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540B1 - 베이스부착형 전환밸브에 부착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 - Google Patents

베이스부착형 전환밸브에 부착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540B1
KR100244540B1 KR1019970036026A KR19970036026A KR100244540B1 KR 100244540 B1 KR100244540 B1 KR 100244540B1 KR 1019970036026 A KR1019970036026 A KR 1019970036026A KR 19970036026 A KR19970036026 A KR 19970036026A KR 100244540 B1 KR100244540 B1 KR 100244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hole
pressure regulating
regulat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245A (ko
Inventor
마사미찌 타지마
타카시 아키모토
히로유키 카쯔타
Original Assignee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다 요시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1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8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1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cylindrical slide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10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10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 G05D16/101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the controller being arranged as a multiple-way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496Self-proportioning or correlating systems
    • Y10T137/2559Self-controlled branched flow systems
    • Y10T137/2574Bypass or relief controlled by main line fluid condition
    • Y10T137/2605Pressure responsive
    • Y10T137/2607With pressure reducing inlet valve
    • Y10T137/261Relief port through common sens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582Pilot-actuated
    • Y10T137/86614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7With flow control means for branched passages
    • Y10T137/87885Sectional block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Safety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전환밸브(3)와 베이스(2)의 사이에 직접 삽입된 상태로 부착되는 압력조절밸브가, 상기 전환밸브(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횡폭의 밸브보디(15)를 보유하며, 그 밸브보디(15)내에, 상기 전환밸브(3)와 베이스(2)에 상대하는 통공을 연통하는 복수의 연통로와, 이 연통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조압밸브구멍(19)과, 그 밸브구멍내에 삽입된 조압밸브봉(20)과, 그 조압밸브봉(20)의 협동작용에 의해서 공기압을 설정압으로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베이스부착형 전환밸브에 부착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
본 발명은, 베이스부착형 전환밸브에 부착하여, 이 전환밸브로부터 출력되는 유체압을 필요한 압력으로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전환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 등의 압력유체에 의하여 유체압기기를 구동하는 경우, 기기의 설정압이나 작동상태 등에 의하여, 그 유체압기기에 공급하는 유체압을 조절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유체압을 조절하는 경우, 통상, 전환밸브의 출력포트와 유체압기기를 접속하는 배관중에, 감압밸브 등의 압력조절밸브가 부착된다.
그런데, 공지된 압력조절밸브는 일반적으로 대형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압력조절밸브를 배관에 의하여 전환밸브에 접속하면, 그 배관작업이 대단히 번거롭게 될 뿐아니라, 큰 설치공간도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는, 배관포트를 보유한 매니폴드나 서브플레이트와 같은 베이스부재에 복수의 전환밸브를 탑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전환밸브와 동수의 압력조절밸브를 접속해야만 하기 때문에 특히 발생하기 쉽고, 전환밸브의 사용수에 의해서는 압력조절밸브의 부착이 곤란하게 되는 일도 있다. 더욱이 이 문제는, 최근의 전환밸브의 소형화에 의하여 특히 현저한 것으로 되어있다.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베이스부착형의 전환밸브에 배관을 사용하는 일 없이 간단하게, 또한 콤팩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소형의 압력조절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소형의 밸브보디 중에 복수의 유로와 조압밸브기구를 교묘하게 조립한 합리적 설계구조의 압력조절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유체의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밸브와, 그 전환밸브에 압력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베이스의 사이에, 직접 삽입한 상태로 설치가능한 소형의 압력조절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압력조절밸브의 밸브보디는, 상기 전환밸브의 횡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횡폭을 보유하고 있고, 그 전환밸브와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측쪽으로 삐져나오지 않도록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밸브보디의 내부에는, 상기 전환밸브와 베이스의 상대하는 1쌍의 통공을 조압밸브시이트를 개재하여 상호 연통하는 개폐연통로와, 다른 상대하는 통공을 직접 연통하는 직통연통로가 평행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연통로 및 직접연통로를 가로지르도록 조압밸브구멍이 설치되고, 이 조압밸브구멍내에, 조압밸브부재를 구비한 조압용의 밸브봉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조압밸브구멍은, 상기 개폐연통로와 연통하고 있으나, 직통연통로와는 비연통으로, 그 직통연통로를 완전히 폐쇄하지 않고, 주위에 필요한 유로단면적을 남긴 상태로 관통하고 있다.
또, 상기 조압밸브봉의 일단측에 설치된 조압실에는, 조압피스톤과 조압스프링이 설치되며, 조압밸브봉의 타단측의 복귀실에는 복귀스프링이 설치되고, 이 조압실과 복귀실을 연통하는 조압로가, 상기 조압밸브구멍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보디는, 조압용의 압력유체를 조압실에 인도하기 위한 도압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보유하는 압력조절밸브는, 전환밸브와 베이스의 상대하는 통공을 연통하는 복수의 연통로와, 조압밸브봉을 수용하는 조압밸브구멍을, 밸브보디의 내부의 중복하는 위치에 기능적으로 조합하여 배설하는 것에 의해, 내부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그 밸브보디의 횡폭을 실질적으로 전환밸브와 동일한 정도까지 작게할 수가 있었다. 그리고 이 결과, 그 압력조절밸브를 전환밸브와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직접 삽입한 상태로 전환밸브의 폭내에 콤팩트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복수의 전환밸브를 베이스상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 전환밸브에 각각 압력조절밸브를 간단하게 접속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압밸브구멍과 조압로가, 상기 연통로의 유로방향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이 조압밸브구멍과 조압로를 연통로의 홈폭방향에 평행하게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유로단면적의 감소를 보다 적게할 수 있고, 필요한 유로단면적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개폐연통로가 베이스의 공급포트로부터 전환밸브에 압력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용의 유로로서, 베이스의 공급통공에 연통하여 상기 밸브구멍에 개구하는 제1부분과, 전환밸브의 공급통공에 연통하여 상기 제1부분과는 다른 위치에서 밸브구멍에 개구하는 제2부분으로 구성되고, 이 제1부분과 제2부분의 사이에 상기 조압밸브시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는, 상기 도압유로가, 조압밸브봉과 조압밸브구멍의 사이의 간극에 의해 형성되고, 이 간극을 통하여, 상기 개폐연통로의 제2부분이 조압실 또는 복귀실에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상기 도압유로가, 상기 개폐연통로의 제2부분을 조압로에 직접 연통시킨 도공(導孔)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는, 상기 도압로가, 전환밸브의 출력통공을 조압밸브구멍내에 연통시키는 도공과, 그 도공을 조압실 또는 복귀실에 연통시키는 조압밸브봉 외주의 간극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압력조절밸브가, 베이스와 전환밸브의 출력통공을 연결하는 출력용의 직통연통로를 보유하는 경우에는, 이 출력용의 직통연통로에 상기 도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압밸브봉 외주의 간극중 상기 도압유로롤 구성하지 않는 부분은, 그 조압밸브봉에 부착한 시일부재에 의하여 밀봉된다. 이 경우, 상기 시일부재로서, 시일에 방향성이 있는 립형의 시일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복귀동작시에 조압실 또는 복귀실의 압력유체가 그 시일부재를 밀어서 개방하여 개폐연통로의 제1부분측에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압력조절밸브를 베이스와 전환밸브의 사이에 부착한 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압력조절밸브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확대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Ⅳ-Ⅳ선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Ⅴ-Ⅴ선에서의 단면도.
도 6은, 도 2에 있어서의 Ⅵ-Ⅵ선에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Ⅶ-Ⅶ선에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조절밸브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릴리이프수단의 구성도.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압력조절밸브(1)를 베이스(2)와 전환밸브(3)의 사이에 직접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각 부품(1),(2),(3)은, 도면표시를 생략하고 있는 부착나사 등의 적합한 부착수단에 의하여 상호고정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는, 배관포트를 보유하는 매니폴드나 서브플레이트 등의 부재의 총칭으로서, 1개 또는 복수의 전환밸브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도면에 표시된 것은, 1개의 전환밸브(3)를 탑재하여 사용하는 단체형의 베이스이다. 이 베이스(2)는, 한쪽의 측면에 압축공기의 공급포트(P)와 제1배출포트(EA) 및 제2배출포트(EB)를 구비합과 아울러, 다른 쪽의 측면에 제1출력포트(A) 및 제2출력포트(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베이스(2)의 상면에는 평평한 조절밸브용 부착면(2a)이 설치되어 있고, 그 부착면(2a) 위에, 상기 각 포트에 개별로 연통하는 공급통공(5)과, 제1출력통공(6A) 및 제2출력통공(6B)과, 제1배출통공(7A) 및 제2배출통공(7B)이, 일렬로 늘어선 상태로 개구하고 있다.
상기 전환밸브(3)는, 주밸브부(8)의 전자조작식의 파일럿밸브부(9)를 구비한 싱글파일럿식의 전환밸브이다. 상기 주밸브부(8)는 밸브보디의 하면에 평평한 조절밸브용부착면(3a)을 구비하고 있고, 그 부착면(3a)에, 공급통공(10)과, 제1출력통공(11A) 및 제2출력통공(11B)과, 제1배출통공(12A) 및 제2배출통공(12B)이, 일렬로 늘어선 상태로 개구하고 있다. 또, 밸브보디의 내부에는, 상기 각 통공이 개구하는 밸브구멍(13)이 형성되고, 이 밸브구멍(13) 내에 밸브봉(14)이 기밀하게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전환밸브(3)는, 솔레노이드의 여자에 의하여 파일럿밸브부(9)로부터 주밸브부(8)로 파일럿유체가 출력되면, 밸브봉(14)이 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공급통공(10)과 제1출력통공(11A)이 연통함과 아울러, 제2출력통공(11B)과 제2배출통공(12B)이 연통한다. 또, 솔레노이드의 여자를 해제하면, 주밸브부(8)의 파일럿유체가 배출되므로, 파일럿밸브부와 반대측의 실(室)에 공급되고 있는 내부파일럿유체에 의하여 밸브봉(14)이 도면에 표시된 상태로 복귀하여, 공급통공(10)과 제2출력통공(11B)이 연통함과 아울러, 제1출력통공(11A)과 제1배출통공(12A)이 연통한다.
그러나, 상기 전환밸브(3)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은 싱글파일럿식의 전환밸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블파일럿식 전환밸브, 혹은 직동형 전환밸브 등으로 할 수가 있다.
도 2에 상세하게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압력조절밸브(1A)는, 상기 전환밸브(3)의 밸브보디와 거의 동일한 횡폭을 보유하는 구형단면을 한 가늘고 긴 밸브보디(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밸브보디(15)의 상하면은, 상기 베이스(2) 및 전환밸브(3)에 부착하기 위한 평평한 부착면(15a),(15b)으로 되어 있고, 이 부착면에 의하여 베이스(2)와 전환밸브(3)의 사이에 직접 삽입한 상태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밸브보디(15)의 내부에는, 상기 전환밸브(3)와 베이스(2)의 상대하는 통공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통로(16), (17A), (17B), (18A), (18B)가, 상하의 부착면(15a),(15b)의 사이에 형성됨과 아울러, 이 연통로를 가로지르도록 조압밸브구멍 (19)이 설치되고, 이 조압밸브구멍(19)내에 조압밸브봉(20)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일렬로 늘어서서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연통로(16), (17A), (17B), (18A), (18B)중, 베이스(2)의 공급통로(5)와 전환밸브(3)의 공급통공(10)을 연결하는 공급용의 연통로(16)는, 중간에 조압밸브시이트(25)를 보유하는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는 연통로이며, 또, 출력통공(6A),(6B)과 (11A),(11B)를 연결하는 출력용 연통로(17A),(17B) 및 배출통공(7A),(7B)과, (12A),(12B)를 연결하는 배출용 연통로(18A),(18B)는, 어느것이라도, 각각의 통공을 스트레이트로 연결하는 직통연통로이다.
상기 개폐연통로(16)는, 도 3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2)측의 공급통공(5)에 연통하여 상기 조압밸브구멍(19)에 개구하는 제1부분(16a)과, 전환밸브(3)측의 공급통공(10)에 연통하여 상기 조압밸브구멍(19)에 제1부분(16a)과는 다른 위치에서 개구하는 제2부분(16b)으로 구성되고, 이 제1부분(16a)과 제2부분(16b)의 사이의 조압밸브구멍(19)의 부분에 상기 조압밸브시이트(25)가 설치되고, 상기 조압밸브봉(20)에 설치된 조압밸브부재(21)에서 제1부분(16a)측으로부터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압밸브구멍(19)은, 도 4 내지 도 6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개폐연통로(16)는 상호 연통되어 있으나, 기타의 직통연통로(17A), (17B), (18A), (18B)는 연통함이 없이, 이 각 직통연통로의 대략 중앙부분을, 양 사이드에 압축공기가 흐르는데 필요한 간극을 유지한 상태에서 관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통로와 조압밸브구멍(19)을, 밸브보디(15)의 속에 교차시켜서 설치하는 것에 의해, 그것을 삽입한 공간속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 밸브보디(15)를 소형으로 합리적인 설계구조로 할 수가 있다.
상기 밸브보디(15)의 한쪽의 단부에는, 압력조절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력조절부(29)는, 밸브보디(15)와 조압측 커버(30)의 사이에 상기한 조압밸브구멍(19)에 통하도록 형성된 조압실(38)과, 이 조압실(38)내에 자유롭게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된 조압피스톤(33)과, 스프링실(34)내에 있어서 그 조압피스톤(33)과 그 배후의 스프링시이트(32)의 사이에 설치된 조압스프링(35)을 보유하며, 이 조압스프링(35)으로 상기 조압피스톤(33)을 조압밸브봉(20)측으로 향해서 부세하고 있다. 이 조압스프링(35)의 부세력은, 조절나사(31)를 진퇴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할 수가 있다. 참조부호(36)는 상기한 조절나사(31)를 로크하는 로크너트이다.
상기 조압피스톤(33)에는, 상기 스프링실(34)과 호흡구멍(40)을 통하여 대기에 개방하는 배기구멍(39)이 설치됨과 아울러, 이 배기구멍(39)의 선단에 릴리이프밸브부재(37)가 설치되고, 이 릴리이프밸브부재(37)를, 상기 조압밸브봉(20)의 선단의 테이퍼형상의 밸브개폐부(41)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밸브보디(15)의 다른쪽의 단부에는, 그 밸브보디(15)와 복귀측 커버(42)의 사이에 상기 조압밸브구멍(19)에 통하는 복귀실(45)이 형성되고, 그 복귀실(45)내에 상기 조압밸브봉(20)을 조압피스톤(33)측으로 향하여 부세하는 복귀스프링(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복귀스프링(44)의 부세력은 조압스프링(35)의 부세력보다 작다.
상기 복귀실(45)은, 복귀측 커버(42)에 설치한 검출포트(43)에 통공을 통하여 연통하고, 이 검출포트(43)에 부착된 압력계에 의하여 조절공기압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밸브보디(15) 내에는 또, 상기 조압실(38)과 복귀실(45)을 연결하는 조압로(23)가, 상기 조압밸브구멍(19)에 대하여, 각 연통로(16), (17A), (17B), (18A), (18B)의 유로방향에 인접하는 위치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조압밸브구멍(19)과 조압로(23)를 이와 같은 위치관계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그것을 연통로의 홈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한 경우 보다도, 유로단면적의 감소가 적어지게 되고, 필요한 크기의 유로단면적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상기 조압밸브봉(20)은, 조압밸브구멍(19)내에 여유를 가지고 삽입할 수 있는 외경을 보유하고 있고, 그 외주와 조압밸브구멍(19)의 공벽과의 사이에 유로용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연통로(16)의 제2부분(16b)으로부터 조압실(38)에 통하는 간극(24a)은, 그 제2부분(16b)으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조압실(38)에 인도하기 위한 도압유로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개폐연통로(16)의 제1부분(16a)과 복귀실(45)측을 연결하는 간극(24)은, 조압밸브봉(20)에 설치한 시일부재(28)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보유하는 제1실시예의 압력조절밸브(1A)에 있어서, 베이스(2)의 공급포트(P)로부터의 압축공기가 개폐연통로(16)에 공급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조압스프링(35)의 부세력에 의하여 조압피스톤(33)과 조압밸브봉(26)이 도면에 있어서 왼쪽으로 이동하고, 조압밸브부재(21)가 조압밸브자리(25)를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연통로(16)의 제1부분(16a)과 제2부분(16b)은 상호 연통하고, 베이스(2)의 공급포트(P)와 전환밸브(3)의 공급통공(10)이 연통된 상태에 있다.
상기 공급포트(P)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이 압축공기는, 상기 개폐연통로(16)를 통하여 전환밸브(3)의 공급통공(10)에 유입함과 동시에, 상기 도압유로(24a)를 통하여 조압실(38)에 유입하고, 또한 조압로(23)를 통하여 복귀실(45)에도 유입한다. 이 때문에, 조압피스톤(33)은, 그 피스톤에 작용하는 공기압 작용력과 조압밸브봉(20)을 개재하여 작용하는 복귀나사(44)의 부세력과 합성력에 의해서 압압돠고, 이 합성력과 조압스프링(35)의 부세력이 균형된 위치까지 그 조압스프링(35)을 압축하면서 후퇴한다. 그리고, 상기한 힘이 균형된 시점에서 조압밸브부재(21)가 조압밸브시이트(25)를 밀봉하고, 개폐연통로(16)의 제1부분(16a)과 제2부분(16b)이 서로 차단된다.
상기 조압피스톤(33)에 작용하는 공기압의 작용력이 조압스프링(35)의 부세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조압피스톤(33)이 다시 후퇴하기 때문에 릴리이프밸브부재(37)가 개방하고, 조압실(38)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기압의 작용력과 조압스프링(35)의 부세력의 균형이 유지된다.
그래서, 개폐연통로(16)의 제2부분(16b)측의 공기압(따라서 출력공기압)이, 조압스프링(35)에 의해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된다. 이 공기압은, 검출포트(43)에 부착된 압력계에 의하여 검출할 수가 있다.
상기 공기압의 설정은, 조압나사(31)를 진퇴시켜서 조압스프링(35)의 부세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변경할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압력조절밸브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제1실시예 에서는, 시일부재(28)로서 시일에 방향성이 없는 O링을 사용하고 있는데 대하여, 이 제2실시예의 압력조절밸브(1B)는, 시일에 방향성이 있는 Y형 또는 V형 단면을 가지는 립형의 시일부재(28a)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상위하다. 그리고 이 시일부재(28a)를 개폐연통로(16)측으로부터 복귀실(45)측으로의 압축공기의 흐름은 저지하지만, 그 역방향으로의 흐름은 허용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부착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공급포트(P)의 공기압을 해방하면, 개폐연통로(16)의 제2부분(16b)측의 압축공기가 상기 시일부재(28a)를 밀어서 개방하여 제1부분(16a)으로부터 유출하기 때문에, 조압밸브부재(21)는 즉시 조압밸브시이트(25)를 개방하여, 출력측의 잔압이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제2실시예의 상기한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주요한 동일개소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압력조절밸브의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이 압력조절밸브(1C)가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조압용의 압축공기를 조압실(38)에 인도하는 도압유로를 조압밸브봉(20)의 외중의 간극에 형성함이 없이, 개폐연통로(16)의 제2부분(16b)과 조압로(23)를 직접 연통하는 도공(48)에 의하여 형성한 점이다. 따라서,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2부분(16b)과 조압실(38)을 연결하는 조압밸브봉(20) 외주의 간극(24a)은, 그 조압밸브봉(20)에 설치한 제2시일부재(47)로 밀봉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개폐연통로(16)의 제1부분(16a)과 복귀실(45)측 사이의 간극(24b)을 밀봉하는 제1시일부재(46)에는, 시일에 방향성이 있는 립형 시일부재가 사용되고, 상기한 제2시일부재(47)에는, 방향성이 없는 O링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제3실시예의 상기한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주요한 동일개소에 제1실시예와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압력조절밸브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압력조절밸브(1D)가 상기 각 실시예와 상위한 주요한 점은, 개폐연통로(16)의 제1부분(16a)과 제2부분(16b)의 배치가 조압밸브구멍(19)의 축선방향으로 역회전하고 있는 점이다. 즉, 조압실(38)측에 제1부분(16a)이 설치됨과 아울러, 복귀실(45)측에 제2부분(16b)이 설치되어 있고, 그 제2부분(16b)측에 조압밸브시이트(25)가 형성되고, 이 조압밸브시이트(25)가 조압밸브부재(21)에 의하여 제2부분(16b)측으로부터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부분(16b)과 복귀실(45)을 연결하는 조압밸브봉(20) 외주의 간극(24b)이 도압유로로 되어 있고, 조압용의 압축공기가 상기 복귀실(45)로부터 조압로(23)를 개재하여 조압실(38)에 인도되고, 상기 제1부분(16a)과 조압실(38)을 연결하는 조압밸브봉(20) 외주의 간극(24a)은, 립형의 시일부재(49)에 의하여 조압실(38)측으로 향하는 방향이 밀봉되어 있다.
그리고, 제4실시예의 상기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주요한 동일개소에 제1실시예와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압력조절밸브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제5실시예의 압력조절밸브(1E)는, 조압용의 압축공기를 출력용의 직통연통로에서 얻도록 한 점이, 상기 제1 내지 제4실시예와 상위한 것이다. 즉, 압력조절밸브(1E)는, 도 11에서도 알 수 있듯이, 베이스(2)의 제1출력통공(6A)과 전환밸브(3)의 제1출력통공(11A)을 연결하는 제1출력용 직통연통로(17A)에, 조압밸브구멍(19)과 통하는 도공(52A)을 설치하고, 이 도공(52A)과 조압밸브봉(20) 외주의 간극(24b)으로 이루어지는 도압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1출력용 직통연통로(17A)로부터의 조압용 압축공기를, 복귀실(45)로부터 조압로(23)를 통해서 조압실(38)에 인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조압밸브봉(20)에는, 그 외주의 간극(24b)을 개폐연통로(16)의 제1부분(16a)과 상기 도공(52A)의 사이에서 밀봉하는 제1시일부재(53)와, 간극(24a)을 제2부분(16b)과 조압실(38)의 사이에서 밀봉하는 제2시일부재(54)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5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압용 압축공기의 도입경로가 다른 실시예와 상위할 뿐이고, 조압시의 동작은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기 이외의 주요한 동일구성부분에 제1실시예와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것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제5실시예에 있어서, 제1시일부재(53)에 립형의 시일부재를 사용하여, 이 립형시일부재를 개폐연통로(16)의 제1부분(16a)측으로부터 복귀실(45)측으로 향하는 압축공기의 흐름은 저지하지만, 그 역방향으로의 흐름은 허용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공급포트(P)의 공급공기압을 해방할 때, 제1출력용 직통연통로(17A)의 공기압이 상기 제1시일부재(53)를 밀어서 개방하여 공급포트(P)에 배출되기 때문에, 조압밸브시이트(25)가 즉시 개방하여 잔압이 배출된다. 이 경우 동시에, 제2시일부재(54)에도 립형의 시일부재를 사용하고, 이것을 개폐연통로(16)의 제2부분(16b)측으로부터 조압실(38)측으로 향하는 압축공기의 흐름은 저지되지만, 그 역방향으로의 흐름은 허용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공급포트(P)의 공급공기압을 해방할 때의 잔압의 배출효율이 더욱 양호하게 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시일부재(53),(54)의 미끄럼운동저항이 작게되어서 조압밸브봉(20)의 응답성이 좋게 된다.
도 12는 압력조절밸브의 제6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이 제6실시예의 압력조절밸브(1F)는, 상기 제5실시예의 압력조절밸브(1E)와 조압용의 압축공기의 도입경로가 상위하다. 즉, 이 압력조절밸브(1F)는, 베이스(2)와 전환밸브(3)의 제2출력통공(6B)과 (11B)를 연결하는 제2출력용 직통연통로(17B)에, 조압밸브구멍(19)에 통하는 도공(52B)을 설치하고, 이 도공(52B)과 조압밸브봉(20) 외주의 간극(24a)으로 이루어지는 도압유로를 통하여, 제2출력용 직통연통로(17b)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조압실(38)에 인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외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는, 실질적으로 제5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주요한 동일구성부분에 제5실시예와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것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이 제6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5실시예의 변형예와 동일하게, 제1 및 제2시일부재(53),(54)중의 한쪽 또는 양쪽을, 시일에 방향성이 있는 립형의 시일부재로 형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의 립형 시일부재의 설치방향이나 그것에 의한 효과는 실질적으로 상기한 제5실시예의 변형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13은, 상기한 각 실시예의 압력조절밸브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조압밸브봉(20)의 단부의 밸브개폐부(41)의 이종구성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이 밸브개폐부(41)는, 조압피스톤(33)의 단면에 맞닿는 평탄한 고리형상을 한 맞닿음면(41a)과, 그 맞닿음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릴리이프밸브부재(37)를 개폐하는 돌출부(41b)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밸브개폐부(41)의 구성은, 조압밸브봉(20)이 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돌출부(41b)가 릴리이프밸브부재(37)를 폐쇄하면, 고리형상의 맞닿음면(41a)이 조압피스톤(33)의 단면에 맞닿으므로, 밸브봉의 압압에 의한 릴리이프밸브부재(37)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한 각 실시예의 압력조절밸브는, 상기 직통연통로가, 베이스(2)와 전환밸브(3)의 출력통공을 연결하는 출력용의 연통로를 포함하고 있으나, 전환밸브(3)측에 출력포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베이스(2)측에 출력포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출력용의 직통연통로는 특히 생략할 필요가 없다. 그것을 생략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연통로의 베이스(2)측의 단부는 가스켓으로 봉하여 막는다. 또, 이 출력용의 직통연통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5 및 제6실시예에 표시하듯이 조압용의 압축공기를 취입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출력용의 직통연통로를 생략한 경우, 출력공기압을 조압실(38)에 취입해서 조압하는 경우에는, 압력조절밸브의 밸브보디(15)에, 상기 전환밸브(3)의 하면에 개구하는 출력통공(11A) 또는 (11B)를 조압밸브구멍(19)에 연통시키는 적당한 도공을 설치하여, 그 도공과 조압밸브봉(20) 외주의 간극으로 이루어지는 도압로에 의하여, 상기 출력공기압을 조압실(38) 또는 복귀실(45)에 취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제1시일부재(53)에 립형의 시일부재를 사용하여, 이 립형시일부재를 개폐연통로(16)의 제1부분(16a)측으로부터 복귀실(45)측으로 향하는 압축공기의 흐름은 저지하지만, 그 역방향으로의 흐름은 허용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공급포트(P)의 공급공기압을 해방할 때, 제1출력용 직통연통로(17A)의 공기압이 상기 제1시일부재(53)를 밀어서 개방하여 공급포트(P)에 배출되기 때문에, 조압밸브시이트(25)가 즉시 개방하여 잔압이 배출되는 경우 에, 제2시일부재(54)에도 립형의 시일부재를 사용하고, 이것을 개폐연통로(16)의 제2부분(16b)측으로부터 조압실(38)측으로 향하는 압축공기의 흐름은 저지되지만, 그 역방향으로의 흐름은 허용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공급포트(P)의 공급공기압을 해방할 때의 잔압의 배출효율이 더욱 양호하게 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시일부재(53),(54)의 미끄럼운동저항이 작게되어서 조압밸브봉(20)의 응답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상기한 밸브개폐부(41)는, 조압피스톤(33)의 단면에 맞닿는 평탄한 고리형상을 한 맞닿음면(41a)과, 그 맞닿음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릴리이프밸브부재(37)를 개폐하는 돌출부(41b)로 구성되어 있어서, 조압밸브봉(20)이 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돌출부(41b)가 릴리이프밸브부재(37)를 폐쇄하면, 고리형상의 맞닿음면(41a)이 조압피스톤(33)의 단면에 맞닿으므로써, 밸브봉의 압압에 의한 릴리이프밸브부재(37)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9)

  1. 압력유체의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밸브와, 그 전환밸브에 압력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베이스의 사이에 부착되는 유체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밸브가,
    상기 전환밸브의 횡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횡폭을 보유하고 있고, 그 전환밸브와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직접 삽입된 상태로 부착되는 밸브보디,
    상기 밸브보디내에 평행하게 설치된, 상기 전환밸브와 베이스의 상대하는 1쌍의 통공을 조압밸브시이트를 개재하여 상호 연통하는 개폐연통로와, 다른 상대하는 통공을 직접 연통하는 직통연통로,
    상기 밸브보디내에 상기 개폐연통로 및 직통연통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서, 개폐연통로는 연통하고 있지만, 직통연통로와는 비연통으로, 그 직통연통로를 필요한 유로단면적을 남겨서 관통하는, 일부에 상기 조압밸브시이트를 보유하는 조압밸브구멍,
    상기 조압밸브구멍내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조압밸브봉,
    상기 조압밸브봉에 설치된 상기 조압밸브시이트를 개폐하는 조압밸브부재,
    상기 조압밸브봉의 일단측에 설치된 조압실과, 그 조압실내에 자유롭게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조압피스톤과, 그 조압피스톤을 조압밸브봉측으로 향해서 부세하는 조압스프링,
    상기 조압밸브봉의 타단측에 설치된 복귀실과, 그 복귀실내에 조압밸브봉을 조압피스톤측으로 향해서 부세하도록 설치된 복귀스프링,
    상기 밸브보디의 내부에 상기 조압밸브구멍과 평행하게 설치된, 상기 조압실과 복귀실을 연통하는 조압로,
    조압용의 압력유체를 조압실로 인도하기 위한 도압유로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부착형 전환밸브에 부착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압밸브구멍과 조압로가, 상기 각 연통로의 유로방향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압력조절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연통로가, 베이스와 전환밸브의 공급통공을 연통하는 공급용 연통로로서, 베이스의 공급통공에 연통하여 상기 조압밸브구멍에 개구하는 제1부분과, 전환밸브의 공급통공에 연통하여 상기 조압밸브구멍에 제1부분과는 다른 위치에서 개구하는 제2부분으로 구성되고, 이 제1부분과 제2부분의 사이에 상기 조압밸브시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압력조절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압유로가, 상기 개폐연통로의 제2부분을 조압실 또는 복귀실에 연통시키는 상기 조압밸브봉의 외주의 간극으로 이루어지는 압력조절밸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압로가, 전환밸브의 출력통공을 조압밸브구멍내에 연통시키는 도공과, 그 도공을 조압실 또는 복귀실에 연통시키는 조압밸브봉 외주의 간극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압력조절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공이, 베이스의 출력통공과 전환밸브의 출력통공을 연결하는 출력용의 직통연통로에 형성되어 있는 압력조절밸브.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압유로가 상기 개폐연통로의 제2부분을 조압로에 직접 연통시키는 도공인 압력조절밸브.
  8. 제4항 내지 제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압밸브봉 외주의 간극중 상기 도압유로를 구성하지 않는 부분을, 그 조압밸브봉에 부착한 시일부재에 의하여 밀봉한 것인 압력조절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재로서, 시일에 방향성이 있는 립형 시일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복귀동작시에 조압실 또는 복귀실의 압력유체가 그 시일부재를 밀어서 개방하여 개폐연통로의 제1부분측에 배출되도록 한 압력조절밸브.
KR1019970036026A 1996-08-01 1997-07-30 베이스부착형 전환밸브에 부착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 KR100244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19405 1996-08-01
JP21940596 1996-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245A KR19980018245A (ko) 1998-06-05
KR100244540B1 true KR100244540B1 (ko) 2000-02-01

Family

ID=1673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6026A KR100244540B1 (ko) 1996-08-01 1997-07-30 베이스부착형 전환밸브에 부착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29481A (ko)
EP (1) EP0822361B1 (ko)
KR (1) KR100244540B1 (ko)
CN (1) CN1125386C (ko)
DE (1) DE69715751T2 (ko)
TW (1) TW34788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77835U (en) * 1997-04-03 1999-12-21 Smc Corp Pressure regulating valve used for base type transfer valve
JP4029417B2 (ja) 1998-07-14 2008-01-09 Smc株式会社 電磁弁集合体用圧力調節弁及びそれを備えた電磁弁組立体
JP3468454B2 (ja) * 1999-07-12 2003-11-17 Smc株式会社 位置検出機能付き切換弁
JP3467213B2 (ja) * 1999-07-12 2003-11-17 Smc株式会社 位置検出機能付きパイロット式切換弁
DE10019254C2 (de) * 2000-04-18 2002-04-25 Brueninghaus Hydromatik Gmbh Drucksteuerventil
JP3520261B2 (ja) 2001-01-30 2004-04-19 Smc株式会社 スペーサ型減圧弁
DE10258517B3 (de) * 2002-12-14 2004-06-03 Sauer-Danfoss (Nordborg) A/S Hydraulische Ventilanordnung
JP2005098376A (ja) * 2003-09-24 2005-04-14 Smc Corp 接合形ハウジングを有するバルブ
DE202005016766U1 (de) * 2005-10-26 2006-01-12 Festo Ag & Co. Ventilbatterie
JP4697672B2 (ja) * 2007-06-15 2011-06-08 Smc株式会社 ストップ弁付きマニホールド形電磁弁装置
CN106415094B (zh) 2014-06-20 2019-05-07 阿斯科公司 用于电磁阀控制***的分区歧管组件
JP2017129158A (ja) * 2016-01-18 2017-07-27 アズビル株式会社 減圧弁
CN106122517B (zh) * 2016-08-20 2019-02-15 北华大学 差动节流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3876A (en) * 1968-04-09 1970-05-26 Akro Tec Inc Valve manifold module and system
US4267862A (en) * 1979-02-21 1981-05-19 Mac Valves, Inc. Directional control valve with flow path through valve spool
US4453565A (en) * 1982-02-24 1984-06-12 Mac Valves, Inc. Four-way valve with cover mounted pressure regulating and flow control valve
FR2531151B1 (fr) * 1982-07-28 1986-10-03 Bennes Marrel Repartiteur hydraulique de commande, notamment pour des engins de travaux publics
US4770210A (en) * 1987-07-23 1988-09-13 Mac Valves, Inc. Valve manifold stacking base
JPH09100922A (ja) * 1995-10-03 1997-04-15 Nippon Pisuko:Kk 制御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47882U (en) 1998-12-11
CN1125386C (zh) 2003-10-22
EP0822361B1 (en) 2002-09-25
EP0822361A2 (en) 1998-02-04
EP0822361A3 (en) 1998-05-20
KR19980018245A (ko) 1998-06-05
CN1177759A (zh) 1998-04-01
DE69715751T2 (de) 2003-06-12
DE69715751D1 (de) 2002-10-31
US5829481A (en) 1998-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540B1 (ko) 베이스부착형 전환밸브에 부착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
KR100294363B1 (ko) 베이스부착형변환밸브에부착하기위한압력조절밸브
EP0840018A2 (en) Pilot 5-port transfer valve
KR100261985B1 (ko) 베이스부착형전환밸브에부착하기위한압력조절밸브
JPH10169818A (ja) 切換弁用マニホールド
JPH10169805A (ja) パイロット式切換弁
US7021332B2 (en) Hydraulic valve section with reduced bore distortion
CA2020924C (en) Logic valve
US5400821A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US5111840A (en) Modular valve
EP0950816B1 (en) Ball-poppet pneumatic control valve
US6062260A (en) Dual piston pilot valve
US6065487A (en) Valve with different configurations for different uses
EP1281873B1 (en) Solenoid operated spool valve for reduced energy consumption
KR100438637B1 (ko) 스페이서형 감압밸브
US4825907A (en) Low restriction fluid control valve
US6446668B2 (en) Multiway valve
JPH0752402Y2 (ja) 流体制御弁
JP3021360B2 (ja) 制御バルブ
JP3294962B2 (ja) 真空バルブ
JPS6123985Y2 (ko)
KR100559233B1 (ko) 압력보상 유량제어밸브
JP3653160B2 (ja) 切換弁用圧力調節弁
JP2023108096A (ja) 電磁弁マニホールド
JPS6155483A (ja) パイロツト式電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