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731B1 - 기록 및 재생장치용 카셋트 홀더 - Google Patents

기록 및 재생장치용 카셋트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731B1
KR100225731B1 KR1019900019980A KR900019980A KR100225731B1 KR 100225731 B1 KR100225731 B1 KR 100225731B1 KR 1019900019980 A KR1019900019980 A KR 1019900019980A KR 900019980 A KR900019980 A KR 900019980A KR 100225731 B1 KR100225731 B1 KR 100225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magnetic tape
lever
cassette holder
tap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148A (ko
Inventor
다까시 가또꾸
마사후미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10013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G11B15/615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inside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8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pivoting movement of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8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pivoting movement of the cassette holder outside the apparatus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자기 테이프 카셋트용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카셋트 홀더는 자기 테이프 카셋트가 고정 위치에 배열되도록 카셋트 홀더속으로 삽입될 때, 테이프 카셋트의 전방 선회 폐쇄 부재를 그 개방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작용하는 한쌍의 원호형 부재와, 고정 위치에 배열된 테이프 카셋트가 카셋트 홀더 외부로 추출될 때, 전방 선회 폐쇄 부재를 그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작용하는 판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카셋트 홀더는 두 개의 시이트 금속 부재를 서로 연합시키므로서 형성된다. 하나의 시이트 금속 부재는 원호형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다른 시이트 금속 부재는 판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다. 카셋트가 고정 위치에 배열될 때, 전방 선회 폐쇄 부재는 원호형 부재와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Description

기록 및 재생 장치용 카셋트 홀더
제1a도 및 제1b도는 종래 테이프 카셋트의 전방 리드의 개방 및 폐쇄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2a도 내지 제2c도는 종래의 다른 테이프 카셋트의 전방 리드의 개방 및 폐쇄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셋트 홀더의 양호한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테이프 카셋트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테이프 카셋트의 수평 단면도.
제5a도 및 제5b도는 테이프 카셋트의 전방 리드의 개방 및 폐쇄 위치를 도시하는 제3도의 테이프 카셋트의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셋트 홀더의 양호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기록 및 재생 장치 기어 베이스의 사시도.
제8도는 제6도에 도시된 카셋트 홀더의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카셋트 홀더의 분해 사시도.
제10도는 제6도의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전체 평면도.
제11도는 헤드 드럼 유닛이 제1위치에 위치될 때 기록 및 재생 장치의 개략도.
제12도는 헤드 드럼 유닛이 제2위치에 위치될 때 기록 및 재생 장치의 개략도.
제13도는 헤드 드럼 유닛이 제3위치에 위치될 때 기록 및 재생 장치의 개략도.
제14도는 카셋트 홀더가 이젝트(eject) 위치에 위치될 때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주요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15도는 카셋트 홀더가 카셋트 적재 위치에 위치될 때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주요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16a도 내지 제16f도는 테이프 카셋트가 카셋트 홀더내로 삽입된 후 테이프 카셋트 전방 리드의 상태를 도시하는 카셋트 홀더의 개략도.
제17도는 제7도에 도시된 기어 베이스상의 기어 및 헤드 드럼의 단면도.
제18도는 작동 푸시 버튼이 작동되지 않을 때 기록 및 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19도는 작동 푸시 버튼이 기록 및 재생 모드 작동을 할 때 기록 및 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20도는 STOP/EJECT 버튼이 기록 및 재생 모드로 눌러질 때의 기록 및 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21도는 이젝트 상태에서 기록 및 재생 장치의 개략도.
제22도는 다시감기 상태로 작동될 때 기록 및 재생 장치의 개략도.
제23도는 고속전진(fast-forward) 모드로 작동될 때 기록 및 재생 장치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카셋트 2 : 카셋트 케이싱
3 : 테이프 릴(3) 4 : 자기 테이프
6 : 테이프 출입구 7 : 헤드 드럼 수용부
11 : 주 섀시 17 : 지지핀
본 발명은 기록 및 재생 장치용 카셋트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보다 명확하게 말하면, 본 발명은 기록 및 재생 장치에서 테이프 카셋트를 적재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셋트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 및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와 같은 기록 및 재생 장치용으로 이용되는 테이프 카셋트는 테이프 카셋트의 전방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덮는 전방 리드를 구비한다. 이런 테이프 카셋트의 경우에, 테이프 카셋트가 이용되지 않을 때, 전방 리드(전방 선회 폐쇄 부재)는 테이프 카셋트내에 수용된 자기 테이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관통 구멍을 폐쇄하고, 테이프 카셋트가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이용될 때, 전방 리드는 장치의 헤드 드럼을 자기 테이프와 접촉시키도록 관통 구멍을 개방시킨다.
제1a도 및 제1b도는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전방 리드(B)를 구비한 테이프 카셋트(A)를 도시한다. 전방 리드(B)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해, 리드 개방 부재(C)가 카셋트 적재부(D)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카셋트 홀더(도시되지 않음)상에 지지된 테이프 카셋트(A)가 제1a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1b도에 도시된 적재 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때, 리드 개방 부재(C)는 전방 리드(B)의 선회가능한 자유단부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테이프 카셋트(A)가 적재 위치에 도달될 때, 전방 리드(B)는 개방 위치에 도달한다. 한편, 테이프 카셋트(A)가 제1b도의 적재 위치에서 제1a도의 위치로 되돌아올 때 전방 리드(B)는 일반적으로 카셋트내에 제공되어 있는 편향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적용되는 탄성력으로 인해 폐쇄 위치로 복귀된다.
제2a도 내지 제2c도는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전방 리드(F)를 구비한 다른 형태의 테이프 카셋트(E)를 도시한다. 전방 리드(F)는 외부 표면상에 홈부(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드 개방 아암(I)이 카셋트 홀더(도시되지 않음)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테이프 카셋트(E)가 카셋트 홀더 내로 삽입될 때, 리드 개방 아암(I)의 선회가능한 자유단부(H)는 제2a도에 도시된 전방 리드(F)의 홈부(G)와 결합된다. 테이프 카셋트(E)가 제2b도의 위치로 밀려지고, 제2c도의 위치까지 밀려짐에 따라, 리드 개방 아암(I)은 테이프 카셋트(E)에 적용되는 미는힘에 의해 회전되므로 전방 리드(F)는 리드 개방 아암(I)의 선회가능한 자유 단부에 의해 그 개방 위치까지 밀려진다. 한편, 테이프 카셋트(E)가 제2c도의 위치에서 제2a도의 위치까지 이동될 때, 전방 리드(F)는 편향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리드 개방 아암(I)에 적용되는 탄성력으로 인해 폐쇄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런 형태의 카셋트 홀더는 리드 개방 부재(C), 리드 개방 아암(I), 편향력을 전방 리드(B)에 적용하는 수단이나 편향력을 리드 개방 아암(I)에 적용시키는 수단 등의 특별한 부재가 필요하므로 구성부재의 수가 증가된다. 그러므로, 조립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증가되는 결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두 번째 형식의 카셋트 홀더는 전방 리드를 폐쇄 위치로 복귀시키는 수단을 필요로 하고, 테이프 카셋트를 카셋트 적재 위치로 이동시키고 적재 위치에서 카셋트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수단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카셋트 홀더의 두 가지 형태 모두는 홀더로부터 빼내질 때 카셋트 리드를 폐쇄하기 위한 스프링 등의 내장 편향 수단을 구비한 카셋트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직접 부착되는 소정의 부재 또는 이동부분을 필요로하지 않고, 테이프 카셋트가 카셋트 홀더내로 삽입될 때 카셋트의 전방 리드를 개방시키고 테이프 카셋트가 카셋트 홀더로부터 이탈될 때 테이프 카셋트의 전방 리드를 폐쇄시키는 기록 및 재생 장치용 카셋트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셋트 리드용 내부 편향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테이프 카셋트에 이용될 수 있는 카셋트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드로잉(drawing)에 의해서 성형될 수 있고, 홀더의 강도 및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더 큰 강성을 제공하도록 상대적으로 두꺼워질 수 있는 기록 및 재생 장치용 카셋트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기 테이프 카셋트용 기록 및 재생 장치내의 카셋트 홀더는 자기 테이프 카셋트가 고정된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카셋트 홀더 속으로 삽입될 때 자기 테이프 카셋트의 전방 선회 폐쇄 부재(전방 리드)를 그 개방 위치로 편향시키는 개방 수단과, 자기 테이프 카셋트가 카셋트 홀더로부터 이탈될 때 전방 선회 폐쇄 부재를 그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는 폐쇄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카셋트 홀더는 두 개의 시이트 금속 부재를 서로 조합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성에 따라서, 전방 선회 폐쇄 부재가 자기 테이프 카셋트의 전방 구멍을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와, 전방 선회 폐쇄 부재가 전방 구멍을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전방 선회 폐쇄 부재를 구비한 자기 테이프 카셋트용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카셋트 홀더가 제공되고, 상기 카셋트 홀더는 홀딩 수단, 개방 수단 및 폐쇄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홀딩 수단은 자기 테이프를 상기 홀딩 수단에 대해 삽입 및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이젝트 위치와 카셋트 적재가 완료되는 적재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수단은 자기 테이프 카셋트가 고정 위치(fixed position)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개방 수단이 상기 전방 선회 폐쇄 부재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전방 선회 폐쇄 부재를 편향시키며, 상기 폐쇄 수단은 상기 자기 테이프 카셋트가 상기 고정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방 선회 폐쇄 부재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전방 선회 폐쇄 부재를 편향시킨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방 수단은 카셋트 홀더내 일체로 형성된 실질적인 원호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테이프 카셋트가 고정 위치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방 선회 폐쇄 부재의 자유 단부가 상기 원호 형 부재를 따라 이동되게 된다.
본 발명을 하기에 양호한 실시예와 함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그러나 도면과 관련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하는 것일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셋트 홀더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양호한 실시예로써 하기에 설명한다. 양호한 실시예의 카셋트 홀더는 최근 새롭게 제안된 자기 테이프 카셋트를 재생 및 기록하기 위해 설계된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가 다소 복잡한 구조이므로, 하기의 명세서에서는 독립적인 부품 그룹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명세서의 전반에서 기록 및 재생장치에 대해 사용되는 전방, 후방, 우측 및 좌측이라는 용어는 제10도의 하부, 상부, 우측 및 좌측을 의미한다.
(자기 테이프 카셋트)
도면을 참조하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셋트 홀더의 양호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자기 테이프 카셋트(1)를 도시하고 있다.
자기 테이프 카셋트(1)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상자형 카셋트 케이싱(2)을 구비한다. 자기 테이프(4)가 감겨지는 한쌍의 테이프 릴(3)은 카셋트 케이싱(2)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각 테이프 릴(3)은 하기에 기술되는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릴 결합축(16,16')과 결합되도록 사용되는 결합구멍(3a)을 구비한다. 카셋트 케이싱(2)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은 테이프 릴의 결합구멍(3a)과 각각 대면하는 한쌍의 개구(5)를 구비한다.
상기 카셋트 케이싱(2)은 카셋트 케이싱(2)의 전방 우측 및 전방 좌측 모서리 근처에 한쌍이 테이프 출입구(6)를 구비한다. 테이프 릴(3) 중 하나로부터 공급된 자기 테이프(4)는 테이프 출입구(6) 중 하나를 거쳐 카셋트 케이싱(2)의 내부로부터 벗어나 카셋트 케이싱(2)의 전방면을 따라 이동된다. 그후, 자기 카셋트 테이프(4)는 다른 테이프 출입구(6)를 거쳐 카셋트 케이싱(2)의 내부로 들어가 나머지 테이프 릴(3)상에서 감겨진다.
또한, 카셋트 케이싱(2)은 테이프 출입구(6) 사이에 헤드 드럼 수용부(7)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 드럼 수용부(7)는 헤드 드럼에 대해 자기 테이프 카셋트(1)를 위치시키기 위해 기록 및 재생 장치의 헤드 드럼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한쌍의 접촉면(8)을 구비한다.
한쌍의 핀치 로울러(9)는 테이프 출입구(6) 근처의 카셋트 케이싱(2)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자기 테이프(4)는 핀치 로울러(9) 사이에서 인장된 상태로 카셋트 케이싱(2)의 전방면을 따라 헤드 드럼 수용부(7)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그 경로를 전환하기 위해 핀치 로울러(9)상에 감겨진다. 상기 카셋트(1)는 케이싱(2)의 전방부에 형성된 관통개구를 덮고 있는 전방 리드(10)를 갖는다. 전방 리드(10)는 탄성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일반적으로, 덮개부(10a)와 덮개부(10a)의 측면 에지로부터 덮개부(10a)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측편(10b)을 구비한다. 전방 리드(10)의 측편(10b)이 카셋트 케이싱(2)의 측벽상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전방 리드(10)는 제5a도에 도시된 폐쇄 위치와 제5b도에서 실선 및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제5b도에서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리드(10)의 선회 축선(10c)과 카셋트 케이싱(2)의 전방 상부 및 전방 하부 코너 사이의 거리는 선회 축선(10c)과 덮개부(10a)의 코너 사이의 거리보다 조금 크다. 그러므로, 전방 리드(10)가 그 폐쇄 및 개방 위치 사이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덮개부(10a)는 미세하게 원호(arc)형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카셋트 케이싱(2)의 전방 상부 또는 전방 하부 에지 위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카셋트의 전방 리드(10)는 카셋트내에 편향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그 폐쇄 위치에서 제동될 수 있다.
(기록 및 재생 장치(테이프 플레이어)의 개략적인 구성)
제6도에는 카셋트 홀더의 양호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테이프 플레이어 등의 기록 및 재생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기록 및 재생 장치는 거의 직사각형 주 섀시(11)와 주 섀시(11)에 고정되는 서브 섀시(12)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섀시(12)는 주 섀시(11)에 지지되므로 주 섀시(11)의 판(plate)부와 평행하게 배열된다.
한쌍의 릴 테이블, 예를들어, 공급 및 권취 릴 테이블(13, 14)은 서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주 세시의 판부(plate portion)의 상부면상에서 그 중앙부의 전방 좌측 및 전방 우측상에 각각 배열된다. 상기 릴 테이블(13,14)은 주 섀시(11)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 릴 테이블 기어(15,15') 및 릴 결합축(16,16')을 구비한다. 릴 결합축(16,16')은 릴 테이블 기어(15,15')에 각기 연결되고, 그 사이에 유발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주 섀시(11)에는 판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 지지핀(17)과, 측벽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 지지핀(17')이 제공되어 있다. 각 지지핀(17,17')은 수경부(71a,17a')와 소경부(17a,17a')의 선단부상에 형성된 나사 홈부(17b,17b')와, 소경부(17a,17a')를 지지하는 견부(17c,17c')를 구비한다.
상기 서브 섀시(12)는 지지핀(17b,17b')의 소경부(17a,17a')를 수용하는 관통 개구(18,18')를 구비하고, 그래서 상기 서브 섀시(12)는 견부(17c,17c')상에 지지된다. 로크 너트(19)는 나사 홈부(17b,17b')와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20)이 서브 섀시(12)와 로크 너트(19) 사이의 소경부(17a,17a') 주위에 배열되고, 그래서, 서브 섀시(12)는 지지핀(17,17')의 견부(17c,17c')에 대해 밀려지게 된다.
서브 섀시(12)가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주 섀시(11)에 장착되기 때문에, 주 섀시(11)가 기계적인 섀시에 적용된 응력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에도, 주 섀시의 변형이 서브 섀시(12)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어 서브 섀시(12)의 규정된 형상이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서브 섀시(12)의 전방부는 자기 테이프 카셋트(1)가 적재되는 카셋트 적재부로써 이용된다.
헤드 드럼 유닛(21)은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서브 섀시(12)의 상면상에 지지된다. 헤드 드럼 유닛(21)은 상,하부드럼(24,25)과 상,하부드럼(24,25)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에 배열된 중간 회전 드럼(22)을 포함한다. 자기 헤드(23)는 상기 중간 회전 드럼(22)의 외주상에 지지된다. 헤드 드럼 유닛의 전방부(21a)상에서, 하부 드럼(25)의 하면 및 상부 드럼(24)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테이프 카셋트(1)의 헤드 드럼 수용부(7)의 상,하폭보다 약간 작다. 더불어, 유닛(21)의 전방부(21a)상에는 돌출 에지부(24a,25a)가 외향으로 돌출된 하부드럼(25)의 상부 에지 및 상부 드럼(24)의 하부 에지상에 각각 형성된다. 돌출 에지부(24a,25a) 사이의 거리는 자기 테이프(4)의 폭보다 약간 크다.
상기 헤드 드럼 유닛(21)은 그 전방부(21a)의 대부분이 제11도에 도시된 헤드 드럼 수용부(7)내에 수용되는 제1위치와, 전방부(21a)의 일부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드럼 수용부(7)내에 수용되는 제2위치 및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드럼 수용부(7)의 외측부에 전방부(21a) 전체가 배열되는 제3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드럼 유닛(21)이 제1위치로 이동할 때, 자기 테이프(4)는 소정의 테이프 감김각으로 헤드 드럼 유닛(21)상에 감겨지도록 헤드 드럼 유닛(21)에 의해 헤드 드럼 수용부(7)속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기 테이프(4)상의 기록 및 재생이 헤드 드럼 유닛(21)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헤드 드럼 유닛(21)이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자기 테이프(4)는 기록 및 재생이 수행되는 상술된 테이프 감김각 보다 작은 테이프 감김각으로 헤드 드럼 유닛(21)상에 감겨진다. 이상태에서, 상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고속 전진 모드(FF 모드), 다시감기 모드(REW 모드) 또는 서치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드럼 유닛(21)이 제3위치로 이동한 후, 테이프 카셋트(1)는 기록 및 재생 장치 외부로 빼내질 수 있다.
(카셋트 적재부)
서브 섀시(12)의 실질적인 전방 반부 전체는 카셋트 적재부(27)로서의 역할을 하고, 상기 카셋트 적재부는 카셋트가 적재되거나 결합된 위치에 있을 때 카셋트에 의해 점유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제10도를 참조하면, 한쌍의 관통 개구(28)가 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서로 이격되도록 서브 섀시(12)의 전방 부분(12a)에 형성된다. 릴 테이블(13)의 릴 결합축(16, 16')은 서브 섀시(12)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대응하는 관통 개구(28)를 통과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 기어 아암(29)이 주 섀시(11)의 상면상에 배열된다.
상기 플레이 기어 아암(29)의 일 단부는 릴 테이블(14)의 지지 샤프트(14a)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플레이 기어 아암(29)의 선회 가능한 자유단 부상에는 플레이 기어(3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플레이 기어(3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 소경 기어(30b) 및 대경 기어(30a)를 포함한다. 상기 소경 기어(30b)는 릴 테이블(14)의 릴 테이블 기어(15)와 항상 맞물려있다.
플레이 기어(30)의 지지 샤프트(31)의 하단부는 주 섀시(11)내에 형성된 원호형 규제홈(32)내에 수용된다. 상기 홈(32)의 중앙은 릴 테이블(14)의 지지 샤프트(14a)와 일치한다. 이러한 홈(32)에 의하면, 플레이 기어 아암(29)의 선회범위가 규제된다.
인장 스프링(33)은 제10도에서 플레이 기어 아암(29)을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시키도록 주 섀시(11) 및 플레이 기어 아암(29) 사이에서 신장된다. 따라서, 플레이 기어 아암(29)의 선회 자유단부가 후방으로부터 가압되지 않을 때, 플레이 기어 아암(29)은 플레이 기어(30)의 지지 샤프트(31)의 하단부가 상기 원호형 규제 홈(32)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유지된다.
FF 기어 아암(34)은 또한 주 섀시(11)의 상면상에 배열된다. FF 기어 아암(34)의 중앙부는 릴 테이블(14)의 지지 샤프트(14a)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FF 기어(35)는 릴 테이블 기어(15)의 소경 기어(15a)와 항상 맞물려 있다. FF 기어 아암(34)의 전방 단부의 좌측 에지는 캠 에지(36)로서 작용하도록 우측 후방으로 연장된다. 인장 스프링(37)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FF 기어 아암(34)을 시계 방향으로 가압시키도록 주 섀시(11)와 FF 기어 아암(34) 사이에 신장된다.
부가적으로, REW 기어 아암(38)은 주 섀시(11)의 상면상에 배열된다. REW 기어 아암(38)의 중앙부는 릴 테이블(13)의 지지 샤프트(13a)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REW 기어(39)는 REW 기어 아암(38)의 하붕 단부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REW 기어(39)는 항상 릴 테이블 기어(15')와 맞물려 있다. REW 기어 아암(38)의 전방단부는 캠 에지(40)로서 작용하도록 좌측 후방으로 연장된다. 인장 스프링(41)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시계 방향으로 REW 기어 아암(38)을 가압시키도록 주 섀시(11)와 REW 기어 아암(38) 사이에서 신장된다.
이러한 기어 아암(34,38)은 후술될 작동 레버를 작동시키므로서 회전되어, 결국 기록 및 재생 장치가 릴 테이블(13,14)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FF 모드, 서치 모드 및 REW 모드로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카셋트 적재부(27)는 서브 섀시(12)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3개의 카셋트 지지핀(42)을 구비한다. 상기 테이프 카셋트(1)는 카셋트 지지핀(42)의 상면상에 지지된다.
카셋트 적재부(27)는 각각 서브 섀시(12)의 전방 에지의 좌,우단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조절편(43)을 구비한다. 테이프 카셋트(1)가 카셋트 적재부(27)내에 적재될 때, 테이프 카셋트(1)의 후방면은 조절편(43)과 접촉하게 되고, 그래서, 카셋트(1)가 주 섀시(11)내에 위치될 수 있다.
(카셋트 홀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셋트 홀더(44)는 카셋트 홀딩부(44a)의 양측벽의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아암(44b) 및 장방형 단면의 카셋트 홀딩부(44a)를 포함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셋트 홀더(44)는 상부 및 하부 시이트 금속 부재(45,46)를 포함한다.
상부 시이트 금속 부재(45)는 강성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갖는다. 상기 상부 시이트 금속 부재(45)는 천판부(45a) 한쌍의 트러스트편(45b; thrusting piece), 리드 복귀편(45c; 판 부재), 한쌍의 아암부(45d) 및 한쌍의 접속편(45e)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들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천판부(45a)는 기본적으로 장방형 프레임이다. 상기 트러스트편(45b)은 천판부(45a)의 관통 개구의 전방 에지의 좌,우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트러스트편(45b)은 경사지도록 배열되고, 그래서, 그 후방 단부의 높이가 상기 천판부(45a)의 높이보다 낮게 되고, 또한, 트러스트편(45b)의 후방단부는 다소 상방으로 굴곡되어 있다. 리드 복귀편(45c)은 천판부(45a)의 후방 에지의 양 단부를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천판부(45a)의 전방 에지는 약간 상향 굴곡된다. 아암부(45d)의 전방 단부의 상부 에지는 각각 천판부(45a)의 좌우 에지의 후방 단부에 접속되어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접속편(45e)은 천판부(45a)와 인접한 위치에서 아암부(45d)의 상부 에지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접속편(45e)의 상단부는 외향 절곡된다. 접속편(45e)의 측벽은 각각 장착 개구(45f)를 구비한다.
하부 시이트 금속 부재(46)는 드로잉(drawing) 조건 등의 제조 조건을 고려하여 상부 시이트 금속 부재(45)보다 얇은 시이트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하부 시이트 금속 부재(46)는 한쌍의 측판부(46c) 및 바닥판부(46a)를 포함한다. 바닥판부(46a)는 측방향으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한쌍의 관통개구(46b)를 갖는다. 바닥판부(46a)의 전방 에지부는 약간 하향으로 굴곡된다. 상시 측판부(46c)는 바닥판부(46a)의 양 측부 에지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상기 측판부(46c)의 하부 에지의 전방부는 바닥판부(46a)의 측면 에지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쌍의 결합편(46d)이 측판부(46c)의 상부 에지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각각의 결합편(24d)은 대응하는 측판부(46c)의 상부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컷-아웃(cut-out)부를 갖는다. 한쌍의 접속편(46f)은 측판부(46c)의 상부 에지의 후방부로부터 상향 돌출된다. 접속편(46f)의 상단부는 외향 절곡된다. 접속편(46f)의 측벽은 각각 장착 개구(46g)를 갖는다. 부가적으로, 한쌍의 안내부(46h)는 각각의 측판부(46c)의 후방 에지로부터 내향 연장되도록 측판부(46c)의 후방 에지 상에 형성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시이트 금속 부재(45,46)는 서로 접속된다. 즉, 상기 하부 시이트 금속 부재(46)의 측판부(46c)는 상부 시이트 금속 부재(45)의 대응하는 아암부(45d)의 내면상에 배열된다. 이때, 상기 하부 시이트 금속 부재(46)의 컷-아웃부(46e)는 상기 상부 시이트 금속 부재(45)의 천판부(45a)와 결합된다. 그때, 리벳(47)이 서로 대면하는 장착 개구(45f,46g)를 통과하고 또한, 리벳(47)의 코킹(caulking)이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시이트 금속 부재(45,46)는 서로 접속되고, 카셋트 홀더(44)가 형성된다. 상기 카셋트 홀더(44)의 아암부(45d)는 주 섀시(11)의 양 측부 에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지지벽(48,49; 제6도에 도시)상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고 결국, 카셋트 홀더(44)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젝트 위치 및 제15도에 도시된 적재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테이프 카셋트(1)는 홀더(44)가 이젝트 위치에 있을 때 카셋트 홀딩부(44a)속으로 삽입되어, 전방 리드(10)의 하부 에지의 양 단부는 안내부(46h)와 접촉하게 된다. 카셋트(1)가 카셋트 홀딩부(44a)속으로 추가로 가압될 때, 카셋트의 전방 리드(10)의 양 단부는 안내부(46h)에 의해 상향 이동되고 결국, 전방 리드(10)가 개방 위치로 회전된다. 전방 리드(10)가 개방 위치에 도달할 때, 카셋트 홀딩부(44a)의 천판부(45a)의 후방 에지상에 형성된 리드 복귀편(45c)은 전방 리드(10)와 거의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셋트(1)가 카셋트 홀딩부(44a)의 외부로 빼내질 때, 전방 리드(10)는 카셋트 홀딩부(44a)의 리드 복귀편(45c)에 의하여 가압되어 폐쇄 위치로 복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셋트(1)가 카셋트 홀딩부(44a) 내에 삽입된 후 카셋트 홀더(44)가 하향 회전될 때, 카셋트(1)는 카셋트 적재부(27)내에 적재된다. 즉, 릴 테이블(13,14)의 릴 결합축(16,16')은 카셋트 홀더(44)의 관통 개구(46b)를 경유하여 테이프 카셋트(1)의 테이프 릴(3)의 결합구멍(3a)과 결합되고, 또한 카셋트 케이싱(2)의 하면은 카셋트 지지핀(42)의 상면상에 지지된다.
(헤드 드럼 지지부)
제6도를 참조하면 헤드 드럼 유닛(21)이 장착되는 드럼 베이스 조립체(50)가 주 섀시(11)의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서브 섀시(12)상에 지지된다. 상기 조립체(50)는 미끄럼 판(51) 및 이에 고정된 지지 블록(52)을 포함한다.
한쌍의 접속편(53)은 지지 블록(52)의 우후부로부터 우측으로, 좌후부로부터 좌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상기 미끄럼 판(51)은 후방으로 연장된 컷-아웃부(54)를 갖는다. 미끄럼 판(51)의 우후방 및 좌후방 코너는 블록(52)의 접속편(53)에 고정된다. 합성 수지로 형성된 한쌍의 미끄럼 부재(55)는 접속편(53)의 상면에 고정된다. 각각의 미끄럼 부재(55)는 외향 개방된 미끄럼 홈(56)을 갖는다. 또한, 상기 미끄럼 판(51)은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미끄럼 판(51)의 전방 에지의 중앙부로부터 후향 연장되는 슬릿(57)을 갖는다. 또한 미끄럼 판(51)은 긴 관통 개구(58) 및 다른 관통 개구(59)를 갖는데 둘다 미끄럼 판(51)의 전방 에지와 인접한 위치에 배열되어 종 방향 및 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섀시(12)는 후방부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관통 개구(60)를 갖는다. 관통 개구(60)의 양 측면 에지(61)는 안내 에지로서 작용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종 방향으로 연장된다. 안내 에지(61)의 후방부(61a)는 내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고, 그래서, 후방 에지(61a)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미끄럼 홈(56)의 바닥면(56a)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또한, 안내 에지(61)의 전방부(61b) 사이의 거리는 미끄럼 홈(56)의 바닥면(56a) 사이의 거리보다 다소 크다.
드럼 베이스 조립체(50)의 미끄럼 홈(56)은 서브 섀시(12)의 안내 에지(61)와 미끄럼 결합된다. 부가적으로, 서브 섀시(12)에 고정된 안내핀(62,63)은 긴 관통 개구(58) 및 슬릿(57)과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상기 드럼 베이스 조립체(50)가 종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서브 섀시(12)상에 지지된다.
상기 미끄럼 홈(56)이 안내 에지(61)의 후방부(61a)와 결합될 때, 상기 에지(61)가 홈(56)의 바닥면과 거의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드럼 베이스 조립체(50)는 거의 측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한편, 미끄럼 홈(56)이 안내 에지(61)의 전방부와 결합될 때, 상기 드럼 베이스 조립체(50)는 미끄럼 홈(56) 각각의 바닥면(56a)과 안내 에지(61)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기 때문에 측방향으로 약간 이동될 수 있다.
헤드 드럼 유닛(21)은 드럼 모터(64)에 의하여 구동된다. 중간 드럼(22) 및 회전자(64b)는 드럼 모터(64)의 회전 샤프트(64a)에 고정된다. 회전자 마그네트(64c)는 회전자(64b)에 고정되며, 또한 고정자(64d)는 회전자(64b)와 대면하도록 설치된다. 부가적으로, 고정자 코일(64e)은 마그네트(64c)와 대면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백 요크(64f; back yoke)는 고정자(64d)를 경유하여 회전자(64b)와 대면하도록 회전 샤프트(64a)에 고정된다.
모터(64)의 하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는 회전 샤프트(64a)의 하단부는 구동 기어(65)와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기어 베이스(66)는 드럼 베이스 조립체(50) 아래에 설치되고, 그래서, 기어 베이스(66)의 후방 단부는 드럼 베이스 조립체(50)의 지지 블록(52)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전달 기어(67)가 기어 베이스(66)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기어 베이스(66)의 상면상에 설치된다. 상기 기어(67)는 대경 기어(67a) 및 일체로 형성된 소경 기어(67b)를 포함한다. 상기 대경 기어(67a)는 구동 기어(65)와 결합된다. 한쌍의 릴레이 기어(68,69)는 전방 단부 근방에서 기어 베이스(66)의 상면상에 설치된다.
릴레이 기어(68,69)는 서로 결합되도록 기어 베이스(66)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릴레이 기어(68)는 자기 테이프(4)가 전진할 때 사용되며, 또한, 릴레이 기어(69)는 자기 테이프가 릴 테이블상에 다시감기될 때 사용된다. 이러한 기어(68,69)는 FWD 릴레이 기어 및 REW 릴레이 기어로서 각각 지칭된다. 상기 FWD 릴레이 기어(68)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 소경 기어(68b) 및 대경 기어(68a)를 포함한다. FWD 릴레이 기어(68)의 대경 기어(68a)는 기어 베이스(66)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연계 기어(70)를 경유하여 전달 기어(67)의 소경 기어(67b)와 결합된다. 따라서, 드럼 모터(64)가 회전할 때, 두 릴레이 기어(68,69)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캡스턴 아암(71)은 상부 드럼(24) 및 기어 베이스(66)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캡스턴 아암(71)의 선회축은 전달 기어(67)의 회전축과 일치한다. 상기 캡스턴 아암(71)의 선회 자유 단부는 캡스턴(72)을 지지한다. 상기 캡스턴(72)의 샤프트(72a)의 하단부는 전달 기어(67)의 소경 기어(67b)와 결합되는 캡스턴 기어(73)의 중앙에 고정되고, 그래서, 상기 캡스턴(72)이 드럼 모터(64)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된다. 인장 스프링(74)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캡스턴 아암(71)을 가압시키도록 드럼 베이스 조립체(50)와 캡스턴 아암(71) 사이에서 신장된다.
드럼 베이스 조립체(5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헤드 드럼 유닛(21)이 제1위치에 위치될 때, 드럼 베이스 조립체(50)의 미끄럼 홈(56)은 안내 에지(61)의 전방부(61b)와 결합되고, 그래서, 드럼 베이스 조립체(50)는 측방향으로 약간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헤드 드럼 유닛(21)의 돌출 에지부(24a,25a)가 테이프 카셋트(1)의 접촉면(8)에 가압되는 과정에서, 헤드 드럼 유닛(21)은 스스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4)와 헤드 드럼 유닛(21) 사이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규제하기 위해서는 단지 테이프 카셋트(1)의 접촉면(8)의 정밀도만을 고려하면 된다.
부가적으로, 헤드 드럼 유닛(21)이 제1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캡스턴(72)은 권취 릴 테이블(14)의 릴 결합축(16)과 결합하는 테이프 릴(3)에 가깝게 배열되어 있는 테이프 카셋트(1)의 핀치 로울러(9)와 자기 테이프(4)를 경유하여 접촉하게 되고, 그후, 헤드 드럼 유닛(21)이 제1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캡스턴(72)은 테이프 카셋트(1)에 대해 후방으로 다소 이동하게 되며, 그래서 인장 스프링(74)이 다소 신장되게 된다. 따라서, 캡스턴(72)은 인장 스프링(74)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4)를 경유하여 핀치 로울러(9)에 대해서 가압된다.
(작동 기구)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이동 레버(75)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드럼 이동 레버(75)의 중앙부는 주 섀시(11)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접속핀(76)이 드럼 이동 레버(75)의 좌측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또한, 드럼 베이스 조립체(50)의 관통 개구(59)와 미끄럼 결합된다. 드럼 이동 레버(75)가 회전할 때, 접속핀(76)은 주 섀시(11)의 종방향으로 이동하며, 결국, 드럼 베이스 조립체(50)나 헤드 드럼 유닛(21)이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트러스트부(75a)가 드럼 이동 레버(75)의 선회축의 좌측부상에서 드럼 이동 레버(75)의 전방 에지상에 형성된다. 스토퍼 에지(75b)는 드럼 이동 레버(75)의 우단부의 후방 에지상에 형성되고, 또한, 스프링 페그(75c)는 드럼 이동 레버(75)의 우단부상에 형성된다.
PLAY 레버(77)는 종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도록 주 섀시(11)상에 지지된다. 상기 PLAY 레버(77)는 중앙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는 트러스트편(78)을 갖는다. 상기 트러스트편(78)은 그 후방 좌측 코너에서 경사진 트러스트 에지(78a)와, 또한 그 좌측단부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홀딩 에지(78b)를 갖는다. 상기 PLAY 레버(77)는 그 전방 에지와 인접된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는 아암편(79)을 갖는다. 상기 아암편(79)은 그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로크핀(79a)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상기 PLAY 레버(77)는 우측 에지의 후방 단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편(80)과, 그 우측 에지의 후방 단부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페그(81) 및 우측 에지의 전방 단부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페그(82)를 갖는다. 부가적으로, 푸시 버튼(83)이 PLAY 레버(77)의 전방 단부에 부착된다.
인장 스프링(84)은 상기 드럼 이동 레버(75)의 스프링 페그(75c) 및 PLAY 레버(77)의 스프링 페그(81) 사이에서 신장되고, 그래서, 드럼 이동 레버(75)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드럼 이동 레버(7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제공되지 않을 때, 드럼 이동 레버(75)의 스토퍼 에지(75b)는 드럼 이동 레버(75)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PLAY 레버(77)의 스토퍼편(80)과의 접촉을 유지한다. 부가적으로, 인장 스프링(85)은 PLAY 레버(77)의 스프링 페그(82)와 주 섀시(11) 사이에서 신장되며, 그래서, 상기 PLAY 레버(77)는 전방으로 가압된다.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LAY 레버(77)가 푸시되지 않을 때, 드럼 이동 레버(75)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고, 그래서, 헤드 드럼 유닛(21)이 제2위치에 위치된다. 한편, PLAY 레버(77)가 후방으로 푸시될 때, 드럼 이동 레버(75)의 우단부가 스프링(84)을 경유하여 PLAY 레버(77)에 의하여 후방으로 끌어당겨지고, 그래서, 드럼 이동 레버(75)는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의해, 헤드 드럼 유닛(21)이 제1위치 즉, 전방 위치로 이동한다. 부가적으로, 로크가 해제되기 전에, PLAY 레버(77)는 후술될 로크 레버 수단에 의하여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방 위치에 유지되게 되고, 그래서, 헤드 드럼 유닛(21)은 제1위치에서 유지된다.
STOP/EJECT 레버(86)는 주 섀시(11)의 종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도록 PLAY 레버(77)의 좌측에서 주 섀시상에 지지된다. 상기 STOP/EJECT 레버(86)는 우측 에지의 중앙부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87)를 갖는다. 상기 STOT/EJECT 레버는 가압 수단에 의하여(도시되지 않음) 전방 방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STOP/EJECT 레버(86)의 후방 단부 에지는 트러스트 에지(86a)로서 작용한다. 부가적으로, 푸시 버튼(86b)이 STOP/EJECT 레버(86)의 전방 단부에 부착된다.
로크 레버(88)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주 섀시(11)의 전방 에지 근방에 배열된다. 상기 로크 레버(88)는 주 섀시의 측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도록 주 섀시(11)상에 지지되고, 또한, 가압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좌측으로 가압된다. 상기 로크 레버(88)는 그 중앙의 우측에 관통 개구(89)를 갖는다. 상기 관통 개구(89)는 주 섀시(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관통 개구(89)의 우측 에지는 후방 좌측 방향으로 경사지며 연장되는 트러스트 에지(89a)를 구비한다.
상기 STOP/EJECT 레버(86)의 돌출부(87)는 로크 레버(88)의 관통 개구(89)내에 배열되고, 또한, 관통 개구(89)의 우측 에지의 전방부와 접촉한다. 상기 STOP/EJECT 레버(86)가 후방으로 푸시될 때, 로크 레버(88)의 트러스트 에지(89a)는 돌출부(87)에 의하여 후방으로 가압되고, 그래서, 로크 레버(88)는 이것에 제공된 가압력에 대해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STOP/EJECT 레버(86)는 이것에 제공된 가압력으로 인해 초기 위치로 복귀될 때, 로크 레버(88)는 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그에 작용되는 가압력에 기인하여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로크 레버(88)는 그 우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편(90)을 갖는다. 상기 돌출편(90)은 그 좌측 에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는 로킹 클로오(91; locking claw)를 갖는다. 상기 로킹 클로오(91)의 후방 에지(91a)는 주 섀시(11)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킹 에지로서 작용하며, 전방 에지(91b)는 좌후방으로 경사 연장되는 트러스트 에지로서 작용한다.
상기 PLAY 레버(77)가 제16도에 도시된 푸시되지 않은 위치, 또는 작동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PLAY 레버(77)의 로크핀(79a)은 트러스트 에지(91b)의 전방부와 접촉한다. PLAY 레버(77)가 후방으로 푸시될 때, 로크 레버(88)의 트러스트 에지(91b)는 로크핀(79a)에 의하여 후방으로 가압되고, 로크 레버(88)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후, PLAY 레버(77)가 제17도에 도시된 푸시 위치에 도달할 때, 로크핀(79a)은 로킹 에지(91a)와 대면하도록 배열되어 트러스트 에지(91b)로부터 분리되고, 로크 레버(88)는 적용된 가압력에 의하여 좌측으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PLAY 레버(77)를 후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에, 로크핀(79a)이 로크 레버(88)의 로킹 에지(91a)와 결합되고, 그래서, PLAY 레버(77)는 푸시된 위치에 로크된다.
PLAY 레버(77)가 푸시 위치에 로크된 이후에, 상기 STOP/EJECT 레버(86)가 후방으로 푸시될 때, 로크 레버(88)는 상술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고 또한, PLAY 레버(77)는 로킹 에지(91a)로부터 분리되고, 결국, PLAY 레버(77)는 인장 스프링(85)의 가압력에 의하여 푸시되지 않은 위치로 복귀된다.
지지 레버(92)가 주 섀시(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PLAY 레버(77)와 STOP/EJECT 레버(86) 사이에 배열된다.지지 레버(92)는 주 섀시(11)의 종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도록 섀시상에 지지되고, 또한 가압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전방 방향으로 가압된다. 지지 레버(92)는 그 좌측 에지 중앙 후방쪽으로 스토퍼편(94)뒤에 배열되어 있는 스토퍼 에지(93)를 갖는다. 지지 레버(92)에 부착된 스토퍼 편(94)은 지지 레버(92)의 좌측 에지의 중앙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다.
릴레이 레버(95)는 이것의 중앙부에서 지지 레버(92)의 스토퍼편(94)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릴레이 레버(95)는 주 섀시(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릴레이 레버(95)는 그 전방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트러스트편(96) 및 그 후방 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된 트러스트편(97)을 갖는다. 릴레이 레버(95)는 릴레이 레버(95)의 후반편(98)의 우측 에지의 중앙 위치로부터 하향 연장된 조절편(99)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릴레이 레버(95)는 트러스트편(97)의 좌측 단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스프링 페그(100)를 갖는다. 인장 스프링(101)은 지지 레버(92)의 후방 단부상에 형성된 스프링 페그(92a)와 스프링 페그(100) 사이에서 신장되고, 그래서, 릴레이 레버(95)는 제18도에 도시된 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릴레이 레버(95)는 조절편(99)이 지지 레버(92)의 스토퍼 에지(93)의 좌면과 접촉하게 되는 릴레이 위치에 위치되어 릴레이 레버(95)가 주 섀시(11)의 종방향으로서 연장되도록 한다. 지지 레버(92)가 그 전진 위치에 위치되고, 릴레이 레버(95)가 릴레이 위치에 위치될 때, 푸시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PLAY 레버(77)의 트러스트 에지(78a)는 릴레이 레버(95)의 조절편(99)의 전방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PLAY 레버(77)가 상술한 위치로부터 그 푸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릴레이 레버(95)의 조절편(99)은 트러스트 에지(78a)에 의하여 좌후방으로 가압되고, 그래서, 릴레이 레버(95)는 스프링(101)의 탄성력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PLAY 레버(77)가 후방으로 추가적으로 이동될 때, 릴레이 레버(95)가 릴레이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논-릴레이 위치에 유지되고, 조절편(99)은 PLAY 레버(77)의 홀딩 에지(78b)와 접촉하게 된다.
릴레이 레버(95)가 릴레이 위치에 위치될 때, 그 트러스트편(96)은 STOP/EJECT 레버(86)의 트러스트 에지(86a)와 밀접하게 대면하고 또한, 이것의 트러스트편(97)은 드럼 이동 레버(75)의 트러스트부(75a)와 밀접하게 대면한다. 한편, 릴레이 레버(95)가 논-릴레이 위치에 있을 때, 트러스트편(96)은 STOP/EJECT 레버(86)의 트러스트 에지(86a)의 운동 궤적(locus)으로부터 우측으로 오프셋되고, 또한, 트러스트편(97)은 드럼 이동 레버(75)의 트러스트부(75a)의 운동 궤적으로부터 좌측으로 오프셋된다.
상기 기록 및 재생 장치가 기록 및 재생 모드에서 작동하는 경우에, PLAY 레버(77)는 푸시되어 헤드 드럼 유닛(21)이 제1 또는 전진 위치로의 이동되게 하고, 상기 STOP/EJECT 레버(86)가 기록 및 재생 모드를 해제시키도록 후방으로 푸시될 때, 로크 레버(88)는 좌측으로 즉, 트러스트 에지(86a)가 릴레이 레버(95)의 트러스트편(96)과 접촉하지 않는 동안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며, 상기 PLAY 레버(77)는 그 푸시되지 않은 위치로 복귀되고, 결국, 헤드 드럼 유닛(21)은 제2 또는 후방 위치로 복귀되고, 또한 릴레이 레버(95)는 릴레이 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PLAY 레버(77)가 푸시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STOP/EJECT 레버(86)가 후방으로 푸시될 때, 릴레이 위치에 위치된 릴레이 레버(95)의 트러스트편(96)은 트러스트 에지(86a)에 의하여 가압되고, 결국, 릴레이 레버(95)는 지지 레버(92)와 함께 후방 이동된다. 이러한 작동 동안, 드럼 이동 레버(75)는 트러스트부(75a)가 릴레이 레버(95)의 트러스트편(97)에 의하여 후방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드럼 이동 레버(75)는 스프링(84)의 탄성력에 대해서 제18도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결국 헤드 드럼 유닛(21)은 제3위치로 이동한다. 부가적으로, 로킹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카셋트 홀더(44)의 로킹은 제거되고, 또한 카셋트 홀더(44)는 가압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이젝트 위치로 이동한다. 카셋트 홀더(44)가 이젝트 위치에 도달할 때, 드럼 베이스 조립체(50)가 로크되고, 결국, 헤드 드럼 유닛(21)은 카셋트 홀더(44)가 적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제3위치에 유지된다.
더욱이, 이러한 드럼 베이스 조립체(50)는 다양한 수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크 레버(88)는 푸시 위치에 대해 STOP/EJECT 레버(88)를 로킹시키기 위해서 로킹 클로오를 구비하고, 캠이 카셋트 홀더(44)가 적재 위치로 이동할 때 로크 레버(88)를 로크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시킬 수 있다.
REW 레버(102)는 STOP/EJECT 레버(86)의 좌측부상에 배열된다. 상기 REW 레버(102)는 주 섀시(11)의 종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도록 주 섀시(11)상에 지지되고, 가압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전방으로 가압된다. 상기 REW 레버(102)는 우측으로 돌출된 트러스트편(102b) 및 로크편(102a)을 갖는다.
로크 레버(88)는 관통 개구(89)의 좌측부상의 주 섀시(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개구(103)를 갖는다. 관통 개구(103)는 그 우측 에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로킹 클로오(104)를 갖는다. 상기 로킹 클로오(104)의 후방 에지(104a)는 로킹 에지로서 작용하도록 주 섀시(11)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로킹 클로오(104)의 전방 에지(104b)는 트러스트 에지로서 작용하도록 좌후방으로 연장된다.
REW 레버(102)의 로크편(102a)은 로크 레버의 관통 개구(103)내에 설치된다. 상기 REW 레버(102)가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푸시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될 때, 로크편(102a)은 로킹 클로오(104)의 전방에 배열된다. 즉, 로크편(102a)이 트러스트 에지(104b)와 대면한다. 상기 REW 레버(102)는 후방으로 푸시될 때, 로킹 클로오(104)의 트러스트 에지(104b)는 로크편(102a)에 의하여 후방으로 가압되고 결국, 로크 레버(88)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후, 상기 REW 레버(102)가 제22도에 도시된 푸시 위치에 도달할 때, 로크편(102a)은 트러스트 에지(104b)뒤에 배열되도록 트러스트 에지(104b)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로크 레버(88)는 적용되는 가압력에 기인하여 좌측으로 이동하며, 그래서, 로킹 에지(104a)는 로크편(102a)의 전방에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REW 레버(102)를 후방으로 푸시하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도, 로크편(102a)은 로킹 에지(104a)와 결합되고, 결국, REW 레버(102)는 푸시 위치에 로크된다.
상기 REW 레버(102)가 푸시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푸시 위치로 이동할 때, 트러스트편(102b)은 REW 기어 아암(38)이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REW 기어 아암(38)의 캠 에지(40)의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래서, REW 기어(39)가 릴레이 기어(69)와 정합한다. 한편, 상기 REW 레버(102)가 푸시 위치로부터 푸시되지 않은 위치로 복귀할 때, 트러스트편(102b)은 REW 기어 아암(38)의 캠 에지(40)를 전방으로 가압시켜, REW 기어 아암(38)이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결국, REW 기어(39)는 릴레이 기어(39)로부터 분리된다.
FF 레버(105)는 REW 레버(102)의 좌측부상에 배열된다. 상기 FF 레버(105)는 주 섀시(11)의 종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도록 주 섀시(11)상에 지지되고 또한 가압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전방 방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FF 레버(105)는 그 우측 에지의 중앙부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는 로크편(105a) 및 그 좌측 에지의 후방 단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는 트러스트편(105b)을 갖는다.
또한, 로크 레버(88)는 관통 개구(103)의 좌측부상의 주 섀시(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관통 개구(106)를 갖는다. 관통 개구(106)는 그 우측 에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로킹 클로오(107)를 갖는다. 로킹 클로오(107)의 후방 에지(107a)는 로킹 에지로서 작용하도록 주 섀시(11)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로킹 클로오(107)의 전방 에지(107b)는 트러스트 에지로서 작용하도록 좌후방으로 연장된다.
FF 레버(105)의 로크편(105a)은 로크 레버(88)의 관통 개구(106)내에 배열된다. FF 레버(105)가 제18도에 도시된 푸시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될 때, 그 로크편(105a)은 로킹 클로오(107)의 트러스트 에지(107b) 전방에 배열되는데 즉, 로크편(105a)은 트러스트 에지(107b)와 대면하게 된다. FF 레버(105)가 후방으로 푸시될 때, 로킹 클로오(107)의 트러스트 에지(107b)는 트러스트편(105a)에 의하여 가압되어 결국, 로크 레버(88)가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후, 상기 FF 레버(105)는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푸시 위치에 도달하고, 로크편(105a)은 트러스트 에지(107b)뒤에 배열되도록 트러스트 에지(107b)로부터 분리되며, 또한 로크 레버(88)는 적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고, 결국, 로킹 에지(107a)는 로크편(105a)의 전방에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FF 레버(105)를 후방으로 미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도, 로크편(105a)은 로킹 에지(107a)와 결합되고, 결국, 상기 FF 레버(105)는 푸시된 위치에서 로크된다.
상기 FF 레버(105)가 푸시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푸시된 위치로 이동할 때, 트러스트편(105b)은 인장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FF 기어 아암(34)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기 FF 기어 아암(34)의 캠 에지(36)의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결국, 상기 FF 기어(35)는 릴레이 기어(68)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FF 레버(105)가 푸시된 위치로부터 푸시되지 않은 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트러스트편(105b)은 스프링(37)의 탄성력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FF 기어 아암(34)의 회전을 야기시켜, 결국, FF 기어(35)가 릴레이 기어(68)로부터 분리되도록 FF 기어 아암(34)의 캠 에지(36)를 후방으로 가압시킨다.
(작동)
본 발명에 따른 카셋트 홀더의 양호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작동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테이프 카셋트(1)가 테이프 플레이어내에 적재되는 경우에, 먼저, 상기 STOP/EJECT 레버(86)가 푸시된다. 이것이 푸시될 때, 상기 STOP/EJECT 레버(86)의 트러스트 에지(86a)가 릴레이 레버(95)의 트러스트편(96)을 후방으로 푸시하고, 그래서, 릴레이 레버(95)는 지지 레버(92)와 함께 후방 이동한다. 상기 릴레이 레버(95)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릴레이 레버(95)의 트러스트편(97)은 드럼 이동 레버(75)의 트러스트부(75a)를 후방으로 푸시하고 결국, 드럼 이동 레버(7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드럼 베이스 조립체(50)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결국, 헤드 드럼 유닛(21)은 제3위치로 이동한다. 헤드 드럼 유닛(21)이 제3위치로 이동할 때, 카셋트 홀더(44)의 로킹은 제거되고 결국, 카셋트 홀더(44)는 가압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젝트 위치로 이동한다.
테이프 카셋트(1)가 이젝트된 위치에 위치된 카셋트 홀더(44)의 카셋트 홀딩부(44a)속으로 삽입될 때, 테이프 카셋트(1)의 전방 리드(10)는 그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더욱이, 테이프 카셋트(1)는 상방향이 아래를 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자기 테이프(4)상의 기록은 자기 테이프(4)를 측방향으로 두 구역으로 분할하여 형성된 두 구역 중의 하나상에 경사진 기록 트랙을 형성시키므로서 헬리컬 스켄(helical scan)에 의해 수행된다.
테이프 카셋트(1)가 내부에 삽입되는 카셋트 홀더(44)가 카셋트 적재부(27)를 이동시키도록 하향 회전할 때, 테이프 카셋트(1)는 적재 위치에 도달한다. 제3위치에 있는 헤드 드럼 유닛(21)의 로킹이 테이프 카셋트가 적재 위치에 도달할 때 제거되기 때문에, 드럼 이동 레버(75)는 PLAY 레버(77)의 스토퍼 편(80)과 접촉할 때까지 인장 스프링(84)의 탄성력에 기인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결국, 헤드 드럼 유닛(21)이 제2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러한 상태는 스톱 상태(스톱모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 기어(68, 69)는 PLAY 기어(30), FF 기어(35) 및 REW 기어(39)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FF 레버(105)가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위치로 이동할 때, FF 기어(35)는 릴레이 기어(68)의 대경 기어(68a)와 결합하고, 또한 헤드 드럼 유닛(21)의 드럼 모터(64)가 회전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릴 테이블(14)이 테이프 작동 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FF 모드가 형성된다.
상술된 스톱 상태에서, REW 레버(102)가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기어(39)는 릴레이 기어(69)와 결합하고, 드럼 모터(64)가 회전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릴 테이블(13)이 테이프 다시감기 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는 REW 모드가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헤드 드럼 유닛(21)이 제2위치에 위치될 때, 자기 헤드(23)는 자기 테이프(4)와 가볍게 접촉하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상술된 FF 및 REW 모드와 유사하게, 자기 테이프(4)가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자기 헤드(23)가 자기 테이프(4)로부터 신호를 판독하는 서치 모드가 형성된다.
더욱이,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작동 모드는 스톱 모드 이외의 모드로부터 상술한 고속 진행 모드와 서치 모드로 직접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즉, FF 레버(105) 혹은 REW 레버(102)가 푸시될 때 로크 레버(88)가 로킹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앞서 수행되고 있던 모드는 제거되고, FF 레버(105) 혹은 REW 모드(102)를 푸시함에 의해 다른 모드로 변환 된다.
다음에, 상기 PLAY 레버(77)가 푸시된 위치로 이동할 때, 헤드 드럼 유닛(21)은 상술된 바와 같이 제1위치로 이동하고, 릴레이 기어(68)의 소정 기어(68b)는 PLAY 기어(30)의 대경 기어(30a)와 정합한다. 이때, 상기 PLAY 기어 아암(29)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결국, 인장 스프링(33)이 신장하고, 그에 의해, 릴레이 기어(68)의 소경 기어(68b)가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드럼 모터(64)가 회전하고, 릴 테이블(14)은 테이프 플레이 방향으로 회전하며, 결국, 기록 및 재생모드가 된다.
이러한 기록 및 재생 모드는 STOP/EJECT 레버(86), REW 레버(102) 또는 FF 레버(105)가 푸시될 때, 제거되고, 또한 기록 및 재생 장치는 각각의 레버의 작동에 따라 변화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양호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방식으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 범위에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실시 가능한 실시예와 모든 가능한 변용을 포함한다.

Claims (10)

  1. 자기 테이프 카셋트의 전방 개구를 폐쇄시키는 폐쇄위치와, 상기 전방 개구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전방 선회 폐쇄 부재를 구비하는 자기 테이프 카셋트용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카셋트 홀더에 있어서, 상기 자기 테이프 카셋트를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는 이젝트 위치와 카셋트 적재가 완료되는 적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내부에 규정되어 있는 카셋트 수용부내의 고정 위치에 상기 자기 테이프 카셋트를 수용 및 유지하는 홀딩 수단과, 상기 자기 테이프 카셋트가 상기 고정 위치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방 선회 폐쇄 부재와 접촉하면서 상기 전방 선회 폐쇄 부재를 개방 위치로 편향시키는 개방 수단과, 상기 자기 테이프 카셋트가 상기 고정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방 선회 폐쇄 부재와 접촉하면서 상기 전방 선회 폐쇄 부재를 폐쇄위치로 편향시키는 폐쇄 수단을 포함하는 카셋트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수단은 상기 카셋트 홀더와 일체로 형성된 원호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테이프 카셋트가 상기 고정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방 선회 폐쇄 부재의 자유단부는 상기 원호형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카셋트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수단은 상기 고정 위치에 유지된 자기 테이프 카셋트의 주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 위치에 유지된 자기 테이프 카셋트의 상기 전방 선회 폐쇄 부재의 자유 단부에 면하도록 상기 카셋트 홀더와 일체로 성형된 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 부재는 상기 자기 테이프 카셋트가 상기 카셋트 홀더의 외부로 빼내지도록 상기 고정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전방 선회 폐쇄 부재를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상기 자유 단부와 접촉하는 카셋트 홀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수단은 상기 고정 위치에 유지된 자기 테이프 카셋트의 주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 위치에 유지된 자기 테이프 카셋트의 상기 전방 선회 폐쇄 부재의 자유 단부에 면하도록 상기 카셋트 홀더와 일체로 성형된 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 부재는 상기 자기 테이프 카셋트가 상기 카셋트 홀더의 외부로 빼내지도록 상기 고정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전방 선회 폐쇄 부재를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상기 자유 단부와 접촉하는 카셋트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수단은 서로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카셋트 수용부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시이트 금속 부재를 포함하는 카셋트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금속 부재 중 하나는 다른 시이트 금속 부재 보다 두꺼운 카셋트 홀더.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수단은 서로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카셋트 수용부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시이트 금속 부재를 포함하는 카셋트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금속 부재 중 하나는 다른 시이트 금속 부재 보다 두꺼운 카셋트 홀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금속 부재 중 하나에는 상기 원호형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시이트 금속 부재에는 상기 판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카셋트 홀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와 원호형 부재 사이에는 고정 위치에 배열된 상기 자기 테이프 카셋트의 전방 선회 폐쇄 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카셋트 홀더.
KR1019900019980A 1989-12-06 1990-12-06 기록 및 재생장치용 카셋트 홀더 KR100225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17020 1989-12-06
JP1317020A JP2727708B2 (ja) 1989-12-06 1989-12-06 テーププレーヤのカセットホルダ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148A KR910013148A (ko) 1991-08-08
KR100225731B1 true KR100225731B1 (ko) 1999-10-15

Family

ID=1808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9980A KR100225731B1 (ko) 1989-12-06 1990-12-06 기록 및 재생장치용 카셋트 홀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431912B1 (ko)
JP (1) JP2727708B2 (ko)
KR (1) KR100225731B1 (ko)
AT (1) ATE134454T1 (ko)
AU (1) AU633656B2 (ko)
DE (1) DE69025459T2 (ko)
MY (1) MY1054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8370A (en) * 1991-04-16 1995-04-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pact cassette loading device with movable tape guide member
KR950004249A (ko) * 1993-07-09 1995-02-17 오오가 노리오 테이프 레코더 장치
JP3646511B2 (ja) * 1998-03-19 2005-05-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KR20050119756A (ko) * 2004-06-17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릴커버
DE202009012822U1 (de) 2009-09-24 2011-02-10 Interroll Holding Ag Trommelmo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80952A1 (fr) * 1974-07-30 1976-02-27 Staar Sa Dispositif de chargement de cassettes pour des appareils d'enregistrement et de lecture a bandes magnetiques
FR2420818A1 (fr) * 1978-03-21 1979-10-19 Urss Depart Relations Ext Mini Cassette de bande magnetique a couvercle imperdable et dispositif comportant cette cassette et un recepteur correspondant
JPS57176574A (en) * 1981-04-20 1982-10-29 Sony Corp Tape cassette
JPS60140275U (ja) * 1984-02-27 1985-09-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テ−プカセツト
JPS6124079A (ja) * 1984-07-11 1986-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セツトレコ−ダ
JPS61193554U (ko) * 1985-05-25 1986-12-02
JPS6282541A (ja) * 1985-10-04 1987-04-16 Sony Corp カ−トリツジ設定機構
JPS62170059A (ja) * 1986-01-21 1987-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ヘッド方式磁気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H01113949A (ja) * 1987-10-28 1989-05-02 Hitachi Ltd カセット装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27708B2 (ja) 1998-03-18
KR910013148A (ko) 1991-08-08
DE69025459T2 (de) 1996-07-04
MY105481A (en) 1994-10-31
ATE134454T1 (de) 1996-03-15
AU6706090A (en) 1991-06-13
EP0431912A2 (en) 1991-06-12
JPH03178069A (ja) 1991-08-02
AU633656B2 (en) 1993-02-04
EP0431912A3 (en) 1992-04-22
EP0431912B1 (en) 1996-02-21
DE69025459D1 (de) 199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9324A (en) Cassette holder with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osure member of a cassette
JP2712668B2 (ja) 回転ヘッドを備えたテーププレーヤ
KR100225731B1 (ko) 기록 및 재생장치용 카셋트 홀더
JP3033225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2805920B2 (ja) 回転ヘッド式テーププレーヤ
US5214547A (en) Tape cassette having reels displaceable towards the rear
US5764433A (en) Short-side-loading tape cassett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2850347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5781371A (en) Cassette loading machanism
EP0557726B1 (en) Cassette tape player compatible with cassette tapes of different formats
KR100210346B1 (ko) 테이프 플레이어의 카셋트 이젝트 기구
JP2794600B2 (ja) 回転ヘッド式テーププレーヤ
JP2727707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2734143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2745745B2 (ja) テーププレーヤのカセットホルダー
JP3493740B2 (ja) 再生装置
JPH02210658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893987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3044809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2870917B2 (ja) テーププレーヤの操作機構
JP2521986Y2 (ja) 携帯用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の押釦操作装置
JPS6317054Y2 (ko)
JP3008528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S60103551A (ja) 記録再生装置
JPH05128647A (ja) テーププレーヤにおけるブレーキ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