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401B1 - 항진균성소르다리딘유도체 - Google Patents

항진균성소르다리딘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401B1
KR100391401B1 KR1019960703661A KR19960703661A KR100391401B1 KR 100391401 B1 KR100391401 B1 KR 100391401B1 KR 1019960703661 A KR1019960703661 A KR 1019960703661A KR 19960703661 A KR19960703661 A KR 19960703661A KR 100391401 B1 KR100391401 B1 KR 100391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solution
group
octahydro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죠세 라몬 루이즈 고메즈
죠세 마리아 부에노 칼데론
실베스트레 가르시아-오쵸아 도라도
마리아 테레사 프라일레 가발돈
쥴리아 카스트로 피첼
죠세 피안도르 로만
도밍고 가르살로 비올라
쥬안 카를로스 쿠에바 쥬리타
죠세 루이스 라반데라 디아즈
소피에 후스
Original Assignee
글락소 웰컴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94500173A external-priority patent/EP0712859A1/en
Priority claimed from EP94500175A external-priority patent/EP0711784A1/en
Application filed by 글락소 웰컴 에스.에이. filed Critical 글락소 웰컴 에스.에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0Carbocyclic rings
    • C07H15/24Condensed ring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7/00Preparation of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with only O, N, S, Se or Te as ring hetero atoms
    • C12P17/02Oxygen as only ring hetero atoms
    • C12P17/06Oxygen as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a six-membered hetero ring, e.g. fluoresce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44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Z가 하기 기 (a) 또는 (b)로부터 선택된 테트라히드로-피라노기인 항진균 활성을 갖는 화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의약에 있어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진균성 소르다리딘 유도체
본 발명은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신규 소르다린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이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및 의약에 있어서의 그의 용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균 감염에 의해 유발된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에 있어서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영국 특허 출원 제1,162,027호에는 진균 종 소르다리아 아라네오사(Sordaria araneosa)의 균주 NRRL 3196을 배양시켜 제균 활성을 갖는다고 보고된, 후에 소르다린이라고 명명된 항생제 SL 2266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동일한 연구자들은 문헌 [Helvetica Chimica Acta (1971),51, 119-120]에 소르다린이 소르다리신으로 분해한다고 기재하였다. 간행된 일본 특허 출원 제J6 2040292A호에는 항진균 활성을 갖는다고 보고된 항생제 조피마린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소르다린, 소르다리신 및 조피마린은 다음 일반식 (A)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식 중, OR이이면 소르다린을 나타내고;
OR이 OH이면 소르다리신을 나타내고,
OR이이면 조피마린을 나타낸다.
소르다린 및 조피마린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지만, 이 화합물들은 단지 약간만 활성이고, 진균 유기체 전반에 대해 시험할 경우 제한된 작용 스펙트럼을 갖는다. 이제 본 발명자들은 다음에 뛰어난 항진균 활성 및 광범위한 작용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신규 항진균성 소르다린 유도체군을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따라서 Z가 하기 기 (a) 또는 (b)로부터 선택된 테트라히드로-피라노기인 하기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용매화물(예, 수화물) 또는 대사적으로 불안정한 유도체를 제공한다.
상기 식 중,
R1은 수소, 할로겐, 히드록실, C1-4알콕시 또는 아실옥시를 나타내고;
R2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또는 C1-4알콕시C1-4알킬을 나타내거나,
또는 R2및 R3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C=O, C=S 또는 C3-8시클로알킬을 나타낼 수 있고;
R4는 수소 또는 CH2R7(여기서, R7은 수소, 히드록실, C1-4알콕시 또는 R8이 C1-4알킬 또는 아릴인 기 OCOR8임)을 나타내고;
R5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또는 C1-4알콕시C1-4알킬을 나타내거나, 또는 R5및 R6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C=O, C=S 또는 C3-8시클로알킬을 나타낼 수 있고;
n은 0 또는 1을 나타내고;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 황 또는 CR9R10(여기서, R9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C1-4알콕시 또는 C1-4알콕시C1-4알킬을 나타내거나, 또는 R9및 R10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C=O, C=S, C3-8시클로알킬 또는 R11이 수소 또는 C1-4알킬을 나타내는 기 C=CHR11일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거나, 또는 X 또는 Y가 산소이고 n이 0이면 -Y-CR2R3또는 -X-CR2R3-은 각각 -N=CR3- 또는 -NR12-CR2R3(여기서, CR2및 R3은 C=O이고, R12는 C1-4알킬 및 R13이 C1-6알킬인 아실기 COR13임)을 또한 나타낼 수 있거나 Y가 산소이고 n이 0일 경우 X는 이중 결합에 의해 피란 고리에 결합되는 기 CR11(여기서, R11은 상기 정의한 의미를 가짐)을 나타낼 수 있고;
R15는 수소, 할로겐, 아지도, C1-6알킬, 히드록시, C1-6알콕시 (1 또는 2개의 히드록시 또는 그의 케탈 또는 1 또는 2개의 C1-3알콕시기에 의해 임의 치환됨), 아릴C1-4알콕시, C3-6알케닐옥시, 기 OCOR18(여기서, R18은 아릴C1-4알콕시, 또는 1 또는 2개의 이중 결합을 임의 함유하는 C1-10알킬기임) 또는 C1-6알콕시카르보닐C1-4알콕시를 나타내고, R16은 수소를 나타내거나, 또는 R15및 R16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O 또는 C=CH2를 나타낼 수 있고;
R17은 CH2R19(여기서, R19는 수소, 히드록실, C1-14알콕시 또는 R20이 C1-4알킬인 기 OCOR20임)를 나타내고;
W는 산소 또는 황 원자 또는 CH2기를 나타내고;
기 (a)에 있는 점선은 추가 결합의 임의 존재를 나타낸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적합한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예, 나트륨 및 칼륨염) 및 암모늄염과 같은 무기 염기염 및 유기 염기염이 있다. 적합한 유기 염기염에는 트리알킬아민(예, 트리에틸아민), 디알킬아민(예, 디시클로헥실아민), 임의 치환된 벤질아민(예, 페닐벤질아민 또는 p-브로모벤질아민), 프로카인,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N-메틸글루코스아민 또는 트리(히드록시메틸)메틸아민 염과 같은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예, 리신 및 아르기닌염)이 있다.
다음에서 일반식 (I)의 화합물이라 하면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제약상 허용되지 않는 다른 염도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을 형성한다.
일반식 (I)의 대사적으로 불안정한 유도체는 체내에서 일반식 (I)의 화합물로 전환되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유도체의 예로는 분자 중 유리 카르복실산으로부터 형성된 통상적인, 대사적으로 불안정한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광학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임의 개별 이성질체 및 그의 전체 또는 부분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라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기 또는 C1-4알콕시기의 일부로서의 "알킬"이라 함은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 적합한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s-부틸 및 t-부틸, n-헥실 및 n-옥틸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기 또는 기의 일부로서의 "아릴"이라 함은 각각 하나 이상(예, 1, 2 또는 3)의 원자 또는 할로겐, 히드록실, C1-6알킬, C1-6알콕시 또는 C1-4알콕시카르보닐로부터 선택된 기로 임의 치환된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기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일 수 있다. 헤테로아릴기의 적합한 예로는 피리딜, 푸릴, 티에닐 및 피롤릴이 있다.
"할로겐"이라 함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의미한다.
R1이 아실옥시기일 경우 예를 들면 R13이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기 OCOR13을 나타낼 수 있다. C3-8시클로알킬기의 예로는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기가 있다. X기의 예로는 산소, R9및 R10이 각각 수소, C1-4알콕시 또는 C1-4알킬인 CR9R10, 또는 기 C=O 또는 C=CHR11(예, C=CH2)를 나타내는 CR9R10이 있으며, X는 CR11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적합한 Y기의 예로는 산소 또는 R9가 수소, C1-4알콕시 또는 C1-4알킬이고, R10이 수소 또는 C1-4알킬인 CR9R10이 있다.
R18이 불포화 C1-10알킬기일 경우, 특히 2개의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 C5-8알킬기, 예를 들면 -CH=ZCH-CH=ECHCH3을 나타낼 수 있다.
R15가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C1-6알콕시기일 경우, 이는 예를 들어 2,3-디히드록시 프로폭시 및 이들로부터 유도된 아세톤 케탈 또는 2,3-디메톡시-프로폭시기일 수 있다.
R16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면서 R15가 α 배열에 위치한다.
R1은 예를 들어 수소 원자 또는 히드록실기를 나타낼 수 있다.
R2는 예를 들어 수소 또는 C1-4알킬(예, 메틸)을 나타낼 수 있고, R3은 예를 들어 수소, C1-4알킬(예, 메틸, 에틸 또는 n-프로필) 또는 C1-4알콕시C1-4알킬(예, 메톡시에틸)을 나타낼 수 있거나, 또는 CR2R3은 C=O, C=S 또는 C3-8시클로알킬(예, 시클로펜틸)을 나타낼 수 있다.
R4는 예를 들어 메틸 또는 C1-4알콕시메틸(예, 메톡시메틸)을 나타낼 수 있다.
R5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예를 들어 수소 또는 C1-4알킬(예, 메틸)을 나타낼 수 있다.
로 표시되는 고리계의 예로는
가 있다.
특정 R15기의 예로는 할로겐(예, 불소), 아지도, 히드록실, C1-4알콕시, 벤질옥시, 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 C1-4알콕시카르보닐옥시 및 C1-4알콕시C1-4알콕시(예, 메톡시에톡시), C1-4알콕시카르보닐C1-4알콕시, C1-4알킬카르보닐옥시, 2,3-디히드록시 프로폭시, 및 그의 아세톤 케탈, 2,3-디메톡시 프로폭시, C3-6알케닐옥시(예, 알릴옥시 또는 3-메틸알릴옥시)가 있거나, 또는 R15와 R16및 이들이 결합된 탄소 원자는 C=O 또는 C=CH2를 나타낸다.
R17은 예를 들어 메틸 또는 C1-4알콕시메틸(예, 메톡시메틸) 또는 히드록시메틸을 나타낼 수 있다.
R15는 바람직하게는 C1-4알콕시, C3-4알케닐옥시, 벤질옥시 또는 OCOR4(여기서, R4는 C1-4알킬기임), 특히 α 배열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R17은 바람직하게는 메틸을 나타낸다.
W는 바람직하게는 산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군은 Z가 다음 기인 것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상기 식 중, X 및 Y중 하나는 산소이고 다른 하나는 산소 또는 기 CR9R10이다. 이 화합물군에시 보다 구체적으로 R1은 히드록실 또는 수소이고; X는 산소, 또는 R9가 수소, C1-3알콕시, C1-4알킬이고 R10이 수소인 CR9R10이거나 또는 기 C=O 또는 C=CHR11을 나타내는 CR9R10이고; Y는 산소 또는 R9가 H 또는 C1-4알킬인 CHR9이고; R2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4알킬(예, 메틸, 프로필) 또는 C1-4알콕시알킬(예, 메톡시메틸)을 나타내거나 또는 R2및 R3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시클로펜틸기 또는 기 C=O 또는 C=S를 나타내고; R5및 R6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수소이다.
R1이 히드록실 또는 C1-4알콕시를 나타낼 경우, R1잔기는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 배열로 위치한다. 그러나, R1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R2및 R3은 각각 구체적으로 개별적인 수소 또는 C1-4알킬을 나타낼 수 있다.
R4는 바람직하게는 메틸을 나타낸다.
R5및 R6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수소이다.
n은 바람직하게는 0을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특정 고리계로는 R2및 R3이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 또는 CR9R10(여기서, R9및 R10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이고, 단 X 및 Y 중 적어도 하나는 산소 또는 고리이다. 고리계내에서 바람직한 고리는 X 및 Y 중 하나가 산소를 나타내고 다른 하나가 CR9R10[여기서, R9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4알킬(예, 메틸)을 나타내거나 또는 CR9R10은 기 C=O 또는 C=CH2를 나타냄]이거나 또는 X 및 Y는 각각 산소를 나타내고; R2및 R3은 수소, C1-4알킬 또는 기 CO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및 바람직한 기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라 이해된다.
또다른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군은 Z가 기 (a)이고 R1은 수소이고 R4는 메틸이고;
n이 0이고, R2및 R3은 수소 또는 C1-4알킬이고, X 및 Y는 산소이거나, 또는 Y는 산소이고 X는 CHR9(여기서, R9는 수소 또는 C1-4알킬, C=O, C=CH2임)이거나 또는 X는 CH이고, Y는 산소이고, n은 0이고 R2및 R3은 수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또다른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군은 Z가 하기 기 (b)인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용매화물(예, 수화물)이다.
상기 식 중, W는 산소 또는 황이고, R15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W는 산소이고 R15는 C1-4알콕시, 벤질옥시 또는 OCOR4(여기서, R4는 C1-4알킬기,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또는 t-부틸임), 또는 C3-4알케닐옥시, C1-4알콕시카르보닐알콕시로부터 선택된 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화합물은 [1R-(1α,3aβ,4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9-메틸-4-메틸렌-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9-디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S,6R,8R]-2,7-디옥사-4,6-디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8-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프로필-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메틸-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용매화물(예, 수화물) 또는 대사적으로 불안정한 유도체 등이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에 있어서 진균 감염을 박멸하는데 유용한 매우 활성인 살진균제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칸디다(Candida)종[예, 아구창 칸디다(Candida albicans) 칸디다 글라브라타(Candida glabrata), (토룰롭시스 글라브라타(Torulopsis glabrata)),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is), 칸디다 파랍시롤시스(Candida parapsilosis) 및 칸디다 슈도트로피칼리스(Candida pseudotropicalis)], 크립토코쿠스 네오포르만스(Cryptococcus neoformans)종, 뉴모시스티스 카리니이(Pneumocystis carinii)종,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us)종[예, 아스페르길루스 플라부스(Aspergilus flavus) 및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Aspergilus fumigatus)], 콕시디오이데스(Coccidioides)종[예, 콕시디오이데스 이미티스(Coccidioides immitis)], 파라콕시디오이데스(Paracoccidioides)종[예, 파라콕시디오이데스 브라실리엔시스(Paracoccidioides brasiliensis)], 히드토플라스마(Histoplasma)종[예, 히스토플라스마 캅술라툼(Histoplasma capsulatum)] 또는 블라스토마이세스(Blastomyces)종[예, 블라스토마이세스 데르마티티디스(Blastomyces dermatitidis)]와 같은 유기체에 의해 유발되는 진균 감염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칸디다종, 트리코피톤(Trichophyton)종, 마이크로스포룸(Microsporum)종 또는 에피더모피톤(Epidermophyton)종[예, 트리코피톤 멘토그라피테스(Trichophyton mentographytes), 트리코피톤 루브룸(Trichophyton rubrum), 마이크로스포룸 카니스(Microsporum canis) 또는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슘(Epidermophyton floccosum)]에 의해 유발된 기타 진균성 감염 또는 아구창 칸디다에 의해 유발된 점막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지오트리쿰(Geotrichum)[예, 지오트리쿰 클라바툼(Geotrichum clavatum)], 트리코스포론[예, 트리코스포론 베이겔리이(Trichosporon beigelii), 블라스토쉬조마이세스(Blastoschzomyces)[예, 블라스토쉬조마이세스 카피타투스(Blastoschzomyces capitatus)], 스포로트릭스(Sporothrix)[예, 스포로트릭스 쉔키이(Sporothrix schenckii)], 시도스포륨(Scedosporium)[예, 시도스포륨 아피오스페룸(Scedosporium apiosperum)], 클라도스포륨(Cladosporium)[예, 클라도스포륨 카리오니이(Clasdosporium carrionii)] 및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와 같은 사상균 종에 의해 유발된 다른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톡소플라스마(Toxoplasma), 크립토스포리듐(Cryptosporidium), 레이쉬마니아(Leishmania), 트리파노소마(Tripanosoma), 기아르디아(Giardia) 및 트리코모나스(Trichomonas)와 같은 원생동물에 의해 유발된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진균 활성의 시험관내 평가는 액체 또는 고체 매질 상에서 항진균성 2배 연속 희석 기술에 의해 37℃에서의 배양 24 내지 48시간 후 성장의 발전을 억제하는 항진균제의 최소 억제 농도(MIC)를 결정하여 수행하였다. 실제로, 시험된 항진균제의 순차 2배 희석액을 함유하는 일련의 한천 평판 또는 브로쓰 미세희석 패널에 임상학적으로 관련된 병원체, 예를 들어아구창 칸디다(의 표준 배양물를 접종시켰다. 이어서, 한천 평판 또는 브로쓰 미세희석 패널을 진균의성장 존재 또는 부재에 대해 시험하고, 적당한 MIC값을 기록하였다.
MFC 값 (액체 매질 중 초기 접종물의 적어도 99.9%를 사망시킨 최저 항진균 농도라 정의됨)은 무약물 대조군 웰, 성장물을 함유하는 첫 번째 웰 및 각각의 투명 웰로 부터의 브로쓰 0.01 및 0.1 μl를 한천 평판상에 계대배양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생체내 평가는아구창 칸디다균주를 접종시킨 생쥐 또는 쥐에 대해 일련의 투여량을 투여(예, 경피 투여, 경구 투여, 복강내 투여 또는 정맥내 투여)하여 수행할 수 있다. 미처리 동물은 3 내지 9일 내에 사망하였고, 시험 화합물이 감염의 치사 작용에 대하여 50% 보호를 제공하는 투여 수준을 기록하였다.
항진균 활성이 관점에서,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인간 및 동물에 있어서의 다양한 진균성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감염으로는 표피성, 피부성, 피하성 및 전신 사상균증, 예를 들면 기도 감염, 위장관 감염, 심장혈관 감염, 뇨관 감염, CNS 감염, 칸디다증 및 만성 점막 칸디다증(예, 아구창 및 질 칸디다증) 및 진균에 의해 유발된 피부 감염, 피부성 및 점막 피부성 칸디다증, 백선 및 버짐 감염을 포함하는 피부사상균증, 무좀, 조갑주위염, 전풍, 홍색음선, 간찰진, 진균성 내피(nappy) 피진, 칸디다 외음부염, 칸디다 귀두염 및 외이염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전신 및 국소 진균성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방제로서의 용도로는 면역 저하 환자(예, AIDS 환자, 암 치료를 받는 환자 또는 조직이식 환자)의 감염 예방에 있어서 선택적인 소화관 오염 제거 요법의 일부로서 유용할 수 있다. 항생제 치료시에 진균 과성장의 예방은 또한 몇몇 질병 증후군 또는 의원성 질병에 바람직할 수도 있다.
치료법에 사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원료 화학 물질로서 투여할 수도 있지만, 제약 제제로서 활성 성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 임의로 기타 치료 및(또는) 예방 성분으로 이루어진 제약 제제를 제공한다. 담체는 제제의 다른 성분들과 상용성이고, 투여 대상에 대해 유해하지 않다는 점에서 "허용가능"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구강내, 비경구, 이식, 직장내, 국소, 안내 또는 비뇨 생식기 투여를 위해 특별히 제제화된 형태 또는 흡입 또는 취입법에 의해 투여하기에 적당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정제 및 캡슐제는 결합제, 예를 들면 시럽, 아카시아, 젤라틴, 소르비톨, 트라가칸트, 전분의 점질물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충전제, 예를 들면 락토오스, 당,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옥수수 전분, 인산칼슘 또는 소르비톨; 윤활제, 예를 들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활석,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실리카; 붕해제, 예를 들면 감자 전분 또는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또는 크로스카르멜로오스 나트륨; 또는 습윤제, 예를 들면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와 같은 통상의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츄잉 가능한, 분산성 또는 발포성 정제를 포함하는 정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코팅될 수 있다. 경구 액체 제제는 예를 들어 수성 또는 오일성 현탁액, 용액, 에멀젼, 시럽 또는 엘릭시르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물 또는 기타 적합한 비히클로 사용 전에 조성시키는 건조 생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현탁액제, 예를 들면 소르비톨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글루코오스/당 시럽, 젤라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겔 또는 수소첨가된 식용가능한 지방; 유화제, 예를 들면 레시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아카시아; (식용가능한 오일을 함유할 수 있는) 비수성 비히클, 예를 들면 아몬드유, 분별화된 코코넛유, 오일성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에틸 알코올; 및 방부제, 예를 들면 메틸 또는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또는 소르브산과 같은 종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구강내 투여를 위하여 조성물은 종래 방법으로 제제화된 정제 또는 로젠지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주사 또는 관주에 의해 비경구 투여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용 제제는 앰플에 든 단위 투여 제형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방부제 첨가된 다중 투여 용기에 제공될 수 있다. 조성물은 현탁액, 용액 또는 유성 또는 수성 비히클 중 에멀젼으로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현탁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제제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별법으로, 활성 성분을 사용 전에 적합한 비히클, 예를 들면 무균의, 발열물질이 없는 물로 재수화시키기 위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흡입에 의한 투여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어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및 기타 적합한 가스를 사용한 가압 팩 또는 분무기로부터 에어로졸 분무 프리젠테이션 형태로 통상적으로 전달된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제형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기 위한 밸브를 제공함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별법으로, 흡입에 의한 투여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건조 분말 조성물, 예를 들면 화합물 및 락토오스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재의 분말 믹스의 형태 또는 약물 단독의 개량된 물리적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분말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젤라틴 캡슐 또는 카트리지 또는 블리스터 팩 중의 단위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로부터 분말이 흡입기 또는 취입기의 도움을 받아 투여될 수 있다.
조성물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좌약 기제를 함유하는 좌약, 또는 예를 들어 통상적인 패서리 기제를 함유하는 패서리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연고, 크림, 겔, 로션, 샴푸, (분무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패서리, 탬폰, 스프레이, 딥, 에어로졸, 점적제(예, 눈, 귀 또는 코 점적제) 또는 포어-온(pour-on) 형태의 국소 투여제로 제제화할 수도 있다. 연고 및 크림은 예를 들어 수성 또는 오일성 기제와 적합한 증점제 및(또는) 겔화제를 첨가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눈에 투여하기 위한 연고는 무균 성분을 사용하여 무균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포어-온은 예를 들어 유기 용매, 임의로 안정화제 및 가용매화제와 같은 제제화제를 함유하는 오일 중에 수의학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질 삽입을 위한 패서리 및 탬폰은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 제제화하고, 필요하다면 발포 비히클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항생제 또는 구충제와 같은 기타 활성 성분을 적당할 경우 함유할 수도 있다.
비내 전달용 액체 제제는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강직성조절제,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덱스트로오스 또는 만니톨; 방부제, 예를 들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티오머잘, 페닐에틸 알코올; 및 기타 제제화제, 예를 들면 현탁제, 완충제, 안정화제, 분산제 및(또는) 풍미제와 같은 종래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경피 투여는 피부를 통한 활성 화합물의 흡수를 촉진시키며 대개 배면 필름, 막 및 이형 라이너로 이루어진 점착성 부착 패치 내에 포함되는 기제로 이루어지는 적합한 계를 디자인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계는 알코올과 같은 흡수 증진제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온 삼투 요법을 촉진시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데포(depot) 제제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이러한 장기간 작용하는 제제는 이식(예, 피하내 또는 근육내)에 의하거나 또는 근육내 주사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화합물은 적합한 폴리머 또는 소수성 물질(예, 허용가능한 오일 중 에멀젼으로서) 또는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또는 난용성 유도체, 예를 들면 난용성인 염으로서 제제화할 수 있다. 조성물이 단위 투여 제형을 이를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이 경구 투여된다면 각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을 0.001 mg 내지 1000 mg을 함유하고, 유리하게는 0.01 mg 내지 400 mg 함유할 것이다. 성인 치료에 사용되는 일일 투여량은 활성 성분 0.001 mg 내지 5000 mg의 범위일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mg 내지 2000 mg이고, 이는 예를 들어 투여 경로에 따라 및 치료하고자 하는 환자 및 질병의 상태에 따라 1 내지 4일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은 예를 들어 활성 성분 50 mg/kg/일 이하를 사용하여 정맥내 주입하여 투여할 수 있다. 치료 지속 기간은 임의의 날수에 의한다기 보다는 감응 속도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기타 치료제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은 또 다른 국면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다른 치료 활성제로 이루어진 조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종 이상의 기타 항진균제, 예를 들면 폴리엔 유도체(예, 암포테리신 B, 니스타틴, 암포테리신 B의 지질 제제), 아졸 유도체(예, 플루코나졸, 인트라코나졸, 케토코나졸, 미코나졸, 클로트라미졸, ZD-08070, UK-109496), 5-플루오로시토신, 뉴모칸딘 또는 에키노칸딘 유도체, 예를 들면 실로풍진, LY-303366, L-733560 및(또는) 1종 이상의 면역조절제, 예를 들면 인터페론(예, IFN-γ), 인터로이킨(예, IL-1, IL-2, IL-3 및 IL-8) 및 집락 자극 인자[예, (G)-CSF, (M)-CSF 및 (GM)-CSF] 및 데펜신과 함께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한 화합물은 인트라코나졸, 플루시토신, 플루코나졸 또는 암포테리신 B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다른 항진균제와 함께 투여할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기타 진균제는 추천된 최대 임상학적 투여량 또는 그보다 낮은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합은 편리하게는 제약 제제 형태로 사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조합물과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로 이루어진 제약 제제도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을 구성한다. 이러한 조합물의 개별 성분은 분리된, 또는 한 데 합하여진 제약 제제들로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동일한 증상에 대한 제2 치료제와 함께 사용될 경우, 각 화합물의 투여량은 화합물이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와 상이할 수 있다. 적당한 투여량은 당업게의 숙련가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 또는 치료법, 구체적으로는 동물(특히 인간)의 진균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인간 및 인간이 아닌 동물 환자에 있는 진균 감염 치료용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 치료 유효량을 인간 또는 인간이 아닌 동물 신체에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진균 질병을 박멸하기 위하여 인간 또는 인간이 아닌 동물의 신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당업계의 숙련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것을 확립된 증상 또는 감염의 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으로 확장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음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Z가 기 (a)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 방법 (A)는 하기 일반식 (II)
(상기 식 중, R1및 R4는 상기 일반식 (I)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Rp는 카르복실 보호기이고, X 및 Y는 상기 일반식 (I)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단 X 및(또는) Y는 CR9R10을 나타낼 수는 없음)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목적하는 고리계를 형성하게 한 후, 카르복실 보호기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 (A)의 제1 실시태양에 따르면, R1내지 R4가 상기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n은 0이고, X 및 Y는 모두 산소인 일반식 (Ia)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III)
(상기 식 중, R1및 R4는 상기 일반식 (I)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Rp는 카르복실 보호기임)
의 디올을 화합물 (L)2CR2R3(식 중, L은 적합한 이탈기임)으로 처리한 후, 카르복실 보호기를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R2및 R3이 모두 수소를 나타낼 경우, 고리 형성 반응은 편리하게는 일반식 (III)의 화합물을 강염기,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예, 수산화나트륨)의 존재하, 바람직하게는 상전이 조건하에 예를 들어 테트라알킬암모늄염(예,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을 사용하여 주변 온도 정도에서 디할로메탄(예, 디브로모메탄)으로 처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R2및 R3중 적어도 하나가 C1-6알킬기 또는 C1-4알콕시C1-4알킬기이거나 또는 CR2R3이 C3-8시클로알킬기일 경우, 고리 형성 반응은 편리하게는 일반식 (III)의 화합물을 케탈 (RO)2CR2R3(식 중, R은 C1-6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임)으로, 바람직하게는 p-톨루엔술폰산 또는 피리디늄 p-톨루엔술포네이트와 같은 적합한 산의 존재하, 그리고 케톤(예, 아세톤), 니트릴(예, 아세토니트릴) 또는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디클로로메탄)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실온정도에서 처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X 및(또는) Y가 황을 나타내는 일반식 (Ia)의 화합물은 디올 히드록실기 중 1개 또는 2개가 티올에 의해 치환된 일반식 (III)의 화합물에 상응하는 중간체로부터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다. CR2R3이 C=O 또는 C=S를 나타낼 경우, 고리 형성 반응은 편리하게는 일반식 (III)의 화합물을 탄화수소(예, 톨루엔) 또는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카르보닐디이미다졸 또는 티오카르보닐디이미다졸과 환류하에 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다. 별법으로, CR2R3이 C=S를 나타낼 경우, 고리 형성 반응은 일반식 (III)의 화합물을 주석 산화물(예, 산화디부틸주석)로 탄화수소 용매(예 환류 톨루엔) 중에서 처리한 후, 탄화수소 용매(예, 톨루엔) 중의 할로티오노포르메이트(예, 페닐 클로로티오노포르메이트)를 실온 정도에서 첨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방법 (A)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R1및 R4가 상기한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R2및 R3중 어느 하나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수소, C1-6알킬 또는 C1-4알콕시C1-4알킬을 나타내고, (CR5R6)n은 CR5R6(식 중, R5및 R6은 상기 일반식(I)에 정의된 바와 같음)을 나타내고, X 및 Y 모두는 산소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일반식 (III)의 디올을 주석 산화물(예, 산화디부틸주석)로 탄화수소 용매(예, 환류 톨루엔) 중에서 처리하고, 알릴할라이드 HalCR5R6CR2=CHR14(식 중, R14는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Hal은 수소, 예를 들면 브롬임) 및 불화물 염(예,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을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약 40 내지 8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여하기 일반식(IV)
의 화합물을 얻고, 이를 수은염(예,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제2수은)에 의해 유도한 분자내 친전자성 첨가를 포함하는 고리화 반응 후, 예를 들어 수소화트리알킬주석(예, 수소화트리부틸주석)을 사용하여 수소화물 환원하고 이 후 카르복실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목적하는 일반식 (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방법 (A)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R1내지 R4가 상기 일반식 (I)에 정의한 바와 같고, n은 0이고, X 및 Y중 하나는 산소를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CR9R10(식 중, R9및 R10중 하나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수소, C1-6알킬 또는 C1-4알콕시C1-4알킬을 나타내거나 또는 CR9R10은 C=CHR11을 나타냄)을 나타내는 일반식 (a)의 화합물은 일반식 (III)의 화합물을 주석 산화물(예, 산화디부틸주석)로 탄화수소 용매(예, 환류 톨루엔) 중에서, 임의로 불화물 염(예,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존재하에 처리한 후, 여기에 알릴할라이드 HalCR2R3CR9=CHR14또는 알키닐할라이드 HalCR2R3C≡CR11(식 중, R11, R14및 Hal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을 첨가하거나, 또는 알릴할라이드 또는 알키닐할라이드를 디올 히드록실기 중 하나를 보호한 후 첨가하여 하기 일반식 (V)
(상기 식 중, X1은 OH를 나타내고, Y1은 OCR2R3CR9=CHR14또는 OCR2R3C≡CR11을 나타내거나, 또는 X1은 OCR2R3CR9=CHR14또는 OCR2R3C≡CR11을 나타내고 Y1은 보호된 히드록실기를 나타냄)의 화합물을 제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고리화 반응은 먼저 히드록실 보호기를 존재시 제거한 후, 유리 히드록실기를 예를 들어 S-알킬디티오카르보네이트(예, S-메틸디티오카르보네이트)를 형성하여 활성화시킨 후 고리를 라디칼 조건하에 예를 들어 활성화된 중간체의 용액을 환류하 탄화수소 용매(예, 톨루엔) 중에서 수소 공여체, 예를 들면 수소화물 환원제(예, 수소화트리부틸주석과 같은 수소화트리알킬주석)로 활성화제(예,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존재하에 처리한 후, 카르복실 보호기를 제거하여 폐환시킴으로써 완결될 수 있다. S-알킬디티오카르보네이트의 형성 반응은 편리하게는 X1및 Y1중 하나가 OH이고 다른하나가 OCR2R3CR9=CHR14또는 OCR2R3C≡CR11인 일반식 (V)의 화합물을 강알칼리 금속 염기(예, 수소화나트륨)로 이미다졸의 존재하에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감온(예, 약 0℃)하에 처리한 후, 이황화탄소 및 알킬 할라이드(예, 메틸 요오다이드)를 약 실온에서 첨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방법 A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Y가 산소이고, n이 0이고, R2및 R3이 수소이고, X가 기 CR9R10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X1이 히드록실인 일반식 (V)의 화합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트리페닐포스핀, 요오드 및 이미다졸과 반응시켜 목적하는 4 요오도 유도체(Va)를 수득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목적하는 폐환 반응은 가열하면서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수소화트리알킬주석과 반응시키는 것과 같은 라디칼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방법 A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Y가 산소이고, X가 NR12이고, 기 CR2R3은 C=O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일반식 (Va)의 요오도 화합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수소화나트륨 및 이소시아네이트 R12NCO와 반응시킨 후카르복실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방법 A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R1및 R4가 상기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R2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4알킬 또는 C1-4알콕시C1-4알킬을 나타내거나 또는 CR2R3은 C3-8시클로알킬을 나타내고, n은 0이고, X 및 Y중 하나는 -NR12-(식 중, R12는 상기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음)이고 다른 하나는 산소를 나타내는 일반식(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VI)
(상기 식 중, X11및 Y11중 하나는 OH이고 다른 하나는 NH2임)의 화합물 또는 그의 보호된 유도체를 예를 들어 아실 클로라이드와 같은 아실할라이드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조건하에서 N-아실화시킨 후, p-톨루엔술폰산 또는 피리디늄 p-톨루엔술포네이트와 같은 적합한 산의 존재하에,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디클로로메탄)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아미드를 알데히드 또는 케톤 R2R3C=O 또는 디알킬아세탈R2R3C(O알킬)2로 실온 정도에서 처리하고, 이 후에 존재하는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방법 (A)의 다른 실시태양으로, R1및 R4가 상기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n은 0이고, -X-CR2R3또는 -Y-CR2R3은 -N=CR3-(여기서, R3은 C1-6알킬 또는 C1-4알콕시C1-4알킬임)을 나타내고, 남은 Y 또는 X는 산소인 일반식 (Ia)의 화합물은 일반식(VI)의 화합물을 이미노 에스테르 R3C(=NH)OR(식 중, R은 C1-6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임)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다른 일반 제조 방법 (B)에서, Z가 기 (a)이고, Y가 산소이고, n이 0이고, R2및 R3은 수소이고, X는 CH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VII)
(상기 식 중, R21은 기 CHO 또는 그의 보호된 유도체이고, Rp는 보호된 카르복실기 임)의 화합물을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와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칼륨 3급 부톡사이드와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디알킬 디아조메틸 포스포네이트와 반응시킨 후, 카르복실 보호기 Rp및 필요시 알데히드 보호기를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4-케토테트라히드로피란 유도체 (VII)은 상응하는 4-히드록시 유도체를 예를 들면 스웨른(Swern) 산화와 같은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산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Z가 기 (b)이고 W가 산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C)는 하기 일반식 (VIII)
(상기 식 중, R15a, R16a및 R17a는 상기 일반식 (I) 중 R15, R16및 R17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거나 또는 그의 보호된 유도체이고, Rp는 수소 또는 카르복실 보호기이고, L은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옥시기와 같은 적합한 이탈기이고, R22는 수소이거나 또는 OR22는 L에 대해 정의한 바와 동일한 기임)의 화합물을 고리화 반응시키고, 필요시 존재하는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고리화 반응은 편리하게는 일반식 (VIII)의 화합물을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예, 수소화나트륨)과 같은 강염기와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편리하게는 약 실온에서 처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별법으로, 특히 OR22가 L에 대해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일 경우, 알코올 용매(예, 메탄올) 중 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염기계는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디클로로메탄)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형성된 일반식 (VIII)의 화합물의 용액에 첨가되고, 반응은 편리하게는 실온 내지 환류 온도에서 수행된다.
W가 황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또다른 일반 방법 (D)는 하기 일반식 (IX)
(상기 식 중, R15, R16및 R17은 상기 일반식 (I)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음)의 화합물을 황 공여체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반응은 편리하게는 일반식 (IX)의 화합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트리알킬아민(예,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적합한 염기의 존재하에 상승된 온도(예, 약 80 내지 120℃)에서 5,5-디메틸-2-티올로-2-티옥소-1,3,2-디옥사포스포리난으로 처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반식 (IX)의 화합물은 편리하게는 L이 히드록실기이고 OR22가 알킬- 또는아릴술포닐옥시기와 같은 적합한 이탈기를 나타내는 일반식 (VIII)의 화합물로부터 방법(C)에 기재된 조건을 사용한 후, 필요시 존재하는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다른 일반적인 방법 (F)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일반식 (I)의 다른 화합물 또는 그의 보호된 유도체로부터 제조하는 상호전환 반응을 포함한다.
방법 (E)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Z가 기 (a)이고, 여기서 R1이 히드록실인 일반식(I)의 화합물의 카르복실 보호된 유도체는 (i)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S-알킬디티오카르보네이트를 형성하고, (ii) 탄화수소 용매(예, 톨루엔) 중 중간체 화합물의 용액을 상승된 온도(예, 약 80 내지 120℃)하에 수소화물 환원제(예, 수소화트리부틸주석과 같은 수소화트리알킬주석)로 처리하여 상기 기를 제거한 후, 카르복실 보호기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R1이 수소인 일반식 (I)의 상응하는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방법 (E)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있어서, Z가 기 (a)이고, 여기서 R1은 C1-4알콕시이고(이거나) R4는 C1-4알콕시메틸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R1이 히드록실이고(이거나) R4가 히드록시메틸이고 임의의 불안정한 기(예, 카르복실 및 히드록실기)가 보호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의 보호된 유도체를 알킬화시킨 후, 존재하는 보호기를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알킬화 반응은 편리하게는 우선 강알칼리 금속 염기(예,수소화나트륨)와, 그 다음에는, 알킬 할라이드(예, 메틸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다. 이 반응은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 약 0 내지 3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방법 (E)의 다른 실시태양에 있어서, R1이 아실옥시이고(이거나) R4가 CH2OCOR8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R1이 히드록실이고(이거나) R4가 CH2OH이고 임의의 불안정한 기(예, 카르복실 및 히드록실기)가 보호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의 보호된 유도체를 아실화시킨 후, 존재하는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아실화 반응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와 같은 활성화제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 같은 적합한 염기의 존재하에 카르복실산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임의로는 피리딘 또는 4-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 같은 적합한 염기의 존재하에 산 할라이드(예, 산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방법 (E)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R1이 수평방향 배열의 히드록실기인 일반식(I)의 화합물을 R1이 축방향 배열의 히드록실이고 임의의 불안정한 기(예, 카르복실, 히드록실 및 CHO기)는 보호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의 보호된 유도체로부터 형성한 후, 존재하는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성질화 반응은 편리하게는 (i) 2' 축방향 OH를 적합한 산화계[예, 아세트산 무수물을 함유하는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 피리딘의 존재하의 산화크롬]로 처리하여 옥소기로 산화시키는 단계 및 (ii) 옥소기를 보로하이드라이드(예, 수소화붕소나트륨)와 같은 적합한 환원제를 사용하여 수평방향 OH기로 환원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2단계 과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환원 반응은 편리하게는 알코올(예, 수성 메탄올)과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약 0 내지 10℃의 온도 범위하에 수행할 수 있다.
방법 (E)의 다른 실시태양으로, R1이 할로겐 원자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R1이 히드록실기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의 보호된 유도체로부터 임의의 존재하는 보호기를 제거하여 제조할 수있다. 치환 반응은 배열의 전환으로 일어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축방향 OH기는 편리하게는 요오드를 탄화수소(예, 톨루엔)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트리페닐 포스핀 및 요오드의 존재하에 출발 물질의 용액에 첨가한 후, 혼합물을 (예를 들어 환류하에) 가열하여 평행방향 요오드 원자로 전환시킬 수 있다.
불소 원자는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디클로로메탄)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예, 톨루엔)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 약 실온에서 디에틸아미노황 트리플루오라이드(DAST)와 같은 적합한 불소화제로 처리하여 도입할 수 있다.
방법 E의 또다른 실시태양으로 Y가 산소이고, n이 0이고, R1및 R2는 수소이고, X는 CH인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보호된 유도체를 적합한 용매 중에서 수소 및 목탄 상의 팔라듐가 같은 적합한 촉매로 환원시킨 후, 카르복실 보호기를 제거하여 X가 CH2인 상응하는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방법 E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Y가 산소이고, n이 0이고, R2및 R3은 수소이고, X는 C=CH2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예를 들면 사산화오스뮴 및 과요오드산나트륨을 사용하여 X가 기 C=O인 상응하는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Y가 산소이고, n이 0이고, R2및 R3은 수소이고, X는 기 C=CH2인 일반식 (I)의 유사 화합물을 예를 들면 삼산화크롬으로 피리딘 중에서 산화반응시킴으로서 R2및 R3및 이들이 결합된 탄소 원자가 기 C=O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상응하는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방법 (E)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라서, R15가 히드록실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카르복실 보호된 유도체를 표준 치환 반응에 의한 후, 카르복실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R15가 할로겐인 일반식 (I)의 상응하는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히드록실의 불소 원자에 의한 치환 반응은 편리하게는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디클로로메탄)와 같은 용매 중에서 출발 물질의 용액에 디에틸아미노황 트리플루오라이드(DAST)를 첨가하여 배열을 전환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 반응은 편리하게는 약 실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 (E)의 또다른 실시태양으로, R15가 C1-6알콕시 또는 임의 치환된 알콕시기이고(이거나) R17은 C1-4알콕시메틸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R15및(또는) R17이 유리 히드록실기를 함유하고 임의의 불안정한 기(예, 카르복실 및 히드록실기)가 적당하다면 보호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의 보호된 유도체를 알킬화시킨 후, 존재하는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알킬화 반응은 편리하게는 먼저 강알칼리 금속 염기(예, 수소화나트륨)와 반응시킨 후, 알킬 할라이드(예, 메틸 브로마이드)와 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다. 이 반응은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약 0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적당하다면, 테트라알킬암모늄 할라이드(예,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와 같은 암모늄염이 존재할 수 있다.
별법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는 편리하게는 카르보네이트(예, 탄산세슘)와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약 실온하에 적합한 알케닐할라이드를 사용하여 알케닐화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단계 및 팔라듐 촉매(예, 목탄 중 10% 팔라듐)의 존재하에 약 실온에서 수소 첨가 과정을 포함하는 제2 단계의 2단계로 도입시킬 수 있다.
방법 (E)의 다른 실시태양으로, R15가 CH2OCOR20이거나, 또는 R1은 OCOR18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R17이 CH2OH이거나 또는 R15는 히드록실이고 임의의 불안정한 기(예, 카르복실 및 히드록실기)는 보호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의 보호된 유도체를 아실화시킨 후, 존재하는 임의의 보호기는 제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아실화 반응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와 같은 활성화제 및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 같은 적합한 염기의 존재하에 카르복실산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임의로는 피리딘 또는 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 같은 적합한 염기의 존재하에 산 할라이드(예, 산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방법 (E)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라, CR15R16은 C=O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R15가 히드록실기이고, 임의의 불안정한 기(예, 카르복실 및 히드록실기)는 보호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의 보호된 유도체를 산화시킨 후, 존재하는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산화 반응은 편리하게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의 존재하에 디메틸술폭시드와 같은 적합한 산화제를 첨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산화 반응은 편리하게는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디클로로메탄)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상승된 온도(예, 약 40 내지 80℃)에서 수행된다.
CR15R16은 기 CH=CH2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CR15R16이 기 C=O인 일반식(I)의 상응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보호된 유도체를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알킬 트리페닐-포스포늄 할라이드 및 알킬리튬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R15가 아지드기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R15가 히드록실기인 일반식 (I)의 상응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보호된 유도체를 톨루엔 술포닐 할라이드와 반응시킨 후, 생성된 톨루엔 술포네이트 유도체를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리튬 아지드와 같은 알칼리 금속 아지드로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들 중 많은 과정은 최종 단계로서 하나 이상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목적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또다른 일반적인 방법(F)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의 보호된 유도체의 보호기 제거 반응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카르복실 보호기 및 히드록실 보호기로는 임의의 종래 보호기, 예를 들면 문헌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Ed. J.F.W. Mcomie(Plenum Press, 1973)] 또는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Theodora W. Greene(John Wiley and Sons, 199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적합한 카르복실 보호기의 예로는 디페닐메틸, p-메톡시벤질 및 실릴기(예, 트리메틸실릴에틸 또는 t-부틸디메틸실릴)와 같은 아릴알킬기가 있다. 적합한 히드록실 보호기의 예로는 p-메톡시벤질과 같은 아릴알킬기 및 벤질옥시카르보닐과 같은 에스테르기가 있다. 알데히드기는 편리하게는 고리형 케탈 형태로 보호될 수 있다. 보호기는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디페닐메틸기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사용하거나 또는 편리하게는 팔라듐 촉매(예, 목탄 상의 10% 팔라듐)의 존재하에 가수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다. 벤질옥시카르보닐기는 편리하게는 팔라듐 촉매(예, 목탄 상의 10% 팔라듐)의 존재하에 가수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다. p-메톡시벤질기는 편리하게는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트리메틸실릴에틸 또는 t-부틸디메틸실릴과 같은 실릴기는 편리하게는 불화를 이온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고리형 케탈기는 편리하게는 염산과 같은 적합한 산을 첨가하여 알데히드기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반식 (II)의 화합물은 편리하게는 하기 일반식 (X)
(상기 식 중, Rp는 카르복실 보호기임)의 화합물을 하기 일반식 (XI)
(상기 식 중, R1, R4및 Y는 상기 일반식 (II)에 정의된 바와 같음)의 화합물 또는 그의 보호된 유도체와 반응시킨 후, 필요시 존재하는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반응은 편리하게는 화합물 (X) 및 (XI)을 약 40 내지 80℃의 온도 범위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면 탄화수소(예, 톨루엔) 중에서 브롬화수소산-트리페닐포스핀과 같은 산의 존재하에 가열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반식 (XI) 중 XH 및 YH가 히드록실기를 나타낼 때, 이들은 편리하게는 아실옥시(예, 아세톡시)기로서 보호될 수 있고, 보호기를 제거한 후 일반식 (X)의 화합물과 반응시킨다. 아세톡시 보호기의 제거 반응은 편리하게는 알코올(예, 메탄올)과 같은 적합한 용매 중 약 실온에서 알콕시드(예, 나트륨 메톡시드)와 같은 적합한 염기를 첨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반응은 특히 R4가 메틸기 이외의 기인 일반식 (I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R4가 메틸기일 경우, 4' 위치에서 메틸 제거된 소르다린(4'-데메틸소르다린), 즉 하기 일반식 (XI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R4가 메틸을 나타내는 일반식 (III)의 화합물은 종래 방법을 사용하여 화합물 (XII)의 카르복실기를 보호시킨 후, 적당하다면 2' 축방향 히드록실 기를 상기 기재한 인터컨버젼 과정에 의해 다른 R1기로 전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2' 축방향 히드록실기를 처리할 경우, 3' 및 4' 히드록실기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보호 반응은 편리하게는 방법 (A)의 제1 실시태양에 기재된 과정을 사용하여 이소프로필렌기를 형성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이 기를 제거하여 디올 관능기를 제거하는 것은 무기산(예, 염산)과 같은 산으로 처리하여 달성할 수 있다.
일반식 (XII)의 화합물에 있는 카르복실기가 디페닐메틸기로 보호될 경우, 보호 반응은 편리하게는 알코올 용매(예, 메탄올) 및(또는)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디클로로메탄) 중의 일반식 (XII)의 화합물을 디페닐디아조메탄으로 처리하고, 편리하게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예, 디클로로메탄) 중의 용액으로서 첨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X 및 Y가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는 일반식 (II)의 화합물은 CR2R3가 C=O를 나타내고 n은 0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상응하는 보호된 유도체를 카르보닐 제거 반응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카르보닐 제거 반응은 편리하게는 알코올(예, 메탄올)과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알콕시 화합물(예, CH3ONa)을 첨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반식 (X)의 화합물은 편리하게는 종래 카르복실기 보호 수단을 사용하여 소르다리신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반식 (X)의 화합물 중 Rp가 트리메틸실릴에틸을 나타낼 경우, 이 기는 소르다리신을 편리하게는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적합한 용매 중 상승된 온도(예, 환류 온도)하에 O-[2-(트리메틸실릴)에틸]-N,N'-디이소프로필이소우레아로 처리하여 도입할 수 있다. Rp가 디페닐메틸을 나타낼 경우, 이 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도입할 수 있다.
소르다린 또는 일반식 (XII)의 카르복실 보호된 유도체 중 히드록실기가 p-메톡시 벤질기로 보호될 경우, 이 기는 탄화수소 용매(예, 환류 톨루엔) 중에서 주석 산화물(예, 산화디부틸주석)과의 반응 후, 불화물 염(예,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존재하에 p-메톡시벤질 할라이드를 첨가하여 도입할 수 있다. 벤질옥시카르보닐기로 보호될 경우, 이 기는 4-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 같은 적합한 아민 염기의 존재하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디클로로메탄)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용매 중에서 벤질할로포르메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도입할 수 있다.
화합물 (VIII) 중 기 L(여기서, L은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옥시기임) 및(또는) 기 R22O(여기서, R22O는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옥시기임)의 형성 반응은 소르다린 또는 일반식 (XII)의 화합물의 적합하게 보호된 유도체를 피리딘 및 임의로는 아민 염기(예, 4-디메틸아미노피리딘)를 포함하는 적합한 용매의 존재하에 또는 적합한 아민 염기(예,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존재하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예,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다.
방법 (C)에 따라 고리화 반응시키기 전에 히드록실기를 목적하는 R15기로 전환시키는 것도 적당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4'-데메틸소르다린 또는 R15a가 히드록실인 일반식 (11)의 화합물의 적합하게 보호된 유도체는 종래 방법을 사용하여 반응시켜 4'-히드록실기를 목적하는 R1기로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C1-6알콕시, C1-4알콕시C1-4알콕시 또는 아릴C1-4알콕시기로의 전환 반응은 종래 알킬화 반응, 예를 들어 상기 기재한 각종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R15가 수소인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한 히드록실기의 제거 반응은 편리하게는 (i) 이미다졸의 존재하, 및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 감소된 온도(예, 약 0℃)에서 강알칼리 금속 염기(예, 수소화나트륨)로 처리하여 S-알킬디티오카르보네이트를 형성한 후, 이황화탄소 및 알킬할라이드(예, 메틸요오다이드)를 약 실온에서 첨가하는 단계 및 (ii) 중간체 화합물의 용액을 탄화수소 용매(예, 톨루엔) 중에서 상승된 온도(예, 약 80 내지 120℃)하에 임의로는 활성화제(예,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존재하에 수소화물 환원제(예, 수소화트리부틸주석과 같은 수소화트리알킬주석)로 처리하여 상기 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단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C2-6알킬기로의 전환 반응은 편리하게는 (i) 상기한 바와 같이 S-알킬디티오카르보네이트를 형성하고 (ii) 이 기를 S-알킬디티오카르보네이트기의 제거에 대해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조건하에서 트리알킬아케닐주석 화합물과 반응시켜 알케닐기로 치환시키고, (iii) 알케닐기를 예를 들면 적합한 팔라듐 촉매(예, 목탄 상의 10% 팔라듐)의 존재하에 수소 첨가 반응에 의해 알킬기로 환원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염기염은 편리하게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적당한 염 또는 염기로 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염은 편리하게는 일반식(I)의 화합물을 염 또는 적당한 수산화나트륨 또는 칼륨,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칼륨, 탄산나트륨 또는 칼륨 또는 아세트산나트륨 또는 칼륨(예, 수산화칼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아세트산칼륨), 아세트산암모늄, 아세트산칼륨 및 L리신으로부터 선택된 염기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염은 예를 들어 적당한 염 또는 염기(필요시 수용액으로서)를 알코올(예, 메탄올) 또는 디옥산과 같은 적합한 용매 중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용액 또는 현탁액에 예를 들어 0 내지 80℃의 온도 및 편리하게는 약 실온에서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또한 일반식 (I)의 화합물의 기타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다른 염으로부터 종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의 대사적으로 불안정한 에스테르는 카르복실기가 존재하는 경우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종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유사하게, 대사적으로 불안정한 에스테르는 또한 분자 중에 유리 히드록실기가 존재할 경우 형성할 수 있다.
일반식 (XII)의 신규 화합물은 편리하게는 후술되는 발효 방법에 따라, 또는 생변형(biotransformation) 과정을 사용하여 소르다린의 메틸기를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효 방법은 일반식 (XII)의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는 미생물의 배양 및 이 배양물로부터 일반식 (XII)의 화합물을 단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식 (XII)의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는 미생물은 편리하게는소르다리아 아라네오사의 돌연변이 균주일 것인데, 이는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미생물의 발효물로부터 얻은 시험 시료를 분석하여 돌연변이의 생존자를 스크리닝하여 쉽게 동정할 수 있다. 특히, 편리하게 사용되는 미생물은 씨에이비 인터내셔널 마이콜로지컬 인스티튜트(CAB International Mycological Institute, Genetic Resource Reference Collection, Bakeham Lane, Egham, Surrey TW20 9TY, England)의 퍼머넌트 컬쳐 콜렉션(permanent culture collection)에 기탁된소르다리아 아라네오사의돌연변이 균주이다. 이 균주는 1994년 6월 10일 이 인스티튜트에 수탁되었고, 수탁 번호는 IMI 362184이고, 승인일 및 생존 확인일은 각각 1994년 6월 13일 및 21일다. 이 인스티튜트는 부다페스트 조약하에 인정된 국제 기탁 기관(International Depositary authority)이다. IMI 362184에 대해 이제까지 확인된 특성은 실시예 74에 주어져 있다.
본 발명은 또다른 국면으로 IMI 362184 그 자체 및 그의 돌연변이체를 제공한다. IMI 362184의 돌연변이체는 자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거나 또는 문헌 [Techniques for the Development of Microorganism, H I Adler "Radiation and Radioisotopes for Industrial Microorganisms",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Vienna 1973, p241,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uthority]에 기재된 방법을 포함하는 각종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이온화 방사선 방법, 화학 방법, 예를 들면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NTG)에 의한 처리, 가열, 재조합 및 변형과 같은 유전학적 기술 및 자발적 돌여변이체에 대한 선택적 기술이 있다. 발효에 의한 일반식 (XII)의 화합물의 제조는 종래 수단, 즉 적합한 유기체를 탄소, 질소 및 무기염의 동화원의 존재하에 배양한 후, 목적하는 생성물을 단리시켜 수행할 수 있다.
탄소, 질소 및 무기염의 동화원은 단일 또는 복합 영양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탄소원으로는 일반적으로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전분, 글리세롤, 당밀, 덱스트린,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프럭토오스, 갈락토오스, 미오이노시톨, D-만니톨, 대두유, 카르복실산, 아미노산, 글리세리드, 알코올, 알칸 및 식물성유가 포함될 것이다. 탄소원은 일반적으로 발효 매질의 0.5 내지 10 중량%를 이룰 것이다. 프럭토오스, 글루코오스 및 수크로오스가 바람직한 탄소원을 나타낸다. 질소원으로는 일반적으로 대두 곡분, 옥수수 스팁(steep) 액체, 증류 가용물, 효모 추출물, 면실 곡분, 펩톤, 분쇄 낙화생 곡분, 맥아 추출물, 당밀, 카제인, 아미노 산 혼합물, 암모니아 (가스 또는 용액), 암모늄염 또는 질산염이 포함될 것이다. 우레아 및 기타 아미드도 사용될 수 있다. 질소원은 일반적으로 발효 매질의 0.1 내지 10 중량%를 이룰 것이다.
배양 매질에 혼입될 수 있는 영양소 광물 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암모늄, 철, 마그네슘, 아연, 니켈, 코발트, 망간, 바나듐, 크롬, 칼슘, 구리, 몰리브덴, 붕소, 포스페이트, 술페이트, 클로라이드 및 카르보네이트 이온을 발생시키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염이 있다.
유기체의 배양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특히 약 25℃의 온도에서 수행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통기 및 교반, 예를 들면 진탕 및 교반에 의해 일어날 것이다. 매질에는 먼저 소량의 균사체 및(또는) 포자를 접종할 수 있다. 수득된 식물성 접종물을 발효 매질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종자 단계로 이동시키고, 여기서 주요 발효 매질로 옮기기전 성장이 일어난다. 발효는 일반적으로 pH 3.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5에서 수행될 것이다. pH를 목적하는 범위 내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염기 또는 산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 첨가될 수 있는 적합한 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수산화칼륨 수용액과 같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이 있다. 적합한 산으로는 염산, 황산 또는 인산과 같은 광산이 있다.
발효는 4 내지 30일의 기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과도한 포말을 억제하기 위하여 발포 방지제가 제공될 수 있고, 요구되는 간격으로 첨가할 수 있다. 탄소 및(또는) 질소원이 또한 필요시 발효 매질에 공급될 수 있다.
일반식 (XII)의 화합물은 주로 세포와 회합되며, 산 및 수혼화성 유기 용매 중 어느 하나의 첨가에 의해,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기(예, 수산화나트륨)의 첨가에 의해 용액으로 옮겨질 수 있다. 세포는 이 용액으로부터 원심분리, 통상적인 여과 또는 막여과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액체는 임의로 이 후에 황산과 같은 산으로 처리되어 pH가 6 미만(예, 약 4.5)이 될 수 있다.
일반식 (XII)의 화합물은 각종 분별 기술, 예를 들면 흡착-용출, 침전, 분별 결정화, 용매 추출 및 액체-액체 분배에 의해 단리하고 정제할 수 있고, 각종 기술들이 혼합될 수 있다.
고체 지지체에 흡착시킨 후 용출시키는 것이 일반식 (IX)의 화합물을 단리 및 정제시키는데 특히 적합함이 밝혀졌다.
적합한 고체 지지제로는 실리카; 비관능성 거대망상 흡착 수지, 예를 들면 CG161 및 앰벌라이트(Amberlite) XAD-2, XAD-4, XAD-16 또는 XAD-1180 수지(Rohm & Haas Limited) 또는 카스텔(Kastell) S112(Montedison)와 같은 가교결합 스티렌 디비닐벤젠 중합체 수지; 디아이온(Diaion) SP207(Mitsubishi)과 같은 치환 스티렌-디비닐 벤젠 중합체; 음이온 교환제[예, IRA-958 또는 마크로프렙 하이Q(MacroPrep High, BioRad)], 세파덱스(Sephadex) LH20(Pharmacia UK Limited)과 같은 유기 용매-상용성 가교결합 덱스트란, 또는 탄화수소 결합된 실리카, 예를 들면 C18-결합된 실리카와 같은 역상 지지체가 있다.
일반식 (XII)의 화합물은 또한 LA2와 같은 액체 음이온 교환제를 사용하여 단리 및 정제시킬 수 있다.
일반식 (XII)의 화합물을 용출시키는데 적합한 용매는 물론 흡착제의 성질에 따를 것이다. XAD-16과 같은 중합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메탄올, 아세톤, 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용매를 물 중 각종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추출/단리 과정 동안 일반식 (XII)의 화합물의 존재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또는 UV 스펙트로스코피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해 또는 광학 회전 또는 화합물의 다른 특성을 사용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반식 (XII)의 화합물이 유기 용매 중 용액의 형태로 얻어질 경우, 예를 들어 흡착/용출에 의한 정제 후 용매는 예를 들어 증발에 의한 종래 과정에 의해 제거되어 목적하는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필요시, 화합물은 다층 코일 추출기와 같은 코일 추출기를 사용하는 역류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크로마토그리피 기술 또는 결합된 상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탄소, 알루미나, 바나듐, 중합체 수지 또는 실리카와 같은 흡착제 상의 고성능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더 정제할 수 있다. 일반식 (XII)의 화합물의 크로마토그래피에의한 정제/분리를 위하여 적합한 용매/용출제는 물론 흡착제의 성질에 따를 것이다. C8 결합된 실리카를 사용할 경우, 아세토니트릴 및 물의 혼합물이 특히 적합하다. 별법으로, 화합물은 예를 들면 케톤(예, 아세톤 또는 메틸 에틸 케톤), 할로겐화 탄화수소, 알코올(예, 메탄올), 디올(예, 프로판-1,2-디올 또는 부탄-1,3-디올) 또는 에스테르(예, 메틸 아세테이트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적당한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용매 추출에 의해 더 정제할 수 있다. 또다른 별법으로, 화합물(XII)의 용액은 적당한 수준으로 첨가될 경우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흡착제(예, DEAE-셀룰로오스)로 처리하여 또는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물로부터의) 결정화에 의해 또는 상기 과정을 조합 사용하여 더 정제할 수 있다.
소르다린의 일반식 (XII)의 화합물인 4'-데메틸소르다린으로의 생변형은 적합한 유기체 및 상기에 구체적으로 언급한 공급원을 포함하는 탄소와 질소원으로 이루어진 배양물 중에서 소르다린을 인큐베이션한 후, 배양물로부터 일반식 (XII)의 화합물을 분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소르다린의 4'-위치에서 메틸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은 소규모 시험을 사용하고 표준 방법, 예를 들면 HPLC를 사용하여 얻은 시험 시료를 분석하여 쉽게 동정할 수 있다. 소르다린 메틸 제거자(demethylator)로서 확인된 미생물의 예로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카프레올루스(Streptomyces capreolus) ATCC 31963: 스트렙토마이세스 아베르미틸리스(Streptomyces avermitilis) ATCC 31272: 스트렙토마이세스 아르멘토수스(Streptomyces armentosus) NRRL 3176: 스트렙토마이세스 안티비오티쿠스(Streptomyces antibioticus) ATCC 31771; 스트렙토마이세스리모수스(Streptomyces rimosus) ATCC 23955; 스트렙토마이세스 플라텐시스(Streptomyces platensis) ATCC 29778; 스트렙토마이세스 마슈엔시스(Streptomyces mashuensis) ATCC 23934; 스트렙토마이세스 유리테르무스(Streptomyces eurythermus) ATCC 14975; 노카르디아 오리엔탈리스(Nocardia orientalis) ATCC 43491; 및 쿠닝하멜라에키눌라타 바르 엘레강스(Cunninghamella echinulata var elegans) ATCC 36112가 있다.
유기체의 배양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특히 약 28℃의 온도에서 수행될 것이며, 통기 및 교반, 예를 들면 진탕 또는 교반에 의해 바람직하게 수행될 것이다. 매질에는 먼저 소량의 균사체 및(또는) 포자를 접종할 수 있다. 수득된 식물성 접종물을 발효 매질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종자 단계로 이동시키고, 여기서 주요 발효 매질로 옮기기전(예, 약 1 내지 3일에 걸쳐) 성장이 일어난다. 주요 발효 매질은 또한 소르다린을 포함할 것이며, 발효는 일반적으로 pH 3.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5에서 수행될 것이다. pH를 목적하는 범위 내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염기 또는 산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 첨가될 수 있는 적합한 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수산화칼륨 수용액과 같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이 있다. 적합한 산으로는 염산, 황산 또는 인산과 같은 광산이 있다. 발효는 2 내지 5일의 기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3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과도한 포말을 억제하기 위하여 발포 방지제가 제공될 수 있고, 요구되는 간격으로 첨가할 수 있다. 탄소 및(또는) 질소원이 또한 필요시 발효 매질에 공급될 수 있다.
일반식 (XII)의 화합물의 발효 브로쓰로부터의 분리 및 단리는 상기 설명한 일반적인 과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액체의 pH를 6 미만(예, 약 pH 2.5)로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 이는 편리하게는 오르토인산과 같은 산을 첨가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생변형은 다수의 별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세포를 성장시켜 예를 들면 완충액, 사용된 발효 매질 또는 물 중의 소르다린의 용액에 첨가하기 전에 수확할 수 있다. 또한, 적당한 효소를 단리하여 (적합한 조효소와 함께) 사용하거나 또는 효소를 클로닝시키고 과발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르다린 및 소르다리신은 공지된 화합물이고, 이들은 관련 문헌에 기재된 과정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소르다리아 아라네오사NRRL 3196(또한, ATCC 36386으로서 ATCC에 기탁되어 있음)의 배양에 의해 소르다린을 제조하는 것은 영국 특허 제1,162,027호에 기재되어 있다. 유사 과정을 사용하는 소르다린의 제조 방법의 구체예는 다음에 기록한다.
소르다리신은 편리하게는소르다리아 아라네오사NRRL 3196 또는 그의 적합한 돌연변이체를 사용하여 소르다린을 제조하는 데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발효 조건하에 제조할 수 있고, 목적하는 화합물의 단리는 적당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수단을 사용한다. 상기 돌연변이체 중 하나는 씨에이비 인터내셔널 마이콜로지컬 인스티튜트(CAB International Mycological Institute, Genetic Resource Reference Collection, Bakeham Lane, Egham, Surrey TW20 9TY, England)의 퍼머넌트 컬쳐 콜렉션(permanent culture collection)에 기탁되어 있다. 이 균주는 1994년 8월 11일이 인스티튜트에 수탁되었고, 수탁 번호는 IMI 362947이고, 생존 확인일은 1994년 8월 19일이다. 이 인스티튜트는 부다페스트 조약하에 인정된 국제 기탁 기관(International Depositary authority)이다. 따라서, IMI 362947에 대해 이제까지 확인된 특성은 실시예 75에 주어져 있다.
본 발명은 또다른 국면으로 미생물 IMI 362947 그 자체 및 그의 돌연변이체를 제공한다.
IMI 362947의 돌연변이체를 수득하는 방법 및 그의 유전 물질은 IMI 362184의 조작에 대해 상기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소르다리신은 또한 생변형 과정을 사용하여 소르다린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생변형은 편리하게는 소르다린을 적당한 유기체 및 상기에 구체적으로 기재한 공급원을 포함하는 탄소와 질소원으로 이루어진 배양물 중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배양물로부터 소르다리신을 단리시켜 수행할 수 있다.
소르다린을 소르다리신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미생물은 소규모 시험을 사용하고 표준 방법, 예를 들면 HPLC를 사용하여 수득한 시험 시료를 분석하여 쉽게 동정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미생물을 동정하고, 내셔널 콜렉션즈 오브 인더스트 리얼 앤드 마린 박테리아 리미티드(Natioal Collections of Industrial and Marine Bacteria Limited, NCIMB; 23 St. Machar Drive, Aberdeen AB2 1RY, Scotland)에 기탁하였다. 이 균주는 1994년 8월 4일에 NCIMB에 수탁되었고, 동일자에 특허 목적상 기탁 허용되었고, 미생물의 생존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76에 주어진 특성을 갖는 코리네포름(Coryneform)종인 이 미생물은 수탁 번호 NCIMB 40675로지정되었다. NCIMB는 부다페스트 조약하에 인정된 국제 기탁 기관이다.
따러서, 본 발명은 또다른 국면으로 미생물 NCIMB 40675 그 자체 및 그의 돌연변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소르다린의 소르다리신으로의 생전환에 참여하는 NCIMB 40675 및 그의 돌연변이체의 유전 물질을 제공한다.
NCIMB 40675의 돌연변이체 및 그의 유전 물질을 수득하는 방법은 IMI 362184의 조작에 대해 상기 설명한 것과 유사할 것이다.
NCIMB 40675의 배양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특히 약 28℃의 온도에서 수행될 것이며, 통기 및 교반, 예를 들면 진탕 또는 교반에 의해 바람직하게 수행될 것이다. 매질에는 먼저 소량의 균사체 및(또는) 포자를 접종할 수 있다. 수득된 식물성 접종물을 발효 매질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종자 단계로 이동시키고, 여기서 주요 발효 매질로 옮기기전(예, 약 1 내지 3일에 걸쳐) 성장이 일어난다. 주요 발효 매질은 또한 소르다린을 포함할 것이며, 발효는 일반적으로 pH 3.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5에서 수행될 것이다. pH를 목적하는 범위 내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염기 또는 산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 첨가될 수 있는 적합한 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수산화칼륨 수용액과 같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이 있다. 적합한 산으로는 염산, 황산 또는 인산과 같은 광산이 있다. 발효는 4 내지 8일의 기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6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과도한 포말을 억제하기 위하여 발포 방지제가 제공될 수 있고, 요구되는 간격으로 첨가할 수 있다. 탄소 및(또는) 질소원이 또한 필요시 발효에 공급될 수 있다.
생변형은 다수의 별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세포를 성장시켜 예를 들면 완충액, 사용된 발효 매질 또는 물 중의 소르다린의 용액에 첨가하기 전에 수확할 수 있다. 또한, 적당한 효소를 단리하여 (적합한 조효소와 함께) 사용하거나 또는 효소를 클로닝시키고 과발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발효 브로쓰로부터의 소르다리신의 분리 및 단리는 상기 설명한 일반적인 과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액체의 pH를 약 pH 6으로 낮추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 이는 편리하게는 오르토인산과 같은 산을 첨가하여 달성할 수 있다.
소르다리신의 제조를 위한 상기한 발효 및 생전환 방법이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을 나타내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국면들을 설명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제한하려 함이 아니다.
제조예 1
소르다린의 제조
소르다리아 아라네오사NRRL3196(ATCC36386)의 배양물을 성숙하게 성장할 때까지 한천 배지 중에서 성장시켰다. 성장물을 함유하는 한천의 6 mm 직경의 플러그를 무균수 또는 브레인 하트 주입 브로쓰[옥소이드(Oxoid)] + 10% 글리세롤로 이동시켜 주변 온도 또는 -140℃에서 각각 저장하였다. 이러한 한천 플러그를 2개 함유하는 현탁액을 사용하여 매질 FS 50 ml를 함유하는 250 ml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접종하였다.
배양물을 50 mm 직경의 궤도 동작을 갖는, 250 rpm에서 작동시킨 회전 진탕기 상에서 25℃하 5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성장한 접종물의 부분표본 2 ml를 사용하여 매질 FS 50 ml를 함유하는 250 ml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더 접종시키고, 이를 상기한 바와 같이 인큐베이션하였다. 접종물이 성장한 벌크한 진탕 플라스크 80 ml를 사용하여 매질 FS 5 l를 함유하는 2개의 7 l 발효기에 접종하였다. 온도를 25℃로 조절하여 발효시켰다. 배양물을 400 rpm에서 교반시키고, 2 Lpm에서 통기시켰다. 발효 3일 후, 배양물 10 l를 사용하여 매질 SM55VAR 500 l를 함유하는780 l의 발효기를 접종하였다.
온도를 25℃로 조절하면서 발효시켰다. 브로쓰를 300-350 rpm에서 교반시키고, 200 Lpm에서 통기시켰다. 70%(w/v) 메리토스(Meritose, Tunnel Refineries) 용액을 배양물에 공급하여 양성 잔류 글루코오스 농도를 유지하였다. 증류수를 공급하여 500 l의 배양물 부피를 유지하였다. 발포화를 억제할 필요가 있을 경우 PPG2000 거품 방지제를 첨가하였다. (수성 아세토니트릴 + 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중의) 전체 브로쓰 추출물을 역상 HPLC를 사용하여 소르다린의 존재에 대해 평가분석하였다. 브로쓰 시료의 추출물이 0.6 g/l의 소르다린 적정을 나타낼 경우 배양물을 11일 후 수확하였다. 발효 브로쓰를 수산화나트륨에 대해 0.1M이 되게하고, 주변 온도에서 철야 저장한 후 회전 진공 여과기 상에서 디칼라이트(Dicalite, 여과 조제로서 1% 디칼라이트를 브로쓰에 첨가함)를 통하여 여과시켰다. 여액의 pH를 진한 황산을 사용하여 6 내지 7로 조정하고, 용액을 XAD16 수지(10의 여액의 부피/수지 부피)에 도포하였다. 흡착제를 두 경우에 물 및 아세톤:물(1:3)로 세척하여 투명 용출액을 얻은 후, 소르다린을 아세톤:물(3:1; 2컬럼 부피를 수집함)로 용출시켰다. 이 과정 전체의 유속은 1-2컬럼 부피/시이었다. 용출액을 소부피(8.4 l)로 농축시켰다. 농축물의 pH를 인산을 사용하여 3으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철야 방치하여 침전된 소르다린을 침강시켰다. 상등액을 따라 버린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버렸다. 원심분리 펠릿 및 침전물을 75% 아세토니트릴 수용액 중에 용해시켜 암갈색 용액 3.9 l를 수득하였다. 교반하면서 여기에 0.2M NH4H2PO41.0 l 첨가하고, 용액의 pH를 인산을 사용하여 4.0으로 조정하여 대략 조성이 60% 아세토니트릴 - 0.1M NH4H2PO4를 갖는 최종 부피 5.0 l를 수득하였다. 상기 조 소르다린 용액 5.0 l를 7 mm 크로마실(Kromasil) C8의 컬럼(15 cm x 25 cm) 상에서 10회 주입(각각 450-550 ml)으로 정제용 HPLC에 가하였다[이동상 : 50% 아세토니트릴 - 0.1M NH4H2PO4: pH 4(50 l 아세토니트릴을 NH4H2PO4575 g 및 H3PO440 ml를 함유하는 물로 100 l가 되게함); 유속 : 600 ml/분; 자외선 흡광에 의한 검출(λ 210 nm)]. 15.4내지 19.2분 사이에서 용출시킨 분획을 수집하였다. 10회 주입(23 l)에서 모은 분획을 물 50 l로 희석시키고, 이 용액을 28 l/시에서 크로마실 컬럼을 통하여 역 펌핑시켰다. 컬럼을 물 25 l로 세척한 후, 90% 아세토니트릴 10 l로 용출시켰다. 용출액을 증발시켜 잔류를 1300 ml를 얻었고, 이를 동결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105.6 g을 완충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이 생성물의 MS 및 NMR 분석은 소르다린의 실제 시료와 동일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제조예 2
스르다린 칼륨염의 제조
소르다리아 아라네오사NRRL3196(ATCC36386)을 제조예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140℃에서 브레인 하트 주입 브로쓰(옥소이드) + 10% 글리세롤 중에 유지시켰다. 2개의 한천 플러그를 함유하는 현탁액을 사용하여 매질 FS 50 ml를 함유하는 250 ml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접종하였다. 배양물을 50 mm 직경의 궤도 동작을 갖는, 250 rpm에서 작동시킨 회전 진탕기 상에서 25℃하 5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성장한 접종물의 부분표본 2 ml를 사용하여 매질 FS 50 ml를 함유하는 250 ml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더 접종시키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인큐베이션하였다. 접종물이 성장한 벌크한 진탕 플라스크 80 ml를 사용하며 매질 FS 5 l를 함유하는 2개의 7 l 발효기에 접종하였다. 온도를 25℃로 조절하여 발효시켰다. 배양물을 400 rpm에서 교반시키고, 2 Lpm에서 통기시켰다. 발효 3일 후, 배양물 10 l를 사용하여매질 SD1 500 l를 함유하는 780 l 발효기를 접종하였다.
온도를 25℃로 조절하면서 발효시켰다. 브로쓰를 350 rpm에서 교반시키고, 200 Lpm에서 통기시켰다. 증류수를 공급하여 500 l의 배양물 부피를 유지하였다. 전체 브로쓰 추출물을 역상 HPLC를 사용하여 소르다린의 존재에 대해 평가분석하였다. 브로쓰 시료의 추출물이 1.3 g/l의 소르다린 적정을 나타낼 경우 배양물을 6일 후 수확하였다. 발효 브로쓰의 50 l 시료를 염화나트륨에 대해 0.1M이 되게하고, 4℃에서 철야 저장하였다. 세포를 여과 조제로서 브로쓰에 대해 2% 디칼라이트를 첨가한 디칼라이트의 베드를 통하여 진공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액의 pH를 진한황산을 사용하여 약 6으로 조정하였다. 브로쓰 추출물을 앰버크롬(Amberchrom) CG161 수지의 베드를 통하여 320 ml/분(0.64 베드 부피/분)으로 펌핑하였다. 용출액을 HPLC로 모니터링하였다. 45분 후(펌핑 부피 14.4 l에 상응함), 소르다린이 파괴되기 시작하면 펌핑을 중단하였다. 흡착제를 물 2 l로 세척한 후, 물 중 25%(v/v) 아세톤 2 l로 세척하였다. 소르다린을 물 중 75%(v/v) 아세톤으로 용출시켰다. 75%(v/v) 아세톤 용출액을 40℃에서 회전 증발에 의해 증발시켜 약 200 ml가 되게 하였다. 부탄-1-올 200 ml를 첨가하고, 점성 오일이 잔류할 때까지(약간의 부탄-1-올을 함유함) 계속 증발시켰다. 오일성 잔류물을 고온 메탄올 50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한데 합하고, 여과시킨 후(와트만 제1번 여과지) 40 내지 45℃에서 증발시켜 점성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를 고온 아세톤 50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아세톤 추출물을 한데 합하고, 여과시키고 증발시켜 점성 오일을 수득하였다. 프로판-2-올 350 ml를 첨가하고, 오일을 45℃에서 용해시켜 투명 갈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칼륨-2-에틸헥사노에이트의 용액(프로판-2-올 중 39% w/w 용액) 54 g을 칭량하여 500 ml의 삼각 플라스크로 옮겼다. 프로판-2-올 중의 소르다린 함유 용액을 삼각 플라스크에 붓고, 함유물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용액에 소르다린 칼륨염 약 5 mg을 씨딩하고, 마개닫힌 플라스크를 4℃에서 3일 동안 저장하였다. 형성되는 회백색 고체를 진공하에 여과하고[제4번 신터(sinter) 깔때기], 여과 케이크를 프로판-2-올 약 20 내지 30 ml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결정화 접시로 옮기고, 진공 중 P2O5상에서 16시간 동안 건조시켜 표제화합물 10.5 g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소르다린 칼륨염의 제조
배양물 브로쓰 500 l를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브로쓰를 수산화나트륨에 대해 0.1M이 되게하고, 0℃에서 4일 후 회전 진공 여과기 상에서 디칼라이트의 베드를 통하여 여과시켰다. 1% 디칼라이트를 여과 조제로서 브로쓰에 첨가하였다. 여액의 pH를 진한 황산을 사용하여 9.6 내지 7.5로 조정하였다. 여액 10 l의 pH를 H3PO4를 사용하여 6으로 조정하고, 물에 충전된 XAD-16 수지의 베드 200 ml에 1 내지 1.5 베드 부피/시의 유속으로 가하였다. 수지 베드를 물(1 베드 부피)로 세척한 후, 25% 이소프로판올 수용액(2.5 베드 부피)으로 세척한 후, 순수 이소프로판올로 추출하였다. 50 ml의 이소프로판올을 미리 용출시킨 후, 100 ml 분획물로서 수집하였다. 소르다린 풍부 분획을 2 내지 6개 모으고, 증발시켜 부피가 반이 되게 하였다.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부피가 500 ml가 되게 한 후, 증발시켜 부피가 반이 되게하고, 공융 증발에 의해 잔류물이 제거되도록 반복하였다. 부피가 반이 되게하는 3번째 증발 후, 잔류물을 여과하고, 필터를 이소프로판올로 세척하였다. 한데 합한 여액 및 세척액 400 ml에 프로판올 100 ml 중의 칼륨 2-에틸헥사노에이트 8 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에 소르다린 칼륨염을 씨딩하고, 결정화가 서서히 일어나도록 4℃에서 수일 동안 방치시켰다. 결정을 제3번 신터 상에서 여과시키고, 소량의 빙냉 이소프로판올로 세척하고, 진공 중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4.85 g을 연갈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제조예 4
4' - 데메틸소르다린의 제조
( i ) IMI 362184를 제조예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140℃에서 브레인 하트 주입 브로쓰(옥소이드) + 10% 글리세롤 중에 유지시켰다. 2개의 한천 플러그를 함유하는 현탁액을 사용하여 매질 FS 50 ml를 함유하는 250 ml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접종하였다. 배양물을 50 mm 직경의 궤도 동작을 갖는, 250 rpm에서 작동시킨 회전 진탕기 상에서 25℃하 5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성장한 접종물의 부분표본 2 ml를 사용하여 매질 FS 50 ml를 함유하는 250 ml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더 접종시키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인큐베이션하였다. 접종물이 성장한 벌크한 진탕 플라스크 80 ml를 사용하여 매질 FS 5 l를 함유하는 2개의 7 l 발효기에 접종하였다. 온도를 25℃로 조절하여 발효시켰다. 배양물을 400 rpm에서 교반시키고, 2 Lpm에서 통기시켰다. 발효 3일 후, 배양물 10 l를 사용하여 매질 (제조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SM55VAR 500 l를 함유하는 780 l의 발효기를 접종하였다. 온도를 25℃로 조절하면서 발효시켰다. 브로쓰를 350 rpm에서 교반시키고, 500 Lpm에서 통기시켰다. 70%(w/v) 메리토스(Tunnel Refineries) 용액을 배양물에 공급하여 양성 잔류 글루코오스 농도를 유지하였다. 증류수를 공급하여 500 l의 배양물 부피를 유지하였다. 전체 브로쓰 추출물을 역상 HPLC를 사용하여 4'-데메틸소르다린의 존재에 대해 평가분석하였다. 브로쓰 시료의 추출물이 0.8 g/l의 4'-데메틸소르다린 적정을 나타낼 경우 배양물을 10일 후 수확하였다. 발효 브로쓰를 수산화나트륨에 대해0.1M이 되게하고, 주변 온도에서 1시간 후 회전 진공 여과기 상에서 디칼라이트(여과 조제로서 1% 디칼라이트를 브로쓰에 첨가함)를 통하여 여과시켰다. 여액의 pH를 진한 황산을 사용하여 4.5로 조정하고, 용액을 XAD16 수지(20 g 생성물/l 수지)에 도포하였다. 흡착제를 0.1% 인산(10 컬럼 부피)으로 세척하고, 아세토니트릴:물 1:4(6 컬럼 부피)로 세척한 후, 생성물을 아세토니트릴:물(1:1; 2컬럼 부피)로 용출시켰다. 이 과정 전체의 유속은 1-2 컬럼 부피/시이었다. 용출액을 부탄-1-올을 첨가하여 농축 건조시키고, 고체를 60℃에서 메탄올 12 l 및 아세톤 10 l로 연속 추출하였다. 불용성 물질을 각 단계에서 제3번 유리 신터를 통하여 여과시켜 제거하고, 추출물을 이전에 농축 건조시켰다. 고체를 아세토니트릴:물(3:7)로부터 결정화한 후, 동일한 용매로부터 재결정화하고 P2O5상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244.0 g을 수득하였고, 이는 양성자 NMR 분석에 의해 4'-데메틸소르다린의 실제 시료와 동일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ii)상기 (i)의 발효 과정을 따른 후, 브로쓰를 수산화나트륨에 대해 0.1M이 되게 하고, 이를 ETNA 10A 막(10k돌턴 컷-오프)을 통하여 미세여과시켰다. 물로 여과시킨 후, 벌크한 투과액은 투명 용액이었다. 진한 황산을 사용하여 pH를 5.2로 조정한 후, 투과액을 XAD16 수지 컴럼에 2 컬럼 부피/시의 속도로 부하시켜 최종 하중이 32 g 4'-데메틸소르다린/l 수지가 되었다. 컴럼을 2 컬럼 부피/시의 속도로 먼저 0.1% v/v 인산 및 나중에 20% v/v 아세토니트릴/물(각각 10 컬럼 부피)로 세척하였다. 컬럼을 65% 아세토니트릴/물로 2 컬럼 부피/시로 용출시켰다. 0.75 컬럼부피를 먼저 용출시킨 후 버렸다. 부하된 4'-데메틸소르다린의 85%를 다음 용출액의 1.6 컬럼 부피에서 회수하였다. 풍부 용출액을 2% w/v의 DE52 셀룰로오스로 5분 동안 교반시키면서 처리하고,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DE52 처리된 용출액의 부분표본을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원래 부피의 62%(43% 아세토니트릴)로 농축하였다. 농축된 용출액을 4℃에서 15시간 동안 유지시켜 결정화하고, 형성된 고체를 유리 신터를 통하여 여과시켜 수집하였다. 결정을 30% v/v 아세토니트릴/물의 4배 케이크 부피로 세척하고, 30℃하 진공 중에서 건조시켰다. 표제 화합물 1.94 g을 농축된 용출액으로부터 연회색 고체로서 회수하였다.
제조예 5
소르다린의 제4 위치에서 메틸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에 대한 스크린
소르다린의 제4 위치에서 메틸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은 250 rpm에서 진탕시킨 50 ml의 삼각 플라스크 중의 10 ml 부피의 SB1(세균) 또는 FB1(진균) 중에서 28℃(세균) 또는 25℃(진균)에서 성장시킴으로써 동정할 수 있다. 2일 후, 소르다린을 (80% 에탄올 중 200 mg/ml의 원액으로부터) 최종 농도 0.5 mg/ml로 첨가한 후, 플라스크를 3일 동안 더 인큐베이션하였다. 전체 배양물 중 500 μl 시료를 80% 아세토니트릴/2%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0 μl와 에펜도르프(Eppendorf)관에서 혼합하고, 추출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하였다. 마이크로퍼지(microfuge) 중에서 시료를 원심분리하여 얻은 추출물 상등액을 4'-데메틸소르다린의 존재에 대해 이소크래틱(isocratic) HPLC에 의해 평가분석하였다. 4'-데메틸소르다린을 이동상 : 물 중 35% 아세토니트릴, 유속 : 2 ml/분에서 스페리솔브(Spherisorb) C6컬럼(5 μm, 15 cm x 4.6 mm)을 사용하여 3.35분 용출시켰다. 이 방법에서 소르다린 메틸기 분해자로서 다음과 같은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제조예 6
소르다린의 생변형에 의한 4'-데메틸소르다린의 제조
스트렙토마이세스 카프레올루스ATCC 31963(-20℃에서 저장한 15% v/v 글리세롤 중)의 포자 현탁액 0.3 ml를 250 ml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 중의 SB1 매질 30 ml에 접종하여 씨드 배양물을 수득하고, 이를 28℃ 및 250 rpm에서 회전 진탕기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4일 후, 이 중 0.5 ml를 사용하여 250 ml의 플라스크 중 SB1 35 ml에 접종하고, 28℃, 250 rpm에서 48시간 동안 성장시켰다. 이 단계에서, 배양물을 50 ml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로 10 ml의 양으로 부분표본하고, (에탄올 중 200 mg/ml 원액으로부터) 소르다린 5 mg을 공급하였다. 3일 동안 인큐베이션을 계속하였다. 물 14 ml 중의 80% v/v 아세토니트릴을 전체 브로쓰 14 m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유지시키며 종종 교반하였다. 30분 후,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아세토니트릴을 증발 제거하고, 수용액의 pH를 오르토인산을 사용하여 2.5로 조정하였다. 용액을 앰벌라이트 XAD-16 수지(베드 부피 5 ml)를 함유하는 컬럼을 통과시켰다. 흡착제를 물 10 ml, 물 중 10% v/v 아세토니트릴 20 ml, 물 중 30% v/v 아세토니트릴 10 ml, 물 중 50% v/v 아세토니트릴 20 ml 및 물 중 90% v/v 아세토니트릴 10 ml로 연속 세척하였다. 분획물을 HP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4'-데메틸소르다린은 물 중 50% v/v 아세토니트릴 용출액 중에 위치하였다. 4'-데메틸소르다린을 함유하는 분획을 실온하에 진공 중에서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물 중 35% v/v 아세토니트릴 15 ml 중에서 재용해시켰다. 4'-데메틸소르다린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컬림 : 스페리솔브 5 미크론 C625 cm x 2.5 cm
유속 : 25 ml/분
검출 : 210 nm 자외선
이동상 : 350 ml 아세토니트릴에 물 중 0.05M 인산이수소화암모늄으로 1000 ml가 되게하였다. pH는 오르토인산을 사용하여 2.5로 조정하였다.
주입 부피 : 4.5 ml
4'-데메틸소르다린을 상기 조건하에서 10.0분 후 용출시켰다. 4개의 HPLC 수행으로부터 얻은 분획물을 물로 1:1 희석시킨 후, 실리카 상으로 역 펌핑하였다(이 후 이를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고 물로 재평형화시켰다). 흡착제를 물 200 ml로 세척하고, 흡착된 생성물을 물 중 95% v/v 아세토니트릴 200 ml로 용출시켰다. 아세토니트릴/물 용출액을 증발시켜 유기 용매를 제거하고, 수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4'-데메틸소르다린 1.5 mg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제조예 7
소르다리신의 제조
제조예 1에 따른 과정을 정제용 HPLC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였다. 21.4 및 25.0분에서 용출하는 분획을 수집하였다. 10회 주입(22 l)으로부터 수집한 분획을 동일한 부피의 물로 희석하고, 이 용액을 크로마실 컬럼을 통하여 28 l/시에서 역 펌핑하였다. 컬럼을 물 20 l로 세척한 후, 90% 아세토니트릴 4.5 l로 용출하였다. 용출액을 동일한 과정에 의해 프로세싱한 유사 발효물로부터의 상응하는 용출 분획 4.5 l와 한데 합하였다. 한데 합한 90% 아세토니트릴 용출액을 생성물이 결정화할 때까지(부피 약 1.6 l) 회전 증발에 의해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60℃ 수조 상에서 가열하고, 아세토니트릴 최소 부피를 가하여 투명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 용액을 냉각시키고, 4℃에서 저장하였다. 결정을 제3번 신터 상에서 여과시키고, 진공 중에서 건조시켜 갈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이를 아세토니트릴:물(40:60)로부터 재결정화하고, 생성물을 여과시키고, 25%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고, 진공 중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10.7 g을 수득하였다. 이 생성물을 MS 및 NMR로 분석한 결과 소르다리신의 실제 샘플과 동일함을 보여주었다.
제조예 8
소르다린의 소르다리신으로의 생변형
NCIMB 40675의 현타액 0.2 ml를 사용하여 효모 추출물 0.2%를 보충한 영양 브로쓰(옥소이드) 50 ml를 함유하는 250 ml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접종하였다. 배양물을 28℃하에 50 mm 궤도 동작을 갖는 250 rpm으로 작동시킨 회전 진탕기 상에서 29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성장한 접종물의 부분표본 1 ml를 사용하여 효모 추출물 0.1%를 보충한 2배 강도 영양 브로쓰(옥소이드) 50 ml를 함유하는 250 ml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더 접종시켰다. 이를 상기한 바와 같이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 플라스크의 62 ml로부터 접종물이 성장한 배양물 2.65 l를 제공하고, 이를 소르다린 배양물 여액 30 l에 첨가하고,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바와 같이 pH 7.5로 조정하였다. 반응을 30℃의 70 l 발효기 중에서 수행하고, 200 rpm에서 교반시키고, 0.5 vvm에서 통기시켰다. 벌크한 진탕 플라스크 80 ml를 사용하여 매질 FS 5 l를 함유하는 2개의 7 l 발효기에 접종하였다. 온도를 25℃로 조절하여 발효시켰다. 배양물을 400 rpm에서 교반시키고, 2 Lpm에서 통기시켰다. 발효 3일 후, 배양물 10 l를 사용하여 매질 SM55VAR 500 l를 함유하는 780 l의 발효기를 접종하였다. 1N 염산을 첨가하여 pH를 7.5로 조정하였다. 6일 후, 소르다린 약 16 g이 소르다리신으로 전환되었다. 생변형 브로쓰를 진공 여과기 상의 디칼라이트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베드를 물로 세척하여 여액 31.5 l를 수득하였다(pH 8.2). 이를 H3PO4를 사용하여 pH 6.0으로 조정하고, 앰버크롬 CG161 수지의 베드(25 cm x 5 cm)를 통하여 290 ml/분으로 펌핑시켰다. 앰버크롬 베드를 0.1% H3PO42 l 및 25%아세토니트릴 4 l로 세척한 후, 60% CH3CH 2 l로 용출시켰다. 용출액을 결정화가 개시될 때까지 회전 증발에 의해 농축하고, 잔류물을 최소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고 60℃ 수조 상에서 가열하여 투명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를 냉각시키고 4℃에서 철야 유지시켰다. 결정을 여과하고, 25%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고 진공 중에서 건조시켜 갈색 분말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아세토니트릴:물(40:60) 1 l로부터 재결정화하고, 여과시키고, 세척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시켜 소르다리신 6.15 g을 연갈색 침상물로서 수득하였다.
제조예 9
소르다린의 소르다리신으로의 생변형
NCIMB 40675의 한천 배양물로부터의 표면 성장물을 사용하여 0.2% 효모 추출물이 보충된 영양 브로쓰(옥소이드) 50 ml를 함유하는 250 ml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접종시켰다. 배양물을 25℃하에 50 mm 직경 범위를 갖는 250 rpm으로 작동시킨 회전 진탕기 상에서 2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성장한 배양물의 부분표본 1 ml를 사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250 ml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접종시켰다. 이 플라스크를 상기한 바와 같이 8일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소르다리신을 함유하는 배양물 브로쓰 365 ml를 수득하였다. 생전환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NCIMB 40675 세포를 제거하고, 상등액 350 ml를 따라 버렸다. 상등액에 (아세토니트릴로 예비 습윤시킨) 와트만 파티실(Whatman Partisil) P40 ODS-3.5 ml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의 pH를 H3PO4를 사용하여 4.0으로 조정하였다. 파티실을 뷰흐너 깔때기 상에서 여과 제거하고, 아세토니트릴 100 ml 및 75% 아세토니트릴 100 ml로 연속 용출시켰다. 한데 합한 용출액을 증발시켜 수성 잔류물이 10 내지 15 ml가 되게 하였다. 이를 60℃ 수조 상에서 가열하고, 투명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한 후, 가열을 유지시키고, 용액이 흐려질 때가지 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4℃에서 수일 동안 저장하였다. 결정을 제3번 신터 상에서 여과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중에서 P2O5상에서 건조시켜 소르다리신 92 mg을 백색 침상물로서 수득하였다.
제조예 10
소르다리신의 제조
IMI 362947 동결 앰플을 사용하여 250 ml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 중 씨드 매질 FS 50 ml를 접종하였다. 이 플라스크를 25℃하에 50 mm 직경 궤도 작용을 갖는 250 rpm에서 작동시킨 회전 진탕기 상에서 6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성장한 접종물의 부분표본 1 ml를 사용하여 진탕 플라스크 제조 매질 SM55/A 50 ml를 함유하는 4개의 250 ml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접종시켰다.
증류수에 넣고 121℃에서 120분 동안 가압멸균하였다.
이 배양물을 상기한 바와 같이 7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 플라스크 함유물을 꺼내고, 40 ml 부분을 실온하에 45분 동안 통상적인 교반에 의해 1N 수산화나트륨 4 ml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3000 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제거하고, 상등액을 1N 염산을 사용하여 3으로 조정하였다. 용액을 본드 엘럿(Bond Elut) 컬럼(1 g크기 : C18)을 통과시키고, 흡착제를 물 20 ml로 세척한 후, 물 중 90% v/v 아세토니트릴 15 ml로 용출시켰다. 용출액을 실온에서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물 중 50% v/v 아세토니트릴 9 ml로 분해하였다. 소르다리신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였다.
컬럼 : 스페리솔브 5 미크론 ODS-2(25 cm x 2.1 cm)
유속 : 25 ml/분
이동상 : 550 ml 아세토니트릴에 물로 1000 ml가 되게하고, 이동상 리터 당 1 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였다.
검출 : 210 nm
주입 부피 : 4.5 ml
이러한 조건하에 6.0분 후 소르다리신을 용출시켰다. 소르다리신을 함유하는 분획을 모으고, 아세토니트릴을 실온에서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수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8.9 mg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메탄올(200 ml) 중의 4'-데메틸소르다린(10 g)의 용액에 염화메틸렌 중의 디페닐디아조메탄의 용액(0.35M, 90 ml)을 실온에서 적가하고, 혼합물을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3:1)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6 g)을 연황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H)-1,4-메타노-s-인다셋-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디메톡시프로판:아세톤(1:2) 15 ml 중의 중간체 1(650 mg)의 용액에 p-톨루엔술폰산(10 mg)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탄산칼륨(1.0 g)을 첨가하고, 30분간 계속 교반하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조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50 ml) 및 물(25 ml) 사이에 분배시키고, 수성상을 아세트산에틸(2 x 50 m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트산에틸:헥산(1:3)으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표제 화합물(60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O-(2-펜틸리덴)-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5 ml) 중의 중간체 1(500 mg) 및 p-톨루엔술폰산(5 mg)의 현탁액에 2,2-디메톡시펜탄(2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탄산칼륨(150 mg)을 첨가하고 30분간 계속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헥산(15:85) 및 (30:70)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474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O-(4-메톡시-2-부틸리덴)-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셋-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4 ml) 중의 중간체 1(350 mg) 및 p-톨루엔술폰산(5 mg)의 현탁액에 2,2,4-트리메톡시부탄(1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탄산칼륨(150 mg)을 첨가하고 30분간 계속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헥산(3:7) 및 (4:6)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290 mg)을 에피머 비율 3:1로 수득하였다.
중간체 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1,1-디메톡시시클로펜탄(3:1, 4 ml) 중의 중간체 1(160 mg)의 현탁액에 p-톨루엔술폰산(5 m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탄산칼륨(1 g)을 첨가하고 30분간 계속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헥산(1:4)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42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2-O-(메틸티오)티오카보닐-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중간체 2(100 mg) 및 이미다졸 (1 mg)을 아르곤 분위기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4 ml 중에 용해시켰다. 수소화나트륨(5 mg)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황화탄소(27 μl)를 첨가하고, 20분간 교반을 계속하고, 요오드화메틸(18 μl)을 첨가하였다. 2시간 후, 1N 염화암모늄(2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켰다.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3 x 25 m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트산에틸:헥산(1:9)으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0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3,4-O-이소프리덴-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i) 중간체 6(95 mg)을 질소 분위기하 무수 톨루엔(5 ml) 중에 용해시키고, 110℃로 가열하였다. 무수 톨루엔(5 ml) 중의 수소화트리부틸주석(64 μl)의 용액을 교반하면서 1.5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가열을 1.5시간 동안 계속하고, 메탄올(2 ml)을 첨가하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트산에틸:헥산(1:9)으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화합물(42 mg)을 수득하였다.
(ii)무수 톨루엔(150 ml) 중의 수소화트리부틸주석(5.5 ml)의 용액을 아르곤 스트림으로 1시간 동안 탈기시키고, 가열 환류시켰다. 이어서, 무수 톨루엔(50 ml) 중의 중간체 6(6 g)의 용액을 2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1.5 시간) 계속 가열하였다.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조생성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20:1 내지 15:1)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4 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3,4-O-(4-메톡시-2-부틸리덴)-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0℃ 및 질소 분위기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0 ml) 중의 중간체 4(600 mg)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30 mg) 및 이황화탄소(147 μl)를 첨가하였다. 20분 후,요오드화메틸(127 μl)을 첨가하고, 30분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1N 염화암모늄(2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3 x 25 m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트산에틸:헥산(15:85)으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백색 발포체를 수득하였다. 이 발포체를 질소 분위기하에 무수 톨루엔(10 ml) 중에 용해시키고, 톨루엔(10 ml) 중의 수소화트리부틸주석(0.46 ml)의 용액을 115℃에서 2시간에 거쳐 적가하였다. 2시간 동안 계속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트산에틸:헥산(15:85)으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60 ml)을 에피머 비율 4:1로 수득하였다.
중간체 9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O-티오카르보닐-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10 ml) 중의 중간체 1(0.500 g) 및 티오카르보닐디이미다졸(0.270 g)의 혼합물을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진공 중에서 증발시켜 황색 잔류물을 얻고, 이를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3:1)으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0.263 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1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30 ml) 및 메탄올(15 ml)의 혼합물 중의 중간체 7(1.5 g)의 용액에 염산 1 N 용액(15 ml)을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일단 반응이 완결되면(TLC 대조), 포화 중탄산나트륨(50 ml) 및 아세트산에틸(200 ml)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물(2 x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하여 잔류물을 얻고, 이를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5:1) 및 (2: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1 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3,4-O-티오카르보닐-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15 ml) 중의 중간체 10(160 mg) 및 산화디부틸주석(124.5 mg)의 현탁액을 디인-스타크(Dean-Stark) 응축기가 장착된 플라스크에서 2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킨 후,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방치시켰다. 생성된 용액에 무수 톨루엔(5 ml) 중의 페닐-클로로티오노포르메이트(69 μl)를 첨가하였다. TLC 대조는 6시간 후 반응이 완결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20:1) 및 (15: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50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알릴-2,6-디데옥시-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15 ml) 중의 중간체 10(400 mg) 및 산화트리부틸주석(240 mg)의 현탁액을 디인-스타크 응축기가 장착된 플라스크에서 가열 환류시킨 후,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방치시켰다(약 10 ml의 공융 혼합물이 제거됨). 브롬화알릴(71 μl) 및 불소화테트라부틸암모늄(테트라히드로푸란 중 1M 용액, 0.95 ml)을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5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여 잔류물을 얻고, 이를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톤:헥산(1:20) 및 (1:15)로 용출시키면서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300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4-O-(2-메틸-2-프로페닐)-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50 ml) 중의 중간체 10(500 mg) 및 산화트리부틸주석(300 mg)의 현탁액을 디인-스타크 응축기가 장착된 플라스크에서 가열 환류시킨 후,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방치시켰다(약 10 ml의 공융 혼합물이 제거됨). 3-브로모-2-메틸-프로펜(202 μl) 및 불소화테트라부틸암모늄(테트라히드로푸란 중 1M 용액, 0.90 ml)을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5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여 잔류물을 얻고, 이를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톤 헥산(1:20) 및 (1:15)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340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5,8-트리옥사-3,7-디메틸-시스-비스클로[4.4.0]-데크-9-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0 ml) 중의 중간체 12(200 mg)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 실온에서 고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제2수은(213 mg)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시키고, 수소화트리부틸주석(135 μl)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30분 후, 아세트산에틸(50 ml)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셀라이트를 통하여 여과시켜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고, 이를 물(3 x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하여 오일을 수득하였고, 이를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톤:헥산(1:15)으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표제 화합물(120 mg)을 C-3'에서의 에피머의 1:1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 7R, 9R]-2,5,8-트리옥사-3,3,7-트리메틸-시스-비시클로[4.4.0]-데크-9-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0 ml) 중의 중간체 13(325 mg)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 실온에서 고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제2수은(303 mg)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시키고, 수소화트리부틸주석(192 μl)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30분 후, 아세트산에틸(50 ml)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셀라이트를 통하여 여과시켜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고, 이를 물(3 x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하여 오일을 수득하였고, 이를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톤;헥산(1:20) 및 (1:15)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210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4-O-p-메톡시벤질-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30 ml) 중의 중간체 10(500 mg) 및 산화트리부틸주석(374 mg)이 현탁액을 디인-스타크 응축기가 장착된 플라스크에서 가열 환류시킨 후,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방치시켰다(약 10 ml의 공융 혼합물이 제거됨). 염화p-메톡시벤질(135 μl) 및 불화테트라부티암모늄(테트라히드로푸란 중 1M 용액, 1.5 ml)을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여 잔류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톤:헥산(1:20) 및 (1:15)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300 mg)을 무색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3-O-알릴-2,6-디데옥시-4-O-p-메톡시벤질-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0 ml) 중에서 격렬하게 교반시킨 중간체 16(400 mg)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 0℃에서 수소화나트륨(48 mg)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첨가를 완결시킨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브롬화알릴(191 μl)을 첨가하였다. 24시간 후, 염화암모늄(물 중 1N, 10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2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1 x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켜 오일을 수득하였고, 이를 아세트산에틸:헥산(1:20) 및 (1:15)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400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3-O-알릴-2,6-디데옥시-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200 ml) 중의 중간체 17(2.3 g)의 용액을 물(20 ml)로 교반시키고, 2,3-디클로로-5,6-디시아노퀴논(0.79 g)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철야 교반한 후, 혼합물을 더 많은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셀라이트 패드를 통하여 여과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상을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염화나트륨 용액을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49:1)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95 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9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3-O-알릴-2,6-디데옥시-4-O-(메티티오)티오카르보닐-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질소 분위기하에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50 ml) 중에서 냉각시킨 중간체 18(1.9 g)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240 mg) 및 촉매량의 이미다졸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이어서, 빙냉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황화탄소(1.5 ml) 및 요오드화메틸(1.25 ml)을 연속하여 첨가하였다. 일단 반응이 완결되면(TLC 대조), 조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500 ml)에 붓고, 0.1N 염화암모늄(250 ml)으로 켄칭시켰다. 유기층을 염수(1 x 500 ml) 및 물(1 x 50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켰다. 오일성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디클로로메탄(3:5)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85 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20
(a)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 4S, 6R, 8R)]-2,7-디옥사-4,6-디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8-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및
(b)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6R,8R)]-2,7-디옥사-4,6-디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8-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250 ml) 중의 중간체 19(1.8 g)의 용액을 아르곤 스트림으로 1시간 동안 탈기시킨 후 가열 환류시켰다. 무수 톨루엔(50 ml) 중에 용해시킨 촉매량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수소화트리부틸주석(0.95 ml)을 가열 및 아그곤 스트림을 유지시키면서 약 2시간 동안 주사기로부터 첨가하였다. 일단 첨가가 완료되면 반응 혼합물을 추가 1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냉각시키고, 이어서 농축 건조시키고 용출제로서 헥산 및 헥산:아세트산에틸(9:1)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중간체 20(a)(680 mg: 헥산:아세트산에틸 4:1 중의 Rf=0.31)를 백색 발포체로서 얻었고, 중간체 20(b)(180 mg: 헥산:아세트산에틸 4:1 중의 Rf=0.25)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2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알릴-2,6-디데옥시-3-O-(메틸티오)티오카르보닐-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0 ml) 중의 중간체 12(380 mg)의 용액에 고체 수산화나트륨(48 mg)을 0℃에서 질소 분위기하에 소량씩 첨가하고 촉매량의 이미다졸을 첨가하였다. 첨가를 마친 후, 냉각조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황화탄소(300 μl) 및 요오드화메틸(250 μl)를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4시간 후,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100 ml)에 붓고 1N 염화암모늄(50 ml) 수용액으로 켄칭시켰다. 유기층을 염수(1 x 100 ml) 및 물(1 x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켜서 황색 오일을 얻었고, 이것을 실리카겔 상에서 아세트산에틸:헥산(1:25) 및 (1:20)으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35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2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3-O-(메틸티오)티오카르보닐-4-O-(2-메틸-2-프로페닐)-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30 ml) 중의 중간체 13(700 mg)의 냉각시킨 용액에 고체 수산화나트륨(85 mg)을 질소 분위기하에 소량씩 첨가하고 촉매량의 이미다졸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얼음조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자기 교반하에 방치하였다. 이황화탄소(0.54 ml) 및 요오드화메틸 (0.45 ml)를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TLC 대조), 조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200 ml)에 붓고 0.1N 염화암모늄(120 ml) 수용액으로 켄칭시켰다. 이어서, 유기층을 염수(1 x 200 ml) 및 물(1 x 2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오일상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19:1)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600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23
(a)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9-디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및
(b)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9-디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방법 A
무수 톨루엔(150 ml) 중의 중간체 21(1.5 g)의 용액을 아르곤으로 90분간 탈기시킨 후 가열 환류시켰다. 이 비등 용액에 수소화트리부틸주석(847 μl)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33 mg)을 첨가하였다. 추가로 30분간 계속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조 혼합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20: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2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a)(150 mg: 헥산:아세트산에틸 4:1 중의 Rf=0.6) 및 표제 화합물(b)(260 mg: 헥산:아세트산에틸 4:1 중의Rf=0.4)을 모두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방법 B
o-크실렌(15 ml) 중의 중간체 98(685 mg)의 용액을 아르곤으로 60분간 탈기시킨 후 가열 환류시켰다. 수소화트리부틸주석(379 μl)를 첨가하고 15분간 계속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디에틸에테르(150 ml) 및 물(100 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불화트리부틸주석 침전물이 더이상 발견되지 않을 때까지 불화칼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켜서 잔류물을 얻었고, 이것을 헥산:아세트산에틸(20: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2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a)(103 mg) 및 표제 화합물(b)(235 mg)을 수득하였다.
방법 C
무수 톨루엔(25 ml) 중의 수소화트리부틸주석(684 μl)의 용액을 아르곤 스트림으로 1시간 동안 환류하에 탈기시킨 후, 무수 톨루엔(30 ml) 중의 중간체 98(610 mg)의 용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2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3.5시간 동안 계속 가열하였다.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조 생성물을 얻었고, 이것을 헥산 및 헥산:아세트산에틸(10:1) 내지 (8: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a)(357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2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4,4,8-트리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150 ml) 중의 중간체 22(580 mg)의 용액을 아르곤 스트림으로 1시간 동안 탈기시킨 후 가열 환류시켰다. 무수 톨루엔(20 ml) 중에 용해시킨 촉매량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수소화트리부틸주석(0.27 ml)를 가열 및 아르곤 스트림을 유지시키면서 주사기를 사용하여 약 2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첨가를 마친 후, 반응 혼합물을 추가로 3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냉각시킨 후 농축시키고, 용출제로서 헥산, 이어서 헥산:아세트산에틸(4:1)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0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2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아세토니트릴(100 ml) 중의 중간체 1(2.5 g)의 교반시킨 용액에 실온에서 에틸렌 글리콜(30 ml), 트리메틸 오르토포르메이트(2 ml) 및 촉매량의 p-톨루엔술폰산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아세트산에틸(300 ml)으로 희석시키고, 5%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3:1)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화합물(2.6 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2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아세토니트릴(6 ml) 중의 중간체 25(200 mg)의 용액을 질소 하에 2,2-디메톡시프로판(0.6 ml) 및 촉매량의 피리디늄 p-톨루엔술포네이트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4시간 후, 혼합물을 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20 ml)로 처리하고, 아세트산에틸(20 ml)로 2 회 추출하였다. 혼합된 유기상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및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고 적당한 분획들을 한데 합하고 증발시켜서 표제 화합물(205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2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0℃에서 디클로로메탄(25 ml) 중의 산화크롬(CrO3)(412 mg)의 혼합물에 피리딘(0.67 ml)을 첨가하였다. 15분 후, 아세트산 무수물(0.40 ml)를 첨가하고 10분 후 동일 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25 ml) 중의 중간체 26(750 m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황산마그네슘의 상부층을 갖는 실리카 겔 컬럼을 통해 여과시키고, 여액을 감압하에 증발 건조시켜서 시럽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메탄올:물(10:1; 11 ml) 중에 용해시킨 후 0℃에서 봉수소화나트륨(40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키고 1N 염산 용액으로 pH 6 내지 7로 산성화시킨 후, 감압하에 증발 건조시켜서 백색 고체를 얻었고, 이것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6:1), 이어서 (2:1)로 순차적으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2회 정제하였다. 소정의 생성물에 함유된 분획들을 모으고 진공 증발시켜서 표제 화합물(585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28
[1R-(1α,3aβ,4β,4aβ,7β,7aα,8aβ)]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8a-히드록시메틸-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2-(트리메틸실릴)에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50 ml) 중의 소르다리신(6.6 g) 및 O-[2-(트리메틸실릴)에틸]-N,N'-디이소프로필이소우레아1(9.3 g)의 용액을 3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750 ml) 중에 용해시키고, 1N 염산, 5%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헥산 중의 에틸 아세테이트(10 %)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플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8 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29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3,4,6-트리-O-아세틸-2-데옥시-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트리메틸실릴에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1 ml) 중의 중간체 28(63 mg) 및 3,4,6-트리-O-아세틸 D-알랄1(20 mg)의 용액에 브롬화수소산-트리페닐 포스핀(9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60℃로 가열시키고, 1M 중탄산타르뮤 용액(100 ml)에 부었다. 아세트산 메틸(100 ml)를 첨가하고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6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3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6-O-메틸-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2-(트리메틸실릴)에틸 에스테르
무수 메탄올(10 ml) 중의 중간체 29(275 mg)의 교반 용액에 메탄올 중의 1M 메톡시드나트륨 용액 2 또는 3 방울을 첨가하였다. 1.5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톨루엔(10 ml)로 희석시키고 농축시켜서 황색 시럽을 얻었다. 이것을 아세톤(5 ml) 및 2,2-디메톡시프로판(60 μl) 및 p-톨루엔술폰산 일수화물(75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탄산나트륨으로 중화시키고 여과시키고 여액을 농축 건조시켰다. 오일상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20 ml)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켜서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 오일을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5 ml) 중에 용해시킨 용액을 수소화나트륨(10 mg)으로 처리하고, 요오드화메틸(100 μl)을 첨가시키기 전에 30분간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서서히 승온시켰다. 반응물을 메탄올(1 ml)로 켄칭시킨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10:1), (6:1) 및 (4:1)로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3회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고, 적합한 분획들을 한데 합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표제 화합물(50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3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E)-2-부테닐)-2,6-디데옥시-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150 ml) 중의 중간체 10(1.5 g) 및 산화디부틸주석(0.9 g)의 현탁액을 디인-스타크(Dean-Stark) 응축기가 장착된 플라스크에서 2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킨 후,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방치시켰다(공비 혼합물 약 20 ml가 제거됨). 크로틸 플루오라이드(트랜스가 우세함, 0.37 ml),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M 용액 3.6 ml) 및 4Å 분자체(활성 분말)을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분자체를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톤(95:5)으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 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3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4-O-프로파르길-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150 ml) 중의 중간체 10(2 g) 및 산화디부틸주석(1.2 g)의 현탁액을 디인-스타크 응축기가 장착된 플라스크에서 2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킨 후,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방치시켰다(공비 혼합물 약 20 ml가 제거됨). 프로파르길 플루오라이드(톨루엔 중의 80 중량% 용액 0.55 ml),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M 용액 4.8 ml) 및 4Å 분자체(활성 분말)을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분자체를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톤(96:4)으로 용출시키면서 2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25 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3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3-메틸-2-부테닐)-2,6-디데옥시-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150 ml) 중의 중간체 10(1 g) 및 산화트리부틸주석(600 mg)의 현탁액을 디인-스타크 응축기가 장착된 플라스크에서 2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킨 후(공비 혼합물 약 20 ml가 제거됨),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2-메틸-4-브로모-2-부텐(276 μl)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M용액 2.4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50℃로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조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아세트산에틸:헥산 1:20, 1:15 및 1:10)하여 표제 화합물 770 mg을 발포체(수율 69 %)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3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E)-2-부테닐)-2,6-디데옥시-3-O-(메틸티오)티오카르보닐)-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20 ml) 중의 중간체 31(1 g)의 냉각시킨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수소화나트륨(0.156 g)을 소량씩 첨가하고 촉매량의 이미다졸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얼음조를 제거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에 방치하였다. 이황화탄소(0.58 ml) 및 요오드화메틸(0.8 ml)를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TLC 대조), 조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400 ml)에 붓고 1N 염화암모늄 수용액(500 ml)로 켄칭시켰다. 이어서, 유기층을 1N 염산(200 ml), 5 %중탄산나트륨 수용액(200 ml) 및 염수(20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디클로로메탄:헥산(6:4)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04 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3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3-O-(메틸티오)티오카르보닐-4-O-프로파르길-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25 ml) 중의 중간체 32(1.25 g)의 냉각시킨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수소화나트륨(0.2 g)을 소량씩 첨가하고 촉매량의 이미다졸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얼음조를 제거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에 방치하였다. 이황화탄소(0.6 ml) 및 요오드화메틸(0.75 ml)를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TLC 대조), 조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400 ml)에 붓고 1N 염화암모늄 수용액(500 ml)로 켄칭시켰다. 이어서, 유기층을 1N 염산(200 ml), 5% 중탄산나트륨 수용액(200 ml) 및 염수(20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97:3) 및 (95:5)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2 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3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3-메틸-2-부테닐)-2,6-디데옥시-3-O-(메틸티오)티오카르보닐-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5 ml) 중의 중간체 33(770 mg)의 용액에 0 ℃에서질소 하에 수소화나트륨(105 mg) 및 이미다졸(30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이황화탄소(300 μl) 및 요오드화메틸(311 μl)를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1N 염화암모늄(50 ml)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2 x 100 ml)로 2회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서 오일을 얻었고, 이것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헥산:아세트산에틸 1:25 및 1:20)하여 표제 화합물 780 mg(90 %)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37 및 38
a)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에틸-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b) [1R-(1a,3ab,4b,4ab,7b,7aa,8ab)] 8a-[[1S,4R,7R,9R]-2,8-디옥사-4-에틸-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50 ml) 중의 중간체 34(1.04 g)의 용액을 아르곤 스트림으로 1시간 동안 환류 하에 탈기시켰다. 수소화트리부틸주석(0.55 ml) 및 촉매량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추가로 20분간 환류시킨 후 냉각시키고 농축시킨 후, 용출제로서 헥산 및 헥산:아세트산에틸(94:6)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2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중간체 37(220 mg, 헥산:아세트산에틸 4:1 중의 Rf = 0.32)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고, 중간체 38(444 mg, 헥산:아세트산에틸 4:1 중의 Rf = 0.27)을 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중간체 37
중간체 38
중간체 39 및 40
[1R-(1a,3ab,4b,4ab,7b,7aa,8ab)] 8a-[[1S,4R,7R,9R]-2,8-디옥사-4-(1-메틸에틸)-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및 [1R-(1a,3ab,4b,4ab,7b,7aa,8ab)] 8a-[[1S,4R,7R,9R]-2,8-디옥사4-(1-메틸에틸)-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50 ml) 중의 중간체 36(780 mg)의 용액을 아르곤으로 1시간 동안 탈기시킨 후 가열 환류시켰다. 수소화트리부틸주석(367 μl) 및 촉매량의 a,a'-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20 m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헥산:아세트산에틸 25:1, 20:1, 18:1 및 15:1)하여, 280 mg의 중간체 39(수율 41 %) 및 300 mg의 중간체 40(수율 44 %)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각각, 헥산:아세트산에틸 v/v 3:1 중의 Rf: 0.5 및 0.3).
중간체 39
중간체 40
중간체 4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4-메틸렌-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50 ml) 중의 중간체 35(1.02 g)의 용액을 아르곤 스트림으로 1시간 동안 환류 하에 탈기시켰다. 수소화트리부틸주석(0.55 ml) 및 촉매량의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추가로 1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킨 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94:6)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2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이렇게 하여 순수한 표제 화합물(38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 및 단리하였다.
중간체 4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9-메틸-4-메틸렌-3-옥소-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20 ml) 중의 산화크롬(VI)(0.23 g) 및 무수 피리딘(0.37 ml)의 교반시킨 용액에 0 ℃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3 ml) 증의 중간체 41(0.15 g)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계속 교반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직접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화합물(65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4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9-메틸-4-옥소-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방법 A
아세톤:물(8:1, 9 ml) 중의 중간체 41(105 mg) 및 N-메틸모르폴린 N-옥사이드(43 mg)의 빙냉 혼합물에 사산화오스뮴(2-메틸-2-프로판올 중의 2.5 중량% 용액, 0.075 ml)을 첨가하였다. 얼음조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중아황산나트륨으로 켄칭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100 ml)로 희석시키고 물(30 ml), 1N 염산(30 ml),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30 ml) 및 물(3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후 건조 및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디옥산:물(2:1, 6 ml) 중에 용해시키고 0 ℃로 냉각시켰다. 과요오드산나트륨(0.13 g)을 소량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0 ℃ 내지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 후, 농축시키고 조 생성물을 물(60 ml) 및 아세트산에틸(60 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건조 및 농축시키고, 이렇게 사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 85:15)하여 표제 화합물(0.045 g)을 수득하였다.
방법 B
무수 디클로로메탄(2.5 ml)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0.43 ml)의 용액에 질소 하에 -60 ℃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디메틸술폭시드(0.22 ml)를 첨가하였다. 10분 후, 무수 디클로로메탄(2.5 ml) 중의 중간체 79(470 mg)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60 ℃에서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아민(1.4 ml)를 10분에 걸쳐서 적가하고, 온도를 -20 ℃에 도달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물(2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분배시키고,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100 ml)로 추출하였다. 혼합된 유기층을 1N 염산(100 ml),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100 ml) 및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켜서 오일을 얻었고, 이것을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1 ml)로 하룻밤 처리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생성된 오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아세트산에틸:헥산 1:25, 1:20 및 1:15)하여 표제 화합물 400 mg(수율 85 %)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4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트랜스-2-부테닐)-6-데옥시-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300 ml) 중의 중간체 1(5 g) 및 산화디부틸주석(2.3 g)의 용액을 디인-스타크 응축기가 장착된 플라스크에서 질소 하에 3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60 ℃로 냉각시켰다. 분자체(4Å, 분말), 브롬화크로틸(2.4 ml)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1M 용액(23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에서 1시간 동안, 그리고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헥산 내지 헥산:아세톤(9: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3.2 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45, 46 및 47
a)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4-O-(트랜스-2-부테닐)-6-데옥시-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b)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S,6S,7R,9R)-2,8-디옥사-4-에틸-6-히드록시-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c)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S,6S,7R,9R)-2,8-디옥사-4-에틸-6-히드록시-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중간체 44(1.225 g), 트리페닐포스핀(1.38 g) 및 이미다졸(0.36 g)을 톨루엔(35 ml) 중에 교반하면서 환류시킨 후, 톨루엔(15 ml) 중의 요오드(0.89 g)의 용액을 적가하면서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요오드화테트라부틸암모늄(0.2 g)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계속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아세트산에틸(100 ml) 및 1N 염산 수용액(50 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1N 염산 수용액, 물, 이성중아황산나트륨 수용액,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후 건조(Na2SO4)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7: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헥산:아세트산에틸 중의 Rf가 매우 유사한 두 화합물의 2:1 혼합물을 얻었다(헥산:아세트산에틸 4:1 중의 Rf=0.4). 혼합물을 무수 톨루엔(25 ml) 중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아르곤 스트림으로 1시간 동안 탈기시킨 후 가열 환류하였다. 수소화트리부틸주석(0.36 ml)을 첨가하고, 20분간 계속 환류시켰다. 냉각된 사염화탄소(2 ml)를 첨가한 후,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어서, 에테르 중의 요오드의 희석 용액을 엷은 색이 나타날 때까지 첨가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에틸에테르 중에 취하고, 불화트리부틸주석의 침전물이 더이상 발견되지 않을 때까지 불화칼륨 포화 수용액으로 수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 및 증발시켜서 잔류물을 얻었고, 이것을 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95:5) 및 (9: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2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a)인 중간체 47(230 mg, 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 9:1 중의 Rf=0.8), 표제 화합물(b)인 중간체 45(275 mg, 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 9:1 중의 Rf=0.5) 및 표제 화합물(c)인 중간체 46(200 mg, 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 9:1 중의 Rf=0.4)를 수득하였다.
중간체 45
중간체 46
중간체 47
중간체 4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4-O-메틸-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150 ml) 중의 소르다린(10.0 g)의 용액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디페닐 디아조메탄의 용액(0.35M, 85 ml)으로 적가하면서 처리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4:1) 및 (2: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였다. 분획들을 한데 합하고 증발시켜서 표제 화합물(11.8 g)을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49
(a)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4-O-메틸-2,3-디-O-토실-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및
(b)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4-O-메틸-2-O-토실-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중간체 48(2 g)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500 mg)을 무수 피리딘(30 ml) 중에 용해시켰다. 무수 피리딘(20 ml) 중의 염화토실(960 mg)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일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서 증발시켜서 황색 잔류물을 얻었고, 이것을 헥산:아세트산에틸(4:1) 및 (1: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Rf가 더 높은 표제 화합물(a)(1.65 g)를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고, Rf가 더 낮은 표제 화합물(b)(1.17 g)를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5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메틸-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나트륨(0.5 g)을 0 ℃로 냉각시키면서 무수 메탄올(50 ml)에 첨가한 후, 디클로로메탄(20 ml) 중의 중간체 49(670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 일간 교반시키고, 4일간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3: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30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5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메틸-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수소화나트륨(25.9 mg)을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5 ml) 중에 현탁시켰다.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중간체 49(b)(470 mg)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40분간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20 ml) 중에 교반하면서 붓고 얻어진 용액을 아세트산에틸(3 x 20 ml)로 처리하였다. 유기층을 한데 합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매 증발시 얻은 검상 잔류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5: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32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5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메틸-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5 ml) 중의 중간체 51(100 mg)의 용액에, 목탄에 담지된 10 % 팔라듐(10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15 psi 수소 하에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3:1) 및 디클로로메탄:메탄올(15: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들을 한데 합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70 mg)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5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알릴-6-데옥시-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25 ml) 중의 중간체 1(2 g) 및 산화디부틸주석(870 mg)의 현탁액을 디인-스타크 응축기가 장착된 플라스크에서 2시간 동안 질소 하에 환류시킨 후 실온에서 방치시켰다. 브롬화알릴(0.3 ml)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1M 용액(3.5 ml)를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 하에 24시간 동안 40 ℃로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상에서 헥산:아세톤(10:1) 및 (9:1)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7 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5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벤질-6-데옥시-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80 ml) 중의 중간체 1(6.0 g) 및 산화디부틸주석(3.55 g)의 격렬하게 교반시킨 혼합물을 디인-스타크 응축기가 장착된 플라스크에서 3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킨 후 브롬화벤질(1.2 ml)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M 용액, 10 ml)로 처리하였다. 질소 하에 18시간 동안 40 ℃로 가열한 후, 반응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6:1) 및 (4: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들을 한데 합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표제 화합물(3.73 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5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O-벤질옥시카르보닐-6-데옥시-4-O-메틸-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15 ml) 중의 중간체 48(3 mmol)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4-디메틸아미노피리딘(6.3 mmol)을 첨가하였다. 15분 동안 교반시킨 후, 혼합물을 -20 ℃로 냉각시키고, 무수 디클로로메탄(15 ml) 중의 벤질클로로포르메이트(3.6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2시간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3:1)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 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5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알릴-2-O-벤질옥시카르보닐-6-데옥시-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염화메틸렌(30 ml) 중의 중간체 53(1.4 g)의 용액에 0 ℃에서 디메틸아미노피리딘(513 m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무수 염화메틸렌 중의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0.35 ml)를 15분간 적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메탄올(1 ml) 및 염화메틸렌(20 ml)로 희석시키고, 물, 1N 염산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7:1) 및 (5: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 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5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벤질-2-O-벤질옥시카르보닐-6-데옥시-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25 ml) 중의 중간체 54(3.7 g)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 하에 0 ℃에서 4-디메틸아미노피리딘(1.85 g)을 첨가하였다. 15분간 교반시킨 후, 혼합물을 -20 ℃로 냉각시키고, TLC(헥산:아세트산에틸 4:1)에 의해 생성물이 검출될때까지 무수 디클로로메탄(10 ml) 중의 벤질클로로포르메이트(0.68 m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6: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6 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5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O-벤질옥시카르보닐-6-데옥시-4-O-메틸-3-O-토실-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60 ml) 중의 중간체 55(3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5.1 mmol)의 용액을 무수 디클로로메탄(20 ml) 중의 염화토실(4.5 mmol)의 용액을 적가하여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5: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8 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59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알릴-2-O-벤질옥시카르보닐-6-데옥시-3-O-토실-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염화메틸렌(40 ml) 중의 중간체 56(1.1 g)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300 mg)의 용액에 무수 염화메틸렌(20 ml) 중의 염화토실(400 mg)의 용액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일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9:1) 및 (6:1)로 용출시키면서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820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6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벤질-2-O-벤질옥시카르보닐-6-데옥시-3-O-토실-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염화메틸렌(80 ml) 중의 중간체 57(3.5 g)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1.3 g)의 용액에 무수 염화메틸렌(50 ml) 중의 염화토실(2 g)의 용액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일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상에서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9:1)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3.14 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6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4-O-메틸-3-O-토실-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아세트산에틸(60 ml) 중의 중간체 58(1.9 mmol)의 용액에 질소 하에서 목탄에 담지된 10 % 팔라듐(100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수소 15 psi 하에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액을 3M 디페닐디아조메탄 용액(20 ml)으로 처리하였다. 2시간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3: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 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6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4-O-프로필-3-O-토실-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아세트산에틸(200 ml) 중의 중간체 59(800 mg)의 용액에 질소 하에서 목탄에 담지된 10 % 팔라듐(300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수소 20 psi 하에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염화메틸(50 ml) 중에 용해시키고 0.35M 디페닐디아조메탄 용액(6 ml)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8:1) 및 (3:1)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30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6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벤질-6-데옥시-3-O-토실-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70 ml) 중의 중간체 60(1.0 g)의 용액에 질소 하에서 목탄에 담지된 10 % 팔라듐(600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4시간 동안 수소 15 psi 하에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3:1) 및 (1: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30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6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메틸-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6 ml) 중의 수소화나트륨(3.2 mmol)의 현탁액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6 ml) 중의 중간체 61(1.6 mmol)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40분 후, 물:아세트산에틸(1:1, 60 ml)를 첨가하였다. 유기상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4: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60 mg)을 수득하였고, 이것은 중간체 50의 화합물과 동일한 양성자 NMR 스펙트럼을 가졌다.
중간체 6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프로필-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10 ml) 중의 수소화나트륨(35 mg)의 현탁액에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15 ml) 중의 중간체 62(600 mg)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하에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1N 염화암모늄(50 ml) 및 아세트산에틸(70 ml)로 처리하였다. 유기층을 물과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8:1) 및 (6:1)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5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6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O-토실-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수소 첨가용 병에서 질소 하에 아세트산에틸(60 ml) 중의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800 mg) 현탁액에 아세트산에틸(30 ml) 중의 중간체 60(1.0 g)의 용액 및 메탄올:1N 염산(3:1, 4 ml)의 혼합물을 첨가하였다. 병을 파아르 수소화 장치를 사용하여 수소 30 psi의 압력에서 18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들을 한데 합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표제 화합물(380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6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20 ml) 중의 실시예 55(585 mg)의 용액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디페닐디아조메탄의 자색 용액(0.35M, 8 ml)으로 적가 처리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시키고, 잔류물을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6:1) 및 (4: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들을 한데 합하고 증발시켜서 표제 화합물(764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6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4,6-디데옥시-4-플루오로-β-D-탈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25 ml) 중의 중간체 67(300 mg)의 용액을 디에틸아미노황 트리플루오라이드(0.16 ml)로 처리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시켰다.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키고, 메탄올(15 ml)를 첨가하여 켄칭시킨 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6:1) 및 (4: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60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69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2-메톡시에틸-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20 ml) 중의 수소화나트륨(24 mg)의 현탁액에 0 ℃에서 질소 하에 중간체 67 (300 m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간 교반시켰다. 2-브로모 에틸 메틸 에테르 (300 mg) 및 1N 요오드화테트라부틸암모늄(2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40℃에서 이틀간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1N 염화암모늄(10 ml)로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30 ml)로 희석시켰다. 유기층을 물과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5:1)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7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2-메틸프로프-2-에닐)-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1.5 ml) 중의 중간체 67(0.3 mmol), 탄산세슘(0.3 mmol) 및 3-브로모-2-메틸-프로펜(0.5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일간 교반시켰다, 디에틸에테르(30 ml)로 희석시킨 후, 물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2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7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1-메틸에틸)카르보닐-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5 ml) 중의 중간체 67(160 mg)의 용액에 4-디메틸아미노피리딘(70 mg) 및 염화이소부티릴(60 μ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시킨 후 농축시켜서 황색 오일을 얻었고, 이것을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상에서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5:1)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62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7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2,2-디메틸프로피오닐)-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15 ml) 중의 중간체 67(0.3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6 mmol)의 혼합물을 염화피발로일(0.45 mmol)로 처리하였다. 2.5시간 후, 혼합물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5:1)을 사용하여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90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7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4-O-벤질옥시-카르보닐-6-데옥시-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15 ml) 중의 중간체 67(0.3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8 mmol)의 용액을 벤질옥시카르보닐 클로라이드(0.7 mmol)으로 적가 처리하고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 및 염수로 세척한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5: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85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7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옥소-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5 ml)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0.1 ml)의 용액을 -60 ℃에서 디메틸술폭시드(0.06 ml) 및 무수 디클로로메탄(5 ml) 중의 중간체 67(0.39 mmol)의 용액으로 적가 처리하였다. 60분 후, 트리에틸아민(0.24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20 ml)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제거시킨 후,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4: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71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7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O-벤조일-6-데옥시-4-O-메틸-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200 ml) 중의 중간체 48(15.88 g)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8.83 g)의 용액에 질소 하에 -25 ℃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10 ml) 중의 염화벤조일(2 ml)를 적가하였다. 45분간 교반시킨 후, 냉각조를 제거시키고 1N 염산(10 ml)를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2 상을 분배시키고, 유기층을 디클로로메탄(600 ml)로희석시키고 1N 염산(500 ml), 10 % 중탄산나트륨(500 ml) 및 염수(500 ml)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제거하여 건조시켜서 오일을 얻었고, 이것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아세트산에틸:헥산 v/v 1:20 및 1:7)하여 표제 화합물 8.75 g(수율 48%)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7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O-벤조일-3,6-디데옥시-4-O-메틸-3-옥소-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15 ml)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1.29 ml)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 하에 -60 ℃에서 DMSO(0.66 ml)를 1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현탁액에 무수 디클로로메탄(30 ml) 중의 중간체 75(3.45 g)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트리에틸아민(5.76ml)를 적가하고, 온도를 -20 ℃가 되도록 한 후, 생성된 황색 용액에 물(6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디클로로메탄(200 ml) 및 물(200 ml)를 첨가하고, 2 상을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켜서 조 생성물을 얻었고, 이것을 디클로로메탄(10 ml) 중에 희석시키고 트리에틸아민(2 ml)로 하룻밤 처리하였다. 용매를 제거시켜서 얻은 오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아세트산에틸:헥산 v/v 1:15 및 1:10)하여 표제 화합물 2.6 g(수율 76 %)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7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6-트리데옥시-4-O-메틸-3-옥소-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120 ml) 중의 수소화트리부틸주석(5.96 ml)의 잘 탈기시킨 용액(Ar, 15분)에 무수 톨루엔(50 ml) 중의 중간체 76(5.7 g) 및 a,a'-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420 mg)의 용액을 90℃에서 1시간에 걸쳐 주사기로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계속 가열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40 ml) 및 불화칼륨(1.5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철야 교반시켰다. 용매를 제거시킨 후 얻은 조 물질을 디에틸 에테르와 함께 1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에테르 용액을 농축 건조시키고, 생성된 오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아세트산에틸:헥산 1:15 및 1:10)하여 진공에서 건조시 표제 화합물 2.22 g(수율 61 %)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7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9-메틸-비시클로[3.4.0]-논-4-엔-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중간체 77(260 mg) 및 디에틸 디아조메틸 포스포네이트(110 mg)의 격렬하게 교반시킨 용액에 0 ℃에서 질소 하에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 ml) 중의 t-부톡시드칼륨(112 mg)의 슬러리를 서서히 첨가하였다(즉시기체 방출이 관찰됨). 10분 후,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100 ml)로 희석시키고, 1N 염산(2 x 100 ml),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2 x 100 ml) 및 염수(2 x 100 ml)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시켜서 얻은 오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아세트산에틸:헥산 1:15 및 1:12)하여 표제 화합물 200 mg(수율 77 %)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79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히드록시-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히드록시메틸-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5 ml) 중의 중간체 78(620 mg)의 용액에 질소 하에서 9-보라비시클로[3.3.1]노난(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0.5 M 용액, 6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 ℃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량의 9-보라비시클로[3.3.1]노난 용액을 50 ℃에서 3시간에 걸쳐 첨가하여 반응을 완결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에틸알코올(2 ml)를 조심스럽게 첨가하고(기체 방출) 용액을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어서, 3 N 수산화나트륨(5 ml) 및 과산화수소(35 %, v/v, 5 ml)를 0 ℃에서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 0 ℃ 및 70 ℃에서 철야 교반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2 부피로 농축시킨 후, 1N 염산(2 x 100 ml), 중탄산나트륨(2 x 100 ml) 및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켜서 시럽을 얻었고, 이것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아세톤:헥산 1:10 및 1:5)하여 표제 화합물 475 mg(수율 74 %)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8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9-비시클로[3.4.0]-논-4-엔-7-일-옥시메틸]-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5 ml) 중의 중간체 78(200 mg)의 용액에 고체 붕수소화나트륨(18.9 mg) 및 물(1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0 ℃에서 30분간, 이어서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0 ℃에서 물(100 ml)를 첨가하여 조심스럽게 켄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100 ml) 및 물(100 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켜서 시럽을 얻었고, 이것을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5 ml)에 희석시키고 실온에서 질소 하에 이미다졸(204 mg) 및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316 mg)으로 하룻밤 처리하였다. 용액을 1N 염화암모늄 및 아세트산에틸(v/v 1:1)의 혼합물 100 ml 중에 붓고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유기층을 1N 염화암모늄(100 ml) 및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켜서 발포체를 얻었고, 이것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아세트산에틸:헥산 v/v 1:20)하여 표제 화합물 215 mg(수율 92 %)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8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히드록시-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5 ml) 중의 중간체 80(700 mg)의 용액에 질소 하에 9-보라비시클로[3.3.1]노난(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0.5 M 용액, 6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50 ℃로 가열시켰다. 추가량의 9-보라비시클로[3.3.1]노난 용액을 50 ℃에서 3시간에 걸쳐 첨가하여 반응을 완결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알코올(2 ml)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1시간 후, 3N 수산화나트륨(5 ml) 및 과산화수소(35 %, v/v, 5 ml)를 0 ℃에서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그리고 70 ℃에서 하룻밤 교반시켰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2 부피로 농축시킨 후, 1N 염산(100 ml)으로 희석시키고 아세트산에틸(2 x 10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1N 염산(100 ml), 중탄산나트륨포화 용액(100 ml) 및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켜서 시럽을 얻었고, 이것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아세톤:헥산 1:20 및 1:15)하여 표제 화합물 550 mg(수율 77 %)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8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메톡시-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5 ml) 중의 중간체 81(537 mg)의 용액에 질소 하에 0 ℃에서 수소화나트륨(75 mg)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10분간 교반시킨 후 요오드화메틸(374 μl)를 첨가하고,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혼합물을 실온으로 유지시켰다. 혼합물을 물(100 ml)를 첨가하여 켄칭시킨 후, 아세트산에틸(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농축 건조시켜서 발포체를 얻었고, 이것을 무수 THF(5 ml)에 용해시키고, 40℃에서 24시간 동안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1 M 용액, 2 ml)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농축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AcOEt에 용해시키고 물(2 x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서 시럽을 얻었고, 이것을 무수 디클로로메탄(85 ml) 중에 용해시켰다.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215 mg)을 첨가하고,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현탁액을 디클로로메탄 및 이성중아황산나트륨(10 % 수용액)의 잘 교반시킨 혼합물에 부었다. 유기층을 1N 염산(200 ml) 및 1N 수산화나트륨(200 ml)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켜서 오일을 얻었고, 이것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아세트산에틸:헥산 1:15, 1:10 및 1:8)하여 표제 화합물 255 mg(총 수율 57 %)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8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4-O-메틸-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메탄올(40 ml) 중의 중간체 48(9.7 mmol)의 용액을 에틸렌 글리콜(110 ml), 트리메틸오르토포르메이트(3.25 ml) 및 촉매량의 p-톨루엔술폰산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3시간 동안 40 ℃로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1:1, 500 ml)에 붓고,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완전히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들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시킨 후,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6: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1 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8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O-벤조일-6-데옥시-4-O-메틸-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155 ml) 중의 중간체 83(12.12 g)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6.3 g)의 용액에 -20 ℃에서 질소 하에 무수 디클로로메탄 50 ml 중의 염화벤조일(1.40 ml)를 적가하였다. 2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하고 용액을 0.1 N 염산(500 ml),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500 ml) 및 염수(500 ml)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아세트산에틸:헥산 v/v 1:4)하여 표제 화합물 5.89 g(42 %)를 백색발포제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8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O-벤조일-3,6-디데옥시-4-O-메틸-3-옥소-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5 ml)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0.45 ml)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 하에 -60 ℃에서 DMSO(0.23 ml)를 1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이렇게 하여 형성한 현탁액에 무수 디클로로메탄(5 ml) 중의 중간체 84(1.2 g)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60 ℃에서 교반시켰다. 트리에틸아민(1.24 ml)를 적가하고, 온도를 -20 ℃가 되게 한 후, 생성된 황색 용액에 물(2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디클로로메탄(200 ml) 및 물(250 ml)를 첨가하고 2 상을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건조시켜서 얻은 조 물질을 디클로로메탄(10 ml) 중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2 ml)로 하룻밤 처리하였다. 용매를 제거시켜서 얻은 오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아세트산에틸 헥산 v/v 1:15 및 1:10)하여 진공에서 건조시 표제 화합물 1.1 g(수율 92 %)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8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6-트리데옥시-4,O-메틸-3-옥소-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10 ml) 중의 수소화트리부틸주석(263 μl)의 잘 탈기시킨 용액(Ar, 15분)에 무수 톨루엔(5 ml) 중의 중간체 85(250 mg) 및 a,a'-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16 mg)의 용액을 90 ℃에서 1시간에 걸쳐 주사기로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계속 가열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5 ml) 및 불화칼륨(100 m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철야 교반시켰다. 용매를 제거시킨 후 얻은 조 물질을디에틸 에테르와 함께 1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에테르 용액을 농축 건조시키고, 생성된 오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아세트산에틸:헥산 1:15 및 1:10)하여 진공에서 건조시 표제 화합물 168 mg(수율 80 %)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87
[1R-(1a,3ab,4b,4ab,7b,7aa,8ab)] 8a-[(1S,7R,9R)-2,8-디옥사-9-메틸-비시클로[3.4.0]-논-4-엔-7-일-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중간체 86(160 mg) 및 디에틸 디아조메틸 포스포네이트(63 mg)의 격렬하게 교반시킨 용액에 0 ℃에서 질소 하에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2.3 ml) 중의 tert-부톡시드칼륨(100 mg)의 슬러리를 서서히 첨가하였다(즉시 기체 방출이 관찰됨). 10분 후,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100 ml)로 희석시키고, 1N 염산(2 x 100 ml),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2 x 100 ml) 및 염수(2 x 10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시켜서 얻은 오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아세트산에틸:헥산 1:15 및 1:12)하여 표제 화합물 110 mg(수율 70 %)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8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알릴-3,6-디데옥시-3-요오도-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5 ml) 중의 중간체 53(GM 2008)(103 mg), 트리페닐포스핀(197 mg) 및 이미다졸(51 mg)의 용액을 요오드(95 mg)으로 수회에 걸쳐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출발 물질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TLC 분석, 헥산:아세트산에틸 4:1) 용액을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아세트산에틸(50 ml) 및 1N 염산 수용액(30 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1N 염산 수용액, 물, 이성중아황산나트륨 수용액,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9: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70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89a 및 89b
a)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S,6S,7R,9R)-2,8-디옥사-4,9-디메틸-6-히드록시-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b) [1R-(1a,3ab,4b,4ab,7b,7aa,8ab)] 8a-[(1S,4S,6S,7R,9R)-2,8-디옥사-4,9-디메틸-6-히드록시-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톨루엔(2 ml) 중의 중간체 88(80 mg)의 용액을 아르곤 스트림으로 60분간 탈기시킨 후 가열 환류시켰다. 수소화트리부틸주석(41 μl)를 첨가하고 15분간 계속 환류시켰다.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에테르(50 ml)중에 취하고, 불화트리부틸주석의 침전물이 더이상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불화칼륨 포화 수용액으로 수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켜서 얻은 잔류물을 예비 TLC(실리카 겔, 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 95:5)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a) 중간체 89a(35 mg, 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 9:1 중의 Rf=0.4) 및 표제 화합물(b) 중간체 89b(24 mg, 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 9:1 중의 Rf=0.3)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89a
중간체 89b
중간체 9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메탄올(20 ml) 중의 4'-데메틸소르다린(10 g)의 용액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중의 디페닐디아조메탄(90 ml)의 용액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n-헥산:아세트산에틸(3:1)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2.6 g)을 담황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9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2,2-디메톡시프로판:아세톤(1:2) 15 ml 중의 중간체 90(650 mg)의 용액에 p-톨루엔술폰산(10 mg)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탄산칼륨(1.0 g)을 첨가하고, 30분간 계속 교반하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조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50 ml) 및 물(25 ml) 사이에 분배시키고, 수성상을 아세트산에틸(2 x 50 m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트산에틸:헥산(1:3)으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표제 화합물(60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9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2-O-(메틸티오)티오카르보닐-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중간체 91(100 mg) 및 이미다졸 (1 mg)을 질소 분위기 하에 무수 테트로히드로푸란(4 ml)에 용해시켰다. 수소화나트륨(5 mg)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황화탄소(2.7 ml)를 첨가하고, 20분간 계속 교반시키고 요오드화메틸(18 ml)를 첨가하였다. 2시간 후, 1N 염화암모늄(2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3 x 25 m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트산에틸:헥산(1:9)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0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9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중간체 92(95 mg)을 질소 분위기 하에 무수 톨루엔(5 ml)에 용해시키고, 110 ℃로 가열하였다. 무수 톨루엔(5 ml) 중의 수소화트리부틸주석(64 ml)의 용액을 교반하면서 1.5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추가로 1.5시간 동안 계속 교반시키고, 메탄올(2 ml)를 첨가하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트산에틸:헥산(1:9)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2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9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30 ml) 및 메탄올(15 ml) 중의 중간체 93(1.5 g)의 용액에 실온에서 1N 염산 용액(15 ml)를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적가하였다. 반응을 일단 완결시키고(TLC 대조),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50 ml) 및 아세트산에틸(20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물(2 x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시켜서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5:1) 및 (2: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1 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9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6-트리데옥시-3-요오도-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중간체 94(2.0 g), 트리페닐포스핀(3.4 g) 및 이미다졸(186 mg)을 톨루엔(50 ml)중에서 교반하면서 환류시킨 후, 요오드(610 mg)을 소량씩 첨가하여 처리하였다. 4시간 동안 계속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분리 깔대기에서 과량의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티오술폰산나트륨을 따라 내었다. 잔류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15:1) 및 (5: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65 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96
[1R-(1a,3ab,4b,4ab,7b,7aa,8ab)] 8a-[(2,3,6-트리데옥시-3-에틸아미노-3-N,4-O-카르보닐-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5 ml) 중의 중간체 95(200 mg)의 용액을 수소화나트륨(24 mg, 1.0 mmol)로 처리하였다. 15분 후, 에틸이소시아네이트(0.04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환류 하에 교반시켰다. 물(3 ml)로 켄칭시킨 후,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3 x 5 ml)로 추출하고, 합친 유기 용액을 염수(1 x 5 ml)로 처리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켜 시럽을 얻었다. 이것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3: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함으로써 순수한 표제 화합물(75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9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6S,7R,9R)-2,8-디옥사-4,9-디메틸-6-(메틸티오)-트오카르보닐옥시-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중간체 89b(250 mg) 및 이미다졸(촉매량)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0 ml)에 용해시켰다. 수소화나트륨(45 mg)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실온에서 20분간 교반시켰다. 이황화탄소(140 μl)를 첨가하고, 20분간 계속 교반시키고, 요오드화메틸(150 μl)를 첨가하였다. 2시간 후, 아세트산에틸(10 ml) 및 수적(5 ml)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50 ml) 및 물(50 ml) 사이에 분배시키고,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한 후, 건조 및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10:1) 및 (8: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11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9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알릴-3-요오도-2,3,6-트리데옥시-b-D-글루코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5 ml) 중의 중간체 12(67 mg), 트리페닐포스핀(105 mg) 및 이미다졸(28 mg)의 용액을 요오드(51 mg)으로 수회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아세트산에틸(30 ml) 및 1N 염산 용액(30 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1N 염산 용액, 물, 이성중아황산나트륨 수용액,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후,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9: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68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99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아세토니트릴(40 ml) 중의 중간체 67(3.2 mmol)의 용액을 에틸렌 글리콜(39 ml), 트리메틸오르토포르메이트(1.1 ml) 및 p-톨루엔술폰산(30 mg)으로 처리하였다. 5시간 후,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완전히 추출하였다. 용매를 제거시킨 후, 잔류물을 용출제로써 헥산:아세트산에틸(3: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08 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10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4-옥소-6-데옥시-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10 ml)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230 μl)의 용액을 -60 ℃에서 디메틸술폭시드(138 μl), 및 무수 디클로로메탄(10 ml) 중의 중간체 99(0.9 mmol)의 용액으로 적가 처리하였다. 60분 후, 트리에틸아민(554 μ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제거시킨 후,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4: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14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101
[1R-(1a,3ab,4b,4ab,7b,7aa,8ab)] 8a-[(2,3-안히드로-4,6-디데옥시-4-메틸렌-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0 ml) 중의 브롬화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0.3 mmol)의 용액을 질소 분위기 하에 -78 ℃에서 n-부틸리튬 2.44M(0.15 ml)로 처리하였다. 15분 후,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5 ml) 중의 중간체 100(0.21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서서히 승온시켰다.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염화암모늄(1N)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제거시킨 후,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4: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1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10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β-D-탈로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45 ml) 중의 중간체 100(1.13 mmol)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 하에 -78 ℃에서 L-셀렉트라이드 1N(2 m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1시간 후,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100 ml)로 희석시키고, 실온으로 승온시키고, 염화암모늄(1N),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제거시킨 후,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3: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표제 화합물(431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10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4-O-tert-부틸카르보닐-6-데옥시)-β-D-탈로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15 ml) 중의 중간체 102(0.2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4 mmol)의 혼합물을 염화피발로일(0.3 mmol)로 처리하였다. 30분 후, 물로 세척하고,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5: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5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10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알릴-2,3-안히드로-6-데옥시-β-D-탈로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0 ml) 중의 중간체 102(0.3 mmol)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 하에 수소화나트륨(0.6 mmol) 및 촉매량의 요오드화테트라부틸암모늄을 첨가하였다. 30분 후, 브롬화알릴(0.9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였다. 이어서, 아세트산에틸(10 ml)로 희석시키고, 염화암모늄(1N)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제거시킨 후,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4: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63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10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β-D-탈로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클로로메탄(7 ml) 중의 중간체 102(0.45 mmol)의 용액을 4-디메틸아미노피리딘(1.35 mmol) 및 염화토실(0.9 mmo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였다. 이 후, 물과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제거시킨 후,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3:1)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들을 증발시켜서 표제 화합물(277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10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4-아지도-4,6-디데옥시-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1,3-디옥솔란-2-일)-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3 ml) 중의 중간체 105(0.51 mmol) 및 리튬 아지드(0.45 mmol)의 용액을 100℃에서 철야 가열하였다. 혼합 반응물을 아세트산에틸(20 ml)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제거시킨 후,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4: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들을 증발시켜서 표제 화합물(53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10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알릴-2,3-안히드로-6-데옥시-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방법 A
무수 THF 50 ml 중의 중간체 21(650 mg)의 용액에 0℃에서 수소화나트륨 90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 ℃에서 질소 하에 30분간 교반시켰다. 이어서, 브롬화알릴 875 mg 및 촉매량의 요오드화테트라부틸암모늄(50 mg)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을 완결시켰다. 조 물질을 1N 염화암모늄 및 아세트산에틸로 처리하였다.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에서 n-헥산:아세트산에틸 7:1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 59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방법 B
무수 염화메틸렌(200 ml) 중의 중간체 53(3 g)의 용액에 실온에서 디메틸아미노피리딘 2.35 g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염화메틸렌 100 ml 중의 염화토실 3.66 g의 용액을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일간 교반시켰다. 조 물질을 1N 염산,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메탄올 중의 메톡시드화나트륨 용액(20 중량%) 20 ml로 처리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일간 교반시켰다. 조 물질을 1N 염산으로 처리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n-헥산:아세트산에틸 8:1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총 수율 45 %)로 수득하였다.
중간체 10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2,3-디히드록시프로필)-b-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아세톤 50 ml 및 물 5 ml 중의 중간체 107(2 g)의 용액에 0 ℃에서 N-메틸모르폴린의 N-옥사이드 1 g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에 사산화오스뮴의 용액(이소부탄올 중의 2.5 중량%) 0.2 m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 일간 교반시킨 후 GM218045X의 히드록실화를 완결시켰다. 조 물질을 수황화나트륨으로 처리하고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키고, 실리카 겔 컬럼에서 n-헥산:아세트산에틸 1:1 및 염화메틸렌:메탄올 50:1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표제 화합물(에난티오머의 50:50 혼합물)을 백색 발포체(1.75 g)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09
[1R-(1a,3ab,4b,4ab,7b,7aa,8ab)] 8a-[(2,3-안히드로-6-데옥시-4-O-[(2,3-0-이소프로필리덴)-2,3-디히드록시프로필]-b-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무수 아세톤(20 ml) 중의 중간체 108(350 mg)의 용액에 2,2-디메톡시프로판 250 μl 및 촉매량의 p-톨루엔술폰산(30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질소 하에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조 물질을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70 ml)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컬럼을 사용하여 n-헥산:아세트산에틸 6: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이성질체의50:50혼합물)을 백색 발포체(290 mg)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0 ml) 중의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80 mg)의 현탁액에 질소 하에 아세트산에틸(10 ml) 중의 중간체 2(180 mg)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 30 psi 하에 1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28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0-이소프로필리덴-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실시예 1(246 mg)을 디옥산(2 ml) 중에 용해시키고, 0.5M 중탄산나트륨(0.99 m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15분간 교반시키고 동결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256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0-(2-펜틸리덴)-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0 ml) 중의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30 mg)의 현탁액에 질소 하에 아세트산에틸 중의 중간체 3(140 mg)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30 psi 하에 45분간 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실리카 겔 상에서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30: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75 mg)을 에피머 비율 26:74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O-(4-메톡시-2-부틸리덴)-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5 ml) 중의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100 mg)의 현탁액에 아세트산에틸(10 ml) 중의 중간체 4(260 mg)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수소 30 psi 하에 45분간 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30: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72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O-시클로펜틸리덴-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0 ml) 중의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의 현탁액에 아세트산에틸 중의 중간체 5(232 mg)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 30 psi 하에 1.5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30: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67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0 ml) 중의 중간체 7(1.2 g)의 용액에 질소 하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600 mg)을 수회에 걸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40 psi 하에 1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추가의 아세트산에틸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25: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화합물(0.79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3,4,O-(4-메톡시-2-부틸리덴)-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0 ml) 중의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300 mg)의 현탁액에 아세트산에틸(10 ml) 중의 중간체 8(246 mg)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 45 psi 하에 1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디클로로메탄 및 디클로로메탄:메탄올(30: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82 mg)을 백색 발포체로서에피머 비율 4:1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실시예 6(376 mg)을 디옥산(3 ml) 중에 용해시키고, 0.5N 중탄산나트륨(1.50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시킨 후 동결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392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9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O-티오노카르보닐-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클로로메탄(20 ml) 중의 2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용액을 0 ℃에서 디클로로메탄(5 ml) 중의 중간체 9(0.220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물(2 x 2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황산마그네슘). 용매를 증발시켜서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40:1 및 20:1)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0.1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3,4,O-카르보닐-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환류시킨 무수 톨루엔(15 ml) 중의 중간체 10(125 mg)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 하에 과량의 카르보닐디이미다졸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TLC 대조),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시키고, 조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200 ml) 중에 용해시키고, 1N 염산(3 x 100 ml), 염수(1 x 100 ml) 및 물(1 x 100 ml)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켜서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되는 오일을 얻었다. 용액을 아세트산에틸(15 ml) 중에 용해시키고,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활성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의 존재하에 실온에서 수소 20 psi 하에 1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시럽을 예비 TLC(실리카 겔, 메탄올:디클로로메탄 1:15)에 의해 정제하여 Rf 0.5에서의 분획으로부터 표제 화합물(50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3,4,O-티오카르보닐-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무수 디클로로메탄(5 ml) 중의 중간체 11(130 mg)의 용액에 0 ℃에서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250 μl)를 첨가하였다. 2시간 후, 용액을 디클로로메탄(50 ml)로 희석시키고, 물(2 x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켜서 오일을 얻었고, 이것을 예비 TLC(실리카 겔, 메탄올:디클로로메탄 1:15)에 의해 정제하여 Rf 0.6에서의 분획으로부터 표제 화합물(68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3,4,O-메틸렌-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클로로메탄(10 ml) 중의 중간체 10(450 mg)의 용액에 브롬화테트라부틸암모늄(40 mg) 및 50 % 수산화나트륨 용액(100 ml)를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첨가하였다. 12시간 후, 혼합물을 1N 염산(100 ml)를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디클로로메탄(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1N 염산(1 x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켜서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되는 백색 고체를 얻었다. 이 고체를 아세트산에틸(15 ml)에 용해시키고,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활성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의 존재하에 실온에서 수소 20 psi 하에 1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제거한 후, 오일상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톤:헥산(1:10) 및 (1:5)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30 m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6-디데옥시-3,4,O-메틸렌-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메탄올(5 ml) 중의 실시예 12(200 mg)의 용액에 물 중의 0.106N 수산화나트륨 용액(3.98 ml)을 적가하였다. 30분 후,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옥산(5 ml)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209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4
(a)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3R,7R,9R]-2,5,8-트리옥사-3,7-디메틸-시스-비시클로[4.4.0]-데크-9-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및
(b)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3R,7R,9R]-2,5,8-트리옥사-3,7-디메틸-시스-비스클로[4.4.0]-데크-9-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및
아세트산에틸(15 ml) 중의 중간체 14(12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의 존재하에 실온에서 수소 20 psi 하에 1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서 시럽을 얻었고, 이것을 실리카 겔 상에서 용출제로서 아세톤:헥산(1:10), (1:7) 및 (1:5)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함으로써 표제 화합물(a)(35 mg, 헥산:아세톤 4:1 중이 Rf=0.5) 및 표제 화합물(b)(40 mg, 헥산:아세톤 4:1 중이 Rf=0.4)를 모두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5,8-트리옥사-3,3,7-트리메틸-시스-비시클로[4.4.0]-데크-9-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5 ml) 중의 중간체 15(20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20 psi 하에 1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아세톤:헥산(1:10) 및 (1:15)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4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S,6R,8R]-2,7-디옥사-4,6-디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8-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00 ml) 중의 중간체 20(a)(68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20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25 psi 하에 2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49: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45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S,6R,8R]-2,7-디옥사-4,6-디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8-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메탄올(100 ml) 중의 실시예 16(450 mg)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용액(0.099N, 9.5 ml)를 적가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시키고, 잔류물을 물(80ml)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470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6R,8R]-2,7-디옥사-4,6-디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8-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60 ml) 중의 중간체 20(b)(18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10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25 psi 하에 2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49:1) 및 헥산:아세톤(4:1)을 사용하여 2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90 mg)을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9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9-디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5 ml) 중의 중간체 23(a)(15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20 psi 하에 1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잔류물을 아세톤:헥산(1:3)으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00 mg)을 결정성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2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9-디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메탄올(5 ml) 중의 실시예 19(100 mg)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0.106N 수용액, 1.88 ml)를 적가하였다. 30분 후,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시키고, 잔류물을 물(3 ml)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104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S,7R,9R]-2,8-디옥사-4,9-디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5 ml) 중의 중간체 23(b)(26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20 psi 하에 1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잔류물을 예비 TLC(실리카 겔, 메탄올:디클로로메탄 1:20)로 정제하여 Rf=0.6에서 표제 화합물(185 m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2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4,4,9-트리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40 ml) 중의 중간체 24(10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25 psi 하에 2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 중의 1.5 % 메탄올 및 헥산 중의 15 % 아세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2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4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2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6-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메탄올(25 ml) 중의 중간체 27(125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10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15 psi 하에 1.5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0 ℃에서 여액에 1N 염산(0.5 ml)를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혼합물을 탄산수소나트륨 10 %로 중화시켰다. 용매를 증발 건조시키고, 오일 잔류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4:1) 및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2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6-O-메틸-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테트라히드로푸란(5 ml) 중의 중간체 30(50 mg)의 용액을 실온에서 불화테트라부틸암모늄(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0M 용액, 200 μl)로 처리하였다. 24시간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 건조시키고, 생성된 황색 오일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15: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8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에틸-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40 ml) 중의 중간체 37(20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30 psi 하에 2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98:2)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25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에틸-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메탄올(10 ml) 중의 실시예 25(88 mg)의 용액에 0.099N 수산화나트륨 용액(1.8 ml)를 적가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시키고, 잔류물을 물(50 ml)에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92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S,7R,9R]-2,8-디옥사-4-에틸-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80 ml) 중의 중간체 38(42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10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30 psi 하에 1.5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98:2)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280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S,7R,9R]-2,8-디옥사-4-에틸-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메탄올(20 ml) 중의 실시예 27(262 mg)의 용액에 0.099N 수산화나트륨 용액(5.3 ml)를 적가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시키고, 잔류물을 물(100 ml)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272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9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1-메틸에틸)-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5 ml) 중의 중간체 39(28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PH2=20 psi)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얻은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라 겔, 헥산:아세톤 v/v 10:1 및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80 mg(수율 84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1-메틸에틸)-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메탄올(15 ml) 중의 실시예 29(170 mg)의 용액에 0.0956N 수산화나트륨 용액(3.45 ml)를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여 건조시켜서 얻은 고체를 물 3 ml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켰다.
실시예 3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S,7R,9R]-2,8-디옥사-4-(1-메틸에틸)-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5 ml) 중의 중간체 40(28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PH2=20 psi)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얻은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헥산:아세톤 v/v 10:1 및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90 mg을 결정성 고체로서 수득하였다(수율 89 %).
실시예 3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S,7R,9R]-2,8-디옥사-4-(1-메틸에틸)-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메탄올(15 ml) 중의 실시예 31(165 mg)의 용액에 0.0956N 수산화나트륨 용액(3.35 ml)를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여 건조시켜서 얻은 고체를 물 3 ml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켰다.
실시예 3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9-메틸-4-메틸렌-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클로로메탄(4 ml) 중의 중간체 41(330 mg)의 빙냉시킨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2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 ℃에서 20분간 교반시킨 후 디클로로메탄(150 ml)로 희석시키고, 물(100ml)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켜서 얻은 오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98:2)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이어서, 적합한 분획들을 한데 합하고, 물 중의 아세토니트릴(60 내지 75.5)의 선형 구배를 사용하여 매질 압력(약 10 바아) 하에 RP-18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9-메틸-4-메틸렌-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메탄올(15 ml) 중의 실시예 33(140 mg)의 용액에 0.0945N 수산화나트륨 용액(3.06 ml)를 첨가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시킨 후, 잔류물을 물(60 ml)중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145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9-메틸-4-메틸렌-3옥소-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무수 디클로로메탄(1.1 ml) 중의 중간체 42(62 mg)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05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 ℃에서 20분간 교반시킨 후 디클로로메탄(50 ml)로 희석시키고, 물(3 x 2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서 얻은 오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98:2)를 사용하여 2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이렇게 하여 표제화합물(25 mg)이 담황색 발포체로서 수득되었다.
실시예 3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9-메틸-4-메틸렌-3옥소-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메탄올(10 ml) 중의 실시예 35(25 mg)의 용액에 0.0945N 수산화나트륨 용액(0.53 ml)를 적가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시킨 후, 잔류물을 물(25 ml)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26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9-메틸-4-옥소-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5 ml) 중의 중간체 43(45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25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25 psi 하에 1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65:35)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25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S,6S,7R,9R]-2,8-디옥사-4-에틸-6-히드록시-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50 ml) 중의 중간체 45(123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65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 15 psi 하에 1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디클로로메탄 메탄올(19:1) 내지 (18:2)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90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9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6S,7R,9R]-2,8-디옥사-4-에틸-6-히드록시-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25 ml) 중의 중간체 46(102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6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 15 psi 하에 1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25: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75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6S,7R,9R]-2,8-디옥사-4-에틸-6-히드록시-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메탄올(50 ml) 중의 실시예 39(490 mg)의 용액에 0.095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0 ml)를 적가하였다. 30분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시킨 후, 잔류물을 물(10ml)중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475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9-메틸-4-옥소-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아세트산에틸(5 ml) 중의 중간체 43(35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PH2=25 psi)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얻은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디클로로메탄:메탄올 v/v 100:1, 70:1 및 50:1)하여 발포체 200 mg을 얻었고, 이것을 메탄올(10 ml) 중에 용해시키고 0.0947M 수산화나트륨(4.54 ml)로 처리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시킨 후, 생성된 고체를 물(15 ml)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켰다.
실시예 4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메톡시-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아세트산에틸(15 ml) 중의 중간체 82(25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PH2=25 psi)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얻은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라 겔, 디클로로메탄:메탄올 v/v 100:1, 70:1, 50:1 및 40:1)하여 시럽 120 mg을 얻었고, 이것을 메탄올(15 ml) 중에 용해시키고 0.0947M 수산화나트륨(2.51 ml)로 처리하였다. 용매를 제거시켜서 얻은 반고체를 물(15 ml)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켰다.
실시예 4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4-메톡시-9-메틸-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무수 디클로로메탄(20 ml) 중의 중간체 87(120 mg)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 하에 0℃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0 μl)를 첨가하였다. 5분 후,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100 ml)로 희석시키고 물(100 ml) 및 염수(100 ml)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서 얻은 조 물질을 테트라히드로푸란:메탄올(v/v 2:1, 15 ml)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1N 염산(5 ml)로 처리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100 ml)로 희석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2 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서 얻은 오일을 예비 TLC(실리카 겔, 아세톤:헥산 1:3)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2 mg(수율 73 %)를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4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2,8-디옥사-4-메톡시-9-메틸-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메탄올(5 ml) 중의 실시예 43(50 mg)의 용액에 0.0966N 수산화나트륨(1.09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분간 교반시키고, 용매를 제거하여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물(1 ml)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켰다.
실시예 4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7R,9R]-디옥사-9-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5 ml) 중의 중간체 87(10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PH2=20 psi)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얻은 잔류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메탄올(v/v 2:1, 15 ml)에 용해시키고 1N 염산(5 ml)로 처리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디클로로메탄(100 ml) 및 물(100 ml)를 첨가하고 두 층을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서 얻은 오일을 예비 TLC(헥산:아세톤 v/v 3:1)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0 mg(총 수율 30%)를 투명한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4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6S,7R,9R]-2,8-디옥사-4,9-디메틸-6-히드록시-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25 ml) 중의 중간체 89b(9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 40 psi 하에 45분간 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디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10: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60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6S,7R,9R]-2,8-디옥사-4,9-디메틸-6-히드록시-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메탄올(20 ml) 중의 실시예 46(258 mg)의 용액에 0.103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4.98 ml)를 적가하였다. 15분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10ml)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250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6-트리데옥시-3-에틸아미노-3-N,4-O-카르보닐-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5 ml) 중의 중간체 96(18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3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PH2=20 psi)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1: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컬럼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순수한 GM 233039X(70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9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메틸-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20 ml) 중의 중간체 50(14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10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15 psi 하에 1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들을 한데 합하고 용매를 제거시켜서 표제 화합물(85 mg)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5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메틸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실시예 49(310 mg)를 메탄올(10 ml)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0.0976N, 6.69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제거시키고 잔류물을 물(2 ml)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켜서 표제화합물(324 m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5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에피티오-4-O-메틸-2,3,6-트리데옥시-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5 ml) 중의 중간체 52(0.67 mmol), 5,5-디메틸-2-티올로-2-티옥소-1,3,2-디옥사포스포리난1(3.37 mmol) 및 트리에틸아민(4.02 mmol)의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에테르 수용액에 부었다. 유기상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30: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80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프로필-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100 ml) 중의 중간체 65(40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20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20 psi 하에 1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상에서 염화메틸렌 및 염화메틸렌:메탄올(25:1)로 용출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0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5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프로필-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나트륨염
무수 메탄올(30 ml) 중의 실시예 52(400 mg)의 용액에 실온에서 0.0976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8.15 ml)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발 건조시키고, 고상 잔류물을 최소량의 물(10 내지 15 ml)에 용해시켰다. 이용액을 동결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417 m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5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4-O-벤질-6-데옥시-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5 ml) 중의 수소화나트륨(22 mg)의 현탁액에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7 ml) 중의 중간체 63(200 mg)의 용액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N 염산으로 중화시키고, 아세트산에틸(30 ml)를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상에서 용출제로서 염화메틸렌:메탄올(50:1) 및 (35:1)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15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5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5 ml) 중의 수소화나트륨(75 mg)의 현탁액에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5 ml) 중의 중간체 66(500 m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3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물을 물을 첨가함으로써 켄칭시키고 0.5M 염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pH 6.5 내지 7로 중화시켰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아세트산에틸(1:1, 100 ml)에 분배시켰다. 수성상을 아세트산에틸(2 x 20 m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한데 합하고, 염수로 처리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켜서 시럽을 얻었다. 이것을 실리카 겔상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40: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72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5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4,6-디데옥시-4-플루오로-β-D-탈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30 ml) 중의 중간체 68(13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10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15 psi 하에 1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상에서 용출제로서 헥산:아세트산에틸(4:1) 및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1)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82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5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2-메톡시에틸-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50 ml) 중의 중간체 69(14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7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20 psi 하에 1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상에서 디클로로메탄 및 디클로로메탄:메탄올(40:1)로 용출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74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5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2-메틸프로필)-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메틸(30 ml) 중의 중간체 70(0.14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25 psi 하에 30분간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40:1)을 사용하여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9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59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1-메틸에틸)카르보닐)-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20 ml) 중의 중간체 71(14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12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20 psi 하에 1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4:1) 및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1)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03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6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2,2-디메틸프로피오닐)-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60 ml) 중의 중간체 72(0.21 mmol)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20 psi 하에 30분간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40: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01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4-O-벤질옥시카르보닐-6-데옥시-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클로로메탄(10 ml) 중의 중간체 73(0.22 mmol)의 용액에 0℃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1 ml)로 처리하였다. 2시간 후, 혼합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40:1)을 사용하여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60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옥소-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30 ml) 중의 중간체 74(0.26 mmol)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5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소 25 psi 하에 1.5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40: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고, 적합한 분획들을 한데 합하고 증발시켜서 표제 화합물(38 mg)을수득하였다.
실시예 6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4,6-디데옥시-4-메틸렌-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디클로로메탄(15 ml) 중의 중간체 101(0.17 mmol)의 용액에 0 ℃에서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0.15 ml)로 처리하였다. 2시간 후 물로 처리하였다. 유기상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탄올(15 ml) 및 1N 염산(1.5 ml)에 용해시키고, 0 ℃에서 추가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제거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1)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들을 증발시켜서 표제화합물(24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4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4-O-tert-부틸카르보닐-6-데옥시-β-D-탈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물(1 ml) 중의 중간체 103(0.1 mmol)의 혼합물을 0 ℃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3 ml)로 처리하였다. 90분 후, 혼합물을 에틸에테르:물 1:1(30 ml)에 부었다. 유기 상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40:1)을 사용하여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2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5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4-O-(트랜스-2-부테닐)-6-데옥시-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무수 디클로로메탄(5 ml) 중의 중간체 47(103 mg)의 용액을 0 ℃에서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100 μl)로 처리하였다. 1시간 후,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50 ml) 및 황산나트륨 포화 수용액(50 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포화 수용액, 물 및 염수로 세척한 후 건조 및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아세트산에틸(2:1) 내지 (1:1)로 용출시키면서 2회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화합물(50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6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프로필-β-D-탈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에탄올(50 ml), 아세트산에틸(10 ml) 및 1N 염산(1 ml) 중의 중간체 104(150 mg, 0.21 mmol)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3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PH2=35 psi)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3.5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30:1)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0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7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4-아지도-4,6-디데옥시-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무수 디클로로메탄(5 ml) 중의 중간체 106(0.06 mmol)의 용액을 0 ℃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70 μl)로 처리하였다. 2시간 후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30:1)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8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4-O-알릴-2,3-안히드로-6-데옥시-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염화메틸렌 10 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2 ml의 혼합물 중의 중간체 107(250 mg)의 용액을 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조 물질을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메탄올(50: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69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무수 THF 15 ml 중의 중간체 21(200 mg)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30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하에 0 ℃에서 30분간 교반시켰다. 이어서, tert-부틸-브로모아세테이트 260 μ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질소 하에 3 일간 교반시켰다.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표준 방법에 따라 수소화시키고, 조 물질을 염화메틸렌:메탄올(50: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70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에틸-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중의 중간체 21(290 mg)의 용액에 0℃에서 수소화나트륨 25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 ℃에서 30분간 교반시킨 후, 요오드화에틸 1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을 완결시켰다. 조 물질을 1N 염화암모늄 및 아세트산에틸로 처리하였다.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표준 방법에 따라 수소화시키고, 조 물질을 염화메틸렌:메탄올(50: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80 mg)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71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2,3-디히드록시프로필)-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에탄올(100 ml) 중의 중간체 108(70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35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PH2=20 psi)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상에서 염화메틸렌 및 염화메틸렌:메탄올(25:1)로 용출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25 mg(이성절체의 50:50 혼합물)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72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2,3-디메톡시프로필)-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무수 THF(20 ml) 중의 중간체 108(350 mg)의 용액에 0 ℃에서 수소화나트륨(4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간 교반시킨 후, 요오드화에틸(0.5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질소 하에 2 일간 교반하에 방치하였다. 조 물질을 1N 염화암모늄 및 아세트산에틸로 처리하였다.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미리 정제하지 않고서 표준 방법에 따라 수소화시켜서 표제 화합물(이성질체의 50:50 혼합물)을 백색 발포체(225 mg)로서수득하였다.
실시예 73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2,3-O-이소프로필리덴)-2,3-디히드록시프로필]-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아세트산에틸(50 ml) 중의 중간체 109(250 mg)의 용액에 목탄 담지된 10 % 팔라듐(100 mg)을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파아르 장치(PH2=20 psi)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n-헥산:아세트산에틸 1:1 및 염화메틸렌:메탄올 50:1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이성질체의 50:50 혼합물)을백색 고체(150 mg)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74
IMI 362184의 특성
IMI 362184는소르다리아 아라네오사(ATCC 36386, NRRL 3196)의 자낭 포자를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 변이 유발시킨 후에 단리한 상기 균주의 돌연변이체이다. IMI 362184의 특성은 영국 특허 출원 제1,162,027호에 NRRL 3196에 대해 개시되어 있는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되, 단 IMI 362184는 NRL 3196에 의한 소르다린 생성에 사용되는 조건과 동일한 조건 하에 주 생성물로서 4'-데메틸소르다린을 생성한다.
실시예 75
IMI 362947의 특성
IMI 362947은소르다리아 아라네오사(ATCC 36386, NRRL 3196)의 자낭 포자를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 변이 유발시킨 후에 단리한 상기 균주의 돌연변이체이다. IMI 362947의 특성은 영국 특허 출원 제1,162,027호에 NRRL 3196에 대해 개시되어 있는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되, 단 IMI 362947은 한천 상에서 자낭 포자를 쉽게 생성하지 않는다. 또한, 균주는 NRRL 3196에 의한 소르다린 생성에 사용되는 조건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주 생성물로서 소르다리신을 생성한다는 점에서 NRRL 3196과 상이하다.
실시예 76
NCIMB 40675의 특성
NCIMB 40675는 28℃에서 48시간 동안 2 % (w/v) 효모 추출물을 보강시킨 트립신 장유 한천 위에서 성장시켰을 때 직경이 0.5 내지 1 mm인 레몬 황색의 반투명한 원형의 완전한 요철 콜로니를 생성하는 호기성 그런 양성균 비운동성 불규칙 간상균이다. 미생물은 37 ℃까지의 온도에서는 잘 성장하나 45 ℃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변색성 과립은 관찰되지 않았고, 균주는 카탈라제 양성, 옥시다제 음성이고, 글루코오스를 발효적으로 대사하지 않는다. 균주는 α-D-글루코오스, D-프럭토오스, p-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D-만니톨, 메틸리루베이트, 락트아미드, D-트레할로오스 및 수크로오스의 탄소원을 사용할 수 있다. 미생물은 유일한 탄소원으로서 D-글루콘산, 피루브산 및 살리신을 단지 약하게 사용할 수 있다. 콜로니 및 미시적 형태는 코리네포름 박테리아의 것과 유사하다. 코리네박테륨속은 NCIMB 40675의 펩티드글리칸이 2,6-디아미노피멜산 또는 디아미노부틸산의 메소-이성질체가 아닌 오르니틴을 함유하기 때문에 제외시켰다. 또한, 미생물은 불규칙한 코리네박테륨 종류의 측쇄 지방산들, 즉 12-메틸테트라데칸산, 14-메틸헥사데칸산 및 14-메틸펜타데칸산의 복합 혼합물을 함유한다. α-분지된-β-히드록실화 지방산의 존재는 측정되지 않았다. 이들 결과에 기초하여, NCIMB 40675는 하기 악티노박테리아속 중 하나와 가장 유사하다: 아레오박테륨, 쿠르토박테륨 또는 셀룰로모나스.
NCIMB 40675의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16S rRNA 유전자의 1100 염기 쌍의 부분 서열을 악티노박테리아속 및 관련된 속을 나타내는 다른 24 종류들에 대해 비교하였다. 이 분석 결과, NCIMB 40675과, 아우레오박테륨 및 쿠르토박테륨속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 관계가 있으나, 셀룰로모나스 또는 코리네박테륨과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 드러났다. 균주의 보다 정밀한 단리는 아우레오박테륨 및 쿠르토박테륨 종류에 대해 16S rRNA 유전자의 다양한 영역들을 비교하는 계통 발생 분석을 수행하고, 추가로 화학 분류 시험 및 생리학적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었다.
제제 실시예
1. 통상의 경구용 정제
약물을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과 혼합한 후, 압축시켜서 정제로 만든다.
2. 츄잉가능한 경구용 정제
약물, 크실리톨, 아스파르탐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함께 혼합시키고 물로 과립화시킨 후 건조시킨다. 이 과립을 페퍼민트 향료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과 혼합시킨 후 압축시켜서 정제로 만든다.
3. 경구용 수용액
약물 및 모든 부형제를 대부분의 순수에 용해시키고 혼합한다. 최종 부피로 만들고 혼합한다. 적당한 완충제을 최대 안정화 영역에 pH를 조절하기 위하여 첨가할 수 있다.
4. 경구용 비수성 현탁액
약물 및 만니톨을 분획화된 코코넛유의 부피 중에 고전단 혼합에 의해 분산시킨다. 나머지 성분들을 첨가하고 혼합시킨다. 분획화된 코코넛유를 사용하여 최종 부피로 만들고 혼합한다.
5. 연고
백색 연질 파라핀을 용융시키고 약물을 첨가하고 혼합한다. 연고가 약물 및 만니톨을 분획화된 코코넛유의 부피 중에 고전단 혼합에 의해 분산시킨다. 나머지 성분들을 첨가하고 혼합시킨다. 연고가 응결하기 시작할 때까지 계속 혼합한다.
6. 주사제
약물을 대부분의 주사용 물 중에 용해시킨다. 적당한 완충제를 최적의 안정화 영역에 pH를 조절하기 위하여 첨가할 수 있다. 주사제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적당한 산화 방지제 및 킬레이트제를 첨가한다. 주사용 물로 표시를 한다. 앰풀 또는 바이알에 충전시킨 후 고압 가열로 살균시킨다. 별법으로, 여과에 의해 살균하고 부패하지 않게 충전시킨다.
항진균 활성
일반식(1)의 화합물을 표준 시험관내 스크린에서 항진균 활성에 대해 시험하고, 여러 가지 임상학적 관련 병원균에 대한 각 화합물의 최소 억제 농도(MIC; μg/ml)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각 화합물에 대해 얻은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치료학적 유용 농도에서 본질적으로 비독성이다. 예를 들면, 실시예 8의 화합물은 50 mg/kg (경구 투여)의 투약량으로 투여되었을 때 수컷 생쥐를 아구창 칸디다 4711E의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활성을 갖는다. 수컷 생쥐에서의 실시예 8의 화합물에 대한 LD50값은 1000 mg/kg (경구 투여)보다 크다.

Claims (14)

  1.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상기 식에서, Z는 하기 기(a) 또는 (b)로부터 선택된 테트라히드로-피라노기이고
    상기 식 중,
    R1은 수소, 할로겐, 히드록실, C1-4알콕시 또는 아실옥시를 나타내고;
    R2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또는 C1-4알콕시C1-4알킬을 나타내거나,
    또는 R2및 R3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C=O, C=S 또는 C3-8시클로알킬을 나타낼 수 있고;
    R4는 수소 또는 CH2R7(여기서, R7은 수소, 히드록실, C1-4알콕시 또는 R8이 C1-4알킬 또는 아릴인 기 OCOR8임)을 나타내고;
    R5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또는 C1-4알콕시C1-4알킬을 나타내거나,
    또는 R5및 R6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C=O, C=S 또는 C3-8시클로알킬을 나타낼 수 있고;
    n은 0 또는 1을 나타내고;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 황 또는 CR9R10(여기서, R9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C1-4알콕시 또는 C1-4알콕시C1-4알킬을 나타내거나, 또는 R9및 R10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C=O, C=S, C3-8시클로알킬 또는 R11이 수소 또는 C1-4알킬을 나타내는 기 C=CHR11을 나타낼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거나; 또는 X 또는 Y가 산소이고 n이 0이면 -Y-CR2R3또는 -X-CR2R3-은 각각 -N=CR3- 또는 -NR12-CR2R3(여기서, CR2및 R3은 C=O이고, R12는 C1-4알킬 및 R13이 C1-6알킬인 아실기 COR13임)을 또한 나타낼 수 있거나 Y가 산소이고 n이 0일 경우 X는 이중 결합에 의해 피란 고리에 결합되는 기 CR11을 나타낼 수 있고;
    R15는 수소, 할로겐, 아지도, C1-6알킬, 히드록시, C1-6알콕시 (1 또는 2개의 히드록시 또는 그의 케탈 또는 1 또는 2개의 C1-3알콕시기에 의해 임의 치환됨), 아릴C1-4알콕시, C3-6알케닐옥시, 기 OCOR18(여기서, R18은 아릴C1-4알콕시, 또는 1 또는 2개의 이중 결합을 임의 함유하는 C1-10알킬기임) 또는 C1-6알콕시카르보닐C1-4알콕시를 나타내고, R16은 수소를 나타내거나, 또는 R15및 R16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O 또는 C=CH2를 나타낼 수 있고;
    R17은 CH2R19(여기서, R19는 수소, 히드록실, C1-14알콕시 또는 R20이 C1-4알킬인 기 OCOR20임)를 나타내고;
    W는 산소 또는 황 원자 또는 CH2기를 나타내고;
    기 (a)에 있는 점선은 추가 결합의 임의 존재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Z가 하기 기인 것인 화합물.
    상기 식 중, X 또는 Y중 하나는 산소이고, 다른 하나는 산소 또는 기 CR9R10이다.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n이 0인 것인 화합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 및 Y가 모두 산소이고, R2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4알킬을 나타내는 것인 화합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 또는 Y 중 하나가 산소이고 다른 하나가 기 CR9R10인 것인 화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R9는 수소 또는 C1-4알킬을 나타내고, R10은 수소를 나타내거나 또는 기 CR9R10은 CO 또는 C=CHR11을 나타내는 것인 화합물.
  7. 제5항에 있어서, X는 산소인 것인 화합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은 수소 또는 히드록실이고, R4는 메틸인 것인 화합물.
  9. 제1항에 있어서, Z가 하기 기인 것인 화합물.
    상기 식 중, W는 산소이다.
  10. [1R-(1α,3aβ,4β,4aβ,7β,7aα, 8aβ)] 8a-[[1S,7R,9R]-2,8-디옥사-9-메틸-4-메틸렌-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11. [1R-(1α,3aβ,4β,4aβ,7β,7aα, 8aβ)] 8a-[(2,6-디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β-D-알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1R-(1α,3aβ,4β,4aβ,7β,7aα,8aβ)] 8a-[[1S,4R,7R,9R]-2,8-디옥사-4,9-디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7-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1R-(1α,3aβ,4β,4aβ,7β,7aα, 8aβ)] 8a-[[1S,4S,6R,8R]-2,7-디옥사-4,6-디메틸-시스-비시클로[3.4.0]-논-8-일-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1R-(1α,3aβ,4β,4aβ,7β,7aα, 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프로필-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1R-(1α,3aβ,4β,4aβ,7β,7aα, 8aβ)] 8a-[(2,3-안히드로-6-데옥시-4-O-메틸-β-D-만노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12. (a) 하기 일반식 (II)
    (상기 식 중, R1및 R4는 제1항의 일반식 (I)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Rp는 카르복실 보호기이고, X 및 Y는 제1항의 일반식 (I)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단 X 및 (또는) Y는 CR9R10을 나타낼 수 없음)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목적하는 고리계를 형성하게 한 후, 카르복실 보호기를 제거하거나;
    (b) Z가 기 (a)이고, Y가 산소이고, n이 0이고, R2및 R3이 수소이고, X가 CH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일반식 (VII)
    (상기 식 중, R21은 기 CHO 또는 그의 보호된 유도체이고, Rp는 보호된 카르복실기 임)의 화합물을 디알킬 디아조메틸 포스포네이트와 반응시키거나;
    (c) Z가 기 (b)이고, W가 산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일반식 (VIII)
    (상기 식 중, R15a, R16a및 R17a는 제1항의 일반식 (I) 중 R15, R16및 R17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거나 또는 그의 보호된 유도체이고, Rp는 수소 또는 카르복실 보호기이고, L은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옥시기와 같은 적합한 이탈기이고, R22는 수소이거나 또는 OR22는 L에 대해 정의한 바와 동일한 기임)의 화합물을 고리화 반응시킨 후, 필요시 존재하는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하거나, 또는
    (d) W가 황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일반식 (IX)
    (상기 식 중, R15, R16및 R17은 제1항의 일반식 (I)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음)의 화합물을 황 공여체로 처리한 후,
    필요하거나 또는 바람직할 경우
    (i)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
    (ii) 일반식 (I)의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보호된 유도체를 또다른 일반식 (I)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단계;
    (iii) 일반식 (I)의 화합물을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형태로 단리시키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따르는 것으로 이루어진, 제1항에 따른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13. 제1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과 1종 이상의 생리학 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진균 감염증 치료를 위한 제약 조성물.
  14. [1R-(1α,3aβ,4β,4aβ,7β,7aα, 8aβ)] 8a-[(6-데옥시-3,4-O-이소프로필리덴-β-D-알트로피라노실옥시)메틸]-4-포르밀-4,4a,5,6,7,7a,8,8a-옥타히드로-7-메틸-3-(1-메틸에틸)-1,4-메타노-s-인다센-3a(1H)-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KR1019960703661A 1994-11-08 1995-11-06 항진균성소르다리딘유도체 KR100391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4500175.8 1994-11-08
EP94500173.3 1994-11-08
EP94500173A EP0712859A1 (en) 1994-11-08 1994-11-08 Antifungal Sordarin derivatives
EP94500175A EP0711784A1 (en) 1994-11-08 1994-11-08 Antifungal Sordarin derivativ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1401B1 true KR100391401B1 (ko) 2003-12-31

Family

ID=2613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661A KR100391401B1 (ko) 1994-11-08 1995-11-06 항진균성소르다리딘유도체

Country Status (35)

Country Link
US (2) US5854280A (ko)
EP (1) EP0753001B1 (ko)
JP (1) JPH09508144A (ko)
KR (1) KR100391401B1 (ko)
CN (1) CN1056849C (ko)
AP (1) AP614A (ko)
AR (1) AR013815A1 (ko)
AT (1) ATE184284T1 (ko)
AU (1) AU704405B2 (ko)
BG (1) BG62620B1 (ko)
BR (1) BR9506473A (ko)
CA (1) CA2179403A1 (ko)
CO (1) CO4520226A1 (ko)
CZ (1) CZ202796A3 (ko)
DE (1) DE69512041T2 (ko)
DK (1) DK0753001T3 (ko)
EE (1) EE9600117A (ko)
ES (1) ES2137549T3 (ko)
FI (1) FI962773A (ko)
GR (1) GR3031677T3 (ko)
HK (1) HK1004222A1 (ko)
HU (1) HU218611B (ko)
IL (1) IL115905A0 (ko)
IS (1) IS4352A (ko)
MX (1) MX9602563A (ko)
NO (1) NO307092B1 (ko)
NZ (1) NZ296091A (ko)
OA (1) OA10303A (ko)
PE (1) PE49696A1 (ko)
RU (1) RU2152398C1 (ko)
SI (1) SI0753001T1 (ko)
SK (1) SK88496A3 (ko)
TW (1) TW321644B (ko)
WO (1) WO1996014326A1 (ko)
ZA (1) ZA9593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1493A1 (en) * 1996-05-08 1999-03-17 Glaxo Wellcome S.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indacene compound
US6436395B1 (en) 1996-09-18 2002-08-20 Merck & Co., Inc. Rosellinia subiculata ATCC 74386 and fungus ATCC 74387 for producing sordarin compounds for fungi control
US6040463A (en) * 1996-10-07 2000-03-21 Merck & Co., Inc. Sordarin derivatives
US6096511A (en) * 1997-06-10 2000-08-01 Merck & Co., Inc. Protein elongation factor 2 as a target for antifungal and antiparasitic agents
US5965612A (en) * 1997-08-22 1999-10-12 Merck & Co., Inc. 4-cyano-4-deformylsordaricin derivatives
US5972996A (en) * 1997-08-22 1999-10-26 Merck & Co., Inc. 4-cyano-4-deformylsordarin derivatives
CA2300407C (en) * 1997-08-22 2010-01-26 Merck & Co., Inc. 4-cyano-4-deformylsordarin derivatives
US6136853A (en) * 1997-10-03 2000-10-24 Merck & Co., Inc. Sordarin derivatives
FI974385A0 (fi) * 1997-12-01 1997-12-01 Xyrofin Oy Anvaendning av xylitol foer bekaempning av jaestinfektion och xylitolpreparat foer denna anvaendning
US7070965B1 (en) * 1998-04-14 2006-07-04 Zhenhua Yang Small molecule anticancer compounds and related production process
MA26628A1 (fr) * 1998-05-11 2004-12-20 Glaxo Wellcome Sa Morpholino ethers
WO2000024728A1 (en) 1998-10-26 2000-05-04 Merck & Co., Inc. Microbial transformation product
JP2003501488A (ja) 1999-06-11 2003-01-14 ネオル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骨髄抑制のための高投与量放射性核種錯体
US7094885B2 (en) 1999-07-11 2006-08-22 Neorx Corporation Skeletal-targeted radiation to treat bone-associated pathologies
US6645960B1 (en) 1999-11-11 2003-11-11 Glaxo Wellcome S.A. Antifungal sordaricin derivatives
AU2001289063A1 (en) * 2000-09-15 2002-03-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Novel thio derivatives of sordarin as antifungal agents
AU2002249935A1 (en) * 2001-01-08 2002-08-19 Neorx Corporation Radioactively labelled conjugates of phosphonates
WO2003007878A2 (en) 2001-07-18 2003-01-30 Merck & Co., Inc. Antifungal agents of sordarin derivatives
US7045116B2 (en) 2001-12-13 2006-05-1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Treatment of osteomyelitis with radiopharmaceuticals
AU2002351340A1 (en) * 2001-12-14 2003-06-30 Merck & Co., Inc. A novel sordarin derivative isolated from culture fermentations and functions as an antifungal agent
JP2006513235A (ja) * 2002-12-31 2006-04-20 ネクター セラピューティクス 真菌感染症療法のためのエアゾール化可能な医薬製剤
US9314524B2 (en) 2007-12-31 2016-04-19 Calla Therapeutics Llc Topical formulations of Flucytosine
US8419948B2 (en) * 2009-11-22 2013-04-16 United Laboratories International, Llc Wastewater treatment
WO2012033427A1 (ru) * 2010-09-08 2012-03-15 Dalin Mikhail Viktorovich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микотических инфекций и препара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630403C2 (ru) * 2016-02-25 2017-09-07 Жанна Владимировна Вараткова Абразивная масс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нструмента с высокими номерами структур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65771A (de) * 1965-12-06 1968-11-30 Sandoz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neuen Antibioticums
JPH0615555B2 (ja) * 1985-08-14 1994-03-02 三共株式会社 抗生物質ゾフイマリン
JP3189443B2 (ja) * 1992-11-20 2001-07-16 萬有製薬株式会社 抗真菌性物質be−31405
EA002469B1 (ru) * 1996-09-12 2002-06-27 Мерк Энд Ко., Инк.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грибковой инфекци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62856L (no) 1996-09-05
SI0753001T1 (en) 1999-12-31
HK1004222A1 (en) 1998-11-20
CN1143965A (zh) 1997-02-26
AU704405B2 (en) 1999-04-22
ZA959362B (en) 1996-05-08
MX9602563A (es) 1997-05-31
EE9600117A (et) 1997-04-15
CO4520226A1 (es) 1997-10-15
AP9600824A0 (en) 1996-07-31
CA2179403A1 (en) 1996-05-17
EP0753001B1 (en) 1999-09-08
PE49696A1 (es) 1996-12-05
IS4352A (is) 1996-06-10
US5952334A (en) 1999-09-14
OA10303A (en) 1997-10-07
DK0753001T3 (da) 2000-05-08
DE69512041T2 (de) 2000-02-03
EP0753001A1 (en) 1997-01-15
IL115905A0 (en) 1996-01-31
NZ296091A (en) 1998-06-26
BR9506473A (pt) 1997-10-07
NO307092B1 (no) 2000-02-07
BG100699A (bg) 1997-02-28
CN1056849C (zh) 2000-09-27
CZ202796A3 (en) 1997-02-12
ES2137549T3 (es) 1999-12-16
AP614A (en) 1997-09-05
FI962773A0 (fi) 1996-07-05
RU2152398C1 (ru) 2000-07-10
JPH09508144A (ja) 1997-08-19
DE69512041D1 (de) 1999-10-14
WO1996014326A1 (en) 1996-05-17
HUT76292A (en) 1997-07-28
ATE184284T1 (de) 1999-09-15
HU218611B (hu) 2000-10-28
AR013815A1 (es) 2001-01-31
GR3031677T3 (en) 2000-02-29
FI962773A (fi) 1996-08-26
NO962856D0 (no) 1996-07-05
TW321644B (ko) 1997-12-01
BG62620B1 (en) 2000-03-31
HU9601865D0 (en) 1996-11-28
AU3980995A (en) 1996-05-31
SK88496A3 (en) 1997-04-09
US5854280A (en) 1998-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401B1 (ko) 항진균성소르다리딘유도체
US6054478A (en) Antifungal sordaridin derivatives
US5055596A (en) Derivatives of avermectin and milbemycin
US5278067A (en) Cyclic ketal derivatives
US20100016250A1 (en) Toll-like receptor 9 agonists
EP0569386B1 (en) Bridged cyclic ketal derivatives
EP0494622A1 (en) Bridged cyclic ketal derivatives
EP0503520A1 (en) Cyclic ketal derivatives
EP0639194A1 (en) Cyclic ketal derivatives
HUT70524A (en) Novel makrolides and their use
WO1992012157A1 (en) Bridged cyclic ketal derivatives
EP1296989B1 (en) Polycyclic xanthones as antibiotics
EP0711784A1 (en) Antifungal Sordarin derivatives
EP0712859A1 (en) Antifungal Sordarin derivatives
WO1993018039A1 (en) Cyclic ketal derivatives
EP0524677A1 (en) Cyclic ketal derivatives
EP0205308A2 (en) Scytophycins
JP2002187872A (ja) 新規化合物f−15949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