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748B1 -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처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처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748B1
KR100269748B1 KR1019930001213A KR930001213A KR100269748B1 KR 100269748 B1 KR100269748 B1 KR 100269748B1 KR 1019930001213 A KR1019930001213 A KR 1019930001213A KR 930001213 A KR930001213 A KR 930001213A KR 100269748 B1 KR100269748 B1 KR 100269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additional information
information data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148A (ko
Inventor
이윤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30001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748B1/ko
Priority to JP6008868A priority patent/JP2647619B2/ja
Priority to FR9401242A priority patent/FR2703551B1/fr
Priority to DE4402870A priority patent/DE4402870C2/de
Priority to US08/189,173 priority patent/US5432613A/en
Publication of KR940019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4Signal drop-out compensation
    • H04N5/945Signal drop-out compensation for signals recorded by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곱코드를 사용하고 인터리빙 방식으로 압축된 디지탈 화상데이타를 처리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인코딩에 의해 소정의 영상정보데이타블럭에 소정의 외부부가정보데이타블럭이 첨부된 소정 수의 합성데이타블럭들로 구성된 프레임데이타블럭으로 부터 영상정보 데이타블럭과 외부부가정보데이타블럭을 분리하여 저장한 후, 영상정보데이타블럭 및 외부부가정보데이타블럭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데이타블럭을 소정의 순서로 각각 독출하여 내부인코딩에 의해 내부부가정보데이타를 첨부하고, 테이프의 각 트랙상에 내부부가정보데이타가 첨부된 영상 정보데이타블럭과, 내부부가정보데이타가 첨부된 외부부가 정보데이타블럭을 상호분리하여 기록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처리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2배속재생시 트랙에 대한 헤드의 주사경로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3배속재생시 트랙에 대한 헤드의 주사경로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데이타포맷(data format)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테이프포맷 중 제1트랙(T1)의 데이타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테이프포맷 중 제2트랙(T2)의 데이타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테이프포맷을 나타낸 도면.
제7도는 NTSC의 1프레임화면을 샘플링(sampling)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8a도 및 제8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코드(outer code)와 내부코드(inner code)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개의 에러교정 부호화 블럭(error correction coding block)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프레임의 영상정보 블럭과 부가정보블럭의 구조를 각각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프레임 영상정보의 블럭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프레임 부가정보의 블럭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포맷을 나타낸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이 포함된 디지탈 영상정보 데이타 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브리럭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라 메모리에 저장되는 1프레임 영상정보 데이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제13도의 첫번째 트랙중 TM1에 기록되는 영상정보 데이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18도는 제13도의 두번째 트랙중 TM2에 기록되는 영상정보 데이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되는 1프레임 부가정보 데이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20a도 및 제20b도는 제13도의 첫번째 트랙중 TB1과 TU1에 각각 기록되는 부가정보 데이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21a도 및 제21b도는 제13도의 두번째 트랙중 TB2와 TU2에 각각 기록되는 부가정보 데이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22도는 인코딩(encoding)시 영상정보용 메모리에 영상정보 데이타를 기입할때의 타이밍도.
제23도는 인코딩시 부가정보용 메모리에 부가정보 데이타를 기입할때의 타이밍도.
제24도는 인코딩시 영상정보용 메모리로부터 영상정보 데이타를 독출할때의 타이밍도.
제25도는 인코딩시 부가정보용 메모리로부터 부가정보를 독출할때의 타이밍도.
제26도는 제14도의 인코더용 메모리(5) 및 메모리제어부(6)에서 영상정보용 메모리 및 메모리 제어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
제27도는 제14도의 인코더용 메모리(5) 및 메모리제어부(6)에서 부가정보용 메모리 및 메모리 제어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
제28도는 제14도의 디코더용 메모리(21) 및 메모리제어부(22)에서 영상정보용 메모리 및 메모리 제어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
제29도는 제14도의 디코더용 메모리(21) 및 메모리제어부(22)에서 부가정보용 메모리 및 메모리제어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
제30도는 제26도의 영상정보 기입어드레스 발생부(38)의 상세회로도.
제31도는 제26도의 영상정보 독출어드레스 발생부(64)의 상세회로도.
제32도는 제27도의 부가정보 기입어드레스 발생부(64)의 상세회로도.
제33도는 제27도의 부가정보 독출어드레스 발생부(51)의 상세회로도.
제34도는 제14도의 외부인코더(4)의 데이타 출력형태를 나타낸 도면.
제35도는 디코딩(decoding)시 영상정보용 메모리에 영상정보 데이타를 기입할때의 타이밍도.
제36도는 디코딩시 영상정보용 메모리로부터 영상정보 데이타를 독출할때의 타이밍도.
제37도는 제28도의 영상정보 기입어드레스 발생부(102)의 상세회로도.
제38도는 제28도의 영상정보 독출어드레스 발생부(103)의 상세회로도.
제39도는 제29도의 부가정보 기입어드레스 발생부(118)의 상세회로도.
제40도는 제29도의 부가정보 독출어드레스 발생부(110)의 상세회로도.
제41도는 디코딩시 부가정보용 메모리에 부가정보를 기입할때의 타이밍도.
제42도는 디코딩시 부가정보용 메모리로부터 부가정보를 독출할 때의 타이밍도.
제43도는 메모리참조를 위한 어드레스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영상(또는, 화상)데이타를 디지탈방식으로 기록하고 재생하는 디지탈 VTR(digital Video Tape Recorder)에서 영상데이타를 처리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고속으로 재생(reproduction)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화상데이타가 가능한 많이 재생되도록 하여 선명한 화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데이타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데이타를 디지탈 신호처리방식으로 기록/재생하는 디지탈 VTR은 아날로그 VTR에 비해 기능적인 면에서 다양함과 많은 장점들을 갖고 있는 반면 처리해야할 데이타의 양이 급증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방송용 VTR보다는 제한 조건이 적은 가정용 디지탈 VTR에서는 현재의 아날로그 VTR에서 사용하는 테이프를 사용하여 기록과 재생을 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기록을 해야할 데이타의 양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를 압축하여 처리해야 한다. 데이타를 기록하고 재생할 경우 필연적으로 에러(error)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데이타를 압축하여 기록하고 재생할 경우 데이타량을 줄이지 않고 처리를 할 경우보다 에러의 발생으로 인한 화질의 손상은 더욱 심하게 된다. 따라서 재생을 할 때 발생하는 에러의 영향을 최소한 줄이기 위한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아날로그 VTR에서와 같이 디지탈 VTR에서도 고속재생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두가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통상 에러교정 부호화 ERROR CORRECTION CODING)(이하 ECC라고 함)방법과 테이프포맷(TAPE FORMAT)방법이 사용된다. 이 ECC방법은 랜덤에러(random error)와 버어스트 에러(burst error)를 효과적으로 정정하기 위하여 외부 ECC와 내부 ECC를 수행하여 콥코드(product code)를 구성한 후 인터리빙(inter-leaving)을 수행한다. 기록과 재생시 발생되는 랜덤에러는 ECC에 의해 정정되고, 버어스트 에러는 인터리빙 방법에 의해 랜덤에러로 변환된 후 정정된다. 인터리빙 방법은 테이프에 데이타를 기록할때 데이타가 기록되는 형태인 테이프포맷과 관련이 있는데, 이러한 테이프포맷은 디지탈 VTR에서 변속재생을 할때에 화질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제1도는 1프레임의 데이타가 2개의 트랙에 기록되는 형태의 테이프포맷에서 2배속일때에 헤드(head)가 테이프를 주사(scanning)하는 모습(파선으로 도시된 부분)을 나타낸 것이고, 제2도는 3배속일때에 헤드가 주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사용한 헤드는 DA 4 헤드이다. 제1도와 제2도에서 파선부분이 재생되는 부분인데 트랙의 빗금친 부분이 재생했을때 올바른 데이타로서 신뢰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정상속도로 재생을 할 경우에는 트랙의 모든 부분의 데이타들이 재생되지만 고속재생을 할 경우에는 트랙의 일부분(제1도 및 제2도 파선영역)만이 재생되며 이것은 결국 화질의 손상(또는 열화)을 초래한다. 특히, 디지탈 데이타를 압축하여 재생을 하는 가정용 디지탈 VTR에서 고속재생시 이와같이 트랙의 일부분만이 재생(이것은 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타중 일부분만이 재생됨을 의미)되면 재생데이타를 데이타 복원부에서 다시 복원을 할 경우에는 데이타 압축하지 않고 기록과 재생을 하는 방법에 비해서 화질의 손실이 더욱 더 커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인터리빙 및 테이프포맷등을 통해서 고속재생을 할 경우에도 가능한 많은 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데이타를 압축하지 않고 기록과 재생을 하는 방송용 VTR에서는 테이프에 데이타를 기록할때 기록되는 데이타를 무작위로 테이프의 여러곳에 기록함으로써 고속재생시에도 좋은 화질을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데이타를 압축해서 기록과 재생을 하는 가정용 VTR에서는 데이타를 압축할때 세그멘트(Segment)로 나누어서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데이타를 압축하는 방법을 여러가지를 사용해서 가장 많이 압축한 데이타를 테이프의 중앙에 기록했다가 고속재생을 할때 중앙부의 데이타만 재생함으로써 고속재생화면을 구성하는 방법들을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재생을 할때에 발생하는 에러를 정정하기 위해 ECC를 이용하는데, 곱코드를 구성해서 에러를 정정하게 된다. 그러나, 고속재생을 할때에는 곱코드에 대하여 내부 ECC 디코딩만을 수행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재생되는 외부코드에 포함된 데이타에 많은 에러가 섞여있기 때문에 외부 ECC 디코딩을 수행하더라도 별의미를 갖지 않는 결과를 얻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고속재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개시된 방법들에서 가장 바람직한 테이프 포맷방법은 기록하는 데이타들을 콥코드 형태로 구성한 후 그 데이타들을 무작위로 또는 세그멘트 단위로 테이프에 기록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결국 고속재생시에 사용되지 않는 외부코드의 생성을 위한 외부인코딩에 의해 생성된 부가정보에 다시 내부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부가정보도 테이프 위에 무작위로 또는 세그멘트단위로 기록된다.
따라서 고속재상을 할때 재생되는 데이타중에는 외부디코딩을 할때 필요한(즉, 정상속도록 재생될때 필요한) 데이타들이 함께 재생되게 되는데, 만일 이러한 데이타 대신에 내부 디코딩에 필요한 데이타(즉, 영상정보와 그 정보들에 대한 부가정보들)가 재생된다면 화질은 그만큼 더 향상될 것이다.
제6도는 1프레임(rame)을 구성하는 2필드(field)의 데이타를 2개의 트랙(T1, T2)에 각각 나누어 기록하는 종래의 테이프 포맷을 나타낸 것이며, 이러한 테이프 포맷을 기록되는 데이타 포맷의 일예가 제3도와 제4도 그리고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알수있는 바와같이 만일 고속재생을 할경우 트랙의 가운데 부분을 제외한 트랙의 상부와 하부는 재생이 되지 않게 되는데 설사 헤드가 트랙을 따라 주사하더라고 한 트랙과 다른 트랙을 동시에 주사하기 때문에 재생앰프를 통해서 증폭된 데이타는 정확하다고 볼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VTR의 고속재생시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데이타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재생시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테이프포맷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사항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은 외부인코딩에 의해 소정의 영상정보 데이타블럭에 소정의 외부부가정보데이타블럭이 첨부된 소정 수의 합성데이타 블럭들로 구성된 프레임데이타블럭들로 부터 상기 합성데이타블럭들 각각의 상기 영상 정보데이타블럭과 상기 외부부가정보데이타블럭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정보데이타블럭 및 상기 외부부가정보데이타블럭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데이타블럭을 소정의 순서로 각각 독출하여 내부인코딩에 의해 내부부가정보데이타를 첨부하는 단계와, 테이프의 각 트랙상에 상기 내부부가정보데이타가 첨부된 상기 영상정보데이타블럭과, 상기 내부부가정보데이타가 첨부된 상기 외부부가정보데이타블럭을 상호 분리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기록방법은 상기 내부부가정보데이타가 첨부된 상기 영상정보데이타블럭을 상기 각 트랙의 중앙부에 기록하고, 상기 내부부가정보데이타가 첨부된 상기 외부부가정보데이타블럭을 상기 각 트랙의 상부 및 하부에 나누어 기록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외부인코딩수단(outer incoding means)과 동기 및 식별데이타(SYNC & ID)발생수단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인코딩수단으로 부터 제공되는 1 프레임의 상기 합성데이타로 부터 상기 영상정보데이타와 상기 부가정보데이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인코더용메모리 수단과, 상기 인코더용 메모리수단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인코더용 메모리제어수단과, 디플렉싱수단(demultiplexing means)과 외부디코딩수단(outer decoding means) 사이에 연결되고 내부디코딩수단(inner decoding means)에 의해 처리된 재생영상정보데이타와 재생부가정보데이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디코더용메모리 수단 및, 상기 디코더용 메모리수단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디코더용 메모리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인코더용 메모리수단은 프레임선택신호(FS)에 의해 상기 영상정보데이타를 이중화시키는 디멀티플렉싱 수단과, 영상정보데이타를 저장하는 적어도 2개의 영상정보용 메모리수단과, 상기 프레임선택신호(FS)에 의해 상기 부가정보데이타를 이중화시키는 디멀티플렉싱수단과, 상기 부가정보데이타를 저장하는 적어도 2개의 부가정보용 메모리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인코더용 메모리제어수단은 상기 프레임선택신호(FS)에 응답하여, 상기한 하나의 영상정보용 메모리수단의 기입동작(또는, 기입동작)과 상기한 다른 하나의 영상정보용 메모리수단의 독출동작(또는, 기입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영상정보용 메모리제어수단과, 상기 프레임신호(FS)에 응답하여, 상기한 하나의 부가정보용 메모리수단의 기입동작(또는, 독출동작) 및 상기한 다른 하나의 부가정보용 메모리수단의 독출동작(또는, 기입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부가정보용 메모리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제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7도는 NTSC의 한 화면을 샘플링(sampling)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샘플링된 데이타는 각각 16pixel × 16pixel으로 1블럭을 구성하여 데이타압축을 하는데 이렇게 구성된 블럭의 갯수는 1프레임당 모두 1350개이다. 이렇게 압축된 데이타를 외부인코딩처리 및 내부인코딩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구성된 코드블럭을 제8도에 나타냈다. 제8도에서 알 수 있듯이 곱코드를 구성하는데 사용된 외부코드 및 내부코드는 각각 (58, 54)와 (56, 48)이다. 내부코드 및 외부코드를 사용하여 구성한 곱코드블럭을 제9도에 나타냈는데, 48개의 심볼을 54개 모아서 블럭을 구성하여 54개의 세로방향의 심볼에 대해서 4개의 부가정보가 외부인코딩수단에 의해 부가된 48×(54+4)의 곱코드블럭(이하 이것을 'ECC코드 블럭'이라 함)을 구성한 것이다. 1프레임안에는 이렇게 구성된 ECC코드블럭이 모두 16개가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ECC코드블럭은 두가지 형태의 데이타가 존재하는데 즉, 영상정보에 외부인코딩에 의해 부가정보가 첨가된 부분(P1)과, 외부인코딩에 의한 부가정보(P1)에 내부인코딩으로 인한 부가정보(P2)가 첨가될 부분이다. 이렇게 16개의 각 ECC코드블럭을 구성하는 두 부분을 모두 모아서 하나의 맵(map)으로 구성한 것이 제11도와 제12도인데, 부가정보(P1)에 부가정보(P2)를 첨가한 부분(제12도 참조)을 트랙의 양쪽 가장자리에 나누어서 기록하는 방법이 본 발명의 요지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포맷의 일예를 나타낸 것인데, 도면에서 중간의 TM과 TM2는 영상정보에 부가정보(P2)를 첨가한 데이타(제11도 참조)가 기록되는 부분이고, 상부의 TU1과 TU2 그리고 하부의 TB1과 TB2는 외부인코딩에 의해 생성된 부가정보(P1)에 내부인코딩에 의해 생성된 부가정보(P2)가 첨가된 데이타(제12도참조)가 기록되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제1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 것인데, 제13도와 같은 본 발명의 테이프포맷형태를 갖도록 하기 위한 수단은 5와 6으로 각각 나타낸 인코더용 메모리 및 메모리제어부 그리고, 20과 21로 각각 나타낸 디코더용 메모리와 메모리제어부이다. 이제 본 발명의 테이프포맷 형태(제13도)를 갖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어떠한 원리로 동작하는가를 살펴보겠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전체블럭도를 나타낸 것이고, 제15도는 이 블럭에 대한 전체 타이밍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입력되는 영상데이타가 인코딩과정을 거쳐 기록매체(11)에 의해 테이프에 기록되기까지의 데이타처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력단자(1)로 들어오는 아날로그 영상데이타는 A/D컨버터(2)를 거쳐 디지탈데이타로 변환된다. 디지탈신호로 바뀐 데이타는 타이타압축부(3)를 거쳐 데이타의 양이 압축된 상태로 외부인코더(4)로 제공된다. 외부인코딩수단(4)에서는 데이타를 외부코드단위로 나눈후 부가정보를 붙여서 인코더용 메모리(5)내의 인터리빙용 메모리(도시되지 않음)로 보낸다. 인코더용 메모리(5)는 2프레임분의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갖고 있는데 메모리 제어수단(6)에서 들어오는 메모리 동작신호 즉, 제15도와 제22도 그리고 제23도에 도시된 E_ME와 메모리 기입인에이블신호인 E_MWE, /E_MWE, 그 밖의 제어신호들에 의해 외부인코딩수단(4)으로 부터 제공되고 영상정보에 부가정보가 붙은 1프레임분의 데이타에서 영상정보 데이타와 부가정보데이타를 각각 두개의 별도의 첫번째 프레임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나누어서 저장한다. 이렇게 첫번째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는 다음의 1프레임의 데이타가 들어와서 두번째 프레임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때 제24도와 제25도의 제어신호들에 의해 첫번째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독출되어 SYNC&ID발생부(7)로 제공된다. SYNC&ID 발생수단(7)에서는 각각의 내부코드단위로 SYNC신호와 ID신호를 붙여서 내부인코더(8)로 보내며, 이 내부인코딩수단(8)에서는 SYNC&ID발생수단(7)에서 보내는 데이타를 내부 코드단위로 인코딩하여 9로 나타낸 PARALLEL TO SERTAL부 (이하 'P/S부'라 함)로 보낸다. P/S부(9)에서는 내부인코딩수단(8)에서 넘어오는 바이트단위의 병렬데이타를 직렬데이타로 만들어 기록앰프부(10)로 보낸다. 기록앰프부(10)에서는 P/S부(9)에서 넘어오는 데이타를 기록 매체(11)로 보내며 이 데이타는 기록매체(11)에 의해 테이프에 기록된다. 기록매체(11)에서 재생된 데이타를 디코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록매체(11)로부터 제공되어 재생앰프(12)에 의해 증폭되는 직렬데이타는 바이트단위의 병렬데이타로 바꾸어주는 SERIAL TO PARALLE(이하 'S/P'라 약칭함)부(13)와, 디코딩과정에서 필요한 클럭과 동기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클럭동기신호발생부(14)로 제공된다. S/P부(13)에서 병렬로 바뀐 데이타는 시간축교정부(time base corrector)로 제공된다. 시간축교정부(15)에서는 이러한 입력데이타를 클럭동기신호발생부(14)에서 제공되는 클럭을 사용해서 기록/재생과정에서 생긴 시간축오차를 보정하게 된다. SYNC검출부(16)는 시간축교정부(15)에서 보정된 데이타를 받아들여 내부코드단위로 구분하여 내부디코더(17)로 제공한다. SYNC검출부(16)가 시간축교정부(15)에서 보정된 데이타를 내부 코드단위로 정렬하여 내부디코더(17)로 보내면, 내부디코더(17)는 이 데이타들의 에러를 정정하여 18과 19로 각각 나타낸 1×2 디멀티플렉서(1×2 DEMUX)로 보낸다. 만일 이때 정정능력범위내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그것을 정정하여 옳바른 데이타를 출력하고, 정정범위밖의 에러가 발생했을 때에는 정정범위밖의 에러가 발생했다는 신호인 에러플래그(error flag)신호를 "1"로 해서 데이타와 함께 18과 19의 디멀티플렉서(DEMUX)로 보내게 된다. 디멀티플렉서(18, 19)는 만일 현재의 디코딩상태가 정상속도 재생인 경우에는 정상속도로 재생을 수행할때의 데이타와 고속재생을 수행할때의 데이타를 선택해서 출력해주는 2×1 멀티플렉서(2×1 MUX)(24, 25)로 데이타를 보낸다.
Ⅰ. 정상재생
우선 정상속도로 재생할때를 살펴보면, 메모리제어부(22)에 의해 디멀티플렉서(18, 19)에서 선택된 데이타와 에러플래그는 ID검출부(20) 및 디코더용 메모리(21)로 각각 제공된다. ID검출부(20)에서는 입력되는 데이타 가운데서 ID신호만을 추출해내서 이 ID가 붙은 데이타가 메모리의 어느 번지에 해당하는 데이타인지를 알아내어 메모리 제어부(22)에서 발생되는 제24도와 제25도에 도시된 제어신호에 의해 그 번지의 메모리에 데이타가 기입되도록 한다. 이때, 만약, 이 ID가 붙은 데이타에 에러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표시하는 신호인 에러플래그가 "1"인 경우에는 현재의 데이타를 메모리에 써넣지 않도록 하며 다만 에러 플레그값만 에러플래그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써넣는다. 메모리(21)는 각각 1프레임분의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의 메모리가 두개로 나누어져 있는데 각 프레임메모리는 인코더용 메모리와 같이 영상정보데이타를 저장하는 부분과 부가정보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로 이루어져 있다. 디코더용메모리(21)에 데이타를 저장하거나 읽어내는 방법은 인코더용메모리(5)에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읽어내는 순서와 반대이다. 즉, 인코더용메모리(5)에 데이타를 기입할때의 제어신호는 디코더용메모리(21)로 부터 데이타를 독출할때의 제어신호와 같고, 인코더용메모리(5)로 부터 데이타를 읽어낼때의 제어 신호는 디코더용메모리(21)에 데이타를 기입할때의 제어신호와 같다. 이것에 대해서는 이후에 메모리의 동작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기록매체(11)에 의해 재생된 데이타가 첫번째 프레임메모리에 저장된 후 다음 프레임분의 데이타가 재생되어 두번째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될때, 첫번째 프레임메모리에서 이미 저장된 데이타가 읽혀져 23으로 나타낸 외부디코더(OUTER DECODER)부로 제공된다. 외부디코딩수단(23)은 메모리(21)에서 읽어낸 데이타를 에러 플래그(error flag)를 이용하여 디코딩하는데, 만약 정정할 수 있는 에러만 발생했을 때에는 그것을 정정하여 옳바른 데이타를 출력하고, 정정능력을 벗어난 에러가 발생했을 때는 정정하지 않은 데이타와 에러 플래그를 "1"로 하여 고속재생 및 정상 재생모드에 따라 입력되는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2×1 MUX(24, 25)로 보낸다. 멀티플렉서(24)는 각각의 모드에서 상응하게 선택된 데이타를 26으로 나타낸 데이타복원(data reconstruction)부로 보내고, 멀티플렉서(25)는 에러플래그를 에러수정부(27)에 보낸다. 데이타복원부(26)는 멀티플렉서(24)로 부터 제공되는 데이타를 원래의 압축하기 전의 데이타신호로 복원해준다. 이렇게 기록과 재생을 할때 발생하는 에러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ECC처리를 해주지만 ECC의 능력을 벗어난 에러가 발생했을 때에는 에러수정부(27)가 그 에러를 수정함으로써 재생화면의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데, 데이타복원부(26)에서 복원된 데이타와 멀티플렉서(25)로 부터 제공되는 에러플래그를 사용하여 에러를 수정하게 된다. 에러수정부(27)에 의해 수정된 데이타는 D/A변환부(28)로 제공된다.
D/A변화부(28)는 디지탈 데이타를 아날로그 데이타로 변화하여 최종적으로 모니터로 출력하게 된다.
Ⅱ. 고속재생
고속재생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디멀티플렉서(18), (19)를 거쳐 메모리(21)로 데이타를 보내지 않고 내부디코딩만을 수행한 후 플래그신호와 데이타를 함께 멀티플렉서(24), (25)로 각각 보낸다. 멀티플랙서(24), (25)에서는 이 데이타와 플래그를 데이타복원부(26) 및 에러수정부(27)로 각각 보내며 이후의 동작은 정상속도로 재생을 할때와 같다.
이제 제14도의 인코더용 메모리(5)및 그 제어회로(6)와 디코더용 메모리(21)및 그 제어회로(22)의 동작을 타이밍도와 블럭도를 참고해서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와 같다. 먼저, 제14도의 인코더용 메모리(5) 및 그 제어회로(6)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코더용 메모리(5) 및 그 제어회로(6)는 제26도와 제2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을 갖는다. 제26도는 외부인코딩에 의한 부가정보(P1)가 붙여진 영상데이타에서 영상정보데이타만을 분리하여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그 제어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디멀티플렉서(30)로 들어온 영상데이타는 제15도에 도시된 프레임선택신호 FS 의해 제1메모리(33) 또는 제2메모리(42)에 쓰여지거나 읽혀진다. 즉, FS신호가 "1"일 경우에는 입력단자(43)로 제공되는 데이타는 디멀티플렉서(30)에 의해 제1메모리(33)에 기입되고, FS신호가 "0"일 경우에는 제2메모리(42)에 기입된다. 제1메모리(33)에 데이타를 기입할때, 영상정보기입어드레스 발생부(38)에서 발생된 기입어드레스가 멀티플렉서(31)에 의해 선택되어 제1메모리(33)의 어드레스단자(33b)에 제공된다. 그리고 제1메모리(33)의 /WE단자(33c)에는 제22도에 도시된 영상정보기입인에이블신호(/E_MWE)와 메모리 인에이블신호(E_ME)를 논리합한 오어게이트회로(36)의 출력이 입력된다.(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 디멀티플렉서 및 멀티플렉서의 입력단자들 및 출력단자들(예를들어, 30a, 30b, 34a, 34b)중 스트로브(strobe)신호가 '1'인 경우에는 'a'첨자가 부가된 첨조번호로 표시된 단자가 선택되고 스트로브신호가 '0'인 경우에는 'b'첨자가 부가된 참조번호로 표시된 단자가 선택된다.) 이렇게 한 프레임분의 데이타가 제1메모리(33)에 기입되고나면 바로 다음 프레임의 데이타는 제2메모리(42)에 제1메모리(33)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입된다. 제2메모리(42)에 데이타가 기입될때(즉, FS신호가 '0'일때)에 제1메모리(33)에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낸다. 이때 디멀티플렉서(30)는 단자(43)으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타를 제2메모리(42)의 데이타입력단자(42a)로 출력한다. 제2메모리(42)의 어드레스 입력단자(42b)로는 영상정보기입어드레스발생부(38)의 기입 어드레스가 멀티플렉서(40)를 통하여 입력된다. 제2메모리(42)의 /WE단자(42c)로는 제1메모리(33)의 /WE단자(33c)로 입력되었던 것과 동일한 형태의 신호가 입력되어 제2메모리(42)에 데이타의 기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FS신호가 "0"일때에는 제1메모리(33)로부터 영상정보가 출력되어 디멀티플렉서(34)의 입력단자(34a)로 입력된다. 제1메모리(33)에서 데이타가 디멀티플렉서(34)로 출력될때 메모리(33)의 어드레스단자(33b)의 어드레스단자(33b)로는 여상정보 독출어드레스 발생부(29)에서 발생된 어드레스가 멀티플렉서(31)에 의해 선택되어 제공된다. 이때, 제1메모리(33)의 /WE단자(33c)에는 앤드게이트회로(37)의 출력신호가 멀티플렉서(32)에 의해 선택되어 입력되는데, 이 앤드게이트회로(37)의 입력단으로는 인코더 메모리 독출 인에이블신호(E_MRE)와 트랙영상정보 선택신호(E_TMS)가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인코더용 메모리(5)내의 영상정보용 메모리는 각각 1프레임분의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2개의 메모리(33), (42)로 구성되어 있는데 프레임 선택신호(FS)가 "1"일때는 현재 입력되고 있는 프레임분의 영상정보를 메모리(33)에 저장함과 동시에 메모리(42)로 부터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출력한다. FS신호가 "0"일때는 FS신호가 '1'일때와 반대로 메모리(42)에 데이타를 저장하고 메모리(33)으로 부터 데이타를 출력한다.
이제부터 제14도의 인코더용 메모리(5) 및 그 제어회로(6)의 부가정보용 메모리 및 그 제어수단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제27도는 외부인코더(제14도의 4참조)에서 생성된 부가정보(P1)에 내부인코더(8)에 의한 부가정보(P2)가 첨부될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그 제어수단으로서, 단자(43')로 들어온 부가정보데이타는 제15도의 프레임 선택신호(FS)에 의해 제3메모리(53) 또는 제4메모리(62)에 쓰여지거나 읽혀진다. 즉, FS신호가 "1"일 경우에는 입력단자(43')를 통하여 디멀티플렉서(30')로 제공된 데이타는 제3메모리(53)에 기입되며, FS신호가 "0"일 경우에는 제4메모리(62)에 기입된다. 제3메모리(53)에 데이타를 기입할때, 부가정보 기입어드레스 발생부(64)에 의해 발생된 기입 어드레스가 멀티플렉서(61)에 의해 선택되어 메모리(53)의 어드레스단자(53b)로 제공된다. 그리고 메모리(53)의 /WE단자(53c)에는 제23도의 인코더메모리 기입인에이블신호(E_MWE)와 메모리 인에이블신호(E_ME)를 논리합한 오어게이트회로(55)의 출력이 제공된다. 이렇게 한 프레임분의 부가정보데이타가 메모리(53)에 기입된 후 바로 다음 프레임의 부가정보데이타는 메모리(62)에 동일한 방식으로 기입된다. 메모리(62)에 데이타가 기입되는 동작이 수행됨과 동시에 메모리(53)에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낸다. 이때 디멀티플렉서(30')는 부가정보데이타를 메모리(62)의 데이타입력단자(62a)로 제공한다. 또한, 메모리(62)의 어드레스 입력단자(53b)로는 부가정보기입 어드레스발생부(64)에 의해 생성된 기입어드레스가 멀티플렉서(63)에 의해 선택되어 입력된다. 이때, 메모리(62)의 /WE단자(62c)로는 메모리(53)의 /WE단자(53c)로 입력되었던 형태와 동일한 신호가 입력되어 메모리(62)의 기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FS신호가 "0"일때에는 메모리(53)에 저장된 부가정보가 독출되는데, 메모리(53)의 출력데이타는 멀티플렉서(54)로 제공된다. 메모리(53)에서 데이타가 멀티플렉서(54)로 출력될때 메모리(53)의 어드레스단자(53b)로는 부가정보독출 어드레스발생부(51)에서 발생된 어드레스가 멀티플렉서(61)에 의해 선택되어 제공된다. 이때 메모리(53)의 /WE단자(53c)에는 앤드게이트회로(56)의 출력신호가 멀티플렉서(58)를 통하여 입력되는데 앤드게이트회로(56)의 입력단으로는 인코더 메모리독출 인에이블신호(E_MRE)와 트랙 부가정보 선택신호(E_PRE)가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인코더용 메모리(5)내의 부가정보용 메모리는 각각 1프레임분의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2개의 메모리(53), (62)로 구성되어 있는데 단자(44')으로 입력되는 프레임선택신호(FS)가 "1"일때는 현재 입력되는 1프레임의 데이타가 메모리(53)에 저장됨과 동시에 메모리(62)에 이미 저장된 데이타가 출력된다. FS신호가 "0"일때, 두 메모리(53), (62)는 상술한 바와 각각 반대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제 제26도의 영상정보 기입어드레스 발생부(38)와 영상정보 독출어드레스 발생부(29)의 구성 및 그 작용을 자세히 살펴보자.
우선 기입 어드레스 발생부(38)의 동작을 기입 어드레스 발생부의 세부회로인 제39도와 동작타이밍도인 제22도를 참고로 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4도의 외부인코더(4)에서 출력된 데이타는 제34도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가로방향으로는 내부코딩에서 사용할 48개의 심볼로 이루어져 있고 세로방향으로는 54개의 영상데이타에 4개의 부가정보가 붙어있는 구조이다. 상기한 외부인코더(4)에서 출력된 데이타는 제22도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30도와 같은 회로에서 발생된 어드레스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54개의 영상정보만 제26도의 메모리 33 또는 42에 기록된다. 한 프레임의 영상정보는 1블럭당 54개의 심볼단위로 16×48=768개 즉, 세로방향으로 54개의 심볼로 이루어진 1개의 블럭이 세로방향으로 16개, 가로방향으로 48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메모리의 어드레스 발생은 각각 행(ROW)과 블럭(BLOCK) 그리고 열(COLUMN)으로 나누어서 조정되는데, 메모리에 데이타를 기록할 때에는 E_MWE신호가 "54"심볼구간 동안 "1"인 구간에서 먼저 행방향으로 "0"에서 "53"까지 어드레스가 증가된다. 행어드레스를 "0"에서 "53"까지 증가하고 난 후 E_MWE신호는 "4"심볼구간 동안에는 "0"으로 된다. 다음에는 블럭어드레스가 증가되는데, 이 블럭 어드레스는 "0"에서 "15"까지 증가된다. 블럭어드레스가 "0"에서 "15"까지 증가된 후에는 열어드레스가 증가되는데, 이 열어드레스는 "0"에서 "47"까지 증가된다. 이러한 동작은 1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되며 E_ME신호가 "0"일때 메모리에 기록된다.
우선 제30도에서, 열어드레스발생부(71)를 살펴보면, 이 어드레스발생부(71)는 외부인코더(제14도의 4 참조)로 부터 제공되는 1코드블럭중에서 영상정보부분에 해당하는 54클럭분동안 어드레스를 "0"부터 "53"까지 증가시키고, 4클럭분의 부가정보 구간동안에는 "0"으로 된다. 이때 사용되는 클럭은 일반클럭이고 이 어드레스발생부(71)는 1프레임마다 RST신호에 의해서 리세트(reset)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블럭어드레스발생부(72)를 살펴보면, 이 어드레스 발생부(72)는 54클럭분마다 어드레스가 1씩 증가하는 부분인데 "0"에서 "15"까지 증가한다.블럭어드레스발생부(72)의 클럭으로는 반전된 메모리기입 인에이블신호(/E_MWE)가 사용되며 1프레임마다 RST신호에 의해 리세트된다. 열어드레스발생부(73)는 "0"에서 부터 "53"까지 계수하는 행어드레스발생부(71)의 계수동작이 16번 반복된 다음에 "1"이 증가되는데, 상기 블럭어드레스발생부(72)의 리플캐리(RCD)신호가 이 열어드레스발생부(73)의 클럭으로 사용된다. 결국 이 열어드레스는 내부코드의 영상정보길이(제6도의 (b)에서 M2참조)와 동일하게 48번 증가된다. 즉 "0"에서 "47"까지 계수한다. 이렇게 발생된 메모리 기입 어드레스와 메모리 기입 인에이블신호(/E_MWE)에 의해서 제26도의 메모리(33)에는 제16도와 같은 구조의 데이타가 저장되게 된다. 제16도에서 MPB0-1에서 MPB15-54는 제14도의 SYNC&ID발생부(7)로 보낼 내부코드단위이다.
제26도의 영상정보 독출어드레스 발생부(29)의 동작을 세부회로인 제31도와 동작 타이밍도인 제24도를 참고로 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4도의 영상정보용 메모리(5)에 저장된 데이타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제16도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즉, 가로방향으로 내부코딩에서 사용할 48개의 심볼과 세로 발향으로 54개의 영상데이타가 하나의 블럭을 이루고, 1프레임당 16개의 "영상정보데이타블럭"으로 구성된 구조이다. 이와같은 구조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는 2개의 트랙에 나뉘어 기록되게 되는데 첫번째 트랙에는 제17도와 같은 형태로 기록되고, 두번째 트랙에는 제18도와 같은 구조로 기록된다. 그 이유는, 제13도를 참조하여 이미 설정한 바와같이, 트랙의 중간(TM1), (TM2)에는 영상정보와 그 부가정보만을 기록해야하고 이것을 두 트랙에 나누어서 기록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두 트랙(T1), (T2)로 나누어 기록하는 동작을 제24도의 E_TMS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인코더용 메모리(5)에 저장된 데이타는 제24도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31도에 도시된 회로에서 발생된 어드레스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48개의 심볼단위로 16×54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메모리의 어드레스 발생동작은 각각 행(ROW)과 블럭(BLOCK) 그리고 열(COLUMN)으로 나누어서 제어되는데 메모리에서 데이타를 읽어낼 때에는 먼저 열(또는, 가로)방향으로 "0"에서 "47"까지 어드레스가 증가된다. 열어드레스가 "0"에서 "47"까지 증가되고 난 후 블럭어드레스가 증가되는데 이 블럭어드레스는 "0"에서 "15"까지 증가한다. 블럭어드레스가 "0"에서 "15"까지 증가되고 난 후에는 행어드레스가 증가하는데 이 행어드레스는 "0"에서 "53"까지 증가된다. 이러한 동작은 1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되는데 먼저 제31도에서 열어드레스 발생부(77)를 살펴보면, 이 어드레스발생부(77)는 내부인코더(제14도의 8 참조)에 의해 처리되는 1코드블럭 분량에 해당하는 48클럭동안 어드레스를 "0"부터 "47"까지 증가시키고 8클럭분의 부가정보 구간동안 "0"으로 된다. 이때 사용한 클럭은 일반클럭이고 이 어드레스 발생부(77)는 1프레임마다 RST신호와, 영상정보와 부가정보 첨부기간을 구분해 주는 E_MRE신호, 그리고 트랙에서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위치와 영상정보를 기록하는 위치를 알려주는 신호 E_TMS에 의해 리세트된다. 다음으로 블럭어드레스발생부(78)를 살펴보면, 이 어드레스발생부(78)는 48클럭분마다 어드레스가 1클럭씩 증가하는 부분인데 "0"에서 "15"까지 증가한다. 블럭어드레스발생부(78)의 클럭으로는 메모리출력 인에이블신호(E_MRE)가 사용되며 1프레임마다 RST신호에 으해 리세트된다. 행어드레스 발생부(79)는 "47"까지 계수되는 행어드레스가 16번 반복된 다음에 "1"이 증가되는데 블럭어드레스발생부(78)의 RCO신호가 이 어드레스발생부979)의 클럭으로 사용한다. 결국 이 어드레스는 외부코드의 영상정보길이(제6도의 (a)에서 M1 참조)와 동일하게 54번 증가된다. 즉, "0"에서 "53"까지 계수된다. 이렇게 발생된 메모리독출 어드레스와 메모리독출인에이블신호(E_MRE)에 의해서 영상정보용 메모리(제26도의 33)에서 제17도와 제18도와 같은 구조의 데이타가 출력되게 된다.
제27도의 부가정보 기입 어드레스 발생부(64)와 부가정보 독출 어드레스 발생부(51)의 동작을 자세히 살펴보겠다.
우선 기입어드레스발생부(64)의 동작에 대하여 세부회로인 제32도와 동작 타이밍도인 제23도를 참고로 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4도의 외부인코더(4)에서 출력된 데이타는 제34도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외부인커더(4)에서 출력된 데이타는 제23도의 제어신호들과 제32도의 회로에서 발생된 어드레스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4개의 부가정보만 제27도의 메모리 53 또는 62에 기입된다. 1프레임의 영상정보는 모두 54개의 심볼단위로 16×48개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54개의 심볼마다 4개의 부가정보가 붙기때문에 결국 1프레임의 부가정보는 모두 4×16×48개의 심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메모리의 어드레스 발생은 각각 행(ROW)과 블럭(BLOCK) 그리고 열(COLUMN)으로 나누어서 조정되는데 메모리에 데이타를 기입할 때에는 메모리 인에이블신호(E_ME)가 "0"일때 먼저 행방향(또는, 세로방향)으로 "0"에서 "3"까지 어드레스가 증가된다. 메모리 기입 인에이블신호(E_MWE)가 "0"일때 이 행어드레스는 계수된다. 이 행어드레스가 "0"에서 "3"까지 증가된 후 블럭어드레스가 증가되는데 "0"에서 "15"까지 증가된다. 이 블럭어드레스가 "0"에서 "15"까지 증가되고 난 후에는 열어드레스가 증가되는데 열어드레스는 "0"에서 "47"까지 증가된다. 이러한 동작은 1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되는데 먼저 제32도에서 행어드레스발생부(81)를 살펴보자. 어드레스발생부981)는 외부코드클럭중에서 54클럭분의 영상정보 구간동안에는 "0"으로 되고 부가정보부분에 해당하는 4클럭분동안 어드레스가 "0"부터 "3"까지 증가하게 된다. 이때 사용한 클럭은 일반클럭이고 이 어드레스발생부는 1프레임마다 RST신호와, "54"심볼의 영상정보 구간동안은 "0"이고 "4" 심볼의 부가정보 구간동안은 "1"인 /E_MWE신호에 의해서 리세트된다. 다음으로 블럭어드레스발생부(82)를 살펴보면, 이 어드레스발생부(82)는 58클럭분마다 어드레스를 1씩 증가시키는 부분인데 "0"에서 "15"까지 증가시킨다. 이 블럭어드레스발생부(82)의 클럭으로는 메모리 기입 인에이블신호(E_MWE)가 사용되며 1프레임마다 RST신호에 의해 리세트된다. 제32도의 열어드레스발생부(83)는 "3"까지 카운트하는 행어드레스가 모두 16번 반복된 다음에 "1"을 증가시키는데 블럭어드레스발생부(82)의 RCO신호를 자신의 클럭으로 사용한다. 결국 이 열어드레스는 내부코드중에서 영상정보길이(제6도의 (b)에서 M2)와 동일하게 "0"에서 "47"까지 증가된다. 이렇게 발생된 메모리 기입 어드레스와 메모리 기입 인에이블신호(E_MWE)에 의해서 제27도의 메모리(53)에는 제19도와 같은 구조의 데이타가 저장되게 된다. 제19도에서 PBO_1에서 PB15_4는 제14도의 내부인코더(7)로 보낼 내부코드단위이다.
제27도의 부가정보 독출어드레스 발생부(51)의 동작을 세부회로인 제33도와 동작 타이밍도인 제25도를 참고로 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4도의 인코더용 메모리(5)내의 부가정보용 메모리(제27도의 53 또는 62)에 저장된 부가정보데이타는 제19도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는데, 가로방향으로 내부코딩에서 사용할 48개의 심볼로 이루어져 있고 세로방향으로는 4개의 부가정보가 있는 구조이다. 이렇게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는 2개의 트랙에 나뉘어 기록되게 되며 각 트랙의 아래와 위로 나뉘어서 기록된다. 즉, 제23도에서 TB1, TU1, TB2 그리고 TU2로 기록된다. 첫번째 트랙의 TB1과 TU1에는 각각 제20도의 (a) 및 (b)와 같은 형태로 기록이 되고, 두번째 트랙의 TB2와 TU에는 제21도의 (a) 및 (b)와 같은 구조로 기록된다. 즉, 제1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각 트랙의 윗부분(TU1), (TU2)과 아랫부분(TB1), (TB2)에 부가정보만을 기록해야 하고 이것을 두 트랙에 나누어서 기록을 해야 한다. 제27도의 메모리 53 또는 62에 저장되어 데이타는 제25도의 제어신호신호에 따라 제33도의 부가정보 독출어드레스발생회로에서 발생된 어드레스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48개의 심볼 단위로 16×4개로 구성되어 있다. 가로방향으로 48개의 심볼로 이루어진 한개의 내부코드블럭이 세로방향으로 4개가 모여서 이루어지 블럭을 하나의 "부가 정보데이타블럭"이라 하면 1프레임은 모두 16개의 부가정보 데이타블럭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메모리의 어드레스발생은 각각 행(ROW)과 블럭(BLOCK) 그리고 열(COLUMN)으로 나누어서 조정되는데 메모리에서 데이타를 읽어낼 때에는 먼저 열방향으로 "0"에서 "47"까지 어드레스가 증가된다. 이 열어드레스가 "0"에서 "47" 증가하고 난 다음에는 블럭 어드레스가 증가되는데, 이 블럭어드레스는 "0"에서 "15"까지 증가된다. 블럭어드레스가 "0"에서 "15"까지 증가된 후에는 행어드레스가 증가하는데, 행어드레스는 "0"에서 "3"까지 증가된다. 이러한 동작은 1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되는데 우선 제33도에서 열어드레스발생부(85)를 살펴보면, 이 어드레스발생부(85)는 내부의 1코드블럭부분에 해당하는 48클럭동안 어드레스를 "0"부터 "47"까지 증가시키고 8클럭분의 내부부가정보 구간동안 "0"으로 유지된다. 이때 사용된 클럭은 일반클럭이고 이 어드레스발생부(85)는 1크레임마다 "0"만드는 RST신호와, 외부인코딩으로 인해 생성된 외부부가정보와 내부인코딩결과로 생성된 내부부가정보를 첨부하는 기간을 구분해 주는 E_MRE신호, 그리고 트랙에서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위치와 영상정보를 기록하는 위치를 알려주는 또 다른 신호 E_PRE에 의해서 리세트된다. 다음으로 블럭어드레스발생부(86)를 살펴보면, 이 어드레스발생부(86)는 "56"클럭분마다 어드레스를 1씩 증가하는 부분인데 "0"에서 "15"까지 증가시킨다. 블럭어드레스발생부(86)의 클럭으로는 메모리독출인에이블신호(E_MRE)가 사용되며 1프레임마다 RST신호에 의해 리세트된다. 행어드레스발생부(87)는 "0"에서 "47"까지 계수되는 열어드레스가 모두 16번 반복된 다음에 "1"을 증가시킨다. 이 행어드레스발생부(87)는 E_PRE신호를 반전시켜 만든 신호를 클럭으로 사용하여 "0"에서 "3"까지 계수한다. 이렇게 발생된 메모리 독출 어드레스와 메모리 독출 인에이블신호(E_MRE)에 의해 제27도의 메모리(53 또는 62)에서 제20도와 제21도와 같은 구조의 데이타가 출력되게 된다. 이렇게 영상정보와 부가정보가 제13도와 같은 형태로 제14도의 기록매체(11)에 의해 테이프에 기록되고 난 후 재생을 하면, 제14도의 디코더용 메모리(21)에서는 다시 제14도의 인코더용 메모리(5)에서 데이타를 읽어낼때와 동일한 동작으로 써넣게 된다. 기본적으로 제14도의 인코더용 메모리(5)와 제14도의 디코더용 메모리(21)는 동일한 메모리 구조를 갖고 있는데 다만 메모리로부터 데이타를 읽어내는 순서와 메모리로 데이타를 써넣는 순서가 서로 반대일 뿐이다. 다시 말하면, 제14도의 인코더용 메모리(5)에 데이타를 써넣는 순서(어드레스발생순서)와 디코더용 메모리(21)로 부터 데이타를 읽어내는 순서는 동일하고, 상기 인코더용 메모리(5)로 부터 데이타를 읽어내는 순서와 상기 디코더용 메모리(21)에 데이타를 써넣는 순서는 동일하다.
제14도의 디코더용 메모리(21) 및 그 제어회로(22)는 제28도와 제29도의 구조로 되어있는데 먼저 제28도의 영상정보기입 어드레스발생부(102)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35도와 제37도는 영상정보용 메모리의 써넣기용 타이밍도와 어드레스 발생부인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데이타를 써넣을때는 가로방향으로 내부코드 길이만큼 먼저 써넣고 세로방향으로 어드레스를 증가시키는데 먼저 가로방향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37도의 열어드레스발생부(119)는 "0"에서 "47"까지 열어드레스를 증가시키고, "47"까지 열어드레스가 증가된 후 블럭어드레스 발생부(120)는 블럭어드레스를 "1"증가시킨다. 이렇게 해서 블럭어드레스발생부(120)는 "0"에서 "15"까지 값이 증가되는데 "15"까지 증가된 후 행어드레스발생부(121)가 "1"이 증가된다. 행어드레스발생부(121)는 "0"에서 "53"까지 값이 증가되는데 이것은 1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된다. 이렇게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의 구조는 제16도와 동일한 형태로 되며 다음 프레임의 데이타가 두번째 영상정보용 메모리에 저장되기 시작할때 이미 첫번째 메모리에서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데이타를 첫번째 메모리로 부터 읽어낸다.
제28도의 영상정보 독출어드레스발생부(103)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36도와 제38도는 여상정보를 디코더용메모리로 부터 읽어 내기위한 타이밍도와 어드레스발생부인데, 데이타를 메모리에서 읽어낼 때에는 세로방향의 어드레스(즉, 행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38도의 행어드레스발생부(123)가 먼저 동작된다. 이 행어드레스발생부(123)의 계수값은 "0"에서 "53"까지 증가하게 된다. 이 행어드레스 "53"까지 증가하고 난후에는 블럭어드레스발생부(124)가 계수를 1 증가시킨다. 이 블럭어드레스발생부(124)가 "15"까지 증가하고 난 뒤 가로방향(또는, 열)어드레스발생부(125)가 "1"증가되는데 이 어드레스발생부(125)는 내부코드의 메시지 길이인 "0"에서 "47"까지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어드레스는 1프레임 주기로 반복된다. 제29도의 부가정보 기입어드레스발생부(118)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39도는 상기 부가정보 기입어드레스발생부(118)의 상세도이며, 제41도는 부가정보용 메모리에 부가정보를 써넣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제39도의 동작을 살펴보면, 부가정보를 메모리에 써넣을 때도 영상정보를 써넣을때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내부코드 길이만큼 먼저 써넣고 세로방향으로 어드레스를 증가시키는데 먼저 가로방향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39도의 열어드레스발생부(127)가 "0"에서 "47"까지 계수를 증가시키며, 계수값이 "47"까지 값이 증가된 후 블럭어드레스발생부(128)의 어드레스가 "1"증가된다. 이렇게 해서 블럭어드레스발생부(128)의 계수값은 "0"에서 "15"까지 증가되는;데 "15"까지 증가한 후 행어드레스발생부(129)는 자신의 계수값을 "1"증가시키게 된다. 행어드레스발생부(129)의 어드레스는 "0"에서 "3"까지 증가되는데 이것은 1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된다. 이렇게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의 구조는 제19도와 같은 형태로 되며 다음 프레임의 데이타가 두번째 부가정보용 메모리에 저장되기 시작할때 첫번째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데이타를 읽어낸다. 제29도의 부가정보 독출어드레스발생부(11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42도와 제40도는 부가정보를 읽어내기 위한 타이밍도와 어드레스 발생부인데, 데이타를 메모리로 부터 읽어낼 때에는 세로방향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40도의 행어드레스발생부(130)부터 값이 증가하게 된다. 이 행어드레스값이 "0"에서 "3"까지 증가하고 난 후 블럭어드레스발생부(131)의 출력이 "1"증가되는데 이것은 "0"에서 "15"까지 증가하게 된다. 블럭어드레스발생부(131)의 출력이 "15"까지 증가하고 난 후 가로방향(또는, 열)어드레스발생부(132)가 어드레스를 "1"증가시키는데 이 어드레스발생부(132)의 출력은 내부코드의 메시지 길이와 동일하게 "0"에서 "47"까지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어드레스는 1프레임주기로 반복된다. 이렇게 해서 제13도와 같은 테이프포맷으로 데이타를 기록했다가 다시 원래의 데이타포맷으로 만들어 제14도의 외부디코더(23)로 데이타를 건네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정상속도 재생에서 인터리빙과 곱코드에 의해서 비어스트 에러와 랜덤에러를 정정하여 화질의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영상정보와 같은 중요한 데이터를 트랙의 중간에 기록하고 고속재생을 할때에는 사용하지 않는 외부코딩에 의해 생성된 부가정보와 이 부가정보를 가지고 내부코딩을 한 후 생성된 부가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트랙의 바깥쪽에 기록함으로써 고속재생을 할때 재생을 하지 못하는 데이터 중에서 영상정보와 같은 중요한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종래기술에 의해 재생된 화질보다 외부코딩에 의해 생성된 부가정보와 내부코딩한 결과 생성된 부가정보양 만큼 영상정보를 더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약 3712바이트 정보의 영상정보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Claims (17)

  1. 곱코드를 사용하고 인터리빙 방식으로 압축된 디지탈화상데이타를 처리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 방법에 있어서, 외부인코딩에 의해 소정의 영상정보데이타블럭에 소정의 외부부가정보데이타블럭이 첨부된 소정 수의 합성데이타블럭들로 구성된 프레임데이타블럭으로 부터 상기 합성 데이타블럭들 각각의 상기 영상정보데이타블럭과 상기 외부부가정보데이타블럭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정보데이타블럭 및 상기 외부부가정보데이타블럭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데이타블럭을 소정의 순서로 각각 독출하여 내부인코딩에 의해 내부부가정보데이타를 첨보하는 단계와, 테이프의 각 트랙상에 상기 내부부가정보데이타가 첨부된 상기 영상정보데이타블럭과, 상기 내부부가정보데이타가 첨부된 상기 외부부가정보데이타블럭을 상호 분리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아타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부가정보데이타가 첨부된 영상정보데이타블럭을 상기 각 트랙의 중앙부에 기록하고, 상기 내부부가정보데이타가 첨부된 상기 외부부가정보데이타블럭을 상기 각 트랙의 상부 및 하부에 나누어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데이타블럭 및 상기 외부부가정보데이타블럭으로 분리하여 상기 프레임데이타블럭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각 정보블럭들의 동일한 열의 데이타를 세로방향으로 순차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데이타블럭을 독출하는 단계는 상기 각 정보블럭들의 동일한 행의 데이타를 가로방향으로 동시에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방법.
  5. 압축된 디지탈영상정보데이타를 외부코드단위로 분할한 후 부가정보데이타를 각각 첨부하여 합성데이타를 생성하는 외부인코딩수단(4)과, 내부코드단위로 데이타를 분할한 후 동기데이타 및 식별데이타를 각각 부가하는 SYNC & ID 발생수단(7)과, 재생데이타의 에러를 1차로 정정하여 출력하고 정정할 수 없는 에러가 발생된 상기 재생데이타를 에러플래그와 함께 출력하는 내부디코딩수단(17)과, 이 내부디코딩수단(17)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재생데이타와 상기 에러플래그를 각각 이중화시키는 제1 및 제2디멀티플렉싱수단(18), (19)과, 상기 에러플래그를 이용하여 상기 재생데이타의 에러를 2차로 정정하는 외부디코딩수단(23)을 포함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인코딩수단(4)과 상기 SYNC & ID 발생수단(7)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인코딩수단(4)으로 부터 제공되는 1프레임의 상기 합성데이타로 부터 상기 영상정보데이타와 상기 부가정보데이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인코더용 메모리수단(5)과, 상기 인코더용 메모리수단(5)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인코더용 메모리제어수단(6)과,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싱수단(18), (19)과 상기 외부디코딩수단(23)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디코딩수단(17)에 의해 처리된 재생영상정보데이타와 재생 부가정보데이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디코더용메모리수단(21) 및, 상기 디코더용 메모리수단(21)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디코더용 메모리제어수단(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방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용 메모리수단(5)은 프레임선택신호(FS)에 의해 상기 영상정보데이타를 이중화시키는 제3디멀티플렉싱수단(30)과, 상기 영상정보데이타를 저장하는 제1 및 제2영상정보용 메모리수단(33), (42)과; 상기 프레임선택신호(FS)에 의해 상기 부가정보데이타를 이중화시키는 제4디멀티플렉싱수단(30')과, 상기 부가정보데이타를 저장하는 제1 및 제2부가정보용 메모리수단(53), (62)을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용 메모리제어수단(6)은 상기 프레임선택신호(FS)에 응답하여, 상기 제1영상정보용 메모리수단(33)의 기입동작 및 상기 제2영상정보용 메모리수단(42)의 독출동작과, 상기 제1 영상정보용 메모리수단(33)의 독출동작 및 상기 제2영상정보용 메모리수단(42)의 기입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제1영상정보용 메모리제어수단과; 상기 프레임신호(FS)에 응답하여, 상기 제1부가정보용 메모리수단(53)의 기입동작 및 상기 제2부가정보용 메모리수단(62)의 독출동작과, 상기 제1부가정보용 메모리수단(53)의 독출동작 및 상기 제2부가정보용 메모리수단(62)의 기입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제1부가정보용 메모리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용 메모리수단(21)은 상기 프레임선택신호(FS)에 의해 재생영상정보데이타를 이중화시키는 제5디멀티플렉싱수단(92)과, 상기 재생영상정보데이타를 저장하는 제3 및 제4영상 정보용 메모리수단(95), (97)과; 상기 프레임선택신호(FS)에 의해 상기 재생부가정보데이타를 이중화시키는 제6멀티플렉싱수단(92')과, 상기 재생부가정보데이타를 저장하는 제3 및 제4부가정보용메모리수단(111), (115)을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용메모리제어수단(22)은 상기 프레임선택신호(FS)에 응답하여, 상기 제3영상 정보용메모리수단(95)의 기입동작 및 상기 제4영상 정보용메모리수단(97)의 독출동작과, 상기 제3영상정보용메모리수단(95)의 독출동작 및 상기 제4영상정보용메모리수단(97)의 기입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제2영상정보용메모리제어수단과; 상기 프레임선택신호(FS)에 응답하여, 상기 제3부가 정보용메모리수단(111)의 기입동작 및 상기 제4부가 정보용메모리수단(115)의 독출동작과, 상기 제3부가 정보용메모리수단(111)의 독출동작 및 상기 제4부가 정보용 메모리수단(115)의 기입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제2부가정보용메모리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방식.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정보용 메모리제어수단은 상기 제3디멀티플렉싱수단(30)으로 부터 제공되는 상기 영상정보데이타를 상기 제1 및 제2영상정보용 메모리수단(33), (42)에 기입하기 위한 기입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1영상정보 기입어드레스 발생수단(38)과, 상기 제1 및 제2영상정보용메모리수단(33), (42)으로 부터 상기 영상정보데이타를 독출하기 위한 독출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1영상정보독출어드레스발생수단(29)과, 상기 제1 및 제2영상정보용 메모리수단(33), (42)의 기입동작 및 독출동작을 제어하는 제1메모리동작제어수단(36), (37) 및, 상기 프레임선택신호(FS)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영상정보기입어드레스발생수단(38)과 상기 제1영상정보독출어드레스발생수단(29) 및 상기 제1메모리동작제어수단(36), (37)의 출력들을 각각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선택수단(31), (32), (40), (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가정보용 메모리제어수단은 상기 제4디멀티플렉싱수단(30')으로 부터 제공되는 상기 부가정보데이타를 상기 제1 및 제2부가정보용 메모리수단(53), (62)에 기입하기 위한 기입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1부가정보기입어드레스발생수단(64)과, 상기 제1 및 제2부가정보용 메모리수단(53), (62)으로 부터 상기 부가정보데이타를 독출하기 위한 독출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1부가정보독출어드레스 발생수단(51)과, 상기 제1 및 제2부가정보용 메모리수단(53), (62)의 기입 동작 및 독출동작을 제어하는 제2메모리동작 제어수단(55), (56)및, 상기 프레임선택신호(FS)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부가정보 기입어드레스 발생수단(64)과 상기 제1부가정보 독출어드레스발생수단(51) 및 상기 제2메모리동작제어수단(55), (56)의 출력들을 각각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선택수단(58), (59), (61), (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처리방식.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정보 기입어드레스발생수단(38)은 클럭(CLK)에 동기되고 외부인코딩수단(4)에 의해 처리된 프레임합성데이타를 구성하는 소정수의 영상정보데이타블럭들 각각의 세로방향크기에 해당하는 해어드레스를 초기치부터 1씩 증가시키면서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는 제1행어드레스발생수단과, 상기 제1행어드레스발생수단의 어드레스발생동작이 1회 완료될때마다 어드레스를 초기치부터 1씩 증가시키고 상기 영상정보데이타블럭들의 수에 해당하는 블럭어드레스를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는 제1블럭어드레스발생수단 및, 상기 제1블럭어드레스발생수단의 어드레스발생동작이 1회 완료될때마다 초기치부터 1씩 증가시키고 상기 영상정보 데이타블럭들의 가로방향크기에 해당하는 열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1열어드레스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방식.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정보독출어드레스발생수단(29)은 클럭(CLK)에 동기되고 상기 제1 및 제2영상정보데이타 메모리수단(33), (42)에 저장된 프레임영상정보데이타의 가로방향의 크기에 해당하는 열어드레스를 초기치부터 1씩 증가시키면서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는 제2열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상기 제2열어드레스발생수단의 어드레스발생동작이 1회 완료될때마다 어드레스를 초기치부터 1씩 증가시키고 상기 프레임영상정보데이타를 구성하는 블럭들의 수에 해당하는 블럭어드레스를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는 제2 블럭어드레스발생수단 및, 상기 제2블럭어드레스발생수단의 어드레스발생동작이 1회 완료될때마다 초기치부터 1씩 증가시키고 상기 프레임영상정보데이타의 세로방향의 크기에 해당하는 행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2행어드레스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장치.
  12.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정보기입어드레스발생수단(38)은 클럭(CLK)에 동기되고 외부인코딩수단(4)에 의해 처리된 1코드블럭중 영상정보데이타의 세로방향크기에 해당하는 54클럭동안 0부터 53까지 계수값을 증가시키고 부가정보데이타의 세로방향크기에 해당하는 4클럭동안 0을 유지하는 계수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제1카운터(71)와, 상기 제1카운터(71)의 계수동작이 1회 반복될때마다 0부터 15까지 계수값을 증가시키는 계수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제2카운터(72) 및, 상기 제2카운터(72)의 계수동작이 1회 반복될때마다 0부터 47까지 계수값을 증가시키는 계수동작을 수행하는 제3카운터(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장치.
  13.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정보독출어드레스 발생수단(29)은 상기 영상정보데이타 메모리수단(33), (42)에 저장되어 있고 내부인코딩수단(8)에 의해 처리될 1코드블럭의 가로방향 크기에 해당하는 48클럭동안 0부터 47까지 계수값을 증가시키고 8클럭동안 0을 유지하는 계수동작을 반복수행하는 제4카운터(77)와, 상기 제4카운터(77)의 계수동작이 1회 반복될때마다 0부터 15까지 계수값을 증가시키는 계수동작을 반복수행하는 제5카운터(78) 및, 상기 제5카운터(78)의 계수동작이 1회 반복될때마다 0부터 53까지 계수값을 증가시키는 계수동작을 수행하는 제6카운터(7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가정보 기입어드레스발생수단(64)은 클럭(CLK)에 동기되고 외부인코딩수단(4)에 의해 처리된 프레임합성데이타를 구성하는 소정수의 부가정보데이타블럭들 각각으 세로방향크기에 해당하는 행어드레스를 초기치부터 1씩 증가시키면서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는 제3행어드레스발생수단과, 상기 제3행어드레스발생수단의 어드레스발생동작이 1회 완료될때마다 어드레스를 초기치부터 1씩 증가시키고 상기 부가정보데이타블럭들의 수에 해당하는 블럭어드레스를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는 제1블럭어드레스발생수단 및, 상기 제1블럭어드레스발생수단의 어드레스발생동작이 1회 완료될때마다 초기치부터 1씩 증가시키고 상기 부가정보 데이타블럭들의 가로방향크기에 해당하는 열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3열어드레스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자정보독출어드레스 발생수단(51)은 클럭(CLK)에 동기되고 상기 제1 및 제2부가정보용 메모리수단(53), (62)에 저장된 프레임부가정보데이타의 가로방향의 크기에 해당하는 열어드레스를 초기치부터 1씩 증가시키면서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는 제4열어드레스발생수단과, 상기 제4열어드레스발생수단의 초기치부터 1씩 증가시키고 상기 프레임부가정보데이타를 구성하는 블럭들의 수에 해당하는 블럭어드레스를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는 제4블럭어드레스발생수단 및, 상기 제4블럭어드레스발생수단의 어드레스발생동작이 1회 완료될때마다 초기치부터 1씩 증가시키고 상기 프레임부가정보데이타의 세로방향의 크기에 해당하는 행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4행어드레스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장치.
  16.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가정보기입어드레스 발생수단(64)은 클럭(CLK)에 동기되고 외부인코딩수단(4)에 의해 처리된 1코드블럭중 부가정보데이타의 세로방향크기에 해당하는 4클럭동안 0부터 3까지 계수값을 증가시키고 영상정보데이타의 세로방향크기에 해당하는 54클럭동안 0을 유지하는 계수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제7카운터(81)와, 상기 제7카운터(81)의 계수동작이 1회 반복될때마다 0부터 15까지 계수값을 증가시키는 계수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제8카운터(82) 및, 상기 제8카운터(82)의 계수동작이 1회 반복될때마다 0부터 47까지 계수값을 증가시키는 계수동작을 수행하는 제9카운터(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장치.
  17.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가정보독출어드레스 발생수단(51)은 상기 부가정보데이타 메모리수단(53), (62)에 저장되어 있고 내부인코딩수단(8)에 의해 처리될 1코드블럭의 가로방향크기에 해당하는 48클럭동안 0부터 47까지 계수값을 증가시키고 8클럭동안 0을 유지하는 계수동작을 반복수행하는 제10카운터(85)와, 상기 제10카운터(85)의 계수동작이 1회 반복될때마다 0부터 15까지 계수값을 증가시키는 계수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제11카운터(86) 및, 상기 제11카운터(86)의 계수동작이 1회 반복될때마다 0부터 3까지 계수값을 증가시키는 계수동작을 수행하는 제12카운터(8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 처리장치.
KR1019930001213A 1993-01-30 1993-01-30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269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1213A KR100269748B1 (ko) 1993-01-30 1993-01-30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6008868A JP2647619B2 (ja) 1993-01-30 1994-01-28 デジタルvtrの映像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FR9401242A FR2703551B1 (fr) 1993-01-30 1994-01-31 Procédé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e données d'image pour enregistrer vidéo numérique à bande.
DE4402870A DE4402870C2 (de) 1993-01-30 1994-01-31 Bilddatenverarbeitungsvorrichtung für ein digitales Videobandgerät und Bilddatenverarbeitungsverfahren dafür
US08/189,173 US5432613A (en) 1993-01-30 1994-01-31 Imag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1213A KR100269748B1 (ko) 1993-01-30 1993-01-30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처리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148A KR940019148A (ko) 1994-08-19
KR100269748B1 true KR100269748B1 (ko) 2000-10-16

Family

ID=1935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213A KR100269748B1 (ko) 1993-01-30 1993-01-30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처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32613A (ko)
JP (1) JP2647619B2 (ko)
KR (1) KR100269748B1 (ko)
DE (1) DE4402870C2 (ko)
FR (1) FR27035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7809A (en) * 1992-09-02 1997-05-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device having high-speed reproduction capability
US6141485A (en) 1994-11-11 2000-10-3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which utilizes predetermined areas on a magnetic tape for multiple purposes
EP0748130B1 (en) * 1995-06-05 2002-09-25 Sony Electronics Inc.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signals
KR0183163B1 (ko) * 1995-12-27 1999-04-15 김광호 표준 정의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고속 탐색장치
JP3922819B2 (ja) * 1998-09-21 2007-05-30 富士通株式会社 誤り訂正方法及び装置
WO2001005149A1 (fr) 1999-07-07 2001-01-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sseur de signal reproduit
JP2002184124A (ja) * 2000-12-11 2002-06-28 Sony Corp 磁気記録再生方法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3671906B2 (ja) * 2001-12-19 2005-07-13 日本電気株式会社 繰り返し連接符号復号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符号化復号化システム
US7467346B2 (en) * 2005-08-18 2008-12-16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Decoding error correction codes using a modular single recursion implementation
JP5064820B2 (ja) * 2007-02-01 2012-10-31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磁気ディスクコントローラおよび方法
JP5221044B2 (ja) * 2007-02-01 2013-06-26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磁気ディスクコントローラおよび方法
US20090110313A1 (en) * 2007-10-25 2009-04-30 Canon Kabushiki Kaisha Device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based on image attribut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78383T1 (de) * 1985-05-21 1992-08-15 Sony Corp Anordnung zur dekodierung eines fehler korrigierenden codes.
JP2526875B2 (ja) * 1986-11-05 1996-08-21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ジタル情報記録装置
JPH07118161B2 (ja) * 1988-06-07 1995-12-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法
JPH0828066B2 (ja) * 1988-08-31 1996-03-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再生装置
US5136391A (en) * 1988-11-02 1992-08-04 Sanyo Electric Co., Ltd. Digital video tape recorder capable of accurate image reproduction during high speed tape motion
DE69030405T2 (de) * 1989-05-17 1997-07-24 Sony Corp Wiedergabevorrichtung für produktkodierte Blockdaten
EP0407046B1 (en) * 1989-06-16 1995-07-2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 digital video signal
JPH03132183A (ja) * 1989-10-18 1991-06-05 Hitachi Ltd ディジタル画像再生方式
JPH0447569A (ja) * 1990-06-15 1992-02-17 Canon Inc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H0492246A (ja) * 1990-08-06 1992-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式
JP2548444B2 (ja) * 1990-09-18 1996-10-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DE4041099C1 (ko) * 1990-12-21 1991-11-21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aend. Stiftung & Co Kg, 8510 Fuerth, De
GB2251757A (en) * 1991-01-11 1992-07-15 Sony Broadcast & Communication Reproduction and storage of video signals
NL9100218A (nl) * 1991-02-07 1992-09-01 Philips Nv Encodeer/decodeer-schakeling, alsmede digitaal video-systeem voorzien van de schakeling.
JPH0541035A (ja) * 1991-02-08 1993-02-19 Olympus Optical Co Ltd 動画像データの記録再生方式
JPH04263588A (ja) * 1991-02-19 1992-09-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vtr
KR0150954B1 (ko) * 1992-03-14 1998-10-15 강진구 디지털 기록재생 장치의 에러 정정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JPH05282799A (ja) * 1992-04-01 1993-10-29 Sony Corp 情報記録装置
GB2268613B (en) * 1992-07-06 1996-03-20 Sony Broadcast & Communication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03551B1 (fr) 1995-11-17
US5432613A (en) 1995-07-11
DE4402870A1 (de) 1994-08-11
JP2647619B2 (ja) 1997-08-27
DE4402870C2 (de) 1999-04-08
JPH06350967A (ja) 1994-12-22
FR2703551A1 (fr) 1994-10-07
KR940019148A (ko) 199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768B1 (ko) 디지탈정보기록방법
EP0203773B1 (en) Apparatus for decoding error correcting code
US4463387A (en) Digital video data recording apparatus
US4602295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for video format signal
JPH0125275B2 (ko)
US6085022A (en) Digital VTR for recording special replay video data in track areas designated for digital video and digital audio
KR100269748B1 (ko) 디지탈 vtr의 영상데이타처리방법 및 그 장치
GB2075792A (en) Digitized video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6231872B2 (ko)
US5396504A (en) Error correction system of digital data
US5191437A (en) Digital image signal playback circuit for combining two channel parallel picture data into a single channel
JPS6333748B2 (ko)
US4764820A (en) Picture element arranging method in video data recording-reproducing system
GB2275151A (en) Image data processing for digital video tape recorder
JP4292690B2 (ja) 画像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US6983101B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62145978A (ja) ビデオ信号記録再生方式
JP3135237B2 (ja) デジタル信号記録装置
JPS61267416A (ja) エラ−訂正符号の復号装置
JP3734020B2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構造、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3286614B2 (ja) 映像記録装置、映像再生装置および映像記録再生装置
JP2715468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再生装置
JP2674022B2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JP3079614B2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の再生装置
JPH0785578B2 (ja) デイジタルビデオ信号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