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333B1 - 주조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표면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주조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표면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333B1
KR100380333B1 KR1019960046016A KR19960046016A KR100380333B1 KR 100380333 B1 KR100380333 B1 KR 100380333B1 KR 1019960046016 A KR1019960046016 A KR 1019960046016A KR 19960046016 A KR19960046016 A KR 19960046016A KR 100380333 B1 KR100380333 B1 KR 100380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stainless steel
nozzle
concentration
surface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313A (ko
Inventor
김지준
김선구
김종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60046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333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333B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표적인 Ti 첨가 스테인레스강인 321 스테인레스강의 주조시 문제가 되는 노즐 막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TiN의 형성을 억제하여 주조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 표면 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용강중에서 중량 %로 Ti/C 의 비를 8 이상으로 하고, C : 0.025 - 0.04 %, Ti : 0.2 % 이상의 조성을 만족하고, 질소의 농도를 턴디쉬 용강 온도 T(℃)에서 Log(N%) = - 19755/(T+273) + 7.78 + 0.07 [% Ti] - log [%Ti] + 0.045[%Cr] 의 식에 의해 계산되는 농도 이하로 조절하므로써 주조중 노즐 막힘을 방지하고 TiN 의 형성을 억제하여 주조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 표면 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타입(Type)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조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 표면 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타입(Type)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Ti 을 첨가하는 타입(Type) 321 스테인레스강의 연속 주조시 강중에 생성된 Ti 산화물 개재물과 용강과의 혼합에 의한 래들 및 턴디쉬간의 쉬라우드 노즐(Shroud Nozzle) 및 턴디쉬 몰드간의 침지 노즐(Submerged Entry Nozzle)의 막힘을 용강중의 산소, 티타늄, 탄소 및 질소 등의 성분을 적절히 조절하여 노즐 막힘도 방지하고 제품 표면 품질도 양호하게 하는 타입(Type)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i 첨가 스테인레스강은 고내식성이 요구되는 강종에 0.1 - 0.4 % 까지 Ti 을 첨가하여 강중 탄소를 TiC 형태로 고정시키므로써 스테인레스강의 내식성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원소인 Cr 이 탄소와 결합하여 Cr23C8의 형태로 석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된다. 이러한 Ti 첨가 스테인레스강의 생산 공정은 일반직인 스테인레스강 생산 공정인 전기로 - 정련로 - Bubbling 장 - 연속주조의공정에 의해 생산된다. 즉, 전기로에서 스크랩 및 합금철을 녹여 용탕을 만들고 정련로에서는 이 용탕을 산소 및 아르곤 가스를 이용하여 탈탄, 탈린 및 탈황의 정련을 하며, 버블링(Bubbling) 장에서는 연속 주조에 알맞게 온도 및 성분을 조절한다. 특히, Ti 첨가강의 Ti 첨가는 버블링장에서 실시하게 된다. 온도 및 성분이 조절된 용강은 연속 주조에 의해 슬라브(Slab) 형태의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표 1 은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의 조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Ti 첨가시 결정적인 단점은 Ti 이 산소 및 질소와의 친화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제강 공정중 용강중에 Ti 산화물(TiO2) 및 Ti 질화물(TiN)을 형성하며, 이와 같이 형성된 Ti 산화물 및 질화물이 융점이 매우 높아 주조중 노즐 막힘을 야기하고 제품 표면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특히, 주조중 노즐 막힘은 래들 및 턴디쉬간의 쉬라우드 노즐과 턴디쉬와 몰드 사이의 침지 노즐 내부에서 동시에 발생되어 심하게 막히는 경우, 턴디쉬 및 몰드에 용강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주조가 불가능하게 되어 제품 자체를 생산하지 못하는 가장 치명적인 상황을 야기시킨다.
또한, 노즐 막힘이 주조가 중단될 정도로 심하지 않은 경우라도 주조는 가능하지만 침지 노즐로부터의 몰드로의 용강 공급이 불안정하게 되어 제품 표면 품질에 가장 중요한 몰드내 용강 탕면 레벨이 불안정하게 되고 또한, 노즐 막힘 물질자체가 잘려서 용강으로 혼입되어서 대형 개재물에 의해 제품의 표면 품질이 극히 불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조중 노즐 막힘은 생산성 측면 뿐 아니라 제품 표면 품질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금 까지 많은 연구 및 저감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도 1 (가), (나)는 전형적인 Ti 첨가 스테인레스강의 노즐 막힘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노즐 막힘 정도가 심하여 주조가 중단된 경우로 (가)는 노즐 막힘의 외관상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나)는 (가)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막힘 단면은 4 개층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다. 즉, 원래의 노즐 내화물층(4), 노즐 파형을 직집적으로 야기한 층(5), 노즐 내부로 용강이 침투한 층(6), 치밀한 Ti 산화물층(7)의 4 개층으로 이루어지며, 층(6)은 용강과 노즐 재질이 혼재되어 있으며 침투층 두께는 약 4 mm 정도이다. 층(7)은 치밀한 Ti 산화물층으로, 이는 여러 연구자들의 조사에 의하면 용강중 Ti 이 아래의 반응식(1)에 의해 내화물 재질중 SiO2를 환원하여 형성된 Ti 산화물층으로 두께는 1 mm 정도이다.
층(5)은 10 - 20 ㎛ 크기의 수없이 많은 TiO2입자(8)와 용강(9)이 섞여서 나타나며 그 두께는 10 - 20 mm 이다. 도면에서 주조중 용강의 흐름 방향이 (10)으로 표시되고 있다. 결국 노즐 막힘은 강중의 Ti 산화물(TiO2)에 의해 주로 야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노즐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첫째, Ti 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즉, Ti 을 감소시키면 Ti 산화물 및 Ti 질화물의 생성량이 감소할 것이라는 이론이다. 그러나, 이 경우 탄소(C)를 동시에 감소시켜야 하는 부담이 생긴다. 즉,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Ti 첨가 스테인레스강은 내식성 확보를 위해 C 의 함량에 따라 일정비 이상의 Ti 를 첨가하는 것을 설계 기본으로 한다. 통상 그 비율(Ti/C)은 7 - 10 정도이다.
본 발명의 대상인 321 스테인레스강에서는 Ti/C > 8 을 설계 기본으로 한다. 따라서 동일한 비를 만족하기 위하여 Ti 이 적은 경우 탄소를 낮추어야 한다. 탄소를 낮추면 정련로에서 탈탄을 위해 산소 취입량이 증가하게 되어 용강중 용존 산소량이 증가하게 되어 오히려 Ti 산화물이 더 많이 생성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정련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용강 온도가 상승하여 출강후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당량의 냉각제를 투입하게 되어 냉각제 투입중 용강이 대기와 접촉하게 되어 재산화에 의한 개재물의 다량 생성의 가능성이 있다.
둘째의 방법은 Ti 산화물을 원친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Ti 투입 전에 Ti 보다 산소와의 친화력이 큰 Al 을 다량 첨가하여 용존 산소를 없애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Ti 산화물을 거의 형성시키지 않는 반면, 표면 품질에 Ti 산화물 보다 더 해로운 다량의 Al 탈산 생성물인 Al2O3가 형성되므로 이러한 Al2O3를 덜 해로운 CaO-Al2O3로 만들기 위하여 용강에 Ca 을 투입하는 처리를 반드시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Ca 처리의 경우 Ca 자체의 강한 기화성으로 인해 정확한 농도 제어가 매우어려우며 지나치게 적거나 많게 투입되면 원하는 개재물 형상이 얻어지지 않아 표면 결함이 증가하게 되며 특히, 지나치게 많이 첨가될 경우 용강중 Ca 이 턴디쉬와 몰드 사이의 용강 주입을 조절하는 스토퍼 내화물의 Al2O3와 반응하여 저융점 화합물인 CaO-Al2O3를 형성하여 스토퍼의 용손이 심하게 된다. 따라서 용강 주입 조절이 불안정하게 되어 제품 품질이 크게 악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테인레스강의 연속 주조중 노즐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TiN의 형성을 억제하여 주조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 표면 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강중에서 Ti/C 의 비를 8 이상으로 하고, 중량 % 로, C : 0.025 - 0.04 %, Ti : 0.2 % 이상의 조성을 만족하고, 질소의 농도를 턴디쉬 용강 온도 T(℃)에서 Log(N %) = - 19755/(T+273) + 7.78 + 0.07 [% Ti] - log [%Ti] + 0.045[%Cr] 의 식에 의해 계산되는 농도 이하로 조절하므로써 주조중 노즐 막험을 방지하고 TiN 의 형성을 억제하여 주조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 표면 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타입(Type)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 (가)는 타입(Type)321 스테인레스강의 노즐 막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나)는 (가)에서 A 로 표시한 노즐 막힘층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2 (가)는 비금속 개재물을 모사하는 Al2O3기판과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의 접촉 상태를 나타내며, 도 2 (나)는 TiO2기판과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의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은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에 있어서 용강중 타타늄(Ti)과 산소(O)의 평형 관계를 온도의 함수로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며,
도 4 (가)는 스테인레스강 제조시 용강중 탄소 함량과 정련로 출강 직전 용존산소(Free Oxygen)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고, (나)는 탄소의 함량과 출강시 용강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며,
도 5 는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에 있어서 용강중 티타늄(Ti)과 질소(N)의 평형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 방법과 종래 기술의 방법에서의 321 스테인레스강의 연연주비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노즐내화물 2:노즐막힘물질 4:원노즐내화물층 5:노즐막힘층
6:노즐내용강침투층 7:TiO2층 8:TiO2개재물입자 9:응고된 용강
10:용강흐름방향 11:Al2O3기판 12:TiO2기판 13:용강입자
14,15:접촉각
이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가), (나)는 Ti 산화물이 용강과 혼재되어 용이하게 노즐 막힘을 발생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하여 히팅 마이크로스코프(Heating Microscope)를 이용하여 용강과 개재물간의 접촉 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 (가)는 Al2O3재질의 판(11) 위에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13)이 녹아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 (나)는 TiO2재질의 기판(12) 위에서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13)이 녹아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l2O3의 경우는 집촉각(14)이 135°로 TiO2의 접촉각(15)인 100°보다 크게 나타난다. 즉, 용강과의 접촉성이 Al2O3보다 TiO2가 큼을 알 수 있다( 완전 접촉성인 경우 접촉각은 0°이며, 완전 비접촉성일 때 접촉각은 180°임). 이러한 결과는 TiO2개재물이 용강과 혼합되어 있을 때 서로간의 접촉성이 매우 좋으므로 개재물 사이에 존재하는 용강이 쉽게 이동하지 못하고 서로 접촉하여 TiO2개재물 + 용강 상태로 존재하여 도 1 에서 노즐막힘을 야기시킨 층(5)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즐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TiO2개재물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TiO2개재물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Ti 농도를 감소시키거나 용존 산소(Free Oxygen)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우선 다음식의 Ti 와 산소와의 탈산 평형 관계를 열역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도 3 은 열역학적 자료를 이용하여 Ti 와 산소와의 평형관계를 온도의 함수로 나타낸 것이다. 즉, 임의의 Ti 농도 및 온도에서 결정되는 평형 산소 농도 이상으로 산소가 존재하면 평형 산소 농도에 도달할 때 까지 Ti 은 탈산되어 TiO2의 탈산생성물 개재물을 만들 것이며, 반대로 산소가 평형 농도 이하로 존재하면 TiO2개재물은 형성되지 않을 것이다.
도 3 도시와 같이, 평형 산소 농도는 일정한 Ti 농도에서 온도가 감소할수록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특징적인 것은 평형 산소 농도에 미치는 Ti 농도의 영향은 Ti 이 0.1 % 이하일 경우에는 Ti 이 증가함에 따라 민감하게 감소하나 Ti 농도가 0.1 % 이상이 되면 평형 산소 농도는 Ti 농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의 Ti 범위가 0.1 - 0.4 % 이므로 Ti 산화물을 줄이기 위해서 Ti 농도를 낮게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히려 Ti 농도를 줄이기 위하여 탄소를 감소시킬 경우 정련로에서의 탈탄에 따른 부하가 증가하고 장시간 탈탄에 의한 용존 산소 및 용강 온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Ti 산화물의 개재물이 증가하고 다량의 냉각제 사용에 의해 용강의 재산화가 많게 되어 청정도 약화 및 노즐 막힘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발명자는 TiO2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Ti 농도를 어느 정도 확보하여 정련로에서의 탈탄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키고, 탄소(C)의 증가에 의한 용존 산소 및 용강 온도를 감소시켜 노즐 막힘을 방지하고 제품 품질의 개선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였다. 먼저 본 발명자는 최적의 용강중 탄소 농도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강에 대하여 용강중 탄소가 용존 산소 및 용강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도 4 (가)는 용강중 탄소가 용존산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용강중 탄소가 감소함에 따라 용존 산소는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함을 보여 준다. 도 4 (나)는 용강중 탄소의 농도가 용강 온도(정련로 출강직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전반적으로 C 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용강 온도는 상승하며 특히 탄소가 0.025 % 이하로 되면 출강 온도는 크게 증가함을 보여 준다. 즉, 이 농도 이하의 탄소 농도에서는 탈탄 반응과 동시에 기타 성분인 Cr, Mn, Si 등이 동시에 산화되어 용강 온도가 급상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조사 결과로부터 321 스테인레스강에 있어서 TiO2개재물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용강중 탄소 농도를 가능한한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탄소 농도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즉, 탄소가 높아지면 최종 제품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제품으로 사용할 수가 없으며 또한, 정련로에서 정련후 제강 및 연주에 필요한 최소 온도의 확보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321 강의 경우 C 의 최대양은 0.04 %로 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는 321 스테인레스강의 적정 탄소 함량은 0.025 - 0.04 % 정도임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C 의 함량에 해당하는 Ti 의 농도는 321 제품 특성상 Ti/C 비가 8 이상이어야 하므로 0.2 - 0.32 % 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탄소가 0.025 % 이하일 경우의 Ti 농도인 0.2 % 보다 다량으로 Ti을 첨가할 경우 문제가 되는 것은 용강중 Ti 과 질소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TiN 개재물이다. TiN 은 융점이 2000℃ 근방으로 매우 높기 때문에 용강중에 형성되어 여러 TiN 입자가 응집하여 성장하면 비록 노즐 막힘에는 TiO2개재물 보다는 악영향을 미치지 않지만은 제품 표면 품질에는 극히 해롭다. 따라서 TiN 을 용강중, 정확히 말하면 턴디쉬 용강 이전에 형성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Ti 와 질소의 TiN 형성 반응에 대해 열역학적 조사를 하였다.
위식에 대한 평형관계식은 여러 학술 자료에서 발표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여러 자료를 검토 게산한 후 실제 321 스테인레스강에서 TiN 형성 결과와 가장 잘 일치하는 다음 식을 체택하였다.
도 5 는 이 식을 이용하여 321 스테인레스강종에 대하여 Ti 와 질소의 평형 관계를 온도의 함수로 나타낸 것이다. 도 5 도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도 2 의 Ti 와 산소와의 관계와는 달리 321 강의 Ti 농도 범위(0.15 - 0.4 %)에서 평형 질소 농도에 미치는 Ti 농도의 영향은 민감한 것을 알 수 있고, 따라서 TiN 을 감소시키기 위해 Ti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에서 용강중 산소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탄소 및 Ti 를 어느 농도 이상 첨가하되, Ti 농도는 턴디쉬 용강에서 TiN 을 형성하지 않는 질소 농도를 확보한다는 것을 반드시 전제해야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면중표는 TiN 클러스터(Cluster)(여러개의 TiN 이 뭉쳐서 100 ㎛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가 제품에서 존재하는 경우이며,표는 TiN 클러스터가 존재하지 않아 양호한 표면 품질을 나타낸 용강의 턴디쉬에서의 Ti 와 N 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은 턴디쉬 온도인 1500℃ 에서의 Ti 와 질소의 평형선을 기준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다. 즉, 1500℃ 평형선 보다 위에 존재하는 영역(16)의 조성에서는 대부분 TiN 클러스터가 존재하며, 평형성 아래의 영역(17)에 존재하는 조성은 TiN 클러스터가 없다. 이는 턴디쉬 이후에 TiN 이 형성되면 이들이 서로 응집 성장할 기회가 없기 때문에 TiN 클러스터가 형성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제품 표면 품질도 양호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질소의 농도는 턴디쉬 용강 온도에서 (4) 식으로 부터 계산되는 질소 농도 이하로 조절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대한 효과를 실시예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표 2 는 기존의 방법에 의한 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과 본 발명 방법에 의한 제조시 용강의 성분 및 연속 주조 결과인 노즐 막힘 정도 및 주편 상태에서의 TiN 클러스터(Cluster) 개수 등을 비교한 것이다. 여기서 노즐 막힘 정도는 도 1 (나)에 도시한 노즐 막힘층(5)의 길이를 주조후 측정한 결과를 이용한 것이고 TiN 클러스터는 주조후 주편을 가로 50 mm × 세로 50 mm 로 채취하이 연마한 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크기 100 ㎛ 이상의 TiN 클러스터의 개수를 시편의 면적으로 나눈 것이다. 표 2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재 1 및 2 는 Ti 와 질소를 낮추이 TiN 클러스터는 전혀 발견되지 않으나 출강시 산소가 높고 결과적으로 TiO2의 탈산생성물의 개재물을 다량 발생시켜 주조중 노즐 막힘이 심하여 연속 주조 중간에 조업이 중단된 결과를 초래했다. 또한, 비교재 3 은 C 및 Ti 의 농도는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나 질소 농도를 지나치게 높게 하여 주편에 무수한 TiN 클러스터를 발생하고 TiN 에 의한 노즐 막힘도 상당량 발생한 경우이다. 반면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명재 1,2,3 은 노즐 막힘도 10 mm 이하로 양호하고 TiN클러스터토 약간은 존재하나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닌 양호만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도 6 은 본 발명의 조업 방법을 실제 공정에 적용하여 노즐 막힘을 방지함으로써 연연주비의 증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연연주비는 연속 주조 개시후에 연속적으로 주조된 히트(Heat)수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의 한 개의 히트(Heat)는 1 개의 래들에 담긴 용강을 의미하고 통상 1 개의 히트는 90 톤의 용강을 담고 있다. 도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노즐의 막힘으로 인하여 약 1.3 의 연연주비를 나타내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한 조업 방법을 적용한 결과 연연주비는 2 배 이상인 3.0 을 나타내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킨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조 안정성이 확보되고 제품 표면 품질이 양호한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용강중의 탄소(C)와 티타늄(Ti)의 비율 및 조성을 적절하게 조정하고 질소 농도를 소정 범위 이하로 조절함으로써 래들 및 턴디쉬간의 쉬라우드 노즐(Shroud Nozzle) 및 턴디쉬 몰드간의 침지 노즐(Submerged Entry Nozzle)의 주조중의 막힘을 방지하고 TiN 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주조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 표면 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얻어지며,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달성된다.

Claims (1)

  1. 타입(Type) 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으로서, 용강중에서 중량 %로, Ti/C 의 비를 8 이상으로 하고, C : 0.025 - 0.04 %, Ti : 0.2 % 이상의 조성을 만족하고, 질소의 농도를 턴디쉬 용강 온도 T(℃)에서 Log(N%) = - 19755/(T+273) + 7.78 + 0.07 [% Ti] - log [%Ti] + 0.045[%Cr] 의 식에 의해 계산되는 농도 이하로 조절하므로써 주조중 노즐 막힘을 방지하고 TiN 의 형성을 억제하여 주조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 표면 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타입(Type)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KR1019960046016A 1996-10-15 1996-10-15 주조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표면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100380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016A KR100380333B1 (ko) 1996-10-15 1996-10-15 주조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표면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016A KR100380333B1 (ko) 1996-10-15 1996-10-15 주조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표면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313A KR19980027313A (ko) 1998-07-15
KR100380333B1 true KR100380333B1 (ko) 2003-07-18

Family

ID=3741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016A KR100380333B1 (ko) 1996-10-15 1996-10-15 주조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표면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3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791B1 (ko) 2007-10-10 2013-01-11 아뻬람 스테인레스 프랑스 미세 탄질화물을 포함하는 스테인리스 강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4524A (zh) * 2021-02-23 2021-06-18 山西太钢不锈钢精密带钢有限公司 一种321极薄不锈精密带钢产品的生产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791B1 (ko) 2007-10-10 2013-01-11 아뻬람 스테인레스 프랑스 미세 탄질화물을 포함하는 스테인리스 강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313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703B1 (ko) 높은 오스테나이트 결정 조대화 온도를 갖는 철강재 및 그제조방법
KR100889685B1 (ko) 스테인레스강의 고청정 정련방법
KR100380333B1 (ko) 주조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표면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타입 321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CN111940715B (zh) 防堵塞浸入式水口
KR100889686B1 (ko) 등축정율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910006897B1 (ko) 주조 장치의 용융 금속 배출 노즐
JP3865853B2 (ja) 加工割れ感受性の低い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44794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고청정 정련 방법
JP3081067B2 (ja) 溶鋼表面保温剤
KR101022115B1 (ko) 티타늄 함유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JP3953626B2 (ja) 絞り加工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7380900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3393803B2 (ja) 容器内溶鋼の保温剤
KR101015322B1 (ko) 표면 품질이 우수한 고 티타늄 첨가 페라이트스테인레스강의 연속주조방법
KR100226921B1 (ko) 비스무스계 쾌삭강의 제조방법
JPH03257061A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における溶鋼排出機構部の溶鋼接触面用耐火物
JP2981817B2 (ja) 連続鋳造用ストッパーの溶損防止方法
JP3660811B2 (ja) 鋼線用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57934A (ja) 溶鋼のCa処理方法
KR100525920B1 (ko) 코크스 함량 및 크기 조절을 통한 모울드 파우더 제조방법
JP4477971B2 (ja) 低炭素鋼板、低炭素鋼鋳片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89684B1 (ko) 티타늄 함유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CN118109659A (zh) 一种易切削合金模具钢及其夹杂物控制方法
KR100595874B1 (ko) 409 스테인레스강의 연속주조방법
JPH0751822A (ja) 溶鋼表面保温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