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487B1 -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 Google Patents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487B1
KR100271487B1 KR1019980008358A KR19980008358A KR100271487B1 KR 100271487 B1 KR100271487 B1 KR 100271487B1 KR 1019980008358 A KR1019980008358 A KR 1019980008358A KR 19980008358 A KR19980008358 A KR 19980008358A KR 100271487 B1 KR100271487 B1 KR 100271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h
donor film
group
col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533A (ko
Inventor
권장혁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8000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487B1/ko
Priority to JP7072698A priority patent/JPH1114979A/ja
Priority to US09/050,015 priority patent/US6051318A/en
Priority to CNB981062466A priority patent/CN1322342C/zh
Publication of KR1998008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92Additives, other than colour forming substances, dyes or pigments, e.g. sensitisers, transfer promoting agents
    • B41M5/395Macromolecular additives, e.g. bin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 B41M5/38214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8Ablative thermal transfer, i.e. the exposed transfer medium is propelled from the donor to a receptor by generation of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0Thermal donors, e.g. thermal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26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inorganic compounds, e.g. metals, metal salts, metal compl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4Transfer or decalcoman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11Of epoxy 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73Next to addition polymer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 Y10T428/31576Ester monomer type [polyvinylacetat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92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699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8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필터용 도너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도너필름은 지지층, 광흡수층 및 전사층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사층이 화학식 1의 아크릴수지를 결합수지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식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C1∼C12알킬기, C2∼C10하이드록시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환기, C5∼C10사이클로알킬기 또는 벤질기이며; R3은 C1∼C12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환기, C5∼C10사이클로알킬기 또는 벤질기이며; X는 비닐기, 에폭시기 또는 수소원자이고; 0.1≤a≤0.65, 0.3≤b≤0.8 그리고 0≤c≤0.2이다(여기에서, a, b 및 c는 몰분율(mole fraction)으로서, a+b+c=1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너필름을 사용한 칼라필터 제조공정에서, 각 칼라별 전사공정과 소성공정만이 요구되며, 필요에 따라서 각 칼라층을 한꺼번에 소성할 수가 있어서 종래기술에 따른 칼라필터 제조공정에 비하여 공정수가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너필름을 이용하면, 칼라필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본 발명은 칼라필터용 도너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기로는 열전사법(thermal transfer method)을 이용하여 칼라필터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도너필름에 관한 것이다.
칼라필터는 액정표시장치에서 칼라를 구현하는 수단으로서, 안료분산법(pigment dispersion method), 인쇄법(printing method), 전착법(electrodeposition method) 등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안료분산법에 따르면, 칼라필터의 재현성과 정교성은 우수하지만 제조공정단계가 너무 길고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인쇄법은 제조하기가 간편하지만,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칼라필터의 정교성이 저하되어서 이 칼라필터는 대형크기의 표시장치에 적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착법은 칼라필터의 평활성은 우수하지만, 색특성이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칼라필터 제조시 열전사법을 이용하게 되었다. 열전사방법은 건식공정으로서, 기판위에 전사체층을 포함하는 도너필름을 배치한 다음, 레이저 등과 같은 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기판상에 도너필름의 전사층을 전사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열전사법에서는 전사층을 전사시키는 데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므로 안정적으로 효율적으로 전사될 수 있는 도너필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진다. 도너필름은 일반적으로 통상 전사되는 물질의 종류, 전사층의 물리화학적 성질, 에너지원의 종류 등에 따라 그 구조가 달라진다.
도너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층(support layer) (11), 이 지지층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흡수된 광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광흡수층(light absorbing layer) (12) 및 상기 광흡수층 (12)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사층 (13)으로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도너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 특히 전사층 및 광흡수층의 화학조성에 대한 많은 연구 끝에 본원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전사법을 이용하여 정교성, 색특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칼라필터를 형성할 수 있는 도너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도너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너필름을 사용하여 칼라필터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지층, 광흡수층 및 전사층을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도너필름에 있어서,
상기 전사층이 화학식 1의 아크릴수지를 결합수지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필터용 도너필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화학식 1>
상기식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C1∼C12알킬기, C2∼C10하이드록시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환기, C5∼C10사이클로알킬기 또는 벤질기이며;
R3은 C1∼C12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환기, C5∼C10사이클로알킬기 또는 벤질기이며;
X는 비닐기, 에폭시기 또는 수소원자이고;
0.1≤a≤0.65, 0.3≤b≤0.8 그리고 0≤c≤0.2이다(여기에서, a, b 및 c는 몰분율(mole fraction)으로서, a+b+c=1임).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30∼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아크릴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미만이면, 상온에서 전사층이 그대로 유지되기가 어렵고, 150℃를 초과하면 높은 전사에너지가 요구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칼라필터의 내열성, 투명성 및 분산성을 바람직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아크릴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103∼5×104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너필름은 지지층, 광흡수층 및 전사층으로 이루어진 기본구조이외에 다른 변형구조도 가능하다. 즉,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기본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너필름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흡수층과 전사층사이에 가스생성층(gas producing layer)을 더 형성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가스생성층은 광흡수층으로부터 전달된 열에너지에 의하여 가스를 생성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생성된 가스의 팽창에 의하여 전사층이 수용체상에 전사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열에너지에 의하여 가스를 생성하는 물질의 일예로서 가스생성폴리머가 있다. 이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열분해성 작용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열분해성 작용기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아지도(azido), 알킬아조(alkylazo), 디아조(diazo), 디아조늄(diazonium), 디아지리노(diazirino), 니트로(nitro), 디플루오로아미노(difluoroamino), 디니트로플루오로메틸(CF(NO2)2), 시아노(cyano), 니트라토(nitrato), 트리아졸(triazole)기 등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사층과 광흡수층 사이에 보호층을 더 형성하기도 한다. 이 때 보호층은 전사층이 광흡수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전사층이 광흡수층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보호층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단독으로 UV 코팅하거나, 상기 올리고머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을 UV코팅함으로써 형성한다. 또한 보호층은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단독으로 UV 코팅함으로써 형성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너필름은 지지층, 광흡수층 및 전사층으로 구성되는데, 각 층을 구성하는 성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지지층은 지지체 역할을 하며, 광투과율이 90%이상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층을 형성하는 물질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수지 등을 사용하는데,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층의 두께는 투명성과 취급성면에서 10 내지 500㎛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지지층은 단일층으로 형성하기도 하고, 복합적인 다층계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광의 반사를 줄이기 위하여 지지층 상부에 반사방지(anti-reflection)층을 형성하기도 한다.
상기 지지층 상부에 형성되는 광흡수층은 전사층이 기판 등과 같은 수용체상에 전사될 수 있는 전사에너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적외선-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잘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물질로서 광학농도가 0.2 내지 3.0인 알루미늄(Al), 주석(Sn), 니켈(Ni), 티타늄(Ti), 코발트(Co), 아연(Zn), 납(Pb) 등의 금속, 그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알루미늄(Al) 또는 그 산화물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재료로 이루어진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진공증착법을 이용하여 50 내지 2000Å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흡수층은 또한 고분자 결합수지에 안료, 염료 등과 같은 착색제, 분산제 등이 분산된 유기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분자 결합수지를 형성하는 물질로는 아크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과 같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단독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올리고머에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만을 단독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안료로는 입경이 0.5㎛이하인 카본이나 흑연을 사용한다.
상기 광흡수층의 광학농도(멕베드 광학농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함)는 0.5 내지 4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로는 일반적인 고분자 분산제를 사용한다. 그리고 결합수지중에서 결합수지 자체가 분산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분산제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고분자 결합수지에 안료, 염료 등과 같은 착색제, 분산제 등이 분산된 유기물을 사용하여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등과 같은 결합수지용 물질에 안료를 분산시킨 다음, 광개시제를 첨가하여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지지층 상부에 코팅한 다음, 광경화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압출(extrusion), 스핀(spin), 나이프(knife) 또는 그래비아(gravure) 코팅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광경화성 조성물의 코팅공정과 광경화시키는 과정은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광흡수층의 두께는 0.1 내지 10㎛ 범위가 바람직하다.
전사층은 결합수지, 가교제, 안료, 분산제, 용매 및 기타 첨가제로 구성된 조성물로 제조된다. 상기 전사층의 두께는 0.5 내지 2.0㎛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사층용 결합수지로는 아크릴수지(acrylic resin), 폴리에폭시수지(polyepoxy resin), 아크릴 에폭시수지(acrylic epoxy resin), 폴리에스테르 등의 투명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라면 모두 다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로는 다관능성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사용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알콜, 폴리글리콜 등과 같은 다관능성 알콜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사이클로헥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솔비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솔비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솔비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솔비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등이 있다.
상기 안료로는 칼라필터 형성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안료를 사용한다. 그리고 용매로는 셀로솔브아세테이트(cellosolveacetate),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ethylcellosolveacetate),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diethyleneglycoldimethylether), 에틸벤젠(ethylbenzene),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ethyleneglycoldiethylether), 크실렌(xylene), 사이클로헥산올(cyclohexanol), 에틸셀로솔브(ethylcellosolve),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propyleneglycolmonoethyletheracetate) 등을 사용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너필름을 사용하여 칼라필터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 (24) 상부에, 지지층 (21), 광흡수층 (22) 및 전사층 (23)으로 구성된 도너필름 (25)를 배치한다. 그 후, 상기 도너필름 (25)에 에너지원을 조사한다. 에너지원에서 방출되는 빔이 레이저빔, 크세논램프, 할로겐램프 등을 사용하는데, 이중에서 선택된 에너지원은 전사장치 (26)을 거쳐서 지지층 (21)을 통과하여 광흡수층 (22)에서 열을 방출한다. 이러한 열에 의하여 기판 (24)상에 전사층 (23)에 조사되면,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필터층 (23a)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전사층용 아크릴수지의 제조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40몰%와 벤질 메타크릴레이트(benzyl methacrylate) 60몰%의 혼합물에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아크릴수지용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중량%를 부가하였다. 여기에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를 아크릴 수지용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중량%를 첨가한 다음, 이 반응 혼합물을 약 50℃에서 중합시켰다.
중합반응이 완결되면 재결정과정을 거쳐 분자량이 약 3×104인 아크릴수지를 재조하였다(수율: 약 75%).
<실시예 1>
1) 광흡수층의 형성
이관능성 에폭시아크릴레이트(epoxyacrylate) 올리고머와 아크릴레이트(acrylate) 모노머의 혼합물(8:2 중량비)인 CN-104A80(사르토머(Sartomer)사)와, 카본블랙과, 시바가이기사의 이가큐어(iragacure) 369와 알드리치(Aldrich)사의 디에틸티오크산톤(diethylthioxanthone: DETX)의 혼합물(7:3 중량비)과, 메틸에틸케톤을 20:1:1:21.8 중량비로 혼합하여 광흡수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약 10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필름상에 상기 조성물을 그래비아 코팅한 다음, 열처리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그 후, 상기 결과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약 2∼3㎛의 광흡수층을 형성하였다.
2) 전사층의 형성
합성예에 따라 제조된 아크릴 수지와, 프로필렌 글리콜과, 적색 안료, 녹색 안료, 청색 안료 및 블랙 매트릭스용 안료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첨가제와 용매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혼합하여 전사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용매로는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용매의 함량은 아크릴 수지와, 프로필렌글리콜과, 안료와, 첨가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배 중량을 사용하였다.
광흡수층이 형성된 PET 필름상에 상기 전사층용 조성물을 그래비아 코팅하였다. 이어서, 상기 결과물을 약 80℃에서 열처리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전사층을 형성함으로써 칼라필터용 도너필름을 완성하였다.
구분 적색(R) 녹색(G) 청색(B) 블랙 매트릭스(BM)
아크릴수지(중량%) 37 36 40 58
가교제(중량%) 18 16 21 27
안료(중량%) 40a 43b 34c 10
기타 첨가제(중량%) 5 5 5 5
a: 적색 안료(CI red 177)와 황색 안료(CI yellow 83 또는 139)를 7:3 중량비로 혼합함
b: 녹색 안료(CI green 36)와 황색 안료(CI yellow 83 또는 139)를 8:2 중량비로 혼합함
c: 청색 안료(CI blue 15:6)와 보라색 안료(CI violet 23)를 9:1 중량비로 혼합함
세정제(ET cold, Environmental Tech., USA)를 사용하여 세정한 다음, 순수에서 초음파처리하여 유리기판을 세정하였다. 이후, 유리기판과, 이 기판상에 후속으로 형성될 막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리기판의 표면을 UV 및 열처리하였다.
이어서, 상기 유리기판상에 PET 필름, 광흡수층 및 블랙 매트릭스층으로 이루어진 도너필름을 설치하였다. 이후, 빔 크기가 30㎛(1/e2)인 Nd/YAG 레이저 빔을 동일한 세기와 위상으로 분리시킨 후, 윈도우의 형태에 맞게 분리된 각 빔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패턴 폭이 20㎛인 블랙 매트릭스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을 250℃에서 1시간동안 경화시켰다.
블랙 매트릭스층이 형성된 기판을 세정제(ET cold, Environmental Tech., USA)를 사용하여 세정한 다음, 순수에서 초음파처리(300W)하였다. 이어서, UV/IR 탄화(ashing)처리를 실시하였다.
세정된 유리기판상에 적색 칼라필터용 도너필름을 올려 놓은 다음, 롤(roll)을 사용하여 기판과 도너필름간의 기포(air bubble)를 제거하고 나서 유리기판에 도너필름을 배열하였다. 연속발진 Nd/YAG(Quantronic 8W)에서 방출되는 싱글모드 레이저빔으로 도너필름을 스캔(스캔속도: 약 5m/sec)하여 스트라이프상의 적색 칼라필터 패턴을 형성하였다. 여기에서 빔 스폿의 크기는 VGA인 경우에는 140㎛(1/e2), SVGA인 경우에는 130㎛(1/e2)로 조절하였고, 실제 얻어진 패턴의 폭은 VGA인 경우에는 100㎛, SVGA인 경우에는 90㎛였다.
이어서, 적색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대신, 녹색과 청색 칼라필터용 도너필름을 각각 이용하여 상기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스트라이프상의 녹색 및 청색 칼라필터 패턴을 각각 형성하였다.
적색, 녹색 및 청색 칼라필터 패턴을 완성한 다음, 약 250℃에서 1시간동안 경화시켰다.
<실시예 2>
전사층용 결합수지로서 아크릴수지 대신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과 n-부틸 아크릴산(n-butyl acrylate)의 혼합물(4:6 몰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전사층용 결합수지로서 아크릴수지 대신 메타크릴산과 벤질 메타크릴레이트의 혼합물(1:1 몰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시예 4>
광흡수층용 결합수지로서 이관능성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이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8:2 중량비)인 CN-104A80(사르토머(sartomer)사) 대신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6:4 몰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약 100㎛ 두께를 갖는 PET 필름에 블랙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광흡수층을 약 300Å 두께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시예 6>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흡수층과 전사층 사이에 보호층을 더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8:2 중량비)인 CN-971A80(사르토머(sartomer)사) 98g과 이가큐어(irgacure) 2959(시바가이기사) 2g을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테르아세테이트 400g에 완전히 용해시켜 보호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조성물을 광흡수층이 형성된 도너필름상에 그래비아 코팅한 다음, 열처리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그 후, 상기 결과물에 UV를 조사하여 1∼2㎛ 두께의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유리기판위에 적색 착색 포토레지스트(coloring photoresist)를 코팅, 노광 및 현상하여 적색 칼라필터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적색 착색 포토레지스트 대신 녹색 및 청색 착색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적색 칼라필터 패턴이 형성된 유리기판상에 녹색 및 청색 칼라필터 패턴을 각각 형성하였다.
여기에서, 적색 착색 포토레지스트로는 후지헌트(Fuji-Hunt)사의 레드 6011L, 녹색 착색 레지스트로는 후지헌트(Fuji-Hunt)사의 그린 6011L, 그리고 청색 착색 레지스트로는 후지헌트(Fuji-Hunt)사의 블루 6011L을 각각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칼라필터층의 밀착성, 내약품성, 내열성, 내광성 및 색좌표 특성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였고, 그 측정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여기에서, 표 2에 나타난 실시예의 데이터값은 실시예 1-6의 결과의 평균데이터값을 취한 것으로서, 각 데이터값은 모두 세 번이상 측정하여 평균한 값이다.
첫째, 적색, 녹색 및 청색 칼라필터층(두께: 약 1.2㎛)의 밀착성은 미국공업규격(ASTM) D3359-93, X-컷트 테이프 테스트(X-cut tape test)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구분 적색(R) 녹색(G) 청색(B)
실시예 5A 5A 5A
비교예 5A 5A 5A
둘째, 적색, 녹색 및 청색 칼라필터층(두께: 약 1.2㎛)의 내약품성은 각 칼라필터층을 화학용매[5% NaOH, 10% HCl, γ-부티로아세톤, N-메틸피롤리돈(N-methyl pyrrolidone:: NMP),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IPA), 아세톤 및 탈이온수]에 25℃에서 약 10분동안 담근 다음, 꺼내어 각 칼라필터층의 색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측정하였다. 그 측정결과는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여기에서 △Eab가 3이하이면 내약품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구분 5% NaOH 10% HCl γ-부티로아세톤 NMP IPA 아세톤 탈이온수
실시예 적색(△Eab) 1.83 0.63 0.63 0.47 0.35 0.97 0.65
녹색(△Eab) 1.86 0.59 0.55 0.58 0.50 0.58 0.85
청색(△Eab) 0.43 0.35 0.82 0.35 0.78 0.23 0.49
비교예 적색(△Eab) 0.86 0.41 0.29 2.59 0.31 0.59 0.65
녹색(△Eab) 0.72 0.51 0.89 0.47 0.27 0.67 0.58
청색(△Eab) 0.15 0.65 0.29 0.52 0.34 0.56 0.65
셋째, 적색, 녹색 및 청색 칼라필터층(두께: 약 1.2㎛)의 내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질소 분위기이면서 약 250℃로 조절된 오븐내에 칼라필터층을 1시간동안 방치한 다음, 꺼내어 각 칼라필터층의 색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측정결과는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구분 적색(R)(△Eab) 녹색(G)(△Eab) 청색(B)(△Eab)
실시예 1.45 1.28 1.54
비교예 1.25 1.45 1.36
넷째, 적색, 녹색 및 청색 칼라필터층(두께: 약 1.2㎛)의 내광성을 측정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내광성 측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설비: 웨더-옴미터(Weather-Ometer Ci65/XW)
온도: 53∼88℃
습도: 20∼70% RH
램프: 크세논 선샤인카본(Xenon Sunshine Carbon)
시간: 250시간
구분 적색(R)(△Eab) 녹색(G)(△Eab) 청색(B)(△Eab)
실시예 1.64 0.82 2.17
비교예 2.85 2.82 1.81
다섯째, 올림푸스 분광광도계(Olympu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칼라필터층의 색좌표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기준샘플은 코닝사의 1737 베어 글래스(bare glass)이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색좌표 적색 R(1.0㎛) Y: 27.7x:0.54, y:0.34 R(1.0㎛) Y: 27.7x:0.53, y:0.34
녹색 G((1.0㎛) Y: 56.6x:0.32, y:0.50 G(1.0㎛) Y: 56.6x:0.31, y:0.50
청색 B(1.0㎛) Y: 22.1x:0.15 y:0.16 B(1.0㎛) Y: 22.1x:0.15, y:0.16
상기 표 2-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칼라필터층의 밀착성, 내약품성, 내열성, 내광성 및 색좌표 특성은 비교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또는 그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칼라필터 제조방법은 비교예의 제조방법에 비하여 제조공정라인이 짧고 간단하여 제조하기가 매우 용이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도너필름을 사용한 칼라필터 제조공정에서, 각 칼라별 전사공정과 소성공정만이 요구되며, 필요에 따라서 각 칼라층을 한꺼번에 소성할 수가 있어서 종래기술에 따른 칼라필터 제조공정에 비하여 공정수가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너필름을 이용하면, 칼라필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Claims (9)

  1. 지지층, 광흡수층 및 전사층을 포함하는 칼라필터용 도너필름에 있어서, 상기 전사층이 화학식 1의 아크릴수지를 결합수지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필터용 도너필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화학식 1>
    상기식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C1∼C12알킬기, C2∼C10하이드록시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환기, C5∼C10사이클로알킬기 또는 벤질기이며, R3은 C1∼C12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환기, C5∼C10사이클로알킬기 또는 벤질기이며, X는 비닐기, 에폭시기 또는 수소원자이고, 0.1≤a≤0.65, 0.3≤b≤0.8 그리고 0≤c≤0.2이다(여기에서, a, b 및 c는 몰분율(mole fraction)으로서, a+b+c=1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3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103내지 5×1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이 결합수지에 착색제가 분산시킨 유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수지용 물질이 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지용 물질이 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지용 물질이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이 알루미늄(Al), 주석(Sn), 니켈(Ni), 티타늄(Ti), 코발트(Co), 아연(Zn), 납(Pb) 및 그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층과 광흡수층 사이에 보호층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층과 광흡수층 사이에 가스생성층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KR1019980008358A 1997-05-23 1998-03-12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KR100271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358A KR100271487B1 (ko) 1997-05-23 1998-03-12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JP7072698A JPH1114979A (ja) 1997-05-23 1998-03-19 カラーフィルター用ドナーフィルム
US09/050,015 US6051318A (en) 1997-05-23 1998-03-30 Donor film for color filter
CNB981062466A CN1322342C (zh) 1997-05-23 1998-03-31 用于滤色片的施主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020393 1997-05-23
KR101997020393 1997-05-23
KR1019970020393 1997-05-23
KR1019980008358A KR100271487B1 (ko) 1997-05-23 1998-03-12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533A KR19980086533A (ko) 1998-12-05
KR100271487B1 true KR100271487B1 (ko) 2000-11-15

Family

ID=2663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358A KR100271487B1 (ko) 1997-05-23 1998-03-12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51318A (ko)
JP (1) JPH1114979A (ko)
KR (1) KR100271487B1 (ko)
CN (1) CN132234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872B1 (ko) 2007-03-30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방법을 이용한 패턴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9791B2 (ja) 1999-04-19 2007-04-25 共同印刷株式会社 透明導電膜の転写方法
US6221543B1 (en) 1999-05-14 2001-04-24 3M Innovatives Properties Process for making active substrates for color displays
US6461775B1 (en) * 1999-05-14 2002-10-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ermal transfer of a black matrix containing carbon black
US6140008A (en) * 1999-09-02 2000-10-31 Agfa Corporation Infrared laser imageable, peel developable, single sheet color proofing system having a crosslinked thermal transfer layer
US6228543B1 (en) 1999-09-09 2001-05-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ermal transfer with a plasticizer-containing transfer layer
US6346323B1 (en) * 1999-10-07 2002-02-12 Sig Pack Systems Ag Multi-layer synthetic film
US6242152B1 (en) * 2000-05-03 2001-06-05 3M Innovative Properties Thermal transfer of crosslinked materials from a donor to a receptor
EP1176028A1 (en) * 2000-07-28 2002-01-3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aser imageable assemblages for laser-induced thermal transfer
US6695453B2 (en) * 2001-02-09 2004-02-24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ar projection screens and light filters with conformable coating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040004618A (ko) 2001-05-11 2004-01-13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레이저 유도 열 화상 전사용 고해상도 레이저-이용가능 부품
US20040013966A1 (en) * 2001-06-22 2004-01-22 Yoshiharu Sasaki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image
US7097955B2 (en) * 2001-08-16 2006-08-29 Fuji Photo Film Co., Ltd. Multicolor image forming material and multicolor image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03099574A1 (en) * 2002-05-17 2003-12-0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molecular weight acrylic copolymer latexes for donor elements in the thermal printing of color filters
KR20050003463A (ko) * 2002-05-17 2005-01-10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컬러 필터의 열 인쇄를 위한 평탄화 소자
WO2004080725A1 (en) * 2003-03-13 2004-09-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arking method and market object
US7122828B2 (en) * 2003-09-24 2006-10-17 Lucent Technologies, Inc.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regions of induced high and low conductivity,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268485B2 (en) * 2003-10-07 2007-09-11 Eastman Kodak Company White-emitting microcavity OLED device
US8450723B2 (en) * 2003-11-04 2013-05-28 Alcatel Lucent Apparatus having an aromatic dielectric and an aromatic organic semiconductor including an alkyl chain
US7115900B2 (en) * 2003-11-26 2006-10-03 Lucent Technologies Inc. Devices having patterned regions of polycrystalline organic semiconducto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387864B2 (en) * 2004-10-20 2008-06-1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onor element for thermal transfer
JP4943339B2 (ja) * 2004-10-20 2012-05-30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放射線誘発熱転写用のドナー要素
CN101044031B (zh) * 2004-10-20 2011-04-06 E.I.内穆尔杜邦公司 供体元件及其制备方法,用供体元件成像的方法
KR100873071B1 (ko) * 2005-11-07 2008-12-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면 균일도 향상을 위한 도너 필름 가공방법
KR20080065486A (ko) 2007-01-09 2008-07-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86151B1 (ko) * 2013-09-27 2017-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너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너필름
KR101807900B1 (ko) * 2013-09-27 2017-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JP6204868B2 (ja) * 2014-04-07 2017-09-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材料、及び画像形成方法
JP6204897B2 (ja) * 2014-09-26 2017-09-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材料及び画像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0366A (en) * 1969-04-28 1973-06-19 Rohm & Haa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carboxylic acid groups and polyvalent metal
US4065523A (en) * 1975-11-24 1977-12-27 Rohm And Haas Company Process for increasing molecular weight of a polymer
JPH01103489A (ja) * 1987-10-19 1989-04-20 Tomoegawa Paper Co Ltd 転写記録媒体
JPH03268989A (ja) * 1990-03-19 1991-11-29 Fuji Photo Film Co Ltd 熱溶融性インクリボン
JPH058567A (ja) * 1991-07-02 1993-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エンドマーク用粘着テープ
JPH0873792A (ja) * 1993-09-10 1996-03-19 Mitsui Toatsu Chem Inc インキ組成物
JPH07148948A (ja) * 1993-11-30 1995-06-13 Mitsubishi Electric Corp 熱記録装置
JP3232866B2 (ja) * 1994-04-06 2001-1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ラー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0140908B1 (ko) * 1995-01-20 1998-06-15 박흥기 액정 디스플레이 칼라필터용 안료분산 포토 레지스트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872B1 (ko) 2007-03-30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방법을 이용한 패턴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0489A (zh) 1998-12-02
KR19980086533A (ko) 1998-12-05
CN1322342C (zh) 2007-06-20
JPH1114979A (ja) 1999-01-22
US6051318A (en) 2000-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1487B1 (ko) 칼라필터용 도너필름
KR100354458B1 (ko) 착색제의레이저-유도전사를이용한컬러필터부재의제조방법
KR100375021B1 (ko) 통합형흑색매트릭스/유색필터소자의제조방법
US5498498A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used in a method for forming a light-shielding film
KR100203791B1 (ko) 칼러필터용 광중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한 칼러필터
JP2003531756A (ja) 架橋した材料の熱転写
EP0758097A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WO2002052307A1 (fr) Composition pour filtres colores et filtres colores
EP0485626B1 (en) Color filter coating material for liquid crystal display, color filter material, formation of coating, and formation of color filter
JPH1010718A (ja) 着色画像形成材料、感光液、感光性エレメント、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KR100247819B1 (ko) 칼라필터의제조방법
JP3852154B2 (ja) 感光性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937208B2 (ja) 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56120A (ja) 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装置
KR102529779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CN114995057A (zh) 一种有色光阻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H11310714A (ja) 赤色樹脂組成物、感光性赤色樹脂組成物、赤色画像形成用感光液、着色画像の製造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法
EP0785468B1 (en) Method of making black matrix grid lines for a color filter array
JP2018025681A (ja) 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素子
JPH09118836A (ja) 昇華転写用緑色混合色素、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法
JP3700398B2 (ja) 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装置
JP2004258183A (ja)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
KR102441365B1 (ko)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JPH05331378A (ja) カラーフィルター用顔料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KR19980028618A (ko) 새로운 액정 디스플레이용 칼라필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