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074B1 - 어큐뮬레이터 - Google Patents

어큐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074B1
KR100304074B1 KR1019980017582A KR19980017582A KR100304074B1 KR 100304074 B1 KR100304074 B1 KR 100304074B1 KR 1019980017582 A KR1019980017582 A KR 1019980017582A KR 19980017582 A KR19980017582 A KR 19980017582A KR 100304074 B1 KR100304074 B1 KR 100304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pace
pipe
oi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455A (ko
Inventor
도시히데 고오다
마사히로 스기하라
미호코 시모지
나오키 다나카
히토시 이이지마
마사키 도요시마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90006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2Centrifugal separation of gas, liquid or 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어큐뮬레이터로부터 유출되는 액냉매유량이 과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 어큐뮬레이터 내부에 고이는 냉동기유량을 적게해서 압축기내의 냉동기유의 필요량을 확보할 수 있는 어큐뮬레이터를 얻는다.
냉동공조회로를 순환하는 유체인 액체와 기체를 유입수단(3)에 의해 제1공간(1)에 도입하고 가스냉매를 기체유통수단(4), 제2공간(2), 유출수단(5)을 경유해서 냉동공조회로에 도출한다.
또 액면높이보존수단(7),(8)에 의해 제1공간(1)에 도입된 액체의 체류높이가 소정의 높이 이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정의 높이 이상이 되었을때에 액체 유통수단(4)에 의해 제1공간내의 액체를 제1공간(1)으로부터 제2공간(2)으로 이동시킨다.
또 반려수단(6)에 의해 제1공간(1)에 체류되어 있는 냉동기유를 냉동공조회로에 도출한다.

Description

어큐뮬레이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나 냉동기등의 냉동공조회로를 구성하는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예를들어 냉매 R22 과 광유(냉동기유)과 같이 상호간에 용해성이 있는 냉매와 냉동기유를 사용해서 냉동공조회로를 구성했을때의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에 대해 기술한다.
도 31 은 문헌(「밀폐식압축기」 가와히라무쓰요시저, 일본 냉동협회발행, 소화 56 년 7 월 30 일)에 기재된 대표적인 어큐뮬레이터의 구성을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51 은 용기, 152 는 흡입관, 153 은 토출관, 153a 는 토출관(153)의 저부에 설치된 유회수공, 153b 는 토출관(153)의 단부로, 토출관입구, 154 는 용기(151)내부에 체류하는 냉동기유와 용해관계에 있는 액냉매(냉동기유가 용해되어 있는 상태), 155 는 가스냉매이다.
이하, 이 어큐뮬레이터의 동작에 대해 기술한다.
이 어큐뮬레이터가 내장된 냉동공조회로에서, 가스냉매(155)와 액냉매(냉동기유를 포함)(154)가 흡입관(152)를 통과하고, 화살표 A 와 같이 용기(151)에 유입한다.
용기(151)의 내부공간에서 냉매가스와 액냉매(냉동기유를 포함)(154)가 기액분리되어, 가스냉매(155)는 토출관입구(153b)로부터 토출관(153)을 통과해서 용기(151)의 외부로 유출된다.
한편, 액냉매(냉동기유를 포함)(154)는 용기(151)하부에 모이고, 액냉매(154)에 용해에 있는 냉동기유는 유회수공(153a)을 통해서 가스냉매(155), 액냉매(154)와 함께 화살표 B 와 같이 압축기에 유출해간다.
유회수공(153a)의 크기는 냉동기유의 회수를 확실하게 하는 크기로 설정해 놓았다.
도 31 에 표시한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의 문제점을 아래에 기술한다.
냉동공조회로를 운전하는 경우, 운전상황에 따라서는 용기(151)내부에 도 31 에 표시하는바와같이 액냉매(냉동기유를 포함) (154)가 체류하는 바와같은 상태가 발생한다.
유회수공(153a)으로부터 토출관(153)의 내부에 유입하는 액냉매(냉동기유를 포함)(154)의 유량은, 토출관(153)내를 흐르는 가스유속의 증가와 용기(151)내부에 체류하는 액냉매량, 즉 액냉매 높이 H의 증대와 함께 증가한다.
여기서, 가스유속을 일정치로 한 경우의 유량특성을 도 32 에 표시한다.
도면에서 횡축을 액냉매면 높이 H(mm), 종축은 유회수공(153a)으로부터 토출관(153)에 유입하는 액냉매(냉동기유를 포함)(154)의 유량(kg/h)를 표시하고 있다.
이 유회수공(153a)으로부터 유입하는 유량은 도 32 에 표시하는바와같이, 대략 일정유량에 액냉매면 높이 H(mm)의 자숭근에 거의 비례하는 유량이 가해진 유량특성이 된다.
단, 액냉매면 높이 H 는 유회수공(153a)으로부터 액냉매(154)의 표면까지의 높이로 한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냉동공조회로에서는 어큐뮬레이터의 토출관으로부터 유출한 가스냉매는, 압축기에 흡인되고, 그후 압축되어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바와같이, 종래구조의 어큐뮬레이터에서는 용기(151)내부에 다량의 액냉매(154)가 체류한 경우, 어큐뮬레이터의 토출관(153)에 유입하는 액냉매유량이 과대하게 되는 현상이 있다.
이때, 압축기는 다량의 액냉매를 흡인하는 상태가 되고, 액냉매 압축상태가 되어 이상고압이 발생한다.
또 압축기내부에서는, 급유펌프가 액냉매를 흡입해서 베어링이나, 미끄러져 움직이는 부분에 액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베어링의 윤활불량도 발생한다.
이결과, 압축기내부의 기구의 파괴나 압축기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부분에서의 이상마모나 녹아붙는 현상의 원인이 된다.
다음, 냉동공조회로에 냉매와 용해성이 없는 냉동기유를 적용한 어큐뮬레이터의 유량특성과 그 문제점에 대해 기술한다.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3 은 일본국 실개평 5-39409 호 공보에 기재된 어큐뮬레이터의 구성을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201 은 용기, 202 는 흡입관, 203 은 토출관 , 204 는 용기(201)내부에 고인 액냉매, 205 는 냉동기유이다.
203a~203e 는 토출관(203)의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복수의 유회수공이고, 이예에서는 5개 설치되어 있다. 203f 는 토출관(203)의 단부인 가스입구, U 는 토출관(203)내의 가스유속을 표시한다.
이 어큐뮬레이터를 내장한 냉동공조회로에서, 가스냉매, 액냉매 및 냉동기유를 포함한 유체가 흡입관(202)을 통과해, 용기(201)에 유입한다.
용기(201)의 내부공간에서 가스냉매와 액냉매가 분리되고 가스냉매는 가스입구(203f)로부터 토출관(203)을 통해서 용기(201)의 외부에 유출한다.
한편 액냉매(204)와 냉동기유(205)는 용기(201)하부에 모인다.
냉동기유(205)가 액냉매(204)와의 용해성이 미약하거나 용해성이 없는 특성을 갖거나, 또는 운전조건에 의해 액냉매(204)와 상분리하는 특성을 갖을 때, 용기(201)의 내부의 냉동기유(205)와 액냉매(204)는 도면에 표시하는바와같이 분리하고, 액면높이 H 의 액냉매(204)의 상층에 두께 h에서 냉동기유가 부유한다.
유회수공(203a~203e)는 상하방향으로 여러개 설치되어 있고, 냉동기유(205)와 액냉매(204)는 유회수공(203a~203e)로부터 토출관(203) 내로 흡인되고, 가스냉매와 혼합해서 흐른다.
다음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한다.
도 34 는 일본국 실개소 58-87089 호 공보에 기재된 어큐뮬레이터의 구성을 표시하는 종단면도이고, 어큐뮬레이터내부의 구조가 도 33 에 표시한 종래장치와 다르게 되어 있다.
도면에서 206 은 용기, 207 은 흡입관, 208 은 토출관으로, 208a~208e 는 토출관(208)의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복수의 유회수공이다.
209 는 액냉매, 210 은 냉동기유를 표시한다.
이 어큐뮬레이터를 내장한 냉동공조회로에서 가스냉매, 액냉매 및 냉동기유를 포함한 유체가 흡입관(207)을 통해 용기(206)에 유입한다.
용기(206)의 내부공간에서 가스냉매와 액냉매가 분리되고, 냉동 기유(210)와 액냉매(209)는 2상 분리하고, 비중이 작은 냉동 기유(210)는 액냉매(209)의 상층에 부유한 상태가 된다.
유회수공(208a~208e)는 상하방향으로 여러개 설치되어 있고, 냉동 기유(210)와 액냉매(209)는 유회수공(208a~208e)로부터 토출관(208) 내에 흡인되어, 가스냉매와 혼합해서 흐른다.
상기 2개의 종래예 모두 같은 작용과 문제점이 있다.
이하 도 33 에 표시한 종래예를 대표로해서 작용을 설명하고 그 문제점을 진술한다.
유회수공(203a~203e)으로부터 토출관(203)의 내부에 유입하는 액냉매의 유량은, 토출관(203)내를 흐르는 가스유속 U 의 증가와 용기(201)내부에 체루하는 액냉매량, 즉 액냉매 높이 H의 증대와 함께 증가한다.
여기서 가스 유속 U를 일정치로 하고, 또 액냉매(204)의 상층에 부유하는 냉동기유(205)의 두께 h를 일정하다고 가정했을때의 유량특성을 도 35 에 표시한다.
도면에서 횡축은 액냉매면 높이 H(mm) 종축은 토출관(203)에 유입하는 유량(kg/h)을 표시하고 있다.
또 점선은 각각의 유회수공(203a~203e)로부터 유입하는 개별의 액냉매유량이고, 우측이 올라간 1점쇄선은 각 유회수공으로부터 유입하는 유량의 총화가 되는 총액냉매유량을 표시한다.
액냉매높이 H 가 증가함에 따라 액냉매(204)중에 존재하는 유회수공의 수가 증가한다.
이때 하방의 유회수공으로부터 유입하는 유량도 많아진다.
이 때문에 총액냉매유량은 액냉매높이 H 에 비례해서 증가하는 것이 아니고, 높이 H 가 증가하는데 따라서 가속적으로 증가한다.
즉 어큐뮬레이터 내부에서의 액냉매면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토출관(203)내로 흡입되어서 어큐뮬레이터로부터 유출하는 액냉매(204)의 량이 증가한다.
다음 기름의 유량에 대해 설명한다.
도 35 에 표시한 톱니상태의 유량을 표시하는 실선은, 상층부에 부유해 있는 냉동기유(205)가 유회수공을 통해서 토출관(203)으로 유입하는 유량을 시하고 있다.
또, 도 36 에는 기름의 유량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를 표시한다.
냉동기유의 량은 그 어큐뮬레이터가 내장된 냉동공조회로에 의해 결정되는것이나, 통상은 어큐뮬레이터내에 냉동기유가 너무 많이 차지 않도록 유회수공의 직경을 결정하므로, 어큐뮬레이터의 밀폐용기(201)내에 체류하는 냉동기유의 량의 증감은 별로 없다.
따라서 냉동기유의 두께 h 중에 존재하는 유회수공의 수는 유회수공 의 간격에도 달렸으나 통상은 1개나 2개가 된다.
도 36(a)는 냉동기유(205)가 2개의 유회수공(203c),(203d)의 범위에 체류하고 있는 경우이고, 도 36(b)는 (a)와 같은 냉동기유의 두께 h 이나, 1개의 유회수공(203d)의 범위에 체류하고 있는 경우이다.
즉 액냉매높이 H의 변화에 의해, (a)의 상태에도 (b)의 상태도 될 수 있다.
당연하나 양자의 상태의 차이는 기름의 유량의 변화가 되고, (a)는 (b)보다도 기름의 유량이 많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냉동기유의 두께 h 가 일정할때도 액냉매높이 H 의 변화에 따라, 토출관(203)에의 기름의 유량은 어느정도 변화한다.
실제로는 도 35 에 표시하는바와같이 톱니상태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어큐뮬레이터에 유입하는 가스냉매중에 액냉매가 혼입하고 이 어큐뮬레이터 내에서의 액냉매량이 과다해지는 운전상황하에서, 종래 구조의 어큐뮬레이터에 액냉매와 상분리하는 냉동기유를 적용한 경우(도 33,도 34)에서는 유회수공의 수가 많기 때문에 다량의 액냉매가 유입하는 상태가 된다.
이런 경우, 압축기는 액압축상태가 되어 이상고압이 발생한다.
또, 압축기 내부에서는 급유펌프가 액냉매를 흡입하고, 베어링이나 미끄러져 움직이는 부분에 액냉매를 공급하기 때문에 베어링의 윤활불량도 발생한다.
이결과, 압축기내부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부분에서의 이상마모나 눌러 붙는 형상의 원인이 되고, 냉동공도회로로서 냉각불량이나 운전불능등의 이상상태를 초래한다.
이는 냉매와 용해성이 있는 냉동기유를 적용하는 경우보다도 신뢰성이 결여되는 일도 있다.
이상의 종래장치의 설명에서 알수 있듯이, 냉동공조회로에 내장되는 어큐뮬레이터로부터 도출되는 액냉매의 유량은 어느한계량이하로 할 필요가 있고, 또 압축기를 원활하게 동작시키기 위해 냉동기유의 유량은 어느정도이상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 이 양한계치는 내장된 냉동공조회로에 의해 다소의 차이가 있다.
도 33 이나 도 34 등 종래의 구성에서 액냉매의 유량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예를들면 유회수공을 소경화하면되나 유회수공의 최소경은 처리해야할 냉동기유의 유입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한도가 있다.
또 과도한 소경화는 대량생산에는 맞지 않을뿐 아니라, 공경이 작으면 먼지등의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져 한도가 있다.
따라서, 어느정도 이상의 공경 예를들면 통상최저, 1.5mm 정도의 공경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고, 이것으로는 액냉매의 유량을 저감할 수가 없다.
또, 도 33 이나 도 34 에서는 기름의 유량특성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도 있다.
즉 가령 유회수공의 직경을 작게 설정한 경우, 액냉매의 유량을 저감할 수 있으나 한편에서는 유유량도 적어져, 냉동기유로서의 목표유량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 경우 어큐뮬레이터 용기 내부에 다량의 기름이 고여, 압축기 내부의 유량이 격감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에서는, 압축기는 다량의 액냉매를 흡인하는 상태가 되고, 액냉매 압축상태가 되어 이상고압이 발생한다.
또 압축기내부에서는 급유 펌프가 액냉매를 흡입하고, 베어링이나 미끄러져 움직이는 부분에 액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베어링의 윤활불량도 발생한다.
이 결과, 압축기내부의 기구의 파괴나 압축기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부분에서의 이상마모나 눌러붙음 등 현상의 원인이 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에서는 냉매에 용해성이 있는 냉동기유를 적용하는 경우나, 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를 적용하는 경우에, 액냉매 유량 및 냉동기유 유량을 적당량으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고, 이 때문에, 압축기의 운전신뢰성을 손상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된 것으로, 어큐뮬레이터로부터 유출하는 액냉매 유량이 과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압축기에 유입하는 액냉매유량을 억제하는 동시에, 어큐뮬레이터 내부에 모이는 냉동기유의 량을 적게해서 압축기내의 냉동기유의 필요량을 확보할 수 있는 어큐뮬레이터를 얻어, 결과적으로 압축기나 냉동공조회로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구성에 관한 어큐뮬레이터는, 냉동공조회로를 순환하는 유체인 액체와 기체를 유입수단에 의해 도입하는 제1공간, 기체유통수단에 의해 기체를 제1공간으로부터 도입하고 유출수단에 의해 냉동공조회로에 도출하는 동시에 액체를 축적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제2공간, 제1공간에 도입한 액체의 체류높이가 소정의 높이 이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액면높이 유지수단, 제1공간내에서 소정의 높이 이상이 되었을때에 액체를 제1공간에서 제2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액체유통수단 및 제1공간의 소정의 높이보다도 낮은 위치에 개구하고, 제1공간에 체류해 있는 액체를 냉동공조회로에 도출하는 반려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구성에 관한 어큐뮬레이터는 제1의 구성에서의 액체유통수 및 기체유통수단을, 일단부가 제1공간의 기체부에 개구하는 동시에 타단부가 제2공간에 개구하고, 제1공간에서의 기체부와 액체체류부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배치할 기체유통관으로 구성하고, 액면높이 유지수단을, 제1공간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기체유통관에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서 연통하는 연통부와, 연통부와 제1공간내의 상부를 연통하는 제1경로와, 연통부와 제1공간내의 소정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의 공간을 연통하는 제2경로를 갖는 것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3의 구성에 관한, 어큐뮬레이터는 제 1 또는 제2의 구성에서, 제2공간내에 축적한 액체를 제1공간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b 는 도 1a의 X-X 선 단면도,
도 2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액면(유면)높이가 h2이상에 있는 경우의 종단면도,
도 2b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액면(유면)높이가 h2이하에 있는 경우의 종단면도,
도 2c 는 본 발명에서 냉동공조회로의 운전상태로서 증발기로부터 어큐뮬레이터에 액냉매의 유입이 없고 가스냉매와 냉동기만이 흘러드는 것을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3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3b 는 도 3a 의 X-X 선 단면도,
도 4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3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4b 는 도 4a 의 X-X 선 단면도,
도 5 는 실시의 형태4에 관한 제1용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6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7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5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7b 는 도 4a 의 X-X선 단면도,
도 8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6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8b 는 도 8a 의 X-X선 단면도,
도 9 는 실시의 형태6에 관한 냉매 흡입관을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0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6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0b 는 도 10a 의 X-X선 단면도,
도 11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7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1b 는 본 발명의 제1용기에 유입되는 냉동기유와 액냉매가 분리되어 가스유통관과 유반려관으로 분리되어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2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8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2b 는 도 12a 의 X-X선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8에 관한 제2용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9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0 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6a 는 실시의 형태 10 에 관한 이동수단의 제1개폐밸브는 개방하고, 제2개폐밸브는 폐쇄한 동작을 표시하는 단면도,
도 16b 는 실시의 형태10에 관한 이동수단의 제1개폐밸브는 폐쇄하고, 제2개폐밸브는 개방한 동작을 표시하는 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1 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18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2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19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3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20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4 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5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2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6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2b 는 도 21a 의 X-X선 단면도,
도 23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7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3b 는 도 23a 의 X-X선 단면도,
도 24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8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4b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8에 의한 어큐뮬레이터의 요부를 확대한단면도,
도 25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9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5b 는 도 25a 의 X-X 선 단면도,
도 26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0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6b 는 도 26a 의 평면도,
도 27 은 실시의 형태 20 에 관한 가스유통관을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8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1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8b 는 도 28a 의 X-X선 단면도,
도 29a 는 도 29a 의 X-X 선 단면도,
도 30a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2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30b 는 도 30a 의 X-X 선 단면도,
도 31 은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의 1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32 는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액냉매면 높이(mm)에 대한 액냉매와 냉동기유의 유량(kg/h)을 표시하는 특성도,
도 33 은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의 다른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34 는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의 또 다른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35 는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액냉매면 높이(mm)에 대한 액냉매와 냉동기유의 유량(kg/h)을 표시하는 특성도,
도 36a 는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의 유량의 특성의 변화를 냉동기유가 2개의 유회수공의 범위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6b 는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의 유량의 특성의 변화를 냉동기유가 1개의 유회수공의 범위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에 나타낸 주요부분의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 1 용기, 2. 제2용기,
3. 흡입관, 4,12. 가스유통관,
5. 토출관, 6. 기름반려관,
7,13. 통기관, 8,14 연통관,
9. 가스냉매, 10,10a. 액냉매,
11,11a. 냉동기유, 15. 가스유통관,
16. 냉동기유가 용해한 액냉매,
17,20,23,27. 원통, 18,21. 극간,
19,22,26,29. 가스유통관, 24,25. 냉매흡입관,
28. 냉매반려관, 29. 냉매반력공,
30. 플로트, 31,31a. 연통관,
31b. 연통공, 32. 가스유통관,
34. 중간용기, 35,36. 개폐밸브,
37a,37b,37c,37d. 연통관 38,40,43. 흡입관,
39,41,44a,44b,44c. 유회수관, 45. 액면안정판,
46,47. 정류판, 60,70,80,89,100,111,123,135. 어큐뮬레이터 용기,
61,71,81,90,112,124,136. 칸막이판,
62,72,82,91,102,113,125,137. 제1공간,
63,73,83,92,103,114,126,138. 제2공간
64,74,84,93,104,115,127,139. 흡입관
65,75,94,105,116,128,140. 가스유통관,
66,76,95,106,117,141. 통기관,
66,77,96,107,11,142. 연통관,
68,78,87,98,109,120,130,144. 토출관,
69,143. 유반려공
79.88.99,108,119,129. 유반려관
81a. 가스유통공 85.분리판,
86,133. 냉매흡입관, 97. 연통관,
101. 내용기, 105a. 연통공,
121,122,131,132,145,146. 유회수관,
134. 원통.
실시의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에 의한 냉동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로서, 제1용기가 제2용기 하부에 배치된 것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1(a)는 종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X-X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냉동공조회로에 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를 적용하는 것을 상정한다.
도면에서, 1 은 제1공간이고 여기서는 제1용기, 2 는 제2공간으로 여기서는 제2용기, 3 은 냉동공조회로를 순환하는 가스냉매, 액냉매, 냉동기유를 유입하는 유입수단으로 예를들면 흡입관, 4 는 액체유통수단과 기체유통수단을 겸한 관으로 여기서는 가스유통관, 4a 는 가스유통관입구, 4b 는 가스유통관출구이다.
가스유통관(4)는 주로 제1용기(1)의 가스냉매를 제2용기(2)에 도입시키는 것이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냉매나 냉동기유도이 가스유통관(4)을 통해서, 제2용기(2)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5 는 가스냉매를 냉동공조회로에 도출하는 유출수단으로, 여기서는 토출관, 6 은 제1용기(1)에 체류해 있는 냉동기유를 냉동공조회로에 도출하는 반려수단으로 여기서는 유반려관, 7 은 통기관, 8 은 연통관, 9 는 가스냉매를 표시한다.
가스유통관(4)은 일단부가 제1용기(1)의 기체부에 개구하는 동시에 타단부가 제2용기(2)에 개구해 있다.
그리고, 제1용기(1)내에서의 가스유통관(4)는 기체부와 액체체류부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1용기(1)의 저부에서 액면을 유지하고 싶은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서 연통관(8)과 연통해 있다.
이 연통관(8)은 통기관(7)에 접속되고, 연통관(8)이 접속된 부분에서 통기관(7)의 상단부(7a)의 관로에 의해 연통관(8)과 제1공간(1)내의 상부를 연통하는 제1경로를 구성하고, 연통관(8)이 접속된 부분에서 통기관(7)의 하단부(7b)의 관로에 의해 연통관(8)과 제1공간(1)내의 소정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의 공간을 연통하는 제2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하 이와같이 구성된 어큐뮬레이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냉동 공조회로의 증발기를 나온 가스냉매(9)는 흡입관(3)으로부터 제1용기(1)에 들어가고, 다시 가스유통관(4)를 거쳐서 제2용기에 들어가고 토출관(5)으로부터 압축기에 유입한다.
이때, 냉동공조회로의 운전상황에 따라서는, 가스냉매(9)에는 액냉매(10)나 냉동기유(11)가 혼입해있다.
제1용기(1)에 유입된 가스냉매(9), 액냉매(10), 냉동기유(11)는 기액분리되고, 제1용기(1)의 저부에 액냉매(10), 냉동기유(11)가 분리된 상태에서 체류한다.
액냉매(10)와 냉동기유(11)는 서로 용해성이 없고, 또 액냉매(10)보다 비중이 작은 냉동기유(11)를 적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면, 냉동기유(11)은 액냉매(10)의 상면에 부유한 상태가 된다.
유반려관(6)은, 분리된 냉동기유(11)를 압축기로 되돌리는 회로에 접속된다.
도면중, 화살표는 가스냉매(9)(백색화살표)나 액냉매 10(접점모양 화살표), 냉동기유(11)(사선모양화살표)의 흐름을 표시한다.
통기관(7)의 작용에 대해서는 도 2 에 따라 후에 상세히 설명하나, 주된 작용으로는 제1용기내부의 액면의 체류높이(액면높이)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는 기능이 있다.
또 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를 적용하였을때는, 액냉매(10)를 선택적으로 제2용기(2)에 이행하는 기능이 있다.
연통관(8)으로부터는 액냉매(10)가 가스유통관(4)에 흘러들어 가스냉매(9)나 혼상류의 상태로 제1용기(1)에서 제2용기(2)로 들어간다.
제2용기(2)내부에서는, 기액분리효과가 있기 때문에 제2용기(2)의 저부에 액냉매(11)가 고인다.
그리고 가스냉매(9)만이 토출관(5)으로부터 압축기에 유출한다.
또 이와같이 제1용기(1)중의 액면높이는 대략 일정하기 때문에 종래의 어큐뮬레이터같이 유출유량에의 액면 높이의 영향이 없어지고, 유량의 안정화가 도모된다.
또 액냉매(10)의 상층에 부유하는 냉동기유(11)를 선택적으로 유반려관(6)으로부터 유출시킬수가 있다.
이하, 통기관(7)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b),(c)는 제1용기(1)내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h1 은 제1용기(1)의 저면에서 기름반려관(6)까지의 높이를, h2 는 제1용기(1)의 저면에서 연통관(8)까지의 높이를 표시하고, h1<h2 의 관계를 갖는다.
또 통기관 하단부(7b)는 유반려관(6)의 높이보다도 낮은 위치에 개방되고, 제1용기(1)의 저면에서 통기관 하단부(7b)까지의 높이를 h3 이라하면, h3<h1 의 관계를 갖는다.
또 통기관 상단부(7a)의 위치는, 가스유통관(4)의 상단부와 거의 같은 위치에 개방되어 있다.
도 2(a),(b)는 냉동공조회로의 운전상태로서, 증발기로부터 어큐뮬레이터에 가스냉매(9)와 함께 액냉매(10)가 유입되는 상황을 표시하고 있다.
도 2(a)는 액면(유면)높이가 h2 이상에 있는 경우를, 도 2(b)는 액면(유면)높이가 h2 이하에 있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2 (c)는 냉동공조회로의 운전상태로서 증발기로부터 어큐뮬레이터에 액냉매(10)의 유입이 없고, 가스냉매(9)와 냉동 기유(11)만이 흘러드는 상황을 표시하고 있다.
이하, 도 2 에 따라 제1용기(1)내부의 액면(유면)높이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기능 및 액냉매(10)만이 선택적으로 가스유통관(4)으로부터 제2용기(2)로 유입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제1용기(1)내부에 액냉매(10)와 냉동기유(11)가 모여있는 상황이고 냉동기유(11)쪽이 비중이 작기 때문에, 액냉매(10)의 상층에 부유해 있는 상황이다.
기름반려관(6)은 제1용기(1)에 유입하는 냉동기유의 유출이 가능한 관경이나 관의 길이로 설정하고, 또 통기관하단부(7b)나 연통관(8)의 관경이나 관의 길이는, 제1용기(1)에 유입하는 액냉매량을 흘리는 것이 가능한 치수로 설정하고 있다.
도 2(a)에 표시한바와같이, 액면(유면)높이가 h2 이상에 있을때는 제1용기(1)내와 통기관(7)내의 액면 높이가 동일레벨이 되기 때문에, 연통관(8)은 액냉매(10)로 충만된다.
이 결과, 통기관 하단부(7b)로부터 연통관(8)을 통과해 제2용기(2)에 액냉매(10)가 흘러든다.
통기관 하단부(7b)의 위치는, 2상분리한 액냉매(10)의 층내에 있기 때문에 통기관 하단부(7b)로부터는 액냉매(10)만이 유입되고, 액면 (유면) 을 내리도록 작용한다.
흡입관(3)으로부터 유입하는 액냉매유입량이 감소하고, 제1용기 (1) 내부의 액면(유면)높이가 h2 이하일대는, 도2(b)에 표시하는바와같은 상황이 되고, 가스냉매(9)가 통기관 상단부(7a)로부터 연통관(8)을 흐르기 때문에, 통기관 하단부(7b)로부터 액냉매(10)가 유입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흡입관으로부터 액냉매(10)가 유입하였을때는, 액면(유면)높이가 상승하고, 도 2(a)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제1용기(1)내부의 액면(유면)높이는 연통관(8)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근방(저면으로부터의 높이 h2)에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냉동공조회로의 운전상황으로는 어큐뮬레이터에 액냉매가 유입하지 않는 상태도 많이 있고, 흡입관(3)으로부터 액냉매(10)가 유입되지 않고, 가스냉매(9)와 냉동기유(11)가 유입하는 경우를 도 2(c)에 표시하고 있다.
유반려관(6)의 치수는, 흡입관(3)으로부터 유입하는 최대 유량을 흘리는 것이 가능하게 설정하고 액냉매(10)가 유입하지 않을때에 냉동기(11)의 유면높이가(h1)을 초과하는 일이 없도록 설계를 한다.
즉 도 2(c)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제1용기(1)내의 유면높이는 h2를 초과하는 일이 없으므로 통기관 하단부(7b)로부터 연통관(8)을 통해서 냉도기유(11)가 제2용기(2)에 유입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냉동기유(11)가 제2용기(2)에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은 일련의 동작에 의해, 제1용기(1)내부의 액면 (유면)높이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고, 기름반려관(6)으로부터 냉동기유(11)또는 액냉매와 냉동기유의 혼합유체가 유출하나, 제1용기(1)내부의 액면 높이가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유반려관(6)으로부터 압축기에 흐르는 유량을 일정해진다.
즉 종래 장치와 같이 용기내부의 액면높이가 높아져, 이와 함께 압축기로 반려되는 액냉매유량이 증가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고 유반려관(6)으로부터 압축기에 흐르는 유량을 압축기의 액냉매 유입 한게치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압축기에 유입하는 액냉매유량을 억제할 수 있고 압축기의 불량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액냉매에 용해하지 않는 냉동기유가 사용되는 냉동공조회로의 어큐뮬레이터로서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용기(1)에 체류하는 액체중의 냉동기유를 압축기로 반려하고, 또 소정의 높이를 초과한 여분의 액량의 액냉매를 선택적으로 제2용기(2)에 이동해서 축적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냉동기유를 효율좋게 순환할 수 있고, 압축기내의 냉동기유의 필요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제2용기(2)는 기액분리기능이 있기 때문에, 토출관(5)으로부터 냉동공조회로에의 액냉매 유출은 근소하다.
실시의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 에 의한 냉동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2 와 실시의 형태 1 은 같은 기능을 갖고 있고, 냉동공조회로에 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를 적용하는 것을 상정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용기를 제2용기의 상부에 배치하고, 제1용기로부터 액냉매를 낙하시켜서 제2용기에 축적한다.
도 3 은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로서, 제1용기(1)이 제2용기(2)의 상부에 배치된 경우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3(a)는 종단면 도, 도 3(b)는 도 3 (a)의 X-X 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2 는 제1용기(1)와 제2용기(2)를 연결하고, 가스냉매(9)가 흐르는 가스유통관이고, 12a 는 가스유통관의 출구, 12b 는 가스유통관의 입구이다.
13 은 가스유통관(12)에 병행해서 배치되고, 상하단부가 개방된 관형상의 통기관, 13a 는 통기관 상단부, 13b 는 통기관 하단부이고, 통기관(13)의 중간점 부근에서 가스유통관(12)의 측면과 연통관(14)으로 접속한 구성이다.
통기관(13)과 유통관(12)을 접속한 구성은 실시의 형태1과 같고, 제1용기(1)의 저면에서 유반려관(6)까지의 높이 h1 , 제 1 용기(1)의 저면에서 연통관(14)까지의 높이 h2 , 제1용기(1)의 저면에서 통기관하단부(13b)까지의 높이 h3 는, h3<h1<h2 의 관계를 갖는다.
또 통기관 상단부(13a)의 위치는, 가스유통관(12)의 상단부와 대략 같은 위치에 개방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가스유통관(12), 통기관(13)연통관(14)은 도 2에서 설명한바와같이 기능을 구비하고 제1용기(1)내부에서는, 액면(유면)높이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즉 제1용기(1)내부의 액면(유면)높이가 h2 이하인 경우, 가스유통관(12), 통기관(13), 연통관(14)에는 가스냉매(9)가 유입해 있다.
그리고 액면(유면)높이가 h1 이상이 되면, 제1용기(1)에 체류하는 액체중 상층에 떠있는 냉동기유가 유반려관(6)으로부터 유출한다.
또 제1용기(1)내부의 액면(유면)높이가 h2 이상이 되면, 통기관하단부(13b)로부터 가스유통관(12)에 액냉매(10)가 유입한다.
이 액냉매(10)은 중력낙하나 가스의 유동과 함께 하부에 있는 제2용기(2)로 이동하고, 제2용기(2)의 저부에 체재한다.
액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가 적용되는 냉동공조회로의 어큐뮬레이터로서, 실시의 형태 1 과 같이 냉동기유(11)를 선택적으로 유반려관(6)으로부터 압축기는 반려하고, 또 액냉매(10)를 선택적으로 제2용기(2)에 저장할 수가 있다.
또 제2용기(2)는 기액분리 기능이 있기 때문에 제2용기(2)에 액냉매가 고였을때는 토출관(5)으로부터의 액냉매유출은 대폭적으로 증가하는 일은 없다.
이와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해서도, 제1용기(1)내부의 액면 높이를 대략 h2 로 일정하게 할수 있으므로, 유반려관(6)으로부터 압축기로 흐르는 유량을 일정하게 할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 장치와 같이 용기내부의 액면 높이와 함께 압축기로 되돌아가는 액냉매유량이 증가하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유반려관(6)으로부터는 냉동기유, 또는 냉동기유와 냉매의 혼합유체가 유출하나, 예를들어 유반려관(6)의 구경을 조절하는 등으로 유반려관(6)으로부터 압축기에 흐느는 유량을 압축기의 액냉매유입한계치 이하로 설정함으로서, 압축기내의 냉동기유의 필요량을 확보할 수 있고, 압축기의 불량 발생이 억제된다.
실시의 형태 3
실시의 형태 1 , 2 에서는 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를 사용하는 냉동공조회로에 적응한 것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냉매와 용해성이 있는 냉동기유를 사용하는 냉동공조회로에 적용한 것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 2 에서는 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를 적용하는 것을 상정하였으므로, 제1용기(1)내부에서는 액냉매와 냉동기유를 분리하는 수단과, 액냉매와 냉동기유의 높이를 일정화하는 수단을 구비하였다.
이에 대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냉동공조회로에 냉매와 용해성이 있는 냉동기유를 적용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고, 제1용기(1)내부의 액냉매(냉동기유를 포함)높이를 일정화하는 기능을 실현하고 어큐뮬레이터로부터 압축기로 유출하는 액냉매(냉동기유도 포함)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 에 의한 냉동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로서, 실시의 형태 2 와 같이, 제1용기(1)가 제2용기(2)의 상부에 배치된 경우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4(a)는 종단면도, 도 4(b)는 도 4 (a)의 X-X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5 는 제1용기(1)과 제2용기(2)를 연통하는 가스유통관 이고, 15a 는 연통공, 15b 는 가스유통관(15)의 상단부, 15c 는 가스유통관(15)의 하단부, 16a 는 제 1 용기(1)에 체류하는 냉동기유가 용해한 액냉매, 16b 는 제 2용기(2)에 체류하는 냉동기유를 용해한 액냉매이다.
가스유통관 상단부(15b)는 제1용기(1)상방에 위치하고 가스유통관 하단부(15c)는 제 2 용기(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연통공(15a)의 높이위치 h4 는 액면을 유지하고 싶은 소정의 높이의 위치이고, 유반려관(6)의 위치 h1 보다도 높게 되도록 설정한다.
즉, h1<h4 가 성립한다.
다음 동작에 대해 기술한다.
도 4(a)는 제이용기(1)에 가스냉매와 함께 액냉매(냉동기유가 용해)(16)가 흡입관(3)으로부터 유입해 있는 운전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액냉매(냉동기유가 용해)(16)는 제1용기(1)내부에서 기액분리되므로, 제1용기(1)에 고인다.
제1용기(1)에 고인 액냉매(냉동기유가 용해)(16a)는 연통공(15a) 이상의 높이에 고였을때에, 연통공(15a)을 통해서 제2용기(2)로 이동 한다.
따라서, 제1용기(1)내부의 액냉매(냉동기유가 용해)(16a)의 높이는, 연통공(15a)의 높이 h4를 넘는일이 없다.
이 때문에 제1용기(1)내부의 액냉매 높이가 제한되므로, 유반려관(6)으로부터 압축기로 유출하는 액냉매(냉동기유가 용해)의 유량을 거의 일정해진다.
운전의 상태에 의해, 흡입관(3)으로부터 액냉매의 유입이 없고, 냉동기유만이 유입하는 경우도 있을수 있다.
이 경우에도, 유반려관(6)으로서, 실시의 형태 1 , 2 와 같이 흡입관(3)에서 유입하는 냉동기유량을 흘리는 것이 가능하게 설정하면 연통공(15a)의 높이를 초과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2용기(2)에는 냉동기유(11)가 유출되는 일이 없고, 냉동기유(11)가 고이는 상황은 없다.
종래장치에서, 도 31 에 표시한 어큐뮬레이터 용기내부에 체류하는 액냉매량이 증가하면, 압축기에 유출하는 액냉매유량이 증가하였으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와같이 체류냉매량에 관계없이 일정해진다.
또 어큐뮬레이터에 액냉매의 유입이 없고 냉동기유가 유입하는 경우에도 어큐뮬레이터로부터 압축기에 냉동기유가 확실하게 회수되므로 압축기의 운전불량이 없다.
도 5 는 도 4(a)의 가스유통관(15)의 형상이나 배치를 변경한 예이고, 같은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도 5에서 15d 는 가스유통관이고, 연통공이 없는 구조이다.
가스유통관(15d)의 상단부는 도 4(a)의 연통공(15a)의 높이에 상당하고, 일정 액면이 되는 위치, 즉 유반려관(6)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정한다.
도 4(a)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제1용기(1)내부의 액면높이는 제한되고, 결과적으로 유반려관(6)에서 압축기로 유출하는 액냉매 (냉동기유가 용해)의 유량은, 거의 일정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용기(1)를 제2용기(2)상부에 배치한 구성을 표시하였으나, 실시의 형태 1에서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도록 제1용기(1)를 제2용기(2)의 하부에 배치해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 에 의한 냉동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 레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도, 제 1용기(1)내부에 액냉매와 냉동기유를 분리하는 수단과, 액냉매와 냉동기유의 높이를 일정화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용기의 액면을 일정화하는 구성으로 해서, 가스유통관측면에 연통공을 설치하고, 가스유통관을 내포하도록 가스유통관보다 직경이 큰 관을 배치한 것이다.
도 6(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7 은 가스유통관(15)를 내포하도록 설치한 원통이고, 17a 는 원통하단부를 표시하고 액냉매가 흐르는 경로가 된다.
17b 는 원통상단부를 표시하고 가스냉매(9)가 흐르는 경로이다.
18 은 가스유통관(15)과 원통(17)의 극간이고, 원통하단부(17a)와 제1용기(1)의 저면에 적당한 극간 C 가 유지되도록 제1용기(1)에 고정되어 있다.
가스유통관(15)에는 액면을 유지하고 싶은 소정의 위치에 연통공 (15a)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의 동작을, 도 1 에 표시한 실시의 형태와 대비해서 설명한다.
극간(18)은 통기관(7)에 상당하고 연통공(15a)은 연통관(8)에 상당 한다.
따라서 제1용기내의 액면(유면)이 h2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액냉매가 원통하단부(17a)를 통과하고 연통공(15a)으로부터 가스유통관(16)의 내부에 들어가 제2용기(2)에 유출한다.
또 제1용기(1)내의 액면(유면)이 h2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는, 가스냉매(9)가 극간(18)를 통과하고, 연통공(15a)으로부터 가스유통관(15)내부에 들어간다.
이 때문에 액냉매가 가스유통관(15)내부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이와같이 가스유통관(16)과 원통(17)에 의해, 액냉매와 냉동기유의 높이를 일정화하는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액냉매와 냉동기유를 분리하는 수단이라는 것은, 제1용기(1)를 가만히 유지해두고, 그 성질로부터 액냉매와 분리한 냉동기유의 층 부분에 유반려관(6)을 설치해두면 된다.
이와같이 실시의 형태 4 는 실시의 형태 1 , 2 와 같은 기능이 실현된다.
또, 실시의 형태 4는 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를 적용하는 것을 상정한 것이나 실시의 형태 3 과의 차이는 원통(17)의 유무이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를 냉매와 용해성이 있는 냉동기유를 냉동공조회로에 적용했을 때, 용해성이 없는 또는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를 적용하는 경우와 같이, 제1용기(1)내의 액면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 에 의한 냉동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도, 냉동공조회로에 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를 적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고, 제1용기(1)내부에, 액냉매와 냉동기유를 분리하는 수단과, 액냉매와 냉동기유의 높이를 일정화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용기의 액면을 일정화하는 것으로 해서, 가스유통관의 하단부를 비스듬이 절단하고, 다시 가스유통관을 내포하도록 가스유통관보다 직경이 큰 관을 배치한 것이다.
도 7(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X-X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9 는 가스유통관이고, 그 하단부(19a)는 비스듬히 절단되어 있다.
또 도면에 표시한바와같이 하단부(19a)와 제1용기(1)의 저면 사이에 어느정도 극간을 갖도록 고정되고, 그 위치는 소정의 액면으로 유지하고 싶은 위치이다.
20 은 가스유통관(19)를 내포하도록 설치한 원통이고, 20a 는 그 하단부, 20b 는 그 상단부를 표시한다.
21 은 가스유통관(19)과 원통(20)의 극간이고,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어 있다.
하단부(20a)의 높이 위치는 가스유통관 하단부(19a)보다 하위에 위치하고, 유반려관(6)의 높이 위치는 가스유통관 하단부(19a)와 원통하단부(20a)의 중간에 위치한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는 제 1용기 (1)내부에 냉동기유(11)와 액냉매(10)가 존재해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액냉매(10)는 원통하단부(20a)와 제1용기(1)의 저면과의 극간을 통해서 극간(21)으로 들어가고, 다시 유통관하단부(19a)에 도달한다.
가스유통관 하단부(19a)는 비스듬히 절단되어 있고, 하단부는 도시하는 바와같이, 액냉매(10)에 접근한 상태이다.
가스냉매(9)가 가스유통관 하단부(19a)로 들어갈때에 액냉매(10)의 표면부근을 흐르기 때문에, 액냉매(10)의 일부가 끌어올려져 제1용기(1)로 부터 유출되고 제2용기(도시않음)에 축적된다.
액냉매(10)의 액면 위치가 다시 높아지게 되면, 가스유통관 하단부(19a)에서 가스냉매(9)가 통과하는 면적이 작아지고, 통과유속이 대가되므로, 보다 많은 액냉매(10)가 끌어올려진다.
역으로, 액냉매(10)의 액면위치가 낮은 경우에는 제1용기(1)로부터 배출되는 량이 적어진다.
따라서, 제1용기(1)내부의 액면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실시의 형태 5 는 냉매와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를 적용하는 것을 상정한 것이나 냉매와 용해성이 있는 냉동기유를 냉동공조회로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원통(20)을 생략한 구성이라도 실시의 형태 4 와 같은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6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냉동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물레이터도 냉동공조회로에 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를 적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고, 제 1용기(1)내부에, 액냉매와 냉동기유를 분리하는 수단과, 액냉매와 냉동기유의 높이를 일정화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용기의 액면을 일정화하는 것으로서, 제 1용기를 제 2용기의 상위, 또는 하위에 배치하고 제 1용기와 제 2용기사이를 액반려관으로 접속하고, 액반려관의 상부근방을 내포하도록 액반려관보다 큰 직경의 원통(관)을 배치하고 있다.
도 8(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8(b), 도 8(a)의 X-X 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용기(1)를 제 2용기(2)의 하부에 위치시킨 구성으로 한다.
도면에서, 22는 제 1용기(1)과 제 2용기(2)를 연통하는 가스유통관이고, 제 1용기(1)의 상부공간과 제 2용기(2)의 상부공간을 연통한다.
23은 원통이고, 23a는 원통하단부, 23b는 원통상단부를 표시하고, 원통하단부(23a)는 제 1용기(1)의 저부와 적당한 극간을 갖고 고정된다.
24는 냉매흡입관이고, 제 2용기(2)의 저부와 제 1용기(1)의 용기(1)를 연통시키는 것이다.
24a는 냉매흡입관 하단부, 24b는 냉매흡입관 상단부이고, 냉매흡입관 상단부(24b)는 제 2용기(2)의 저부에 위치하고 냉매흡입관 하단부(24a)의 위치는 유반려관(6)보다 상부에 있다.
즉, 냉매 흡입관 하단부(24a)의 위치는 액면을 유지하고 싶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원통상단부(23b)는 냉매흡입관하단부(24a)의 상부에 위치하고 원통하단부(23a)는 유반려관(6)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구성이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는 제 1용기(1)내부에 냉동기유(11)와 액냉매(10)가 존재해있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가스냉매(9)가 제 1용기(1)로 부터 가스유통관(22)을 통해 제 2용기(2)로 흐름으로서 압력손실(압력차 △P)이 생긴다.
즉, 제 1용기(1)의 압력쪽이 제 2용기(2)의 압력보다 △P만큼 높아지므로, 제 1용기(1)내의 액냉매(10)가 원통(23)과 냉매 흡입관(24)을 통해서 제 2용기(2)로 밀어올려진다.
원통(23)은 실시의 형태 4에서 표시한 원통(17)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원통하단부(23a)의 극간을 통해서 액냉매(10)만큼이 선택적으로 홀더, 제 2용기(2)에 들어간다.
또, 냉동공조회로의 운전휴지시에 흡입관(3)으로부터 가스냉매(9)의 유입이 없는 경우에는 압력차 △P가 없기 때문에 제 2용기(2)내부에 체류된 액냉매(10)나 냉동기유(11)는 냉매흡입관(24)을 통해서 제 1용기(1)에 낙하한다.
또, 도 9는 냉매흡입관의 상단부의 위치가 도 9(a)과 다른 경우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면에서 25는 냉매흡입관이고, 상단부(25a)가 제 2용기(2)의 공간에 개방되는 구성이다.
도 8(a)와 같이 도 9에서도 압력차 △P가 있기 때문에, 제 2용기(2)에 액냉매(10)만이 선택적으로 유입하고, 냉매 흡입관 상단부(25a)의 위치에 관계없이 액냉매(10)가 선택적으로 제 2용기(2)에 반송된다.
도 8(a)와의 구조적인 상위점은 냉매흡입관 상단부(25a)의 높이가 다른 점이다.
이 때문에, 기능상의 상위점으로서 흡입관(3)으로부터 가스냉매(9)의 유입이 없는 경우(장치가 운전휴지시)에도 제 2용기(2)내부에 고인 액냉매(10)나 냉동기유(11)는 제 1용기(1)에 낙하하지 않는다.
이와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용기(1)내부의 액면이 대략 일정화되고, 따라서 유반려관(6)의 높이근방에 냉동기유(11)를 존재시켜 선택적으로 냉동기유(11)를 압축기로 되돌릴수가 있다.
또, 액냉매(10)를 제 2용기(2)에 축적할 수가 있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0(b)는 도 10(a)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제 1용기(1)를 제 2용기(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변형예이다.
도면에서 26은 제 1용기(1)와 제 2용기(2)를 연통하는 가스유통관이고, 제 1용기(1)의 상부공간과 제 2용기(2)의 상부공간을 연통한다.
27은 원통이고, 27b는 원통하단부, 27a는 원통상단부를 표시하고 원통하단부(27b)는 제 1용기(1)의 저부와 적당한 극간을 갖고 고정된다.
28은 냉매 반려관이고, 28a는 냉매 반려관 상단부, 28b는 냉매 반려관 하단부를 표시한다.
원통 하단부(27b)의 위치 〈 유반련관(6)의 위치〈 냉매 반려관 상단부(28a)의 위치가 되도록 구성하면, 도 8의 경우와 같이, 냉매 반려관 상단부(28a)부근에서 액면이 일정화되고, 제 1용기(1)의 내부에 액냉매(10)와 냉동기유(11)가 고여있는 상태에서도 선택적으로 액냉매만을 제 2용기(2)에 유출시킬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를 적용하는 것을 상정한 것이다.
냉매와 용해성이 있는 냉동기유를 냉동공조회로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원통(23)(도 8, 도 9에서), 원통(27)(도 10에서)을 생략한 구조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7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의한 냉동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제 1용기(1)내부의 액면(유면)위치를 일정화하는 방법에 관한 구성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용기의 액면을 일정화하는 것으로서, 가스 유통관의 측면 액반려공을 설치하고, 제 1용기(1)의 액면높이에 연동해서 액반려공을 개폐하는 플로트기구로 구성한 것이다.
도 1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중단면도이다.
도면에서 29는 가스유통관이고, 제 1용기(1)의 상부공간과 제 2용기(도시않음)의 상부 공간을 연통한다.
29a는 가스유통관(29)의 측면에 설치된 냉매 반려공이다.
여기서, 냉매 반려공(29a)의 위치를 유반려관(6)의 위치 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한다.
30은 플로트로 수지나 공간을 갖는 금속등을 성형해서 액냉매(10)나 냉동기유(11)에 부유하도록 구성한다.
즉, 냉동기유(11)의 비중은 0.9정도이므로 이보다 비중이 작은 것으로 구성하면 된다.
플로트(30)는, 제 1용기(1)내부의 액냉매(10)나 냉동기유(11)에 부유하고, 액면 높이에 따라 이동한다.
예를들면, 제 1용기(1)에 가스냉매(9)와 혼입해서 냉동기유(11)만 유입하는 경우는 액면높이가 낮고, 도 11(a)와 같은 상태가 되고, 냉매 반려공(29a)은 막혀버린다.
이 때문에, 냉매 반려공(29a)의 위치에 냉동기유(11)이 고여있어도 가스유통관(29)에 유입하는 일은 없다.
도 11(b)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가스냉매(9)에 냉동기유(11)와 액냉매(10)가 혼입해서 제 1용기(1)에 유입하는 경우에는 제 1용기(1)내부에서 냉동기유(11)와 액냉미(10)가 분리해서 존재한다.
이 경우는 제 1용기(1)내부의 액면높이가 제 11(a)보다 높아지고, 냉매 반려공(29a)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냉매 반려공(29a)의 위치에 고여있는 액냉매(10)가 가스유통관(29)에 유입한다.
이상과같은 동작에 의해 액냉매(10)가 선택적으로 제 2용기로 이동하고, 냉동기유(10)가 유반려관(6)으로부터 압축기로 되돌려진다.
실시의 형태 7은, 제 1용기 1의 액면위치를 일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액냉매만을 선택적으로 제 2용기로 이동하는 것이다.
액냉매와 냉동기유는 제 1용기(1)를 조용히 유지하고 있으면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의 운전상황에서는, 액냉매와 냉도기유의 분리가 불완전한 경우가 있고, 미량의 유량이지만 제2용기에 냉동기유가 유입할 때가 있다.
예를들면 냉동공조회로가 장시간 운전되는 상황에서는 냉동기유가 액냉매와 공존해서, 제 2용기에 축적되는 일도 있다.
냉동기유가 제 2용기에 축적되면, 압축기 내부의 유량이 부족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냉동공조회로의 고신뢰성운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런 상황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
실시의 형태 8 및 실시의 형태 9에서는 냉동공조회로의 정지시 또는 가스냉매의 유입이 있을 때, 제 2용기에 축적된 냉동기유나 액냉매등의 액체를 제 1용기(1)로 반려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형태이고, 이하, 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8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의한 냉동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2(b)는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2용기에 냉동기유와 액냉매가 혼탁해 있고, 유입하는 경우를 상정해서 제 2용기에 혼입한 냉동기유를 제 1용기로 반려하는 것으로, 제 1용기를 제 2용기의 하위에 배치하고, 제 1용기의 상부와 제 2용기의 하부를 접속하는 연통관을 구비한 것이다.
도면에서 31은 제 2공간 이 경우는 제 2용기(2)내에 축적한 액체를 제 1공간 이 경우는 제 1용기(1)에 이동하는 이동수단으로, 예를들면 연통관이고, 제 2용기(2)의 액체축적부인 저부근방과 제 1용기(1)의 상부를 도통하는 연통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0a는 제 2용기(2)에 축적한 액냉매, 11a 는 제2용기(2)에 축적한 냉동기유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제 2용기(2)는 제 1용기(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2는 운전시의 상황을 표시하고 있고, 가스유통관(4)에서 압력손실이 발생하고, 제 2용기(2)는 제 1용기(1)보다 압력이 낮게 되어 있다.
이 압력차에 의해, 연통관(31)에서 제 2용기(2)의 액냉매(10a)나 냉동기유(11a)는 제 1용기(1)에 낙하하지 않고, 가스냉마(9)가 제 2용기(2)에 상승하도록 흐른다.
이 때문에, 제 2용기(2)의 내부에서는 액냉매(10a)나 냉동기(11a)가 축적된다.
냉동공조회로가 정지한 경우는 제 1용기(1)와 제 2용기(2)는 균압화되고, 제 2용기(2)에 고인 액냉매(10a)나 냉동기유(11a)는 중력에 의해 제 1용기(1)에 낙하한다.
그 후, 냉동공조회로가 운전되었을 때에 제 1용기(1)에 이동한 액냉매(10)는 연통관(8)을 통해서 가스유통관(4)에 들어가고, 제 2용기(2)로 이동한다.
또 제 1용기 1에 반려된 냉동기유(11)는 유반려관(6)으로부터 압축기에 흐른다.
이와같이 냉동공조회로의 운전과 정지가 반복되고, 이 일련의 동작으로 제 2용기(2)에 고인 냉동기유(11a)도 제 1용기(1)를 경유해서 압축기에 회수할 수가 있다.
또, 도 13은 제 2용기(2)의 저부와 제 1용기(1)의 상부를 도통하는 연통관의 상단부의 위치가 도 12(a)와 다른 경우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면에서 31a는 연통관이고, 상단부는 제 2용기(2)의 가스공간에 개방하고, 또, 제 2용기(2)의 하부의 액체축적부에 연통공(32b)을 설치한 구성이다.
이 구성으로는, 운전시에는 도 12(a)와 같이 도 13에서도 압력차가 있기 때문에, 가스냉매(9)가 제 2용기(2)의 상부에 유입하고 냉동기유(11a)는 제 1용기(1)에 낙하하지 않는다.
냉동공조회로가 정지한 경우는 연통공(31b)을 통해서 제 2용기(2)에 고인 액냉매(10a)나 냉동기유(11a)는 제 1용기(1)에 낙하한다.
즉, 운전시에 가스냉매(9)를 제 2용기(2)의 가스공간에 보내고, 또 운전 정지시에는 제 2용기(2)에 축적된 액냉매(10a)나 냉동기유(11a)를 연통공(31b)을 통과해서 제 1용기(1)로 반려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9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 의한 냉동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냉동공조회로가 운전중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32는 액체유통수단과 기체유통수단을 겸한 유통관으로, 여기서는 가스유통관이고, 33은 제 2용기(2)의 액체축적부와 가스유통관(32)의 중간부를 도통하는 연통수단으로, 여기서는 연통관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구성에서도, 제 2용기(2)를 제 1용기(1)의 상방에 배치하고 있다.
또 연통관(33), 가스유통관(32)에 의해 제 2용기(2)의 액체축적부와 제 1용기(1)는 도통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2용기에 냉동기유와 액냉매가 혼탁해서, 유입하는 경우를 상정해서 제 2용기에 혼입한 냉동기유를 제 1용기로 되돌리는 것으로 제 2용기에 접속된 가스유통관의 측면에 액반려공을 설치하고, 이 액반려공과 제 2용기의 하부를 연통하는 구성이다.
이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운전중의 어큐뮬레이터내의 압력에 대해 생각한다.
제 1용기(1)내부의 압력을 P1, 제 2용기(2)의 내부의 압력을 P2, 가스유통관(32)의 중간부의 압력을 P3라고 하면, 가스가 흐름으로서 압력손실이 있기 때문에, 각 압력은 P1〉P3〉P2의 관계가 된다.
따라서, 운전중은 가스냉매에 혼합해서 그 세력에 딸려서 액냉매(10)나 냉동기유(11)가 제 1용기(1)로부터 가스유통관(32)에 유출하고, 가스유통관(32)의 개방단 또는 연통관(33)을 통해서 제 2용기(2)에 흐르기 때문에, 제 2용기(2)내부에는 가스냉매와 함께 액냉매(10a)와 냉동기유(11a)가 축적된다.
그러나, 운전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중력에 의해, 제 2용기(2)내부에 고인 액냉매(10a)나 냉동기유(11a)가 연통관(33)과 가스유통관(32)을 통과하고, 제 1용기(1)에 이동한다.
그리고 제 1용기(1)는 정지해 있으므로, 액냉매(10)와 냉동기유(11)는 제 1용기(1)의 하방에서 자연히 분리된다.
재차 운전이 개시되면 제 1용기(1)의 냉동기유(11)는 유반려관(6)으로부터 압축기로 반려되어, 액냉매(10)가 가스냉매(9)와 함께 제 2용기(2)에 운반된다.
이런 동작으로 제 2용기(2)에 축적된 냉동기유를 압축기에 회수할 수가 있다.
이상 기술한 실시의 형태 8,9는 냉동공조회로의 운전중에 미량의 유량의 냉동기유(11a)가 제 2용기(2)에 들어가는 것을 상정해서, 제 2용기(2)에 축적된 냉동기유(11a)를 냉동공조회로의 운전정지시에 제 1용기(1)에 반려하는 이동수단을 갖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 실시의 형태 10,11,12에서는 냉동공조회로를 정지하지 않고, 즉, 냉동공조회로운전중에도 제 2용기(2)에 축적된 냉동기유(11a)를 제 1용기(1)에 되돌릴 수 있는 구성의 이동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0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0에 의한 어큐뮬레이터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도 제 2용기에 냉동기유와 액냉매가 혼탁해져 유입하는 경우를 상정해 제 2용기에 혼입한 냉동기유를 제 1용기로 되돌리는 것으로 제 1용기를 제 2용기밑에 배치하고, 제 1용기와 제 2용기사이에 중간용기를 구비하고, 제 1용기와 중간용기를 개폐밸브로 다시 제 2용기와 중간용기를 개폐밸브로 개폐접속한다.
도 15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냉동공조회로가 운전중인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34는 제 3공간이고, 이 경우는 제 1공간인 제 1용기(1)와 제 2공간인 제 2용기(2)의 중간부에 설치한 중간용기, 35,36은 제 1, 제 2개폐밸브, 37a,37b,37c,37d는 연통관으로, 중간용기(34)를 통해서 제 1용기(1)의 상부와 제 2용기(2)의 저부를 연결해서, 중간용기(34)와 제 2용기(2)사이의 연통관 37a, 38b를 제 1개폐밸브(35)로 개폐한다.
또 중간용기(34)와 제 1용기(1)사이의 연통관 37c, 37d를 제 2개폐밸브(36)로 개폐한다.
이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냉동공조회로의 운전중에 제 1, 제 2개폐밸브(35),(36)을 교호로 개폐동작하므로서 제 2용기(2)에 축적되어 있는 액냉매(10a)와 냉동기유(11a)를 제 1용기(1)내부에 되돌리는 것이다.
냉동공조회로가 운전되고 있을 때는, 제 1, 제 2개폐밸브(35),(36)를 모두 개방한 상태에서는 P1〉P2이기 때문에 제 2용기(2)에 고인 액냉매(10a)나 냉동기유(11b)를 제 1용기(1)내부로 되돌릴 수가 없다.
그러나, 도 16(a)와 같이 제 1개폐밸브(35)를 개방해서 제 2개폐밸브(36)를 폐쇄한 상태로 하면, 중간용기(34)내의 압력과 제2용기(2)의 압력이 같게 되고, 중력에 의해 제 2용기(2)로부터 중간용기(34)에 액냉매(10a)나 냉동기유(11a)가 이동한다.
다음 도 16(b)와 같이 개폐밸브(35)를 폐쇄하고 개폐밸브(36)를 개방시킨 상태로 하면, 중간용기(34)내의 압력과 제 1용기(1)의 압력이 같아져서 중간용기(34)에 고인 액냉매(10a)인 냉동기유(11a)는, 중력에 의해 중간용기(34)로부터 제 1용기(1)로 이동한다.
이상의 동작을 반복하므로서, 냉동공조회로의 운전중에도 제 2용기(2)에 고인 액냉매(10a)나 냉동기유(11a)를 제 1용기(1)내부로 되돌리 수가 있게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제 2용기(2)내부의 액면높이를 검지하고, 액면높이에 의해 개폐밸브(35),(36)를 개폐제어하거나 또 정기적으로 개폐밸브(35),(36)를 개폐제어하는 등 적절한 개폐제어수단에 의해 개폐밸브(35),(36)를 개폐제어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11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1에 의한 냉동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2용기에 냉동기유와 액냉매가 혼탁해서 유입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제 2용기에 혼입한 냉동기유를 제 1용기로 되돌리는 것으로 제 1용기에 접속하는 흡입관의 내벽에 돌출하도록 구비한 복수의 연통관을 제 2용기와 연통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7은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고, 그 일부를 확대해서 함께 표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38은 냉동공조회로를 순환하는 가스냉매, 냉동기유, 액냉매를 제 1용기(1)에 도입하는 유입수단으로 예를들면 흡입관, 39는 흡입관(38)과 제 2용기(2)의 액체축적부를 도통하는 접속수단으로, 예를들면 유회수관이고, 여러개(예를들어 3개)가 설치되어 있다.
여러개의 유회수관(39)중 최고 위치의 유회수관(39a)은, 제 2용기(2)내부에 축적되는 액면높이의 최고위치부근에 설치하고, 다시 제 2용기(2)내의 임의의 위치에 액면이 있는 경우에도, 냉동기유(11a)를 제 1용기(1)에 회수할 수 있도록 복수, 이 경우는 2개의 유회수관(39b),(39c)를 상하로 간격을 두어 설치하고 있다.
또 유회수관(39)의 흡입관(38)측의 단부는, 확대해서 표시한 바와같이 흡입관(38)의 내벽면에서 안쪽으로 예를들어 수 ㎜정도 돌출해 있고, 타단부는 제 2용기(2)의 하방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흡입관(39)의 내면에 돌출한 유회수관(39)의 선단부는 냉동공조회로에서 제 1용기(1)에 유입하는 유체의 흐름의 영향에 의해, 흡입관(39)내부의 정압보다 낮고, 유회수관(39)의 선단부의 압력은 P4가 된다.
제 1용기(1)내부의 압력을 P1, 제 2용기(2)내부의 압력을 P2라고 하면, 운전중에는 P1〉P2이기 때문에, 제 2용기(2)에 고인 냉동기유(11a)나 액냉매(10a)가 흡입관(38)에 흐르기 위해서는 P4〈P2로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유회수관(39)을 적절한 치수로 흡입관(38)내에 돌출시켜, 소위 말하는 이젝터효과를 응용하므로서, P4〈P2의 상황을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냉동공조회로의 운전중에 P4〈P2의 관계가 실현하므로서 제 2용기(2)에 들어간 냉동기유(11a)는 액냉매(10a)와 함께 흡입관(38)에 들어가고 제 1용기(1)로 이동한다.
또, 제 2용기(2)를 제 1용기(1)의 상방에 배치하였으므로, 냉동공조회로의 정지시에는 중력에 의해 제 2용기(2)내부의 액냉매(10a)나 냉동기유(11a)는 유회수관(39)을 통과해서 제 1용기(1)로 이동한다.
이와같이, 가스유통관 통기관(7), 연통관(8)등의 구성에 의해 제 1용기(1)내부에서는 주로 액냉매(10)가 선택적으로 제 2용기(2)에 운반된다.
또 그 운반동작이 불완전하고, 액냉매에 냉동기유가 혼입해서 제 2용기(2)에 냉동기유가 유입한 경우에도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제 2용기(2)에 들어간 냉동기유(11a)는 제 1용기(1)에 회수되고, 다시 유반려관(6)으로부터 압축기에 회수된다.
따라서, 압축기내의 냉동기유(10)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필요량을 확보할 수 있고, 냉동기나 냉동공조회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12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2에 의한 냉동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2용기에 냉동기유와 액냉매가 혼탁되어 유입되는 경우를 상정해서 제 2용기에 혼입한 냉동기유를 제 1용기에 회수하는 것으로, 제 2용기내부에 복수의 구멍을 갖는 관을 설치하고, 관의 하단부를 제 1용기에 접속되는 흡입관의 내벽에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8은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고, 그 일부를 확대해서 함께 표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40은 유입수단으로, 예를들면 흡입관, 41은 액체회수수단이고, 예를들면 증공원통상의 유회수관이고, 제 2용기(2)의 액체축적부에 잠기도록 설치된 것으로, 그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여러개의 유회수공(41a)이 설치되어 있다.
유회수공(41a)의 최고위치는 제 2용기(2)내부에 고이는 액면높이의 최고위치부근에 설치하고, 또 임의의 위치에 액면이 있는 경우에도 냉동기유(11a)를 제 1용기(1)에 회수할 수 있도록 유회수(41a)를 상하함량의 다른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었다.
42는 유회수관941)의 하단부와 흡입관(40)을 도통하는 접속수단으로 예를들면 유회수관이다.
유회수관(42)의 흡입관(40)측의 단부에는 흡입관(40)의 내벽면에서 안쪽으로 예를들어 수 ㎜정도 돌출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 2용기(2)에 축적되어 있는 냉동기(11a)가 임의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유면위치에 상당하는 유회수공(41a)로 부터는 냉동기유(11a)가 유회수관(41)의 내부에 들어가 액냉매(10a)에 면한 유회수공(41a)으로부터는 액냉매(11a)가 유회수관(41)내부로 들어간다.
그리고 유회수관(42)의 흡입관(40)측의 단부에서는 흡입관(40)을 흐르는 가스매체(9)에 의해 이젝터효과가 작용해서 주위의 정압에 비해 부압이 된다.
즉, 흡입관(40)내부의 유회수관(42)의 선단부의 압력을 P5라고 하면, P5〈P2의 상태가 생성된다.
이 결과, 유회수관(41)의 내부에 들어간 냉동기유(11a)나 액냉매(10a)는 흡입관(40)의 내부에 흡입되어, 가스냉매와 함께 제 1용기(1)에 회수된다.
이와같이 운전중에 제 2용기(2)에 들어간 냉동기유(11a)를 제 1용기(1)에 회수할 수 있다.
또, 냉동공조회로의 정지시에는, 제 2용기(2)내부의 액냉매(10a)나 냉동기유(11a)는 중력에 의해 유회수관(41)을 통과해서 제 1용기(1)로 이동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액냉매(10)의 제 2용기92)에의 선택적 운반동작이 불완전해 액냉매(10a)에 냉동기유(11)가 혼입해서 제 2용기(2)에 냉동기유(11a)가 유입한 경우에도, 제 2용기에 들어간 냉동기유(11a)를 제 1용기(1)에 회수할 수가 있다.
또 회수된 냉동기유(10)는 유반려관(6)을 통해서 압축기에 회수된다.
이 때문에 압축기에의 냉동기유의 유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필요량을 확보할 수가 있고, 압축기나 냉동공조회로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3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3에 의한 냉동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제 2용기에 냉동기유와 액냉매가 혼탁해 유입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제 2용기에 혼입한 냉동기유를 제 1용기로 되돌리는 것이고, 제 1용기에 접속하는 흡입관의 내벽에 돌출하도록 구비한 여러개의 연통관을 제 2용기와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도 19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고, 그 일부를 확대해서 함께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는 실시의 형태(11)의 구성을 변형한 예이다.
즉 실시의 형태(11)의 구성을 실시의 형태 2의 구성에 적용한 것으로, 제 1용기(1)를 제 2용기위에 배치하고 있다.
도면에서 43은 흡입관, 44a, 44b, 44c는 유회수관이고, 최고위치(유회수관 44c의 위치)는 제 2용기(2)내부에 고이는 액면높이의 최고위치 부근에 설정하고, 또 임의의 위치에 액면이 있는 경우에도 냉동기유(11a)를 제 2용기(2)에 회수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유회수관(44b),(44c)의 일단을, 확대해서 표시한대로 흡입관(43)내측에 돌출해 있고, 타단은 제 2용기(2)의 하방에 접속하도록 구성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동작은, 실시의 형태(11)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런 구성으로도, 액냉매(10)의 제 2용기(2)에의 선택적운반동작이 불완전하고, 액냉매(10a)에 냉동기유(11)가 혼입해서 제 2용기(2)에 냉동기유(11a)가 유입한 경우에도, 제 2용기(2)에 들어간 냉동기유(11a)를 제 1용기(1)에 회수할 수가 있다.
또 회수된 냉동기유(10)는 유반려관(6)을 통해서 압축기에 회수된다.
이 때문에 압축기에의 냉동기유의 유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높은 신뢰성이 있는 냉동공조회로를 얻을 수가 있다.
다음, 실시의 형태 14,15는 제 1용기나 제 2용기(2)내부의 액냉매나 냉동기유가 용기 내부의 가스냉매(9)의 흐름에 의해 흐터지는 것을 방지하고, 기액분리나 냉동기유와 액냉매의 분리를 효과적으로 실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14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4에 의한 냉동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고, 제 1용기(1)내부의 액면(유면)을 안정시키는 것 및 냉동기유(11)와 액냉매(10)의 경계면을 안정시키기 위한 구성을 표시한다.
도면에서 45는 액면안정판이고, 액냉매(10)가 제 1용기(1)내에 체류한 상태에서 냉동기유(11)와 액냉매(10)의 경계면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 46은 정류판이고, 유면(액면)의 상방에 고정시켜 설치되어 있다.
액면안정판(45) 및 정류판(46)은, 제 1용기(1)내의 액면을 안정시키는 액면 안정수단을 구성하고, 예를들어 금망(메시)구조나 발포금속이나 소결금속같은 액체나 가스의 투과성이 좋은 것을 선택한다.
흡입관(3)으로부터 가스냉매(9), 액냉매(10), 냉동기유(11)가 제1용기(1)에 유입한다.
액냉매(10) 및 냉동기유(11)는 정류판(46)을 통과할 때, 그 세력이 저하해서 조용히 제1용기(1)에 체류해 있는 액면상에 낙하한다.
한편, 가스냉매(9)는 정류판(46)에 의해 흐름의 방향이 변경되고, 제1공간(1)의 하방으로 흐르기 힘들게 되고, 순조롭게 가스유통관(4)나 통기관(7)에 유입하기 쉽게 된다.
어큐뮬레이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는, 제1용기(1)의 기상 분리효율을 향상시키고, 냉동기유(10)를 제1용기(1)내에 안정시켜 고이게하고, 액냉매(10)와 냉동기유(11)를 효과적으로 2층 분리하는 것이다.
기액분리효율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제1용기(1)내부의 액면이 가능한 한 흐트러지지 않는 상황을 실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효율좋게 액냉매(10)와 냉동기유(11)가 비중차에 의해 2층분리하기 위해서는, 냉동기유(11)와 액냉매(10)와의 경계면 근방을 가능한한 정숙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가스냉매가 직접, 유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스냉매가 투과하는 구성으로서, 흐름의 방향을 변경하는 정류판(46)또는 구조나 발포금속구조의 액면안정판(45)이 유효하게 된다.
또 낙하한 액체는 액면안정판(45)이 있기 때문에, 비중이 가벼운 냉동기유(11)와 비중이 무거운 액냉매(10)로 재빨리 분리하고, 그 경계면은 안정된다.
또 액면에 어떠한 교란이 있어도, 액면 안정판(45)에 의해, 그 교란은 어느정도 흡수되고, 경계면 및 액면은 안정하게 보존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용기(1)의 형상이 원통상이고, 흡입관(3)은 이 원통의 내벽면에 따르도록 유체를 도입하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원통의 내벽면에 따라 흐르면서 액체는 저하되어 낙하해 가므로, 정류판(46)이나 액면 안정판(45)도 효과적으로 작용해서 스므즈한 흐름이 형성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용기(1)에 액면 안정판(45)과 정류판(46)의 양쪽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어느한쪽을 갖는 구성이라도 기액분리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실시의 형태 15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5 에 의한 냉동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 은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 단면도이고, 제2 용기(2)내부의 액면(유면)을 안정하기 위한 구성을 표시한다.
도면에서, 47 은 정류판이고, 제2용기(2)내부의 유면(액면)의 상방에서, 가스 유통관(4)의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보다도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가스유통관(4)로부터 들어온 가스냉매(9)가 직접적으로 냉동기유(11a)의 표면이나 액냉매(10a)의 표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정류판(47)은 액체나 가스의 투과성이 좋은 것이 선택되고, 예를들면 금망(메시)구조나 발포 금속이나 소결 금속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가스유통관(4)을 통해서 가스냉매(9)나 액냉매(10a), 냉동기유(11a)가 제2용기(2)에 유입한다.
이때, 액냉매(10a), 냉동기유(11)은 제2용기(2)에 축적되고, 가스냉매는 토출관(5)로부터 냉동공조회로에 도출된다.
그래서, 제2용기(2)내에 도면과 같은 정류판(47)이 설치되어 있으면, 가스냉매가 직접 축적되어 있는 액면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고 스므즈하게 토출관(5)에 흐르겐 된다.
이상 실시의 형태 1 내지 실시의 형태 13 은, 제1용기(1)과 제2용기(2)의 2개의 용기로 구성해서, 냉동기유와 액냉매를 분리해서 효율좋게 냉동기유를 압축기로 되돌리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아래에 표시하는 실시의 형태 16 내지 실시의 형태 23 은, 하나의 용기에 칸막이판을 설치해서 2개의 공간(제1공간 및 제2공간)을 형성한 것으로, 실시의 형태 1 내지 실시의 형태 13 에서의 제1용기 및 제2용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같은 효과를 얻을수가 있고, 다시 간단한 구성으로 소형화할 수 있는 구성의 것이다.
실시의 형태 16
실시의 형태 16 은 실시의 형태 2 에 표시한 구성의 어큐뮬레이터를 하나의 용기로 구성한 예이고, 이 어큐뮬레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22(b)는 도 22(a)의 X-X 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60은 어큐뮬레이터용기, 61 은 어큐뮬레이터 용기(60)의 내부를 상하로 가로막는 칸막이판, 62 는 제 1 공간, 63 은 제2공간, 64 는 흡입관, 65 는 가스 유통관, 66 은 통기관, 67 은 연통관, 68 은 토출관, 69 는 유반려관에 상당하는 유반려공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2 에서의 제1용기(1)가 제1공간(62)에 상당하고, 제2용기(2)가 제2공간(63)에 상당한다.
실시의 형태 2 와 같거나 또는 상당부분을 같은 명칭을 부쳐 같은 기능을 갖는다.
또 실시의 형태 2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산은 토출관(5)을 제2용기(2)로부터 압축기로 인도하고, 또 유반려관(6)도 제2용기(2)로부터 압축기로 인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어큐뮬레이터 용기(60)내부에서 유반려공(69)과 토출관(68)을 연통하고, 가스냉매와 냉동기유가 도출되는 토출관(68)을 압축기로 인도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제1공간(62)의 내면에서 유반려공(69)까지의 높이 h1, 제1공간(62)의 저면에서 연통관(67)까지의 높이 h2, 제1공간(62)의 저면에서 통기관(66)의 하단부까지의 높이 h3 는 h3<h1<h2 의 관계를 갖는다.
또 통기관(66)의 상단부의 위치는, 가스 유통관(65)의 상단부와 거의 같은 위치로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공간(62)의 액면(유면)이 h3 로부터 h2 인 경우, 통기관(66)으로부터 연통관(67)을 통해서 가스유통관(65)에 가스냉매가 유입한다.
이때 통기관(66)의 하단부측에는 액면높이에 따라 액냉매가 들어가 있다.
그리고 액면(유면)이 h2 이상이 되면, 통기관(66)으로부터 연통관(67)을 통해서 가스유통관(65)에 액냉매가 유입한다.
이 액냉매는 중력낙하나 내부의 가스의 유동과 함께 하부에 있는 제2공간(63)으로 이동해서, 제2공간(63)의 저부에 축적되고 제1공간(62)내의 액면높이는 저하한다.
이와같이, 제1공간(62)내부에서는 액면(유면)높이가 h2에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고, 여분의 액냉매는 제2공간(63)에 축적된다.
이 때문에, 도 2에서 설명한바와같이, 냉동공조회로에 액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가 적용되는 경우, 유반려관(69)으로부터 토출관(68)을 경유해서 압축기에 흐르는 냉동기유의 유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압축기에의 냉동기유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일없이 필요량을 확보하고, 압축기나 냉동공조회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또, 어큐뮬레이터 용기(60)에 접속되어 있는 관은 흡입관(64), 토출관(64)이고, 외관이 단순한 어큐뮬레이터가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17
실시의 형태 17 은 실시의 형태 16을 변형한 것으로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옆으로 놓은 구성예이고, 이 어큐뮬레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3(b)는 도 23(a)의 X-X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70 은 어큐뮬레이터 용기, 71 은 어큐뮬레이터 용기(70)의 내부를 막는 칸막이판, 72 는 제1공간 73 은 제2공간, 74 는 흡입관, 75 는 가스유통관, 76 은 통기관, 77 은 연통관, 78 은 토출관, 79 는 유반려관이다.
제1공간(72)의 저면에서 유반려관(79)까지의 높이 h1, 제1공간 (72)의 저면으로부터 연통관(77)까지의 높이 h2, 제1공간(72)의 저면으로부터 통기관(76)의 하단부까지의 높이 h3 는 h3<h1<h2 의 관계를 갖는다.
또 통기관(76)의 상단부의 위치는 가스유통관(75)의 상단부와 거의 같은 위치에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공간(72)의 액면(유면)이 h3 으로부터 h2 의 경우 통기관(76)으로부터 연통관(77)을 통해서 가스유통관(75)에 가스냉매가 유입한다.
이때 통기관(76)의 하단부측에는 액면높이에 따라 액냉매가 끼여 있다.
그리고 액면(유면)이 h2 이상이 되면, 통기관(76)에서 연통관(77)을 통해서 가스유통관(75)에 액냉매가 유입한다.
이 액냉매는 그 내부의 가스의 유동과 함께 제2공간(73)으로 이동하고, 제2공간(73)의 저부에 축적되어, 제1공간(72)내부에서는 액면(유면)높이가 h2 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여분의 액냉매는 제2공간(73)에 축적된다.
이 때문에, 도 2에서 설명한바와같이, 냉동공조회로에 액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가 적용되는 경우, 유반려관(79)으로부터 압축기에 흐르는 냉동기유의 유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압축기에의 냉동기유의 유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필요량을 확보하고, 압축기나 냉동공조회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 어큐뮬레이터 용기(70)에 접속되어 있는 관은, 흡입관(74), 토출관(78), 유반려관(79)이고, 외관의 단순한 어큐뮬레이터가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18
실시의 형태 18 은 실시의 형태 6을 하나의 용기로 구성하고, 다시 제1공간을 제2공간 옆에 높은 구성예이고, 이 어큐뮬레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 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4(a)는 어큐뮬레이터의 전체를 표시하고, 도 24(b)는 일부들 확대해서 표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80 은 어큐뮬레이터 용기, 81 은 어큐뮬레이터 용기(80)내의 내부를 갈라놓은 칸막이판, 81a 는 칸막이판에 가공한 가스 유통공, 82 는 제1공간, 83 은 제2공간, 84 는 흡입관, 85 는 분리판, 86 은 냉매 흡입관, 87 은 토출관, 88 은 유반려관이다.
분리판(85)과 냉매흡입관(86)의 하단부에는 각각 제1공간(82)의 저면과의 사이에 극간이 존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6 에서의 제1용기(1)가 제1공간(82)에 상당하고, 또 제2용기(2)가 제2공간(83)에 가스유통관(22)은 가스유통공(81a)에, 원통(23)은 분리판(85)에 냉매흡입관(24)은 냉매흡입관(86)에 각각 상당한다.
제1공간(82)의 저면에서 유반려관(88)까지의 높이 h1, 제1공간(82)의 저면에서 냉매흡입관(86)까지의 높이 h2 , 제1공간(82)의 저면에서 분리판(85)의 하단부까지의 높이 h3 는 h3<h1<h2 의 관계를 갖는다.
냉동공조회로가 동작하고 있을때는, 가스냉매가 제1공간(82)으로부터 가스유통공(81a)을 통해서 제2공간(83)에 흐름으로써 압력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즉, 제1공간(82)내의 압력이 제2공간(83)내의 압력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제1공간(82)의 액면(유면)이 h3 로부터 h2의 경우, 냉매 흡입관(86)내에 가스냉매가 들어가, 압력차에 의해 냉매 흡입관(86)내를 밀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액면높이에 따라 분리판(85)의 하단부에서 냉매 흡입관(86)이 설치된 쪽에 액냉매가 들어가 있다.
그리고, 액면(유면)이 h2 이상이 되면, 냉매 흡입관(86)내에 액냉매가 들어가고, 압력차에 의해 냉매 흡입관(86)내에 밀어올려진다.
이 때문에, 제1공간(82)내의 액냉매(10)가 제2용기(83)으로 이동하고, 제2공간(83)의 저부에 축적되고, 제1공간(82)내의 액면높이는 저하한다.
이와같이, 제1공간(82)내부에서는 액면(유면)높이가 h2에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고 여분의 액냉매는 제2공간(83)에 축적된다.
이 때문에, 도 2에서 설명한바와같이, 냉동공조회로에 액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가 적용되는 경우, 유반려관(88)으로부터 압축기에 흐르는 냉동기유의 유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압축기에의 냉동기유의 유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필요량을 확보하고, 압축기나 냉동공조회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또 어큐뮬레이터용기(80)에서 접속되어 있는 관은, 흡입관(84), 토출관(87), 유반려관(88)이고 외관이 단순한 어큐뮬레이터가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19
실시의 형태 19 는 실시의 형태 8을 하나의 용기로 구성한 예이고, 이 어큐뮬레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5(b)는 도 25(a)의 X-X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89 는 어큐뮬레이터 용기, 90 는 어큐뮬레이터 용기(89)의 내부를 상하로 구분짓는 칸막이판, 91 은 제1공간, 92 는 제2공간, 93 은 흡입관 94 는 가스유통관, 95 는 통기관, 96 은 연통관, 97 은 연통관 , 98 은 토출관 , 99 는 유반려관이다.
실시의 형태 8 의 제1용기(1)가 제1공간(91)에 상당하고, 또 제2용기(2)가 제2공간(92)에 상당한다.
제1공간(91)의 저면에서 유반려관(99)까지의 높이 h1 , 제1공간(91)의 저면으로부터 연통관(96)까지의 높이 h2 , 제 1 공간(91)의 저면에서 통기관(95)의 하단부까지의 높이 h3 는, h3<h1<h2 의 관계를 갖는다.
또 통기관(95)의 상단부의 위치는 가스유통관(94)의 상단부와 거의 같은 위치에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공간(91)의 액면(유면)이 h3 로부터 h2 인 경우, 통기관(95)로부터 연통관(96)을 통해서 가스유통관(94)에 가스냉매가 유입된다.
이때, 통기관(95)의 하단부에서 액면 높이에 따라 액냉매가 들어가 있다.
그리고 액면(유면)이 h2 이상이 되면, 통기관(95)으로부터 연통관(96)을 통해서 가스유통관(94)에 액냉매가 유입된다.
이 액냉매는 내부의 가스의 유동과 함께 제2공간(92)에 이동해서, 제2공간(92)의 저부에 축적되고, 제1공간(91)내의 액면높이는 저하한다.
냉동공조회로가 동작해 있을때는, 가스냉매가 제1공간(91)으로부터 가스유통관(94)를 통해서 제 2 공간(92)에 흐름으로써 압력손실이 생기고 있다.
즉 제1공간(91)내의 압력이 제2공간(92)내의 압력보다도 높아져 있다.
이 때문에, 제2공간(92)으로 이동한 액냉매는 연통관(97)으로부터 제1공간(91)으로 되돌아가는 일은 없으나, 냉동공조회로가 정지했을때에 제1공간(91)내부와 제2공간(92)내부의 압력차가 없어지는 증력에 의해 제2공간(92)에 축적한 액냉매는 연통관(97)으로부터 제2공간(91)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같이 제1공간(91)내부에서는 액면(유면)높이가 h 2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여분의 액냉매는 제2공간(91)에 축적된다.
이 때문에, 도 2에서 설명한바와같이 냉동공조회로에 액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가 적용되는 경우, 유반려관(99)로부터 압축기에 흐르는 냉동기유의 유량을 일정으로 할 수 있고 압축기에의 냉동기유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필요량을 확보하고, 압축기나 냉동공조회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또 어큐뮬레이터 용기(89)에 접속되어 있는 관은 흡입관(93), 토출관(98), 유반려관(99)이고, 외관이 단순한 어큐뮬레이터가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20
실시의 형태 20 은, 실시의 형태 9 에 표시한 구성의 어큐뮬레이터를 하나의 용기로 구성하고, 제1용기중에 제2용기를 배치한 예이고, 이 어큐뮬레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로, 도 26(b)는 상면도이다.
도면에서, 100 은 어큐뮬레이터 용기, 101 은 어큐뮬레이터 용기(100)의 내부를 분리하는 내용기, 102 는 내용기(101)에서 분리된 제1공간, 103 은 제2공간, 104 는 흡입관, 105 는 가스유통관 , 105a 는 연통공, 106 은 통기관 , 107 은 연통관, 108 은 유반려관 , 109 는 토출관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9 에서의 제1용기(1)이 제1공간(102)에 상당하고, 제2용기(2)가 제2공간(103)에 상당하고 연통관(33)이 연통공(105a)에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9 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은 같은 명칭을 붙여 같은 기능을 갖는다.
제1공간(100)의 저면에서 유반려관(108)까지의 높이 h1, 제1공간(100)의 저면에서 연통관(107)까지의 높이 h2 , 제1공간(100)의 저면에서 통기관(106)의 하단부까지의 높이 h3 는, h3<h1<h2 의 관계를 갖는다.
또 통기관(106)의 상단부의 위치는 가스유통관(105)의 한쪽의 개방단부와 거의 같은 위치에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공간(100)의 액면(유면)이 h3 로부터 h2 인 경우, 통기관(106)으로부터 연통관(107)을 통해 가스유통관(105)에 가스냉매가 유입된다.
이때 통기관(106)의 하단부로부터 그 액면 높이에 따라 액냉매가 들어가 있다.
그리고 액면(유면)이 h2 이상이 되면, 통기관(106)에서 연통관(107)을 통해서 가스유통관(105)에 액냉매가 유입된다.
이 액냉매는 내부의 가스의 유통과 함께 제2공간(103)에 이동하고, 제2공간(103)의 저부에 축적되고, 제1공간(100)의 액면높이는 저하한다.
냉동공조회로가 동작하고 있을때는, 가스냉매가 제1공간(100)으로부터 유통관(105)을 통해서 제2공간(102)에 흐름으로써 압력손실이 생기고 있다.
즉 제1공간(100)내의 압력이 제2공간(103)내의 압력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공간(103)에 이동한 액냉매는 연통관으로부터 제1공간(100)에 되돌아가는 일은 없으나, 냉동 공조회로가 정지했을때에 제1공간(100)내부와 제2공간(103)내부의 압력차가 없어지고, 중력에 의해 제2공간(103)에 축적한 액냉매는 연통공(105)으로부터 제1공간(100)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같이, 제1공간(100)내부에서는 액면(유면)높이가 h2 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고, 여분의 액냉매는 제2공간(103)에 축적된다.
이 때문에 도 2에서 설명한바와같이 냉동공조회로에 액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가 적용되는 경우 유반려관(108)으로부터 압축기에 흐르는 냉동기유의 유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압축기의 불량발생을 억제할수 있다.
또 어큐뮬레이터 용기(100)에 접속되어 있는 관은, 흡입관(104) 유반려관(108)토출관(109)이고 외관이 단순한 어큐뮬레이터가 얻어진다.
또 도 27 은 가스유통관의 변혀예를 표시한것이고, 제2공간내에 배치되는 가스유통관(110)의 상하방향의 다른 위치에, 복수의 연통공, 예를들면 2개의 연통공(110a),(110b)을 설치한 구성이다.
이와같이 연통공(110a),(110b)를 다른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제2공간에 축적되는 액체의 액면 높이에 불구하고 냉동공조회로와 정지했을때에 제1공간에 효율좋게 되돌릴수가 있다.
특히 냉동기유가 들어 있는 액체 축적부의 상방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 냉동기유를 순조롭게 제1공간으로 되돌릴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1
실시의 형태 21 은 실시의 형태 12 에 표시한 구성의 어큐뮬레이터를 하나의 용기로 구성하고, 제1용기와 제2용기를 탄막이판으로 갈라서 배치한 예이고, 이 어큐뮬레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8(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28(b)는 도 28(a)의 X-X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11 은 어큐뮬레이터 용기 , 112 는 어큐뮬레이터 용기(111)의 내부를 상하로 갈르는 칸막이판, 113 은 제1공간, 114 는 제2공간, 115 는 흡입관, 116 은 가스유통관, 117 은 통기관, 118 은 연통관, 119 는 유반려관, 120 은 토출관, 121 과 122 는 유회수관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2 에서의 제1용기(1)가 제1공간(113)에 상당하고, 제2용기(2)가 제2공간(114)에 상당한다.
실시의 형태 12와 같거나 또는 상당하는 부분은 같은 명칭을 붙여 같은 기능을 갖는다.
제1공간(113)의 저면에서 유반려관(11)까지의 높이 h1 , 제1공간 (113)의 저면에서 연통관(118)까지의 높이 h2 , 제 1 공간(113)의 저면에서 통기관(117)의 하단부까지의 높이 h3 는, h3<h1<h2 의 관계를 갖는다.
또 통기관(117)의 상단부의 위치는 가스유통관(116)의 한쪽의 개방단부와 거의 같은 위치에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공간(113)의 액면(유면)이 h3 으로부터 h2 인 경우, 통기관(117)으로부터 연통관(118)을 통해서 가스유통관(116)에 가스냉매가 유입한다.
이때 액면 높이에 따라, 통기관(117)의 하단부에서 액냉매가 들어와 있다.
그리고 액면(유면)이 h2 이상이 되면, 통기관(117)으로부터 연통관(118)을 통해서 가스유통관(116)에 액냉매가 유입된다.
이 액냉매는, 내부의 가스의 유통관(116)에 액냉매가 유입한다.
이 액냉매는, 내부의 가스의 유통과 함께 제2공간(114)에 이동하고, 제2공간(114)의 저부에 축적되어, 제1공간(113)내의 액면고는 저하한다.
이와같이, 제1공간(113)내부에서는 액면(유면)높이가 h2 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고, 여분의 액냉매는 제2공간(114)에 축적된다.
이 때문에 도 2에서 설명한바와같이, 냉동공조회로에 액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가 적용되는 경우, 유반려관(119)으로부터 압축기에 흐르는 냉동기유의 유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압축기의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유회수관(121)은 상하방향이 다른 위치에 복수의 유회수공을 갖고, 제2공간(114)의 액체 축적부에 담그게 위치하고 있다.
유회수공의 최고위치는, 제2공간(114)내부에 고이는 액면높이의 최고위치 부근에 설치하고 다시 제2공간(114)내에 축적한 액체의 액면이 임의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그 액체의 상방에 분리해 있는 냉동기유를 제1공간(113)에 회수할 수 있도록 유회수공을 상하방향으로 여러개 설치하고 있다.
유회수관(121)의 하단부와 흡입관(115)을 연통하는 유회수관(122)는 그 한쪽의 단부를 흡입관(115)의 내측에 예를들면 수 mm 정도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유회수관(121),(12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2공간(114)에 축적되어 있는 냉동기유가 임의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그 액체의 상방에 분리해 있는 냉동기유를 제1공간(113)에 회수할 수 있도록, 유회수공을 상하방햐으로 여러개 설치하고 있다.
유회수관(121)의 하단부와 흡입관(115)을 연통하는 유회수관(122)는, 그 한쪽의 단부를 흡입관(115)의 내측에 예를들면 수 mm 정도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유회수관(121),(12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2공간(114)에 축적되어 있는 냉동기유가 임의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유면 위치에 상당하는 유회수공으로부터는 냉동기유가 유회수관(121)의 내부로 들어가, 액냉매에 면한 유회수공으로부터는 액냉매가 유회수관(121)의 내부로 들어간다.
그리고 유회수관(122)의 선단부에서는 흡입관(115)내부의 흐름에 의한 이젝터 효과의 작용에 의해, 주위의 정압에 비해 부압이 된다.
이결과, 유회수관(122)의 내부에 들어간 냉동기유나 액냉매는 흡입관(115)의 내부에 흡입되고 제1공간(113)에 회수된다.
이와같이 냉동공조회로의 운전중에도 제2공간(114)에 들어간 냉동기유를 제1공간(113)에 회수할 수 있다.
또 냉동공조회로의 정지시에는 제2공간(114)내부의 액체는, 중력에 의해 유회수관(121),(122)를 통과해서 제1공간(117)에 이동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액냉매의 제2공간(114)에의 선택적 운반동작이 불완정하고, 액냉매에 냉동기유가 혼입해서 제2공간(114)에 냉동기유가 유입한 경우에도 제2공간(114)에 들어간 냉동기유를 제1공간(114)에 들어간 냉동기유를 제1공간(113)에 회수할 수가 있다.
또 회수된 냉동기유는 유반려관(11a)을 통해서 압축기에 회수된다.
이 때문에 압축기에의 냉동기유의 유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높은 신뢰성의 냉동공조회로를 얻을수가 있다.
또, 어큐뮬레이터 용기(111)에 접속되어 있는 관은, 흡입관(115)유반려관(119), 토출관(120)이고, 외관이 단순한 어큐뮬레이터가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22
실시의 형태 22 는, 제1공간의 액면 높이 유지수단으로서 실시의 형태 6 에 표시한 원통과 냉매 흡입관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제1,제2 공간을 하나의 용기로 한 배치나 제2공간에 축적한 액체를 제1공간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으로서 실시의 형태 21 에 표시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하, 이 어큐뮬레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9(a)는 실시의 형태 22 에 의한 어큐뮬레이터 데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9(b)는 도 29(a)의 X-X 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23 은 어큐뮬레이터 용기, 124 는 어큐뮬레이터 용기(123)의 내부를 상하로 구분하는 칸막이판, 125 는 제1공간, 126 제2공간, 127 은 흡입관, 128 은 가스유통관, 129는 유반려관, 130 은 토출관, 131 과 132 는 유회수관, 133 은 냉매흡입관, 134는 원통이다.
제1공간(125)의 저면에서 유반려관(129)까지의 높이 h1 , 제 1 공간(125)의 저면에서 냉매 흡입관(133)의 하단부까지의 높이 h2 , 제1공간(125)의 저면에서 원통(134)의 하단부까지의 높이 h3 는, h3<h1<h2 의 관계를 갖는다.
또 냉매 흡입관(133)의 상단부는 칸막이판(124)을 관통하고, 제2공간(126)에 연통해 있다.
여기서 제1공간(133)의 액면(유면)이 h3에서 h2 의 경우, 가스냉매가 냉매 흡입관(133)을 통해서 제2공간(126)에 유입한다.
이때 액면높이에 따라, 원통(134)의 하단부에서 액냉매가 들어가 있다.
그리고 액면(유면)이 h2 이상이 되면 냉매흡입관(133)을 통해서 제2공간(126)에 유입하고, 제1공간(125)내의 액면 높이는 저하한다.
냉동공조회로가 동작하고 있을때는 가스냉매가 제1공간(125)으로부터 가스유통관(128)을 통해서 제2공간(126)에 흐름으로써, 압력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즉 제1공간(125)내의 압력이 제2공간(126)내의 압력보다도 높아져 있다.
이 때문에 , 제2공간(126)에 이동한 액냉매는 냉매 흡입관(133)으로부터 제1공간(125)으로 되돌아가는 일은 없으나, 냉동공조회로가 정지했을때에, 제1공간(125)내부와 제2공간(126)내부의 압력차가 없어지고, 증력에 의해 제2공간(126)에 축적된 액냉매는 냉매 흡입관(133)으로부터 제1공간(125)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같이, 제1공간(125)내부에서는 액면(유면)높이가 h2 이고, 제1용기(125)내부의 액면이 대략 일정화하고, 따라서 유반려관(129)의 높이근방에 냉동기유를 존재시켜 선택적으로 냉동기유를 압축기로 되돌릴수가 있다.
또 액냉매를 제2공간(126)에 축적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냉동공조회로에 액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가 적용되는 경우, 유반려관(129)로부터 압축기로 흐르는 냉동기유의 유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압축기의 불량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동수단으로서, 유회수관(133)은 상하방향이 다른 위치에 복수의 유회수공을 갖고 제2공간(126)의 액체 축적부에 담기도록 배제되어 있다.
유회수공의 최고위치는 제2공간(126)내부에 고이는 액면높이의 최고위치 부근에 설치하고, 또 제2공간(126)내에 축적한 액체의 액면이 임의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그 액체의 상방에 분리해 있는 냉동기유를 제1공간(125)에 회수될 수 있도록, 유회수공을 상하방향으로 여러개 설치하고 있다.
유회수관(131)의 하단부와 흡입관(127)을 연통하는 유회수관(132)은, 그 한쪽의 단부를 흡입관(127)의 내측에, 예를들면 수 mm 정도 돌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유회수관(131),(132)의 동작은, 실시의 형태 21 과 같이 제2공간(126)에 축적되어 있는 냉동기유가 임의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유면 위치에 상당하는 유회수공으로부터는 냉동기유가 유회수관(131)의 내부에 들어가고, 액냉매에 면한 유회수공으로부터는 액냉매가 유회수관(131)내부에 들어간다.
그리고 유회수관(132)의 선단부에서는 흡입관(127)내부의 흐름에 의한 이젝터 효과의 작용에 의해, 주위의 정압에 비해 부압이 된다.
이결과, 유회수관(132)의 내부에 들어온 냉동기유나 액냉매는 흡입관(127)의 내부에 빨려들어, 제1공간(125)에 회수된다.
이와같이 냉동공조회로의 운전중에도, 제2공간(126)에 들어간 냉동기유를 제1공간(125)에 회수할 수가 있다.
이상으로서, 제2공간에 축적되는 냉동기유와 액냉매는, 그 액면의 높이에 관계없이 냉동공조회로 동작중이거나 정지중에도 제1공간에 효율좋게 되돌릴수가 있고, 또 냉동기유는 유반려관(129)을 경유해서 압축기에 되돌릴수가 있고, 또 냉동기유 유반려관(129)을 경유해서 압축기에 되돌릴수가 있다.
또 어큐뮬레이터 용기(123)에 접속되어 있는 관을 흡입관(127)유반려관(129), 토출관(130)이고 외관이 단순한 어큐뮬레이터가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23
실시의 형태 23 은, 제 1용기(1)로서 실시의 형태 2를 제2용기(2)로 해서 실시의 형태 12를 하나의 용기로 구성한 예이고, 이 어큐뮬레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0 은 실시의 형태 23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35 는 어큐뮬레이터 용기, 136 은 어큐뮬레이터 용기(135)의 내부를 상하로 구분하는 칸막이판, 137 은 제1공간, 138 은 제2공간, 139 는 흡입관, 140 은 가스유동관, 141 은 통기관, 142 는 연통관, 143 은 유반려관에 상당하는 유반려공, 144 는 토출관이다.
실시의 형태 23 은 제1공간의 액면높이 유지수단으로서 실시의 형태 1 에 표시한 통기관과 연통관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제1 제2공간을 하나의 용기로 한 배치나 제2공간에 축적한 액체를 제1공간에 이동하는 이동수단으로서 실시의 형태 12 에 표시한 유회수관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하, 이 어큐뮬레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0(a)는 실시의 형태 23 에 의한 어큐뮬레이터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30 (b)는 도 30(a)의 X-X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35 는 어큐뮬레이터 용기, 136 은 어큐뮬레이터 용기(135)의 내부를 상하로 구분하는 칸막이판, 137 은 제1공간, 138 은 제2공간, 139 는 흡입관, 140 은 가스유통관, 141 은 통기관, 142 는 연통관 , 143 은 유반려관에 상당하는 유반려공, 144 는 토출관, 145 와 146 은 유회수관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토출관(144)에 유반려공(143)을 설치하고, 토출관(144)에 의해 냉매가스와 냉동기유를 냉동공조회로를 되돌리도록 구성되 있다.
제1공간(137)의 저면에서 유반려공(143)까지의 높이 h1 , 제1공간(137)의 저면에서 연통관(142)까지의 높이 h2 , 제1공간(137)의 저면에서 통기관(141)의 하단부까지의 높이 h3 은 h3<h1<h2 의 관게를 갖는다.
또 가스유통관(140)의 하단부는 칸막이판(124)을 관통하고, 제2공간(138)에 연통하고 있다.
여기서 제1공간(137)의 액면(유면)이 h3에서 h2 인 경우, 가스냉매는 통기관(141)으로부터 연통관(142)를 통과해, 가스유통관(140)으로부터 제2공간(138)에 유입된다.
이때 통기관(141)의 하단부로부터는 그 액면 높이에 따라 액냉매가 들어가 있다.
그리고, 액면(유면)이 h2 이상이 되면, 액냉매는 연통관(142)를 통과해 가스유통관(140)으로부터 제2공간(138)에 유입한다.
그리고 제2공간(138)에 축적하고, 제1공간(137)의 액면높이는 저하한다.
이와같이 제1공간(137)내부에서는 액면(유면)높이가 h2 로, 제1용기(137)내부의 액면이 거의 일정화하고, 따라서 유반려공(143)의 높이 근방에 냉동기유를 존재시켜, 선택적으로 냉동기유를 압축기에 되돌릴수가 있다.
또, 액냉매를 제2공간(138)에 축적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냉동공조회로에 액냉매와의 용해성이 미약한 냉동기유가 적용되는 경우, 유반려공(143)으로부터 압축기에 흐르는 냉동기유에 유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압축기의 불량발생을 억제할수 있다.
또, 이동수단으로서 유회수관(145)는 상하방향이 다른 위치에 복수의 유회수공을 갖고, 제2공간(138)의 액체 축적부에 담겨지도록 배치하고 있다.
유회수공의 최고위치는 제2공간(138)내부에 고이는 액면 높이의 최고위치 부근에 설치하고, 또 제2공간(138)내에 축적한 액체의 액면이 임의의 위치에 있는 경우라도, 그 액체 상방에 분리해 있는 냉동기유를 제1공간(137)에 회수 할 수 있도록, 유회수공을 상하방향으로 여러개 설치하고 있다.
유회수관(145)의 하단부와 흡입관(139)를 연통하는 유회수관(146)은 그 한쪽의 단부를 흡입관(139)의 안쪽에 예를들면 수 mm 정도 돌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유회수관(145)(146)의 동작은 실시의 형태 21 과 같고, 제2공간(138)에 축적되어 있는 냉동기유가 임의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유면위치에 상당하는 유회수공으로부터는 냉동기유가 유회수관(145)내부에 들어가고, 액냉매에 면한 유회수공으로부터는 액냉매가 유회수관(145)의 내부로 들어가버린다.
그리고 유회수관(146)의 선단부에서는 흡입관(139)내부의 흐름에 관한 이젝터효과의 작용에 의해, 주위의 정압에 비해 부압이 된다.
이 결과, 유회수관(146)의 내부로 들어간 냉동기유나 액냉매는 흡입관(139)의 내부에 빨려들어, 제1공간(137)에 회수된다.
이와같이, 냉동공조회로 운전중에도 제2공간(138)에 들어간 냉동기유를 제1공간(137)에 회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제2공간에 축적되는 냉동기유는, 그 액면의 높이에 관계치 않고, 냉동공조회로 동작중이라도 또는 정지중에도, 제1고간에 효율좋게 되돌릴수가 있고, 또 냉동기유는 유반려공(143)토출관(144)를 경유해서 압축기에 되돌릴수가 있다.
또 어큐뮬레이터 용기(135)에 접속되어 있는 관은, 흡입관(139)과 토출관(144)이고, 외관이 단순하기 때문에, 취급하기 쉬운 어큐뮬레이터가 얻어진다.
또 이상과 같이 실시의 형태 16~ 실시의 형태 23 에서는 하나의 용기로 어큐뮬레이터를 구성하는 예를 표시하였다.
그러나 실시의 형태 1에서 실시의 형태 15를 조합해서 하나의 용기로 구성하는 방법으로는 이외에도 여러 가지 변형예가 생각된다.
여기서는,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한하지 않고, 다른 구성에 의해 제1공간과 제2공간을 하나의 용기로 구성해, 단순하 외관으로 취급하기 쉬운 어큐뮬레이터를 얻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의 구성에 의하면, 냉동 공조회로를 순환하는 유체인 액체와 기체를 유입수단에 의해 도입하는 제1공간, 기체유통수단에 의해 기체를 제1공간에서 도입해 유출수단에 의해 냉동공조회로에 도출하는 동시에 액체를 축적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제2공간, 제1공간에 도입된 액체의 체류 높이가 소정의 높이 이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액면높이 유지수단, 제1공간내에서 소정의 높이 이상이 되었을때에 액체를 제1공간에서 제2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액체유통수단 및 제1공간의 소정의 높이보다도 낮은 위치에 개구하고, 제1공간에 체류해 있는 액체를 냉동공조회로에 도출하는 되돌림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제1공간의 액면높이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해 압축기에의 액냉매 유입량을 억제할 수 있고, 압축기내의 냉동기유의 필요량을 확보할 수 있는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어큐뮬레이터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구성에 의하면, 제1의 구성에서의 액체유통수단 및 기체유통수단을, 일단부가 제1공간의 기체부에 개구하는 동시에 타단부가 제2공간에 개구하고, 제1공간내의 기체부와 액체 체류부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기체유통관으로 구성하고, 액면높이 유지수단을, 제1공간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기체유통관에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 연통하는 연통부와, 연통부와 제1공간내의 상부를 연통하는 제1경로와, 연통부와 제1공간내의 소정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의 공간을 연통하는 제2경로를 갖는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제1공간의 액면높이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해 압축기에의 액냉매유입량을 억제할 수 있고, 압축기내의 냉동기유의 필요량을 확보할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어큐뮬레이터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제3의 구성에 의하면, 제1또는 제2의 구성에서 제2공간내에 축적한 액체를 제1공간에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제2공간에 축적한 냉동기유를 제1공간에서 압축기로 되돌려서, 압축기에 필요한 냉동기유를 확보할 수 있는 어큐뮬레이터가 얻어진다.

Claims (3)

  1. 냉동공조회로를 순환하는 유체인 액체와 기체를 유입수단에 의해 도입하는 제1공간, 기체유통수단에 의해 상기 기체를 상기 제1공간으로부터 유입하고, 유출수단에 의해 상기 냉동공조회로로 도출하는 동시에 상기 유체를 축적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제2공간, 상기 제1공간에 도입한 상기 액체의 체류높이가 제 1의 소정의 높이 이상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액면높이보존수단, 상기 제1공간내에서 소정의 높이 이상이 되었을때에 상기 액체를 상기 제1공간의 상기 제 1의 소정의 높이보다도 낮은 제 2의 소정의 높이로부터 사기 제 2의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유체 유통수단 및 상기 제 1공간의 상기 제 1의 소정의 높이보다도 낮고 또한 상기 제 2의 소정의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에 개구하며 상기 제 1공간에 체류하고 있는 상기 유체를 상기 냉동공조회로에 도출하는 반려수단을 구비한 어큐뮬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통수단 및 상기 기체유통수단은 1단부가 제1공간의 기체부에 개구하는 동시에 타단부가 제2공간에 개구하고, 상기 제1공간내의 상기 기체부와 액체체류부에 걸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기체유통관이며 상기 액면높이보존수단은 상기 제1공간내에서 상하방향에 배치한 상기 기체유통관에 상기 제 1의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서 연통하는 연통부와, 상기 연통부와 상기 제1공간내의 상부를 연통하는 제1경로와 상기 연통부와 상기 제1공간내의 상기 소정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의 공간을 연통하는 제2경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뮬레이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2공간내에 축적한 액체를 제1공간에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뮬레이터.
KR1019980017582A 1997-06-24 1998-05-15 어큐뮬레이터 KR100304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67328 1997-06-24
JP9167328A JPH1114199A (ja) 1997-06-24 1997-06-24 アキュムレ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455A KR19990006455A (ko) 1999-01-25
KR100304074B1 true KR100304074B1 (ko) 2001-11-22

Family

ID=1584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582A KR100304074B1 (ko) 1997-06-24 1998-05-15 어큐뮬레이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96372A (ko)
EP (1) EP0887603B1 (ko)
JP (1) JPH1114199A (ko)
KR (1) KR100304074B1 (ko)
CN (1) CN1149338C (ko)
BR (1) BR9801544A (ko)
DE (1) DE69824918T2 (ko)
ES (1) ES2224307T3 (ko)
MY (1) MY133561A (ko)
TW (1) TW3748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7325B1 (en) 2000-10-31 2002-10-01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Refrigeration system with phase separation
DE10058513A1 (de) * 2000-11-24 2002-06-20 Obrist Engineering Gmbh Lusten Sammler
DE10161238A1 (de) * 2001-12-13 2003-06-26 Behr Gmbh & Co Niederdrucksammler, insbesondere für eine CO2-Klimaanlage
JP3945252B2 (ja) * 2002-01-10 2007-07-18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ジェクタサイクル用の気液分離器
US6931886B2 (en) 2002-11-01 2005-08-23 Axima Refrigeration Gmbh Apparatus for the return of lubricant for a refrigeration machine
EP1416234A1 (de) * 2002-11-01 2004-05-06 Axima Refrigeration GmbH Vorrichtung zur Schmiermittelrückführung für eine Kältemaschine
US6637216B1 (en) 2003-01-22 2003-10-28 Bristol Compressors, Inc. Compressor with internal accumulator for use in split compressor
JP4255817B2 (ja) * 2003-08-27 2009-04-15 株式会社不二工機 気液分離器
CN100364185C (zh) * 2003-12-30 2008-01-23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用于锁模激光器的微型液体循环***
US7395678B2 (en) * 2004-04-02 2008-07-08 Parker-Hannifin Corp. Refrigerant receiving apparatus
US7478538B2 (en) * 2004-10-21 2009-01-20 Tecumseh Products Company Refrigerant containment vessel with thermal inertia and method of use
JP2006162122A (ja) * 2004-12-06 2006-06-22 Sanden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1175804B1 (ko) * 2005-05-18 2012-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어큐뮬레이터
US7228706B1 (en) 2005-12-30 2007-06-12 National Refrigeration & Air Conditioning Canada Corp. Extraction apparatus
JP2007192433A (ja) * 2006-01-17 2007-08-02 Daikin Ind Ltd 気液分離器及び該気液分離器を備えた冷凍装置
US20070251256A1 (en) 2006-03-20 2007-11-01 Pham Hung M Flash tank design and control for heat pumps
US20080016887A1 (en) * 2006-04-19 2008-01-24 Locke Marcos A Pressure balancing accumulator
ITMI20072100A1 (it) * 2007-10-31 2009-05-01 Parker Hannifin Spa Dispositivo di accumulo refrigerante e recupero olio per sistemi di recupero/rigenerazione/ricarica di un fluido refrigerante
EP2484995B1 (en) * 2009-09-30 2018-09-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source-side unit and refrigeration air conditioner
JP2012007864A (ja) * 2010-06-28 2012-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受液器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US8516837B2 (en) * 2010-08-04 2013-08-27 Manipal University Defrosting a freezing unit and liquid purification
JP2013053757A (ja) * 2011-08-31 2013-03-21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媒回路システム
KR101426998B1 (ko) * 2012-08-02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2967093A (zh) * 2012-12-17 2013-03-13 北京德能恒信科技有限公司 一种二相流储液稳流器
JP6131621B2 (ja) * 2013-02-05 2017-05-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油分離器
KR102122574B1 (ko) * 2013-02-28 2020-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
EP3091321B1 (en) * 2013-12-13 2019-07-17 Nec Corporation Refrigerant distribution device and cooling device
KR102198326B1 (ko) * 2013-12-26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N103913022A (zh) * 2014-04-02 2014-07-09 安徽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储液器和具有该储液器的压缩机
DE102015110574B4 (de) * 2015-07-01 2018-12-13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Vorrichtung zum Abscheiden und Sammeln flüssigen Kältemittels eines Kältemittelkreislaufs
WO2017081782A1 (ja) * 2015-11-11 2017-05-18 富士電機株式会社 排熱回収ヒートポンプ装置
WO2018154653A1 (ja) * 2017-02-22 2018-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20180118397A (ko) 2017-04-21 2018-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큐뮬레이터
CN107421179B (zh) * 2017-05-23 2023-07-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闪发器
CN108731311B (zh) * 2018-07-12 2024-05-10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一种压缩机组件及其空调***
JP7151282B2 (ja) * 2018-08-31 2022-10-1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冷凍サイクル装置
CN111288693A (zh) * 2018-12-06 2020-06-16 浙江盾安机电科技有限公司 油气分离组件及具有其的冷水机组
DE112021007498T5 (de) * 2021-04-12 2024-01-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ßeneinheit für eine Kühlvorrichtung und Kühlvorrichtung einschließlich derselben
US20220390156A1 (en) * 2021-06-04 2022-12-08 Purdue Research Foundation Smart accumulator with oil circulation ratio sens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0666U (ko) * 1977-03-25 1978-10-17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35995A (en) * 1927-11-29 1929-11-19 Chicago Pneumatic Tool Co Refrigerating system
US1994037A (en) * 1932-11-15 1935-03-12 Norman H Gay Evaporator system for refrigeration
US2570962A (en) * 1947-12-06 1951-10-09 Annandale Cuthill Means for intercepting liquid refrigerant
US3084523A (en) * 1962-01-30 1963-04-09 Refrigeration Research Refrigeration component
US3180567A (en) * 1963-04-12 1965-04-27 Coleman Co Compressor anti-slugging device
US3429139A (en) * 1967-08-01 1969-02-25 Borg Warner Refrigeration system including accumulator means
DE2602582C2 (de) * 1976-01-21 1983-03-31 Erich Schultze KG, 1000 Berlin Flüssigkeitsabscheider für Kälteanlagen
JPS56168068A (en) * 1980-05-28 1981-12-24 Hitachi Ltd Refrigeration cycle for airconditioner
JPS5887079A (ja) * 1981-11-20 1983-05-24 Canon Electronics Inc プリンタ
JPS5887079U (ja) 1981-12-08 1983-06-13 三洋電機株式会社 アキユムレ−タ
JPS6255588A (ja) * 1985-09-05 1987-03-11 Casio Comput Co Ltd 目盛板及びその製造方法
DE3829263A1 (de) * 1988-08-29 1990-03-15 Schmitz Uwe Vorrichtung zum verteilen eines stroemenden fluessigkeits-gas-gemisches in mehrere teilstroeme
DE3833209C1 (ko) * 1988-09-30 1990-03-29 Danfoss A/S, Nordborg, Dk
JPH0539409A (ja) 1991-08-02 1993-02-19 Idemitsu Petrochem Co Ltd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0744237U (ja) * 1992-07-22 1995-11-07 三星電子株式会社 冷暖房兼用空気調和機のアキュムレータ構造
KR940010583A (ko) * 1992-10-24 1994-05-26 정용문 가입자의 재가입 호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0666U (ko) * 1977-03-25 1978-10-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7603B1 (en) 2004-07-07
TW374831B (en) 1999-11-21
DE69824918D1 (de) 2004-08-12
BR9801544A (pt) 1999-06-29
EP0887603A2 (en) 1998-12-30
MY133561A (en) 2007-11-30
JPH1114199A (ja) 1999-01-22
KR19990006455A (ko) 1999-01-25
ES2224307T3 (es) 2005-03-01
EP0887603A3 (en) 1999-12-22
DE69824918T2 (de) 2005-07-14
CN1149338C (zh) 2004-05-12
CN1208823A (zh) 1999-02-24
US5996372A (en) 199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074B1 (ko) 어큐뮬레이터
JP3339302B2 (ja) アキュムレータ
EP0963536B1 (en) Oil return from evaporator to compressor in a refrigeration system
AU720877B2 (en) Accumulator
EP0516816B1 (en) Oil recovery system for low capacity operation of refrigeration systems
US20100218522A1 (en) Oil return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charge control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JPH07189908A (ja) アキュムレータ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50088139A (ko) 냉동 사이클용 리시버 탱크, 리시버 탱크가 달린 열 교환기및 냉동 사이클용 응축 장치
KR19990062805A (ko) 저유조를 갖춘 흡입 어큐뮬레이터
CN110573809B (zh) 油分离装置及制冷循环装置
KR100346769B1 (ko) 유체전도튜브의내부를세척하기위한세척시스템과이에수반된장치
CN209588468U (zh) 回油装置组件和制冷***
EP2169332A2 (en) Oil separator for separating refrigerant and oil
JP4268251B2 (ja) 油冷式スクリュ圧縮機
JP4045049B2 (ja) 冷凍装置の油戻し機構
JP2002277079A (ja) 冷凍サイクル
JP3624110B2 (ja) 油冷式圧縮機の横置き型油分離回収器
JPH05296173A (ja) 油冷式回転圧縮機の自動ドレン排出装置
JPH1114200A (ja) アキュムレータ
CN114812000B (zh) 双模式氟泵制冷***的回油装置及其控制方法和机房空调
JPH086175Y2 (ja) 氷水分離装置
JPH10259969A (ja) アキュムレータ
US20240247846A1 (en) Refrigerant reservoir contain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including the same
JPH0886519A (ja) 冷凍空調装置
CN219141179U (zh) 油分离器以及装配有该油分离器的空调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