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541B1 - 1,25-디하이드록시-16,22,23-트리스데하이드로-콜레칼시페롤 유도체 - Google Patents

1,25-디하이드록시-16,22,23-트리스데하이드로-콜레칼시페롤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541B1
KR100240541B1 KR1019970009478A KR19970009478A KR100240541B1 KR 100240541 B1 KR100240541 B1 KR 100240541B1 KR 1019970009478 A KR1019970009478 A KR 1019970009478A KR 19970009478 A KR19970009478 A KR 19970009478A KR 100240541 B1 KR100240541 B1 KR 10024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cholecalciferol
diseases
di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5495A (ko
Inventor
버나드 마이클 헤네시
제롬 안토니 야코벨리
밀란 라도예 유스코코빅
Original Assignee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Publication of KR97006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01/00Irradiation products of cholesterol or its derivatives; Vitamin D derivatives, 9,10-seco cyclopenta[a]phenanthrene or analogues obtained by chemical preparation without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9Compounds containing 9, 10- seco-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07F7/1804Compounds having Si-O-C link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하이드록시이고 R1은 H2또는 CH2이거나, 또는
R은 수소 또는 플루오르이고 R1은 CH2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과증식성 피부 질환(예: 건선), 종양성 질환(예: 백혈병), 및 피지선 질환(예: 여드름 및 지루성 피부염)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1,25-디하이드록시-16,22,23-트리스데하이드로-콜레칼시페롤 유도체{1,25-DIHIDROXY-16,22,23-TRISDEHYDRO-CHOLECALCIFEROL DERIVATIVES}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R은 하이드록시이고 R1은 H2또는 CH2이거나, 또는
R은 수소 또는 플루오르이고 R1은 CH2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과증식증 및 종양 세포를 억제하기 위한 신규 화합물, 중간생성물, 이들을 포함한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저급 알킬"이란 용어는 탄소원자 1개 내지 4개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기,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t-부틸 등을 가리킨다. "아르-저급알킬"이란 용어는 p-톨릴, 벤질, 페닐에틸, 페닐프로필 등이다. "아릴"이란 용어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저급알킬 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기를 가리킨다. "아릴"의 예는 페닐 및 p-메틸 페닐이다.
상기 기술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건선과 같은 과증식성 피부 장애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또한 백혈병과 같은 종양성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또한 여드름 및 지루성 피부염과 같은 피지선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또한 이식 거부, 이식편대숙주 질환 등과 같은, 면역 시스템의 변경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특히 피부 과증식증 및 종양 세포를 억제하기 위한, 구체적으로 과증식성 피부 질환(예: 건선), 종양성 질환(예: 백혈병) 및 피지선 장애(예: 여드름 및 지루성 피부염)를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이 약학 조성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둘 이상의 화학식 1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항과증식 활성 및 종양세포 억제 활성을 갖는, 특히 상기 언급한 질환 상태를 치료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화학식 1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하기 기술되는 일반식(IX), 일반식(X), 일반식(VIa), 일반식(VIb), 일반식(II), 일반식(III), 일반식(XI), 및 일반식(XII)의 중간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화합물의 바람직한 태양에서, R은 하이드록시이고/이거나 R1은 CH2이다. 다른 태양에서, R1은 H2이다. 1,25-디하이드록시-16,22S,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및 1,25-디하이드록시-16,22R,23-트리엔-콜레칼시페롤이 가장 바람직하다.
최종 단계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화학식 1의 상응하는 실릴화 디올 또는 트리올로부터 실릴 보호기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실릴 보호기는 바람직하게는 Si(R4,R5,R6)(이 때, R4및 R6은 저급알킬이고, R5는 저급알킬, 아릴 또는 아릴-저급알킬임)이고, 실릴 보호기의 제거는 편리하게는 극성 유기 용매중에서 플루오르 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한다.
화학식 1 화합물의 22S 에피머는 특히 반응식 1 내지 반응식 3 및 하기 실시예에 관하여 이후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제조한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상기 반응식 1에서,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실온의 비양성자성 용매(예: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더 바람직하게는 무수 염화메틸렌)중에서 산화제(예: 2,2'-비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 또는 피리디늄 디클로로크로메이트)로 처리하여 일반식(III)의 화합물로 산화시킨다.
생성된 일반식(III)의 화합물을 상응하는 하기 일반식(V)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일반식(IVa), 일반식(IVb) 또는 일반식(IVc)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Figure pat00006
상기 식에서,
Ph는 페닐이고,
R1, R4, R5및 R6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고,
R7은 수소, 플루오르 또는 OSi(R4,R5,R6)이다.
반응은 극성,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예: 무수 에테르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중에서 강한 염기(예: 부틸 리튬과 같은 알킬 리튬)의 존재하에 -6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78℃에서 수행한다. 일반식(V)의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IVa), 일반식(IVb) 또는 일반식(IVc) 화합물의 보호기는 유기 용매(예: 에테르, 또는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중에서 플루오르 염(예: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과 반응시킴으로써 제거하여 상응하는 일반식(Ia), 일반식(Ib) 또는 일반식(Ic)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식(II)의 중간생성물은 특히 반응식 2 및 하기 실시예에 관하여 이후 기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한다.
반응식 2에서, 일반식(VIa)의 화합물은 페닐 설포닐 클로라이드 및 트리에틸아민과 반응시켜 일반식(VII)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일반식(VII)의 화합물은 메탄올 및 3급부틸리튬과 반응시켜 일반식(II)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일반식(VIa)의 중간생성물은, 특히 반응식 3 및 하기 실시예에 관하여 이후 기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3에서, 공지의 일반식(VIII) 화합물을 염기(예: 이미다졸) 및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예: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의 존재하에 트리알킬실릴 클로라이드(예: 3급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일반식(IX)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중에서 일반식(IX)의 화합물을 염기(예: n-부틸리튬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바람직하게는 -78℃에서 반응시켜 일반식(X)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일반식(X)의 화합물을 염소화 탄화수소 용매(예: 염화메틸렌)중에서 [3aR-Z,3aa,4b,7ab]-1-에틸렌-옥타하이드로-7a-메틸-1H-4-인데놀 아세테이트 및 디메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루이스산으로서)와, 바람직하게는 -78℃에서 반응시킨다. 생성된 화합물을 그의 에피머로 나누어지도록 처리하여, 일반식(VIa)의 화합물 및 일반식(VIb)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화학식 1의 22R 에피머 화합물을, 특히 반응식 4와 반응식 5 및 하기 실시예에 관하여 이후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제조한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상기 반응식 4에서, 일반식(II) 화합물의 일반식(III) 화합물로의 산화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식(XI)의 화합물을 일반식(XII)의 화합물로 산화시킨다.
일반식(III) 화합물의 일반식(IVa), 일반식(IVb) 또는 일반식(IVc) 화합물로의 전환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일반식(XII)의 화합물을 상응하는 하기 일반식(V)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일반식(XIIIa), 일반식(XIIIb), 또는 일반식(XIIIc)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Figure pat00009
일반식(Ia), 일반식(Ib) 또는 일반식(Ic)의 화합물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식(XIIIa), 일반식(XIIIb) 또는 일반식(XIIIc) 화합물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일반식(Id), 일반식(Ie) 또는 일반식(If)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전술한 일반식(XI)의 중간생성물은 특히 반응식 5 및 하기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5에서, 일반식(VIb)의 화합물을 페닐 설페닐 클로라이드 및 트리에틸아민과 반응시켜 일반식(XIV)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일반식(XIV)의 화합물은 메탄올 및 3급부틸리튬과 반응시켜 일반식(XI)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전술한 일반식(VIb)의 중간생성물은 특히 상기 반응식 3 및 하기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한다.
전술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a) 과증식성 피부 질환(예: 건선, 기저세포암, 각화 장애, 및 각화증)의 치료, b) 종양성 질환(예: 백혈병)의 치료, c) 피지선 질환(예: 여드름 또는 지루성 피부염)의 치료, 또는 d) 면역 시스템의 변경을 필요로 하는 질환(예: 이식 거부, 이식편대숙주질환 등)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온혈동물에게 상기 질환들을 치료하기 위해 경구 투여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전술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상기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1일 약 0.5 내지 50㎎의 투여량으로 성인에게 경구 투여될 수 있다.
전술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a) 과증식성 피부 질환(예: 건선)의 치료, 또는 b) 피지선 질환(예: 여드름 또는 지루성 피부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온혈동물에게 상기 질환들을 치료하기 위해 국소 투여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전술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상기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1일 약 0.5 내지 50㎎의 투여량으로 성인에게 국소 투여될 수 있다.
화학식 1 화합물의 투여량은 치료할 질병, 환자의 연령 및 개별 증상 및 투여 방식에 따라 광범위한 한도내에서 변할 수 있으며, 물론 각각의 구체적인 경우에서 개개의 조건에 맞추게 된다.
과증식성 피부 질환의 치료제로서 화학식 1 화합물의 유용한 활성은 하기 방법에 의해 증명될 수 있다.
각질세포 증식의 억제
HaCaT 세포주 - 불사 인간 세포주 HaCaT를 사용하였다(원래 독일 하이델베르크 소재의 독일 암연구센터(German Cancer Research Center)의 푸제니그(N. E. Fusenig)로부터 얻었음). 시험 화합물의 존재하에 6일 배양한 후 지수적으로 증식하는 배양물에서3H-티미딘 혼입량을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물 - HaCaT 세포는 글루코즈 4.5g을 함유하는 덜베코의 개질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및 뉴트리언트 믹스쳐 햄즈 F12(Nutrient Mixture Ham's F12)의 혼합물(3:1, v/v)에서 배양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소 태아 혈청(FCS), 2mM L-글라타민, 페니실린 50U/㎖, 스트렙토마이신 50㎎/㎖, EGF 10ng/㎖, 하이드로코르티손 400ng/㎖, 콜레라 독소 8.5ng/㎖, 및 인슐린 5ng/㎖를 첨가하였다. 세포를 5% CO2및 95% 공기를 함유하는 가습된 분위기에서 유지시키고, 3일 내지 4일마다 계대하였다.
3H-티미딘 흡수의 억제 - HaCaT 세포(첨가 혼합물 180㎖ 내 세포 250개)를 96개 웰(well)의 배양 접시에 접종하고 5% CO2및 95% 공기하에 37℃에서 배양하였다. 접종한 직후, 1% 에탄올을 함유하는 첨가 배지에 희석한 하기 표 2에 기재된 시험 화합물 20㎖를 웰에 첨가하여 10-9내지 10-6M의 최종 농도를 얻었다(-20℃에 저장하고 빛을 차단한 에탄올내 1mM 모액으로 출발함). 6일 후,3H-티미딘(5Ci/mmol)을 1mCi/웰의 농도로 웰에 첨가하였다. 세포를 생육 기간의 마지막 6시간동안 펄스-표식(pulse-labeled)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세게 교반하면서 37℃에서 10분동안 트립신을 가하고, 세포 수획기를 사용하여 96-웰 필터 플레이트(filter plate)상에서 수획하였다. 진공하에 40℃에서 20 내지 30분동안 건조시킨 후, 신틸레이터(scintillator) 20㎖를 첨가하고, 필터에 결합된 방사능을 계수하였다.
값은 대조용(시험 화합물이 없는 샘플)의 백분율로서 표현한다. 대조용의 50%에 달하는 농도는 그래프에 의해 결정하고, 표 1에 IC50(억제 농도)으로 나타내었다.
화합물 IC50(nM)
1,25-디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 55.0
1,25-디하이드록시-16,22S,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40.0
1,25-디하이드록시-16,22R,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0.01
상기 결과로부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각질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과증식성 피부 질환(예: 건선)의 치료에 유용하다.
종양성 질환의 치료제로서 화학식 1 화합물의 유용한 활성은 하기의 시험 과정에 의해 증명할 수 있다.
HL-60 세포 분화의 유도
HL-60 세포 분화의 유도는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BT)의 환원에 의해 산화적 파열 가능성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HL-60 세포는 10% FCS , 2mM L-글루타민, 1mM 나트륨 피루베이트, 1% 비필수 아미노산, 50U/㎖의 페닐실린, 및 50㎎/㎖의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RPMI-1640 배지에서 유지시켰다. HL-60 세포(첨가된 RPMI 배지 90㎖ 내 세포 30,000개)를 편평한 저부의 미세적정 웰에 접종하였다. 접종한 직후, 첨가된 RPMI 배지에 희석된 하기 표 2에 하기 기재된 시험 화합물 10㎖를 웰에 첨가하여, 10-11내지 10-6M의 최종 농도를 얻었다(-20℃에서 저장하고 빛을 차단한 에탄올내 10-2M의 모액으로부터 출발함). 3일 후, 배지를 웰로부터 다채널 피펫으로 제거하고 NBT 용액(200nM 포르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를 함유한 인산염 완충된 염수 내 1㎎/㎖) 100㎖로 대체하였다. 37℃에서 추가의 시간동안 배양한 후, NBT 용액을 제거하고, 0.01N HCl 내 10%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100㎖를 첨가하였다. 환원된 NBT의 양은 자동화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540nm에서 광도측정법으로 정량하였다. 3개 웰의 평균을 계산하였다. S.E.M.은 5 내지 10%였다. 값은 동일한 실험에서 100 내지 1000nM 칼시트리올을 사용하여 수행한 최대 분화율로서 평가하였다. 이러한 최대 값의 50%에 달하는 농도(nM)는 그래프에 의해 결정하고, 표 2에 ED50으로 나타낸다.
화합물 ED50(nM)
1,25-디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 6.0
1,25-디하이드록시-16,22S,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4.8
1,25-디하이드록시-16,22R,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0.22
상기 결과로부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HL-60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여 상기 종양 세포의 증식을 중단시킴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백혈병과 같은 종양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 피지선 질환(예: 여드름 및 지루성 피부염)의 치료제로서 화학식 1 화합물의 유용한 활성은 하기의 시험 과정에 의해 증명할 수 있다.
피지 세포 증식의 억제
성형 수술중에 제거된 안면 피부로부터 유도한 성인의 피지선으로부터 피지 세포를 단리하였다. 이 방법은 도란(Doran) 등의 문헌[J. Invest. Dermatol.96:341-348(1991)]에 기술되어 있다.
세포는 증식이 중지된 3T3 마우스 섬유아세포 층상에서 10% 소 태아 혈청 및 덱사메타손 4㎎/㎖를 함유하는 이스코브(Iscove's) 배지중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시험 화합물이 없는 배지중에 도말한 후, 초기 도말하고 24 내지 48시간 후 화합물을 함유한 새 배지를 제공하였다. 배양물에 매 48시간마다 시험 화합물을 함유한 새 배지를 제공하였다. 수획하는 날에 배양물을 인산염 완충된 염수(PBS) 내 0.03%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으로 세정하여, 3T3 섬유아세포만을 제거하였다. 나머지 피지세포 콜로니를 0.05% 트립신/0.03% EDTA중에서 배양하여, 피지세포의 단일 세포 현탁액을 생성하였다. 세포를 현탁시키고, 세게 혼합하여, 단일 세포 현탁액을 제조하고, 혈구계에서 계수하였다.
모든 화합물은 하기의 방식으로 취급하였다. 모액은 탈기한 100% 에탄올 내 10-2M 용액으로 구성하고, -20℃의 어두운 곳에 저장하였다. 용액은 한달 이상 저장한 후에는 절대 사용하지 않았다. 실험에 사용하는 동안 분취했던 용액은 한번 해동하고 완전 배지에 적당한 농도로 바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화합물은 10-8, 10-7및 10-6M 농도에서 피지 세포 증식의 억제에 대하여 시험관내에서 시험하였다.
이 결과는 대조용(부형제만 처리된 것) 배양물에 비하여 피지 세포의 증식을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화합물의 양(ED50)으로서 하기 표 3에 요약하였다.
화합물 ED50(μM)
1,25-디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 0.05
1a,25-디하이드록시-16,22S,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0.01
1a,25-디하이드록시-16,22R,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0.001
상기 결과로부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피지 세포 증식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피지선 질환(예: 여드름 및 지루성 피부염)의 치료에 유용하다.
면역 시스템의 변경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제로서 화학식 1 화합물의 유용한 활성은 하기에 의해 증명할 수 있다.
인간 T-세포에서의 γ-인터페론 방출의 억제
건강한 공여체의 정맥혈로부터 피콜-파크(Ficoll-Paque)상에서 황갈색 막의 백혈구를 원심분리하여 단핵세포를 단리하였다. 이 세포 현탁액 100㎕를 편평한 저부의 미세적정 웰에 접종하고, T-세포 특이성 마이토젠 피토헤마글루티닌(PHA) 1㎎/㎖로 자극을 주었다. 접종한 직후, 표 4에 하기 기재한 시험 화합물을 첨가하여, 1×10-11M 내지 1×10-6M의 최종 농도를 얻었다. 모든 시험은 4회씩 수행하였다.
3일과 4일째에 웰로부터 배지를 수거하여 IFN-g의 함량을 ELISA에 의해 분석하였다. 값은 대조용(시험 화합물이 없은 샘플)의 백분율로서 표현한다. 대조용 값의 50%로 달하는 농도는 그래프에 의해 결정하고, 표 4에 IC50(억제 농도)으로서 나타내었다.
화합물 IC50(nM)
1,25-디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 0.8
1,25-디하이드록시-16,22S,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3
1,25-디하이드록시-16,22R,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0.05
인간 T-세포 증식의 억제
건강한 공여체의 정맥혈로부터 피콜-파크(Ficoll-Paque)상에서 황갈색 막의 백혈구를 원심분리하여 단핵세포를 단리하였다. 임파구(70 내지 80% T-세포)를 10% FCS가 첨가된 RPMI 1640 배지에 현탁하고, 106세포/㎖로 조절하였다. 이 세포 현탁액 100㎖를 편평한 저부의 미세적정 웰에 접종하고, PHA 1㎎/㎖로 자극을 주었다. 접종한 직후, 표 5에 하기 기재한 시험 화합물을 첨가하여, 1×10-11M 내지 1×10-6M의 최종 농도를 얻었다. 모든 시험은 4회씩 수행하였다.
3일과 4일째에3H-티미딘(5Ci/mmol)을 1mCi/웰의 농도로 웰에 첨가하였다. 세포를 생육기의 최종 6시간동안 펄스-표식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세포 수획기를 사용하여 96개 웰 필터 플레이트상에 수획하였다. 진공하에 40℃에서 20 내지 30분동안 건조시킨 후, 신틸레이터 20㎕를 첨가하고, 필터에 결합된 방사능을 계수하였다. 값은 대조용(시험 샘플이 없는 샘플)의 백분율로서 표현한다. 대조용 값의 50%로 달하는 농도는 그래프에 의해 결정하고, 표 5에 IC50(억제 농도)으로서 나타내었다.
화합물 IC50(nM)
1,25-디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 10.0
1,25-디하이드록시-16,22S,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6.0
1,25-디하이드록시-16,22R,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0.55
상기 결과로부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인간 T-세포에서의 g-인터페론 방출을 억제하고, 인간 T-세포 증식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면역 시스템의 변경을 필요로 하는 질환(예: 이식 거부, 이식편대숙주질환 등)의 치료에 유용하다.
마우스에서의 칼슘내성 시험
칼슘 항상성의 상당한 변화는 마우스의 체중 발달에 매우 영향을 준다.
마우스(체중 25 내지 30g)에게 4일 연속하여 매일 화합물을 피하 투여하였다. 5일 치료기간을 시작하기 직전과 직후에 체중을 기록하였다. "최고 허용량"(highest tolerated dose, HTD)은 이 치료기간 동안 체중 증가량이 0이 되는 투여량이다. 이 결과는 표 6에 기술되어 있다.
화합물 HTD(㎍/㎏)
1,25-디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 0.5
1,25-디하이드록시-16,22S,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50.0
1,25-디하이드록시-16,22R,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2.5
상기 결과로부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1,25-디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보다 더 허용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구 투여 형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물질과 함께 캡슐, 정제 등에 혼입할 수도 있다.
캡슐 등에 혼입될 수도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물질의 예는 다음과 같다: 결합제(예: 트라가칸트 고무, 아라비아 고무, 옥수수 전분 또는 젤라틴); 익사이피언트(예: 인산이칼슘); 붕해제(예: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알겐산 등); 윤활제(예: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감미제(예: 슈크로즈, 락토즈 또는 사카린); 향료(예: 페퍼민트, 윈터그린유 또는 체리유). 여러 기타 물질도 피복제로서 존재할 수 있거나, 달리 투여 단위의 물리적 형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는 셜랙(shellac), 당 또는 둘다로 피복할 수도 있다. 시럽 또는 엘릭서(elixir)는 활성 화합물, 감미제로서 슈크로즈, 방부제로서 메틸 및 프로필 파라벤, 염료, 및 향료(예: 체리 또는 오렌지 향)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을 함유하는 국소 투여 형태로는 유성 흡수성 수용성 및 유화액형 기제(예: 석유, 라놀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를 갖는 배합물을 포함하는 연고 및 크림이 있다.
로숀은 액체 배합물이고, 단순 용액에서부터 미분된 물질을 함유하는 수성 또는 수알콜성 배합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로숀은 현탁제 또는 분산제, 예컨대 셀룰로즈 유도체(예: 에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등); 젤라틴 또는 고무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은 활성성분을 물, 알콜, 글리세린 등으로 구성된 부형제에 혼입시킨다.
겔은 담체 부형제 내 활성 성분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겔화함으로써 제조한 반고상 배합물이다. 수화 또는 무수화될 수 있는 부형제는 겔화제(예: 카복시 폴리메틸렌)를 사용하여 겔화시키고, 수산화나트륨 및 아민(예: 폴리에틸렌 코코아민)과 같은 알칼리를 사용하여 적당한 겔 조도로 중화시킨다.
본원에 사용된 "국소"란 용어는 적합한 약학 담체에 혼입되고, 로숀 작용을 발휘시키기 위해 장애 부위에 적용되는 활성성분의 용도를 지칭한다. 따라서, 국소용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외부에 도포되는 화합물의 약제학 형태를 포함한다. 국소 투여 형태는 겔, 크림, 로숀, 연고, 분말, 에어로졸,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공지의 약학적 국소용 담체 물질과 혼합하여 수득한 약제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다른 통상적인 형태를 포함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며, 본 발명을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메틸-3-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틴(일반식(IX))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50㎖ 내 3-메틸-3-하이드록시-부틴 25g (0.29mole)의 용액에 이미다졸 44.5g(0.65mole)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 욕중에서 냉각시키고, 3급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50g(0.33mole)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 욕중에서 15분동안 및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그 다음, 디메틸아미노피리딘 250㎎을 첨가하고, 70℃에서 2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수 1리터에 붓고 에테르 5×150㎖로 추출하였다. 에테르 추출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에 의해 건조시켰다. 펜탄으로 실리칼겔 칼럼에서 플래쉬(FLASH) 크로마토그래피하고, 실내 진공하에 증류시켜(비점 120℃) 정제함으로써, 표제의 화합물 31.81g(54%)을 수득하였다.1H-NMR(CDCl3): δ 0.87(s, 9H), 1.47(s, 6H), 2.39(s, 1H). 분석: C11H22OSi에 대한 계산치: C 66.60, H 11.18; 실측치: C 66.13, H 11.46.
실시예 2
4-메틸-4-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펜티날(일반식(X))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5㎖ 내 3-메틸-3-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틴 10g(50mmole)의 용액에 40분에 걸쳐 헥산 내 1.6M n-부틸리튬 40㎖(63mmole)를 적가하였다. -78℃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 후, N,N-디메틸포름아미드 31㎖(400mmole)를 적가하고, 1/2시간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염수 300㎖에 붓고, 펜탄 4×75㎖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염화암모늄 용액,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에 의해 건조시켰다. 증류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의 화합물(8mmHg에서 비점 92-94℃) 8.88g(78%)을 수득하였다.1H-NMR(CDCl3): δ 0.87(s, 1H), 1.54(s, H), 9.24(s, 1H).
실시예 3
에피머 혼합물 3aR-[1(R*),3aα,4β,7αb]-3,3a,5,6,7,7a-헥사하이드로-7a-메틸-1[2(R,S)-하이드록시-5-(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1,5-디메틸-3-헥시닐]-4H-인데놀 아세테이트(일반식(VI))
무수 염화메틸렌 5㎖ 내 [3aR-Z,3aα,4β,7αβ]-1-에틸리덴-옥타하이드로-7a-메틸-1H-4-인데놀 아세테이트 2g(9mmole) 및 4-메틸-4-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펜티날 2.25g(9mmole)의, -78℃에서 냉각시킨 용액에 10분에 걸쳐 1M 디메틸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1M 용액 20㎖(20mmole)를 첨가하였다. 2시간 후 반응을 TLC로 확인한 결과 절반만이 반응하였기 때문에, 알데하이드 2.25g 및 디메틸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20㎖를 추가로 첨가하였다. 1시간동안 추가로 교반하면 반응이 완료되었다. 이를 2N 중탄산칼륨 600㎖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4×100㎖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에 의해 건조시켰다. 먼저 염화메틸렌에 이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3:1)를 사용하여 실리카겔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표제의 에피머 혼합물 4.16g(100%)을 수득하였다.
에피머의 분리는 헥산-에틸아세테이트(10:1)를 사용하여 HPLC에 의해 수행함으로써 2R-에피머 3.25g(78%)(융점 47-48℃, [α]D 25+7.20℃(c 0.555 EtOH);1H-NMR(CDCl3): δ 0.15(s, 3H, SiCH3), 0.16(s, 3H, SiCH3), 0.86(s, 9H, SitBu), 1.04(s, 3H, CH3), 1.14(d, 3H, J=6.9Hz, CH3), 1.44(s, 6H, 2CH3), 2.05(s, 3H, CH3CO), 2.40(p, 1H, J=6.4Hz, CH), 4.43(t, 1H, J=6.3Hz, CH), 5.21(brs, 1H, CHOAc), 5.68(brs, 1H, =CH-); 분석: C26H44O4Si에 대한 계산치: C 69.59, H 9.88; 실측치: C 69.85, H 9.74) 및 2S-에피머 0.754g(18%)(융점 77-79℃, [α]D 25+18.12℃(c 0.524, EtOH);1H-NMR(CDCl3): δ 0.17(2s, 6H, 2SiCH3), 0.87(s, 9H, SitBu), 1.03(s, 3H, CH3), 1.14(d, 3H, J=6.9Hz, CH3), 1.47(s, 6H, 2CH3), 2.05(s, 3H, CH3CO), 2.37(p, 1H, CH), 4.40(dd, 1H, J=3.7 및 7.8Hz, CH), 5.21(brs, 1H, CHOAc), 5.54(brs, 1H, =CH-); 분석: C26H44O4Si에 대한 계산치: C 69.59, H 9.88; 실측치: C 69.42, H 10.15)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3aS-[3(1S*,2S*),3aα,7α,7αβ]]-3-[5-[[(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1,5-디메틸-4-(페닐설피닐)-2,3-헥사디에닐]-3a,4,5,6,7,7a-헥사하이드로-3a-메틸-1H-인덴-7-올 아세테이트(일반식(VII))
무수 에테르 20㎖ 내 [3aS-[3(1R*,2S*),3aα,7α,7αβ]]-7-(아세틸옥시)- α-[3[[(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3-메틸-1-부티닐]-3a,4,5,6,7,7a-헥사하이드로-β,3a-디메틸-1H-인덴-3-에탄올 802㎎(1.8mmole)의 용액에 트리에틸 아민 0.5㎖(3.6mmole)를 첨가하였다. 무수-얼음 욕중에서 -78℃로 냉각시킨 후, 새로 제조한 페닐 설페닐 클로라이드 8㎖(4mmole)를 2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에테르 추출물을 2N 중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하고 이어 중성으로 될 때까지 물로 세척하고, 염수로 세척하였다.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킨 후, 증발에 의해 에테르 용액을 건조시켰다. 조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4:1)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고 이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3:1)를 사용하여 예비 HPLC함으로써, 두 에피머 설폭사이드의 혼합물로서 표제의 화합물 878㎎(88.2%)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3aS-[3(1S*,2R*),3aα,7α,7αβ]]-3-[5-[[(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1,5-디메틸-2,3-헥사디에닐]-3a,4,5,6,7,7a-헥사하이드로-3a-메틸-1H-인덴-7-올(일반식(II))
무수 에테르 550㎖ 내 [3aS-[3(1S*,2S*),3aα,7α,7αβ]]-3-[5-[[(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1,5-디메틸-4-(페닐설피닐)-2,3-헥사디에닐]-3a,4,5,6,7, 7a-헥사하이드로-3α-메틸-1H-인덴-7-올 아세테이트 1.68g(3.02mmole)의 용액에 무수 메탄올 0.432㎖(11.174mmole)를 첨가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혼합물을 펜탄-액체질소 욕중에서 -100℃로 냉각시키고, 1.7M 3급부틸 리튬 10.6㎖(18.12mmole)를 10분동안 적가하였다. TLC에 의해 반응의 완료를 확인하였다. 반응을 메탄올 8.0㎖로 정지시키고, 에테르 층을 물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사를 에탄올 12㎖에 용해시키고, 2N 수산화나트륨 7㎖를 첨가한 후 70℃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염수(1:1)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에 의해 건조시켰다. 조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7:1)를 사용하여 예비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로써 표제의 화합물 593㎎ (50.25%)(융점 64-65℃)을 수득하고, 이는 동결기에서 결정화되었다; [α]D 25+99.62℃(c 0.5, EtOH);1H-NMR(CDCl3): δ 0.07(s, 6H, SiMe2), 0.85(s, 9H, Si-tBu), 1.09(s, 3H, CH3), 1.11(d, 3H, J=7Hz, CH3), 1.29(s, 3H, CH3), 1.30(s, 3H, CH3), 1.98,2.27(m, 2H, CH2), 2.83(brm, 1H, CH), 4.18(brs, 1H, CH), 5.28(t, 1H, J=6.3Hz, =CH-), 5.32(dd, 1H, J=2.8 및 6.3Hz, =CH-), 5.43(brs, 1H, =CH-). 분석: C24H42O2Si2에 대한 계산치: C 73.78, H 10.84; 실측치: C 73.89, H 11.08).
실시예 6
[3aS-[3(1S*,2R*),3aα,7αβ]]-3-[5-[[(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1,5-디메틸-2,3-헥사디에닐]-3a,4,5,6,7,7a-헥사하이드로-3α-메틸-1H-인덴-7-온(일반식(III))
무수 염화메틸렌 8㎖ 내 [3aS-[3(1S*,2R*),3aα,7αβ]]-3-[5-[[(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1,5-디메틸-2,3-헥사디에닐]-3a,4,5,6,7,7a-헥사하이드로-3a-메틸-1H-인덴-7-올의 용액을 피리디늄 디크로메이트 1.694g(4.5mmol) 및 피리디늄 p-톨루엔 설포네이트 85㎎으로 소량씩 처리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에테르 20㎖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20분동안 교반한 다음, 셀라이트(Celite)상에서 여과시키고, 잔사를 에테르 3×50㎖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얼음냉각한 1N HCl, 물, 2N 중탄산칼륨 40㎖ 및 물-염수 혼합물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2×100㎖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여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에 의해 건조시켰다. 조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5:1)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표제의 화합물 350㎎(90%)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1,25-디하이드록시-16,22S,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78℃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8㎖ 내 [3S-(1Z,3a,5b)]-2-[3,5-비스 [[(1,1-디메틸)디메틸실릴]옥시]-2-메틸렌-사이클로-헥실리덴]-에틸-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820㎎(0.141mmole)의 용액에 헥산 내 1.6M n-부틸리튬 0.856㎖ (1.37mmole)를 적가하였다. 5분동안 교반한 후, 생성된 적색 용액에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내 [3aS-[3(1S*,2R*),3aa,7ab]]-3-[5-[[(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1,5-디메틸-2,3-헥사디에닐]-3a,4,5,6,7,7a-헥사하이드로-3a-메틸-1H-인덴-7-온 350㎎(0.9mmole)의 용액을 1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90분동안 -78℃에서 아르곤하에 교반하고, 이어 2N 수성 칼륨 나트륨 타트타레이트 및 2N 수성 KHCO3의 1:1 혼합물 10㎖를 첨가하여 반응정지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125㎖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에 의해 건조시켰다. 잔사를 헥산-에틸 에세테이트(40:1)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트리실릴화된 표제의 화합물 475㎎을 수득하고, 이를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6㎖에 용해시키고, 아르곤하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내 1M 테트라부틸 암모늄 플루오라이드 6.4㎖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5.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 5㎖로 정지시키고, 진공하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제거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120㎖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과 염수의 혼합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에 의해 건조시켰다. 조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3)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표제의 화합물 172㎎(46.5%)을 수득하였다. [α]D 25+67.5。(c 0.2, EtOH). UVmax(EtOH): 258-259nm(e 11520).1H-NMR(20:1, CDCl3DMSO-d6): δ 0.73(s, 3H, CH3), 1.16(d, 3H, 6.7Hz, CH3), 1.34(s, 6H, 2CH3), 4.22(brm, 1H, CH), 4.43(brm, 1H, CH), 4.98(s, 1H, =CH2의 CH), 5.34-5.42(m, 4H, =CH2의 CH, 알렌, =CH-), 6.14(d, 1H, J=11Hz, =CH-), 6.35(d, 1H, J=11Hz, =CH-).
실시예 8
[3aS-[3(1S*,2R*),3aα,7α,7αβ]]-3-[5-[[(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1,5-디메틸-4-(페닐설피닐)-2,3-헥사디에닐]-3a,4,5,6,7,7a-헥사하이드로-3a-메틸-1H-인덴-7-올 아세테이트(일반식(XIV))
무수 에테르 40㎖ 내 [3aS-[3(1R*,2R*),3aα,7α,7aβ]]-7-아세틸옥시)-α-[3[[(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3-메틸-1-부티닐]-3a,4,5,6,7,7a-헥사하이드로-β,3a-디메틸-1H-인덴-3-에탄올 681㎎(1.52mmole)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0.423㎖(3.04mmole)를 첨가하였다. 교반중인 -78℃의 이 혼합물에 황색이 지속될 때까지 새로 제조한 페닐 설페닐 클로라이드를 적가하였다. 추가의 1시간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물로 희석하고,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에테르 추출물을 2N 중탄산나트륨,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에 의해 건조시켰다. 조생성물을 먼저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고, 이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3:1)를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의 에피머 설폭사이드 655㎎(51%)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9
[3aS-[3(1S*,2S*),3aα,7α,7aβ]]-3-[5-[[(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1,5-디메틸-2,3-헥사디에닐]-3a,4,5,6,7,7a-헥사하이드로-3a-메틸-1H-인덴-7-올(일반식(XI))
무수 에테르 200㎖ 내 [3aS-[3(1S*,2R*),3aα,7α,7aβ]]-3-[5-[[(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1,5-디메틸-4-(페닐서피닐)-2,3-헥사디에닐]-3a,4,5,6,7, 7a-헥사하이드로-3a-메틸-1H-인덴-7-올 아세테이트 655㎎(1.18mmole)의 용액에 무수 메탄올 0.176㎖(4.35mmole)를 첨가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혼합물을 펜탄-액체질소 욕중에서 -100℃로 냉각시키고, 1.7M 3급부틸 리튬 8㎖(14.1mmole)를 적가하면, 갈색빛 황색으로 변하였다. TLC에 의해 반응의 완료를 확인하였다. 메탄올 4㎖로 반응정지시키고, 물로 세척하여 중성으로 만들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사(730㎎)를 에탄올 8㎖에 용해시키고, 2N 수산화나트륨 4㎖를 첨가한 후 이를 70℃에서 1½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염수-물로 희석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중성으로 될 때까지 물로 세척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에 의해 건조시켰다. 조생성물(610㎎)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7:1)를 사용하여 HPLC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표제의 화합물 208㎎(45.2%)을 수득하였다: [α]D 2510.82。(c 0.5%, EtOh);1H-NMR(CDCl3): δ 0.08(s, CH, SiMe2), 0.86(s, 9H, Si-t부틸), 1.09(s, 3H, CH3), 1.13(d, 3H, J=6.9Hz, CH3), 1.99,2.27(m, 2H, Ch2), 2.83(m, 1H, CH), 4.18(brs, 1H, CH), 5.21(t, 1H, J=6.4Hz, =CH-), 5.34(dd, 1H, J=2.7 및 6.4Hz, =CH-), 5.44(brs, 1H =C-)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0
[3aS-[3(1S*,2S*),3aa,7ab]]-3-[5-[[(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1,5-디메틸-2,3-헥사디에닐]-3a,4,5,6,7,7a-헥사하이드로-3a-메틸-1H-인덴-7-온(일반식(XII))
무수 염화메틸렌 9㎖ 내 [3aS-[3(1S*,2S*),3aa,7a,7ab]]-3-[5-[[(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1,5-디메틸-2,3-헥사디에닐]-3a,4,5,6,7,7a-헥사하이드로-3a-메틸-1H-인덴-7-올 415㎎(1.06mmole)의 용액을 피리디늄 디크로메이트 1.2g(3.19mmole) 및 피리디늄 p-톨루엔설포네이트 60㎎으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 후, 피리디늄 디크로메이트 564㎎(1.5mmole) 및 피리디늄 p-톨루엔 설포네이트 28㎎을 추가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5시간 이상 교반하였다. 그 다음, 에테르 25㎖를 첨가하고, 20분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셀라이트상에서 여과시키고, 에테르(3×50㎖)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얼음냉각한 1N HCl, 물, 2N KHCO3(40㎖), 및 물과 염수의 혼합물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여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에 의해 건조시켰다. 조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5:1)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의 화합물 310㎎(75%)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1
1,25-디하이드록시-16,22R,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8㎖ 내 [3S-(1Z,3α,5β]-2-[3,5-비스[[1,1-디메틸)디메틸실릴]옥시]-2-메틸렌-사이클로-헥실리덴]-에틸]-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755㎎(1.3mmole)의, -78℃의 용액에 아르곤하에 헥산 내 1.6M n-부틸리튬 0.79㎖(1.26mmole)를 적가하였다. 5분동안 교반한 후, 생성된 적색 용액에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 내 [3aS-[3(1S*,2S*),3aα,7aβ]]-3-[5-[[(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1,5-디메틸-2,3-헥사디에닐]-3a,4,5,6,7,7a-헥사하이드로-3a-메틸-1H-인덴-7-온 310㎎(0.8mmole)의 용액을 1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아르곤하에 추가의 90분동안 교반한 다음, 2N 수성 칼륨 나트륨 타르트레이트와 2N 수성 KHCO3의 1:1 혼합물 10㎖를 첨가하여 반응정지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120㎖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에 의해 건조시켰다. 조질의 트리실릴화된 최종 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40:1)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이렇게 정제된 중간생성물 434㎎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5㎖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71시간동안 교반하여 아르곤하에서 1M 테트라부틸 암모늄 플루오라이드 9.96㎖로 처리하였다. 물 5㎖로 반응정지시킨 후, 진공하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제거하고, 잔사를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120㎖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과 염수의 혼합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에 의해 건조시켰다. 조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3)를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의 화합물 215㎎(65.5%)을 수득하고, 이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메틸 포름에이트의 혼합물(1:7)로부터 결정화하였다(융점 174-176℃, [α]D 25+0。(c 0.2, EtOH). UVmax(EtOH): 264nm(e 17080)).
1H-NMR(CD3OD): δ 0.74(s, 3H, CH3), 1.18(d, 3H, J=6.9Hz, CH3), 1.30(s, 3H, CH3), 1.31(s, 3H, CH3), 1.31(s, 3H, CH3), 1.52(m, 1H, CH2의 CH), 1.89(t, 2H, J=5.6Hz, CH2), 4.13(q, 1H, J=5.3Hz, CH), 4.36(t, 1H, J=5.8Hz, CH), 5.21(t, 1H, J=6.7Hz, =CH-), 5.30(s, 1H, =CH2의 CH), 5.33(dd, 1H, J=2.3 및 6.2Hz, =CH-), 5.45(s, 1H, =CH-), 6.17(d, 1H, J=11.2Hz, =CH-), 6.3(d, 1H, J=11.2Hz, =CH-).
자체 공지의 방법으로 하기의 약학 투여 형태를 제조한다:
실시예 12
경구 투여 형태 연질 젤라틴 캡슐
㎎/캡슐
1,25-디하이드록시-16,22R,23-트리엔 콜레칼시페롤(화합물 A) 0.005-0.050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0.016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졸(BHA) 0.016
미글리콜(Myglycol, 등록상표)-812 qs 160
실시예 13
경구 투여 형태 연질 젤라틴 캡슐
㎎/캡슐
화합물 A 0.005-0.050
α-토코페롤 0.016
미글리콜-812 qs 160
실시예 14
국소 투여 형태 크림
% w/w
화합물 A 0.00001-0.10
세틸 알콜 1.50
스테아릴 알콜 2.50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스판(Span) 60) 2.00
광유 2.0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블렌드(아르라셀(Arlacel) 165) 4.00
폴리소르베이트 60(트윈(Tween) 60) 1.0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0
소르비톨 용액 4.00
에데테이트 디나트륨 0.10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졸(BHA) 0.02
소르브산 0.20
칼륨 소르베이트 0.1-0.2
100.00에 이르는 양
실시예 15
국소 투여 형태 겔
% w/w
화합물 A 0.00001-0.10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졸(BHA) 0.02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 3.00
에틸 알콜, USP 45.00
100.00에 이르는 양
실시예 16
국소 투여 형태 겔
% w/w
화합물 A 0.00001-0.10
프로필렌 글리콜 10.0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00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졸(BHA) 0.02
무수 에틸알콜 100.00에 이르는 양
본 발명에 의하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과증식성 피부 질환(예: 건선), 종양성 질환(예: 백혈병) 및 피지선 질환(예: 여드름 및 지루성 피부염)를 치료할 수 있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0
    상기 식에서,
    R은 하이드록시이고 R1은 H2또는 CH2이거나, 또는
    R은 수소 또는 플루오르이고 R1은 CH2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1,25-디하이드록시-16,22S,23-트리엔-콜레칼시페롤 또는 1,25-디하이드록시-16, 22R,23-트리엔-콜레칼시페롤인 화합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불활성 담체를 포함하는, 과증식성 피부 질환, 종양성 질환 및 피지선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과증식성 피부 질환이 건선이고, 종양성 질환이 백혈병이며, 피지선 질환이 여드름 또는 지루성 피부염인 약학 조성물.
KR1019970009478A 1996-03-21 1997-03-20 1,25-디하이드록시-16,22,23-트리스데하이드로-콜레칼시페롤 유도체 KR100240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0996P 1996-03-21 1996-03-21
US60/013,809 1996-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495A KR970065495A (ko) 1997-10-13
KR100240541B1 true KR100240541B1 (ko) 2000-01-15

Family

ID=2176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478A KR100240541B1 (ko) 1996-03-21 1997-03-20 1,25-디하이드록시-16,22,23-트리스데하이드로-콜레칼시페롤 유도체

Country Status (30)

Country Link
EP (1) EP0796843B1 (ko)
JP (1) JP2801587B2 (ko)
KR (1) KR100240541B1 (ko)
CN (1) CN1110477C (ko)
AR (1) AR006315A1 (ko)
AT (1) ATE240941T1 (ko)
AU (1) AU708679B2 (ko)
BR (1) BR9701404A (ko)
CA (1) CA2199893C (ko)
CO (1) CO4820396A1 (ko)
CZ (1) CZ85897A3 (ko)
DE (1) DE69722064T2 (ko)
DK (1) DK0796843T3 (ko)
ES (1) ES2198512T3 (ko)
HR (1) HRP970162A2 (ko)
HU (1) HUP9700609A3 (ko)
ID (1) ID16285A (ko)
IL (1) IL120469A0 (ko)
MA (1) MA26423A1 (ko)
MX (1) MX9702139A (ko)
NO (1) NO971217L (ko)
NZ (1) NZ314424A (ko)
PE (1) PE42998A1 (ko)
PL (1) PL319070A1 (ko)
PT (1) PT796843E (ko)
SG (1) SG70589A1 (ko)
TR (1) TR199700219A2 (ko)
TW (1) TW444001B (ko)
YU (1) YU10397A (ko)
ZA (1) ZA97230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386A (ko) 2015-11-26 2017-06-05 코웨이 주식회사 호르데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25271D0 (en) * 1996-12-04 1997-01-22 Leo Pharm Prod Ltd Chemical compounds
US6331642B1 (en) 1999-07-12 2001-12-18 Hoffmann-La Roche Inc. Vitamin D3 analogs
KR101285720B1 (ko) * 2012-03-02 2013-07-19 주식회사 유니크메디케어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8923B (en) * 1988-01-20 1989-09-27 Hoffmann La Roche 16-dehydro-vitamin d3-derivatives
DK0398217T3 (da) * 1989-05-18 1994-02-14 Hoffmann La Roche Dehydrocholecalciferolderivat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ctionary of Organic Compound 5th, 1982, p3784(M-01245) *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2th ed.,1991, p68-8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386A (ko) 2015-11-26 2017-06-05 코웨이 주식회사 호르데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71217L (no) 1997-09-22
PE42998A1 (es) 1998-08-11
CA2199893A1 (en) 1997-09-21
JPH107651A (ja) 1998-01-13
KR970065495A (ko) 1997-10-13
IL120469A0 (en) 1997-07-13
CZ85897A3 (cs) 1998-04-15
TR199700219A3 (tr) 1997-10-21
ES2198512T3 (es) 2004-02-01
EP0796843B1 (en) 2003-05-21
SG70589A1 (en) 2000-02-22
CA2199893C (en) 2008-02-05
ID16285A (id) 1997-09-18
TR199700219A2 (xx) 1997-10-21
ZA972302B (en) 1997-09-22
HUP9700609A2 (hu) 1998-07-28
NZ314424A (en) 1998-07-28
MX9702139A (es) 1998-04-30
TW444001B (en) 2001-07-01
AR006315A1 (es) 1999-08-25
NO971217D0 (no) 1997-03-17
DE69722064T2 (de) 2004-04-08
CO4820396A1 (es) 1999-07-28
HRP970162A2 (en) 1998-04-30
BR9701404A (pt) 1998-11-03
DK0796843T3 (da) 2003-09-15
PT796843E (pt) 2003-09-30
PL319070A1 (en) 1997-09-29
HU9700609D0 (en) 1997-05-28
EP0796843A2 (en) 1997-09-24
HUP9700609A3 (en) 1999-03-01
MA26423A1 (fr) 2004-12-20
ATE240941T1 (de) 2003-06-15
AU708679B2 (en) 1999-08-12
CN1110477C (zh) 2003-06-04
DE69722064D1 (de) 2003-06-26
AU1513597A (en) 1997-09-25
YU10397A (sh) 1999-07-28
JP2801587B2 (ja) 1998-09-21
CN1172793A (zh) 1998-02-11
EP0796843A3 (en) 199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856B1 (ko) 비타민d3동족체
US5145846A (en) Vitamin D3 analogs
KR100271462B1 (ko) 20-메틸-치환된 비타민 d 유도체
US5087619A (en) Vitamin D3 analogs
US5939408A (en) Vitamin D3 analogs
CA2096105A1 (en) Vitamin d3 fluorinated analogs
RU2235721C2 (ru) Аналоги витамина d3
JP2858571B2 (ja) フッ素化ビタミンd3類似体
US7241747B2 (en) 2-propylidene-19-nor-vitamin D compounds
KR100240541B1 (ko) 1,25-디하이드록시-16,22,23-트리스데하이드로-콜레칼시페롤 유도체
US5969190A (en) Cyclohexanediol derivatives
US5721224A (en) Method of treating metabolic bone diseases with 18-nor-vitamin D compounds
US5840718A (en) 22-epimeric-1,25-dihydroxy-16,22,23-triene-cholecalciferol
WO1995019963A1 (en) New pharmacotherapeutically active compounds
MXPA97002139A (en) Derivatives of 1,25-dihydroxy-16,22,23-trisdeshidro-colecalcife
RU2173682C2 (ru) Аналоги витамина d3,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EP0874813A1 (en) 24-homo-26,27-hexafluoro-cholecalciferols
MXPA97003774A (en) Vitamin analogues
Enrico et al. Vitamin D 3 analogs
MXPA98003345A (es) 24-homo-26,27-hexafluoro-colecalcifero
MXPA97003720A (en) Compounds of 18-nor-vitam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