌기(38)가 해제레버(12)를 들어 올리게 된다.
이것은 반대로 해제레버(12)가 압박돌기(38)를 탄착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의해 해제방지구(16)의 삽입상태가 확실히 유지되므로, 엔진의 진동등에 의해 커넥터 몸체(9)가 진동되더라도 상기 해제레버(12)에 의한 탄착이 해제방지구(16)의 이탈을 방지시켜 주는 것이다.
또한, 압박돌기(38)가 해제레버(12)를 들어 올리게 되면, 후크홀(11)과 후크돌기는 결합된 상태로 탄성에 의해 반대로 내려지므로, 1차 록킹수단의 록킹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턱(22)으로부터 돌출된 경계인 간섭턱(31)은 1차록킹수단의 미결합시 해제레버(12)와의 간섭으로 해제방지구(16)의 삽입저지를 보조하고, 간섭턱(31)에 연장된 압박돌기는 1차록킹수단의 결합이 완료되어 해제레버(12) 저부로 삽입되면 해제레버(12)를 압박시켜, 해제방지구(16)의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후크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탄성지지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해 1차 록킹수단의 후크결합이 3차 록킹수단인 해제방지구(16)의 커넥터 몸체(9) 삽입을 위한 전제조건이 된다.
즉, 이러한 본 발명은 2차 록킹수단으로 와이어 하네스(6)가 결합된 커넥터 자체로의 독립된 물품으로서 단품상태일 경우나, 단자(5)가 형성된 전기장치의 결합몸체(8)와 커넥터 몸체(9)를 결합하는 조립시에 이것들이 완전히 결합되지 않으면 3차 록킹수단이 결합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커넥터가 단품상태일 경우나 결합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3차 록킹수단인 해제방지구(16)는 커넥터 몸체(9)에 삽입되어 있지만, 어느 정도 이격공간에 의해 후퇴되어진 상태에서 완전히 삽입되어 있지 않게 된다.
이것은 상기 삽입제어편(30)의 간섭면(34)과 후크홀(11)의 간섭면(35)이 서로 간섭되어져 삽입제어편(30)에 의해 해제방지구(16)의 삽입이 저지되기 때문이며, 이와 더불어 해제방지구(16)의 간섭돌기(31) 역시 해제레버(12)의 선단과 간섭되어져 해제방지구(16)의 삽입저지를 보조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해제방지구(16)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전술된걸림턱(23)에 의해 해제방지구(16)의 이탈은 방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경우 삽입제어편(30)과 간섭돌기(31)에 의해 커넥터의 결합이 완료되지 않으면, 해제방지구(16)는 소정의 이격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커넥터 몸체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지 않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커넥터의 결합, 즉 전기장치의 결합몸체(8)와 커넥터 몸체(9)의 결합이 완료되어 후크결합이 완료되면, 간섭해제돌기(33)가 후크홀(11)에 삽입되면서 간섭해제유도면(32)이 삽입제어편(30)을 들어올려 간섭을 해제시키게 된다.
한편, 삽입제어편(32)에는 상기 간섭해제유도면(32)에 대향되는 유도면(37)이 형성되어 있어, 간섭해제돌기(33)의 삽입시 그 해제가 더욱 용이하게 수행되며, 뒤이어 해제방지구(16)를 눌러 삽입하게 되면 간섭해제유도면(32)과 후크홀(11)의 유도면(36)을 따라 삽입제어편(30)이 이동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단품상태 즉, 커넥터만으로 독립된 상태에서는 해제방지구(16)가 완전히 결합되어 있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이격된 상태를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숙련도에 상관없이 커넥터의 결합상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전기장치와 커넥터의 조립라인에서도 1차 록킹수단의 록킹이 완료되지 않으면 3차 록킹수단인 해제방지구(16)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커넥터의 결합확인이 가능하며, 이 역시 작업자의 숙련도와는 상관이 없다.
그 결과로써, 해제방지구(16)의 삽입확인을 통하여 1차 록킹수단의 결합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어서, 커넥터의 결합확인 여부가 용이하고 압박돌기(38)에의한 해제레버(12)의 탄착과 1차 록킹수단의 탄성지지로 결합이 더욱 보장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록킹수단의 결합완료를 조건으로 3차 록킹수단의 삽입완료가 수행되도록 하는 삽입제어수단에 의해 1차 록킹수단의 결합상태의 확인이 용이하고 결합상태가 보장됨으로써, 전기장치의 단자와 전원공급라인인 와이어 하네스의 결합을 위한 1차 록킹수단의 결합불량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삽입제어수단에 포함되어지는 압박돌기에 의해 누름방지구의 이탈이 더욱 방지되며, 걸림턱의 후크결합이 더욱 견고해 지는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5)

  1. 전기장치(2)의 단자(5)가 형성되어진 결합몸체(8)와 상기 단자(5)와 접속되는 와이어 하네스(6)가 결합되어진 커넥터 몸체(9)를 결합하는 전기 장치의 커넥터에 있어서, 후크홀(11)의 전방내단부에 간섭되는 위치로 해제방지구(16)의 완전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를 갖춘 삽입제어편(30)이 상기 해제방지구(16)의 몸체(19)에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삽입제어수단이 상기 후크홀(11)과 후크결합되고 상기 삽입제어편(30)의 휨을 강제 유도시켜 삽입제어편(30)과 후크홀(11)과의 간섭을 해제시키는 간섭해제유도면(32)을 갖춘 간섭해제돌기(33)로 구성되는 1차 록킹 수단과 지지턱(22)에서 연장되고 해제레버(12)의 후단부와 간섭되어 삽입제어편(30)의 삽입저지를 보조하는 간섭턱(31)이 형성되는 해제방지구(16)로 형성되는 3차 록킹 수단의 결합에 매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의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후크홀(11)의 전방내단부에는 간섭해제돌기(33)와의 미결합시 삽입제어편(30)이 삽입되어져 간섭되는 위치에 이 삽입제어편(30)의 삽입방향으로부터 직각인 면을 이루어 삽입제어편(30)의 간섭면(34)과 간섭되어지는 간섭면(35)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간섭해제돌기(33)에 의한 삽입제어편(30)과 후크홀(11)과의 간섭해제시 상기 간섭해제돌기(33)의 간섭해제유도면(32)과 연장되는 유도면(36)이 간섭면(35)에 연장되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의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삽입제어편(30)에는 이 삽입제어편(30)의 삽입방향으로부터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어져 후크홀(11)의 간섭면(35)과 대응되는 간섭면(34)이 형성되고, 이 간섭면(34)에 연장되어 간섭해제유도면(32)에 접촉되어져 삽입제어편(30)의 휨이 유도되게 상기 간섭해제유도면(32)과 대향되는 유도면(3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의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간섭턱(31)에는 해제레버(12)의 이동이 유도되게 유도면(39)이 형성되고, 이 유도면(39)에 연장되어 해제방지구(16)의 완전 삽입시 해제레버(12)의 탄착으로 해제방지구(16)의 삽입완료상태가 유지됨과 더불어 후크결합에 탄성력을 부가시키는 압박돌기(37)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의 커넥터.
KR10-2001-0036571A 2001-06-26 2001-06-26 전기장치의 커넥터 KR100419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571A KR100419728B1 (ko) 2001-06-26 2001-06-26 전기장치의 커넥터
EP01250282A EP1271707A1 (en) 2001-06-26 2001-07-26 Wire-harness connector of electric apparatus
CN01123922A CN1393963A (zh) 2001-06-26 2001-08-03 电气设备的配线接线器
US09/923,740 US20020197902A1 (en) 2001-06-26 2001-08-07 Wire-harness connector of electric apparatus
JP2001246648A JP2003017188A (ja) 2001-06-26 2001-08-15 電気装置のコネク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571A KR100419728B1 (ko) 2001-06-26 2001-06-26 전기장치의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542A KR20030000542A (ko) 2003-01-06
KR100419728B1 true KR100419728B1 (ko) 2004-02-21

Family

ID=1971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571A KR100419728B1 (ko) 2001-06-26 2001-06-26 전기장치의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20197902A1 (ko)
EP (1) EP1271707A1 (ko)
JP (1) JP2003017188A (ko)
KR (1) KR100419728B1 (ko)
CN (1) CN13939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786B1 (ko) * 2008-03-31 2010-10-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051B1 (ko) * 2002-05-07 2004-04-13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JP2007177841A (ja) * 2005-12-27 2007-07-12 Kokusan Denki Co Ltd 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KR100796028B1 (ko) * 2006-07-28 2008-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록킹구조
KR100912950B1 (ko) * 2007-06-05 2009-08-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KR100918136B1 (ko) * 2007-11-07 2009-09-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커넥터 결합 고정장치 및 커넥터 결합 고정장치의 고정부재
KR101329249B1 (ko) 2007-12-31 2013-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US9564704B2 (en) * 2013-06-07 2017-02-07 FCI Asia Pte. Ltd. Connector assembly
US10038278B2 (en) 2016-03-17 2018-07-3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5674A (ja) * 1987-11-24 1989-05-29 Hitachi Ltd プリンタの印字制御方式
JPH03280370A (ja) * 1990-03-28 1991-12-11 Yazaki Corp 電気コネクタのロック検知機構
JPH03285280A (ja) * 1990-03-01 1991-12-16 Yazaki Corp 電気コネクタのロック確認装置
JPH0433283A (ja) * 1990-05-29 1992-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ソケット
EP0655807A2 (en) * 1993-11-30 1995-05-31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KR19980064061A (ko) * 1996-12-13 1998-10-07 덴턴마이클죤 전기 컨넥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9913Y2 (ko) * 1979-09-05 1982-11-01
JPH0737256Y2 (ja) * 1987-12-15 1995-08-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5681178A (en) * 1995-06-27 1997-10-28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5674A (ja) * 1987-11-24 1989-05-29 Hitachi Ltd プリンタの印字制御方式
JPH03285280A (ja) * 1990-03-01 1991-12-16 Yazaki Corp 電気コネクタのロック確認装置
JPH03280370A (ja) * 1990-03-28 1991-12-11 Yazaki Corp 電気コネクタのロック検知機構
JPH0433283A (ja) * 1990-05-29 1992-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ソケット
EP0655807A2 (en) * 1993-11-30 1995-05-31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KR19980064061A (ko) * 1996-12-13 1998-10-07 덴턴마이클죤 전기 컨넥터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786B1 (ko) * 2008-03-31 2010-10-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71707A1 (en) 2003-01-02
KR20030000542A (ko) 2003-01-06
US20020197902A1 (en) 2002-12-26
JP2003017188A (ja) 2003-01-17
CN1393963A (zh)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728B1 (ko) 전기장치의 커넥터
JP3165909B2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JP7348090B2 (ja) コネクタ組立体
EP1235310B1 (en) Engagement detecting structure in connector
JP3902605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H11185874A (ja) コネクタのロックアーム保護構造
CN106463882B (zh) 线缆应变消除
WO2009119405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3905731B2 (ja) ロック保障機構付きコネクタ
US4892490A (en) Electrical connector enabling prevention of incomplete coupling
JP7023510B2 (ja) コネクタ
JP2694417B2 (ja) 分割多極コネクタ
JP6475489B2 (ja) コネクタ
JP2014044825A (ja) コネクタ嵌合方法及び嵌合治具
JP5329339B2 (ja) コネクタ
JP3341820B2 (ja) 合体式コネクタ
JP2006156182A (ja)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CN111653889A (zh) 一种防触指结构及尾部设置防触指结构的插座连接器
KR101674918B1 (ko) 차량용 커넥터
JP2008282721A (ja) コネクタ接続構造
JPH0969376A (ja) コネクタの嵌合誘導構造
GB2390492A (en) Electrical connector
WO2023223828A1 (ja) コネクタ
CN112740487B (zh) 连接器
CN212766208U (zh) 跨座车辆计算机控制器的安装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