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551B1 - 라텍스입자파우더를 이용한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라텍스입자파우더를 이용한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551B1
KR100380551B1 KR1019960002530A KR19960002530A KR100380551B1 KR 100380551 B1 KR100380551 B1 KR 100380551B1 KR 1019960002530 A KR1019960002530 A KR 1019960002530A KR 19960002530 A KR19960002530 A KR 19960002530A KR 100380551 B1 KR100380551 B1 KR 100380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latex
vacuum
shell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955A (ko
Inventor
우종표
황중호
허혜진
최수범
조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1996000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551B1/ko
Publication of KR97006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8Destruction of cell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6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of late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카르복실기를 갖는 산 단량체와 비이온성 친수성 단량체를 중합하여 시드(seed)를 형성시키고, 상기 시드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산 단량체(i), 비이온성 친수성 단량체(ii) 및 가교성 단량체(iii)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라텍스의 친수성 코아 부분을 제조하고, 친수성 코아에 소수성 방향족 비닐 단량체(iv)를 중합하여 소수성 쉘을 형성시켜 코아-쉘 구조의 라텍스를 제조하고, 라텍스를 알칼리로 팽윤시키고, 팽윤된 라텍스를 응집 및 건조하여 중공 구조를 갖는 파우더 형태의 입자를 얻은 다음, 건조된 라텍스 파우더를 가스 차단성 필름 또는 쉬트로 진공 포장하여 제조된 진공 단열판은 열전도도가 낮고 단열 특성이 우수하여 단열재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라텍스 입자 파우더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라텍스 입자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밀도의 중공 구조를 갖는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를 건조하여 얻은 파우더 형태의 입자를 가스 차단성 필름이나 쉬트로 진공 포장하여 진공 단열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단열재 제조방법은 열전도도가 낮은 프레온 가스 등을 사용한 것으로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근래에 프레온과 같은 오존층 파괴 물질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가전 제품에 대한 소비전력 규제가 심화되고 있어 새로운 단열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그 어느때 보다도 절실한 형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특정 단열가스 대신 열전도도가 지극히 낮고 공해가 없는 진공을 이용하는 방법이 오래전부터 관심을 끌어 왔고, 최근에 가전제품 등에 적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열 전달의 원인은 전도, 대류, 그리고 복사에 의한 것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공극의 크기가 통상적으로 수 mm 이하인 다공질충의 경우 대류에 의한 열전달은 무시 할 수 있다. 반면 전도에 의한 열 전달은 다공층 고체에 의한 전도와 기공을 채우고 있는 기체에 의한 전도로 나눌 수가 있다. 다공층의 고체 부분에 의한 열 전도는 재료 고유의 열전도도가 낮은 재료를 이용하고 다공층의 공극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다공층내의 기공을 채우고 있는 기체에 의한 전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열전도도가 낮은 가스를 사용하거나 진공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기공의 크기가 클 수록 높은 진공도가 요구된다. 이는 가스의 평균 자유 경로와 기공의 크기와의 관계에 따른 결과이다. 또한 복사에 의한 열 전달은 기공의 크기, 물체의 방사율 등이 주요한 원인이다.
이러한 진공 단열재에 사용되는 다공충 재료의 기본적인 조건은 공극율이 높아야 하고 공극의 크기가 작아야 하며 압축강도가 크고 기공의 형태가 열린 기공(오픈 셀)이며 잔류 의 발분이 적고 가격이 저렴해야 하는 것 등이다.
기존에 고려되어 왔던 진공 보유 다공충 재료로서는 파우더나 화이버 형태의 무기물이 주 연구대상이었다. 그 중에서 실리카 파우더를 진공 단열재로 이용하는 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 4,159,359; 4,425,413, 4,636,415; 및 4,681,788 호 등에서 기술하고 있다. 이들의 특징은 일차 입자 크기가 수십 nm로 매우 미세하여 약한진공(통상 수 torr 이하)에서도 낮은 열전도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나, 제조 가격, 비중, 폐기시의 공해문제 등 여러가지 단점을 지니고 있어 상업화에는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유리 화이버를 이용하는 방법이 미합중국 특허 제 5,090,981 및 5,094,899 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 방법은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감소시킴으로써 0.0001 torr 이하의 높은 진공하에서의 열전도도는 매우 낮으나, 화이버 사이의 공극의 크기가 수십 ㎛로 크기 때문에 강한 진공을 걸어야 하며 이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차단층을 금속 호일을 사용해야 되는 등 차단층의 재료 설계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제조 가격, 비중, 폐기시의 공해등이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다.
한편, 무기 재료에 비해 물질 자체의 열전도도가 매우 낮은 유기물을 이용하는 방안이 미합중국 특허 제 4,681,788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서 기술하고 있는 오픈셀의 폴리우레탄 포움을 이용할 경우 제조공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성 면에서 장점이 있으나, 기공의 크기가 100㎛ 대로 매우 크며 이로 인해 비교적 강한 진공(통상 0.01 torr 이하)에서만 낮은 열전도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포움 내부에 남아 있는 휘발성 잔류물을 제거해야 하며 진공 유지를 위한 가스 차단층의 설계가 복잡해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갖는 진공 단열재를 제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무기 재료에 비해 물질 자체의 열전도도가 매우 낮은 유기 물질을 이용하여 기공의 크기가 1㎛ 이하이고 진공하에서의 공극율이 70% 이상인 저밀도의 중공 구조를 갖는 라텍스를 제조하여 이를 다공층으로 이용함으로써 단열 특성이 우수한 진공 단열판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 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전도도가 낮고 단열 성능이 우수한 진공 단열재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산 단량체(i)와 비이온성 친수성 단량체(ii)를 공중합하여 시드(seed)를 형성시키고; 상기 시드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산 단량체(i), 비이온성 친수성 단량체(ii) 및 가교성 단량체(iii)를 중합하여 라텍스의 친수성 코아 부분을 제조하고; 친수성 코아에 소수성 방향족 비닐 단량체(iv)를 중합하여 소수성 쉘을 형성시켜 코아-쉘 구조의 라텍스를 제조하고, 라텍스를 알칼리로 팽윤시키고; 팽윤된 라텍스를 응집 및 건조하여 중공 구조를 갖는 파우더 형태의 입자를 얻은 다음; 건조된 라텍스 파우더를 가스 차단성 필름 또는 쉬트로 진공 포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공 단열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친수성 단량체로 이루어진 코아 부분과 소수성 단량체로 이루어진 쉘 부분으로 구성되는 코아-쉘 형태의 라텍스 입자를 제조한다. 먼저, 균일한 입자 크기를 유지하기 위해 유화 중합 방법으로 카르복실기를 갖는 산 단량체(i)와 비이온성 친수성 단량체(ii)를 중합하여 시드를 형성한다. 이 시드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산 단량체(i), 비이온성 친수성 단량체(ii) 및 가교성 단량체(iii)를 공중합하여 친수성 코아를 제조한다. 상기 산 단량체(i)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과 같은 반응성 이중 결합이 있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을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되, 전체 단량체 혼합물 기준으로 5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비이온성 친수성 단량체(ii)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매타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 비닐 피리딘,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등과 같이 물에 대한 용해도가 0.5% 이상인 것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 기준으로 60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가교성 단량체(iii)로는 디비닐 벤젠,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알릴 메타크릴레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가교제의 사용으로 코아-쉘 구조의 모포로지를 잘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형성된 코아 부분에 소수성 비닐 단량체(iv)를 중합하여 쉘 부분을 형성시킨다. 상기 소수성 비닐 단량체(iv)로는 스티렌, 메틸 스티렌, 에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클로로 스티렌 및 비닐 나프탈렌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코아 및 쉘을 형성하는 전체 혼합물 기준으로 1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이때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과황산 칼륨, 과황산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화제로는 통상의 유화 중합에 사용되는 벤젠 설폰산 나트륨과 같은 음이온계 유화제 등이 사용된다.
상기 코아-쉘 형성 과정에서 친수성 코아 단량체와 소수성 쉘 단량체의 조성비를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파워 피딩법을 사용하면 균일한 두께의 쉘을 형성시킬 수 있다.
중합이 완료되어 코아-쉘 형태의 라텍스가 제조되면, 암모니아수 등의 알칼리 물질을 이용하여 라텍스의 pH를 7 내지 12로 조절하고 온도를 60 내지 100℃로 승온시켜 코아 부분을 수-팽윤시킨다. 이때 코아 성분과 쉘 성분의 조성비를 조절하고, 코아 및 쉘의 가교밀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라텍스 내부의 공간이 뚫리게 한다. 이어서 상기 수-팽윤된 라텍스를 응집 후 건조시켜 중공 구조를 갖는 파우더 형태의 입자를 얻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중공 구조를 갖는 라텍스 입자는 외경이 0.1 내지 5.0㎛, 내경이 0.05 내지 4㎛, 그리고 내경/외경의 비가 0.1 내지 0.9이며, 입자 하나의 겉보기 부피에 대한 내부 빈 공간의 부피는 약 20 내지 75% 이다. 또한 이 다공질체의 공극 크기는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고, 대기압 상태에서의 공극율은 75 내지 95% 이며, 이를 차단성 필름으로 진공 상태로 포장시 진공하에서의 공극율은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통상의 라텍스는 건조후 진공하에서의 공극율이 약 40 내지 70% 이나 진공 단열재용 다공충 재료로 사용하려면 전술한 바와 같은 다공층의 고체 부분의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줄이기 위해 공극율이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개의 라텍스 입자 자체의 구조를 중공체로, 즉 하나의 라텍스 입자 내부에 빈 공간을 갖게 함으로써 공극율을 70% 이상으로 증대시켰다.더욱이 라텍스 입자 내부의 빈 공간을 제 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열린 기공(오픈셀) 형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공질 층은 종래의 폴리우레탄 오픈셀 포움에 비해 공극의 크기가 매우 작고 또한 공극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동일한 열전도도(k=0.006 W/mK)를 유지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오픈 셀을 이용한 진공 단열재의 경우 진공도를 0.01 torr 이하의 수준으로 유지해야 되는 반면, 본 발명에서 제조된 다공질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의 경우는 0.1 torr 이하의 진공도로도 가능하다. 따라서, 실제 진공 단열판 제조시에 낮은 진공 수준에 의해 제조 설비, 제조 시간, 단열판의 수명 면에서 훨씬 유리할 뿐 아니라, 차단층 설계에 있어서도 잇점을 지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중공 구조를 갖는 라텍스 파우더에 제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피인 가스 차단층(2)으로 진공하에서 포장한다. 가스 차단층(2)은 금속층과 플라스틱이 적층된 필름 또는 쉬트이거나 상이한 두 종류 이상의 플라스틱이 두겹이상 적층된 필름 또는 쉬트이다. 라텍스 파우더를 외피인 플라스틱-금속 적층 필름 또는 금속 호일 사이에 넣고 진공을 걸어 용기내의 진공을 0.1 torr 이하로 유지하여 밀봉함으로써 진공 단열판을 제조한다. 상기 진공 단열판의 열전도도(k-factor)는 0.015W/mK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라텍스 파우더의 모포로지는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입자의 크기는 광 산란에 의한 입자 크기 측정기 인 Nicom에 의한 평균입경으로 측정하였다. 기공의 오픈 쉘 정도는 ASTM D 2856-70의 방법에 따라 공기 비교식 비중계(air pycn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다공성 라텍스 파우더 입자를 차단성 필름으로 진공하에서 밀봉시킨 후의 열전도도는 단열재의 열전도도 측정기기인 Anacon(모델명 TCA 8)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먼저, 교반기, 온도계, 환류콘덴서가 부착되어 있는 2ℓ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1000cc를 넣고 여기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5g, 메타크릴산 0.3g, 도데실 벤젠 설폰산 나트륨 수용액 0.3g(고형분:12 중량%) 및 과황산 칼륨 0.12g을 투입하여 75℃에서 2시간 반응시켜 시트(seed)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동일한 온도에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68g, 메타크릴산 72g, 에릴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2g, 도데실 벤젠 설폰산 나트륨 7.5g(고형분:12 중량%) 및 과황산 칼륨 0.96g을 4 시간에 걸쳐 연속 투입후 2시간 더 반응시켜 코아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중합 완료된 코아 라텍스의 입자크기는 0.25㎛였다.
다음 단계로 상기 제조한 코아 라텍스 218g(고형분:18.3%)과 이온 교환수 400g을 2ℓ 반응기에 투입한 후 75℃로 온도를 유지하였다. 그리고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20g, 이온교환수 80g과 도데실 벤젠 설폰산 나트륨 수용액 2.7g(고형분:12.0중량%)을 혼합한 유화액 혼합조(I)을 제조하였다. 또 다른 혼합조에 스티렌 160g, 디비닐 벤젠 1.5g, 이온 교환수 92g과 도데실 벤젠 설폰산 나트륨수용액 3.6g(고형분:12.0중량%)을 혼합한 유화액 혼합조(II)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조(II)의 유화액을 혼합조(I)에 4시간에 걸쳐 일정한 속도로 투입하고 교반하며 이와 동시에 혼합조(I)의 유화액 혼합물을 일정한 속도로 상기 반응기에 4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투입하였다. 이때 과황산 칼륨 1.08g을 이온 교환수 135g에 녹인 수용액을 유화액 투입 시간과 같게 반응기에 연속 투입하여 중합한 후 2시간 동안 더 반응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코아-쉘 구조의 라텍스는 평균 입경이 0.51㎛인 단분산성 유화 중합체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어서, 반응기의 온도를 90℃로 승온시킨 후 암모니아수(고형분:28 중량%)를 투입하여 반응기내의 pH를 10.8로 유지하여 2 시간 동안 팽윤 시킨후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이렇게 얻은 팽창된 라텍스 입자를 TEM으로 관찰한 결과 중공의 크기가 0.45㎛이고 입자 외경이 0.61㎛인 중공 입자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제 3A및 3B에서 보듯이, 입자 내부의 기공이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형상을 갖고 있었다.
다음, 5ℓ 반응기에 상기 팽윤된 라텍스 입자 1000g(고형분:23.2 중량%), 이온교환수 1000g과 염화칼슘 수용액 1000g(고형분:4 중량%)을 투입하고 70℃에서 1 시간 동안 응집시킨 후, 60℃의 진공 오븐에서 중공형 라텍스 파우더를 얻었다.
이렇게 제조된 라텍스 파우더의 오픈셀 정도는 99.9%로 측정되었다. 또한 대기하의 파우더 겉보기 밀도는 0.118g/cm3, 단열판 제조 후 전공에 의한 차단층의 압축으로 인한 밀도 상승으로 진공 단열판에 적용시의 겉보기 밀도는 0.162g/cm3이었다.
상기의 라텍스 파우더를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부적포로 포장한 후 알루미늄 호일과 가스 차단성 수지가 적층된 차단성 필름을 이용하여 진공 챔버내에서 진공도를 0.01torr로 유지한 상태로 열융착 방법을 통해 밀봉하여 두께 2cm의 진공 단열판을 제조하였다. 이 진공 단열판의 열전도도 값(이하 k-factor)은 0.004 W/nK였다.
실시예 2
진공 단열판 제조를 위한 진공 챔버내의 진공도를 0.1 torr로 유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두께 2cm의 진공 단열판을 제조하고, 각 특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내지 12
코아 및 쉘 유화액(I)과 유화액(II)의 조성비와 진공 단열판을 제조하기 위한 진공 챔버내의 진공도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갈이 변차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진공 단열핀을 제조하고, 각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4
진공 단열판을 제조하기 위한 진공 챔버내의 진공도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진공 단열판을 제조하고, 각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이상에서와 같이, 친수성 단량체로 이루어진 코아 부분과 소수성 단량체로 이루어진 쉘 부분으로 코아-쉘 구조의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를 알칼리로 팽윤시키고, 팽윤된 라텍스를 응집 및 건조하여 중공 구조를 갖는 파우더 형태의 입자를 얻은 다음, 건조된 라텍스 파우더를 가스 차단성 필름 또는 쉬트로 진공 포장함으로써 열전도도가 낮고 단열 특성이 우수한 진공 단열판을 제조할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입구가 개방된 오픈셀 구조의 라텍스 입자의 단면도이고,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라 라텍스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한 진공 단열판의 단면도이며,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라텍스 입자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Claims (10)

  1. 카르복실기를 갖는 산 단량체(i)와 비이온성 친수성 단량체(ii)를 중합하여 시드(seed)를 형성시키고, 상기 시드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산 단량체(i), 비이온성 친수성 단량체(ii)및 가교성 단량체(iii)를 중합하여 라텍스의 친수성 코아 부분을 제조히고, 친수성 코아에 소수성 방향족 비닐 단량체(iv)를 중합하여 소수성 쉘을 형성시켜 코아-쉘 구조의 라텍스를 제조하고; 상기 라텍스를 알칼리로 팽윤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코아 성분과 쉘 성분의 조성비 및 코아와 쉘의 가교밀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쉘의 일부분이 파단되어 개방된 오픈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며 진공하에서의 공극률이 70% 이상인 라텍스 중공 입자를 얻고, 상기 팽윤된 라텍스 입자를 응집 및 건조하여 중공 구조를 갖는 라텍스를 파우더를 얻고; 상기 건조된 라텍스 파우더를 가스 차단성 괼름 또는 시이트(sheet)로 진공 포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공 단열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 단량체의 양이 단량체 혼합물을 기준으로 5 내지 40 중량%이고,상기 비이온성 친수성 단량체의 양이 단량체 혼합물을 기준으로 60 내지 95 중량%이며, 상기 가교성 단량체의 양이 단량체 혼합물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이고, 상기 소수성 비닐 단량체의 양이 코아 및 쉘을 형성하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을 기준으로 10 내지 90 중량%인 것을 특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 단량체(i)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친수성 단랑체(ii)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디메틸 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 비닐 피리딘,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단량체(iii)가 디비닐 벤젠, 에틸렌 글리콜 디아(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알릴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비닐 단량체(iv)가 스티렌, 메틸 스티렌, 에틸 스틸렌, 비닐 톨루엔, 클로로 스티렌 및 비닐 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텍스 입자가 외경이 0.1 내지 5.0㎛, 내경이 0.05 내지 4㎛이며, 내경/외경의 비가 0.1 내지 0.9이고, 입자 하나의 겉보기 부피에 대한 내부 빈 공간의 부피가 약 20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차단성 필름 또는 쉬트가 금속층과 플라스틱이 적층된 필름 또는 쉬트이거나 상이한 두 종류 이상의 플라스틱이 두겹이상 적층된 필름 또는 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장을 0.1 torr 이하의 진공을 유지하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조된 진공 단열판의 열전도도(k-factor)가 0.015 W/mk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02530A 1996-02-02 1996-02-02 라텍스입자파우더를 이용한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0380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530A KR100380551B1 (ko) 1996-02-02 1996-02-02 라텍스입자파우더를 이용한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530A KR100380551B1 (ko) 1996-02-02 1996-02-02 라텍스입자파우더를 이용한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955A KR970061955A (ko) 1997-09-12
KR100380551B1 true KR100380551B1 (ko) 2003-07-18

Family

ID=3741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530A KR100380551B1 (ko) 1996-02-02 1996-02-02 라텍스입자파우더를 이용한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235B1 (ko) 2005-04-01 2007-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789108B1 (ko) 2003-12-30 2007-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 및 흐름성이 우수한 고분자 라텍스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608B1 (ko) * 2000-06-01 2002-08-07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유화중합방법에 의하여 내부기공을 갖는 미세입자의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7701A (ja) * 1983-05-24 1984-12-07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シ−ド重合ラテックスの製造法
KR870001808A (ko) * 1985-08-07 1987-03-28 도라히꼬 하야시 식품을 연속적으로 찌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4997859A (en) * 1989-04-27 1991-03-05 Mobil Oil Corporation Latex coating composition of multilayered copolymer particles of vinylidene chloride and acrylic comonomers
KR930000891A (ko) * 1991-06-25 1993-01-16 최재철 전자 레인지
JPH06234820A (ja) * 1993-02-10 1994-08-23 Takeda Chem Ind Ltd コアシェルポリマー
KR950011507A (ko) * 1993-10-20 1995-05-15 최근선 중공 구조를 갖는 유화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0244811B1 (ko) * 1992-08-19 2000-02-15 그레이스 스티븐 에스. 중공중합체 라텍스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7701A (ja) * 1983-05-24 1984-12-07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シ−ド重合ラテックスの製造法
KR870001808A (ko) * 1985-08-07 1987-03-28 도라히꼬 하야시 식품을 연속적으로 찌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4997859A (en) * 1989-04-27 1991-03-05 Mobil Oil Corporation Latex coating composition of multilayered copolymer particles of vinylidene chloride and acrylic comonomers
KR930000891A (ko) * 1991-06-25 1993-01-16 최재철 전자 레인지
KR100244811B1 (ko) * 1992-08-19 2000-02-15 그레이스 스티븐 에스. 중공중합체 라텍스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234820A (ja) * 1993-02-10 1994-08-23 Takeda Chem Ind Ltd コアシェルポリマー
KR950011507A (ko) * 1993-10-20 1995-05-15 최근선 중공 구조를 갖는 유화 중합체의 제조방법
KR0177182B1 (ko) * 1993-10-20 1999-05-15 최근선 중공구조를 갖는 유화중합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108B1 (ko) 2003-12-30 2007-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 및 흐름성이 우수한 고분자 라텍스 및 이의 제조방법
US8048524B2 (en) 2003-12-30 2011-11-01 Lg Chem, Ltd. Polymer latex having excellent impact-resistance and powder flow proper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0727235B1 (ko) 2005-04-01 2007-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955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i et al. High internal phase emulsion foams: copolymers and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
JPH06509208A (ja) 高分子シートの製造方法
JPH07509755A (ja) 中空構造を持つ乳化重合体の製造方法
US4179540A (en) Fabrication of foamed articles
JP2004517173A (ja) 立体的又は静電的スペーサーでコーテイングされたヒドロゲル
KR101766012B1 (ko) 피커링 현탁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열팽창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515104A (ja) 高内部相エマルション及びそれから作製した多孔性材料
CN112739778A (zh) 树脂组合物及其成型体
KR100380551B1 (ko) 라텍스입자파우더를 이용한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JP2010149024A (ja)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マイクロカプセル、光学シート及び表皮材
US6007905A (en) Wave absorber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S6140335A (ja) 発泡させた合成樹脂熱可塑性粒子およびその製法
JPH1036411A (ja) 多孔質架橋ポリマー材料の製造方法
KR20010073162A (ko) 팽창 폴리비닐아렌 입자의 제조방법
KR20230154883A (ko) 제어된 입자 크기를 갖는 중공 플라스틱 구체
SA516380359B1 (ar) خرز بوليمر قابل للتمدد بالماء
KR100246034B1 (ko) 개방 셀 발포체를 이용한 진공 단열판 및 그 제조 방법
JP5358074B2 (ja) マイクロカプセル、塗膜形成用樹脂組成物、塗膜及び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JP5999438B2 (ja) ケイ素単体を含むエマルション、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活物質粒子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CA1120650A (en) Process for producing expandable thermoplastic resin beads
CN110218397A (zh) 利用绢云母制备超低导热可发性聚苯乙烯树脂的方法
KR100421176B1 (ko) 오픈셀포움을이용한진공단열판의제조방법
US20120301648A1 (en) Biodegradable Expanded Polystyrene Foam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4084124B2 (ja) 電解液用高分子ゲル化剤の製造方法
JP3086478B2 (ja) 多孔性微粒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