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642B1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642B1
KR100399642B1 KR10-2001-0065805A KR20010065805A KR100399642B1 KR 100399642 B1 KR100399642 B1 KR 100399642B1 KR 20010065805 A KR20010065805 A KR 20010065805A KR 100399642 B1 KR100399642 B1 KR 10039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active material
compound
coating
containing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3716A (ko
Inventor
조재필
박병우
김용정
김태준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5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642B1/ko
Priority to CNB021320861A priority patent/CN1269244C/zh
Priority to US10/270,811 priority patent/US6916580B2/en
Priority to JP2002308368A priority patent/JP4316218B2/ja
Publication of KR20030033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8Inhibitors, e.g. gassing inhibitors, corrosion inhib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16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impregnation with a solution, dispersion, paste or dry pow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함유 화합물; 및 상기 리튬-함유 화합물의 표면에 프랙쳐 터프니스(fracture toughness)가 3.5MPam1/2이상이고, 둘이상의 코팅원소를 포함하는 옥사이드 화합물, 및 상기 리튬-함유 화합물과 옥사이드 화합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고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양극 활물질은 구조적으로 안정하여 리튬 이차 전지의 사이클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A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PREPARING SAME}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 안정성 및 사이클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현재 상업화되어 사용 중인 리튬 이차 전지는 평균 방전 전위가 3.7V, 즉 4V대의 전지로서 3C라 일컬어지는 휴대용 전화,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에 급속도로 적용되고 있는 디지털 시대의 심장에 해당하는 요소이다.
리튬 이차 전지는 가역적으로 리튬 이온의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물질을 양극 및 음극에 사용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유기 전해액 또는 폴리머 전해액을 충전시켜 제조하며, 리튬 이온이 양극 및 음극에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될 때의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
리튬 이차 전지의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금속을 사용하였으나, 리튬 금속을 사용할 경우에 덴드라이트(dendrite)의 형성으로 인한 전지 단락에 의해 폭발 위험성이 있어서 리튬 금속 대신 비정질 탄소 또는 결정질 탄소 등의 탄소계 물질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탄소계 물질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탄소계 물질에 보론을 첨가하여 보론 코팅된 그라파이트(BOC)를 제조하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활물질로는 LiCoO2, LiMn2O4, LiNiO2, LiNi1-xCoxO2, LiMnO2등의 복합산화물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LiMn2O4,LiMnO2등의 Mn-계 전극 물질은 합성하기도 쉽고, 값이 비교적 싸며, 환경에 대한 오염도 적어 매력이 있는 물질이기는 하나, 용량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LiCoO2는 양호한 전기 전도도와 높은 전지 전압 그리고 우수한 전극 특성을 보이며, 현재 SONY 사등에서 상업화되어 시판되고 있는 대표적인 양극물질이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LiNiO2는 위에서 언급한 양극물질 중 가장 값이 싸며, 가장 높은 방전용량의 전지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합성하기가 어려우며, 충방전시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전 세계에 유통되고 있는 전지의 95% 이상이 고가격의 LiCoO2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LiCoO2를 대체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 반응에 의해 활물질의 구조적 안정성과 용량이 정해지는 Li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이다. 이러한 Li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은 리튬 이온의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 반응중 리튬의 조성에 따라 구조의 변화가 일어난다. 예를 들어 양극 활물질로 LiNiO2또는 LiCoO2를 사용하면, x가 0.5 이상일 때는 헥사고날(hexagonal) 상에서 모노클리닉(monoclinic) 상으로 상 전이가 일어나며, x가 0.5 미만일 경우에는 다시 헥사고날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상 전이는 안이소트로픽(aniostropic) 부피 팽창을 일으켜 양극 활물질에 마이크로-크랙(micro-cracks)을 발생시킨다. 이것는 활물질에 구조적 손상(structural damage)을 일으켜 리튬의 충방전 효율을 저하시켜 수명 특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리튬 이온의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에 따른 양극 활물질의 안이소트로픽 부피 팽창을 최소화하여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충방전시 활물질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Ni계 또는 Co계 리튬 산화물에 다른 원소를 도핑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방법의 예로 미국 특허 제5,292,601호에는 LiCoO2의 성능을 개선시킨 활물질로서 LixMO2(M은 Co, Ni 및 Mn 중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x는 0.5 내지 1임)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 안정성 및 사이클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표면에서 내부까지의 코팅원소의 분포 농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코인 셀의 0.1C에서의 충방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코인 셀의 사이클 수명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튬-함유 화합물; 및 상기 리튬-함유 화합물의 표면에 프랙쳐 터프니스(fracture toughness)가 3.5MPam1/2이상이고, 둘이상의 코팅원소를 포함하는 옥사이드 화합물, 및 상기 리튬-함유 화합물과 옥사이드 화합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고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둘이상의 코팅원소를 포함하는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팅액에 리튬-함유 화합물을 첨가하여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리튬 함유 화합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함유 화합물의 표면에 프랙쳐 터프니스가 3.5MPam1/2이상이고, 둘이상의 코팅원소를 포함하는 옥사이드 화합물, 및 상기 리튬-함유 화합물과 옥사이드 화합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고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리튬 함유 화합물의 표면에 프랙쳐 터프니스가 3.5MPam1/2이상이고, 둘이상의 코팅원소를 포함하는 옥사이드 화합물 및 리튬-함유 화합물과 옥사이드 화합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고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가진다.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리튬-함유 화합물은 리튬 이온이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됨에 따라, 안이소트로픽 수축 및 팽창을 하므로, 양극 활물질의 a-축 및 c-축으로의 상 변화가 생긴다. 또한, 리튬-함유 화합물의 부피 수축 및 팽창율이 0.2%를 넘으면, 마이크로-크랙 현상이 발생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리튬-함유 화합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화합물의 표면에 안이소트로픽 부피 변화에 견딜 수 있는 프랙쳐 터프니스를 가지는 코팅층을 형성한다. 프랙쳐 터프니스는 물질이 기계적 프랙쳐(mechanical fracture)에 견딜 수 있는 최대 포인트(point)로, 프랙쳐 터프니스가 높을수록 안정성이 높은 물질이다. 프랙쳐 터프니스는 SENB(single-edge-notched beam)법이나 ICL(identation crack length)법으로 측정된다. 옥사이드 화합물의 프랙쳐 터프니스는 하기 표 1과 같다.
옥사이드 화합물 프랙쳐 터프니스MPam1/2
ZrAlO4 10∼14
Al2O3 2.7∼4.2
TiO2 2.38
B2O3 1.44
SiO2 0.7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원소로 이루어진 옥사이드 화합물에 비하여 삼원소로 이루어진 옥사이드 화합물의 프랙쳐 터프니스가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프랙쳐 터프니스가 높은 삼원소 이상의 옥사이드 화합물로 리튬-함유 화합물을 코팅하게 되면 충방전시 리튬 이온의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에 따른 안이소트로픽 부피변화를 최소화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수명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3.5MPam1/2이상의 프랙쳐 터프니스를 가지며 둘이상의 코팅원소를 포함하는 옥사이드 화합물이 표면에 코팅되도록 한다. 프랙쳐 터프니스 3.5MPam1/2미만이면 활물질의 구조적 안정성 개선효과가 미미하다.
상기 옥사이드 화합물에 포함되는 원소로는 Zr, Al, Na, K, Mg, Ca, Sr, Ni, Co, Ti, Sn, Mn, Cr, Fe 및 V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에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지르코늄 함유 옥사이드 화합물이 더 바람직하다.
[화학식 1]
ZrMpOq
(상기 식에서,
M은 Al, Na, K, Mg, Ca, Sr, Ni, Co, Ti, Sn, Mn, Cr, Fe 및 V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p는 1 내지 5의 값을 가지며, q는 3 내지 7의 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양극 활물질의 코팅층은 상기 둘이상의 코팅원소를 포함하는 옥사이드 화합물이외에 리튬-함유 화합물과 옥사이드 화합물이 반응하여 형성된 고용체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고용체 화합물은 표면에서 최대 20,000Å의 깊이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고용체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소는 내부로 갈수록 점점 농도가 감소되는 농도구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코팅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프랙쳐 터프니스가 증가하나 0.01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0.1㎛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코팅층의 두께가 0.01㎛ 미만이면 수명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량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코팅에 사용되는 리튬-함유 화합물은 리튬 이온의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로서 리튬-함유 금속 산화물 또는 리튬-함유 칼코게나이드 화합물이 있다. 이들 화합물은 큐빅, 헥사고날, 모노클리닉 구조를 기본 구조로 가진다. 이들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14)가 있다.
LixMn1-yM'yA2(2)
LixMn1-yM'yO2-zXz(3)
LixMn2O4-zXz(4)
LixMn2-yM'yA4(5)
LixCo1-yM'yA2(6)
LixCoO2-zXz(7)
LixNi1-yM'yA2(8)
LixNiO2-zXz(9)
LixNi1-yCoyO2-zXz(10)
LixNi1-y-zCoyM'zAα(11)
LixNi1-y-zCoyM'zO2-αXα(12)
LixNi1-y-zMnyM'zAα(13)
LixNi1-y-zMnyM'zO2-αXα(14)
상기 식에서, 0.95 ≤x ≤1.1, 0 ≤y ≤0.5, 0 ≤z ≤0.5, 0 < α≤2이고, M'는 Al, Ni, Co, Mn, Cr, Fe, Mg, Sr, V, Sc, Y 및 란탄족 원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며, A는 O, F,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X는 F,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이러한 리튬-함유 화합물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15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극 활물질의 코팅에는 두개 이상의 코팅원소를 포함하는 코팅액을 사용한다. 이 코팅액은 서로 다른 코팅원소를 포함하는 알콕사이드, 염, 또는 산화물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제조된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메탄올, 에탈올 또는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테르, 메틸렌 클로라이드, 아세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코팅액"은 용액 또는 균질한 현탁액(suspension) 상태 모두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코팅액에 리튬-함유 화합물을 투입하여 코팅을 실시한다. 코팅방법은 이와 같이 침적법(dip coating)이 가장 간편하게 이용되나 스프레이등 다른 코팅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코팅된 리튬 함유 화합물을 열처리하여 코팅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한다. 열처리 공정은 300 내지 800℃에서 3 내지 10 시간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 전에 80 내지 200℃에서 1 내지 5 시간동안 건조하는 공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에 의하여 리튬-함유 화합물과 코팅원소의 옥사이드 화합물이 반응하여 고용체 화합물을 형성한다. 열처리 온도가 300℃미만인 경우에는 용량과 수명 개선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800℃를 넘는 경우에는 코팅층이 소실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바인더 및 도전제와 함께 유기용매에 첨가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이를 집전체에 코팅하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극, 리튬 이온의 삽입/탈리가 가능한 물질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는 음극 및 리튬염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액으로 이루어지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음극 활물질 및 전해액은 통상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르코늄 에틸헥사노이소프로폭사이드 용액와 알루미늄 에틸헥사노이소프로폭사이드 용액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 코팅액과 평균 입도 10㎛인 LiCoO2분말을 90:l0의 중량비로 이소프로판올내에서 혼합하여 LiCoO2분말을 코팅하였다. 코팅된 LiCoO2분말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400℃에서 10시간 열처리하여 ZrAlO4및 LiCo1-aZrbAlcO2(0<a≤0.6, 0<b≤0.2, 0<c≤0.2)의 고용체 화합물이 표면에 형성되도록 하였다. 제조된 양극 활물질과, 도전제로 수퍼 P,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를 활물질/도전제/바인더를 92:4:4의 중량비로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약 100㎛의 두께로 Al-호일 위에 코팅한 후 압연하여 코인 셀용 양극 극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극 극판을 지금 1.6㎝로 펀칭하고, 전해액으로 1M LiPF6가 용해된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메틸 카보네이트(1:1의 부피비)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글로브 박스 내에서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코팅액으로 지르코늄 에틸헥사노이소프로폭사이드 용액과 니켈 에틸헥사노이소프로폭사이드 용액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제조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코팅액으로 지르코늄 에틸헥사노이소프로폭사이드 용액, 알루미늄 에틸헥사노이소프로폭사이드 용액 및 니켈 에틸헥사노이소프로폭사이드 용액을 1:1:1의 비로 혼합하여 제조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LiCoO2대신 평균입경이 10㎛인 LiNiO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LiCoO2대신 평균입경이 13㎛인 LiMn2O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LiCoO2대신 평균입경이 13㎛인 LiNi0.9Co0.1Sr0.002O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LiCoO2대신 평균입경이 10㎛인 LiNi0.8Mn0.2O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LiCoO2대신 평균입경이 13㎛인 Li1.03Ni0.69Mn0.19Co0.1Al0.07Mg0.07O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코팅하지 않은 평균 입도 10㎛의 LiCoO2분말을 양극 활물질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코팅액으로 알루미늄 에틸헥사노이소프로폭사이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코팅액으로 티타늄 에틸헥사노이소프로폭사이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코팅액으로 보론 에틸헥사노이소프로폭사이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코팅액으로 실리콘 에틸헥사노이소프로폭사이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코팅하지 않은 평균 입도 10㎛의 LiNiO2분말을 양극 활물질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AES(Auger Electron Spectroscopy) 분석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양극 활물질의 표면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지르코늄과 알루미늄의 농도가 적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코팅층에 존재하는 지르코늄과 알루미늄은 양극 활물질의 표면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5의 방법으로 제조된 코인 셀을 0.1C로 충방전을 실시하여 얻은 충방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코인 셀의 방전특성이 비교예 3 내지 5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코인 셀에 대한 0.5C에서의 사이클 수명 특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랙쳐 터프니스가 ZrAlO4가 코팅된 실시예 1의 양극 활물질이 비교예 1 내지 5의 양극 활물질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하므로 사이클 수명 특성도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양극 활물질에 코팅되는 삼원소 이상의 옥사이드 화합물과 이 화합물과 리튬-함유 화합물의 반응으로 형성되는 고용체 화합물은 프랙쳐 터프니스가 매우 높아 리튬 이온이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될 때 부피 팽창을 감소시켜 리튬-함유 화합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코팅된 양극 활물질을 리튬 이차 전지에 적용할 경우 사이클 수명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20)

  1. 리튬-함유 화합물; 및
    상기 리튬-함유 화합물의 표면에 프랙쳐 터프니스(fracture toughness)가 3.5MPam1/2이상이고, 둘이상의 코팅원소를 포함하는 옥사이드 화합물, 및 상기 리튬-함유 화합물과 옥사이드 화합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고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사이드 화합물에 포함되는 원소가 Zr, Al, Na, K, Mg, Ca, Sr, Ni, Co, Ti, Sn, Mn, Cr, Fe 및 V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인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사이드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화학식 1]
    ZrMpOq
    (상기 식에서,
    M은 Al, Na, K, Mg, Ca, Sr, Ni, Co, Ti, Sn, Mn, Cr, Fe 및 V로 이루어진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p는 1 내지 5의 값을 가지며, q는 3 내지 7의 값을 가진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함유 화합물은 큐빅, 헥사고날, 또는 모노클리닉 구조를 기본 구조로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함유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 내지 (14)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인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LixMn1-yM'yA2(2)
    LixMn1-yM'yO2-zXz(3)
    LixMn2O4-zXz(4)
    LixMn2-yM'yA4(5)
    LixCo1-yM'yA2(6)
    LixCoO2-zXz(7)
    LixNi1-yM'yA2(8)
    LixNiO2-zXz(9)
    LixNi1-yCoyO2-zXz(10)
    LixNi1-y-zCoyM'zAα(11)
    LixNi1-y-zCoyM'zO2-αXα(12)
    LixNi1-y-zMnyM'zAα(13)
    LixNi1-y-zMnyM'zO2-αXα(14)
    (상기 식에서, 0.95 ≤x ≤1.1, 0 ≤y ≤0.5, 0 ≤z ≤0.5, 0 < α≤2이고, M'는 Al, Ni, Co, Mn, Cr, Fe, Mg, Sr, V, Sc, Y 및 란탄족 원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며, A는 O, F,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X는 F,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이 리튬-함유 화합물의 표면에서부터 20,000Å에까지 형성되어 있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옥사이드 화합물에 포함되는 원소가 활물질 입자의 표면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농도 구배를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0.01 내지 2㎛의 범위에 있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0.01 내지 0.1㎛의 범위에 있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10. 둘이상의 코팅원소를 포함하는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팅액에 리튬-함유 화합물을 첨가하여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리튬 함유 화합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리튬-함유 화합물의 표면에 프랙쳐 터프니스가 3.5MPam1/2이상이고, 둘이상의 코팅원소를 포함하는 옥사이드 화합물, 및 상기 리튬-함유 화합물과 옥사이드 화합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고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원소가 Zr, Al, Na, K, Mg, Ca, Sr, Ni, Co, Ti, Sn, Mn, Cr, Fe 및 V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인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둘이상의 코팅원소를 포함하는 옥사이드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을 가지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화학식 1]
    ZrMpOq
    (상기 식에서,
    M은 Al, Na, K, Mg, Ca, Sr, Ni, Co, Ti, Sn, Mn, Cr, Fe 및 V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p는 1 내지 5의 값을 가지며, q는 3 내지 7의 값을 가진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함유 화합물은 큐빅, 헥사고날, 또는 모노클리닉 구조를 기본 구조로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함유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 내지 (14)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인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LixMn1-yM'yA2(2)
    LixMn1-yM'yO2-zXz(3)
    LixMn2O4-zXz(4)
    LixMn2-yM'yA4(5)
    LixCo1-yM'yA2(6)
    LixCoO2-zXz(7)
    LixNi1-yM'yA2(8)
    LixNiO2-zXz(9)
    LixNi1-yCoyO2-zXz(10)
    LixNi1-y-zCoyM'zAα(11)
    LixNi1-y-zCoyM'zO2-αXα(12)
    LixNi1-y-zMnyM'zAα(13)
    LixNi1-y-zMnyM'zO2-αXα(14)
    (상기 식에서, 0.95 ≤x ≤1.1, 0 ≤y ≤0.5, 0 ≤z ≤0.5, 0 < α≤2이고, M'는 Al, Ni, Co, Mn, Cr, Fe, Mg, Sr, V, Sc, Y 및 란탄족 원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며, A는 O, F,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이고 X는 F,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이 리튬-함유 화합물의 표면에서부터 20,000Å에까지 형성되어 있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옥사이드 화합물에 포함되는 원소가 활물질 입자의 표면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농도 구배를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0.01 내지 2㎛의 범위에 있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0.01 내지 0.1㎛의 범위에 있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3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3 내지 10 시간 동안 실시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KR10-2001-0065805A 2001-10-24 2001-10-24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039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805A KR100399642B1 (ko) 2001-10-24 2001-10-24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CNB021320861A CN1269244C (zh) 2001-10-24 2002-09-09 用于可充电锂电池的正极活性物质及其制备方法
US10/270,811 US6916580B2 (en) 2001-10-24 2002-10-15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battery containing the same
JP2002308368A JP4316218B2 (ja) 2001-10-24 2002-10-23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805A KR100399642B1 (ko) 2001-10-24 2001-10-24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716A KR20030033716A (ko) 2003-05-01
KR100399642B1 true KR100399642B1 (ko) 2003-09-29

Family

ID=1971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805A KR100399642B1 (ko) 2001-10-24 2001-10-24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16580B2 (ko)
JP (1) JP4316218B2 (ko)
KR (1) KR100399642B1 (ko)
CN (1) CN1269244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986B1 (ko) * 2007-06-12 2013-11-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복합 활물질을 포함하는 캐소드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101645482B1 (ko) 2016-03-22 2016-08-12 이경옥 장류 자동 포장용 타이 결속시스템
US9614225B2 (en) 2012-08-14 2017-04-04 Samsung Sdi Co., Ltd.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1208B2 (en) * 2001-06-01 2009-03-10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Doped manganese dioxides
US7081235B2 (en) * 2001-06-01 2006-07-25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athode materials for primary batteries
KR101209346B1 (ko) 2001-12-21 2013-09-09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전도성 리튬 저장 전극
JP4077646B2 (ja) * 2002-04-05 2008-04-16 メル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US7807298B2 (en) * 2003-11-17 2010-10-05 Panasonic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ith laminated separator
JP4291195B2 (ja) * 2004-03-30 2009-07-08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1320803A (zh) 2004-04-30 2008-12-10 清美化学股份有限公司 锂二次电池正极用含锂复合氧化物的制造方法
US7381496B2 (en) * 2004-05-21 2008-06-03 Tiax Llc Lithium metal oxide materials and methods of synthesis and use
US7842420B2 (en) 2005-02-03 2010-11-30 A123 Systems, Inc. Electrode material with enhanced ionic transport properties
US8445129B2 (en) * 2005-05-27 2013-05-21 Sony Corporation Cathode active material, method of manufacturing it, cathode, and battery
KR100795305B1 (ko) * 2005-08-09 2008-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루미늄 또는 이의 합금으로 피복된 양극활물질 및 이를이용한 전기화학 소자
JP5002927B2 (ja) * 2005-08-25 2012-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及びこれを用いた電池パック
CN101331631B (zh) 2006-03-02 2010-09-29 Agc清美化学股份有限公司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正极活性物质及其制造方法
JP4586991B2 (ja) * 2006-03-24 2010-11-24 ソニー株式会社 正極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二次電池
KR100822012B1 (ko) * 2006-03-30 2008-04-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리튬 이차 전지
US8911903B2 (en) 2006-07-03 2014-12-16 Sony Corporation Cathode active material,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4311438B2 (ja) * 2006-11-28 2009-08-12 ソニー株式会社 正極活物質およ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並びに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CN101622297A (zh) * 2007-02-26 2010-01-06 Az电子材料美国公司 制备硅氧烷聚合物的方法
JP5482977B2 (ja) * 2007-06-15 2014-05-07 戸田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コバルト酸リチウム粒子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4656097B2 (ja) * 2007-06-25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181554B2 (ja) * 2007-07-09 2013-04-10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JP4714229B2 (ja) * 2008-02-22 2011-06-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チウム二次電池
JP5189384B2 (ja) 2008-02-29 2013-04-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チウム二次電池
US8187752B2 (en) * 2008-04-16 2012-05-29 Envia Systems, Inc. High energy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US20100040838A1 (en) * 2008-08-15 2010-02-18 Abdallah David J Hardmask Process for Forming a Reverse Tone Image
US8916294B2 (en) * 2008-09-30 2014-12-23 Envia Systems, Inc. Fluorine doped lithium rich metal oxide positive electrode battery materials with high specific capacity and corresponding batteries
US8389160B2 (en) * 2008-10-07 2013-03-05 Envia Systems, Inc.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having a high specific discharge capacity and processes for the synthesis of these materials
US8465873B2 (en) * 2008-12-11 2013-06-18 Envia Systems, Inc.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for high discharge capacity lithium ion batteries
KR101363443B1 (ko) * 2009-06-17 2014-02-14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화학 소자용 전극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화학 소자
US10056644B2 (en) * 2009-07-24 2018-08-21 Zenlabs Energy, Inc. Lithium ion batteries with long cycling performance
WO2011031544A2 (en) * 2009-08-27 2011-03-17 Envia Systems, Inc. Metal oxide coated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based batteries
JP6162402B2 (ja) * 2009-08-27 2017-07-12 エンビア・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Envia Systems, Inc. 高い比容量および優れたサイクルを有する積層リチウムリッチ錯体金属酸化物
JP5695373B2 (ja) * 2009-09-09 2015-04-0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用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化学素子
US9843041B2 (en) * 2009-11-11 2017-12-12 Zenlabs Energy, Inc. Coated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US8993177B2 (en) * 2009-12-04 2015-03-31 Envia Systems, Inc. Lithium ion battery with high voltage electrolytes and additives
US8765306B2 (en) * 2010-03-26 2014-07-01 Envia Systems, Inc. High voltage battery formation protocols and control of charging and discharging for desirable long term cycling performance
US8741484B2 (en) 2010-04-02 2014-06-03 Envia Systems, Inc. Doped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nstructed therefrom
CN101894938B (zh) * 2010-06-30 2013-01-02 北京化工大学 钴铝复合金属氧化物包覆LiCoO2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US9083062B2 (en) 2010-08-02 2015-07-14 Envia Systems, Inc. Battery packs for vehicles and high capacity pouch secondary batteries for incorporation into compact battery packs
US8928286B2 (en) 2010-09-03 2015-01-06 Envia Systems, Inc. Very long cycling of lithium ion batteries with lithium rich cathode materials
US8663849B2 (en) 2010-09-22 2014-03-04 Envia Systems, Inc. Metal halide coatings on lithium ion battery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and corresponding batteries
US9166222B2 (en) 2010-11-02 2015-10-20 Envia Systems, Inc. Lithium ion batteries with supplemental lithium
KR101297259B1 (ko) * 2010-12-20 2013-08-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101292757B1 (ko) * 2011-01-05 2013-08-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자 전체 농도 구배 리튬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157479B1 (ko) * 2013-04-29 2020-10-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JP5905086B2 (ja) * 2011-06-17 2016-04-20 ユミコア コア材料の元素と1種類以上の金属酸化物との混合物でコーティングされたリチウム金属酸化物粒子
US9159990B2 (en) 2011-08-19 2015-10-13 Envia Systems, Inc. High capacity lithium ion battery formation protocol and corresponding batteries
US9537137B2 (en) 2011-12-09 2017-01-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athode active material, cathode active material layer, all solid state battery and producing method for cathode active material
US10170762B2 (en) 2011-12-12 2019-01-01 Zenlabs Energy, Inc. Lithium metal oxides with multiple phases and stable high energy electrochemical cycling
US9070489B2 (en) 2012-02-07 2015-06-30 Envia Systems, Inc. Mixed phase lithium metal oxide compositions with desirable battery performance
JP5811269B2 (ja) * 2012-03-09 2015-1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9780358B2 (en) 2012-05-04 2017-10-03 Zenlabs Energy, Inc. Battery designs with high capacity anode materials and cathode materials
US10553871B2 (en) 2012-05-04 2020-02-04 Zenlabs Energy, Inc. Battery cell engineering and design to reach high energy
KR101718057B1 (ko) * 2012-08-02 2017-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극 활물질 및 이를 채용한 양극과 리튬전지
US9552901B2 (en) 2012-08-17 2017-01-24 Envia Systems, Inc. Lithium ion batteries with high energy density, excellent cycling capability and low internal impedance
KR101658503B1 (ko) 2012-11-06 2016-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10115962B2 (en) 2012-12-20 2018-10-30 Envia Systems, Inc. High capacity cathode material with stabilizing nanocoatings
WO2014193203A1 (ko) 2013-05-31 2014-12-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JP6189649B2 (ja) * 2013-06-07 2017-08-30 Dowa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正極活物質粉末およびその製造法
CN104241623A (zh) * 2013-06-14 2014-12-24 上海绿孚新能源科技有限公司 正极活性物质以及二次电池
US9905851B2 (en) 2013-07-26 2018-02-27 Lg Chem, Ltd. Cath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104903238B (zh) 2013-07-26 2017-04-26 株式会社Lg 化学 多晶型锂锰氧化物粒子、其制备方法以及包含其的正极活性材料
US9905850B2 (en) 2013-07-26 2018-02-27 Lg Chem, Ltd. Polycrystalline lithium manganese oxide particl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athode active material including the same
WO2015024004A1 (en) 2013-08-16 2015-02-19 Envia Systems, Inc. Lithium ion batteries with high capacity anode active material and good cycling for consumer electronics
US10069143B2 (en) 2013-12-23 2018-09-04 Uchicago Argonne, Llc Cobalt-stabilized lithium metal oxide electrodes for lithium batteries
US10305103B2 (en) 2015-08-11 2019-05-28 Uchicago Argonne, Llc Stabilized electrodes for lithium batteries
JP6846627B2 (ja) * 2015-09-16 2021-03-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正極活物質、および、電池
CN106935803B (zh) * 2015-12-31 2020-07-10 北京当升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正极材料的制备方法
CN114583154A (zh) * 2016-03-14 2022-06-03 苹果公司 用于锂离子电池的阴极活性材料
US11942632B2 (en) * 2016-10-06 2024-03-26 Lg Energy Solution, Ltd.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article including core containing lithium cobalt oxide and shell containing composite metal ox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20514971A (ja) * 2016-12-23 2020-05-21 ポスコPosco 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製造方法および二次電池用活物質製造装置
CN111316484B (zh) * 2017-11-22 2022-11-01 宝马股份公司 高电压正电极材料以及包括它的阴极和锂离子电池和电池组
US11094925B2 (en) 2017-12-22 2021-08-17 Zenlabs Energy, Inc. Electrodes with silicon oxi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ion cells achieving high capacity, high energy density and long cycle life performance
US11695108B2 (en) 2018-08-02 2023-07-04 Apple Inc. Oxide mixture and complex oxide coatings for cathode materials
US11749799B2 (en) 2018-08-17 2023-09-05 Apple Inc. Coatings for cathode active materials
CN111446444B (zh) * 2020-03-03 2021-06-15 北京当升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富锂锰基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20029161A1 (en) * 2020-07-24 2022-01-27 Uchicago Argonne, Llc Cathode materials for use in lithium cells and batteries
US20220029160A1 (en) * 2020-07-24 2022-01-27 Uchicago Argonne, Llc Cathode materials for use in lithium cells and batteries
CN115974175A (zh) * 2022-12-12 2023-04-18 上海纳米技术及应用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二氧化硅包覆三元材料的制备方法及产品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55305C (en) 1990-11-17 2002-02-19 Naoyuki Sugeno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5705291A (en) 1996-04-10 1998-01-06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Rechargeable battery cell having surface-treated lithiated intercalation positive electrode
DE19922522A1 (de) 1999-05-15 2000-11-16 Merck Patent Gmbh Beschichtete Lithium-Mischoxid-Partikel und deren Verwendung
JP4938919B2 (ja) * 2000-01-14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US7138209B2 (en) * 2000-10-09 2006-11-21 Samsung Sdi Co., Ltd.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7135251B2 (en) * 2001-06-14 2006-11-14 Samsung Sdi Co., Ltd. Active material for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986B1 (ko) * 2007-06-12 2013-11-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복합 활물질을 포함하는 캐소드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US9614225B2 (en) 2012-08-14 2017-04-04 Samsung Sdi Co., Ltd.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KR101645482B1 (ko) 2016-03-22 2016-08-12 이경옥 장류 자동 포장용 타이 결속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78759A (ja) 2003-06-27
JP4316218B2 (ja) 2009-08-19
US6916580B2 (en) 2005-07-12
KR20030033716A (ko) 2003-05-01
US20030087155A1 (en) 2003-05-08
CN1269244C (zh) 2006-08-09
CN1414650A (zh) 200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9642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032645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KR10174618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42861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41513B1 (ko) 전지용 활물질 및 그의 제조방법
CA2565810C (en) Lithium metal oxide materials and methods of synthesis and use
KR100728108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20034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KR10057061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309773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10081181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22359A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과 리튬 이차 전지
KR102449815B1 (ko)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100393684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JP2002124258A (ja) マンガン酸リチウム粒子粉末及びその製造法
KR100318377B1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0399634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0917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02419B1 (ko) 양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상기 양극을 채용한 리튬전지
KR101588362B1 (ko) 코어-쉘 구조의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96878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412523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 전지
KR20020029218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Wang et al. Energy storag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KR20150067886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