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712B1 - 진동완충장치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동완충장치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712B1
KR100380712B1 KR1019950014815A KR19950014815A KR100380712B1 KR 100380712 B1 KR100380712 B1 KR 100380712B1 KR 1019950014815 A KR1019950014815 A KR 1019950014815A KR 19950014815 A KR19950014815 A KR 19950014815A KR 100380712 B1 KR100380712 B1 KR 100380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hamber
gas
fluid
vibration
vibration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하라신
타니구치하루유키
타나카타카히코
하시노히로시
Original Assignee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712B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정수의 설정의 번잡함이나 경년변화에 의한 성능의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고, 진동완충장치의 조립에 요하는 부품점수를 삭감하는 진동완충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구성에 있어서 접속부재(1)의 타단부에는, 탄성재료로 구성된 단면원형의 고무부재(4)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5)가 형성되어 있다. 마운트본체(2)의 하부에는, 차체의 섀시등에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재(3)가 설치되어 있다. 고무부재(4)가 장착된 고정부(5)는, 이 고무부재(4)를 장착함으로써, 마운트본체(2)의 내부에 유체실(10)이 형성된다. 유체실(10)은 칸막이부재(7)에 의해서, 상부유체실(10a)과 하부유체실(10b)로 분할되고, 각각에 액체L이 봉입된다. 또, 칸막이부재(7)에는, 봉입된 액체L이 양 유체실사이를 유입 및 유출할 수 있도록,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오리피스(8)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유체실(10a)에는, 소정량의 기체G가 직접봉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동완충장치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예를들면, 차량의 엔진마운트로서 사용하는 진동완충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마운트에는 지지, 방진, 제진과 같은 3개의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지지기능이란, 엔진(파워유닛)을 정적/동적으로 차체에 탑재하고, 엔진과 차체가 간섭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이다. 또, 방진기능이란, 엔진이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을 차체에 전달시키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다. 또, 제진기능이란, 차량의 가감속시의 엔진진동이나, 노면이나 타이어로 부터의 입력에 의한 엔진진동(엔진세이크)등의 엔진의 강체진동을 제한하고, 차체의 진동을 방지하는 기능이다. 또, 이들 3개의 기능에는 트레이드오프의 관계가 있고, 전체를 만족하는것은 불가능하다. 통상, 지지기능에 대해서는 전달특성을 높게 또한 감쇠특성을 높게하는 상태가 이상적이고, 이하, 방진기능에 대해서는, 전달특성을 낮게하고, 제진기능에 대해서는, 감쇠특성을 높게할수 있는 것이 우수한 엔진마운트의 조건이라고할 수 있다. 통상의 고무형 엔진마운트는, 그들의 제원값을 타협할 수 있는 범위의 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최근, 차량의 엔진마운트등에 사용하는 진동완충장치로서, 종래의 고무형엔진마운트 대신에 유체봉입형엔진마운트가 다수 채용되고 있다. 이 유체봉입형엔진마운트는 현재까지 개발되어 온 과정에 있어서, 그 구성의 차이에서 주로 제 1세대∼제 3세대라고 불리는 3종류의 형식으로 분류된다. 이하에, 그들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세대형>
제 1세대의 엔진마운트는, 종래의 고무형엔진마운트보다도 높은 레벨에서 각 기능을 균형좋게 설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초기의 엔진마운트이고, 제 1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유체를 봉입하는 유체실을 칸막이부재에 의해서 2실로 칸막이하고, 칸막이부재에 오리피스를 형성해서, 엔진에 장착된 부재1(또는 차체에 장착된 부재2)의 진동에 의해, 오리피스내를 통과해서 유체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 제 1세대의 구성에서는, 봉입된 유체의 오리피스내의 이동에 의한 유체의 공진현상을 이용해서, 저주파의 특정영역에 있어서 감쇠특성을 높이고, 고주파영역에서의 전달특성을 작게할 수 있다.
제 17도 있어서, 부재(1)에 X의 변위를 부여했을때, 부재(2)에 힘F가 전달되었다고 하면, 진동의 전달특성Kt와 감쇠특성Td는 제 18도에 표시한 식에 의해서 표시된다. 이들 식에 의거해서, 전달특성Kt와 감쇠특성Td를 주파수로 표시하면 제 19도, 제 20도에 표시한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또 제 19도, 제 20도는 종래의 고무형과 제 1세대형의 각 특성을 비교한 경우의 차이를 표시하고 있다. 제 19도, 제 2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무형엔진마운트에 비하면 전달, 감쇠의 각 특성이 현저하게 향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제 1세대의 엔진마운트에서는, 유체실의 일부를 형성하는 고무부재로 구성된 탄성체에는, 엔진을 지지하는 지지강성(지지스프링, 지지감쇠)과, 유체실의 확장에 관계된 확장강성(확장스프링, 확장강성)과 같은 2가지 작용이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체형엔진마운트에서 감쇠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하중이 큰 부위에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하중이 큰 부위에 배치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고무부재의 지지강성이 커지고, 유체실의 확장강성이 커진다. 그 결과, a)전달특성이 커지고, 소음이나 진동이 악화한다. b)감쇠가 극대가 되어 주파수가 높아지고, 효과적으로 엔진을 제진할 수 없다는 2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제 2세대형>
제 2세대의 엔진마운트에서는, 싱기한 제 1세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 21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유체실을 칸막이하는 칸막이부재의 일부에 탄성부재로 형성된 고무막을 형성해서, 유체실(1)의 확장강성을 저하시킴으로써 대응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제 2세대의 구성에서는, 제 2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주파영역에서의 전달특성을 제 1세대의 구성에 비해서 작게할 수 있으므로써, 엔진의 소음이나 진동의 차체에의 전달을 작게할 수 있다.
<제 3세대형>
또, 제 3세대형 엔진마운트는, 제 2세대의 엔진마운트의 특성에 추가해서, 특정주파수의 전달특성을 특히 작게하는 특성을 부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나 브래킷등의 공진현상에 의해서, 차량은 특정주파수에 있어서 음이나 진동이 커진다는 특징이 있다. 종래에는, 이들 음이나 진동은 다이나믹댐퍼등을 사용해서 대처하고 있었다. 제 3세대의 엔진마운트에서는, 상기한 제 2세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 2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2세대의 구성에 우산형상의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고주파의 특정주파수영역에 있어서, 전달특성을 작게하고, 차량의 소음을 저감하도록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 제 3세대의 구성에서는, 제 2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2세대의 특성에 추가해서, 고주파영역의 특정주파수의 전달특성을 작게할 수 있으므로써, 특히 문제가 되는 소음의 차체에의 전달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엔진마운트의 종래기술로서,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 60-65444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에 대한 고정용 상부플레이트와 섀시에 대한 고정용하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단면원형의 방진고무가 개설되고, 이 방진고무의 내부에는 오리피스를 형성한 칸막이판이 설치되고, 유체실을 상부유체실과 하부유체실로 형성하고 있는 방진고무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부유체실의 더욱 상부에 작은 서브오리피스를 가진 서브칸막이판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공기실이 형성되어 서브오리피스위에 댐퍼액과 이 댐퍼액의 상부에 잔류공기를 축적시키도록 한 구조에 의해서, 유체실내에 혼입되는 공기에 의한 저주파영역에서의 감쇠성능의 저하를 방지하고, 고주파영역에서의 낮은 스프링정수를 보증해서 고주파진동흡수를 좋게 하는 동시에 저주파영역에서는 높은 감쇠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방진고무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 일본국 실원소 54-06797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일구조를 가진 1쌍의 통형상부재와, 이들 통형상부재의 끝판이 없는 쪽의 개방단부를 서로 대향시켜 배치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완충장치에 있어서, 이 연결부재를 통형상부재의 각각의 대향단부면에 결합해서 일체화시키고, 통형상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실의 칸막이벽으로 하는 동시에, 그들 중공실을 연통하기 위한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중공실에는, 그 최대총용적보다도 적은 양의 액체가 봉입되고, 나머지의 공간에는 불활성가스가 충전되어 있는 구조에 의해서, 중공실에 봉입된 액체에 가해지는 외력중, 소진폭인 것은 불활성가스가 압축됨으로써 흡수되고, 대진폭인 것은 액체가 연통구멍을 통해서 한쪽의 중공실로부터 다른쪽의 중공실에 유입할 때의 에너지소비에 의해서 감쇠되므로, 에어서스펜션과 동일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고, 진동감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완충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또, 일본국 특개소 59-16673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고무탄성체를 대향시키고, 그 사이에 칸막이판을 개재시켜서 유체실을 형성하는 동시에, 칸막이판에 작은 구멍을 뚫어서 유체실을 연통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한쪽의 고무탄성체에 스톱퍼를 장착하고, 이 고무탄성체가 일정치 이상 변위했을 때에, 스톱퍼가 다른쪽의 고무탄성체의 플랜지부에 당접해서 일체연계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하므로써, 저주파진동에 대해서는, 스톱퍼가 플랜지에 당접해서 큰 스프링정수를 얻으므로, 큰 감쇠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고주파진동에 대해서는 스톱퍼가 플랜지부에 당접하지 않으므로 스프링정수를 작게 할 수 있어, 낮은 감쇠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액봉입방진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또, 일본국 특개소 60-13950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략 동심형상으로 배치되는 내통 및 외통과, 이들중, 외통사이에 장전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이 탄성체내에 내통을 경계로 해서 대향배치되는 2개이상의 유체실을 형성하고, 이들 각 유체실을 개재해서 연통하도록 한 현가아암을 차체에 지지하는 통형상부시에 있어서, 탄성체내의 일부에 기체를 봉입한 구성으로 하므로써, 유체실내의 액압변화가, 봉입된 기체의 체적변화에 의해서 허용되기 때문에, 진동입력에 대한 유체실내의 스프링정수를 저하시킬 수 있고, 액체기둥공진에 있어서의 진동차단기능의 주파수의 설정자유도를 향상시킨 통형상부시가 제안되어 있다.
또, 일본국 실개평4-9713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성고무둘레벽에 의해서 포위된 액체로 채워진 2개의 유체실이 중간판에 형성한 스로틀개구(오리피스)를 개재해서 서로 접속되고, 엔진쪽의 유체실로부터 공기로 채워진 다른 방이 탄성고무막에 의해서 분리되어 있는 액압식 감쇠기구를 가진 엔진지지체를, 공기로 채워진 다른 방이 엔진지지판의 중앙부에 매립되고, 액체의 전체표면에 충격이 주어지는 탄성고무막에 의해서 엔진쪽의 유체실에 대해서 닫히고, 이 탄성고무막의 직경이 엔진쪽유체실의 최대액압직경의 약 1/4∼1/3의 크기이고, 탄성고무막의 쇼어A경도가 아래쪽유체실의 컵형상으로 형성된 방벽의 쇼어 A경도보다도 크게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므로써, 저주파영역의 진동에 대해서는, 오리피스에 의한 높은 감쇠특성에 의해 제진기능을 보장하고, 고주파영역의 진동에 대해서는, 탄성고무막에 의해서 유체실과 칸막이된 다른방에 의해 엔진쪽의 유체실의 확장강성을 낮게하고, 전달특성을 작게하므로써, 제진기능을 보장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각 종래예에 있어서, 특히, 제 2및 제 3세대의 구성에서는, 유체실을 칸막이하는 칸막이부재의 일부에 탄성재료로 구성되는 고무막을 형성하거나, 엔진쪽에 장착되는 부재에 우산형상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제조코스트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일본국 실개소 60-65444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혼입한 공기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작은 서브오리피스를 개재해서 잔류공기를 축적하는 공기실을 형성한 구조이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소음이 문제가 되는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서브오리피스내는, 유체공진보다 높은 상태, 즉, 틈막힘상태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이 잔류공기는 소음의 저감에는 거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구조이다.
또, 상기한 일본국 특개소 59-166737호에 개시되는 기술은, 제 1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이어프램의 대체로서 기체를 이용한 구조이다. 그러나, 이 구조에 있어서의 유체실은, 탄성체로 구성되는 유체실의 일부를 이용한 구조이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해버리는 결점이 있었다.
또, 상기한 일본국 특개소 60-139507호에 개시된 기술은, 일체적인 구성의 통형상부시이기 때문에, 양 실을 구성하는 탄성체는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나, 오리피스가 틈막힌 경우, 한쪽의 유체실에만 기체를 봉입한 구성에서는, 탄성체의 스프링정수가 지나치게 높아서 진동의 저감을 충분히 행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또, 이 결점을 회피하기 위하여, 양쪽 유체실의 스프링정수를 작게하는 것이 고려되나, 구조적으로 양 실을 각각 다른 스프링정수의 탄성체로 구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하부유체실에도 기체를 봉입하는 것이 고려되나, 이 경우, 차체에의 장착시나 진동등에 의해, 한쪽의 유체실에 봉입된 기체가 오리피스를 개재해서 다른쪽의 유체실내에 유입할 염려가 있고, 가령 이와 같은 상태가 된 경우, 상기한 결점을 해소할 수 없고, 봉입된 기체의 관리가 극히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일본국 실원소54-067971호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통형상부재는 어느쪽도 신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소진폭의 고주파진동에 대해서는 봉입된 가스가 압축함으로써 흡수하고, 대진폭의 저주파진동에 대해서는 통형상부재의 신축에 의한 액체의 이동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들면, 순간적으로 큰 힘이 가해질 경우(대진폭 또한 고주파), 엔진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정수를 크게 설정하면 되나, 이 경우, 통형상부재의 신축량이 적어지고 대진폭의 진동을 흡수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스프링정수를 작게 설정하면, 통형상부재의 탄성에 의한 변위량이 커지고 고주파진동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또, 통형상부재의 형상에 따라서 감쇠특성 등을 설정하고 있으므로, 차량마다의 튜닝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 상기한 일본국 실개평 4-97136호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아래쪽의 방벽(다이어프램의 작용을 가진다고 생각된다)보다도 탄성고무막의 스프링정수를 높게 설정하면 된다고 개시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전달특성을 작게하고, 엔진쪽의 유체실의 확장강성이 낮아지도록 유체실의 기체의 압축특성을 고려하면서 탄성고무막의 스프링정수를 설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봉입되는 기체압은 탄성고무막의 스프링정수를 결정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고, 그 유체실의 확장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탄성고무막의 스프링정수를 낮게 설정하고, 높은 감쇠특성과 작은 전달특성을 얻고 싶은 경우에는, 봉입하는 기체압을 어느정도 고압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으나, 스프링정수가 낮은 재료는 일반적으로 강도나 내구성이 낮기 때문에 장치수명에 영향이 있다. 반대로, 스프링정수를 높게 설정하고, 높은 감쇠특성과 낮은 전달특성을 얻고 싶은 경우에는, 고무막만의 작용밖에 없어, 소위 제 2세대의 구성과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에, 기체를 넣은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또, 탄성고무막의 형상은 봉입하는 기체압에 의해서 변화되므로, 형상의 변화를 고려해서 적절한 스프링정수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곤란한 것이 된다. 또한, 스프링정수에 관계없이 탄성고무막은 확장이나 수축하는 성질상 경년변화에 의해 열화하여, 그 스프링정수가 변화하는 것이 기정사실로 되어, 소망의 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제조시에는, 유체실을 이루기 위하여 탄성고무막이 요구되고, 이 고무막의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일부재를 필요로 하게 되어, 제조코스트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동완충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상기한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스프링정수의 설정의 번잡함이나경년변화에 의한 성능의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고, 진동완충장치의 조립에 요하는 부품점수를 삭감하고, 저코스트인 진동완충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기체의 충전량만으로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고, 개별차종에의 대응이 용이하게 되는 진동완충장치 및 그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진동완충장치에 관한 제 1발명은,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된 제 1칸막이벽부와, 비탄성부재로 형성된 제 2칸막이벽부와, 이 제 1, 제 2칸막이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를 봉입하기 위한 유체실을 구비하는 진동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실을 적어도 제 1과 제 2방으로 칸막이하는 동시에, 이 제 1과 제 2방을 연통하는 오리피스통로를 가진 칸막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방에는 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가 직접 봉입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진동완충장치에 관한 제 2발명에 의하면, 제 1칸막이벽부와, 제 2칸막이벽부와, 이 제 1, 제 2칸막이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를 봉입하기 위한 유체실을 구비한 진동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실을 적어도 제 1과 제 2방으로 칸막이하는 동시에, 이 제 1과 제 2방을 연통하는 오리피스통로를 가진 칸막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방에는 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가 직접봉입되고, 상기 제 1칸막이벽부는,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 1칸막이벽부에는, 상기 제 1방쪽에 개구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이 오목부내면을 덮고, 상기 기체를 체류시키기 위한 통형상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진동완충장치에 관한 제 3발명에 의하면, 제 1칸막이벽부와, 제 2칸막이벽부와, 이 제 1, 제 2칸막이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를 봉입하기 위한 유체실을 구비한 진동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실을 적어도 제 1과 제 2방으로 칸막이하는 동시에, 이 제 1과 제 2방을 연통하는 오리피스통로를 가진 칸막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방에는 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가 직접봉입되고, 상기 제 1칸막이벽부는,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 1칸막이벽부에는, 상기 제 1방쪽에 개구하고, 상기 기체를 체류시키기 위한 기둥형상오목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진동완충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된 제 1칸막이 벽부와, 비탄성부재로 형성된 제 2칸막이벽부와, 이 제 1, 제 2칸막이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를 봉입하기 위한 유체실을 구비하는 진동완충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실에 상기유체를 주입하는 유체주입공정과, 상기 유체실의 내부에 혼입하고 있는 불필요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공정과, 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를 상기 유체실에 봉입하는 기체봉입공정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진동완충장치는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1발명에 의하면, 제 1방에 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를 직접봉입하면 되므로, 종래의 스프링정수의 설정의 번잡함이나 경년변화에 의한 성능의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고, 진동완충장치의 조립에 요하는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제 2발명에 의하면, 제 1실에는 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가 직접 봉입되고, 제 1칸막이 벽부는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고, 제 1칸막이벽부에는 제 1방쪽에 개구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오목부에는 이 오목부내면을 덮고, 기체를 체류시키기 위한 통형상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유체실내의 소정위치에 소정량의 기체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의 스프링정수의 설정의 번잡함이나 경년변화에 의한 성능의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고, 진동완충장치의 조립에 요하는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제 3발명에 의하면, 제 1방에는, 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가 직접봉입되고, 제 1칸막이 벽부는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고, 제 1칸막이벽부에는 기체를 체류시키기 위한 기둥형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유체실내의 소정위치에 소정량의 기체를 안정해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의 스프링정수의 설정의 번잡함이나 경년변화에 의한 성능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고, 진동완충장치의 조립에 요하는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제 4발명에 의하면, 제 1칸막이벽부는 지지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 1칸막이벽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지지부로 부터 만 진동을 입력시키는 구성이 되어, 진동의 흡수를 효율좋게 행할 수 있다.
또, 제 5발명에 의하면, 봉입하는 기체를 공기로 하므로써, 코스트상승을 억제하고, 또, 공기 또는 불활성가스로 하므로써, 유체에의 용해를 방지할 수 있고,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6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봉입량을 특정 고주파수 이상의 진동을 경감하는 양으로 하므로써 종래 사용되고 있던 고무막을 폐지할 수 있다.
또, 제 7발명에 의하면, 칸막이부재는, 오리피스통로만을 구비함으로써, 칸막이부재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제 8발명에 의하면, 제 1칸막이벽부중, 제 1방의 일부가 되는 칸막이벽부가 가진 스프링정수는 제 2방의 일부가 되는 칸막이벽부가 가진 스프링정수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장치전체의 전달특성을 작게하는 동시에 및 감쇠특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제 9발명에 의하면, 제 1칸막이벽부는, 지지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 1칸막이벽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지지부로 부터 만 진동을 입력시키는 구성이 되어, 진동의 흡수를 효율좋게 행할 수 있다.
또, 제 10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에 기체를 체류시키기 위한 유체실을 형성함으로써, 유체실과 유체실의 사이에 통로가 생기고, 통로내의 액체가 특정고주파수로 공진해서 감쇠특성을 높일수 있다.
또, 제 11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은 제 1칸막이벽부에 있어서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체를 유체실에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12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에는 소정의 크기의 유체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로내에 있어서 유체에 의한 액체기등공진을 이용해서 전달특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또, 제 13발명에 의하면, 유체로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공진주파수는, 오리피스통로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공진주파수보다 큰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유체로내는 특정고주파진동을 흡수하는 고주파디바이스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 제 14발명에 의하면, 지지부는, 제 1칸막이벽부의 유체실쪽 면을 덮도록오목형상의 유체실을 형성하므로, 기체를 유체실에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15발명에 의하면, 오목형상의 유체실은 원통형상의 유체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로내에 있어서 유체에 의한 액체공진을 이용해서 전달특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또, 제 16발명에 의하면, 봉입하는 기체를 공기로 하므로써, 코스트상승을 억제하고, 또, 불활성가스로 하므로써, 유체에의 용해를 방지할 수 있고,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17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봉입량을 특정고주파이상의 진동을 경감하는 양으로 하므로써, 종래 사용되고 있던 고무막을 폐지할 수 있다.
또, 제 18발명에 의하면, 칸막이부재는, 오리피스통로만을 구비함으로써 칸막이부재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제 19발명에 의하면, 제 1칸막이벽부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체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20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에는 소정의 크기의 유체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로내에 있어서 유체에 의한 액체기둥공진을 이용해서 전달특성을 낮게할 수 있다.
또, 제 21발명에 의하면, 유체로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공진주파수는, 오리피스통로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공진주파수보다 큰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유체로내는 특정고주파진동을 흡수하는 고주파디바이스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 제 22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에는, 오리피스통로를 형성된 부재가 장착됨으로써, 오리피스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제 23발명에 의하면, 오리피스통로를 형성하는 부재는, 수지성이므로, 부품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제 24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에 기체를 봉입하는 적어도 2개의 유체실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유체실에 헐거움부재와 다이어프램과 동등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헐거움부재를 폐지할 수 있다.
또, 제 25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중에서 한쪽의 유체실은, 다른쪽의 유체실보다 큰 용적을 가짐으로써, 한쪽의 유체실을 다이어프램, 다른쪽의 유체실을 헐거움부재로서 각각의 작용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제 26발명에 의하면, 2개의 유체실은 이들 유체실에 형성된 미소한 연통구멍에 의해서 유체실간을 통기가능하므로, 진동이 없는 상태에서, 기체를 균일하게 유지하고, 진동이 부가되면 다이어프램 및 에어디바이스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 제 27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은 동일재료를 사용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므로, 제조코스트를 저감하고, 제조시에 있어서의 특성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28발명에 의하면, 유체로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공진주파수는, 오리피스통로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공진주파수보다 큰값으로 설정됨으로써, 유체로내는 특정고주파진동을 흡수하는 고주파디바이스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 제 29발명에 의하면, 제 1칸막이벽부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에 기둥형상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체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30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에 기체를 봉입하는 적어도 2개의 유체실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유체실에 헐거움부재와 다이어프램과 동등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헐거움부재를 폐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진동완충장치의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제 31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주입공정과, 지지부의 내부에 혼입하고 있는 불필요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공정과, 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를 지지부의 내부에 봉입하는 기체봉입공정을 구비하므로,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제품의 특성의 불균일을 억제 할 수 있다.
또, 제 32발명에 의하면, 기체봉입공정에 있어서 봉입되는 기체는 공기 또는 불활성가스이므로, 공기의 경우는 코스트상승을 억제하고, 불활성가스의 경우는, 액체에의 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33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봉입량을 특정고주파수이상의 진동을 경감하는 양으로 하므로써 제조시에 미량의 기체를 봉입만 해도 되므로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제 34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은, 칸막이부재에 의해서 적어도 2개의 방으로 칸막이되어 있고, 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는, 어느 한쪽의 방에 봉입되어 있으므로, 기체의 충전량에 의거해서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제 35발명에 의하면, 공기배출공정은 기체봉입공정의 전에 행해지므로, 불필요한 공기에 의한 특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36발명에 의하면, 칸막이부재에는 오리피스통로만이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칸막이 부재를 간소화할 수 있고, 장치의 조립시의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제 37발명에 의하면, 기체실은, 제 1방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기체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실시예]
제 1A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제 1실시예의 진동완충장치의 단면도이다. 또, 제 1B도는, 제 1A도의 진동완충장치의 요부를 간략화해서 표시한 모델도이다. 제 1A도, 제 1B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진동완충장치(100)는, 엔진룸내의 소정개소에 있어서 엔진을 지지하는 엔진마운트이다. 엔진마운트(100)는, 엔진쪽에 장착되는 접속부재(1)와, 마운트본체(2)와, 차체쪽에 장착되는 접속부재(3)에 의해 그 외형을 구성하고 있다. 접속부재(1)는, 그 일단부를 엔진에 볼트등에 의해서 고정하는 동시에, 타단부에는, 탄성재료로 구성된 단면원형의 고무부재(4)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5)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부(5)의 상부에는, 얇은 원반형상의 스톱퍼(6)가 장착되어 있다. 마운트본체(2)는, 원통형상의 컵을 거꾸로 한 형상이고, 상부가 개구한 형상의 개구부를 구비한다. 또, 마운트본체(2)에는, 개구부로부터 상부에 연장형성된 플랜지부(2a)가 형성되어 있다. 마운트본체(2)의 하부에는, 차체의 섀시등에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재(3)가 설치되어 있다. 고무부재(4)가 장착된 고정부(5)는, 마운트본체(2)의 개구부의 내면에 고무부재(4)가 밀착하도록 끼워맞춤되어, 고정된다.
이 고무부재(4)를 장착함으로써, 마운트본체(2)의 내부에 유채실(10)이 형성된다. 유체실(10)은, 마운트본체(2)의 내부에 설치된 칸막이부재(7)에 의해서, 제 1유체실(10a)과 제 2유체실(10b)로 분할되고, 각각에 액체L이 봉입된다. 또, 칸막이부재(7)에는, 상부유체실(10a)과 하부유체실(10b)과의 사이를 연통하고, 봉입된 액체L이 양쪽 유체실 간을 유입 및 유출할 수 있도록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오리피스(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칸막이부재(7)와 마운트본체(2)의 바닥부와의 사이에는, 탄성재료(예를들면, 고무등)로 구성된 돔형상의 다이어프램(9)이 설치되고, 제 2유체실(10b)은, 칸막이부재(7)와 다이어프램(9)에 의해서 구성된다. 마운트본체(2)의 바닥부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고, 다이어프램(9)이 제2유체실(10b)내의 액체L의 압력에 의해서, 어느정도 신축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1유체실(10a)에는, 소정량의 기체G가 직접 봉입되어 있다.
이 기체G는 공기나 유체실(10)에 봉입된 액체L에 용해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진 불활성가스나, 헬륨가스 등으로, 약 1∼3cc정도 봉입된다. 이 기체의 봉입량은 엔진의 중량이나 차종에 따라서 각각 다르다. 또, 엔진의 진동에 의해서 이 고무부재(4)의 변위량이 필요이상으로 커지면, 마운트본체(2)에 형성된 플랜지부(2a)와 스톱퍼(6)가 당접해서, 고무부재(4)의 변위를 억제한다.
<제 1실시예의 구성에서의 전달특성>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고무부재(4)는, 엔진을 지지하는 지지기능과 함께, 엔진이나 섀시로 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고무부재(4)는 엔진을 지지하는 지지기능을 구비하기 위하여, 다이어프램(9)보다 스프링정수가 높게 설정되어 있다(또한, 이점은, 후술하는 제 2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을 지지하는 지지강성이 높아지면, 유체실의 확장하기 어려움을 표시하는 확장강성도 큰 값이 되고, 그에 따라서 전달특성이 큰 값이 되기 때문에 제진기능이 악화한다(엔진진동이 전달되기 쉬워진다). 이 확장강성을 낮게하기 위하여 기체가 봉입되어 있다. 봉입된 기체G는 그 기체자체의 압축특성에 의해서 고무부재의 변위에 의한 제1유체실(10a)의 확장강성을 낮게하는 작용이 있고, 저주파영역 및 고주파영역에서의 전달특성을 작게 하고 있다.
<제 1실시예의 구성에서의 감쇠특성>
저주파진동에서는, 제 1유체실(10a)(10b)내에 봉입된 액체L은, 고무부재(4)의 변위에 의해서 오리피스(8)를 개재해서 제1유체실(10a)과 제2유체실(10b)과의 사이를 이동하나, 어떤 특정주파수가 되면, 액체L이 오리피스내에서 공진현상에 의한 틈막힘을 일으키고, 각 유체실간을 이동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오리피스내의 액체공진에 의해서, 특정영역만의 감쇠를 높이는 작용이 있다. 그러나, 전달특성이 높아지면 감쇠가 극대치가 되는 주파수가 높아져서, 엔진의 제진기능에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기체G를 봉입하고, 저주파의 특정영역에서의 전달특성을 저하시킴(즉, 확장강성을 낮게함)으로써, 높은 감쇠특성이 얻어지고, 제진기능이 향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실시예]
제 2A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제 2실시예의 진동완충장치의 단면도이다. 또,제 2B도는 제 2A도의 진동완충장치의 요부를 간략화해서 표시한 모델도이다. 제 2A도, 제 2B도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진동완충장치(200)는, 제 1 실시예의 고무부재(4)를 고정하는 고정부(5)가 제1유체실(10a)의 일부가 되어, 강성내벽(205)을 구성하고 있다. 이 강성내벽(205)은, 컵의 개구부를 거꾸로 향한 상태에서 장착되고, 개구부의 단면적은 오리피스(8)의 단면적보다 크고, 또한 제1 유체실(10a)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강성내벽(205)은 상부에 기체G가 주입되고, 제1유체실(10a)과의 통로가 되고 있다. 강성내벽(205)내의 액체와 기체는, 특정주파수에 있어서, 액체기둥공진하는 제 3유체실(220)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밖에, 상기 실시예와 동일부재는, 동일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 2실시예에서의 전달특성>
상기 제 2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제3 유체실(220)에 봉입된 기체G는,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기체자체의 압축특성에 의해서, 고무부재의 변위에 의한 제1유체실(10a)의 확장강성을 낮게하는 작용이 있고, 저주파영역 및 고주파영역에서의 전달특성을 작게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은 차체나 브래킷등의 공진현상에 의해서, 고주파의 특정고주파영역에서 음이나 진동이 커지는 특성이 있고, 종래에는, 다이나믹댐퍼등으로 대처하고 있었다. 이 다이나믹댐퍼에 대신하는 것이 제3유체실(220)이다. 제3유체실(220)내에서는, 주입된 기체G의 압축특성에 의해서, 고주파의 특정주파수영역에서 액체기둥공진현상이 발생한다. 제3유체실의 통로내의 액체기둥공진주파수는, 오리피스내의 액체공진주파수보다도 높은 값으로 설정되어있으므로, 이 액체기둥공진현상을 이용함으로써, 고주파의 특정주파수영역에서의 전달특성을 작게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실시예의 구성에서의 감쇠특성>
제 2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도,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 즉 기체G를 강성내벽(205)에 주입하고, 액체기둥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저주파의 특정영역에서의 전달특성을 저하시킴(즉, 확장강성을 낮게함)으로써, 높은 감쇠특성이 얻어지고, 제진기능이 향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3실시예]
제 3A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제 3실시예의 진동완충장치의 단면도이다. 또 제 3B도는 제 3A도의 진동완충장치의 요부를 간략화해서 표시한 모델도이다. 제 3A도, 제 3B도에 있어서, 제 3실시예에서 사용한 진동완충장치(400)는, 제 1및 제 2실시예에서 채용한 칸막이부재(7)와, 다이어프램(9)을 폐지하고,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강성내벽(205)의 주위를 연장하여, 새로이 오리피스(408)를 형성한 것이다.
제3실시예에서의 강성내벽(422)의 중앙부에는 제1유체실(410a)과 후술하는 제2유체실(410b)을 칸막는 칸막이 벽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강성내벽(422)을 강성 칸막이벽(420)(421)으로 칸막아서 제2유체실(410b)을 형성하고 있다. 단 제 3실시예에서의 제 1유체실(410a)은 그 작용으로 보아, 제 1실시예 제2실시예에서의 제 1유체실(10a)에 상당하며, 제 2유체실(410b)은 제 2유체실(10b)에 상당한다.
또, 강성내벽(422)의 내부에 있어서 제 2유체실(410b) 이외의 부분은 제 2실시예의 경우와 동등한 기능을 가진 제 3유체실(450)을 형성하고 있다.강성내벽(422)에는, 미소한 연통구멍(440)이 형성되고 기체G가 각 에어실 및 에어디바이스부에 있어서 균일하게 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밖에,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부재는, 동일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 3실시예에서의 전달특성>
상기 제 3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제 3유체실(450)에 주입된 기체G는, 제 1, 제 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기체자체의 압축특성에 의해서, 고무부재의 변위에 의한 제 1유체실(410a)의 확장강성을 낮게하는 작용이 있고, 저주파영역 및 고주파영역에서의 전달특성을 작게하고 있다.
제 3유체실(450)내에서는, 주입된 기체G가 압축특성에 의해서, 고주파의 특정주파수영역에서 액체기둥공진현상이 발생한다. 제 3유체실(450)의 통로내의 액체기둥공진주파수는, 오리피스내의 액체공진주파수보다도 높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액체기둥공진현상을 이용함으로써, 고주파의 특정주파수영역에서의 전달특성을 작게할 수 있는 것이다. 또,제 2유체실(410b)내와 제 3유체실(450)을 연통구멍으로 연통하고 있으므로, 기체G가 각 유체실간의 압력이 균일하게 되도록 이동한다. 이 기체의 압축특성에 의해서 어느정도 신축하는 다이어프램의 작용을 가지고 있다.
<제 3실시예의 구성에서의 감쇠특성>
제 1, 제 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3유체실(450)내부의 기체G가 연통구멍(440)을 개재해서 에어실간을 이동함으로써, 저주파의 특정영역에서의 전달특성을 저하시킬(즉, 확장강성을 낮게 할)수 있고, 높은 감쇠특성이 얻어지고, 제진기능이 향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체마운트의 원리>
다음에, 상기 각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유체형엔진마운트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4도는 제 2실시예의 엔진마운트의 모델도이고, 제 5도는, 제 4도의 등가회로도이다. 또, 제 25도는 공기스프링의 모델도이고, 제 25도에 표시한 공기스프링의 스프링정수k는, 체적Vo, 압력Po, 단면적A라고 하면, 폴리트로프지수r를 사용해서, 제 26도에 표시한 식에 의해서 표시할 수 있다. 제 4도, 제 5도 및 제 26도에 있어서, 제 3유체실내의 유체의 질량Md 및 유체실내의 유체의 질량Me는, 하기에 표시하는 식①,②에 의해서 표시되는 것으로서
Md=pbL①
Me=pal②
p: 유체밀도
L: 제3유체실의 길이
l: 오리피스의 길이
상기 식①,②에 의해서 정의되는 유체질량을 사용해서, 제 5도의 등가회로도에서는, 하기에 표시하는 수1의 운동방정식이 성립한다.
[수 1]
운동 방정식
단, yd: 제3유체실의 변위
cd: 제3유체실의 감쇠력을 표시하는 정수
xo: 강성내벽의 변위
kd: 제3유체실의 스프링정수
b : 제3유체실의 단면적
PA: 제1유체실의 압력
ye: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체의 변위
ce: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체의 감쇠력을 표시하는 정수
a : 오리피스의 단면적
PB: 제2유체실의 압력
CA: 고무부재의 감쇠력을 표시하는 정수
ZA: 고무부재의 변위
KA: 고무부재의 스프링정수
A : 제1유체실의 단면적
CB: 다이어프램의 감쇠력을 표시하는 정수
ZB: 다이어프램의 변위
KB: 다이어프램의 스프링정수
CM: 마운트전체의 감쇠력을 표시하는 정수
KM: 마운트전체의 스프링정수
L : 제3유체실의 길이
I : 오리피스의 길이
F : 마운트에 부여되는 힘
또, 수 1에 있어서, 모델도와 등가인 질량 MD, ME은, 하기 식③에 의해서 표시된다.
또, 모델도와 등가인 감쇠 CD, CE는 하기 식 ④에 의해서 표시된다.
또, 모델도와 등가인 스프링정수 KD는 제 26도에 의하면, 식 ⑤에 의해서 표시된다.
또, 모델도에 있어서의 등가인 변위량은, 식 ⑥에 의해서 표시된다.
이상의 식 ③∼식 ⑥을 사용해서 수 1에 표시한 운동방정식을 라플라스 변환에 의해서 풀면 하기에 표시하는 수 2가 성립한다.
[수 2]
등가식 (S영역)
단 S : 라플라스연산자
제 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5도의 모델도에 있어서의 각 파라미러터를 설정하면, 제 7도, 제 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다. 제 7도는 제 2실시예의 엔진마운트(200)의 전달특성을 표시하고 있다. 또, 제 8도는 감쇠특성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제 6도, 제 7도, 제 8도에 표시되어 있는 MO란, 종래의 제 2세대의 구성의 엔진마운트의 특성을 표시하고 있다.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유체실(220)에 봉입된 기체G를 1cc라고 하면, 제3유체실(220)내에서는, 주입된 기체G의 압축특성에 의해서, 고주파의 특정주파수영역에서 액체기둥공진현상이 발생한다. 제3유체실의 통로내의 액체기둥공진주파수는, 오리피스내의 액체공진주파수보다도 높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액체기둥공진현상을 이용함으로써, 고주파의 특정주파수영역(제 7도의 400Hz부근)에서의 전달특성을 작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기체G를 강성내벽(205)에 주입하고, 액체기둥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저주파의 특정영역에서의 전달특성을 저하시킴(제 7도에 표시한 10∼20Hz부근)으로써, 높은 감쇠특성이 얻어지고(제 8도에 표시한 10∼20Hz부근), 제진기능이 향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9도는, 제 3실시예의 엔진마운트의 모델도이고, 제 10도는 제 9도의 등가회로도이다. 제 9도, 제 10도에 있어서, 제3유체실내 및 유체실내의 유체의 질량은, 상기에 표시한 식①②에 의해서 표시되므로, 상기 식①②에 의해서 정의되는 유체질량을 사용해서, 제 10도의 등가회로도에서는, 하기에 표시하는 수 3의 운동방정식이 성립한다.
[수 3]
단, yd: 제3유체실의 변위
cd: 제3유체실의 변위감쇠력을 표시하는 정수
xo: 강성내벽의 변위
kd: 제3유체실의 스프링정수
b : 제3유체실의 단면적
PA: 제1유체실내의 압력
ye: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체의 변위
ce: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체의 감쇠력을 표시하는 정수
a : 오리피스의 단면적
PB: 다이어프램의 작용을 가진 유체실내의 압력
CA: 고무부재의 감쇠력을 표시하는 정수
ZA: 고무부재의 변위
KA : 고무부재의 스프링정수
A : 제1유체실에 상당하는 유체실의 단면적
C : 고무부재의 단면적
CB: 다이어프램의 작용을 가진 유체실의 감쇠력을 표시하는 정수
ZB: 다이어프램의 작용을 가진 유체실의 변위
KB: 다이어프램의 작용을 가진 유체실의 스프링정수
B : 다이어프램의 작용을 가진 유체실의 단면적
CM: 마운트전체의 감쇠력을 표시하는 정수
KM: 마운트전체의 스프링정수
L : 제3유체실의 길이
I : 오리피스의 길이
F : 마운트에 부여되는 힘
또, 수 3에 있어서, 모델도와 등가인 질량MD, ME은, 하기식 ⑦ 에 의해서 표시된다.
또, 모델도와 등가인 감쇠 CD, CE는 하기 식 ⑧에 의해서 표시된다.
또, 모델도와 등가인 스프링정수 KD는 제 26도에 의하면, 식 ⑨에 의해서 표시된다.
또, 모델도에 있어서의 등가인 변위량은, 식 ⑩에 의해서 표시된다.
또, 모델도에 있어서의 등가인 다이어프램의 스프링정수는 식 ⑪에 의해서 표시된다.
이상의 식 ⑦ ∼ 식 ⑪을 사용해서 수 3에 표시한 운동방정식을 라플라스변환에 의해서 풀면, 하기에 표시하는 수 4가 성립한다.
[수 4]
등가식 (S영역)
전달특성
단 S : 라플라스연산자
또, 오리피스부 및 제3유체실의 고유진동수 WE,WD는, 하기에 표시하는 식 ⑫, ⑬에 의해서 표시된다.
제 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의 엔진마운트(400)의 각 파라미터를 설정하면, 제 12, 제 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다. 제 12도는 전달특성을 표시하고 있다.
또, 제 13도는 감쇠특성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제 11도, 제 12도, 제 13도에 있어서 M2의 그래프는 제 3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제3유체실에서 제진하고 있는 것의 각 특성, M3은 제진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의 각특성, M1베이스는 제 3유체실 대신에 다이나믹댐퍼를 설치함으로써 제진하고 있는 것의 각 특성을 각각 표시하고 있다. 제 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입된 기체G를 100cc라고 하면, 제3유체실(450)내에서는, 주입된 기체G의 압축특성에 의해서, 고주파의 특정
주파수영역에서 액체기둥공진현상이 발생한다. 제3유체실(450)의 통로내의 액체기둥공진주파수는, 오리피스내의 액체공진주파수보다도 높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액체기둥공진현상을 이용함으로써, 고주파의 특정주파수영역(제 12도의 150Hz부근)에서의 전달특성을 작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기체G가 각 에어실(420)(430)간을 이동하고, 액체기둥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저주파의 특정영역에서의 전달특성을 저하시킴(제 12도에 표시한 100∼200Hz부근)으로써, 높은 감쇠특성(Tan8)이 얻어지고(제 13도에 표시한20Hz및 200Hz부근), 제진기능이 향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이나믹댐퍼와의 비교>
제 3실시예의 구성을 기본으로 해서, 제3유체실을 다이나믹댐퍼(D/D)로 치환한 경우, 제 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등가모델이 된다. 또한, 제 14도에 있어서, Ks는 유체마운트와 다이나믹댐퍼와의 접속에 사용하는 고무부재의 스프링정수, Cs는 유체마운트와 다이나믹댐퍼와의 접속에 사용하는 고무부재의 감쇠력을 표시하는 정수, MT는 유체마운트와 다이나믹댐퍼와의 접속에 사용하는 고무부재의 질량, md/d는, 다이나믹댐퍼의 질량, kd/d는 다이나믹댐퍼의 스프링정수, Cd/d는 다이나믹댐퍼의 감쇠력을 표시하는 정수, XT는 유체마운트의 변위, FT는 유체마운트에 부여되는 힘, Zo는 유체마운트와 다이나믹댐퍼와의 접속에 사용하는 고무부재의 변위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제 14도의 등가모델에 의거해서, 운동방정식을 만들고, 라플라스변환을 사용해서 하기식 1718 에 표시하는 등가스프링KF, 등가감쇠CF를 사용해서 라플라스변환에 의해 구한다.
구해진 등가식을 풀고, 제 15도에 표시한 각파라미터를 대입함으로써, 제 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6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제 3실시예의 제3유체실을 구비한 구성(제 16도에 표시한 M2)은, D/D를 구비한 구성의 것(제 16도에 표시한 M1베이스)에 매우 가까운 전달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 3실시예의 제3유체실 대신에, 다이나믹댐퍼를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종래기술과의 비교>
일반적으로, 유체마운트에서는, 연통구멍(오리피스)내에서의 액체기둥공진의 발생이나 유체의 점성저항등에 영향받는 외력의 진폭이나 주파수에 의해서 유체의 흐름방식이 변화한다. 예를들면, 느린 속도로 외력이 부여되면, 액체기둥공진이나 점성저항의 영향이 작고, 유체는 고압쪽으로부터 저압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액체기둥공진주파수보다도 높은 주파수에서 외력이 부여되면, 거의 유체가 오리피스내를 흐르지않는 상태(틈막힘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동완충장치와, 종래기술예로서 예를든 일본국 특개소59-166737호 및 일본국 특개소60-139507호에 개시된 구조와의 다른 점은, 느린속도에서 외력을 부여한 경우,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액체의 유출하는 쪽에 기체를 충전하고 있는데 대하여, 종래기술에서는, 유체의 유입하는 쪽에 기체를 충전하고 있는 점이다. 즉, 그 구조가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이들을 성능면에서 비교하면, 유체의 유입이나 유출과 같은 현상은 유체실을 형성하는 확장스프링의 스프링정수의 크기의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것이다. 즉, 유체는, 확장스프링의 스프링정수가 큰 쪽으로부터 작은 쪽으로 이동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소음이 발생하는 영역이되는 고주파영역에서는, 오리피스는 틈막힘상태가 되고 있기 때문에 확장스프링의 스프링정수가 클수록 소음을 전달하기 쉬워진다. 즉, 본 발명의 진동완충장치에서는, 확장스프링의 스프링정수가 큰쪽에 기체를 충전하고 있기 때문에, 이 큰쪽의 스프링정수를 저하(전달특성을 작게설정)시킴으로써 큰 소음저감효과를 발휘하는 데 대하여, 종래기술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확장스프링의 스프링정수가 작은 쪽에 기체를 충전하고 있기 때문에, 소음저감효과가 작은 것이 된다는 성능면에서의 차이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진동완충장치와, 종래기술예로서 일본국 실개평 4-97136호에 개시된 구조와의 다른 점은, 종래기술이 유체실과 유체실을 탄성고무막에 의해 칸막이하고 있는 점이다.
즉 일본국 실개평4-97136호에 개시되는 구조에서는, 기체는 그 봉입압력에 의해서 탄성고무막의 스프링정수를 적정화시키기 위하여 봉입되는 것으로서, 그 감쇠특성이나 전달특성에 직접관계하는 것은 고무막인 것이다(즉, 제 2세대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이유는 일본국 실개평4-97136호 명세서의 유체실을 대기로 개방해도 되고, 외기에 대하여 밀폐해도 된다는 기재로부터도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진동 완충장치에서는, 기체량이 유체실내의 공진주파수에 의해서 결정되는 양으로서, 유체실내의 유체에 대하여 직접작용함으로써 확장강성을 저하(전달특성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큰 소음저감효과를 발휘하는데 대하여, 종래기술에 개시된 구성(특히 유체실을 밀폐한 구성인 것)에서는, 유체실을 구성하는 고무막 및 기체의 압력에 의해 그 확장 강성을 저하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기체를 직접적으로 유체실내의 유체에 작용시키는 것에 비해서 소음저감효과가 작은 것이 된다는 성능면에서 의 차이가 있다.
[제조방법]
다음에, 상기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엔진마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는, 각각 구성부재로서 이미 제조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 1, 제 2, 제 3실시예의 제조방법>
①먼저, 마운트본체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한다.
②마운트본체의 내부에 혼입하고 있는 불필요한 공기를 차단 또는 배출한다.
③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를 마운트본체의 내부에 봉입한다. 단, 봉입되는 기체는, 불활성가스이고, 미리 결정된 양이란, 소정주파수이상의 진동을 경감하는 양이다.
④이 상태에서 마운트를 압축하고 밀봉한다.
이와 같이 마운트에 압력을 부여함으로써, 무부하시에서의 유체실내의 부압에 의해서 기체를 봉입해두고, 엔진탑재시에는 유체실내부가 대기압이 되고 가스스프링으로서 작용시킨다. 또한, ③에서의 기체의 봉입에서는, 미리 봉입하는 양의 기체가 내부에 주입된 고무풍선과 같은 것을 마운트본체의 내부에 투입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실시예의 엔진마운트에 의하면, 유체실내에 소정의 기체를 봉입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제 2세대의 마운트에 사용하고 있었던 고무막의 기능(확장강성의 설정)을 기체에 부여할 수 있다.
종래, 제 3세대의 우산형상부재에 의해 행하고 있었던 특정주파수에서의 전달특성의 저하를, 적당량의 기체를 봉입하고, 또한 액체기둥공진을 이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봉입된 기체의 압축성을 이용함으로써 다이어프램을 폐지할 수 있고, 부품점수의 삭감과 저코스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기체의 충전량에 의거해서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기때문에, 개발단계에서의 개별차종에의 대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예를 수정 또는 변형한 것에 적용가능하다. 예를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실내에 봉입하는 기체로서,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를 사용했으나, 봉입되는 유체와 기체와의 조합은,서로 용해하기 어려운 것이면, 공기나 불활성가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진동완충장치에 관한 제 1발명에 의하면, 제 1방에 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를 직접 봉입하면 되므로, 종래의 스프링정수의 설정의 번잡함이나 경년변화에 의한 성능의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고, 진동완충장치의 조립에 요하는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제 2발명에 의하면, 제 1방에는 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가 직접 봉입되고, 제 1칸막이 벽부는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고, 제 1칸막이벽부에는 제 1방쪽에 개구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오목부에는 이 오목부 내면을 덮고, 기체를 체류시키기 위한 통형상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유체실내의 소정위치에 소정량의 기체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의 스프링정수의 설정의 번잡함이나 경년변화에 의한 성능의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고, 진동완충장치의 조립에 요하는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제 3발명에 의하면, 제 1방에는, 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가 직접봉입되고, 제 1칸막이 벽부는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고, 제 1칸막이벽부에는 기체를 체류시키기 위한 기둥형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유체실내의 소정위치에 소정량의 기체를 안정해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의 스프링정수의 설정의 번잡함이나 경년변화에 의한 성능의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고, 진동완충장치의 조립에 요하는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제 4발명에 의하면, 제 1칸막이벽부는 지지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 1칸막이벽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지지부로부터만 진동을 입력시키는 구성이 되고,진동의 흡수를 효율좋게 행할 수 있다.
또, 제 5발명에 의하면, 봉입하는 기체를 공기로 하므로써, 코스트상승을 억제하고, 또, 공기 또는 불활성가스로 하므로써, 유체에의 용해를 방지할 수 있고,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6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봉입량을 특정고주파수이상의 진동을 경감하는 양으로 하므로써 종래 사용되고 있던 고무막을 폐지할 수 있다.
또, 제 7발명에 의하면, 칸막이부재는, 오리피스통로만을 구비함으로써, 칸막이부재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제 8발명에 의하면, 제 1칸막이벽부중, 제 1실의 일부가 되는 칸막이벽부가 가진 스프링정수는 제 2실의 일부가 되는 칸막이벽부가 가진 스프링정수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장치전제의 전달특성을 작게하는 동시에 감쇠특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제 9발명에 의하면, 제 1칸막이벽부는, 지지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 1칸막이벽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지지부로 부터 만 진동을 입력시키는 구성이 되어, 진동의 흡수를 효율좋게 행할 수 있다.
또, 제 10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에 기체를 체류시키기 위한 유체실을 형성함으로써, 유체실과 유체실의 사이에 통로가 생기고, 통로내의 액체가 특정고주파수로 공진해서 감쇠특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제 11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은 제 1칸막이벽부에 있어서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체를 유체실에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12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에는 소정의 크기의 유체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로내에 있어서 유체에 의한 액체기둥공진을 이용해서 전달특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또, 제 13발명에 의하면, 유체로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공진주파수는, 오리피스통로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공진주파수보다 큰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유체로내는 특정고주파진동을 흡수하는 고주파디바이스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 제 14발명에 의하면, 지지부는, 제 1칸막이벽부의 유체실쪽의 면을 덮도록 오목형상의 유체실을 형성하므로, 기체를 유체실에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15발명에 의하면, 오목형상의 유체실은 원통형상의 유체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로내에 있어서 유체에 의한 액체공진을 이용해서 전달특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또, 제 16발명에 의하면, 봉입하는 기체를 공기로 하므로써, 코스트상승을 억제하고, 또, 불활성가스로 하므로써, 유체에의 용해를 방지할 수 있고,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17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봉입량을 특정고주파 이상의 진동을 경감하는 양으로 하므로써, 종래 사용되고 있던 고무막을 폐지할 수 있다.
또, 제 18발명에 의하면, 칸막이부재는, 오리피스통로만을 구비함으로써 칸막이부재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제 19발명에 의하면, 제 1칸막이벽부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체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20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에는 소정의 크기의 유체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로내에 있어서 유체에 의한 액체기둥공진을 이용해서 전달특성을 낮게할 수 있다.
또, 제 21발명에 의하면, 유체로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공진주파수는, 오리피스통로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공진주파수보다 큰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유체로내는 특정고주파진동을 흡수하는 고주파디바이스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 제 22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에는, 오리피스통로를 형성된 부재가 장착됨으로써, 오리피스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제 23발명에 의하면, 오리피스통로를 형성된 부재는, 수지성이므로, 부품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제 24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에 기체를 봉입하는 적어도 2개의 유체실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유체실에 헐거움부재와 다이어프램과 동등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헐거움부재를 폐지할 수 있다.
또, 제 25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중에서 한쪽의 유체실은, 다른쪽의 유체실보다 큰 용적을 가짐으로써, 한쪽의 유체실을 다이어프램, 다른쪽의 유체실을 헐거움부재로서 각각의 작용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제 26발명에 의하면, 2개의 유체실은 이들 유체실에 형성된 미소한 연통구멍에 의해서 유체실간을 통기가능하므로, 진동이 없는 상태에서, 기체를 균일하게 유지하고, 진동이 부가되면 다이어프램 및 제3유체실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 제 27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은 동일재료를 사용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므로, 제조코스트를 저감하고, 제조시에 있어서의 특성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28발명에 의하면, 유체로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공진주파수는, 오리피스통로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공진주파수보다 큰값으로 설정됨으로써, 유체로내는 특정고주파진동을 흡수하는 고주파디바이스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 제 29발명에 의하면, 제 1칸막이벽부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에 기둥형상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체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30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에 기체를 봉입하는 적어도 2개의 유체실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유체실에 헐거움부재와 다이어프램과 동등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헐거움부재를 폐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진동완충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제 31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주입공정과, 지지부의 내부에 혼입하고 있는 불필요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공정과, 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를 지지부의 내부에 봉입하는 기체봉입공정을 구비하므로,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제품의 특성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32발명에 의하면, 기체봉입공정에 있어서 봉입되는 기체는 공기 또 는 불활성가스이므로, 공기의 경우는 코스트상승을 억제하고, 불활성가스의 경우는, 액체에의 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33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봉입량을 특정고주파수이상의 진동을 경감하는 양으로 하므로써 제조시에 미량의 기체를 봉입하는 뿐이어도 되게 되고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제 34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은, 칸막이부재에 의해서 적어도 2개의 방으로 칸막이되어 있고, 미리 결정된 양의 기체는, 어느 한쪽의 방에 봉입되어 있으므로, 기체의 충전량에 의거해서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제 35발명에 의하면, 공기배출공정은 기체봉입공정의 전에 행해지므로, 불필요한 공기에 의한 특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36발명에 의하면, 칸막이부재에는 오리피스통로만이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칸막이부재를 간소화할 수 있고, 장치의 조립시의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제 37발명에 의하면, 유체실은, 제 1방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기체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제 1A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제 1실시예의 진동완충장치의 단면도
제 1B도는 제 1A도의 진동완충장치의 요부를 간략화해서 표시한 모델도
제 2A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제 2실시예의 진동완충장치의 단면도
제 2B도는 제 2A도의 진동완충장치의 요부를 간략화해서 표시한 모델도
제 3A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제 3실시예의 진동완충장치의 단면도
제 3B도는 제 3A도의 진동완충장치의 요부를 간략화해서 표시한 모델도
제 4도는 제 2실시예의 엔진마운트의 모델도
제 5도는 제 4도의 등가회로도
제 6도는 제 5도의 모델도에 있어서의 각파라미터의 설정예를 표시한 도면
제 7도는 제 5도의 사양에서의 제 2실시예의 엔진마운트(200)의 전달특성을 표시한 도면
제 8도는 제 5도의 사양에서의 제 2실시예의 엔진마운트(200)의 감쇠특성을 표시한 도면
제 9도는 제 3실시예의 엔진마운트의 모델도
제 10도는 제 9도의 등가회로도
제 11도는 제 10도의 모델도에 있어서의 각파라미터의 설정예를 표시한 도면
제 12도는 제 11도의 사양에서의 제 3실시예의 엔진마운트(400)의 전달특성을 표시한 도면
제 13도는 제 11도의 사양에서의 제 3실시예의 엔진마운트(400)의 감쇠특성을 표시한 도면
제 14도는 제 3실시예의 구성을 기본으로 해서, 에어디바이스를 다이나믹댐퍼(D/D)로 치환한 경우의 등가회로도
제 15도는 제 14도의 모델도에 있어서의 각파라미터의 설정예를 표시한 도면
제 16도는 제 15도의 사양에서의 제 3실시예의 구성의 엔진마운트의 전달특성을 표시한 도면
제 17도는 제 1세대의 엔진마운트의 구성을 표시한 단면도
제 18도는 진동의 전달특성 및 감쇠특성을 정의하는 도면
제 19도는 제 1세대의 엔진마운트의 구성에 의한 전달특성을 표시한 도면
제 20도는 제 1세대의 엔진마운트의 구성에 의한 감쇠특성을 표시한 도면
제 21도는 제 2세대의 엔진마운트의 구성을 표시한 단면도
제 22도는 제 2세대의 엔진마운트의 구성에 의한 전달특성을 표시한 도면
제 23도는 제 3세대의 엔진마운트의 구성을 표시한 단면도
제 24도는 제 3세대의 엔진마운트의 구성에 의한 전달특성을 표시한 도면
제 25도는 공기스프링의 모델도
제 26도는 제 25도에 표시한 공기스프링의 스프링정수k를 폴리트로프지수 r를 사용한 식에 의해서 표시한 도면
(1)(3) ... 접속부재 (2) ... 마운트본체
(4) ... 고무부재 (5) ... 고정부
(6) ... 스톱퍼 (7) ... 칸막이부재
(8) ... 오리피스 (9) ... 다이어프램
(10a)(10b) ... 제1, 제2유체 (420)(430) ... 라이닝수단
(220)(450) ... 제 3유체실 (320) ... 헐거움부재
(440) ... 연통구멍 G ... 공기 또는 불활성가스
L ... 액체

Claims (26)

  1. 진동하는 대상물체에 부착할 수 있는 적어도 탄성상부벽(4)을 포함하는 벽에 의해 밀폐되는 강성을 가진 마운트본체(2,2')내에 액체(c)가 들어있는, 대상물체의 진동을 흡수해서 감쇠하기 위한 진동완충장치로서, 이 완충장치는 제1유체실(10a, 410a)이 제2유체실(10b, 410b)보다 큰 스프링상수를 갖도록 상기 마운트본체(2,2')를 상기 탄성상부벽(4)에 의해 형성된 제1 유체실(10a, 410a)과 상기 제1유체실과 탄성바닥벽(9)에 의하여 형성된 제2유체실(10b, 410b)로 분할하기 위한 강성 칸막이벽(7, 420)을 구비하고, 상기 강성칸막이벽(7, 420)에는 액체(L)가 상기 탄성상부벽(4)의 변형으로 인해 상기 제1유체실(10a, 410a)과 상기 제2유체실(10b, 410b)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오리피스(8, 408)가 형성되어 있는 진동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본체(2,2')는 직접 액체기둥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유체실(10a ,410a)과 연통하는 제3유체실(220, 450)을 형성하는 강성내벽(205, 422)을 더 구비하고, 가스(G)의 소정량을 가스(G)의 압축특성에 따라 액체기둥의 공진을 일으키기 위하여 상기 액체(L)와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제3유체실(220, 450)내에 체류시키므로써 제1유체실(10a, 410a)의 진동전달효율을 낮추고, 상기 제3유체실(220, 450)은 상기 오리피스(8, 408)내의 상기 액체(L)의 공진주파수보다 큰 공진주파수를 가진 상기 액체기둥을 직접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을 가진 마운트본체(2,2')는 상기 탄성상부벽(4)을 기밀하게 덮는 라이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G)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G)는 상기 탄성상부벽(4)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불활성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G)의 상기 소정량은 대상물체의 상기 진동의 특정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진 진동의 전달이 감소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본체(2)는 상기 제2유체실(10b)을 형성하는 탄성바닥벽(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상부벽(4)과 제2유체실(10b)을 형성하는 상기 탄성바닥벽(9)의 각각은 상기 마운트본체(2)내의 내압의 변화에 응답하는 스프링으로서 기능하기 위하여 변형가능하며, 상기 탄성상부벽(4)은 상기 탄성바닥벽(9)보다 큰 스프링상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내벽(205)은 상기 탄성상부벽(4)에 부분적으로 묻힌 중공원통형상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9. 부착된 대상물체의 진동을 완충해서 감쇠하기 위한, 마운트본체(2,2')내에 액체가 들어 있는 진동완충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마운트본체(2,2')는 오리피스(8, 408)가 형성된 칸막이벽(7, 21)에 의해 진동하는 대상물체를 부착할 수 있는 적어도 탄성상부벽(4)에 의해 밀폐되는 제1유체실(10a, 410a)과 상기 제1유체실(10a, 410a)보다 작은 스프링상수를 가진 제2유체실(10b, 410b)로 분할되며, 상기 제1유체실(10a, 410a)내의 상기 오리피스(8, 408)의 상기 액체(L)의 공진주파수 보다 큰 공진주파수를 가진 액체기둥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제1유체실(10a, 410a)과 연통하는 제3유체실(220, 450)을 형성하는 강성내벽(205, 422)을 구비한 진동완충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본체(2, 2')를 밀폐하는 공정, 액체를 상기 제 1 및 제2 유체실(10a, 10b, 410a, 410b)에 분사하는 공정, 상기 제 1 및 제2유체실(10a, 10b, 410a, 410b)내의 에어를 제거하는 공정, 및 가스(G)의 압축특성에 따라 제3유체실내에 액체기둥의 공진을 일으키기 위하여 제 1 및 제2유체실(10a, 10b, 410a, 410b)중의 하나에 가스(G)의 소정량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제1유체실(10a, 410a)의 진동전달효율을 낮추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G)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G)는 상기 탄성상부벽(4)과 화학반응하지 않는 불활성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G)의 상기 소정량은 대상물체의 상기 진동의 특정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진 진동의 전달이 감소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의 제조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G)는 진동하는 대상물체에 인접한 상기 제 1 및 제2유체실중의 하나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의 제조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7, 421)은 강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8, 408)의 단면적은 상기 제1유체실(10a, 410a)내의 상기 가스(G)와 상기 액체(L)사이의 접촉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G)의 소정량은 1-3cc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체실(10b)은 적어도 내압의 변화로 인해서 변형할 수 있는 탄성벽(9)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실(10a)은 상기 제2유체실(10b)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상부벽(4)과 상기 탄성바닥벽(9)의 각각은 상기 마운트본체(2)내의 내압의 변화에 응답하는 스프링으로서 기능하기 위하여 변형가능하고, 상기 탄성상부벽(4)은 상기 탄성바닥벽(9)보다 큰 스프링정수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체실(220)은 상기 오리피스(8)내의 상기 액체(L)의 공진주파수보다 큰 공진주파수를 가진 상기 액체기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내벽(205)은 상기 탄성상부벽(4)에 부분적으로묻힌 중공원통형상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체실(401b)내에서 체류하는 가스(G)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유체실(410b)내의 상기 가스(G)와 상기 제1유체실(410a)내의 상기 액체(L)사이의 접촉면적은 진동에 의해 발생한 내압의 변화로 인해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체실(410b)은 상기 제1유체실(410a)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420, 421)은 상기 탄성상부벽(4)에 부분적으로 묻힌 외부중공원통형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성내벽(422)은 상기 외부중공원통형상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이 외부중공원통형상부재와의 사이에 제2유체실을 형성하며, 또한 제 3유체실을 한정하는 내부중공원통형상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내벽(422)에는 상기 가스(G)가 상기 제2유체실(410b)과 상기 제3유체실(450)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오리피스(4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체실(450)은 상기 오리피스(408)내의 상기 액체(L)의 공진주파수 보다 큰 공진주파수를 가진 액체기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장치.
KR1019950014815A 1994-06-06 1995-06-05 진동완충장치및그제조방법 KR100380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23715 1994-06-06
JP12371594 1994-06-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0712B1 true KR100380712B1 (ko) 2003-10-17

Family

ID=49381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815A KR100380712B1 (ko) 1994-06-06 1995-06-05 진동완충장치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71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356B1 (ko) 유체봉입식엔진마운트및그제조방법
JPH0221633Y2 (ko)
EP0178652A2 (en) Liquid-filled type vibration damping structure
JPH0754131B2 (ja) 防振装置
JP3734099B2 (ja) 振動緩衝装置
KR100380712B1 (ko) 진동완충장치및그제조방법
JPH05584Y2 (ko)
JP3600274B2 (ja) 振動緩衝装置
JP2811448B2 (ja) 流体封入型エンジンマウント
JP3573296B2 (ja) 自動車用エンジンマウント
JPH0533824A (ja) 流体封入式マウント
JP3005012U (ja) 自動車用エンジンマウント
JPH0858396A (ja) 自動車用エンジンマウント
JPH08254243A (ja) 流体封入式振動緩衝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248487A (ja) 液体封入型防振装置
JP3547542B2 (ja) 流体封入型防振支持装置
JP2553356Y2 (ja) 液体封入マウント
JP2553360Y2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4169228B2 (ja) 液体封入防振装置
JP3721828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3716869B2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H06129476A (ja) 流体封入式防振マウント
JP3528872B2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2597075Y2 (ja) 液体封入ブッシュ
JPH0674286A (ja) 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