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334B1 - 승강기도어부정조작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기도어부정조작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334B1
KR100319334B1 KR1019960703059A KR19960703059A KR100319334B1 KR 100319334 B1 KR100319334 B1 KR 100319334B1 KR 1019960703059 A KR1019960703059 A KR 1019960703059A KR 19960703059 A KR19960703059 A KR 19960703059A KR 100319334 B1 KR100319334 B1 KR 100319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oor
circuit
circuit clos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448A (ko
Inventor
글레이저 월터
Original Assignee
지. 에이. 엘. 매뉴팩쳐링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 에이. 엘. 매뉴팩쳐링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 에이. 엘. 매뉴팩쳐링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6070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3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카 이동 콘트롤과, 도어 콘트롤과, 도어의 위치에 따라 작동되고 적어도 제 1 스위치 접점이 인정되지 않은 인원 또는 누전 회로에 의해 작동 또는 션트되었을 때 한 플로어로부터 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스위치 접점보다 전에 제 1 스위치 접점이 작동될 때 카가 플로어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가적 스위치 접점과 조합되어 카 및 호이스트웨이 도어가 폐쇄되어 카가 플로어로부터 이동하도록 허용할 때 작동하는 제 1 스위치 접점과 카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는 도어 작동 메카니즘과, 제 1 스위치 수단과 추가적 스위치 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다른 회로의 고장에 대해 보호하는 수단을 구비한 자동 승강기 시스템이 기술되었다.

Description

승강기 도어 부정 조작 방지 시스템{Elevator door tampering protection system}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승강기 카(car)에 사용되는 종래의 도어 스위치 및/또는 인터록 스위치에 대한 간섭 또는 누전 또는 그것에 사용되는 회로의 이상으로 인해서 도어 스위치 및/또는 인터록 스위치의 정상적 동작이 수정된 경우에 승강기 카가 플로어(floor)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자동 승강기 카 시스템, 즉, 카가 플로어에 도달할 때 카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카가 플로어를 떠나기 전에 카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시스템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졌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호이스트웨이(hoistway) 도어는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되거나 수동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호이스트 도어가 폐쇄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호이스트 도어가 폐쇄될 때 작동되는 스위치가 있고, 카 도어 또는 게이트(gate)가 폐쇄될 때 작동되며 모든 스위치가 작동되었을 때 카 호이스팅 장치가 카를 다른 플로어로 이동시키도록 허용하는 스위치가 있다. 또한,그러한 시스템은 도어가 카로부터의 출입을 제어하는 플로어와 카가 실질적으로 동일 레벨이 아니면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는 록킹 회로를 통상적으로 포함하고, 또한 도어를 다시 사이클링 시키고 도어의 폐쇄가 방해될 때 플로어로부터 카의 출발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도어상에 안전 에지(safety edge)를 포함한다.
그러한 알려진 시스템은 고의적인 간섭이 없을 때 원활하게 동작한다. 그러나, 어린이, 강도를 하고자 하는자 등은 정상적 도어 동작을 방해하거나 도어가 위치된 플로어를 카가 떠난 후에 호이스트웨이 도어를 개방 상태로 남겨 두기 위해서 장난 또는 범죄의 이유로 정상적 동작에 간섭하고 카를 불능상태로 만드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재미있거나 또는 편리하다는 것을 안다.
예로서, 호이스트 도어가 개방될 때, 그로 인해서 작동되는 스위치는 위의 사실을 아는 자들이 접근할 수 있다. 비록, 도어의 그러한 개방이 종래의 회로에서 관련 카를 정지시키지만, 호이스트웨이 벽상에 있는 호이스트웨이 도어 스위치는 카를 계속 작동하게 허용하기 위해서 불능의 상태로 되거나 션트(shunt)에 의해 의도적으로 바이패스될 수 있거나, 또는 누전에 의해 사고로 바이패스될 수 있다.
유사하게, 카 도어 또는 게이트 스위치는 카 도어웨이 또는 호이스트웨이 도어웨이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스위치가 불능의 상태로 되거나 바이패스되면, 카의 도어가 폐쇄되지 않더라도 카는 이동되어 승객에게 해를 입히고, 카 도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카가 정지 및 시동되게 허용할 것이다.
종래의 승강기 시스템은 또한 자동 슬라이딩 또는 수동 동작 가능 스윙 호이스트웨이 도어를 가질 수 있다.
많은 그러한 알려진 시스템이 사용되고,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승강기 카에 첨가된 회로의 이상 동작을 포함하여 승강기 카의 정상적 작동을 부정 조작(tamper) 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하여 카가 부정 조작 또는 이상이 발생한 플로어에 유지되게 하지 않고 또한 경보를 올리게 하지 않는 비교적 단순한 장치를 그러한 시스템에 첨가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는 또한 새로 설치된 승강기 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카 또는 호이스트웨이 도어로부터 접근이 불가하고 정상적 플로어 도어 스위치가 부정 조작되거나 사고로 바이패스될 때 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되는 건물의 플로어에 이중 호이스트웨이 또는 플로어 도어 스위치가 첨가되는 것이 스윙 호이스트웨이 도어를 갖는 승강기 시스템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이중 스위치는 별도의 와이어링을 가지고 호이스트웨이내에 설치되고, 플로어 도어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의 바이패스만을 방지해야만 한다. 또한, 이중 또는 백업 스위치는 정상적 스위치와 동시에 작동되고, 만약 유사한 스위치가 파워에 의해 작동되는 슬라이딩 호이스트웨어 도어를 갖는 승강기 시스템에 사용되면, 카는 도어가 폐쇄된 상태로 한 플로어에 정지되어 승객 또는 관리자의 추가적 조치 없이는 승객이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출원인의 종래의 특허 제 4,108,281 호에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부정 조작 상황하에서 승강기 카의 동작을 방지하기에 만족스런 도어 부정 조작 방지 시스템을 공개 하였으나, 방지 회로의 부분의 이상, 서비스 인력의 오류 등과 같이 방지 회로가 책임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한 다른 상황이 있다. 또한, 수행되는 기능이관련되는 한 상기 특허 제 4,108,281 호의 회로를 단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표준 승강기 회로는 게이트, 또는 플로어 도어, 스위치, 직렬 접속된 카 도어 록 회로를 가지며, 상기 게이트 스위치는 도어가 폐쇄될 때 첫 번째로 폐쇄되기 때문에, 도어록 부정 조작 또는 누전된 도어 접촉은 게이트 스위치가 폐쇄될 때까지 감지될 수 없다.
게이트 스위치의 폐쇄와 도어 접점의 폐쇄 사이의 도어 이동은 1-l/2 인치 이하이고, 그러한 양의 이동에서 부정 조작은 검출되고 도어 이동은 변경 즉 역전되어야만 한다. 카가 주행하도록 허용하기 위해서 도어가 폐쇄되도록 도어를 수동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허 제 4,108,281 호의 회로에서 회로의 개방 또는 코일의 고장이 있으면, 그러한 고장은 검출되지 않고 방지 기능은 상실된다.
또한, 게이트 및 도어 상태에 응답하는 2 개의 스위치가 상기 특허 제 4,108,281 호의 회로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회로는 스위치들 중의 하나를 제거하는 것을 허용한다.
발명의 요약
후자의 승강기 시스템을 위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정상적 플로어 도어 스위치 또는 정상적 카 도어 스위치가 회로의 이상이 있거나 또는 없이 바이패스 또는 부정 조작될 때, 도어는 폐쇄되는 것이 방지되고 만약 부분적으로 폐쇄되더라도 다시 개방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릴레이 및 접점을 포함하는 스위치 수단과 같은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회로 수단은 종래 기술의 부정 조작 응답 회로에 첨가되며, 종래 기술의 부정 조적 응답 회로의 하나 이상의 콤포넨트의 이상이 있는 경우에 추가적 안전을 제공하기 위해 응답한다.
호이스트웨이와 카 도어가 둘 다 슬라이딩 형태인 때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카의 상부(top)에 직접 올라가지 않고는 접근할 수 없고 카의 상부에의 그러한 접근은 사실상 허가된 인원 또는 그러한 인원의 특수한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만 가능한 승강기 카의 상부에 스위치가 제공된다. 그러한 스위치는 카의 상부에 있는 카 도어 동작 메카니즘에 의해 구동되는 캠에 의해 동작되고, 카 호이스팅 장치를 위한 회로를 차단하는 릴레이를 제어하며, 그것은 도어가 개방되게 하고 그것은 양호한 카가 시동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그러한 도어에 의해 통상적으로 작동되는 스위치가 동작되거나 바이패스되거나 또는 그 회로가 도어가 거의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작동되었을 때 호이스트웨이 도어 또는 카 도어가 거의 완전히 폐쇄되지 않았을 때마다 경보가 울리게 한다. 그러한 거의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서, 그러한 통상적으로 작동되는 스위치는 플로어 또는 카 내부로부터 접근 불가하다. 양호하게, 또한, 호이스트웨이 도어 및 카 도어에는 기계식 상호 결합 장치가 제공되어, 카가 플로어에 있을 때, 플로어에 있는 호이스트웨이 도어는 카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개방될 수 없으며, 카 도어는 플로어에 있는 호이스트웨이 도어를 폐쇄하지 않고 폐쇄될 수 없다.
호이스트웨이 도어가 스윙 도어이고 카 도어가 슬라이딩 형태일 때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한 스위치는 호이스트웨이 도어에 의해 작동되고 도어 프레임 위와 같이 접근 불가한 위치에 위치되고 둘러싸이며, 또한 스위치는 카의 상부의 접근 불가한 위치에 있으며 카 도어 동작 메카니즘에 의해 구동되는 캠에 의해 작동 간으한 2 개의 스위치는 카 호이스팅 장치를 위한 회로를 차단하는 릴레이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그것은 카 도어가 개방 또는 재개방 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그것은 양호하게 호이스트웨이 도어가 거의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호이스트웨이 도어에 의해 통상적으로 작동가능한 스위치가 동작되거나 바이패스 될 때마다, 카 도어가 실제적으로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카 도어에 의해 통상적으로 작동가능한 스위치가 작동되거나 바이패스될 때마다, 카 도어가 실제적으로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도어 인터록 스위치가 작동되거나 바이패스될 때마다, 또는 작동되거나 바이패스된 카 도어 또는 호이스트웨이 도어 스위치가 작동되었거나 바이패스 되었는지를 회로가 나타내지 못할 때마다 경보가 울리게 한다.
본 발명의 한 이점은 승강기 시스템의 정상적 동작에 대한 부정 조작 방지 장치에 종래의 자동 승강기 시스템의 비교적 단순한 변경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이점은 호이스트웨이 및 카 도어들이 둘 다 슬라이딩 형태인 승강기 시스템에서, 호이스트웨이 벽상에 장비를 추가할 필요가 없고, 호이스트 도어 또는 카 도어 스위치가 부정 조작 되었을 때 그러한 부정 조작이 제거될 때까지 도어는 재개방되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자동 구동 카 도어와 자동 구동 호이스트웨이 또는 플로어 도어를 둘 다 갖는 승강기 시스템과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제 2 도는 1-부품(one-part)의 슬라이딩 호이스트웨이 도어와 1-부품 슬라이딩 카 도어의 개략적 부분 평면도이다.
제 3 도는 2-부품 슬라이딩 호이스트웨이 도어와 2-부품 슬라이딩 카 도어의 개략적 부분 평면도이다.
제 4 도는 자동 구동 카 도어와 수동 작동 스윙 호이스트웨이 도어를 가진 승강기 시스템과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제 5 도는 스윙 호이스트웨이 도어에 의해 작동되며 제 4 도에 도시된 스위치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스윙 호이스트웨이 도어의 개략적 부분 평면도이다.
상세한 설명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잘 알려진 형태의 자동승강기 카 시스템의 수정에 과한 것이다. 그러한 시스템과 그것의 콤포넨트는 예로서 미국 특허 제 1,680,771 호, 제 1,876,438 호, 제 1,929,391 호, 제 2,091,450 호, 제 2,185,748 호 및 제 2,432,293 호, 또한 여러 승강기 제작자가 발행한 서비스 매뉴얼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기술 발행물에 설명되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시스템은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1) 건물내의 다수의 플로어 사이에 연장되는 호이스트웨이내에 수직 운동을위해 장착되고, 하나 이상의 부품의 슬라이딩 도어를 가진 하나 이상의 승강기 카.
(2) 상기 카에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플로어에 있으며,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품으로 구성되거나, 1-부품 회전식으로 장착된 스윙 도어로 된 호이스트웨이 또는 플로어 도어.
(3) 상기 카를 한 플로어로부터 다른 플로어로 이동시키고, 카를 한 플로어에 정지시키고, 카가 정지된 플로어에서 적어도 카 도어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호이스팅 장치를 포함하며, 카내에 또한 각각의 플로어에 있는 수동 작동가능 푸시 버튼과 카상에 또한 플로어에 있는 여러 가지 스위치에 응답하는 콘트롤 수단.
(4) 상기 카의 상부에 있으며, 플로어 도어가 스윙 도어일 때 카 도어를 개방 및 폐쇄시키고, 카 도어와 플로어 도어가 모두 슬라이딩 도어일 때 카 도어와 플로어 도어를 둘 다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도어 작동 수단.
(5) 상기 카와 플로어에 있으며, 상기 콘트롤 수단에 접속되며, 모든 도어가 폐쇄되고 록킹될 때 카를 이동시키게 하는 콘트롤 수단내의 회로의 작동을 허용하고, 카 도어의 위치에 따라 제어되고 카가 한 플로어에 있을 때 록킹 메카니즘이 자동으로 해제될 때까지 도어를 폐쇗 아태로 유지하는 록킹 메카니즘에 의해 작동되는 각각의 플로어에 있는 스위치를 통상적으로 포함하는 다수의 스위치.
(6) 승객이 카에 진입하거나 떠날 때 도어의 폐쇄를 방지하며, 도어가 재개방 되거나 적어도 더 이상의 폐쇄 운동을 정지시키는 카 도어웨이내의 방해물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를 통상적으로 포함하는 소위 "안전 에지"가 한 예인 안전 장치.
제 1 도는 사각형(1)을 가진 그러한 자동 승강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점선으로 표시된 4 각형(2, 3, 4)은 각각 그러한 승강기 시스템과 통상적으로 관련된 도어 콘트롤, 카 이동 콘트롤, 도어 작동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스템(1)은 제 2 도에 도시된 슬라이딩 카 도어(6)와, 슬라이딩 호이스트웨이 또는 플로어 도어(8)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한, 시스템은 2 개의 부품(6a, 6b)을 가진 슬라이딩 카 도어(5)(제 3 도)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호이스트웨이 또는 플로어 도어(7)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부품(8a, 8b)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어 콘트롤(2)의 제어하에서 카와 호이스트웨이 도어(6, 8)를 모두 개방 및 폐쇄하는 모터 구동 도어 작동 메카니즘이 승강기 카(9)의 상부에 있고, 상기 도어 콘트롤(2)은 적어도 순간적으로 폐쇄될 때 카와 호이스트 도어(6, 8)가 재개방되고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다시 폐쇄된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접점(SE)을 가진 안전 에지 스위치를 포함한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가정된 승강기 시스템에서, 다소의 플로어가 있을 수 있으나 승강기 카는 3 개의 플로어 사이에서 주행하고, 도어 작동 기구(4)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도어를 위한 록킹 기구가 수동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어를 록킹 할 때 폐쇄되는 적어도 한쌍의 접점(DL1, DL2, DL3)을 제공하는 각각의 플로어에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 폐쇄 수단이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도어가 폐쇄 및 록킹되지 않을 때 카가 위치되는 플로어에서 개방되는 한 플로어의 잡점(DL1)과, 제 2 플로어의 접점(DL2)과 제 3 플로어의 접점(DL3)이 있으나, 그러한 접점은 도어가 폐쇄 및 록킹될 때 폐쇄된다. 또한, "게이트"로서 알려진 카 도어(6)가 완전 폐쇄 위치에 접근할 때 폐쇄되는 한쌍의 접점(GS)을 가진 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 폐쇄 수단이 있다.
접점(DL1, DL2, DL3, GS)은 통상적으로 본 발명을 수정하지 않고 직렬로 접속되어, 그것들이 모두 폐쇄될 때 카 이동 콘트롤(3)상의 회로는 완성되고 카(9)는 플로어로부터 이동한다.
그러한 접점(GS)은 통상적으로 카 도어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지만, 카 도어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도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한 캠(10)을 포함하는 회로 폐쇄 수단이 도어 작동 메카니즘(4)에 첨가되어, 그것의 돌출부(11)는 카 도어(6)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고 스위치(13)의 접점(12)을 작동시킨다. 캠(10)은 접점(12)을 작동시키는데, 즉, 접점(GS)이 폐쇄되기 직전 및 카가 위치된 플로어에 있는 도어 록킹 접점, 예로서 접점(DL1, DL2 또는 DL3)이 폐쇄되기 전에 접점(12)을 폐쇄쇠킨다.
릴레이(GSR)를 포함하는 스위치 수단은 접점(GS)과 직렬 접속된다. 따라서, 접점(GS)이 폐쇄될 때, 릴레이(GSR)는 여기되어 접점(GSR1)을 폐쇄시키고 접점(GSR2)을 개방시킨다.
릴레이(DLR)를 포함하는 스위치 수단은 접점(DL1, DL2, DL3)과 직렬 접속된다. 따라서, 이 접점들이 폐쇄될 때, 릴레이(DLR)는 여기되어 접점(DLR1)을 폐쇄시키고 접점(DLR2)을 개방시킨다.
스위치 수단은 릴레이(GSR DLR)가 탈여기화되고 접점(DLR2, GSR2)이 폐쇄될 때 여기되는 릴레이(DPR, DPRX)를 포함한다. 릴레이(DPR, DPRX)는 또한 스위치(13)의 접점(12)이 릴레이(GSR, DLR)의 상태와 무관하게 폐쇄될 때 여기된다.
릴레이(DPR, DPRX)가 여기될 때, 접점(DPR1, DPRX1)은 폐쇄되고, 접점(DPR2, DPRX2, DPR3, DPRX3)은 개방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접점(DL1, DL2, DL3, GS)의 통상적 작동과 캠(10)의 셋팅은 다음의 시퀀스를 제공하도록 된다.
아래에 주어진 동작의 예는 한 플로어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지만, 동작을 승강기 카가 정지되는 각각의 플로어에서 동일하다.
정상적 동작
승강기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또한 적절히 작동되고, 즉, 릴레이(DLR, GSR, DPR, DPRX)가 적절히 작동되고, 접점(DL1, DL2, DL3, GS)이 수동 동작 또는 기타에 의해 상호 접속되지 않으며, 카와 호이스트웨이 도어가 개방되고, 카(9)는 접점(DL1)을 갖는 플로어에서 정지된다고 가정한다. 제 2 및 제 3 플로어에서의 접점(DL2, DL3)은 그러한 플로어에서의 호이스트웨이 도어가 폐쇄 및 록킹되기 때문에 폐쇄될 것이다. 릴레이(DLR, GSR)는 탈여기화되어 접점(DLR2, GSR2)은 폐쇄되고, 릴레이(DPR, DPRX)는 여기된다. 도어 콘트롤(2)은 회로가 도어 작동 메카니즘(4)으로 하여금 도어(6, 8)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게 하도록 허용하며, 카 도어(6)가 완전 폐쇄 위치의 약 2-1/2 인치내의 위치에 도달할 때, 스위치(13)의 접점(12)은 폐쇄되어 릴레이(DPR, DPRX)가 릴레이(GSR, DLR)와 무관하게 여기된 상태로 유지한다.
카 도어(6)가 완전 폐쇄 위치의 약 2 인치내의 위치에 도달할 때, 접점(GS)은 폐쇄되어 릴레이(GSR)를 여기시키고, 접점(GSR2)을 개방시키며, 접점(GSR1)을 폐쇄시킨다.
다음에는 카 도어(6)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약 3/8 인치내의 위치에 도달할 때, 접점(DL1)은 폐쇄되어 릴레이(DLR)를 여기시킨다. 접점(DLR2)은 개방된다. 접점(DLR1)은 폐쇄되어 접점(DLR1, DL2, DL3, DPR1, DPRX1, CSR1, DLR1)에 의해 카(9)를 시동하는 회로를 완성시킨다.
여기 또는 탈여기화된 위치에서 상호접속된 카 도어 접점 또는 릴레이(GSR)의 고장
다음에는 카 및 호이스트웨이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카(9)가 제 1 플로어에 정지된다고 가정하자. 또한 카 도어 접점(GS)가 수동 작동되거나 바이패스되고, 릴레이(GSR)가 션트 또는 누전 또는 릴레이 고장에 의해 여기된 위치에 고착되고 카 및 호이스트웨이 도어는 폐쇄되기 시작한다고 가정한다. 카 도어(6)와 호이스트웨이 도어(8)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약 2-1/2 인치의 위치에 도달할 때, 접점(GS)을 포함하는 게이트 또는 카 도어 스위치에 접근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도어(6, 8)가 그러한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따라서 접점(12)이 폐쇄되기 전에 접점(GS)이 폐쇄되거나 바이패스 되면, 릴레이(GSR)는 접점(GS) 또는 그것의 바이패스 또는 릴레이 고장을 통해 여기될 것이다. 접점(12)의 폐쇄전에 릴레이(GSR)가 여기화되거나 또는 릴레이가 탈여기화하지 못하도록 고장이 나면 (기계적 바이딩 또는 잔여 자성과 같은) 접점(GSR2)을 개방시켜 릴레이(DPR, DPRX)를 탈여기화시킬 것이다. 접점(DPR1, DPRX1)은 개방되어 콘트롤(3)의 카 시동 회로를 차단시킬 것이고, 안전 에지 스위치 접점(SE)과 병렬인 접점(DPR2, DPRX2)은 폐쇄되어 도어가 재개방되고 접점(GS)이 개방되거나 바이패스가 제거되거나 고장난 릴레이(GSR)가 수리될 때까지 도어가 개방 상태로 유지되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릴레이(DPR, DPRX)는 잘 알려진 형태의 경보 시스템(20), 즉, 여기화 소스를 가진 벨 또는 부자에 접속된 접점(DPR3, DPRX3)을 가지며, 접점(DPR3, DPRX3)이 탈여기화된 릴레이(DPR, DPRX)에 의해 폐쇄될 때 경보가 울릴 것이다.
스위치(GS)의 정상적 작동에 의해서 또는 수동 조작 또는 바인딩(binding) 또는 개방된 회로에 의해 릴레이(GSR)가 여기되는데 실패하면, 카는 카 이동 콘트롤(3)의 회로에서 개방되는 접점(GSR1)에 의해 주행이 여전히 방지된다.
여기 또는 탈여기화된 위치에서 상호접속된 도어 록킹 접점 또는 릴레이(DLR)의 고장
다음에는 카 및 호이스트웨이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카(9)가 제 1 플로어에 정지된다고 가정하자. 또한 도어 록킹 접점(DL1, DL2, DL3)이 수동 작동되거나 바이패스되고, 릴레이(DLR)가 션트 또는 누전 또는 릴레이 고장에 의해 여기된 위치에 고착되고 카 및 호이스트웨이 도어는 폐쇄되기 시작한다고 가정한다. 카 도어(6)와 호이스트웨이 도어(8)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약 2-1/2 인치의 위치에 도달할 때, 접점(DL1, DL2, DL3)을 포함하는 게이트 또는 도어 록 스위치에 접근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도어(6, 8)가 그러한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따라서 접점(12)이 폐쇄되기 전에 접점(DL1, DL2, DL3)이 폐쇄되거나 바이패스 되면, 릴레이(DLR)는 접점(DL1, DL2, DL3) 또는 그것의 바이패스 또는 릴레이 고장을 통해 여기될 것이다. 접점(12)의 폐쇄전에 릴레이(DLR)가 여기화되거나 또는 릴레이가 탈여기화하지 못하도록 고장이 나면 (기계적 바이딩 또는 잔여 자성과 같은) 접점(DLR2)을 개방시켜 릴레이(DPR, DPRX)를 탈여기화시킬 것이다. 접점(DPR1, DPRX1)은 개방되어 콘트롤(3)의 카 시동 회로를 차단시킬 것이고, 안전 에지 스위치 접점(SE)과 병렬인 접점(DPR2, DPRX2)은 폐쇄되어 도어가 재개방되고 접점(DL1, DL2, DL3)이 개방되거나 바이패스가 제거되거나 고장난 릴레이(DLR)가 수리될 때까지 도어가 개방 상태로 유지되게 할 것이다.
스위치(DL1, DL2, DL3)의 정상적 작동에 의해서 또는 수동 조작 바인딩(binding) 또는 개방된 회로에 의해 릴레이(DLR)가 여기되는데 실패하면, 카는 카 이동 콘트롤(3)의 회로에서 개방되는 접점(DLR1)에 의해 주행이 여전히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스위치(13)만이 카 이동을 방지하고, 도어를 개방시키거나 도어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한 플로어에 있는 도어 인터록 스위치(DL1, DL2, DL3) 또는 카 스위치 접점(GS)이 폐쇄되거나 션트되거나 또는 다는 회로들이 도어가 이 스위치에서의 실제적 접근을 방지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이 스위치들이 폐쇄 또는 션트(실제로 폐쇄 또는 션트되었는가 하는 것과 무관하게) 된 것으로 나타내면 경보를 울리기 위해 사용된다.
릴레이(DPR, DPRX)들, 즉, 직렬의 접점(DPR1, DPRX1), 병렬의 접점(DPR2, DPRX2) 및 병렬의 접점(DPR3, DPRX3)이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어느 한 릴레이E가 의도된 방법으로 해제되는데 실패하더라도 필요시에는 다른 릴레이가 해제되도록 여전히 허용하고, 요구되는 모든 기능이 여전히 수행되는데, 즉, 카는 어느 한 릴레이의 접점("1")이 개방된 상태에서 주행하지 않고, 도어는 어느 한 릴레이의 접점("2")에 의해 개방되거나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며, 경보는 어느 한 릴레이의 접점("3")에 의해 울릴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릴레이가 여기되는데 실패하면, 고장이 수리될 때까지는, 카는 정지 상태로 유지되고, 도어는 개방되며, 경보는 울릴 것이다. 또한, 어느 릴레이(DPR 또는 DPRX)가 의도된 대로 함께 작동하는데 실패하면, 이 고장은 검출될 수 있고, 고장이 수리될 때까지 카는 주행이 방지된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릴레이(DPR, DPRX)와 그들의 접점은 추가된 안전을 위해 포함되지만, 추가된 안전 특성이 바람직하지 않으면, DPR 및 DPRX 중의 어느 하나 및 관련 접점은 생략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기술된 시스템은 개방된 회로를 가지고 카가 주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접점(GS) 및 릴레이(GSR) 내의 개방된 회로, 접점(DL1, DL2, DL3)과 릴레이(DLR)내의 개방된 회로 및 회로(DPR1, GSR1, DLR1)내의 개방이 된 회로는 카가 주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릴레이(DPR, DPRX)를 공급하는 회로의 개방은 릴레이(DPR, DPRX)가 탈여기화된 상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개방된 회로가 접점(12)내에 존재하면, 접점(GS 또는 DL1, DL2, DL3)이 접촉될 때 릴레이(DPR, DPRX)는 드롭(drop)되고 개방된 회로가 수리될 때까지 카가 주행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라인의 한 측부가 접지되기 때문에, 라인의 회로 측부상의 사고로 인한 접지는 릴레이를 단락시키고 카가 주행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라인의 + 측의 퓨즈도 나갈 것이고 더 이상의 작동을 방지한다.
도어 인터록 스위치 접점 또는 접점(GS)의 폐쇄 또는 션팅에 대한 방지 또는 경보의 울림을 생략하고자 한다면, 그러한 특징과 관련된 회로, 스위치 및 접점은 생략될 수도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유사하게, 다른 형태의 도어 작동이 본 발명의 콘트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또한 원할 때에는 도어는 카의 출발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폐쇄되도록 허용될 수 있다.
호이스트웨이(8)의 동시적 폐쇄 없이 카 도어(6)의 폐쇄를 방지하는 추가적 보조 장치로서, 카 도어(6)에는 돌출부(30)가 제공될 수 있고 호이스트웨이 도어(8)에는 제 2 도와 같이 돌출부(30)와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31)가 제공될 수 있어서, 카 도어(6)는 호이스트웨이 도어(8)가 역시 폐쇄되지 않는한 폐쇄될 수 없다. 따라서, 두가지 도어가 제 2 도에 도시되었듯이 우측 방향으로 폐쇄된다고 가정하면, 카 도어(6)는 도어(8) 역시 폐쇄되지 않는 한 돌출부(30, 31)로 인해서 폐쇄될 수 없다. 그러한 돌출부(30, 31)로 인해서, 도어(8)가 폐쇄되지 않는한 카(9)는 플로어로부터 출발할 수 없고, 도어(8)는 도어(6)가 폐쇄될 때 카(9)상의 스위치 및 다른 장치에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없다.
유사하게, 제 3 도와 같이, 카 도어 부품(6a, 6b)과 호이스트웨이 도어 부품(8a, 8b)에는 도어(7)를 폐쇄시키지 않고 도어(5)의 폐쇄를 방지하는 상호 결합가능 돌출부(30, 31, 32, 33)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상호 결합가능 돌출부(30 내지 33)에 의해서, 카(9)는 도어(7)가 폐쇄되지 않는 한 플로어로부터 출발하지 않을 것이다.
종래의 스윙 호이스트웨이 도어 시스템과 수정
제 4 도는 호이스트웨이 또는 플로어 도어가 스윙 도어이고 카(9)의 카 도어 작동 메카니즘에 의해 작동되지 않고 오히려 수동으로 작동되는 승강기 설비에의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정을 제외하면, 제 1 도에 도시된 시스템과 유사한 종래의 자동 승강기 시스템을 도시한다. 제 4 도에 도시된 시스템의 카 이동 콘트롤을 주로 호이스트웨이 도어에 의해 제어되는 접점(HD1, HD2, HD3)이 추가되었다는 점에서 제 1 도의 시스템의 카 이동 콘트롤과 다르며, 접점(HD1)은 플로어(1)에 있고, 접점(HD2)은 플로어(2)에 있으며, 접점(HD3)은 플로어(3)에 있다. 이 접점들은 호이스트웨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때 폐쇄되고, 카 도어는 콜(call)이 시동되었을 때 폐쇄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호이스트웨이 도어의 개방은 그 플로어의 접점을 개방시킬 것이고, 회로는 성립되어 카 도어를 개방 상태로 유지할 것이다. 스위치(GS)와 접점의 작동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하에서 앞에서 기술된 바와 같고, 도어 록킹 접점(DL1, DL2, DL3)은 카 도어와 완전 폐쇄 위치에 접근할 때 카 도어 작동 메카니즘에 연결된 캠에 의해 작동되기 때문에,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와 관련하여 앞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동시에 접촉된다.
본 발명의 수정 없이 제 4 도에 도시된 시스템의 정상적 동작에 있어서, 접점(HD1 내지 HD3, GS 및 DL1 내지 DL3)은 직렬 접속되어 카(9)가 플로어로부터 이동될 수 있기 전에 그러한 접점이 모두 폐쇄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호이스트웨이 도어, 카 도어 및 도어 인터록이 의도된 방법으로 작용하면, 승강기 카(9)는 한 플로어로부터 이동되도록 허용된다.
제 4 도에 도시된 시스템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 1 도와 동일한 시스템이 접점(GS, DL1, DL2, DL3)의 보호를 위해서 사용된다. 종래의 릴레이(DO)는 카 도어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기 위한 통상적 접점(DO3, DO4)을 가지며, 접점(HD1, HD2, HD3)은 통상적 직렬 배열에서 접점(GS, DL1, DL2, DL3)과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릴레이(DO)의 추가적 접점(DO1)이 승강기 주행 제어를 위한 새로운 직렬 회로에 첨가된다. 접점(HD1, HD2, HD3)의 보호를 위해서, 종래의 승강기 시스템의 다른 수정예는 또한 호이스트웨이 도어(28)가 개방 및 폐쇄될 때 회전하도록 스윙 호이스트웨이 도어(28)(제 5 도)에 고정된 캠(27)에 의해 작동가능한 접점 (24)을 가진 스위치(23)를 각각의 플로어에 첨가한다. 스위치(23)는 양호하게 호이스트웨이 도어 위에서 호이스트웨이에 장착되며, 그러한 각각의 호이스트웨이 도어(28)에 대해 하나의 스위치(23)가 있고, 양호하게 스위치(23)와 캠(27)은 점선으로 표시된 사각형(29)에 의해 표시된 부정 조작 방지 하우징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각각의 스위치(23)의 접점은 상호 직렬 접속되고, 모든 접점은 모든 호이스트웨이 도어가 폐쇄될 때 폐쇄된다.
각각의 접점(24)은 추가적 접점(DPR4, DPRX4)이 첨가된 릴레이(DPR, DPRX)의 자기-유지 회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접점(DL1 내지 DL3, GS, HD1 내지 HD3)의 통상적 캠(10, 27)의 셋팅은 다음의 시퀀스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정상적 동작
승강기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적절히 작동하며, 즉, 릴레이(DO, DLR, GSR, DPR, DPRX)가 적절히 작동하고, 접점(HD1, HD2, HD3, DL1, DL2, DL3, GS)은 수동 조작 또는 다르게 상호 접속되지 않았으며, 카 및 호이스트웨이 도어는 개방되고, 카(9)는 제 1 플로어에 정지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승객이 카에 진입하고 호이스트웨이 도어(28)가 폐쇄될 때, 접점(24)은 폐쇄되고, 접점(HD1)은 폐쇄된다. 접점(DPR4, DPRX4)에 의한 접점(24)의 사전 폐쇄는 추가 접점(HD1)이 폐쇄되어 릴레이(DO)를 여기시키고 접점(DO2, DO3)을 개방시키며 접점(DO1, DO4)을 폐쇄시킬 때 릴레이(DPR, DPRX)의 탈여기화를 방지한다. 도어 개방 회로는 접점(DO3)에 의해 개방되고, 접점(DO4)의 폐쇄는 카 도어 폐쇄회를 준비시킨다. 그후에, 카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플로어 콜이 있으면 도어 코트롤이 카 도어(6)의 폐쇄를 시작하게 할 것이다. 접점(GS, DL1, DL2, DL3)과 릴레이(GSR, DLR, DPR, DPRX)의 추가적 작동은 슬라이딩 도어에 대한 정상적 동작하에서 기술된 바와 같다.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후에, 접점(DL1, DL2, DL3, DPR1, DPRX1, GSR1, DLR1, DO1)은 폐쇄되어 카 이동 콘트롤(3)내의 회로를 완성시키고 그것은 카(9)가 플로어로부터 시동되게 한다.
호이스트웨이 도어 접점이 상호접속 되었거나 또는 릴레이(DO)가 탈여기화 또는 여기화 하는데 실패한 경우
여기에서도 또한, 카(9)가 제 1 플로어에 정지되고 카 및 호이스트웨이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가정한다. 호이스트웨이 도어(28)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3/4 인치되는 지점에 도달할 때, 접점(HD1)에 접근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만약에 접점(HD1)이 상호접속 되거나 릴레이(DO)가 예로서 션트 또는 누전 또는 릴레이 고장에 의해서 여기된 위치에 고착되면, 릴레이(DO)는 스위치(23)의 폐쇄전에 여기화되고, 점점(24, DO2)은 따라서 릴레이(DPR, DPRX)를 탈여기화 시키어 접점(DPR1, DPRX1)이 개방되게 하여 카 이동 콘트롤 회로의 완성을 방지한다. 접점(DPR2, DPRX2)은 폐쇄되어 회로를 완성시켜 도어 개방 콘트롤에 계속 신호를 보낸다. 접점(DPR3, DPRX3)은 경보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접점(DPR4, DPRX4)은 호이스트웨이 도어가 폐쇄되더라도 이 릴레이의 여기를 방지한다. 상호 접속의 제거 또는 릴레이 이상 동작의 교정은 정상 동작을 허용할 것이다.
릴레이(DO)가 개방 회로 또는 고장난 릴레이로 인해서 정상적으로 여기되지 못하면, 접점(DO1)은 카가 주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4 도에 도시된 스윙 도어의 경우에, 카 도어 접점(GS) 또는 호이스트웨이 도어 접점(DL1, DL2, DL3)의 상호 접점 또는 그들과 관련된 회로의 고장은 슬라이딩 도어에 대한 앞의 설명과 같이 작동할 것이다.
보호 특징중의 어느 하나라도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면, 그러한 특징은 그 특징과 연관된 스위치 및 접점을 생략하므로써 생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형태의 도어 동작은 본 발명의 콘트롤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스위치(13) 대신에 추가적 스위치가 도어 인터록 접점 검출 또는 카 도어 접점 검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타이밍 기능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어가 폐쇄되기 시작하거나 폐쇄 되었을 때 시작되고 카 도어 접점 및/또는 플로어 도어 접점이 통상적으로 접촉되기 전에 종료된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카 도어 또는 플로어 도어 접점이 이 타이밍 기능의 종료전에 접촉되면, 이상 동작이 표시되고 카는 주행이 방지될 수 있고 도어는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전자 수단 예로서 고상(solid state) 장치가 상술한 기계식 릴레이 대신에 사용될 수 있고, 래치되는 전자 수단의 적절한 동작의 체킹을 위해서 추가적 전자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4)

  1. 카 도어를 가진 승강기 카와, 건물내의 다수의 플로어들 사이에 연장되는 호이스트웨이에 상기 카를 장착하는 수단과, 상기 카에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플로어들에 있는 플로어 도어와, 상기 카를 상기 플로어들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플로어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를 한 플로어에 정지시키기 위한 호이스트웨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트롤 수단과, 상기 카가 한 플로어에 있을 때 적어도 상기 카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도어 동작 수단과, 상기 콘트롤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카 도어와 상기 각각의 플로어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콘트롤 수단이 상기 카를 상기 플로어로부터 다른 플로어로 이동시키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카 도어의 위치들에 따라 통상적으로 작동가능한 제 1 회로 폐쇄 수단과 제 2 회로 폐쇄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의 비정상 동작을 일으키는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에 부정 조작이 있을 때 상기 카의 이동과, 상기 카 도어와 각각의 상기 플로어 도어를 폐쇄시키지 않고 상기 카의 이동을 통상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카 도어와 상기 플로어 도어중의 적어도 한 도어의 위치에 따라서 작동가능하고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과 회로내에서 접속되는 제 2 스위치 수단을 구비한 자동 승강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 폐쇄 수단과 콘트롤 수단에 전기 접속되고 상기 제 2 회로 폐쇄 수단과 콘트롤 수단을 분리시키는 안전 회로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안전 회로 수단은 상기 제 2 스위치 수단, 제 1 회로 폐쇄 수단 및 제2 회로 폐쇄 수단에 전기적으로 응답하여, 누전, 접지 및 개방 회로중의 하나로 인해서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 제 2 스위치 수단 및 안전 수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도록 고장난 경우와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 제 2 스위치 수단 및 안전 회로 수단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콤포넨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도록 고장난 경우를 검출하고, 그러한 고장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카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승강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위치에 따라 작동하는 자동 승강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 수단은 상기 플로어 도어의 위치에 따라 작동하는 자동 승강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 수단은 상기 카 도어와 플로어 도어 둘다에 따라서 작동하는 자동 승강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동작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폐쇄를 방지하기 위한 제 3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회로 수단은 상기 카의 이동이 방지될 때 상기 카 도어의 폐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3 스위치 수단에 접속된 제 4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승강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 폐쇄 수단은 상기 카 도어가 상기 카 도어의 폐쇄 위치에 접근하지만 폐쇄 위치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제 1 회로 폐쇄 수단의 폐쇄 상태로 작동하고, 상기 제 2 회로 폐쇄 수단은 상기 카 도어가 실질적으로 폐쇄되고 상기 제 1 회로 폐쇄 수단이 그 폐쇄 상태로 작동되었을 때 상기 제 2 회로 폐쇄 수단의 폐쇄 상태로 작동하며,
    상기 제 2 스위치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위치에 따라서, 또한 상기 제 1 회로 폐쇄 수단이 그 폐쇄 상태로 작동하기 전에 그 폐쇄 상태로 작동하는 제 3 회로 폐쇄 수단과, 상기 제 1 회로 폐쇄 수단과 접속되며 상기 제 1 회로 폐쇄 수단이 그 폐쇄 상태에 있을 때까지 상기 카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 3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 회로 수단은 상기 제 3 회로 폐쇄 수단이 그 폐쇄 상태에 있을 때까지 상기 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회로 폐쇄 수단과 접속된 제 4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제 3 회로 폐쇄 수단이 그 폐쇄 상태에 있을 때까지 상기 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회로 폐쇄 수단과 접속된 제 5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회로 폐쇄 수단, 제 3 스위치 수단 및 제 4 스위치 수단은 한편으로는 상기 제 3 회로 폐쇄 수단과 또 한편으로는 상기 제 3 및 제 4 스위치 수단 둘 모두중의 하나가 폐쇄 상태에 있기만 하면 상기 제 5 스위치 수단을 그 폐쇄 상태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5 스위치 수단에 접속되는 자동 승강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회로 폐쇄 수단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까지 상기 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회로 폐쇄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회로 폐쇄 수단, 제 3 스위치 수단 및 제 4 스위치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 5 스위치 수단과 같은 방법으로 작동되는 제 6 스위치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자동 승강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작동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폐쇄를 방지하기 위해 제 7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5 및 제 6 스위치 수단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카의 이동이 방지될 때 상기 카 도어의 폐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7 스위치 수단에 접속되는 자동 승강기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경보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5 스위치 수단은 상기 제 5 스위치 수단이 상기 카의 이동을 방지할 때 상기 경보 수단을 작동하기위해 상기 경보 수단에 접속되는 자동 승강기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는 슬라이딩 도어이고, 상기 플로어 도어는 스윙 도어이며,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은 상기 플로어 도어의 위치에 따라 작동하는 제 4 회로 폐쇄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회로 수단은 상기 플로어 도어가 실질적으로 폐쇄될 때 폐쇄 상태로 작동되는 제 5 회로 폐쇄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5 회로 폐쇄 수단은 상기 플로어 도어가 실질적으로 폐쇄될 때까지 상기 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5 스위치 수단에 접속되는 자동 승강기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스위치 수단은, 상기 플로어 도어가 그 폐쇄 위치에 접근하지만 그 폐쇄 위치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 3 회로 폐쇄 수단이 그 폐쇄 상태로 상기 카 도어에 의해 작동된 후에, 그 폐쇄 상태로 작동되는 자동 승강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회로 수단은 상기 제 4 회로 폐쇄 수단이 그 폐쇄 상태에 있을 때 까지 상기 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4 회로 폐쇄 수단과 상기 제 2 회로 폐쇄 수단에 접속된 제 6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승강기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 폐쇄 수단은 상기 카 도어가 상기 카 도어의 폐쇄 위치에 접근하지만 폐쇄 위치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제 1 회로 폐쇄 수단의 폐쇄 상태로 작동하고, 상기 제 2 회로 폐쇄 수단은 상기 카 도어가 실질적으로 폐쇄되고 상기 제 1 회로 폐쇄 수단이 그 폐쇄 상태로 작동된 후에 상기 제 2 회로 폐쇄 수단의 폐쇄 상태로 작동하며,
    상기 제 2 스위치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위치에 따라서, 또한 상기 제 1 회로 폐쇄 수단이 그 폐쇄 상태로 작동하기 전에 그 폐쇄 상태로 작동하는 제 3 회로 폐쇄 수단과, 상기 제 1 회로 폐쇄 수단과 접속되며 상기 제 1 회로 폐쇄 수단이 그 폐쇄 상태에 있을 때까지 상기 카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 3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 수단은 상기 제 3 회로 폐쇄 수단이 그 폐쇄 상태에 있을 때까지 상기 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회로 폐쇄 수단과 접속된 제 4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승강기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회로 폐쇄 수단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까지 상기 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회로 폐쇄 수단과 접속되는 제 5 스위치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자동 승강기 시스템.
KR1019960703059A 1993-12-06 1994-12-06 승강기도어부정조작방지시스템 KR100319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712 1993-12-06
US162,712 1993-12-06
US08/162,712 US5443142A (en) 1993-12-06 1993-12-06 Elevator door tampering protection system
PCT/US1994/014024 WO1995015910A1 (en) 1993-12-06 1994-12-06 Elevator door tampering protec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448A KR960706448A (ko) 1996-12-09
KR100319334B1 true KR100319334B1 (ko) 2002-11-23

Family

ID=2258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059A KR100319334B1 (ko) 1993-12-06 1994-12-06 승강기도어부정조작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443142A (ko)
EP (1) EP0738233B1 (ko)
JP (1) JPH09509127A (ko)
KR (1) KR100319334B1 (ko)
CN (1) CN1043631C (ko)
AT (1) ATE199363T1 (ko)
AU (1) AU677501B2 (ko)
BR (1) BR9408253A (ko)
CA (1) CA2177376C (ko)
DE (1) DE69426779D1 (ko)
FI (1) FI962339A0 (ko)
NO (1) NO962350L (ko)
PL (1) PL177925B1 (ko)
RU (1) RU2136573C1 (ko)
TW (1) TW324387U (ko)
WO (1) WO1995015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4111A (en) * 1995-05-08 1997-07-01 New York City Housing Authority Elevator hatch door monitoring system
US5780787A (en) * 1996-10-31 1998-07-14 Otis Elevator Company Monitoring of manual elevator door systems
US6202797B1 (en) * 1999-08-26 2001-03-20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protection of elevator mechanics
DE10122204B4 (de) * 2001-05-08 2008-10-09 Otis Elevator Co., Farmington Aufzugssicherheitssystem
US6630886B2 (en) * 2001-07-10 2003-10-07 Otis Elevator Company Top of elevator car inspection station with alarm
US6603398B2 (en) * 2001-11-16 2003-08-05 Otis Elevator Company Hoistway access detection system
FR2842512B1 (fr) * 2002-07-16 2005-07-22 Jean Patrick Azpitarte Systeme de securisation du fonctionnement des portes palieres d'un ascenseur
FI120088B (fi) * 2007-03-01 2009-06-30 Kone Corp Järjestely ja menetelmä turvapiirin valvomiseksi
EP2214998B1 (en) * 2007-12-03 2016-05-18 Otis Elevator Company Passive detection of persons in elevator hoistway
US8292038B2 (en) * 2007-12-05 2012-10-23 Otis Elevator Company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two elevator cars in a single hoistway
CA2775635C (en) * 2009-10-26 2017-09-12 Inventio Ag Safety circuit in an elevator system
JP5556134B2 (ja) * 2009-11-13 2014-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検出装置
CN101941631A (zh) * 2010-09-01 2011-01-12 广东菱王电梯有限公司 电梯门锁防短接***
IL216841A0 (en) * 2011-12-08 2012-02-29 Yoram Madar Elevator protection against short circuit of safety devices
CN103708311A (zh) * 2013-12-31 2014-04-09 江苏三上机电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施工升降机的笼厢外笼门配电***
JP6272159B2 (ja) * 2014-06-24 2018-01-3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CN106185570B (zh) * 2016-08-26 2018-03-09 上海新时达电气股份有限公司 电梯门锁短接的检测装置
CN108382944A (zh) * 2017-12-31 2018-08-10 杭州句力科技有限公司 一种门机防撞方法
CN108382937A (zh) * 2018-02-02 2018-08-10 杭州句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厅门自动检测方法
CN112061914B (zh) * 2019-06-10 2022-04-12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安全回路检测***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0771A (en) * 1926-03-09 1928-08-14 Otis Elevator Co Control system for elevators
US1876438A (en) * 1928-09-28 1932-09-06 Otis Elevator Co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elevator cars and landing gates
US1929391A (en) * 1929-09-28 1933-10-03 Warner Elevator Mfg Company Elevator controller
US2019456A (en) * 1934-02-13 1935-10-29 Warner Elevator Company Power operated elevator door
US2185748A (en) * 1936-08-27 1940-01-02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US2432293A (en) * 1944-08-19 1947-12-09 United Elevator Service Inc Elevator car door control mechanism
BE695579A (ko) * 1966-03-17 1967-09-01
US4108281A (en) * 1977-05-05 1978-08-22 G.A.L. Manufacturing Corporation Elevator door tampering protection system
US4750591A (en) * 1987-07-10 1988-06-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and motion sequenc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5107964A (en) * 1990-05-07 1992-04-28 Otis Elevator Company Separate elevator door ch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62350L (no) 1996-08-02
RU2136573C1 (ru) 1999-09-10
JPH09509127A (ja) 1997-09-16
WO1995015910A1 (en) 1995-06-15
US5443142A (en) 1995-08-22
EP0738233A1 (en) 1996-10-23
FI962339A (fi) 1996-06-05
KR960706448A (ko) 1996-12-09
AU1511795A (en) 1995-06-27
FI962339A0 (fi) 1996-06-05
PL315719A1 (en) 1996-11-25
CA2177376A1 (en) 1995-06-15
PL177925B1 (pl) 2000-01-31
CN1043631C (zh) 1999-06-16
EP0738233B1 (en) 2001-02-28
NO962350D0 (no) 1996-06-05
ATE199363T1 (de) 2001-03-15
TW324387U (en) 1998-01-01
EP0738233A4 (en) 1997-01-02
AU677501B2 (en) 1997-04-24
BR9408253A (pt) 1997-05-27
CA2177376C (en) 1999-01-12
CN1136796A (zh) 1996-11-27
DE69426779D1 (de) 200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334B1 (ko) 승강기도어부정조작방지시스템
CN111335755B (zh) 车门紧急解锁控制方法和车门***
US7237655B2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hoistway access
US8941964B2 (en) Elevator protection against short circuit of safety devices
CA2487234C (en) Door restrictor
US4108281A (en) Elevator door tampering protection system
CN110217674B (zh) 电梯的电梯进入***
KR0150044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920010419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
US3461422A (en) Protection signalling system for self service elevators
US11542119B2 (en) Elevator access systems for elevators
JPH0977412A (ja) エレベータの故障復旧装置
JP4637347B2 (ja) エレベータの保守点検用設備
SU16611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еспечени безопасности работы лифта
CN117585551A (zh) 电梯坑维护***
CA1105160A (en) Elevator system door tampering protection circuits
JPH0423588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6020314B2 (ja) エレベ−タ運転装置
JPH05139671A (ja) エレベーターホールドアのロツク点検装置
KR19980068401A (ko) 엘리베이터의 추락방지 장치
JPH01192691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